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672A -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이용되는 단자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이용되는 단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54672A KR20150054672A KR1020140154387A KR20140154387A KR20150054672A KR 20150054672 A KR20150054672 A KR 20150054672A KR 1020140154387 A KR1020140154387 A KR 1020140154387A KR 20140154387 A KR20140154387 A KR 20140154387A KR 20150054672 A KR20150054672 A KR 201500546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ontact portion
- receptacle connector
- core wire
- external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20—Two-pole devices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33/205—Two-pole devices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ecured to structure or printed circuit boar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리셉터클 커넥터(10)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의 코어 와이어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중심 단자(30), 및 상기 코어 와이어와의 사이에 내부 전기-절연체가 개재되는 상기 코어 와이어를 둘러싸는 외부 도전체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외부 단자(40)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 단자(30)는 상기 코어 와이어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31), 및 제1 접촉부(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외부 단자(40) 아래로 지나가고 상기 외부 단자(40)의 외부로 뻗어있는 제2 접촉부(3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촉부(33)는 상기 제2 접촉부(33)가 외부 단자(40)와 겹쳐지는 영역에서 절단부(33b)와 개구(33c)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고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의 코어 와이어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중심 단자, 및 코어 와이어와의 사이에 내부 전기-절연체가 개재된 상태로 코어 와이어를 둘러싸는 외부 도전체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외부 단자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이용되는 단자에 더 연관된다.
인쇄회로기판에 동축 케이블을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 중 하나로서, 동축 케이블에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맞춤되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공지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예를 들면 비디오-카메라 신호의 송신, 및 인쇄회로기판에 Wi-Fi와 같은 무선-신호 통신에 이용되는 안테나를 접속시키기 위한 신호 전송에 이용된다. 약 0.5mm의 직경을 가진 동축 케이블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된다. 다양한 리셉터클 커넥터가 하기와 같이 제시되어있다.
도 13a 및 13b는 일본실용신안 공개번호 제H7(1995)-24791에 제시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예시한다.
예시된 리셉터클 커넥터(1000)는 중심 단자(1001), 및 상기 중심 단자(1001)와 전기적으로 절연 상태에 있는 상기 중심 단자(1001) 주위에 위치된 외부 단자(1002)를 포함한다.
중심 단자(1001)는 판형상 커넥터(1003)의 말단(1004)에 직립해있다(stand). 외부 단자(1002)는 전체는 아니지만 부분적으로 상기 중심 단자(1001)를 둘러싼다. 상기 커넥터(1003)는 말단(1004)에 보다 근접하여 위치된 제1 부분(1005A), 및 상기 말단(1004)으로부터 이격하여 위치된 제2 부분(1005B)을 가진 스트립(1005)을 포함한다. 제1 부분(1005A)은 상기 제2 부분(1005B) 보다 폭이 더 작다. 스트립(1005)은 제2 부분(1005B)에서 회로 보드(1006)의 표면 상에 형성된 스트립 선(1007)으로 접속된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1005)은 상기 제1 부분(1005A)이 상기 제2 부분(1005B) 보다 더 높게 설정되고,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부분(1005A)이 상기 제2 부분(1005B) 보다 폭이 더 작도록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1005A 및 1005B) 사이의 경계에서 만곡된다. 이는 회로 보드(1006)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제1 부분(1005A)까지의 높이와 회로 보드(1006)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제2 부분(1005B)까지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고, 따라서 제1 부분(1005A) 아래의 유효유전율(effective dielectric constant)과 제2 부분(1005B) 아래의 유효유전율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이다. 유효유전율이 스트립(1005)의 면적에 따라 변할지라도, 임피던스 특성은 부분적으로 스트립(1005)의 폭을 변동시킴으로써 제1 부분(1005A)과 제2 부분(1005B)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10)는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중심 단자(1001)와 접촉시키는 플러그 도전체(1011) 및 그의 코어 도전체(1013)가 플러그 도전체와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1012)을 구비한다.
도 14는 일본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10-272244호에 제시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예시한다.
