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661B1 - 블록 축조방법 - Google Patents

블록 축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661B1
KR101202661B1 KR1020120022231A KR20120022231A KR101202661B1 KR 101202661 B1 KR101202661 B1 KR 101202661B1 KR 1020120022231 A KR1020120022231 A KR 1020120022231A KR 20120022231 A KR20120022231 A KR 20120022231A KR 101202661 B1 KR101202661 B1 KR 101202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grab hook
support
hole
gr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천
Original Assignee
나라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라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라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2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3Jack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up build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을 위해 블록을 운반차에 싣거나 시공현장에서 블록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블록의 운반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축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막대 형상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와 구붓이 연결되는 전환대와, 상기 전환대의 단부에 배치되어 운반수단에 연결되는 연결고리로 구성된 그랩훅이; 무게중심으로부터 편중되게 위치한 블록의 홀에 삽입되는 그랩훅 삽입단계, 상기 운반수단이 승강함에 따라 기울어지는 상기 지지대가 상기 블록의 내면에 밀착하고, 상기 운반수단의 승강에 의해 상기 블록이 승강하는 그랩훅 승강단계, 상기 운반수단이 운반함에 따라 상기 블록이 운반 목적지로 운반되는 그랩훅 운반단계, 및 상기 운반수단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운반 목적지에 상기 블록이 수평하게 안착되고, 상기 홀로부터 상기 그랩훅이 인출되는 그랩훅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블록 축조방법{Method of constructing block}
본 발명은 이송을 위해 블록을 운반차에 싣거나 시공현장에서 블록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블록의 운반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축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옹벽블록 또는 축조블록 등과 같이 하중이 큰 블록은 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의 제한성으로 인해서 상기 블록의 운반이 인부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블록은 하중이 크므로 인부의 인력만으로는 이를 감당하는데 한계가 있고, 블록이 인부를 직접 타격하는 인사사고의 발생가능성 또한 크므로, 블록을 판매하는 사업자 또는 옹벽을 시공하는 시공사 입장에서는 블록을 운반하는데 적지 않은 부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블록 운반수단으로 크레인 또는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장비가 활용되었다. 상기 운반수단을 활용한 운반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자는 운반 대상 블록을 로프로 묶고 상기 로프를 상기 운반수단의 암에 연결해서 상기 운반수단이 직접 이동해 상기 블록을 목적지까지 운반하도록 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작업자가 로프를 이용해 블록을 묶거나 풀어야 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했고, 운반과정 중 블록이 상기 운반수단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로프의 묶임이 풀리지 않게 단단히 고정했어야 하므로, 작업자에게 있어 운반 작업 중 로프의 묶음과 푸는 과정은 시간적으로나 작업적으로 결코 쉽지 않은 과정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로프 없이도 블록을 고정해 운반수단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옹벽블록 운반장치(등록번호 제10-1001414)가 제안되었다. 상기 운반장치는 옹벽블록의 채움구멍(11a)에 삽입된 후 다시 들어 올려지는 과정에서 프레임(29)과 회동가압부재(31)가 채움구멍(11a)의 내벽에 가하는 압력으로 밀착되고, 이를 통해 상기 운반장치의 상승을 따라 옹벽블록도 상승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운반장치의 경우 프레임(29)과 회동가압부재(31)의 연결축인 지지핀(39)에 옹벽블록의 하중이 집중되는 구조적인 무리가 있으므로, 지나친 사용 등으로 인해 지지핀(39)에 손상이 발생하면 프레임(29)과 회동가압부재(31)는 옹벽블록의 무게를 버티지 못하고 분해되면서 상기 내벽에 더 이상의 압력을 가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엔 옹벽블록은 상기 운반장치와 분리돼 그대로 낙하할 수밖에 없었다. 물론 인근에 작업자가 있을 경우 옹벽블록이 상기 작업자를 덮칠 수 있고, 상기 작업자는 큰 상해를 입을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종래의 상기 운반장치가 옹벽블록의 하중이 분산됨 없이 지지핀(39) 한 곳에 집중되는 취약한 구조에 기인한 것으로서, 상기 종래 기술은 옹벽블록의 운반과정에 불안정성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실 예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블록 운반에 있어 작업자의 번거로운 수작업 없이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블록 운반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축조방법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막대 형상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와 구붓이 연결되는 전환대와, 상기 전환대의 단부에 배치되어 운반수단에 연결되는 연결고리로 구성된 그랩훅이; 무게중심으로부터 편중되게 위치한 블록의 홀에 삽입되는 그랩훅 삽입단계,
