KR20150082901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901A
KR20150082901A KR1020140002407A KR20140002407A KR20150082901A KR 20150082901 A KR20150082901 A KR 20150082901A KR 1020140002407 A KR1020140002407 A KR 1020140002407A KR 20140002407 A KR20140002407 A KR 20140002407A KR 20150082901 A KR20150082901 A KR 20150082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ate
ground voltage
mode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5432B1 (ko
Inventor
이철곤
신경주
채종철
김현준
임재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2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432B1/ko
Priority to US14/478,530 priority patent/US9542889B2/en
Priority to TW103141805A priority patent/TWI646523B/zh
Priority to CN201410749065.6A priority patent/CN104766571B/zh
Publication of KR20150082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09G3/367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9/00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 G11C19/28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using semiconductor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13Details of dummy pixels or dummy lines in fla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3Compensation electrodes or other additional electrodes in matrix displays related to distortions or compensation signals, e.g. for modifying TFT threshold voltage in column dri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13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controlling the sequence of the scanning lines with respect to the patterns to be displayed, e.g. to save pow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51Precharge or discharge of pixel before applying new pixel volt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9Details of voltage level shift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23Compensation for problems related to R-C delay and attenuation in electrodes of matrix panels, e.g. in gate electrodes or on-substrate video signal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3Detection of image changes, e.g. determination of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image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3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using energy recovery or conser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와, 모드 신호 및 게이트 펄스 신호에 응답해서 게이트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클럭 발생기와,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및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어하고, 상기 게이트 펄스 신호 및 상기 모드 신호를 발생하되, 상기 영상 신호의 타입에 따라서 상기 게이트 펄스 신호의 주파수 및 상기 모드 신호의 레벨을 설정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클럭 발생기는 상기 모드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의 전압 레벨을 설정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저전력 소모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픽셀 각각은 스위칭 트랜지스터, 액정 커패시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데이터 드라이버는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게이트 드라이버는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표시하고자 하는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게이트 온 전압을 인가한 후, 표시 영상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을 소스 전극에 인가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 휴대용 전자 기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다. 특히, 태블릿 PC,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의 대부분을 표시 장치가 차지하므로 표시 장치의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소모가 감소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되,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표시 장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와, 모드 신호 및 게이트 펄스 신호에 응답해서 게이트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클럭 발생기와,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및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어하고, 상기 게이트 펄스 신호 및 상기 모드 신호를 발생하되, 상기 영상 신호의 타입에 따라서 상기 게이트 펄스 신호의 주파수 및 상기 모드 신호의 레벨을 설정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클럭 발생기는 상기 모드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의 전압 레벨을 설정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럭 발생기는, 상기 모드 신호가 제1 모드를 나타내는 동안, 상기 게이트 펄스 신호에 응답해서 게이트 온 전압 및 제2 접지 전압 사이를 스윙하는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모드 신호가 제2 모드를 나타내는 동안, 상기 게이트 펄스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게이트 온 전압 및 상기 제2 접지 전압과 다른 전압 레벨의 제1 접지 전압 사이를 스윙하는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를 생성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영상 신호가 동영상 일 때 상기 모드 신호를 상기 제1 모드에 대응하는 제1 신호레벨로 설정하고, 상기 영상 신호가 정지 영상일 때 상기 모드 신호를 상기 제2 모드에 대응하는 제2 신호 레벨로 설정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동영상일 때 제1 주파수의 상기 게이트 펄스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정지 영상일 때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느린 제2 주파수의 상기 게이트 펄스 신호를 발생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온 전압, 상기 제1 접지 전압 및 상기 제2 접지 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클럭발생기로 제공하는 전압 발생기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중 제1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는 제1 게이트 드라이버, 및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중 제2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는 제2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스타트 펄스 신호를 더 발생하고, 상기 제1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제1 게이트 라인들에 각각 대응하고, 각각이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 이전단 캐리 신호, 다음단 캐리 신호, 상기 제1 접지 전압 및 상기 제2 접지 전압을 수신하고, 캐리 신호 및 대응하는 제1 게이트 라인으로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스테이지들, 및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 이전단 캐리 신호, 상기 스타트 펄스 신호, 상기 제1 접지 전압 및 상기 제2 접지 전압을 수신하고, 더미 캐리 신호 및 더미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더미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들 중 첫 번째 스테이지는 상기 스타트 펄스 신호를 상기 이전단 캐리 신호로서 수신한다. 상기 이전단 캐리 신호는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들 중 이전단 스테이지로부터 출력되는 캐리 신호이고, 상기 다음단 캐리 신호는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들 중 다음단 스테이지로부터 출력되는 캐리 신호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럭 발생기는, 상기 모드 신호가 상기 제2 모드를 나타내는 동안 상기 제1 게이트 드라이버로 제공하는 상기 제2 접지 전압을 상기 제1 접지 전압 레벨로 설정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럭 발생기는 리셋 신호를 더 발생한다. 