예시된 리셉터클 커넥터(1100)는 전기 절연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실질적으로 장방형 단면을 가진 하우징(1101), 중심 단자(1102), 및 외부 단자(1103)를 포함한다. 중심 단자(1102) 및 외부 단자(1103)는 상기 중심 단자 및 외부 단자가 서로 동축이 되도록 삽입 몰딩에 의해 하우징으로 고정된다. 중심 단자(1102)는 솔리드 형태이고, 외부 단자(1103)는 중심 단자(1102)가 외부 단자(1103)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원통형이다. 접촉 지지부(1104 및 1105)는 하우징(1101)의 하부 표면을 따라 하우징(1101)에서 거의 수평으로 뻗어있다. 접촉 지지부(1104 및 1105)는 상기 하우징(1101)의 하부 표면과 동일한 레벨로 뻗어있고 하방으로 노출된 하부 표면을 가진다.
도 13a 및 13b에 예시된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서, 외부 단자(1002)는 그와 함께 중심 단자(1001)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설계된다. 도 14에 예시된 리셉터클 커넥터(1100)에서, 외부 단자(1103)는 원통형이 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면, 도 13a 및 13b에 예시된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서의 외부 단자는 환상형이 되도록 설계되고, 커넥터(1003)는 상기 외부 단자(1002) 아래로 뻗어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커넥터(1003)가 외부 단자(1002) 아래로 뻗어있다면, 임피던스가 제1 부분(1005A)과 제2 부분(1005B) 사이에서 조정될지라도, 외부 단자(1002)와 중심 단자(1001) 사이에서 생성되는 커패시턴스는 임피던스 조정에 대해 유해한 영향을 줄것이다.
동축 케이블을 인쇄회로 기판과 접속시키는 데에 이용되는 전기 커넥터는 근래에 크기 면에서 더욱 더 작게 되도록 요구되고, 따라서, 외부 단자(1002)와 중심 단자(1001) 사이의 거리는 점점 더 작게되었다. 따라서, 임피던스 조정이 점점 더 어렵게 되었다.
종래 전기 커넥터에서의 상술한 문제에 관해, 본 발명은 상술한 임피던스 조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추가로 소형화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사용되는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추가적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의 코어 와이어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중심 단자, 및 상기 코어 와이어와의 사이에 내부 전기-절연체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코어 와이어를 둘러싸는 외부 도전체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외부 단자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제공되고, 상기 중심 단자는 상기 코어 와이어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1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외부 단자 아래로 통과하여 지나며, 상기 외부 단자의 외부측으로 뻗어있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외부 단자와 겹쳐지는 영역에서 절단부(cut-out) 또는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고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절단부 및/또는 개구부는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외부 단자와 겹쳐지는 영역에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 단자와 제2 접촉부가 서로 면하는 영역이 감소될 수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와 제2 접촉부가 서로 면하는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커패시턴스가 감소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상기 제2 접촉부는 자신의 측면 에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서 상기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접촉부가 작은 폭을 가졌을 지라도, 절단부는 측면 에지 또는 측면 에지들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외부 단자와 겹쳐지는 영역은 다른 영역들 보다 더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외부 단자와 겹쳐지는 영역이 다른 영역들 보다 더 얇게 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높이가 낮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외부 단자와 상기 제2 접촉부가 서로 근접하도록 위치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외부 단자와 상기 제2 접촉부 사이의 거리는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외부 단자와 겹쳐지는 영역내에서 자신의 상부 및 하부 표면 중 어느 하나에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제2 접촉부와 면하는 영역 내에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높이가 낮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외부 단자와 상기 제2 접촉부가 서로 근접하도록 위치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외부 단자와 상기 제2 접촉부 사이의 거리는 증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중심 단자와 동축으로 된 링 형상이다.
