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067A -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해체방법 - Google Patents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해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067A
KR20150076067A KR1020140147280A KR20140147280A KR20150076067A KR 20150076067 A KR20150076067 A KR 20150076067A KR 1020140147280 A KR1020140147280 A KR 1020140147280A KR 20140147280 A KR20140147280 A KR 20140147280A KR 20150076067 A KR20150076067 A KR 20150076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pool
leg
leg portion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8372B1 (ko
Inventor
키요후미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 한소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 한소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 한소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6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2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 Jib Cran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플로팅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 현장에서 골리앗크레인을 조립 또는 해체한다.
풀(3) 내에서 이동 가능한 대선(17)에 거더(8)를 탑재하고, 풀(3)의 수위를 상승시킴으로써, 대선(17)을 상승시켜 거더(8)를 상승시킨다. 또는, 풀(3)의 수위를 저하시킴으로써, 대선(17)을 강하시켜 거더(8)를 강하시킨다. 이로써, 거더(8)를 상하시켜 다리부(18, 19)에 걸쳐 놓는다. 또, 대선을 이용하여 거더를 지지한 상태로 하고, 다리부를 상하로 분단하여 해체한다.

Description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해체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nd disassembling goliath crane}
본 출원은, 2013년 12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3-269779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골리앗크레인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리앗크레인을 현장에서 해체하는 골리앗크레인의 해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조선소의 독에는, 대형의 구조물을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한 골리앗크레인(거대 크레인)이 설치되어 있다. 배의 건조나 수리 등을 행할 때에는, 골리앗크레인을 이용하여 대형의 구조물을 매달아 올려 이동시킬 수 있다. 골리앗크레인은, 해수를 저류 가능한 풀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다리부와, 이러한 한 쌍의 다리부 사이에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걸쳐 놓여진 거더를 가진다.
골리앗크레인을 해체하는 방법으로서,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0-180613호(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해상을 이동 가능한 플로팅크레인을 이용하여 바다측으로부터 골리앗크레인을 그대로 매달아 올려, 소정의 장소에서 천천히 경도(傾倒)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0-180613호
골리앗크레인의 해체에 이용 가능한 플로팅크레인은 일본에는 몇 대밖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일본의 주변국에서는, 예를 들면, 한국에도 몇 대밖에 존재하지 않으며, 대만에는 플로팅크레인은 1대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플로팅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 골리앗크레인을 해체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또, 신규의 골리앗크레인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경우에도, 바다측으로부터 플로팅크레인을 이용하여, 골리앗크레인을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플로팅크레인은 몇 대밖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플로팅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 골리앗크레인을 조립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또, 골리앗크레인을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자립형의 도어형 리프터(스트랜드 잭)를 이용하여, 골리앗크레인의 거더부를 매달아 올리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대상물을 상방으로 매달아 올리기 위한 반송속도가 느려, 공사기간이 길어진다. 또, 스트랜드 잭을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내압(地耐壓)을 확보할 수 없는 독에 있어서, 이 스트랜드 잭을 이용한 공법을 실시할 수 없다. 필요한 지내압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초를 증강하는 데에는 비용이나 시간이 과도하게 들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않다.
본 발명은, 플로팅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 현장에서 골리앗크레인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한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플로팅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 현장에서 골리앗크레인을 해체하는 골리앗크레인의 해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을 저류하는 풀에 걸쳐 배치되는 골리앗크레인을 조립하여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골리앗크레인을 구성하는 강도부재를 대선(臺船)에 탑재하고, 대선을 풀 내로 이동시켜 강도부재를 반입하는 반입공정과, 풀의 수위를 상승시켜 대선을 상승시킴으로써, 강도부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상승공정과, 상방으로 이동한 강도부재를 다른 강도부재에 장착하는 장착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에서는, 풀 내에서 이동 가능한 대선을 이용하여, 골리앗크레인을 구성하는 강도부재를 반입할 수 있다. 풀의 수위를 상승시킴으로써, 대선을 상승시켜, 대선에 탑재되어 있는 강도부재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방으로 이동시킨 강도부재를 다른 강도부재에 장착할 수 있다. 이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플로팅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 대선을 이용하여 강도부재를 반입하고, 강도부재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다른 강도부재에 장착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골리앗크레인은, 풀의 양측의 안벽(岸壁)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다리부와, 한 쌍의 다리부에 걸쳐 놓여지는 거더를 가진다.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은, 다리부를 안벽에 준비하는 다리부 준비공정과, 강도부재인 거더를 대선에 탑재하고, 대선을 풀 내로 이동시켜 거더를 반입하는 반입공정과, 풀의 수위를 상승시켜 대선을 상승시킴으로써, 거더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상승공정과, 풀 내에서 대선을 이동시켜, 거더를 다른 강도부재인 다리부에 접근시키기 위하여 이동시키는 풀 내 이동공정과, 거더를 다리부에 장착하는 장착공정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에서는, 다리부를 안벽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고, 다리부를 세워서 배치하여 다리부를 준비한다. 대선을 이용하여 거더를 반입한다. 풀의 수위를 상승시켜, 대선을 상승시켜서, 거더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대선을 이용하여 거더를 다리부의 근방까지 이동시킨다. 이동시킨 거더를 다리부에 장착한다. 이러한 순서로, 거더를 다리부에 장착할 수 있다.
또,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은, 복수로 분할되어 있는 상태의 거더를 반입하는 반입공정과, 기설(旣設)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거더의 부분을 매달아 올려, 대선 상에서 거더를 연결하여 조립하는 거더 조립공정을 실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로써, 골리앗크레인을 설치하는 장소의 근방까지, 복수로 분할된 상태로 운반하고, 현장에서 기설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복수의 부품을 연결하여 조립할 수 있다.
