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5130A -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5130A
KR20010095130A KR1020010016738A KR20010016738A KR20010095130A KR 20010095130 A KR20010095130 A KR 20010095130A KR 1020010016738 A KR1020010016738 A KR 1020010016738A KR 20010016738 A KR20010016738 A KR 20010016738A KR 20010095130 A KR20010095130 A KR 20010095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goods
chute
pressing rod
s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4758B1 (ko
Inventor
야사까요시오
야지마히데까즈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10095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with means for raising the stack of articles to permit delivery of the topmos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two or more magazines having a common delivery chu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 수납고로부터 불출되어 낙하한 상품을 비교적 높은 위치에 설치된 상품 취출구에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반출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품 수납고(11)의 하방에 설치되고 전방이 올라가도록 경사진 슈트(24)와, 슈트(24)의 좌우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동시에, 슈트(24)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부근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전방 스프로켓(34) 및 후방 스프로켓(35), 및 이들에 감겨 걸쳐진 체인(36)을 각각 갖는 좌우 한 쌍의 구동 기구(25)와, 전방 스프로켓(34) 및 후방 스프로켓(35)의 적어도 한 쪽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26)와, 구동 기구(25)의 각각의 체인(36) 사이에 걸쳐 놓여진 상태로 부착되는 동시에, 체인(36)의 회전에 수반하여 슈트(24)의 상방을 이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슈트(24) 상으로 낙하한 상품(S)을 후방으로부터 가압하는 상품 압박 로드(27)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Goods Dispensing Device for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판매시에 상품 수납고로부터 하방으로 불출된 상품을 경사 상측 전방으로 반송함으로써, 비교적 높은 위치에 설치된 상품 취출구에 반출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종류의 상품 반출 장치를,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평11-66749호에 있어서 이미 제안하고 있다. 이 상품 반출 장치에서는 불출된 상품을 상품 취출구를 향해서 반송하는 반송 장치로서 벨트 컨베이어가 적용되고 있다. 이 벨트 컨베이어는 가로로 뉘어진 상태의 상품을 상하 방향으로 다수 적층하여 수납하는 상품 수납고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고, 전방이 올라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전후 2개의 회전축에 감겨 걸쳐지고 전방이 올라가도록 경사진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회전축을 거쳐서 컨베이어 벨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기구 등을 구비하고 있다. 컨베이어 벨트는 상품 수납고의 횡폭에 따른 폭이 넓은 것이 사용되고 있고, 그 표면에는 불출된 상품의 반송시에 그 상품을 후방측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돌기가 컨베이어 벨트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를 갖는 상품 반출 장치에 의해, 판매시에 상품 수납고로부터 불출된 상품은 다음과 같이 하여 상품 취출구에 반출된다. 즉, 상품 수납고로부터 불출된 상품은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낙하한 후, 이를 따라서 후방으로 약간 활강하여 후방측에서 상기 돌기의 하나에 접촉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그 상품은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에 따라서, 돌기에 의해 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된 상태로 경사 상측 전방으로 반송되어 상품 취출구에 반출된다.
상기와 같은 상품 반출 장치에서는 상기 돌기가 모두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즉 그 표면으로부터 후방이 올라가도록 경사진 자세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품이 후방으로 활강했을 때 돌기를 타고 넘기 쉽고, 상품에 따라서는 돌기가 접촉한 상품에 가압됨으로써 후방으로 휘어지게 되어 상품이 돌기를 더욱 타고 넘기 쉬워진다. 이로 인해, 불출된 상품이 원래 그 상품을 지지해야 하는 돌기보다도 후방의 돌기까지 활강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상품 수납고의 상품 취출구측 위치로부터 불출된 상품이더라도, 그 불출 후 반출까지 시간이 걸리는 동시에 거품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의 전방이 올라가는 경사 각도를 크게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의 문제가 한층 더 현저해지는 동시에, 상품을 돌기로 정지시킨 상태에서 적절하게 반송할 수 없는 경우도 있으며, 상품의 반출 실수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점에 있어서 이 상품 반출 장치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상품 수납고로부터 하방으로 불출된 상품을 비교적 높은 위치에 설치된 상품 취출구에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반출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상품 반출 장치를 조립한 자동 판매기의 내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2는 상품 반출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3은 보수 위치에 보유 지지한 상태의 상품 반출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 판매기
3 : 상품 취출구
11 : 상품 수납고
12 : 상품 반출 장치
15 : 칼럼
21 : 컨베이어 장치
22 : 지지부
23 : 회전축
24 : 슈트
25 : 구동 기구
26 : 구동 모터(구동원)
27 : 상품 압박 로드
28 : 정지 제어 스위치(로드 정지 수단)
31 : 베이스 프레임(베이스)
32 : 코일 스프링(완충 부재)
33 : 슈트 플레이트
34 : 전방 스프로켓
35 : 후방 스프로켓
36 : 체인