상기 외부 단자를 링 형상으로 설계함으로써,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외부 단자가 플러그 커넥터와 접촉하도록 하는 증가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중심 단자와 상기 외부 단자는 서로 동축으로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중심 단자와 상기 외부 단자 사이의 전기 관계가 개선될 수 있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사이의 전기 연결에 대한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외부 단자와 겹쳐지는 영역내에 절단부 및/또는 개구를 가지고 형성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상기 제2 접촉부가 임의의 방향으로 뻗을지라도,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외부 단자가 서로 겹쳐지는 영역에 의해 정의되는 커패시턴스는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서, 코어 와이어, 및 상기 코어 와이어와의 사이에 내부 전기 절연체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코어 와이어를 둘러싸는 외부 도전체를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로서, 상기 코어 와이어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외부 도전체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단자와 함께 사용되며, 상기 코어 와이어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 및 평판 형태로 되어있고, 상기 제2 단자 아래로 통과하여 지나고 상기 단자가 상기 제2 단자와 함께 이용될 때 상기 제2 단자의 외부로 뻗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제2 단자와 겹쳐지는 영역에 절단부와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고 형성되는, 상기 단자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해 획득된 이점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상기 제2 접촉부 및 상기 외부 단자가 서로 겹쳐지는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커패시턴스는 상기 제2 접촉부에서 형성된 절단부 및/또는 상기 개구부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임피던스 조정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고, 추가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용이하게 소형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예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바닥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를 각각 정의하는 중심 단자 및 외부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예시된 중심 단자와 외부 단자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예시된 중심 단자와 외부 단자의 전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예시된 중심 단자와 외부 단자의 바닥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를 각각 정의하는 중심 단자 및 외부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9에 예시된 중심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예시된 중심 단자의 평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a에 예시된 중심 단자의 우측면도이다.
도 10d는 도 10a에 예시된 중심 단자의 전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를 각각 정의하는 중심 단자 및 외부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2a는 도 11에 예시된 중심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 예시된 중심단자의 평면도이다.
도 12c는 도 12a에 예시된 중심단자의 우측면도이다.
도 12d는 도 12a에 예시된 중심단자의 전면도이다.
도 13a는 종래 리셉터클 및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 예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4는 종래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예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바닥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를 각각 정의하는 중심 단자 및 외부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예시된 중심 단자와 외부 단자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예시된 중심 단자와 외부 단자의 전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예시된 중심 단자와 외부 단자의 바닥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를 각각 정의하는 중심 단자 및 외부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9에 예시된 중심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예시된 중심 단자의 평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a에 예시된 중심 단자의 우측면도이다.
도 10d는 도 10a에 예시된 중심 단자의 전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를 각각 정의하는 중심 단자 및 외부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2a는 도 11에 예시된 중심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 예시된 중심단자의 평면도이다.
도 12c는 도 12a에 예시된 중심단자의 우측면도이다.
도 12d는 도 12a에 예시된 중심단자의 전면도이다.
도 13a는 종래 리셉터클 및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 예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4는 종래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를 예시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0)는 동축 케이블에 접속된 플러그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 끼워맞춤되어 플러그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예를 들면 회로보드의 표면 상에 장착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0)는 하우징(20), 중심 단자(30), 및 외부 단자(40)를 포함한다.
하우징(20)은 수직으로 보았을 때 장방형이다. 중심 단자(30) 및 외부 단자(40)는 외부 단자(40)가 중심 단자(30)의 후술할 제1 접촉부의 중심 주위에 위치되도록 삽입 몰딩에 의해 하우징(20) 상에 고정된다.
