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475A -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 Google Patents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475A
KR20150074475A KR1020130162295A KR20130162295A KR20150074475A KR 20150074475 A KR20150074475 A KR 20150074475A KR 1020130162295 A KR1020130162295 A KR 1020130162295A KR 20130162295 A KR20130162295 A KR 20130162295A KR 20150074475 A KR20150074475 A KR 20150074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ning
voltage
batteries
pair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8385B1 (ko
Inventor
김평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130162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385B1/ko
Priority to PCT/KR2014/009179 priority patent/WO2015099268A1/ko
Priority to US15/101,451 priority patent/US9952290B2/en
Priority to CN201480070389.5A priority patent/CN105849029A/zh
Priority to EP14875740.4A priority patent/EP3088348A4/en
Publication of KR20150074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2Balancing the charge of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4Electrical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6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electric gener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1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remote indication, e.g. on external charg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는 엔진식 지게차에 포함된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 쌍의 배터리로 구성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엔진 제어 유닛, 상기 한 쌍의 배터리의 전압 평형을 유지시키고 상기 엔진 제어 유닛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조절하도록 상기 전원부와 상기 엔진 제어 유닛 사이에 마련되는 이퀄라이저 및 상기 한 쌍의 배터리로부터 입력되는 전압과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전압 평형의 이상을 감지하는 이상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POWER SOURCE ABNORMALITY OF ENGINE TYPE FORKLIFT}
본 발명은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의 이상 발생을 감지하는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작업장에는 화물을 들어올리고 내리거나 그 화물을 필요한 위치로 운반하는데 지게차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게차는 동력원에 따라 엔진식 지게차와 전동식 지게차로 구분되며, 이중 상기 엔진식 지게차(이하, '지게차'로 약칭함)는 엔진으로 유압 펌프를 구동하고, 유압 펌프에서 토출되는 압유로 차량을 주행시키며, 작업기를 구동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1)에는 챠량 프레임(8)에 피봇 장착되는 마스트(9),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 상기 마스트(9)에 지지되는 캐리어(10), 피봇점을 중심으로 상기 마스트(9)를 경사지게 작동시키는 틸트 실린더(12) 및 상기 캐리어(10)의 승강을 작동시키는 리프트 실린더(11)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스트(9)는 바깥쪽에 형성된 외부 마스트(9a)와 안쪽에 형성된 내부 마스트(9b)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마스트(9b)는 캐리어(10)를 지지하고, 상기 리프트 실린더(11)에 의해 승하강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틸트 실린더(12)와 리프트 실린더(11)는 틸트 레버(13) 및 리프트 레버(14)에 의해 조작되며, 이러한 틸트 레버(13) 및 리프트 레버(14)는 운전실 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운전실 내에서 조작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게차(1)의 주차를 위한 브레이크를 위해 주차 브레이크(3) 및 상기 주차 브레이크(3)의 스위치를 위한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21)가 운전석(2)의 전면에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중대형 엔진식 지게차는 시스템 전원과 엔진 제어 유닛(Engine Control Unit, ECU)을 포함한 모든 전기 장치의 전기적 전압 사양으로서 대략 24DCV(Direct Current Voltage)의 배터리 전원을 동일하게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본 발명에서의 엔진 제어 유닛은 대략 12DCV로 작동되므로 상기 엔진 제어 유닛에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12DCV의 전원을 공급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9160호(1999. 7. 