S : 상품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는, 판매시에 상품 수납고로부터 하방으로 불출된 상품을 경사 상측 전방으로 반송하여 상품 취출구에 반출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로서, 상품 수납고의 하방에 설치되고 전방이 올라가도록 경사진 슈트와, 이 슈트의 좌우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동시에, 슈트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부근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전방 스프로켓 및 후방 스프로켓, 및 이들에 감겨 걸쳐진 체인을 각각 갖는 좌우 한 쌍의 구동 기구와, 이 한 쌍의 구동 기구의 전방 스프로켓 및 후방 스프로켓의 적어도 한 쪽을 판매시에 회전 구동하는 구동원과, 한 쌍의 구동 기구의 각각의 체인 사이에 걸쳐 놓여진 상태로 부착되는 동시에, 판매시에 체인의 회전에 수반하여 슈트의 상방을 슈트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슈트 상으로 낙하한 상품을 후방으로부터 가압하는 상품 압박 로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판매시에 상품 수납고로부터 하방으로 불출된 상품은 슈트 상으로 낙하한 후, 이를 따라서 경사 하측 후방으로 약간 활강하여 후방측에서 상품 압박 로드에 접촉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구동원에 의해 좌우 한 쌍의 구동 기구가 구동되면, 이들의 전방 스프로켓 및 후방 스프로켓에 감겨 걸쳐진 체인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데 수반하여, 상품 압박 로드가 슈트를 따라서 경사 상측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슈트 상으로 낙하하여 상품 압박 로드에 지지된 상품은 상품 압박 로드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가압되면서, 슈트를 따라서 경사 상측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품 취출구에 반출된다. 상기 상품 압박 로드는 좌우 한 쌍의 구동 기구의 체인 사이에 걸쳐 놓여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즉 상품 압박 로드의 양단부가 각각 좌우의 체인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불출된 상품이 슈트 상을 후방으로 활강하여 상품 압박 로드에 접촉해도, 그 상품 압박 로드는 거의 휘어지지 않으므로 상품을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고, 접촉한 위치에서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상품을 비교적 높은 위치에 설치된 상품 취출구에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반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슈트는 전방으로 올라가도록 경사진 베이스와, 이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된 완충 부재와, 이 완충 부재를 거쳐서 베이스에 부착된 슈트 플레이트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불출된 상품이 낙하하여 접촉하는 슈트 플레이트는 상기베이스에 완충 부재를 거쳐서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품이 슈트 플레이트 상으로 낙하했을 때, 그 슈트 플레이트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충 부재에 의해서 완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상품이 탄산 음료인 경우의 거품을 억제할 수 있다.
이들의 경우, 상품 수납고는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각각 상품을 수납하는 복수의 상품 통로로 구획되고, 각 상품 통로는 상품을 불출하기 위한 복수의 불출구를 하단부에 갖고 있으며, 판매 종료후에 상품 압박 로드를 슈트 상방의 복수의 불출구를 회피한 소정의 정지 위치에 정지시키는 로드 정지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판매 종료후에 상품 압박 로드가 로드 정지 수단에 의해 슈트 상방의 복수의 불출구를 회피한 소정의 정지 위치에 정지되고, 그 정지 위치에 대기하므로, 다음 번 판매시에 불출구로부터 불출된 상품은 상품 압박 로드에 접촉하지 않고 슈트 상으로 확실하게 낙하한다. 이에 따라, 상품 압박 로드보다도 전방의 상품 통로로부터 불출되어 슈트 상을 활강하는 상품을 그 상품 압박 로드에 의해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품 압박 로드가 불출구의 바로 아래에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불출구로부터 불출된 상품은 상품 압박 로드에 일단 접촉한 후, 다시 슈트 상으로 낙하함으로써 그 상품이 받는 충격의 정도가 큰 데 비해, 상기와 같이 상품 압박 로드를 불출구를 회피한 위치에 대기시킴으로써 충격의 정도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충격에 따른 문제점을 적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로드 정지 수단은 상품 압박 로드가 소정 위치에 위치했을 때 온/오프 절환되도록 구성되고, 그 온/오프 절환에 의해서 구동원을 정지시킴으로써 상품 압박 로드를 소정의 정지 위치에 정지시키는 정지 제어 스위치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품 압박 로드가 소정 위치에 위치했을 때 온/오프 절환되는 정지 제어 스위치에 의해, 그 온/오프 절환에 의해서 구동원을 정지시키므로, 상품 압박 로드를 소정의 정지 위치에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환언하면, 다음 번 판매에 대비하여 상품 압박 로드를 소정의 대기 위치에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대기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경우 상품 압박 로드는 체인의 주위 방향을 따라서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품 압박 로드로 구성되고, 이 복수의 상품 압박 로드의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정지 위치에 정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품 압박 로드가 복수의 상품 압박 로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단일의 상품 압박 로드로 상품을 반송하여 반출하는 경우에 비해, 상품이 불출되고 나서 상품 취출구에 반출될 때까지의 반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상품 압박 로드는 체인의 주위 방향을 따라서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체인을 한 바퀴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상품 압박 로드의 적어도 하나를 소정의 정지 위치에 확실하게 대기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상품 반출 장치를 조립한 자동 판매기의 내부를 도시하고 있다. 동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자동 판매기(1)는 주도어(2)의 상품 취출구(3)가 일반적인 자동 판매기에 비해 비교적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구입자가 허리를 별로 굽히지 않고 상품을 꺼낼 수 있는 소위 장애가 없는 형태의 것이다. 자동 판매기(1)는 상기 주 도어(2)와, 이 주 도어(2)에 의해서 전방면이 개폐되는 박스형의 판매기 본체(4)를 구비하고 있다.
