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3361A -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및 자동판매기 온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및 자동판매기 온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3361A
KR20150063361A KR1020157004226A KR20157004226A KR20150063361A KR 20150063361 A KR20150063361 A KR 20150063361A KR 1020157004226 A KR1020157004226 A KR 1020157004226A KR 20157004226 A KR20157004226 A KR 20157004226A KR 20150063361 A KR20150063361 A KR 20150063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 air
temperature
beverage
air
storag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4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호
안병선
Original Assignee
수퍼쿨러 주식회사
수퍼쿨러 유에스에이,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퍼쿨러 주식회사, 수퍼쿨러 유에스에이, 인크. filed Critical 수퍼쿨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63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3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65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65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 G07F11/1657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the picking arrangements using s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articles being supported on or by endless belts or like convey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음료 제품을 과냉각 상태로 냉각하여 제공할 수 있고, 음료 제품이 수용되는 저장실 내부의 온도를 음료 제품의 과냉각 온도에 맞춰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소비자에게 음료 제품을 충격없이 과냉각 상태로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음료 제품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음료 제품을 수용하여 과냉각 상태로 저장하는 저장실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음료 제품이 적재되는 랙부, 상기 저장실 내부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 상기 냉각부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저장실 내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냉기공급부, 상기 냉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를 음료캔의 과냉각 온도 범위로 제어하기 위한 냉기제어부, 상기 랙부에 적재된 음료 제품을 과냉각 상태로 인출하여 본체의 출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인출부를 포함하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및 자동판매기 온도 제어방법{BEVERAGE VEND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캔음료 등의 음료 제품을 자동으로 판매하기 위한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음료 제품을 과냉각 상태로 냉각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된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와 자동판매기 온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vending machine)은 무인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장치로, 동전이나 지폐 또는 카드 등을 제출하면 이에 대응하여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품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자동판매기는 음료나 담배, 식품, 서적, 복권 등 다양한 제품을 판매할 수 있으며, 주로 캔음료를 포함한 음료제품 판매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자동판매기는 본체 내부에 음료 제품이 수납되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수납된 음료 제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시설을 구비하며, 본체의 전면에는 동전 등을 투입하는 투입구와 음료 선택을 위한 조작부 및 음료 제품이 나오는 출구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의 출구와 저장실 사이에는 슈트가 연결되고 슈트를 통해 음료제품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여러 장치들이 갖춰진다. 냉각시설은 저장실 내에 냉기를 공급하여 수납된 음료제품을 차갑게 유지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가 동전 등을 투입구에 넣고 음료를 선택하면 저장실에 수납된 해당 음료가 슈트를 통해 출구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음료 자동판매기는 단지 음료 제품을 차게 냉각시켜 제공할 뿐이다.
액체인 음료를 응고점 이하로 과냉각시키게 되면 슬러리 상태로 동결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여 액체를 슬러리 상태로 제공하는 냉각고 등이 개발되고 있다. 과냉각(supercooling)이란, 용융체 또는 고체가 평형상태에서의 상전이 온도 이하까지 냉각되어도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물질에는 각각 그때의 온도에 따른 안정상태가 있어서, 온도를 서서히 변화시켜 가면 이에 따라 그 물질의 구성원자가 각 온도에서 안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온도의 변화를 따라갈 수가 있다. 그러나 온도가 갑자기 변하면 구성원자가 각 온도에 따른 안정상태로 변화할 만한 여유가 없기 때문에, 출발점 온도에서의 안정상태를 그대로 지니거나, 또는 일부분이 종점 온도에서의 상태로 변화하다가 마는 현상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물을 서서히 냉각하면, 0℃ 이하의 온도가 되어도 일시적으로 응고하지 않는다. 그러나, 물체가 과냉각 상태로 되면 일종의 준안정 상태가 되어, 얼지 않고 있다가 사소한 자극에 의해서도 그 불안정한 평형상태가 깨져서 보다 안정된 상태로 옮아가기 쉽다. 즉, 과냉각된 액체에 그 물질의 작은 조각을 투입하거나, 액체를 갑자기 흔들면 즉시 응고하기 시작하여 액체의 온도가 응고점까지 올라가고, 그 온도에서 안정된 평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액체인 음료를 과냉각시키기 위해서는 온도 조건을 잘 맞추고 이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야 한다. 그런데, 음료의 과냉각 온도 조건에 맞춰 온도를 제어하고,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더욱이,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음료 제품을 차게 해서 제공할 뿐으로, 음료를 과냉각 상태로 보존하여 슬러리 상태로 제공하는 자동판매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음료 제품을 과냉각 상태로 냉각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및 자동판매기 온도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음료 제품이 수용되는 저장실 내부의 온도를 음료 제품의 과냉각 온도에 맞춰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및 자동판매기 온도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소비자에게 음료 제품을 충격없이 과냉각 상태로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및 자동판매기 온도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음료 제품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음료 제품을 수용하여 과냉각 상태로 저장하는 저장실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음료 제품이 적재되는 랙부, 상기 저장실 내부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 상기 냉각부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저장실 내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냉기공급부, 상기 냉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를 음료캔의 과냉각 온도 범위로 제어하기 위한 냉기제어부, 상기 랙부에 적재된 음료 제품을 과냉각 상태로 인출하여 본체의 출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본체 하단에 설치되어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와, 내부에 상기 증발기가 설치되고 저장실 내부와 상기 냉기공급부를 연결하는 냉각덕트, 상기 냉각덕트 일측에 설치되어 저장실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블로워, 상기 증발기로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압축기와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공급부는 상기 저장실의 내측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공급덕트와, 상기 냉각덕트와 연결되는 공급덕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냉기를 공급덕트로 송풍하기 위한 공급블로워, 상기 공급덕트의 전면에 형성되어 냉기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제어부는 상기 저장실 내부 공기를 필요시 상기 냉기공급부로 공급하여 냉기와 혼합시키기 위한 혼합부와, 상기 공급덕트에 설치되어 저장실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의 검출값을 연산하여 저장실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 내가 되도록 상기 냉각부와 냉기공급부 및 혼합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부는 상기 공급덕트의 하단과 상기 저장실 사이에 설치되어 저장실 내부 공기를 공급덕트로 송풍하기 위한 혼합블로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부는 상기 공급덕트의 하단이 저장실과 냉각덕트에 동시에 면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공급블로워가 저장실과 냉각덕트에 동시에 면하도록 설치되고 냉각덕트의 냉기와 저장실 내부 공기를 공급덕트로 송풍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구멍은 상기 저장실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구멍의 형성 개수 또는 크기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제어부는 상기 본체 전면에 설치된 전면창의 개폐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의 출력값에 따라 전면창 개방시 상기 냉각부와 냉기공급부 및 혼합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냉기제어부는 상기 공급덕트 내에 설치되어 냉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저장실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 내가 되도록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냉기제어부는 상기 공급덕트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트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저장실의 내부 온도가 -3 ~ -15℃의 범위로 조절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랙부는 저장실에 수직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선반과, 상기 선반에 설치되고 음료 제품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선반 바닥면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고 음료 제품이 놓이는 컨베이어밸트와, 상기 컨베이어밸트의 구동롤에 연결되어 컨베이어밸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은 선반에 측방향을 따라 음료 제품을 격리하는 격벽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격벽 사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의 선단에는 음료 제품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는 본체의 전면창과 상기 선반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상하구동부, 상기 승강부재 상에 설치되어 선반에 적재된 음료 제품을 잡기 위한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 상기 승강부재를 따라 상기 클램핑부를 본체 좌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좌우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는 길게 연장되어 음료 제품을 파지하는 한쌍의 클램핑바와, 상기 클램핑바가 양 측면에 설치되어 클램핑바를 구동하는 구동블럭,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고 상단에 상기 구동블럭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재, 베이스부재에 대해 구동블럭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하구동부는 본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바, 상기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스프로켓휠, 상기 스프로켓휠에 체결되고 선단은 상기 승강부재에 연결되는 체인, 상기 스프로켓휠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구동부는 상기 승강부재의 양 측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과, 상기 롤에 걸쳐져 회전되고 상기 회전부가 설치되는 이송밸트, 상기 롤을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부는 상기 출구 내부에 형성되어 음료 제품이 놓여지는 수평 바닥면을 구비한 인출박스, 상기 출구를 개폐하는 출구도어, 상기 인출박스 내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바에 파지된 음료 제품이 진입하는 입구, 상기 입구에 설치되어 입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셔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부는 상기 차단셔터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로 에어를 분사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에어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자동판매기 온도 제어방법은 자동판매기의 저장실에 저장된 음료 제품을 과냉각 상태로 저장하도록, 자동판매기의 저장실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온도값을 기 설정된 제1 온도범위 상한값과 비교하는 단계, 검출된 온도값이 제1 온도범위 상한값 이상인 경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단계, 검출된 온도값이 제1 온도범위 상한값보다 낮은 경우 제2 온도범위와 비교하는 단계, 검출된 온도값이 제2 온도범위 상한값보다 낮은 경우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단계, 저장실 내부 온도를 검출하여 검출된 온도값이 제2 온도범위 하한값 이하로 낮아진 경우 냉기 온도 제어를 종료하는 단계, 검출된 온도값을 제1 온도범위 하한값과 비교하는 단계, 검출된 온도값이 제1 온도범위 하한값 이하인 경우 냉기 공급을 중지하는 단계, 저장실 내부 온도를 검출하여 검출된 온도가 제1 온도범위 상한값보다 낮은 경우 냉기 공급을 계속 중지하고, 제1 온도범위 상한값 이상인 경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온도범위는 상기 제1 온도범위 이내일 수 있다.