2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엔진 제어 유닛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이퀄라이저에 이상이 생긴 경우라도 이를 신속히 감지할 수 있는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는, 엔진식 지게차에 포함된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 쌍의 배터리로 구성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엔진 제어 유닛(ECU); 상기 한 쌍의 배터리의 전압 평형을 유지시키고 상기 엔진 제어 유닛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조절하도록 상기 전원부와 상기 엔진 제어 유닛 사이에 마련되는 이퀄라이저(equalizer); 및 상기 한 쌍의 배터리로부터 입력되는 전압과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전압 평형의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이퀄라이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감지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상 감지부는 상기 한 쌍의 배터리의 전압을 각각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의 차이가 소정 전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이퀄라이저의 이상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상 감지부는, 엔진의 시동 후 소정의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전압 평형의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는, 상기 이상 감지부에서 상기 한 쌍의 배터리의 이상 전압을 감지하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 부저 및 경고광을 발생시키는 경고 램프로 구성되는 경고부; 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고부는 소정의 경고시간 간격으로 경고음 또는 경고광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방법은, 엔진식 지게차의 엔진을 구동하는 시동 단계; 상기 엔진식 지게차에 포함된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한 쌍의 배터리의 전압을 각각 감지하는 전압 감지 단계; 상기 한 쌍의 배터리에서 감지된 전압의 차이를 소정 전압값과 비교하는 전압 평형 판단 단계; 및 상기 전압 평형 판단 단계에서 상기 한 쌍의 배터리의 전압의 차이가 소정 전압값 이상인 경우, 경고부가 경고음 및 경고광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하는 경고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압 평형 판단 단계는, 상기 한 쌍의 배터리로부터 입력되는 전압과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의 차이값(V1)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값(V1)과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의 차이값에 대한 절대값(V2)을 산출하여, 상기 절대값(V2)을 상기 소정 전압값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고 단계는, 상기 경고부가 소정의 경고시간 간격으로 경고음 및 경고광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방법은, 상기 전압 평형 판단 단계에서 상기 한 쌍의 배터리의 전압의 차이가 소정 전압값 미만인 경우, 상기 경고부의 경고음 또는 경고광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경고 판단 단계; 상기 경고 판단 단계에서 상기 경고부가 경고음 또는 경고광을 발생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배터리의 전압의 차이를 소정 전압값과 비교하는 전압 평형 재판단 단계; 및 상기 전압 평형 재판단 단계에서 상기 한 쌍의 배터리의 전압의 차이가 소정 전압값 미만인 경우, 상기 경고부의 경고음 및 경고광을 소멸시키는 경고 소멸 단계; 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방법은, 상기 시동 단계에서 상기 엔진의 구동 후 소정의 대기시간 동안 대기하는 대기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퀄라이저를 마련하여 대략 24DCV의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지게차에 있어서 엔진 제어 유닛으로 대략 12DCV의 전원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복수개의 배터리로 구성되는 전원부의 전압 평형(voltage balance)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차량의 운행 중 이퀄라이저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이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전원부의 전원 부족으로 인한 지게차의 안전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엔진식 지게차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의 작동 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방법의 전압 평형 판단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의 작동 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는 엔진 제어 유닛(ECU)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전원 변화 장치인 이퀄라이저에 이상이 생긴 경우라도 이를 신속히 감지하여 전원부의 전원 부족으로 인한 지게차의 안전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부(100), 엔진 제어 유닛(ECU, 200), 이퀄라이저(equalizer, 300), 이상 감지부(400) 및 경고부(5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100)는 지게차에 포함된 각종 전기 장치(7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쌍의 배터리(110, 120) 즉, 제1배터리(110) 및 제2배터리(120)가 서로 직렬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배터리(110) 및 상기 제2배터리(120)는 각각 대략 12DCV(Direct Current Voltage)을 제공하며, 따라서 상기 전기 장치(700) 등에는 대략 24DCV가 제공된다.
상기 엔진 제어 유닛(200)은 지게차의 엔진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전원부(10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엔진 제어 유닛(200)은 대략 12DCV로 작동되므로 상기 전원부(100)에서 제공하는 전압을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같은 전압의 조절은 상기 이퀄라이저(300)가 수행한다.
