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865A - 디지털 교과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교과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865A
KR20140146865A KR1020130069713A KR20130069713A KR20140146865A KR 20140146865 A KR20140146865 A KR 20140146865A KR 1020130069713 A KR1020130069713 A KR 1020130069713A KR 20130069713 A KR20130069713 A KR 20130069713A KR 20140146865 A KR20140146865 A KR 20140146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textbook
displayed
textbook
edited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환
김진
Original Assignee
동아출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출판(주) filed Critical 동아출판(주)
Priority to KR1020130069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6865A/ko
Publication of KR20140146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8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래의 디지털 교과서 내용에서, 사용자에 의해 새롭게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 콘텐츠를 더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상기 원본 디지털 교과서에서 편집 기능을 선택하면 편집툴이 제공되어 상기 표시된 원본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가능하게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원본 디지털 교과서와 상기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 중 선택된 디지털 교과서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표시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표시된 디지털 교과서가 변경가능 하며, 상기 표시되지 않은 디지털 교과서는 표시된 디지털 교과서 상에 표시된 링크 정보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교과서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digital textbook}
본 발명은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래의 디지털 교과서 내용에서, 사용자에 의해 새롭게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 콘텐츠를 더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교과서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인 디지털 교과서 콘텐츠 제공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 디지털 교과서 콘텐츠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 교과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거나, PC와 통신 케이블로 접속되어 PC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북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읽고자 하는 디지털 교과서 콘텐츠를 읽게 된다. 그러나, 현대와 같이 정보화 시대 그리고 발전이 시대에는 새로운 정보가 수 없이 쏟아지고 생산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도 새롭게 보완되고 추가될 필요성이 언제나 존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줄기 세포에 대한 기술 동향이 바뀌었거나 새로운 기술이 발생되면, 디지털 교과서의 관련 부분에 이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물론 선행 특허(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0209호)에서는 인터넷망을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한 사용자 컴퓨터로 신규회원등록을 요청하고, 신규회원등록에 따른 회원 정보를 저장하여 아이디별 폴더를 생성하고, 제1 이미지 폴더를 생성하는 북 생성 컨트롤러와, 제1 이미지 폴더에 정렬된 이미지를 이미지 팔레트 영역에 제1 섬네일 이미지로 정렬하여 표시하며, 상기 제1 섬네일 이미지 또는 상기 제1 섬네일 이미지에 상응하는 원본 이미지를 페이지의 사이즈에 맞게 자동 변환한 제2 섬네일 이미지를 제2 이미지 폴더에 저장하고, 페이지에 상기 제2 섬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편집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전자북 생성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또 다른 선행 특허(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111052호)는 멀티미디어 파일 및 전자북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전자북 컨텐츠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과,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동작을 통하여 전자북 컨텐츠의 일부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전자북 컨텐츠의 일부를 상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에 삽입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자북 컨텐츠 중 상기 선택된 전자북 컨텐츠의 일부가 삽입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그러나, 선행특허들은 사용자에 의해 새롭게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를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기본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자에 의해 새롭게 편집될 경우,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를 효과적으로 표시할 필요성이 존재하는 실정이다.
선행기술 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40209호, 공개일(2011년04월20일) 선행기술 2: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111052호, 공개일(2011년10월10일)
본 발명의 목적은 원래 제공된 원본 디지털 교과서와 사용자 편의에 의해 콘텐츠가 추가, 삭제, 변경 등에 의해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 간 화면 변환이 용이하고 데이터 저장 및 처리가 용이한 디지털 교과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제공 시스템은 원본 디지털 교과서 및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를 저장하고, 상기 원본 디지털 교과서의 콘텐츠와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를 구분하여 관리하며 상기 원본 디지털 교과서와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를 서로 링크시켜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와 상호 접속하여 상기 원본 디지털 교과서와 상기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에 관련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상기 원본 디지털 교과서에서 편집 기능을 선택하면 편집툴이 제공되어 상기 표시된 원본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가능하게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원본 디지털 교과서와 상기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 중 선택된 디지털 교과서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표시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표시된 디지털 교과서가 변경가능 하며, 상기 표시되지 않은 디지털 교과서는 표시된 디지털 교과서 상에 표시된 링크 정보에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맞춤형 교육 서버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의 편집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접속 관리부와, 사용자 단말의 편집 권한 여부를 저장하는 가입자 DB(database), 원본 디지털 교과서와,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지털 교과서 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편집툴을 제공하여 디지털 교과서의 편집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에 따라 상기 원본 디지털 교과서와 상기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 중 어느 하나의 디지털 교과서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되는 디지털 교과서에 선택되지 않은 디지털 교과서의 링크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교과서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원본 디지털 교과서가 실행되고 원하는 페이지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서버로부터 요청한 페이지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교과서 편집 선택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서버에 전송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디지털 교과서 편집이 가능한 사용자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교과서 편집이 가능한 사용자인 경우, 편집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편집툴에 의해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를 상기 원본 디지털 교과서의 콘텐츠와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원본 디지털 교과서와 상기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 중 선택된 디지털 교과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디지털 교과서는 화면의 일부에 링크시켜 링크정보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본의 디지털 교과서의 일부 내용을 편집하여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와 원본의 디지털 교과서의 양 데이터의 활용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연결된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데이터의 저장 형태를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 흐름도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이 확장된 콘텐츠 데이터가 디지털 교과서에 표시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교과서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교과서의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교과서 편집을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21은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하기 위한 기술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교과서를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4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를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를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의 저장 형태를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에서 콘텐츠 확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과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공지된 기술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연결된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서버(5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각종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장치이다. 서버(50)는 관리자 또는 운영자들이 정보를 입력 관리하는 입력부(65), 정보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출력부(67), 각종 정보와 서비스 운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55), 정보를 제어하고 통제하며 출력하는 것을 관장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인터넷 또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자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앞서 언급한 정보는 이미지와 동영상, 텍스트 등 모든 정보 파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서버는 디지털 교과서에 관한 데이터와, 디지털 교과서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확장되는 부가 콘텐츠를 저장한다.
사용자 단말(혹은 휴대 단말기나 노트북)(20)은 서버와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를 유무선 인터넷(또는 통신망)을 통하여 송수신할 수 있고,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는 기기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은 기본적으로 중앙처리장치의 역할을 하는 CPU(25), 동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1),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5),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부(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유무선 통신 시스템 모듈과 스피커 진동 또는 키버튼 등의 기능이 다양하게 부과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서버(50)는 제어부(60)가 구성되며, 제어부(60)는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68), 회원 또는 교사 회원의 접속을 관리하는 접속 관리부(69)를 포함한다.