또,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은, 다리부는 상하로 분할된 상태로 준비되어 있으며, 다리부의 하단부에 마련된 주행장치를 안벽의 궤도 상에 배치함과 함께,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궤도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다리부 준비공정과,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에 거더를 장착하는 장착공정과,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 및 거더를 대선에 실어, 풀의 수위를 상승시켜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 및 거더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상승공정과, 안벽 상에 배치된 임시수용가대 상에, 거더가 조립된 상태의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임시수용하는 임시수용공정과, 거더가 조립된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다리부의 하단부 상에 배치하여 접합하는 다리부 접합공정을 실행해도 된다. 이와 같이, 거더를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에 장착한 상태로 임시수용한 후에, 주행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다리부의 하단부에,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접합해도 된다. 이로써, 거더 및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단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고, 풀의 수위의 변동폭 이상의 높이만큼, 거더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은, 풀의 수위를 저하시켜, 대선을 강하하고, 대선의 지지대 상에 높이 조정용의 스페이서를 싣는 지지높이 조정공정과, 스페이서를 탑재한 대선에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이 조립된 상태의 거더를 탑재하고, 수위를 상승시켜, 거더 및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상승공정을 실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를 대선에 탑재함으로써, 대선 상에 있어서의 거더를 지지하는 높이를 높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을 저류하는 풀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골리앗크레인을 해체하는 방법으로서, 골리앗크레인은, 풀의 양측의 안벽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다리부와, 한 쌍의 다리부에 걸쳐 놓여진 거더를 가지는 것이며, 풀 내에서 이동 가능한 대선을 이용하여 거더를 지지하는 거더 지지공정과, 거더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다리부를 절단하여 상하로 분할하는 다리부 분할공정과, 대선을 풀 내에서 이동시켜, 거더 및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이동시키는 풀 내 이동공정과, 풀의 수위를 저하시켜서, 대선을 강하시켜 거더를 강하시키는 강하공정과, 거더 및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안벽에 재치하여 해체하는 해체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골리앗크레인의 해체방법에서는, 풀 내에서 대선을 이동시켜, 대선을 거더의 하방에 배치하고, 풀의 수위를 상승시켜 대선을 상승시키며, 대선을 이용하여 거더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거더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로, 다리부를 상하로 분할한다. 거더 및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탑재한 대선을 풀 내에서 이동시킨다. 풀 내의 수위를 저하시켜, 거더를 지지하고 있는 대선을 강하시킨다. 거더 및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안벽에 재치하여 해체할 수 있다. 이 골리앗크레인의 해체방법에 의하면, 플로팅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 대선을 이용하여 거더를 지지하고, 다리부를 상하로 분할하며, 대선을 이용하여 거더를 이동시켜 강하시키고, 안벽에서 거더 및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분할하여 해체할 수 있다.
골리앗크레인의 해체방법은, 대선을 풀 내에서 이동시켜, 안벽 상에 마련된 임시수용가대를 향하여 거더 및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이동시키는 풀 내 이동공정과,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임시수용가대로 임시수용하는 임시수용공정과, 대선에 있어서 거더를 지지하는 지지높이를 저하시켜, 임시수용가대 상에 재치된 상태의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거더를 지지하는 거더 지지공정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골리앗크레인의 해체방법에서는, 안벽에 마련된 임시수용가대로, 거더 및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임시수용할 수 있으므로, 거더 및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단계적으로 강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단계적으로 강하시킴으로써, 풀의 수위의 변동폭 이상의 높이만큼, 강하시킬 수 있다.
골리앗크레인의 해체방법은, 거더 및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지지하는 대선을, 풀 내에서 회전시켜, 거더의 방향을 바꾸는 회전공정과, 기설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거더 및 다리부의 상부측을 매달아 올려 안벽 상으로 이동시키는 매달아 올림 공정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풀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거더를, 대선을 이용하여 회전시켜 거더가 뻗어 있는 방향을 바꿀 수 있다. 거더가 뻗어 있는 방향을 바꾸어, 풀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히 배치함으로써, 거더를 기설의 크레인의 다리부 사이에 넣을 수 있다. 이로써, 기설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체하는 거더를 매달아 올려, 풀에 인접하는 안벽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플로팅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 현장에서 골리앗크레인을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리앗크레인의 해체방법에 의하면, 플로팅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 현장에서 골리앗크레인을 해체할 수 있다.
도 1은 골리앗크레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다리부가 안벽에 배치되고, 거더부품이 반입되어 있는 상태의 독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거더부품을 탑재한 대선이 Y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는 상태의 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한 쌍의 다리부 본체에 거더를 걸쳐 놓은 상태의 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한 쌍의 다리부 본체를 임시수용가대로 임시수용한 상태의 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지지대에 스페이서를 탑재한 대선을 이용하여, 거더를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대선을 이용하여 거더를 지지하고, 다리부가 연결된 상태의 골리앗크레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골리앗크레인의 해체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골리앗크레인의 거더를, 대선을 이용하여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안벽 상의 임시수용가대로 다리부 본체를 임시수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대선의 지지대로부터 스페이서를 분리시켜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대선을 이용하여 거더를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대선을 이용하여 거더를 이동시켜, 한 쌍의 다리부 본체를 대향하는 안벽에 각각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대선을 회전시켜, 거더의 방향을 변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기설의 골리앗크레인을 이용하여, 거더를 매달아 올려 안벽 상에 배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해체방법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로서,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2 실시형태로서 골리앗크레인의 해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독(1)에 설치된 골리앗크레인(2)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선소의 독(1)에는, 물을 저류하고 수위를 조정 가능한 풀(3)이 마련되고, 풀(3)의 양측에는 안벽(4,5)이 배치되어 있다. 골리앗크레인(2)은, 안벽(4, 5)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다리부(6, 7)와, 한 쌍의 다리부(6, 7)에 걸쳐 놓여진 거더(8)를 구비하고 있다.
독(1)은 바다에 인접하여 마련되고, 풀(3)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풀(3)의 일방의 단부는 바다에 접속되어 있다. 풀(3)의 바다측의 단부에는 개폐게이트(3a)가 마련되어, 해수를 풀(3) 내에 유입시킬 수 있고, 개폐게이트(3a)를 폐쇄함으로써, 풀(3)과 바다와의 사이에서 해수를 막을 수 있다. 풀(3)에는, 풀(3) 내의 수위(WL)를 조정하기 위하여 펌프가 마련되어 있다. 풀(3)과 바다는 배관에 의하여 접속되고, 배관에 펌프가 접속되어 있다. 펌프를 작동하여 풀(3) 내의 물을 바다로 방출함으로써, 풀(3)의 수위(WL)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 펌프를 작동하여, 해수를 풀(3) 내로 보냄으로써, 풀(3)의 수위(WL)를 상승시킬 수 있다. 다만, 풀(3)의 양단부가 바다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다만, 독(1)은 바다에 인접하지 않는 것이어도 되고, 강이나 호수에 인접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 풀(3)의 수위를 조정하는 방법은, 펌프를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방법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풀(3)에 인접하여 저류조를 마련하여, 저류조 내의 물을 풀(3)에 유입시킴으로써, 풀(3)의 수위(WL)를 상승시켜도 된다. 또, 개폐게이트(3a)를 개폐함으로써, 풀(3)의 수위(WL)를 조정해도 된다.
