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166B1 -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166B1
KR100322166B1 KR1019940027337A KR19940027337A KR100322166B1 KR 100322166 B1 KR100322166 B1 KR 100322166B1 KR 1019940027337 A KR1019940027337 A KR 1019940027337A KR 19940027337 A KR19940027337 A KR 19940027337A KR 100322166 B1 KR100322166 B1 KR 100322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torage box
goods
bending rack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7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297A (ko
Inventor
타무라요시타다
Original Assignee
후지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12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1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of zig-zag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02Chutes of straight form
    • B65G11/023Chutes of straight form for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잘 팔리는 인기상품의 수납갯수를 대폭적으로 늘려서 상품보급 사이클을 연장시키고 판매가동률을 향상시키며 에너지절약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한 서펜타인(serpentine)식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판매기는 저장캐비닛(1)내에 복수의 상품통로(4a 내지 4d)가 전후로 늘어서 있는 다중형의 서펜타인식 벤딩랙(4), 냉각기(6), 히터(7), 저장고내의 팬(8)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저장고내의 상부측에는 단열 간막이벽(11)에 의해 구획된 보관상자 수납공간(12)이 제공되어 있고, 간막이벽에는 인기상품에 할당된 상품통로(4d)와 연통하는 상품출구(13)가 설치되어 있다. 다수의 상품(10)을 일괄수용한 상품보관상자(15)는 상기 공간내에 고정되어 상온상태로 저장된다. 그리고, 상품판매가 진행됨에 따라, 보관상자(15)로부터 새로운 상품이 벤딩랙의 상품통로(4d)에 보급된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
본 발명은 캔이나 병상품을 차갑게 또는 뜨겁게 하여 판매하는 서펜타인식(serpentine type)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이나 병상품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로는 서펜타인식 자동판매기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서펜타인식 자동판매기는 단열체로 이루어진 캐비닛 내에 다수의 상품 채널이 전후로 배열되어 있는 다중형 서펜타인식 벤딩랙(vending raek)(S자 형상의 상품 채널 하단에 벤딩 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판매할 때마다 상하 일렬로 나란히 수납된 상품이 맨 아래에 있는 것부터 한 개씩 낙하반출된다)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품 채널에는 다른 종류의 상품이 수납되어 판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벤딩 랙에는 각각의 상품 채널의 상단과 연통하여 캐비닛 앞면으로 개방되어 있는 상품투입구와의 사이에 상부 트레이(top tray)라 불려지는 경사 레일판이 설치되어 있다. 벤딩 랙으로의 상품보급은 상품투입구로부터 1개씩 투입한 상품을 상부 트레이 상으로 이동시켜서 상품 채널 내로 떨어뜨림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캐비닛 내의 바닥부에는 냉동기의 증발기, 전열히터, 및 팬이 설치되어, 뜨거운 음료 및 찬음료의 판매 모드에 따라서 캐비닛 내부를 가열 또는 냉각시킨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서펜타인식 자동판매기는 상품수납개수 및 상품보급작업의 효율을 고려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벤딩 랙의 각 상품 채널에 대한 상품의 수납개수는 상품 채널과 이에 연결되는 상부 트레이를 합한 길이에 대응하여 결정된다. 한편, 종류가 다른 상품을 함께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서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서 판매개수가 크게 차이가 나서, 인기상품(자동판매기의 판매실적에 따르면, 선택 가능한 상품의 가짓수가 20개 정도인 자동판매기에서도 특히 잘 팔리는 상품은 여러 종류가 있으며, 이들 인기 상품들이 총 판매개수의 50% 이상을 차지한다)은 다른 상품에 비해 조기에 품절된다. 이 때문에, 인기상품에 대해서는 짧은 주기(상품보급주기)로 빈번하게 상품을보층해야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자동판매기의 상품보급관리를 번거롭게 한다.