주 도어(2)는 그 전방면에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과, 금전을 투입하기 위한 금전 투입구(모두 도시 생략) 등을 갖고 있다. 또, 이들과 마찬가지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주 도어(2)의 배면에는 후술하는 상품 반출 장치(12)를 포함해 판매기 본체(4) 내의 각종 제어를 행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갖는 제어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상품 취출구(3)는 그 전방면을 개폐하는 외측 도어(5)와, 상품 취출구(3)에 반출된 상품(S)을 수취하는 상품 수용부(6)를 갖고 있다. 외측 도어(5)는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평상시는 수하된 상태로 상품 취출구(3)를 폐쇄하며, 상품(S)의 취출시에 구입자에 의해서 외측 도어(5)의 하단부가 들어올려짐으로써 상품 취출구(3)를 개방한다. 한편, 상품 수용부(6)의 전방벽은 하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평상시는 외측 도어(5)의 배면측에 기립된 자세로 있는 동시에 반출된 상품(S)을 수취하며, 상품(S)의 취출시에 구입자에 의해서 상단부가 전방으로 당겨짐으로써 전방으로 약간 경사져서 상품(S)을 취출하기 쉬워진다.
판매기 본체(4)는 상품(S)을 수납하는 상품 수납고(11)와, 판매시에 상품 수납고(11)로부터 하방으로 불출된 상품(S)을 상품 취출구(3)에 반출하는 상품 반출 장치(12)와, 상품 수납고(11) 내의 상품(S)을 냉각ㆍ가온하는 냉각ㆍ가온 장치(13)등을 내부에 갖고 있고, 전방면에는 개폐 가능한 단열 도어(14)가 설치되어 있다. 판매기 본체(4)의 내부는 좌우 방향(도1의 표면 및 이면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단열벽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단열벽 사이에는 상기 상품 수납고(11) 및 상품 반출 장치(12)가 각각 배치되며, 또한 냉각ㆍ가온 장치(13)의 증발기(13a) 또는 히터(13b) 등이 배치되어 있다.
상품 수납고(11)는 전후 좌우가 세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에 의해 통형으로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칼럼(15)을 전후 방향(도1의 좌우 방향)으로 3개 연결하여 구성된 것이며, 각 칼럼(15) 내에는 간막이 판(16) 등에 의해서 전후로 구획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2개의 상품 통로(17, 17)가 설치되어 있다. 각 상품 통로(17)에는 각종 캔음료 상품이나 페트병 상품 등, 동일 품목의 상품(S)이 가로로 뉘어져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수납된다. 또, 각 칼럼(15)에는 판매시에 최하위의 상품(S)만을 하방으로 불출시키는 상품 불출 장치(도시 생략)가 상품 통로(17)마다 그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각 상품 불출 장치에 의해서 규제되는 상품 통로(17)의 하단부의 불출구(17a)는 상품(S)의 크기에 따라서 수동으로 설정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칼럼(15)은 후술하는 상품 반출 장치(12)의 컨베이어 장치(21)의 경사에 대응하여 내측인 것일수록 낮은 위치까지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칼럼(15)으로부터 불출된 상품(S)의 상품 반출 장치(12)까지의 낙하 거리를 가능한 한 짧게 함으로써, 낙하시에 상품(S)이 받는 충격을 작게 하는 동시에, 보다 많은 상품(S)을 상품 수납고(11)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품 수납고(11)에서는 판매시에 구입자에 의해서 선택된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통로(17)로부터 최하위의 상품(S)만이 불출되어, 후술하는 상품 반출 장치(12)의 슈트(24) 상으로 낙하한다. 또, 가장 전방측 칼럼(15)에는 그 전방측 상품 통로(17)의 불출구(17a)를 개폐하는 개폐판(18)이 설치되어 있다. 판매시에, 그 불출구(17a)로부터 불출된 상품(S)은 전방이 내려가도록 경사진 상태에서 불출구(17a)를 개방한 개폐판(18)에 의해 안내되어, 상품 반출 장치(12)가 작동하지 않고 상품 취출구(3)에 반출된다. 또, 가장 내측 칼럼(15) 내의 후방측 상품 통로(17)로부터 불출된 상품(S)은 그 상품 통로(17)의 하방에 있어서 판매기 본체(4) 내의 배면에 부착된, 전방이 내려간 경사 플레이트(4a) 상으로 낙하한 후, 전방으로 활강하여 슈트(24) 상으로 건네진다.
