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0889A -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0889A
KR20150060889A KR1020157010595A KR20157010595A KR20150060889A KR 20150060889 A KR20150060889 A KR 20150060889A KR 1020157010595 A KR1020157010595 A KR 1020157010595A KR 20157010595 A KR20157010595 A KR 20157010595A KR 20150060889 A KR20150060889 A KR 20150060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data
sample
electronic manu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0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605B1 (ko
Inventor
고지 아마노
사토시 우도
히카루 사카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60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4Tree-structured documents
    • G06F40/143Markup, e.g.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GML] or Document Type Definition [DT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8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emi-structured data, e.g. markup language structured data such as SGML, XML or HTML
    • G06F16/8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23Storage fac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3User-generated data transfer, e.g. clipboards, dynamic data exchange [DDE], object linking and embedding [OL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3Plc programming
    • G05B2219/13129Automatic documentation of progr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54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by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74Form filling; Mer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3Help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제어 장치에 관한 샘플 프로그램을 가지는 전자 메뉴얼을 표시부(12)상의 전자 메뉴얼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14)와, 제어 장치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프로그램 작성 화면을 표시부(12)상에 표시하는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와,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선택되는 전자 메뉴얼 중의 샘플 프로그램을 카피하여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프로그램 카피부(15)를 구비하고,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는 기억된 샘플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작성 화면에서 편집 가능한 형식으로 프로그램 작성 화면 내에 붙여 넣는다.

Description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및 시스템{ELECTRONIC MANUAL VIEWING DEVICE AND SYSTEM}
본 발명은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에는 주변 기기 등의 전자 기기가 접속되고, 또 컴퓨터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인스톨된다. 그 때문에, 종래에는, 컴퓨터의 메뉴얼(취급 설명서) 외, 각 전자 기기와 각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메뉴얼이 독립하여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컴퓨터와 각 전자 기기와 각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메뉴얼을, 컴퓨터상에서 서로 관련지어, 협조하여 열람할 수 있는 전자 메뉴얼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3-271662호 공보
그런데, FA(Factory Automation) 시스템을 구성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등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도, 메뉴얼은 PDF 파일 등의 형식으로 전자화되어 있다. 이 전자화된 메뉴얼에는, 제어 장치의 설정 방법과 사용 방법 외, 래더 언어 등 간단하고 쉬운 텍스트로는 기술할 수 없는 언어의 샘플 프로그램도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샘플 프로그램은, 카피하여 제어 장치에 대한 설정 등을 행하는 엔지니어링 툴에 붙여 넣을(paste) 수 없었다. 그 때문에, 수작업으로 입력할 필요가 있어, 시간도 걸릴 뿐만 아니라 입력 미스를 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자 메뉴얼로부터 간단하고 쉬운 텍스트로는 기술할 수 없는 프로그램 언어에 관한 샘플 프로그램을,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로 붙여 넣은 것이 가능한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및 시스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는, 제어 장치에 관한 샘플 프로그램을 가지는 전자 메뉴얼을 표시 수단상의 전자 메뉴얼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 수단과, 상기 제어 장치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프로그램 작성 화면을 상기 표시 수단상에 표시하는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 수단과,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선택되는 상기 전자 메뉴얼 중의 상기 샘플 프로그램을 카피하여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프로그램 카피 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 수단은, 기억된 상기 샘플 프로그램을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에서 편집 가능한 형식으로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 내에 붙여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 수단으로 표시된 전자 메뉴얼 중의 샘플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 수단으로 편집 가능한 형식으로 프로그램 작성 화면상에 붙여 넣도록 했으므로, 유저는 전자 메뉴얼 중의 샘플 프로그램을 유용하여, 제어 장치에 관한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작업으로 입력하는 시간을 삭감할 수 있고, 입력 미스를 막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의한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전자 메뉴얼 데이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래더 프로그램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의한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의한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2에 의한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2에 의한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2에 의한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샘플 프로그램의 구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3에 의한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3에 의한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4에 의한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4에 의한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4에 의한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5에 의한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5에 의한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전자 메뉴얼 열람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6에 의한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시스템 구성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 6에 의한 샘플 프로그램의 갱신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및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들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의 설명으로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등의 제어 장치에 관한 전자 메뉴얼을 열람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의한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10)는 입력부(11)와, 표시부(12)와, 전자 메뉴얼 데이터 격납부(13)와,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14)와, 프로그램 카피부(15)와,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와,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와, 이들 각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8)를 구비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전자 메뉴얼에 있어서의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를 수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처리부만을 표시하고 있다.
입력부(11)는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10)에 대해서 유저로부터의 처리 커맨드나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기능을 가진다. 입력부(11)로서, 키보드, 포인팅 디바이스 등을 들 수 있다. 표시부(12)는,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10)가 전자 메뉴얼의 내용이나 프로그램의 내용을 유저에 대해서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표시부(12)로서, 액정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와 표시부(12)로서, 태블릿 단말과 같이, 표시부(12)와 입력부(11)를 조합시킨 터치 패널 식의 입력 장치를 이용해도 좋다.
전자 메뉴얼 데이터 격납부(13)는 제어 장치의 전자 메뉴얼 데이터를 격납하고 있다. 이 전자 메뉴얼 데이터는, 예를 들어 EPUB(Electronic PUBlication)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전자 메뉴얼 데이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자 메뉴얼 데이터는 전자 메뉴얼 데이터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와, 전자 메뉴얼 데이터의 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뉴얼 내용 정보를 포함한다.
속성 정보는 전자 메뉴얼의 기종 선정 메뉴에 표시시키는 제어 장치의 제품의 기종, 형명(type name) 등의 제품 특정 정보, 메뉴얼의 언어, 버전 등의 메뉴얼의 속성을 나타내는 메뉴얼 속성 정보, 제품 특정 정보 중의 형명과 전자 메뉴얼 데이터를 대응시킨 제품-메뉴얼 대응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들 각 정보에는, 전자 메뉴얼 데이터를 특정하는 고유한 식별자인 메뉴얼명 ID가 포함되어, 서로 관련지어져 있다. 이 속성 정보에 의해서, 제어 장치의 제품의 형명을 선택하면, 대응하는 전자 메뉴얼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메뉴얼 내용 정보에는, 원고 데이터(document data)와 일러스트 데이터(illustration data)와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sample program data) 등이 포함된다. 각 데이터에는 메뉴얼명 ID가 첨부되어 있다. 원고 데이터는 전자 메뉴얼의 내용을 텍스트로 표시한 것이다. 이 원고 데이터 내에는, 일러스트 데이터와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를 표시시키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 원고 데이터는 예를 들어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작성된다. 일러스트 데이터는 전자 메뉴얼 내에서 표시시키는 화상 데이터이고, 샘플 프로그램은 전자 메뉴얼 내에서 표시시키는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이다. 일러스트 데이터와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는, 원고 데이터 내에서의 삽입 위치(embedding position)가 원고 데이터에 규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원고 데이터가 판독되어 표시부(12)에 표시될 때에, 규정되는 일러스트 데이터 또는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가 메뉴얼 내용 정보로부터 판독되어, 원고 데이터로 규정되는 크기 등의 정보에 따라서 표시부(12)에 표시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 1의 샘플 프로그램은 래더 프로그램 등이 간단하고 쉬운 텍스트로는 기술할 수 없는 프로그램이다. 이하에서는, 샘플 프로그램으로서, 래더 프로그램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반적인 제어 장치의 전자 메뉴얼에 포함되는 샘플 프로그램은, 래더 프로그램의 화상 데이터를 붙여 넣은 것이다. 그 때문에, 이러한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어 제어 장치의 프로그래밍을 행하는 엔지니어링 툴에 붙여 넣었다고 하더라도, 프로그램의 내용을 얻을 수 것은 아니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편집을 행할 수 없다. 이에, 이 실시 형태 1에서는, 래더도 형식(ladder graphic form)으로 표시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프로그램의 내용도 포함하는 XML 형식으로 기술한 샘플 프로그램을 이용하도록 한다.
