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094A - 인쇄장치,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인쇄장치,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094A
KR20150076094A KR1020140185671A KR20140185671A KR20150076094A KR 20150076094 A KR20150076094 A KR 20150076094A KR 1020140185671 A KR1020140185671 A KR 1020140185671A KR 20140185671 A KR20140185671 A KR 20140185671A KR 20150076094 A KR20150076094 A KR 20150076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tate
printing apparatus
swit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5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모츠 타카타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6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인쇄장치는, 프린터 유닛과, 전원 스위치가 오프된 경우에, 상기 인쇄장치를 제1 전력 상태로부터 제2 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구성된 이행 유닛과, 상기 프린터 유닛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로부터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까지의 스위치 오프 시간과 상기 소정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 오프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보다 길면, 상기 프린터 유닛의 초기화처리를 실행한 후에 상기 인쇄장치를 상기 제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 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스위치 오프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보다 짧거나 상기 소정 시간과 같으면, 상기 프린터 유닛의 초기화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인쇄장치를 상기 제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 상태로 이행시킨다.

Description

인쇄장치,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PRINT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의 일면은, 일반적으로 인쇄장치,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쇄장치가 다기능화함에 따라, 시스템은 복잡해져, 소프트웨어의 기동에 필요한 시간이 증가되어 왔다.
일본국 특개평 5-85020호 공보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서는, 인쇄장치의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었을 때,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에만 통전하여, 전원이 오프되는 동안에 DRAM이 소프트웨어의 상태(시스템 정보)를 유지한다. 다음번에 전원 스위치를 온한 경우에, DRAM에 유지된 시스템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로부터 동작을 재개하여, 소프트웨어의 기동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한다(이하, "DRAM 통전 기동"이리고 한다).
인쇄장치는 통상 잡을 생성 및 처리하는 잡 콘트롤러부(이하, "콘트롤러"라고 한다)와 프린트 처리를 실행하는 프린트부(이하, "프린터 장치"라고 한다)로 구성된다. 콘트롤러 및 프린터 장치는 각각의 중앙처리장치(CPU)를 갖고 독립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다. 콘트롤러의 소프트웨어가 DRAM 통전 기동을 행하면, 시스템 전체를 고속으로 기동하기 위해서는, 프린터 장치의 소프트웨어도 고속으로 기동할 필요가 있다.
고속 기동하기 위해, 프린터 장치가 이 프린터 장치에 설치된 복수의 디바이스의 초기화를 생략한다. 이와 같은 초기화의 생략은, 예를 들면, 회전 구동 부하에 포함되는 현상 유닛에 수용되는 토너(현상제)의 교반 시간을 짧게 한다. 장시간 동안 전원을 오프한 후 초기화를 생략하면, 프린터 장치의 화질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있다. 일본국 특개평 5-85020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프린터 장치의 초기화를 전환한다. 이와 같은 기술에서는, 조작부의 키 누름 검지에 응답하여, 프린터 장치 내부에 미리 설치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초기화를 전환한다. 따라서, 콘트롤러의 동작에 연동해서 프린터 장치의 초기화를 동적으로 전환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인쇄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기동 방법에 따라 프린터의 초기화 처리 방법을 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인쇄장치,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인쇄장치는, 프린터 유닛과, 상기 프린터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과, 전원 스위치가 오프된 경우에, 상기 인쇄장치를 제1 전력 상태로부터 제2 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구성된 이행 유닛과, 상기 프린터 유닛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로부터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까지의 스위치 오프 시간과, 상기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상기 소정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 오프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보다 길면, 상기 프린터 유닛의 초기화처리를 실행한 후에 상기 인쇄장치를 상기 제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 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스위치 오프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보다 짧거나 상기 소정 시간과 같으면, 상기 프린터 유닛의 초기화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인쇄장치를 상기 제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 상태로 이행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국면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화상 형성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다.
도 2는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에 표시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UI)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 특징 및 국면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의 설명
도 1 및 도 1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는 2개의 보드를 갖는 콘트롤러부를 구비한다. 더구나, 도 1a는 모든 디바이스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스탠바이 상태(제1 전원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스탠바이 상태에서의 전력보다 전력이 낮은 전력 절약 상태인 슬립 상태(제2 전원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사선으로 나타낸 디바이스에의 전원 공급은 정지하고 있다.
