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225B1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225B1
KR101755225B1 KR1020100116623A KR20100116623A KR101755225B1 KR 101755225 B1 KR101755225 B1 KR 101755225B1 KR 1020100116623 A KR1020100116623 A KR 1020100116623A KR 20100116623 A KR20100116623 A KR 20100116623A KR 101755225 B1 KR101755225 B1 KR 101755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post
forming apparatus
power mod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103A (ko
Inventor
송현수
박상규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6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225B1/ko
Priority to US13/067,103 priority patent/US9008530B2/en
Publication of KR20120055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17Post-fixing device
    • G03G2215/00426Post-treatment device adding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product

Abstract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이 형성되어 배출된 프린팅매체에 대해 정렬, 소팅, 그룹핑, 폴딩, 스테이플링, 바인딩 및 펀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후처리를 수행하는 후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모드가 화상형성장치의 일부 구성에 전원이 차단되는 저전력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저전력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가 진행중인 잡(Job)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진행중인 잡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후처리장치에 전원공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저전력모드에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저전력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 시 후처리장치의 초기화에 의해 후처리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용지의 낭비 및 불필요한 재처리 작업을 방지하며, 동작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이 형성된 프린팅매체에 대한 후처리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화상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기기로서, 인쇄 방식에 따라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전자사진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복사기, 팩스,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가지는 복합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최근 들어, 화상형성장치는 문서를 출력하는 인쇄 기능 뿐 아니라 스캐너, 팩스 등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복합기와 같은 사무 자동화 기기로서의 수요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수행 가능한 고유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고성능으로 점차 개발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는 인쇄가 완료된 프린팅매체에 대한 후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후처리장치(피니셔: Finisher)가 연결 또는 포함될 수 있다.
후처리장치는 인쇄가 완료된 프린팅매체에 대해 정렬, 소팅(sorting), 그룹핑(grouping), 바인딩(binding), 폴딩(folding), 스테플링(stapling), 펀칭(punching) 등의 작업을 하는 장치이다.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팅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일부 구성에 전력 공급을 중지하는 저전력모드(이하, 절전모드 라고도 한다)를 가질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팅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저전력모드에 진입한다. 저전력모드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구성 즉, 화상형성부, 스캐닝부, 사용자 인터페이스(UI)부와 같은 일부 구성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전원모드가 저전력모드에 진입하면 후처리장치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후처리장치에는 배출된 프린팅매체를 정렬시키는 한 쌍의 템퍼(Temper) 부재로 이루어진 매체정렬부와, 매체정렬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프린팅매체가 적재되는 스태커(Stacker)가 마련된다.
화상형성장치가 후처리 옵션을 포함하는 인쇄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팅매체에 화상을 형성하고 화상이 형성된 프린팅매체를 후처리장치의 배지부로 이송하여 정렬 및 후처리를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후처리가 완료된 프린팅매체는 스태커에 적재된다. 이러한 후처리 작업은 잡(Job) 단위로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화상형성장치가 인쇄명령에 대응하는 잡을 완료하지 못한 상태에서 프린팅매체 부족 등의 이유로 화상형성이 중단되면, 후처리장치는 매체정렬부에 프린팅매체가 위치한 상태로, 화상형성장치에서 프린팅매체의 재공급 등에 의해 화상형성이 다시 시작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여기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화상형성장치가 저전력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후처리장치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화상형성장치가 저전력모드로 진입한 이후에 프린팅매체가 재공급되면, 화상형성장치는 매체 재공급에 의해 저전력모드에서 워밍업모드로 전환되고, 후처리장치에도 전원이 재공급된다.
여기서, 후처리장치는 전원의 재공급에 따라 후처리장치의 초기화를 진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매체정렬부에 대기중이던 프린팅매체가 후처리 작업없이 스태커로 떨어지게 되고, 해당 잡의 재공급된 프린팅매체가 매체정렬부로 배지되면 후처리 작업과 함께 중단되었던 잡을 완료하게 된다.
