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5365A -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5365A
KR20150075365A KR1020140181279A KR20140181279A KR20150075365A KR 20150075365 A KR20150075365 A KR 20150075365A KR 1020140181279 A KR1020140181279 A KR 1020140181279A KR 20140181279 A KR20140181279 A KR 20140181279A KR 20150075365 A KR20150075365 A KR 20150075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knitted
knitted fabric
edge portion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8370B1 (ko
Inventor
쿽 헝 찬 로저
? 헝 찬 로저
다카후미 가메이
마사키 다키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50075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at a selvedge, e.g. hems or turned wel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1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incorporating internal threads in laid-i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Shape features
    • D10B2403/032Flat fabric of variable width, e.g. including one or more fashione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과제)본 발명은, 격리부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하는 급사구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격리부(3)를 사이에 두고 좌우방향 혹은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1편성포부(1) 및 제2편성포부(2)와, 제1편성포부(1)의 격리부(3)측 단부에 형성되는 자루모양의 제1가장자리부(11)와, 제2편성포부(2)의 격리부(3)측 단부에 형성되는 자루모양의 제2가장자리부(21)를 구비하는 편성포(100, 101)를, 대향하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FB, BB)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한다. 그 때에 횡편기에 구비되는 동일한 급사구(9)를 사용하여 제1가장자리부(11)와 제2가장자리부(21)를 편성하는 사이에, 제1가장자리부(11)의 자루 내부로부터 제2가장자리부(21)의 자루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격리부(3)를 가로지르는 교차사부(31)를 편성하여, 제1가장자리부(11)와 제2가장자리부(21)를 연결한다.

Description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의 제조방법{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격리부(隔離部)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그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편성포를 가공하는 편성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1편성포부 및 제2편성포부와, 양쪽 편성포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격리부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격리부를 구비하는 편성포로서, 좌우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우측앞쪽몸통(제1편성포부)과 좌측앞쪽몸통(제2편성포부)의 사이가 격리된 카디건(cardigan)을 들 수 있다. 또한 우측앞쪽몸통의 격리부측 단부(端部)와 좌측앞쪽몸통의 격리부측 단부에는 각각 자루모양의 우측 플래킷(right placket)(제1가장자리부)과 자루모양의 좌측 플래킷(left placket)(제2가장자리부)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된 편성포는, 보통 세탁된 후에 스팀(steam)이나 다림질 등의 세트작업(set作業)에 제공된다. 그러나 편성포의 격리부 근방이 컬(curl) 되거나 세탁에 의하여 수축되거나 하기 때문에, 세트작업의 작업성이 좋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서는, 카디건의 우측앞쪽몸통과 뒤쪽몸통과 좌측앞쪽몸통을 C자 모양으로 편성함과 아울러, 이들 몸통을 편성하는 베이스 편사(base 編絲)와는 다른 삽입사(inserting yarn)에 의하여 우측앞쪽몸통과 좌측앞쪽몸통을 결속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1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베이스 편사를 급사(給絲)하는 급사구(給絲口)와 삽입사를 급사하는 급사구의 2개의 급사구가 필요하게 된다.
