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814A -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814A
KR20190103814A KR1020180024719A KR20180024719A KR20190103814A KR 20190103814 A KR20190103814 A KR 20190103814A KR 1020180024719 A KR1020180024719 A KR 1020180024719A KR 20180024719 A KR20180024719 A KR 20180024719A KR 20190103814 A KR20190103814 A KR 20190103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annular sidewall
receptacle
connector
conductive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9636B1 (ko
Inventor
한재룡
윤희강
길광민
이창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4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636B1/ko
Priority to US16/976,575 priority patent/US20210006648A1/en
Priority to PCT/KR2019/002254 priority patent/WO2019168309A1/ko
Publication of KR20190103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리셉터클로서, 상기 PCB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1면, 상기 제1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제2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구조물(base structure)과,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면과 함께 리세스를 형성하며, 제1직경을 갖는 제1도전성 환형 측벽 및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리세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에 의해 측방향으로 둘러싸여지는 도전성 필러(pillar) 구조물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상기 리셉터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리셉터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3면 및 상기 리셉터클을 향하는 제4면을 포함하는 상부 구조물과,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과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을 갖는 제2도전성 환형 측벽 및 상기 도전성 필러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방향을 가지고 배치되는 리세스 구조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4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도전성 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단부를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로서, 상기 도전성 돌기에 연결되는 제1도전성 경로 및 상기 제2도전성 환형 측벽에 연결되는 제2도전성 경로를 포함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들은 복수의 전자 부품들(electronic functiongroup)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전자 부품들은 전자 장치내에서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 배치는 전자 장치내의 각 부속물들간의 설계 구조에 기인하기도 하고, 각 부속물들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한 상대 부속물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것에 기인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적어도 두 전자 부품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서는 별도의 전기적 연결 장치가 수반되어야 하며, 이러한 전기적 연결 장치는 전자 장치를 오랜 기간 사용하거나 외부의 충격에도 내구성이 우수하고, 신뢰성 있는 전기적 연결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전자 장치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격 배치된 각각의 개별 전자 부품들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전자 부품과 제2전자 부품은 전기적 연결 장치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전기적 연결 장치는 일정 길이의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된 커넥터가 상대 전자 부품에 배치되는 리셉터클에 물리적으로 접촉됨으로써 두 전자 부품들은 전기적 연결될 수 있다.
전기적 연결 장치는 제1전자 부품과 제2전자 부품이 제조 공정상 분리된 상태에서 조립될 때 유리하고, 유지 보수에 유리할 수 있다. 반면에, 전기적 연결 장치는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지속적인 접속력이 유지되어야 하고, 외부 충격이나 하중에 의한 소성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성이 향상된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리셉터클로서, 상기 PCB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1면, 상기 제1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제2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구조물(base structure)과,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면과 함께 리세스를 형성하며, 제1직경을 갖는 제1도전성 환형 측벽 및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리세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에 의해 측방향으로 둘러싸여지는 도전성 필러(pillar) 구조물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상기 리셉터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리셉터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3면 및 상기 리셉터클을 향하는 제4면을 포함하는 상부 구조물과,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과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을 갖는 제2도전성 환형 측벽 및 상기 도전성 필러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방향을 가지고 배치되는 리세스 구조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4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도전성 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단부를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로서, 상기 도전성 돌기에 연결되는 제1도전성 경로 및 상기 제2도전성 환형 측벽에 연결되는 제2도전성 경로를 포함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리셉터클은, 제1면, 상기 제1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고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제2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구조물과,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면과 함께 리세스를 형성하며, 제1직경을 갖는 제1도전성 환형 측벽 및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리세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에 의해 측방향으로 둘러싸여지는 도전성 필러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의 제1직경은 상기 커넥터의 제2도전성 환형 측벽이 상기 리세스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셉터클과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1면 및 상기 리셉터클을 향하는 제2면을 포함하는 상부 구조물과, 상기 리셉터클의 제2도전성 환형 측벽과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제2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직경을 갖는 제1도전성 환형 측벽 및 제1도전성 환형 측벽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도전성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의 제1직경은, 상기 제2도전성 환형 측벽이 상기 리셉터클의 제2도전성 환형 측벽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와 리셉터클의 조립 구조가 향상됨으로써 조립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립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전자 장치의 전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의 후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적 연결 장치가 적용된 전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적 연결 장치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5의 리셉터클(receptacle)의 라인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5의 커넥터(connector)의 라인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5의 리셉터클과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가 리셉터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전성 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FPCB에 커넥터가 실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적 연결 장치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5의 리셉터클(receptacle)의 라인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5의 커넥터(connector)의 라인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5의 리셉터클과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전자 장치(100)의 전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모바일 전자 장치(100)의 후면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 장치(100)는, 제 1 면(또는 전면)(110A), 제 2 면(또는 후면)(110B), 및 제 1 면(110A) 및 제 2 면(1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110C)을 