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537A - 공중합체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중합체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537A
KR20150082537A KR1020157014989A KR20157014989A KR20150082537A KR 20150082537 A KR20150082537 A KR 20150082537A KR 1020157014989 A KR1020157014989 A KR 1020157014989A KR 20157014989 A KR20157014989 A KR 20157014989A KR 20150082537 A KR20150082537 A KR 20150082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orous
fibers
fiber
porous
microporous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4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퍼 케이. 스톡스
샤오민 장
칼. 에프. 허미스톤
Original Assignee
셀가드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셀가드 엘엘씨 filed Critical 셀가드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082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4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4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7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2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3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rising olefins as the major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A41D2400/22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73Particular cross section
    • Y10T428/2975Tubular or cell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74Nonwoven fabric with a preformed polymeric film or shee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적어도 선택된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그러한 멤브레인,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로부터 제조된 제품, 및/또는 관련된 생산, 이용, 및/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직물 재료, 의복, 제품, 및/또는 직물 관련 제품에 이용하기 위한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필름, 섬유, 미세다공성 섬유, 그러한 멤브레인,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로부터 제조된 재료 또는 레이어, 및 이와 같은 종류의 것들에 관한 것이다.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및/또는 미세다공성 섬유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들로 제조되거나, 또는 최소 하나의 공중합체와 결합된 최소 하나의 폴리올레핀으로 제조되는데, 상기 공중합체는 직물 의복, 직물 재료 또는 직물 관련 제품에 이용하기 위하여 핸드, 드레이프, 및/또는 표면 마찰계수 성능 특성들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이다.

Description

공중합체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 방법{COPOLYMER MEMBRANES, FIBERS, PRODUCTS AND METHODS}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2년 11월 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61/723,058호 및 2013년 10월 1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61/892,730호에 대한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하며, 이들 가출원 각각은 본 출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발명의 분야
적어도 선택된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그러한 멤브레인,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로부터 제조된 제품, 및/또는 관련된 생산, 이용 및/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직물 재료, 의복, 제품, 및/또는 직물 관련 제품에 이용하기 위한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필름, 섬유, 미세다공성 섬유, 그러한 멤브레인,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로부터 제조된 재료 또는 레이어, 및 이와 같은 종류의 것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선택된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필름, 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 예를 들어 솔리드 또는 중공 섬유, 미세다공성 중공섬유, 이형단면 섬유(shaped fibers), 그러한 섬유 또는 멤브레인으로부터 제조된 재료, 레이어, 또는 직물로서, 이는 직포(wovens), 부직포(nonwovens), 니트(knits), 본디드(bonded), 플록(flocked), 및/또는 다른 직물, 라미네이트, 복합재, 의복, 및/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멤브레인,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 모노머 타입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중합체로 제조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멤브레인,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중합체와 함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과 같은 중합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의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필름, 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로서, 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결합되거나 또는 블렌드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이는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그러한 멤브레인,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로 제조된 재료, 레이어 또는 직물의 조성, 특징, 성능, 및/또는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인 것이고, 예를 들어, 직물 또는 직물 최종 용도 제품에서 또는 이를 위하여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멤브레인 및/또는 폴리올레핀 섬유와 같은 멤브레인, 섬유, 재료, 레이어 또는 직물의 핸드, 드레이프, 조용함(quietness), 및/또는 표면 마찰계수와 같은 특징, 성능, 및/또는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의 선택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폴리올레핀 재료 또는 조성물로서, 그 안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결합되거나 또는 블렌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게다가, 적어도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폴리올레핀 재료 또는 조성물로서, 그 안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은 하나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결합되거나 또는 블렌드되어 있고, 그리고 여기에서 블렌드 또는 조합은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멤브레인, 그러한 폴리올레핀 재료 또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재료, 레이어, 및/또는 섬유의 핸드, 드레이프, 움직일 때의 '조용함(quietness)', 및/또는 표면 마찰계수의 성능 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그리고 직물 제품 및/또는 직물 관련 최종 용도 제품에서 또는 이를 위하여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폴리올레핀 (PO)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및 미세다공성 섬유 (또는 이로부터 제조된 재료)가 그들의 화학적 조성 및 구조 때문에 방수성 (또는 적어도 물 저항성) 및 통기성으로 알려져 있다. 방수성 (또는 물 저항성) 및 통기성으로 알려진 이러한 폴리올레핀 (PO)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및 중공섬유의 예들은 샬럿(Charlotte), NC의 셀가드(Celgard, LLC)에 의해 생산된 셀가드® Z-시리즈 멤브레인들 또는 셀가드® 중공섬유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및 섬유들은 바람직하지 않게 딱딱하고 플라스틱 같은 것으로 생각되고, 이를테면 직물 의복 및/또는 관련 직물 재료, 라미네이트, 또는 제품에서 또는 다른 직물 최종 용도 또는 제품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특정 직물 재료 또는 용도와 같은 적어도 특정 조건 또는 적용을 위해,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조성, 특징, 성능, 및/또는 특성, 예를 들어 적어도 특정 직물, 의복 및/또는 관련 최종 용도 제품에서 바람직할 수 있는, 개선된, 변형된, 더 좋은, 또는 좋은 핸드, 부드러운 드레이프, 움직일 때의 '조용함(quietness)', 및/또는 낮은 표면 마찰계수를 가지는,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폴리올레핀 섬유, 및/또는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 섬유, 및/또는 이로부터 제조된 재료, 레이어, 및/또는 직물에 대한 필요가 존재한다.
적어도 선택된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필요 또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직물, 의복, 직물 의복, 직물 재료, 또는 직물 관련 제품에 이용하기 위한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및/또는 미세다공성 섬유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필름, 섬유 및/또는 미세다공성 섬유로서, 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 (Polyolefins; POs)을 포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P) 및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PE)의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중합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PP) 및 폴리에틸렌 (PE)의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중합체와 혼합되거나 또는 블렌드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 (PO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및/또는 변형된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필름, 섬유, 및/또는 다공성 섬유로서, 이는 폴리올레핀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로 제조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고, 상기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거나, 또는 재료, 레이어 또는 직물, 그러한 멤브레인, 필름, 섬유, 또는 중공 섬유로 제조된 라미네이트, 복합재, 및/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으로서, 이는 그 자신이 폴리올레핀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로 제조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고, 상기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및/또는 변형된 멤브레인, 필름 및/또는 섬유, 예를 들어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및/또는 미세다공성 섬유로서, 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 예를 들어 임팩트 공중합체와 결합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공중합체 내의 폴리올레핀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 1-부텐, 폴리-4-메틸-1 펜텐, 폴리헥센, 폴리옥텐 및/또는 이의 블렌드, 이의 혼합물,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폴리올레핀 멤브레인 또는 섬유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결합된 폴리올레핀으로 제조되었을 때, 변형된 멤브레인 또는 섬유는 직물 관련 최종 용도 제품에서 또는 이를 위하여 표적화된, 강화된 성능 특성을 가지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 또는 재료, 레이어, 복합재, 라미네이트, 또는 직물의 설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변형된 조성물, 멤브레인 또는 섬유, 또는 이와 함께 또는 이로부터 제조된 재료, 레이어, 복합재, 라미네이트, 또는 직물의 폴리머릭 블렌드 또는 조성물의 화학 구조에서, 조성의 선택을 조정하는 것은 성능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상기 성능 특성은 예를 들어 그것에 의한 핸드, 드레이프, 움직일 때의 '조용함(quietness)', 및 표면 마찰계수이고, 더 좋은 핸드, 더 부드러운 드레이프, 더 조용한 움직임, 및/또는 더 낮은 마찰계수, 예를 들어, 그 결과 부드러운 터치(silkier touch)를 가지는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멤브레인, 섬유, 미세다공성 섬유, 또는 재료, 레이어, 복합재, 라미네이트, 또는 직물을 생산하는 것이다.
