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2159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2159A
KR20100132159A KR1020090050829A KR20090050829A KR20100132159A KR 20100132159 A KR20100132159 A KR 20100132159A KR 1020090050829 A KR1020090050829 A KR 1020090050829A KR 20090050829 A KR20090050829 A KR 20090050829A KR 20100132159 A KR20100132159 A KR 20100132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block
display
display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0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2159A/ko
Publication of KR20100132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4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histogram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283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 H04N1/0029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with receiver circuitry
    • H04N1/0029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with receiver circuitry for printing images at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Sharing resources, e.g. processing power or memory, with a connected apparatus or enhancing the capability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제 1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화상 데이터 수신부; 부가정보 제공을 위한 제 2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부;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된 제 1 화상 데이터 및 제 2 화상 데이터를 지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신된 제 1 화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화상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화상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여, 해당 위치에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전자 액자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종래에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화상데이터를 촬영 후 직접 그 카메라에 장착되어 있는 모니터를 통해 보거나 퍼스널 컴퓨터와 연결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을 보게 된다.
즉,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생성된 화상데이터는 그대로 또는 퍼스널 컴퓨터와 특정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상 처리됨으로써 프린터를 통하여 종이에 출력하거나 컴퓨터에 설치된 모니터를 이용해서 감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는 (원하는 화상데이터를 정확하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퍼스널 컴퓨터를 꼭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과 출력을 하기 위해 프린터가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자액자형 디스플레이장치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액자형 디스플레이장치 혹인 디지털 액자형 디스플레이장치는 종래의 사진이나 그림을 넣어 걸어두는 액자를 대신하여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가동된 화상 데이터 또는 퍼스널 컴퓨터 등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읽어들여 디지털화된 영상을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지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한가지 고정된 이미지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영상을 보여줌으로써, 사진 액자 또는 앨범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말한다.
또한, 최근에는 상기 액자형 디스플레이장치의 주 기능인 사진 보기 기능이 동작할 때, OSD(On Screen Display)를 통해 달력, 시계 등의 다양한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액자형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사진이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달력이나 시계를 포함하는 OSD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사진과는 무관하게 항상 고정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상기 사진의 중요한 일부분을 가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액자형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이미지의 상태에 따라 OSD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해주어, 상기 화상 이미지의 중요 부분을 가리지 않고 사용자에게 화상 이미지 및 OSD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해줄 수 있도록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제 1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화상 데이터 수신부; 부가정보 제공을 위한 제 2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부;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된 제 1 화상 데이터 및 제 2 화상 데이터를 지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신된 제 1 화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화상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화상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여, 해당 위치에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제 1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제 1 화상 데이터를 일정 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블록별로 각 휘도 레벨의 빈도 수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구해진 히스토그램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제 2 화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에 의하면, 액자형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이미지의 상태에 따라 부가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OSD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해주어, 상기 화상 이미지의 중요 부분을 가리지 않고 사용자에게 화상 이미지 및 부가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주 기능인 사진 보기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달력이나 사진 제공 등의 부가 기능을 효율적으로 제공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 기술하여 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 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즉,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제 1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화상 데이터 수신부(100)와, 부가정보 제공을 위한 제 2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부(110)와,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120)와, 상기 신호처리된 제 1 화상 데이터 및 제 2 화상 데이터를 지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상기 수신된 제 1 화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화상 데이터 분석부(140)와, 상기 화상 데이터 분석부(140)의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여, 해당 위치에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 데이터 분석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화상 데이터 분석부(140)는 상기 수신된 제 1 화상 데이터를 일정 개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분할부(142)와, 상기 분할부(142)를 통해 분할된 블록에 대하여 휘도 레벨에 따른 빈도 수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을 구하는 연산부(144)와, 상기 연산된 블록별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상기 분할된 블록을 주파 성분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부(1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화상 데이터 수신부(10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제 1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는 사진이나 그림 파일과 같은 JPEG 압축 이미지 데이터를 의미한다.