또한, 서버(50)의 제어부(60)는 회원별 데이터 제공부(6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원별 데이터 제공부(61)는 프로그램과 데이터 콘텐츠를 관리하여 수행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부(62), 편집툴을 제공하여 원본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가능하는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편집부(63), 최종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 선택부(64)를 포함한다. 또 인터넷 접속자, 회원 또는 교사 회원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가입자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서버(50)의 데이터베이스(55)에는 인터넷 접속자, 회원 또는 교사 회원을 관리하기 위한 가입자 정보를 제공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55a)가 구비된다.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는 회원의 아이디 정보 이외에 각 회원들이 제공받은 정보에 대한 기록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하여, 디지털 교과서에 추가적으로 확장되어 제공될 부가 콘텐츠의 데이터 정보와 부가 콘텐츠 데이터가 연결되는 연결 정보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5b)에 저장된다.
이때, 부가 콘텐츠의 데이터 정보는 텍스트 파일,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등을 포함한다. 부가 콘텐츠를 연결하는 연결 정보는 부가 콘텐츠의 데이터 정보가 디지털 교과서에서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를 테면 부가 콘텐츠의 데이터 정보가 저장된 위치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00 교과서 00 페이지 (x, y)처럼, 페이지 정보와 해당 페이지에서의 좌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정보를 다른 관점에서 보면, 00 교과서 00 페이지에 제공되는 부가 콘텐츠 정보는 000 데이터베이스 상에 정보가 저장된 위치 혹은 000 인터넷 사이트(URL 정보)등 일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도면의 설명은 일 예를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의 서버(50)는 반드시 회원 접속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 제공을 원하는 모든 접속자를 대상으로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본 발명의 서버(50)는 유무선 인터넷 또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것이다.
도 3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의 사용자 단말(노트북, 휴대 단말기 등)은 회원의 단말이며, 마찬가지로 교사의 단말도 비슷한 구성을 가짐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사용자 단말은 유무선 통신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서버 또는 교사 단말과 통신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한 제어부(CPU: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사용되는 컴퓨터 혹은 휴대 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다. 그리고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5)가 구비되고, 메모리부(35)는 표시 장치의 수행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롬, 프로그램 수행 시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와 이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보관하는 이이피롬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36)는 R/F부일 수 있으며,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로서 RF 채널에 동조하고, 입력되는 각각의 신호를 증폭하며, 안테나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경한다.
따라서, 제어부(25)의 제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21)에 정보가 표시되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와 입력장치(30) 그리고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모든 기기는 본 발명의 알고리즘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입력장치(30)는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통상의 모든 방법을 의미한다. 즉, 디스플레이 위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 마우스 입력장치, 키보드 입력장치, 음성 입력장치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위에서'라는 것은 디스플레이 표면에 압력을 가하거나 접촉할 수도 있지만, 압력을 가하지 않거나 디스플레이와 접촉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위에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입출력부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숫자키와 메뉴키, 선택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 스피커와 진동부,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하여 메모리부(35)는 별도 데이터(35a)를 저장한다. 별도 데이터(35a)는 디지털 교과서 데이터, 프로그램 수행 알고리즘 데이터(또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되는 콘텐츠 정보 데이터, 및 본 발명을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디지털 교과서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20)에서 실행 가능한 디지털 교과서의 데이터를 의미하며 통상적으로는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자 단말(20) 등에 표시하기 위하여 만든 전자화한 데이터이다. 그리고, 프로그램 수행 알고리즘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도 있다. 콘텐츠 정보 데이터는 디지털 교과서에 확장되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본 발명에서의 콘텐츠 정보 데이터는 서버(50)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지만, 프로그램 실행의 필요에 따라 사용자 단말(20)의 메모리부(35)에 별도 데이터(35a)로서 저장될 수 있다.
- 실시예 1 -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보 데이터의 저장 형태를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도 4a는 확장된 부가 콘텐츠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위 데이터 단위로 저장되는 구조이며, 일 예로 단위 데이터 1을 보면, 'HI-MI-01-0001'(71)는 역사 교과서 중학교 1 학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고(물론 학년 표시와 교과서 출판사 관련 표시도 가능하다.), 이의 데이터 종류는 PDF 파일(72)이라는 것이다. 'oo-oo-(xx,yy)'(73)는 데이터를 표시할 위치 정보이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단위 데이터 1은 역사 교과서 내 특정 페이지와 연결된 정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가 콘텐츠 정보는 디지털 교과서의 특정 페이지와 연결됨과 동시에, 부가 콘텐츠가 디지털 교과서의 특정 페이지 내에서 표시되기 위한 위치가 지정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부가 콘텐츠가 저장되는 데이터에는 위치 정보(73)가 저장되어야 한다. 즉, 00번 교과서 00 페이지에서 좌표 (xx,yy)의 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부가 콘텐츠는 00 교과서 00 페이지에서 어떠한 위치에 표시되는 가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74)는 디지털 교과서에서 제공하는 부가 콘텐츠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부가 콘텐츠가 텍스트 파일이라면 텍스트 데이터가 저장되고, 이미지 파일이라면 사진 정보가 저장되고, 동영상 파일이라면 동영상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도면에 별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부가 콘텐츠 정보가 생성된 날짜나 시간 정보도 표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b는 아이콘 정보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교과서의 특정 페이지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도 3의 21)에 표시가 될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아이콘을 생성하게 된다. 이 아이콘을 선택(혹은 클릭)하여 실행하면, 아이콘과 연결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
따라서, 디지털 교과서가 실행되어 00 과목 00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는 미리 정해진 아이콘이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도 4b는 이러한 방법이 실행되기 위한 데이터의 저장 방법이 된다.
도 4b에서처럼, 예를 들면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 II를 실행 시키고, 특정 페이지 00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게 되면, 화면에 표시되기로 정해진 아이콘(22)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위해서는 각각의 페이지마다, 표시될 아이콘이 순서(112a) 대로 저장되고, 각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21) 화면에 표시되기 위한 위치(좌표) 정보(112b)도 저장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아이콘(22)을 선택하였을 때 표시될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정보인 연결정보(112c), 각 아이콘의 이미지 정보(112d) 및 아이콘에 대한 간단한 설명인 요약 정보(112e)가 저장된다.