상기 모드 신호가 상기 제2 모드를 나타내는 동안 상기 리셋 신호를 제1 레벨로 설정한다. 상기 제1 게이트 드라이버 내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들 각각은, 상기 캐리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단자와 상기 제1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리셋 신호와 연결된 게이트 단자를 포함하는 제1 리셋 트랜지스터, 및 상기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단자와 상기 제1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리셋 신호와 연결된 게이트 단자를 포함하는 제2 리셋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럭 발생기는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와 상보적인 반전 게이트 클럭 신호를 더 발생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스타트 펄스 신호를 더 발생하고, 상기 제2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제2 게이트 라인들에 각각 대응하고, 각각이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 이전단 캐리 신호, 다음단 캐리 신호, 상기 제1 접지 전압 및 상기 제2 접지 전압을 수신하고, 캐리 신호 및 대응하는 제2 게이트 라인으로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스테이지들 및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 이전단 캐리 신호, 상기 스타트 펄스 신호, 상기 제1 접지 전압 및 상기 제2 접지 전압을 수신하고, 더미 캐리 신호 및 더미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더미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들 중 첫 번째 스테이지는 상기 스타트 펄스 신호를 상기 이전단 캐리 신호로서 수신하되, 상기 이전단 캐리 신호는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들 중 이전단 스테이지로부터 출력되는 캐리 신호이고, 상기 다음단 캐리 신호는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들 중 다음단 스테이지로부터 출력되는 캐리 신호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럭 발생기는, 상기 모드 신호가 상기 제2 모드를 나타내는 동안 상기 제2 게이트 드라이버로 제공되는 상기 제2 접지 전압을 상기 제1 접지 전압 레벨로 설정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럭 발생기는 리셋 신호를 더 발생한다. 상기 모드 신호가 상기 제2 모드를 나타내는 동안 상기 리셋 신호를 제1 레벨로 설정한다. 상기 제1 게이트 드라이버 내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들 각각은, 상기 캐리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단자와 상기 제1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리셋 신호와 연결된 게이트 단자를 포함하는 제1 리셋 트랜지스터, 및 상기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단자와 상기 제1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리셋 신호와 연결된 게이트 단자를 포함하는 제2 리셋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단변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2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단변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 라인들과 상기 제2 게이트 라인들은 하나씩 번갈아 배열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각각에 대응하고, 각각이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의 종단과 상기 제1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인접한 다음 게이트 라인과 연결된 게이트 단자를 갖는 복수의 종단 리셋 트랜지스터들을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지 전압은 -5V이고, 상기 제2 접지 전압은 -10V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정지 영상이 표시될 때 게이트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낮추어서 표시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게이트 클럭 신호의 주파수가 낮아지더라도 게이트 드라이버가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게이트 드라이버 내 스테이지의 구성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테이지 내 일부 트랜지스터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스테이지의 입력 및 출력 신호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스테이지 내 일부 트랜지스터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4 및 도 7에 도시된 스테이지의 입력 및 출력 신호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스테이지 내 일부 트랜지스터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4 및 도 9에 도시된 스테이지의 입력 및 출력 신호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제1 게이트 드라이버 내 스테이지의 구성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1 게이트 드라이버 내 스테이지의 입력 신호 및 출력 신호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제1 게이트 드라이버 및 제2 게이트 드라이버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10), 타이밍 컨트롤러(120), 클럭 발생기(130), 전압 발생기(140), 데이터 드라이버(150), 제1 게이트 드라이버(160) 및 제2 게이트 드라이버(170)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100)는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LCD) 장치, 플라즈마 패널 표시(Plasma Panel Display, PDP) 장치, 유기 전계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표시 장치, 전계 효과 표시(Field Emission Display, FED)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DLm) 및 데이터 라인들(DL1-DLm)에 교차하여 배열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GLn) 그리고 그들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픽셀들(PX)을 포함한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DLm)과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GLn)은 서로 절연되어 있다. 각 픽셀(PX)은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 이에 연결된 액정 커패시터(crystal capacitor)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를 포함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20)는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RGB) 및 이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CTRL) 예를 들면,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메인 클럭 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등을 제공받는다. 타이밍 컨트롤러(120)는 제어 신호들(CTRL)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RGB)를 표시 패널(110)의 동작 조건에 맞게 처리한 데이터 신호(DATA) 및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CONT)를 데이터 드라이버(150)로 제공하고, 스타트 펄스 신호(STV)를 제1 게이트 드라이버(160) 및 제2 게이트 드라이버(170)로 제공한다.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CONT1)는 수평 동기 시작 신호, 클럭 신호 및 라인 래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20)는 모드 신호(MODE) 및 게이트 펄스 신호(CPV)를 클럭 발생기(130)로 제공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20)는 영상 신호(RGB)를 내부 메모리(미 도시됨)에 저장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20)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영상 신호(PRGB)와 영상 신호(RGB)를 비교하고, 소정 시간 동안 이전 영상 신호(PRGB)와 영상 신호(RGB)가 서로 다르면 영상 신호(RGB)가 동영상인 것으로 판별한다. 만일 이전 영상 신호(PRGB)와 영상 신호(RGB)가 일치하면 영상 신호(RGB)가 정지 영상인 것으로 판별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20)는 영상 신호(RGB)가 동영상인 것으로 판별되면 제1 모드로 동작하며, 모드 신호(MODE)를 제1 신호 레벨(예를 들면, 하이 레벨)로 설정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20)는 영상 신호(RGB)가 정지 영상인 것으로 판별되면 제2 모드로 동작하며, 모드 신호(MODE)를 제2 신호 레벨(예를 들면, 로우 레벨)로 설정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20)는 영상 신호(RGB)가 동영상인 것으로 판별된 제1 모드동안 제1 주파수(예를 들면, 60Hz)를 갖는 게이트 펄스 신호(CKV)를 발생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20)는 영상 신호(RGB)가 정지 영상인 것으로 판별된 제2 모드동안 제1 주파수보다 낮은 제2 주파수(예를 들면, 1Hz)를 게이트 펄스 신호(CKV)를 발생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20)는 게이트 펄스 신호(CKV)의 주파수에 따라서 데이터 드라이버(150)로 제공되는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CONT1)의 주파수도 변경할 수 있다.