도 5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단자(30)는 플로그 커넥터와 기계적 및 전기적 접촉을 하는 제1 접촉부(31), 제1 접촉부(31) 주위에서 뻗어있는 플랜지(32), 및 제1 접촉부(3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외부 단자(40)를 벗어나서 아래로 뻗어있는 제2 접촉부(33)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촉부(31)는 플랜지(3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다. 제1 접촉부(31)는 바 형태이고, 반구형 상부를 가진다. 플랜지(32)는 원형 얇은 판으로 구성되고, 제1 접촉부(31)의 바닥에서 방사방향으로 뻗어있다. 제2 접촉부(33)는 얇은 평판 형태이다. 제2 접촉부(33)는 플랜지(32)를 통하여 제1 접촉부(31)와 자신의 끝단에서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접촉부(33)는 자신의 말단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 상에 형성되는 금속 패드에 접속될 접촉부(33a)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2 접촉부(33)는 자신의 하부 표면에서 하우징(20)으로부터 노출된다. 유사하게, 제1 접촉부(31) 및 플랜지(32)는 자신의 하부 표면에서 하우징(20)으로부터 노출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가 서로 끼워맞춤될 때, 제1 접촉부(31)는 플러그 커넥터 내의 동축 케이블의 외부 절연 커버, 외부 전기 도전체, 및 내부 절연체를 벗겨냄으로써 외부로 노출된 코어 도전체와 기계적 및 전기적 접촉을 하는 한 쌍의 코일 스프링 단자 또는 원통형 단자의 내부 표면과 자신의 외부 표면에서 접촉을 한다.
도 5, 6,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촉부(33)는 제2 접촉부(33)가 외부 단자와 겹쳐지거나 또는 그와 면하는 영역에서 절단부(33b)가 형성된다. 절단부(33b)는 중심 단자(30)와 외부 단자(40) 사이에서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성능을 제공한다.
절단부(33b)는 제2 접촉부(33)의 대향하는 측면들에서 형성된다. 절단부(33b)는 제2 접촉부(33)의 측면들 중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외부 단자(40)는 플러그 커넥터와 기계적 및 전기적 접촉을 하기 위한 환상형 단자(41), 및 환상형 단자(41)로부터 인쇄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을 향해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뻗어있는 외부 접촉부(42)를 포함한다.
환상형 단자(41)는 제1 접촉부(31)와 동축이다. 환상형 단자(41)는 원통형이고 대향하는 단부가 개방되어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상형 단자(41)는 자신의 외부 표면에 V자 형상 홈(41a)을 가지고 형성된다. 도 5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상형 단자(41)는 환상형 단자(41)가 제2 접촉부(33)와 면하는 영역에서 장방형 오목부(41b)를 가지고 형성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가 서로 끼워맞춤될 때, 환상형 단자(41)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전체에 접속될 플러그 커넥터의 링-형상 단자의 내부 표면과 자신의 내부 표면에서 기계적 및 전기적 접촉을 한다.
외부 접촉부(42)는 제2 접촉부(33)가 뻗어있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환상형 단자(41)로부터 뻗어있는 제1 접촉부분(43), 및 환상형 단자(41)의 바닥으로부터 뻗어있고 서로 면하도록 위치된 한 쌍의 제2 접촉부분(44)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접촉부분(43 및 44) 각각은 인쇄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을 향해 비스듬히 하방으로 뻗어있는 레그(43a, 44a),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된 금속 패드와 기계적 및 전기적 접촉을 하는 접촉부(43b 및 44b)를 포함한다. 접촉부(43b)는 레그(43a)와 동일한 폭을 가진다. 접촉부(44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상형 단자(41)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고, 따라서 레그(44a) 보다 폭이 더 크다.
제2 접촉부(33)의 절단부(33b)는 하기에 상술된다.
제2 접촉부(33)는 제1 접촉부(21)로부터 외부 단자(40)의 환상형 단자(41)를 벗어나서 아래로 뻗어있고, 환상형 단자(41)의 외부로 노출된다. 제1 접촉부(31)가 환상형 단자(41) 아래로 지나가기 때문에, 제1 접촉부(33)와 환상형 단자(41)가 서로 면하는 영역이 형성된다. 이 영역에서 형성된 커패시턴스는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 사이의 임피던스 조정에 유해한 영향을 준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에서, 제2 접촉부(33)는 제2 접촉부(33)가 외부 단자(40)의 환상형 단자(41)와 면하는 영역에서 절단부(33b)를 가지고 형성된다. 제2 접촉부(33)에서 형성된 절단부(33b)는 제2 접촉부(33)가 외부 단자(40)의 환상형 단자(41)에 면하는 영역을 감소시켜, 따라서, 이 영역에서 형성된 커패시턴스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절단부(33b)의 폭 및/또는 길이를 제어함으로써 외부 단자(40)와 중심 단자(30) 사이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 사이의 임피던스 조정이 달성될 수 있다.