상기 운반수단이 승강함에 따라 기울어지는 상기 지지대가 상기 블록의 내면에 밀착하고, 상기 운반수단의 승강에 의해 상기 블록이 승강하는 그랩훅 승강단계,
상기 운반수단이 운반함에 따라 상기 블록이 운반 목적지로 운반되는 그랩훅 운반단계, 및
상기 운반수단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운반 목적지에 상기 블록이 수평하게 안착되고, 상기 홀로부터 상기 그랩훅이 인출되는 그랩훅 분리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 축조방법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블록에 대한 별도의 묶음 또는 해체 작업 없이 그랩훅을 이용해 블록 운반을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블록 운반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 예의 그랩훅이 블록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랩훅에 블록이 고정되는 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조방법에 따라 운반된 블록이 축조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랩훅이 블록으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 예의 그랩훅에 대한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 예의 그랩훅이 블록에 고정되는 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 예의 그랩훅이 블록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 예의 그랩훅이 블록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 예의 그랩훅이 블록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축조방법은 블록(10)에 형성된 홀(11, 12)에 그랩훅(20)을 삽입해서 블록(10)을 운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는 그랩훅(20)을 승,하강하고 이동시키는 장비인 운반수단(30; 도 3 참조)을 이용해서 운반 대상 블록(10)을 운반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그랩훅(20)의 일 실시 예는, 홀(11, 12)에 삽입되는 지지대(21)와, 지지대(21)의 상단부에서 구붓이 연결되는 전환대(22)와, 운반수단(30)과 연결되는 연결대(23)로 구성된다. 그랩훅(20)은 블록(10)을 들어 운반해야 하는 기구이므로, 블록(1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합금 성분의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그랩훅(20)의 재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지지대(21)는 막대 형상을 이루고 운반 대상 블록(10)에 형성되는 홀(11, 12)로 삽입되어서 상단과 하단이 홀(11, 12)의 내면과 접하도록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는 휨에 대한 충분한 저항력을 갖도록, 지지대(21)의 형상을 원형 관으로 했다. 하지만, 지지대(21)의 형상은 원형 관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전환대(22)는 지지대(21)의 상단부에서 구붓이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21)가 상대적으로 경사진 배치 모습이 유지되도록 한다.
연결대(23)는 하단이 전환대(22)와 연결되고, 상단에는 연결고리(23a)가 형성되어서 그랩훅(20)이 운반수단(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연결고리(23a)를 매개로 운반수단(30)에 고정된 그랩훅(2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21)가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면서, 블록(10)의 홀(11, 12)로 삽입시 지지대(21)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홀(11, 12)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된다. 참고로, 연결고리(23a)는 고리 형태를 이룰 수 있는데, 이 경우 운반수단(30)에 연결된 그랩훅(20)은 회동 가능한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외력을 받아 진자운동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연결고리(23a)는 전환대(22)의 단부에 바로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연결대(23)의 본체는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운반 대상 블록(10)은 옹벽블록 또는 축조블록일 수 있고, 통상적으로 이러한 블록(10)에는 경량화 또는 주변 토사의 채움 등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홀(11, 12)이 형성된다. 이러한 홀(11, 12)은 블록(10)의 평면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블록(10)의 무게중심에서 한쪽으로 편중되게 배치된다.