게다가, 최근에는 자동판매기에 의한 도로점거가 문제시되어, 캐비닛의 박형화(서펜타인식 벤딩 랙에서는 S자형 상품 채널을 작게 하거나, 전후로 배열되는 칼럼의 상호 간격을 좁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캐비닛의 전후깊이를 가능한 작게 하는 것)가 모색되고 있으며, 이에 수반하여 벤딩 랙에 수납할 수 있는 상품의 개수가 제한됨으로써 상품보급주기가 점점 짧아지게 되었다. 한편, 상품의 품절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자동판매기의 가동률도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특히 인기 상품의 수납개수를 대폭적으로 증가시켜 상품보급주기를 연장시키고 판매가동률을 높임과 동시에, 또한 캐비닛 내의 냉각 또는 가열에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서펜타인식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일체로 이루어진 캐비닛내에 다수의 상품 채널이 전후로 배열되어 있는 다중형 서펜타인식 벤딩 랙 및 냉각-가열 장치가 설치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지 캐비닛의 내측상부에 단열 재료로 이루어진 칸막이 벽을 설치하고, 상기 칸막이 벽에 의해 벤딩 랙이 배치된 하부 공간으로부터 분할된 상품보관상자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칸막이 벽에는 상기 상품보관상자로부터 상기 벤딩 랙의 상품 채널로 보급 상품을 정렬하여 배출하는 상품출구를 설치하며, 상기 상품출구의 개구 단부 표면에 상품의 통과를 허용하는 단열용 셔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미리 여러 개의 상품을 일괄적으로 수납한 상품보관상자(보관전용상자를 준비하거나 또는 골판지로 제작된 유동용 케이스를 이용한다)를 캐비닛 내의 최상부에 구획형성한 수납공간에 세트한 다음보관상자의 밑바닥 부분을 개방하면, 보관상자에 수용되어 있던 보급상품이 칸막이 벽의 상품출구를 통해서 중력에 의해 벤딩 랙의 최후방 상품 채널을 향해 배출된다. 이러한 상품보급동작은 상품판매의 진행에 맞추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인기상품을 벤딩 랙의 최후방 상품 채널에 할당하고, 인지상품을 상품보관상자에 다수 수납해둠으로써, 상품보급작업을 짧은 주기로 빈번하게 수행할 필요가 없어지고, 상품 품절의 빈도수도 줄어드므로, 자동판매기의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캐비닛의 내측상부의 상품보관상자 수납공간은 벤딩 랙 및 냉각-가열 장치를 설치한 하부공간과의 사이에 칸막이 벽을 통해서 단열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 상자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은 캐비닛 내에서 냉각-가열 장치의 열부하를 받지 않는다. 게다가, 상품보관상자가 비게 되면, 칸막이 벽의 상품채널출구에 설치된 단열용 셔터가 닫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캐비닛 내의 냉각-가열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감소된다. 또한, 상품보관상자에 수용된 보급상품은 보관상자로부터 배출되어 벤딩 랙 내에 머물러 있는 대기 기간 중에 적당한 판매 온도로 냉각 또는 가열되므로, 판매에 지장을 받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 1도 및 제 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에 있어서, 참조부호 1은 단열체로 이루어진 자동판매기의 캐비닛, 참조부호 2는 앞문(2), 참조부호 3은 앞문(2)에 개구된 상품취출구(3)이며, 캐비닛(1)의 내부에는 서펜타인식 벤딩 랙(4)과, 벤딩 랙(4)으로부터 반출된 상품을 상품취출구(3)로 인도하는 활강로(chute)(5)와, 냉각용 냉각기(또는 냉동기의 증발기)(6)와, 가열용 히터(7)와, 그리고 팬(B)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벤딩 랙(4)은 전후로 배열된 4열의 S자형 상품 채널(4a 내지 4d)과, 각각의 상품 채널(4a 내지 4d) 하단에 구비된 벤딩 기구(9)와, 그리고 상품 채널(4a내지 4d)의 상단에 연동되어 전방의 상품투입구 사이에 가로질러 설치된 상부 트레이(4e)를 포함하는 다중 랙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품 채널은 종류가 다른 상품(10)를 수납하여 판매한다. 이러한 서펜타인식 벤딩 랙의 판매동작은 잘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캐비닛(1)의 내측상부{벤딩 랙(4) 보다 윗부분}에는 단열벽(단열재료)인 칸막이 벽(11)에 의해 분할된 보관상자 수납공간(12)이 구획형성되어 있고, 칸막이 벽(11)에는 벤딩 랙(4)의 최후방 상품 채널(4d)의 상부 트레이를 향해 열리는 호퍼(hopper) 형상의 상품출구(13)가 설지되어 있다. 상품출구(13)에는 제 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고무시트 등으로 만들어진 단열용 셔터(14)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품출구(13)의 개구 단부 표면이 폐쇄된다. 그리고, 수납공간(12)에는 여러 개의 상품을 일괄적으로 수용한 상품 보관상자(15)(예를 들면, 골판지로 구성된 케이스)가 수용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품출구(13)에 대향하여 이 출구 통로를 통과하는 상품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상품 감지 스위치(16)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스위치동작 신호에 의해 점등되는 상품보급 표시램프가 앞문(2)에 배치된 상품선택버튼(도시생략)과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벤딩 랙(4)의 최후방 상품 채널(4d)(인기 상품을 이러한 상품 채널에 할당해 둔다)에 대한 상품보급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즉, 먼저 전방의 상품투입구를 통해 상품을 투입한 후, 벤딩 랙(4)의 각각의 상품 채널(4a 내지 4d)에 상품(10)을 가득 장전한다. 그리고, 캐비닛 내측상부의 보관상자 수납공간(12) 내에 상품 채널(4d)에서 판매하는 여러개의 보급상품을 상품보관상자(15)에 저장한다.