도 3은 래더 프로그램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일반적인 래더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a)의 래더 프로그램을 XML 형식으로 기술한 파일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a)에 나타내진 것처럼, 래더 프로그램(300)은, 일반적으로, 입력측 모선(301)과 출력측 모선(302)의 사이에 접점 기호나 코일 기호 등의 기호 311~316을 기술하고, 기호간을 수평 접속선으로 접속한 것이다. 도 3 (a)에서는, 래더 프로그램(300)의 일부 내용을 표시상 단순화한 펑션 블록(313, 314)도 포함되어 있다.
한편, 도 3 (b)는 XML 형식으로 기술된 프로그램(320)이고, 도 3 (a)의 래더 프로그램(300)을 표시부(12)상에 묘화(rendering)시키는 내용이다. 또, 묘화하는 조건이 기술된 시각 표시 기술부만이 아니라, 프로그램의 내용이 기술된 내용 기술부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블록(321)은, 도 3 (a)의 입력측 모선(301)을 기술하는 내용이고, 블록(322)은 도 3 (a)의 접점(311)을 기술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또, 이 중 행 323의 「localID="6"」과 「negated="true"」는 프로그램에 관한 기술이고, 「localID="6"」은 접점에 마련된 식별자를 의미하고, 「negated="true"」는 B접점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추가로, 「width="15"」와 「height="2"」는 묘화에 관한 기술이다. 이와 같이 XML 형식으로 기술된 프로그램(320)에는, 묘화에 관한 시각 표시 기술부와, 프로그램의 내용에 관한 내용 기술부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XML 형식으로 프로그램(320)을 기술하는 경우에는, XML Schema에, 프로그램의 구조가 정의되어 있다.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14)는 전자 메뉴얼 데이터 격납부(13) 중의 전자 메뉴얼 데이터를 표시부(12)에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속성 정보로부터 원하는 형명의 전자 메뉴얼을 전자 메뉴얼 데이터 격납부(13)로부터 취득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 샘플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XML 형식으로 기술된 파일의 묘화에 관한 기술을 판독하여, 표시부(12)상에 묘화하는 기능을 가진다.
프로그램 카피부(15)는,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14)에 의해서 표시부(12)상에 전자 메뉴얼 내의 샘플 프로그램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저에 의해서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 지시가 발행되었을 경우에, 샘플 프로그램을 카피하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카피 대상을 선택하여,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에 기억한다.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는 프로그램 카피부(15)에 의해서 선택된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는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14)에 의한 전자 메뉴얼의 표시 처리와는 별도로, 표시부(12) 상에 프로그램 작성 화면을 표시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유저는, 표시부(12)에 표시되는 프로그램 작성 화면상에서, 프로그램의 작성이나 편집 등의 처리를 행하고,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는 그 처리를 표시부(12) 상에 반영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는, 표시부(12)상에서 프로그램 작성 화면이 액티브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입력부(11)로부터 유저에 의해서 입력되는 내용을, 프로그램 작성 화면상에 반영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그램 카피부(15)로 샘플 프로그램을 카피한 후에, 그 샘플 프로그램의 붙여 넣기(paste) 명령이 발행되었을 경우에,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에 기억되어 있는 샘플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작성 화면에 붙여 넣는 처리를 행한다. 또, 프로그램 작성 화면에 표시된 샘플 프로그램의 편집이 지시된 경우에는, 그 지시를 반영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14)는, 예를 들어 전자 메뉴얼 뷰어에 상당하고,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는 제어 시스템(제어 장치)의 설정이나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의 작성 등의 처리를 행하는 엔지니어링 툴에 상당한다. 또, 프로그램 카피부(15)는 전자 메뉴얼 뷰어에 탑재되는 기능이어도 좋고, 엔지니어링 툴 측에 탑재되는 기능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의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10)에 있어서의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의한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는 실시 형태 1에 의한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유저에 의한 입력부(11)로부터의 입력에 의해서, 전자 메뉴얼 데이터 중의 샘플 프로그램의 표시가 지시되면(스텝 S11),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14)는 전자 메뉴얼 데이터 격납부(13)의 전자 메뉴얼 데이터(500)로부터 대응하는 XML 형식의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501)를 판독하여, 표시부(12)에 묘화한다(스텝 S12). 이것에 의해서, 전자 메뉴얼 표시 화면(510)에는, 샘플 프로그램이 표시된다.
그 다음으로, 유저에 의해서 입력부(11)를 통해서 표시부(12)에 표시된 전자 메뉴얼 표시 화면(510)상에서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하는 범위의 선택이 행해지고(스텝 S13), 샘플 프로그램의 선택된 범위의 카피가 지시된다(스텝 S14). 프로그램 카피부(15)는 카피 대상이, 샘플 프로그램의 일부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5). 즉, 표시부(12)에 표시된 샘플 프로그램의 일부가 선택되었는지, 그렇지 않으면 샘플 프로그램 전체가 선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카피 대상이 샘플 프로그램의 일부인 경우(스텝 S15에서 Yes인 경우)에는, 프로그램 카피부(15)는 표시부(12)상에 표시된 샘플 프로그램 중의 선택된 내용을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에 일시적으로 기억한다(스텝 S16).
또, 카피 대상이 샘플 프로그램의 일부가 아닌 경우, 즉 샘플 프로그램의 전체인 경우(스텝 S15에서 No인 경우)에는, 프로그램 카피부(15)는 전자 메뉴얼 데이터 격납부(13) 중으로부터 표시되고 있는 샘플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파일(샘플 프로그램 데이터)의 내용을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에 일시적으로 기억한다(스텝 S17).
그 후, 또는 스텝 S16 후, 유저에 의해서 입력부(11)를 통해서, 카피한 샘플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작성 화면(520)상으로의 붙여 넣기 처리의 지시가 행해진다(스텝 S18).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는 표시부(12)상에 표시되고 있는 프로그램 작성 화면(520)상의 유저에 의해서 지정되는 위치에,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에 기억된 샘플 프로그램을 붙여 넣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19). 그리고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는 카피된 XML 형식의 파일을 판독하고, 프로그램 작성 화면(520)상에 예를 들어 래더 형식의 프로그램(521, 522)을 표시한다(스텝 S20). 이상에 의해서,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가 종료된다. 또, 유저는 프로그램 작성 화면(520)상에서, 붙여 넣은 샘플 프로그램을 임의로 편집 가능해진다.
또한, 스텝 S19에서 프로그램 작성 화면(520)상에 샘플 프로그램을 붙여 넣어 표시시킬 때에, 래더 프로그램(521) 그대로 표시할지, 그렇지 않으면 펑션 블록(522)으로 변환하여 표시할지를 유저에 의해서 선택 가능하게 해도 좋다. 펑션 블록(522)으로 변환하는 경우에는, 카피되는 샘플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펑션 블록을 미리 등록해 두면 좋다. 그리고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가, 표시하는 샘플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펑션 블록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대응하는 샘플 프로그램의 부분을 펑션 블록(522)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면 된다.
