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904A - 백색 반사 필름 - Google Patents

백색 반사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904A
KR20150065904A KR1020157013430A KR20157013430A KR20150065904A KR 20150065904 A KR20150065904 A KR 20150065904A KR 1020157013430 A KR1020157013430 A KR 1020157013430A KR 20157013430 A KR20157013430 A KR 20157013430A KR 20150065904 A KR20150065904 A KR 20150065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film
surface layer
layer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7393B1 (ko
Inventor
마사히로 구라가키
마사토 아사이
히로시 구스메
Original Assignee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34586A external-priority patent/JP57852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34587A external-priority patent/JP5722937B2/ja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6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반사층 A 와, 입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표면층 B 를 가지며, 상기 표면층 B 의 상기 반사층 A 와는 반대측의 표면에 상기 입자에 의해 형성된 돌기를 가지며, 그 표면에 있어서의 높이 5 ㎛ 이상의 돌기 개수가 104 ∼ 1010 개/㎡ 인 백색 반사 필름으로서, a. 표면층 B 가 배향된 층이고 또한 입자가 비교적 높은 압축률을 갖거나, 혹은, b. 입자는 비교적 낮은 10 % 압축 강도를 가지며 또한 돌기는 비교적 높은 비커스 경도를 갖는다. 이 필름은, 도광판과의 첩부를 충분히 억제하고, 또 도광판의 손상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색 반사 필름{WHITE REFLECTIVE FILM}
본 발명은, 백색 반사 필름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백색 반사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LCD) 의 백라이트 유닛에는, 액정 표시 패널의 배면에 광원 및 또한 그 배면에 반사 필름을 구비하는 직하형과, 액정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면에 반사판을 구비한 도광판을 배치하고, 이러한 도광판의 측면에 광원을 구비하는 에지 라이트형이 있다. 종래, 대형의 LCD 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으로서는, 화면의 밝기 및 화면 내의 밝기의 균일성이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직하형 (주로 직하형 CCFL) 이 주로 이용되고, 에지 라이트형은, 노트형 PC 등 비교적 소형의 LCD 에 흔히 이용되고 있었지만, 최근, 광원이나 도광판의 발전에 의해,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에서도 밝기 및 화면 내의 밝기의 균일성이 향상되고, 비교적 소형의 것 뿐만 아니라 대형의 LCD 에 있어서도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이 사용되도록 되어 왔다. 이것은, LCD 를 얇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는, 도광판과 반사 필름이 직접 접촉하는 구조가 된다. 그 때문에,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도광판과 반사 필름이 첩부되어 버리면, 첩부된 부분의 휘도가 비정상이 되어, 휘도의 면내 편차가 생겨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도광판과 반사 필름의 사이에 갭을 가지며, 이러한 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반사 필름의 표면에 비드를 가짐으로써 도광판과 반사 필름 사이의 갭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들의 첩부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때, 비교적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지는 도광판이 반사 필름과 접하면, 반사 필름이나 표면의 비드에 의해 도광판이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대책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 3 과 같이, 반사 필름의 표면에 도포에 의해 엘라스토머계의 비드를 함유하는 손상 방지층을 형성하는 보고가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특허문헌 1 ∼ 3 과 같은 손상 방지층에서도, 비드의 경도와 그 비드를 함유하는 표면층의 돌기의 경도 (표면층의 경도) 의 관계에 따라서는, 반사판과 도광판의 갭 확보, 및 반사판에 의한 도광판의 손상 방지를 양립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 특허문헌 1 ∼ 3 과 같은 도포에 의한 손상 방지층의 형성에서는, 도포 공정을 설정할 필요가 있는 등 비용 상승이 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비드를 반사 필름 중에 첨가하여, 도광판과 반사 필름 사이의 갭을 유지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비드에 따라서는 반사 필름의 제막성이 저하되어, 반사 필름의 제막 중에 파단이 생기기 쉬워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92018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8-51271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44509호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도광판과의 첩부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도광판의 손상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백색 반사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둘째, 도광판과의 첩부를 충분히 억제하고, 또 도광판의 손상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필름의 제막성이 우수한, 백색 반사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다.
1. 반사층 A 와, 입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표면층 B 를 가지며, 상기 표면층 B 의 상기 반사층 A 와는 반대측의 표면에 상기 입자에 의해 형성된 돌기를 가지며, 그 표면에 있어서의 높이 5 ㎛ 이상의 돌기 개수가 104 ∼ 1010 개/㎡ 인 백색 반사 필름으로서,
a. 상기 표면층 B 가 배향된 층이며, 상기 입자의, 하중 0.3 gf 로 압축했을 때의 압축률이 40 % 이상인 백색 반사 필름 a 이거나,
혹은
b. 상기 입자의, 하중 3 gf 로 압축했을 때의 10 % 압축 강도가 0.1 ∼ 10 MPa 이며, 상기 돌기의 비커스 경도가 5 ∼ 30 인 백색 반사 필름 b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반사 필름.
2. 상기 입자가 응집 입자인, 상기 1 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
3. 상기 응집 입자가, 폴리에스테르 응집 입자, 아크릴 응집 입자, 폴리우레탄 응집 입자 및 폴리에틸렌 응집 입자의 유기 응집 입자, 및 실리카 응집 입자, 알루미나 응집 입자 및 세라믹스 응집 입자의 무기 응집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상기 2 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
4. 상기 입자의 평균 입자경 d 가 5 ㎛ 이상, 100 ㎛ 이하인, 상기 1 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
5. 상기 응집 입자의 2 차 입경 ds 가 5 ㎛ 이상, 100 ㎛ 이하인, 상기 2 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
6. 상기 백색 반사 필름 a 로서, 상기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상기 입자의 함유량이 표면층 B 의 체적을 기준으로서 30 체적% 이하인, 상기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
7. 상기 백색 반사 필름 a 로서, 상기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상기 입자의 함유량이 표면층 B 의 체적을 기준으로서 1 체적% 이상, 30 체적% 이하인, 상기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
8. 상기 백색 반사 필름이 상기 백색 반사 필름 b 인, 상기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
9. 상기 백색 반사 필름 b 로서, 상기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상기 입자의 함유량이 표면층 B 의 체적을 기준으로서 50 체적% 이하인, 상기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
10. 상기 백색 반사 필름 b 로서, 상기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상기 입자의 함유량이 표면층 B 의 체적을 기준으로서 1 체적% 이상, 50 체적% 이하인, 상기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
11. 상기 반사층 A 의 보이드 체적률이 15 체적% 이상, 70 체적% 이하인, 상기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
12. 상기 표면층 B 의 보이드 체적률이 0 체적% 이상, 15 체적% 미만인, 상기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
13. 휘발 유기 용제량이 10 ppm 이하인, 상기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
14. 도광판을 구비하는 면광원 반사판으로서 사용되는, 상기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
15.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용 반사판으로서 사용되는, 상기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
본 발명에 의하면, 도광판과의 첩부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도광판의 손상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백색 반사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도광판과의 첩부를 충분히 억제하고, 또 도광판의 손상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필름의 제막성이 우수한, 백색 반사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광판의 손상 평가 및 입자의 탈락 평가의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밀착 불균일 평가에 사용하는 구성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백색 반사 필름 a 도 백색 반사 필름 b 도 모두 반사층 A 와 표면층 B 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성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반사층 A]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백색 반사 필름 a 및 백색 반사 필름 b (이들 양방을 나타내는 경우, 간단히 백색 반사 필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의 반사층 A 는, 열가소성 수지와 보이드 형성제로 이루어지며, 보이드 형성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층 중에 보이드를 함유하고, 백색을 띠도록 한 층이다. 이러한 보이드 형성제로서는,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예를 들어 무기 입자, 그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비상용의 수지 (이하, 비상용 수지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반사층 A 의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바람직하게는 9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6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7 % 이상이다. 이로써 백색 반사 필름의 반사율을 바람직한 범위로 하기 쉬워진다.
반사층 A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층 중에 보이드를 갖는 것이지만, 이러한 보이드의 체적이 반사층 A 의 체적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 (보이드 체적률) 은 15 체적% 이상, 70 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반사율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반사율이 얻기 쉬워진다. 또, 제막성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보이드 체적률이 너무 낮은 경우에는, 바람직한 반사율이 얻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보이드 체적률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체적%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체적% 이상이다. 한편, 너무 높은 경우에는,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보이드 체적률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체적%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체적% 이하이다.