포함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하우징은, 도 1의 제 1 면(110A), 제 2 면(110B) 및 측면(110C)들 중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면(110A)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102)(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2 면(110B)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후면 플레이트(111)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110C)은, 전면 플레이트(102) 및 후면 플레이트(111)와 결합하며,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측면 베젤 구조 (또는 “측면 부재”)(118)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후면 플레이트(111) 및 측면 베젤 구조(118)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는, 상기 제 1 면(110A)으로부터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seamless) 연장된 2개의 제 1 영역(110D)들을,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의 긴 엣지(long edge)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도 2 참조)에서,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는, 상기 제 2 면(110B)으로부터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 연장된 2개의 제 2 영역(110E)들을 긴 엣지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 (또는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가 상기 제 1 영역(110D)들 (또는 상기 제 2 영역(110E)들) 중 하나 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영역(110D)들 또는 제 2 영역(110E)들 중 일부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의 측면에서 볼 때, 측면 베젤 구조(118)는, 상기와 같은 제 1 영역(110D) 또는 제 2 영역(110E)이 포함되지 않는 측면 쪽에서는 제 1 두께 (또는 폭)을 가지고, 상기 제 1 영역(110D) 또는 제 2 영역(110E)을 포함한 측면 쪽에서는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1), 오디오 모듈(103, 107, 114), 센서 모듈(104, 116, 119), 카메라 모듈(105, 112, 113), 키 입력 장치(117), 발광 소자(106), 및 커넥터 홀(108, 10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키 입력 장치(117), 또는 발광 소자(106))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1)는,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102)의 상당 부분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면(110A), 및 상기 측면(110C)의 제 1 영역(110D)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102)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01)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101)의 모서리를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의 인접한 외곽 형상과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가 노출되는 면적을 확장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01)의 외곽과 전면 플레이트(102)의 외곽간의 간격이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의 화면 표시 영역의 일부에 리세스 또는 개구부(opening)을 형성하고, 상기 리세스 또는 상기 개구부(opening)와 정렬되는 오디오 모듈(114), 센서 모듈(104), 카메라 모듈(105), 및 발광 소자(10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의 화면 표시 영역의 배면에, 오디오 모듈(114), 센서 모듈(104), 카메라 모듈(105), 지문 센서(116), 및 발광 소자(10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 모듈(104, 119)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키 입력 장치(117)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영역(110D), 및/또는 상기 제 2 영역(110E)에 배치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03, 107, 114)은, 마이크 홀(103) 및 스피커 홀(107, 114)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홀(103)은 외부의 소리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서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홀(107, 114)은, 외부 스피커 홀(107) 및 통화용 리시버 홀(114)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스피커 홀(107, 114)과 마이크 홀(103)이 하나의 홀로 구현 되거나, 스피커 홀(107, 114) 없이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예 : 피에조 스피커).
센서 모듈(104, 116, 119)은, 전자 장치(1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04, 116, 119)은,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제 1 면(110A)에 배치된 제 1 센서 모듈(104)(예: 근접 센서) 및/또는 제 2 센서 모듈(미도시)(예: 지문 센서), 및/또는 상기 하우징(110)의 제 2 면(110B)에 배치된 제 3 센서 모듈(119)(예: HRM 센서) 및/또는 제 4 센서 모듈(116) (예: 지문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센서는 하우징(110)의 제 1면(110A)(예: 디스플레이(101) 뿐만 아니라 제 2면(110B)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104)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5, 112, 113)은, 전자 장치(100)의 제 1 면(110A)에 배치된 제 1 카메라 장치(105), 및 제 2 면(110B)에 배치된 제 2 카메라 장치(112), 및/또는 플래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5, 112)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113)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렌즈들 (적외선 카메라, 광각 및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이 전자 장치(100)의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키 입력 장치(117)는, 하우징(110)의 측면(110C)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117)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117)는 디스플레이(101) 상에 소프트 키와 같이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키 입력 장치는 하우징(110)의 제 2면(110B)에 배치된 센서 모듈(116)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제 1 면(110A)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광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5)의 동작과 연동되는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LED, IR LED 및 제논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홀(108, 109)은,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 1 커넥터 홀(108),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 2 커넥터 홀(예를 들어, 이어폰 잭)(10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모바일 전자 장치(300)(예: 도 1의 모바일 전자 장치(100))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전자 장치(300)는, 측면 베젤 구조(310), 제 1 지지부재(311)(예 : 브라켓), 전면 플레이트(320), 디스플레이(330), 인쇄 회로 기판(340), 배터리(350), 제 2 지지부재(360)(예 : 리어 케이스), 안테나(370), 및 후면 플레이트(38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3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제 1 지지부재(311), 또는 제 2 지지부재(360))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제 1 지지부재(311)는, 전자 장치(300) 내부에 배치되어 측면 베젤 구조(310)와 연결될 수 있거나, 측면 베젤 구조(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311)는, 예를 들어,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 (예: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311)는, 일면에 디스플레이(330)가 결합되고 타면에 인쇄 회로 기판(340)이 결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340)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0)를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3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5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340)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300) 내부에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전자 장치(300)와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안테나(370)는, 후면 플레이트(380)와 배터리(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370)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무선 충전 안테나, 및/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370)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하거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측면 베젤 구조(310) 및/또는 상기 제 1 지지부재(311)의 일부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안테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적 연결 장치(450)가 적용된 전자 장치(400)의 구성도이다.