풀(3)에 인접하는 일방의 안벽(4)은, 풀(3)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타방의 안벽(5)보다 넓은 폭(도면 X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을 가지고 있다. 일방의 안벽(4)은, 예를 들면, 조선 시 등에 있어서, 각종 부품, 블록체 등을 재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안벽(4, 5) 상에는, 각각 레일(궤도)(9~12)이 마련되어 있다. 레일(9~12)은, 풀(3)의 길이방향(도면 Y방향)을 따라 뻗어 있다. 레일(9, 11)은 안벽(4) 상에 배치되고, 레일(10, 12)은 안벽(5)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독(1)에는, 골리앗크레인(2) 외에 기설의 골리앗크레인(13, 14)(도 4, 도 5, 도 7 및 도 8 참조)이 마련되어 있다. 골리앗크레인(2, 14)은 한 쌍의 레일(9, 10)을 따라 주행하고, 골리앗크레인(13)은 한 쌍의 레일(11, 12)을 따라 주행한다. 독(1)에서는, 바다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신설의 골리앗크레인(2), 기설의 골리앗크레인(13), 기설의 골리앗크레인(14)이 배치되어 있다.
골리앗크레인(2)은, 한 쌍의 다리부(6, 7)로서, 강각(剛脚)인 다리부(6)와 요각(搖脚)인 다리부(7)를 가진다. 강각의 강성은, 요각의 강성보다 높게 되어 있다. 다리부(6)는 안벽(4)의 레일(9) 위를 이동 가능하고, 다리부(7)는 안벽(5) 상의 레일(10) 위를 이동 가능하다. 다리부(6, 7)의 하단부(6a, 7a)에는, 레일(9, 10)을 주행하기 위한 주행장치(15)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주행장치(15)에는 복수의 차륜이 마련되어 있다.
골리앗크레인(2)은, 거더(8)를 따라 이동 가능한 트롤리(16)를 가지고, 트롤리(16)에는, 중량물을 매달아 올리기 위한 매달아 올림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골리앗크레인(2)은, 중량물을 매달아 올림과 함께 반송할 수 있다. 기설의 골리앗크레인(13, 14)도, 골리앗크레인(2)과 동일한 구성이다.
(골리앗크레인(2)의 제조방법)
다음으로, 골리앗크레인(2)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에서는, 플로팅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 기설의 골리앗크레인(13, 14) 및 대선(17)(도 3 참조)을 이용하여, 골리앗크레인(2)을 조립한다. 도 2는,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다리부 준비공정(S1))
골리앗크레인(2)의 제조방법에서는, 먼저, 다리부 준비공정(S1)을 실행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다리부 준비공정(S1)에서는, 다리부(6, 7)는 상하로 분할된 상태로 준비되어 있다. 다리부(6, 7)는, 주행장치(15)를 포함하는 하단부(6a, 7a)와, 상단부(6b, 7b)를 포함하는 상부측의 부분인 다리부 본체(18, 19)에 상하로 분할되어 있다.
다리부(6)의 하단부(6a)는, 레일(9) 위에 배치되고, 다리부(7)의 하단부(7a)는, 레일(10) 위에 배치되어 있다. 다리부(6)의 다리부 본체(18)는, 안벽(4) 상에 있어서, 레일(9)의 풀(3)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다리부(7)의 다리부 본체(19)는, 안벽(5) 상에 있어서, 레일(10)의 풀(3)과는 반대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다리부 본체(18, 19)는, 상하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되어 있다.
또, 안벽(4) 상에는, 다리부 본체(18)의 풀(3)측에 인접하여, 다리부 본체(18)를 임시수용하기 위한 임시수용가대(26)가 마련되어 있다. 안벽(5)에는, 다리부 본체(19)의 풀(3)과는 반대측에 인접하여, 다리부 본체(19)를 임시수용하는 임시수용가대(27)가 마련되어 있다. 임시수용가대(26, 27)는 후술하는 임시수용공정(S10)에 있어서 이용되는 것이며, 상세는 후술한다. 임시수용가대(26, 27)는, 안벽(4, 5)의 재치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다리부 본체(18, 19)를 지지하는 것이다. 안벽(4, 5)의 재치면이란, 다리부 준비공정(S1)에 있어서, 다리부 본체(18, 19)가 재치되어 있는 면이다.
(반입공정(S2))
다리부 준비공정(S1)을 실행한 후에, 반입공정(S2)을 실행한다. 반입공정(S2)에서는, 대선(17)을 이용하여, 거더(8)를 풀(3) 내에 반입한다. 거더(8)는,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된 상태로, 대선(17)에 탑재되어 반입된다. 거더(8)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예를 들면 3개)로 분할되고, 분할된 부품인 거더부품(20~22)을 가진다. 거더부품(21)은, 거더(8)의 중앙부이다. 거더부품(20)은 일방의 단부이고, 다리부(6)의 상단부(6b)에 연결되는 부품이며, 거더부품(22)은 타방의 단부이고, 다리부(7)의 상단부(7b)에 연결되는 부품이다.
대선(17)은 물 위를 이동 가능하고, 거더(8)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23)를 가진다. 대선(17)에는, 지지대(23)의 상단부에 실려 대선(17)에 있어서의 지지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스페이서(24, 25)가 탑재되어 있다. 대선(17)에는, 지지대(23)의 전후에, 스페이서(24, 25) 및 거더부품(20, 22)을 탑재하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반입공정(S2)에서는, 지지대(23) 상에 거더부품(21)이 탑재되고, 대선(17)의 전측의 영역에, 스페이서(24) 및 거더부품(22)이 탑재되며, 대선(17)의 후측의 영역에, 스페이서(25) 및 거더부품(21)이 탑재되어 있다. 거더부품(20~22)의 길이방향은, 예를 들면, 대선(17)의 전후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거더부품(20)을 탑재한 대선(17)은, 바다측으로부터 개폐게이트(3a)를 통과하여, 풀(3) 내에 진입한다. 다리부 본체(18, 19)의 사이를 빠져 나가, 다리부 본체(18, 19)의 근방까지 반송된다.