적어도 선택된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그러한 멤브레인,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로부터 제조된 제품, 및/또는 관련된 생산, 이용 및/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직물 재료, 의복, 제품, 및/또는 직물 관련 제품에 이용하기 위한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필름, 섬유, 미세다공성 섬유, 그러한 멤브레인,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로부터 제조된 재료 또는 레이어, 및 이와 같은 종류의 것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선택된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필름, 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 예를 들어 솔리드 또는 중공 섬유, 미세다공성 중공 섬유, 이형단면 섬유(shaped fibers), 그러한 섬유 또는 멤브레인으로부터 제조된 재료, 레이어, 또는 직물로서, 이는 직포(wovens), 부직포(nonwovens), 니트(knits), 본디드(bonded), 플록(flocked), 및/또는 다른 직물, 라미네이트, 복합재, 의복, 및/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멤브레인,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 모노머 타입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중합체로 제조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멤브레인,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중합체와 함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과 같은 중합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의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필름, 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로서, 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결합되거나 또는 블렌드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이는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그러한 멤브레인,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로부터 제조된 재료, 레이어 또는 직물의 조성, 특징, 성능, 및/또는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인 것이고, 예를 들어, 직물 또는 직물 최종 용도 제품에서 또는 이를 위하여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멤브레인 및/또는 폴리올레핀 섬유와 같은 멤브레인, 섬유, 재료, 레이어 또는 직물의 핸드, 드레이프, 조용함(quietness), 및/또는 표면 마찰계수와 같은 특징, 성능, 및/또는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멤브레인의 핸드, 드레이프 및 표면 마찰계수를 바꾸는 종래 방법들은 일반적으로 코팅 어플리케이션(coating applications)을 수반하며, 이는 접착이 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게다가 코팅이 벗겨질 수 있다는 위험을 가져올 수 있다. 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의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거나 또는 폴리올레핀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의 조합 또는 블렌드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접근은 영구적인 방법을 제공하고, 다양한 직물 최종 용도 제품에 이용하기 위한 더 바람직한 핸드, 드레이프 및 표면 마찰계수와 같은 개선된 성능 특성을 가지는 다양한 차별화된 직물 재료를 생산하며, 상기 직물 최종 용도 제품은 방수(waterproof) 및 통기성(breathability) 성능을 또한 요구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겉옷(outerwear), 일회용 의복(disposable garments), 내구성 의복(durable garments), 상대 습도 평형을 요구하는 직물 재료 및/또는 의료 관련 제품에서의 의복 또는 아이템이다.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멤브레인 또는 필름은 샬럿, 노스캐롤라이나(Charlotte, North Carolina)의 셀가드(Celgard, LLC)에 의해 사용된 건식(dry) 연신 공정 (셀가드(Celgard) 건식 연신 공정으로도 알려짐)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에 의해, 그리고 대한민국의 셀가드 코리아(Celgard Korea Inc.), 일본의 아사히(Asahi) 및 일본의 토넨(Tonen)에 의해 사용된 상 분리 또는 추출 공정으로 알려진 습식(wet) 공정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들에 의해 제조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은 자주 열가소성 중합체로 제조되며, 열가소성 중합체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 1-부텐, 폴리-4-메틸-1 펜텐 및/또는 이의 블렌드, 이의 혼합물, 또는 이의 조합과 같은 폴리올레핀이 포함된다.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올레핀들의 선택은 특정 최종 용도 제품을 위한 멤브레인의 성능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폴리올레핀 (PO)은 조성물 내에 단독중합체(homopolymer) 또는 공중합체(copolymer)가 될 수 있다. 단독중합체(homopolymer)는 하나의 중합체로 구성되고, 반면 공중합체(copolymer)는 다양한 시퀀스 길이 분포로 배열된 둘 또는 그 이상의 중합체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공중합체의 경우에, 모노머 A는 모노머 B와 공중합되어 반복 폴리머릭 단위 AA 및 BB의 블록을 가지는 블록 공중합체 AA/BB/AA/BB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블록 공중합체 (BCP)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 (ICP)를 만들 수 있는 A 및 B 폴리머릭 단위의 다양한 가능한 배열 중 단지 하나의 예시이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 공중합체 세그먼트 AA/BB 또는 AAAA/BBBB의 조성, 길이, 양, 순서, 및 배열은, 예를 들어, 직물 최종 용도 제품에서 미세다공성 PO/ICP, PO/BCP, ICP 또는 BCP 멤브레인 및 섬유 내의 핸드, 드레이프, 움직일 때의 '조용함(quietness)', 및 표면 마찰계수의 성능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용어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는, 임의(random) 및 그래프트(grafted) 공중합체가 되는 다른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중합체와 함께, 공중합체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의 하나의 타입이다.
본 변형 방법은 적어도 특정 직물 의복 및 직물 관련 최종 용도 제품에서 이용하기 위한 핸드, 부드러운 드레이프, 움직일 때의 '조용함(quietness)', 및 낮은 표면 마찰계수와 같은 성능 특성의 커스텀 테일러링(custom tailoring)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비용 경제적이고 제어가 쉽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적어도 선택된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은 건식(dry) 연신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공정에서 폴리올레핀 수지는 블로운 필름 기술(blown film technique) 또는 캐스트 필름 방법(casted film method)에 의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을 형성하고, 그 다음 상기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은 기계 방향 (1축)으로 냉간(cold) 및 열간(hot) 연신되어 최종 두께로 보통 75 ㎛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2-25 ㎛ (그러나 최종 용도에 따라 더 얇거나 더 두꺼울 수 있음)를 가지는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멤브레인의 적어도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각각 제조된 것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 (BCPs)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 (ICPs)가 될 수 있다. 그 대신에, 폴리올레핀 수지는 블로운 필름 기술(blown film technique) 또는 캐스트 필름 방법(casted film method)에 의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을 형성할 수 있고, 그 다음 상기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은 기계 및 횡 방향 (2축)으로 냉간(cold) 및/또는 열간(hot) 연신되어 최종 두께로 보통 75 ㎛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2-25 ㎛를 가지는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공중합체는 블로운 필름 기술(blown film technique) 또는 캐스트 필름 방법(casted film method)에 의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을 형성할 수 있고, 그 다음 상기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은 먼저 기계 방향 (Machine Direction; MD)으로 냉간(cold) 및 열간(hot) 연신되고 그 다음으로 횡방향 (Transverse Direction; TD)으로 연신되어 2축 연신된(biaxially stretched) 또는 2축 배향(biaxially oriented; BO)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2축 연신 단계가 동시 기계 방향 이완(simultaneous machine direction relax)을 포함하는 공지된 US 2011/0223486 (본원에 참고로 인용)에 설명된 방법을 따른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공중합체는, 블로운 필름 기술(blown film technique) 또는 캐스트 필름 방법(cast film method 또는 casted film method)에 의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을 형성할 수 있고, 그 다음 상기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은 먼저 기계 방향으로 냉간(cold) 및 열간(hot) 연신되고 그 다음으로 횡방향으로 연신되어 2축 연신된 또는 2축 배향(BO)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2축 연신 단계가 동시 기계 방향 이완을 포함하지 않는 US2011/0223486에 설명된 방법을 따른다.
또 다른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90-97% 폴리프로필렌 함량을 가지는 주로 폴리프로필렌(PP)계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 BCP)는 베타-조핵제(beta-nucleating agent)와 혼합될 수 있고, 캐스트 방법을 이용하여 압출되어 비다공성 베타-조핵된(beta-nucleated) 폴리프로필렌계 BCP 전구체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베타 조핵된 폴리프로필렌 전구체 캐스트 필름의 2축 연신은, 베타 조핵된 PP의 지역 및 알파 조핵된 PP의 지역 사이에 존재하는 경계면(interfaces)을 균열시킨다. 균열 과정은 75 ㎛ 이하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약 12-25 ㎛ 두께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생산하는 베타-조핵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BN-BOPP) 멤브레인 내에 구멍(pores)을 형성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 (BCPs 또는 ICPs)와 결합된 폴리올레핀 (PO)을 포함하는 본 발명 멤브레인의 또 다른 일 구체예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또는 블록 공중합체와 결합된 폴리올레핀은 블로운 필름 기술(blown film technique) 또는 캐스트 필름 방법(cated film method)에 의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을 형성하고, 그 다음 상기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은 기계 방향 (1축)으로 냉간(cold) 및 열간(hot) 연신되어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필름을 형성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공중합체 (ICP)와 결합된 폴리올레핀 (PO)는 블로운 필름 기술(blown film technique) 또는 캐스트 필름 방법(casted film method)에 의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을 형성할 수 있고, 그 다음 상기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은 기계 방향 (MD)으로 냉간(cold) 및 열간(hot) 연신되고 그 다음으로 횡방향 (TD)으로 연신되어 2축 연신된 또는 2축 배향 (BO)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US 2011/0223486에 설명된 연신 방법을 따른다. 횡(transverse) 연신 단계는 2축 배향 (BO)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생산하기 위하여 동시 기계 방향 이완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공중합체 (ICP)와 결합된 폴리올레핀 (PO)은 블로운 필름 기술(blown film technique) 또는 캐스트 필름 방법(casted film method)에 의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을 형성할 수 있고, 그 다음 상기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은 기계 방향으로 냉간(cold) 및 열간(hot) 연신되고 그 다음으로 횡방향으로 연신되어 2축 연신된 또는 2축 배향 (BO)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US 2011/0223486에 설명된 방법을 따른다. 횡 연신 단계는 2축 배향 (BO)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생산하기 위하여 동시 기계 방향 이완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 다른 특정 구체예들에 따르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공중합체 (ICP)와 결합된 폴리올레핀 (PO)은, 상기 ICP는 90-97% PP 함량을 가지는 주로 폴리프로필렌 (PP)계 ICP 공중합체인데, 베타-조핵제(beta-nucleating agent)와 혼합될 수 있고, 캐스트 방법(cast method)을 이용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베타 조핵된 PO/ICP 전구체를 형성할 수 있다. 베타 조핵된 폴리프로필렌 전구체 캐스트 필름의 2축 연신은 베타 조핵된 PP의 지역 및 알파 조핵된 PP의 지역 사이에 존재하는 경계면을 균열시킨다. 균열 과정은 75 ㎛ 이하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약 12-25 ㎛ 두께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생산하는 베타-조핵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BN-BOPP) 멤브레인 내에 구멍을 형성한다.