즉, 상기 이퀄라이저(300)는 상기 전원부(100)와 상기 엔진 제어 유닛(20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엔진 제어 유닛(200)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원부(100)를 구성하는 제1배터리(110) 및 제2배터리(120)는 각각 대략 12DCV를 제공하는 전원이고, 상기 제1배터리(110) 및 상기 제2배터리(120)는 서로 직렬 연결되어 대략 24DCV를 제공하므로, 상기 이퀄라이저(300)는 상기 전원부(100)에서 인가되는 대략 24DCV의 전원을 대략 12DCV의 전원으로 조절하여 상기 엔진 제어 유닛(200)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이퀄라이저(300)는 상기 전원부(100)를 구성하는 제1배터리(110) 및 제2배터리(120)의 전압 평형(voltage balance)를 유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배터리(110) 및 제2배터리(120)가 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압 및 상기 엔진 제어 유닛(200)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압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지게차의 종류 및 상기 전원부(100)의 용량에 따라 다른 값의 전압을 가질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내용은 상기 각각의 전압값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이상 감지부(400)는 상기 한 쌍의 배터리(110, 120)로부터 입력되는 전압과 상기 한 쌍의 배터리(110, 1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전압 평형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이퀄라이저(30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즉, 엔진식 지게차의 운행 중 상기 이퀄라이저(300)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배터리(110, 120)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배터리(110)만 상기 엔진 제어 유닛(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므로 상기 제1배터리(110)에는 과방전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구동 전원의 부족으로 지게차는 정상 동작을 할 수 없어 안전 사고 등을 유발하고, 나아가 상기 전원부(100)의 지속적인 과방전 현상은 고가의 배터리 수명을 단축시켜 수시로 교환을 함으로써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상 감지부(400)는 상기 한 쌍의 배터리(110, 120)의 전압을 각각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의 차이가 소정 전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이퀄라이저(300)가 제1배터리(110) 및 제2배터리(120)의 전압 평형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상기 이퀄라이저(300)에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의하여 지게차의 운전자 등은 상기 이퀄라이저(300)에 이상이 발생함과 상기 전원부(100)에 과방전이 발생함을 사전에 인지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배터리(110) 및 제2배터리(120)는 대략 12DCV를 전원으로 제공하므로 감지된 전압값의 차이인 소정 전압값은 대략 1V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지게차의 종류 및 상기 전원부(100)의 용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소정 전압값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상 감지부(400)는 엔진의 시동 후 소정의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전압 평형의 여부를 감지한다. 즉, 지게차의 시동 시 상기 전원부(100)의 전원을 이퀄라이저(300), 이상 감지부(400) 및 전기 장치(700) 등에 공급하기 위하여 키스위치(600, key switch)를 온(ON)시키는데, 이때에는 상기 전원부(100)의 전압 상태가 불안정하므로 상기 제1배터리(110)과 제2배터리(120)의 정확한 전압의 차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대기시간 후에 상기 이상 감지부(400)가 작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대기시간이 대략 3분 정도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지게차의 종류 및 상기 전원부(100)의 용량 등에 의하여 달리 설정될 수 있고, 소정의 대기시간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경고부(500)는 상기 이상 감지부(400)에서 상기 이퀄라이저(300)의 이상을 감지하면 운전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상황을 경고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 부저(510) 및 경고광을 발생시키는 경고 램프(52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이퀄라이저(300)에 이상이 생겨 상기 제1배터리(110) 및 제2배터리(120)가 전압 평형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즉시 경고음 또는 경고광을 발생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상기 전원부(100)의 과방전을 사전에 인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경고부(500)는 소정의 경고시간 간격으로 경고음 또는 경고광을 발생시키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경고시간이 대략 0.5초 정도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작업 환경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고, 소정의 경고시간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방법의 전압 평형 판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방법은 시동 단계(S110), 대기 단계(S120), 전압 감지 단계(S130), 전압 평형 판단 단계(S140), 경고 단계(S150), 경고 판단 단계(S210), 전압 평형 재판단 단계(S220) 및 경고 소멸 단계(S2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동 단계(S110)는 지게차의 엔진을 구동하기 위한 단계로서, 지게차의 시동 시 전원부(100)의 전원을 이퀄라이저(300), 이상 감지부(400) 및 전기 장치(700) 등에 공급하기 위하여 키스위치(600)를 온(ON)시킨다.