예컨대, 30매의 프린팅매체에 후처리 옵션으로서 스테플링을 포함하는 잡에 대해, 17매가 매체정렬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용지부족으로 잡이 완료되지 못하고 저전력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이후 프린팅매체가 재공급되면 후처리장치의 초기화에 의해 17매가 후처리 작업없이 스태커에 적재되므로, 잡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스테이플링되지 않은 17매의 프린팅매체와 스테이플링된 13매의 프린팅매체라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가 잡을 진행중인 상태에서 저전력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후처리장치에 전원공급을 유지하도록 하여 일반모드로 전환 시 후처리장치의 초기화에 의해 후처리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형성장치가 잡을 진행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고 후처리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며, 저전력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 시 전원이 재인가된 후처리장치가 저장된 정보에 따라 초기화를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후처리작업을 포함하는 잡을 정상적으로 완료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저전력모드에서 후처리장치의 전원공급 여부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옵션을 제시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화상이 형성되어 배출된 프린팅매체에 대해 정렬, 소팅, 그룹핑, 폴딩, 스테이플링, 바인딩 및 펀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후처리를 수행하는 후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모드가 화상형성장치의 일부 구성에 전원이 차단되는 저전력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저전력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가 진행중인 잡(Job)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진행중인 잡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후처리장치에 전원공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저전력모드에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진행중인 잡이 후처리 작업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모드가 저전력모드에서 일반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일반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모드가 일반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모드가 일반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진행중인 잡을 완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화상이 형성되어 배출된 프린팅매체에 대해 정렬, 소팅, 그룹핑, 폴딩, 스테이플링, 바인딩 및 펀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후처리를 수행하는 후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모드가 화상형성장치의 일부 구성에 전원이 차단되는 저전력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저전력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가 진행중인 잡(Job)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진행중인 잡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후처리장치에 대한 초기화 스킵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후처리장치에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저전력모드에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진행중인 잡이 후처리 작업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모드가 저전력모드에서 일반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일반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초기화 스킵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처리장치의 초기화를 배제한 상태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모드가 일반모드로 전환되는 단계와; 상기 전원모드가 일반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진행중인 잡을 완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화상이 형성되어 배출된 프린팅매체에 대해 정렬, 소팅, 그룹핑, 폴딩, 스테이플링, 바인딩 및 펀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후처리를 수행하는 후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모드가 화상형성장치의 일부 구성에 전원이 차단되는 저전력모드 진입 시, 상기 후처리장치에 대한 전원공급여부에 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저전력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저전력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가 진행중인 잡(Job)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진행중인 잡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도록 상기 후처리장치에 선택적으로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저전력모드에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에서 상기 저전력모드 진입 시 후처리장치에 전원을 차단하도록 선택하는 경우, 상기 진행중인 잡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후처리장치에 대한 초기화를 스킵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프린팅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화상이 형성되어 배출된 프린팅매체에 대해 정렬, 소팅, 그룹핑, 폴딩, 스테이플링, 바인딩 및 펀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후처리를 수행하는 후처리장치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모드가 화상형성장치의 일부 구성에 전원이 차단되는 저전력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저전력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가 진행중인 잡(Job)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진행중인 잡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후처리장치에 전원공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저전력모드에 진입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행중인 잡이 후처리 작업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모드가 저전력모드에서 일반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일반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모드가 일반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모드가 일반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진행중인 잡을 완료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 및 상기 후처리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프린팅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화상이 형성되어 배출된 프린팅매체에 대해 정렬, 소팅, 그룹핑, 폴딩, 스테이플링, 바인딩 및 펀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후처리를 수행하는 후처리장치와; 저장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모드가 화상형성장치의 일부 구성에 전원이 차단되는 저전력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저전력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가 진행중인 잡(Job)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진행중인 잡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상기 후처리장치에 대한 초기화 스킵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후처리장치에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저전력모드에 진입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행중인 잡이 후처리 작업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모드가 저전력모드에서 일반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일반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초기화 스킵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처리장치의 초기화를 배제한 상태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모드가 일반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원모드가 일반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진행중인 잡을 완료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 및 상기 후처리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프린팅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화상이 형성되어 배출된 프린팅매체에 대해 정렬, 소팅, 그룹핑, 폴딩, 스테이플링, 바인딩 및 펀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후처리를 수행하는 후처리장치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모드가 화상형성장치의 일부 구성에 전원이 차단되는 저전력모드 진입 시, 상기 후처리장치에 대한 전원공급여부에 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저전력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저전력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가 진행중인 잡(Job)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진행중인 잡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도록 상기 후처리장치에 선택적으로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저전력모드에 진입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저전력모드 진입 시 후처리장치에 전원을 차단하도록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행중인 잡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후처리장치에 대한 초기화를 스킵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은 화상형성장치가 잡을 진행중인 상태에서 저전력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후처리장치에 전원공급을 유지하도록 하여 일반모드로 전환 시 후처리장치의 초기화에 의해 후처리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용지의 낭비 및 불필요한 재처리 작업을 방지하며, 동작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가 잡을 진행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고 후처리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며, 저전력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 시 전원이 재인가된 후처리장치가 저장된 정보에 따라 초기화를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후처리작업을 포함하는 잡을 정상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저전력모드에서 후처리장치의 전원공급 여부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측면도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후처리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100)는 프린터, 복사기, 팩스,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가지는 복합기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에는 화상이 형성되어 배출되는 프린팅매체에 대한 후처리를 수행하는 후처리장치(피니셔: Finisher)(20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후처리장치(200)는 일종의 옵션(Option) 장치로서,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나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 채널을 통해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처리장치(2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일측 예컨대, 상측에 결합되어 화상이 형성되어 배출된 프린팅매체에 대하여 후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100)는 후처리 옵션을 포함하는 인쇄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매체공급부(120)으로부터 급지된 프린팅매체를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이송경로 P2를 거쳐 후처리장치(200) 내의 이송경로 P2를 따라 후처리장치(200)에 마련된 제2 배지부(240)로 이송 및 배출(Eject)하게 된다.