(거더 조립공정(S3))
반입공정(S2)을 실행한 후에, 거더 조립공정(S3)을 실행한다. 거더 조립공정(S3)에서는, 기설의 골리앗크레인(13, 14)을 이용하여, 거더부품(20, 22)을 매달아 올려, 대선(17) 상에서 거더부품(20~22)을 연결하여 거더(8)를 조립한다.
거더 조립공정(S3)에서는,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선(17)을 회전시켜, 대선(17)의 방향을 바꾼다. 대선(17)의 전후방향을 풀(3)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히 배치한다. 예를 들면, 대선(17)의 전측을 안벽(5)측을 향하게 하고, 대선(17)의 후측을 안벽(4)측을 향하게 한다. 다음으로, 풀(3)의 수위를 저하시켜, 대선(17)을 강하시킨 상태로 한다. 이로써, 기설의 골리앗크레인(13, 14)을 이용하여 거더부품(20, 22)을 매달아 올려, 거더부품(21)에 장착할 수 있도록, 대선(17)을 배치한다.
대선(17)의 자세를 변경한 후, 기설의 골리앗크레인(13, 14)을 이용하여 거더부품(22)을 매달아 올려, 지지대(23) 상의 거더부품(21)에 연결한다. 거더부품(21)을 연결한 후, 풀(3)의 수위를 상승시켜, 대선(17)의 자세를 원래대로 되돌린다. 다음으로, 개폐게이트(3a)를 개방하여, 대선(17)을 해상 이동시킨 후, 180도 회전시켜, 대선(17)을 역방향으로 하여, 다시 풀(3) 내로 이동시킨다. 다만, 거더(8)를 실은 상태로 풀(3) 내에서 대선(17)이 선회 가능한 경우에는, 대선(17)을 해상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풀 내에서 선회시켜, 대선(17)의 방향을 바꾸어도 된다.
대선(17)을 다시, 풀(3) 내로 이동시킬 때에는, 스페이서(24) 및 거더부품(20)이 탑재되어 있는 측을 전측으로 하고, 대선(17)을 풀(3) 내로 이동시킨 후, 개폐게이트(3a)를 폐쇄한다. 개폐게이트(3a)를 폐쇄한 후, 대선(17)을 회전시켜, 대선(17)의 전후방향을 풀(3)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히 배치하고, 대선(17)의 전측을 안벽(5)을 향하게 하고, 대선(17)의 후측을 안벽(4)을 향하게 한다. 다음으로, 풀(3)의 수위를 저하시켜, 대선(17)을 강하시킨 상태로 하고, 기설의 골리앗크레인(13, 14)을 이용하여, 거더부품(20)을 매달아 올려, 지지대(23) 상의 거더부품(21)에 연결한다. 이로써, 거더부품(20~22)끼리가 연결되어, 거더(8)가 조립된다. 다만, 풀(3) 내에서 거더(8)를 조립하고 있지만, 이미 조립된 거더(8)를 대선(17)을 이용하여 풀(3) 내에 반입해도 된다.
(상승공정(S4))
거더 조립공정(S3)을 실행한 후에, 상승공정(S4)을 실행한다. 상승공정(S4)에서는, 풀(3)의 수위를 상승시켜, 거더(8)를 탑재한 대선(17)을 상승시킨다. 이로써, 거더(8)의 하면의 높이는, 다리부 준비공정(S1)에서 준비된 다리부 본체(18, 19)의 상단부(6b, 7b)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대선(17)을 상승시킨 후, 대선(17)을 회전시켜, 대선(17)의 전후방향을 풀(3)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배치하여, 거더(8)의 길이방향을 풀(3)의 길이방향(Y방향, 레일(9~12)이 뻗어 있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X방향)과 일치시킨다.
(풀 내 이동공정(S5))
상승공정(S4)을 실행한 후에, 풀 내 이동공정(S5)을 실행한다. 풀 내 이동공정(S5)에서는, 대선(17)을 바다측으로 이동시킨다. 대선(17)이 한 쌍의 다리부 본체(18, 19) 사이에 배치될 때까지 이동시킨다.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선(17)이 한 쌍의 다리부 본체(18, 19) 사이에 도달했을 때에는, 거더(8)의 일방의 단부가, 다리부 본체(18)의 상방에 배치되고, 거더(8)의 타방의 단부가, 다리부 본체(19)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장착공정(S6))
풀 내 이동공정(S5)을 실행한 후에, 장착공정(S6)을 실행한다. 장착공정(S6)에서는, 대선(17)의 위치를 미세조정하여, 다리부 본체(18, 19)에 대해서, 거더(8)가 바르게 배치되도록 한다. 거더(8)의 위치가 정해지면, 대선(17)을 강하시켜, 거더(8)를 다리부 본체(18, 19)에 실어, 용접 등을 행하여, 다리부 본체(18, 19)에 대해서 거더(8)를 고정한다.
(지지높이 조정공정(S7))
장착공정(S6)을 실행한 후에, 지지높이 조정공정(S7)을 실행한다. 지지높이 조정공정(S7)에서는, 대선(17)을 강하시켜, 대선(17)의 지지대(23)와 거더(8)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대선(17)이 거더(8)를 지지하지 않는 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대선(17)을 바다와는 반대측으로 이동시켜, 거더(8)와 대선(17)이 떨어진 상태로 한다. 기설의 골리앗크레인(13, 14)을 이용하여, 스페이서(24)를 매달아 올려 지지대(23)의 상단부에 싣는다. 이로써, 대선(17)에 있어서의 지지높이를, 스페이서(24)의 높이만큼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풀(3)의 수위를 강하시켜서, 대선(17)을 강하시켜, 스페이서(24)의 천장면이 거더(8)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한다. 대선(17)을 거더(8)를 향하게 하여 이동시켜,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거더(8)의 바로 아래에 배치시킨다.
(상승공정(S8))
지지높이 조정공정(S7)을 실행한 후에, 상승공정(S8)을 실행한다. 상승공정(S8)에서는, 풀(3) 내의 수위를 상승시켜, 대선(17)의 지지대(23) 상에 배치된 스페이서(24)에 거더(8)를 탑재하고, 대선(17)을 상승시킨다. 이로써, 거더(8)와 함께 다리부 본체(18, 19)를 상승시킨다.