이 경우, 보관상자 수납공간(12) 내에 상품이 들어 있는 상품보관상자(15)(예를 들면, 골판지 케이스)를 세트하기 위해, 먼저 여러 개의 상품(10)이 정렬된 상태로 일괄수용되어 있는 골판지 케이스의 덮개부분을 컷터로 절취하고, 이 개방면을 아래로 향하게(이때, 케이스로부터 상품에 굴려 떨어지지 않도록 깔판을 대어 둔다)하여 판막이 벽(11) 상에 세트한다(세트시킨 후에 깔판을 거둔다). 이로써, 상품보관상자(15)에 수용되어 있는 상품(10)은 칸막이 벽(11)의 상품출구(13)로부터 정렬 상태를 유지하면서 단열용 셔터(14)를 눌러서 개방하며 1개씩 아래로 그들의 자체 증량에 의해 낙하되어, 그 하방에 위치하는 상부 트레이(4e) 상으로 이동전달되어 벤딩 랙(4)의 최후방 상품 채널(4d) 안에 낙하 수납된다. 그리고, 상품 판매의 진행에 따라 상품 채널(4e)로부터 상품 판매가 이루어지면, 그때마다 상품보관상자(15)로부터 새로운 상품(10)이 상품 채널(4d)에 순차적으로 보급된다.
한편, 벤딩 랙(4)이 설치된 캐비닛의 하측공간에는 냉각기(6)에 의해 냉각된 냉기 또는 히터(7)에 의해 가열된 온기가 팬(8)에 의해 점선화살표와 같이 순환되어 벤딩 랙(4)의 수납상품을 적당한 판매 온도로 냉각하거나 가열한다. 이러한 경우, 보관상자 수납공간(12)은 칸막이 벽(11)을 통해 캐비닛 내의 하측공간과 단열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상자(15)에 수용된 보급 상품은 냉각-가열되지 않는다. 즉, 보관상자 수납공간 내에 있는 보급상품은 냉각기나 히터에 의해 열부하를 받지 않으므로, 소비전력량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보관상자(15)로부터 배출된 상품은 벤딩 랙(4)에 머물러 있는 대기 기간 중에 적당한 판매 온도로 냉각 또는 가열된다.
그리고, 상품판매가 진행되어 상품보관상자(15)가 비게 되면, 상품출구(13)를 통과하는 상품이 없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품 감지 스위치(16)가 작동된다. 이러한 상품 감지 스위치(16)의 동작 신호에 의해 상기 상품보충 표시램프가 점등되어 상품을 보충할 필요가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보냄과 동시에, 단열용 셔터(14)는 상품출구(13)의 개구 단부 표면을 막아서 캐비닛내의 냉기 또는 온기가 보관상자 수납공간(12)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품보관상자(15)가 비더라도, 벤딩 랙(4)의 상품 채널(4d)에는 재고상품이 남아있으므로 즉시 품절되는 일은 없으며, 상품 채널(4d)에 상품(9)이 남아 있는 동안에 보급상품을 보관상과(15)에 넣어서 보관상자 수납공간(12)에 세트시킴으로써 상품이 품절되는 일없이 계속해서 상품을 판매할 수가 있다. 게다가, 인기상품에 대해서는, 여러 개의 보급상품을 일괄적으로 캐비닛의 내측상부공간에 저장한 만큼 수용량이 증가되므로, 빈번히 상품을 보급할 필요가 없어져, 상품관리면에서도 효율적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수 있다.