추가로, 절단부(33b)는 제2 접촉부(33)가 환상형 단자(41)와 면하는 영역에서만 형성되기 때문에, 절단부(33b)는 제2 접촉부(33)와 환상형 단자(41) 사이의 임피던스를 형성하는 파라미터에 대해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거나 또는 아주 작은 영향만을 끼친다. 절단부(33b)를 포함하지 않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높이가 낮도록 설계되고, 따라서, 전체적으로 소형화될 때, 제1 접촉부(33)와 환상형 단자(41)가 서로 근접하여 위치되는 것이 방지되지 못하고, 그 결과 제1 접촉부(33)와 환상형 단자(41)가 서로 면하는 영역으로 형성되는 커패시턴스가 불가피하게 증가한다. 그러나, 절단부(33b)를 가지도록 제2 접촉부(33)를 설계함으로써, 커패시턴스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10)가 소형화되거나 또는 높이가 낮도록 설계되어 제1 접촉부(33)와 외부 단자(40)의 환상형 단자(41)가 서로 근접하게 위치될지라도, 바람직하게는 제1 접촉부(33)와 환상형 단자(41) 사이의 임피던스 조정은 절단부(33b)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상술한 임피던스 조정을 용이하게 달성하고, 추가로 소형화될 수 있다.
절단부(33b)는 제2 접촉부(33)의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2 접촉부(33)가 작은 폭을 가질지라도, 절단부 또는 절단부들(33b)은 제2 접촉부(33)에 확실하게 형성될 수 있다.
환상형 단자(41)는 환상형 단자(41)가 제2 접촉부(33)에 면하는 영역에서 오목부(41b)를 가지고 형성되기 때문에, 환상형 단자(41)와 제2 접촉부(33) 사이의 갭이 충분히 길 수 있고, 환상형 단자(41)가 높이가 낮도록 설계될지라도, 따라서 환상형 단자(41)와 제2 접촉부(33)는 불가피하게 서로 근접하여 위치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에서, 환상형 단자(41)는 제1 돌출부(31) 주위에서 전체가 위치된다. 도 13a 및 13b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서, 외부 단자(1002)는 중심 단자(1001) 부분적으로 주위에서 형성된다. 반대로, 환상형 단자(41)는 환상형이 되도록 설계되어, 전체가 제1 돌출부(31)를 둘러싸도록 하기 때문에, 환상형 단자(41)는 리셉터클 커넥터(1000) 보다 더 큰 영역에서 플러그 커넥터와 접촉할 수 있다. 추가로, 중심 단자(30)와 외부 단자(40)는 서로 동축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중심 단자(30)와 외부 단자(40) 사이의 전기 관계는 개선될 수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 사이의 전기 연결에 대한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제2 접촉부(33)는 제2 접촉부(33)가 환상형 단자(41)와 겹쳐지는 영역에서 절단부(33b)를 가지고 형성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제2 접촉부(33)가 환상형 단자(41)에 대한 임의의 방향으로 뻗어있을 지라도, 상술한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커패시턴스는 감소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9 및 10a 내지 10d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중심 단자(30) 대신에 중심 단자(30x)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부분 또는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부분 또는 엘리먼트에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제공되었고, 명시적으로 하기에 설명하지 않는 경우 제1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부분 또는 엘리먼트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도 9 및 10a 내지 10d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의 중심 단자(30x)의 제2 접촉부(33)는 제2 접촉부(33)가 외부 단자(40)의 환상형 단자(41)와 겹쳐지는 영역에서 개구(33c)를 가지고 형성된다. 제1 실시예에서의 절단부(33b)와 유사하게, 제2 접촉부(33)에 형성된 개구(33c)는 제2 접촉부(33)가 외부 단자(40)의 환상형 단자(41)에 면하는 영역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개구(33c)는 상술한 영역에 의해 야기된 커패시턴스를 감소시킨다.