보이드 체적률은,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보이드 형성제의 종류나 크기, 양을 조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특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백색 반사 필름을 얻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로서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올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등에서 유래하는 성분을 들 수 있다. 디올 성분으로서는,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6-헥산디올 등에서 유래하는 성분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폴리에스테르 중에서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호모폴리머여도 되지만, 필름을 1 축 혹은 2 축으로 연신할 때에 결정화가 억제되어 연신성,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높아지는 점에서, 공중합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상기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이나 디올 성분을 들 수 있지만, 내열성이 높고,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높다는 관점에서,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다. 공중합 성분의 비율은,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 100 몰% 를 기준으로서, 예를 들어 1 ∼ 20 몰%, 바람직하게는 2 ∼ 18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15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7 ∼ 11 몰% 이다. 공중합 성분의 비율을 이 범위로 함으로써,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우수하다. 또, 열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보이드 형성제)
반사층 A 에 있어서, 보이드 형성제로서 무기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무기 입자로서는, 백색 무기 입자가 바람직하다. 이 백색 무기 입자로서는, 황산바륨, 이산화티탄, 이산화규소, 탄산칼슘의 입자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 무기 입자는, 백색 반사 필름이 적절한 반사율을 갖도록 평균 입자경이나 함유량을 선택하면 되고, 이들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반사층 A 나 백색 반사 필름의 반사율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범위가 되도록 하면 된다. 또,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보이드 체적률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범위가 되도록 하면 된다. 이들의 점을 감안하여, 무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예를 들어 0.2 ∼ 3.0 ㎛, 바람직하게는 0.3 ∼ 2.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 2.0 ㎛ 이다. 또 그 함유량은, 반사층 A 의 질량을 기준으로서 20 ∼ 60 질량% 가 바람직하고, 25 ∼ 55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1 ∼ 53 질량% 이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입자 양태를 채용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중에서 적당히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입자의 응집이 일어나기 어렵고, 조대(粗大) 돌기가 없는 필름을 얻을 수 있고, 또 동시에, 조대 입자가 기점이 되는 연신 시의 파단도 억제된다. 무기 입자는, 어떠한 입자 형상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판상, 구상이어도 된다. 무기 입자는,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보이드 형성제로서 비상용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비상용 수지로서는, 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와 비상용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에스테르인 경우는,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입자의 양태여도 된다. 또 그 함유량은, 무기 입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백색 반사 필름이 적절한 반사율을 갖도록 평균 입자경이나 함유량을 선택하면 되고, 이들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반사층 A 나 백색 반사 필름의 반사율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범위가 되도록 하면 된다. 또,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보이드 체적률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범위가 되도록 하면 된다. 이들의 점을 감안하여, 함유량은, 반사층 A 의 질량을 기준으로서 10 ∼ 50 질량% 가 바람직하고, 12 ∼ 40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3 ∼ 35 질량% 이다.
(그 밖의 성분)
반사층 A 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그 밖의 성분,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형광 증백제, 왁스, 보이드 형성제와는 상이한 입자나 수지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표면층 B]
본 발명에 있어서 백색 반사 필름은, 입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표면층 B 가, 백색 반사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최외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최외층을 형성하는 표면층 B 의 반사층 A 와는 반대측의 표면 (이하, 최외층 표면이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에는, 상기 입자에 의해 형성된 돌기를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돌기는, 도광판과 필름의 갭 확보의 관점에서, 최외층 표면에 있어서 적당한 높이의 돌기를 적당한 빈도로 갖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최외층 표면에 있어서, 높이 5 ㎛ 이상의 돌기 개수 (돌기 빈도) 가 104 ∼ 1010 개/㎡ 인 것이 통상적으로 필요하다. 이로써 도광판과 필름의 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첩부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돌기 빈도가 너무 적으면 첩부 억제 효과가 열등하다. 한편, 돌기 빈도가 너무 많으면, 입자 탈락의 확률이 향상되거나, 또 반사율이 저하되거나 하는 경향이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최외층 표면에 있어서의 10 점 평균 조도 (Rz) 와, 표면층 B 를 구성하는 입자의 평균 입자경 d (입자가 응집 입자인 경우는 그 2 차 입경 ds) 가, 하기 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 d(㎛) ≤ Rz(㎛) ≤ 0.7 × d(㎛)
상기 식을 만족시킴으로써, 최외층 표면에 있어서 입자가 표면층 B 중에 보다 적당히 매몰되어 있고, 또한, 보다 적당히 돌출되어 있게 되어, 적당한 높이를 갖는 표면 요철을 가지기 쉬워지고, 그것에 따라 갭 확보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상기 식에 있어서, Rz 의 값이 좌변의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입자가 표면층 B 중에 너무 매몰되어 있는 양태를 나타내고, 따라서 갭 확보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d(㎛) ≤ Rz(㎛),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 d(㎛) ≤ Rz(㎛) 를 만족시키는 양태이다. 한편, Rz 의 값이 우변의 값보다 큰 경우에는, 입자가 표면층 B 로부터 너무 돌출되어 있는 양태를 나타내고, 도광판과의 접촉 시에 있어서의 입자 탈락의 억제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Rz(㎛) ≤ 0.6 × d(㎛), 더욱 바람직하게는 Rz(㎛) ≤ 0.5 × d(㎛) 를 만족시키는 양태이다.
상기와 같은 양태로 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입자의 평균 입자경 d (입자가 후술하는 응집 입자인 경우는 그 2 차 입경 ds) 를 감안하여, 표면층 B 의 두께를 조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어느 평균 입자경을 갖는 입자에 있어서, 표면층 B 의 두께를 얇게 하면 Rz 의 값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표면층 B 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Rz 의 값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경향을 감안하여 조정할 수 있다. 입자의 평균 입자경과 표면층 B 의 두께의 바람직한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표면층 B 의 입자로서 압축률이 높거나 혹은 10 % 압축 강도 (S10 강도) 가 낮다는 부드러운 입자를 채용함과 동시에, 표면층 B 를 배향된 층으로 하거나 혹은 단단한 돌기로 함으로써, 도광판과의 첩부를 억제하는 동시에, 도광판의 손상을 억제한다는 것이다.
이하, 높은 압축률을 갖는 입자와 배향된 표면층 B 를 구비하는 백색 반사 필름 a, 및 낮은 S10 강도를 갖는 입자와 단단한 돌기를 구비하는 백색 반사 필름 b 의, 각각의 양태에 있어서의 표면층 B 의 양태에 대해 설명한다.
[백색 반사 필름 a 의 표면층 B]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백색 반사 필름 a 의 표면층 B 는, 입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배향된 층이다. 여기서 「배향된 층」 이란, 연신이 완료된 필름에 도액의 도포에 의해 형성된 층이 아니고, 후술하는 바람직한 제조 방법에 있는 바와 같은, 예를 들어 공압출법 등을 실시하고, 이어서 연신이 이루어짐으로써 형성된 층인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표면층 B 의 형성 방법에 관계하여, 표면층 B 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배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 축 배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이다. 이로써 제막성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백색 반사 필름 a 의 열가소성 수지의 양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입자)
본 발명에 있어서 백색 반사 필름 a 의 표면층 B 가 함유하는 입자는, 후술하는 측정 방법에 의해 구해지는 하중 0.3 gf 로 압축했을 때의 압축률이 40 % 이상인 입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갭을 확보하여 도광판과의 첩부를 억제하기 위한 표면 요철을 형성하는 입자로서, 상기와 같은 입자를 채용함으로써, 동시에 도광판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필름의 제막성이 우수하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메커니즘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즉, 상기와 같이 입자의 압축률이 40 % 이상임으로써, 필름의 제막 공정, 특히 연신 공정에 있어서 입자가 필름의 변형에 추종한 적당한 변형을 할 수 있고, 이로써, 입자가 필름의 변형에 추종하지 않는 것에서 기인한 필름 파단이 억제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갭 확보를 위해서 표면층 B 의 표면에 있어서는 특정 돌기의 양태를 갖는 것이며, 이와 같은 돌기의 양태를 얻기 위해서 입경이 비교적 큰 입자를 바람직하게 채용하는 것이지만, 이와 같이 필름이 비교적 큰 입경을 갖는 입자를 함유하면, 통상적으로는, 이러한 입자를 기점으로 한 필름 파단이 생기기 쉬운 바,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특정의 압축률을 갖는 입자를 채용함으로써 이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입자의 하중 0.3 gf 로 압축했을 때의 압축률은, 바람직하게는 42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4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 이상이다.
한편, 이러한 압축률은 너무 높으면 표면층 B 의 표면에 돌기가 형성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어, 도광판과 밀착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 있어서는, 입자의 하중 0.3 gf 로 압축했을 때의 압축률은, 9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백색 반사 필름 a 의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입자는, 본 발명이 규정하는 표면층 B 표면에 있어서의 돌기의 양태를 만족시킬 수 있고, 상기 압축률의 양태를 만족시키면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고, 유기 입자이거나, 무기 입자이거나, 유기 무기 복합 입자여도 된다. 또, 입자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고, 구상 입자나 평판상 입자, 응집 입자, 중공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응집 입자가 바람직하고, 백색 반사 필름 a 의 바람직한 응집 입자의 양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백색 반사 필름 b 의 표면층 B]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백색 반사 필름 b 의 표면층 B 는, 입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열가소성 수지)
백색 반사 필름 b 의 열가소성 수지의 양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입자 및 돌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입자를 함유하는 표면층 B 가, 백색 반사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최외층을 형성하고, 그 최외층을 형성하는 표면층 B 의 반사층 A 와는 반대측의 표면에, 상기 입자에 의해 형성된 돌기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입자의 후술하는 측정 방법에 의해 구해지는 하중 3 gf 로 압축했을 때의 10 % 압축 강도 (S10 강도) 가 0.1 MPa 이상, 10 MPa 이하이며, 동시에, 그 돌기의 후술하는 측정 방법에 의해 구해지는 가중 500 N 으로 측정했을 때의 비커스 경도가 5 이상, 30 이하인 것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갭을 확보하여 도광판과의 첩부를 억제하기 위한 표면 요철을 형성하는 입자로서, 상기와 같은 비교적 부드러운 입자를 채용하는 동시에, 상기와 같이 돌기의 경도를 비교적 단단하게 함으로써, 도광판과의 첩부 억제 효과와 도광판의 손상 억제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메커니즘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즉, 먼저, 반사판과 도광판의 첩부에 대해서는, 도광판과 반사판을 밀어붙이는 동작이 되고, 따라서 돌기에 대해 돌기의 높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 (필름면과 수직인 방향) 으로 가해지는 응력과 관련되기 때문에, 돌기의 높이 방향의 비커스 경도를 상기 수치 범위와 같이 비교적 단단한 영역으로 함으로써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도광판의 손상에 대해서는, 도광판과 반사판을 맞대고 문지르는 동작이 되고, 따라서 돌기에 대해 돌기의 높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 (필름면과 평행한 방향) 으로 가해지는 응력과 관련되기 때문에, 돌기가 높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다소 변형되어 일그러질 수 있기 때문인지, 그 돌기를 형성하는 입자의 S10 강도를 상기 수치 범위와 같이 비교적 부드러운 영역으로 함으로써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입자의 S10 강도는, 너무 높으면 돌기 높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응력이 가해졌을 때에, 입자의 변형이 생기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되고, 도광판의 손상 억제 효과가 열등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5.0 MPa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MPa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Pa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8 MPa 이하이다. 또, 입자의 S10 강도가 너무 높으면, 돌기의 비커스 경도가 너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입자의 S10 강도는, 너무 낮으면 돌기의 비커스 경도를 높게 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0.12 M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 MPa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4 MPa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15 MPa 이상이다.