(풀 내 이동공정(S9))
상승공정(S8)을 실행한 후에, 풀 내 이동공정(S9)을 실행한다. 풀 내 이동공정(S9)에서는, 대선(17)을 안벽(5)측으로 풀(3)의 폭방향(X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다리부 본체(18)가 임시수용가대(26)의 바로 위에 배치되고, 다리부 본체(19)가 임시수용가대(27)의 바로 위에 배치되도록, 대선(17)을 이동시킨다.
(임시수용공정(S10))
풀 내 이동공정(S9)을 실행한 후에, 임시수용공정(S10)을 실행한다. 임시수용공정(S10)에서는, 풀(3)의 수위를 저하시켜, 대선(17)을 강하시키고, 다리부 본체(18)를 임시수용가대(26) 상에 배치하여, 다리부 본체(19)를 임시수용가대(27)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다리부 본체(18, 19) 및 거더(8)는, 임시수용가대(26, 27)에 의하여, 안벽(4, 5)의 재치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지된 상태가 된다.
(지지높이 조정공정(S11))
임시수용공정(S10)을 실행한 후에, 지지높이 조정공정(S11)을 실행한다. 지지높이 조정공정(S11)에서는, 대선(17)을 강하시켜, 대선(17)의 지지대(23) 상의 스페이서(24)와 거더(8)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대선(17)이 거더(8)를 지지하지 않는 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대선(17)을 바다와는 반대측(기설의 골리앗크레인(13, 14)이 배치되어 있는 쪽)으로 이동시켜 대선(17)을 거더(8)로부터 떨어트린다. 기설의 골리앗크레인(13, 14)을 이용하여, 스페이서(25)를 매달아 올려 지지대(23)에 재치된 스페이서(24) 상에 더욱 싣는다. 이로써, 스페이서(24, 25)를 2단 중첩으로 하여, 대선(17)에 있어서의 지지높이를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풀(3)의 수위를 강하시켜서, 대선(17)을 강하시켜, 상단의 스페이서(25)의 천장면이 거더(8)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한다. 대선(17)을 거더(8)를 향하게 하여 이동시켜, 거더(8)의 바로 아래에 배치시킨다.
(상승공정(S12))
지지높이 조정공정(S11)을 실행한 후에, 상승공정(S12)을 실행한다. 상승공정(S12)에서는, 풀(3) 내의 수위를 상승시켜,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선(17)의 지지대(23) 상에 배치된 상단의 스페이서(25)에 거더(8)를 탑재하고, 대선(17)을 상승시킨다. 이로써, 거더(8)와 함께 다리부 본체(18, 19)를 상승시킨다.
(풀 내 이동공정(S13))
상승공정(S12)을 실행한 후에, 풀 내 이동공정(S13)을 실행한다. 풀 내 이동공정(S13)에서는, 대선(17)을 안벽(4)측으로 풀(3)의 폭방향(X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다리부 본체(18)가 다리부(6)의 하단부(6a)의 바로 위에 배치되고, 다리부 본체(19)가 다리부(7)의 하단부(7a)의 바로 위에 배치되도록, 대선(17)을 이동시킨다.
(다리부 접합공정(S14))
풀 내 이동공정(S13)을 실행한 후에, 다리부 접합공정(S14)을 실행한다. 다리부 접합공정(S14)에서는, 풀(3)의 수위를 저하시켜, 대선(17)을 강하시키고, 다리부 본체(18)를 다리부(6)의 하단부(6a)에 싣고, 다리부 본체(19)를 다리부(7)의 하단부(7a)에 싣는다. 이어서, 다리부 본체(18)와 하단부(6a)를 접합하고, 다리부 본체(19)와 하단부(7a)를 접합한다. 거더(8)를 대선(17)에 의하여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면서, 다리부 본체(18)와 하단부(6a)를 용접하고, 다리부 본체(19)와 하단부(7a)를 용접한다. 이로써, 한 쌍의 다리부(6, 7)는 각각 접속되어, 골리앗크레인(2)이 조립된다.
이러한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플로팅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 대선(17)을 이용하여 골리앗크레인(2)을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다.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대선(17)의 지지대(23)에 스페이서(24, 25)를 실어, 대선(17)에 있어서의 지지높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풀에 있어서의 조정 가능한 수위의 변동폭(가장 높은 수위와 가장 낮은 수위와의 차)에 제한이 있는 경우이더라도, 대선(17)에 의한 거더(8)의 지지높이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풀(3)의 수위를 변경한 것만으로 대선(17)의 높이를 조정하여, 지지된 거더(8)의 높이를 조정하려고 하면, 풀(3)의 깊이를 깊게 하여, 수위의 변동폭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설의 독의 풀을 개조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으므로, 풀의 수위 조정과 스페이서에 의한 높이 조정을 조합함으로써, 기설의 풀에 있어서 조정할 수 있는 높이를 적절히 높게(변동폭을 크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9~도 16을 참조하여, 골리앗크레인의 해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독(31)에 설치되어 있는 골리앗크레인(3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독(31)에는, 물을 저류하고 수위를 조정 가능한 풀(3)이 마련되고, 풀(3)의 양측에는 안벽(4,5)이 배치되어 있다. 골리앗크레인(32)은, 안벽(4, 5)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다리부(36, 37)와, 한 쌍의 다리부(36, 37)에 걸쳐 놓여진 거더(38)를 구비하고 있다.
독(31)은 바다에 인접하여 마련되며, 풀(3)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풀(3)의 일방의 단부는 바다에 접속되어 있다. 풀(3)의 바다측의 단부에는 개폐게이트(3a)가 마련되어, 해수를 풀(3) 내에 유입시킬 수 있고, 개폐게이트(3a)를 폐쇄함으로써, 풀(3)과 바다와의 사이에서 해수를 막을 수 있다. 풀(3)에는, 풀(3) 내의 수위(WL)를 조정하기 위하여 펌프가 마련되어 있다. 풀(3)과 바다는 배관에 의하여 접속되고, 배관에 펌프가 접속되어 있다. 펌프를 작동하여 풀(3) 내의 물을 바다로 방출함으로써, 풀(3)의 수위(WL)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 펌프를 작동하여, 해수를 풀(3) 내로 보냄으로써, 풀(3)의 수위(WL)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독(31)에는, 골리앗크레인(32) 외에 기설의 골리앗크레인(43, 44)이 마련되어 있다. 골리앗크레인(32, 44)은 한 쌍의 레일(11, 12)을 따라 주행하고, 골리앗크레인(43)은 한 쌍의 레일(9, 10)을 따라 주행한다. 독(31)에서는, 바다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골리앗크레인(44), 골리앗크레인(43), 골리앗크레인(32)이 배치되어 있다.