종래에는, 제어 장치 등의 전자 메뉴얼은, 통상의 종이 매체로 작성된 메뉴얼을 PDF(Portable Document Format) 형식의 파일로 한 것이 일반적이다. 또, 거기에 포함되는 제어 장치의 샘플 프로그램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래더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래더 프로그램을 도형으로서 나타내는 것이고, 프로그램의 편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형식의 것은 아니었다. 이것은, 제어 장치 등에서 사용되는 간단하고 쉬운 텍스트로는 기술할 수 없는 언어의 프로그램 일반에 대해서 같았었다. 즉, 종래의 전자 메뉴얼에 포함되는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는, 시각상 표현되는 것이며,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내용을 편집할 수 없기 때문에, 유저는 화상화된 데이터를 참조하면서, 프로그램 작성 화면에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처리를 행하고 있었다.
한편, 이 실시 형태 1에서는, 제어 장치의 전자 메뉴얼에 포함되는 간단하고 쉬운 텍스트로는 기술할 수 없는 언어에 의해서 구성되는 샘플 프로그램을, 표시부(12)에 묘화시키는 기술과 프로그램 중의 파라미터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XML 형식의 파일로 기술했다. 이것에 의해서, 표시부(12)에 전자 메뉴얼 중의 샘플 프로그램이 표시되어 있을 때, 그 샘플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표시부(12) 중의 프로그램 작성 화면에 프로그램으로서 붙여 넣은 후에, 프로그램 작성 화면에서 붙여 넣은 샘플 프로그램을 편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유저는,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10)로, 전자 메뉴얼로부터 카피하여 붙여 넣은 샘플 프로그램을 편집함으로써,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 유저는 전자 메뉴얼 중의 샘플 프로그램을 유용하여, 제어 장치에 관한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으므로, 수작업으로 입력하는 시간을 삭감시킬 수 있어, 입력 미스를 막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XML 형식의 샘플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지만, 제어 장치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의 내용 등을 정의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프로그램의 내용을 묘화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형식의 샘플 프로그램이라도 좋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전자 메뉴얼 중의 래더 프로그램을 XML 형식의 파일로 기술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전자 메뉴얼 중의 래더 프로그램을, 표시부에 표시시키기 위한 데이터와, 실제의 프로그램의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구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실시 형태 2에 의한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130)는, 전자 메뉴얼 중에 표시되는 샘플 프로그램의 실제 내용이며, 바이너리 형식의 프로그램 데이터(131)를 가진다. 또, 전자 메뉴얼 데이터의 일러스트 데이터(132)로서, 전자 메뉴얼 중에 샘플 프로그램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인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133)를 가진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133)와 프로그램 데이터(131)는 다른 파일에 의해서 구성되고, 서로 관련지어져 있다. 예를 들어, 속성 정보 중에서 2개의 데이터(파일)를 관련지어도 좋고, 원고 데이터 중에 일러스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정의함으로써 관련지어도 좋다.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14)로 샘플 프로그램을 표시부(12)에 표시할 때, 일러스트 데이터(132)인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133)가 이용되고,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 시에는, 표시되고 있는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133)에 관련지어져 있는 프로그램 데이터(131)가 카피된다.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다만,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14)는, 전자 메뉴얼의 샘플 프로그램을 표시할 때에는,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133)를 판독해서 표시한다. 또, 프로그램 카피부(15)는, 입력부(11)로부터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의 지시를 받으면, 현재 표시중인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133)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데이터(131)를 전자 메뉴얼 데이터 격납부(13)로부터 추출하여, 그 프로그램 데이터(131)를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에 기억한다. 또한, 실시 형태 2에서는,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133)는 화상 데이터이고, 표시되고 있는 내부의 정보를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유저는 카피 범위로서 샘플 프로그램 전체를 선택한다.
추가로,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는 화상 형식이 아닌 프로그램 데이터(131)로부터 래더 프로그램 등의 형식의 프로그램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는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에 기억된 프로그램 데이터(131)의 프로그램 작성 화면으로의 붙여 넣기 지시가 발행되었을 경우에는, 프로그램 작성 화면의 소정의 위치에, 프로그램 데이터(131)로부터 생성한 래더 프로그램을 붙여 넣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그 외의 구성요소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의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에 있어서의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실시 형태 2에 의한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8은 실시 형태 2에 의한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유저에 의한 입력부(11)로부터의 입력에 의해서, 전자 메뉴얼 중의 샘플 프로그램의 표시가 지시되면(스텝 S31),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14)는 전자 메뉴얼 데이터 격납부(13)로부터 대응하는 샘플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133)를 판독하여, 표시부(12)에 묘화한다(스텝 S32). 이것에 의해서, 전자 메뉴얼 표시 화면(810)이 표시부(12)에 표시된다.
그 다음으로, 유저에 의해서 입력부(11)를 통해서 표시부(12)의 전자 메뉴얼 표시 화면(810)에 표시된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가 지시된다(스텝 S33). 여기에서는, 카피의 대상은 샘플 프로그램의 전체가 된다.
그 후, 프로그램 카피부(15)는 표시부(12)상에 표시된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133)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데이터(131)를 전자 메뉴얼 데이터 격납부(13) 중에서 판독하여,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에 기억한다(스텝 S34).
그 다음으로, 유저에 의해서 입력부(11)를 통해서, 카피한 프로그램 데이터(131)의 프로그램 작성 화면(820)상으로의 붙여 넣기 처리의 지시가 행해진다(스텝 S35).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는 표시부(12)상에 표시되고 있는 프로그램 작성 화면(820)상의 유저에 의해서 지정되는 위치에,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에 기억된 샘플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데이터(131)를 붙여 넣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36). 이때,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는 카피된 바이너리 형식의 프로그램 데이터(131)를 판독하고, 래더 프로그램으로 변환하여, 프로그램 작성 화면(820)상에 래더 프로그램(821)을 표시한다(스텝 S37). 이상에 의해서,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가 종료된다.
또한, 스텝 S37에서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가 프로그램 데이터(131)를 표시부(12)에 표시시킬 때, 래더 프로그램(821)으로서 표시할지, 프로그램 데이터(131) 중의 일부를 펑션 블록(822)으로 변환하여 표시할지를 유저에 의해서 선택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프로그램 데이터(131)가 바이너리 데이터인 경우를 설명했지만, 프로그램 데이터(131)가 텍스트 데이터여도 좋다. 또, 상기한 설명에서는,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133)와 프로그램 데이터(131)를 다른 파일로서 관련짓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프로그램 데이터(131)를 바이너리 데이터로 함으로써, 양자를 1개의 파일에 통합(integrate)할 수도 있다.
도 9는 샘플 프로그램의 구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a)는,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130)가 텍스트 형식의 프로그램 데이터(130a)인 경우이다. 이 경우에도, 도 6과 같이, 메뉴얼 내용 정보의 일러스트 데이터(132)에는, 프로그램 데이터(130a)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인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133)가 준비된다.
도 9 (b)와 (c)는,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130)(파일)가, 샘플 프로그램을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화상 데이터인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134b)와, 샘플 프로그램의 내용인 프로그램 데이터(131b)로 구성되는 경우이다. 도 9 (b)와 (c)의 차이는,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130)(파일) 내에서의 데이터의 배열 순서(arrangement order)이다. 이들 경우에는,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14)가 샘플 프로그램을 표시할 때,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130) 내의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134b)를 판독하기 때문에, 도 6이나 도 9 (a)의 경우와 같이 일러스트 데이터에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를 준비할 필요는 없다. 또, 프로그램 카피부(15)는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의 지시가 있으면,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130) 중의 프로그램 데이터(131b)를 카피하게 된다.