이때, 아이콘의 이미지 정보(112d)는 디스플레이부(21)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디자인 이미지이며, 요약 정보(112e)는 아이콘 하부에 표시되는 텍스트 정보 혹은 상기 아이콘과 관련된 정보의 요약 단어를 의미한다.
또한, 동일한 부가 콘텐츠 데이터가 두 개 이상의 다른 아이콘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도 4b의 실시 예에서 볼 때, 첫 번째 아이콘에 대응되는 연결정보 “MA-000-0001"이 다른 페이지 혹은 다른 수학 교과서의 연결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부가 콘텐츠 데이터는 각각 구별되는 단위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부가 콘텐츠 데이터의 종류에는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한편, 콘텐츠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서버에 저장되는 것이 당연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원이 이미 제공받은 부가 콘텐츠 데이터가 회원 단말의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으며, 또한 회원의 선택에 의해 일부 영역이 정해져 콘텐츠 데이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 실행 방법에 따라 메모리부에 저장된 콘텐츠가 디지털 교과서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4c의 실시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가 아이콘이 더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아이콘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우선적으로 표시되지 않거나 혹은 사용자가 추가로 생성한 아이콘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아이콘 순서(113a)에서 4번째 혹은 아이콘 순서 N번째는 여백으로 사용자가 추가로 아이콘을 지정하게 되면, 상기 여백에 사용자가 추가로 지정한 아이콘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이때, 아이콘 이미지(112d)(113d)는 사용되는 아이콘 이미지 모양을 통일했다는 의미로 모두 이미지 1이라고 표시했으며, 디자인된 아이콘 이미지를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다르게 아이콘의 이미지를 여러 개로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 흐름도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이 디지털 교과서를 시작하여 실행하고, 디지털 교과서 내 임의 페이지를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는 디지털 교과서의 선택한 페이지 및 페이지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표시된다(S150 내지 S154).
상기 도 4b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된 디지털 교과서의 페이지에 대응되는 아이콘(22)이 한 개 혹은 두 개 이상 선택되고, 디스플레이부(21)에 상기 선택된 아이콘들이 정해진 위치에 순서대로 표시된다.
상기의 실행을 서버에서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의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서버(도 1의 50)의 제어부(도 1의 60)가 데이터베이스(도 1의 55)에 저장된 아이콘 정보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도 1의 21)에 표시되는 정보로 만들어,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다시 사용자 단말의 CPU(도 1의 25)는 디스플레이부(도 1의 21)에 전송받은 아이콘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물론, 상기의 실행을 사용자 단말(혹은 컴퓨터) 내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20)의 입력장치(30)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CPU(25)가 메모리부(35)에 저장된 아이콘 정보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21)에 표시하게 된다.
디지털 교과서의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의 CPU(25)는 디지털 교과서의 실행을 종료하게 된다. 만일 서버와 연결되어 디지털 교과서가 실행되었다면 서버와의 연결도 종료하게 된다(S158 - S160).
- 실시예 2 -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용이 확장된 콘텐츠 데이터가 디지털 교과서에 표시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가 확장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디지털 교과서가 표시되는 화면(21) 상단에는 메뉴바(21a)가 위치하고, 화면(21) 내에는 복수 개의 아이콘(22)이 표시된다.
복수 개의 아이콘(22)에는 제목과 확장자가 표시되어, 데이터 종류와 정보의 요약 내용을 알 수가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 이미지 하단에 "000.hwp"와 같이 아이콘에 링크된 콘텐츠의 제목과 확장자이다. 즉, 제목뿐 아니라 프로그램이 "hwp" 로 실행될 수 있다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화면(21)의 여백에 표시된 복수 개의 아이콘(22)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영역(23)이 나타나고 표시영역(23) 내에는 선택한 아이콘과 관련있는 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서, 아이콘(22)을 선택하였다는 것은 마우스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입력장치를 사용하거나, 혹은 디스플레이 상단에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통하여 하나의 아이콘을 포커싱하거나 포커싱한 아이콘을 클릭을 통해 선택하였다는 것이다. 표시영역(23)은 화면(21) 일부에 팝업창으로 표시할 수 있고, 또는 화면(21)의 일정 영역을 프레임이 없는 형태로 지정하여 마치 책 내의 콘텐츠처럼 보이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은 사용자 단말의 입력장치(30)(혹은 마우스, 키보드 등 정보를 입력하는 장치)를 통하여 서버(50)에 접속하는 것이며, 서버(50)는 데이터베이스(55)에 저장된 정보를 유무선 인터넷 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의 CPU(25)는 정보 처리 과정을 거쳐,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21)에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의 입력장치(30)를 통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면, 사용자 단말과 서버가 접속되고 서버(50)의 제어부(60)는 해당되는 데이터베이스(55)의 정보를 선택하여 선택된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부(68)에 의해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21)에 표시된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콘 정보가 서버에 전송되고, 서버는 상기 아이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아이콘 정보와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되어 있는 해당 정보 즉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주는 것이다. 즉, 상기의 과정에 의해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정보가 표시되는 것이다.
이때, 도 7의 표시영역은 텍스트 파일을 예로 들었지만, 상기 표시영역에는 동영상, 이미지, 문서 파일, 및 인터넷 연결을 통한 정보 등 다양한 콘텐츠 정보가 표시될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였을 때, 특정 아이콘과 연결된 콘텐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콘텐츠 정보 데이터가 반드시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55)에만 저장될 필요는 없다.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부(35)에 저장될 수다. 이 경우,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면, 서버와의 접속 없이도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부(35)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21)에 특정 아이콘과 연결된 콘텐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의 일부에 표시된 아이콘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 혹은 입력장치 등을 통하여 입력 커서를 화면(21) 하부에서 위로 올리게 되면, 아이콘 창(24)이 나타나고 아이콘 창(24)에는 아이콘 리스트가 표시된다. 이때, 아이콘 리스트가 아이콘 창(24)에 표시될 때에는 도 4b의 예에서처럼 정해진 순서대로 표시된다.