골리앗크레인(32)은, 한 쌍의 다리부(36, 37)로서, 요각인 다리부(36)와 강각인 다리부(37)를 가진다. 강각의 강성은, 요각의 강성보다 높게 되어 있다. 다리부(36)는 안벽(4)의 레일(11) 위를 이동 가능하고, 다리부(37)는 안벽(5) 상의 레일(12) 위를 이동 가능하다. 다리부(36, 37)의 하단부(36a, 37a)에는, 레일(11, 12)을 주행하기 위한 주행장치(15)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주행장치(15)에는 복수의 차륜이 마련되어 있다.
골리앗크레인(32)은, 거더(38)를 따라 이동 가능한 트롤리(16)를 가지고, 트롤리(16)에는, 중량물을 매달아 올리기 위한 매달아 올림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골리앗크레인(32)은, 중량물을 매달아 올림과 함께 반송할 수 있다. 기설의 골리앗크레인(43, 44)도, 골리앗크레인(32)과 동일한 구성이다.
(골리앗크레인(32)의 해체방법)
다음으로 골리앗크레인(32)을 현장에서, 해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골리앗크레인의 해체방법에서는, 플로팅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 기설의 골리앗크레인(43, 44)을 이용하여, 골리앗크레인(32)을 해체한다. 도 9는, 골리앗크레인의 해체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거더 지지공정(S21))
골리앗크레인(32)의 해체방법에서는, 먼저, 거더 지지공정(S21)을 실행한다.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선(17)은, 거더(38)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23)를 가진다. 대선(17)의 지지대(23)에는, 스페이서(24)가 실려 있다. 거더 지지공정(S21)에서는, 대선(17)을 거더(38)의 바로 아래까지 이동시켜서, 풀(3)의 수위를 상승시켜, 스페이서(24)를 하방으로부터 거더(38)의 바닥면에 압접한다. 이로써, 대선(17)을 이용하여 거더(38)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다리부 분할공정(S22))
거더 지지공정(S21)을 실행한 후에, 다리부 분할공정(S22)을 실행한다. 다리부 분할공정(S22)에서는, 대선(17)을 이용하여 거더(38)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다리부(36, 37)를 절단하여, 상하로 분할한다. 다리부(36)는, 주행장치(15)를 포함하는 하단부(36a)와, 하단부(36a)보다 상방의 부분인 다리부 본체(48)(상부측의 부분)로 절단된다. 다리부(37)는, 주행장치(15)를 포함하는 하단부(37a)와, 하단부(37a)보다 상방의 부분인 다리부 본체(49)(상부측의 부분)로 절단된다.
(풀 내 이동공정(S23))
다리부 분할공정(S22)을 실행한 후에, 풀 내 이동공정(S23)을 실행한다. 풀 내 이동공정(S23)에서는, 대선(17)을 풀(3) 내에서 이동시켜, 거더(38) 및 거더(38)의 양단부에 접속된 상태의 다리부 본체(48, 49)를 이동시킨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레일(11) 위에는 임시수용가대(46)가 마련되고, 레일(12) 위에는 임시수용가대(47)가 마련되어 있다. 임시수용가대(46)는, 다리부 본체(48)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며, 임시수용가대(47)는, 다리부 본체(49)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다. 임시수용가대(46, 47)는, 절단된 하단부(36a, 37a)보다 낮게 되어 있다. 풀 내 이동공정(S23)에서는, 대선(17)을 임시수용가대(46, 47) 근방까지 이동시켜, 임시수용가대(46)의 상방에 다리부 본체(48)가 배치되고, 임시수용가대(47)의 상방에 다리부 본체(49)가 배치되도록 한다.
(강하공정(S24))
풀 내 이동공정(S23)을 실행한 후에, 강하공정(S24)을 실행한다. 강하공정(S24)에서는, 풀(3)의 수위를 저하시켜서 대선(17)을 강하시켜, 거더(38) 및 다리부 본체(48, 49)를 강하시킨다.
(임시수용공정(S25))
강하공정(S24)을 실행한 후에, 임시수용공정(S25)을 실행한다. 임시수용공정(S25)에서는, 대선(17)을 강하시키고, 다리부 본체(48, 49)를 임시수용가대(46, 47) 상에 재치하여 임시수용한다. 이로써, 다리부 본체(48, 49)는 임시수용가대(46, 47) 상에 세워 배치되고, 거더(38)는, 다리부(36, 37)가 절단되기 전(다리부 분할공정(S22)의 실행 전)의 상태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리부 본체(48, 49)를 임시수용가대(46, 47)로 임시수용하고, 대선(17)을 강하시켜, 지지대(23) 상의 스페이서(24)와, 거더(38)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 이어서, 대선(17)을 기설의 골리앗크레인(43, 44)측으로 이동시킨다.
(지지높이 조정공정(S26))
임시수용공정(S25)을 실행한 후에, 지지높이 조정공정(S26)을 실행한다. 지지높이 조정공정(S26)에서는,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기설의 골리앗크레인(43, 44)을 이용하여, 스페이서(24)를 매달아 올려 지지대(23)의 상단부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로써, 대선(17)에 있어서의 지지높이를, 스페이서(24)의 높이만큼 낮출 수 있다. 다만, 도 12에서는, 스페이서(24)를 매달아 올리기 위한 와이어로프나 훅 등의 부재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도 15 및 도 16에 있어서도 동일).
(거더 지지공정(S27))
지지높이 조정공정(S26)을 실행한 후에, 거더 지지공정(S27)을 실행한다. 거더 지지공정(S27)에서는, 대선(17)을 임시수용가대(46, 47) 근방까지 이동시켜, 대선(17)을 거더(38)의 바로 아래에 배치한다. 이어서, 풀(3)의 수위를 상승시켜, 지지대(23)의 상단부를 하방으로부터 거더(38)의 바닥면에 압접하여 다리부 본체(48, 49)를 임시수용가대(46, 47)로부터 띄운다. 이로써, 대선(17)을 이용하여 거더(38)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풀 내 이동공정(S28))
거더 지지공정(S27)을 실행한 후에, 풀 내 이동공정(S28)을 실행한다. 풀 내 이동공정(S28)에서는, 대선(17)을 풀(3) 내에서 이동시켜, 거더(38) 및 다리부 본체(48, 49)를 임시수용가대(46, 47)로부터 바다측으로 비켜 놓는다.