도 1a에 있어서, 콘트롤러(1)는 메인 보드(100)과 서브 보드(120)로 구성된다.
메인 보드(100)는 범용적인 CPU 시스템이다. CPU(101)는 메인 보드(100) 전체를 제어한다. CPU(101)는 부트 리드 온리 메모리(ROM)(102)에 기억되는 부트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부트 처리를 제어한다. 메모리(103)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이다. 버스 콘트롤러(104)는 서브 보드(120)의 버스 콘트롤러(124)에 접속되어 있다. 버스 콘트롤러(104)는 외부 버스와의 브리지 기능을 구비한다. 불휘발성 메모리(105)는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기억한 내용을 소실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얼 타임 클록(RTC)(110)은 전원이 차단되어도 전지를 사용하여 시간을 계속해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구나, 메인 보드(100)는, 디스크 콘트롤러(106)와, 반도체 드라이브(SSD) 등의 플래시 디스크(107)를 구비한다. 플래시 디스크(107)는 반도체 디바이스로 구성되고 비교적 소용량을 갖는 스토리지 장치이다. 범용 직렬 버스(USB) 콘트롤러(108)는 메인 보드(100)에 접속되는 USB 메모리(9)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한다.
또한, 메인 보드(100)에는 외부에 USB 메모리(9), 조작부(5)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6)가 접속된다. HDD(6)는 HDD(6)가 기억장치이면 반드시 하드디스크일 필요는 없다. 어떤 종류의 불휘발성 디바이스라도 HDD(6)로 사용해도 된다.
서브 보드(120)는, 비교적 작은 범용 CPU 시스템과, 화상처리 하드웨어로 구성된다. CPU(121)는 서브 보드(120) 전체를 제어하며, 메모리(123)를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한다. 서브 보드(120)는, 외부 버스와의 브리지 기능을 갖는 버스 콘트롤러(124)와,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데이터를 소실하지 않도록 구성된 불휘발성 메모리(125)를 더 구비한다. 더구나, 서브 보드(120)는, 디바이스 콘트롤러(126)와 실시간 디지털 화상처리를 행하는 화상처리 프로세서(127)를 구비한다.
스캐너 장치(2)는 각각의 디바이스 콘트롤러(126)를 거쳐 프린터 장치(4)에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팩스 장치(7)는 CPU(121)이 직접 제어를 행한다.
또한, 메인 보드(100)와 서브 보드(120)의 각각에는 전원장치(8)가 소정의 전력을 급전한다. 전력제어부(109, 128)는, 메인 보드(100) 상의 전력을 필요로 하는 각 부와 서브 보드(120) 상의 전력을 필요로 하는 각 부에의 급전을 관리한다.
조작부(5)의 전원 스위치(10)는, 유저에 의해 전원의 온 및 오프를 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10)가 유저에 의해 조작되면, CPU(101)에 인터럽트가 입력된다. CPU 101은, 해당 전원 스위치(10)에 의해 발생한 인터럽트를 검지하면 상태에 따라 전력제어부 109를 제어한다. 한편, CPU 121은, 버스 콘트롤러 104, 124를 거쳐 전원 스위치(10)의 조작을 검지하여, 전력제어부 128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의 CPU 101 및 121은 각각 칩세트, 버스 브리지 및 클록 제너레이터 등의 CPU 주변 하드웨어를 다수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하드웨어 구성을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콘트롤러(1)의 동작에 대해서, 용지를 사용하여 화상 복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유저가 조작부(5)를 통해 화상 복사를 지시하면, CPU 101이 CPU 121을 거쳐 스캐너 장치(2)에 화상 판독 명령을 보낸다. 스캐너 장치(2)는 용지 원고를 광학적으로 스캔하여, 스캔한 용지 원고를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후, 스캐너 장치(2)는 디바이스 콘트롤러(126)를 거쳐 화상처리 프로세서(127)에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입력한다. 화상처리 프로세서(127)는 CPU 121을 거쳐 메모리 123에 직접 메모리 액세스(DMA) 전송을 행하여, 메모리 123에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일시 보존한다.