이 실시 형태 2에 의해서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1, 2에서는, 샘플 프로그램이 간단하고 쉬운 텍스트로는 기술할 수 없는 프로그램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경우의 카피의 방법에 대해 설명했다. 이 실시 형태 3에서는, 샘플 프로그램이 텍스트로 기술된 텍스트 프로그램인 경우의 카피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 3에서 대상으로 하는 샘플 프로그램은, Structured Text(ST) 형식이나 Instruction List(IL) 형식 등으로 표현되는 텍스트 프로그램이다.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다만, 프로그램 카피부(15)는 카피된 텍스트 프로그램의 태그에 텍스트 프로그램의 형식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속성 정보도 카피한다. 또, 속성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유저로부터 입력부(11)를 통해서 선택되는 속성 정보를 카피한다. 이 선택의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원고 데이터의 샘플 프로그램이 삽입되는 위치에, 텍스트 프로그램의 속성 정보(ST 형식이나 IL 형식 등)를 나타내는 버튼을 마련해 두고, 샘플 프로그램을 카피할 때 그 버튼을 유저가 선택하게 하는 방법이나, 샘플 프로그램을 선택할 때 전자 메뉴얼 표시 화면에 텍스트 프로그램의 형식을 선택할 수 있는 확장 메뉴를 표시시키고, 그 중에서 유저가 선택하게 하는 방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는 카피된 텍스트 프로그램을 텍스트 형식으로 또는 래더 프로그램 형식으로 프로그램 작성 화면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이때, 텍스트 프로그램에 부가되어 있는 속성 정보에 따라서, 텍스트 프로그램을 해석한다. 또한, 그 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의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에 있어서의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 형태 3에 의한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1은 실시 형태 3에 의한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유저에 의한 입력부(11)로부터의 입력에 의해서, 전자 메뉴얼 중의 샘플 프로그램의 표시가 지시되면(스텝 S51),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14)는 전자 메뉴얼 데이터 격납부(13)로부터 대응하는 샘플 프로그램의 텍스트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표시부(12)에 묘화한다(스텝 S52). 이것에 의해서, 전자 메뉴얼 표시 화면(1100)에는, 텍스트 형식의 샘플 프로그램이 표시된다.
그 다음으로, 유저에 의해서 입력부(11)를 통해서 표시부(12)에 표시된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가 지시된다(스텝 S53). 여기에서는, 카피의 대상은 샘플 프로그램의 전체여도 좋고, 일부여도 좋다.
그 후, 프로그램 카피부(15)는 표시부(12)상에 표시되고, 유저에 의해서 선택된 텍스트 프로그램을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에 기억한다(스텝 S54).
또, 프로그램 카피부(15)는 카피한 텍스트 프로그램에 속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55). 속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스텝 S55에서 Yes인 경우)에는, 속성 정보가 텍스트 프로그램에 부여된다(스텝 S56). 또, 속성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스텝 S55에서 No인 경우)에는, 유저에 의해서 선택된 텍스트 프로그램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고(스텝 S57), 그 속성 정보가 텍스트 프로그램에 부여된다(스텝 S58).
그 후 또는 스텝 S56의 후, 유저에 의해서 입력부(11)를 통해서, 카피한 샘플 프로그램(텍스트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작성 화면(1110)상으로의 붙여 넣기 처리의 지시가 행해진다(스텝 S59).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는 표시부(12)상에 표시되고 있는 프로그램 작성 화면(1110)상의 유저에 의해서 지정되는 위치에,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에 기억된 샘플 프로그램의 텍스트 프로그램을 붙여 넣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60). 그리고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는 카피된 텍스트 프로그램과 그 속성 정보를 판독하여, 프로그램 작성 화면(1110)상에 프로그램을 표시한다(스텝 S61). 이때,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는 텍스트 프로그램(1111) 그대로를 표시해도 좋고,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텍스트 프로그램의 형식을 판별하여, 그 결과에 기초하여 판독한 텍스트 프로그램을 변환하여 래더 프로그램 또는 펑션 블록을 포함하는 래더 프로그램(1112)으로서 표시해도 좋다. 이상에 의해서,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가 종료된다.
이 실시 형태 3에 의해서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4.
실시 형태 4는 전자 메뉴얼에 포함되는 샘플 프로그램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래더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4에 의한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실시 형태 4에 의한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10)는, 실시 형태 1의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10)에 있어서, 프로그램 카피부(15)에 의해 카피된 샘플 프로그램의 화상 데이터인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를 판독하여, 프로그램 데이터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데이터 변환부(19)를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프로그램 데이터 변환부(19)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적인 처리를 행한다. 즉, 프로그램 카피부(15)에 의해 카피된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의 상위 수평 접속선에서부터 차례로 그 구성요소를 판독해 가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최상위 수평 접속선에 대해서, 왼쪽에서 오른쪽을 향해서, 래더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입력측 모선, 수평 접속선, 기호(접점 기호, 코일 기호 등), 기호상에 기재된 문자 등의 부품을 차례로 판별해 가서,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그리고 우측의 출력측 모선에 도달하면 다음 수평 접속선에 대해 동일하게 판별 처리를 행하는 처리를, 선택된 범위의 래더 프로그램의 수평 접속선에 대해 행한다. 또한, 작성하는 프로그램으로서는, 판독원의 화상 데이터에 나타내지는 래더 프로그램과 같은 부품을 사용하여 조립(ssemble)하는 래더 프로그램으로 해도 좋고, 판독한 기호를 처리 명령으로 변환한 IL 형식이나 ST 형식의 텍스트 프로그램으로 해도 좋고, 다른 형식의 프로그램으로 해도 좋다. 프로그램 데이터 변환부(19)에 의한 프로그램의 변환 처리는,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에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가 기억되고 나서 행해져도 좋고, 유저에 의해서 입력부(11)를 통해서 붙여 넣기 지시가 나오고 나서 행해져도 좋다.
전자 메뉴얼 데이터 격납부(13)는 샘플 프로그램을 화상화한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를 일러스트 데이터로서 유지하고 있지만, 샘플 프로그램의 내용인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에 대해서는 유지하고 있지 않다.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는 프로그램 카피부(15)에 의해서 카피되는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함과 아울러, 프로그램 데이터 변환부(19)에 의해서 변환된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억한다.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는 프로그램 데이터 변환부(19)로 변환되어,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에 기억된 프로그램 데이터를 표시부(12)의 프로그램 작성 화면상에 붙여 넣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그 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의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에 있어서의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실시 형태 4에 의한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4는 실시 형태 4에 의한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유저에 의한 입력부(11)로부터의 입력에 의해서, 전자 메뉴얼 중의 샘플 프로그램의 표시가 지시되면(스텝 S71),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14)는 전자 메뉴얼 데이터 격납부(13)로부터 대응하는 샘플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를 판독하여, 표시부(12)에 묘화한다(스텝 S72). 이것에 의해서, 전자 메뉴얼 표시 화면(1400)에는,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가 표시된다.
그 다음으로, 유저에 의해서 입력부(11)를 통해서 표시부(12)에 표시된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가 지시된다(스텝 S73). 여기에서는, 카피의 대상은 샘플 프로그램의 전체여도 좋고, 일부여도 좋다.