상기 대기 단계(S120)는 상기 시동 단계(S110)에서 상기 엔진의 구동 후 소정의 대기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로서, 엔진의 시동 초기에는 상기 전원부(100)의 전압 상태가 불안정하므로 상기 전원부(100)를 구성하는 제1배터리(110)과 제2배터리(120)의 정확한 전압의 차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대기시간 동안 대기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기단계(S120)에서 소정의 대기시간은 대략 3분 정도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지게차의 종류 및 상기 전원부(100)의 용량 등에 의하여 달리 설정될 수 있고, 소정의 대기시간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압 감지 단계(S130)는 상기 대기 단계(S120) 후에 상기 엔진식 지게차에 포함된 전기 장치(700)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한 쌍의 배터리(110, 120)의 전압을 각각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압 감지 단계(S130)에서 이상 감지부(400)는 서로 직렬 연결되는 제1배터리(110) 및 제2배터리(120) 모두의 전압과 상기 제1배터리(110)의 전압을 감지한다.
상기 전압 평형 판단 단계(S140)는 상기 한 쌍의 배터리(110, 120)에서 감지된 전압의 차이를 소정 전압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배터리(110) 및 제2배터리(120)가 전압 평형을 유지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전압 평형 판단 단계(S140)에서 상기 한 쌍의 배터리(110, 120)에서 감지된 전압의 차이가 소정 전압값 이상인 경우에는 전압 평형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상기 이퀄라이저(300)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배터리(110) 및 제2배터리(120)는 대략 12DCV를 전원으로 제공하므로 상기 소정 전압값은 대략 1V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지게차의 종류 및 상기 전원부(100)의 용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소정 전압값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압 평형 판단 단계(S140)는 상기 한 쌍의 배터리(110, 120)로부터 입력되는 전압과 상기 한 쌍의 배터리(110, 1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의 차이값(V1)을 산출하고(S141), 상기 차이값(V1)과 상기 한 쌍의 배터리(110, 1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의 차이값에 대한 절대값(V2)을 산출하여(S142, S143), 상기 절대값(V2)을 상기 소정 전압값과 비교한다(S144).
예를 들어, 상기 제1배터리(110) 및 상기 제2배터리(120)가 지게차의 전기 장치(700) 등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대략 12DCV의 전원을 제공하는데, 상기 이퀄라이저(300)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제1배터리(110)만으로 엔진 제어 유닛(200)이 작동하므로 상기 제1배터리(110)는 과방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배터리(120)는 계속하여 12DCV를 전원으로 제공하나, 상기 제1배터리(110)는 과방전되어 10DCV를 전원으로 제공하게 된다면, 이때 상기 이상 감지부(400)는 상기 제1배터리(110)와 제2배터리(120)로부터 입력되는 22DCV의 전압을 감지하고, 상기 제1배터리(110)만으로부터 입력되는 10DCV의 전압을 감지하여 이들 전압의 차이값(V1)을 12DCV로 산출한다(S141).
그리고 12DCV인 상기 차이값(V1)과 상기 제1배터리(110)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인 10DCV의 차이값에 대한 절대값(V2)을 2DCV로 산출하며(S142, S143), 상기 절대값(V2)을 소정 전압값인 1DCV와 비교한다(S144).
상기 절대값(V2)인 2DCV는 소정 전압값인 1DCV 이상이므로, 상기 이상 감지부(400)는 상기 제1배터리(110) 및 제2배터리(120)가 전압 평형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이퀄라이저(30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경고 단계(S150)는 상기 전압 평형 판단 단계(S140)에서 상기 한 쌍의 배터리(110, 120)의 전압의 차이가 소정 전압값 이상인 경우, 즉 상기 이퀄라이저(300)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면, 경고부(500)가 경고음 및 경고광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켜 이를 운전자에게 알린다.