(강하공정(S29))
풀 내 이동공정(S28)을 실행한 후에, 강하공정(S29)을 실행한다. 강하공정(S29)에서는, 풀(3)의 수위를 저하시켜서 대선(17)을 강하시켜, 거더(38) 및 다리부 본체(48, 49)를 강하시킨다. 대선(17)을 강하시킴으로써,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다리부 본체(48)를 안벽(4)에 착지시키고, 다리부 본체(49)를 안벽(5)에 착지시킨다. 이로써, 거더(38)는, 다리부 본체(48, 49)가 임시수용가대(46, 47)에 의하여 임시수용되어 있는 상태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거더 지지공정(S30))
강하공정(S29)을 실행한 후에, 거더 지지공정(S30)을 실행한다. 거더 지지공정(S30)에서는, 거더(38)의 바로 아래에 대선(17)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풀(3) 내의 풀(3)의 수위를 상승시켜, 다리부 본체(48, 49)를 안벽(4, 5)으로부터 띄운다.
(회전공정(S31))
거더 지지공정(S30)을 실행한 후에, 회전공정(S31)을 실행한다. 회전공정(S31)에서는, 풀(3) 내에서 대선(17)을 회전시켜 대선(17)의 방향을 바꾼다.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선(17)의 전부(前部)가 안벽(4)을 향하도록, 대선(17)의 후부가 안벽(5)을 향하도록 하여, 대선(17)의 전후방향이 풀(3)의 길이방향(Y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히 배치되도록, 거더(38)의 방향을 변경한다. 풀(3)의 폭방향(X방향)에 있어서, 거더(38)를 기설의 골리앗크레인(43, 44)의 다리부 사이에 넣는다.
(매달아 올림 공정(S32))
회전공정(S31)을 실행한 후에, 매달아 올림 공정(S32)을 실행한다. 매달아 올림 공정(S32)에서는, 기설의 골리앗크레인(43, 44)을 이동시켜 거더(38) 상에 배치하고, 골리앗크레인(43, 44)을 이용하여, 거더(38)를 매달아 올린다. 매달아 올림 공정(S32)에서는, 골리앗크레인(43, 44)을 이용하여 거더(38)를 안벽(4) 상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거더(38)의 방향을 변경한다. 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거더(38)의 길이방향이 안벽(4)의 길이방향(Y방향)을 따르도록, 거더(38)의 방향을 변경한다. 골리앗크레인(43, 44)에 매달아 올려져 있는 상태의 거더(38)를 강하시켜, 다리부 본체(48, 49)를 안벽(4) 상에 재치한다.
(해체공정(S33))
매달아 올림 공정(S32)을 실행한 후에, 해체공정(S33)을 실행한다. 해체공정(S33)에서는, 안벽(4) 상에 재치되어 있는 거더(38) 및 다리부 본체(48, 49)를 해체한다. 해체공정(S33)에서는, 거더(38) 및 다리부 본체(48, 49)를 절단하여 작게 하여, 독(31)으로부터 반출 가능한 크기로 한다.
이러한 골리앗크레인의 해체방법에 의하면, 플로팅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 대선(17)을 이용하여 골리앗크레인(32)을 현장에서 해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하기와 같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대선(17)을 이용하여 복수 회로 나누어, 거더(8)를 상승 또는 강하시키고 있지만, 상승 또는 강하를 1회만 실시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설의 골리앗크레인을 이용하여, 거더(8)나 스페이서를 매달아 올려 이동시키고 있지만, 그 외의 크레인이나 승강기구를 이용해도 된다.
1, 31: 독
2, 32: 골리앗크레인
3: 풀
4, 5: 안벽
6, 7, 36, 37: 다리부
8, 38: 거더
9~12: 레일
13, 14: 기설의 골리앗크레인
15: 주행장치
16: 트롤리
17: 대선
18, 19, 48, 49: 다리부 본체(다리부의 상부측 부분)
20~22: 거더부품
23: 대선의 지지대
24, 25: 스페이서
26, 27, 46, 47: 임시수용가대

Claims (8)

  1. 물을 저류하는 풀에 걸쳐 배치되는 골리앗크레인을 조립하여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골리앗크레인을 구성하는 강도부재를 대선에 탑재하고, 상기 대선을 상기 풀 내로 이동시켜 상기 강도부재를 반입하는 반입공정과,
    상기 풀의 수위를 상승시켜 상기 대선을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강도부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상승공정과,
    상방으로 이동한 상기 강도부재를 다른 강도부재에 장착하는 장착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리앗크레인은, 상기 풀의 양측의 안벽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다리부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에 걸쳐 놓여지는 거더를 가지고,
    상기 다리부를 상기 안벽에 준비하는 다리부 준비공정과,
    상기 강도부재인 상기 거더를 상기 대선에 탑재하고, 상기 대선을 상기 풀 내로 이동시켜 상기 거더를 반입하는 상기 반입공정과,
    상기 풀의 수위를 상승시켜 상기 대선을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거더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상승공정과,
    상기 풀 내에서 상기 대선을 이동시켜, 상기 거더를 상기 다른 강도부재인 상기 다리부에 접근시키기 위하여 이동시키는 풀 내 이동공정과,
    상기 거더를 상기 다리부에 장착하는 상기 장착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로 분할되어 있는 상태의 상기 거더를 반입하는 상기 반입공정과,
    기설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거더의 부분을 매달아 올려, 상기 대선 상에서 상기 거더를 연결하여 조립하는 거더 조립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하로 분할된 상태로 준비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에 마련된 주행장치를 상기 안벽의 궤도 상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상기 궤도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상기 다리부 준비공정과,
    상기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에 상기 거더를 장착하는 상기 장착공정과,
    상기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 및 상기 거더를 상기 대선에 실어, 상기 풀의 수위를 상승시켜 상기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 및 상기 거더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상승공정과,
    상기 안벽 상에 배치된 임시수용가대 상에, 상기 거더가 조립된 상태의 상기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임시수용하는 임시수용공정과,
    상기 거더가 조립된 상기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 상에 배치하여 접합하는 다리부 접합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풀의 수위를 저하시켜, 상기 대선을 강하하고, 상기 대선의 지지대 상에 높이 조정용의 스페이서를 싣는 지지높이 조정공정과,
    상기 스페이서를 탑재한 상기 대선에 상기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이 조립된 상태의 상기 거더를 탑재하고, 상기 수위를 상승시켜, 상기 거더 및 상기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상승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
  6. 물을 저류하는 풀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골리앗크레인을 해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골리앗크레인은, 상기 풀의 양측의 안벽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다리부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에 걸쳐 놓여진 거더를 가지는 것이며,
    상기 풀 내에서 이동 가능한 대선을 이용하여 상기 거더를 지지하는 거더 지지공정과,
    상기 거더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를 절단하여 상하로 분할하는 다리부 분할공정과,
    상기 대선을 상기 풀 내에서 이동시켜, 상기 거더 및 상기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이동시키는 풀 내 이동공정과,
    상기 풀의 수위를 저하시켜서, 상기 대선을 강하시켜 상기 거더를 강하시키는 강하공정과,
    상기 거더 및 상기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상기 안벽에 재치하여 해체하는 해체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리앗크레인의 해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선을 상기 풀 내에서 이동시켜, 안벽 상에 마련된 임시수용가대를 향하여 상기 거더 및 상기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이동시키는 상기 풀 내 이동공정과,
    상기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상기 임시수용가대로 임시수용하는 임시수용공정과,
    상기 대선에 있어서 상기 거더를 지지하는 지지높이를 저하시켜, 상기 임시수용가대 상에 재치된 상태의 상기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거더를 지지하는 상기 거더 지지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리앗크레인의 해체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 및 상기 다리부의 상부측의 부분을 지지하는 상기 대선을, 상기 풀 내에서 회전시켜, 상기 거더의 방향을 바꾸는 회전공정과,
    기설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거더 및 상기 다리부의 상부측을 매달아 올려 상기 안벽 상으로 이동시키는 매달아 올림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리앗크레인의 해체방법.