또, 돌기의 비커스 경도는, 너무 낮으면 도광판과의 첩부 억제 효과가 열등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8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이다. 한편, 너무 높은 경우에는, 원래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비교적 부드러운 입자에 의해 매우 단단한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고, 또, 입자가 비교적 부드러워 돌기의 변형이 되기 쉽다고 해도, 돌기가 단단하다는 것이 낫고, 도광판의 손상 억제 효과가 열등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돌기의 비커스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백색 반사 필름 b 의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입자는, 본 발명이 규정하는 표면층 B 표면에 있어서의 돌기의 양태를 만족시킬 수 있고, 상기 S10 강도의 양태를 만족시키면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고, 유기 입자이거나, 무기 입자이거나, 유기 무기 복합 입자여도 된다. 또, 입자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고, 구상 입자나 평판상 입자, 응집 입자, 중공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응집 입자가 바람직하고, 백색 반사 필름 b 의 바람직한 응집 입자의 양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백색 반사 필름 b 의 표면층 B 는, 상기 서술한 요건을 만족시키는 범위이면 그 형성 방법은 불문한다. 예를 들어 반사층 A 의 재료와 동시에 용융시켜, 동일한 혹은 인접한 구금(口金)으로부터 압출하여 형성된 시트를 연신·결정화하여 얻는 방법 (용융 공압출법) 에 의해서도 할 수 있고, 열가소성 수지와 입자를 적당한 용제나 물 등에 용해시킨 도포액을 도포한 후에 건조시키는 방법 (도포법) 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반사층 A 의 제막과 동시에 표면층 B 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는, 용융 공압출법, 및 물을 용매로 한 도포액으로부터의 형성이 바람직하다. 형성된 필름을 가열했을 때의 유기 용제량을 분석함으로써, 유기 용제에 의한 코팅이 아니라 공압출법 혹은 물을 용매로 한 도포액으로부터의 형성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중에서도, S10 강도가 낮은 입자를 사용하면서도 표면층 B 의 돌기를 적당한 경도로 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입자를 첨가한 수지를 반사층 A 의 재료와 동시에 용융시켜, 동일한 혹은 인접한 구금으로부터 압출하여 형성된 시트를 연신·결정화시키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표면층 B 의 바람직한 형성 방법에 관계하여, 백색 반사 필름 b 의 표면층 B 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배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 축 배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이다. 이로써 적합한 돌기의 비커스 경도가 얻기 쉬워진다.
[표면층 B 의 성분]
이하, 상기 서술한 백색 반사 필름 a 및 백색 반사 필름 b 를 구성하는 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열가소성 수지)
표면층 B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상기 서술한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와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특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백색 반사 필름을 얻는 관점에서, 또, 배향된 표면층 B 가 얻기 쉽거나, 또는, 적합한 돌기의 비커스 경도가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로서는, 상기 서술한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와 동일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폴리에스테르 중에서도, 기계적 특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백색 반사 필름을 얻는 관점에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호모폴리머여도 되지만, 필름을 1 축 혹은 2 축으로 연신할 때에 결정화가 억제되어 연신성,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높아지는 점에서 공중합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상기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이나 디올 성분을 들 수 있지만, 내열성이 높고,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높다는 관점에서,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다. 공중합 성분의 비율은,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 100 몰% 를 기준으로서, 예를 들어 1 ∼ 20 몰%, 바람직하게는 2 ∼ 18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17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 16 몰% 이다. 공중합 성분의 비율을 이 범위로 함으로써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우수하다. 또, 돌기의 비커스 경도를 달성하기 쉽다. 또한, 열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응집 입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백색 반사 필름 a 의 표면층 B, 및 백색 반사 필름 b 의 표면층 B 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입자로서는, 응집 입자가 바람직하다. 이로써, 적합한 내열성을 가짐으로써 적합한 돌기 형성을 보다 용이하게 하면서, 상기 압축률이나 S10 강도의 달성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응집 입자가 아닌 입자에 의해 상기 압축률이나 S10 강도를 달성하고자 하면, 즉 일반적으로는 부드러운 수지 입자를 채용하게 되고, 그렇게 하면 이러한 수지 입자는 내열성이 낮은 경우가 많고, 압출 공정 등의 필름 제조 공정에 있어서 입자가 입자로서의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어, 적합한 표면 돌기의 양태를 얻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이러한 응집 입자로서는, 유기 응집 입자여도 되고, 무기 응집 입자여도 된다. 유기 응집 입자로서는, 적합한 압축률이나 S10 강도가 얻기 쉬운 관점 및 상기 서술한 내열성 및 표면 돌기 형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응집 입자, 아크릴 응집 입자, 폴리우레탄 응집 입자, 폴리에틸렌 응집 입자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응집 입자는, 주원료인 폴리에스테르와의 상용성이 좋고 제막성에 대한 영향도 적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무기 응집 입자로서는, 적합한 압축률이나 S10 강도가 얻기 쉬운 관점에서, 실리카 응집 입자, 알루미나 응집 입자, 세라믹스 응집 입자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적합한 압축률이나 S10 강도가 얻기 쉬운 점에서, 실리카 응집 입자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면층 B 의 입자로서는, 적합한 압축률이나 S10 강도가 얻기 쉬운 관점,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표면 돌기 형성이 되기 쉽다는 관점에서, 무기 응집 입자가 바람직하고, 즉 실리카 응집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입자의 입경)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응집 입자는, 2 차 입경 (ds) 이 5 ㎛ 이상,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이 규정하는 표면층 B 표면의 돌기의 양태를 만족시키기 쉬워지고, 도광판과 필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이들이 첩부되는 것을 한층 더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필름의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높아진다. 2 차 입경이 너무 작으면, 백색 반사 필름이 도광판에 부분적으로 밀착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는, 2 차 입경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6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다. 한편, 너무 큰 경우에는,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 입자가 탈락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탈락이 생기면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는 백점(白点) 결점이 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백색 반사 필름 a 에 대해서는, 2 차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9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이다. 또, 백색 반사 필름 b 에 대해서는, 2 차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9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면층 B 의 입자가 응집 입자가 아닌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이러한 입자의 평균 입자경 d 가 상기 2 차 입경 ds 와 동일한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응집 입자의 1 차 입경 (dp) 은, 0.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과 상기 서술한 2 차 입경 범위를 동시에 만족시킴으로써, 적합한 표면 돌기 양태가 얻기 쉽고, 또 적합한 입자의 압축률이나 S10 강도를 달성하기 쉬워진다. 또한, 제막성의 향상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1 차 입경이 너무 작으면, 충분한 크기의 2 차 입경을 얻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고, 적합한 표면 돌기의 양태가 얻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1 차 입경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 이상이다. 한편, 너무 큰 경우도 적합한 표면 돌기 양태는 얻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고, 또 적합한 압축률이나 S10 강도가 얻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이하이다.
(입자의 함유량)
백색 반사 필름 a 에 있어서는,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입자는, 함유량이, 표면층 B 의 체적을 기준으로서 30 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제막성이 우수하다. 또, 1 체적% 이상, 30 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 적합한 표면층 B 표면의 양태로 하기 쉬워진다. 너무 적으면 표면 요철이 적어지는 경향이 있고, 도광판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체적%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체적% 이상이다. 한편, 너무 많으면 표면층 B 의 강도가 열등한 경향이 있어,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또 얻어진 필름의 기계 강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체적%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체적%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체적% 이하이다.
백색 반사 필름 b 에 있어서는,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입자는, 함유량이, 표면층 B 의 체적을 기준으로서 1 체적% 이상, 50 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본 발명에 있어서 적합한 돌기의 비커스 경도로 하기 쉽고, 또 표면층 B 표면의 양태로 하기 쉬워진다. 너무 적으면 표면 요철이 적어지는 경향이 있어, 도광판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체적%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체적% 이상이다. 한편, 너무 많으면 원하는 돌기의 비커스 경도가 얻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고, 또 표면층 B 의 강도가 열등한 경향이 있어,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얻어진 필름의 기계 강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체적%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체적%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체적% 이하이다.
또한, 입자의 체적 분율은, 표면층 B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질량 분율 및 밀도와, 입자의 질량 분율 및 밀도로부터 구할 수 있다.