상기 경고 단계(S150)에서는 상기 경고부(500)가 소정의 경고시간 간격으로 경고음 및 경고광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경고시간이 대략 0.5초 정도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작업 환경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고, 소정의 경고시간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경고 판단 단계(S210)는 상기 전압 평형 판단 단계(S140)에서 상기 한 쌍의 배터리(110, 120)의 전압의 차이가 소정 전압값 미만인 경우, 즉 상기 제1배터리(110) 및 제2배터리(120)가 서로 전압 평형을 유지하므로 상기 이퀄라이저(300)가 정상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경고부(500)의 경고음 또는 경고광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경고부(500)에서 경고음이나 경고광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전압 감지 단계(S130)로 복귀하며, 상기 경고 판단 단계(S210)에서 상기 경고부(500)가 경고음 또는 경고광을 발생하면 상기 전압 평형 재판단 단계(S220)에서 상기 한 쌍의 배터리(110, 120)의 전압의 차이를 소정 전압값과 다시 비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고 부저(510) 및 경고 램프(520) 등으로 구성되는 경고부(500)는 다른 용도로도 사용되므로, 상기 전압 평형 판단 단계(S140)에서 상기 한 쌍의 배터리(110, 120)의 전압의 차이가 소정 전압값 미만이라고 판단한 경우라도, 상기 경고부(500)에서 경고음이나 경고광이 발생하면 상기 제1배터리(110) 및 제2배터리(120)의 전압 차이에 의해 상기 경고부(500)가 작동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전압 평형 재판단 단계(S220)에서 상기 전원부(100)의 전압 평형을 다시 한 번 판단한다.
상기 전압 평형 재판단 단계(S220)에서 상기 한 쌍의 배터리(110, 120)의 전압의 차이가 소정 전압값 미만인 경우, 이는 상기 제1배터리(110) 및 제2배터리(120)의 전압 차이에 의하여 상기 경고부(500)가 작동한 것이 아니므로, 상기 경고 소멸 단계(S230)는 상기 경고부(500)의 경고음 및 경고광을 소멸시킨다.
한편, 상기 전압 평형 재판단 단계(S220)에서 상기 한 쌍의 배터리(110, 120)의 전압의 차이가 소정 전압값 이상인 경우라면, 상기 전압 감지 단계(S130)로 복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전원부 110: 제1배터리
120: 제2배터리 200: 엔진 제어 유닛
300: 이퀄라이저 400: 이상 감지부
500: 경고부 510: 경고 부저
520: 경고 램프

Claims (10)

  1. 엔진식 지게차에 포함된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 쌍의 배터리로 구성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엔진 제어 유닛(ECU);
    상기 한 쌍의 배터리의 전압 평형을 유지시키고 상기 엔진 제어 유닛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조절하도록 상기 전원부와 상기 엔진 제어 유닛 사이에 마련되는 이퀄라이저(equalizer); 및
    상기 한 쌍의 배터리로부터 입력되는 전압과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전압 평형의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이퀄라이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감지부; 를 포함하는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감지부는 상기 한 쌍의 배터리의 전압을 각각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의 차이가 소정 전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이퀄라이저의 이상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감지부는, 엔진의 시동 후 소정의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전압 평형의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감지부에서 상기 한 쌍의 배터리의 이상 전압을 감지하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 부저 및 경고광을 발생시키는 경고 램프로 구성되는 경고부; 를 더 포함하는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소정의 경고시간 간격으로 경고음 또는 경고광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
  6. 엔진식 지게차의 엔진을 구동하는 시동 단계;
    상기 엔진식 지게차에 포함된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한 쌍의 배터리의 전압을 각각 감지하는 전압 감지 단계;
    상기 한 쌍의 배터리에서 감지된 전압의 차이를 소정 전압값과 비교하는 전압 평형 판단 단계; 및
    상기 전압 평형 판단 단계에서 상기 한 쌍의 배터리의 전압의 차이가 소정 전압값 이상인 경우, 경고부가 경고음 및 경고광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하는 경고 단계; 를 포함하는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평형 판단 단계는,
    상기 한 쌍의 배터리로부터 입력되는 전압과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의 차이값(V1)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값(V1)과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의 차이값에 대한 절대값(V2)을 산출하여, 상기 절대값(V2)을 상기 소정 전압값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단계는,
    상기 경고부가 소정의 경고시간 간격으로 경고음 및 경고광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평형 판단 단계에서 상기 한 쌍의 배터리의 전압의 차이가 소정 전압값 미만인 경우,
    상기 경고부의 경고음 또는 경고광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경고 판단 단계;
    상기 경고 판단 단계에서 상기 경고부가 경고음 또는 경고광을 발생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배터리의 전압의 차이를 소정 전압값과 비교하는 전압 평형 재판단 단계; 및
    상기 전압 평형 재판단 단계에서 상기 한 쌍의 배터리의 전압의 차이가 소정 전압값 미만인 경우, 상기 경고부의 경고음 및 경고광을 소멸시키는 경고 소멸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단계에서 상기 엔진의 구동 후 소정의 대기시간 동안 대기하는 대기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방법.