선택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필름, 섬유, 또는 중공섬유 (또는 이로부터 제조된 재료, 레이어, 직물, 복합재 또는 라미네이트)로서, 이는 1)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 (BCPs 또는 ICPs)를 포함하거나 또는 2) 하나 또는 그 이상의 BCPs 또는 ICPs와 결합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를 사용하거나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결합된 폴리올레핀을 사용하는 옵션은 개선된 성능 특성을 가지는 다양한 차별화된 직물 재료들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개선된 성능 특성은 예를 들어 다양한 직물 최종 용도 제품에 이용하기 위한 더욱 바람직한 핸드, 드레이프 및 표면 마찰계수이고, 상기 직물 최종 용도 제품은 방수(waterproof) 및 통기성(breathability) 성능을 또한 요구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겉옷(outerwear), 일회용 의복(disposable garments), 내구성 의복(durable garments), 상대 습도 평형을 요구하는 직물 재료 및 의료 관련 제품에서의 의복 또는 아이템이다.
도 1은 서로 다른 중합된 모노머들의 블록들로 구성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들의 예시의 개략도이다. 바람직하게는,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 (BCPs 또는 ICPs)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모노머 타입, 예를 들어, 프로필렌 및 에틸렌 모노머로 제조된다.
도 2는 다른 배율을 갖는 실시예 5의 생성물의 각각의 표면 SEM 이미지이다.
도 3은 다른 배율을 갖는 실시예 5의 생성물의 각각의 표면 SEM 이미지이다.
도 4는 다른 배율을 갖는 실시예 5의 생성물의 각각의 표면 SEM 이미지이다.
도 5는 다른 배율을 갖는 실시예 5의 생성물의 각각의 표면 SEM 이미지이다.
적어도 선택된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그러한 멤브레인 또는 섬유로부터 제조된 제품, 및/또는 관련된 생산, 이용 및/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직물 재료, 의복, 제품 및/또는 직물 관련 제품에 이용하기 위한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필름, 섬유, 미세다공성 섬유, 중공섬유, 그러한 멤브레인 또는 섬유로부터 제조된 재료 또는 레이어, 및 이와 같은 종류의 것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선택된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 예를 들어 솔리드 또는 중공 섬유, 미세다공성 중공 섬유, 이형단면 섬유(shaped fibers), 그러한 섬유 또는 멤브레인으로부터 제조된 재료, 레이어, 또는 직물, 및/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으로서, 상기 멤브레인, 섬유, 필름, 또는 중공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중합체로 제조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멤브레인, 섬유, 필름, 또는 중공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중합체와 함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과 같은 중합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의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로서, 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결합되거나 또는 블렌드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이는 멤브레인, 섬유, 그러한 멤브레인 또는 섬유로부터 제조된 재료, 레이어 또는 직물의 조성, 특징, 성능, 및/또는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인 것이고, 예를 들어, 직물 또는 직물 최종 용도 제품에서 또는 이를 위하여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멤브레인 및/또는 폴리올레핀 섬유와 같은 멤브레인, 섬유, 재료, 레이어 또는 직물의 핸드, 드레이프, 조용함(quietness), 및/또는 표면 마찰계수와 같은 특징, 성능, 및/또는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의 선택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폴리올레핀 재료 또는 조성물로서, 그 안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결합되거나 또는 블렌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게다가, 적어도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폴리올레핀 재료 또는 조성물로서, 그 안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결합되거나 또는 블렌드되어 있고, 그리고 여기에서 블렌드 또는 조합은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멤브레인, 그러한 폴리올레핀 재료 또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재료, 레이어, 및/또는 섬유의 핸드, 드레이프, 움직일 때의 '조용함(quietness)', 및/또는 표면 마찰계수의 성능 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직물 제품 및/또는 직물 관련 최종 용도 제품에서 또는 이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선택된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직물 의복, 직물 재료 또는 직물 관련 제품에 이용하기 위한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 (또는 이로부터 제조된 레이어, 재료, 복합재, 라미네이트, 또는 직물)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또는 중공섬유로서, 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또는 블록 공중합체 (BCPs 또는 ICPs로 약기됨), 바람직하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구성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또는 블록 공중합체와 블렌드되거나 또는 혼합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모노머 A (도 1에서 "A"로 표시됨) 및 모노머 B (도 1에서 "B"로 표시됨),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및 에틸렌 모노머로 구성된, 가능한 공중합체 블록 반복 단위(units)의 개략도이다.
적어도 특정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또는 중공섬유로서, 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 (BCPs)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몰분율 1% 내지 50%로 존재하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더욱 바람직하게는 몰분율 3% 내지 10%로 존재하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필름, 섬유, 다공성 섬유, 또는 중공섬유로서, 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공중합체 (ICPs)와 결합된 폴리올레핀 (PO)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폴리올레핀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 1-부텐, 폴리-4-메틸-1 펜텐, 폴리헥센, 폴리옥텐 및/또는 이의 블렌드, 이의 혼합물,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폴리올레핀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공중합체와 결합되었을 때, 본 발명의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내의 PO/ICP 중합체 또는 세그먼트(segments)의 길이, 양, 배열 및 순서는, 직물 관련 최종 용도 제품에서 또는 이를 위하여 표적된, 강화된 성능 특성을 가지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필름,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를 디자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ICP 또는 BCP 세그먼트 내에 또는 PO/ICP 또는 PO/BCP 폴리머릭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내에 존재하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의 몰분율 조성은 다양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이다. 본 발명의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의 중합체 블렌드 또는 혼합물 또는 조성물의 화학 구조에서 폴리머릭 백본(backbone) 또는 PO/ICP 또는 PO/BCP 중합체 내의 BCP 또는 ICP 세그먼트의 조성, 길이, 순서, 양, 및 배열의 선택을 조정하는 것(tailoring)은 멤브레인 또는 제품 성능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성능 특성은 예를 들어 핸드, 드레이프, 움직임 속 '조용함(quietness)', 및 표면 마찰계수 같은 것으로 더 부드러운 드레이프, 더 조용한 움직임 및 더 낮은 마찰계수, 예를 들어, 그 결과 부드러운 터치(silkier touch)를 가지는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멤브레인을 생산하는 것이다.
적어도 선택된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그러한 멤브레인,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로부터 제조된 제품, 및/또는 관련된 생산, 이용 및/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직물 재료, 의복, 제품, 및/또는 직물 관련 제품에 이용하기 위한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필름, 섬유, 미세다공성 섬유, 그러한 멤브레인,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로부터 제조된 재료 또는 레이어, 및 이와 같은 종류의 것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선택된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필름, 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 예를 들어 솔리드 또는 중공 섬유, 미세다공성 중공섬유, 이형단면 섬유(shaped fibers), 그러한 섬유 또는 멤브레인으로부터 제조된 재료, 레이어, 또는 직물로서, 이는 직포(wovens), 부직포(nonwovens), 니트(knits), 본디드(bonded), 플록(flocked), 및/또는 다른 직물, 라미네이트, 복합재, 의복, 및/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멤브레인,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 모노머 타입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중합체로 제조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멤브레인,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중합체와 함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과 같은 중합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의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필름, 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로서, 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결합되거나 또는 블렌드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상기 공중합체는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그러한 멤브레인,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로부터 제조된 재료, 레이어 또는 직물의 조성, 특징, 성능, 및/또는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인 것이고, 예를 들어, 직물 또는 직물 최종 용도 제품에서 또는 이를 위하여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멤브레인 및/또는 폴리올레핀 섬유와 같은 멤브레인, 섬유, 재료, 레이어 또는 직물의 핸드, 드레이프, 조용함(quietness), 및/또는 표면 마찰계수와 같은 특징, 성능, 및/또는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멤브레인은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열가소성(thermoplastic) 중합체로 제조될 수 있고, 열가소성 중합체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 1-부텐, 폴리-4-메틸-1 펜텐 및/또는 이의 블렌드, 이의 혼합물, 또는 이의 조합과 같은 폴리올레핀을 포함한다. 폴리올레핀(들)의 선택은 특정 최종 용도 제품 내의 멤브레인의 성능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폴리올레핀 (PO)은 조성물 내의 단독중합체(homopolymer) 또는 공중합체(copolymer)일 수 있다. 공중합체 또는 임팩트 또는 블록 공중합체의 조성, 길이, 순서, 양, 및 배열은 직물 제품 또는 최종 용도 제품에서 또는 이를 위하여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멤브레인 및/또는 섬유에서 핸드, 드레이프, 움직일 때의 '조용함(quietness)', 및 표면 마찰계수의 성능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멤브레인 또는 섬유에서, PO/ICP 또는 PO/BCP 폴리머릭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의 BCP 또는 ICP 부분 내에 또는 ICP 또는 BCP 부분 내에 존재하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의 몰분율 조성은 다양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이다.