그리고, 아이콘 창(24)에는 경계 분리선(24b)이 표시되고, 입력장치나 마우스를 통해 경계 분리선(24b)을 일방향(왼쪽)으로 이동시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아이콘 창(24c)가 표시되고 추가 아이콘 창(24c)에도 아이콘(22)들이 표시되게 된다. 상기 추가 아이콘은 도 4c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아이콘 리스트가 된다. 즉, 추가 아이콘 창(24c)에 표시된 추가 아이콘(24c-1)들은 디스플레이부(21)의 화면 여백에 표시되지 않았던 아이콘이다. 추가 아이콘(24c-1)은 디스플레이부(21)의 화면 여백에 표시된 아이콘에 연결되는 부가 콘텐츠 정보와 다른 부가 콘텐츠 정보가 매칭된다.
도 9에서처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추가 아이콘 창(24c)이 표시되고 화면(21)에 표시되지 않았던 추가 아이콘(24c-1)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21)의 화면 여백으로 이동시키면 이동시킨 추가 아이콘(24c-1)은 디스플레이부(21) 화면에 추가 표시된다. 그리고, 이동 상황을 저장하게 되면, 다음에 해당 페이지가 표시될 때에 상기 이동된 추가 아이콘도 함께 표시된다.
예를 들어, 수학 교과서 20페이지와 연결된 추가 아이콘 리스트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페이지의 여백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상황을 저장하면, 다음 번에 상기 수학 교과서 20 페이지를 표시할 때, 이동시킨 추가 아이콘도 화면 여백에 같이 표시된다. 즉 상기 선택된 아이콘은 도 4c의 “추가 아이콘 리스트”에서 도 4b의 “아이콘 리스트”로 저장 위치가 바뀌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저장 상황은 개인 정보에 저장되어 아이콘을 이동한 개인이 서버에 접속하게 되면 반영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물론 원래의 아이콘 리스트도 정보는 항시 저장되어 추가 아이콘 리스트가 원래대로 복원될 수가 있다.
도 10은 아이콘이 지정된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화면(21) 여백에 표시된 아이콘(22)들은 해당 화면 전체에 관련된 것이 아니다. 즉, 화면(21)에서 "A"라고 표시된 영역의 옆에 복수 개의 아이콘(22-1, 22-2)이 존재하는데, 최초에 표시된 4 개의 아이콘(22-1)만이 상기 “A" 영역과 관련된 아이콘이다. 나머지 아이콘(22-2)은 추가 아이콘 창(24c)을 통해 추가된 아이콘이다.
결과적으로, 상기의 아이콘(22-1)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A" 영역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영역에 콘텐츠로서 표시되는 결과를 가져 오게 된다.
그리고, 앞의 설명에서처럼 추가 아이콘 창(24c)에 표시된 아이콘들도 각각 해당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추가 아이콘 창(24c)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해당되는 영역도 화면(21)에서 표시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처럼 추가 아이콘 창(24c)에서 임의 아이콘(24e)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아이콘(24e)와 관련된 영역(예를 들면 "A")이 화면(21)에서 표시되게 된다. 도 10에서는 사각형의 라인으로 표시되었지만, 실제는 화면의 바탕색을 다르게 하거나, 화면의 다른 영역과 구별되게 표시하는 등 다양한 표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1과 도 12는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도면에서는 메뉴바(21a)의 별도 기능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메뉴바(21a) 등에서 콘텐츠 입력 등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메뉴바(21a)를 통해 콘텐츠 입력을 선택하게 되면 화면(21)에는 콘텐츠 생성 표시(25)가 표출되고, 이 콘텐츠 생성 표시(25)를 선택하게 되면 도 11에서와 같이 정보 디렉토리 창(25a)이 표시된다.
그리고, 정보 디렉토리 창(25a) 내에 폴더나 파일(25b)들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파일(25b)이 새롭게 생성된 콘텐츠가 된다. 즉, 새롭게 콘텐츠가 만들어지면 아이콘이 추가되고, 상기 추가된 아이콘을 선택하면 표시영역(23)에 선택된 파일(25b)이 표시된다. 이렇게 추가된 아이콘은 도 4c의 추가 아이콘 리스트에 저장된다. 그리고 선택된 파일(25b) 데이터는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 혹은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부(35)에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저장된다.
또한, 메뉴바(21a)에서 메모 입력(26)을 선택하게 되면, 메모 입력창(26a)이 표시되고, 메모 입력창(26a)에는 메모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 방법은 글자나 그림이다. 그리고, 메모 입력창(26a)에 정보를 입력한 다음 저장을 하게 되면 입력된 메모 내용은 저장되게 되고, 메모와 관련된 아이콘이 생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메모와 관련된 아이콘 관련 정보는 도 4c의 추가 아이콘 리스트에 저장되고, 메모 데이터는 데이터 베이스(55) 혹은 메모리부(35)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저장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교과서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이 서버에 접속하고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자 하는 디지털 교과서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한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S100 - S102).
상기 표시와 함께 화면 여백에 아이콘들이 표시되고, 이중 임의의 아이콘(22)을 선택(또는 클릭)하게 되면, 별도로 표시영역(23)이 생성되고 생성된 표시영역(23)에는 선택된 아이콘과 연결되는 정보가 표시된다(S104 - S106).
이후, 사용자 단말이 디지털 교과서의 실행을 종료하고 서버와의 접속을 종료하면 본 발명의 실행이 종료된다(S108 - S110).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교과서의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 단말이 서버에 접속하고 디지털 교과서를 실행한 후 디지털 교과서 내 정보 입력 명령을 선택하게 되면(S120 - S124),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난 창을 통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 단말(20)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정보를 입력하고 선택하여 입력되거나 선택된 정보를 서버(50)로 전송하면, 서버의 제어부(60)가 수신된 정보와 매칭되는 데이터베이스(55)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의 디스플레이부(21)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후, 사용자 단말에서 콘텐츠 입력창의 선택이 입력되면 화면에 콘텐츠 디렉토리 표시창이 표시되고, 콘텐츠 디렉토리 표시창에서 임의의 폴더 폭은 파일이 선택되면 선택된 폴더 혹은 파일이 저장된다(S126- S130). 이때, 새롭게 아이콘이 생성되고 생성된 아이콘의 정보는 도 4c의 추가 아이콘 리스트에 저장되며, 새롭게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혹은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부의 미리 정해진 저장 위치에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추가로 생성된 아이콘이 선택되면 아이콘이 생성될 때 저장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 내 표시영역(23)에 표시된다.
또한, 상기의 과정은 사용자 단말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정보가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서버에 전송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서버의 제어부는 데이터베이스의 저장된 정보를 통하여 디렉터리 정보를 다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전송된 정보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21)에 표시된다.
