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1933A - 크롤러 벨트용 링크 및 크롤러 벨트 장치 - Google Patents

크롤러 벨트용 링크 및 크롤러 벨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1933A
KR20150051933A KR1020147020777A KR20147020777A KR20150051933A KR 20150051933 A KR20150051933 A KR 20150051933A KR 1020147020777 A KR1020147020777 A KR 1020147020777A KR 20147020777 A KR20147020777 A KR 20147020777A KR 20150051933 A KR20150051933 A KR 20150051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rawler belt
link
rail surfac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0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3408B1 (ko
Inventor
겐이치 히사마츠
나오아키 기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50051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0Tracks of articulated type, e.g. chains
    • B62D55/205Connections between track links
    • B62D55/21Links connected by transverse pivot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4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6Ground engaging parts or elements
    • B62D55/28Ground engaging parts or elements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크롤러 벨트용 링크(1)는, 중앙부(1A)와, 그 중앙부(1A)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일단부(1B)와, 중앙부(1A)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타단부(1C)를 가지고 있다. 제2 면(3)에 있어서 중앙부(1A)는 레일면(3a)의 제1 부분(3b)을 가지고, 일단부(1B)는 레일면(3a)의 제2 부분(3c)을 가지며, 타단부(1C)는 레일면(3a)의 제3 부분(3d)을 가지고 있다. 레일면(3a)의 제2 부분(3c)에 달하는 제1 외주부(1B2)가 부시 구멍 주위부(1B1)보다 제2 측부(5)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크롤러 벨트용 링크의 폭을 작게 유지하면서, 부시 구멍 상방의 레일면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는 크롤러 벨트용 링크 및 크롤러 벨트 장치를 실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크롤러 벨트용 링크 및 크롤러 벨트 장치{TRACK LINK AND TRACK DEVICE}
본 발명은 크롤러 벨트용 링크 및 크롤러 벨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압 셔블 등의 장궤식 작업 차량은, 하부 주행체와, 상부 선회체와, 이 상부 선회체에 연달아 설치되는 작업기를 가지고 있다. 상기 하부 주행체는, 스프로켓, 아이들러, 전륜(轉輪; roller), 크롤러 벨트 장치 등을 가지고 있다.
크롤러 벨트 장치는, 일반적으로는, 복수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를 핀과 부시에 의해 무단형(환형)으로 연결하며, 복수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에 트랙 슈 플레이트를 부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크롤러 벨트 장치는, 아이들러 및 스프로켓의 주위에 권취 장착되어 있고, 상기 부시에 스프로켓의 기어를 맞물리게 하여 스프로켓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구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크롤러 벨트용 링크는, 트랙 슈 플레이트의 부착면과 반대측의 면에 전륜, 유동륜(遊動輪)이 롤링하기 위한 레일면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크롤러 벨트용 링크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6-89023호 공보(특허문헌 1 참조), WO2009/101836호 공보(특허문헌 2 참조)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89023호 공보에는, 전륜의 롤링에 의해 레일면에 마모에 의한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저감하기 위해, 크롤러 벨트용 링크의 레일면의 경도를 부분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WO2009/101836호 공보에는, 크롤러 벨트용 링크의 레일면의 편마모를 저감하기 위해, 전륜을 축 방향으로 분할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89023호 공보 특허문헌 2: WO2009/101836호 공보
그러나 상기 2개의 공보 중 어느 크롤러 벨트용 링크에 있어서도, 부시를 삽입하기 위한 부시 구멍 상방의 레일면의 폭(부시 또는 핀의 축 방향의 치수)이,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 구멍 상방의 레일면의 폭보다 좁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레일면에 전륜 등이 접촉하여 롤링한 경우, 상기 부시 구멍 상방의 레일면에 있어서 크롤러 벨트용 링크와 전륜의 접촉 면압이 커져, 부시 구멍 상방의 레일면이 마모하기 쉬워진다.