도 4의 전자 장치(400)는 도 1 및 도 2의 전자 장치(100) 또는 도 3의 전자 장치(30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400)는 측면 베젤 구조(4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4101)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자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부품들은 인쇄회로기판(420), 제1 통신 장치(441), 제2 통신 장치(442), 제3 통신 장치(443), 제4 통신 장치(444) 또는 배터리(4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420)은 배터리 또는 통신 장치들(441, 442, 443, 444)를 회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인쇄회로기판(420)을 인쇄회로기판(420)과 이격 배치된 제3 통신 장치(443)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도전성 케이블(451)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420) 내에서전기적 연결을 위한 도전성 케이블(451)을 사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케이블(451)은 제3 통신 장치(443)의 RF 신호의 손실을 줄이고, 성능 확보를 위한 동축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도전성 케이블(451)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도전성 케이블(451) 및 인쇄회로기판(420)과의 연결 부분에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420) 및 통신 장치(443)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전기적 연결 장치(4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장치(450)는 인쇄회로기판(420) 및 통신 장치(443)에 배치되는 리셉터클(예: 도 5의 리셉터클(510))과, 도전성 케이블(451)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리셉터클(예: 도 5의 리셉터클(51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예: 도 5의 커넥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셉터클 및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전자 장치가 조립될 때, 작업자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장치(450)의 커넥터(예: 도 5의 커넥터(520))는 인쇄회로기판(420)의 리셉터클(예: 도 5의 리셉터클(510))에 조립될 때, 오삽 또는 설삽을 방지하고, 자연스럽게 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장치(450)는 작업자가 커넥터를 리셉터클에 결합할 경우, 리셉터클의 조립 위치가 시각적으로 식별되는 형상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적 연결 장치(500)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5의 리셉터클(receptacle)(510)의 라인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5의 커넥터(connector)(520)의 라인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의 전기적 연결 장치(500)는 도 4의 전기적 연결 장치(45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기적 연결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b를 참고하면, 전기적 연결 장치(500)는 제1전자 부품(예: 인쇄회로기판(550))에 실장되는 리셉터클(510)과 도전성 케이블(530)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리셉터클(5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케이블(530)의 타단부는 상기 전기적 연결 장치(5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또 다른 전기적 연결 장치(500)를 통해 제2전자 부품(예: 통신 장치)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셉터클(510)은 제1면(5111), 제1면(5111)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550)에 실장되는 제2면(5112) 및 제1면(5111)과 제2면(5112) 사이를 둘러싸는 측면(5113)을 포함하는 베이스 구조물(base structure)(511)과, 베이스 구조물(511)의 제1면(5111)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면(5111)과 함께 리세스(5101)를 형성하며, 제1직경(d1)(예: 내경)을 갖는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 및 제1면(5111)으로부터 돌출되고 리세스(510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에 의해 측방향으로 둘러싸여지는 도전성 필러 구조물(5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은 원통형(cylindrica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은 리세스(5101)에 수용될 수 있는 커넥터(520)의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예: 사각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구조물(511)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과 도전성 필러 구조물(513)을 전기적으로 단절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필러 구조물(513)은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의 리세스(5101)의 실질적으로 중심에서 제1면(511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필러 구조물(513)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513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필러 구조물(513)은 베이스 구조물(511)에 적어도 일부가 인서트 사출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구조물(511)은 도전성 필러 구조물(513)을 동심원으로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5114) 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필러 구조물(513)은 돌출부(51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5102)의 중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돌출부(5114)는 베이스 구조물(511)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은 일정 길이로 신장된 외면(5121) 및 내면(51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은 단부에서 외면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절곡된 플랜지부(51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플랜지부(5124)는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의 두께보다 외면 방향으로 갈수록 얇게 커팅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은 내면(5122)을 따라 형성되는 환형 리세스(51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은 상단부에서 베이스 구조물(511)의 제1면(5111)까지 수직 방향으로 절개되도록 형성된 절개홈(5125)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개홈(5125)은 커넥터(520)의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이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의 리세스(5101)에 삽입되고,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이 외측 방향(예: 도 6a의 ① 방향)으로 약간 벌어질 경우 파손을 방지하고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기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셉터클(510)은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으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 구조물(511)의 측면(5113)을 통해 돌출되는 제1접속 단자부(5126)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셉터클(510)은 도전성 필러 구조물(513)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 구조물(511)의 측면(5113)을 통해 베이스 구조물(511)로부터 돌출되는 제2접속 단자부(513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셉터클(510)이 인쇄회로기판(550)에 실장될 경우, 제1접속 단자부(5126) 및 제2접속 단자부(5131)는 솔더링 포인트(soldering