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5583A - 커넥터 단자 및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단자 및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5583A
KR20150055583A KR1020140156798A KR20140156798A KR20150055583A KR 20150055583 A KR20150055583 A KR 20150055583A KR 1020140156798 A KR1020140156798 A KR 1020140156798A KR 20140156798 A KR20140156798 A KR 20140156798A KR 20150055583 A KR20150055583 A KR 20150055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vable
housing
contac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4495B1 (ko
Inventor
가츠마사 사토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35106A external-priority patent/JP5568677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27122A external-priority patent/JP6144235B2/ja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55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팅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소형화된 커넥터 단자와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소켓 단자(9)는, 고정 하우징(8a) 측으로부터 플러그 커넥터(2)의 삽발 방향(Z)을 따라 신장하는 제 1 신장부(11a)와, 제 1 신장부(11a)에 연속하는 되접어 꺾음부(11b)와, 되접어 꺾음부(11b)에 연속하고, 상기 삽발 방향(Z)을 따라 가동 하우징(8b)측으로 신장하는 제 2 신장부(11c)를 갖고 있고, 가동 하우징(8b)을 고정 하우징(8a)에 대하여 상대 변위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가동부(11)를 갖는다. 가동부(11)의 제 2 신장부(11c)에는 굴곡하는 스프링부(11d)를 형성함으로써, 제 2 신장부(11c)와 기부(12)의 간극을 되접어 꺾음부(11b) 측에서 넓게 형성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단자 및 전기 커넥터{CONNECTOR TERMINAL AND 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플로팅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 단자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차재용 전자기기나 민생용 전자기기 등의 고성능화, 다기능화에 수반하여 프린트 기판(이하 「기판」이라고 한다.)끼리를 접속하는 기판간 접속용 전기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또한 전자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기판 자체도 작고 실장 밀도도 고밀도화되는 한편, 신뢰성이 높은 기판간 접속도 필수로 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의 접속 신뢰성을 높이는 기술로서 플로팅 구조가 알려져 있다. 플로팅 구조는 일반적으로 기판에 실장하는 「고정 하우징」, 접속 대상물과 끼워 맞추는 「가동 하우징」, 「단자」를 갖고 있고, 단자가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을 상대 변위 가능하게 홀딩하는 스프링성이 있는 가동부를 갖는 커넥터 구조이다. 이에 따르면 가동부의 변위에 의해 기판끼리의 부착 허용 오차를 해소할 수 있어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기판끼리의 상대 변위를 가동부에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단자끼리의 접촉 불량의 발생이나, 단자를 기판에 고정하는 납땜의 크랙이나 박리의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으로 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개2007-109600호 공보
이러한 높은 접속 신뢰성을 자랑하는 플로팅 구조의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도 전자기기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보다 더 소형화가 요청되고 있지만, 플로팅 구조에서 요하는 가동부가 소형화를 저해하는 하나의 요인이 되고 있다.
즉,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에는 다수의 단자를 그 판면이 평행이 되도록 직사각형상의 하우징의 긴쪽 방향을 따라 병렬로 배치하고 있지만, 그 가동부는 하우징의 짧은쪽 방향에서의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의 사이에는 가동부를 배치하여 탄성 변형시키기 위한 가동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는데,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의 상대 변위에 일정한 변위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동 스페이스를 삭감하는데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종래의 커넥터 구조를 유지한 채로 가동 스페이스를 삭감하여 전기 커넥터 전체를 짧은쪽 방향에서 소형화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플로팅 구조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즉,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 하우징을 상대 변위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가동부와, 가동 하우징에 부착되어 가동부와 연결되는 기부(基部)를 갖는 커넥터 단자에 관하여,
가동부가, 고정 하우징측에 위치하는 제 1 신장부와, 되접어 꺾음부와, 가동 하우징측에서 기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 2 신장부를 갖고 있고,
제 1 신장부와 제 2 신장부와 기부가 병렬로 설치되며,
제 2 신장부와 기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기부와 연결되는 제 2 신장부의 일단측보다 되접어 꺾음부와 연결되는 제 2 신장부의 타단측에서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를 제공한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제 2 신장부는 상기 간극이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타단측에 걸쳐 확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 2 신장부는 상기 간극이 상기 일단측보다 상기 타단측에서 넓어지도록 굴곡하는 스프링부를 갖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기부는 상기 간극이 상기 일단측보다 상기 타단측에서 넓어지도록 제 2 신장부에 대하여 이간하는 형상의 세로 가장자리를 갖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의 커넥터 단자와 이것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따르면, 제 1 신장부와 제 2 신장부의 간격을 긴쪽 방향에 걸쳐 균일하게 넓히지 않아도, 되접어 꺾음부와 반대측에 있어서의 제 1 신장부와 제 2 신장부의 사이에 넓은 가동 공간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 2 신장부와 기부의 간격을 긴쪽 방향에 걸쳐 균일하게 넓히지 않아도, 되접어 꺾음부 측에 있어서의 제 2 신장부와 기부의 사이에 넓은 가동 공간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신장부가 제 2 신장부 측으로 변위하더라도 제 2 신장부와 접촉되기 어렵게 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 2 신장부가 기부측으로 변위하더라도 기부와 접촉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프링부를 갖는 커넥터 단자에 관해서는 제 2 신장부에 있어서의 상기 일단측과 상기 타단측을 스프링부를 경계로 제 1 신장부나 기부와 평행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해서는 기부에서의 가동부와 인접하는 측면에, 제 2 신장부 및 되접어 꺾음부에 대향하는 노치부를 설치하고, 가동부를 노치부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기부에 노치부를 설치하지 않는 기부와 가동부를 폭 방향으로 병렬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단자를 폭 방향에서 소형화할 수 있다.
또, 가동부가 노치부의 내측에 들어가 있는 상태란, 가동부의 전체가 노치부의 내측에 들어가 있는 상태뿐만이 아니라, 예를 들면 제 2 신장부와 되접어 꺾음부와 같이, 가동부의 일부만이 노치의 내측에 들어가 있는 상태도 포함된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해서는 고정 하우징과 가동부의 제 1 신장부의 사이에, 가동부가 고정 하우징으로부터 이간하는 틈새부를 설치할 수 있다.