(그 밖의 성분)
표면층 B 는, 상기 구성 성분 이외의 성분을,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형광 증백제, 왁스, 상기 응집 입자와는 상이한 입자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표면층 B 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반사층 A 에 있어서 예시한 보이드 형성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그러한 양태로 함으로써 반사율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그 반면,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보이드 형성제의 함유량을 적게 하거나, 보이드 형성제를 함유하지 않으면, 제막성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이들의 관점에서,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보이드 체적률 (표면층 B 의 체적에 대한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보이드의 체적의 비율) 은, 0 체적% 이상, 15 체적%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체적%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체적% 이하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사 특성과 제막성의 향상 효과를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점에서, 상기 서술한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보이드 체적률과, 이러한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보이드 체적률을 동시에 채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층 구성]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반사층 A 의 두께는, 80 ∼ 3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반사율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너무 얇으면 반사율의 향상 효과가 낮고, 한편 너무 두꺼운 것은 비효율적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 250 ㎛ 이다.
또, 표면층 B 의 두께 (복수 갖는 경우에는, 도광판측이 되는 최외층을 형성하는 1 층의 두께) 는, 10 ∼ 7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바람직한 입자의 양태와 아울러, 입자의 평균 입자경 d 또는 응집 입자의 2 차 입경 ds 와 10 점 평균 조도 Rz 의 관계를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양태로 하기 쉬워지고, 도광판과의 갭 확보가 하기 쉬워진다. 또, Rz 및 돌기 빈도의 양태를 상기 서술한 바람직한 양태로 하기 쉬워진다. 또한, 반사율의 향상 효과 및 제막성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너무 얇으면 바람직한 Rz 를 달성하기 어려워져, 입자 탈락 억제 효과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 제막성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너무 두꺼우면 반사율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또 바람직한 Rz 및 돌기 빈도가 얻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며, 또,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이다.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 a 에 있어서는, 표면층 B 중의 입자의 평균 입자경 d (응집 입자의 경우에는 2 차 입경 ds) 와 표면층 B 의 두께 t 가, 하기 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0.05 ≤ d(㎛)/t(㎛) ≤ 20
상기 식을 만족시킴으로써, 최외층 표면에 적당한 높이를 갖는 표면 요철을 가지기 쉬워지고, 그것에 따라 갭 확보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상기 식에 있어서 d/t 의 값이 좌변의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입자가 표면층 B 중에 매몰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어, 갭 확보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7 ≤ d(㎛)/t(㎛), 보다 바람직하게는 0.09 ≤d (㎛)/t(㎛),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 d(㎛)/t(㎛), 특히 바람직하게는 0.4 ≤ d(㎛)/t(㎛) 를 만족시키는 양태이다. 한편, d/t 의 값이 우변의 값보다 큰 경우에는, 입자가 표면층 B 로부터 돌출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어, 도광판과의 접촉 시 탈락 억제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d(㎛)/t(㎛) ≤ 19, 보다 바람직하게는 d(㎛)/t(㎛) ≤ 18, 더욱 바람직하게는 d(㎛)/t(㎛) ≤ 10, 특히 바람직하게는 d(㎛)/t(㎛) ≤ 2 를 만족시키는 양태이다.
또, 백색 반사 필름 b 에 대해서는, 적당한 돌기의 경도를 실현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표면층 B 에 첨가하는 입자의 평균 입자경 d (입자가 응집 입자인 경우는 2 차 입경 ds) 와 표면층 B 의 두께 (표면층 B 에 있어서 입자가 표면에 돌출되어 존재하고 있지 않은 부분의 두께) t 가, 1.5 d ≤ t ≤ 5.0 d 의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d ≤ t ≤ 4.0 d,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d ≤ t ≤ 3.5 d 이다.
백색 반사 필름의 적층 구성은, 반사층 A 를 A, 표면층 B 를 B 로 나타냈을 때에, B/A 의 2 층 구성, B/A/B 의 3 층 구성, B/A/B'/A 의 4 층 구성 (여기서 B' 는 표면층 B 와 동일한 구성의 내층 B' 를 나타낸다), 또, B 를 적어도 어느 편방의 최외층에 배치한 5 층 이상의 다층 구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B/A 의 2 층 구성, B/A/B 의 3 층 구성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B/A/B 의 3 층 구성이고, 제막성이 보다 우수하다. 또, 컬 등의 문제가 생기기 어렵다.
반사층 A 및 표면층 B 는, 백색 반사 필름 전체의 두께를 100 % 로 했을 때에, 반사층 A 의 두께 비율이 50 ∼ 90 % 이고, 표면층 B 의 두께 비율이 5 ∼ 50 %, 나아가서는 5 ∼ 25 % 인 양태가 바람직하고, 반사 특성이나 제막성 등의 각 특성의 밸런스를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층의 두께 비율은, 각 층을 복수 갖는 경우에는, 그들의 적산 두께끼리의 비율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사층 A 와 표면층 B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다른 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대전 방지성이나 도전성, 자외선 내구성 등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필름의 제막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이드 체적률이 비교적 낮은 (바람직하게는 0 체적% 이상, 15 체적%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체적%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체적% 이하이다) 지지층 C 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필름의 제조 방법]
이하,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을 제조하는데 있어서는, 용융 압출법 등에 의해 얻어진 반사층 A 에, 용융 수지 코팅법 (용융 압출 수지 코팅법을 포함한다), 공압출법 및 라미네이트법 등에 의해 표면층 B 를 형성하고, 적층 구성을 형성하는 것이, 제막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로써 표면층 B 를 배향한 층으로 하기 쉬워지고, 또, 원하는 돌기의 비커스 경도가 얻기 쉬워진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반사층 A 와 표면층 B 를 공압출법에 의해 적층하여 제조된 것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반사층 A 와 표면층 B 는, 공압출법에 의해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공압출법으로 적층함으로써, 반사층 A 와 표면층 B 의 계면 밀착성을 높게 할 수 있는 데다가, 필름을 첩합(貼合)하거나, 필름의 제막 후에 다시 표면층 B 를 형성하거나 하기 위한 공정을 거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저렴하고, 용이하게 양산할 수 있다.
이하에,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및 표면층 B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를 채용하고, 적층 방법으로서 공압출법을 채용한 경우의 제법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제법으로 한정은 되지 않고, 또 하기를 참고로 다른 양태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 때, 압출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하의 「용융 압출 온도」 는, 예를 들어 「용융 온도」 라고 바꿔 읽으면 된다. 또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을 Tm (단위 : ℃), 유리 전이 온도를 Tg (단위 : ℃) 로 한다.
먼저, 반사층 A 를 형성하기 위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서, 폴리에스테르와 보이드 형성제와 다른 임의 성분을 혼합한 것을 준비한다. 또, 표면층 B 를 형성하기 위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서, 폴리에스테르와 입자와 다른 임의 성분을 혼합한 것을 준비한다. 이들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건조시켜 충분히 수분을 제거하여 사용한다.
다음으로, 건조시킨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각각 다른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압출한다. 용융 압출 온도는, Tm 이상이 필요하고, Tm + 40 ℃ 정도로 하면 된다.
또 이 때,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특히 반사층 A 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선 직경 15 ㎛ 이하의 스테인리스강 세선으로 이루어지는 평균 눈금간격 10 ∼ 100 ㎛ 의 부직포형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여과를 실시함으로써, 통상적으로는 응집하여 조대 응집 입자가 되기 쉬운 입자의 응집을 억제하여, 조대 이물질이 적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부직포의 평균 눈금간격은, 바람직하게는 20 ∼ 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40 ㎛ 이다. 여과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용융한 상태로 피드 블록을 사용한 동시 다층 압출법 (공압출법) 에 의해 다이로부터 다층 상태로 압출하여, 미연신 적층 시트를 제조한다. 다이로부터 압출된 미연신 적층 시트를 캐스팅 드럼으로 냉각 고화시켜, 미연신 적층 필름으로 한다.
이어서, 이 미연신 적층 필름을 롤 가열, 적외선 가열 등으로 가열하여, 제막 기계축 방향 (이하, 종방향 또는 길이 방향 또는 MD 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으로 연신하여 종연신 필름을 얻는다. 이 연신은 2 개 이상의 롤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연신 후의 필름은, 계속해서 텐터로 유도되고, 종방향과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방향 (이하, 횡방향 또는 폭방향 또는 TD 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으로 연신하여, 2 축 연신 필름으로 한다.
연신 온도로서는,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의 Tg 이상, Tg + 30 ℃ 이하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막성이 보다 우수하고, 또 보이드가 바람직하게 형성되기 쉽다. 또, 연신 배율로서는, 종방향, 횡방향 모두, 바람직하게는 2.5 ∼ 4.3 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2.7 ∼ 4.2 배이다. 연신 배율이 너무 낮으면 필름의 두께 불균일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또 보이드가 형성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고, 한편 너무 높으면 제막 중에 파단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종연신을 실시하고 그 후 횡연신을 실시하는 축차 2 축 연신 시에는, 2 단째 (이 경우에는 횡연신) 는 1 단째의 연신 온도보다 10 ∼ 50 ℃ 정도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1 단째의 연신으로 배향한 것에 의해 1 축 필름으로서의 Tg 가 상승하고 있는 것에서 기인한다.
또, 각 연신 전에는 필름을 예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횡연신의 예열 처리는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의 Tg + 5 ℃ 보다 높은 온도에서 시작해서 서서히 승온하면 된다. 횡연신 과정에서의 승온은 연속적이거나 단계적 (축차적) 이어도 되지만 통상적으로 축차적으로 승온한다. 예를 들어 텐터의 횡연신 존을 필름 주행 방향을 따라 복수로 나누어, 존마다 소정 온도의 가열 매체를 흘림으로써 승온한다.
2 축 연신 후의 필름은, 계속해서, 열 고정, 열 이완의 처리를 순차 실시하여 2 축 배향 필름으로 하지만, 용융 압출로부터 연신에 계속해서 이들의 처리도 필름을 주행시키면서 실시할 수 있다.
