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270B1 -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4270B1 KR101484270B1 KR1020130112427A KR20130112427A KR101484270B1 KR 101484270 B1 KR101484270 B1 KR 101484270B1 KR 1020130112427 A KR1020130112427 A KR 1020130112427A KR 20130112427 A KR20130112427 A KR 20130112427A KR 101484270 B1 KR101484270 B1 KR 1014842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verage container
- beverage
- container
- buffer
- vending mach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08—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 A47F1/085—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for nested articles, e.g. cups, con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판매기에서 배출되는 음료 용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장치에 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의 용기 수납 래크로부터 낙하되는 음료 용기를 배출하는 음료 용기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 수납 래크 하방에 구비되며, 탄성 지지부에 의해 일측이 지지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부로부터 상기 음료 용기를 전달받아 배출하는 음료 용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자동판매기의 용기 수납 래크로부터 낙하되는 음료 용기를 배출하는 음료 용기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 수납 래크 하방에 구비되며, 탄성 지지부에 의해 일측이 지지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부로부터 상기 음료 용기를 전달받아 배출하는 음료 용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장치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자동 판매기에서 배출되는 음료 용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장치에 대한 것이다.
음료 용기를 자동으로 판매하는 자동판매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내부에 음료 용기를 수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음료 용기를 자동으로 배출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액체는 빙점 이하로 온도가 내려가면 고체로 상변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빙점 이하의 온도에서도 액체가 고체로 상변화하지 않고 과냉각 상태로 존재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액체가 빙점 이하에서 얼지 않고 과냉각 상태로 있는 것을 열역학적으로는 준 안정(metastable) 상태라고 한다. 준 안정 상태에 있는 과냉각액은 주변에서 외란이 가해질 경우 순간적으로 고상으로 상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액상 음료의 경우, 과냉각 상태로 유지하다가 뚜껑을 열거나 외부 충격을 가하면 액상 음료의 일부가 얼음으로 변하여 소위 슬러시(Slush)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75677호는 액상 음료를 과냉각액으로 냉각시켜 보관하기 위한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한 과냉각액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공개특허는 냉동실과 냉장실로부터 냉기를 흡입하여 혼합실에서 혼합한 후 혼합된 냉기를 과냉각실로 공급하여 액상 음료를 과냉각시키는 냉장고 및 과냉각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병이나 캔에 수용된 액상 음료는 일명 '벤딩 머신(vending machine)'이라고도 불리는 자동판매기를 통해 판매되기도 한다.
종래 자동판매기의 일례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39037호의 도 1 내지 도 4 및 이를 참조한 설명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자동판매기의 일 형태는 컬럼 형태의 수납 카트리지에 판매될 음료 용기를 적층시킨 상태로 보관한다. 냉장 효율을 위해 종래 자동판매기에 있어서는 곧 판매될 음료 용기를 중심으로 냉각이 이루어진다. 즉, 자동판매기에 보관된 음료 용기 전체에 대하여 냉각을 수행하기 보다는 배출구에 가까운 음료 용기를 중심으로 냉각을 수행한다.