KR1020140147280A 2013-12-26 2014-10-28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해체방법 KR101708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69779A JP2015124053A (ja) 2013-12-26 2013-12-26 ゴライアスクレーンの製造方法及び解体方法
JPJP-P-2013-269779 2013-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067A true KR20150076067A (ko) 2015-07-06
KR101708372B1 KR101708372B1 (ko) 2017-02-20

Family

ID=53535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280A KR101708372B1 (ko) 2013-12-26 2014-10-28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해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5124053A (ko)
KR (1) KR101708372B1 (ko)
CN (1) CN104743448A (ko)
TW (1) TWI5700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64790A (zh) * 2016-07-25 2016-11-02 铜陵海源超微粉体有限公司 用于粉体生产的运输装置
CN108706471B (zh) * 2018-08-02 2020-04-07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大型龙门吊刚性腿的拆卸方法
CN113815810A (zh) * 2021-09-29 2021-12-21 广州黄船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带角度绕桩吊机水上安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988A (ja) * 1996-03-12 1997-09-16 Sankyu Inc 橋型クレーンの組み立て工法
KR19980019970U (ko) * 1996-10-09 1998-07-15 이대원 쓰레기 소각선의 쓰레기 컨테이너 하역 장치
CN101293599A (zh) * 2007-04-27 2008-10-29 上海振华港口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船厂龙门起重机整机卸船至船坞的方法
CN103171976A (zh) * 2011-12-20 2013-06-26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船厂龙门式起重机的吊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9009A (en) * 1981-01-14 1982-07-24 Hitachi Zosen Corp Vertical lifting method for large columnar object
JP2001302182A (ja) * 2000-04-20 2001-10-31 Hitachi Ltd 荷役方法及び揚重機の旋回装置並びに吊り治具
JP2003292166A (ja) * 2002-04-05 2003-10-15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式コンテナバース
CN1304268C (zh) * 2002-06-25 2007-03-14 上海港口机械制造厂 一种造船用门式起重机的总装方法及其装置
DE102005006206B4 (de) * 2005-02-11 2007-08-16 Gottwald Port Technology Gmbh Sturmsicherung für Krane
CN100581976C (zh) * 2007-04-27 2010-01-20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龙门起重机在驳船总装技术
GB0819400D0 (en) * 2008-10-22 2008-11-26 Subsea 7 Offshore lifting operations
CN202164066U (zh) * 2011-06-30 2012-03-14 中船江南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大型物件的吊装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988A (ja) * 1996-03-12 1997-09-16 Sankyu Inc 橋型クレーンの組み立て工法
KR19980019970U (ko) * 1996-10-09 1998-07-15 이대원 쓰레기 소각선의 쓰레기 컨테이너 하역 장치
CN101293599A (zh) * 2007-04-27 2008-10-29 上海振华港口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船厂龙门起重机整机卸船至船坞的方法
CN103171976A (zh) * 2011-12-20 2013-06-26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船厂龙门式起重机的吊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24883A (zh) 2015-07-01
CN104743448A (zh) 2015-07-01
JP2015124053A (ja) 2015-07-06
KR101708372B1 (ko) 2017-02-20
TWI570047B (zh) 2017-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403B1 (ko)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CN103157955B (zh) 大直径钢圆筒的制造方法
KR101708372B1 (ko)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해체방법
US20170247877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cylindrical tank
CN102146729B (zh) 球形容器内顶部施工易拆装伞形平台及其使用方法
CN206736864U (zh) 液压自升悬臂重型拱坝模板工作平台
KR101722595B1 (ko)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KR20130026102A (ko) 장경간(長俓間)을 갖는 교량구조물 설치방법
KR101185967B1 (ko) 블록 지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JP5328537B2 (ja) 鋼板ブロック反転装置および鋼板ブロック反転方法
KR20140036456A (ko) 해상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레그 결합 방법
KR101707404B1 (ko)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설치방법
CN202108241U (zh) 球形储罐组装用移动挂架
JP2007009633A (ja) 索条吊下げ用治具
AU2003221623B2 (en) A transportable building and self-levelling chassis therefor
TWI564453B (zh) 長大型鋼板單元之組裝設備以及長大型鋼板單元之移動方法
CN105084195B (zh) 桩腿移位方法
CN108661030A (zh) 自升式平台悬臂梁合拢方法
CN205205664U (zh) 混凝土塔柱连接结构
CN111532983B (zh) 单点起吊立桩系统及立桩施工方法
KR20130069166A (ko) 새들블록용 정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JP3268199B2 (ja) 浮函体進水設備
JP6351174B2 (ja) 円筒型タンクの構築方法
JP3169825U (ja) さく井用やぐら
KR100967798B1 (ko) 조립식 중량물 이동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