상기 냉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저장실 내부 공기를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에 혼합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냉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공급량과 냉기에 혼합되는 저장실 내부 공기 공급량의 비율을 제어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냉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냉기가 공급되는 공급덕트 상에 설치된 히터를 제어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온도 제어방법은 자동판매기의 저장실 내에 저장되는 음료 제품의 종류에 맞춰 제1 온도 범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온도 범위 조절 단계는 음료 제품의 종류별로 구분된 버튼 조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판매기를 통해 음료 제품을 과냉각 상태로 유지하여 판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동판매기 내에서 음료 제품을 과냉각 온도에 맞춰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택된 음료 제품을 외부 충격없이 과냉각된 상태로 계속 유지하여 고객에게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의 제어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의 인출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의 인출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또다른 실시예의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음료캔(C)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100)를 예로서 설명한다. 그러나, 본 자동판매기(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캔에 담긴 음료 제품 뿐아니라 병이나 팩에 든 음료 제품 모두에 대해 적용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100)는 음료캔(C)을 수용하는 저장실(12)을 구비한 본체(10)와,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음료 제품이 적재되는 랙부(16), 상기 음료캔을 과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 상기 랙부에 적재된 음료캔(C)을 과냉각 상태로 유지하여 인출하기 위한 인출부(7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전면이 개방되고 다른 측면은 막혀있는 사각형태의 단열구조물로 이루어진다. 본체(10)의 전면에는 단열 구조의 전면창(1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의 저장실을 외부와 차단하고, 필요시 개폐된다. 상기 전면창(14)은 저장실의 랙부에 저장된 음료캔(C)을 소비자가 외부에서 확인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는 음료캔이 수용되어 과냉각되는 공간인 저장실(12)을 이룬다.
상기 자동판매기(100)는 냉각장치의 구동을 통해 랙부에 수용된 음료캔(C)을 과냉각시키거나 과냉각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자동판매기(100)에 구비되는 냉각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실(12) 내부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20), 상기 냉각부(20)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저장실(12) 내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냉기공급부(30), 상기 냉기공급부(30)로부터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를 음료캔(C)의 과냉각 온도 범위로 제어하기 위한 냉기제어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실(12)의 내부 온도는 음료캔(C) 내부 음료의 과냉각 조건에 맞춰 대략 -3 ~ -15℃의 범위로 조절되어 유지된다.
상기 냉각부(20)는 저장실(12) 내부 온도를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10) 하단에 설치되어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21)와, 내부에 상기 증발기(21)가 설치되고 저장실(12) 내부와 상기 냉기공급부(30)를 연결하는 냉각덕트(22), 상기 냉각덕트(22) 일측에 설치되어 저장실(12)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블로워(2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덕트(22)는 저장실(12)의 바닥 측에 배치된다. 상기 냉각덕트(22)는 저장실(12)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와 냉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를 구비한다. 상기 냉각덕트(22) 내부에는 저장실(12) 내부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증발기(21)가 설치된다. 이에 입구를 통해 냉각덕트(22)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21)를 지나면서 냉각되어 출구를 통해 냉기로 배출된다. 상기 냉각덕트(22)의 입구는 전면창(14)이 있는 저장실(12)의 앞쪽에 배치된다. 상기 냉각덕트(22)의 출구는 입구의 반대쪽인 저장실(12) 안쪽에 배치된다. 상기 냉각덕트(22)의 입구에는 흡입블로워(blower)(23)가 설치된다. 상기 흡입블로워(23)는 길게 연장된 원통형팬을 구비하며, 일측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다.
흡입블로워(23)는 흡입구가 저장실(12) 내부를 향하고 토출구는 냉각덕트(22)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흡입블로워(23)는 저장실(12) 내부 공기를 냉각덕트(22) 내부로 흡입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덕트의 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구성부로 흡입블로워(23)가 사용됨에 따라 들어오고 나가는 공기의 섞임을 방지하고 냉기를 정확하고 일정하게 제어 및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송풍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블로워의 속도를 조절해 풍량을 용이하게 가감하여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공기 흡입에 따른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증발기(21)는 냉각덕트(22) 내에서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는 냉각작용에 의해 주변의 공기를 냉각하게 된다.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상기 증발기(21)와 연결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4)와 압축기(24)에서 압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냉매를 방열을 통하여 응축하고 응축된 냉매를 증발기(21)로 전달하는 응축기(25)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압축기와 응축기를 포함하는 냉각부를 본체 하부에 배치함에 따라 진동이나 소음을 보다 줄이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냉각부는 본체 하부 외에 본체 상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기공급부(30)는 상기 냉각덕트(22) 배출구와 연결되어 증발기(21)를 지나면서 냉각된 냉기를 저장실(12)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기공급부(30)는 상기 저장실(12)의 내측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공급덕트(31)와, 상기 냉각덕트(22)와 연결되는 공급덕트(31)의 하단에 설치되어 냉기를 공급덕트(31)로 송풍하기 위한 공급블로워(32), 상기 공급덕트(31)의 전면에 형성되어 냉기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구멍(3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덕트(31)는 저장실(12)의 안쪽 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공급덕트(31)는 저장실(12)의 안쪽 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마주보는 양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31)는 전면 즉, 저장실(12)을 향하는 면에 냉기를 저장실(12)로 불어넣기 위한 복수개의 구멍(33)이 배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멍(33)은 상하로 배치된 각 선반(16)에 대해 선반(16)의 위쪽 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구멍(33)은 선반(16)에 음료캔이 놓여졌을 때, 음료캔의 상부쪽에서 냉기가 아래로 흘러 음료캔 전체에 면하도록 형성된다. 또는 상기 구멍(33)은 저장실(12)의 폭방향 양 측면 사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멍(33)은 상기 저장실(12)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구멍(33)의 형성 개수 또는 크기가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공급덕트(31)를 통해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되는 냉기가 저장실(12)의 상하방향을 따라 각 선반(16)에 대응되어 형성된 구멍(33)을 통해 대략 균일한 양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구멍(33)을 통해 냉기가 저장실(12) 내부로 분출되어 저장실(12)의 각 랙부(16)에 적재된 음료캔(C)을 과냉각시키게 된다. 저장실(12) 내부로 분출된 냉기는 음료캔(C)을 지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덕트(22)의 입구를 통해 냉각덕트로 흡입된다.