인쇄명령이 후처리 옵션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프린팅매체를 이송경로 P1을 통해 이송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마련된 제1 배지부(140)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는 후처리장치(200)가 별도의 장치로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일측에 결합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후처리장치(2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후처리장치(200)가 착탈 가능한 별도의 장치로 마련되는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100)와 후처리장치(200)가 별도의 장치로서 상호간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와, 화상형성장치(100)가 후처리장치(200)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부(110), 매체공급부(120), 제1 이송부(130), 제1 배지부(1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UI) Unit, 이하 UI부 라고도 한다)(150), 저장부(160), 제1 통신부(170), 제1 제어부(180) 및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입력부(151)와 표시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을 독취하여 스캔이미지를 생성하는 스캐닝부(미도시), 팩스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팩스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상형성부(110)는 인쇄명령이 있으면 인쇄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매체(용지)에 인쇄되는 화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인쇄는 원고를 스캔한 후의 복사를 위한 인쇄, 수신된 팩스데이터의 인쇄, 서버를 포함하는 호스트장치(30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화상형성장치(100)의 내부(HDD) 또는 외부(USB 메모리)에 저장된 인쇄데이터의 인쇄를 포함한다.
도 2는 화상형성부(110)로서,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모노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예로 들어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부(110)는 상담지체(111)와, 상담지체(111) 상에 레이저 빔을 주사하여 잠상(latent image)을 광주사유니트(113)와, 잠상에 대해 토너 화상을 현성하는 현상유니트(115)와, 상담지체(111) 상에 형성된 화상을 이송경로(P1, P2)를 따라 이송되는 프린팅매체(M) 상에 전사하는 전사유니트(117), 프린팅매체(M)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니트(13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사진 방식에 의하여 모노 화상을 인쇄매체 상에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예로 들어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잉크젯 방식 또는 열전사 방식 등에 의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부(110)가 단색 현상제(일반적으로 블랙)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단색 화상형성장치와 4색 현상제를 사용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컬러 화상형성장치 및 4색 현상제 이외에 백색 현상제와 같은 보조 현상제를 사용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다색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한다.
매체공급부(120)는 화상형성부(110)에 프린팅매체(M)를 공급하며, 프린팅매체(M)가 적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급지트레이를 포함한다. 매체공급부(110)는 프린팅매체의 공급방식에 따라 자동급지장치(ADF), 양면자동급지장치(DADF)를 포함하며, 급지트레이에 적재된 프린팅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지트레이는 급지카세트, 수동급지 트레이, 옵션 트레이(Optional Tr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이송부(130)는 매체공급부(110)에서 급지된 프린팅매체를 화상형성부(120)를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한다.
제1 이송부(130)는 제1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인쇄명령이 후처리 옵션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프린팅매체를 도 1의 이송경로 P1을 통해 이송한다. 이송된 프린팅매체는 제1 배지부(140)를 통해 배출(Eject) 된다.
인쇄명령이 후처리 옵션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이송부(130)는 제1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매체공급부(120)로부터 급지된 프린팅매체를 도 1의 화상형성장치(100) 내 이송경로를 거쳐, 후처리장치(200)의 이송경로 P2로 전달한다. 후처리장치(200)는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전달된 프린팅매체를 이송경로 P2를 통과하도록 이송하여 제2 배지부(240)로 배출(Eject)하게 된다.