추가로, 전단력(shearing force)이 세로 방향으로 위치된 대향하는 단부를 가로질러 폭방향으로 제2 접촉부(33) 상에 작용할지라도, 개구(33c)가 제2 접촉부(33)가 환상형 단자(41)와 겹쳐지는 영역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절단부(33b)를 가지고 형성된 제2 접촉부(33)에 비교하여 강도(strength)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접촉부(33)는 개구(33c)와 절단부(33b) 모두를 가지고 형성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1 및 12a 내지 12d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중심 단자(30) 대신에 중심 단자(30y)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부분 또는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부분 또는 엘리먼트에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제공되었고, 명시적으로 하기에 설명하지 않는 경우 제1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부분 또는 엘리먼트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도 11 및 12a 내지 12d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서의 중심 단자(30y)의 제2 접촉부(33)는 제2 접촉부(33)가 외부 단자(40)의 환상형 단자(41)와 겹쳐지는 영역에서 절단부(33b) 및 추가로 오목부(33d)를 가지고 형성된다. 오목부(33d)는 제2 접촉부(33)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서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절단부(33b) 뿐만 아니라 오목부(33d)를 가지고 제2 접촉부(33)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2 접촉부(33)가 환상형 단자(41)를 면하는 영역을 감소시키고 환상형 단자(41)와 제2 접촉부(33) 사이의 갭을 충분히 길게할 수 있고, 환상형 단자(41)가 높이가 낮도록 설계될지라도, 따라서 환상형 단자(41) 및 제2 접촉부(33)가 불가피하게 서로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는 오목부(33d)에 의해 야기된 갭 증가와 같은 정도로 추가로 소형화 또는 높이가 낮아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오목부(33d)는 제3 실시예에서 제2 접촉부(33)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서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오목부(33d)는 제2 접촉부(33)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중 하나에서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절단부(33b)와 오목부(33d) 모두를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대안으로서, 리셉터클 커넥터는 개구부(33c)(도 10a 내지 10d 참조) 및 오목부(33d) 모두, 또는 절단부(33b), 개구부(33c) 및 오목부(33d) 모두를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와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을 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에 끼워맞춤되는 부분으로서 전기/전자 장치 산업 및 자동차 산업과 같은 분야에서 채용되는 전기 커넥터에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의 코어 와이어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중심 단자; 및
상기 코어 와이어와의 사이에 내부 전기-절연체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코어 와이어를 둘러싸는 외부 도전체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외부 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 단자는:
상기 코어 와이어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1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외부 단자 아래로 통과하여 지나고 상기 외부 단자의 외부측으로 뻗어있는 제2 접촉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외부 단자와 겹쳐지는 영역에 절단부(cut-out) 및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2 접촉부의 측면 에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외부 단자와 겹쳐지는 영역은 다른 영역들 보다 더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외부 단자와 겹쳐지는 영역 내에서 상기 제2 접촉부의 상부 및 하부 표면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제2 접촉부와 면하는 영역 내에서 오목부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중심 단자와 동축으로 된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 코어 와이어, 및 상기 코어 와이어와의 사이에 내부 전기 절연체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코어 와이어를 둘러싸는 외부 도전체를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로서,
상기 단자는 상기 코어 와이어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외부 도전체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단자와 함께 사용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코어 와이어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 및
평판 형태로 되어있는 제2 접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단자가 상기 제2 단자와 함께 이용될 때 상기 제2 단자 아래로 통과하여 지나고 상기 제2 단자의 외부로 뻗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제2 단자와 겹쳐지는 영역에 절단부와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단자.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2 접촉부의 측면 에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단자.