그 후, 프로그램 카피부(15)는 표시부(12)상에 표시되고, 유저에 의해서 선택된 샘플 프로그램의 화상 데이터를 카피하여,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에 일시적으로 기억한다(스텝 S74).
그 다음으로, 유저에 의해서 입력부(11)를 통해서, 카피한 샘플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작성 화면(1410)상으로의 붙여 넣기 처리의 지시가 행해진다(스텝 S75). 붙여 넣기 처리의 지시를 받으면, 프로그램 데이터 변환부(19)는 프로그램 카피부(15)에 카피된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에 포함되는 래더 프로그램에 대해서, 1개의 수평 접속선을 단위로 하여, 최상위의 수평 접속선에서부터 차례로 부품을 판독하여, 프로그램으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변환 처리를 행한다(스텝 S76). 변환된 프로그램 데이터는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에 기억된다. 또한, 프로그램으로의 변환은, 붙여 넣기 처리의 지시가 발행된 후에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에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가 기억되고 나서 실행되도록 해도 좋다.
그 후,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는 표시부(12)상에 표시되고 있는 프로그램 작성 화면(1410)상의 유저에 의해서 지정되는 위치에, 프로그램 데이터 변환부(19)에 의해서 변환된 샘플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붙여 넣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77). 그리고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는 프로그램 데이터 변환부(19)로부터 취득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표시부(12)의 프로그램 작성 화면(1410)상에 표시한다(스텝 S78). 이때,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는, 프로그램 작성 화면(1410)에 프로그램 데이터를 표시할 때,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변환된 래더 프로그램(1411)을 그대로의 형식으로 표시해도 좋고, 펑션 블록을 포함하는 래더 프로그램(1412)으로 변환하여 표시해도 좋다. 이상에 의해서,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가 종료된다.
이 실시 형태 4에 의해서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5.
실시 형태 5도, 실시 형태 4와 마찬가지로 전자 메뉴얼에 포함되는 샘플 프로그램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래더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의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실시 형태 5에서는, 전자 메뉴얼 데이터 격납부(13)에 격납되는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로서 샘플 프로그램을 시각상 표시하는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에 전자 워터마크(electronic watermark)의 방법으로 프로그램의 내용인 프로그램 데이터가 내장된 프로그램 첨부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program-attached data for program display)를 이용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의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에 있어서의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실시 형태 5에 의한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6은 실시 형태 5에 의한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유저에 의한 입력부(11)로부터의 입력에 의해서, 전자 메뉴얼 중의 샘플 프로그램의 표시가 지시되면(스텝 S91),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14)는 전자 메뉴얼 데이터 격납부(13)로부터 대응하는 샘플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첨부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를 판독하여, 표시부(12)에 묘화한다(스텝 S92). 이것에 의해서, 표시부(12)에는, 프로그램 첨부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를 가지는 전자 메뉴얼 표시 화면(1600)이 표시된다.
그 다음으로, 유저에 의해서 입력부(11)를 통해서 표시부(12)에 표시된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가 지시된다(스텝 S93). 여기에서는, 카피의 대상은 샘플 프로그램의 전체여도 좋고, 일부여도 좋다.
그 후, 프로그램 카피부(15)는 유저에 의해서 선택된 범위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프로그램 첨부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로부터 취득하고(스텝 S94), 취득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에 기억한다(스텝 S95). 이때, 프로그램 카피부(15)는 프로그램 첨부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에 내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데이터 중, 유저에 의해서 선택된 범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 다음으로, 유저에 의해서 입력부(11)를 통해서, 카피한 샘플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작성 화면(1610)상으로의 붙여 넣기 처리의 지시가 행해진다(스텝 S96). 그 후,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는 표시부(12)상에 표시되고 있는 프로그램 작성 화면(1610)상의 유저에 의해서 지정되는 위치에,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에 기억된 샘플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붙여 넣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97).
그리고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는 프로그램 데이터 변환부(19)로부터 취득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프로그램 작성 화면(1610)중에 표시한다(스텝 S98). 이때, 카피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래더 프로그램(1611)으로서 표시해도 좋고, 펑션 블록을 가지는 래더 프로그램(1612)로서 표시해도 좋고, 다른 형식으로 표시해도 좋다. 이상에 의해서,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 처리가 종료된다.
이 실시 형태 5에 의해서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 1~5에서는, 전자 메뉴얼은,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10)에 있는 경우를 전제로 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메뉴얼 데이터 격납부(13)를 전자 메뉴얼 격납 서버상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전자 메뉴얼 열람 시스템에서,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10)가 전자 메뉴얼 격납 서버에 액세스하여 전자 메뉴얼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17은 전자 메뉴얼 열람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10)와, 전자 메뉴얼 데이터 격납부(31)를 가지는 전자 메뉴얼 격납 서버(30)가 네트워크(40)를 통해서 접속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10)의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는, 브라우저와 같이 전자 메뉴얼 격납 서버(30) 중의 전자 메뉴얼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의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의 방법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를 지시함과 아울러, 샘플 프로그램의 장소를 나타내는 네트워크상의 위치(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을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에 통지하는 버튼을 전자 메뉴얼상(원고 데이터)에 마련해도 좋다. 이러한 예에서는, 버튼이 프레스되면,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14)로부터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에 URL이 전달되고, 프로그램 카피부(15)는 지정된 URL에 있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카피하여, 프로그램 작성 화면에 붙여 넣는다.
이 밖에도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를 지시함과 아울러, 샘플 프로그램의 장소로부터 프로그램 데이터를 취득하는 버튼을 전자 메뉴얼상(원고 데이터)에 마련해도 좋다. 이러한 예에서는, 버튼이 프레스되면,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14)는 전자 메뉴얼 격납 서버(30)에 액세스하여 샘플 프로그램을 취득하고, 전자 메뉴얼 격납 서버(30)로부터 받은 프로그램 데이터를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에 격납한다. 그리고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가 프로그램 데이터를 프로그램 작성 화면에 붙여 넣는다.
또,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에 기억된 프로그램 데이터를 프로그램 작성 화면에 붙여 넣는 방법으로서는, OS(Operating System)가 Windows(등록상표)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는, OS에 의해서 제공되는 클립보드를 이용하는 방법, 드래그 앤드 드롭을 이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추가로, 이 밖에도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14)로 표시되는 전자 메뉴얼 표시 화면에서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 버튼이 선택되면,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용의 로컬 메모리(local memory)(예를 들어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16)의 일부)에 프로그램을 부품화하여 격납해도 좋다. 또, 전자 메뉴얼 표시 화면에서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가 지시되면,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로부터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14)에 프로그램 데이터를 요구하고, 그 요구 내용이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17)용의 로컬 메모리에 격납되도록 해도 좋다.
실시 형태 6.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메뉴얼에 포함되는 샘플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작성 화면에서 이용 가능한 형태로 붙여 넣는 경우를 설명했다. 실시 형태 6에서는, 유저가 구축하고 있는 제어 시스템의 구성에 맞춘 샘플 프로그램을 가지는 전자 메뉴얼을 표시하고, 그 샘플 프로그램을 카피할 수 있는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실시 형태 6에 의한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에서는,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10)가 유저가 구축하고 있는 제어 시스템(50)과 네트워크(40)를 통해서 접속되는 경우가 나타내져 있다.