상기 공급블로워(32)는 냉각덕트(22)의 출구와 공급덕트(31) 하단 사이에 설치되어 냉각덕트(22)를 지나며 냉각된 냉기를 공급덕트(31) 쪽으로 분출하게 된다. 상기 공급블로워(32)는 길게 연장된 원통형팬을 구비하며, 일측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다. 공급블로워(32)는 흡입구가 냉각덕트(22) 내부를 향하고 토출구는 공급덕트(31)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공급블로워(32)는 냉각덕트의 냉기를 공급덕트(31)로 이송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덕트(31)로 냉기를 공급하는 구성부로 공급블로워(32)가 사용됨에 따라 냉기나 저장실 내부 공기가 역방향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블로워의 속도를 조절해 공급량을 정확하고 일정하게 제어 및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송풍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냉기 배출시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장치는 냉각덕트(22)의 냉기를 공급덕트(31)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냉기제어부(40)를 통해 저장실(12) 내부 공기를 냉기에 혼합하여 냉기의 온도를 음료캔(C)의 과냉각 온도 범위로 제어하게 된다.
상기 냉기제어부(40)는 상기 저장실(12) 내부 공기를 필요시 상기 냉기공급부(30)로 공급하여 냉기와 혼합시키기 위한 혼합부와, 상기 공급덕트(31)에 설치되어 저장실(12)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41), 상기 온도센서(41)의 검출값을 연산하여 저장실(12)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 내가 되도록 상기 냉각부(20)와 냉기공급부(30) 및 혼합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공급덕트(31)의 하단과 상기 저장실(12) 사이에 설치되어 저장실(12) 내부 공기를 공급덕트(31)로 송풍하기 위한 혼합블로워(43)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덕트(31)의 하단의 크기는 공급덕트(31)의 배출구보다 충분히 커서, 공급덕트(31) 상단을 지나 위쪽으로 연장된다. 이에, 상기 공급덕트(31)의 하단 일부분은 냉각덕트(22) 배출구에 연통되고 나머지 부분은 공급덕트 외측에서 저장실(12)과 연통된다. 상기 혼합블로워(43)는 저장실(12)과 공급덕트(31) 사이에 설치되어 저장실(12) 내부 공기를 공급덕트(31) 내부로 분출하게 된다.
상기 혼합블로워(43)는 길게 연장된 원통형팬을 구비하며, 일측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다. 혼합블로워(43)의 흡입구는 저장실(12) 내부를 향하고, 토출구는 공급덕트(31)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냉각덕트(22)를 지나 냉각된 냉기는 공급블로워(32)를 통해 공급덕트(31) 내부로 분출되고 저장실(12) 내부의 공기 중 일부는 냉각덕트(22)를 거치지 않고 바로 혼합블로워(43)를 통해 공급덕트(31) 내부로 흡입된다. 따라서 증발기(21)를 거친 냉기와 저장실(12) 내부의 공기가 공급덕트(31) 내에서 혼합되고, 이 혼합냉기가 공급덕트(31)를 통해 저장실(12) 내부로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기제어부(40)는 저장실(12) 내부 온도에 따라 혼합블로워(43)를 제어작동하여 저장실(12) 내부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온도센서(41)는 상기 공급덕트(31) 일측에 설치되어 저장실(12) 내부 온도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 온도센서(41)는 각 선반(16)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42)는 상기 온도센서(41)의 검출 결과에 따라 압축기(24)를 구동하여 증발기(21)로 냉기를 형성하거나 상기 혼합블로워(43) 또는 상기 공급블로워(32)의 송풍량을 제어하여 저장실(12) 내부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면창(14) 또는 본체(10) 일측에는 전면창(14)의 개폐를 검출하는 센서(도 7의 44 참조)가 설치된다. 컨트롤러(42)는 센서(44)의 출력값에 따라 전면창(14) 개방시 상기 냉각부(20)와 냉기공급부(30) 및 혼합부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즉, 전면창(14)이 개방되면 도어센서(44)의 출력신호에 따라 컨트롤러(42)는 각 블로워와 압축기(24)의 구동을 강제로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냉기제어부(40)는 냉기의 온도 제어를 위해 상기 공급덕트(31) 내에 설치되어 냉기를 가열하는 히터(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45)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하는 열선으로 이루어지며, 공급덕트(31) 하단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히터(45)가 작동되면 혼합 냉기의 온도를 높이게 되어 저장실(12) 내부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냉기를 저장물의 과냉각 온도 범위에 맞춰 알맞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기 온도 제어와 더불어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성애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성애 제거를 위해, 상기 증발기(21) 내에 히터(26)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본 장치에 저장된 음료캔의 과냉각 유지를 위한 제어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기제어부(40)의 컨트롤러(42)는 온도센서(41)와 도어센서(44) 및 온도 셋팅을 위한 조작부(49)의 신호를 인가받아 이를 저장부(46)에 기록된 데이터와 비교 연산한다.
상기 컨트롤러(42)는 내부에 본 장치 제어 구동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내부 소프트웨어에 의한 비교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공급블로워(32), 흡입블로워(23), 혼합블로워(43), 압축기(24) 또는 히터(45)를 제어작동하여 저장실(12) 내부 온도를 음료캔(C)의 과냉각 온도에 맞춰 기 설정된 온도 범위 내로 조절한다.
상기 컨트롤러(42)는 저장실(12)의 온도가 음료캔(C)의 과냉각 온도 범위 이내면 혼합블로워(43)나 히터(45)를 제어작동하여 온도가 급격하게 변동되지 않도록 유지하게 된다. 상기 혼합블로워(43)와 상기 공급블로워(32)의 송풍량은 저장실(12) 온도 제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공급덕트(31)의 구멍(33)을 통해 혼합냉기는 저장실(12)로 공급되어 저장실(12)의 각 랙부(16)에 적재된 음료캔(C)을 과냉각시키게 된다. 그리고 냉각덕트(22)에 설치된 흡입블로워(23)의 구동에 따라 저장실(12) 하부로 하강하여 냉각덕트(22) 내부로 흡입된다. 냉각덕트(22)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21)를 거치면서 냉각되고, 이 냉기는 다시 혼합블로워(43)의 구동에 따라 공급덕트(31)로 흡입된 저장실(12) 내부 공기와 혼합된다. 이 혼합냉기는 다시 공급덕트(31)의 구멍(33)을 통해 음료캔(C)의 냉각을 위해 저장실(12)로 공급된다. 본 장치는 상기한 공기의 순환을 통해 음료캔(C)을 냉각시키게 되며, 이 과정에서 냉기제어부(40)를 통해 냉기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확실하게 음료캔(C)을 과냉각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냉기제어부(40)는 상기 공급덕트(31)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저장실(12)의 폭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트파이프(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파이프(47)는 밀폐용기 내부에 기액간에 상변화되는 작동유체가 채워진 것으로, 작동유체의 상변화과정을 통해 용기 양단 사이에 열을 신속하게 전달하게 된다. 상기 히트파이프(47)는 공급덕트(31)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공급덕트(31)의 상하방향을 따라 혼합냉기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혼합냉기의 온도 저하가 최소화시켜 혼합냉기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이에 공급덕트(31) 내에서 혼합 냉기는 온도 변동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공급덕트(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 구멍(33)을 통해 각 랙부(16)으로 배출되는 냉기의 온도는 전체적으로 균일해지고, 저장실(12) 전체의 온도 변동도 최소화된다.