KR1020130162295A 2013-12-24 2013-12-24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KR102128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295A KR102128385B1 (ko) 2013-12-24 2013-12-24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PCT/KR2014/009179 WO2015099268A1 (ko) 2013-12-24 2014-09-30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US15/101,451 US9952290B2 (en) 2013-12-24 2014-09-30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ower abnormality of engine-type forklift truck
CN201480070389.5A CN105849029A (zh) 2013-12-24 2014-09-30 发动机式叉车的电源异常感知装置及感知方法
EP14875740.4A EP3088348A4 (en) 2013-12-24 2014-09-30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ower abnormality of engine-type forklift tru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295A KR102128385B1 (ko) 2013-12-24 2013-12-24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475A true KR20150074475A (ko) 2015-07-02
KR102128385B1 KR102128385B1 (ko) 2020-06-30

Family

ID=5347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295A KR102128385B1 (ko) 2013-12-24 2013-12-24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52290B2 (ko)
EP (1) EP3088348A4 (ko)
KR (1) KR102128385B1 (ko)
CN (1) CN105849029A (ko)
WO (1) WO2015099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9756A (zh) * 2016-09-20 2018-03-27 永恒力股份公司 包括多件式的车架的地面运输工具
DE112019005131T5 (de) * 2018-11-22 2021-07-01 Hitachi Astemo, Ltd. Zellensteuereinrichtung, batteriesteuereinrichtung, batteriemanagementsystem und batteriesystem
CN113335068A (zh) * 2021-07-06 2021-09-03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故障诊断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4689357B (zh) * 2022-06-01 2022-08-16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托盘车强化试验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419A (ko) * 1996-12-23 1998-09-15 김영귀 이퀄라이즈 충전용 알람표시장치
KR200159160Y1 (en) 1997-12-30 1999-10-15 Daewoo Heavy Ind Co Ltd Engine fork lift truck
KR20060033927A (ko) * 2004-04-13 2006-04-20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하역 작업용 산업차량의 하역장치
KR20080018546A (ko) * 2006-08-24 2008-02-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대형차량용 배터리 이퀄라이저의 배터리 전압 감지장치
CN201268232Y (zh) * 2008-09-12 2009-07-08 赵建和 一种电动车蓄电池组监测报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335Y1 (ko) 1988-01-11 1990-10-10 송진환 화물자동차용 화물 결박장치
US4994973A (en) * 1988-12-28 1991-02-19 Nippon Yusoki Co., Ltd. Control system for industrial use vehicles
JPH11201007A (ja) 1998-01-12 1999-07-2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産業用エンジン車両におけるバッテリ電圧異常検出方法及びバッテリ電圧異常検出装置
ITMI20040092A1 (it) 2004-01-23 2004-04-23 Cte S P A Veicolo elevatore
CN2852416Y (zh) * 2005-12-24 2006-12-27 玮辰(龙口)实业有限公司 一种电池组内的单体电池监测装置
JP5009692B2 (ja) 2007-06-11 2012-08-2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CN102120555B (zh) 2008-04-18 2015-08-26 雷蒙德股份有限公司 用于管理工业车辆运行以延长电池寿命的系统
JP2009298543A (ja) 2008-06-12 2009-12-24 Toyota Industries Corp 荷役回生装置、及びフォークリフト
JP5339811B2 (ja) 2008-08-01 2013-11-13 ユニキャリア株式会社 バッテリー式作業車両の運転状態検出装置
JP2010091520A (ja) * 2008-10-10 2010-04-22 Toshiba Corp 電池モジュール異常検出回路及びその検出方法