제어 시스템(50)은 베이스 유닛(51)상에, 베이스 유닛(51)에 접속(장착)되는 다른 유닛(53)으로부터의 제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연산을 행하고, 다른 유닛(53)에 대해서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제어 정보 등을 송신하는 CPU 유닛(52)과, 다른 유닛(53)이 접속된다. 다른 유닛(53)으로서, 예를 들어 위치 결정 유닛 또는 아날로그 유닛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다른 유닛(53)은 베이스 유닛(51)상에 마련되는 슬롯에 장착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베이스 유닛(51)상에서 CPU 유닛(52)에 가까운 슬롯에서부터 차례로 슬롯 번호가 할당된다.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10)는, 실시 형태 1의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10)에, 통신부(20)와, 시스템 구성 정보 취득부(21)와, 시스템 구성 설정부(22)와, 샘플 프로그램 갱신부(23)를 추가로 구비한다.
통신부(20)는 네트워크(40)를 통해서 접속되는 제어 시스템(50)과 통신을 행한다. 시스템 구성 정보 취득부(21)는 제어 시스템(50)을 구성하는 CPU 유닛(52)과 각 다른 유닛(53)(제어 장치)으로부터, 그 형명을 나타내는 유닛 번호와, 베이스 유닛(51)상에서의 장착 위치인 슬롯 번호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 정보를 취득한다.
시스템 구성 설정부(22)는 취득한 시스템 구성 정보를 판독하고, 시스템 구성 정보와, 시스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메뉴얼 데이터 격납부(13)에 격납된 전자 메뉴얼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이용해 시스템 구성 설정 화면을 작성하여, 표시부(12)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입력부(11)를 통해서 유저로부터 설정되는 내용을 포함하여, 샘플 프로그램을 시스템 구성 정보에 맞춰 갱신하는데 필요한 샘플 프로그램 갱신 정보를 생성한다.
도 19는 시스템 구성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각 유닛의 입출력 어드레스의 할당의 시스템 구성 설정 화면(1900)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시스템 구성 설정 화면(1900)에는 샘플 프로그램 갱신 정보(1910)가 포함되어 있다. 샘플 프로그램 갱신 정보(1910)는 베이스 유닛(51)이 가지는 슬롯에 붙여진 슬롯 번호를 나타내는「슬롯」(1911)과, 각 슬롯에 장착된 유닛의 타입을 나타내는「타입」(1912)과, 각 슬롯에 장착된 유닛의 형명을 나타내는「형명」(1913)과, 각 유닛이 가지는 입출력 어드레스의 개수를 나타내는「점수(number of points)」(1914)와, 각 유닛에 할당되는 선두 입출력 어드레스를 나타내는「선두 XY」(19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슬롯」(1911)과 「형명」(1913)에는, 시스템 구성 정보가 판독되었을 때에, 시스템 구성 정보의 슬롯 번호와 유닛 번호가 시스템 구성 설정부(22)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입력되어, 표시부(12)에 표시된다.
또, 시스템 구성 설정부(22)는 시스템 구성 정보 중의 유닛 번호에 대응하는 전자 메뉴얼을 검색하여, 그 전자 메뉴얼로부터 입출력 어드레스의 개수를 취득하고, 시스템 구성 설정 화면(1900)의 「점수」(1914)에 입력한다. 여기서, 전자 메뉴얼 데이터 격납부(13)는 「형명」으로부터 전자 메뉴얼 데이터를 검색 가능한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또, 전자 메뉴얼 데이터는 「형명」에 대응하는 유닛의 입출력 어드레스의 개수를 검색 가능한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추가로, 시스템 구성 설정부(22)는 CPU 유닛(52)에 가까운 쪽의 슬롯에 장착되어 있는 다른 유닛(53)의 선두 입출력 어드레스를, 입력된 「점수」(1914)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입력한다. 예를 들어, CPU 유닛(52)의 입출력 어드레스(점수)가 16(10진 표기)점이고, 선두 어드레스(선두 XY)가 「0020(16진 표기)」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슬롯 0에 장착되는 형명 「L60AD4」라고 하는 유닛의 선두 어드레스(선두 XY)는, 1개 전의 슬롯의 선두 어드레스(선두 XY) 「0020(16진 표기)」에 1개 전의 슬롯의 입출력 어드레스의 수(점수) 「16(10진 표기)」를 더한 「0030」이 된다. 또, 슬롯 1에 장착되는 형명 「LX10」이라고 하는 유닛의 선두 어드레스(선두 XY)는, 1개 전의 슬롯의 선두 어드레스(선두 XY) 「0030(16진 표기)」에 1개 전의 슬롯의 입출력 어드레스의 수(점수) 「16(10진 표기)」를 더한 「0040」이 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시스템 구성 설정 화면(1900)의 선두 어드레스(선두 XY)를 설정한다.
또한, 이 시스템 구성 설정 화면(1900)은 유저에 의한 편집이 가능하고, 선두 어드레스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유저에 의해서 「설정 종료」버튼(1920)이 선택되면, 그 때의 샘플 프로그램 갱신 정보(1910)의 내용이 보존된다.
샘플 프로그램 갱신부(23)는 시스템 구성 설정부(22)로부터 샘플 프로그램 갱신 정보(1910)를 취득하면, 그 샘플 프로그램 갱신 정보(1910)에 맞춰 전자 메뉴얼에 포함되는 샘플 프로그램을 변경하여, 갱신 샘플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또한, 실시 형태 6에서는, 샘플 프로그램은 XML 형식으로 기술된 파일인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샘플 프로그램 갱신 정보의 내용, 구체적으로는 선두 XY로 나타내지는 입출력 어드레스를, 미리 설정된 샘플 프로그램에 대입함으로써, 갱신 샘플 프로그램을 얻을 수 있다.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14)는 전자 메뉴얼을 표시부(12)에 표시하지만, 전자 메뉴얼 중의 샘플 프로그램의 표시가 지시된 경우에는, 샘플 프로그램 갱신부(23)에 의해서 갱신된 갱신 샘플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교부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실시 형태 6에 의한 시스템 구성 정보에 기초한 샘플 프로그램의 갱신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실시 형태 6에 의한 샘플 프로그램의 갱신 처리의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우선, 유저는 유닛(제어 장치)을 조합시켜 구축한 제어 시스템(50)을, 네트워크(40)를 통해서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10)와 접속한다(스텝 S111). 그 다음으로,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10)의 시스템 구성 정보 취득부(21)는 접속된 제어 시스템(50)으로부터 시스템 구성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112).
그 후, 시스템 구성 설정부(22)는 취득한 시스템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시스템 구성 설정 화면(1900)을 표시부(12)에 표시한다(스텝 S113). 이 단계에서는, 시스템 구성 설정 화면(1900)의 샘플 프로그램 갱신 정보(1910)에는, 각 슬롯 번호의 위치에 유닛 번호에 대응하는 「형명」만이 입력된 상태이다.
그 다음으로, 시스템 구성 설정부(22)는 취득한 시스템 구성 정보의 유닛 번호에 대응하는 전자 메뉴얼 데이터를 전자 메뉴얼 데이터 격납부(13)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114).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14)는 취득한 전자 메뉴얼 데이터를 표시부(12)에 표시한다(스텝 S115). 또, 시스템 구성 설정부(22)는 취득한 전자 메뉴얼로부터 입출력 어드레스의 개수를 취득하여(스텝 S116), 그 값을 시스템 설정 화면(1900)의 샘플 프로그램 갱신 정보(1910)의 「점수」(1914)에 입력한다(스텝 S117).