한편 카디건을 통모양 편성포가 아니라 단층 편성포(單層 編成布)로서 편성하는 것도 있다. 예를 들면 니들베드(needle bed) 상에서 카디건의 우측앞쪽몸통과 좌측앞쪽몸통을 좌우로 나란하게 배열시킨 상태에서 편성하고, 양쪽 앞쪽몸통의 어깨라인에 계속하여 카디건의 뒤쪽몸통을 편성한다. 단층 편성포의 카디건을 편성한 후에는, 앞쪽몸통과 뒤쪽몸통의 겨드랑이 라인을 봉제(縫製)에 의하여 접속함으로써 카디건을 완성시킨다. 이 경우에는 우측앞쪽몸통과 좌측앞쪽몸통을 편성할 때에 각각의 급사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우측앞쪽몸통과 좌측앞쪽몸통을, 특허문헌1의 편성포의 편성방법과 마찬가지로 삽입사에 의하여 결속하는 것으로 하면, 합계 3개의 급사구가 필요하게 된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8-261074호 공보
최근에는 생산성이 더 좋게 편성포를 편성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그 요청에 따르기 위하여 편성포의 편성에 사용되는 급사구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급사구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면, 그만큼 실 넣기·실 빼기(yarn in·yarn out)의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어 편성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 중 하나는, 격리부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하는 급사구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편성포를 사용하여, 격리부가 개방(open)된 편성포를 제조하기 위한 편성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격리부를 사이에 두고 좌우방향 혹은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1편성포부 및 제2편성포부와, 제1편성포부의 격리부측 단부에 형성되는 자루모양의 제1가장자리부와, 제2편성포부의 격리부측 단부에 형성되는 자루모양의 제2가장자리부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대향하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횡편기에 구비되는 동일한 급사구를 사용하여 제1가장자리부와 제2가장자리부를 편성하는 사이에, 제1가장자리부의 자루 내부로부터 제2가장자리부의 자루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격리부를 가로지르는 교차사부를 편성하여, 제1가장자리부와 제2가장자리부를 연결한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편성포가 통모양 편성포인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제1가장자리부 및 제2가장자리부를 자루편성에 의하여 편성하고, 교차사부의 양단부의 고정은 턱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성포의 제조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하고, 그 편성포에 구비되는 교차사부 중에서 격리부의 위치에 배치되는 부분을 절단하고, 그 교차사부의 절단단을 각각 제1가장자리부의 자루 내부와 제2가장자리부의 자루 내부에 인입시키는 편성포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제1가장자리부, 제2가장자리부 및 교차사부를 동일한 급사구를 사용하여 편성할 수 있다. 즉 격리부를 사이에 두는 2개의 부분을 삽입사에 의하여 결속시키는 특허문헌1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비하여,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사용하는 급사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격리부를 사이에 두는 자루모양의 제1가장자리부와 제2가장자리부를 교차사부에 의하여 연결한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교차사부는, 제1가장자리부와 제2가장자리부의 상대적인 위치 즉 제1가장자리부가 형성되는 제1편성포부와 제2가장자리부가 형성되는 제2편성포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 때문에 편성포를 세탁하더라도 제1편성포부와 제2편성포부의 상대적인 위치가 어긋나기 어렵게 되어 편성포의 세트작업이 쉬워진다.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이라면, 일정방향으로 편성포를 주회편성(circling knitted)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디건의 몸통을 편성하는 경우에, 우측앞쪽몸통(제1편성포부) → 제1가장자리부 → 교차사부 → 제2가장자리부 → 좌측앞쪽몸통(제2편성포부) → 뒤쪽몸통 → 우측앞쪽몸통(제1편성포부) → … 이라는 순서로 주회편성을 할 수 있다. 일정방향으로 편성포를 주회편성함으로써 편성포의 전체적인 외관(loop quality)을 갖출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카디건의 우측앞쪽몸통과 좌측앞쪽몸통을 삽입사에 의하여 결속하는 특허문헌1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우측앞쪽몸통과 뒤쪽몸통과 좌측앞쪽몸통을 C자 모양으로 편성하게 된다. 그 경우에 편성코스마다 편성방향이 교체되기 때문에, 편성에 사용되는 편사의 종류에 따라서는 편성포의 미려함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제1가장자리부 및 제2가장자리부를 자루편성에 의하여 편성하고, 교차사부의 양단부의 고정을 턱(tuck)에 의하여 하는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효율적으로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자루편성은 급사구를 왕복시켜서 스티치를 자루모양으로 배열하는 편성방법으로서, 자루모양 스티치열의 가장 간단한 편성방법이다. 또한 턱은 가장 간단하게 교차사부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방법이다. 또 당연하지만, 자루모양의 제1가장자리부와 제2가장자리부를 편성하는 방법은, 전후의 니들베드에 자루모양으로 스티치가 배열된 상태로 할 수 있는 방법이면 좋아, 자루편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스플릿 스티치(split stitch)나 밀라노 리브(Milano rib) 등을 이용하면, 전후의 니들베드에 자루모양으로 스티치를 배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편성포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교차사부를 절단하고, 교차사부의 절단단을 제1가장자리부와 제2가장자리부의 자루 내부에 인입시키는 것만으로, 제1편성포부와 제2편성포부가 격리부에서 격리된 편성포를 제조할 수 있다. 교차사부의 절단단은, 제1가장자리부와 제2가장자리부의 자루 내부에 인입되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되어, 당해 절단단이 편성포의 미려함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 교차사부의 절단단을 자루 내부에 인입시키기 위해서는, 코바늘(crochet hook) 등의 도구를 사용한 특별한 작업을 할 필요는 없으며, 간단하게 편성포를 편성폭 방향으로 가볍게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좋다.