적어도 선택된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은 건식(dry) 연신 과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데, 건식 연신 과정은 폴리올레핀 수지가 블로운 필름 기술(blown film technique) 또는 캐스트 필름 방법(casted film method)을 이용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을 형성하고, 그 다음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은 기계 방향 (1축)으로 냉간(cold) 및/또는 열간(hot) 연신되어 최종 두께가 보통 75 ㎛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2-25 ㎛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멤브레인의 적어도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임팩트 공중합체 (ICP) 또는 블록 공중합체 (BCP)일 수 있다. ICP 또는 BCP는 블로운 필름 기술(blown film technique) 또는 캐스트 필름 방법(casted film method)에 의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을 형성할 수 있고, 그 다음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은 기계 방향 (1축)으로 냉간(cold) 및 열간(hot) 연신되어 최종 두께가 보통 75 ㎛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2-25 ㎛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몰분율 함량 1%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의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바람직하게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공중합체 ICPs는, 블로운 필름 기술(blown film technique) 또는 캐스트 필름 방법(casted film method)을 이용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을 형성하고, 그 다음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은 먼저 기계 방향으로 냉간(cold) 및 열간(hot) 연신되고 그 다음으로 횡방향 (TD) 연신되어 2축 연신된 또는 2축 배향 (BO)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하며, 이는 US2011/0223486에 설명된 방법을 따른다. 횡 연신 단계는 동시 기계 방향 이완 단계를 포함하고, 최종 두께가 보통 75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0 ㎛,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8-20 ㎛를 가지는 2축 배향 (BO)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생산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몰분율 함량 1%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의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바람직하게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공중합체 (ICP)는, 블로운 필름 기술(blown film technique) 또는 캐스트 필름 방법(casted film method)을 이용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을 형성하고, 그 다음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은 먼저 기계 방향으로 냉간(cold) 및 열간(hot) 연신되고 그 다음으로 횡방향 (TD)으로 연신되어 2축 연신된 또는 2축 배향 (BO)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하며, 이는 US2011/0223486에 설명된 방법을 따른다. 횡 연신 단계는 동시 기계 방향 이완 단계를 포함하지 않고, 최종 두께로 보통 75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0 ㎛, 가장 바람직하게는 8-20 ㎛를 가지는 2축 배향 (BO)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생산한다.
또 다른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90-97% 폴리프로필렌 함량을 가지는 주로 폴리프로필렌계 임팩트 공중합체 (ICP)는 베타-조핵제(beta-nucleating agent)와 혼합될 수 있고, 캐스트 방법(cast method)을 이용해 압출되어 3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 두께의 비다공성 베타-조핵된 폴리프로필렌계 ICP 전구체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지는 알파 및 베타 결정체 형태로 결정화할 수 있는 다형성 반-결정체 중합체(polymorphic semi-crystalline polymer)이다.
베타 조핵제(beta nucleating agents)는 폴리프로필렌이 압출되고 베타 결정 성장을 최적화하기 위해 특별히 선택된 제어된 온도에서 유지되는 롤(roll) 상으로 캐스트될 때 폴리프로필렌을 더 흔한 알파 (α) 결정체 상태에서 덜 흔한 베타 (β) 결정체 상태로 바꾼다. 베타 조핵된 폴리프로필렌계 ICP 전구체 필름의 2축 연신은 베타 조핵된 PP 및 α 조핵된 PP 지역 사이에 존재하는 경계면(interfaces)을 균열시킨다. β 조핵된 PP 및 α 조핵된 PP의 지역 사이의 경계면에서 균열 과정은 미세다공(micropores)을 형성하고, 그 결과는 75 ㎛ 이하, 바람직하게는 12-25 ㎛ 두께를 가지는 베타-조핵된 2축 배향의 폴리프로필렌 (BN-BOPP) 멤브레인이다.
본 발명의 멤브레인의 또 다른 구체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공중합체 (ICP)와 결합된 폴리올레핀 (PO)을 포함하고, 이는 블로운 필름 기술(blown film technique) 또는 캐스트 필름 방법(casted film method)을 이용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을 형성하고, 그 다음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은 기계 방향 (1축)으로 냉간(cold) 및 열간(hot) 연신되어 최종 두께로 보통 75 ㎛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2-25 ㎛를 가지는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멤브레인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공중합체 (ICP)와 결합된 폴리올레핀 (PO)을 포함하고, 이는 블로운 필름 기술(blown film technique) 또는 캐스트 필름 방법(casted film method)을 이용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을 형성하고, 그 다음 기계 방향으로 냉간(cold) 및 열간(hot) 연신되고 그 다음으로 횡방향(TD)으로 연신되어 2축 연신된 또는 2축 배향 (BO)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하며, 이는 US 2011/0223486에 설명된 방법을 따른다. 횡 연신 단계는 최종 두께로 보통 75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0 ㎛, 가장 바람직하게는 8-20 ㎛를 가지는 2축 배향 (BO)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생산하는 동시 기계 방향 이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멤브레인의 또 다른 일 구체예에 따르면, 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공중합체 (ICP)와 결합된 폴리올레핀 (PO)을 포함하고, 이는 블로운 필름 기술(blown film technique) 또는 캐스트 필름 방법(casted film method)을 이용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을 형성하고, 그 다음 기계 방향으로 냉간(cold) 및 열간(hot) 연신되고 그 다음으로 횡 방향으로 연신되어 2축 연신된 또는 2축 배향 (BO)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하며, 이는 US 2011/0223486에 설명된 방법을 따른다. 횡 연신 단계는 최종 두께로 보통 75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0 ㎛, 가장 바람직하게는 8-20 ㎛를 가지는 2축 배향 (BO)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생산하는 동시 기계 방향 이완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 다른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공중합체 (ICP)(또는 BCP)와 결합된 폴리올레핀 (PO)은, 여기에서 ICP는 90-97% PP 함량을 가지는 주로 폴리프로필렌계 ICP 공중합체인데, 베타-조핵제(beta-nucleating agent)와 혼합될 수 있고, 캐스트 방법(cast method)을 이용해 압출되어 300 ㎛ 이하 두께의 비다공성 베타 조핵된 PO/BCP 전구체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지는 알파 및 베타 결정체 형태로 결정화할 수 있는 다형성 반-결정체 중합체이다. 베타 조핵제(beta nucleating agents)는 폴리프로필렌이 압출되고 베타 결정 성장을 최적화하기 위해 특별히 선택된 제어된 온도에서 유지되는 롤(roll) 상으로 캐스트될 때 폴리프로필렌을 더 흔한 알파 (α) 결정체 상태에서 덜 흔한 베타 (β) 결정체 상태로 바꾼다. 베타 조핵된 폴리프로필렌계 ICP 전구체 필름의 2축 연신은 베타 조핵된 PP 및 α 조핵된 PP 지역 사이에 존재하는 경계면(interfaces)을 균열시킨다. β 조핵된 PP 및 α 조핵된 PP의 지역 사이의 경계면에서 균열 과정은 미세다공(micropores)을 형성하고, 그 결과는 75 ㎛ 이하, 바람직하게는 12-25 ㎛ 두께를 가지는 베타-조핵된 2축 배향의 폴리프로필렌 (BN-BOPP) 멤브레인이다.
선택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중공섬유로서, 이는 1) 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임팩트 공중합체 (ICP)(또는 BCP)를 포함하거나 또는 2) 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임팩트 공중합체 (ICP)(또는 BCP)와 결합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임팩트 공중합체 (ICP)를 사용하거나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공중합체 (ICP)와 결합된 폴리올레핀을 사용하는 옵션은 개선된 성능 특성을 가지는 다양한 차별화된 직물 재료들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개선된 성능 특성은 예를 들어 다양한 직물 최종 용도 제품에 이용하기 위한 더욱 바람직한 핸드, 드레이프 및 표면 마찰계수이고, 상기 직물 최종 용도 제품은 방수(waterproof) 및 통기성(breathability) 성능을 또한 요구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겉옷(outerwear), 일회용 의복(disposable garments), 내구성 의복(durable garments), 상대 습도 평형을 요구하는 직물 재료 및 의료 관련 제품에서의 의복/아이템이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 비추어 본 발명의 많은 다른 변형 및 수정이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된 것과 다르게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실시예
실시예 1. 임팩트 공중합체 폴리올레핀 수지를 용융(melt) 압출하여 25 ㎛ 두께의 비다공성 전구체 멤브레인을 형성한다. 그 다음, 비다공성 전구체 멤브레인을 기계 방향(MD)으로 1축 연신하여 미세다공성 필름을 생산하며, 미세다공성 필름은 20.8 ㎛ 두께이고, JIS 걸리 값 = 1354초를 가진다. 표 1은 실시예 1의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필름의 특성을 나타낸다.
특성
두께, ㎛ 20.8
JIS 걸리, s 1354
평량(Basis weight), g/m2 10.4
% MD 수축률 90℃/1 hour 12.1
MD 인장 응력, kgf/cm2 1538
TD 인장 응력, kgf/cm2 163.8
% MD 연신율(elongation), 52.4
% TD 연신율(elongation), 651.9
실시예 2.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1에서 생산된 1축 연신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은 기계 방향(MD) 이완 없이 횡방향(TD) 연신 기계에서 2축 연신되었다. TD 연신된 멤브레인은 TD 방향으로 2 내지 4번 입력 너비(its input width)로 연신되었다. 그 결과로 생성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은 JIS 걸리 <100을 가졌고, 이는 통기성이 있는 직물 멤브레인으로서 기능하기 위한 투기율(air permeability)의 허용 수준이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1에서 생산된 1축 연신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은 동시 기계 방향 이완 단계와 함께 US 2011/0223486에 설명된 횡방향(TD) 연신으로 2축 연신되었다. 4.5x 연신으로 TD 연신 및 0-16% 전체 MD 이완은 10.9 ㎛ 두께, JIS 걸리 값 = 73초를 가지는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생산했다. 표 2는 실시예 3의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필름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다.