즉, 회원이 아이콘을 생성한 경우이며, 회원이 생성한 아이콘은 추가 아이콘 창(24c)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이 콘텐츠 입력창의 선택이 입력되는 과정에서, 메모 입력의 선택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메모 입력창을 생성하고, 메모 입력창에 글자나 그림으로 정보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새롭게 메모한 정보가 입력되면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새로운 아이콘을 생성하게 된다(S132 - S134).
그러므로, 화면에서 새롭게 생성된 메모 아이콘의 선택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이 선택된 메모 아이콘을 생성할 때 저장한 메모 내용을 표시영역(23)에 표시한다. 이때, 메모의 내용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 단말 내 메모리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이 디지털 교과서(전자 책)의 실행을 종료하고 서버와의 접속을 차단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교과서의 실행은 종료하게 된다(S136 - S138).
- 실시예 3 -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교과서 편집을 선택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22)을 선택화면, 확장된 콘텐츠가 제공된다. 그리고, 확장된 콘텐츠는,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도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사교과서 중등과정 현대사 부분의 임의의 페이지를 사용자가 편집하였다고 가정하면, 기본으로 제공되는 기본 디지털 교과서 이외에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가 존재하도록,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를 저장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중에서 디지털 교과서 편집과 관련된 아이콘을 선택하면,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가 표시되도록 할 수가 있다.
즉, 아이콘(22)을 선택하므로서 별도의 표시창(23)에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가 표시될 수가 있게 된다.
도 16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별도로 명령 방법을 생략하였지만, 디지털 교과서 메뉴 화면(21a)에서 “디지털 교과서 편집”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하게 되면,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툴(tool)이 제공되게 된다.
그렇게 되면, 본 발명의 디지털 교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다양한 디지털 교과서 편집툴을 사용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할 수가 있게 된다.
다음, 도 16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6은 디지털 교과서에서 편집을 선택한 실시예의 화면의 일 예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래픽적으로 디지털 교과서가 표시된 화면(94)에서 사용자가 편집할 영역(C1, C2)을 선택하면 선택한 위치에 매칭되는 단위 콘텐츠가 선택되어 편집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90-1)과 같이 디지털 교과서 편집 화면은 두 개의 화면으로 나뉘고, 하나의 화면에는 편집할 디지털 교과서를 표시하는 편집할 대상 화면창(94)이, 다른 화면에는 편집할 콘텐츠의 포맷을 표시하는 편집창(92)이 동시에 제공된다.
이 화면(90-1)을 통한 편집 방법은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할 때 편집할 단위 콘텐츠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집이 가장 쉬운 방법이다.
먼저, 사용자가 편집을 하기 위해, 편집할 대상 화면창(94)에 표시된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에서 특정 이미지(C1)를 선택하거나 특정 영역(C2)을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특정 이미지(C1) 또는 특정 영역(C2)을 드래그(drag)하여 편집창(92)의 각 영역(92a, 92b)으로 이동시키면 결과적으로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에는 드래그한 특정 이미지(C1)나 특정 영역(C2)의 메타 데이터가 첨부되고 화면에 표시될 때에는 첨부된 메타 데이터와 매칭되는 단위 콘텐츠가 표시된다.
여기서, 드래그는 화면 상에서 지정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이동은 마우스, 터치 입력을 통해 원하는 콘텐츠를 직접 이동시키거나 키보드 입력장치를 통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편집창(92)의 각 영역(92a, 92b)에 드래그한 콘텐츠는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으로서 저장되고 표시된다.
도 17은 디지털 교과서에서 편집을 선택한 실시예의 화면의 다른 예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타 데이터가 저장된 텍스트 형태의 테이블에서 단위 콘텐츠명을 선택하여 편집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화면(90-2)은 편집할 대상 화면창(94)에 단위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메타 데이터 테이블이 표시되고, 편집창(92)에는 콘텐츠의 포맷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메타 데이터 테이블은 단위 콘텐츠명, 콘텐츠 형식 등에 관한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보여주는 것으로, 사용자가 메타 데이터 테이블에서 임의의 단위 콘텐츠(MA-IM-000004, MA-PD-000005: S)를 선택하고, 선택한 단위 콘텐츠(S)를 드래그와 같은 방식으로 조작하여 편집창(92)에 삽입한다. 그러면, 맞춤형 디지털 교과서에 단위 콘텐츠를 반영할 레이어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도 18은 디지털 교과서에서 편집을 선택한 실시예의 화면의 또 다른 예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의 디렉토리 파일을 기반으로 해당 단위 콘텐츠를 선택하여 콘텐츠를 편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90-3)의 편집할 대상 화면창(94)에는 단말 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파일에 대하여 디렉토리 파일의 내용이 표시되고, 편집창(92)에는 편집하고자 하는 양식의 화면의 포맷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면에서는 편의상 "00 00 00 000"으로 표시하였으나 실제로는 파일명과 파일 형식 등으로 표시된다. 물론, 디렉토리 형태뿐만 아니라 각각의 파일이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고,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하여 편집창(92)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선택한 파일의 내용이 편집창(92)의 각 영역(92a, 92b)에 적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9는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디지털 교과서를 제외하고, 인터넷이나 외부의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편집할 신규 단위 콘텐츠를 불러오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한 쪽에는 인터넷이나 특정 자료 서버, 단말과 연결되는 편집할 대상 화면창(94)이 표시되고, 다른 한 쪽에는 콘텐츠의 포맷이 편집창(92)에 표시된다. 이를 위해 편집할 대상 화면창(94)에는 별도로 특정 자료 서버에 접속할 액세스 주소를 입력하는 주소창(미도시) 또는 검색창(52)이 표시되고, 검색창(52)에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검색한 그 결과 화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편집할 대상 화면창(94)에 표시된다.