도1에 있어서, (A)는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카디건의 개략도, (B)는 앞쪽몸통의 격리부의 일부에 교차사부가 형성된 카디건의 개략도이다.
도2는, 도1(A)의 카디건에 있어서 몸통의 몸통부의 편성순서를 나타내는 도식도이다.
도3은, 도1(A)의 카디건에 있어서 몸통의 몸통부의 편성공정개략도이다.
도4는, 실시형태2에 나타내는 조끼의 개략도이다.
도5는, 도4의 조끼에 있어서 몸통의 흉부의 편성순서를 나타내는 도식도이다.
도6은, 실시형태3에 나타내는 카디건의 개략도이다.
<실시형태1>
≪전체 구성≫
실시형태1에서는, 도1(A)에 나타내는 카디건(cardigan)(편성포)(100)의 제조예를 설명한다. 이 카디건(100)은, 우측앞쪽몸통(제1편성포부)(1)과, 좌측앞쪽몸통(제2편성포부)(2)과, 뒤쪽몸통(4)을 구비하고 있고,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우측앞쪽몸통(1)과 좌측앞쪽몸통(2)의 사이에 격리부(隔離部)(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앞쪽몸통(1)의 격리부(3)측의 단부(端部)에는 자루모양의 우측 가장자리부(제1가장자리부)(11)가, 좌측앞쪽몸통(2)의 격리부(3)측의 단부에는 자루모양의 좌측 가장자리부(제2가장자리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도1(A)의 카디건(100)은, 도1(B)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편성된 카디건(100)을 가공함으로써 얻어진다(어떤 가공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1(B)의 카디건(100)은, 넥홀(neck hole)을 포함하는 격리부(3) 중에서 플래킷(placket)에 대응하는 위치에, 우측 가장자리부(11)의 자루 내부와 좌측 가장자리부(21)의 자루 내부를 연결하는 교차사부(cross-over yarn部)(31)를 구비하는 점이 도1(A)의 카디건(100)과 다르다.
상기 교차사부(31)는, 우측앞쪽몸통(1), 좌측앞쪽몸통(2), 뒤쪽몸통(4), 우측 가장자리부(11) 및 좌측 가장자리부(21)와 동일한 편사에 의하여 편성되어 있다. 즉 몸통 전체가, 교차사부(31)도 포함하여 동일한 편사에 의하여 편성되어 있다. 이 교차사부(31)의 일방(一方)의 단부는 우측 가장자리부(11)의 자루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교차사부(31)의 타방(他方)의 단부는 좌측 가장자리부(21)의 자루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 결과 교차사부(31)에 의하여 우측앞쪽몸통(1)과 좌측앞쪽몸통(2)의 상대적인 위치가 지지되어 있다. 또 인타샤 편성(intarsia 編成) 등을 사용하여 몸통(1, 2)과 가장자리부(11, 21)를 서로 다른 편사에 의하여 편성하여도 좋지만, 그 경우에도 가장자리부(11, 21)와 교차사부(31)는 동일한 편사에 의하여 편성한다.