CPU 101은, 디지털 화상 데이터가 메모리 123에 일정량 또는 모두 보존된 것을 확인하면, CPU 121을 거쳐 프린터 장치(4)에 화상 출력 지시를 내린다. CPU 121은 화상처리 프로세서(127)에 메모리 123 내부의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통보한다. 프린터 장치(4)로부터 전송된 동기신호에 따라, 메모리 123 위의 화상 데이터는 화상처리 프로세서(127)와 디바이스 콘트롤러(126)를 거쳐 프린터 장치(4)에 송신된다. 그 결과, 프린터 장치(4)가 용지에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인쇄한다.
복수 매수의 인쇄를 행하는 경우, CPU 101이 메모리 123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HDD(6)에 보존하여, 2매째 이후에 대해서는 스캐너 장치(2)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받지 않고 프린터 장치(4)에 화상을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프린터 장치(4)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 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프린터 장치(4)는 초기화처리에서 회전 구동되는 부하를 복수 구비한다.
도 1b는, 메모리 103과 전원 스위치(10)에 대하여 전원이 공급되고, 다른 디바이스(도 1b의 사선으로 나타낸 디바이스)에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메모리 103은 화상 형성장치의 콘트롤러(1)를 표시하는 블록의 DRAM으로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는, 콘트롤러(1)의 메인 보드(100)의 메모리(103)와 전원 스위치(10)에만 통전이 행해진다. 유저가 전원 스위치(10)를 오프한 경우, 전원 오프 전의 메모리 이미지를 메모리 103에 유지한다. 유저가 전원 스위치(10)를 온으로 하면, CPU 101은, 메모리 103에 유지하고 있는 메모리 이미지를 사용하여, 시스템 상태를 슬립 상태로 이행전에 수립된 전원 공급 상태로 복귀한다.
DRAM으로 구성되는 메모리 103에 전원이 통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행해지는 통상의 기동의 경우, HDD(6)으로부터 프로그램을 메모리 103에 판독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한편, DRAM으로 구성되는 메모리 103이 통전되어 있는 슬립 상태에서는, 메모리 103에 기억된 시스템 상태에서 시작하여 화상 형성장치가 동작을 재개한다. 이 경우, 시스템 전체로서, HDD(6)로부터 프로그램을 메모리 103에 로드하기 위한 시간에 해당하는 기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규모가 큰 프로그램이 사용될 때 유효하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다. 본 실시형태는, 유저가 설정하는 화상 형성장치의 기동방법에 근거한 화상 형성장치의 기동 처리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유저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조작부(5)에 표시되는 UI 화면을 통해 이 기동방법을 설정한다. CPU 101은 메모리 103에 제어 프로그램을 로드하고, 로드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 스텝을 실현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에서 표시되는 UI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는 화면 301 내지 303을 나타낸다. 화면 301은, 시스템의 고속 기동 모드가 "ON"으로 설정되고 프린터 장치(4)의 고속 기동 모드가 "OFF"로 설정된 대응한다.
또한, 화면 302는, 시스템의 고속 기동 모드가 "ON"으로 설정되고 프린터 장치(4)의 고속 기동 모드가 "ON"으로 설정된 경우에 대응한다.
더구나, 화면 303은, 시스템의 고속 기동 모드가 "OFF"로 설정되고, 프린터 장치(4)의 고속 기동 모드에 대한 옵션들이 "ON"과 "OFF"를 모두 선택할 수 없도록 그레이 아웃 표시된 상태에 대응한다.
스텝 S201에서는, CPU 101이 디바이스 콘트롤러(126)를 거쳐 프린터 장치(4)로부터 설정 시간 ST을 취득한다. 설정 시간 ST는, 콘트롤러(1)와 연동하여 기동 처리를 전환하기 위해 사전에 설정된다. 스텝 S202에서는, CPU 101이, 유저에 의해 행해진 전원 스위치(10)의 OFF 동작을 검지하였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여기에서, 조작부(5)에 설치되는 전원 스위치(10)의 OFF 동작을 검지했다고 CPU 101이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202에서 Yes), 스텝 S20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전원 스위치(10)의 OFF 동작이 검지되지 않았다고 CPU 101이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202에서 No), 스텝 S202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201에서 취득한 설정 시간은, 미리 취득해서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시켜도 된다.