영상 신호(RGB)가 정지 영상인 것으로 판별된 제2 모드동안 게이트 펄스 신호(CKV)의 주파수를 낮추는 것에 의해 표시 장치(10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감소된다.
클럭 발생기(130)는 타이밍 컨트롤러(120)로부터의 모드 신호(MODE) 및 게이트 펄스 신호(CPV)에 응답해서 게이트 클럭 신호(CKV) 및 반전 게이트 클럭 신호(CKVB)를 발생한다. 만일 모드 신호(MODE)가 제1 모드에 대응하는 제1 신호 레벨이면, 클럭 발생기(130)는 게이트 펄스 신호(CPV)에 응답해서 게이트 온 전압(VON)과 제2 접지 전압(VSS2) 사이를 스윙하는 게이트 클럭 신호(CKV) 및 반전 게이트 클럭 신호(CKVB)를 발생한다. 만일 모드 신호(MODE)가 제2 모드에 대응하는 제2 신호 레벨이면, 클럭 발생기(130)는 게이트 펄스 신호(CPV)에 응답해서 게이트 온 전압(VON)과 제1 접지 전압(VSS1) 사이를 스윙하는 게이트 클럭 신호(CKV) 및 반전 게이트 클럭 신호(CKVB)를 발생한다.
전압 발생기(140)는 클럭 발생기(130)의 동작에 필요한 게이트 온 전압(VON), 제1 접지 전압(VSS1) 및 제2 접지 전압(VSS2)을 발생한다. 예를 들어, 게이트 온 전압(VON)은 +15V, 제1 접지 전압(VSS1)은 -5V 그리고 제2 접지 전압(VSS2)은 -10V이다.
클럭 발생기(130)는 타이밍 컨트롤러(120)로부터의 모드 신호(MODE)에 응답해서 제1 접지 전압(VSS1) 및 제2 접지 전압(VSS2)을 제1 게이트 드라이버(160) 및 제2 게이트 드라이버(170)로 제공한다. 만일 모드 신호(MODE)가 제1 모드에 대응하는 제1 신호 레벨이면, 클럭 발생기(130)는 전압 발생기(140)로부터의 제1 접지 전압(VSS1) 및 제2 접지 전압(VSS2)을 그대로 제1 게이트 드라이버(160) 및 제2 게이트 드라이버(170)로 제공한다. 만일 모드 신호(MODE)가 제2 모드에 대응하는 제2 신호 레벨이면, 클럭 발생기(130)는 제2 접지 전압(VSS2)을 제1 접지 전압(VSS1)과 동일한 전압 레벨로 변경해서 출력한다. 예컨대, 모드 신호(MODE)가 제2 신호 레벨이면, 클럭 발생기(130)는 제1 접지 전압(VSS1)과 제2 접지 전압(VSS2)을 모두 -5V로 고정(hold)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50)는 타이밍 컨트롤러(120)로부터의 데이터 신호(DATA) 및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CONT1)에 따라서 데이터 라인들(DL1-DLm)을 구동하기 위한 계조 전압들을 출력한다.
제1 게이트 드라이버(160) 및 제2 게이트 드라이버(170) 각각은 비정질-실리콘 스위칭 트랜지스터(amorphous Silicon Thin Film Transistor a-Si TFT)를 이용한 ASG(Amorphous silicon gate), 산화물 반도체, 결정질 반도체, 다결정 반도체 등을 이용한 회로로 구현되어서 표시 패널(110)과 동일한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드라이버(160)는 표시 패널(110)의 제1 단변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제2 게이트 드라이버(170)는 표시 패널(110)의 제2 단변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제1 게이트 드라이버(160)는 타이밍 컨트롤러(120)로부터의 스타트 펄스 신호(STV)와 클럭 발생기(130)로부터의 게이트 클럭 신호(CKV)에 응답해서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GLn) 중 제1 게이트 라인들(GL1, GL3, ..., GLn-1)을 구동한다. 제1 게이트 라인들(GL1, GL3, ..., GLn-1)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GLn) 중 홀수 번째 게이트 라인들이다.
제2 게이트 드라이버(170)는 타이밍 컨트롤러(120)로부터의 스타트 펄스 신호(STV)와 클럭 발생기(130)로부터의 반전 게이트 클럭 신호(CKVB)에 응답해서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GLn) 중 제2 게이트 라인들(GL2, GL4, ..., GLn)을 구동한다. 제2 게이트 라인들(GL2, GL2, ..., GLn)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GLn) 중 짝수 번째 게이트 라인들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게이트 드라이버(160)는 복수의 스테이지들(ST1~STn-1) 및 더미 스테이지(STn+1)를 포함한다. 복수의 스테이지들(ST1~STn-1)은 홀수 번째 게이트 라인들인 제1 게이트 라인들(GL1~GLn-1)에 각각 대응한다. 복수의 스테이지들(ST1~STn-1) 중 첫 번째 스테이지(ST1)는 스타트 펄스 신호(STV), 게이트 클럭 신호(CKV), 제1 접지 전압(VSS1), 제2 접지 전압(VSS2) 및 다음단 캐리 신호(CR3)를 수신하고, 캐리 신호(CR1) 및 게이트 신호(G1)를 출력한다.
복수의 스테이지들(ST1~STn-1) 중 첫 번째 스테이지(ST1)를 제외한 나머지 스테이지들(STi)(단, i=3, 5, ..., n-1) 각각은 이전단 캐리 신호(CRi-2), 게이트 클럭 신호(CKV), 제1 접지 전압(VSS1), 제2 접지 전압(VSS2) 및 다음단 캐리 신호(CRi+2)를 수신하고, 캐리 신호(CRi) 및 게이트 신호(Gi)를 출력한다.