도1(B)의 카디건(100)은 세탁된 후에 세트작업에 제공된다. 세탁을 할 때에 교차사부(31)가 우측앞쪽몸통(1)과 좌측앞쪽몸통(2)의 상대적인 위치를 지지하기 때문에, 세탁 후의 카디건(100)의 세트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세트작업이 종료되면, 교차사부(31) 중에서 격리부(3)의 위치에 배치되는 부분을 절단하고, 카디건(100)을 편성폭 방향으로 가볍게 잡아당긴다. 그렇게 함으로써 교차사부(31)에 있어서 좌우의 절단단(切斷端 : cut end)이 각각 우측 가장자리부(11)의 자루 내부와 좌측 가장자리부(21)의 자루 내부로 인입되어, 도1(A)에 나타내는 카디건(100)이 얻어진다. 즉 도1(A)에 있어서 카디건(100)의 가장자리부(11, 21)의 자루 내부에는, 외관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교차사부(31)의 절단단이 존재한다.
또 교차사부(31)에 있어서 우측 가장자리부(11) 근방의 위치와 좌측 가장자리부(21) 근방의 위치의 2군데를 절단하면, 교차사부(31)의 수축에 의하여 교차사부(31)의 좌우의 절단단을 가장자리부(11, 21)의 자루 내부로 인입시킬 수도 있다. 어떻든 절단단의 처리에 특별한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번거로움도 없다.
≪편성방법≫
도1(B)의 카디건(100)의 몸통에 있어서의 몸통부는, 도2에 나타내는 편성순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방법(unicursal manner)의 요령에 의하여 편성할 수 있다. 도2에 있어서 『s』를 편성시작점이라고 하면, 카디건(100)은 우측앞쪽몸통(1) → 우측 가장자리부(11) → 교차사부(31) → 좌측 가장자리부(21) → 좌측앞쪽몸통(2) → 뒤쪽몸통(4) → 우측앞쪽몸통(1) → … 과 같이 전체적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주회편성(circling knitted)할 수 있다. 일정방향으로 카디건(100)을 주회편성함으로써 카디건(100)의 전체적인 외관(loop quality)을 갖출 수 있어, 미려함이 좋은 카디건(100)을 편성할 수 있다. 물론 좌측앞쪽몸통(2)(제1편성포부) → 좌측 가장자리부(21)(제1가장자리부) → 교차사부(31) → 우측 가장자리부(11)(제2가장자리부) → 우측앞쪽몸통(1)(제2편성포부) → … 과 같이 전체적으로 시계방향으로 편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도2에 있어서, 우측 가장자리부(11)의 앞쪽부분을 뒤쪽부분보다 먼저 편성하는 것에 대하여, 좌측 가장자리부(21)의 뒤쪽부분을 앞쪽부분보다 먼저 편성하고 있다. 이것은, 카디건(100)을 표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각 부(1, 11, 2, 21)의 외관을 갖추기 위함이다. 편성에 사용되는 편사에 따라서는 외관이 갖추어지지 않고 있더라도 카디건(100)의 미려함이 손상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에 양쪽 가장자리부(11, 21)의 앞쪽부분과 뒤쪽부분 중에서 어느 것을 먼저 편성하더라도 괜찮다.
다음에 교차사부(31)의 구체적인 편성공정을 도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3의 편성공정도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이하, FB)와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이하, BB)를 구비하는 2베드 횡편기(two-bed flat knitting machine)를 사용한 편성예를 설명한다. 도3에 있어서 『S + 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표시는 구스티치(old stitch)를, ●표시는 각 편성공정에서 편성되는 스티치를, V표시는 턱 스티치(tuck stitch)를, ▽표시는 급사구(給絲口)(9)를 나타낸다. 또 도3에서는,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하여 뒤쪽몸통의 편성을 생략하고 있다.