상품 반출 장치(12)는 상품 수납고(11)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판매시에 상품 수납고(11)로부터 불출되어 낙하한 상품(S)을 수취한 후, 이를 경사 상측 전방으로 반송하여 상품 취출구(3)에 반출한다. 이 상품 반출 장치(12)는 판매시에 상품(S)을 반송하는 컨베이어 장치(21)와, 이 컨베이어 장치(21)를 소정의 위치(후술하는 판매 위치 또는 보수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지지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컨베이어 장치(21)는 전방이 올라가도록 경사진 판매 위치(도1 및 도2 참조)와 전체가 대략 수평한 보수 위치(도3 참조) 사이에서 후방단 하부의 회전축(2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지지부(22)에 의해서 평상시는 판매 위치에 보유 지지되며, 판매기 본체(4) 내의 보수시 등에 보수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장치(21)는 전방이 올라가도록 경사지고 불출된상품(S)을 상면으로 받는 슈트(24)와, 이 슈트(24)의 좌우 양단부에 각각 배치된 좌우 한 쌍의 구동 기구(25)(하나만 도시)와, 이들 구동 기구(25)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26)(구동원)와, 양구동 기구(25)의 후술하는 각각의 체인(36) 사이에 부착된 복수의 상품 압박 로드(27)와, 상품 압박 로드(27)에 의해서 온/오프 절환됨으로써 구동 모터(26)의 정지를 제어하는 정지 제어 스위치(28)(로드 정지 수단) 등을 갖고 있고, 상기 슈트(24) 등이 소정 형상의 수용 케이스(29) 내에 수용되어 있다.
슈트(24)는 전방이 올라가도록 경사지고 평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베이스 프레임(31)을 갖고 있으며, 이 베이스 프레임(31) 상에는 복수의 원뿔형의 코일 스프링(32)(완충 부재)을 거쳐서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인 슈트 플레이트(33)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판매시에 상품 수납고(11)로부터 불출된 상품(S)은 슈트 플레이트(33) 상으로 낙하하고, 그 낙하시에 상품(S)이 슈트 플레이트(33)로부터 받는 충격을 코일 스프링(32)에 의해서 완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품(S)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상품(S)이 탄산 음료인 경우의 거품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31) 및 슈트 플레이트(33)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고, 냉각ㆍ가온 장치(13)에 의한 냉기와 난기가 이들 관통 구멍을 거쳐서 상품 반출 장치(12)의 상하에서 순환하여, 상품 수납고(11) 내의 상품(S)을 냉각 또는 가온한다.
각 구동 기구(25)는 슈트(24)의 전방 단부에 서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2개의 전방 스프로켓(34)[이하, 적절하게 상측 전방 스프로켓을「상측 스프로켓(34a)」, 하측 전방 스프로켓을「하측 스프로켓(34b)」이라고 함]과, 슈트(24)의 후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후방 스프로켓(35)과, 이들 전방 스프로켓(34) 및 후방 스프로켓(35)에 감겨 걸쳐진 체인(36)을 갖고 있다. 양구동 기구(25)의 상측 스프로켓(34a), 하측 스프로켓(34b) 및 후방 스프로켓(35)은 각각 대응하는 스프로켓끼리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축(37a, 37b, 37c)을 거쳐서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동기하여 회전한다. 또한, 하측 스프로켓(34b) 끼리를 연결하는 연결축(37b)의 도중에는 평기어로 이루어지는 구동 기어(38)가 고정되어 있고, 이 구동 기어(38)가 구동 모터(26)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또, 이 구동 기어(38)는 하측 스프로켓(34b)과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구동 모터(26)는 슈트(24)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기어 상자(39) 내의 복수의 기어(39a)(하나만 도시) 및 중간 기어(40)를 거쳐서 상기 구동 기어(38)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판매시에 구동 모터(26)가 작동함으로써 구동 기어(3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이에 수반하여 양구동 기구(25)의 하측 스프로켓(34b)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양하측 스프로켓(34b)이 회전함으로써, 이들 양하측 스프로켓(34b)을 원동 스프로켓으로 하여, 양구동 기구(25)의 체인(36)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양구동 기구(25)의 각각의 체인(36) 사이에는 이들에 걸쳐 놓여진 상태로 체인(36)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4개의 상품 압박 로드(27)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판매시에 양구동 기구(25)의 체인(36)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데 수반하여, 각 상품 압박 로드(27)가 슈트(24)의 주위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정지 제어 스위치(28)는 상기 구동 모터(26)의 부근에 설치되어 있고, 회전 가능한 소정 형상의 링크(41)를 거쳐서 상품 압박 로드(27)에 의해 온/오프 절환된다. 즉, 링크(41)는 평상시는 도2의 실선으로 도시한 소정 위치를 향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42)에 의해 압박된 상태로 위치함으로써 정지 제어 스위치(28)의 스위치 버튼(28a)을 압박하고, 이에 의해 정지 제어 스위치(28)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한다. 한편, 상품 압박 로드(27)의 하나가 링크(41)의 하방을 통과할 때, 링크(41)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42)에 대항하여 도2의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 절환 위치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링크(41)에 의한 스위치 버튼(28a)의 압박을 해제하고, 이에 의해 정지 제어 스위치(28)를 오프 또는 온 상태로 한다.