더미 스테이지(STn+1)는 이전단 캐리 신호(CRn-2), 게이트 클럭 신호(CKV), 제1 접지 전압(VSS1), 제2 접지 전압(VSS2) 및 스타트 펄스 신호(STV)를 수신하고, 캐리 신호(CRn+1) 및 게이트 신호(GDn+1)를 출력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게이트 드라이버(170)는 복수의 스테이지들(ST2~STn) 및 더미 스테이지(STn+2)를 포함한다. 복수의 스테이지들(ST2~STn)은 짝수 번째 게이트 라인들인 제2 게이트 라인들(GL2~GLn)에 각각 대응한다. 복수의 스테이지들(ST2~STn) 중 첫 번째 스테이지(ST2)는 스타트 펄스 신호(STV), 반전 게이트 클럭 신호(CKVB), 제1 접지 전압(VSS1), 제2 접지 전압(VSS2) 및 다음단 캐리 신호(CR4)를 수신하고, 캐리 신호(CR2) 및 게이트 신호(G2)를 출력한다.
복수의 스테이지들(ST2~STn) 중 첫 번째 스테이지(ST2)를 제외한 나머지 스테이지들(STi)(단, i=4, 6, ..., n) 각각은 이전단 캐리 신호(CRi-2), 게이트 클럭 신호(CKV), 제1 접지 전압(VSS1), 제2 접지 전압(VSS2) 및 다음단 캐리 신호(CRi+2)를 수신하고, 캐리 신호(CRi) 및 게이트 신호(Gi)를 출력한다.
더미 스테이지(STn+2)는 이전단 캐리 신호(CRn-2), 게이트 클럭 신호(CKV), 제1 접지 전압(VSS1), 제2 접지 전압(VSS2) 및 스타트 펄스 신호(STV)를 수신하고, 캐리 신호(CRn+2)를 출력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게이트 드라이버 내 스테이지의 구성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 게이트 드라이버 내 스테이지만을 도시하고 설명하나, 제2 게이트 드라이버 내 스테이지들도 도 4에 도시된 제1 게이트 드라이버 내 스테이지와 동일한구성을 갖는다. 다만, 제1 게이트 드라이버 내 스테이지들 각각이 게이트 클럭 신호를 입력받고, 제2 게이트 드라이버 내 스테이지들 각각은 반전된 게이트 클럭 신호를 입력받는 점에서 다르다.
도 4를 참조하면, i번째 스테이지(STi)는 트랜지스터들(T1~T15) 및 커패시터(C1)를 포함한다. i번째 스테이지(STi)는 이전단 캐리 신호(CRi-2), 게이트 클럭 신호(CKV), 제1 접지 전압(VSS1), 제2 접지 전압(VSS2) 및 다음단 캐리 신호(CRi+2)를 수신하고, 캐리 신호(CRi) 및 게이트 신호(Gi)를 출력한다.
이전단 캐리 신호(CRi-2)가 하이 레벨로 천이하면, 트랜지스터(T4)가 턴 온되어서 노드(Q)의 전압 레벨이 상승한다. 이때 게이트 클럭 신호(CKV)가 하이 레벨로 천이하면 트랜지스터(T1)가 턴 온되어서 게이트 클럭 신호(CKV)가 게이트 신호(Gi)로서 출력된다. 또한 커패시터(C1)에 의해 노드(Q)의 전압 레벨은 더 높은 레벨로 부스팅되어 제1 트랜지스터(T1)는 턴 온 상태를 유지한다.
노드(Q)의 전압 레벨이 상승하고, 게이트 클럭 신호(CKV)가 하이 레벨로 천이함에 따라서 트랜지스터(T15)가 턴 온되고, 캐리 신호(CRi)가 하이 레벨로 출력된다.
캐리 신호(CRi)에 응답해서 다음 스테이지(STi+2)로부터 출력되는 다음 캐리 신호(CRi+2)가 하이 레벨로 활성화되면 트랜지스터들(T9, T9-1, T2, T17)이 턴 온된다. 트랜지스터들(T9, T9-1)이 턴 온되면 노드(Q)는 제2 접지 전압(VSS2)으로 디스챠지된다. 트랜지스터(T2)가 턴 온되면 게이트 신호(Gi)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는 제1 접지 전압(VSS1)으로 디스챠지된다. 트랜지스터(T17)가 턴 온되면, 캐리 신호(CRi)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는 제2 접지 전압(VSS2)으로 디스챠지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테이지 내 일부 트랜지스터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스테이지의 입력 및 출력 신호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게이트 클럭 신호(CKV)가 게이트 온 전압(VON)과 제2 접지 전압(VSS2) 사이를 스윙하고, 제1 접지 전압(VSS1)이 -5V이고, 제2 접지 전압(VSS2)이 -10V인 것으로 가정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이밍 컨트롤러(120, 도 1에 도시됨)는 영상 신호(RGB)가 정지 영상일 때 제2 신호 레벨의 모드 신호(MODE)를 출력하고, 제1 모드일 때에 비해 게이트 펄스 신호(CPV)의 주파수를 낮춘다. 제2 모드에서 게이트 펄스 신호(CPV)의 주파수가 낮아지면, 클럭 발생기(130, 도 1에 도시됨)에서 발생되는 게이트 클럭 신호(CKV)의 주파수도 낮아진다. 제2 모드동안 게이트 클럭 신호(CKV)는 제1 모드에 비해 제2 접지 전압(VSS2)으로 유지되는 시간이 길다.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단자로 제공되는 게이트 클럭 신호(CKV), Q 노드의 신호(QN) 및 다음단 캐리 신호(CRi+2)는 제2 접지 전압(VSS2)이고, 게이트 라인(GLi)이 구동되지 않는 동안 게이트 신호(Gi)는 제1 접지 전압(VSS1) 레벨이다. 게이트 라인(GLi)이 구동되지 않는 동안 트랜지스터들(T1, T2)은 턴 오프 상태를 유지하지만, 트랜지스터들(T1, T2) 각각의 게이트 단자로 인가되는 전압(-10V)과 소스 단자로 인가되는 전압(-5V) 사이의 차이에 의해서 트랜지스터들(T1, T2)은 바이어스 스트레스(bias stress)를 받는다. 제2 모드가 장시간 및 반복적으로 유지되는 경우 트랜지스터들(T1, T2)의 문턱 전압에 변화가 생기거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는 표시 장치(100)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스테이지 내 일부 트랜지스터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4 및 도 7에 도시된 스테이지의 입력 및 출력 신호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타이밍 컨트롤러(120, 도 1에 도시됨)는 영상 신호(RGB)가 정지 영상일 때 제2 신호 레벨의 모드 신호(MODE)를 출력하고, 제1 모드일 때에 비해 게이트 펄스 신호(CPV)의 주파수를 낮춘다.