2 축 연신 후의 필름은, 클립으로 양단을 파지한 채로,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의 융점을 Tm 으로 하여 (Tm - 20 ℃) ∼ (Tm - 100 ℃) 에서 정폭 또는 10 % 이하의 폭 감소하에서 열처리하여, 열 고정하고, 열수축율을 저하시키는 것이 좋다. 이러한 열처리 온도가 너무 높으면 필름의 평면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두께 불균일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너무 낮으면 열수축율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또, 열수축량을 조정하기 위해서, 파지하고 있는 필름의 양단을 잘라내어, 필름 종방향의 인취 속도를 조정하여, 종방향으로 이완시킬 수 있다. 이완시키는 수단으로서는 텐터 출구측의 롤군의 속도를 조정한다. 이완시키는 비율로서, 텐터의 필름 라인 속도에 대해 롤군의 속도 다운을 실시하고, 바람직하게는 0.1 ∼ 2.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2.3 %,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 2.0 % 의 속도 다운을 실시하여 필름을 이완 (이 값을 「이완율」 이라고 한다) 하여, 이완율을 컨트롤함으로써 종방향의 열수축율을 조정한다. 또, 필름 횡방향은 양단을 잘라낼 때까지의 과정에서 폭 감소시켜, 원하는 열수축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2 축 연신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종 - 횡의 축차 2 축 연신법 이외에도, 횡 - 종의 축차 2 축 연신법이어도 된다. 또, 동시 2 축 연신법을 사용하여 제막할 수 있다. 동시 2 축 연신법의 경우, 연신 배율은, 종방향, 횡방향 모두 예를 들어 2.7 ∼ 4.3 배, 바람직하게는 2.8 ∼ 4.2 배이다.
또, 백색 반사 필름 b 의 표면층 B 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종연신 후에, 층의 형성 재료를 물에 용해 혹은 분산시킨 액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에 횡연신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건조는 횡연신의 예비 가열을 겸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백색 반사 필름의 특성]
(반사율, 휘도)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의, 표면층 B 측으로부터 측정한 반사율은, 바람직하게는 96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7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7.5 % 이상이다. 반사율이 96 % 이상임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나 조명 등에 사용한 경우에는,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반사율은, 반사층 A 의 보이드 체적률을 높게 하는 등 바람직한 양태로 하거나, 반사층 A 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표면층 B 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등 각 층의 양태를 바람직한 양태로 하거나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 표면층 B 측으로부터 측정한 휘도는, 후술하는 측정 방법에 의해 구해지지만, 5400 cd/㎡ 이상이 바람직하고, 5450 cd/㎡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5500 cd/㎡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율 및 휘도는, 백색 반사 필름에 있어서, 도광판으로 사용하는데 있어서는, 도광판측이 되는 측의 면에 있어서의 값이다.
(휘발 유기 용제량)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휘발 유기 용제량이, 바람직하게는 10 ppm 이하이다. 이로써, 표면층 B 가 유기 용제를 사용한 도포법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아닌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 자기 회수 원료를 얻어 그것을 사용하여 필름을 제막하는데 있어서, 가스 마크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제막성 (회수 제막성) 이 향상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5 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ppm 이하이며, 이상적으로는 0 ppm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휘발 유기 용제량을 적게 하기 위해서, 표면층 B 의 형성에 있어서 유기 용제를 사용한 용액 코팅법을 채용하지 않고, 상기 서술한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기 입자의 사용에 의해서도 휘발 유기 용제량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또한, 각 특성치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1) 광선 반사율
분광 광도계 (시마즈 제작소 제조 UV-3101PC) 에 적분구를 장착하고, BaSO4 백판을 100 % 로 했을 때의 반사율을 파장 550 nm 에서 측정하고, 이 값을 반사율로 했다. 또한, 측정은, 표면층 B 측의 표면에 있어서 실시했다. 표리에 상이한 표면층 B 를 갖는 경우에는, 도광판측이 되는 표면층 B 표면에 있어서 측정했다.
(2) 입자의 평균 입자경 (d)
입도 분포계 (호리바 제작소 제조 LA-950) 로, 입자의 입도 분포를 구하고, d50 에서의 입자경을 평균 입자경으로 했다.
(3) 응집 입자의 1 차 입경 (dp)
입자가 응집 입자인 경우는, 이하의 1 차 입경 (dp) 측정 방법을 채용했다.
응집 입자를 포함하는 필름에 대해, 수지 성분을 용제를 사용하여 용해시키고, 거기에서 회수한 입자 (2 차 입자) 를 히타치 제작소 제조 S-4700 형 전계 방출형 주사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배율 10000 배로 관찰하고, 2 차 입자의 표면에 있어서의 1 차 입자의 응집 상황을 관찰하여, 1 차 입자 100 개 임의로 입경 측정하고, 그 평균치로부터 1 차 입자경 (dp) 을 구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수지 성분을 용제에 의해 용해할 때에 응집 입자도 용해되어 버리는 경우 (예를 들어 유기 입자의 경우) 는, 배합 전의 응집 입자를 사용하여, 히타치 제작소 제조 S-4700 형 전계 방출형 주사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배율 10000 배로 관찰하고, 2 차 입자의 표면에 있어서의 1 차 입자의 응집 상황을 관찰하여, 1 차 입자 100 개 임의로 입경 측정하고, 그 평균치로부터 1 차 입경 (dp) 을 구했다.
1 ㎛ 이상 3 ㎛ 미만의 경우를 「< 3」, 1 ㎛ 미만의 경우를 「< 1」 로 했다.
(4) 응집 입자의 2 차 입경 (ds)
입자가 응집 입자인 경우는, 이하의 2 차 입경 (ds) 측정 방법을 채용했다.
응집 입자를 포함하는 필름에 대해, 수지 성분을 용제를 사용하여 용해시키고, 거기에서 회수한 입자 (2 차 입자) 를 히타치 제작소 제조 S-4700 형 전계 방출형 주사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배율 1000 배로 관찰하고, 입자 100 개 임의로 입경 측정하여, 그 평균치로부터 2 차 입경 (ds) 을 구했다. 또한, 구상 이외의 경우에는 (장경 + 단경)/2 로 구했다. 여기서 단경은, 장경에 수직 방향의 최대 직경을 가리킨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수지 성분을 용제에 의해 용해할 때에 응집 입자도 용해되어 버리는 경우 (예를 들어 유기 입자의 경우) 는, 배합 전의 응집 입자를 사용하여, 히타치 제작소 제조 S-4700 형 전계 방출형 주사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배율 1000 배로 관찰하고, 입자 100 개 임의로 입경 측정하여, 그 평균치로부터 2 차 입경 (ds) 을 구했다. 또한, 구상 이외의 경우에는 (장경 + 단경)/2 로 구했다. 여기서 단경은, 장경에 수직 방향의 최대 직경을 가리킨다.
(5) 입자의 압축률 (%)
시마즈 제작소 제조 미소 압축 시험기 MCTM-200 을 사용하여, 부하 하중 0.3 gf, 부하 속도 0.0725 gf/초로 각 입자마다 압축 시험을 실시하고, 10 점 측정 평균치를 압축률로 했다.
(6) 10 % 압축 강도 (S10 강도)
에리오닉스사 제조 미소 경도계 ENT-1100a 를 사용하여, 하중 3 gf 에서의 각 입자의 압축 강도를 측정하고, 10 % 변형 시의 압축 강도 (MPa) 를 채용했다. 5 회의 측정의 평균치를 사용했다.
(7) 돌기의 비커스 경도
상기의 10 % 압축 강도의 측정과 마찬가지로, 에리오닉스사 제조의 미소 경도계 ENT-1100a 를 사용하여, 가중 500 N 으로 각 표면층의 돌기 상에 압자를 밀어넣어, 비커스 경도를 산출했다. 5 회의 측정의 평균치를 사용했다.
(8) 필름 두께 및 층 구성
백색 반사 필름을 미크로톰으로 슬라이스하여 단면 형성을 실시하고, 이러한 단면에 대해 히타치 제작소 제조 S-4700 형 전계 방출형 주사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배율 500 배로 관측하고, 필름 전체, 반사층 A, 표면층 B 의 두께를 각각 구했다. 또한, 필름 전체 및 표면층 B 의 두께는, 입자가 표면층 B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두께로 했다. 각 층의 두께 (㎛) 를 구한 다음 각 층의 두께비를 산출했다.
(9) 보이드 체적률의 산출
보이드 체적률을 구하는 층의 폴리머, 첨가 입자, 그 외 각 성분의 밀도와 배합 비율로부터 계산 밀도를 구했다. 동시에, 당해 층을 박리하는 등하여 단리하고, 질량 및 체적을 계측하고, 이들로부터 실밀도를 산출하여, 계산 밀도와 실밀도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구했다.
보이드 체적률 = 100 × (1 - (실밀도/계산 밀도))
또한,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축 연신 후) 의 밀도를 1.39 g/㎤, 황산바륨의 밀도를 4.5 g/㎤ 로 했다.
또, 보이드 체적률을 측정하는 층만을 단리하여, 단위 체적당 질량을 구하여 실밀도를 구했다. 체적은, 샘플을 면적 3 c㎡ 로 자르고, 그 사이즈에서의 두께를 일렉트릭 마이크로미터 (안리츠 제조 K-402B) 로 10 점 측정한 평균치를 두께로 하여, 면적 × 두께로서 산출했다. 질량은, 전자 천칭으로 칭량했다.