제1 배지부(140)는 화상이 인쇄된 프린팅매체를 화상형성장치(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롤러(141)와 배출된 프린팅매체를 수납하는 적재부(빈: Bin)(143)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고, 그 결과를 표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51)와, 화상형성장치(100)의 설정 및 동작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152)를 포함한다.
입력부(151)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마련되는 키버튼(이하, 하드키 또는 키패드 라고도 한다)과,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어 사용자로부터 터치 등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도록 표시부(161)에 표시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포함한다.
표시부(152)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및 LCD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가 인쇄와 같은 잡(Job) 수행 중 저전력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후처리장치(200)에 대한 전원공급 여부에 대한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화상형성장치(100)는 사용자가 저전력모드에서 후처리장치(200)에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선택하는 경우, 후술하는 저장부(160)에 후처리장치(200)의 초기화 스킵(skip) 정보를 저장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각 사용자 계정별로 할당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 받는 로그인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로그인은 별도의 없이 접근 제한 없이, 화상형성장치(100)의 모든 환경에 대한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한, 관리자(Administrator) 모드의 로그인을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각 사용자의 로그인 또는 관리자 모드의 로그인이 수행되면, 이에 대한 식별 및 인증(Permission)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설정된 설정값은 저장부(160)에 저장된다.
저장부(16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각종 설정값 외에, 외부로부터 수신된 인쇄데이터나, 팩스데이터, 스캐닝부를 통해 생성된 스캔이미지, 사용자 계정 별로 설정된 사용자 등록정보, 사용자 인증정보, 사용권한 정보 등과 같은 각종 정보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HDD와 같은 내장용 저장매체나, USB 메모리, 메모리카드(메모리 스틱, CF 카드, MMC)와 같은 외장용 또는 휴대용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 화상형성장치(100)의 저장부(160)는 후처리장치(200)의 초기화 스킵(skip) 정보(또는, 후처리작업 잔류 정보)가 저장되는 별도의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내에는 초기화 스킵 정보가 기억되는 버퍼(buffer)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위와 같은 초기화 스킵정보가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후처리장치(200)내에 마련할 수도 있다.
제1 제어부(180)는 후처리옵션을 포함하는 잡(Job)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전력모드에 진입하면, 추후 워밍업 시 후처리장치(200)가 전원오프 상태에서 전원이 재인가되는 경우라도 초기화를 수행하지 않도록, 후처리장치(200)의 초기화 스킵정보를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화상형성장치(100)가 워밍업이 되어 중단되었던 잡이 완전히 완료되면 저장부(160)에 저장되었던 초기화 스킵 정보는 삭제될 수 있다.
이에, 잡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저전력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 시 후처리장치(200)의 초기화 없이 구동되므로, 후처리작업의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1 통신부(170)는 후처리장치(200), 호스트장치(미도시)를 포함하는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제1 통신부(170)는 후처리장치(200), 호스트장치(미도시)와 같은 외부장치와 소정 프로토콜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가능한 유무선 통신모듈이나, 범용 시리얼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나 범용 비동기식 송수신기(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와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80)는 인쇄명령을 수신하면 매체공급부(120)로부터 프린팅매체를 공급받아 화상을 형성하도록 화상형성부(110)를 제어하고, 화상이 형성된 프린팅매체를 이송하도록 제1 이송부(130)를 제어한다.
여기서, 수신된 인쇄명령이 후처리옵션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제어부(180)는 프린팅매체가 후처리장치(200)로 배출되도록 제1 이송부(130)의 이송경로를 제어하고, 후처리장치(200)의 제2 이송부(130)의 이송경로를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하여 후처리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17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1 제어부(180)는 인쇄명령이 후처리옵션을 포함함을 후처리장치(200)에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1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 및 후처리장치(200)의 각 구성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 화상형성장치(100)는 프린팅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일부 구성에 전력 공급을 중지하는 저전력(Power Save)모드 (이하, 절전모드 라고도 한다)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80)는 프린팅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로 기설정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저전력모드에 진입하도록 전원공급부(190)를 제어한다. 저전력모드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구성 즉, 화상형성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와 같은 일부 구성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킨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전력모드 진입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별도의 파워 세이브 버튼(미도시)이 마련되어, 파워 세이브 버튼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되면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전력모드에 진입할 수도 있다.