상기 부시 구멍 상방의 레일면의 마모를 억제하기 위해, 상기 2개의 공보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의 구성으로 단순히 부시 구멍 상방의 레일면의 폭을 크게 하면, 크롤러 벨트용 링크의 폭이 커진다. 이 경우, 폭 방향의 한쌍의 전륜 가드(롤러 가이드)의 폭이 커져 장치가 대형화되거나, 또는 크롤러 벨트용 링크가 아이들러 또는 스프로켓과 간섭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크롤러 벨트용 링크의 폭을 크게 하는 일없이, 단순히 부시 구멍 상방의 레일면의 폭을 크게 하면, 핀 구멍 상방의 레일면의 폭이 작아진다. 이 경우, 상기 2개의 공보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의 구성에서는, 핀 구멍 상방의 레일면의 폭의 축소에 따라 핀 압입 부분의 치수도 축소되어, 크롤러 벨트용 링크가 핀을 유지하는 힘이 작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크롤러 벨트용 링크의 폭을 작게 유지하면서, 부시 구멍 상방의 레일면의 마모를 억제 가능한 크롤러 벨트용 링크 및 크롤러 벨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는, 트랙 슈 플레이트 부착부를 갖는 제1 면과, 제1 면에 대향하며 또한 레일면을 갖는 제2 면과, 제1 및 제2 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부를 갖는 크롤러 벨트용 링크로서, 중앙부와, 일단부와, 타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중앙부는, 트랙 슈 플레이트 부착부를 가지고, 레일면의 제1 부분을 가지고 있다. 일단부는, 중앙부의 일단측에 위치하며, 레일면의 제2 부분을 가지고, 또한 중앙부에 대하여 제1 측부측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타단부는, 중앙부의 타단측에 위치하며, 레일면의 제3 부분을 가지고, 또한 중앙부에 대하여 제2 측부측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일단부에는, 제1 측부측으로부터 제2 측부측으로 일단부를 관통한 제1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타단부에는, 제1 측부측으로부터 제2 측부측으로 타단부를 관통하며, 또한 제1 관통 구멍보다 작은 직경의 부분을 갖는 제2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일단부는, 제2 측부에 있어서 제1 관통 구멍의 주위를 둘러싸는 제1 관통 구멍 주위부와, 제1 관통 구멍 주위부의 외주로부터 레일면의 제2 부분에 달하는 제1 외주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외주부는, 제1 관통 구멍 주위부보다 제2 측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에 따르면, 레일면의 제2 부분에 달하는 제1 외주부가 제1 관통 구멍 주위부보다 제2 측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크롤러 벨트용 링크의 제1 및 제2 측부 사이의 폭을 유지하면서, 레일면의 제2 부분을 제2 측부측으로 확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레일면에 전륜이 접촉하여 롤링할 때의 레일면의 제2 부분에 있어서의 접촉 면압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져, 레일면의 제2 부분의 마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크롤러 벨트용 링크에 있어서는, 타단부는, 제1 측부에 있어서 제2 관통 구멍의 주위를 둘러싸는 제2 관통 구멍 주위부와, 제2 관통 구멍 주위부의 외주로부터 레일면의 제3 부분에 달하는 제2 외주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2 관통 구멍 주위부는, 제2 외주부보다 제1 측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2 관통 구멍 주위부의 폭 방향의 두께를 제1 측부측으로 확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제2 관통 구멍에 삽입하는 부재의 삽입 길이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크롤러 벨트용 링크가 상기 삽입하는 부재를 유지하는 힘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관통 구멍 주위부는 제2 외주부보다 제1 측부측에 위치함으로써 제2 외주부에 대하여 볼록형으로 되고, 또한 제1 관통 구멍 주위부는 제1 외주부보다 제1 측부측에 위치함으로써 제1 외주부에 대하여 오목형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크롤러 벨트용 링크끼리를 연결시키기 위해 일단부의 제2 측부와 타단부의 제1 측부를 맞추었을 때에, 볼록형의 제2 관통 구멍 주위부를 오목형의 제1 관통 구멍 주위부에 감합시킬 수 있다.
상기 크롤러 벨트용 링크에 있어서는, 레일면의 제2 부분이 형성된 제2 면의 제1 및 제2 측부 사이의 폭은, 제1 관통 구멍의 제2 면의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제1 관통 구멍 주위부의 제1 및 제2 측부 사이의 폭보다 크다.