스텝 S203에서는, CPU 101이, 도 3의 화면 301 또는 화면 30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시스템의 고속 기동 모드가 "ON"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고속 기동 모드가 "ON"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CPU 101이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203에서 Yes), 스텝 S207로 처리를 진행한다. 고속 기동 모드가 "ON"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CPU 101이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203에서 No), 스텝 S204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04에서는, CPU 101이, 전력제어부 109를 거쳐, 전원장치(8)로부터 화상 형성장치에의 급전을 멈춤으로써, 전원 OFF 상태를 수립한다. 이때, 콘트롤러(1)는, 도 1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원 스위치(10)와 메모리 103 이외의 모든 블록이 급전되지 않는 전원 상태에 있다.
다음에, 스텝 S205에서는, CPU 101이, 유저에 의해 행해진 조작부(5)에 설치되는 전원 스위치(10)의 ON 동작을 검지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전원 스위치(10)의 ON 동작을 검지하는 것으로 CPU 101이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205에서 YES), 스텝 S206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전원 스위치(10)의 ON 동작을 검지하지 않은 것으로 CPU 101이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205에서 No), 스텝 S205에서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206에서는, 콘트롤러(1)가 HDD(6)로부터 제어 프로그램을 메모리 103에 로드해서, 시스템 내부에서 콘트롤러(1)의 통상 기동을 행한다.
한편, 스텝 S207에서는, 화면 301 또는 화면 30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시스템의 고속 기동을 실행시키는 모드(고속 기동 모드)를 "ON"으로 설정하는 지시가 행해졌기 때문에, CPU 101이 RTC(110)의 타이머를 개시하여 시간의 계측 처리를 개시한다. 다음에, 스텝 S208에서는, CPU 101이, 전력제어부 109를 거쳐, 전원장치(8)로부터 화상 형성장치에의 급전을 멈춤으로써, 전원 OFF 상태(슬립 상태)로 상태를 천이시킨다. 이때, 콘트롤러(1)는 도 1b에 나타낸 급전 상태로 진입한다.
스텝 S209에서, CPU 101이, 유저에 의해 행해지는 조작부(5)가 설치하는 전원 스위치(10)의 ON 동작을 검지하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CPU 101이 전원 스위치(10)의 ON 동작을 검지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스텝 S209에서 Yes), 스텝 S21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CPU 101이 전원 스위치(10)의 ON 동작을 검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스텝 S209에서 No), 스텝 S209에서의 처리가 반복된다. 다음에, 스텝 S210에서는, CPU 101이, 스텝 S207에서 개시한 RTC(110)의 타이머 처리를 정지하고, 스텝 S207에서 시간 계측처리의 개시로부터 스텝 S210에서의 시간 계측 처리의 정지까지의 경과 시간 DT를 취득한다.
스텝 S211에서는, CPU 101이, 도 1b에서 나타낸 상태로부터 콘트롤러(1)의 고속 기동을 개시한다. 이 경우, 메모리 103에 전원 OFF 이전의 상태가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콘트롤러(1)는 고속으로 기동한다.
다음에, 스텝 S212에서는, CPU 101이,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화면 302 상에, 유저에 의해 프린터 장치(4)의 고속 기동 모드가 "ON"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고속 기동 모드가 "ON"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CPU 101이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212에서 Yes), 스텝 S21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고속 기동 모드가 "ON"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CPU 101이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212에서 No), 스텝 S215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13에서는, CPU 101이, 스텝 S201에서 취득한 설정 시간 ST와, 스텝 S210에서 취득한 타이머 개시로부터 타이머 정지까지의 경과 시간 DT를 비교하여, 경과 시간 DT가 설정 시간 ST 이하인지(DT≤ST)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DT≤ST가 만족하는 것으로 CPU 101이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213에서 Yes), 스텝 S214로 처리를 진행한다. 결과 시간 DT가 설정 시간 ST을 초과하는 것으로, 즉 DT>ST가 만족하는 것으로 CPU 101이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213에서 No), 스텝 S215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14에서는, CPU 101이 프린터 장치(4)가 고속 기동을 행하게 하고, 본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215에서는, CPU 101이 프린터 장치(4)가 초기화처리를 수반하는 통상 기동 처리를 실행하게 하고, 본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고속 기동시에는, 통상 기동시에 행하는 토너의 교반 동작과 드럼 회전 동작을 생략하고 고속으로 기동하므로, 전체 기동 처리 시간이 단축된다.