후처리장치(2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제1 이송부(130)로부터 프린팅매체를 전달받아 제2 이송부(230)를 통해 제2 배지부(240)로 배출하고, 배출된 프린팅매체에 대하여 후처리를 수행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처리장치(200)는 후처리부(210), 제2 이송부(230), 제2 배지부(240), 제2 통신부(270) 및 제2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제2 배지부(240)는 매체정렬부(241)와 스태커(243)를 포함한다.
후처리부(210)는 인쇄가 완료된 프린팅매체에 대해 소정 후처리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후처리는 프린팅매체를 책 형태로 만들기 위해 프린팅매체의 일부분에 풀칠 등을 하여 제본하는 바인딩(binding), 프린팅매체의 일부분을 접는 폴딩(folding), 스테이플을 이용하여 프린팅매체를 묶는 스테플링(stapling), 프린팅매체의 일부분에 구멍을 뚫는 펀칭(punching)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 후처리장치(200)는 후처리작업으로서 프린팅매체의 정렬, 소팅(sorting), 그룹핑(grouping) 등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매체정렬부(241)는 도 4와 같이 소정 거리를 두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템퍼(Temper)부재로서, 좌우로 움직이면서 배출되는 프린팅매체를 정렬하여 후처리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템퍼는 인쇄가 완료되어 배출되는 프린팅매체를 임시로 적재 및 냉각하고, 소정 매수의 프린팅매체가 템퍼에 누적되면 누적된 프린팅매체의 측면을 가이드하여 정렬하고 하단의 스태커(243)에 내려놓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매체정렬부(241)는 배출되는 프린팅매체의 종류 즉, 사이즈(size)에 따라 프린팅매체의 폭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템퍼 간의 이격된 거리 즉, 폭이 제어된다.
제2 이송부(23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제1 이송부(130)로부터 프린팅매체를 전달받아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이송부(230)는 도 2 및 도 5의 이송경로 P2를 따라 프린팅매체를 이송한다.
제2 배지부(240)는 화상이 인쇄된 프린팅매체를 후처리를 위해 배출하는 배지롤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제2 통신부(27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2 통신부(270)는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매체정렬부(241)의 폭 제어에 관한 명령을 수신한다.
제2 통신부(27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소정 프로토콜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가능한 유무선 통신모듈이나, 범용 시리얼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나 범용 비동기식 송수신기(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와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80)는 제2 통신부(270)를 통해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인쇄명령이 후처리옵션을 포함함을 통지 받으면, 화상형성장치(100)의 제1 이송부(130)로부터 프린팅매체를 전달받아 이송경로 P2를 따라 이송하도록 제2 이송부(230)를 제어하고, 이송된 프린팅매체를 배출하도록 제2 배지부(240)를 제어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후처리장치(2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모드에 따라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된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의 제1 제어부(180)는 최초 전원공급 시 또는 저전력모드에서 인쇄와 같은 잡(Job) 수행 명령이 수신되면 워밍업(Warming Up)모드에 진입하도록 전원공급부(190)를 제어한다.
워밍업모드에서는 후처리장치(200)에도 전원이 공급되며, 후처리장치(200)가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후처리장치(200)의 초기화 작업이 수행된다. 초기화작업은 화상형성장치(100)가 워밍업모드에 진입하고, 후처리장치(200)의 연결(장착) 여부가 최초로 인식되는 시점에 수행된다.
여기서, 후처리장치(200)는 초기화작업으로서 복구 작업을 수행한다. 예컨대, 후처리장치(200)에 프린팅매체가 걸려 있거나, 기구적인 문제로 동작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도어 개폐와 같은 이벤트를 통해 워밍업모드에 진입한 경우 이러한 복구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워밍업이 완료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이 가능한 레디(Ready)모드가 된다. 경우에 따라, 레디모드에서 후처리장치(200)의 초기화작업이 진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화상형성장치(100)에 후처리장치(20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장착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후처리장치(200)는 레디모드에서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워밍업이 완료된 상태 또는 레디 상태에서 인쇄명령이 있으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일반모드(이하, 정상모드, 노멀(Normal)모드 또는 화상형성모드 라고도 한다)로 전환된다. 일반모드에서 제1 제어부(180)는 후처리장치(200)와 프린팅매체의 배지 및 후처리작업과 관련한 일련의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제1 통신부(170)를 제어한다. 후처리장치(200)의 제2 제어부(280)는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프린팅매체의 배지 및 후처리작업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70)를 제어하고, 후처리장치(100)의 동작상태, 프린팅매체의 위치, 에러정보 등을 화상형성장치(100)에 송신한다.
본 발명 화상형성장치(100)는 진행중인 잡(Job)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전력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면, 후술하는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해 후처리장치(200)에 전원공급이 유지 또는 차단된다.