이에 의해 제2 면의 폭을 크게 확보할 수 있어, 레일면의 제2 부분의 폭도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크롤러 벨트용 링크에 있어서는, 레일면의 제2 부분이 형성된 제2 면의 제1 및 제2 측부 사이의 폭과, 레일면의 제3 부분이 형성된 제2 면의 제1 및 제2 측부 사이의 폭은 서로 동일한 치수를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레일면의 제2 및 제3 부분을 서로 동일한 폭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레일면에 전륜이 접촉하여 롤링할 때의 레일면의 제2 및 제3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의 접촉 면압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져, 이 제2 및 제3 부분의 마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크롤러 벨트 장치는, 상기한 어느 하나의 복수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와, 원통 형상의 부시와, 연결용 핀과, 복수의 트랙 슈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 형상의 부시는, 복수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에 포함되는 일측 및 타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 중 일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의 제1 관통 구멍 내에 삽입됨으로써 일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용 핀은, 부시 내에 삽입 관통됨으로써 일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의 제1 관통 구멍 내에 삽입 관통되고, 또한 타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의 제2 관통 구멍 내에 삽입됨으로써 타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에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트랙 슈 플레이트는, 각각이 복수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의 각각의 트랙 슈 플레이트 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크롤러 벨트 장치에 따르면, 크롤러 벨트용 링크의 제1 및 제2 측부 사이의 폭을 유지하면서 레일면의 제2 부분의 마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레일면의 마모를 억제하기 위해 부시, 연결용 핀, 트랙 슈 플레이트 등의 다른 부품의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일면의 제2 부분에 달하는 제1 외주부가 제1 관통 구멍 주위부보다 제2 측부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크롤러 벨트용 링크의 제1 및 제2 측부 사이의 폭을 유지하면서, 레일면의 제2 부분을 제2 측부측으로 확대하는 것이 가능해져, 레일면의 제2 부분의 마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 또는 크롤러 벨트 장치를 이용한 장궤식 작업 차량의 예로서 유압 셔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궤식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에 포함되는 크롤러 벨트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크롤러 벨트 장치에 이용되는 크롤러 벨트용 링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A), 일측 측면도(B), 타측 측면도(C), 정면도(D), 및 배면도(E)이다.
도 5는 크롤러 벨트 장치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에 하부 전륜이 접촉하여 롤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 가능한 장궤식 작업 차량의 일례로서 유압 셔블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유압 셔블 이외의 불도저 등의 장궤식 작업 차량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장궤식 작업 차량(예컨대 유압 셔블)(30)은, 하부 주행체(20)와, 상부 선회체(31)와, 작업기(32)를 주로 가지고 있다. 하부 주행체(20)와 상부 선회체(31)에 의해 작업 차량 본체가 구성되어 있다.
하부 주행체(20)는 좌우 한쌍의 크롤러 벨트 장치(10)를 가지고 있다. 이 좌우한쌍의 크롤러 벨트 장치(10)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장궤식 작업 차량(30)이 자주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하부 주행체(20)의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부 선회체(31)는 하부 주행체(20)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상부 선회체(31)는, 전방 좌측(차량 전측)에 캡(31a)을 가지고, 후방측(차량 후 측)에 엔진을 수납하는 엔진 룸(31b)이나, 카운터 웨이트(31c)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차량의 전후·좌우는, 캡(31a) 내에 착석하는 오퍼레이터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작업기(32)는 상부 선회체(31)의 전방측에 피봇 지지되어 있고, 예컨대 붐, 아암, 버킷, 유압 실린더 등을 가지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부 주행체(20)는, 크롤러 벨트 장치(10)와, 구동륜(스프로켓)(21)과, 유동륜(아이들러)(22)과, 하부 전륜(23)과, 상부 전륜(24)과, 트랙 프레임(25)과, 선회 장치(26)를 주로 가지고 있다.