이때, 검색 대상은 인터넷을 통한 정보일 수 있고, 회원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에서 자신만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콘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개토 대왕을 검색하게 되면, 편집할 대상 화면창(94)에는 광개토 대왕에 대하여 검색한 결과 정보가 표시되고, 표시된 내용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단위 영역(S1)과 지도 이미지를 선택하여 편집창(92)의 각 영역(92a, 92b)으로 이동시키면, 선택한 단위 영역(S1) 및 지도 이미지에 해당하는 내용이 각 영역에 반영되어 표시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편집 창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직접 편집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를 위해 먼저, 편집창(92)에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교과서를 불러 와 표시하고, 표시된 화면에서 특정 영역(C1)이나 특정 이미지(C2)를 선택받는다. 다음, 특정 영역(C1)이나 특정 이미지(C2)를 선택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조작 메뉴 또는 핫 키를 조작하면 선택한 데이터에 대한 삭제, 저장, 검색, 찾기 등의 간단 편집 메뉴(30a)가 표시된다. 표시된 편집 메뉴를 선택하여 특정 이미지(C1)를 삭제하거나 다른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단 메뉴 표시(30a)에서 삭제를 선택하면 해당 데이터가 편집창(92)에서 삭제되고, 찾기를 선택하면 저장부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고 제공한 데이터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대체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도 21은 편집 창에서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편집 종류를 통합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편집화면의 메뉴 바(91)에서 통합 편집 메뉴를 선택하면 화면 내에 편집가능한 다양한 종류가 통합적으로 표시되고, 표시된 종류에서 원하는 편집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편집 항목으로 바로 접근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다양한 편집 종류에서 '단위 콘텐츠 편집'을 선택하면, 도 17에서 표시한 단위 콘텐츠 테이블이 표시되고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해 단위 콘텐츠를 선택하여 개별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기존의 원 단위 콘텐츠에 대한 재생 또는 뷰어 방식을 편집한 경우 해당 단위 콘텐츠와 매칭되는 메타 데이터에 추가적으로 편집한 메타 데이터를 적용하고, 단위 콘텐츠 자체를 편집하는 경우에는 편집할 새로운 단위 콘텐츠를 개인 저장 공간에 저장하고 새로운 단위 콘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한 메타 데이터를 디지털 교과서에 추가하여 적용한다.
도 22는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하기 위한 기술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레이어 구조를 사용하여 디지털 교과서 편집에 활용하고 있다. 즉, 도 22에서와 같이 각각의 콘텐츠 데이터와 연결된 다수의 레이어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콘텐츠 데이터의 링크 및 속성정보는 전술한 실시예에 준한다.
그러나, 더 편리한 편집 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도 22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이어 구조 특징은 아래와 같다.
1) 디지털 교과서는 다수의 레이어 구조를 가지며, 각각의 레이어는 가상의 레이어 구조이며, 각 레이어의 크기는 같고, 적용되는 좌표의 크기도 동일하다.
즉,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이어(11)(편의상 가장 아래부터 제 1레이어라고 칭함), 제 2 레이어(22) 및 제 N 레이어(99)의 크기는 모두 같다. 그리고, 가로 "X"와 세로 "Y"의 크기는 모든 레이어에 그대로 적용된다. 즉 가로 "X" 값이 100 ㎜ 라고 가정하면 모든 레이어의 세로 "X" 값의 크기가 100 ㎜ 가 된다.
그리고, 제 1 레이어(11), 제 2 레이어(22) 및 제 N 레이어(99)의 좌표는 동일하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레이어의 좌표 눈금의 크기가 같다. 하나의 좌표 눈금 간격 사이의 크기도 같고, 좌표의 수도 같다는 것이다. 도 22에서는 1에서 100까지의 좌표의 수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2) 각각의 레이어에는 링크되는 콘텐츠 형식(속성이나 특징)이 지정되어 있다. 지정된 형식의 콘텐츠가 해당 레이어에 반영된다.
예를 들어, 제 1 레이어(11)에는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가 링크되도록 지정되고, 제 2 레이어(22)에는 이미지 콘텐츠 데이터가 링크되도록 지정되며, 제 3 레이어(33)에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링크되도록 지정되어 있는 경우, 링크될 콘텐츠가 이미지인 경우 제2 레이어(22)에 반영된다. 여기서 반드시 제 1 레이어(11)는 텍스트 레이어이어야 하고, 제 2 레이어(22)는 반드시 이미지 레이어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레이어(11)가 이미지 레이어가 될 수도 있다. 즉, 각 레이어마다 지정되는 콘텐츠의 속성이나 특징의 순서는 바뀔 수 있어도 각 레이어마다 링크될 콘텐츠 속성이나 특징을 상이하게 지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3) 하나의 레이어에 2개 이상의 콘텐츠가 반영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데이터가 위치할 좌표 상의 위치와 반영될 콘텐츠 데이터의 저장 위치만 저장되며, 실제 콘텐츠 데이터는 별도의 저장장소에 저장된다. 이때, 별도의 저장 장소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메모리부 혹은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이다.
따라서, 다수의 레이어 구조를 가진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할 때에는 사용자는 각 레이어 상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위치(5)와 크기를 지정하고, 링크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하면 편집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콘텐츠 데이터의 위치(5)를 지정한다는 것은 좌표상에서 위치를 지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위치(5)를 좌표상에서 지정하기 위해서는 4 개의 꼭지점(도면에서 각각의 콘텐츠 위치(5)의 네 꼭지점을 1,2,3,4로 표시함)의 좌표를 지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콘텐츠의 위치가 직사각형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실질적으로는 1번 꼭지점과 3번 꼭지점의 좌표상의 위치만 지정하면 된다. 또한, 링크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한다는 것은 레이어에 반영될 콘텐츠 데이터의 저장 위치를 링크시킴을 의미한다.
4) 미리 다수의 정해진 레이어(SL) 이외에 편집자가 레이어를 생성하여 추가 레이어(AL)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ower Point" 혹은 "HWP" 프로그램에 관한 콘텐츠 데이터가 링크될 수 있도록 추가 레이어를 더 만들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레이어(SL)이 4 개 레이어라고 가정하면, N개의 레이어를 더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새로 추가되는 추가 레이어는 반영될 콘텐츠 데이터의 속성도 새롭게 지정할 수 있다.
또한, 편집자가 새로운 메모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 레이어 등도 지정하여 메모 레이어를 추가 할 수도 있다.
5) 각각의 레이어에 존재하는 콘텐츠 위치는 서로 중첩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이어(11)에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는 위치에, 제2 레이어(22)에서는 콘텐츠 데이터가 위치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즉, 제 1 레이(11)의 콘텐츠 위치(5)의 1번 꼭지점의 좌표가 (7,7)이고, 4번 꼭지점의 좌표가 (15, 80)이라면, 제2 레이어(22) 상의 (7,7) 좌표와 (15,80) 좌표 내에는 콘텐츠가 위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위치가 중첩되지 않는다는 것은 결과적으로 각각의 콘텐츠 위치(5)의 좌표가 중첩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제 1 레이어(11)의 콘텐츠 위치(5)의 "X" 좌표 범위가 7에서 15까지라면, 제 2 레이어(22)의 콘텐츠 위치(5)의 "X" 좌표는 15에서부터이거나 적어도 13에서부터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첩 방지 기능은 프로그램으로 자동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지나치게 엄격하게 적용되지 않도록, 각 콘텐츠 위치(5)가 미리 지정된 범위 예컨대 25 % 이상 중첩되지 않도록 중첩 기준을 설정할 수도 있다.