첫째로, 서펜타인식 벤딩 랙의 특정 상품 채널에 있어서, 판매가 진행됨에 따라 상품이 감소되면 그때마다 여러 개의 상품을 일괄수용한 상품보관상자로부터 감소된 개수만큼의 상품이 자동적으로 보급된다. 따라서, 판매회전율이 높은 인기상품을 상기 상품 채널에 할당해두면, 상품보급 주기가 연장되므로, 상품보급작업을 빈번히 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에 따라, 상품의 빈번한 품절이 방지됨으로써 자동판매기의 가동률이 항상되는 동시에, 상품관리의 효율면에서도 대폭적인 개선을 도모할 수가 있다.
둘째로, 보관상자 수납공간이 칸막이 벽에 의해서 하측공간(벤딩 랙이 수납 설치되어 있음)과 단열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품보관상자에 수용된 보급상품이 캐비닛 내의 냉각-가열 장치의 열부하를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냉각-가열 장치의 전력소비량을 대폭적으로 절감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가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 2도는 제 1도에 도시한 칸막이 벽의 상품출구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비닛 4 : 벤딩 랙
4d : 최후방 상품 채널 10 :상품
11 : 칸막이 벽 12 : 보관상자 수납공간
13 : 상품출구 14 : 단열용 셔터
15 : 상품보관상자 16 : 상품 감지 스위치

Claims (1)

  1. 단열체로 이루어진 캐비닛 내에 다수의 상품 채널이 전후로 배열되어 있는 다중형 서펜타인식 벤딩 랙 및 냉각-가열 장치가 설치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내측상부에 단열 재료로 이루어진 칸막이 벽을 설치하고,
    상기 칸막이 벽에 의해 벤딩 랙이 배치된 하부 공간으로부터 분할된 상품보관상자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칸막이 벽에는 상기 상품보관상자로부터 상기 벤딩 랙의 상품 채널로 보급 상품을 정렬하여 배출하는 상품출구를 설치하며,
    상기 상품출구의 개구 단부 표면에 상품의 통과를 허용하는 단열용 셔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KR1019940027337A 1993-10-29 1994-10-26 자동판매기 KR100322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108293A JP3146799B2 (ja) 1993-10-29 1993-10-29 自動販売機
JP93-271082 1993-10-29
JP1993-271082 1993-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297A KR950012297A (ko) 1995-05-16
KR100322166B1 true KR100322166B1 (ko) 2002-05-13

Family

ID=17495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7337A KR100322166B1 (ko) 1993-10-29 1994-10-26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46799B2 (ko)
KR (1) KR1003221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465B1 (ko) * 1999-09-21 2002-06-05 박태주 금속슬러지 분쇄장치
KR20030039066A (ko) * 2001-11-09 2003-05-17 김홍철 타이어속 철망부위 오린 링 자동연삭분쇠기
KR20040007017A (ko) * 2002-07-16 2004-01-24 코리아벤딩머신 주식회사 가열식품 자동판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129842A (ja) 1995-05-19
JP3146799B2 (ja) 2001-03-19
KR950012297A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6419B2 (en) Refrigerator
EP1362210B1 (en) Auxiliary storage system for refrigerator
US7024882B2 (en) Cooler with ordered refilling
KR100322166B1 (ko) 자동판매기
JP6712468B2 (ja) 商品収納装置
JP3841101B2 (ja) 自動販売機
JP4547820B2 (ja) 自動販売機
JP3718918B2 (ja) 自動販売機
JP2000030138A (ja) 自動販売機
JPS6244297Y2 (ko)
JPH0318995A (ja) 自動販売機
JP2016189116A (ja) 自動販売機
JPH036692A (ja) 自動販売機
JP2003288636A (ja) 冷却加熱収納庫とその収納庫を用いた自動販売機
KR0117102Y1 (ko) 냉동저장, 가열판매식 자동판매기의 상품 결빙방지 및 투출안내장치
KR101484270B1 (ko) 자동판매기용 음료 용기 배출장치
JP3769349B2 (ja) 自動販売機
AU2002233780B2 (en) Auxiliary storage system for refrigerator
JPH04275698A (ja) 自動販売機
JP2007025912A (ja) 自動販売機
JP2001143147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ラック
JPH09319947A (ja) 自動販売機
JP2002329242A (ja) 自動販売機
JP2002298209A (ja) 自動販売機
JPH10134241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出入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