트랙 프레임(25)의 상부에 선회 장치(26)가 부착되어 있다. 이 선회 장치(26)는 트랙 프레임(25)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선회 장치(26) 상에는 상기 상부 선회체(31)가 설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상부 선회체(31)가 하부 주행체(20)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트랙 프레임(25)의 양 측부의 각각에는, 구동륜(21), 유동륜(22), 복수의 하부 전륜(23) 및 복수의 상부 전륜(24)의 각각이 부착되어 있다. 구동륜(21)은 트랙 프레임(25)의 예컨대 후단부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유동륜(22)은 트랙 프레임(25)의 예컨대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하부 전륜(23)은 트랙 프레임(25)의 하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복수의 상부 전륜(24)은 트랙 프레임(25)의 상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크롤러 벨트 장치(10)는, 무단형(환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구동륜(21) 및 유동륜(22)에 권취되어 있다. 또한 크롤러 벨트 장치(10)는 구동륜(21)과 유동륜(22)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하부 전륜(23) 및 복수의 상부 전륜(2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크롤러 벨트 장치(10)는 구동륜(21)에 맞물려져 있고, 이 구동륜(21)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크롤러 벨트 장치(10)의 회전 구동 시에 있어서, 유동륜(22), 복수의 하부 전륜(23) 및 복수의 상부 전륜(24)의 각각은 크롤러 벨트 장치(10)에 접촉하여 종동 회전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크롤러 벨트 장치(10)는, 크롤러 벨트용 링크(1)와, 부시(11)와, 연결용 핀(12)과, 트랙 슈 플레이트(shoe plate)(13)와, 트랙 슈 플레이트 부착 부재(14a, 14b)와, 시일 부재(15)를 주로 가지고 있다. 크롤러 벨트 장치(10)는, 트랙 슈 플레이트(13)가 부착된 복수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가 무단형으로 연결됨으로써 환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트랙 슈 플레이트(13)는 트랙 슈 플레이트 부착 부재(14a, 14b)로 이루어지는 볼트 부재(14a)와 너트 부재(14b)에 의해 크롤러 벨트용 링크(1)에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볼트 부재(14a)가 트랙 슈 플레이트(13)측으로부터 트랙 슈 플레이트(13)의 관통 구멍(13a)과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관통 구멍(2a)에 삽입 관통되어, 크롤러 벨트용 링크(1)측에서 너트 부재(14b)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크롤러 벨트용 링크(1)에 트랙 슈 플레이트(13)가 부착되어 있다.
1개의 크롤러 벨트 장치(10)에 있어서, 복수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가 2열로 배치되어 있다. 동일한 열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일측 및 타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는, 일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부시 구멍(6)과 타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핀 구멍(7)이 서로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원통형의 부시(11)는 일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부시 구멍(6) 내에 압입되어 있다. 연결용 핀(12)은 부시(11) 내에 삽입 관통되며, 또한 타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핀 구멍(7)에 압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열 방향으로 배열된 일측 및 타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끼리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부시(11) 및 연결용 핀(12)의 일단측에 상기한 바와 같이 1열째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가 설치되고, 또한 타단측에 2열째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가 설치됨으로써, 일측의 열과 타측의 열의 각 크롤러 벨트용 링크(1)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부시(11) 및 연결용 핀(12)을 이용한 크롤러 벨트용 링크(1)끼리의 연결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 도 6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상기 크롤러 벨트 장치(10)에 이용되는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구성에 대해서 도 4의 (A)∼(E)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의 (A)∼(E)를 참조하면, 크롤러 벨트용 링크(1)는, 관통 구멍(트랙 슈 플레이트 부착부)(2a)을 갖는 제1 면(2)과, 제1 면(2)에 대향하며 또한 레일면(3a)을 갖는 제2 면(3)을 가지고 있다. 또한 크롤러 벨트용 링크(1)는, 제1 및 제2 면(2, 3)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부(4, 5)를 가지고 있다.
주로 도 4의 (A), (B), (C)를 참조하면, 크롤러 벨트용 링크(1)는, 중앙부(1A)와, 그 중앙부(1A)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일단부(1B)와, 중앙부(1A)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타단부(1C)를 가지고 있다.
중앙부(1A)의 제1 면(2)에는, 제1 면(2)으로부터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중앙 관통 구멍(8)에 달하도록 예컨대 2개의 관통 구멍(2a)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부(1A)는 제2 면(3)에 있어서 레일면(3a)의 제1 부분(3b)을 가지고 있다. 이 제1 부분(3b)은, 레일면(3a)의 주된 부분으로서, 소위 주레일면이다.
주로 도 4의 (A)를 참조하면, 일단부(1B)는, 평면도로 보아 중앙부(1A)에 대하여 제1 측부(4)측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즉 평면도로 보아, 일단부(1B)의 제2 측부(5)는 중앙부(1A)의 제2 측부(5)보다 제1 측부(4)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평면도로 보아, 일단부(1B)의 제2 면(3)의 제2 측부(5)는 중앙부(1A)의 제2 면(3)의 제2 측부(5)보다 제1 측부(4)측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일단부(1B)의 제2 면(3)의 제1 측부(4)는 중앙부(1A)의 제2 면(3)의 제1 측부(4)와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 일단부(1B)는, 제2 면(3)에 있어서 레일면(3a)의 제2 부분(3c)을 가지고 있다.