여기에서, 도 3을 참조하여 화상 형성장치에 대한 고속 기동 설정 처리를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UI 화면 301 내지 303 각각의 상부에는, 시스템 전체의 고속 기동을 위해 ON/OFF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더구나, UI 화면 301 내지 303의 하부에는, 프린터 장치(4)의 고속 기동에 대한 ON/OFF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유저가 시스템 전체의 고속 기동을 "ON"으로 설정한 경우(화면 301 및 302)에는, 유저가 프린터 장치(4)의 고속 기동의 설정을 "ON" 및 "OFF"에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유저가 시스템의 고속 기동 설정을 "OFF"로 설정한 경우(화면 303)에는, 프린터 장치(4)의 고속 기동을 설정하기 위한 OFF/ON을 선택하는 버튼이 그레이 아웃되어 선택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시스템 전체가 고속 기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린터 장치(4)의 고속 기동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저가 미리 조작부(5)에 대해 행한 키 조작에 근거하여, 프린터 장치(4)가 미리 설치된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초기화를 전환한다. 그 결과, 콘트롤러(1)의 동작에 연동해서 프린터 장치(4)의 초기화를 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한가지 기능의 프린터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장치가 프린터 장치와 조합할 수 있다면, 모든 종류의 장치게 적용된다. 이와 같은 장치의 예로는, 리더 기능을 갖는 복합 화상 형성장치와, 팩시밀리 장치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기동 방법에 따라 프린터의 초기화 처리방법을 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8)

  1. 인쇄장치로서,
    프린터 유닛과,
    상기 프린터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과,
    전원 스위치가 오프된 경우에, 상기 인쇄장치를 제1 전력 상태로부터 제2 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구성된 이행 유닛과,
    상기 프린터 유닛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로부터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까지의 스위치 오프 시간과, 상기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상기 소정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 오프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보다 길면, 상기 프린터 유닛의 초기화처리를 실행한 후에 상기 인쇄장치를 상기 제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 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스위치 오프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보다 짧거나 상기 소정 시간과 같으면, 상기 프린터 유닛의 초기화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인쇄장치를 상기 제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는 인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오프된 경우에, 상기 인쇄장치가 상기 제2 전력 상태로 이행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된 상기 상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인쇄장치를 상기 제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 상태로 복귀시키는 인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유닛은, 휘발성 메모리이고, 상기 제2 전력 상태에서는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전력이 공급되는 인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유닛의 기동 방법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설정 유닛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기동 방법이 고속 기동인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로부터 해당 전원 스위치의 온까지의 상기 스위치 오프 시간과, 상기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상기 소정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 오프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보다 길면, 상기 프린터 유닛의 초기화처리를 실행한 후에, 상기 인쇄장치를 상기 제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 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스위치 오프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보다 짧거나 상기 소정 시간과 같으면, 상기 프린터 유닛의 초기화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인쇄장치를 상기 제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 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설정 유닛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기동 방법이 고속 기동이 아닌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상기 프린터 유닛의 초기화처리를 실행한 후에, 상기 인쇄장치를 상기 제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는 인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처리는 상기 프린터 유닛의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인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처리는 상기 프린터 유닛에서 사용할 토너를 교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인쇄장치.