가동부가 상기 틈새부를 둠으로써, 기판 접속부를 기판에 납땜할 때에, 고정 하우징과 가동부의 제 1 신장부의 사이를 모세관 현상에 의해 플럭스가 뻗어 올라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 뻗어 올라감을 가림으로써 플럭스가 접점부에까지 도달하여 도통 불량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해서는 가동 하우징에 가동부의 되접어 꺾음부을 덮는 차양형상의 긴쪽 측벽을 설치할 수 있다. 차양형상의 긴쪽 측벽이 가동부의 되접어 꺾음부을 덮음으로써,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의 접촉 등으로부터 가동부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해서는 기판의 기판면에 접속하는 접속부와, 고정 하우징을 기판으로부터 이간시키는 지지부를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기 커넥터를 기판에 대하여 납땜할 때에 고정 하우징에 플럭스가 부착되어 단자와의 틈새로 들어가며, 그것을 가림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해 단자부에까지 플럭스가 도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해서는 단자부가 접점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편부를 구비하고, 접점부가, 접속 대상물과 끼워 맞출 때에, 상기 도통 접속부의 접촉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접촉면에 부착하는 이물을 와이핑하는 프런트 접점부와, 프런트 접점부에 의해 와이핑된 접촉면에 접촉하는 리어 접점부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접점부가 이와 같은 프런트 접점부와 리어 접점부를 구비함으로써, 도통 접속부의 접촉면에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라도, 프런트 접점부에서 이물을 와이핑하여 리어 접점부에서 확실하게 접촉면과 도통 접속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접점부를 복수 개 갖는 단자로는 1개의 탄성편부가 복수의 접점부를 탄성 지지하는 것과, 탄성편부를 복수 개 갖고, 각 접점부를 다른 탄성편부가 탄성 지지하는 것이 있다. 이들 중 어느 단자라도, 본 발명에 의해 단자의 폭 방향에서 전기 커넥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예를 들면 전자의 단자에서는 탄성편부가 굴곡하여 도통 접속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되돌아 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 단자의 폭 방향으로 복수의 판면이 병렬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의한 소형화의 효과가 특히 유효하다. 후자의 경우에는 복수의 탄성편부가 마찬가지로 단자의 폭 방향으로 병렬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해서는 단자를 판면 방향으로 굴곡하지 않는 평형상(平型狀)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판면과 평행한 방향에서 단자를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판 두께 방향에서도 소형화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협피치로 다수의 단자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고, 배열 방향에서 컴팩트한 전기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이 단자는 예를 들면 평판형상의 도전성 금속을 프레스 가공으로 펀칭한 펀칭 단자로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따르면, 단자의 폭 방향에서의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을 구비하는 플로팅 커넥터라도 폭 방향으로 작은 전기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이 전기 커넥터를 이용함으로써 기판에의 실장 밀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기 커넥터를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3은 도 2 중 화살표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플러그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소켓 커넥터의 단면도.
도 6은 도 5 중 화살표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7은 도 5 중 R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소켓 커넥터의 사시도.
도 9는 도 8 중 S부분의 확대도.
도 10은 도 5 중 T부분의 확대도.
도 11은 도 3에 나타내는 소켓 단자의 변위 상태에 있어서의 설명도.
도 12는 변형예에 있어서의 소켓 단자의 정면도.
도 13은 변형예에 있어서의 소켓 단자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대해 적합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플로팅 기능을 구비하는 기판간 접속용 커넥터의 예를 설명한다.
전기 커넥터(1)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와 소켓 커넥터(3)를 구비한다. 도 2∼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는 기판(4)에 실장되어 있고, 소켓 커넥터(3)는 기판(5)에 실장된다. 플러그 커넥터(2)와 소켓 커넥터(3)가 끼워 맞춰짐으로써 기판(4)과 기판(5)이 도통 접속된다.
또한 본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에서는 도 1∼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의 긴쪽 방향을 X방향, 짧은쪽 방향을 Y방향, 플러그 커넥터(2)와 소켓 커넥터(3)의 삽발 방향을 Z방향으로 하고, 삽발 방향(Z)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2)의 측을 「상측」, 소켓 커넥터(3)의 측을 「하측」으로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2)는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6)과 플러그 단자(7)를 구비한다.
[플러그 하우징]
플러그 하우징(6)은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본체부(6A)와, 본체부(6A)의 긴쪽 방향(X)의 양측에 설치되어 기판(4)에 고정되는 다리부(6B)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6A)는 끼워 맞춤부(6a)와 격벽부(6b)와 기부(6c)를 갖는다. 끼워 맞춤부(6a)는 전기 커넥터(1)의 끼워 맞춤시에 소켓 커넥터(3)의 찔러 넣음을 받는 부분이다. 격벽부(6b)는 끼워 맞춤부(6a)를 기부(6c)와 떼어 놓는 부분이다. 기부(6c)는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기판(4) 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끼워 맞춤부(6a)에는 짧은쪽 방향(Y)의 양측에 측벽(6a1)이 긴쪽 방향(X)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도 4). 측벽(6a1)의 사이에는 중앙벽(6a2)이 긴쪽 방향(X)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중앙벽(6a2)에는 플러그 단자(7)를 1개씩 압입하여 고정하는 부착홈(6a3)이 긴쪽 방향(X)에서 병렬로 형성되어 플러그 단자(7)가 홀딩된다.
격벽부(6b)에는 부착홈(6a3)과 연속하는 부착구멍(6b1)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 플러그 단자(7)가 1개씩 삽입 통과되어 홀딩되어 있다.
기부(6c)에는 짧은쪽 방향(Y)의 양측에 측벽(6c1)이 긴쪽 방향(X)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도 4). 측벽(6c1)의 내면에는 부착홈(6a3), 부착구멍(6b1)과 연속하여 부착홈(6c2)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단자(7)는 부착홈(6a3), 부착구멍(6b1), 부착홈(6c2)을 플러그 하우징(6)의 단자 부착부로서 홀딩되어 있다. 기판(4)과 대향하는 기부(6c)의 저부(6c3)는 플러그 하우징(6)의 다리부(6B)를 기판(4)에 고정한 상태에서, 기판면과 이간하도록 오목형상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곳에서 플러그 단자(7)가 노출되어 기판(4)에 고정되어 있다.
[플러그 단자]
플러그 단자(7)는 금속 평판을 프레스 가공으로 펀칭하여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접속부(7a)와, 제 1 이간부(7b)와, 직선부(7c)와, 제 2 이간부(7d)와, 삽입 통과부(7e)와, 접촉부(7f)를 갖는다.
기판 접속부(7a)에는 기판(4)에 납땜되는 기판면과 평행한 접속부(7a1)와, 접속부(7a1)의 단부와 연속하여 기판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어서도록 굴곡하는 지지부(7a2)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이간부(7b)는 지지부(7a2)의 일단측에서 굴곡하여 기판면과 평행하게 신장하는 부분이다. 제 1 이간부(7b)는 후술하는 모세관 현상에 의한 플럭스의 전달을 억제하기 위해 플러그 하우징(6)의 저부(6c3)와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도록 떨어져 있다.