즉, 상기 화상 데이터 수신부(100)는 퍼스널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캠코더와 같은 외부 영상 기록 매체로부터 메모리 카드(Memory card)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화상 데이터 수신부(100)는 TV, 퍼스널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또는 휴대폰과 같은 외부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소정의 JPEG 압축 모듈을 이용해서 압축된 후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을 통해서 전송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화상 데이터 수신부(100)는 블루투스 수신 모듈 또는 무선 랜 수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 전송방식을 예로 들었으나, 디스플레이 장치와 근거리에 있는 컴퓨터, 이동단말기 또는 가전제품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쌍방향으로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규격이라면 특 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화상 데이터 수신부(100)는 USB 포트 또는 메모리 카드 슬롯을 포함하여,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영상 기록 매체로부터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메모리 카드로는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M 카드(Smart Media Card),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MMC 카드(Multimedia Card), 마이크로 드라이브(Micro Drive), XD 픽쳐 카드, 또는 SD 카드(Secure Digital Card)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 데이터 생성부(110)는 부가 정보 제공을 위한 제 2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 기능인 사진 보기 기능에 대한 디스플레이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부가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달력 화면이나 시계 화면 등이 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20)는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 및 제 2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화상 데이터 수신부(100)로부터 수신된 JPEG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복조하여 아날로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데이터 복조부와, 상기 복조된 아날로그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시청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코더부와,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와, 상기 생성된 제 2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합성부와, 상기 합성된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영상의 화면 배율을 조 정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신호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또는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을 포함한다.
화상 데이터 분석부(140)는 상기 화상 데이터 수신부(100)를 통해 수신된 제 1 화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 중 가장 여백이 많은 영역 다시 말해서,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를 저주파 성분 영역과 고주파 성분 영역으로 분류한다.
이하, 상기 화상 데이터 분석부(140)의 상세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화상 데이터 분석부(140)는 분할부(142)와, 연산부(142)와, 분류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분할부(142)는 상기 수신된 제 1 화상 데이터를 일정 개수의 셀로 분할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할부(142)는 상기 수신된 제 1 화상 데이터(300)를 일정 개수의 셀(310)로 분할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를 36개의 셀로 분할하였으나, 상기 분할된 셀의 개수는 상기 개수에서 더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상기 연산부(142)는 상기 분할부(144)를 통해 분할된 셀을 기준으로, 일정 개수의 셀을 하나의 블록으로 지정하고, 그에 따라 한 셀씩 이동시키면서, 상기 지정된 블록에 대해 휘도 레벨에 따른 빈도 수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을 연산한다.
즉, 상기 연산부(142)는 상기 분할부를 통해 분할된 4개의 셀을 하나의 블록으로 지정하고, 그에 따라 제 1 블록(320)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연산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142)는 상기 제 1 블록(320)에 대해 히스토그램을 연산하였으면, 한 셀을 이동시켜 다음 블록(400)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연산한다. 여기에서, 상기 4개의 셀을 하나의 블록으로 지정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해당할 뿐이며, 6개의 셀을 하나의 블록으로 지정하거나, 2개의 셀을 하나의 블록으로 지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연산부(142)는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각 블록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연산하며, 이에 따라 상기 연산부(142)는 총 25개의 블록에 대한 각각의 히스토그램을 연산한다.
도 5는 상기 연산부(142)를 통해 연산된 히스토그램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산부(142)를 통해 연산된 히스토그램만을 가지고도, 각 블록에 대한 주파 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즉, 화상 데이터에서의 여백은 밝기 계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그래프의 분포가 우측으로 치우쳐진 히스토그램을 갖는 블록을 저주파 성분의 블록으로 판단할 수 있고, 좌측으로 치우쳐진 히스토그램을 갖는 블록을 고주파 성분의 블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번 히스토그램, 4번 히스토그램, 5번 히스토그램, 6번 히스토그램은 고주파 성분의 히스토그램으로 판단할 수 있고, 1번 히스토그램 및 3번 히 스토그램은 저주파 성분의 히스토그램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색으로 이루어진 여백일 경우에는 상기 히스토그램의 그래프가 좌측으로 치우쳐져 있으며, 그에 따라 각 구간에 대한 산포가 매우 좁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하여 상기와 같이 단순히 그래프가 우측으로 치우쳐진 히스토그램을 갖는 블록을 저주파 성분으로 확정하지 않고, 별도의 가중치 적용 과정을 통해 상기 구분된 각 블록을 주파 성분에 따라 분류한다.