한편, 상기 자동판매기(100)는 사용자의 비용 처리에 대해 선택된 음료캔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전면 일측에는 예를 들어 전면창 외측에 음료캔에 대한 비용 처리를 확인하는 비용처리부(52)와, 음료 선택을 위한 선택표시부(54) 및 음료 제품이 나오는 출구(56)가 설치된다.
이에, 사용자가 동전 등을 본체 전면에 설치된 투입구에 넣고 음료를 선택하면 비용처리부(52)와 선택표시부(54)의 신호를 받아 상기 인출부(70)가 구동된다. 따라서, 저장실(12)의 랙부(16)에 수납된 해당 음료캔(C)이 인출부에 의해 상기 출구(56)로 이동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상기 음료캔(C)은 랙부(16)에 과냉각 상태로 적재되어 있으며, 상기 인출부(70)는 음료캔(C)에 충격을 가하지 않고 과냉각상태를 유지하면서 음료캔을 랙부에서 출구(56)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소비자는 과냉각 상태가 유지된 음료캔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상기 인출부의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실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10) 내부의 저장실(12)에는 음료캔(C)이 적재되는 랙부(16)가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된다. 여기서 상하방향이라 함은 자동판매기(100)를 지면에 놓았을 때 지면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도 1에서 y축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좌우방향이라 함은 본체의 양 측방향으로 도 1에서 x축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전후방향이라 함은 본체의 전방과 후방쪽 방향으로 도 2의 z축 방향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랙부(16)는 음료캔(C)이 수납 및 진열되는 곳으로, 저장실(12)에 수직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선반(17)과, 상기 선반(17)에 설치되고 음료 제품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선반(17)은 바닥면에 냉기의 유통을 위한 구멍(18)이 형성된다. 상기 선반(17)은 저장실(12)의 좌우방향 양쪽 내측단으로 연장되어 수평 설치된다. 상기 선반(17)에는 좌우방향을 따라 음료 제품을 격리하는 격벽(15)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격벽(15)은 선반(17)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격벽(15)으로 분리된 선반(17)의 상부에 상기 이동부가 설치된다. 음료캔(C)은 상기 격벽(15)으로 분리된 각 이동부 위에 적재되어 필요시 이동부의 구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각 선반(17)에서 격벽(15)으로 분리된 각 영역은 식별을 위해 예를 들어, 번호가 기재될 수 있다. 이에 각 영역의 번호 선택을 통해 소비자가 해당 영역에 적재된 음료캔(C)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는 선반(17) 바닥면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고 음료캔(C)이 놓이는 컨베이어밸트(60)와, 상기 컨베이어밸트(60)의 구동롤에 연결되어 컨베이어밸트(6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61)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밸트(60)는 선반(17)의 전방과 후방쪽에 위치한 피동스프로켓휠(62)과 구동스프로켓휠(63)에 결합되어 회전된다. 상기 구동스프로켓휠(63)에는 구동모터(61)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컨베이어밸트(60) 상에는 음료캔(C)을 밀어내는 수직판(64)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15)의 전방쪽 선단에는 음료캔(C)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센서(19)가 더 설치된다. 상기 검출센서(19)는 컨베이어밸트(60)에 적재된 음료캔(C) 중 최전방의 음료캔(C) 유무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 검출센서(19)는 음료캔(C)을 검출할 수 있는 구조면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검출센서(19)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61)가 제어작동되어 음료캔(C)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에, 상기 최전방의 음료캔(C)이 인출되어 검출센서(19)에 음료캔(C)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검출센서(19)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동모터(61)가 작동되어 컨베이어밸트(60)를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음료캔(C)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최전방 위치에 이르게 되면 검출센서(19)는 이를 검출하고, 이 출력신호에 따라 구동모터(61)는 구동을 정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최전방 위치라 함은 랙부(16)의 가장 전방쪽 위치로, 인출부(70)가 음료캔(C)을 인출할 수 있는 위치이다.
이와 같이, 상기 랙부(16)는 음료캔(C)을 적재함과 더불어 인출부(70)의 구동에 의해 해당 음료캔(C)이 인출되면 적재된 음료캔(C)을 전방으로 이동하여 음료캔(C)을 인출가능한 최전방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반복적인 작동을 통해 각 랙부(16)에 적재된 음료캔(C)은 계속 최전방 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상기 인출부(70)는 과냉각 상태인 음료캔(C)을 랙부(16)의 최전방에서 인출하여 소비자가 잡을 수 있는 본체의 출구(56)로 충격없이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4와 도 5는 상기 인출부의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부(70)는 본체(10)의 전면창(14)과 상기 선반(17)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71), 상기 승강부재(71)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상하구동부, 상기 승강부재(71) 상에 설치되어 선반(17)에 적재된 음료캔(C)을 잡기 위한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81), 상기 승강부재(71)를 따라 상기 클램핑부를 본체(10) 좌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좌우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는 전면창(14)과 저장실(12)의 선반(17) 사이가 이격되어 충분한 공간(13)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공간(13)에 인출부(70)가 배치된다.
이에 상기 인출부(70)는 상기 공간 내에서 승강부재(7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승강부재(71)에 대해 클램핑부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로 클램핑부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승강부재(7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상하구동부는 본체(1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72)과, 상기 승강부재(71)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72)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72)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바(73)0, 상기 본체(10)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피동스프로켓휠(74)과 구동스프로켓휠(75)과, 상기 구동스프로켓휠과 피동스프로켓휠에 체결되고 선단은 상기 승강부재(71)에 연결되는 체인(76), 상기 구동스프로켓휠(75)을 구동하는 구동모터(77)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72)은 인출부(70)가 설치되는 공간의 네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71)의 네 모서리에 설치된 가이드바(73)와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76)은 가이드레일(72) 사이에서 상하에 배치된 피동스프로켓휠과 구동스프로켓휠에 걸쳐져 양 선단이 각각 승강부재(71)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된다. 본체(10)의 하단에 설치된 구동스프로켓휠(75)에 구동모터(77)가 연결되어 동력을 인가한다. 이에, 구동모터(77) 작동에 따라 구동스프로켓휠(75)이 회전하여 체인(76)이 돌게 되면 체인(76)에 연결된 승강부재(71)가 하강 또는 승강하게 된다.
상기 좌우구동부는 상기 승강부재(71)의 양 측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78)과, 상기 롤(78)에 걸쳐져 이동되고 상면에 상기 회전부(81)가 설치되는 이송밸트(79), 상기 롤(78)을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모터(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밸트(79)는 롤(78)에 걸쳐져 승강부재(71)의 상하부를 지나도록 설치된다.
상기 이송밸트(79) 상에 회전부(81)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81) 위에 상기 클램핑부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부(81)는 클램핑부를 수평 회전시켜 클램핑부의 방향을 전환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부(81)는 모터의 회전운동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린더의 직선운동을 회전력으로 전환하는 구조일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회전부(81)의 구동에 따라 클램핑부는 음료캔(C)을 향하거나 본체(10)의 출구(56)를 향하도록 방향이 전환된다.
상기 클램핑부는 길게 연장되어 음료캔(C)을 파지하는 한쌍의 클램핑바(82)과, 상기 클램핑바(82)가 양 측면에 설치되어 클램핑바(82)를 구동하는 구동블럭(83), 상기 회전부(81)에 결합되고 상단에 상기 구동블럭(83)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재(84), 베이스부재(84)에 대해 구동블럭(83)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바(82)는 구동블럭(83)에 결합되어 구동블럭(83)을 지나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클램핑바(82)의 선단은 음료캔(C)을 잡기 용이하도록 마주보는 내면이 원호형태로 만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바(82)의 선단에는 음료캔(C)과의 마찰력을 높여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부재(8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블럭(83)은 예를 들어, 공압 또는 모터를 이용하여 클램핑바(82)를 벌리거나 오므리게 된다. 상기 구동블럭(83)은 베이스부재(8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상기 구동블럭(83)은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베이스부재(84)에 대해 직선운동하여 클램핑바(82)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부는 예를 들어, 베이스부재(84)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구동블럭(83)과 결합되는 이송스크류(86)와, 이송스크류를 정역회전시키는 스텝모터(87)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텝모터(87)가 구동되어 이송스크류(86)가 정역회전하게 되면 이송스크류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구동블럭(83)이 베이스부재(84)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되어 이동하게 된다.