직선부(7c)는 플러그(2)의 삽발 방향(Z)을 따라 설치되고, 플러그 하우징(6)의 기부(6c)의 부착홈(6c2)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이간부(7d)는 기부(6c)와 격벽부(6b)의 내벽면과 비접촉이 되도록 직선부(7c)의 단부로부터 크랭크형상으로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2 이간부(7d)를 기부(6c)와 격벽부(6b)의 내벽면에 대하여 틈새가 생기도록 거리를 둔 것은 제 1 이간부(7b)와 마찬가지로 모세관 현상에 의한 플럭스의 전달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삽입 통과부(7e)는 플러그 하우징(6)의 격벽부(6b)의 부착구멍(6b1)에 삽입 통과되어 홀딩되어 있다.
접촉부(7f)는 소켓 단자(9)와 도통 접속하는 부분이고, 끼워 맞춤부(6a)의 중앙벽(6a2)의 부착홈(6a3) 내부에 부착되어 있다.
[소켓 커넥터]
소켓 커넥터(3)는 도 3,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8)과, 소켓 단자(9)를 구비한다.
[소켓 하우징]
소켓 하우징(8)은 고정 하우징(8a)과, 가동 하우징(8b)을 구비한다.
[가동 하우징]
가동 하우징(8b)은, 후술하는 하우징 구조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2)와의 끼워 맞춤측부터 차례로 플러그 하우징(6)과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8c)와, 소켓 단자(9)를 홀딩하는 단자 홀딩부(8d)를 갖는다.
끼워 맞춤부(8c)에는 짧은쪽 방향(Y)의 양측에 가동 하우징(8b)의 긴쪽 방향(X)을 따라 긴쪽 측벽(8c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에는 짧은쪽 방향(Y)을 따르는 짧은쪽 측벽(8c2)이 형성되어 있다. 끼워 맞춤부(8c)의 내부에는 각 긴쪽 측벽(8c1)과 대향하는 긴쪽 내벽(8c3)이 형성되어 있고, 긴쪽 측벽(8c1)과 긴쪽 내벽(8c3)의 사이에는 서로 이웃하는 소켓 단자(9)끼리를 절연하는 칸막이 벽(8c4)이 형성되어 있다(도 5). 끼워 맞춤부(8c)의 끼워 맞춤측 단부에는 전(前)벽(8c5)이 형성되어 있다.
대향하는 긴쪽 내벽(8c3)과 긴쪽 내벽(8c3)의 사이는 플러그 하우징(2)의 중앙벽(6a2)이 꽂아 넣어지는 플러그 삽입부(8c6)로서 형성되어 있다(도 5).
이들의 긴쪽 측벽(8c1), 짧은쪽 측벽(8c2), 긴쪽 내벽(8c3), 칸막이 벽(8c4), 전벽(8c5)에 의하여 포위되는 내부 공간은 소켓 단자(9)마다의 수용부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끼워 맞춤부(8c)에는 그와 같은 수용부가 플러그 삽입부(8c6)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단자 홀딩부(8d)에는 끼워 맞춤부(8c)의 긴쪽 측벽(8c1), 짧은쪽 측벽(8c2)과 각각 연속하는 긴쪽 측벽(8d1), 짧은쪽 측벽(8d2)이 형성되어 있다. 긴쪽 측벽(8d1)은 끼워 맞춤부(8c)의 긴쪽 측벽(8c1)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외부로 돌출하고 있다. 긴쪽 측벽(8d1)의 사이에는 플러그 삽입부(8c6)의 연장상에 중앙벽(8d3)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벽(8d3)은 삽발 방향(Z)에 대하여 기판(5)을 향해 긴쪽 측벽(8d1)의 하단 위치를 넘어 길게 형성되어 있다.
긴쪽 측벽(8d1)과 중앙벽(8d3)의 사이에는 끼워 맞춤부(8c)의 칸막이 벽(8c4)과 연속하여 칸막이 벽(8d4)이 형성되어(도 5) 서로 이웃하는 소켓 단자(9)끼리가 구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칸막이 벽(8d4)의 하단 위치는 가동 하우징(8b)의 긴쪽 측벽(8d1) 측에서는 긴쪽 측벽(8d1)의 하단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고, 중앙벽(8d3) 측에서는 중앙벽(8d3)의 하단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긴쪽 측벽(8d1), 짧은쪽 측벽(8d2), 중앙벽(8d3), 칸막이 벽(8d4)에 의해 포위되는 내부 공간은 각 소켓 단자(9)의 수용부로 되어 있다. 소켓 단자(9)는 이 단자 홀딩부(8d)의 수용부와 상술한 끼워 맞춤부(8c)의 수용부를 맞추어서 슬릿형상으로 형성되는 소켓 단자(9) 마다의 「단자 부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단자 홀딩부(8d)의 긴쪽 측벽(8d1)은 끼워 맞춤부(8c)의 긴쪽 측벽(8c1)보다 판 두께로 형성하고 있다. 이것은 강성을 높여 압입되는 소켓 단자(9)에 대한 확실한 홀딩력을 발휘하기 위함이다. 또 하나의 이유는 소켓 단자(9)의 가동부(11)의 상측을 「차양형상」으로 덮음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접촉이나 충격으로부터 지키는 「보호벽」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함이다. 이 보호벽으로서의 기능을 중시하여 긴쪽 측벽(8d1)은 상대 변위하지 않는 정지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은쪽 방향(Y)에서 가동부(11)의 제 1 신장부(11a)를 넘는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 홀딩부(8d)의 짧은쪽 측벽(8d2)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5)을 향하여 신장해 기판면과 평행하게 바깥쪽으로 굴곡하는 걸림부(8d5)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8d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 하우징(8a)에 대한 과잉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고정 하우징]
고정 하우징(8a)은 가동 하우징(8b) 하측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고, 짧은쪽 방향(Y)의 양측에 긴쪽 방향(X)을 따르는 긴쪽 측벽(8a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단부에 짧은쪽 방향(Y)을 따르는 짧은쪽 측벽(8a2)이 형성되어 있다. 긴쪽 측벽(8a1)에는 소켓 단자(9)를 고정하는 고정구멍(8a3)이 설치되어 있다. 각 짧은쪽 측벽(8a2)에는 기판(5)에 고정하는 다리부(8a4)와, 상술한 가동 하우징(8b)의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걸림부(8d5)가 삽발 방향(Z)에 있어서의 이탈 방향에서 걸리는 구멍형상의 걸림 받이부(8a5)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고정 하우징(8a)의 내부에는 소켓 단자(9)와 가동 하우징(8b)의 가동 공간(14)이 형성된다. 가동 공간(14) 중에 있는 가동 하우징(8b)의 구조 요소는 단자 홀딩부(8d)의 중앙벽(8d3)과 칸막이 벽(8d4)이며, 그 짧은쪽 방향(Y)에서의 폭은 한 쌍의 긴쪽 측벽(8d1)의 외면(外面)간의 폭보다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하우징(8b)에 의한 고정 하우징(8a)의 내부에서의 짧은쪽 방향(Y)에 있어서의 점유 공간을 작게 하여 가동 공간(14)을 크게 취할 수 있다.