이상 설명한 그랩훅(20)은 홀(11, 12)을 구비한 블록(10)을 작업자가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로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랩훅(20)을 활용해 블록을 운반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는 그랩훅(20)이 블록(10)의 전단부에 별도로 형성된 원형 홀(11)에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블록(10)의 후단부에 형성된 각형 홀(12)에 삽입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승강시의 블록(10)의 기울어진 정도는 그랩훅(20)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각형 홀(12)에 삽입된 경우가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원형 홀(11)에 삽입된 때보다 클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랩훅에 블록이 고정되는 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조방법에 따라 운반된 블록이 축조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랩훅이 블록으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1. 그랩훅 삽입단계
작업자는 운반 대상 블록(10)을 선정하고 해당 블록(10)의 홀(11)에 그랩훅(20)의 지지대(21)가 우선 삽입되도록 그랩훅(20)을 삽입한다. 이때, 그랩훅(20)이 삽입될 홀(11)의 크기는 지지대(21)의 길이와 경사 정도에 상응해야 할 것이다. 또한 그랩훅(20)이 삽입될 홀(11)의 위치는 블록(10)의 무게중심으로부터 편중된 위치에 있도록 해서, 그랩훅(20)이 상승하는 힘에 의해 블록(10)이 상승할 때 블록(10)이 기울어지면서 이에 따라 홀(11) 또한 자연스럽게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계속해서, 홀(11)에 삽입되는 그랩훅(20)의 지지대(21)는 경사진 형태를 이루므로, 완전히 삽입되면 지지대(21)의 상단과 하단이 홀(11) 내면에 각각 접하도록 된다.
2. 그랩훅 승강단계
그랩훅(20)은 굴삭기 또는 크레인 등과 같이 현장에 비치된 통상적인 장비인 운반수단(30)에 연결되어서 승,하강하거나 수평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그랩훅(20)이 삽입된 홀(11)의 해당 블록(10)은 지정된 위치로 운반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랩훅(20)이 홀(11)에 완전히 삽입되면 운반수단(30)은 그랩훅(20)을 당겨서 지지대(21)의 상단과 하단이 홀(11) 내면에 각각 밀착돼 힘을 가하도록 한다.
운반수단(30)의 지속적인 장력은 홀(11) 내면에 대한 지지대(21)의 상단과 하단의 밀착력을 높이고, 표면이 거칠게 형성된 콘크리트 재질의 블록(10) 특성상 지지대(21)의 상단과 하단은 홀(11) 내면 일지점에 각각 더욱 효과적으로 걸리면서 고정된다. 결국 운반수단(30)이 그랩훅(20)에 가하는 장력은 블록(10)에 전달되고, 상기 장력을 통해 블록(10)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하게 된다.
그런데, 그랩훅(20)이 삽입된 홀(11)은 블록(10)의 무게중심에서 편중된 위치에 배치되므로, 그랩훅(20)의 승강에 의해 블록(10)이 기울어지게 됨은 불가피하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감안해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10)의 기울어짐에 의한 회전시 홀(11)도 기울어지면서 그 내면이 지지대(21)의 상단을 덮도록 되고, 경사진 지지대(21)의 상단은 홀(11) 내면을 들어 지지하면서 블록(10)을 보다 안정적으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한다. 결국, 그랩훅(20)을 홀(11)에 최초 삽입할 때 승강시 블록(10)의 기울어진 방향과 지지대(21)의 기울어진 방향이 나란할 수 있는 자세로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참고로, 기울어진 방향이 나란하다 함은 경사방향이 동일함을 의미할 뿐, 평행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블록(10)의 경사도와 지지대(21)의 경사도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3. 그랩훅 운반단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반수단(30)은 지상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승강시킨 블록(10)을 운반 목적지로 운반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운반의 목적을 블록(10) 축조로 예시하였으므로, 상기 목적지를 다른 블록(10', 10")들의 상면으로 제시한다.
운반수단(30)은 그랩훅(20)을 홀(11)에 삽입한 상태로 블록(10)을 승강시켜 다른 블록(10', 10")의 상면으로 운반하고, 해당 위치에 블록(10)을 하강시켜서 안착한다.