S0에는, 도2의 편성순서에 따라 앞쪽몸통을 1코스분 편성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상태에서 앞쪽몸통의 다음의 1코스를 편성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편성의 순서는, 이하의 공정α∼공정ε로 나눌 수 있다.
[공정α] … 제1편성포부(1)를 구성하는 제1스티치열(第1stitch列)(1s)을 격리부(3)를 향하여 편성한다.
[공정β] … 제1편성포부(1)에 있어서 격리부(3)측의 단부에 계속하여, 제1가장자리부(11)를 구성하는 제1자루모양 스티치열(11s)을 편성한다.
[공정γ] … 급사구(9)를 이동시켜서 그 편사(9Y)를 제2편성포부(2)의 격리부(3)측의 단부가 되는 위치를 향하여 연장시켜서, 급사구(9)로부터 급사된 편사(9Y)의 일부가 제1자루모양 스티치열(11s)의 자루 내부를 가로지른 상태로 함으로써 교차사부(31)를 형성한다.
[공정δ] … 교차사부(31)의 연장영역에 중복되는 위치에서, 제2가장자리부(21)를 구성하는 제2자루모양 스티치열(21s)을 편성하여, 교차사부(31)의 일부가 제2자루모양 스티치열(21s)의 자루 내부를 가로지른 상태로 한다.
[공정ε] … 제2편성포부(2)를 구성하는 제2스티치열(2s)을 격리부(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편성한다.
S1에서는, 급사구(9)를 격리부(3)측에 근접하는 방향(좌측앞쪽몸통(2)이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우측앞쪽몸통(1)을 구성하는 제1스티치열(1s)을 FB에 편성하였다(공정α). 또한 S1에서는, 제1스티치열(1s)의 격리부(3)측의 단부에 계속하여, 자루모양의 우측 가장자리부(11)의 앞쪽부분을 구성하는 스티치열을 FB에 편성하였다.
S2에서는, 급사구(9)를 격리부(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우측앞쪽몸통(1)이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자루모양의 우측 가장자리부(11)의 뒤쪽부분을 구성하는 스티치열을 BB에 편성하였다. S1의 후반부분(後半部分)과 S2에 의하여, FB와 BB에 자루모양으로 스티치가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1자루모양 스티치열(11s)이 편성된다(공정β).
S3에서는, 제1스티치열(1s)에 있어서 격리부(3)측의 단부 근방의 스티치에 급사구(9)로부터 급사되는 편사(9Y)를 턱에 의하여 고정한 후에, 급사구(9)를 이동시켜서 그 편사(9Y)를 좌측앞쪽몸통(2)의 격리부(3)측의 단부가 되는 위치를 향하여 연장시킨다(공정γ). 그 결과 급사구(9)로부터 급사된 편사(9Y)의 일부가 제1자루모양 스티치열(11s)의 자루 내부를 가로지른 상태가 된다. 또한 S3에서는, 편사(9Y)를 턱에 의하여 좌측앞쪽몸통(2)의 격리부(3)측의 단부 근방의 스티치에 고정하였다. 그 결과 시단부(始端部)와 종단부(終端部)가 각각 턱에 의하여 우측앞쪽몸통(1)과 좌측앞쪽몸통(2)에 고정된 교차사부(31)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턱에 의한 교차사부(31)의 시단부의 고정은 급사구(9)를 격리부(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S2의 최후에 하더라도 좋고, 턱에 의한 교차사부(31)의 종단부의 고정은 다음의 S4의 최초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턱의 수를 증가시켜서, 교차사부(31)의 시단부와 종단부의 고정을 더 강고한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 교차사부(31)의 고정은, 턱에 의하여 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니트(knit)나 스플릿 스티치(split stitch)에 의하여 할 수도 있다.
