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9166A - 새들블록용 정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새들블록용 정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9166A
KR20130069166A KR1020110136755A KR20110136755A KR20130069166A KR 20130069166 A KR20130069166 A KR 20130069166A KR 1020110136755 A KR1020110136755 A KR 1020110136755A KR 20110136755 A KR20110136755 A KR 20110136755A KR 20130069166 A KR20130069166 A KR 20130069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block
saddle
block
surface plate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6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9166A/ko
Publication of KR20130069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30Moving or transporting modules or hull blocks to assembly sites, e.g. by rolling, lifting or fl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8Grav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6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vertical movement of vessel, i.e. by c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4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2Shores or struts, e.g. individual oblique support elements for stabilizing hulls in dry-d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bo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들블록용 정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작업장에서 다수의 블록을 새들블록(saddle block)으로 조립하는 단계; 상기 새들블록을 새들블록용 정반으로 지지하는 단계; 상기 새들블록용 정반 및 상기 새들블록을 트랜스포터에 탑재하는 단계; 및 상기 새들블록이 상기 트랜스포터와 크레인에 의해 도크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골리앗 크레인의 설치 개수를 줄임으로써, 골리앗 크레인을 작동하기 위한 레일 등의 설치를 줄여 작업장을 최대한 활용하고, 저비용의 크레인을 이용함으로써,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들블록용 정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새들블록용 정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Support for saddle block and ship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새들블록용 정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주문으로 시작하여 설계, 건조, 인도로 이루어지는 조선공업은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영업상의 채산성에 의해 그 산업의 생존 및 성공이 판가름 지어진다.
이와 같은 채산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한가지는 선박의 건조 방식에서 나타나는 생산성이며, 이러한 이유로 블록건조법이 등장하게 되었다.
블록 건조법은 우선 선체를 수십 개 혹은 수백 개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개개의 블록들을 지상에서 조립제작하고, 그 제작된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선대 위에 탑재하여 하나의 선체로 조립해 내는 방법이다.
특히, 블록의 형상에 따라 블록이 조립된 후, 블록의 탑재기간을 줄이기 위하여 크레인이 들어올릴 수 있는 중량범위까지 몇 개의 블록이 결합 되는데,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블록을 하나로 결합시키는 작업을 PE(Pre-Erection) 작업이라 한다.
이러한 PE 작업은 여러 개의 소형 블록들을 하나의 큰 블록으로 뭉쳐서 한번에 탑재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선박의 생산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PE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대형 선체 블록을 운반 및 탑재할 수 있는 크레인의 작업 용량이 커야 한다. 예를 들어, 작업장에 설치된 레일 상을 이동하는 골리앗 크레인(goliath crane, 문형 기중기라고도 함)이 있고, 골리앗 크레인의 경우, 레일을 설치하기 위한 장소가 필요하여 도크가 협소한 경우 설치가 불가능하며, 대형의 중량물을 운반하는 만큼 고가의 비용을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골리앗 크레인과 같은 고가의 장비 개수를 줄여, 물류비용을 절감할 필요가 있다. 또한, 블록을 대형화하여 작업시간을 줄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가의 비용으로 선박을 건조할 수 있으며, 블록의 대형화가 가능할 수 있는 새들블록용 정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새들블록용 정반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은, 작업장에서 다수의 블록을 새들블록(saddle block)으로 조립하는 단계; 상기 새들블록을 새들블록용 정반으로 지지하는 단계; 상기 새들블록용 정반 및 상기 새들블록을 트랜스포터에 탑재하는 단계; 및 상기 새들블록이 상기 트랜스포터와 크레인에 의해 도크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새들블록용 정반은 파이프지주와 상기 파이프지주에 연결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새들블록용 정반으로 지지하는 단계는, 상기 새들블록의 일단부에 상기 파이프지주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새들블록을 턴오버하는 단계; 및 상기 새들블록의 타단부를 상기 수평부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새들블록용 정반은, 일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짧아져 경사를 이루는 새들블록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파이프지주; 및 일단부는 상기 파이프지주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새들블록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지주의 둘레면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수평부와 연결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들블록용 정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는 새들블록으로 조립하고, 새들블록용 정반으로 지지며, 트랜스포터에 탑재하고, 새들블록이 트랜스포터와 크레인에 의해 도크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골리앗 크레인의 설치 개수를 줄임으로써, 골리앗 크레인을 작동하기 위한 레일 등의 설치를 줄여 작업장을 최대한 활용하고, 저비용의 크레인을 이용함으로써,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을 대형화함으로써, 턴오버의 작업을 줄여 크레인의 과부하 및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도크 내에의 작업이 단축되어 도크의 회전율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블록용 정반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블록용 정반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블록용 정반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블록용 정반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블록용 정반(100)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블록용 정반(100)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새들블록용 정반(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들블록용 정반(100)은 파이프지주(110) 및 수평부(120)를 포함한다.