그리고, 구동 모터(26)를 정지시켜야 하는 후술하는 소정의 정지 조건이 성립하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정지 제어 스위치(28)가 링크(41)를 거쳐서 상품 압박 로드(27)에 의해 온/오프 절환되었을 때는 상기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로부터 구동 모터(26)에 제어 신호가 출력되며, 이에 기초하여 구동 모터(26)가 정지한다. 이로 인해, 양구동 기구(25)의 체인(36)의 회전도 정지하고, 이에 수반하여 각 상품 압박 로드(27)가 각각 소정 위치(대기 위치)에 정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슈트 플레이트(33)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의 상방, 상측 스프로켓(34a)과 하측 스프로켓(34b)의 사이, 링크(41)의 하방, 및 후방 스프로켓(35) 부근의 네 군데에 4개의 상품 압박 로드(27)가 각각 정지한다. 특히, 슈트 플레이트(33)의 상방에 정지하는 상품 압박 로드(27)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칼럼(15)의 전후 2개의 불출구(17a, 17a) 사이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정지한다. 이에 의해, 전체 불출구(17a)로부터 불출되는 상품(S)은 모두 상품 압박 로드(27)에 접촉하지 않고 슈트 플레이트(33) 상으로 확실하게 낙하한다.
즉, 예를 들어 상품 압박 로드(27)가 어떠한 불출구(17a)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불출구(17a)로부터 불출된 상품은 상품 압박 로드(27)에 일단 접촉한 후, 다시 슈트 플레이트(33) 상으로 낙하함으로써 그 상품(S)이 받는 충격의 정도가 큰 데 비해, 상기와 같이 슈트 플레이트(33) 상방의 상품 압박 로드(27)를 중앙 칼럼(15)의 불출구(17a, 17a) 사이의 바로 아래에 위치시킴으로써, 상품(S)이 받는 충격의 정도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상품(S)의 변형 방지 및 거품의 억제를 한층 더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상품 압박 로드(27)보다도 전방의 불출구(17a)로부터 불출된 상품(S)은 슈트 플레이트(33) 상으로 낙하한 후, 후방으로 약간 활강하여 그 상품 압박 로드(27)에 접촉하여 확실하게 지지된다.
상술한 슈트(24) 등을 수용하는 수용 케이스(29)는 바닥벽(43), 좌우 한 쌍의 측벽(44)(하나만 도시), 전방벽(45) 및 후방벽(46)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부 및 전방면의 상반부가 개방되어 있다. 전방벽(45)의 상부에는 후방으로 올라가도록 경사지고 슈트(24)의 전방 단부 부근까지 연장되는 반출 슈트(45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반출 슈트(45a)는 슈트(24)의 전방 단부까지 반송된 상품(S)을 수취한 후, 이를 전방으로 활강시켜 상품 취출구(3)에 반출한다.
또, 수용 케이스(29)의 바닥벽(43)의 하방에는 상기 회전축(23)에 후방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착 플레이트(4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부착 플레이트(47)는 그 전방 단부가 하방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고, 판매기 본체(4) 내의 부착용 부재(48)에 전방으로부터 부착 나사(49)에 의해서만 나사 고정되게 되어 있다. 즉, 이 부착 나사(49)에 의해서 부착 플레이트(47)를 부착용 부재(48)에 부착함으로써 컨베이어 장치(21)가 판매기 본체(4) 내에 부착되고, 반대로 부착 나사(49)를 분리함으로써 컨베이어 장치(21)를 판매기 본체(4) 내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컨베이어 장치(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22)에 의해서 판매 위치 또는 보수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이 지지부(22)는 금속판의 좌우 양단부 및 상단부를 굴곡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고, 하단부에 삽입 관통된 회전축(51)을 중심으로 기립한 자세의 기립 위치(도1 및 도2 참조)와, 후방측으로 대략 수평하게 기운 자세의 기운 위치(도3 참조)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51)에는 지지부(22)를 기립 위치를 향해서 압박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2)이 부착되어 있다.