클럭 발생기(130, 도 1에 도시됨)는 제2 신호 레벨의 모드 신호(MODE) 및 게이트 펄스 신호(CPV)에 응답해서 게이트 온 전압(VON)과 제1 접지 전압(VSS1) 사이를 스윙하는 게이트 클럭 신호(CKV)를 발생한다. 또한 클럭 발생기(130)는 제2 접지 전압(VSS2)을 제1 접지 전압(VSS1)과 동일한 전압(-5V)으로 출력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단자로 제공되는 게이트 클럭 신호(CKV), Q 노드의 신호(QN) 및 다음단 캐리 신호(CRi+2), 캐리 신호(CRi) 및 게이트 신호(Gi)는 모두 제1 접지 전압(VSS1) 레벨이다.
게이트 라인(GLi)이 구동되지 않는 동안 트랜지스터들(T1, T2)은 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스테이지(STi) 내 트랜지스터들(T1-T15)을 ASG(Amorphous silicon gate) 또는 산화물 반도체로 형성하는 경우, Vgs=0V일 때 누설 전류(Ids)가 흐른다. 트랜지스터(T2)에 약간의 누설 전류(Ids)가 흐르는 경우, 게이트 신호(Gi)는 제1 접지 전압(VSS1)으로 홀드(hold)되므로 노이즈에 의한 게이트 신호(Gi)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스테이지 내 일부 트랜지스터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4 및 도 9에 도시된 스테이지의 입력 및 출력 신호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타이밍 컨트롤러(120, 도 1에 도시됨)는 영상 신호(RGB)가 정지 영상일 때 제2 신호 레벨의 모드 신호(MODE)를 출력하고, 제1 모드일 때에 비해 게이트 펄스 신호(CPV)의 주파수를 낮춘다.
클럭 발생기(130, 도 1에 도시됨)는 제2 신호 레벨의 모드 신호(MODE) 및 게이트 펄스 신호(CPV)에 응답해서 게이트 온 전압(VON)과 제2 접지 전압(VSS2) 사이를 스윙하는 게이트 클럭 신호(CKV)를 발생한다. 또한 클럭 발생기(130)는 제1 접지 전압(VSS1)을 제2 접지 전압(VSS2)과 동일한 전압(-10V)으로 출력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단자로 제공되는 게이트 클럭 신호(CKV), Q 노드의 신호(QN) 및 다음단 캐리 신호(CRi+2), 캐리 신호(CRi) 및 게이트 신호(Gi)는 모두 제2 접지 전압(VSS2) 레벨이다.
게이트 라인(GLi)이 구동되지 않는 동안 트랜지스터들(T1, T2)은 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스테이지(STi) 내 트랜지스터들(T1-T15)을 ASG(Amorphous silicon gate) 또는 산화물 반도체로 형성하는 경우, Vgs=0V일 때 누설 전류(Ids)가 흐른다. 트랜지스터(T2)에 약간의 누설 전류(Ids)가 흐르는 경우, 게이트 신호(Gi)는 제1 접지 전압(VSS1)으로 홀드(hold)되므로 노이즈에 의한 게이트 신호(Gi)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클럭 신호(CKV), Q 노드의 신호(QN) 및 다음단 캐리 신호(CRi+2), 캐리 신호(CRi) 및 게이트 신호(Gi)를 모두 제1 접지 전압(VSS1) 및 제2 접지 전압(VSS2) 중 어느 하나로 동일하게 함으로써 스테이지(STi, 도 4에 도시됨) 내 트랜지스터들(T1~T15)의 손상을 방지하고, 노이즈에 의한 게이트 신호(Gi)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표시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와 유사한 구성을 갖되, 클럭 발생기(230)가 리셋 신호(RST)를 더 발생한다. 클럭 발생기(230)는 타이밍 컨트롤러(220)로부터의 모드 신호(MODE)가 제2 신호 레벨인 동안 주기적으로 활성화되는 펄스 신호인 리셋 신호(RST)를 발생한다. 리셋 신호(RST)는 제1 게이트 드라이버(260) 및 제2 게이트 드라이버(270)로 제공된다. 클럭 발생기(230)가 리셋 신호(RST)를 발생하는 대신, 다른 실시예에서, 타이밍 컨트롤러(220)가 리셋 신호(RST)를 발생할 수 있다.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제1 게이트 드라이버 내 스테이지의 구성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1 게이트 드라이버 내 스테이지의 입력 신호 및 출력 신호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스테이지(SSTi)는 도 4에 도시된 스테이지(STi)와 동일한 구성을 갖되, 리셋 트랜지스터들(RT1, RT2, RT3)을 더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스테이지(SSTi) 내 구성 요소들 중 도 4에 도시된 스테이지(STi)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리셋 트랜지스터(RT1)는 트랜지스터(T15)의 게이트 단자와 제1 접지 전압(VSS1) 사이에 연결되고, 리셋 신호(RST)에 의해 제어되는 게이트 단자를 포함한다. 리셋 트랜지스터(RT2)는 캐리 신호(CRi)의 출력 단자와 제1 접지 전압(VSS1) 사이에 연결되고, 리셋 신호(RST)에 의해 제어되는 게이트 단자를 포함한다. 리셋 트랜지스터(RT3)는 게이트 신호(Gi)의 출력 단자와 제1 접지 전압(VSS1) 사이에 연결되고, 리셋 신호(RST)에 의해 제어되는 게이트 단자를 포함한다.