파이프지주(110)는 새들블록(saddle bock; 10)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물로서, 새들블록(10)의 일단부를 지지한다. 여기서, 새들블록(10)은 벌크케리어 또는 발라스트탱크를 이루는 블록으로서, 일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짧아져 경사를 이룬다.
이러한 파이프지주(110)는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철강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파이프지주(110)의 둘레면에는 브라켓(111)이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111)은 구조적인 보강을 위한 보강물로서, 일측은 파이프지주(110)의 둘레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수평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111)은 삼각형의 형태를 이루어 파이프지주(110)의 둘레면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를 예시함)로 구비될 수 있다.
수평부(120)는 새들블록(10)을 받쳐 트랜스포터(1)에 지지되도록 하는 받침물로서, 새들블록(10)이 수평하게 받쳐지도록 파이프지주(110)에 의해 세워진 새들블록(10)을 지지한다. 따라서, 수평부(120)는 그 일단부가 파이프지주(1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새들브록(10)에 연결된다.
여기서, 수평부(120)가 트랜스포터(1)에 받쳐질 경우, 수평부(120)의 무게중심이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수평부(120)는 빔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트랜스포터(1)가 수평부(120)의 하측으로 출입될 수 있도록 수평부(120)는 지면과 이격되게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부(120)는 그 하측에 복수의 다리부재(121)가 구비될 수 있다. 다리부재(121)는 전도방지를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넓이가 넓어지도록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이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측이 서로 벌어진 형태가 되어 지지영역을 넓힐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새들블록용 정반(1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새들블록용 정반(100)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새들블록용 정반(100)의 동일한 구성 및 동일한 기능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블록용 정반(100)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블록용 정반(100)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선박의 건조를 위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새들블록의 사시도), 작업장에서 다수의 블록(11)을 새들블록(10)으로 조립한다(S110). 여기서, 작업장은 옥외의 육상 잡업장으로서 예를 들어, 선행탑재(PE) 작업장 및 선행의장 작업장 등일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블록(11)은 새들블록(10)에 비하여 크기가 작은 블록이며, 보강부재나 주판 등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서로 연결된 것이며, 이러한 다수의 블록(11)들을 합쳐서 대형화하는 것이다. 이때, 다수의 블록(11)은 지면으로부터 지지되기 위해, 지그(미도시) 위에 놓여 짐으로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새들블록(10)을 새들블록용 정반(100)으로 지지한다(S120). 이를 위해,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새들블록의 사시도), 새들블록(10)의 일단부에 파이프지주(110)를 연결할 수 있다(S121). 예를 들어, 새들블록(10)과 파이프지주(110)를 용접의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새들블록(10)의 경사에 의해 파이프지주(110)와 새들블록(10)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경우, 피스(예를 들어 철강재질로 이루어지는 부재)로 갭을 메꾸어 용접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정규상태로 턴오버된 새들블록의 사시도), 새들블록(10)을 정규상태로 놓을 수 있도록 새들블록(10)을 턴오버(turn over)할 수 있다(S123). 예를 들어, 새들블록(10)에 와이어 로프를 연결하여 일측과 타측을 함께 크레인(예를 들어 작업장 내의 골리앗 크레인)으로 잡아당겨서 들어올린다. 다음, 새들블록(10)의 일측이 천장을 향하고 타측이 바닥을 향하도록 일측과 연결된 와이어 로프를 잡아당기고, 타측과 연결된 와이어 로프는 느슨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나서, 와이어 로프에 의해 수직의 형태로 매달린 새들블록을 180도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다수의 블록(11)을 각각 턴오버할 필요 없이, 다수의 블록(11)을 조립한 새들블록(10)을 턴오버하여, 턴오버로 인한 크레인의 과부하와 리드타임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새들블록의 사시도), 새들블록(10)의 타단부를 수평부(120)에 연결할 수 있다(S125). 새들블록(10)의 타단부는 일단부에 대비하여 높이가 낮아 수평부(120)에 연결된다. 이때, 새들블록(10)과 수평부(120)는 피스(도 7참조; 123)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파이프지주(110)의 둘레면에 브라켓(111)이 용접되어 보강될 수 있다.
다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새들블록용 정반의 정면도), 새들블록용 정반(100) 및 새들블록(10)을 트랜스포터(1)에 탑재한다(S130). 이는, 트랜스포터(1)가 수평부(120)의 하측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다리부재의 사이에 트랜스포터가 이동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부(120)를 들어올려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들리어진 수평부(120)는 그 상부에 새들블록(10)이 지지된 상태로 트랜스포터(1)에 의해 지지되어 도크의 출입구인 적치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적치장은 도크장으로 들어가는 블록들이 임시로 적재되는 공간이다.