point)로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접속 단자부(5126)와 제2접속 단자부(5131)는 절연 재질의 베이스 구조물(511)에 의해 전기적으로 단절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접속 단자부(5126)는 인쇄회로기판(550)의 그라운드 플래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접속 단자부(5131)는 인쇄회로기판(550)의 신호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접속 단자부(5126), 또는 제2접속 단자부(5131)는 인쇄회로기판(550)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다면 베이스 구조물(511)의 제1면(5111) 및/또는 제2면(5112)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리셉터클(510)은 제1접속 단자부(5126), 또는 제2접속 단자부(5131)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520)는 도전성 케이블(530)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520)는 리셉터클(510)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3면(5211) 및 리셉터클(510)을 향하는 제4면(5212)을 포함하는 상부 구조물(521),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과 결합되기 위하여 제4면(5212)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직경(d1)보다 작은 제2직경(d2)(예: 외경)을 갖는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 및 도전성 필러 구조물(51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지향 및 배치되는 리세스 구조(5202)를 형성하고, 제4면(5212)으로부터 돌출되는 도전성 돌기(5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의 단부는 외면(5221) 방향으로 돌출된 환형 돌출부(52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구조물(521)과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은 커넥터(520)가 리셉터클(510)과 결합될 때,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의 제1직경(d1)을 갖는 리세스(5101)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제2직경(d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은 커넥터(520)가 리셉터클(510)과 결합될 때, 그 외면(5221)의 적어도 일부가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의 내면(5122)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의 단부에는 외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환형 돌출부(52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환형 돌출부(5223)는 커넥터(520)가 리셉터클(510)과 결합될 때,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의 내면(5122)에 형성된 환형 리세스(5123)에 안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520)는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며, 상부 구조물(521) 및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의 적어도 일부와 인서트 사출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절연 구조물(52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구조물(524)은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 공간(5201)이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해당 공간(5201)에는 도전성 돌기(523)의 적어도 일부가 절연 구조물(524)과 인서트 사출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520)가 리셉터클(510)과 결합될 때, 절연 구조물(524)의 적어도 일부는 리셉터클(510)의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5101)에 삽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과 도전성 돌기(523)는 절연 구조물(524)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단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돌기(523)는 커넥터(520)가 리셉터클(510)과 결합될 때, 리셉터클(510)의 도전성 필러 구조물(513)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돌기(523)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텐션 리브(5231, 52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텐션 리브(5231, 5232)는 리셉터클(510)과의 장착 방향으로 향할수록 점점 그 간격이 좁아지는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각 단부에는 걸림 돌기들(5233, 523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520)가 리셉터클(510)과 결합될 때, 도전성 필러 구조물(513)은 한 쌍의 텐션 리브(5231, 5232) 사이의 리세스 구조(5202)로 유도되고, 한 쌍의 텐션 리브(5231, 5232)의 각 단부에 형성된 걸림 돌기들(5233, 5234)은 도전성 필러 구조물(513)의 걸림홈(5132)에 걸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구조물(524)은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에 의해 형성된 공간(5201)에서 내면(5222)에 근접하거나 접촉하는 방식으로 배치됨으로써, 커넥터(520)가 리셉터클(510)과 결합될 때,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이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에 의해 내부 공간 방향(예: 도 6b의 ② 방향)으로 밀려서 그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구조물(521)은 커넥터(520)가 리셉터클(510)과 결합될 때, 리셉터클(51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조작부(5213)를 포함함으로써 작업자가 커넥터(520)를 손으로 잡기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520)는 상부 구조물(521)의 일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연장부(52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케이블(530)은 연장부(5215)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고, 커넥터(520)의 상부 구조물(521) 및 내부의 도전성 돌기(5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5의 리셉터클(510)과 커넥터(52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전기적 연결 장치(500)는 리셉터클(510)과, 리셉터클(510)에 결합되는 커넥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520)가 리셉터클(510)과 결합되면, 리셉터클(510)의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의 리세스(5101)로 커넥터(520)의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의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된 플랜지부(5124)는 커넥터(520)의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을 가이드함으로써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의 외면(5221)은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의 내면(5122)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의 환형 돌출부(5223)는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에 형성된 환형 리세스(5123)에 걸릴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리셉터클(510)의 도전성 필러 구조물(513)은 커넥터(520)의 도전성 돌기(523)와 결합되며, 도전성 돌기(523)의 한 쌍의 텐션 리브(5231, 5232)에 형성된 걸림 돌기들(5233, 5234)은 도전성 필러 구조물(513)의 걸림홈(5132)에 걸릴수 있다. 