모드 신호(MODE)가 제2 신호 레벨인 제2 모드동안 리셋 신호(RST)는 주기적으로 활성화된다. 리셋 신호(RST)가 하이 레벨(예를 들면, 게이트 온 전압(VON) 레벨)로 활성화되면 리셋 트랜지스터들(RT1, RT2, RT3)이 모두 턴 온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T15)의 게이트 단자, 캐리 신호(CRi)의 출력 단자 및 게이트 신호(Gi)의 출력 단자는 제1 접지 전압(VSS1)으로 설정된다. 제2 모드동안 캐리 신호(CRi) 및 게이트 신호(Gi)가 제1 접지 전압(VSS1)으로 유지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노이즈에 의해 캐리 신호(CRi) 및 게이트 신호(Gi)가 변경될 수 있다. 주기적으로 리셋 트랜지스터들(RT1, RT2, RT3)이 턴 온됨에 따라서 캐리 신호(CRi) 및 게이트 신호(Gi)를 제1 접지 전압(VSS1)으로 홀드시킴으로써 표시 장치(100)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표시 장치(100)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제1 게이트 드라이버 및 제2 게이트 드라이버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게이트 드라이버(160)는 복수의 스테이지들(ST1~STn-1), 더미 스테이지(STn+1) 및 종단 리셋 트랜지스터들(NT2~NTn)을 포함한다. 제2 게이트 드라이버(170)는 복수의 스테이지들(ST2~STn), 더미 스테이지(STn+2) 및 종단 리셋 트랜지스터들(NT1~NTn-1)을 포함한다.
제1 게이트 드라이버(160) 내 복수의 스테이지들(ST1~STn-1) 및 더미 스테이지(STn+1) 각각의 연결 관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게이트 드라이버(170) 내 복수의 스테이지들(ST2~STn) 및 더미 스테이지(STn+2)의 연결 관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게이트 드라이버(160) 내 종단 리셋 트랜지스터들(NT2~NTn)은 제2 게이트 라인들(GL2~GLn)에 각각 대응하고, 제2 게이트 드라이버(170) 내 종단 리셋 트랜지스터들(NT1~NTn-1)은 제1 게이트 라인들(GL1~GLn-1)에 각각 대응한다. 종단 리셋 트랜지스터들(NT1~NTn)은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을 제1 접지 전압(VSS1)으로 디스챠지한다.
예를 들어, 종단 리셋 트랜지스터(NT1)는 대응하는 제1 게이트 라인(GL1)과 제1 접지 전압(VSS1) 사이에 연결되고, 인접한 다음 제2 게이트 라인(GL2)과 연결된 게이트 단자를 포함한다. 종단 리셋 트랜지스터(NT2)는 대응하는 제2 게이트 라인(GL2)과 제1 접지 전압(VSS1) 사이에 연결되고, 인접한 다음 제1 게이트 라인(GL3)과 연결된 게이트 단자를 포함한다.
종단 리셋 트랜지스터들(NT1~NTn)은 다음 게이트 라인이 게이트 온 전압으로 구동될 때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을 제1 접지 전압(VSS1)으로 디스챠지한다. 종단 리셋 트랜지스터들(NT1~NTn)은 게이트 신호들(G1~Gn)이 게이트 온 전압(VON)에서 제1 접지 전압(VSS1)으로 디스챠지될 때 디스챠지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 장치 110: 표시 패널
120 타이밍 컨트롤러 130: 클럭 발생기
140: 전압 발생기 150: 데이터 드라이버
160: 제1 게이트 드라이버 170: 제2 게이트 드라이버
ST1~STn: 스테이지 STn+1, STn+2: 더미 스테이지

Claims (16)

  1.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와;
    모드 신호 및 게이트 펄스 신호에 응답해서 게이트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클럭 발생기와;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및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어하고, 상기 게이트 펄스 신호 및 상기 모드 신호를 발생하되, 상기 영상 신호의 타입에 따라서 상기 게이트 펄스 신호의 주파수 및 상기 모드 신호의 레벨을 설정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클럭 발생기는 상기 모드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의 전압 레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발생기는,
    상기 모드 신호가 제1 모드를 나타내는 동안, 상기 게이트 펄스 신호에 응답해서 게이트 온 전압 및 제2 접지 전압 사이를 스윙하는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모드 신호가 제2 모드를 나타내는 동안, 상기 게이트 펄스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게이트 온 전압 및 상기 제2 접지 전압과 다른 전압 레벨의 제1 접지 전압 사이를 스윙하는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영상 신호가 동영상 일 때 상기 모드 신호를 상기 제1 모드에 대응하는 제1 신호레벨로 설정하고, 상기 영상 신호가 정지 영상일 때 상기 모드 신호를 상기 제2 모드에 대응하는 제2 신호 레벨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동영상일 때 제1 주파수의 상기 게이트 펄스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정지 영상일 때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느린 제2 주파수의 상기 게이트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온 전압, 상기 제1 접지 전압 및 상기 제2 접지 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클럭발생기로 제공하는 전압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중 제1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는 제1 게이트 드라이버; 및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중 제2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는 제2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스타트 펄스 신호를 더 발생하고,
    상기 제1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제1 게이트 라인들에 각각 대응하고, 각각이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 이전단 캐리 신호, 다음단 캐리 신호, 상기 제1 접지 전압 및 상기 제2 접지 전압을 수신하고, 캐리 신호 및 대응하는 제1 게이트 라인으로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스테이지들; 및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 이전단 캐리 신호, 상기 스타트 펄스 신호, 상기 제1 접지 전압 및 상기 제2 접지 전압을 수신하고, 더미 캐리 신호 및 더미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더미 스테이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들 중 첫 번째 스테이지는 상기 스타트 펄스 신호를 상기 이전단 캐리 신호로서 수신하되,
    상기 이전단 캐리 신호는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들 중 이전단 스테이지로부터 출력되는 캐리 신호이고, 상기 다음단 캐리 신호는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들 중 다음단 스테이지로부터 출력되는 캐리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발생기는,
    상기 모드 신호가 상기 제2 모드를 나타내는 동안 상기 제1 게이트 드라이버로 제공하는 상기 제2 접지 전압을 상기 제1 접지 전압 레벨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발생기는 리셋 신호를 더 발생하되,
    상기 모드 신호가 상기 제2 모드를 나타내는 동안 상기 리셋 신호를 제1 레벨로 설정하고,
    상기 제1 게이트 드라이버 내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들 각각은,
    상기 캐리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단자와 상기 제1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리셋 신호와 연결된 게이트 단자를 포함하는 제1 리셋 트랜지스터; 및
    상기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단자와 상기 제1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리셋 신호와 연결된 게이트 단자를 포함하는 제2 리셋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발생기는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와 상보적인 반전 게이트 클럭 신호를 더 발생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스타트 펄스 신호를 더 발생하고,