-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제2 단자와 겹쳐지는 영역은 다른 영역들 보다 더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단자.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제2 단자와 겹쳐지는 영역 내에서 상기 제2 접촉부의 상부 및 하부 표면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233291 | 2013-11-11 | ||
JP2013233291A JP5776752B2 (ja) | 2013-11-11 | 2013-11-11 |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4672A true KR20150054672A (ko) | 2015-05-20 |
KR101641277B1 KR101641277B1 (ko) | 2016-07-20 |
Family
ID=53044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4387A KR101641277B1 (ko) | 2013-11-11 | 2014-11-07 |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이용되는 단자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9276364B2 (ko) |
JP (1) | JP5776752B2 (ko) |
KR (1) | KR101641277B1 (ko) |
CN (1) | CN104733885B (ko) |
TW (1) | TWI540805B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8341B1 (ko) * | 2015-09-08 | 2017-02-27 | 몰렉스 엘엘씨 | Rf 커넥터 |
KR20190103814A (ko) * | 2018-02-28 | 2019-09-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20200002686U (ko) | 2019-05-31 | 2020-12-10 | 동관 엔비씨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컬 컴퍼니 리미티드 | 양방향 삽입 커넥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960558B2 (en) * | 2016-03-04 | 2018-05-01 | Polygroup Macau Limited (Bvi) | Powered tree construction |
US10522930B2 (en) * | 2016-03-11 | 2019-12-31 | Dell Products L.P. | Systems and methods for frequency shifting resonance of connector stubs |
JP6588403B2 (ja) | 2016-08-09 | 2019-10-09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同軸コネクタ |
US10264219B2 (en) * | 2016-10-03 | 2019-04-16 | Magna Electronics Inc. | Vehicle camera with compliant coaxial connector |
JP6839969B2 (ja) * | 2016-11-28 | 2021-03-10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同軸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
JP6673301B2 (ja) * | 2017-07-04 | 2020-03-25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基板実装型同軸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7268388B2 (ja) * | 2019-02-04 | 2023-05-08 | I-Pex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11967789B2 (en) | 2019-02-04 | 2024-04-23 | I-Pex Inc. |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with clamping feature for connecting to a cable |
CN218070446U (zh) * | 2019-02-04 | 2022-12-16 | 爱沛股份有限公司 | 连接器 |
JP7287803B2 (ja) * | 2019-03-14 | 2023-06-06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DE102019117473A1 (de) * | 2019-06-28 | 2020-12-31 | Tesat-Spacecom Gmbh & Co. Kg | Schaltungsanordnung bestehend aus zwei miteinander verbundenen Hochfrequenzkomponenten |
JP7331775B2 (ja) * | 2020-05-14 | 2023-08-23 | Tdk株式会社 | 端子構造、及び端子構造の製造方法 |
CN113690698B (zh) * | 2021-08-10 | 2024-03-15 |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 一种同轴插座连接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74995B1 (en) * | 2001-10-30 | 2002-11-05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Low profile RF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F connector |
JP2005209364A (ja) * | 2004-01-20 | 2005-08-04 | Hosiden Corp |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2011503783A (ja) * | 2007-11-06 | 2011-01-27 | ギガレーン・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印刷回路基板に連結可能なコネクタ |
CN202759104U (zh) * | 2012-07-18 | 2013-02-27 |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 电连接器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47086Y2 (ja) * | 1990-11-08 | 1997-09-03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基板実装用の高周波同軸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
JP3203744B2 (ja) * | 1992-03-06 | 2001-08-27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同軸マイクロストリップライン変換器 |
JPH0724791A (ja) | 1993-07-09 | 1995-01-27 | Toshinaga Urabe | 平盤打抜機のストリップ装置 |
US5772470A (en) * | 1996-06-03 | 1998-06-30 | Smk Corporation | Coaxial connector |
JP3834309B2 (ja) * | 2002-12-26 | 2006-10-18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同軸電気コネクタ |