고정 하우징(8a)의 긴쪽 측벽(8a1)의 상단과 가동 하우징(8b)의 긴쪽 측벽(8d1)의 하단의 사이에는 개구(15)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하우징(8b)의 긴쪽 측벽(8d1)의 하단은 고정 하우징(8a)의 내부에 들어가 있지 않고, 긴쪽 측벽(8a1) 상단의 경사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큰 개구(15)가 형성되고, 이 개구(15)는 기판(5)에서 발생하여 고정 하우징(8a)의 내부로 모이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부분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소켓 단자]
소켓 단자(9)는 금속 평판을 프레스 가공으로 펀칭하여 C모따기 등의 소정의 마무리 처리를 실시하여 형성되는 것이고, 금속 평판의 평면형상을 유지한 판 두께 방향으로 구부림이 없는 소위 「펀칭 단자(拔端子)」로서 형성한 것이다. 소켓 단자(9)는 판면이 소켓 하우징(8)의 짧은쪽 방향(Y)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2 개의 소켓 단자(9)가 서로 마주 보도록 쌍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다. 소켓 단자(9)는 도 3,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와의 끼워 맞춤측부터 차례로 단자부(10), 기부(12), 가동부(11), 기판 접속부(13)를 갖는다.
소켓 단자(9)는 소켓 하우징(8)의 긴쪽 방향(X)을 따라 등간격으로 병렬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소켓 단자(9)를 판 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지 않는 평판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1개의 소켓 단자(9)의 긴쪽 방향(X)의 폭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협피치로 배열할 수 있어 전기 커넥터(1)를 긴쪽 방향(X)에서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는 짧은쪽 방향(Y)에서도 소형화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판 접속부]
기판 접속부(13)는 접속부(13a)와, 지지부(13b)와, 고정편부(13c)를 갖는다.
접속부(13a)는 고정 하우징(8a)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기판(5)에 납땜 된다.
지지부(13b)는 접속부(13a)의 상측에 설치되고, 소켓 하우징(8)을 기판(5)의 기판면으로부터 띄운 상태에서 지지한다. 기판 접속부(13)가 납땜된 상태에서 지지부(13b)와 회로 기판(5)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지지부(13b)에는 삽발 방향(Z)으로 돌출하는 고정편부(13c)가 형성되어 있고, 그 걸림 돌기부(13d)가 고정 하우징(8a)의 고정구멍(8a3)의 공벽(孔壁)에 맞물려 들어감으로써 소켓 단자(9)가 고정 하우징(8a)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부]
가동부(11)는 스프링 탄성을 갖는 선형상편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신장부(11a)와, 되접어 꺾음부(11b)와, 제 2 신장부(11c)를 갖는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신장부(11a)와 제 2 신장부(11c)는 후술하는 기부(12)의 하부(12b)와 병렬로 설치된다. 가동부(11)는 고정 하우징(8a)의 내부의 가동 공간(14)에 위치하고 있고, 가동 하우징(8b)을 고정 하우징(8a)에 대하여 상대 변위 가능한 상태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
이 가동부(11)를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전기 커넥터(1)에 진동이 더해졌을 때나 플러그(2)와 소켓(3)의 끼워 맞춤시에, 가동 공간(14) 안에서 가동부(11)가 변위하여 가동 하우징(8b)을 고정 하우징(8a)에 대하여 상대 변위시킬 수 있다.
제 1 신장부(11a)는 기판 접속부(13)의 수평 방향에서의 단부로부터 삽발 방향(Z)을 따라 세워 올려 신장한다. 제 1 신장부(11a)는 기판 접속부(13)와의 경계측으로부터 고정 하우징(8a)의 내면(8a6)과 틈새부(14c)를 비워 놓고 설치되어 있다(도 10). 이렇게 함으로써 가령 기판 접속부(13)를 플럭스가 뻗어 올라가 가동부(11)에 도달하더라도 기판 접속부(13)와의 경계측에는 틈새부(14c)가 있어 내면(8a6)과 이간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신장부(11a)를 내면(8a6)과 접촉시키는 경우에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생기는 플럭스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1 신장부(11a)의 상단측에는 되접어 꺾음부(11b)가 설치되어 제 2 신장부(11c)로 연속한다.
제 2 신장부(11c)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신장부(11a)와 대략 평행하게 신장하고 있고 하단에서 굴곡하여 기부(12)에 연결된다. 제 2 신장부(11c)에는 크랭크형상으로 굴곡하는 스프링부(11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부(11d)를 중간에 설치함으로써, 스프링부(11d) 상측의 틈새부(11f)가 하측의 틈새부(11e)보다 기부(12)로부터의 거리가 크게 멀어지게 된다. 즉, 되접어 꺾음부(11b) 측의 틈새부(11f)와 기부(12)의 사이에는 넓은 제 1 가동 공간부(14a)가 설치되고, 기부(12)와 연속된 측의 틈새부(11e)와 기부(12)의 사이에는 그것보다 좁은 제 2 가동 공간부(14b)가 설치된다.
[기부]
기부(12)에는 도 3,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이 넓은 상부(12a)와 좁은 띠형상의 하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12a)는 가동 하우징(8b)의 단자 홀딩부(8d)의 긴쪽 측벽(8d1)과 중앙벽(8d3)에 끼워져 홀딩되는 부분이고, 그 상단은 단자부(10)와 연속한다. 하부(12b)는 긴쪽 측벽(8d1)의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좁은 띠형상의 부분이며, 그 하단측은 가동부(11)의 제 2 신장부(11c)와 연속한다.
하부(12b)(기부(12))에서의 제 2 신장부(11c)와의 대향 가장자리에는 오목형상의 노치부(12c)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짧은쪽 방향(Y)을 따르는 하부(12b)의 폭은 상부(12a)의 폭의 약 1/2로 되어 있다.
노치부(12c)는 삽발 방향(Z)을 따르는 세로 가장자리(12d)와 짧은쪽 방향(Y)을 따르는 가로 가장자리(12e)로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한 부분 안에 제 2 신장부(11c)가 들어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소켓 단자(9)의 짧은쪽 방향(Y)에서의 폭을 작게 할 수 있어 소켓 커넥터(3)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노치부(12c)의 가로 가장자리(12e)는 가동 하우징(8b)에서의 두꺼운 두께의 긴쪽 측벽(8d1)의 하단면과 대략 면일치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동 공간(14) 내로부터 개구(15)를 통하여 스무드하게 방열할 수 있다.
상부(12a)에는 걸림부(12a1)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이 가동 하우징(8b)의 중앙벽(8d3)에 대하여 맞물려 들어감으로써, 소켓 단자(9)가 가동 하우징(8b)에 고정된다. 하부(12b)의 기판측 단부에는 누름 받이부(12b1)가 형성되고, 소켓(3)의 조립시에는 이 누름 받이부(12b1)를 누름으로써 소켓 단자(9)가 가동 하우징(8b)으로 압입되어 조립된다.