한편, 운반수단(3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회 동작에 하나의 블록(10)만을 운반할 수도 있고, 도 8(본 발명에 따른 운반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계변경을 통해 1회 동작에 다수 개의 블록(10)을 동시에 운반할 수도 있다. 다수 개의 블록(10)을 운반하기 위해 운반수단(30')은 다수 개의 그랩훅(20)과 연결되기 위한 다수 개의 링커(32, 33, 34)와, 링커(32, 33, 34)를 일체로 연결하는 프레임(31)과, 프레임(31)에 운반수단(30') 본체의 발생 장력을 전달하는 로프(35)로 구성되고, 로프(35)의 말단에는 운반수단(30')과의 연결을 위한 고리(35a)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프레임(31)에 3개의 링커(32, 33, 34)가 연결되면서, 각 링커(32, 33, 34)가 그랩훅(20)과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되고, 이를 통해 하나의 프레임(31)이 3개의 블록(10)을 고정해 운반할 수 있도록 했다.
휨 없이 하중이 큰 블록(10)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31)의 형상은 I 형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31)에 구성되는 링커(32, 33, 34)의 개수 또한 예시한 바와 같이 3개에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4. 그랩훅 분리단계
블록(10)이 상기 목적지인 하층에 위치한 블록(10', 10") 상면에 안착되면 기울어진 상태에서 다시 수평 상태로 자세를 보정하고,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11)의 내면과 지지대(21) 상,하단 간의 고정상태를 해제한다. 물론 작업자는 그랩훅(20)의 자세를 조정해서 홀(11)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11)로부터 그랩훅(20)을 손쉽게 인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작업자는 해당 블록(10)의 세밀한 자세를 조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설계에 따른 블록(10) 축조를 완료할 수 있다.
결국, 작업자는 블록(10)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블록(10)과 운반수단(30) 간의 별도의 로프 묶음 또는 해제 등의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고, 블록(10)의 하중이 지지대(21)의 상단과 하단으로 각각 분산되면서 무게 집중을 최소화하므로, 구조적인 안정성까지 담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 예의 그랩훅에 대한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랩훅(20')은 평면 형태의 지지대(21')를 구성한다.
앞서 설명한 그랩훅(20)의 실시 예는 홀(11)에 삽입되기 위해 막대 형상을 이루므로, 운반수단(30)으로부터 장력이 전달되면 홀(11) 내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그랩훅이 블록(10)을 효과적으로 고정하고 운반하기 위해서는 블록(10)과 지지대의 기울어진 방향이 나란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장력을 그랩훅이 받는 상황에서도 상기 나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지지대(21')를 평면 형태로 제작한다. 결국, 홀(11)에 삽입되어 상단과 하단이 각각 내면에 밀착된 평면 형태의 지지대(21')는 장력을 받더라도 상기 내면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최초 삽입위치에서 상기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고, 이를 통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정된 승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대(21')가 평면 형태를 이룰 경우 상대적으로 하중이 큰 블록(10)의 운반 중 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횡력에 대한 저항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평면 형태의 지지대(21')를 보완하기 위해 지지대(21')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보(21a)가 보강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21')의 하단과 접하는 홀(11) 내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21b)가 형성되어서, 지지대(21')의 하단이 홀(11) 내면에 밀착되면 돌기(21b)가 상기 내면에 강제 삽입돼 고정되면서 지지대(21')가 블록(1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서는 지지대(21')의 하단에만 돌기(21b)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홀(11) 내면과 직접 접하는 지지대(21')의 상단에도 돌기(21b)가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 예의 그랩훅이 블록에 고정되는 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랩훅(20")은 지지대(21")를 이루는 제1틀(21c)과 제2틀(21d)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서 전체 형상이 글러브 형태를 이루도록 되고, 지지대(21")의 상단부에는 전환대(22')가 구붓이 연결되며, 전환대(22')의 단부에는 운반수단(30)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고리(23a)가 형성된다. 