그런데 슬러시 형태의 음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음료 용기에 보관된 액상 음료가 충분히 과냉각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냉각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배출되는 음료 용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는 탄산 음료의 경우 과냉각 상태에서 갑작스런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뚜껑 개방시 음료가 분출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출되는 음료 용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 용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한편, 내부에 보관된 음료 용기의 음료를 과냉각 상태로 효과적으로 유지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과냉각된 음료 용기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 장치를 구비하고 과냉각 음료를 제공하는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의 용기 수납 래크로부터 낙하되는 음료 용기를 배출하는 음료 용기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 수납 래크 하방에 구비되며, 탄성 지지부에 의해 일측이 지지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부로부터 상기 음료 용기를 전달받아 배출하는 음료 용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측 단부는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탄성 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완충부의 자유단의 양측을 지지하는 제 1 탄성 지지부와 제 2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음료 용기의 배출시 상기 음료 용기를 중앙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편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 장치는 자동 배출되는 음료 용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음료 용기 개방시 내부에 수용된 음료 용기가 분출하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음료 제공을 위한 자동판매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음료 제공을 위한 자동판매기의 후방 내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음료 제공을 위한 자동판매기의 냉기 흐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음료 제공을 위한 자동판매기의 후방 내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음료 제공을 위한 자동판매기의 냉기 흐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음료 제공을 위한 자동판매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음료 제공을 위한 자동판매기의 후방 내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10)는, 케이스(12), 케이스(12)의 전면 개방부의 외측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면 도어(14), 상기 전면 도어(14)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부 도어(15)를 포함한다. 내부 도어(15)에 의해 밀폐되는 케이스(12)의 내부는 냉각 공간(S)을 형성한다. 냉각 공간(S) 내부에는 음료 용기를 수납하는 용기 수납 래크(16)가 구비된다. 용기 수납 래크(16)는 통상적으로 음료 용기를 세로 방향으로 수납하는 복수의 컬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 수납 래크(16)의 하부에는 용기를 배출하는 음료 용기 배출부(28)가 구비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10)는, 통상적인 자동판매기가 구비하는 화폐 투입구, 음료 선택 버튼 등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특정 음료가 선택되면, 해당 특정 음료 용기가 수납된 용기 수납 래크(16)의 컬럼에서 상기 특정 음료 용기를 배출한다. 배출된 특정 음료 용기는 상기 음료 용기 배출부(28)에 낙하한 후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10)는 냉각 공간(S)의 냉각을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냉각 공간(S) 내의 위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15)가 위치하는 부분을 전면부, 상기 내부 도어(15)의 반대편을 후면부라 한다.
케이스(12)의 일측,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냉각 공간(S)의 하부에 위치하는 별도의 공간에는 응축기(18)와 응축기용 팬(20) 및 압축기(22)가 구비되고, 냉각 공간(S) 내의 하부 일측에는 증발기(24)가 구비된다. 상기 응축기(18)와, 압축기(22) 및 증발기(24)는 냉동 사이클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10)는 복수의 온도 센서와 온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냉각 공간(S)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음료 용기에 수용된 음료의 과냉각 온도는 음료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 제어부는 온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냉각 공간(S)의 온도에 따라 냉각 공간(S)의 냉각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 제어부는 압축기(22)의 작동 여부 및 출력 정도, 증발기용 팬(26)의 운전 조건, 및 후술되는 래크 하방 팬(34)이나 상부 순환 팬(36)의 운전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냉각 공간(S)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증발기(24)의 전면에는 증발기용 팬(26)이 구비되어, 냉각 공간(S)의 하부 공기가 증발기(24)를 통과하며 냉각되도록 한다.
냉각 공간(S)의 후면부에는 상기 냉각 공간(S)과 케이스(12)의 내벽면 사이를 적어도 일부 차폐하는 덕트 패널(30, 32)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덕트 패널(30, 32)은 하부 덕트 패널(30)과 상부 덕트 패널(32)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하부 덕트 패널(30)과 상부 덕트 패널(32)은 위치상의 구분일 뿐이며, 하부 덕트 패널(30)과 상부 덕트 패널(32)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증발기(24)를 통과하며 냉각된 공기의 대부분은 냉각 공간(S)의 후면부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하부 덕트(30)와 케이스(12)의 내측 벽면 사이의 공간으로 전달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부 덕트 패널(30)의 하부에는 복수의 슬릿을 구비한 하단 냉기 공급부(40)가 구비되고, 하부 덕트 패널(30)의 상부에는 복수의 슬릿을 구비한 1차 냉기 공급부(42)가 구비된다.