도 6과 도 7을 참고하여 상기 인출부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요자가 비용을 처리하고 원하는 음료캔(C)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인출부(70)가 구동되어 랙부(16)에 적재된 해당 음료캔(C)을 본체(10)의 출구(56)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수요자는 출구(56)를 통해 원하는 음료캔(C)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인출부(70)는 음료캔(C)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음료캔(C)의 과냉각 상태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음료캔(C)을 파지하는 클램핑부는 설정된 초기 위치에서 승강부재(71)와 이송밸트(79)의 이동에 따라 해당 랙부(16)의 음료캔(C) 앞에 위치하게 된다.
구동모터(77)가 작동되면 구동스프로켓휠(75)이 회전되어 체인(76)이 움직이게 된다. 이에, 체인(76)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부재(71)가 상부 또는 하부로 당겨져 가이드레일(7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부재(71)는 클램핑부를 다수의 선반(17) 중에 해당 음료캔(C)이 적재되어 있는 선반(17)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71)에 설치된 작동모터(80)가 구동되어 클램핑부를 승강부재(71)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해당 선반(17) 중에 원하는 음료캔(C)이 적재된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작동모터(80)가 구동되면 롤(78)이 회전되고 롤(78)에 설치된 이송밸트(79)가 회전되면서 이송밸트(79) 상에 설치된 클램핑부를 원하는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클램핑부는 상하이동과 좌우이동과정을 통해 원하는 음료캔(C) 앞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부는 클램핑바(82)가 음료캔(C)을 향하는 상태로 최대한 벌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베이스부재(84)에 설치된 스텝모터(87)가 구동되면 이송스크류를 따라 구동블럭(83)이 전진하여, 선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구동블럭(83)에 설치된 한 쌍의 클램핑바(82)가 음료캔(C) 양측으로 진입하게 된다. 구동블럭(83)이 완전히 전진 이동되면, 구동블럭(83)이 작동되어 벌어져 있는 클램핑바(82)를 오므리게 되고 클램핑바(82)는 음료캔(C)을 잡게 된다. 이에 음료캔(C)은 클램핑바(82)에 의해 가압되어 클램핑된다. 음료캔(C)이 클램핑바(82)에 고정되면 스텝모터(87)가 구동되어 구동블럭(83)을 후진시키게 된다. 구동블럭(83)이 후진됨에 따라 음료캔(C)은 클램핑바(82)에 고정된 상태로 선반(17)의 최전방에서 인출된다.
상기 최전방의 음료캔(C)이 인출되면, 격벽(15)에 설치된 검출센서(19)에 음료캔(C)이 검출되지 않게 된다. 이에, 상기 검출센서(19)의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61)가 작동되어 컨베이어밸트(60) 상에 놓여진 음료캔(C)이 이동된다. 따라서 다시 최전방에 음료캔(C)을 위치시켜 음료캔(C)을 계속 인출 가능한 상태로 대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음료캔(C)이 고정된 클램핑바(82)는 회전부(81)의 구동에 따라 방향이 전환되어 음료캔(C)을 출구쪽으로 향하게 된다. 즉, 클램핑바(82)는 전후방향 상태에서 음료캔(C)을 클램핑한 후 회전부(81)에 의해 90도 회전하여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클램핑부가 회전되면, 승강부재(71)는 구동모터(77)의 작동에 따라 승하강되어 클램핑바(82)를 출구(56)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작동모터(80)가 구동되어 이송밸트(79)를 움직임으로써, 클램핑바(82)는 음료캔(C)을 파지한 상태로 승강부재(71)를 따라 출구쪽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출구(56) 내부에는 클램핑바(82)에 의해 이송되는 음료캔(C)이 안정적으로 놓여지도록 수평 바닥면(58)을 구비한 인출박스(개질기(25))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인출부(70)의 구동에 의해 클램핑바(82)가 인출박스(57) 내부로 진입함에 따라 클램핑바(82)에 파지되어 이송되는 음료캔(C)은 최종적으로 인출박스(57)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블럭(83)이 작동되어 클램핑바(82)가 벌어지게 되면 음료캔(C)은 클램핑바(82)으로부터 클램핑 해제되어 인출박스(57)의 바닥면(개질기(25))에 놓여지게 된다. 상기 인출박스(57)의 바닥면(58)은 클램핑바(82)에 의해 파지된 음료캔(C)의 하단과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어 있어서, 음료캔(C)은 대략 인출박스(57)의 바닥면(58)에 근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클램핑바(82)가 벌어져 음료캔(C)을 놓더라도 음료캔(C)은 인출박스(57)의 바닥면(58)에 큰 충격없이 놓여질 수 있게 된다.
음료캔(C)이 인출박스(57)의 바닥면(58)에 놓여지면 인출부(70)는 대기상태로 복귀된다.
이에, 수요자는 출구(56)를 통해 원하는 음료캔(C)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음료캔(C) 이송과정에서, 상기 출구(56)와 인출박스(57)는 저장실(12)과 연통되므로 저장실(12) 내부의 냉기가 인출박스(57)와 출구(56)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상기 출구(56)에는 출구(56)를 개폐하는 출구도어(5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인출박스(57) 내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바(82)에 파지된 음료캔(C)이 진입하는 입구(55)에는 입구(55)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셔터(개질기(25))가 설치된다. 상기 차단셔터(59)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이 절단되고 양 선단이 입구(55)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차단셔터(59)는 입구(55)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복귀 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클램핑바(82)에 파지된 음료캔(C)이 입구(55)로 진입하게 되면 차??셔터(59)는 클램핑바(82)에 의해 밀려 가운데가 벌어지면서 개방되고, 클램핑바(82)가 후진되어 빠지게 되면 원위치로 탄성복귀되어 입구(55)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단셔터와 별도로 상기 입구(55) 상단에는 에어를 하방향으로 분출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에어팬(65)이 더 설치된다. 상기 에어팬(65)은 입구 상단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하바향을 형성된 슬릿 형태의 노즐을 통해 에어를 분사하게 된다. 이에, 상기 입구에 에어팬(65)으로부터 분출되는 에어에 의해 커튼 형태의 에어막이 형성되어 냉기가 입구(5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팬(65)은 차단셔터(59)가 개방될 때 작동되어 개방된 입구를 에어로 차단하게 된다. 이에, 저장실(12) 내의 냉기가 개방된 차단셔터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냉기를 보존할 수 있게 된다. 에어팬(65)의 구동은 인출부에 의한 음료캔 인출이 완료되어 차단셔터(59)가 닫힐 때까지 지속되며, 차단셔터가 닫히면 에어팬의 구동은 정지된다.
이와 같이, 음료캔(C)은 상기 저장실(12) 내에서 랙부에 수납되어 내부 음료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에서 미동결을 유지하는 과냉각 상태로 보존된다. 과냉각 상태인 음료캔(C)은 상기 인출부를 통해 자동판매기(100)로부터 충격없이 안정적으로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이후 소비자가 음료캔(C)에 외부 충격을 가하게 되면 음료캔(C) 내부의 액체 음료는 순간적으로 동결되어 슬러리 상태가 된다.
