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798B1 - 조립식 중량물 이동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중량물 이동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798B1
KR100967798B1 KR1020050039238A KR20050039238A KR100967798B1 KR 100967798 B1 KR100967798 B1 KR 100967798B1 KR 1020050039238 A KR1020050039238 A KR 1020050039238A KR 20050039238 A KR20050039238 A KR 20050039238A KR 100967798 B1 KR100967798 B1 KR 100967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eavy
moving
movemen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7456A (ko
Inventor
양영태
윤기영
김봉민
배석호
권진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9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798B1/ko
Publication of KR20060117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2Easels, stands or shelves, e.g. castor-shelves, supporting mean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08Adjustable and/or adaptable to the article size

Landscapes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중량물 이동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중량물의 크기와 용량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동지지대를 통해 이동 후 별도의 지지대 배치 없이 중량물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지지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부에 중량물을 지지한 채 운반수단에 의해 이동되어지는 중량물의 안전한 하중을 지지토록 하는 중량물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를 상측으로 지지하는 가로지지대와, 상기 가로지지대의 폭방향의 외측단부에 상단이 고정되어 가로지지대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세로지지대로 구성된 이동지지대와; 상기 이동지지대의 상부에 놓여지는 중량물의 크기에 부합되게 연결수단을 통해 복수의 이동지지대를 길이방향으로 체결하여 구성한 이동지지체를 이용하여, 상기 운반수단을 통해 이동지지대 혹은 복수의 이동지지대가 연결된 이동지지체를 중량물과 일체로 리프트-업 다운시키며 안전한 이동을 수행하도록 한 조립식 중량물 이동 지지구조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동지지대, 이동지지체, 연결수단, APS, 운반수단