상부 덕트 패널(32)에는 큰 개구를 형성하는 2차 냉기 공급부(44)가 구비되고, 2차 냉기 공급부(44)의 상부에는 상단 냉기 공급부(45)가 슬릿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위치적으로 증발기(24)의 상부에 구비되고, 하단 냉기 공급부(40)를 통해 냉기를 전달받아 용기 수납 래크(16)의 하방으로 상기 냉기를 공급하는 래크 하방 팬(34)이 구비된다. 래크 하방 팬(34)은 냉기가 냉각 공간(S)의 후면부 하단에서 용기 수납 래크(15)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상향 공급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덕트 패널(32)의 상단에는 냉기를 용기 수납 래크(15)의 상방, 즉 냉각 공간(S)의 상부로 냉기를 공급하는 상부 순환 팬(36)이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순환 팬(36)은 그 설치 각도가 수직면에서 약간 상향되도록 하여, 냉기가 냉각 공간(S)의 상부면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음료 용기 배출부(28)의 상부에는 탄성 지지되는 완충부(38)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음료 용기 배출부(28) 및 완충부(38)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 배출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음료 용기 배출부(28)는 양 측면에 날개 형태로 꺽인 구조의 패널로 구성된다. 음료 용기 배출부(28)는 냉각 공간(S)의 하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냉각 공간(S)의 후면부에서 전면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음료 용기 배출부(28)에는 복수의 제 1 타공(29)이 형성된다. 도 1을 참고하면, 래크 하방 팬(34)은 음료 용기 배출부(28)의 후면부에 구비된다.
음료 용기 배출부(28)의 상부에는 완충부(38)가 이격 구비된다. 완충부(38)에는 복수의 제 2 타공(39)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완충부(38)의 일측 단부는 하부 덕트 패널(30)에 고정되고, 완충부(38)의 전방 양 측단은 탄성 지지부(5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탄성 지지부(52)는 일측단의 제 1 탄성 지지부(52a)와 타측단의 제 2 탄성 지지부(5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부(52)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구비되거나, 탄성력을 갖는 로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38)의 상부면에는 배출되는 음료 용기를 전면 중앙으로 가이드하는 배출 가이드편(50a, 50b)이 구비된다. 배출 가이드편(50a, 50b)은 절곡된 패널을 완충부(38)의 상부면에 결합시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가이드편(50a, 50b)의 설치 방향은 서로 평행하지 않고 음료 용기가 배출되는 전방 방향으로 가며 그 간격이 좁아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 용기는 상기 배출 가이드편(50a, 50b)에 의해 중앙으로 가이드되어 배출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용기 수납 래크(15)로부터 음료 용기(C)가 완충부(38)의 상부로 배출된다. 완충부(38)의 일측은 고정된 상태이고, 완충부(38)의 전단 양측은 탄성 지지부(52)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므로, 음료 용기(C)가 완충부(38) 상부로 배출되는 경우 음료 용기(C)의 무게에 의해 완충부(38)의 전면부는 하강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완충부(38)의 전면부가 하강함에 따라 음료 용기(C)는 전면을 향해 굴러가고, 음료 용기 배출부(38)로 낙하한 후 배출된다.
용료 용기(C)가 완충부(38)에서 이탈하면, 완충부(38)는 탄성 지지부(52)의 탄성력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한다.
이러한 완충부(38)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의 음료 용기 배출 장치는 본 발명과 같은 과냉각 음료 제공을 위한 자동판매기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자동판매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특히, 탄산 음료와 같이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개봉시 음료가 분출하는 경우에, 완충부(38)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 배출 장치는 음료 용기의 배출시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음료 제공을 위한 자동판매기의 냉기 흐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에서는 냉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하여 냉기에 대해 도면 부호를 부기하였다. 또한, 냉기의 순환은 증발기용 팬(26)에 의해 증발기(24)를 통과하여 냉각 공간(S)의 공기가 냉각되는 것부터 설명한다.
증발기(24)를 통과한 냉기(100)는 덕트 패널(30, 32)과 케이스(12)의 내벽면 사이의 공간에서 상부로 이동한다. 이를 위해 증발기용 팬(26)은 증발기(24)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향하되 약간 상향되게 위치할 수 있다.
냉기(100)의 일부는 하부 덕트 패널(30)의 하부에 형성된 하단 냉기 공급부(40)를 통해 래크 하방 팬(34)으로 전달되는 냉기(110)가 되고, 나머지 냉기(100)는 덕트 패널(30, 32)과 케이스(12)의 내벽면 사이의 공간에서 상부로 계속 이동한다.