또한, 입자 (응집 입자 포함한다) 의 비중으로서는, 이하의 메스 실린더법으로 구한 부피 비중의 값을 사용했다. 용적 1000 ㎖ 의 메스 실린더에 절건(絶乾) 상태의 입자를 충전하여, 전체의 중량을 측정하고, 그 전체의 중량으로부터 메스 실린더의 중량을 차감하여 그 입자의 중량을 구하고, 그 메스 실린더의 용적을 측정하여, 그 입자의 중량 (g) 을 그 용적 (㎤) 으로 나눔으로써 구해진다.
(10) 융점, 유리 전이 온도
시차주사 열량 측정 장치 (TA Instruments 2100 DSC) 를 사용하여, 승온 속도 20 ℃/분으로 측정을 실시했다.
(11) 10 점 평균 조도 (Rz) 및 돌기 빈도
필름 표면의 돌기 프로파일을, 삼차원 조도 측정 장치 SE-3CKT (주식회사 고사카 연구소 제조) 로, 컷오프 0.25 mm, 측정 길이 1 mm, 주사 피치 2 ㎛, 주사 개수 100 개로 측정하고, 높이 배율 1000 배, 주사 방향 배율 200 배로 돌기 프로파일을 기록했다. 얻어진 돌기 프로파일에 있어서, 피크 (Hp) 가 높은 쪽으로부터 5 점과 골 (Hv) 이 낮은 쪽으로부터 5 점을 취하여, 다음의 식에 의해 10 점 평균 조도 (Rz, 단위 : nm) 를 구했다. 또한, 해석에는 삼차원 조도 해석 장치 SPA-11 (주식회사 고사카 연구소 제조) 을 사용했다.
Figure pct00001
또, 얻어진 돌기 프로파일 (가로축 : 돌기 높이, 세로축 : 돌기 개수의 돌기 프로파일) 로부터, 높이 5 ㎛ 이상의 돌기 개수 (개/㎡) 를 구하여, 돌기 빈도로 했다.
(12) 휘도
LG 사 제조의 LED 액정 텔레비젼 (LG42LE5310AKR) 으로부터 반사 필름을 꺼내어, 실시예에 기재된 각종 반사 필름의 표면층 B 측을 화면측 (도광판에 접하는 측) 에 설치하고, 백라이트 유닛 상태에서 휘도계 (오오츠카 전자 제조 Model MC-940) 를 사용하여, 백라이트의 중심을 바로 정면으로부터 측정 거리 500 mm 에서 휘도를 측정했다.
(13) 밀착 불균일 평가 (첩부 평가)
도 2 와 같이, LG 사 제조의 LED 액정 텔레비젼 (LG42LE5310AKR) 으로부터 샤시 (6) 를 꺼내어, 텔레비젼 내부측이 상향이 되도록 수평한 탁상에 놓고, 그 위에, 샤시와 거의 동일한 크기의 반사 필름을 표면 층면이 상향이 되도록 놓고, 또한 그 위에, 원래 텔레비젼에 구비되어 있던 도광판 및 광학 시트 3 매 (확산 필름 2 매, 프리즘 1 매) 를 놓았다 (7). 이어서, 그 면내에서, 샤시의 요철이 가장 심한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5 mm 의 원주상 다리를 3 개 구비하는 정삼각형 형의 대 (801) 를 놓고, 그 위에 또한 15 kg 의 추 (802) 를 올리고, 이러한 3 개의 다리에 둘러싸인 영역을 육안으로 관측하고, 비정상으로 밝은 부분이 없으면 「밀착 불균일이 없음」 (밀착 불균일 평가 ○) 으로 했다. 또, 비정상으로 밝은 부분이 있던 경우에는, 광학 시트 3 매 위에 추가로 원래 텔레비젼에 구비되어 있던 DBEF 시트를 놓고, 동일하게 육안으로 관측하여, 비정상으로 밝은 부분이 회복되지 않으면 「밀착 불균일이 있음」 (평가 ×) 으로 하고, 비정상으로 밝은 부분이 없어지면 「밀착 불균일이 거의 없음」 (평가 △) 으로 했다. 또한, 3 개 다리에 둘러싸인 영역은, 각 변의 길이가 10 cm 의 대략 정삼각형으로 했다.
(14) 제막성
실시예에 기재된 필름을, 텐터를 사용한 연속 제막법으로 제막했을 때의 제막 안정성을 관찰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 : 8 시간 이상 안정적으로 제막할 수 있다.
○ : 3 시간 이상 8 시간 미만 안정적으로 제막할 수 있다.
△ : 3 시간 미만에서 1 번 절단이 생겼다.
× : 3 시간 미만에서 복수회 절단이 발생하여, 안정적인 제막을 할 수 없다.
(15) 휘발 유기 용제량
실온 (23 ℃) 에 있어서, 1 g 의 필름 샘플을 10 ℓ의 불소 수지제 백에 넣고, 그 안을 순질소로 퍼지하여 밀봉했다. 이어서, 즉시 이러한 백 내의 질소로부터, 0.2 ℓ/분의 유량으로, 2 개의 분석용 TENAX-TA 포집관에 각각 0.2 ℓ, 1.0 ℓ 의 질소를 채취하고, 이들을 사용하여, HPLC 및 GCMS 에 의해 채취한 질소 중에 함유되는 유기 용제 성분의 질량을 정량했다. 얻어진 값을 질소 10 ℓ 중의 양으로 환산하고, 1 g 의 필름 샘플로부터 10 ℓ 의 질소 중에 휘발한 유기 용제의 질량을 구하여, 휘발 유기 용제량 (단위 : ppm, 필름 샘플의 질량 기준) 으로 했다. 또한, 알데히드류는, 아세토니트릴로 알데히드 유도체화물을 포집관으로부터 용출하여, HPLC 에 의해 정량했다. 또, HPLC 와 GCMS 에서 값이 상이한 경우에는, 많이 검출된 쪽의 값을 채용했다.
(A) 실시예 1 ∼ 10, 비교예 1 ∼ 2 에 대해
(16) 도광판의 손상 평가 (절삭성 평가) 및 입자의 탈락 평가 (1)
도 1 과 같이, 핸들 부분 (1) 의 단(端)에 길이 200 mm × 폭 200 mm × 두께 3 mm 의 철판 (2, 무게 약 200 g) 을 단단히 첩부하고, 그 위에, 평가면을 위로 한 폭 250 mm × 길이 200 mm 의 반사 필름 (3) 을 폭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25 mm 의 부분이 철판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도록 하여, (중앙의 200 mm × 200 mm 의 부분이 철판과 겹치도록 하여) 첩부했다. 이 때, 반사 필름의 평가면 (표면층면) 이 외측이 되도록 했다. 또, 반사 필름의 폭방향의 양단에서 남은 25 mm 의 부분은, 철판의 뒤쪽으로 되접어 반사 필름의 단부 (샘플링 시에 나이프 등에 의해 칼집을 넣은 부분) 가 도광판을 깎아 버리는 영향을 배제했다.
다음으로, 도트 (401) 를 갖는 도트면을 위로 한 도광판 (4, 적어도 400 mm × 200 mm 의 사이즈의 것) 을 수평한 탁상에 고정시키고, 상기에서 작성한 철판에 고정시킨 반사 필름을, 평가면과 도광판이 접촉하도록 반사 필름측의 면을 하향으로 하여 도광판 위에 놓고, 또한 그 위에 500 g 의 추 (5) 를 올려놓아, 거리 200 mm 에서 (400 mm × 200 mm 의 영역에서 철판에 고정시킨 반사 필름을 움직이게 된다) 1 왕복 약 5 ∼ 10 초의 속도로 15 왕복 운동했다. 그 후, 도광판 표면에 있어서, 그 절삭 상태와 반사 필름으로부터 탈락한 입자의 유무에 대해 20 배의 루페를 사용하여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도광판 상의 문질러진 400 mm × 200 mm 의 전체 범위에 있어서, 15 왕복 운동한 후에 루페로 관찰할 수 있는 상처가 없는 경우에는 「깎이지 않는다」 (절삭 평가 ○) 로 하고, 10 왕복 운동한 후는 관찰할 수 있는 상처가 없었지만, 15 왕복 운동한 후에 관찰할 수 있는 상처가 있는 경우에는 「잘 깎이지 않는다」 (절삭 평가 △) 로 하고, 10 왕복한 후에 관찰할 수 있는 상처가 있는 경우에는 「깎인다」 (절삭 평가 ×) 로 했다.
또, 15 왕복 운동한 후에 있어서, 도광판 상의 문질러진 400 mm × 200 mm 의 전체 범위에 있어서, 루페로 관찰할 수 있는 백색 이물질이 없으면, 「입자가 탈락하지 않는다」 (탈락 평가 ○) 로 했다. 관찰할 수 있는 백색 이물질이 있었을 때는, 이러한 백색 이물질을 현미경에 의해 관측하고, 표면층 B 의 입자 (응집 입자) 인 것을 확인하여, 탈락한 입자가 5 개 이하이면, 「입자가 거의 탈락하지 않는다」 (탈락 평가 △) 로 하고, 6 개 이상이면, 「입자가 탈락한다」 (탈락 평가 ×) 로 했다.
또한, 상기 평가에 있어서는, 도트 사이즈의 영향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도광판에 있어서 최대한 도트 사이즈가 큰 영역을 선택하고, 각 평가 샘플에서 일치시켜 실시했다.