    상기 제2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제2 게이트 라인들에 각각 대응하고, 각각이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 이전단 캐리 신호, 다음단 캐리 신호, 상기 제1 접지 전압 및 상기 제2 접지 전압을 수신하고, 캐리 신호 및 대응하는 제2 게이트 라인으로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스테이지들; 및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 이전단 캐리 신호, 상기 스타트 펄스 신호, 상기 제1 접지 전압 및 상기 제2 접지 전압을 수신하고, 더미 캐리 신호 및 더미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더미 스테이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들 중 첫 번째 스테이지는 상기 스타트 펄스 신호를 상기 이전단 캐리 신호로서 수신하되,
    상기 이전단 캐리 신호는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들 중 이전단 스테이지로부터 출력되는 캐리 신호이고, 상기 다음단 캐리 신호는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들 중 다음단 스테이지로부터 출력되는 캐리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발생기는,
    상기 모드 신호가 상기 제2 모드를 나타내는 동안 상기 제2 게이트 드라이버로 제공되는 상기 제2 접지 전압을 상기 제1 접지 전압 레벨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발생기는 리셋 신호를 더 발생하되,
    상기 모드 신호가 상기 제2 모드를 나타내는 동안 상기 리셋 신호를 제1 레벨로 설정하고,
    상기 제1 게이트 드라이버 내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들 각각은,
    상기 캐리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단자와 상기 제1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리셋 신호와 연결된 게이트 단자를 포함하는 제1 리셋 트랜지스터; 및
    상기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단자와 상기 제1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리셋 신호와 연결된 게이트 단자를 포함하는 제2 리셋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단변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2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단변에 인접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 라인들과 상기 제2 게이트 라인들은 하나씩 번갈아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각각에 대응하고, 각각이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의 종단과 상기 제1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인접한 다음 게이트 라인과 연결된 게이트 단자를 갖는 복수의 종단 리셋 트랜지스터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지 전압은 -5V이고, 상기 제2 접지 전압은 -10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40002407A 2014-01-08 2014-01-08 표시 장치 KR102135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407A KR102135432B1 (ko) 2014-01-08 2014-01-08 표시 장치
US14/478,530 US9542889B2 (en) 2014-01-08 2014-09-05 Display device configured to be driven in one of a plurality of modes
TW103141805A TWI646523B (zh) 2014-01-08 2014-12-02 顯示裝置
CN201410749065.6A CN104766571B (zh) 2014-01-08 2014-12-09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407A KR102135432B1 (ko) 2014-01-08 2014-01-08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901A true KR20150082901A (ko) 2015-07-16
KR102135432B1 KR102135432B1 (ko) 2020-07-20

Family

ID=5349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407A KR102135432B1 (ko) 2014-01-08 2014-01-0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42889B2 (ko)
KR (1) KR102135432B1 (ko)
CN (1) CN104766571B (ko)
TW (1) TWI64652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827A (ko) * 2015-10-05 2017-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70086761A (ko) * 2016-01-18 2017-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200009169A (ko) * 2018-07-17 2020-0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25377B (zh) 2010-01-24 2016-03-1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KR102169034B1 (ko) * 2014-07-25 2020-10-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6513447B2 (ja) * 2015-03-25 2019-05-15 シナプティ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半導体装置、電子機器及び制御方法
CN104934010B (zh) * 2015-07-13 2018-04-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的驱动方法、栅极驱动电路和显示装置
KR102581490B1 (ko) * 2016-08-30 2023-09-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59957B1 (ko) * 2016-09-12 2023-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645930B1 (ko) 2016-09-29 2024-03-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80050083A (ko) * 2016-11-04 2018-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실시간 외부 보상용 구동회로와 그를 포함한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645899B1 (ko) * 2017-02-15 2024-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631544B (zh) * 2017-03-03 2018-08-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及驅動方法
TWI627616B (zh) * 2017-08-02 2018-06-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影像顯示面板及其閘極驅動電路
TWI660336B (zh) * 2018-07-06 2019-05-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閘極驅動電路
US10964244B2 (en) * 2018-09-04 2021-03-30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KR20200115767A (ko) * 2019-03-25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1158275B2 (en) * 2019-08-27 2021-10-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495164B2 (en) * 2019-12-24 2022-11-08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CN111415623B (zh) * 2020-03-31 2021-05-14 合肥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和显示设备
KR20220008951A (ko) * 2020-07-14 2022-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구동 회로, 스캔 구동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11262A (ko) * 2020-07-20 2022-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4974055A (zh) * 2021-02-24 2022-08-30 福州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显示驱动模组、显示驱动方法和显示装置
KR20230156385A (ko) * 2021-05-11 2023-11-14 구글 엘엘씨 펜타일 배열을 사용하는 아몰레드(amoled)에서의 홀수 및 짝수 행 순차 구동
CN113920945B (zh) * 2021-09-14 2023-01-24 厦门天马显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30083393A (ko) * 2021-12-02 2023-06-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30084400A (ko) 2021-12-03 2023-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4494A (ja) * 2003-10-28 2005-05-26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El表示装置