즉, 분류부(146)는 상기 연산된 히스토그램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구간을 기준점으로 하여, 상기 기준점에서 멀어질수록 높은 가중치를 적용하여, 각 블록의 히스토그램에 대한 분포 값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분포 값을 토대로 상기 각 블록을 주파 성분에 따라 분류한다.
다시 말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류부(146)는 상기 연산된 히스토그램에서 가장 높은 빈도 수를 갖는 구간을 기준점으로 정하고, 상기 기준점에서 가까운 구간에 대해서는 낮은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기준점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적용된 가중치를 증가시킨다.
그리고, 상기 분류부(146)는 상기 히스토그램의 각 구간에 대해 해당 구간의 빈도수와, 해당 구간에 적용된 가중치의 곱 값을 연산하고, 상기와 같이 각 구간에 대해 연산된 곱 값의 합 값을 토대로 해당 블록에 대한 분포 값을 연산한다.
또한, 상기 분류부(146)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모든 블록에 대한 각각의 분포 값을 연산하며, 상기 연산된 분포 값에 의거하여 상기 블록을 주파 성분에 따라 분류한다.
즉, 상기 분류부(146)는 기준 값을 정하고, 상기 정한 기준 값보다 높은 분포 값을 갖는 블록은 고주파 성분의 블록으로 분류하고, 상기 정한 기준 값보다 낮은 분포 값을 갖는 블록은 저주파 성분의 블록으로 분류한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히스토그램은 기준점을 정해진 구간에 모든 분포가 몰려있기 때문에, 상기 연산되는 분포 값은 상기 기준 값보다 낮은 값이 될 것이며, 이에 따라 해당 블록은 저주파 성분으로 블록으로 분류될 것이다.
제어부(150)는 상기 분류부(146)를 통해 주파성분에 의거하여 분류된 블록 중 가장 낮은 분포 값을 갖는 저주파 성분의 블록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블록을 상기 생성된 제 2 화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로 결정한다.
이때, 상기에서 비슷한 분포 값을 갖는 블록들이 복수 개 존재할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에서 가장 낮은 분포 값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의 분포 값을 갖는 블록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일정 범위 내의 분포 값을 갖는 블록이 존재할 경우, 상기 블록들과 인접한 인접 블록들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최종 결정한다.
이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유사한 분포 값을 갖는 블록으로 도 8의 제 1 블록(800)과, 도 9의 제 2 블록(900)이 확인된 경우, 상기 제 1 블록(800)과 인접 블록과의 관계 및 제 2 블록과 인접 블록과의 관계를 확인하여, 상기 제 1 블록 및 제 2 블록 중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최종 블록을 결정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블록(800)과 인접해 있는 인접 블록은 제 1 인접 블록(810), 제 2 인접 블록(820) 및 제 3 인접 블록(830)이 존재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블록(900)과 인접해 있는 인접 블록은 제 1 인접 블록(910)과, 제 2 인접 블록(920)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1 블록(800)의 분포 값, 제 1 인접 블록(810)의 분포 값, 제 2 인접 블록(820)의 분포 값 및 제 3 인접 블록(830)의 분포 값을 합산하여 평균값을 연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2 블록(900)의 분포 값, 제 1 인접 블록(910)의 분포 값 및 제 2 인접 블록(920)의 분포 값을 합산하여 평균값을 연산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1 블록(800)에 대한 평균값과, 제 2 블록(900)에 대한 평균값 중 낮은 값을 가지는 블록을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블록으로 최종 결정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블록이 최종 결정되면, 상기 결정된 블록의 좌상측 지점을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시작 지점으로 지정한다.