[단자부]
단자부(10)는 도 5,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12)의 위쪽 가장자리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신장하는 프런트 단자(16)와 리어 단자(17)를 갖는다.
[프런트 단자]
프런트 단자(16)는 탄성편부(16a)와 접촉부(16b)를 갖는다.
탄성편부(16a)는 기부(12)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신장한다.
접촉부(16b)는 탄성편부(16a)의 선단측에 설치되고, 플러그 단자(7)와의 접촉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으며, 끼워 맞춤 상태에서는 그 선단이 프런트 접점부(16c)로서 플러그 단자(7)와 접촉한다. 또, 접촉부(16b)는 프런트 접점부(16c)보다 상측에, 플러그 단자(7)의 접촉부(7f)에 부착하는 이물의 제거 기능을 발휘하는 앞쪽 가장자리(16d)를 갖는다.
또, 탄성편부(16a)의 선단측으로서 리어 단자(17)의 접촉부(17b)와의 대향 가장자리에는 가장자리를 부분적으로 오목하게 하여 탄성편부(16a)의 판 폭을 좁게 한 오목부(16e)가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2)와의 끼워 맞춤시에, 리어 단자(17)가 플러그 단자(7)에 의해 프런트 단자(16)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눌러졌을 때에, 리어 단자(17)의 선단측을 오목부(16e)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리어 단자(17)와 프런트 단자(16)가 접촉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리어 단자]
리어 단자(17)도 탄성편부(17a)와, 접촉부(17b)를 갖는다.
탄성편부(17a)는 기부(12)의 상단으로부터 신장한다.
접촉부(17b)는 탄성편부(17a)의 선단측에 설치되고, 플러그 단자(7)와의 접촉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으며, 끼워 맞춤 상태에서는 그 선단이 리어 접점부(17c)로서 플러그 단자(7)와 접촉한다. 또, 리어 접점부(17c)는 프런트 접점부(16c)보다 삽발 방향(Z)에서의 안쪽측에 설치되어 있고, 플러그 커넥터(2)와의 끼워 맞춤시에 프런트 단자(16), 리어 단자(17)의 순으로 플러그 단자(7)와 접촉한다.
리어 접점부(17c)는 플러그 커넥터(2)와의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긴쪽 내벽(8c3)으로부터의 돌출량이 프런트 접점부(16c)보다 크게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끼워 맞춤시에, 프런트 접점부(16c)가 플러그 단자(7)로 눌러져서 긴쪽 측벽(8c1) 측을 향하는 단자 변위량보다, 리어 접점부(17c)가 플러그 단자(7)로 눌러져서 긴쪽 측벽(8c1) 측을 향하는 변위량이 커진다. 일반적으로 스프링 승수(乘數)가 같은 경우, 단자의 변위량이 증가하는 만큼 접압이 상승한다. 따라서, 프런트 접점부(16c)와 리어 접점부(17c)를 상기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리어 단자(17)의 접압을 프런트 단자(16)의 접압보다 크게 설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프런트 접점부(16c)보다 안쪽측에 있는 리어 접점부(17c)를 플러그 단자(7)에 대하여 확실하게 도통 접촉시킬 수 있다.
또, 단자부(10)가 프런트 접점부(16c)와 리어 접점부(17c)라는 2개의 접점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어느 한쪽의 접점부(16c, 17c)가 접촉부(7f)와의 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이 끼어도 다른쪽의 접점부를 접촉할 수 있으므로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전기 커넥터의 작용·효과의 설명]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
소켓 단자(9)는 금속 평판의 평면형상을 유지한 판 두께 방향으로 구부러짐이 없는 평판형상이다. 이에 따라 협피치로 다수의 소켓 단자(9)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고, 긴쪽 방향(X)에서 컴팩트한 소켓 커넥터(3)와 전기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소켓 단자(9)의 기부(12)는 단자부(10)와 연속하는 상부(12a)를 짧은쪽 방향(Y)에서 넓은 폭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소켓 단자(9)에 대해 상술한 이점을 얻기 위해 단자부(10)를 프런트 단자(16)와 리어 단자(17)의 복수 단자·복수 접점 구조로 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단자부(10)의 경우, 상부(12a)의 판 폭을 그대로 기판 방향으로 늘리면 하부(12b)를 형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치부(12c)를 형성하여 판 폭이 좁은 하부(12b)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내측에 가동부(11)의 제 2 신장부(11c)와 되접어 꺾음부(11b)의 대략 절반을 들어가게 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부(12a)와 같은 판 폭으로 하부(12b)를 형성하고 그 하부(12b)와 병렬로 가동부(11)를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소켓 단자(9)를 짧은쪽 방향(Y)에서 작게 할 수 있어 소켓 커넥터(3)와 전기 커넥터(1)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라면, 플로팅 구조를 구비하면서도 긴쪽 방향(X), 짧은쪽 방향(Y)의 쌍방에 대해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자기기의 소형화, 전자 부품의 고밀도 실장에 공헌할 수 있다.
전기 커넥터(1)에서는 단자부(10)의 하측에 가동부(11)와 기부(12)의 하부(12b)를 병렬로 배치하고 있다. 기판(4)과 기판(5)에 실장한 소자나 여러 가지 전자기기의 설계상의 제약 조건에 따라, 기판끼리의 간격을 떼어 놓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와 같이 소켓 단자(9)의 단자부(10)와 가동부(11) 및 기부(12)의 하부(12b)를 삽발 방향(Z)을 따라 상하로 직렬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긴쪽 방향(X), 짧은쪽 방향(Y)에서 소형화하면서도, 삽발 방향(Z)에서는 고배(高背)인 전기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2)와 소켓 커넥터(3)의 끼워 맞춤시에, 플러그 단자(7)에 의해 프런트 단자(16)와 리어 단자(17)는 외측을 향하여 눌러진다. 그때, 통상은 리어 단자(17)가 프런트 단자(16)에 접촉하는 것을 막기 위해, 리어 단자(17)와 프런트 단자(16)의 사이의 거리를 크게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에서는 프런트 단자(16)의 탄성편부(16a)에서의 리어 단자(17)와 인접하는 측의 판 가장자리에 오목부(16e)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리어 단자(17)가 플러그 단자(7)로부터 눌러졌을 때에 리어 단자(17)의 접촉부(17b)가 오목부(16e)의 내측으로 들어감으로써, 프런트 단자(16)가 탄성편부(16a)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프런트 단자(16)를 리어 단자(17) 측으로 근접시켜 기부(12) 상부(12a)의 짧은쪽 방향(Y)의 판 폭을 작게 하더라도, 프런트 단자(16)와의 사이에 리어 단자(17)의 가동역(可動域)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소켓 단자(9)를 짧은쪽 방향(Y)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계상, 제조상의 이유에서, 대향하는 프런트 접점부(16c)간의 간격보다 대향하는 리어 접점부(17c)간의 간격이 짧아 리어 접점부(17c)가 가동 하우징(8b)의 긴쪽 내벽(8c3)으로부터의 돌출량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프런트 단자(16)보다 리어 단자(17)가 플러그 커넥터(2)와의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의 단자 변위량이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끼워 맞춤 상태에서 리어 단자(17)가 크게 프런트 단자(16)에 접근하지만, 상술과 같이 프런트 단자(16)에 오목부(16e)를 설치함으로써, 프런트 단자(16)와의 접촉을 회피하면서 짧은쪽 방향(Y)에서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가동부(11)에는 크랭크형상으로 굴곡하는 스프링부(11d)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 가동 하우징(8b)이 고정 하우징(8a)측으로 변위할 때에 제 2 신장부(11c)의 상측이 기부(12)에 접촉하거나, 제 1 신장부(11a)의 하측이 제 2 신장부(11c)의 하측에 접촉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제 2 신장부(11c)와 기부(12)의 간격과, 제 1 신장부(11a)와 제 2 신장부(11c)의 간격을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까지 넓게 할 필요가 있는데, 그렇게 하면 소켓 단자(9)가 짧은쪽 방향(Y)에서 대형화되어 버린다.