또, 단열 도어(14)에는 판매 위치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장치(21)의 전방면에 대향하는 부분에 상품(S)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구(1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14a)에는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단열성을 갖는 내측 도어(5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내측 도어(53)는 평상시는 수하된 상태로 개구(14a)를 폐쇄하고, 판매시에 상기 반출 슈트(45a)로 건네져서 이를 따라서 전방으로 활강하는 상품(S)의 무게로 압박 개방됨으로써 개구(14)를 개방한다. 또한, 내측 도어(53)의 상단부에는 내측 도어(53)의 개폐 유무를 판별하는 내측 도어 개폐 판별 스위치(5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위치(54)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는 내측 도어(53)가 개방된 것, 및 일단 개방된 내측 도어(53)가 폐쇄된 것이 판별되게 되어 있다.
다음에, 판매시에 있어서의 상품 반출 장치(12)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 반출 장치(12)의 컨베이어 장치(21)는 평상시는 판매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고, 또 각 상품 압박 로드(27)는 도2에 도시한 대기 위치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구입자에 의해서 금전이 투입되고 원하는 상품의 선택 버튼이 눌려지면, 그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통로(17)의 상품 불출 장치가 작동하여 최하위의 상품(S)만이 불출된다.
가장 전방측 상품 통로(17)로부터 상품(S)이 불출된 경우에는 그 상품(S)은 개폐판(18)으로 안내되면서 반출 슈트(45a) 상으로 낙하한 후, 이 반출 슈트(45a)를 따라서 전방으로 활강한다. 그리고, 상품(S)은 그 무게로 내측 도어(53)를 압박 개방하면서 상품 취출구(3)에 반출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컨베이어 장치(21)가 작동하지 않고 상품(S)이 상품 취출구(3)에 반출되며, 상품의 판매가 완료된다.
또, 상술한 가장 전방측 상품 통로(17)를 제외하고 슈트 플레이트(33) 상의 상품 압박 로드(27)[이하, 이 상품 압박 로드에「27A」의 부호를 부여함)보다도 전방의 상품 통로(17)로부터 상품(S)이 불출된 경우에는 그 상품(S)은 슈트 플레이트(33) 상으로 낙하한 후, 후방으로 약간 활강하여 후방측에서 상품 압박 로드(27A)에 접촉하여 지지된다. 그 후, 구동 모터(26)가 작동하여 양구동 기구(25)의 체인(36)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에 수반하여 모든 상품 압박 로드(27)도 이동하여, 상품 압박 로드(27A)가 슈트 플레이트(33)를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품 압박 로드(27A)에 지지되어 있는 상품(S)은 이 상품 압박 로드(27A)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가압됨으로써, 슈트 플레이트(33)를 따라서 경사 상측 전방으로 반송되어 반출 슈트(45a)에 건네진다. 그 후, 상품(S)은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내측 도어(53)를 압박 개방하면서 상품 취출구(3)에 반출되며, 상품의 판매가 완료된다.
또, 이 경우 내측 도어 개폐 판별 스위치(54)에 의해서 내측 도어(53)의 개방이 판별되고, 또한 정지 제어 스위치(28)가 소정 횟수(예를 들어 2회) 온/오프 절환되었을 때, 제어 회로로부터 구동 모터(26)에 제어 신호가 출력되며, 이에 기초하여 구동 모터(26)가 정지한다. 이에 의해, 각 상품 압박 로드(27)가 다음 번 판매에 대비하여 각각 대기 위치에 정지한다.
또, 상품 압박 로드(27A)보다도 후방의 상품 통로(17)로부터 상품(S)이 불출된 경우에는 그 상품(S)은 슈트 플레이트(33) 상으로 낙하한 후, 슈트 플레이트(33)의 후방 단부를 향해서 후방으로 활강하여 후방측에서 판매기 본체(4) 내의 경사 플레이트(4a)에 접촉하여 지지된다. 또, 가장 내측의 상품 통로(17)로부터 상품(S)이 불출된 경우에는 경사 플레이트(4a) 상으로 일단 낙하한 후, 전방으로 활강하여 슈트 플레이트(33)에 건네진다.