예컨대, 전기적 연결 장치(500)는 커넥터(520)의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에 형성된 환형 돌출부(5223) 및 도전성 돌기(523)에 형성된 걸림 돌기들(5233, 5234)이 리셉터클(510)의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에 형성된 환형 리세스(5123) 및 도전성 필러 구조물(513)에 형성된 걸림홈(5132)에 이중으로 걸림으로써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520)가 리셉터클(510)과 결합될 때, 커넥터(520)의 절연 구조물(524)은 리셉터클(510)의 돌출부(5114)와 결합됨으로써 커넥터(520)의 장착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고,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의 내면(5122)에 의해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이 내부 공간 방향으로 밀려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과 도전성 필러 구조물(513)은 베이스 구조물(511)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단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과 도전성 돌기(523)는 절연 구조물(524)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단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은 리셉터클(510)의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 및 제1접속 단자부(5126)를 통해 인쇄회로기판(550)의 그라운드 플래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돌기(523)는 리셉터클(510)의 도전성 필러 구조물(513) 및 제2접속 단자부(5131)를 통해 인쇄회로기판(550)의 신호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520)의 동축 케이블(530), 도전성 돌기(523), 리셉터클(510)의 도전성 필러 구조물(513), 또는 제2접속 단자부(5131)는 인쇄회로기판(550)에 실장된 무선 통신 회로로부터 전자 장치 내부에 배치된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기적 경로로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520)와 리셉터클(5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를 참고하면, 전기적 연결 장치(500)는 리셉터클(510)과, 리셉터클(510)에 결합되는 커넥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520)는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이 리셉터클(510)의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이 이루는 리세스(예: 도 5의 리세스(510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커넥터(520)를 상부에서 바라볼 때, 커넥터(520)의 상부 구조물(521)은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의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구조물(521)은 리셉터클(510)의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의 일 지점과 상부 구조물(521)의 일지점까지의 거리 d3를 갖도록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터(520)가 리셉터클(510)에 결합될 때,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커넥터(520)의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에 의해 작업자가 커넥터(520)를 리셉터클(510)에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전성 돌기(9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의 도전성 돌기(900)는 도 6b의 도전성 돌기(523)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도전성 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도전성 돌기(900)는 프레스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특정 형상으로 전개된 하나의 판형 금속 부재를 다양한 방향으로 다수번 절곡시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돌기(900)는 플레이트부(911)와, 플레이트부(911)의 일단에서 제1방향(예: Z 축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912), 제1절곡부(912)에서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예: -Y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913) 및 제2절곡부(913)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돌출부(913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돌기(900)는 플레이트부(911)의 상기 일단과 대향되는 타단에서 제1방향으로 절곡되는 제3절곡부(914), 제3절곡부(914)에서 제2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3방향(예: Y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4절곡부(915) 및 제4절곡부(915)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915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절곡부(913) 및 제4절곡부(915)는, 예컨대, 도 6b의 도전성 돌기(523)의 한 쌍의 텐션 리브(5231, 5232)와 대응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돌기(900)는 플레이트부(911)의 제1절곡부(912) 및 제3절곡부(914) 사이에서 지정된 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부(916) 및 그 단부에 형성되는 접속부(917)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부(917)는 도전성 케이블(9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미도시되어으나, 도전성 돌기(900)는 커넥터(920)의 제2도전성 환형 측벽(예: 도 6b의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절연 구조물(예: 도 6b의 절연 구조물(524))에 인서트 사출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돌기(900)의 제1절곡부(912) 및 제4절곡부(915)는 도전성 케이블(930)이 연결되는 연장부(916)와 평행한 방향(예: ③ 방향)으로 나란히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절곡부(912) 및 제4절곡부(915)의 도전성 케이블(930)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배치는 커넥터(920)를 리셉터클(예: 도 6a의 리셉터클(510))에 조립 시, 커넥터(920)가 좌우로 유동되면서 조립될 때, 발생되는 절연 구조물(예: 도 6b의 절연 구조물(524))의 변형 또는 좌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FPCB(1030)에 커넥터(1020)가 실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의 커넥터(1020)는 도 5의 커넥터(52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커넥터(1020)는 상부 구조물(1021)(예: 도 5의 상부 구조물(521)), 상부 구조물(1021)에서 형성되는 제2도전성 환형 측벽(1022)(예: 도 5의 도전성 환형 측벽(522)), 제2도전성 환형 측벽(102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절연 구조물(1024)(예: 도 6b의 절연 구조물(524)) 및 절연 구조물 (1024)에 적어도 일부가 인서트 사출되는 도전성 돌기(1023)(예: 도 6b의 도전성 돌기(5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전성 돌기(1023)는 제2도전성 환형 측벽(102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절연 구조물(1024)에 고정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1020)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10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1020)는 상부 구조물(1021)이 FPCB(1030)에 접촉되는 방식으로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부 구조물(102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FPCB(1030)의 그라운드 플래인에 솔더링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1020)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 도전성 돌기(1023)의 접속부(1026)는 FPCB(1030)의 신호 라인과 솔더링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적 연결 장치(500)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1의 리셉터클(510)의 라인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1의 커넥터(520)의 라인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1의 전기적 연결 장치(500)는 도 4의 전기적 연결 장치(45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기적 연결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b를 설명함에 있어, 전기적 연결 장치(500)의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6b에 도시된 전기적 연결 장치(500)의 각 구성 요소들과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그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b를 참고하면, 리셉터클(510)은 베이스 구조물(511), 베이스 구조물(511)에서 제1면(5111)으로 돌출되고 리세스(5101)를 형성하는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 및 리세스(5101)에서 베이스 구조물(511)로부터 돌출되는 도전성 필러 구조물(5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전성 필러 구조물(513)은 별도의 걸림홈(예: 도 6a의 걸림홈(5132))가 존?