6) 디지털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빈도수를 집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데이터(252a) "MA-PD-0001" 가, 디지털교과서 편집시 중1 교과서 100 페이지, 중 2 교과서 50 페이지 및 150 페이지에 각각 링크되도록 편집되었다면, 상기 단위 데이터(252a) "MA-PD-0001"는 3회 사용된 것이며, 이러한 빈도수를 집계하는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교과서를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 단말에서 프로그램이 시작되고 디지털 교과서가 실행되면, 아이디 등을 입력하는 로그인을 실시하게 된다(S300 - S310).
이러한 과정을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이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200)에 접속을 하여야 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이 독자적으로 단말 내에 저장된 디지털 교과서를 실행할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200)가 디지털 교과서 편집이 가능한 회원인가를 판단하게 된다(S315). 디지털 교과서가 편집이 가능하다는 것은 앞서 실시 예에서 제시된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디지털 교과서의 편집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후, 디지털 교과서 편집이 가능한 회원인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편집을 위해 편집할 콘텐츠 데이터가 선택된다(S320).
이후, 사용자 또는 편집자에 의해 표시하고자 하는 디지털 교과서의 페이지가 지정되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의 속성에 맞는 레이어가 선택된다(S325).
예를 들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의 속성이 이미지 데이터이고, 디지털 교과서의 지정된 페이지에서 이미지 데이터는 제 2 레이어에 위치하게 된다면,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는 편집자가 레이어를 별도로 지정하지 않아도 제 2 레이어에 자동으로 선택된다는 것이다.
또한, 편집자가 레이어 내에 콘텐츠가 표시될 위치를 지정하게 되면, 지정된 위치의 좌표가 생성된다(S330, S335).
예컨대, 도 22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제 1 레이어(11)에 존재하는 콘텐츠의 위치(5)를 지정하게 되면, 상기 지정된 콘텐츠 위치(5)의 좌표(1번 꼭지점의 좌표가 (7,7) 혹은 4번 꼭지점의 좌표가 (15, 80))는 자동으로 생성하게 된다.
이후,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의 편집이 종료되면, 콘텐츠 데이터의 저장 위치 레이어, 위치 좌표 등이 저장된다(S340). 이때 상기의 정보는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한 회원의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교과서 편집은 개별 편집이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는 것으로, 개별 편집이 완성된 다음에 편집된 정보는 회원의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의 디지털 교과서의 편집 정보는 개인 사용자 단말기(100)의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도 있다. 
아울러, 단계 S315에서 디지털 교과서 관리 서버(200)가 디지털 교과서 편집이 허용되지 않은 회원이라고 판정한 경우 디지털 교과서의 편집을 실행할 수 없으며, 단지 동일 그룹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편집이 실행되었으면,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를 실행하여 개인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S350). 여기서 동일 그룹이란 의미는 상기 서버가 관리하는 사용자에게 부여한 레벨의 그룹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레벨은 학년, 반, 등급 등으로 나눠질 수 있다.
이후, 디지털 교과서 실행이 종료되면 이의 프로그램을 종료한다(S345, S355).
이상에서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의 편집이 완료되면,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를 저장하게 되고, 추가로 아이콘을 생성하게 된다. 그러면 추가로 생성된 아이콘을 선택하면,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가 표시되게 된다.
이때,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 데이터의 저장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 일 수도 있고, 단말기 메모리부일 수도 있다.
도 24 내지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를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다,
도 2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가 아이콘이 3개 혹은 그 이상일 수 있으며 그중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콘에 연결된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이 디지털 교과서 화면(23)에 표시된다.
도 25는 디지털 교과서 아이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디지털 교과서 화면 내부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키면, 원래 표시된 디지털 교과서 화면이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 화면으로 바뀔 수 있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예를 들어,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현대사 부분 22 페이지의 여백에 존재하는 아이콘 중에서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와 연결된 아이콘을 선택하면, 현대사 부분 22 페이지의 디지털 교과서의 전체 화면 표시(21)가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으로 바뀌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바뀌게 되므로서, 디지털 교과서의 저장 데이터에서도 상기 22페이지는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22페이지에 한해서는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의 데이터가 원래의 디지털 교과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고, 원래의 디지털 교과서 데이터는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의 데이터 베이스에 연결된 아이콘 정보와 함께 저장된다.
도 26은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을 바꾸는 또 하나의 실시예 도면이다.
도 25의 과정에 의하여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가 원래의 디지털 교과서로 표시되고, 원래의 디지털 교과서의 데이터는 아이콘과 연결되어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경우이다.
이 경우에, 디지털 교과서 화면(21) 중간을 선택하여 원래의 디지털 교과서가 저장된 아이콘(22)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키면, "origin"과 연결된 데이터는 디지털 교과서 화면(21) 전체에 표시되고, 디지털 교과서 화면에 표시되었던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 정보는 해당 아이콘과 연결되어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데이터가 바뀌게 되면 아이콘(22)의 정보 표시 단어는 “origin"에서“edit"로 바뀌게 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의 저장 형태를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래 제공하는 원본 디지털 교과서 데이터가 존재한다. 그리고, 예컨대 교사와 같이 편집 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가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한다,
그럴 경우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 데이터가 추가로 저장되며, 이때의 저장 형태의 예시는 도 27과 같다.
도 27에서 “xx,xxx,xxxx”는 디지털 교과서 데이터를 상징적으로 간단히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xx,xxx,xxxx”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교과서의 전체 데이터를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콘과 링크되어 저장된 디지털 교과서가 디지털 교과서 화면에 표시된다. 이때, 새로운 디지털 교과서가 편집되면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에 대응되는 아이콘도 생성되고, 아이콘에 대한 정보도 저장된다. 도 27에서 "0000" 는 아이콘 정보를 상징적으로 간단히 나타낸 것이며, “0000”에는 도 4에서 설명한 아이콘 정보가 모두 포함된 것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에서 콘텐츠 확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를 확장하는 수단으로 아이콘 형태를 제시하였으나, 리스트 형태로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8은 여백의 콘텐츠 리스트(21c)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리스트와 연결된 콘텐츠가 표시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리스트(22c)중에서 1번 조약 리스트를 선택하면, 조약에 관한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이다. 또한 7번의 교과서 편집 리스트를 선택하면 첫 번째로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가 표시되게 된다.