다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도크의 평면도), 새들블록(10)이 트랜스포터(1)와 크레인에 의해 도크(20)로 이동한다(S140). 여기서, 크레인은 지브 크레인(jib crane; 30)일 수 있다. 지브 크레인(30)은 도크(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도크(20)를 도시하고, 3개의 지브 크레인(30)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지브 크레인(30)은 골리앗 크레인(goliath crane) 설치시 요구되는 레일 등의 장비가 요구되지 않아, 장소가 협소하여도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지브 크레인(30)을 설치하여 설치장소를 줄여 지상의 작업장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지브 크레인(30)은 골리앗 크레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허용 중량이 낮을 수 있으므로, 도크(20)의 일측에 구비된 하나의 지브 크레인(31)은 트랜스포터와 협업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크(20) 양측의 지브 크레인(30)이 닿지 않는 경우로서, 새들블록(10)이 두 대 중 하나의 지브 크레인(33)에는 닿지 않으나 다른 하나의 지브 크레인(31)에는 닿는 경우, 다른 하나의 지브 크레인(31)과 트랜스포터(1)가 협업을 하여 적치장(21)으로 새들블록(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적치장(21)으로 이동된 새들블록(10)은 도크(20) 양측에 구비된 두 대의 지브 크레인(식별번호 31과 33 또는 식별번호 33과 35)이 협업하여 도크(20) 내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지브 크레인(30)의 허용 중량을 새들블록(10)이 초과하더라도, 트랜스포터(1)가 새들블록(10)을 지지하거나, 두 대의 지브 크레인(30)을 이용하여 새들블록(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새들블록용 정반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은 레일 등의 설치를 줄여 작업장을 최대한 활용하고, 저비용의 크레인을 이용함으로써,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새들블록용 정반 110 : 파이프지주
111 : 브라켓 120 : 수평부
121 : 다리부재

Claims (4)

  1. 작업장에서 다수의 블록을 새들블록(saddle block)으로 조립하는 단계;
    상기 새들블록을 새들블록용 정반으로 지지하는 단계;
    상기 새들블록용 정반 및 상기 새들블록을 트랜스포터에 탑재하는 단계; 및
    상기 새들블록이 상기 트랜스포터와 크레인에 의해 도크로 이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새들블록용 정반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블록용 정반은 파이프지주와 상기 파이프지주에 연결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새들블록용 정반으로 지지하는 단계는,
    상기 새들블록의 일단부에 상기 파이프지주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새들블록을 턴오버하는 단계; 및
    상기 새들블록의 타단부를 상기 수평부에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블록용 정반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3. 일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짧아져 경사를 이루는 새들블록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파이프지주; 및
    일단부는 상기 파이프지주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새들블록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수평부;
    를 포함하는 새들블록용 정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지주의 둘레면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수평부와 연결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블록용 정반.
KR1020110136755A 2011-12-16 2011-12-16 새들블록용 정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KR20130069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755A KR20130069166A (ko) 2011-12-16 2011-12-16 새들블록용 정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755A KR20130069166A (ko) 2011-12-16 2011-12-16 새들블록용 정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166A true KR20130069166A (ko) 2013-06-26

Family

ID=4886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755A KR20130069166A (ko) 2011-12-16 2011-12-16 새들블록용 정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91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7020A (zh) * 2020-07-17 2020-12-04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三阶梯型分段的建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7020A (zh) * 2020-07-17 2020-12-04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三阶梯型分段的建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4083B2 (en) Transportation platform for underwater towing device
CN110984637B (zh) 一种炼钢氧枪阀站钢结构模块化安装方法
KR101722595B1 (ko)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KR20140081934A (ko) 선박의 블록용 턴오버 방법
KR101185967B1 (ko) 블록 지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KR101160273B1 (ko) 교량공사용 스트래들 캐리어
JP2012136339A (ja) 構造物の架設方法及び撤去方法
KR101590789B1 (ko)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고정 방법
KR20130069166A (ko) 새들블록용 정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CN101780916B (zh) 大型容器及内部重型设备异步整合吊装方法及一种定位支架
CN103964300A (zh) 顶升式加高设备
JP2010235274A (ja) コンテナクレーン
JP4071249B2 (ja) 索条吊下げ用治具
CN210885075U (zh) 一种设备二次运输及就位的吊装架
JP2016142097A (ja) 可搬式昇降装置および水平部材の解体方法
TWI537459B (zh) 圓筒型槽的建構方法
JP2015124053A (ja) ゴライアスクレーンの製造方法及び解体方法
CN210710225U (zh) 一种船货舱围护系统安装平台的电梯底座
KR20130077977A (ko) 어퍼데크블록용 정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CN215846568U (zh) 一种大型油罐倒装法施工用壁板防变形工装
TW201508145A (zh) 圓筒型槽的建構方法
KR102528987B1 (ko) 메가급 항만 물류 자동화 구축을 위한 항만 기초구조물 시공 방법
JP5322506B2 (ja) 重量物の運搬システムおよび運搬方法
CN214989751U (zh) 一种组合式小型龙门架
JP7144471B2 (ja) タワー部材の積み上げ方法及びタワー部材の積み上げ方法に用いられる吊り上げ用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