지 않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5 및 도 6a의 구성과 달리, 리셉터클(510)은 리세스(5101)에 배치되는 돌출부(예: 도 6a의 돌출부(5114))가 배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520)는 리셉터클(510)의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의 리세스(5101)에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520)는 리세스(5101)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절연 구조물(5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1의 리셉터클(510)과 커넥터(52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전기적 연결 장치(500)는 리셉터클(510)과, 리셉터클(510)에 결합되는 커넥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520)가 리셉터클(510)과 결합되면, 리셉터클(510)의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의 리세스(5101)로 커넥터(520)의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520)가 리셉터클(510)과 결합될 때, 커넥터(520)의 절연 구조물(524)은 리셉터클(510)의 리세스(5101)에 안착됨으로써 커넥터(520)의 장착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고,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의 내면(5122)에 의해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이 도전성 돌기(523) 방향으로 밀려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우징(예: 도 1의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예: 도 7의 인쇄회로기판(550)),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리셉터클(예: 도 7의 리셉터클(510))로서, 상기 PCB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1면(예: 도 7의 제1면(5111), 상기 제1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제2면(예: 도 7의 제2면(5112))을 포함하는 베이스 구조물(base structure) (예: 도 7의 베이스 구조물(511))과,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면과 함께 리세스(예: 도 6a의 리세스(5101))를 형성하며, 제1직경(예: 도 6a의 제1직경(d1))을 갖는 제1도전성 환형 측벽(예: 도 7의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 및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리세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에 의해 측방향으로 둘러싸여지는 도전성 필러(pillar) 구조물(예: 도 7의 도전성 필러 구조물(513))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상기 리셉터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예: 도 7의 커넥터(510))로서, 상기 리셉터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3면(예: 도 7의(5211)) 및 상기 리셉터클을 향하는 제4면(예: 도 7의 제4면(5212))을 포함하는 상부 구조물(예: 도 7의 상부 구조물(521))과,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과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예: 도 6b의 제2직경(d2))을 갖는 제2도전성 환형 측벽(예: 도 7의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 및 상기 도전성 필러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방향을 가지고 배치되는 리세스 구조(예: 도 6b의 리세스 구조(5202))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4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도전성 돌기(예: 도 7의 도전성 돌기(523))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단부를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예: 도 5의 동축 케이블(530))로서 상기 도전성 돌기에 연결되는 제1도전성 경로 및 상기 제2도전성 환형 측벽에 연결되는 제2도전성 경로를 포함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도전성 환형 측벽은 외면(예: 도 6b의 외면(5221)) 및 상기 외면에 형성되는 환형 돌출부(예: 도 6b의 환형 돌출부(52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은 내면(예: 도 6a의 내면(5122)) 및 상기 내면에 형성되는 환형 리세스(예: 도 6a의 환형 리세스(5123))를 포함하며, 상기 환형 돌출부가 상기 환형 리세스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구조물을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의 일부는 상기 상부 구조물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리셉터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동축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2도전성 환형 측벽과 상기 도전성 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환형의 절연 구조물(예: 도 6b의 절연 구조물(52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은 수직으로 상기 제1면까지 형성되는 절개홈(예: 도 5의 절개홈(5125))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이스 구조물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전성 필러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이스 구조물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의 단부는 상기 제2도전성 환형 측벽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외면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플랜지부(예: 도 6a의 플랜지부(5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구조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예: 도 5의 연장부(5215))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구조물 및/또는 연장부는 상기 동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전성 돌기는, 플레이트부(예: 도 9의 플레이트부(911))와,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외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텐션 리브(예: 도 9의 텐션 리브(913, 915)) 및 상기 한 쌍의 텐션 리브 사이에서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연장되고, 단부에 접속부를 포함하는 연장부(예: 도 9의 연장부(916))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필러 구조물은 상기 한 쌍의 텐션 리브 사이의 상기 리세스 구조에 삽입됨으로써 물리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텐션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텐션 리브는 상기 리세스 구조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예: 도 9의 걸림 돌기(9131, 915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전성 필러 구조물은 외주면을 따라 걸림홈이(예: 도 6a의 걸림홈(5132))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필러 구조물이 상기 리세스 구조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텐션 리브는 상기 연장부가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나란히 