S4에서는, 급사구(9)를 격리부(3)에 근접하는 방향(우측앞쪽몸통(1)이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교차사부(31)의 연장방향으로 중복되는 위치에서, 자루모양의 좌측 가장자리부(21)의 뒤쪽부분을 구성하는 스티치열을 BB에 편성하였다.
S5에서는, 급사구(9)를 격리부(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좌측앞쪽몸통(2)이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자루모양의 좌측 가장자리부(21)의 앞쪽부분을 편성한 후에, 좌측앞쪽몸통(2)을 구성하는 제2스티치열(2s)을 편성하였다(S4와 S5의 전반부분(前半部分)이 공정δ, S5의 후반부분이 공정ε).
S5의 후에는, 도2에 나타내는 뒤쪽몸통(4)의 편성을 하였다. 그 결과 도1(B)에 있어서 카디건(100)의 몸통의 몸통부를 1코스분 편성할 수 있다. 이후에는, 도3의 S1∼S5의 편성과, 뒤쪽몸통의 편성을 순서대로 반복함으로써 도1(B)의 카디건(100)을 완성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도2, 도3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카디건(100)의 몸통을 동일한 급사구(9)를 사용하여 편성할 수 있다. 즉 삽입사(inserting yarn)를 사용하여 격리부를 결속하는 종래의 편성방법보다 사용하는 급사구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실 넣기(yarn-in)·실 빼기(yarn-out)의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카디건(100)의 생산성을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2>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이용하여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우측앞쪽몸통(1)과 좌측앞쪽몸통(2)의 사이에 격리부(3)가 형성된 조끼(101)를 편성할 수도 있다. 당해 격리부(3)에 있어서 교차사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의 형성은, 실시형태1의 도3과 동일하게 하면 된다.
여기에서 조끼(vest)(101)에는 암홀(arm hole)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암홀은, 전후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앞쪽몸통(1, 2)과 뒤쪽몸통(4)의 사이에 형성되는 격리부(3)로 간주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암홀에도 교차사부를 형성하고, 교차사부에 의하여 앞쪽몸통(1, 2)과 뒤쪽몸통(4)을 연결하더라도 좋다. 도4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에 대한 편성순서의 일례를 도5에 나타낸다. 도5를 보는 방법은 실시형태1의 도2와 동일하다.
도5의 『s』를 시점(始點)으로 하였을 경우에 도5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순서로 조끼(101)를 편성할 수 있다. 좌우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우측앞쪽몸통(1)과 좌측앞쪽몸통(2)의 편성에 대해서는, 도2, 도3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후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좌측앞쪽몸통(2)과 뒤쪽몸통(4)의 편성에 대해서는, 좌측앞쪽몸통(2)(제1편성포부) → 제1가장자리부(11) → 교차사부(31) → 제2가장자리부(21) → 뒤쪽몸통(4)(제2편성포부)의 순서로 편성한다. 또한 전후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뒤쪽몸통(4)과 우측앞쪽몸통(1)의 편성에 대해서는, 뒤쪽몸통(4)(제1편성포부) → 제1가장자리부(11) → 교차사부(31) → 제2가장자리부(21) → 우측앞쪽몸통(1)(제2편성포부)의 순서로 편성한다. 조끼(101)의 편성이 종료되면, 세탁하여 세트작업을 하고, 교차사부(31)를 절단함으로써 도4의 조끼(101)를 완성시킨다.
또 도5의 편성순서로 조끼(101)를 편성하는 경우에, 가장자리부(11, 21)와 몸통(1, 2, 4)이 닫혀서 합쳐지지 않도록 트랜스퍼(transfer)를 하면서 조끼(101)를 편성한다. 그 트랜스퍼를 위한 공침(空針)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 조끼(101)의 편성에는 4베드 횡편기(four-bed flat knitting machine)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3>
실시형태1, 2에서는, 통모양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이에 대하여 실시형태3에서는, 도6에 의거하여 격리부를 구비하는 단층 편성포(單層 編成布)의 편성예를 설명한다.