그 후, 시스템 구성 설정부(22)는 샘플 프로그램 갱신 정보(1910)의 1개 전의 슬롯의 「점수」(1914)와 「선두 XY」(1915)를 이용하여, 각 슬롯에 장착되는 유닛의 선두 입출력 어드레스를 계산하고(스텝 S118), 그 값을 시스템 설정 화면(1900)의 샘플 프로그램 갱신 정보(1910)의 「선두 XY」(1915)에 입력한다(스텝 S119).
그 다음으로, 유저에 의해서 설정 보존이 지시되면(스텝 S120), 시스템 구성 설정부(22)는 표시부(12)에 표시되고 있는 시스템 구성 설정 화면(1900)의 내용을 샘플 프로그램 갱신 정보로서 기억한다(스텝 S121).
그 후, 샘플 프로그램 갱신부(23)는 샘플 프로그램 갱신 정보에 따라서, 표시부(12)에 표시되고 있는 전자 메뉴얼에 포함되는 샘플 프로그램을 갱신한다(스텝 S122).
유저에 의해서 입력부(11)를 통해서 전자 메뉴얼 중의 샘플 프로그램의 표시 처리가 지시되면(스텝 S123),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14)는 갱신된 샘플 프로그램을 표시부(12)에 표시한다(스텝 S124). 이상에 의해서, 갱신된 샘플 프로그램의 표시 처리가 종료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제어 시스템(50)의 시스템 구성에 따라 변경된 샘플 프로그램을, 실시 형태 1에 기재와 같이, 카피하여 프로그램 작성 화면에 붙혀 넣을 수 있다. 다만, 이 붙여 넣기 처리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 형태 6에서는, 유저가 구축한 제어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정보를 취득하고, 시스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 장치의 전자 메뉴얼을 취득함과 아울러, 샘플 프로그램 갱신 정보를 생성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전자 메뉴얼 중의 샘플 프로그램을 갱신하여 표시했다. 이것에 의해서, 샘플 프로그램은, 유저가 구축한 제어 시스템에 기초한 것이 되어, 유저에 의한 프로그램의 작성 등의 이해가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 실시 형태 1과 조합시킴으로써, 유저는 제어 시스템에 기초하여 갱신된 갱신 프로그램을 카피하고, 이 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프로그래밍을 행하게 되므로, 입출력 어드레스 등의 파라미터의 설정을 행하는 번잡한 처리를 행하지 않고, 유저에게 프로그래밍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는, 전자 메뉴얼에 래더 프로그램을 가지는 제어 장치의 메뉴얼의 열람에 유용하다.
10: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11: 입력부,
12: 표시부, 13: 전자 메뉴얼 데이터 격납부,
14: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부, 15: 프로그램 카피부,
16: 카피 프로그램 기억부, 17: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부,
18: 제어부, 19: 프로그램 데이터 변환부,
20: 통신부, 21: 시스템 구성 정보 취득부,
22: 시스템 구성 설정부, 23: 샘플 프로그램 갱신부,
30: 전자 메뉴얼 격납 서버, 40: 네트워크,
50: 제어 시스템, 51: 베이스 유닛,
52: CPU 유닛, 53: 다른 유닛.

Claims (15)

  1. 제어 장치에 관한 샘플 프로그램을 가지는 전자 메뉴얼을 표시 수단상의 전자 메뉴얼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 수단과,
    상기 제어 장치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프로그램 작성 화면을 상기 표시 수단상에 표시하는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 수단과,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선택되는 상기 전자 메뉴얼 중의 상기 샘플 프로그램을 카피하여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프로그램 카피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 수단은, 기억된 상기 샘플 프로그램을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에서 편집 가능한 형식으로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 내에 붙여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샘플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술인 시각 표시 기술부와, 상기 프로그램의 실제 내용인 내용 기술부를 포함하고, 마크업 언어로 기술되는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이며,
    상기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 수단은, 상기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상기 시각 표시 기술부에 기초하여 상기 샘플 프로그램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고,
    상기 프로그램 카피 수단은, 상기 유저에 의해서 상기 표시 수단상에서 선택되는 상기 샘플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범위의 상기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인 선택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를 선택하여 기억하고,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 수단은, 상기 선택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 내에 붙여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 메뉴얼은, 상기 샘플 프로그램의 화상 데이터인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와, 상기 샘플 프로그램의 내용이고, 상기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와 관련지어지며, 상기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와는 다른 파일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가지고,
    상기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 수단은, 상기 샘플 프로그램을 표시할 때, 상기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프로그램 카피 수단은, 상기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가 지시되면, 상기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에 대응지어지는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 내에 붙여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는 바이너리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샘플 프로그램은, 상기 샘플 프로그램의 화상 데이터인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와, 상기 샘플 프로그램의 내용인 프로그램 데이터가 1개의 파일에 통합된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이며,
    상기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 수단은, 상기 샘플 프로그램을 표시할 때, 상기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 내의 상기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프로그램 카피 수단은 상기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가 지시되면, 상기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 내의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 내에 붙여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샘플 프로그램은 텍스트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지는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이고,
    상기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 수단은 상기 텍스트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표시하고,
    상기 프로그램 카피 수단은, 상기 유저에 의해서 상기 표시 수단상에서 선택되는 상기 샘플 프로그램의 범위에 대응하는 선택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를 선택하여 기억하고,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 수단은, 상기 선택 샘플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 내에 붙여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카피 수단은, 상기 텍스트 프로그램을 카피할 때에, 상기 텍스트 프로그램에 부가되어 있는 상기 텍스트 프로그램의 종류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도 카피하고,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 수단은, 상기 속성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형식으로 상기 표시 수단의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에 상기 텍스트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자 메뉴얼은, 상기 텍스트 프로그램의 표시 영역 부근에, 상기 텍스트 프로그램의 종류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 버튼을 가지고,
    상기 프로그램 카피 수단은, 상기 텍스트 프로그램을 카피할 때에, 상기 유저에 의해서 선택된 상기 선택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속성 정보도 카피하고,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 수단은, 상기 속성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형식으로 상기 표시 수단의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에 상기 텍스트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샘플 프로그램의 화상 데이터 내의 상기 샘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부품의 화상을 판독하고, 대응하는 부품을 이용하여 상기 샘플 프로그램의 내용을 나타내는 프로그램 데이터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데이터 변환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전자 메뉴얼은 상기 샘플 프로그램의 화상 데이터인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를 가지고,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 수단은, 상기 샘플 프로그램을 표시할 때, 상기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샘플 프로그램은, 상기 샘플 프로그램의 화상 데이터인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에, 상기 샘플 프로그램의 내용인 프로그램 데이터를 전자 워터마크의 방법으로 내장한 프로그램 첨부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program-attached data for program display)이며,
    상기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 수단은, 상기 샘플 프로그램을 표시할 때, 상기 프로그램 첨부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 중의 상기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프로그램 카피 수단은, 상기 샘플 프로그램의 카피가 지시되면, 상기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상에서 선택된 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 첨부 프로그램 표시용 데이터로부터 취득하여 기억하고,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 카피 수단으로 기억된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 내에 붙여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11. 청구항 2에 있어서,
    베이스 유닛의 슬롯에 상기 제어 장치를 장착하여 구성되는 제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제어 장치에 대한 형명과 장착되어 있는 슬롯 번호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 정보를 취득하는 시스템 구성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시스템 구성 정보 중의 상기 형명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장치의 전자 메뉴얼을 취득하여, 상기 전자 메뉴얼로부터 상기 제어 장치가 가지는 입출력 어드레스의 개수를 취득하고, 상기 입출력 어드레스의 개수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유닛에 장착되는 상기 제어 장치에 대해서 선두 입출력 어드레스를 할당하여 샘플 프로그램 갱신 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 구성 설정 수단과,
    상기 샘플 프로그램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취득한 상기 전자 메뉴얼에 포함되는 상기 샘플 프로그램의 상기 선두 입출력 어드레스를 갱신하여 갱신 샘플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샘플 프로그램 갱신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 수단은, 상기 전자 메뉴얼의 상기 샘플 프로그램을 표시할 때, 상기 갱신 샘플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 메뉴얼을 격납하는 전자 메뉴얼 데이터 격납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샘플 프로그램은 래더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 표시 처리 수단은, 상기 유저에 의한 선택에 따라서, 상기 샘플 프로그램을 상기 프로그램 작성 화면 내에 래더도 형식, 또는 상기 래더 프로그램 내의 일부를 시각상 간이화한 펑션 블록도 형식으로 붙여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15. 청구항 1에 기재된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와, 상기 전자 메뉴얼을 격납하는 전자 메뉴얼 격납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되고,
    상기 전자 메뉴얼 표시 처리 수단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전자 메뉴얼 데이터 격납 장치로부터 판독한 상기 전자 메뉴얼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뉴얼 열람 시스템.