도 6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는 후처리작업을 포함하는 인쇄명령에 대하여 인쇄동작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매체공급부(120)에 적재된 프린팅매체(용지)의 부족 등에 의해 인쇄동작이 중단된 상태로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전력모드에 진입하는 경우로서, 예컨대, 화상형성장치(100)가 30매에 대한 스테플링 작업을 포함하는 인쇄명령을 수신하고, 17매를 매체정렬부(241)에 배출한 상태에서 13매의 용지부족에 의해 인쇄동작이 중단된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18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전력모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602). 여기서, 화상형성장치(100)가 인쇄동작이 중단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되거나, 파워 세이브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수신 등에 의해 저전력모두 진입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
단계 602에서 저전력모드 진입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제1 제어부(18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진행중인 잡(Job)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604).
단계 604에서 진행중인 잡이 존재하는 경우, 제1 제어부(180)는 해당 잡이 후처리작업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606).
단계 606에서 진행중인 잡이 후처리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1 제어부(180)는 후처리장치(200)에 전원공급을 유지하도록 전원공급부(190)를 제어한다(608). 이에, 후처리장치(200)는 매체정렬부(241)에 17매의 프린팅매체가 위치한 상태로 전원공급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단계 604에서 진행중인 잡이 존재하지 않거나, 단계 606에서 진행중인 잡이 후처리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제어부(180)는 후처리장치(2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610).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는 저전력모드로 진입한다(612).
제1 제어부(180)는 저전력모드의 화상형성장치(100)에 대하여 워밍업모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614). 여기서, 부족한 프린팅매체가 매체공급부(120)에 재공급되면, 화상형성이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워밍업모드의 진입조건이 만족되는 것일 수 있다.
단계 614에서 화상형성장치(100)가 워밍업모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워밍업을 수행하고 화상형성이 가능한 전원모드인 일반모드로 전환된다(616). 여기서, 후처리장치(200)는 전원공급이 계속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별도의 초기화가 수행되지 않는다.
단계 616에서 화상형성장치(100)가 일반모드로 전환되면, 제1 제어부(180)는 중단되었던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한다(618). 이에, 용지부족으로 중단되었던 13매에 대한 인쇄동작을 수행하여 후처리장치(200)의 매체정렬부(241)로 13매의 화상형성이 완료된 프린팅매체가 배지된다.
제2 제어부(280)는 저전력모드 진입 이전에 대기중이던 17매와 용지공급 이후에 배치된 13매를 포함하는 총 30매의 프린팅매체를 정렬하도록 매체정렬부(241)를 제어하고, 정렬된 프린팅매체에 후처리작업(예컨대, 스테플링)을 수행하도록 후처리부(210)를 제어한다. 그리고, 후처리가 완료된 프린팅매체는 스태커(243)에 적재된다.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후처리작업을 포함하는 잡이 완료되기 전에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전력모드에 진입하더라도, 후처리장치(200)에는 전원공급이 계속 유지되므로, 후처리작업의 오류없이 인쇄가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후처리작업을 포함하는 인쇄명령에 대하여 인쇄동작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매체공급부(120)에 적재된 프린팅매체(용지)의 부족 등에 의해 인쇄동작이 중단된 상태로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전력모드에 진입하는 경우로서, 예컨대, 화상형성장치(100)가 30매에 대한 스테플링 작업을 포함하는 인쇄명령을 수신하고, 17매를 매체정렬부(241)에 배출한 상태에서 13매의 용지부족에 의해 인쇄동작이 중단된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18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전력모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702). 여기서, 화상형성장치(100)가 인쇄동작이 중단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되거나, 파워 세이브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수신 등에 의해 저전력모두 진입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
단계 702에서 저전력모드 진입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제1 제어부(18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진행중인 잡(Job)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704).
단계 604에서 진행중인 잡이 존재하는 경우, 제1 제어부(180)는 해당 잡이 후처리작업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706).
단계 606에서 진행중인 잡이 후처리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1 제어부(180)는 후처리장치(200)의 초기화 스킵 정보(또는, 후처리작업 잔류 정보)를 저장부(160)에 저장한다(708). 여기서, 초기화 스킵 정보는 후처리장치(200)가 전원오프 상태에서 전원이 온 되는 경우, 초기화를 수행하지 않도록 하는 정보가 된다.