즉, 상기 결정된 블록의 크기와,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의 크기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50)를 통해 특정 블록(1000)이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블록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블록(1000)의 좌상측 지점(1010)의 좌표 값을 기준으로, 상기 좌상측 지점(1010)부터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면, 액자형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이미지의 상태에 따라 부가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OSD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해주어, 상기 화상 이미지의 중요 부분을 가리지 않고 사용자에게 화상 이미지 및 부가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해줄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주 기능인 사진 보기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달력이나 사진 제공 등의 부가 기능을 효율적으로 제공해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은 먼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제 1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100단계). 즉, 화상 데이터 수신부(100)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제공되는 사진이나 그림 파일과 같은 JPEG 이미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상기 화상 데이터 수신부(100)를 통해 수신된 제 1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고, 상기 신호처리된 제 1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30)의 전체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된다(110단 계).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부가 정보 표시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20단계). 즉, 제어부(150)는 별도의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어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해야할 상황이거나, 아니면 달력 디스플레이 명령 또는 시계 디스플레이 명령 등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부가정보 표시 명령이 입력되었으면, 상기 수신된 제 1 화상 데이터의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 분석부(14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된 제 1 화상 데이터의 분석을 수행한다(130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화상 데이터 분석부(140)를 통해 수행된 제 1 화상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된 부가 정보 표시 명령에 따라 제 2 화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한다(140단계).
화상 데이터 생성부(11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된 부가 정보 표시 명령에 대응되는 제 2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150단계).
그리고, 상기 화상 데이터 생성부(110)를 통해 생성된 제 2 화상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150)를 통해 결정된 디스플레이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160단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데이터 분석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상 데이터 분석 방법은 먼저, 분할부(142)는 상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일정 개수의 셀로 분할한다(200단계).
그리고, 연산부(144)는 상기 분할부(142)를 통해 분할된 셀을 기준으로 일정 개수의 셀을 하나의 블록으로 지정한다(210단계). 즉, 상기 연산부(144)는 상기 분할된 4개의 셀을 하나의 블록으로 지정한다.
또한, 연산부(144)는 상기 지정된 블록에 대해 휘도 레벨에 따른 빈도 수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을 연산한다(220단계). 또한, 상기 연산부(144)는 한 셀씩 이동해가면서, 그 다음 블록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연산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연산부(144)는 총 25개의 블록에 대한 각각의 히스토그램을 연산한다.
분류부(146)는 상기와 같이 연산된 히스토그램을 토대로, 가장 첫 번째 블록에 대한 히스토그램에서 가장 높은 빈도 수를 가진 구간(휘도 레벨)을 기준 지점으로 결정한다(230단계).
그리고, 상기 분류부(146)는 상기 결정한 기준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 지점에서 먼 구간일수록 높은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기준지점에서 가까운 구간일수록 낮은 가중치를 적용한다(240단계).
그리고, 상기 분류부(146)는 상기 적용된 가중치를 기준으로, 해당 구간의 빈도 수와 해당 구간에 적용된 가중치를 곱한다(250단계).
또한, 상기 분류부(146)는 상기 첫 번째 블록에 대한 히스토그램에 대해서, 상기와 같은 곱 값을 모든 구간에 대해 구한다(260단계).
그리고, 상기 분류부(146)는 상기 구해진 각 구간에 대한 곱 값을 합산하여, 해당 블록에 대한 분포 값을 구한다(260단계).
그리고, 상기 분류부(146)는 상기 분할된 각 블록에 대해 상기 단계(230 단계~260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분할된 각 블록에 대한 분포 값을 연산한다(270단계).
이어서, 상기 분류부(146)는 상기 연산된 분포 값을 기준으로 상기 분할된 각 블록을 주파 성분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분류부(146)를 통해 분류된 블록 중 가장 낮은 분포 값을 가짐으로써, 저주파 성분의 블록으로 분류된 특정 블록을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블록으로 결정한다(280단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최종 디스플레이 위치 결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150)는 상기 연산된 각 블록에 대한 분포 값 중 가장 낮은 분포 값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이내에 속하는 분포 값을 갖는 블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300단계).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가장 낮은 분포 값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이내에 속한 분포 값을 갖는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각 블록에 대해 인접 블록과의 관계를 확인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확인된 첫 번째 블록에 대해, 상기 첫 번째 블록과, 인접해 있는 인접 블록들을 확인한다(310단계).
이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확인된 인접 블록들에 대한 분포 값을 확인한다(320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확인된 인접 블록들의 분포 값과 상기 첫 번째 블록에 대한 분포 값을 합산하여 평균값을 연산한다(330단계).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단계(310단계~330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첫 번째 블록과 유사 분포 값을 갖는 나머지 블록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은 평균값을 연산한다(340단계).