그 후, 구동 모터(26)가 작동함으로써 모든 상품 압박 로드(27)가 이동하고,후방 스프로켓(35) 부근에 위치하고 있던 상품 압박 로드(27)가 그 상품(S)을 후방으로부터 압박하면서 슈트 플레이트(33)를 따라서 경사 상측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상품(S)은 슈트 플레이트(33)를 따라서 경사 상측 전방으로 반송되어,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반출 슈트(45a)에 건네진 후, 내측 도어(53)를 압박 개방하면서 상품 취출구(3)에 반출되고, 상품의 판매가 완료된다. 또한, 이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내측 도어(53)가 개방되고, 정지 제어 스위치(28)가 소정 횟수 온/오프 절환되었을 때 구동 모터(26)가 정지하며, 이로 인해 각 상품 압박 로드(27)가 다음 번 판매에 대비하여 각각 대기 위치에 정지한다.
다음에, 판매기 본체(4) 내의 보수시에 있어서의 상품 반출 장치(12)의 취급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수시에는 우선 주 도어(2) 및 단열 도어(14)를 개방한다. 이어서, 기립 위치의 지지부(22)를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운 위치로 회전시킨다. 이 경우, 판매 위치의 컨베이어 장치(21)의 전방 단부를 손으로 지지하면서, 기립 위치의 지지부(22)의 상단부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52)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약간 가압한다. 그리고, 지지부(22)가 후방으로 약간 경사진 시점에서 컨베이어 장치(21)를 지지하고 있는 손의 힘을 완화하여 컨베이어 장치(21)를 보수 위치로 회전시킨다. 컨베이어 장치(21)의 회전에 수반하여 후방으로 약간 경사져 있던 지지부(22)는 컨베이어 장치(21)의 무게에 의해서 기운 위치를 향해서 회전한다.
이와 같이 하여, 판매 위치의 컨베이어 장치(21)를 보수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상품 수납고(11)와 컨베이어 장치(21) 사이에 큰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상품 통로(17)의 불출구(17a)의 설정 변경을 행하는 경우,특히 불출구(17a)가 판매기 본체(4) 내의 내측인 것이더라도, 손을 내측까지 뻗어서 용이하게 그 설정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또, 상품 수납고(11)나 컨베이어 장치(21)의 보수를 행하는 경우, 컨베이어 장치(21)를 보수 위치에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행하는 이외에, 상기 부착 나사(49)를 부착 플레이트(47)로부터 분리하고, 컨베이어 장치(21) 자체를 기운 위치의 지지부(22)를 안내부로 하여 전방으로 인출하고, 판매기 본체(4)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보수를 행하여도 좋다. 또, 컨베이어 장치(21)를 판매기 본체(4)로부터 분리하여 보수한 경우에는 보수의 종료 후, 상기와 반대의 순서로 컨베이어 장치(21)를 판매기 본체(4) 내에 부착한다.
그 후, 보수 위치의 컨베이어 장치(21)의 전방 단부를 들어올려서 컨베이어 장치(21)를 판매 위치를 약간 넘는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기운 위치의 지지부(22)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52)에 의해서 기립 위치로 자동 복귀하고, 컨베이어 장치(21)를 들어올리고 있던 손을 떼어냄으로써, 컨베이어 장치(21)가 지지부(22)에 하측으로부터 지지된 상태로 판매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이상 상세하게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상품 반출 장치(12)에 따르면, 각 상품 압박 로드(27)가 양구동 기구(25)의 각각의 체인(36) 사이에 걸쳐 놓여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불출된 상품(S)이 슈트 플레이트(33) 상을 경사 하측 후방으로 활강하여 상품 압박 로드(27)에 접촉해도, 그 상품 압박 로드(27)는 거의 휘어지지 않으므로 그 상품(S)을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고, 접촉한 위치에서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상품(S)을 비교적 높은 위치에 설치된상품 취출구(3)에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반출할 수 있다.
또, 양구동 기구(25)의 각각의 체인(36)에는 4개의 상품 압박 로드(27)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체인(36)에 하나 밖에 상품 압박 로드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상품(S)이 불출되고 나서 상품 취출구(3)에 반출될 때까지의 반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상품 압박 로드(27)는 체인(36)의 주위 방향을 따라서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체인(36)을 한 바퀴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상품 압박 로드(27)를 소정의 대기 위치에 확실하게 대기시킬 수 있다.