그리고, 제1 제어부(180)는 후처리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도록 전원공급부(190)를 제어한다(710). 이에, 후처리장치(200)는 매체정렬부(241)에 17매의 프린팅매체가 위치한 상태로 전원이 차단된다.
단계 704에서 진행중인 잡이 존재하지 않거나, 단계 706에서 진행중인 잡이 후처리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제어부(180)는 후처리장치(2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710).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는 저전력모드로 진입한다(712).
제1 제어부(180)는 저전력모드의 화상형성장치(100)에 대하여 워밍업모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714). 여기서, 부족한 프린팅매체가 매체공급부(120)에 재공급되면, 화상형성이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워밍업모드의 진입조건이 만족되는 것일 수 있다.
단계 714에서 화상형성장치(100)가 워밍업모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1 제어부(180)는 저장부(160)에 초기화 스킵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716).
단계 716에서 초기화 스킵정보가 저장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즉 단계 708에서 초기화 스킵정보가 미리 저장된 경우에 해당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워밍업을 수행하고 화상형성이 가능한 전원모드인 일반모드(또는, 정상모드, 노멀(Normal)모드, 화상형성모드)로 전환된다(616). 여기서, 후처리장치(200)는 별도의 초기화를 수행하지 않는다.
단계 716에서 초기화 스킵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후처리장치(200)는 초기화를 수행한다(718). 여기서, 후처리장치(200)의 초기화는 각 구성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것으로, 매체정렬부(241)에 대기중이던 프린팅매체를 스태커(243)로 적재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후처리장치(200)의 초기화가 완료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일반모드로 전환된다(720).
단계 720에서 화상형성장치(100)가 일반모드로 전환되면, 제1 제어부(180)는 중단되었던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한다(722). 이에, 용지부족으로 중단되었던 13매에 대한 인쇄동작을 수행하여 후처리장치(200)의 매체정렬부(241)로 13매의 화상형성이 완료된 프린팅매체가 배지된다.
제2 제어부(280)는 저전력모드 진입 이전에 대기중이던 17매와 용지공급 이후에 배치된 13매를 포함하는 총 30매의 프린팅매체를 정렬하도록 매체정렬부(241)를 제어하고, 정렬된 프린팅매체에 후처리작업(예컨대, 스테플링)을 수행하도록 후처리부(210)를 제어한다. 그리고, 후처리가 완료된 프린팅매체는 스태커(243)에 적재된다.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후처리작업을 포함하는 잡이 완료되기 전에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전력모드에 진입하면, 저장부(160)에 후처리 스킵정보를 저장하고 후처리장치(2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추후 후처리장치(200)에 전원이 재공급되더라도 후처리장치(200)의 초기화가 생략되므로 후처리작업의 오류없이 인쇄가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화상형성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이용한 사용자 설정에 대응하도록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원제어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진행중인 잡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후처리장치(200)에 전원 공급을 계속하도록 선택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원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가 진행중이 잡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후처리장치(200)에 전원을 차단하도록 선택하면, 화상형성장치(200)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원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은 사용자 선택 여부와 관계없이 화상형성장치(100)는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디폴트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화상형성장치 110: 화상형성부
120: 매체공급부 130: 제1 이송부
140: 제1 배지부 1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51: 입력부 152: 표시부
160: 저장부 170: 제1 통신부
180: 제1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200: 후처리장치 210: 후처리부
230: 제2 이송부 240: 제2 배지부
241: 매체정렬부 243: 스태커
270: 제2 통신부 280: 제2 제어부

Claims (20)

  1. 화상이 형성되어 배출된 프린팅매체에 대해 정렬, 소팅, 그룹핑, 폴딩, 스테이플링, 바인딩 및 펀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후처리를 수행하는 후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모드가 일반모드인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일부 구성에 전원이 차단되는 저전력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저전력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가 진행중인 잡(Job)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진행중인 잡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후처리장치에 전원공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저전력모드에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모드가 저전력모드인 상태에서, 일반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일반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모드가 일반모드로 전환되는 단계와;
    상기 전원모드가 일반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진행중인 잡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중인 잡이 후처리 작업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모드가 상기 저전력모드 진입 시 상기 후처리장치에 대한 전원공급여부에 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에서 상기 저전력모드 진입 시 후처리장치에 전원을 차단하도록 선택하는 경우,
    상기 진행중인 잡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후처리장치에 대한 초기화 스킵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1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프린팅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화상이 형성되어 배출된 프린팅매체에 대해 정렬, 소팅, 그룹핑, 폴딩, 스테이플링, 바인딩 및 펀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후처리를 수행하는 후처리장치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모드가 일반모드인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일부 구성에 전원이 차단되는 저전력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저전력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가 진행중인 잡(Job)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진행중인 잡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후처리장치에 전원공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저전력모드에 진입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모드가 저전력모드인 상태에서, 일반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일반모드로의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모드가 일반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원모드가 일반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진행중인 잡을 완료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 및 상기 후처리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행중인 잡이 후처리 작업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모드가 상기 저전력모드 진입 시 상기 후처리장치에 대한 전원공급여부에 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행중인 잡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도록 상기 후처리장치에 선택적으로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저전력모드에 진입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저전력모드 진입 시 후처리장치에 전원을 차단하도록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행중인 잡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후처리장치에 대한 초기화 스킵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00116623A 2010-11-23 2010-11-2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KR101755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623A KR101755225B1 (ko) 2010-11-23 2010-11-2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US13/067,103 US9008530B2 (en) 2010-11-23 2011-05-09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623A KR101755225B1 (ko) 2010-11-23 2010-11-2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103A KR20120055103A (ko) 2012-05-31