JP2007322649A (ja) * 2006-05-31 2007-12-13 Hitachi Displays Ltd 画像表示装置
KR20070121318A (ko) * 2006-06-22 2007-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00074759A (ko) * 2008-12-24 2010-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10026794A (ko) * 2009-09-08 2011-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구동부,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20044784A (ko) * 2010-10-28 2012-05-0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주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730B1 (ko) 2005-03-31 2012-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US8174478B2 (en) 2006-06-12 2012-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277152B1 (ko) 2006-08-24 2013-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구동회로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20080211760A1 (en) * 2006-12-11 2008-09-04 Seung-Soo Baek Liquid Crystal Display and Gate Driving Circuit Thereof
KR101329706B1 (ko) * 2007-10-10 2013-1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472513B1 (ko) 2008-07-08 2014-1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547565B1 (ko) * 2008-10-08 2015-09-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00132159A (ko) 2009-06-09 2010-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KR101641312B1 (ko) 2009-12-18 2016-07-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CN102714025B (zh) * 2010-01-20 2016-01-20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液晶显示装置的驱动方法
KR101833082B1 (ko) * 2010-04-23 2018-02-2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823624B2 (en) * 2010-08-13 2014-09-02 Au Optronics Corporation Display device having memory in pixels
KR101768541B1 (ko) 2010-10-26 2017-08-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
KR20120063677A (ko) 2010-12-08 2012-06-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20111396A (ko) 2011-03-31 2012-10-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구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9165518B2 (en) * 2011-08-08 2015-10-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893189B1 (ko) 2011-09-09 2018-08-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2654986A (zh) 2011-11-25 2012-09-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位寄存器的级、栅极驱动器、阵列基板以及显示装置
KR102043165B1 (ko) * 2013-01-30 2019-1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4494A (ja) * 2003-10-28 2005-05-26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El表示装置
JP2007322649A (ja) * 2006-05-31 2007-12-13 Hitachi Displays Ltd 画像表示装置
KR20070121318A (ko) * 2006-06-22 2007-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00074759A (ko) * 2008-12-24 2010-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10026794A (ko) * 2009-09-08 2011-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구동부,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20044784A (ko) * 2010-10-28 2012-05-0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주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827A (ko) * 2015-10-05 2017-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70086761A (ko) * 2016-01-18 2017-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11335267B2 (en) 2016-01-18 2022-05-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related operating method
KR20220149497A (ko) * 2016-01-18 2022-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11605350B2 (en) 2016-01-18 2023-03-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related operating method
KR20200009169A (ko) * 2018-07-17 2020-0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66571A (zh) 2015-07-08
CN104766571B (zh) 2019-03-15
TWI646523B (zh) 2019-01-01
US9542889B2 (en) 2017-01-10
US20150194121A1 (en) 2015-07-09
TW201528244A (zh) 2015-07-16
KR102135432B1 (ko) 202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5432B1 (ko) 표시 장치
US8344991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997112B2 (en) Display device
US7283603B1 (en) Shift register with four phase clocks
US8089446B2 (en)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partial pictur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US9673806B2 (en) Gate dri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4092011A1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20170079997A (ko)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60360A (ko) 표시 장치
US20150287376A1 (en) Gate dri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319322B2 (en) Gate driver, display panel and display use the same
KR20120041453A (ko) 스캔 펄스 스위칭 회로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40057794A (ko) 게이트 구동 회로,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90113079A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
WO2017084108A1 (zh) 栅极驱动器及具有该栅极驱动器的触控面板
KR20160089028A (ko) 게이트 구동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40136254A (ko) 스캔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428239B1 (ko) 게이트구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50086771A (ko) 게이트 드라이버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044173A (ko) 네로우 베젤을 갖는 표시패널과 그를 포함한 표시장치
KR20150066981A (ko) 표시장치
KR20140131448A (ko) 스캔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10304406B2 (en) Display apparatus with reduced flash nois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apparatus
KR101785339B1 (ko) 공통전압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90047178A (ko) 게이트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