Description

조립식 중량물 이동 지지구조{A connectable support structure for heavy cargo transfer}
도 1 은 본 발명의 조립식 중량물 이동 지지대가 복수로 구비된 지지구조의 개략도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의 이동지지대의 구성을 보인 평면 예시도 및 측면 예시도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지지대의 연결수단을 보이기 위한 도 2a 의 A-A선의 단면 예시도 및 부분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지지구조를 통한 작업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량물
(10) : 이동지지체
(15) : 연결수단
(20,20') : 이동지지대
(20a,20a') : 연결브라켓
(21) : 가로지지대
(22) : 세로지지대
(25,26) : 덮판연결부재
본 발명은 조립식 중량물 이동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물을 이동 및 이동 후 다시 내려 놓을 수 있도록 고안된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를 하나의 구성단위 장치로 만들어 중량물의 중량과 크기에 따라 구성단위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조중인 선박과 같은 중량물을 지지하는 장치는 중량물이 놓여지는 하나 혹은 복수열의 가로지지대와, 이 중량물이 놓여진 가로지지대를 바닥체로부터 지지하는 복수의 세로지지대가 입설되어 설치된다.
상기 가로지지대는 중량물이 놓여지는 주지지대와, 이 주지지대의 양측으로 대응하는 외팔보형태의 보조지지대가 형성된 "
Figure 112005024624401-pat00001
"형을 이루게 되며, 상기 세로지지대는 보조지지대의 양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지지장치에 놓여진 중량물을 목적에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대응하며 세워진 세로지지대 사이로 운반장치를 위치시킨 후, 운반장치를 통해 중량물을 지지하는 가로지지대를 세로지지대로부터 리프트-업 시킨 후 , 이동된 후, 이동될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세로지지대 위에 중량물 및 가로지지대를 내려 놓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중량물의 정지 및 이동된 후 지지하도록 하는 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중량물의 크기와 용량에 따라 각기 크기와 용량이 다른 가로지지대를 필요로 하게 되며, 중량물의 이동 전,후 시 중량물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세로지지대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방식의 중량물이 이동된 후, 이를 지지하기 위한 가로지지대는 중량물의 크기와 중량이 달라짐에 따라 그 크기와 용량의 차이를 가져오게 되어, 결과적으로 기존의 가로지지대를 이용할 수 없는 결점을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기존의 가로지지대를 이용하여 허용된 크기 및 중량을 갖는 중량물을 이동시킨다 하더라도 이동전에 배치되어 있는 세로지지대를 이동해야 할 장소에 개별로 옮겨 다시 배치해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중량물의 크기와 용량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가로지지대를 만들어야 하고, 이동 후 별도의 세로지지대 배치 없이 중량물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지지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상부에 중량물을 지지한 채 운반수단에 의해 이동되어지는 중량물의 안전한 하중을 지지토록 하는 중량물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를 상측으로 지지하는 가로지지대와, 상기 가로지지대의 폭방향의 외측단부에 상단이 고정되어 가로지지대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세로지지대로 구성된 이동지지대와; 상기 이동지지대의 상부에 놓여지는 중량물의 크기에 부합되게 연결수단을 통해 복수의 이동지지대를 길이방향으로 체결하여 구성한 이동지지체를 이용하여, 상기 운반수단을 통해 이동지지대 혹은 복수의 이동지지대가 연결된 이동지지체를 중량물과 일체로 리프트-업 다운시키며 안전한 이동을 수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지지대의 가로지지대는 중량물이 상부에 놓여지는 메인지지대와, 이 메인지지대의 양측으로 대응하는 외팔보형태의 보조지지대가 복수로 구비되는 평면상에"
Figure 112005024624401-pat00002
"형상을 이루며, 상기 외팔보형태의 보조지지대의 외측단부에 상기 세로지지대가 각각 일대일로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상호 맞대기 되는 각각의 이동지지대의 가로지지대 측단부에 볼트공을 구비하는 연결브라켓을 각각 구성하며; 상기 맞대기 된 연결브라켓의 상하측상으로 연결브라켓에 형성된 볼트공과 대응하는 볼트공을 형성한 덮판연결부재를 통해 각각의 이동지지대에 형성된 연결브라켓을 볼트체결하여 고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도 1 은 본 발며의 조립식 중량물 이동 지지대가 복수로 구비된 지지구조의 개략도를,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의 이동지지대의 구성을 보인 평면 예시도 및 측면 예시도를,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지지대의 연결수단을 보이기 위한 도 2a 의 A-A선의 단면 예시도 및 부분 사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지지구조를 통한 작업상태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중량물(1)을 이동하기 위한 가로지지대(21)와, 이동 전,후시 중량물(1)을 지지하는 세로지지대(22)를 하나의 구성단위로 하는 이동지지대(20)로 구성하며, 상기 각각의 이동지지대(20)를 중량물의 크기와 중량에 대응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수단(15)를 통해 복수의 이동지지대(20)로 구비되는 이동지지체(10)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가로지지대(21)는 중량물(1)이 상부에 놓여지는 메인지지대(21a)와, 이 메인지지대(21a)의 양측으로 대응하는 외팔보형태의 보조지지대(21b)가 복수로 형성된 "
Figure 112005024624401-pat00003
"형을 이루게 된다.
상기 바닥체로부터 가로지지대(21)를 지지하게 되는 세로지지대(22)는 보조지지대(21b)의 단부에 상단이 고정되어 각각 일대일로 입설 고정된다.
즉, 상기 하나의 이동지지대(20)는 "
Figure 112005024624401-pat00004
"형의 가로지지대(21)와, 이 가로지지대(21)를 지지하는 세로지지대(22)를 일체로 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이동지지대(20)를 필요 없이 다수를 구비하지 않고, 중량물의 크기와 중량에 부합하는 선택된 개수의 이동지지대를 구비토록 하여 이러한 각각의 이동지지대(20)를 연결수단(15)를 통해 체결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수단(15)는 체결하기 위해 상호 맞대기 되는 각각의 이동지지대(20,20')의 가로지지대(21)의 측면 단부에 볼트공을 구비하는 연결브라켓(20a,20a')을 각각 구성하며, 상기 가로지지대(21)의 단부 및 연결브라켓(20a,20a')을 맞대기한 상태에서 연결브라켓(20a,20a')의 상하측면에 연결브라켓(20a,20a')에 형성된 볼트공과 대응하는 볼트공을 형성하는 덮판연결부재(26,27)를 통해 이동지지대(20,20')에 형성된 각각의 연결브라켓(20a,20a')을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맞대기 된 이동지지대(20,20')를 고정시키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수단(15)이 가로지지대(21)의 메인지지대(21a)의 양측면상에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두개의 연결브라켓(20a) 즉, 두개의 연결수단(15)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가로지지대(21)와 세로지지대(22)를 일체로 하는 이동지지대(20) 및 연결수단(15)을 통한 이동지지체(10)를 구성함으로써, 하나 혹은 복수의 이동지지대 상에 놓여진 중량물(1)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지지대(20)의 하측, 즉 세로지지대(22)의 사이에 놓여진 운반수단 이동로(6)상에 운반수단(5) 예컨데, APS(Air Pad System)와 같은 리프트-업 및 자체 이동이 가능한 운반수단을 통해 중량물(1) 및 이동지지대(20)를 함께 리프트-업 시키게 된다.
이때 운반수단(5)을 통한 리프트-업 시 그 하중 지지점은 가로지지대의 메인지지대(21a)와 보조지지대(12b)가 만나는 십자부 형상의 중심을 지지하게 된다.
이렇게 운반수단(5)에 의해 리프트-업 된 중량물(1) 및 이동지지대(20) 혹은 이동지지체(10)를 목적장소로 이동시킨 후, 운반수단(5)을 리프트-다운 시켜 중량물(1) 및 이동지지대(20)를 간단히 내려 놓는 것으로써, 이동 완료된 중량물의 지지를 그대로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량물의 크기와 중량에 맞게 각각의 구성유닛을 가지는 이동지지대 및 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통해 기존의 필요 없이 설치되었던 가로지지대 및 세로지지대를 부가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가로 및 세로지지대가 일체로 고정되어 리프트-업 다운 및 이동 후 안전한 중량물의 지지기반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부에 중량물을 지지한 채 운반수단에 의해 이동되어지는 중량물의 안전한 하중을 지지토록 하는 중량물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이 상부에 놓여지는 메인지지대(21a)와, 이 메인지지대의 양측으로 대응하는 외팔보형태의 보조지지대(21b)가 복수로 구비되어 평면상에 "
    Figure 112010031713493-pat00012
    "형상을 이루는 가로지지대(21)와, 상기 외팔보형태의 보조지지대의 외측단부에 상단이 일대일로 고정되어 가로지지대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세로지지대(22)로 구성된 이동지지대(20)와; 상기 이동지지대의 상부에 놓여지는 중량물의 크기에 부합하게 연결수단(15)을 통해 복수의 이동지지대(20)를 길이방향으로 체결하여 구성한 이동지지체(10)를 이용하여, 상기 운반수단(5)을 통해 이동지지대(20) 혹은 복수의 이동지지대가 연결된 이동지지체(10)를 중량물과 일체로 리프트-업 다운시키며 안전한 이동을 수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중량물 이동 지지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15)은 상호 맞대기 되는 각각의 이동지지대의 가로지지대 측단부에 볼트공을 구비하는 연결브라켓(20a,20a')을 각각 구성하며,
    상기 맞대기 된 연결브라켓(20a,20a')의 상하측상으로 연결브라켓에 형성된 볼트공과 대응하는 볼트공을 형성한 덮판연결부재(25,26)를 통해 각각의 이동지지대에 형성된 연결브라켓을 볼트(27)체결하여 고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중량물 이동 지지구조.
KR1020050039238A 2005-05-11 2005-05-11 조립식 중량물 이동 지지구조 KR100967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238A KR100967798B1 (ko) 2005-05-11 2005-05-11 조립식 중량물 이동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238A KR100967798B1 (ko) 2005-05-11 2005-05-11 조립식 중량물 이동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456A KR20060117456A (ko) 2006-11-17
KR100967798B1 true KR100967798B1 (ko) 2010-07-05