KR101755225B1 true KR101755225B1 (ko) 2017-07-07

Family

ID=46064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623A KR101755225B1 (ko) 2010-11-23 2010-11-2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08530B2 (ko)
KR (1) KR1017552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8429B2 (ja) * 2009-08-11 2014-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127404B2 (ja) * 2011-09-27 2017-05-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5932518B2 (ja) 2012-06-26 2016-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6362342B2 (ja) * 2013-03-29 2018-07-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5089673A (ja) 2013-11-07 2015-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62326B2 (ja) * 2013-12-26 2018-07-25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6381275B2 (ja) * 2014-05-07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6504865B2 (ja) * 2015-03-13 2019-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該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35744B2 (ja) * 2015-10-15 2020-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72111B2 (ja) * 2015-11-27 2019-09-04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
JP6589643B2 (ja) * 2016-01-07 2019-10-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7154367A (ja) * 2016-03-01 2017-09-0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管理装置
JP6669021B2 (ja) * 2016-09-13 2020-03-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191260B2 (ja) * 2018-08-22 2022-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シート搬送装置
JP7054371B2 (ja) * 2018-08-22 2022-04-13 キヤノン株式会社 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KR20210026068A (ko) * 2019-08-29 2021-03-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슬립 모드에서 수동 스테이플링 작업 모드로 전환
US11675290B2 (en) * 2021-03-17 2023-06-13 Lexmark International, Inc. Reusable media packaging for imag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6870A (ja) * 2004-03-05 2005-09-15 Canon Inc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70285717A1 (en) 2006-06-08 2007-12-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090070604A1 (en) 2007-09-06 2009-03-12 Shunichi Kumakur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ic Power Consumption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7794B2 (en) * 2003-03-07 2005-01-25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device
US7725017B2 (en) * 2005-11-09 2010-05-25 Panasonic Corporation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pickup system
JP5282268B2 (ja) * 2008-06-19 2013-09-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定着温度の制御方法
JP5555444B2 (ja) * 2009-04-13 2014-07-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3092940A (ja) * 2011-10-26 2013-05-16 Canon Inc 電子機器及びその電力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6870A (ja) * 2004-03-05 2005-09-15 Canon Inc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70285717A1 (en) 2006-06-08 2007-12-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090070604A1 (en) 2007-09-06 2009-03-12 Shunichi Kumakur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ic Power Consumption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08530B2 (en) 2015-04-14
KR20120055103A (ko) 2012-05-31
US20120128385A1 (en)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225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US9022388B2 (en) Sheet stack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5277197B2 (ja) 画像形成装置
JP5078496B2 (ja)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US2007018015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job control method
US863207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2008188775A (ja) 印刷ジョブの管理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736978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forming at least one input image on at least one sheet surface and also of forming a selected prestored image on an otherwise blank surface of the sheet
US8167295B2 (en) Prin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256558B1 (en) Job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JP457444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300746A (ja) 画像形成装置
JP6362342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689517B1 (ko) 화상 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US2015006121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utomatically Setting Noise Reduction
US20200374414A1 (en) Image forming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5132823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431314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976394B2 (en) Prin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first and second user interfaces
KR20100046608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스태플링 유닛 제어방법
JP7411333B2 (ja)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1901840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0143734A (ja) シート処理装置、シート処理装置の制御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6161426B2 (ja)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84229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rinting function and a scanner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