또, 실시 형태에서 제시한 상품 반출 장치(12)의 세부 구성 등은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는 상품 수납고로부터 불출되어 낙하한 상품을 비교적 높은 위치에 설치된 상품 취출구에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반출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판매시에 상품 수납고로부터 하방으로 불출된 상품을 경사 상측 전방으로 반송하여 상품 취출구에 반출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로서,
    상기 상품 수납고의 하방에 설치되고 전방이 올라가도록 경사진 슈트와,
    이 슈트의 좌우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동시에, 해당 슈트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부근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전방 스프로켓 및 후방 스프로켓, 및 이들에 감겨 걸쳐진 체인을 각각 갖는 좌우 한 쌍의 구동 기구와,
    이 한 쌍의 구동 기구의 상기 전방 스프로켓 및 상기 후방 스프로켓의 적어도 한 쪽을 판매시에 회전 구동하는 구동원과,
    상기 한 쌍의 구동 기구의 각각의 체인 사이에 걸쳐 놓여진 상태로 부착되는 동시에, 판매시에 상기 체인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슈트의 상방을 해당 슈트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해당 슈트 상으로 낙하한 상품을 후방으로부터 가압하는 상품 압박 로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는 전방이 올라가도록 경사진 베이스와, 이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된 완충 부재와, 이 완충 부재를 거쳐서 상기 베이스에 부착된 슈트 플레이트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고는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각각 상품을 수납하는 복수의 상품 통로로 구획되고, 각 상품 통로는 상품을 불출하기 위한 복수의 불출구를 하단부에 갖고 있고,
    판매 종료후에 상기 상품 압박 로드를 상기 슈트 상방의 상기 복수의 불출구를 회피한 소정의 정지 위치에 정지시키는 로드 정지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정지 수단은 상기 상품 압박 로드가 소정 위치에 위치했을 때 온/오프 절환되도록 구성되고, 그 온/오프 절환에 의해서 상기 구동원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상품 압박 로드를 상기 소정의 정지 위치에 정지시키는 정지 제어 스위치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압박 로드는 상기 체인의 주위 방향을 따라서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품 압박 로드로 구성되고,
    이 복수의 상품 압박 로드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소정의 정지 위치에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KR10-2001-0016738A 2000-03-31 2001-03-30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KR100374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96877A JP2001283312A (ja) 2000-03-31 2000-03-31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00-096877 2000-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130A true KR20010095130A (ko) 2001-11-03
KR100374758B1 KR100374758B1 (ko) 2003-03-04

Family

ID=18611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738A KR100374758B1 (ko) 2000-03-31 2001-03-30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99623B2 (ko)
JP (1) JP2001283312A (ko)
KR (1) KR100374758B1 (ko)
CN (1) CN116281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4004878A (es) * 2001-11-23 2004-09-03 Chirnomas Munroe Maquina y metodos para vender articulos.
JP5987271B2 (ja) * 2011-06-06 2016-09-07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制御装置
CN103903350A (zh) * 2012-12-28 2014-07-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自动售货机出货机构
CN104252739B (zh) * 2013-06-28 2016-09-21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自动售货机的出货装置
WO2016084598A1 (ja) 2014-11-28 2016-06-02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払出装置
CN107004328B (zh) * 2014-12-18 2019-07-19 富士电机株式会社 商品排出装置
KR101760288B1 (ko) * 2016-04-21 2017-07-31 이영숙 승강식 상품반출장치
CN107103691A (zh) * 2017-05-23 2017-08-29 张家口怀塑塑业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售货机推送机构
CN108335417B (zh) * 2017-12-29 2024-05-28 张飞龙 一种具有食品加工装置的自动售卖机
CN116022416B (zh) * 2023-03-28 2023-06-23 苏州银通智能科技有限公司 成人用品售货机配套用出货自动包装机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3459A (en) * 1981-07-24 1984-11-20 Mars Limited Dispensing machine
US5318200A (en) * 1992-06-01 1994-06-07 Cabot Safety Corporation Earplug dispenser
JP3624644B2 (ja) 1997-08-12 2005-03-02 三菱化学株式会社 光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4758B1 (ko) 2003-03-04
JP2001283312A (ja) 2001-10-12
CN1348155A (zh) 2002-05-08
CN1162810C (zh) 2004-08-18
US6499623B2 (en) 2002-12-31
US20020014494A1 (en) 200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66241B1 (en) Vending machine which minimises agitation of goods
US6286715B1 (en) Transparent front vending machine
US3039583A (en) Refrigeration and dispensing of containers of matter and issuing a refund for empty containers
KR100374758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JPH05174239A (ja) 自動販売機
JPH0927066A (ja) 自動販売機
JP2002092725A (ja) 自動販売機
JP4904875B2 (ja) 商品搬送装置および自動販売機
JPH11154266A (ja) 自動販売機
KR100370721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JP3468083B2 (ja) 自動販売機
KR100389994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JP2774699B2 (ja) 販売機
JP3199635B2 (ja) 自動販売機
JP3959942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07287125A (ja) 自動販売機
JP4419314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JP2007148600A (ja) 自動販売機の制御方法
JP2001307207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3835002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02150377A (ja) 自動販売機
JP4811071B2 (ja) 自動販売機
JP2009288983A (ja) 商品搬出装置
JPH11232539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搬出装置
JPH06290340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