도6은, 평면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편성된 카디건(100)의 개략도이다. 이 카디건(100)은, 앞쪽몸통(1, 2)의 옷단측에서부터 편성을 시작하여, 뒤쪽몸통(4)의 옷단측에서 편성을 종료함으로써 얻어지는 단층 편성포이다. 이 카디건(100)의 격리부(3)에 교차사부(31)를 형성하면서 앞쪽몸통(1, 2)을 편성하는 경우에, 이하에 나타내는 [1], [2]를 교대로 반복하면 된다.
[1] … 우측앞쪽몸통(1) → 우측 가장자리부(11) → 교차사부(31) → 좌측 가장자리부(21) → 좌측앞쪽몸통(2)의 순서로 1코스분의 편성을 한다.
[2] … 좌측앞쪽몸통(2) → 좌측 가장자리부(21) → 교차사부(31) → 우측 가장자리부(11) → 우측앞쪽몸통(1)의 순서로 1코스분의 편성을 한다.
카디건(100)의 편성이 종료되면, 앞쪽몸통(1, 2)의 겨드랑이 라인과 뒤쪽몸통(4)의 겨드랑이 라인을 봉제에 의하여 접합함과 아울러, 봉제에 의하여 소매를 통모양으로 접합하고, 세탁 → 세트작업 → 교차사부(31)의 절단을 거쳐서 카디건(100)을 완성시킨다.
<그 이외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앞쪽몸통(1)(뒤쪽몸통(4))의 부분에 슬릿(slit) 모양의 격리부(3)를 복수 형성한 니트웨어(knitwear)를 편성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옷단으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앞쪽몸통(1)과 뒤쪽몸통(4)을 통모양으로 편성한 후에, 앞쪽몸통(1)을 편성폭 방향으로 복수의 편성포부로 분기(分岐)시키고, 다시 복수의 편성포부를 1개로 연결함으로써 앞쪽몸통(1)의 도중에 슬릿 모양의 격리부(3)를 형성할 수 있다. 그 복수의 편성포부를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연속하여 편성할 수 있다. 물론 옷단에 개구(開口)되는 슬릿 모양의 격리부(3)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이외에 편성포(100, 101)에 형성된 교차사부(31)를 절단하지 않고 편성포(100, 101)의 장식으로서 남겨두더라도 상관없다.
100 : 카디건(편성포)
101 : 조끼(편성포)
1 : 우측앞쪽몸통(제1편성포부) 1s : 제1스티치열
11 : 우측 가장자리부(제1가장자리부) 11s : 제1자루모양 스티치열
2 : 좌측앞쪽몸통(제2편성포부) 2s : 제2스티치열
21 : 좌측 가장자리부(제2가장자리부) 21s : 제2자루모양 스티치열
3 : 격리부 31 : 교차사부
4 : 뒤쪽몸통
9 : 급사구 9Y : 편사
FB : 앞쪽 니들베드 BB : 뒤쪽 니들베드

Claims (4)

  1. 격리부(隔離部)를 사이에 두고 좌우방향 혹은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1편성포부 및 제2편성포부와, 상기 제1편성포부에 있어서 상기 격리부측 단부(端部)에 형성되는 자루모양의 제1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편성포부에 있어서 상기 격리부측 단부에 형성되는 자루모양의 제2가장자리부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대향(對向)하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횡편기에 구비되는 동일한 급사구(給絲口)를 사용하여 상기 제1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가장자리부를 편성하는 사이에, 상기 제1가장자리부의 자루 내부로부터 상기 제2가장자리부의 자루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격리부를 가로지르는 교차사부(cross-over yarn部)를 편성하여, 상기 제1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가장자리부를 연결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포가 통(筒) 모양 편성포인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장자리부 및 상기 제2가장자리부를 자루편성(tubular knitting)에 의하여 편성하고, 상기 교차사부의 양단부의 고정은 턱(tuck)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하고,
    그 편성포에 구비되는 상기 교차사부 중에서 상기 격리부의 위치에 배치되는 부분을 절단하고, 그 교차사부의 절단단(切斷端)을 각각 상기 제1가장자리부의 자루 내부와 상기 제2가장자리부의 자루 내부에 인입시키는 편성포의 제조방법.