특성
두께, ㎛ 10.9
JIS 걸리, s 73
평량(Basis weight), g/m2 2.6
% MD 수축률 90℃/ 1 hour 6.6
% TD 수축률 90℃/ 1 hour 0.87
천공강도 (Puncture strength), g 69.9
MD 인장 응력, kgf/cm2 397.6
TD 인장 응력, kgf/cm2 393.3
% MD 연신율(elongation) 67.9
% TD 연신율(elongation) 43.1
실시예 4. 임팩트 공중합체 폴리올레핀 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35 ㎛ 두께의 비다공성 전구체 멤브레인을 형성한다. 그 다음, 비다공성 전구체 멤브레인을 기계 방향 (MD)으로 1축 연신하여 미세다공성 필름을 생산하며, 미세다공성 필름은 26 ㎛ 두께이고, JIS 걸리 값 = 3,454 초를 가진다. 표 3은 실시예 4의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필름의 특성을 나타낸다.
특성
두께, ㎛ 26
JIS 걸리, s 3454
평량(Basis weight), g/m2 15.5
% MD 수축률 90℃/ 1 hour 0.6
MD 인장 응력, kgf/cm2 1612
TD 인장 응력, kgf/cm2 194
% MD 연신율(elongation) 78.2
% TD 연신율(elongation) 685.8
실시예 5. 실시예 4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3과 유사하게 생산된 1축 연신된 26 ㎛ 두께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은 동시 기계 방향 이완 단계와 함께 US 2011/0223486에 설명된 횡방향(TD) 연신으로 2축 연신되었다. 4.5x 연신으로 TD 연신 및 0-16% 전체 MD 이완은 19 ㎛ 두께, JIS 걸리 값 = 25초를 가지는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생산했다.
특성
두께, 19
JIS 걸리, s 25
평량(Basis weight), g/m2 4.0
% MD 수축률 90℃/ 1 hour 5.7
% TD 수축률 90℃/ 1 hour 4.2
천공강도 (Puncture strength), g 124
MD 인장 응력, kgf/cm2 561.0
TD 인장 응력, kgf/cm2 266.3
% MD 연신율(elongation) 120.5
% TD 연신율(elongation) 58.8
시험 방법
걸리(Gurley)는 일본 공업 규격에서 정의되고 (JIS 걸리), OHKEN 투과성 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JIS 걸리는 100 cc의 공기가 1 평방 인치의 필름을 물 4.9 인치 고정 압력으로 통과하는데 경과하는 시간(초)으로 정의된다.
두께(㎛)는 Emveco Microgage 210-A 마이크로미터 두께 시험기를 이용하여 ASTM D374에 따라 측정하였다.
기계 방향 (MD) 및 횡방향 (TD) 인장 응력(tensile strength)은 Instron Model 4201을 이용하여 ASTM-882 표준에 따라 측정하였다.
% MD 연신율(elongation at break)은 샘플이 끊어지기 위해 필요한 최대 인장 강도에서 측정된 테스트 샘플의 기계 방향을 따라 테스트 샘플의 신장의 비율이다.
% TD 연신율(elongation at break)은 샘플이 끊어지기 위해 필요한 최대 인장 강도에서 측정된 테스트 샘플의 횡방향을 따라 테스트 샘플의 신장의 비율이다.
천공 강도(Puncture Strength)는 ASTM D3763에 따라 Instron Model 444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의 폭에 걸쳐 측정되고, 천공 강도는 테스트 샘플을 관통하기에 요구되는 힘으로 정의된다.
평량(Basis Weight)은 재료의 단위 샘플 면적당 중량이고, 그램(gram)/제곱 미터(meter squared)로 표현될 수 있다. 이는 제곱 미터의 알려진 면적에서 시료의 중량(그램)이다.
% 수축률(Shrinkage)은 90 ℃ 오븐에서 1 시간 동안 샘플을 배치하여 측정하였다. 수축률은 기계 방향 (MD) 및 횡방향 (TD) 모두에서 측정되었다.
폴리올레핀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또는 블록 공중합체와 결합되었을 때, 본 발명의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의 중합체 구성(makeup)의 화학 구조에서 폴리올레핀 및 임팩트 공중합체의 길이, 양, 배치, 및 순서는 직물 관련 최종 용도 제품에서 표적된, 강화된 성능 특성을 가지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필름, 섬유, 다공성 섬유, 또는 중공섬유의 디자인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멤브레인은 고도로 소수성(hydrophobic)이고 예외적으로 통기성(breathable)이며, 이는 고성능 겉옷과 같은 방수성 / 통기성 직물에서 배리어 층으로서 이상적이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폴리올레핀 필름의 발전에서, 물리적으로 강력한 필름을 제공하는 방향의 관점에서 다른 요소들 사이에서 원료 중합체들이 선택되어 왔다. 이는 주름지는 경향이 있는 딱딱한 필름을 초래하고, 그러므로 이상적 "핸드" 이하(즉, 촉각적(tactile) 경험)를 제공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PO 필름의 핸드를 개선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폴리프로필렌 / 폴리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다.
PP / PE 블록 공중합체는 다양한 수지 제조업자로부터 이용가능하다. 최소한 작은 비율의 PE (바람직하게는 5% 이하)로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함에 의하여, 그 결과로 초래된 필름은 덜 딱딱하고, 그러므로 더 부드러운 드레이프 및 더 조용한 움직임을 제공하고, 또한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며, 그러므로 더 부드러운 촉감을 준다. 또한,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 필름들은 TD 연신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고, 직물 제품을 위한 60 인치 폭의 (또는 더 넓은) 다공성 필름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 멤브레인과 같은 마이크로크레이프된 미세다공성 중합체 멤브레인은 폴리올레핀 부직포 메시(non-woven mesh)와 같은 다공성 중합체 부직포 재료 또는 메시(mesh)에 적층되고, 그리고 마이크로크레이프 된다.
다른 특정 비제한적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를 이용하는 선택된 가능한 제품들, 라미네이트들, 조성물들, 구체예들, 또는 실시예들의 리스트는 하기와 같다:
1.)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 PE 또는 PP 부직포
2.) 페이스 패브릭(Face fabric)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 PE 또는 PP 부직포 이너(inner) 레이어
3.) PE 또는 PP 부직포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 PE 또는 PP 부직포
4.) 페이스 패브릭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 패브릭 이너 레이어
5.) 페이스 패브릭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의 두 개의 레이어 + 패브릭 이너 레이어
6.) 페이스 패브릭 + PP 부직포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 패브릭 이너 레이어
7.) 페이스 패브릭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8.)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 접착제 + PE 또는 PP 부직포
9.) 페이스 패브릭 + 접착제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 PE 또는 PP 부직포 이너 레이어
10.) 페이스 패브릭 + 접착제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 접착제 + PE 또는 PP 부직포 이너 레이어
11.) 페이스 패브릭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 접착제 + PE 또는 PP 부직포 이너 레이어
12.) PE 또는 PP 부직포 + 접착제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 PE 또는 PP 부직포
13.) PE 또는 PP 부직포 + 접착제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 접착제 + PE 또는 PP 부직포
14.) PE 또는 PP 부직포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 접착제 + PE 또는 PP 부직포
15.) 페이스 패브릭 + 접착제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 패브릭 이너 레이어
16.) 페이스 패브릭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 접착제 + 패브릭 이너 레이어
17.) 페이스 패브릭 + 접착제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 접착제 + 패브릭 이너 레이어
18.) 페이스 패브릭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의 두 개의 레이어
19.) 페이스 패브릭 + 접착제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의 두 개의 레이어
20.) 페이스 패브릭 + 접착제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의 두 개의 레이어 + 패브릭 이너 레이어
21.) 페이스 패브릭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의 두 개의 레이어 + 접착제 + 패브릭 이너 레이어
22.) 페이스 패브릭 + 접착제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의 두 개의 레이어 + 접착제 + 패브릭 이너 레이어
23.) 페이스 패브릭 + 접착제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 접착제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 접착제 + 패브릭 이너 레이어
24.) 페이스 패브릭 + 접착제 + PP 부직포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25.) 페이스 패브릭 + 접착제 + PP 부직포 + 접착제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26.) 페이스 패브릭 + PP 부직포 + 접착제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27.) 페이스 패브릭 + 접착제 + PP 부직포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 패브릭 이너 레이어
28.) 페이스 패브릭 + PP 부직포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 접착제 + 패브릭 이너 레이어
29.) 페이스 패브릭 + 접착제 + PP 부직포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 접착제 + 패브릭 이너 레이어
30.) 페이스 패브릭 + 접착제 + PP 부직포 + 접착제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 접착제 + 패브릭 이너 레이어
31.) 페이스 패브릭 + 접착제 +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섬유 레이어
적어도 선택된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또는 관련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직물 재료, 의복, 제품, 및/또는 직물 관련 제품에 이용하기 위한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및 이와 같은 종류의 것들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선택된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중공 섬유로서, 이는 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된 임팩트 공중합체와 같은 공중합체로 제조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의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또는 중공 섬유로서, 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공중합체와 결합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이는 직물 최종 용도 제품에서 또는 이를 위하여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멤브레인 및/또는 섬유의 핸드, 드레이프 및 표면 마찰계수와 같은 재료 또는 직물의 조성물, 특징, 성능 및/또는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게다가, 폴리올레핀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공중합체와 결합되거나 또는 블렌드될 수 있고, 여기에서 본 발명의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및 섬유의 중합체 믹스(mix)의 화학 구조에서 폴리올레핀 및/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의 길이, 양, 배열 및 순서는 직물 제품 및/또는 최종 용도 제품에서 또는 이를 위하여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멤브레인 및/또는 섬유의 핸드, 드레이프, 움직일 때의 '조용함(quietness)', 및/또는 표면 마찰계수의 성능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된 또는 복합재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은 코팅 또는 미세크레이핑(microcreping)과 같은 기술 또는 처리를 이용해 더욱 개선, 처리 또는 변형되어 기계적 강도, 탄력성 및/또는 