결국, 연결고리(23a)에 운반수단(30)의 장력이 가해지면, 편중된 상기 장력에 의해 지지대(21")는 회전력이 발생하고, 상기 회전력은 블록(10)에 전달되어 그랩훅(20")이 블록(10)을 고정하는 근원이 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대(21")의 일부인 제1틀(21c)을 홀(11)에 삽입하되, 제1,2틀(21c, 21d) 사이에 형성된 공간(S)으로 홀(11)의 경계벽(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틀(21d)을 위치시킨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지지대(21")가 상하로 곧은 형태를 이루도록 도시했지만, 전환대(22')를 기준으로 볼 때 지지대(21")는 상대적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제1틀(21c)이 홀(11)에 충분히 삽입되면 경계벽(12) 또한 공간(S)에 충분히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운반수단(30)을 조작해서 연결고리(23a)에 장력을 가하고, 편중된 힘을 받은 그랩훅(20")은 회전하면서 제1,2틀(21c, 21d)의 각 내면이 블록(10)의 경계벽(12) 면에 각각 밀착된다. 계속해서, 해당 블록(10)과 이렇게 밀착된 지지대(21")는 상기 장력에 의해 승강하고, 블록(10) 또한 그랩훅(20")을 따라 승강한다. 이때, 그랩훅(20")이 고정한 경계벽(12)은 블록(10)의 편중된 위치이므로, 블록(10)은 승강하면서 기울어지고, 결국,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계벽(12)의 상부는 제1틀(21c)에 밀착되고 경계벽(12)의 하부는 제2틀(21d)에 밀착된다. 물론 블록(10)의 자중은 그랩훅(20")과 블록(10) 간의 결속력을 높이므로, 블록(10) 운반 중의 안전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1,2틀(21c, 21d)의 내면에는 블록(10)과의 접촉시 고정성을 높이기 위한 돌기(21e)가 다수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10)과 직접 접하는 제1,2틀(21c, 21d)의 상부와 하부에 돌기(21e) 형성을 집중시켜서 블록(10)과 그랩훅(20") 간의 결속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 예의 그랩훅이 블록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랩훅(20a)은 각형 홀(12) 전용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지지대(21f)가 각형 홀(12)에 상응하는 각기둥 형상으로 되어서, 각형 홀(12)에 맞춰 삽입될 수 있도록 된다. 이 경우 그랩훅(20a)의 지지대(21f)와 각형 홀(12)이 서로 긴밀하게 맞물려 결합하면서 지지대(21f)의 회전력이 블록(10)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므로, 운반수단(30)의 승강시 그랩훅(20a)과 블록(10)이 일체로 결합돼 블록(10)을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 예의 그랩훅이 블록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랩훅(20b)은 블록(10)의 홀(11) 내면과 접하는 지지대(21)의 상단과 하단에 자성체(21g, 21g')가 각각 내설되고, 상기 상,하단이 각각 접하는 내면에는 자성체(21g, 21g')의 자력에 반응해 인력을 발생시키는 자화체(13, 13')가 각각 내설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일부러 위치를 맞출 필요없이 그랩훅(20b)이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11)에 삽입되면 자성체(21g, 21g')와 자화체(13, 13')의 상호 반응에 의해 그랩훅(20b)의 자리를 맞추면서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랩훅(20b)이 블록(10)을 이상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자화체(13, 13')가 내설된 위치의 홀(11) 내면은 그랩훅(20b)의 지지대(21) 상,하단이 각각 원활히 맞물릴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결국 그랩훅(20b)은 홀(11)에 삽입되는 것만으로도 작업자의 별도 수작업 없이도 이상적인 위치에 맞춰줘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곧바로 승강시켜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자성체(21g, 21g')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일 수 있고, 자화체(13, 13')는 자성체(21g, 21g')의 자력에 의해 쉽게 자화되는 철과 같은 금속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블록 11; 홀 12; 경계벽
20, 20', 20"; 그랩훅 21, 21', 21"; 지지대
22, 22'; 전환대 23; 연결대 23a; 연결고리
30; 운반수단

Claims (5)

  1. 막대 형상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와 구붓이 연결되는 전환대와, 상기 전환대의 단부에 배치되어 운반수단에 연결되는 연결고리로 구성된 그랩훅이; 무게중심으로부터 편중되게 위치한 블록의 홀에 삽입되는 그랩훅 삽입단계,
    상기 운반수단이 승강함에 따라 기울어지는 상기 지지대가 상기 블록의 내면에 밀착하고, 상기 운반수단의 승강에 의해 상기 블록이 승강하는 그랩훅 승강단계,
    상기 운반수단이 운반함에 따라 상기 블록이 운반 목적지로 운반되는 그랩훅 운반단계, 및