냉기(100)의 일부는 1차 냉기 공급부(42) 구비된 복수의 슬릿을 통해 연속적으로 냉각 공간(S)으로 전달되는 냉기(102)가 된다. 나머지 냉기(100)는 계속 상승하면서, 넓은 개구 형태, 즉 상기 1차 냉기 공급부(42)의 복수의 슬릿이 형성하는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2차 냉기 공급부(44)를 통과하여 용기 수납 래크(16)의 중앙 상부로 공급되는 냉기(104)가 된다.
냉기(104)로 분기된 후 남은 나머지 냉기(100)는 상부 순환 팬(36)을 통해 용기 수납 래크(16)의 상부, 즉 냉각 공간(S)의 상면부로 공급되는 냉기(120)가 된다.
여기에서, 냉기(110)는 용기 수납 래크(16)의 하부에 위치한 음료 용기의 냉각을 위한 것이고, 냉기(102)는 용기 수납 래크(16)의 하중앙부, 냉기(104)는 용기 수납 래크의 상중앙부, 냉기(120)는 용기 수납 래크(16)의 상부에 위치한 음료 용기의 냉각을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통상적인 자동판매기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10)는 음료 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과냉각시키기 위한 것이고, 이를 위해 자동 판매기(10)의 용기 수납 래크(16)에 탑재된 음료 용기 전체에 대해 고른 냉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냉기 공급은 음료 용기의 균일한 냉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부 순환 팬(36)에 의해 용기 수납 래크(16)의 상단으로 공급된 냉기(120)는 냉각 공간(S)의 전면부를 통해 하강하면서 냉기(120)의 일부는 용기 수납 래크(16)의 전면측으로 전달되는 냉기(122)가 된다.
용기 수납 래크(16)의 하부까지 하강된 냉기(130)의 일부는 음료 용기 배출부(28) 또는 완충부(38)의 상부면으로 전달되는 냉기(132)가 된다. 냉기(132)는 냉기(100)이나 냉기(110)에 비해 온도가 높을 수 있다. 상기 냉기(132)는 래크 하방 팬(34)에 의해 용기 수납 래크(16)의 하방으로 전달되는 냉기(110)의 흐름에 합류하여 용기 수납 래크(16)의 하방으로 전달된다. 이는 래크 하방 팬(34)에 의해 유도되는 냉기(110)의 기류에 의해 상기 냉기(132)가 합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용기 수납 래크(16) 하방에 위치한 음료 용기의 과도한 냉각을 방지하는 부수적인 효과가 있다.
냉기(132)를 제외한 나머지 냉기(130)는 증발기용 팬(26)에 의해 증발기(24)로 전달되어 냉각된 후 냉기(100)로서 다시 순환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냉각 공간(S)의 균일한 냉각을 위하여 냉기의 적절한 분배와 순환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용기 수납 래크(16)에 수납된 음료 용기의 균일한 과냉각 상태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자동판매기 12 : 케이스
14 : 전면 도어 15 : 내부 도어
16 : 용기 수납 래크 18 : 응축기
20 : 응축기용 팬 22 : 압축기
24 : 증발기 26 : 증발기용 팬
28 : 음료 용기 배출부 30 : 하부 덕트 패널
32 : 상부 덕트 패널 34 : 래크 하방 팬
36 : 상부 순환 팬 38 : 완충부
40 : 하단 냉기 공급부 42 : 1차 냉기 공급부
44 : 2차 냉기 공급부 45 : 상단 냉기 공급부
50 : 배출 가이드편 52 : 탄성 지지부
S : 냉각 공간 C : 음료 용기
14 : 전면 도어 15 : 내부 도어
16 : 용기 수납 래크 18 : 응축기
20 : 응축기용 팬 22 : 압축기
24 : 증발기 26 : 증발기용 팬
28 : 음료 용기 배출부 30 : 하부 덕트 패널
32 : 상부 덕트 패널 34 : 래크 하방 팬
36 : 상부 순환 팬 38 : 완충부
40 : 하단 냉기 공급부 42 : 1차 냉기 공급부
44 : 2차 냉기 공급부 45 : 상단 냉기 공급부
50 : 배출 가이드편 52 : 탄성 지지부
S : 냉각 공간 C : 음료 용기
Claims (4)
- 자동판매기의 용기 수납 래크로부터 낙하되는 음료 용기를 배출하는 음료 용기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 수납 래크 하방에 구비되며, 탄성 지지부에 의해 일측이 지지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부로부터 상기 음료 용기를 전달받아 배출하는 음료 용기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완충부의 일측 단부는 고정되고,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완충부의 전면부의 양측을 지지하는 제 1 탄성 지지부와 제 2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음료 용기의 배출시 상기 음료 용기를 중앙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편이 구비되며,