복원력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영구적으로 작고, 규칙적으로 공간이 있는, 크레이프(crepes), 프로필(profiles), 컴팩션(compactions), 플리트(pleates), 또는 주름(wrinkles)을 라미네이트된 또는 복합재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에 도입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미세크레이프(microcreped) 미세다공성 라미네이트된 멤브레인은 개선된 '핸드' 또는 부드러움, 개선된 '넥스트-투-더-스킨(next-to-the-skin)' 부드러움을 가지거나, 및/또는 움직이는 동안 크링클링 노이즈(crinkling noises) 없이 조용할 수 있고, 이는 직물 의복, 재료 또는 제품의 또는 그 안의 바람직한 성능 특성 또는 특징일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선택된 구체예, 목적 또는 측면에 따르면,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또는 관련 방법이 제공되고, 직물 재료, 의복, 제품, 및/또는 직물 관련 제품에 이용하기 위한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및 이와 같은 종류의 것이 제공되고, 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된 임팩트 공중합체와 같은 공중합체로 제조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는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필름, 섬유, 다공성 섬유, 또는 중공섬유가 제공되고, 직물 최종 용도 제품에서 또는 이를 위하여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멤브레인 및/또는 섬유의 핸드, 드레이프 및 표면 마찰계수와 같은 재료 또는 직물의 조성, 특징, 성능 및/또는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공중합체와 결합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필름, 섬유, 다공성 섬유, 또는 중공 섬유(또는 이로부터 제조된 아티클(articles), 레이어, 복합재, 라미네이트, 재료, 직물, 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로서, 폴리올레핀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팩트 공중합체와 결합되거나 또는 블렌드 될 수 있고, 여기에서 블렌드 또는 조합은 직물 제품 및/또는 최종 용도 제품에서 또는 이를 위하여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멤브레인 및/또는 섬유의 핸드, 드레이프, 움직일 때의 '조용함(quietness)', 및/또는 표면 마찰계수의 성능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제공되고, 및/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들이 제공된다.
적어도 일 구체예에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및/또는 미세다공성 섬유는, 직물 의복, 직물 재료 또는 직물 관련 제품에 이용하기 위한 핸드, 드레이프, 및/또는 표면 마찰계수 성능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중합체로 제조되거나, 또는 최소 하나의 공중합체와 결합된 최소 하나의 폴리올레핀으로 제조된다.
적어도 선택된 구체예, 목적 또는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그러한 멤브레인,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로부터 제조된 제품, 및/또는 관련된 생산, 이용, 및/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들의 방법에 관한 것이고, 직물 재료, 의복, 제품, 및/또는 직물 관련 제품에 이용하기 위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필름, 섬유, 미세다공성 섬유, 그러한 멤브레인,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로부터 제조된 재료 또는 레이어, 및 이와 같은 종류의 것에 관한 것이고,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필름, 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 예를 들어 솔리드 또는 중공 섬유, 미세다공성 중공 섬유, 이형단면 섬유(shaped fibers), 그러한 섬유 또는 멤브레인으로 제조된 재료, 레이어, 또는 직물로서, 이는 직포(wovens), 부직포(nonwovens), 니트(knits), 본디드(bonded), 플록(flocked), 및/또는 다른 직물, 라미네이트, 복합재, 의복, 및/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을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 모노머 타입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중합체로 제조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멤브레인,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중합체와 함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과 같은 중합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고,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필름, 섬유, 다공성 섬유, 중공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로서, 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결합되거나 또는 블렌드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이는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그러한 멤브레인, 섬유 또는 다공성 섬유로부터 제조된 재료, 레이어 또는 직물의 조성, 특징, 성능, 및/또는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수단인 것이고, 예를 들어, 직물 또는 직물 최종 용도 제품에서 또는 이를 위하여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멤브레인 및/또는 폴리올레핀 섬유와 같은 멤브레인, 섬유, 재료, 레이어 또는 직물의 핸드, 드레이프, 조용함(quietness), 및/또는 표면 마찰계수와 같은 특징, 성능, 및/또는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선택된 구체예들 또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제품(application)은 새로운 또는 개선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새로운 또는 개선된 다공성 멤브레인 와이프(wipes), 새로운 또는 개선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와이프, 및/또는 이의 제조, 마케팅, 및/또는 이용 방법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와이프를 이용하는 새로운 또는 개선된 오일 제거(oil blotting) 방법, 예를 들어 누군가의 피부 또는 얼굴로부터 오일을 제거하는 것에 사용하거나, 및/또는 안경(eyeglasses); 전자기기(electronics); 휴대폰(cell phones); 디스플레이(displays), 광디바이스(optical devices), 카메라 렌즈(camera lenses), 현미경 렌즈(microscope lenses) 및 기타 정밀 광학(precision optics), 및/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과 같은 다른 표면으로부터 지문, 얼룩 등의 제거에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선택된 구체예에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와이프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의 임팩트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일 수 있다. 적어도 선택된 다른 구체예에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와이프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의 임팩트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 2축 배향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와이프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안경; 전자기기; 휴대폰; 디스플레이; 광디바이스; 카메라 렌즈, 현미경 렌즈 및 기타 정밀 광학, 이와 같은 종류의 것 등을 포함하는 표면의 오일, 지문, 얼룩 등을 닦아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표면 클리너로 이용되기 위한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와이프의 일부 요구되는 기능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섬세한 작업을 위한 설계; 적은 보풀(lint); 비마모성(non-abrasive); 좋은 촉감; 손가락에 유성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 오일을 흡수; 흡수된 오일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 및 정전기 방지 제공.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와이프는 광학 및 기타 기술적 필요를 위해 보풀이 없는 전문적 와이프로서 매우 잘 작동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안경 및 유사 표면의 지문, 얼룩, 이와 같은 종류의 것들은 크게 유성(oil-based)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와이프는 이의 오일 흡수 특성 때문에 이러한 표면들에 와이프로서 특히 잘 작동할 수 있다.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와이프는 또한 촉감이 매우 부드럽고 매우 높은 기공률(porosity)을 가지고, 그러므로 이의 흡수 특성을 강화시키는 추가적인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킴와이프스(Kimwipes®)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품과 유사하게,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와이프, 및 특히 2축 연신된 임팩트 공중합체 멤브레인 와이프는 클린 룸 와이프, 고 정밀 광학에 대한 와이프, 또한 소비자 제품에서 미세섬유 클리닝 천 대신에 일회용 안경 와이프로서 폭넓은 사용을 발견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와이프는 2축-배향의 셀가드(Celgard) 멤브레인, 예를 들어 US 특허공개공보 20070196638 및 20110223486 (각각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됨)에 개시된 것들이 될 수 있다. 그러한 2축-배향의 멤브레인은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는 2축 배향이 멤브레인의 다공성(porosity)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1축-배향의 셀가드(Celgard) 멤브레인보다 스킨 오일 제거제로서 더 나은 수행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의 블록 공중합체로 제조된 2축-배향의 셀가드(Celgard) 멤브레인은 순수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 셀가드(Celgard) 멤브레인 및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피부 오일 제거제와 비교하여 매우 좋은 촉감의 추가적인 이점을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람직한 2축-배향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와이프에 제한되지 않으며, 1축-배향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와이프 또한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와이프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와이프(wipe)는 건식(dry)-연신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둥근 모양의 구멍을 가지고, 기계 방향 인장 응력(tensile strength) 대 횡방향 인장 응력의 비율이 0.5 내지 4.0의 범위를 가진다.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와이프는 이를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을 가지는 얇고, 휘기 쉬운(pliable), 폴리머릭 시트(sheet), 포일(foil), 또는 필름일 수 있다.
아마도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와이프(wipes)에 사용된 중합체는 임팩트 공중합체 (EPR과 함께 PP)일 것이다.
다른 선택된 구체예에서, 본 와이프는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성분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필러 (와이프의 비용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지만, 반면 와이프의 제조 또는 이의 물리적 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인 불활성 미립자), 정전기 방지제(anti-static agents), 항-블로킹제(anti-blocking agents), 항산화제, 윤활유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및 이와 같은 종류의 것.