이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연산된 평균값을 기준으로, 가장 낮은 평균값이 연산된 블록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블록을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블록으로 최종 결정한다(350단계~360단계).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에 의하면, 액자형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이미지의 상태에 따라 부가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OSD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해주어, 상기 화상 이미지의 중요 부분을 가리지 않고 사용자에게 화상 이미지 및 부가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해줄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주 기능인 사진 보기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달력이나 사진 제공 등의 부가 기능을 효율적으로 제공해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 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데이터 분석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7은 상기 화상데이터 분석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최종 결정되는 제 2 화상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데이터 분석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최종 디스플레이 위치 결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Claims (12)

  1.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제 1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화상 데이터 수신부;
    부가정보 제공을 위한 제 2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부;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된 제 1 화상 데이터 및 제 2 화상 데이터를 지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신된 제 1 화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화상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화상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여, 해당 위치에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지 영상 데이터이며,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부가정보 데이터인 디스플레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수신된 제 1 화상 데이터를 일정 개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분할부와,
    상기 분할부를 통해 분할된 블록에 대하여 휘도 레벨에 따른 빈도 수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을 구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된 블록별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상기 분할된 블록을 주파성분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류부를 통해 분류된 블록 중 최저주파 성분으로 분류된 블록을 상기 제 2 화상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사한 레벨로 분류된 저주파 성분의 블록이 존재하면, 인접 블록의 주파 성분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화상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블록을 최종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제 1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제 1 화상 데이터를 일정 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블록별로 각 휘도 레벨의 빈도 수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구해진 히스토그램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제 2 화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정지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체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한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휘도 레벨의 분포도가 가장 낮은 블록을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한 분포도를 갖는 블록이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블록과 인접한 인접 블록의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재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디스플레이 위치에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시작 지점은 상기 결정된 블록의 좌상측 지점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블록에 대한 휘도 레벨의 분포도는
    상기 구해진 히스토그램에 의거하여 가장 빈도가 높은 휘도 레벨을 기준점을 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점으로 정해진 휘도 레벨과의 차이에 비례하여 높은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와,
    각 휘도 레벨에 대해 해당 휘도 레벨의 빈도 수와 해당 휘도 레벨에 적용된 가중치의 곱으로 계산되는 제 1 값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각 휘도 레벨별로 구해진 제 1 값의 합으로 계산되는 제 2 값을 구하는 단계를 토대로 구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블록별로 구해진 제 2 값 중 가장 작은 값이 구해진 블록을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
KR1020090050829A 2009-06-09 2009-06-0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KR20100132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829A KR20100132159A (ko) 2009-06-09 2009-06-0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829A KR20100132159A (ko) 2009-06-09 2009-06-0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159A true KR20100132159A (ko) 2010-12-17

Family

ID=43507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829A KR20100132159A (ko) 2009-06-09 2009-06-0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21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2889B2 (en) 2014-01-08 2017-01-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nfigured to be driven in one of a plurality of mod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2889B2 (en) 2014-01-08 2017-01-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nfigured to be driven in one of a plurality of mod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01439B (zh) 一种图像显示优化方法及装置
JP4895878B2 (ja) 代表色抽出方法、および代表色抽出装置
US9117410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JP4718950B2 (ja) 画像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5828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user with suitable composi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20100060665A1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image adjust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US202001935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image sharpness
US201302798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selecting representative thumbnail of photo folder
KR102423295B1 (ko) 심도 맵을 이용하여 객체를 합성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CN103765473B (zh) 提供视图的调整的数字图像表示的方法以及装置
US20140126819A1 (en) Region of Interest Based Image Registration
KR20140125984A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와 시스템
US11330120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EP3664445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US20070013957A1 (en) Photographing device and method using status indicator
US983239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pplied to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at least two image capturing units that have the same image capturing direction
KR20210077579A (ko) Hdr 영상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30069977A1 (en) Image display method, server and image display system
KR2010013215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KR100636196B1 (ko)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미지 인쇄 장치에서 배경화면을설정하는 방법
JP2006246127A (ja) 画像再生方法、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再生プログラム
JP2013250314A (ja) 画像処理装置、表示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2011006431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search method
US20190028613A1 (en) Applying a perceptually uniform color space for image processing
US11706522B2 (en) Imaging system, server,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having a function of assisting capturing of an image coincident with preference of a u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