상기 완충부는 상기 탄성 지지부에 의해 상기 전면부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음료 용기의 배출시 상기 음료 용기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전면부가 하강하면서 상기 음료 용기가 상기 음료 용기 배출부로 굴러가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코일 스프링 또는 탄성력을 갖는 로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용기 배출부에는 복수의 제 1 타공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에는 복수의 제 2 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배출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음료 용기가 배출되는 전방 방향으로 가며 그 간격이 좁아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배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2427A KR101484270B1 (ko) | 2013-09-23 | 2013-09-23 |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2427A KR101484270B1 (ko) | 2013-09-23 | 2013-09-23 |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4270B1 true KR101484270B1 (ko) | 2015-01-19 |
Family
ID=5259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2427A KR101484270B1 (ko) | 2013-09-23 | 2013-09-23 |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4270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22882U (ko) * | 1978-08-02 | 1980-02-14 | ||
KR0118167Y1 (ko) * | 1991-04-25 | 1998-06-01 | 나까오 다께시 | 자동판매기 |
JP2005004731A (ja) * | 2003-05-19 | 2005-01-0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
-
2013
- 2013-09-23 KR KR1020130112427A patent/KR1014842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22882U (ko) * | 1978-08-02 | 1980-02-14 | ||
KR0118167Y1 (ko) * | 1991-04-25 | 1998-06-01 | 나까오 다께시 | 자동판매기 |
JP2005004731A (ja) * | 2003-05-19 | 2005-01-0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1290B1 (ko) | 냉장고 | |
US20180057337A1 (en) | Mixed Drink Producing Apparatus With A Manipulation Device For Manipulating An Orientation Of A Jet Of A Liquid Of The Mixed Drink, Household Refrigeration Apparatus As Well As Method For Producing And Dispensing A Mixed Drink | |
KR101050303B1 (ko) | 냉장고 | |
KR20150063361A (ko) |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및 자동판매기 온도 제어방법 | |
EP3168552B1 (en) | Refrigerator | |
US12059082B2 (en) | Cooler for beverage containers | |
JP5586534B2 (ja) | 冷凍冷蔵庫 | |
KR101502472B1 (ko) | 과냉각 음료 제공을 위한 자동판매기 | |
KR20190109103A (ko) | 음료 냉각 장치 | |
US7024882B2 (en) | Cooler with ordered refilling | |
KR101484270B1 (ko) |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장치 | |
US20180057338A1 (en) | Drink Producing Apparatus With A Decompression Chamber Chargeable With Ambient Air, Household Refrigeration Apparatus As Well As Method For Producing A Drink | |
GB2227824A (en) | Apparatus for dispensing drinks | |
KR100322166B1 (ko) | 자동판매기 | |
KR20200004213A (ko) | 냉장고 및 냉장고용 선반 | |
JP7220999B2 (ja) | 自動販売機及びその制御方法 | |
EP4235069A1 (en) |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100066598A (ko) |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
JP3718918B2 (ja) | 自動販売機 | |
WO2019171534A1 (ja) | 冷蔵庫 | |
JP2023073707A (ja) | 自動販売機 | |
KR200225968Y1 (ko) | 캔음료 자동판매기용 랙크의 캔음료투입부 | |
JP2010020396A (ja) | 自動販売機 | |
JP5245585B2 (ja) | 自動販売機 | |
KR101974211B1 (ko) | 냉각 장치의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