Family

ID=37704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238A KR100967798B1 (ko) 2005-05-11 2005-05-11 조립식 중량물 이동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7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1408U (ko) * 1978-02-15 1979-08-25
KR20000048303A (ko) * 1998-12-26 2000-07-25 정훈광 전단링을 이용한 강재의 접합구조 및 그 강재의 접합공법
KR20020009241A (ko) * 2000-07-25 2002-02-01 이계안 중량물의 정비를 위한 작업대
JP2003146591A (ja) * 1992-10-02 2003-05-21 Sankyu Inc 中重量物の搬送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1408U (ko) * 1978-02-15 1979-08-25
JP2003146591A (ja) * 1992-10-02 2003-05-21 Sankyu Inc 中重量物の搬送方法
KR20000048303A (ko) * 1998-12-26 2000-07-25 정훈광 전단링을 이용한 강재의 접합구조 및 그 강재의 접합공법
KR20020009241A (ko) * 2000-07-25 2002-02-01 이계안 중량물의 정비를 위한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456A (ko) 200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5288B2 (en) Base for supporting an upstanding mast
US8079791B2 (en) Bulk bag transport apparatus
EP1873115B1 (en) Material storage rackfor an aerial lift with a work platform
EP2383210A1 (en) Methods for positioning a large load into a transport position and for positioning a large load into a storage position, trailer and/or lorry
KR100967798B1 (ko) 조립식 중량물 이동 지지구조
CN113795642B (zh) 用于将塔架或塔架段从非竖立位置枢转至竖立位置的工具布置结构
US9238945B2 (en) Base beam and self-propelled derrick rig assembly
JP5927718B2 (ja) 移動型安全体感設備用架構
US9341028B2 (en) Counterweight assembly for a self-propelled derrick rig assembly
US9212524B2 (en) Methods of supporting a self-propelled derrick rig
CN109071183B (zh) 提升系统和用于这种提升系统的载体元件
CN109653418A (zh) 叠合楼板运输方法及叠合楼板
KR20150076067A (ko)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해체방법
EP3882459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porting a component of a wind turbine
CN107521578A (zh) 一种具有自动运输功能的牵引装置
CN205709690U (zh) 一种托架升运车
US20090301982A1 (en) Material storage rack
CN218708621U (zh) 一种多功能轧机机架吊具
CN210033356U (zh) 一种地面防喷器控制装置的底座
KR101202661B1 (ko) 블록 축조방법
AU2007100972A4 (en) Improvements to transportable lifting devices
KR200247866Y1 (ko) 짐올리기용 슬리퍼
KR20110095447A (ko) 멀티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초중량물 설치방법
US20070207022A1 (en) Modular caddy load-handling trailer docking system
ES2609100B1 (es) Dispositivo para el izado, carga y descarga de estructuras pesad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