KR100593823B1 (ko) * | 2004-07-14 | 2006-06-28 | (주)베스트원 |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
JP4684789B2 (ja) * | 2005-07-29 | 2011-05-18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同軸ケーブル用のコネクタ |
US7334327B1 (en) * | 2006-08-14 | 2008-02-26 | Speed Tech Corp. | Manufacturing method of radio frequency connector |
CN102282727B (zh) * | 2009-01-30 | 2014-04-23 | 株式会社藤仓 | Rf用插头式连接器、rf用插座式连接器以及rf用连接器 |
JP4325885B1 (ja) * | 2009-03-27 | 2009-09-02 |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 同軸コネクタ装置 |
JP5544757B2 (ja) | 2009-05-19 | 2014-07-09 | 第一精工株式会社 | 同軸電気コネクタ |
CN201498694U (zh) * | 2009-05-22 | 2010-06-02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CN202111264U (zh) * | 2011-03-25 | 2012-01-11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射频连接器 |
-
2013
- 2013-11-11 JP JP2013233291A patent/JP5776752B2/ja active Active
-
2014
- 2014-10-29 CN CN201410593760.8A patent/CN104733885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10-31 US US14/529,598 patent/US927636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11-07 KR KR1020140154387A patent/KR10164127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11-07 TW TW103138687A patent/TWI540805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74995B1 (en) * | 2001-10-30 | 2002-11-05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Low profile RF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F connector |
JP2005209364A (ja) * | 2004-01-20 | 2005-08-04 | Hosiden Corp |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2011503783A (ja) * | 2007-11-06 | 2011-01-27 | ギガレーン・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印刷回路基板に連結可能なコネクタ |
CN202759104U (zh) * | 2012-07-18 | 2013-02-27 |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 电连接器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8341B1 (ko) * | 2015-09-08 | 2017-02-27 | 몰렉스 엘엘씨 | Rf 커넥터 |
WO2017043888A1 (ko) * | 2015-09-08 | 2017-03-16 | 몰렉스 엘엘씨 | 알에프 커넥터 |
KR20190103814A (ko) * | 2018-02-28 | 2019-09-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WO2019168309A1 (ko) * | 2018-02-28 | 2019-09-0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20200002686U (ko) | 2019-05-31 | 2020-12-10 | 동관 엔비씨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컬 컴퍼니 리미티드 | 양방향 삽입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733885A (zh) | 2015-06-24 |
JP2015095326A (ja) | 2015-05-18 |
JP5776752B2 (ja) | 2015-09-09 |
TW201519537A (zh) | 2015-05-16 |
US9276364B2 (en) | 2016-03-01 |
CN104733885B (zh) | 2017-11-03 |
US20150132997A1 (en) | 2015-05-14 |
KR101641277B1 (ko) | 2016-07-20 |
TWI540805B (zh) | 2016-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41277B1 (ko) |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이용되는 단자 | |
US11522309B2 (en) |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8747153B2 (en) | Electrical coaxial connector | |
US6431915B1 (en) | RF cable connector assembly for preventing mis-mating | |
US11721940B2 (en) | Coaxial connector with partition | |
WO2010109550A1 (ja) | 同軸コネクタ装置 | |
US20070117435A1 (en) | Coaxial connector having a switch | |
JP7125407B2 (ja) | 電気接続用ソケット | |
CN113924700B (zh) | 阴型多极连接器以及具备该阴型多极连接器的多极连接器组 | |
US9136655B2 (en) | Cable connection device | |
KR102188671B1 (ko) | 와이어-기판 연결용 단자 | |
US11631954B2 (en) | Coaxi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 |
KR102490807B1 (ko) | 면실장형 커넥터 및 면실장형 커넥터 셋트 | |
KR20100104810A (ko) | 방해 전자파 차폐용 컨택트 구조 | |
CN108321585B (zh) | 插座电连接器 | |
US9455511B1 (en) | Circuit board connecting device | |
JP2015130266A (ja) | 同軸コネクタ装置 | |
KR20170014245A (ko) | 리셉터클 커넥터 | |
KR101780861B1 (ko) | 동축 커넥터 | |
JP6610309B2 (ja) | 同軸コネクタ装置 | |
TWI823280B (zh) | 同軸連接器 | |
TWI501487B (zh) | Coaxial connector | |
US20220285894A1 (en) | Coaxial connector with three-point contact type terminal | |
KR20090095738A (ko) | 크림핑을 이용하는 신호 전송용 커넥터 | |
JP2004253178A (ja) | 高整合同軸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