실시예 6
PP계 임팩트 공중합체를 압출하여 필름을 형성하였다. 압출기 용융 온도는 249 ℃이었다. 중합체 용융물은 215 ℃에서 압출금형(extrusion die) 세트에 공급된다. 중합체 용융물은 송풍에 의해 냉각된다. 압출된 필름은 34 ㎛ 두께를 가지고 0.0116 복굴절(birefringence)을 가진다. 그 다음, 압출된 전구체는 154 ℃에서 2분 동안 어닐(anneal)된다. 그 다음, 어닐된 필름은 실온에서 30% 냉간(cold) 연신되고, 140 ℃에서 190% 열간(hot) 연신되고 61% 이완된다(전체 기계 방향 연신 = 159%). MD 연신된 필름은 26 ㎛ 두께, 40% 다공도를 가진다. 그 다음, MD 연신된 필름은 50% MD 이완과 함께 150 ℃에서 260% TD 연신되고, 그 다음에 150 ℃에서 동시에 각각 50% 및 216%의 MD 및 TD 연신된다.
실시예 6 데이터:
하기 표에 실시예 6의 결과들을 요약하고, 두 개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건조(dry)-연신 필름과 비교하였다: A) 셀가드® 2400(단일 플라이(ply) 폴리프로필렌 와이프(wipe)); 및 B) 셀가드® 2325(3중-레이어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MD
TD 인장 인장
TD 두께 응력 응력 MD/TD
연신 (um) 다공도 (kg/cm2) (kg/cm2) 인장비율
A N/A 25.4 37% 160 1700 10.6
B N/A 25.1 40% 146 1925 13.2
실시예 6 450% 17 73% 287 558 1.9
전지 분리막(battery separator)에 관한 적어도 특정 구체예와 관련하여, 특히 재료가 더욱 얇아짐에 따라 적어도 특정 전지 분리막을 더욱 강화 또는 향상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1-10 ㎛ 범위에서 재료를 얻는 하나의 방법은 횡방향 (TD) 연신을 통해서이다. 2축 연신은 1축 연신과 함께 손실될 수 있는 횡 강도(strength)를 제공할 수 있다.
전지 분리막 재료들이 2축 방식으로 연신됨에 따라, 새로운 재료들이 더욱 유익한 효과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임팩트 공중합체 재료들의 사용은 혼자 또는 다른 아이소탁틱(isotactic)의 폴리프로필렌 재료들과 결합하였을 때 아주 효과적일 수 있다. 블렌드된 중합체들의 경우, 1-80% 임팩트 공중합체, 더욱 바람직하게는 5-30% 임팩트 공중합체의 사용은, 다공성 연신된 재료와 관련하여 공중합체 재료가 더 큰 인장 응력 및 연신률로 이르게 함에 따라 유익할 수 있고, 그리고 더 큰 프로세스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분리막들은 라미네이트된 3중레이어 패션, 공압출된 패션, 또는 모노레이어 패션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들은 바람직하게는 전지에서 사용하기 전에 어떤 종류의 중합체 또는 세라믹 코팅으로 코팅되어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 비추어 본 발명의 많은 다른 변형 및/또는 수정이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가능하다. 그러므로 다른 구체예 또는 실시예들이 고려되고,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 다르게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Claims (18)

  1.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중공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로서, 직물 제품 또는 다른 최종 용도 제품 및/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에 대한 재료, 레이어, 복합재, 직물, 및/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에 이용하기 위한 것이고, 그리고 핸드, 드레이프, 조용함(quietness), 표면 마찰계수 및/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의 특징 또는 성능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최소 하나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중공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중공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는 두 개 이상의 폴리올레핀의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중공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중공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는 두 개 이상의 폴리올레핀의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은 이에 제한하지 않으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 1-부텐, 폴리-4-메틸-1 펜텐, 폴리헥센, 폴리옥텐 및/또는 이의 블렌드, 이의 혼합물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중공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중공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는 두 개 이상의 폴리올레핀,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의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중공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중공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몰분율 1% 내지 50%로 존재하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더욱 바람직하게는 몰분율 3% 내지 10%로 존재하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의 임팩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중공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은 임팩트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임팩트 공중합체 수지는 블로운 필름 기술 또는 캐스트 필름 방법을 이용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을 형성하고, 상기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은 1축 연신되어 약 12-25 ㎛ 두께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은 임팩트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임팩트 공중합체는 블로운 필름 기술 또는 캐스트 필름 방법을 이용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을 형성하고, 상기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은 동시 기계 방향 이완과 함께 1축 및 2축 연신되어 약 5-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 ㎛, 가장 바람직하게는 15-25 ㎛ 두께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은 임팩트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임팩트 공중합체는 블로운 필름 기술 또는 캐스트 필름 방법을 이용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을 형성하고, 상기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은 동시 기계 방향 이완 없이 1축 및 2축 연신되어 약 5-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 ㎛, 가장 바람직하게는 15-25 ㎛ 두께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은 베타-조핵제(beta-nucleating agent)와 혼합된 90-97% 폴리프로필렌 함량을 가지는 폴리프로필렌계 임팩트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임팩트 공중합체는 캐스트 필름 방법을 이용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베타-조핵된 전구체 필름을 형성하고, 상기 비다공성 베타-조핵된 전구체 필름은 1축 및 2축 연신되어 약 5-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 ㎛, 가장 바람직하게는 15-25 ㎛ 두께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10.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중공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로서, 직물 제품, 최종 용도 제품 및/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에서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멤브레인 또는 섬유의 핸드, 드레이프 및 표면 마찰계수의 특징 또는 성능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최소 하나의 공중합체와 결합된 최소 하나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인,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중공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중공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는 두 개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결합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은 이에 제한하지 않으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 1-부텐, 폴리-4-메틸-1 펜텐, 폴리헥센, 폴리옥텐 및/또는 이의 블렌드, 이의 혼합물,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중공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중공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는 두 개 이상의 폴리올레핀,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결합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중공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중공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는 두 개 이상의 폴리올레핀, 바람직하게는 몰분율 1% 내지 50%로 존재하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더욱 바람직하게는 몰분율 3% 내지 10%로 존재하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결합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중공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은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와 결합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와 결합된 폴리올레핀은 블로운 필름 기술 또는 캐스트 필름 방법을 이용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을 형성하고, 상기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은 약 5-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 ㎛, 가장 바람직하게는 15-25 ㎛ 두께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은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와 결합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와 결합된 폴리올레핀은 블로운 필름 기술 또는 캐스트 필름 방법을 이용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을 형성하고, 상기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은 동시 기계 방향 이완과 함께 1축 및 2축 연신되어 약 5-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 ㎛, 가장 바람직하게는 15-25 ㎛ 두께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은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와 결합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와 결합된 폴리올레핀은 블로운 필름 기술 또는 캐스트 필름 방법을 이용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을 형성하고, 상기 비다공성 전구체 필름은 동시 기계 방향 이완 없이 1축 및 2축 연신되어 약 5-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 ㎛, 가장 바람직하게는 15-25 ㎛ 두께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은 베타-조핵제와 혼합된 90-97% 폴리프로필렌 함량을 가지는 폴리프로필렌계 공중합체로 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임팩트 또는 블록 공중합체와 결합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상기 베타-조핵제와 혼합된 90-97% 폴리프로필렌 함량을 가지는 폴리프로필렌계 공중합체로 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임팩트 또는 블록 공중합체와 결합된 폴리올레핀은 캐스트 필름 방법을 이용해 압출되어 비다공성 베타-조핵된 전구체 필름을 형성하고, 상기 비다공성 베타-조핵된 전구체 필름은 1축 및 2축 연신되어 약 5-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 ㎛, 가장 바람직하게는 15-25 ㎛ 두께의 미세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18. 새로운, 개선된, 또는 변형된 직물 재료, 의복, 제품, 및/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으로서, 미세다공성 멤브레인, 섬유, 다공성 섬유, 중공섬유, 또는 미세다공성 섬유로 제조되고, 이는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같은 공중합체로 제조되거나 또는 구성되고, 상기 공중합체는 두 개 이상의 폴리올레핀, 또는 하나 이상의 블록 또는 임팩트 공중합체와 결합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고, 상기 공중합체는 직물 최종 용도 제품에서 또는 이를 위하여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멤브레인 및/또는 섬유의 핸드, 드레이프 및 표면 마찰계수와 같은 재료 또는 직물의 조성물, 특징, 성능 및/또는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이거나, 또는 직물 제품 및/또는 최종 용도 제품, 및/또는 여기에 설명되거나 나타난 것과 같은 종류의 것에서 또는 이를 위하여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멤브레인 및/또는 섬유의 더 좋은 핸드, 드레이프, 움직일 때의 '조용함(quietness)', 및/또는 표면 마찰계수의 개선된 성능 특성을 갖는 수단인 것인, 직물 재료, 의복, 제품, 및/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