JP2010154646A (ja) * 2008-12-25 2010-07-08 Omron Corp 充電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831805B2 (en) * 2009-03-31 2014-09-09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and industrial vehicle having power supply system
US8598840B2 (en) * 2010-04-15 2013-12-03 Launchpoint Energy And Power Llc Fault-tolerant battery management system, circuits and methods
US8791667B2 (en) * 2011-01-31 2014-07-29 Infineon Technologies Ag Inductive charge balancing
FR2976676B1 (fr) * 2011-06-15 2014-12-12 Michelin Soc Tech Dispositif de surveillance d'une batterie d'accumulation electrique et procede associe
CN202297042U (zh) 2011-09-29 2012-07-04 郑州四维机电设备制造有限公司 电动叉车动力控制系统
CN103311595A (zh) 2012-03-06 2013-09-18 北京联动天翼科技有限公司 用于多节锂电池串联使用的检测保护装置和方法
CN103308860A (zh) * 2012-03-15 2013-09-18 凹凸电子(武汉)有限公司 电池故障检测方法、电池故障检测装置及电池管理系统
CN203359912U (zh) * 2013-06-24 2013-12-25 温岭市金悦自动化设备有限公司 电动升降叉车
CN103935934B (zh) * 2014-04-10 2016-06-08 季全亮 小吨位电瓶电控叉车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419A (ko) * 1996-12-23 1998-09-15 김영귀 이퀄라이즈 충전용 알람표시장치
KR200159160Y1 (en) 1997-12-30 1999-10-15 Daewoo Heavy Ind Co Ltd Engine fork lift truck
KR20060033927A (ko) * 2004-04-13 2006-04-20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하역 작업용 산업차량의 하역장치
KR20080018546A (ko) * 2006-08-24 2008-02-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대형차량용 배터리 이퀄라이저의 배터리 전압 감지장치
CN201268232Y (zh) * 2008-09-12 2009-07-08 赵建和 一种电动车蓄电池组监测报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52290B2 (en) 2018-04-24
EP3088348A1 (en) 2016-11-02
US20160370436A1 (en) 2016-12-22
CN105849029A (zh) 2016-08-10
EP3088348A4 (en) 2017-10-18
WO2015099268A1 (ko) 2015-07-02
KR102128385B1 (ko)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4475A (ko)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KR101502252B1 (ko) 전동 차량의 무인가 배터리 교환시 대책 장치
US9731950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load handling device
US98413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quantity of payload
EP3158301A1 (en) A control unit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comprising a platform for carrying a load.
KR20150041994A (ko)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5044491A (ja) 緊急制動表示灯の制御装置
KR20090124595A (ko) 지게차용 자동 파킹 브레이크장치
WO2013091427A1 (zh) 车辆的悬挂分组控制系统及悬挂分组控制方法
KR20110071980A (ko) 전동 지게차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07007A (ko) 차량용 액티브 롤 스테빌라이저 장치 및 이의 고장 진단방법
KR101361515B1 (ko) 연료 전지 수소 공급 시스템 및 연료 전지 수소 공급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6901368B2 (ja) 制御装置及び荷受台昇降装置
KR20190081099A (ko) 산업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2010063265A (ja) 燃料電池搭載車両
JP4284334B2 (ja) 作業用車両
KR20150010338A (ko) 지게차 기울기 감지 장치
JP2010125878A (ja) タイヤ空気圧監視装置
KR20160117928A (ko) 건설기계의 제어 방법
JP2006282301A (ja) アウトリガの安全装置
KR20120061438A (ko)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의 오동작 방지방법
KR101023740B1 (ko) 지게차의 전기모터 쿨링팬 이상유무 검출장치 및 이를이용한 전기모터 제어방법
KR20170115410A (ko) 차량의 램프의 단선 알림 방법
KR100911585B1 (ko)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4075337A (ja) リフトリモコン付きフォーク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