(17) 백점 평가 (1)
상기 (16) 의 평가에서 사용한 반사 필름과 도광판을 사용하여, 탁상에, 표면층면을 상향이 되도록 반사 필름을 놓고, 그 위에 도트면이 하향이 되도록 도광판을 놓고, 도광판의 사변의 각각에 각 200 g 의 추를 놓아 고정시키고, LG 사 제조의 LED 액정 텔레비젼 (LG42LE5310AKR) 의 백라이트 광원을 사용하여 도광판의 측면으로부터 광을 입사하여,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도광판 도트 이외의 밝은 점이 있으면 백점 발생 (평가 ×) 으로 했다. 한편,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비정상인 밝은 점이 없으면 백점 발생하지 않는다 (평가 ○) 로 했다.
(B) 실시예 11 ∼ 13, 비교예 3 ∼ 5 에 대해
(18) 도광판의 손상 평가 (절삭성 평가) 및 입자의 탈락 평가 (2)
상기 (16) 에 있어서, 추 (5) 로서 1 kg 의 추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평가했다.
(19) 백점 평가 (2)
상기 (18) 의 평가에서 사용한 반사 필름과 도광판을 사용하는 것 이외는, 상기 (17) 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했다.
[제조예 1 :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의 합성]
테레프탈산디메틸 136.5 질량부, 이소프탈산디메틸 13.5 질량부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산성분 100 몰% 에 대해 9 몰% 가 된다), 에틸렌글리콜 98 질량부, 디에틸렌글리콜 1.0 질량부, 아세트산망간 0.05 질량부, 아세트산리튬 0.012 질량부를 정류탑(精留塔), 유출(留出) 콘덴서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주입하고, 교반하면서 150 ∼ 240 ℃ 로 가열하여 메탄올을 유출시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했다. 메탄올이 유출한 후, 인산트리메틸 0.03 질량부, 이산화게르마늄 0.04 질량부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반응기로 옮겼다. 이어서 교반하면서 반응기 내를 서서히 0.3 mmHg 까지 감압함과 함께 292 ℃ 까지 승온하고,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여,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을 얻었다. 이 폴리머의 융점은 235 ℃ 였다.
[제조예 2 :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의 합성]
테레프탈산디메틸 129.0 질량부, 이소프탈산디메틸 21.0 질량부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산성분 100 몰% 에 대해 14 몰% 가 된다) 로 변경한 것 외에는, 상기 제조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를 얻었다. 이 폴리머의 융점은 215 ℃ 였다.
[제조예 3 : 입자 마스터 칩 1 의 제조]
상기에서 얻어진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의 일부, 및 보이드 형성제로서 평균 입자경 1.0 ㎛ 의 황산바륨 입자 (표 중, BaSO4 로 표기한다) 를 사용하여, 코베 제강사 제조 NEX-T60 텐덤식 압출기로, 얻어지는 마스터 칩의 질량에 대해 황산바륨 입자의 함유량이 63 질량% 가 되도록 혼합하고, 수지 온도 260 ℃ 에서 압출하여, 황산바륨 입자 함유의 입자 마스터 칩 1 을 제조했다.
[제조예 4 : 입자 마스터 칩 2 의 제조]
상기에서 얻어진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에, 응집 입자 A 로서, 토소·실리카 주식회사 제조 GO105 (응집 실리카) 를 풍력 분급하여 평균 입자경 (2 차 입경) 15 ㎛ 로 한 입자를 8 질량% 가 되도록 혼합하고, 용융 온도 235 ℃ 에서 압출하여, 입자 마스터 칩 2 를 제조했다.
[실시예 1]
(백색 반사 필름의 제조)
상기에서 얻은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과 입자 마스터 칩 1 을 반사층 (A 층) 의 원료로서,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와 입자 마스터 칩 2 를 표면층 (B 층) 의 원료로서 각각 사용하여, 각각의 층이 표 1 에 기재한 구성이 되도록 혼합하고, 압출기에 투입하여, A 층은 용융 압출 온도 255 ℃ 에서, B 층은 용융 압출 온도 230 ℃ 에서,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 층/A 층/B 층의 층 구성이 되도록 3 층 피드 블록 장치를 사용하여 합류시키고, 그 적층 상태를 유지한 채로 다이스로부터 시트상으로 성형했다. 이 때 B 층/A 층/B 층의 두께비가 2 축 연신 후에 10/80/10 이 되도록 각 압출기의 토출량으로 조정했다. 또한 이 시트를 표면 온도 25 ℃ 의 냉각 드럼으로 냉각 고화시킨 미연신 필름으로 했다. 이 미연신 필름을 73 ℃ 의 예열 존, 계속해서 75 ℃ 의 예열 존을 통과하여, 92 ℃ 로 유지된 종연신 존으로 유도하고, 종방향으로 2.9 배로 연신하고, 25 ℃ 의 롤군으로 냉각시켰다. 계속해서,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유지하면서 115 ℃ 의 예열 존을 통과하여 130 ℃ 로 유지된 횡연신 존으로 유도하고, 횡방향으로 3.6 배로 연신했다. 그 후 텐터 내에서 185 ℃ 에서 열 고정을 실시하고, 폭넣기 비율 2 %, 폭넣기 온도 130 ℃ 에서 횡방향의 폭넣기를 실시하고, 이어서 필름 양단을 잘라내어, 종이완율 2 % 로 열 이완하고, 실온까지 식혀서,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250 ㎛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 10, 비교예 1 ∼ 2]
표면층에 사용하는 입자의 양태를 각각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각각 사용한 입자의 종류는 하기와 같다.
응집 입자 B : 토소·실리카 주식회사 제조 AY-601 (응집 실리카) 을 풍력 분급하여 평균 입자경 (2 차 입경) 15 ㎛ 로 했다.
응집 입자 C : 그레이스 재팬 주식회사 제조 C812 (응집 실리카) 를 풍력 분급하여 평균 입자경 (2 차 입경) 15 ㎛ 로 했다.
응집 입자 D : 후지 시리시아 화학 주식회사 제조 캐리액트 P-10 (응집 실리카) 을 풍력 분급하여 평균 입자경 (2 차 입경) 15 ㎛ 로 했다.
응집 입자 E : 그레이스 재팬 주식회사 제조 C622 (응집 실리카) 를 풍력 분급하여 평균 입자경 (2 차 입경) 15 ㎛ 로 했다.
응집 입자 F : 토소·실리카 주식회사 제조 AY-601 을 풍력 분급하여 평균 입자경 (2 차 입경) 20 ㎛ 로 했다.
응집 입자 G : 토소·실리카 주식회사 제조 AY-601 을 풍력 분급하여 평균 입자경 (2 차 입경) 10 ㎛ 로 했다.
가교 아크릴 입자 A :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제조 BMX-30 (진구상 입자)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제조예 5 : 입자 마스터 칩 3 의 제조]
상기에서 얻어진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에, 응집 입자 H 로서, 후지 시리시아 화학 주식회사 제조 캐리액트 P-10 을 8 질량% 가 되도록 혼합하고, 용융 온도 235 ℃ 에서 압출하여, 입자 마스터 칩 3 을 제조했다.
[실시예 11]
(백색 반사 필름의 제조)
상기에서 얻은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과 입자 마스터 칩 1 을 반사층 (A 층) 의 원료로서,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와 입자 마스터 칩 3 을 표면층 (B 층) 의 원료로서 각각 사용하여, 각각의 층이 표 3 에 기재한 구성이 되도록 혼합하고, 압출기에 투입하여, A 층은 용융 압출 온도 255 ℃ 에서, B 층은 용융 압출 온도 230 ℃ 에서, B 층/A 층/B 층의 층 구성이 되도록 3 층 피드 블록 장치를 사용하여 합류시키고, 그 적층 상태를 유지한 채로 다이스로부터 시트상으로 성형했다. 이 때 B 층/A 층/B 층의 두께비가 2 축 연신 후에 10/80/10 이 되도록 각 압출기의 토출량으로 조정했다. 또한 이 시트를 표면 온도 25 ℃ 의 냉각 드럼으로 냉각 고화시킨 미연신 필름으로 했다. 이 미연신 필름을 73 ℃ 의 예열 존, 계속해서 75 ℃ 의 예열 존을 통과하여, 92 ℃ 로 유지된 종연신 존으로 유도하고, 종방향으로 2.9 배로 연신하여, 25 ℃ 의 롤군으로 냉각시켰다. 계속해서,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유지하면서 115 ℃ 의 예열 존을 통과하여 130 ℃ 로 유지된 횡연신 존으로 유도하고, 횡방향으로 3.8 배로 연신했다. 그 후 텐터 내에서 185 ℃ 에서 열 고정을 실시하고, 폭넣기 비율 2 %, 폭넣기 온도 130 ℃ 에서 횡방향의 폭넣기를 실시하고, 이어서 필름 양단을 잘라내어, 종이완율 2 % 로 열 이완하고, 실온까지 식혀서,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250 ㎛ 의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표면층 B 의 입자로서 토소 실리카사 제조 AY-603 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 과 마찬가지로 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표면층 B 의 입자로서 토소 실리카사 제조 G0105 를 사용한 것과, 횡연신 배율을 4.0 배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 과 마찬가지로 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표면층 B 의 입자로서 소켄 화학 제조의 가교 폴리 (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입자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 과 마찬가지로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4]
(도액의 조정)
고오 화학사 제조의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Z565 (고형분 30 %) 를 고형분으로서 60 질량%, 입자로서 후지 시리시아 화학 주식회사 제조 캐리액트 P-10 을 고형분으로서 35 질량%, 카오 주식회사 제조 에마르겐 420 을 고형분으로서 5 질량% 함유하고, 도액의 전체 고형분 농도가 30 질량% 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표면층 B 를 형성하기 위한 도액을 제조했다.