정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 및 상기 도전성 필러 구조물은 상기 베이스 구조물에 의해 전기적으로 단절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도전성 환형 측벽 및 상기 도전성 돌기는 상기 절연 구조물에 의해 전기적으로 단절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예: 도 7의 커넥터(520))와 결합하기 위한 리셉터클(예: 도 7의 리셉터클(510))은, 제1면(예: 도 7의 제1면(5111)), 상기 제1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고 인쇄회로기판(예: 도 7의 인쇄회로기판(550))에 실장되는 제2면(예: 도 7의 제2면(5112))을 포함하는 베이스 구조물(예: 도 7의 베이스 구조물(511))과,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면과 함께 리세스(예: 도 6a의 리세스(5101))의 를 형성하며, 제1직경(예: 도 6a의 제1직경(d1))을 갖는 제1도전성 환형 측벽(예: 도 7의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 및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리세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에 의해 측방향으로 둘러싸여지는 도전성 필러 구조물(예: 도 7의 도전성 필러 구조물(5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의 제1직경은 상기 커넥터의 제2도전성 환형 측벽(예: 도 7의 제2도전성 측벽(522))이 상기 리세스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은 내면에 형성되는 환형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리세스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의 리세스에 수용될 때, 상기 제2도전성 환형 측벽의 외면에 형성된 환형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셉터클(예: 도 7의 리셉터클(510))과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예: 도 7의 커넥터(520))는, 상기 리셉터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1면(예: 도 7의 제3면(5211)) 및 상기 리셉터클을 향하는 제2면(예: 도 7의 제4면(5212))을 포함하는 상부 구조물(예: 도 7의 상부 구조물(521))과, 상기 리셉터클의 제2도전성 환형 측벽(예: 도 7의 제1도전성 환형 측벽(512))과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제2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직경(예: 도 6b의 제2직경(d2))을 갖는 제1도전성 환형 측벽(예: 도 7의 제2도전성 환형 측벽(522)) 및 제1도전성 환형 측벽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도전성 돌기(예: 도 7의 도전성 돌기(5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의 제1직경은, 상기 제2도전성 환형 측벽이 상기 리셉터클의 제2도전성 환형 측벽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예: 도 6a의 리세스(5101))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은 외면에 형성되는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돌출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에 수용될 때, 상기 제2도전성 환형 측벽의 내면에 형성된 환형 리세스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00: 전기적 연결 장치 510: 리셉터클
511: 베이스 구조물 512: 제1도전성 환형 측벽
513: 도전성 필러 구조물 520: 커넥터
521: 상부 구조물 522: 제2도전성 환형 측벽
523: 도전성 돌기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리셉터클로서,
    상기 PCB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1면, 상기 제1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제2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구조물(base structure);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면과 함께 리세스를 형성하며, 제1직경을 갖는 제1도전성 환형 측벽; 및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리세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에 의해 측방향으로 둘러싸여지는 도전성 필러(pillar) 구조물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상기 리셉터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리셉터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3면 및 상기 리셉터클을 향하는 제4면을 포함하는 상부 구조물;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과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을 갖는 제2도전성 환형 측벽; 및
    상기 도전성 필러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방향을 가지고 배치되는 리세스 구조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4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도전성 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단부를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로서, 상기 도전성 돌기에 연결되는 제1도전성 경로 및 상기 제2도전성 환형 측벽에 연결되는 제2도전성 경로를 포함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성 환형 측벽은 외면 및 상기 외면에 형성되는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은 내면 및 상기 내면에 형성되는 환형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환형 돌출부가 상기 환형 리세스에 결합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을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의 일부는 상기 상부 구조물과 중첩되지 않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리셉터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동축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2도전성 환형 측벽과 상기 도전성 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환형의 절연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은 수직으로 상기 제1면까지 형성되는 절개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이스 구조물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필러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이스 구조물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의 단부는 상기 제2도전성 환형 측벽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외면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구조물 및/또는 상기 연장부는 상기 동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돌기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외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텐션 리브; 및
    상기 한 쌍의 텐션 리브 사이에서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연장되고, 단부에 접속부를 포함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필러 구조물은 상기 한 쌍의 텐션 리브 사이의 상기 리세스 구조에 삽입됨으로써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텐션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텐션 리브는 상기 리세스 구조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필러 구조물은 외주면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필러 구조물이 상기 리세스 구조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텐션 리브는 상기 연장부가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나란히 정렬되는 전자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 및 상기 도전성 필러 구조물은 상기 베이스 구조물에 의해 전기적으로 단절되도록 배치되는 전자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성 환형 측벽 및 상기 도전성 돌기는 상기 절연 구조물에 의해 전기적으로 단절되도록 배치되는 전자 장치.