KR1020157014989A 2012-11-06 2013-11-05 공중합체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 방법 KR201500825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23058P 2012-11-06 2012-11-06
US61/723,058 2012-11-06
US201361892730P 2013-10-18 2013-10-18
US61/892,730 2013-10-18
PCT/US2013/068461 WO2014074502A1 (en) 2012-11-06 2013-11-05 Copolymer membranes, fibers, products and methods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673A Division KR20150087408A (ko) 2012-11-06 2013-11-05 공중합체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 방법
KR1020207015256A Division KR20200063273A (ko) 2012-11-06 2013-11-05 공중합체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537A true KR20150082537A (ko) 2015-07-15

Family

ID=50622635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256A KR20200063273A (ko) 2012-11-06 2013-11-05 공중합체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 방법
KR1020157014989A KR20150082537A (ko) 2012-11-06 2013-11-05 공중합체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 방법
KR1020207015242A KR102235574B1 (ko) 2012-11-06 2013-11-05 공중합체 섬유 및 제품
KR1020227006544A KR102516342B1 (ko) 2012-11-06 2013-11-05 공중합체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 방법
KR1020157016673A KR20150087408A (ko) 2012-11-06 2013-11-05 공중합체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 방법
KR1020237037418A KR20230154291A (ko) 2012-11-06 2013-11-05 공중합체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 방법
KR1020227041480A KR102597627B1 (ko) 2012-11-06 2013-11-05 공중합체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 방법
KR1020217009287A KR102473329B1 (ko) 2012-11-06 2013-11-05 공중합체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 방법
KR1020217013306A KR20210054589A (ko) 2012-11-06 2013-11-05 공중합체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256A KR20200063273A (ko) 2012-11-06 2013-11-05 공중합체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242A KR102235574B1 (ko) 2012-11-06 2013-11-05 공중합체 섬유 및 제품
KR1020227006544A KR102516342B1 (ko) 2012-11-06 2013-11-05 공중합체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 방법
KR1020157016673A KR20150087408A (ko) 2012-11-06 2013-11-05 공중합체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 방법
KR1020237037418A KR20230154291A (ko) 2012-11-06 2013-11-05 공중합체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 방법
KR1020227041480A KR102597627B1 (ko) 2012-11-06 2013-11-05 공중합체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 방법
KR1020217009287A KR102473329B1 (ko) 2012-11-06 2013-11-05 공중합체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 방법
KR1020217013306A KR20210054589A (ko) 2012-11-06 2013-11-05 공중합체 멤브레인, 섬유, 제품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9783914B2 (ko)
JP (3) JP2016500749A (ko)
KR (9) KR20200063273A (ko)
CN (2) CN107385536A (ko)
WO (1) WO20140745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7186A1 (ja) * 2012-03-30 2013-10-03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複合中空糸膜及び中空糸膜モジュール
CN105286705B (zh) * 2015-10-27 2018-04-10 诸暨双林电脑防护用品有限公司 电子屏幕用木纤维无痕湿巾纸
WO2019158266A1 (de) * 2018-02-16 2019-08-22 Treofan Germany Gmbh & Co. Kg Separator-folie mit verbesserten mechanischen eigenschaften
US11584111B2 (en) * 2018-11-05 2023-02-21 Windmoeller & Hoelscher Kg Breathable thermoplastic film with reduced shrinkage
WO2021216389A1 (en) * 2020-04-20 2021-10-28 Celgard, Llc Seam tape and related methods and product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3102A (ja) * 1988-05-23 1989-11-27 Tokuyama Soda Co Ltd 微多孔性中空糸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4715B2 (ja) * 1989-04-07 1994-01-19 チッソ株式会社 ダル化した延伸成形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176953A (en) * 1990-12-21 1993-01-05 Amoco Corporation Oriented polymeric microporous films
US5491188A (en) 1993-05-20 1996-02-13 New Japan Chemical Co., Ltd. Porous stretched article of polypropylene-based resin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JP3313198B2 (ja) * 1993-07-13 2002-08-12 宇部日東化成株式会社 機能性多孔質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54267A (ja) * 1993-08-19 1995-02-28 Ube Nitto Kasei Co Ltd 親水性ポリオレフィン系多孔質繊維
US5565281A (en) * 1994-12-02 1996-10-15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Shutdown, bilayer battery separator
TW297171B (ko) * 1994-12-20 1997-02-01 Hoechst Celanese Corp
JP3523404B2 (ja) * 1996-01-17 2004-04-26 株式会社トクヤマ 微多孔性膜の製造方法
US5910225A (en) * 1997-10-16 1999-06-08 Chicopee, Inc. Film and nonwoven laminate and method
JP4807710B2 (ja) * 1998-12-04 2011-11-02 新日本理化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6602593B1 (en) * 1999-08-30 2003-08-05 Celgard Inc. Battery separators with reduced splitting propensity
JP4158004B2 (ja) 2000-06-02 2008-10-01 新日本理化株式会社 多孔性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該フィルムを用いた吸収性物品
CA2438243C (en) * 2001-02-21 2010-06-29 New Japan Chemical Co., Ltd. Successive biaxial stretched polypropylene porous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2293973A (ja) * 2001-03-30 2002-10-09 Tokuyama Corp ポリプロピレン系多孔質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EP1507825B1 (en) * 2002-05-30 2006-11-22 Ciba SC Holding AG s CRYSTALINE POLYPROPYLENES
EP1375584B1 (en) 2002-06-20 2010-08-18 Borealis Technology Oy Breathable Films
JP2005145998A (ja) * 2003-11-11 2005-06-09 Chisso Corp 熱可塑性樹脂多孔膜
PL1796903T3 (pl) * 2004-10-07 2014-11-28 Treofan Germany Gmbh & Co Kg Folia na etykiety dla sposobu formowania głębokotłoczonego
US20090041965A1 (en) * 2005-03-19 2009-02-12 Treofan Germany Gmbh + Co. Kg Label Film for a Blow Moulding Method
US20090258560A1 (en) * 2005-09-30 2009-10-15 Per Magnus Kristiansen Microporous Films
US8795565B2 (en) * 2006-02-21 2014-08-05 Celgard Llc Biaxially oriented microporous membrane
CN101688031A (zh) 2007-04-27 2010-03-31 陶氏环球技术公司 从增容的聚合物共混物制备的微孔膜
US20090029098A1 (en) * 2007-07-23 2009-01-29 Fina Technology, Inc. Resin Composition for Improved Slit Film
EP2238188B1 (en) * 2008-01-30 2019-01-1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Butene/ -olefin block interpol ymers
CN101724169B (zh) * 2009-11-16 2011-09-21 深圳市星源材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结构均匀的聚烯烃微孔膜制备方法
CN101724168B (zh) * 2009-11-16 2011-09-21 深圳市星源材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烯烃微孔膜制备方法
CN101724170B (zh) * 2009-11-16 2012-02-15 深圳市星源材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上下表面结构对称的聚烯烃微孔膜制备方法
PL2510047T3 (pl) * 2009-12-07 2015-04-30 Basf Se Przezroczyste wyroby z polipropylenu o polepszonych właściwościach optycznych i/lub zwiększonej temperaturze krystalizacji
CN101710614B (zh) * 2009-12-16 2012-06-20 南京大学 介孔纳米粒子改性锂电池隔膜
JP2010121265A (ja) 2010-02-02 2010-06-03 Japan Vilene Co Ltd 表面多孔化繊維及び繊維シート
US20110223486A1 (en) * 2010-03-12 2011-09-15 Xiaomin Zhang Biaxially oriented porous membranes, composit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CN102649850B (zh) * 2012-05-14 2013-10-02 中国乐凯集团有限公司 一种聚烯烃微孔膜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27492A1 (en) 2014-05-08
CN104884693A (zh) 2015-09-02
US9783914B2 (en) 2017-10-10
KR20220034247A (ko) 2022-03-17
KR20210054589A (ko) 2021-05-13
KR102235574B1 (ko) 2021-04-05
US10544521B2 (en) 2020-01-28
WO2014074502A1 (en) 2014-05-15
KR102597627B1 (ko) 2023-11-02
KR20200063272A (ko) 2020-06-04
CN107385536A (zh) 2017-11-24
JP2023022182A (ja) 2023-02-14
KR102516342B1 (ko) 2023-03-31
JP2016500749A (ja) 2016-01-14
KR20230154291A (ko) 2023-11-07
KR20220161499A (ko) 2022-12-06
KR20150087408A (ko) 2015-07-29
KR20200063273A (ko) 2020-06-04
US20170362745A1 (en) 2017-12-21
US20200157707A1 (en) 2020-05-21
JP2019143156A (ja) 2019-08-29
KR102473329B1 (ko) 2022-12-05
KR20210038702A (ko)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57707A1 (en) Copolymer membranes, fibers, products and methods
US11708467B2 (en) Seam tape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WO2016048857A1 (en) Polyolefin-based elastic film structures, laminates and methods thereof
JP7034128B2 (ja) 微多孔質膜ワイパーおよび使用の方法
JP5653713B2 (ja) 透水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15115289A1 (ja) 多孔性フィルム、透湿防水シート、複合体および防護服
JP2012197349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多孔シート及び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多孔シートの製造方法
JP2023151346A (ja) 樹脂シート及び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JP2022159245A (ja) 樹脂シート及び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