(백색 반사 필름의 제조)
상기에서 얻은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과 입자 마스터 칩 1 을 반사층 (A 층) 의 원료로서,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를 지지층 (C 층) 의 원료로서 각각 사용하여, 각각의 층이 표 3 에 기재한 구성이 되도록 혼합하고, 압출기에 투입하여, A 층은 용융 압출 온도 255 ℃ 에서, C 층은 용융 압출 온도 230 ℃ 에서, C 층/A 층의 층 구성이 되도록 2 층 피드 블록 장치를 사용하여 합류시키고, 그 적층 상태를 유지한 채로 다이스로부터 시트상으로 성형했다. 이 때 C 층/A 층의 두께비가 2 축 연신 후에 20/80 이 되도록 각 압출기의 토출량으로 조정했다. 또한 이 시트를 표면 온도 25 ℃ 의 냉각 드럼으로 냉각 고화시킨 미연신 필름으로 했다. 이 미연신 필름의 A 층측에 상기 서술한 조성의 도액을, 건조 후의 도포층 두께가 3 ㎛ 가 되도록 롤코터로 도포하고, 73 ℃ 의 예열 존, 계속해서 75 ℃ 의 예열 존을 통과하여, 92 ℃ 로 유지된 종연신 존으로 유도하고, 종방향으로 2.9 배로 연신하여, 25 ℃ 의 롤군으로 냉각시켰다. 계속해서,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유지하면서 115 ℃ 의 예열 존을 통과하여 130 ℃ 로 유지된 횡연신 존으로 유도하여, 횡방향으로 3.8 배로 연신했다. 이 공정에 의해 동시에 표면층 B 를 형성할 수 있다. 그 후 텐터 내에서 185 ℃ 에서 열 고정을 실시하고, 폭넣기 비율 2 %, 폭넣기 온도 130 ℃ 에서 횡방향의 폭넣기를 실시하고, 이어서 필름 양단을 잘라내어, 종이완율 2 % 로 열 이완하고, 실온까지 식혀서,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250 ㎛ 의 기재 (A 층 + C 층) 에 표면층 B 로서의 두께 3 ㎛ 의 도포층 B 가 형성된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비교예 5]
표면층 B 를 형성하기 위한 도액에 첨가하는 입자를 토소 실리카사 제조 AY-603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4 와 마찬가지로 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도광판과의 첩부를 충분히 억제하고, 또 도광판의 손상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도광판을 구비하는 면광원 반사판으로서, 그 중에서도,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반사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반사층 A 와, 입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표면층 B 를 가지며, 상기 표면층 B 의 상기 반사층 A 와는 반대측의 표면에 상기 입자에 의해 형성된 돌기를 가지며, 그 표면에 있어서의 높이 5 ㎛ 이상의 돌기 개수가 104 ∼ 1010 개/㎡ 인 백색 반사 필름으로서,
    a. 상기 표면층 B 가 배향된 층이며, 상기 입자의, 하중 0.3 gf 로 압축했을 때의 압축률이 40 % 이상인 백색 반사 필름 a 이거나,
    혹은
    b. 상기 입자의, 하중 3 gf 로 압축했을 때의 10 % 압축 강도가 0.1 ∼ 10 MPa 이며, 상기 돌기의 비커스 경도가 5 ∼ 30 인 백색 반사 필름 b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반사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가 응집 입자인, 백색 반사 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 입자가, 폴리에스테르 응집 입자, 아크릴 응집 입자, 폴리우레탄 응집 입자 및 폴리에틸렌 응집 입자의 유기 응집 입자, 및 실리카 응집 입자, 알루미나 응집 입자 및 세라믹스 응집 입자의 무기 응집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백색 반사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의 평균 입자경 d 가 5 ㎛ 이상, 100 ㎛ 이하인, 백색 반사 필름.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 입자의 2 차 입경 ds 가 5 ㎛ 이상, 100 ㎛ 이하인, 백색 반사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반사 필름 a 로서, 상기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상기 입자의 함유량이 표면층 B 의 체적을 기준으로서 30 체적% 이하인, 백색 반사 필름.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반사 필름 a 로서, 상기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상기 입자의 함유량이 표면층 B 의 체적을 기준으로서 1 체적% 이상, 30 체적% 이하인, 백색 반사 필름.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반사 필름이 상기 백색 반사 필름 b 인, 백색 반사 필름.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반사 필름 b 로서, 상기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상기 입자의 함유량이 표면층 B 의 체적을 기준으로서 50 체적% 이하인, 백색 반사 필름.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반사 필름 b 로서, 상기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상기 입자의 함유량이 표면층 B 의 체적을 기준으로서 1 체적% 이상, 50 체적% 이하인, 백색 반사 필름.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A 의 보이드 체적률이 15 체적% 이상, 70 체적% 이하인, 백색 반사 필름.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 B 의 보이드 체적률이 0 체적% 이상, 15 체적% 미만인, 백색 반사 필름.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휘발 유기 용제량이 10 ppm 이하인, 백색 반사 필름.
  14.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광판을 구비하는 면광원 반사판으로서 사용되는, 백색 반사 필름.
  15.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용 반사판으로서 사용되는, 백색 반사 필름.
KR1020157013430A 2013-02-25 2014-02-21 백색 반사 필름 KR101587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34586 2013-02-25
JP2013034586A JP5785202B2 (ja) 2013-02-25 2013-02-25 白色反射フィルム
JP2013034587A JP5722937B2 (ja) 2013-02-25 2013-02-25 白色反射フィルム
JPJP-P-2013-034587 2013-02-25
PCT/JP2014/054988 WO2014129673A1 (ja) 2013-02-25 2014-02-21 白色反射フィル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779A Division KR101599684B1 (ko) 2013-02-25 2014-02-21 백색 반사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904A true KR20150065904A (ko) 2015-06-15
KR101587393B1 KR101587393B1 (ko) 2016-01-20

Family

ID=513914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430A KR101587393B1 (ko) 2013-02-25 2014-02-21 백색 반사 필름
KR1020157026779A KR101599684B1 (ko) 2013-02-25 2014-02-21 백색 반사 필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779A KR101599684B1 (ko) 2013-02-25 2014-02-21 백색 반사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2) KR101587393B1 (ko)
CN (1) CN105190371B (ko)
TW (1) TWI575192B (ko)
WO (1) WO2014129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471A1 (ja) * 2015-07-16 2017-01-19 帝人フィルム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大型ディスプレイ用白色反射フィル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2018A (ja) 2001-09-19 2003-03-28 Keiwa Inc 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8512719A (ja) 2004-09-13 2008-04-24 エスケーシー ハース ディスプレイ フィルムズ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反射シートおよびこれを採用し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9244509A (ja) 2008-03-31 2009-10-22 Mitsubishi Rayon Co Ltd 反射シート
JP2010224446A (ja) * 2009-03-25 2010-10-07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液晶表示装置の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の反射フィルム用白色フィルム
JP2011209499A (ja) * 2010-03-30 2011-10-20 Toray Ind Inc 面光源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面光源反射板
JP2012108190A (ja) * 2010-11-15 2012-06-07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反射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4754B2 (ja) * 1997-08-28 2007-06-20 株式会社クラレ アクリル系多層構造粒状複合体
CN100520446C (zh) * 2000-12-08 2009-07-29 东洋纺绩株式会社 光学用被覆膜
JP3628295B2 (ja) * 2000-12-08 2005-03-09 東洋紡績株式会社 光学用積層フィルム
JP2003270410A (ja) * 2002-03-15 2003-09-25 Kimoto & Co Ltd 光拡散性シート
US7608070B2 (en) * 2004-09-30 2009-10-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oam-based fasteners
KR20100020906A (ko) * 2008-08-13 2010-02-23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눈부심방지성 필름, 광학층이 부착된 편광자 및 표시 장치
CN102782532B (zh) * 2010-03-23 2015-04-15 东丽株式会社 白色聚酯膜、使用其的光反射板以及液晶显示器用背光源
JP5739178B2 (ja) * 2011-01-31 2015-06-24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反射フィルム
CN202075434U (zh) * 2011-05-11 2011-12-14 武汉金牛经济发展有限公司 一种高性能耐划伤、高挺度和高加工性能的反射膜
CN105866866A (zh) * 2012-08-03 2016-08-17 帝人杜邦薄膜日本有限公司 白色反射性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2018A (ja) 2001-09-19 2003-03-28 Keiwa Inc 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8512719A (ja) 2004-09-13 2008-04-24 エスケーシー ハース ディスプレイ フィルムズ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反射シートおよびこれを採用し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9244509A (ja) 2008-03-31 2009-10-22 Mitsubishi Rayon Co Ltd 反射シート
JP2010224446A (ja) * 2009-03-25 2010-10-07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液晶表示装置の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の反射フィルム用白色フィルム
JP2011209499A (ja) * 2010-03-30 2011-10-20 Toray Ind Inc 面光源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面光源反射板
JP2012108190A (ja) * 2010-11-15 2012-06-07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反射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194A (ko) 2015-10-21
KR101587393B1 (ko) 2016-01-20
CN105190371A (zh) 2015-12-23
CN105190371B (zh) 2017-07-21
TWI575192B (zh) 2017-03-21
WO2014129673A1 (ja) 2014-08-28
KR101599684B1 (ko) 2016-03-07
TW201439472A (zh)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4962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26512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KR101524992B1 (ko) 백색 반사성 필름
JP6211923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5722937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KR101587393B1 (ko) 백색 반사 필름
JP6110220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6352613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5785202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5702482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5495345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6235299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2015069020A (ja) 白色反射フィルム
KR20170104455A (ko) 직하형 면광원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직하형 면광원
JP5905915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5495344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