50: 서버 55: 서버 데이터베이스
60: 서버 제어부 20: 사용자 단말
21: 디스플레이부 35: 메모리부
21a: 메뉴바 22: 아이콘
23: 표시영역 24: 아이콘 창

Claims (10)

  1. 원본 디지털 교과서 및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를 저장하고, 상기 원본 디지털 교과서의 콘텐츠와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를 구분하여 관리하며 상기 원본 디지털 교과서와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를 서로 링크시켜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와 상호 접속하여 상기 원본 디지털 교과서와 상기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에 관련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상기 원본 디지털 교과서에서 편집 기능을 선택하면 편집툴이 제공되어 상기 표시된 원본 디지털 교과서를 편집가능하게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원본 디지털 교과서와 상기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 중 선택된 디지털 교과서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표시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표시된 디지털 교과서가 변경가능 하며, 상기 표시되지 않은 디지털 교과서는 표시된 디지털 교과서 상에 표시된 링크 정보에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과서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원본 디지털 교과서 데이터를 표시할 때, 화면에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가 매칭된 아이콘 또는 리스트 형태의 링크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아이콘의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를 표시하고 상기 원본 디지털 교과서를 아이콘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과서 제공 시스템.
  3.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의 편집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접속 관리부;
    사용자 단말의 편집 권한 여부를 저장하는 가입자 DB(database), 원본 디지털 교과서와,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지털 교과서 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편집툴을 제공하여 디지털 교과서의 편집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에 따라 상기 원본 디지털 교과서와 상기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 중 어느 하나의 디지털 교과서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되는 디지털 교과서에 선택되지 않은 디지털 교과서의 링크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맞춤형 교육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디지털 교과서는 복수개의 레이어 구조를 갖고, 각각의 레이어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좌표에 따라 위치를 인식하며, 각각의 레이어에는 링크되는 콘텐츠의 형식이 지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교육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에 콘텐츠가 반영되는 경우, 레이어의 좌표값과 반영될 콘텐츠의 저장 위치가 저장되고, 상기 콘텐츠는 별도의 저장장소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교육 서버.
  6. 제4항에 있어서, 하나의 레이어에 하나 이상의 콘텐츠가 반영될 수 있고, 각각의 레이어에 존재하는 콘텐츠의 위치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교육 서버.
  7. 원본 디지털 교과서와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원본 디지털 교과서가 실행되고 원하는 페이지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서버로부터 요청한 페이지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교과서 편집 선택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서버에 전송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디지털 교과서 편집이 가능한 사용자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교과서 편집이 가능한 사용자인 경우, 편집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편집툴에 의해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를 상기 원본 디지털 교과서의 콘텐츠와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원본 디지털 교과서와 상기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 중 선택된 디지털 교과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디지털 교과서는 화면의 일부에 링크시켜 링크정보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교과서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선택된 디지털 교과서가 표시되고, 선택되지 않은 디지털 교과서가 링크정보로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링크정보로 표시된 디지털 교과서가 선택되면, 상기 링크정보로 표시된 디지털 교과서가 표시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선택되어 표시되었던 디지털 교과서는 링크정보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과서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툴에 의해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편집툴에 의해 추가할 콘텐츠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추가할 콘텐츠 데이터가 표시될 디지털 교과서의 페이지를 지정받아 상기 선택된 콘텐츠 형식에 맞게 지정된 레이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지정된 레이어에 상기 추가할 콘텐츠 데이터가 표시될 위치를 지정받아 상기 위치의 좌표값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좌표값과 추가할 콘텐츠의 저장 위치가 편집된 디지털 교과서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과서 제공 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정보는 링크된 디지털 교과서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로서, 링크된 디지털 교과서의 제목 및 확장자를 포함하고, 아이콘 또는 리스트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과서 제공 방법.





KR1020130069713A 2013-06-18 2013-06-18 디지털 교과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468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713A KR20140146865A (ko) 2013-06-18 2013-06-18 디지털 교과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713A KR20140146865A (ko) 2013-06-18 2013-06-18 디지털 교과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865A true KR20140146865A (ko) 2014-12-29

Family

ID=52675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713A KR20140146865A (ko) 2013-06-18 2013-06-18 디지털 교과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68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397B1 (ko) * 2015-09-25 2016-10-24 주식회사 매쓰트리즈 수학 문제의 텍스트와 이미지를 웹언어로 코드화하는 자동 편집 에디팅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397B1 (ko) * 2015-09-25 2016-10-24 주식회사 매쓰트리즈 수학 문제의 텍스트와 이미지를 웹언어로 코드화하는 자동 편집 에디팅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519B1 (ko) 디바이스의 XHTML-Print 데이터 생성 방법 및장치
US201003325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anipulating thumbnail walls
CA29638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displaying multi-slide presentations
KR20140099606A (ko) 서비스 페이지 공유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JP2010061311A (ja) 情報処理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US8850359B2 (en) Image processor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3648043B (zh) 对智能电视的搜索控制方法和控制装置
KR20120029013A (ko) 호스트장치 및 호스트장치의 웹컨텐츠 표시방법
JP200716428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610605B1 (ko) 전자 메뉴얼 열람 장치 및 시스템
US980547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59435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29017A (ja) 地図検索サーバ、地図検索システム及び地図検索方法
WO2010150106A2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user interest in an advertisement generated as part of a thumbnail wall
KR20140146865A (ko) 디지털 교과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21519481A (ja) メディアコンテンツ計画システム
JP2003131988A (ja) ホームページ更新装置、ホームページ更新方法、ホームページ更新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ホームページ更新プログラム
JP4878241B2 (ja) 地図表示システム
JP2005339580A (ja) 文書データ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128710A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21015574A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装置、記録システム、解析装置及び記録方法
JP4976783B2 (ja) プログラム生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70857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情報処理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40059105A (ko) 확장 가능한 콘텐츠를 가진 디지털 교과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00129B1 (ko) 디지털 교과서 표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