  17.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리셉터클에 있어서,
    제1면, 상기 제1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고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제2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구조물;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면과 함께 리세스를 형성하며, 제1직경을 갖는 제1도전성 환형 측벽; 및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리세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에 의해 측방향으로 둘러싸여지는 도전성 필러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의 제1직경은 상기 커넥터의 제2도전성 환형 측벽이 상기 리세스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리셉터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은 내면에 형성되는 환형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리세스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의 리세스에 수용될 때, 상기 제2도전성 환형 측벽의 외면에 형성된 환형 돌출부를 수용하는 리셉터클.
  19. 리셉터클과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1면 및 상기 리셉터클을 향하는 제2면을 포함하는 상부 구조물;
    상기 리셉터클의 제2도전성 환형 측벽과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제2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직경을 갖는 제1도전성 환형 측벽; 및
    제1도전성 환형 측벽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도전성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의 제1직경은, 상기 제2도전성 환형 측벽이 상기 리셉터클의 제2도전성 환형 측벽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커넥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성 환형 측벽은 외면에 형성되는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돌출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에 수용될 때, 상기 제2도전성 환형 측벽의 내면에 형성된 환형 리세스에 수용되는 커넥터.
KR1020180024719A 2018-02-28 2018-02-28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19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719A KR102519636B1 (ko) 2018-02-28 2018-02-28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6/976,575 US20210006648A1 (en) 2018-02-28 2019-02-26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PCT/KR2019/002254 WO2019168309A1 (ko) 2018-02-28 2019-02-26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719A KR102519636B1 (ko) 2018-02-28 2018-02-28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814A true KR20190103814A (ko) 2019-09-05
KR102519636B1 KR102519636B1 (ko) 2023-04-10

Family

ID=6780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719A KR102519636B1 (ko) 2018-02-28 2018-02-28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006648A1 (ko)
KR (1) KR102519636B1 (ko)
WO (1) WO201916830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2880A1 (ko) * 2020-02-26 2021-09-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90921A1 (ko) * 2021-11-18 2023-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63382A1 (ko) * 2022-02-28 2023-08-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기적 연결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2915A (ko) * 2011-07-26 2013-02-05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동축형 전기 커넥터 및 동축형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150054672A (ko) * 2013-11-11 2015-05-20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이용되는 단자
KR20170051904A (ko) * 2015-11-03 2017-05-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커넥터용 컨택트 및 기판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1488B2 (ja) * 2004-04-21 2009-03-18 ホシデン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101682152B (zh) * 2007-06-01 2015-09-23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同轴连接器
US8537543B2 (en) * 2008-04-11 2013-09-17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using structures
WO2010087202A1 (ja) * 2009-01-30 2010-08-05 株式会社フジクラ Rf用プラグコネクタ、rf用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rf用コネクタ
JP4325885B1 (ja) * 2009-03-27 2009-09-02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同軸コネクタ装置
CN201498694U (zh) * 2009-05-22 2010-06-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201153B2 (ja) * 2010-01-13 2013-06-05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103915703B (zh) * 2014-03-05 2019-09-20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微型射频连接器
KR102065525B1 (ko) * 2019-06-04 2020-01-13 주식회사 엠피디 기판연결용 커넥터
JP7407611B2 (ja) * 2020-02-10 2024-01-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
JP7411505B2 (ja) * 2020-06-03 2024-01-11 ホシデン株式会社 シールド部材、シールド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2915A (ko) * 2011-07-26 2013-02-05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동축형 전기 커넥터 및 동축형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150054672A (ko) * 2013-11-11 2015-05-20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이용되는 단자
KR20170051904A (ko) * 2015-11-03 2017-05-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커넥터용 컨택트 및 기판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2880A1 (ko) * 2020-02-26 2021-09-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90921A1 (ko) * 2021-11-18 2023-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63382A1 (ko) * 2022-02-28 2023-08-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기적 연결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636B1 (ko) 2023-04-10
WO2019168309A1 (ko) 2019-09-06
US20210006648A1 (en)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9288B1 (ko) 하우징을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876317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102622558B1 (ko) 거리 검출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19636B1 (ko)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10136965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hield member for shielding at least part of magnetic force generated by magnetic substance and connection portion including property of nonmagnetic substance connected to shield member
US11509083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CN111742624B (zh) 电子设备
KR102624300B1 (ko) 인쇄 회로 기판 및 하우징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20374051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rinted circuit board
EP4271149A1 (e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waterproof structure
KR20200001221A (ko) 안테나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20129941A (ko) 트레이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52665B1 (ko) 접착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가 형성된 차폐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319110A1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US20230223678A1 (e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102657027B1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46204A (ko) 차폐 커넥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33645A (ko)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