    상기 운반수단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운반 목적지에 상기 블록이 수평하게 안착되고, 상기 홀로부터 상기 그랩훅이 인출되는 그랩훅 분리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축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랩훅 삽입단계에서, 상기 지지대의 상단과 하단이 상기 홀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그랩훅 승강단계에서, 상기 홀 내 지지대의 기울어진 방향과 블록의 기울어진 방향이 나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축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횡력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도록, 일면에 보가 보강된 평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축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상단과 하단에는 자성체가 내설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단과 하단이 밀착되는 홀 내면의 해당 위치에는 상기 자성체에 반응해 인력을 발생시키는 자화체가 각각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축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랩훅 삽입단계에서, 상기 지지대는 서로 이격하게 배치되는 제1틀과 제2틀로 구성되고, 상기 제1틀만이 상기 홀에 삽입되도록 해서 상기 제1틀과 제2틀 사이로 상기 홀의 경계벽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축조방법.
KR1020120022231A 2012-03-05 2012-03-05 블록 축조방법 KR101202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231A KR101202661B1 (ko) 2012-03-05 2012-03-05 블록 축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231A KR101202661B1 (ko) 2012-03-05 2012-03-05 블록 축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661B1 true KR101202661B1 (ko) 2012-11-19

Family

ID=47564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231A KR101202661B1 (ko) 2012-03-05 2012-03-05 블록 축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6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2927A (zh) * 2018-07-10 2018-11-13 中交航局第三工程有限公司 水运工程大型预制构件不穿透吊孔结构及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275B1 (ko) 1998-08-11 2002-01-15 이계철 곡괭이형맨홀뚜껑개폐기
KR101001414B1 (ko) 2009-10-13 2010-12-14 임기택 옹벽블록 운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275B1 (ko) 1998-08-11 2002-01-15 이계철 곡괭이형맨홀뚜껑개폐기
KR101001414B1 (ko) 2009-10-13 2010-12-14 임기택 옹벽블록 운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2927A (zh) * 2018-07-10 2018-11-13 中交航局第三工程有限公司 水运工程大型预制构件不穿透吊孔结构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6267B2 (en) Method for supporting an upstanding mast
CN107738990B (zh) 使用桶运输系统的方法
CN111094169A (zh) 包括具有可倾斜的第一桅杆上部的第一桅杆的起重机
CN102887428B (zh) 带翻转功能的运输装置
CN104860211A (zh) 一种砌块层间施工物料垂直运输装置
KR101202661B1 (ko) 블록 축조방법
CN202829296U (zh) 带翻转功能的运输装置
EP2921754B1 (en) An improved lifting assembly
US9238945B2 (en) Base beam and self-propelled derrick rig assembly
CN210944502U (zh) 一种预制墩柱起吊及翻转装置和装置组
US9341028B2 (en) Counterweight assembly for a self-propelled derrick rig assembly
US9212524B2 (en) Methods of supporting a self-propelled derrick rig
US9463961B2 (en) Compensator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construction form tables
US20140231609A1 (en) Base beam for supporting a self-propelled derrick rig
CN202245829U (zh) 吊装活塞缸的固定结构以及工程机械
CN210313118U (zh) 一种吊笼
US11981542B2 (en) Hoisting implement, hoisting implement system, and method for using hoisting implement system
CN218536708U (zh) 石材运输装置
CN103071989B (zh) 塔机起重臂分段安装方法及其辅助安装撑杆
JP5902513B2 (ja) 構築装置
KR100797415B1 (ko) 전주근가 운반 및 설치용 후크
JP6642543B2 (ja) 吊り具
EP2913294A1 (en) Lifting device
EP3885305A1 (en) Hoisting implement, hoisting implement system, and method for using hoisting implement system
CN111908351A (zh) 垂直运输装置及其应用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