KR1020140181279A 2013-12-25 2014-12-16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의 제조방법 KR101648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67890A JP2015124445A (ja) 2013-12-25 2013-12-25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の製造方法
JPJP-P-2013-267890 2013-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365A true KR20150075365A (ko) 2015-07-03
KR101648370B1 KR101648370B1 (ko) 2016-08-16

Family

ID=5327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279A KR101648370B1 (ko) 2013-12-25 2014-12-16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5124445A (ko)
KR (1) KR101648370B1 (ko)
CN (1) CN104746227A (ko)
DE (1) DE1020140188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18129B (zh) * 2021-11-08 2023-01-13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全成型侧缝开口镂空组织及其编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9156A (ja) * 1998-12-25 2000-07-18 Tsudakoma Corp インタ―シャ編地における編糸の拘束方法
JP2005060861A (ja) * 2003-08-08 2005-03-10 Shima Seiki Mfg Ltd ストライプ柄を具え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ストライプ柄を具える筒状編地
JP2008261074A (ja) 2007-04-12 2008-10-30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編成方法
KR20120138807A (ko) * 2010-04-26 2012-12-26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 및 편성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12310B4 (de) * 2010-03-23 2013-08-01 H. Stoll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lauch-Rund-Fertiggestricks
JP5753374B2 (ja) * 2010-12-02 2015-07-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接合方法、および編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9156A (ja) * 1998-12-25 2000-07-18 Tsudakoma Corp インタ―シャ編地における編糸の拘束方法
JP2005060861A (ja) * 2003-08-08 2005-03-10 Shima Seiki Mfg Ltd ストライプ柄を具え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ストライプ柄を具える筒状編地
JP2008261074A (ja) 2007-04-12 2008-10-30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編成方法
KR20120138807A (ko) * 2010-04-26 2012-12-26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 및 편성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370B1 (ko) 2016-08-16
JP2015124445A (ja) 2015-07-06
CN104746227A (zh) 2015-07-01
DE102014018872A1 (de) 2015-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443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CN102086560B (zh) 针织物的编织方法和针织物
EP1908867B1 (en) Method of knitting knitwear having an open part in a tubular body part
JP5695846B2 (ja) Vネック尖端部の編成方法、およびvネックを有するニットウエア
KR20150106364A (ko) 포켓을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KR20130130603A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EP2385160B1 (en) 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EP2390394B1 (en) Method for knitting tubular fabric having neck line, and tubular fabric having neck line
KR101449504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KR20190062218A (ko)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KR101648370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의 제조방법
JP6037759B2 (ja) 編地、および編地の編成方法
JP5452791B2 (ja) 側端部を補強した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EP2392708B1 (en) Method for knitting knitwear with collar having v-neck point and knitted fabric
EP2410085A1 (en)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EP1669484B1 (en) Knitting method for forming a drape around the neck
KR101844739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JP2008261074A (ja) 編地の編成方法
KR101735362B1 (ko) 서포터 및 서포터의 편성방법
JP4856639B2 (ja) 前後非対称な形状を有するニットウエアの編成方法
JP2012001846A (ja) 内増やし方法、および編地
KR101384192B1 (ko) 니트웨어
CN102758302A (zh) 筒状针织物的编织方法及筒状针织物
JP7162453B2 (ja) リセスのある編地の編成方法と編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