  7. 프린터 유닛과, 상기 프린터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과, 전원 스위치가 오프된 경우에, 인쇄장치를 제1 전력 상태로부터 제2 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구성된 이행 유닛을 구비한 상기 인쇄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프린터 유닛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로부터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까지의 스위치 오프 시간과, 상기 소정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치 오프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보다 길면, 상기 프린터 유닛의 초기화처리를 실행한 후에, 상기 인쇄장치를 상기 제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 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스위치 오프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보다 짧거나 상기 소정 시간과 같으면, 상기 프린터 유닛의 초기화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인쇄장치를 상기 제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8. 프린터 유닛과, 상기 프린터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과, 전원 스위치가 오프된 경우에, 인쇄장치를 제1 전력 상태로부터 제2 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구성된 이행 유닛을 구비한 상기 인쇄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프린터 유닛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로부터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까지의 스위치 오프 시간과, 상기 소정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치 오프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보다 길면, 상기 프린터 유닛의 초기화처리를 실행한 후에, 상기 인쇄장치를 상기 제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 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스위치 오프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보다 짧거나 상기 소정 시간과 같으면, 상기 프린터 유닛의 초기화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인쇄장치를 상기 제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40185671A 2013-12-26 2014-12-22 인쇄장치,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201500760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69115 2013-12-26
JP2013269115A JP6362326B2 (ja) 2013-12-26 2013-12-26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094A true KR20150076094A (ko) 2015-07-06

Family

ID=5348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5671A KR20150076094A (ko) 2013-12-26 2014-12-22 인쇄장치,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48295B2 (ko)
JP (1) JP6362326B2 (ko)
KR (1) KR20150076094A (ko)
CN (1) CN1047541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2208B2 (ja) * 2015-07-10 2020-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6589681B2 (ja) 2016-02-19 2019-10-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起動制御方法および起動制御プログラム
JP7005229B2 (ja) * 2017-08-24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1660B2 (ja) 1991-09-25 1999-06-2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プリンタ
JPH1184836A (ja) * 1997-09-02 1999-03-3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0330426A (ja) * 1999-05-17 2000-11-30 Hitachi Ltd 電子写真装置
DE60317979T2 (de) * 2002-07-19 2008-12-04 Seiko Epson Corp. Bilderzeugungsgerät und Verfahren zur Bildherstellung
JP4304574B2 (ja) * 2002-10-23 2009-07-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544459B1 (ko) * 2003-02-21 2006-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무기기의 메인터넌스 자동 수행장치 및 그 방법
JP4901294B2 (ja) * 2006-04-28 2012-03-21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5193666B2 (ja) * 2008-04-25 2013-05-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535171B2 (ja) * 2008-06-13 2010-09-01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1028358A (ja) * 2009-07-22 2011-02-10 Fuji Xerox Co Ltd 状態移行制御装置、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800479B2 (ja) * 2010-09-08 2015-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管理システム、電子機器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55225B1 (ko) * 2010-11-23 2017-07-07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JP5825887B2 (ja) * 2011-07-05 2015-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84361B2 (ja) * 2011-11-08 2016-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61156B2 (ja) * 2012-03-06 2018-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3218367A (ja) * 2012-04-04 2013-10-2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6056463B2 (ja) * 2012-12-27 2017-01-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5680A1 (en) 2015-07-02
CN104754161A (zh) 2015-07-01
CN104754161B (zh) 2019-01-11
JP6362326B2 (ja) 2018-07-25
JP2015123650A (ja) 2015-07-06
US9348295B2 (en)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3853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pow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10536600B2 (en)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holding received print job and control method of printing apparatus
KR101636184B1 (ko)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956344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hibernation function according to device connection state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2015006261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071510B2 (ja)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80224795A1 (en) Printing system including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control apparatus
JP6008545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43281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a high-speed startup process in response to a power-on operation, and recording medium
JP2013215976A5 (ko)
US2015006261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data leakag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KR20150076094A (ko) 인쇄장치,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US10033895B2 (en) Printing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power state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596095B1 (ko) 인쇄 장치 및 기록 매체
US2014004064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115345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US110640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ime of shift to low-power consumption operation mode,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storage medium
US2018006334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11327769B2 (en) Control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art-up method thereof
US2013026560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12532798A (zh) 信息处理装置以及记录媒体
JP2020104263A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