그래서, 가동부(11)에 크랭크형상으로 굴곡하는 스프링부(11d)를 설치함으로써, 제 2 신장부(11c)의 되접어 꺾음부(11b)의 측(틈새부(11f))과 기부(12)의 사이에 넓은 제 1 가동 공간부(14a)를 형성하여 가동 하우징(8b)이 고정 하우징(8a)에 가까워지도록 변위해도 제 2 신장부(11c)가 기부(12)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도 10, 도 11).
또, 스프링부(11d)의 하측(틈새부(11e))은 기부(12)와 접근하여 좁은 틈새부(11e)가 형성되게 되지만, 기부(12)와는 반대측의 제 1 신장부(11a)의 기판측과의 사이에는 넓은 제 3 가동 공간부(14d)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가동 하우징(8b)이 고정 하우징(8a)에 가까워지도록 변위해도 제 2 신장부(11c)의 기판측(틈새부(11e))이 제 1 신장부(11a)의 기판측과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도 11).
[플럭스 상승을 억제하는 구조]
플러그 단자(7)는 지지부(7a2)를 갖고 있어 기판(4)에 실장된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6)이 기판(4)으로부터 뜬 상태가 된다. 따라서 플럭스가 플러그 하우징(6)에 부착되기 어렵기 때문에, 플러그 하우징(6)을 플럭스가 타고 가는 것을 가림으로써 플러그 단자(7)와의 틈새로 들어가지 않게 할 수 있다. 또, 플러그 단자(7)는 제 1 이간부(7b)와 제 2 이간부(7d)를 갖기 때문에, 만일 플럭스가 플러그 하우징(6)에 부착한 경우라도, 모세관 현상에 의해 플럭스가 플러그 하우징(6)과 플러그 단자(7)의 사이를 뻗어 올라가는 것을 제 1 이간부(7b) 또는 제 2 이간부(7d)에 의해 막을 수 있다.
또, 소켓 단자(9)는 지지부(13b)를 갖고 있어 기판(5)에 실장된 상태에서 고정 하우징(8a)이 기판(5)으로부터 뜬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플럭스가 고정 하우징(8a)에 부착되기 어렵기 때문에, 고정 하우징(8a)을 플럭스가 타고 가는 것을 가림으로써 소켓 단자(9)와의 틈새로 들어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고정 하우징(8a)과 가동부(11)의 제 1 신장부(11a)의 사이에는 틈새부(14c)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플럭스가 상기 틈새로 들어간 경우라도, 모세관 현상에 의한 플럭스의 뻗어 올라감을 틈새부(14c)에서 막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플럭스의 뻗어 올라감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플러그 단자(7)의 접촉부(7f)나 소켓 단자(9)의 단자부(10)에 플럭스가 도달함에 따른 단자간의 접촉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접점 어긋남 구조에 의한 삽입성의 개선]
도 6∼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커넥터(3)에는 긴쪽 방향(X)을 따라 복수의 소켓 단자(9)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소켓 단자(9)의 프런트 접점부(16c)끼리는 서로 번갈아 삽발 방향(Z)으로 거리(H1)분만큼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리어 접점부(17c)끼리도 서로 번갈아 삽발 방향(Z)으로 거리(H2)분만큼 위치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접속 대상물이 되는 플러그 커넥터(2)와 소켓 커넥터(3)의 끼워 맞춤시에, 플러그 단자(7)의 선단은 우선 프런트 단자(16)의 접촉부(16b)를 눌러 소켓 하우징(8)의 외측으로 변위시켜 프런트 접점부(16c)를 타고 넘는다. 그 후, 리어 단자(17)의 접촉부(17b)를 눌러 마찬가지로 변위시켜 리어 접점부(17c)를 타고 넘는다. 이렇게 하여 플러그 단자(7)의 접촉부(7f)에 프런트 접점부(16c)와 리어 접점부(17c)가 접촉하여 커넥터 끼워 맞춤이 완료된다.