도 8은 본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본 장치는 냉기제어부(40)의 혼합부의 구조를 제외하고 다른 구성부는 위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하다. 이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공급덕트(31)의 하단이 저장실(12)과 냉각덕트(22)에 동시에 면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냉각덕트(22) 배출구에 공급블로워(50)가 설치되며, 상기 공급블로워(50)는 저장실(12)과 냉각덕트(22)에 동시에 면하도록 설치되어 냉각덕트(22)의 냉기와 저장실(12) 내부 공기를 같이 공급덕트(31)로 송풍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동시에 면한다 함은 공급블로워(50)에 구비된 흡입구가 냉각덕트(22)와 저장실(12) 모두와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블로워(50)의 토출구는 공급덕트(31)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공급블로워(50) 만으로 냉각덕트(22)의 냉기에 저장실(12) 내의 공기 일부를 혼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냉각덕트(22)를 지나 냉각된 냉기는 공급블로워(50)를 통해 공급덕트(31) 내부로 분출되고 저장실(12) 내부의 공기 중 일부는 역시 공급블로워(50)에 의해 공급덕트(31) 내부로 흡입된다. 따라서 증발기(21)를 거친 냉기와 저장실(12) 내부의 공기가 공급덕트(31) 내에서 혼합되고, 이 혼합냉기가 공급덕트(31)를 통해 저장실(12) 내부로 공급된다.
이하, 도 9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온도 제어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자동판매기 온도 제어과정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자동판매기(100)가 가동되면 저장실(12) 내부의 온도는 온도센서(41)에 의해 검출된다. 온도센서(41)에 의해 검출된 온도값은 컨트롤러(42)로 인가된다. 컨트롤러(42)는 검출된 실제 저장실(12)의 온도값을 먼저 저장부(46)에 설정되어 있는 설정온도값과 비교한다.
상기 저장부(46)에는 상기 음료캔(C)의 설정온도값을 포함하여 다양한 음료 제품의 과냉각 온도 제어를 위한 각 온도 범위가 설정온도값으로 기록되어 있다. 상기 설정온도값은 컨트롤러(42)에 연결된 조작부(49)를 통해 해당 음료 제품에 맞춰 필요시 변경된다. 상기 조작부(49)는 예를 들어, 음료 제품의 종류별로 구분된 버튼이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음료 제품에 대응하는 해당 버튼을 누르는 한번의 조작으로, 온도 범위를 해당 음료 제품에 맞춰 간단하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46)에 저장되는 온도범위는 냉기 공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1 온도범위와, 냉기의 온도 제어를 위한 제2 온도범위로 구분된다. 컨트롤러(42)는 제1 온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냉기 자체를 공급 또는 중지하게 된다. 상기 제2 온도범위 내에서는 냉기 공급에 따라 저장실(12) 내부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지지 않도록 상기 컨트롤러(42)가 저장실(12)로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제1 온도범위는 음료캔(C)을 과냉각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온도범위로 설정된다. 제1 온도범위는 상기와 같이 조작부를 조작하여 설정온도값을 해당 음료캔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를 통해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온도범위는 음료캔에 대한 과냉각 온도 범위인 -3 ~ -15℃로 설정된다. 상기 제2 온도범위는 제1 온도 범위 이내가 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온도범위는 제1 온도범위의 80%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온도범위가 -3℃ ~ -15℃ 사이면 제2 온도범위는 -4.2℃ ~ -13.8℃ 사이로 설정된다.
컨트롤러(42)는 내부에 구비된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검출된 온도값을 기 설정된 제1 온도범위와 비교하고, 검출된 온도가 제1 온도범위 상한값 이상인 경우에는 저장실(12)로 냉기를 공급한다. 컨트롤러(42)의 제어신호에 따라 흡입블로워(23)가 구동되면 저장실(12) 내부의 공기는 냉각덕트(22)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압축기(24)가 구동되면 증발기(21)를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져 냉기가 형성된다. 냉기는 냉각덕트(22) 출측에 설치된 공급블로워(32)의 구동에 따라 공급덕트(31)로 분출된다. 공급덕트(31)로 공급된 냉기는 공급덕트(31)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면서 공급덕트(31)에 형성된 구멍(33)을 통해 저장실(12) 내부로 분출되어 저장실(12)의 내부 온도를 음료캔(C)의 과냉각 온도 범위로 낮추게 된다. 이에 랙부(16)에 적재된 음료캔(C)은 저장실(12) 내에서 과냉각 상태가 된다.
상기 컨트롤러(42)는 저장실(12) 내부 온도를 계속 검출하며, 검출된 온도가 제2 온도범위의 상한값보다 낮은지 여부를 비교 연산하게 된다. 검출된 온도가 제2 온도범위의 상한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과정을 계속 반복하게 되며, 제2 온도범위의 상한값보다 낮아지면 냉기의 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냉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과정은 공급블로워(32)와 혼합블로워(43)의 구동에 따른 송풍량 제어 또는 히터(45)의 구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컨트롤러(42)가 히터(45)를 구동하게 되면 공급덕트(31)로 송풍된 냉기는 공급덕트(31) 내에 설치된 히터(45)를 지나면서 온도가 상승된다. 이에 저장실(12) 내부로는 히터(45)에 의해 온도가 높아진 냉기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히터(45) 제어를 통해 냉기의 온도를 높여서 저장실(12)로 공급함에 따라 저장실(12) 내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하강하지 않고 완만한 하강 상태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음료캔(C)에 대한 과냉각 온도를 보다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냉기 공급을 위한 압축기(24)의 구동과 정지의 시간 간격이 늘어나게 되어 압축기(24)의 잦은 온오프 구동으로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증발기의 성애 생성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컨트롤러(42)는 히터(45)의 구동 외에 혼합블로워(43)를 구동하여 냉기의 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혼합불로워가 구동되면 저장실(12) 내부의 공기 중 일부는 냉각덕트(22)를 거치지 않고 바로 혼합블로워(43)를 통해 공급덕트(31)로 흡입된다. 냉각덕트(22)를 거친 냉기가 공급덕트(31)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냉각되지 않아 냉기보다 온도가 높은 저장실(12) 내부의 공기가 공급덕트(31)로 공급됨에 따라 냉기와 공기가 공급덕트(31) 내에서 혼합된다. 이에 냉기는 온도가 높은 공기와 혼합되어 온도가 상승된다. 따라서 저장실(12) 내부로 냉기와 비교하여 온도가 상승된 혼합공기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혼합블로워(43) 구동을 통해 냉기의 온도를 높여서 저장실(12)로 공급함에 따라 온도의 급격한 변동 없이 음료캔(C)에 대한 과냉각 온도를 보다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42)는 상기 혼합블로워(43)의 송풍량와 공급블로워(32)의 송풍량을 제어함으로써, 혼합냉기의 온도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기의 온도를 보다 완만하게 변화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혼합블로워(43)의 송풍량을 공급블로워(32)의 송풍량보다 높게 하여 냉기에 혼합되는 공기의 양을 늘릴 수 있다. 이에 공급덕트(31)로 송풍되는 냉기보다 공기의 양이 많아져 혼합냉기의 온도를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냉기와 공기의 송풍량 조절을 통해 혼합냉기의 온도를 정밀 제어하여 저장실(12) 내부 온도 변화를 보다 완만하고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컨트롤러(42)는 상기와 같은 냉기의 온도 제어 과정을 거쳐 검출된 저장실(12) 내부의 온도가 제2 온도범위의 하한값을 벗어나는 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컨트롤러(42)는 검출된 온도가 제2 온도범위 하한값을 벗어나는 경우 냉기 온도 제어를 중지하게 된다. 냉기 온도 제어가 중지됨에 따라 저장실(12)로 저온의 냉기가 그대로 공급된다. 이에 저장실(12) 내부 온도는 급속히 하강되며 컨트롤러(42)는 검출된 온도가 제1 온도범위의 하한값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1 온도범위의 하한값을 벗어난 경우 냉기의 공급을 중지하게 된다.