KR1020157010595A 2012-12-26 2012-12-26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및 시스템 KR101610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83693 WO2014102935A1 (ja) 2012-12-26 2012-12-26 電子マニュアル閲覧装置および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889A true KR20150060889A (ko) 2015-06-03
KR101610605B1 KR101610605B1 (ko) 2016-04-07

Family

ID=5020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595A KR101610605B1 (ko) 2012-12-26 2012-12-26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483569B2 (ko)
JP (1) JP5404969B1 (ko)
KR (1) KR101610605B1 (ko)
CN (1) CN104871128B (ko)
DE (1) DE112012007259T5 (ko)
TW (1) TWI570619B (ko)
WO (1) WO20141029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0796B2 (ja) * 2013-03-19 2016-10-19 株式会社Pfu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TR201803393T1 (tr) * 2015-09-14 2018-05-21 Mitsubishi Electric Corp Kontrol programı otomatik oluşturma sistemi.
US11009850B2 (en) * 2016-09-09 2021-05-18 Makino Milling Machine Co., Ltd. Electronic manual for machine tool and machine tool
JP6774862B2 (ja) 2016-12-05 2020-10-28 日本電子株式会社 プログラム、制御装置、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6922431B2 (ja) * 2017-05-31 2021-08-18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開発支援装置、プログラム開発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開発支援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9988A (ja) * 1991-10-30 1993-05-18 Oki Electric Ind Co Ltd オブジエクト指向言語によるプログラム開発支援システム
JPH0798708A (ja) 1992-09-30 1995-04-11 Hitachi Ltd 文書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7401286B1 (en) 1993-12-02 2008-07-15 Discovery Communications, Inc. Electronic book electronic links
US6633861B2 (en) 1993-03-19 2003-10-14 Ricoh Company Limited Automatic invocation of computational resources without user intervention across a network
US6049792A (en) 1993-03-19 2000-04-11 Ricoh Company Limited Automatic invocation of computational resources without user intervention across a network
US5546502A (en) 1993-03-19 1996-08-13 Ricoh Company, Ltd. Automatic invocation of computational resources without user intervention
JPH0793046A (ja) 1993-09-24 1995-04-07 Hitachi Electron Service Co Ltd 保守用技術情報の表示方法
US5884315A (en) 1996-05-09 1999-03-16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technical hardware related information
US6259445B1 (en) * 1997-07-07 2001-07-10 Informix, Inc. Computer-based documentation and instruction
GB2376114A (en) * 2000-03-24 2002-12-04 Siemens Energy & Automat Industrial automation system graphical programming language storage and transmission
JP2002108875A (ja) 2000-10-04 2002-04-12 Soatec Inc 電子マニュアル装置及び電子マニュアルの変更方法
JP3629201B2 (ja) 2000-11-27 2005-03-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子マニュア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42469A (ja) * 2002-02-21 2003-08-29 Daishowa Seiki Co Ltd 情報保持体
JP2003248657A (ja) 2002-02-25 2003-09-05 Ricoh Co Ltd 電子装置及び電子装置システム
JP2003271662A (ja) 2002-03-18 2003-09-26 Seiko Epson Corp 電子マニュアルシステム
US20060080616A1 (en) * 2004-10-13 2006-04-13 Xerox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document workflow construction
JP4918218B2 (ja) 2004-11-12 2012-04-18 ザイブナーコーポレーション 作業の工程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の工程管理方法
US7849439B2 (en) 2005-01-19 2010-12-07 Ixia Application-generic sequence diagram generator driven by a non-proprietary language
US7735017B2 (en) * 2005-02-22 2010-06-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manual transactions between disjoint systems
FR2892839B1 (fr) * 2005-11-02 2017-08-11 Alstom Transport Sa Procede et systeme de creation d'un manuel.
US8659620B2 (en) * 2009-04-13 2014-02-25 Accusoft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ndering images
JP2011158959A (ja) 2010-01-29 2011-08-18 Toppan Printing Co Ltd 電子マニュアル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2007259T5 (de) 2015-09-24
TW201426496A (zh) 2014-07-01
US20160364278A1 (en) 2016-12-15
CN104871128A (zh) 2015-08-26
US9483569B2 (en) 2016-11-01
WO2014102935A1 (ja) 2014-07-03
TWI570619B (zh) 2017-02-11
JPWO2014102935A1 (ja) 2017-01-12
CN104871128B (zh) 2016-11-09
JP5404969B1 (ja) 2014-02-05
US10037234B2 (en) 2018-07-31
KR101610605B1 (ko) 2016-04-07
US20150261872A1 (en) 2015-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519B1 (ko) 디바이스의 XHTML-Print 데이터 생성 방법 및장치
KR101610605B1 (ko)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및 시스템
KR102198847B1 (ko) 사용자 맞춤형 웹기반 프로그램 작화 시스템
JP6859870B2 (ja) 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4009971B2 (ja) 電子化サービスマニュアル表示用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電子化サービスマニュアル表示制御方法、並びに電子化サービスマニュアル表示制御装置
US2020009716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flow setting method
EP193326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4827536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出力情報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040059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インストール方法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インストールプログラム
JP4700942B2 (ja) 電子アルバム編集装置、電子アルバム編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812475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01476B1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装置、記録システム、解析装置及び記録方法
JP5187251B2 (ja) 電子文書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330488B2 (ja) 情報処理装置、記録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04104860A1 (ja) 電子化サービスマニュアル表示制御装置
JP2007115189A (ja) 帳票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353288B2 (ja) 画面管理装置、画面管理システム、画面管理方法、画面管理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04290167A (ja) 海外製造拠点への設計情報提供管理システム
JP2007041943A (ja) 文書処理装置
KR20140146865A (ko) 디지털 교과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685859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163463A (ja) 表示情報作成装置、表示情報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1202128A (ja) 画面データ作成方法、画面データ作成装置及び記録媒体
KR20140115472A (ko) 애플리케이션 환경 제공 시스템
JP2018142985A (ja) 情報処理装置、記録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