도시하지 않은 작업자는 프런트 단자(16)의 접촉부(16b)와 리어 단자(17)의 접촉부(17b)를 누를 때에 소켓 커넥터(3)의 복수의 소켓 단자(9)로부터 동시에 저항을 받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2)와 소켓 커넥터(3)를 끼워 맞춤시키기 위해 강한 힘이 필요하게 된다. 또, 플러그 단자(7)의 선단이 프런트 접점부(16c)를 타고 넘을 때와 리어 접점부(17c)를 타고 넘을 때의 각각에서 손쪽에 저항을 느낀다. 따라서, 프런트 접점부(16c)를 타고 넘은 단계에서, 끼워 맞춤이 완료되었다고 작업자가 착각하여 반끼워 맞춤 상태로 작업을 멈춰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 강한 힘으로 무리하게 플러그 커넥터(2)를 소켓 커넥터(3)에 삽입하려고 하면, 기울어진 끼워 맞춤이 생기거나 비집어 틀어져 버림으로써 소켓 단자(9)가 좌굴(座屈)하여 손상될 우려도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프런트 접점부(16c)끼리나 리어 접점부(17c)끼리의 위치를 삽발 방향(Z)에서 어긋나게 함으로써, 플러그 단자(7)가 각 소켓 단자(9)에 접촉하는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플러그 단자(7)에 동시에 접촉하는 소켓 단자(9)의 수를 줄여 삽입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작은 힘으로 플러그 커넥터(2)와 소켓 커넥터(3)를 끼워 맞추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반끼워 맞춤, 기울어진 끼워 맞춤, 좌굴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물 제거 기능]
플러그 커넥터(2)와 소켓 커넥터(3)를 끼워 맞춤으로써, 플러그 단자(7)와 소켓 단자(9)가 접촉하여 도통 접속하지만, 이 플러그 단자(7)의 접촉부(7f)에는 예를 들면 기판 찌꺼기나 먼지 등의 이물이 부착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에서 리어 접점부(17c)가 플러그 단자(7)의 접촉부(7f)에 대하여 접촉하면, 리어 접점부(17c)와 플러그 단자(7)의 접촉부(7f)의 사이에 이물이 끼어 리어 접점부(17c)와 플러그 단자(7)의 도통 접속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도 3, 도 5,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접점부(17c)보다 상측에 프런트 접점부(16c)를 설치하고, 플러그(2)와 소켓(3)을 끼워 맞출 때에, 플러그 단자(7)의 접촉부(7f)에 대하여 프런트 접점부(16c)와 리어 접점부(17c)를 차례차례 슬라이딩 접촉시킴으로써, 프런트 접점부(16c)와 그 앞쪽 가장자리(16d)에 의해 플러그 단자(7)의 접촉부(7f)에 부착하고 있는 이물을 와이핑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접점부(17c)가, 플러그 단자(7)의 접촉부(7f)에 있어서의 이물이 와이핑된 부분에 접촉함으로써, 리어 접점부(17c)와 플러그 단자(7)의 사이에 이물이 끼는 일 없이 안정되게 도통 접속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를 이용함으로써 가동부(11)를 설치하더라도 짧은쪽 방향(Y)에서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기기의 소형화와 전자 부품의 고밀도 실장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를 이용함으로써 플럭스가 뻗어 올라가 단자부(10)에 부착함에 따라 발생하는 도통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리어 단자(17)의 접압을 프런트 단자(16)보다 높임으로써, 리어 단자(17)를 플러그 단자(7)에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프런트 접점부(16c)끼리 또는 리어 접점부(17c)끼리의 위치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삽입성을 개선시키는 전기 커넥터(1)로 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접촉 신뢰성이 높은 전기 커넥터(1)로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프런트 단자(16)와 리어 단자(17)를 갖는 전기 커넥터(1)를 나타냈다. 그러나, 탄성편부를 1개만 갖고, 접점부를 1개 갖는 것이나, 1개의 탄성편부가 복수의 접점부를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들 중 어느 것이라도 짧은쪽 방향(Y)에서 전기 커넥터(1)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프런트 접점부(16c)와 리어 접점부(17c)라는 2개의 접점부를 갖는 실시형태를 예시했지만, 접점부를 1개만 갖는 전기 커넥터(1)라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의 가동부(11)에서는 제 2 신장부(11c)를 노치부(12c)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하고, 제 1 신장부(11a)가 노치(12a)의 외측에 설치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제 1 신장부(11a)까지 노치부(12c)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짧은쪽 방향(Y)에서 보다 컴팩트한 전기 커넥터(1)로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노치부(12c)의 가로 가장자리(12e)를 가동 하우징(8b)의 긴쪽 측벽(8d1)의 하단면과 면일치가 되도록 설치했지만, 그 하단면을 가로 가장자리(12e)보다 상측에 설치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개구(15)가 넓어져 보다 방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신장부(11c)가 스프링부(11d)를 갖는 예를 설명했지만, 스프링부(11d)를 갖지 않고, 기부(12)측의 일단에서부터 되접어 꺾음부(11b)측의 일단까지 서서히 기부(12)의 하부(12b)로부터 멀어지는 제 2 신장부(11c)로 할 수도 있다(도 12). 또, 제 2 신장부(11c)가 삽발 방향(Z)을 따라 설치되고, 노치부(12c)의 세로 가장자리(12d)가 하측에서부터 상측에 걸쳐 중앙벽(8d3) 측에 가까워지도록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노치부(12c)의 세로 가장자리(12d)를 하측에서부터 상측에 걸쳐 중앙벽(8d3) 측을 향하여 직선형상으로 경사지게 하거나, 다단형상으로 형성하거나 할 수도 있다(도 13). 이들에 의해서도 제 2 신장부(11c)와 노치부(12c) 사이의 간극을, 상측의 되접어 꺾음부(11b)측의 일단을 하측의 기부(12)와 연속하는 타단측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어 단자(17)의 접압을 프런트 단자(16)의 접압보다 높게 설정하고 있는 예를 나타냈다. 이에 대해, 반대로 리어 단자(17)를 프런트 단자(16)의 접압보다 높게 설정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프런트 접점부(16c)를 확실하게 플러그 단자(7)에 대하여 접촉시킬 수 있다. 또, 프런트 단자(16)와 리어 단자(17)의 접압은 동일한 정도로 설정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인접하는 프런트 접점부(16c)끼리 또는 인접하는 리어 접점부(17c)끼리에 대해, 삽발 방향(Z)에서 위치를 어긋나게 설치했다. 이에 대해, 예를 들면 긴쪽 방향(X)을 따르는 복수의 프런트 접점부(16c)끼리 또는 리어 접점부(17c)끼리로 모아서 삽발 방향(Z)에서 위치를 어긋나게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3개씩 등, 같은 수의 접점부마다 모아서 위치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특정 개소에 저항을 집중시키지 않고 끼워 맞춤 작업을 실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소켓 커넥터(3)의 접속 대상물로서 플러그 커넥터(2)를 예시했지만, 소켓 단자(9)의 프런트 단자(16), 리어 단자(17)에 대하여 삽입 방향에서 순차 접촉하여 도통 접속하는 것이면, 다른 커넥터, 기판(경질 기판, FPC)이나 케이블(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 등을 접속 대상물로 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소켓 커넥터(3)의 구체적 구조에 대해서는 접속 대상물에 따라 적절히 변경된다.