컨트롤러(42)는 압축기(24) 및 각 블로워의 구동을 정지함으로써 저장실(12)에 대한 냉기의 공급은 차단된다.
냉기 공급이 중지되면서 저장실(12)의 내부 온도는 점차적으로 상승된다. 컨트롤러(42)는 온도센서(41)를 통해 저장실(12) 내부 온도를 지속적으로 검출한다. 컨트롤러(42)는 검출된 저장실(12) 내부 온도와 제1 온도범위를 비교 연산하여, 온도값이 제1 온도범위의 상한값 이상으로 상승되면 냉기의 공급을 재개한다.
상기와 같은 냉기의 온도 제어를 통해 저장실(12) 내부 온도를 음료캔(C)의 과냉각 온도 조건에 맞춰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25)

  1. 음료 제품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음료 제품을 수용하여 과냉각 상태로 저장하는 저장실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음료 제품이 적재되는 랙부, 상기 저장실 내부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 상기 냉각부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저장실 내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냉기공급부, 상기 냉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를 음료캔의 과냉각 온도 범위로 제어하기 위한 냉기제어부, 상기 랙부에 적재된 음료 제품을 과냉각 상태로 인출하여 본체의 출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인출부를 포함하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본체 하단에 설치되어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와, 내부에 상기 증발기가 설치되고 저장실 내부와 상기 냉기공급부를 연결하는 냉각덕트, 상기 냉각덕트 일측에 설치되어 저장실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블로워, 상기 증발기로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압축기와 응축기를 포함하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공급부는 상기 저장실의 내측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공급덕트와, 상기 냉각덕트와 연결되는 공급덕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냉기를 공급덕트로 송풍하기 위한 공급블로워, 상기 공급덕트의 전면에 형성되어 냉기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구멍을 포함하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제어부는 상기 저장실 내부 공기를 필요시 상기 냉기공급부로 공급하여 냉기와 혼합시키기 위한 혼합부와, 상기 공급덕트에 설치되어 저장실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의 검출값을 연산하여 저장실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 내가 되도록 상기 냉각부와 냉기공급부 및 혼합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제어부는 상기 공급덕트 내에 설치되어 냉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저장실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 내가 되도록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구조의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제어부는 상기 공급덕트 내부에 설치되며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트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제어부는 저장실의 내부 온도를 -3 ~ -15℃의 범위로 조절하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공급덕트의 하단과 상기 저장실 사이에 설치되어 저장실 내부 공기를 공급덕트로 송풍하기 위한 혼합블로워를 포함하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공급덕트의 하단이 저장실과 냉각덕트에 동시에 면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공급블로워는 흡입구가 저장실과 냉각덕트에 동시에 면하도록 설치되어 냉각덕트의 냉기와 저장실 내부 공기를 공급덕트로 송풍하는 구조의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본체의 전면창과 상기 선반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상하구동부, 상기 승강부재 상에 설치되어 선반에 적재된 음료 제품을 잡기 위한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 상기 승강부재를 따라 상기 클램핑부를 본체 좌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좌우구동부를 포함하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길게 연장되어 음료 제품을 파지하는 한쌍의 클램핑바와, 상기 클램핑바가 양 측면에 설치되어 클램핑바를 구동하는 구동블럭,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고 상단에 상기 구동블럭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재, 베이스부재에 대해 구동블럭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구동부는 본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바, 상기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스프로켓휠, 상기 스프로켓휠에 체결되고 선단은 상기 승강부재에 연결되는 체인, 상기 스프로켓휠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구동부는 상기 승강부재의 양 측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과, 상기 롤에 걸쳐져 회전되고 상기 회전부가 설치되는 이송밸트, 상기 롤을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모터를 포함하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출구 내부에 형성되어 음료 제품이 놓여지는 수평 바닥면을 구비한 인출박스, 상기 출구를 개폐하는 출구도어, 상기 인출박스 내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바에 파지된 음료 제품이 진입하는 입구, 상기 입구에 설치되어 입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셔터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차단셔터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로 에어를 분사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에어팬을 더 포함하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랙부는 저장실에 수직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선반과, 상기 선반에 설치되고 음료 제품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포함하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선반 바닥면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고 음료 제품이 놓이는 컨베이어밸트와, 상기 컨베이어밸트의 구동롤에 연결되어 컨베이어밸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선반에 측방향을 따라 음료 제품을 격리하는 격벽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격벽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선단에는 음료 제품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센서가 더 설치되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20.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의 저장실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온도값을 기 설정된 제1 온도범위 상한값과 비교하는 단계, 검출된 온도값이 제1 온도범위 상한값 이상인 경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단계, 검출된 온도값이 제1 온도범위 상한값보다 낮은 경우 제2 온도범위와 비교하는 단계, 검출된 온도값이 제2 온도범위 상한값보다 낮은 경우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단계, 저장실 내부 온도를 검출하여 검출된 온도값이 제2 온도범위 하한값 이하로 낮아진 경우 냉기 온도 제어를 종료하는 단계, 검출된 온도값을 제1 온도범위 하한값과 비교하는 단계, 검출된 온도값이 제1 온도범위 하한값 이하인 경우 냉기 공급을 중지하는 단계, 저장실 내부 온도를 검출하여 검출된 온도가 제1 온도범위 상한값보다 낮은 경우 냉기 공급을 계속 중지하고, 제1 온도범위 상한값 이상인 경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저장실에 저장된 음료 제품을 과냉각 상태로 저장하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제어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범위는 상기 제1 온도범위 이내인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제어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저장실 내부 공기를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에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제어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공급량과 냉기에 혼합되는 저장실 내부 공기 공급량의 비율을 제어하여 이루어지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제어방법.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냉기가 공급되는 공급덕트 상에 설치된 히터를 제어하여 이루어지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제어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의 저장실 내에 저장되는 음료 제품의 종류에 맞춰 제1 온도 범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온도 범위 조절 단계는 음료 제품의 종류별로 구분된 버튼 조작을 통해 한번에 이루어지는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제어방법.
KR1020157004226A 2012-08-24 2012-08-24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및 자동판매기 온도 제어방법 KR201500633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6770 WO2014030790A1 (ko) 2012-08-24 2012-08-24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및 자동판매기 온도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361A true KR20150063361A (ko) 2015-06-09

Family

ID=5015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226A KR20150063361A (ko) 2012-08-24 2012-08-24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및 자동판매기 온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206373A1 (ko)
KR (1) KR20150063361A (ko)
WO (1) WO201403079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9980A1 (en) * 2015-06-22 2016-12-29 The Coca-Cola Company Merchandiser with flexible temperature controlled columns
KR102119638B1 (ko) 2018-11-29 2020-06-08 주식회사 이에스피 자율주행차량의 정보활용을 위한 데이터 취득 시스템, 데이터 취득 서버 및 방법
KR20200072581A (ko) 2018-11-29 2020-06-23 (재)울산테크노파크 자율주행차량의 운전자 응급상황발생판단에 기반한 주행예측 및 안전주행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9404B2 (en) * 2003-03-03 2022-03-08 Arjuna Indraeswaran Rajasingham Occupant support
AU2011383713B2 (en) * 2011-12-20 2016-12-15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Intelligent rack enclosure
ES2581252B1 (es) * 2015-03-02 2017-05-25 Jofemar, S.A. Máquina expendedora automática
CA2997418C (en) * 2015-12-04 2021-06-22 Signifi Solutions Inc. Automated vending machine with tray transport system
ITUA20162941A1 (it) * 2016-04-28 2016-07-28 Sandenvendo Europe S P A Distributore automatico di articoli di prodotto e di merce.