1: 전기 커넥터 2: 플러그 커넥터
3: 소켓 커넥터 4: 기판(플러그 커넥터측)
5: 기판(소켓 커넥터측) 6: 플러그 하우징
6A: 본체부 6B: 다리부
6a: 끼워 맞춤부 6a1: 측벽
6a2: 중앙벽 6a3: 부착홈
6b: 격벽부 6b1: 부착구멍
6c: 기부 6c1: 측벽
6c2: 부착홈 6c3: 저부
7: 플러그 단자 7a: 기판 접속부(플러그 단자)
7a1: 접속부 7a2: 지지부
7b: 제 1 이간부 7c: 직선부
7d: 제 2 이간부 7e: 삽입 통과부
7f: 접촉부 8: 소켓 하우징
8a: 고정 하우징 8a1: 긴쪽 측벽
8a2: 짧은쪽 측벽 8a3: 고정구멍
8a4: 다리부 8a5: 걸림 받이부
8a6: 내면 8b: 가동 하우징
8c: 끼워 맞춤부 8c1: 긴쪽 측벽
8c2: 짧은쪽 측벽 8c3: 긴쪽 내벽
8c4: 칸막이 벽 8c5: 전벽
8c6: 플러그 삽입부 8d: 단자 홀딩부
8d1: 긴쪽 측벽 8d2: 짧은쪽 측벽
8d3: 중앙벽 8d4: 칸막이 벽
8d5: 걸림부 9: 소켓 단자
10: 단자부 11: 가동부
11a: 제 1 신장부 11b: 되접어 꺾음부
11c: 제 2 신장부 11d: 스프링부
11e: 틈새부 11f: 틈새부
12: 기부 12a: 상부
12a1: 걸림부 12b: 하부
12b1: 누름 받이부 12c: 노치부
12d: 세로 가장자리 12e: 가로 가장자리
13: 기판 접속부 13a: 접속부 13b: 지지부
13c: 고정편부 13d: 걸림 돌기부 14: 가동 공간
14a: 제 1 가동 공간부 14b: 제 2 가동 공간부
14c: 틈새부 15: 개구 16: 프런트 단자
16a: 탄성편부(프런트 단자) 16b: 접촉부(프런트 단자)
16c: 프런트 접점부 16d: 앞쪽 가장자리 16e:오목부
17: 리어 단자 17a: 탄성편부(리어 단자)
17b: 접촉부(리어 단자) 17c: 리어 접점부
X: 긴쪽 방향 Y:짧은쪽 방향 Z: 삽발 방향

Claims (5)

  1.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 하우징을 상대 변위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가동부와, 가동 하우징에 부착되어 가동부와 연결되는 기부(基部)를 갖는 커넥터 단자에 있어서,
    가동부가, 고정 하우징측에 위치하는 제 1 신장부와, 되접어 꺾음부와, 가동 하우징측에서 기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 2 신장부를 갖고 있고,
    제 1 신장부와 제 2 신장부와 기부가 병렬로 설치되며,
    제 2 신장부와 기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기부와 연결되는 제 2 신장부의 일단측보다 되접어 꺾음부와 연결되는 제 2 신장부의 타단측에서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장부는 상기 간극이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타단측에 걸쳐 확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장부는 상기 간극이 상기 일단측보다 상기 타단측에서 넓어지도록 굴곡하는 스프링부를 갖는 커넥터 단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상기 간극이 상기 일단측보다 상기 타단측에서 넓어지도록 제 2 신장부에 대하여 이간하는 형상의 세로 가장자리를 갖는 커넥터 단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커넥터 단자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40156798A 2013-11-13 2014-11-12 커넥터 단자 및 전기 커넥터 KR102274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35106 2013-11-13
JP2013235106A JP5568677B1 (ja) 2013-11-13 2013-11-13 電気コネクタ
JP2014127122A JP6144235B2 (ja) 2014-06-20 2014-06-20 コネクタ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JPJP-P-2014-127122 2014-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583A true KR20150055583A (ko) 2015-05-21
KR102274495B1 KR102274495B1 (ko) 2021-07-07

Family

ID=51862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798A KR102274495B1 (ko) 2013-11-13 2014-11-12 커넥터 단자 및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46283B2 (ko)
EP (1) EP2874238A1 (ko)
KR (1) KR102274495B1 (ko)
CN (1) CN104638404B (ko)
TW (1) TWI6327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9166B1 (ja) * 2014-12-12 2016-01-2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間接続構造
JP6662633B2 (ja) * 2015-12-28 2020-03-11 京セラ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装置
JP6727103B2 (ja) * 2016-11-11 2020-07-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873424B2 (ja) * 2017-01-11 2021-05-1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6689235B2 (ja) * 2017-07-11 2020-04-2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7275878B (zh) * 2017-07-30 2018-06-08 余姚市亿荣自动化科技有限公司 机器人电快插装置
JP7032094B2 (ja) * 2017-10-06 2022-03-08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6408106B1 (ja) 2017-10-25 2018-10-17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7197995B2 (ja) * 2018-04-26 2022-12-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7207975B2 (ja) * 2018-11-29 2023-01-1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97622B2 (ja) * 2019-09-20 2023-06-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CN111009752B (zh) * 2019-11-25 2021-09-28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组件
TWI753658B (zh) * 2020-11-16 2022-01-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具有電源電極結構之浮動連接器
JP7377187B2 (ja) * 2020-12-02 2023-11-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6119A (ja) * 2001-02-14 2002-08-30 Taiko Denki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05209501A (ja) * 2004-01-23 2005-08-04 Kel Corp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2007109600A (ja) 2005-10-17 2007-04-26 Taiko Denki Co Ltd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1381A (en) * 1970-04-02 1971-12-28 Ind Electronic Hardware Corp Multiple electrical connector
JP2568142B2 (ja) * 1991-12-30 1996-12-2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フローティング構造の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法
JP2007018785A (ja) * 2005-07-06 2007-01-25 D D K Ltd コネクタ
JP2007220542A (ja) * 2006-02-17 2007-08-30 Iriso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JP5135015B2 (ja) * 2008-03-21 2013-01-3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374074B1 (ja) * 2009-06-10 2009-12-0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5491664B1 (ja) * 2013-07-19 2014-05-14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6119A (ja) * 2001-02-14 2002-08-30 Taiko Denki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05209501A (ja) * 2004-01-23 2005-08-04 Kel Corp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2007109600A (ja) 2005-10-17 2007-04-26 Taiko Denki Co Ltd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19529A (zh) 2015-05-16
KR102274495B1 (ko) 2021-07-07
EP2874238A1 (en) 2015-05-20
CN104638404B (zh) 2020-03-27
US9246283B2 (en) 2016-01-26
CN104638404A (zh) 2015-05-20
US20150132999A1 (en) 2015-05-14
TWI632740B (zh) 2018-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583B1 (ko) 전기 커넥터
KR20150055583A (ko) 커넥터 단자 및 전기 커넥터
TWI614947B (zh) 電連接器
KR20150110333A (ko) 커넥터
JP6144235B2 (ja) コネクタ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CN104347995B (zh) 电连接器
EP2833481B1 (en) Contact
JP3192828U (ja) 電気コネクタ
JP6379254B2 (ja) 電気コネクタ
JP2022174189A (ja) コネクタ
US20170125931A1 (en) Spring Finger and Electrical Connector
JP2012084406A (ja) コネクタ
JP6613129B2 (ja) 金属端子
US20170170585A1 (en)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US20180076543A1 (en) Connector
JP7136581B2 (ja) コネクタ
CN107591633B (zh) 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