CN110191846A (zh) * 2016-11-30 2019-08-30 可口可乐公司 对冷藏食品产品的按需加工
IT201600130490A1 (it) * 2016-12-23 2018-06-23 Pietro Nota Supermercato automatizzato comprendente distributori automatici di prodotti alimentari
CN110419064B (zh) * 2017-01-12 2022-10-04 克兰佩门特创新股份有限公司 增强型自动售货机产品传送系统
JP6866649B2 (ja) * 2017-01-23 2021-04-28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CN107945381A (zh) * 2017-12-18 2018-04-20 潘国权 一种冷热同柜的智能存取货机及存取货方法
US20200043272A1 (en) * 2018-08-02 2020-02-06 Swyft Inc. Belt conveyor bucket
CN109243052A (zh) * 2018-08-16 2019-01-18 湖南金码智能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售货机、用于售货机的智能制冷系统及方法
MX2021004050A (es) 2018-10-08 2021-06-04 Pepsico Inc Dispensador de bebidas granizadas y metodos de dispensacion de bebidas granizadas.
CN109191686B (zh) * 2018-11-06 2023-08-18 衢州龙瀚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人工销售卷烟的智能柜及售烟方法
EP3945960A4 (en) 2019-03-25 2022-12-14 Pepsico Inc BEVERAGE CONTAINER DISPENSER AND BEVERAGE CONTAINER DISPENSING METHOD
WO2021101363A2 (es) * 2019-11-21 2021-05-27 Baptista Barocio Rodrigo Máquina dispensadora de alimentos calientes
US11910815B2 (en) 2019-12-02 2024-02-27 Pepsico, Inc. Device and method for nucleation of a supercooled beverage
US11694501B2 (en) * 2020-02-17 2023-07-04 True Manufacturing Co., Inc. Refrigerated vending system and method
US11787578B2 (en) * 2020-09-25 2023-10-17 Express Scripts Strategic Development, Inc. Cleaner assembly for an automated dispensing device
CN113243709A (zh) * 2021-06-03 2021-08-13 深圳市小辉冷链科技有限公司 一种敞开式冷藏柜
CN117037363B (zh) * 2023-10-09 2023-12-26 珠海微米物联科技有限公司 基于自动保鲜的乳制品售货机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6038A (en) * 1972-04-07 1973-09-04 Emhart Corp Refrigerated display equipment
US4485937A (en) * 1982-04-22 1984-12-04 Adams Morgan A Can dispensing apparatus
US5347827A (en) * 1992-07-01 1994-09-20 The Coca-Cola Company Modular refrigeration apparatus
US5415319A (en) * 1994-03-07 1995-05-16 Risolia; Joe Vending machine
JP3414904B2 (ja) * 1995-10-20 2003-06-09 松下冷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送装置
KR200155812Y1 (ko) * 1996-05-17 1999-09-01 최진호 자동판매기의 냉각장치
KR100358901B1 (ko) * 1998-03-19 2002-11-01 라이트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냉각장치 및 그 냉각방법
US20050000974A1 (en) * 2000-05-23 2005-01-06 Munror Chirnomas Method and apparatus for vending goods
EP1162582A3 (en) * 2000-06-05 2003-03-12 Sanden Corporation Automatic vending machine
AU2002367720B2 (en) * 2001-11-23 2009-06-25 Munroe Chirnomas Machine and methods for vending articles
JP2004318829A (ja) * 2003-03-28 2004-11-11 Sanden Corp 自動販売機
US20100145507A1 (en) * 2008-12-04 2010-06-10 Donald Blust Automated business system and method of vending and returning a consumer product
US7837059B2 (en) * 2004-02-27 2010-11-23 Sanden Vendo America, Inc. Product acquisition devices and methods for vending machines
CN1976670B (zh) * 2004-05-19 2011-10-26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品分配装置
US8631969B2 (en) * 2004-06-15 2014-01-21 Teknovation, Ltd. Article storage and retrieval apparatus, and vending machine
JP2006178518A (ja) * 2004-12-20 2006-07-06 Sanden Corp 飲料自動販売機
BRPI0520127A2 (pt) * 2005-03-18 2009-08-18 Carrier Corp braçadeira, e, conjunto
AU2005329418A1 (en) * 2005-03-18 2006-09-28 Carrier Corporation Bottom deck assembly for refrigerated merchandiser
WO2006101517A1 (en) * 2005-03-18 2006-09-28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ted merchandiser
AU2006241811A1 (en) * 2005-04-27 2006-11-09 Fukushima Kogyo Co., Ltd. Refrigerator
SE0501655L (sv) * 2005-07-12 2007-01-13 Instant Dvd Sweden Ab Automat för uthyrning eller försäljning av artiklar såsom DVD i fodral och liknande
US8033423B2 (en) * 2005-08-03 2011-10-11 Scriptpro Llc Fork based transport storage system for pharmaceutical unit of use dispenser
US7802700B2 (en) * 2005-10-14 2010-09-28 Crane Merchandising Systems, Inc. Product discharge and delivery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CA2630963C (en) * 2005-11-28 2013-06-25 Carrier Commercial Refrigeration, Inc. Refrigerated case
EP2383708B1 (en) * 2007-05-16 2014-07-30 Sanden Corporation Commodity carrying out device
EP2012281B1 (en) * 2007-05-21 2014-11-19 Sanden Corporation Commodity carrying out device
WO2009049094A1 (en) * 2007-10-09 2009-04-16 Fawn Engineering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ingle or multiple temperature zone(s) in refrigerated vending machine
US20090101614A1 (en) * 2007-10-22 2009-04-23 The Coca-Cola Company Unpowered End Effector for Dispensing Apparatus
US9569912B2 (en) * 2008-06-26 2017-02-14 Shopatm Bv (Sarl) Article storage and retrieval apparatus and vending machine
US20130043271A1 (en) * 2011-08-19 2013-02-21 Audra South Interactive Video Vending Machi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9980A1 (en) * 2015-06-22 2016-12-29 The Coca-Cola Company Merchandiser with flexible temperature controlled columns
US10537188B2 (en) 2015-06-22 2020-01-21 The Coca-Cola Company Merchandiser with flexible temperature controlled columns
KR102119638B1 (ko) 2018-11-29 2020-06-08 주식회사 이에스피 자율주행차량의 정보활용을 위한 데이터 취득 시스템, 데이터 취득 서버 및 방법
KR20200072581A (ko) 2018-11-29 2020-06-23 (재)울산테크노파크 자율주행차량의 운전자 응급상황발생판단에 기반한 주행예측 및 안전주행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0790A1 (ko) 2014-02-27
US20150206373A1 (en) 2015-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3361A (ko)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및 자동판매기 온도 제어방법
US62309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nding products
US651367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nding products
KR100653237B1 (ko) 자판식 즉석피자 자동제조 장치
US20160292953A1 (en) Packaged ice vending machine
CN106413483B (zh) 具有产品分配滑槽机构的售货机
JP4835619B2 (ja) 自動販売機
KR20210072083A (ko) 물품 판매기의 반출 기구
KR20010095130A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JP5504760B2 (ja) 自動販売機
JP2010262367A (ja) 自動販売機
JP2002279510A (ja) 自動販売機
US20010030198A1 (en) Product carry-out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
CN219120871U (zh) 制冷设备
JP2002245531A (ja) 自動販売機
JPH1173557A (ja) 自動販売機
JP4737034B2 (ja) 自動販売機
JP2011039640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5245585B2 (ja) 自動販売機
JP5375332B2 (ja) 自動販売機
KR200245416Y1 (ko) 냉동/냉장식품 자동판매기
KR101484270B1 (ko)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장치
JP2006004358A (ja) 温度調整装置、自動販売機および商品収納装置
KR100389994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JP2010020396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