타단부(1C)는, 평면도로 보아 중앙부(1A)에 대하여 제2 측부(5)측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즉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도로 보아, 타단부(1C)의 제1 측부(4)는 중앙부(1A)의 제1 측부(4)보다 제2 측부(5)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평면도로 보아, 타단부(1C)의 제2 면(3)의 제1 측부(4)는 중앙부(1A)의 제2 면(3)의 제1 측부(4)보다 제2 측부(5)측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타단부(1C)의 제2 면(3)의 제2 측부(5)는 중앙부(1A)의 제2 면(3)의 제2 측부(5)와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 타단부(1C)는, 제2 면(3)에 있어서 레일면(3a)의 제3 부분(3d)을 가지고 있다.
주로 도 4의 (B), (C)를 참조하면, 일단부(1B)에는, 제1 측부(4)측으로부터 제2 측부(5)측으로 일단부(1B)를 관통한 부시 구멍(제1 관통 구멍)(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시 구멍(6)은 부시(11)를 압입하기 위한 구멍이다.
타단부(1C)에는, 제1 측부(4)측으로부터 제2 측부(5)측으로 타단부(1C)를 관통한 핀 구멍(제2 관통 구멍)(7)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핀 구멍(7)은, 제1 측부(4)측에 위치하는 대직경부(7a)와, 대직경부(7a)에 연통하도록 제2 측부(5)측에 위치하는 소직경부(7b)를 가지고 있다.
대직경부(7a)는 부시(11)의 단부 및 시일 부재(15)를 삽입하기 위한 부분이다. 소직경부(7b)는 연결용 핀(12)을 압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대직경부(7a)는 부시 구멍(6)의 직경(D1)과 거의 동일한 혹은 조금 큰 크기의 직경을 가지고, 소직경부(7b)는 부시 구멍(6)의 직경(D1)보다 작은 직경(D2)을 가지고 있다.
주로 도 4의 (B)를 참조하면, 일단부(1B)는, 제2 측부(5)에 있어서 부시 구멍 주위부(제1 관통 구멍 주위부)(1B1)와, 제1 외주부(1B2)를 가지고 있다. 부시 구멍 주위부(1B1)는, 일단부(1B)의 제2 측부(5)에 있어서 부시 구멍(6)의 주위를 둘러싸는 부분이며, 도 4의 (B) 중에 있어서 좌측 상향의 해칭부를 붙인 부분이다. 제1 외주부(1B2)는, 일단부(1B)의 제2 측부(5)에 있어서 부시 구멍 주위부(1B1)의 외주으로부터 레일면(3a)의 제2 부분(3c)에 달하는 부분이며, 도 4의 (B) 중에 있어서 우측 상향의 해칭부를 붙인 부분이다.
주로 도 4의 (D)를 참조하면, 제1 외주부(1B2)는, 정면에서 보아 부시 구멍 주위부(1B1)보다 제2 측부(5)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레일면(3a)의 제2 부분(3c)이 형성된 제2 면(3)의 부분의 제1 및 제2 측부(4, 5) 사이의 폭(W1a)은, 부시 구멍(6)의 제2 면(3)의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부분(P1)에 있어서의 부시 구멍 주위부(1B1)의 제1 및 제2 측부(4, 5) 사이의 폭(W1b)보다 크게 되어 있다.
주로 도 4의 (C)를 참조하면, 타단부(1C)는, 제1 측부(4)에 있어서 핀 구멍 주위부(제2 관통 구멍 주위부)(1C1)와, 제2 외주부(1C2)를 가지고 있다. 핀 구멍 주위부(제2 관통 구멍 주위부)(1C1)는, 타단부(1C)의 제1 측부(4)에 있어서 핀 구멍(7)의 주위를 둘러싸는 부분이며, 도 4의 (C) 중에 있어서 좌측 상향의 해칭부가 붙여진 부분이다. 제2 외주부(1C2)는, 타단부(1C)의 제1 측부(4)에 있어서 핀 구멍 주위부(1C1)의 외주로부터 레일면(3a)의 제3 부분(3d)에 달하는 부분이며, 우측 상향의 해칭부가 붙여진 부분이다.
주로 도 4의 (E)를 참조하면, 핀 구멍 주위부(1C1)는, 배면도로 보아 제2 외주부(1C2)보다 제1 측부(4)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핀 구멍(7)의 제2 면(3)의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부분(P2)에 있어서의 핀 구멍 주위부(1C1)의 제1 및 제2 측부(4, 5) 사이의 폭(W2b)은, 레일면(3a)의 제3 부분(3d)이 형성된 제2 면(3)의 부분의 제1 및 제2 측부(4, 5) 사이의 폭(W2a)보다 크게 되어 있다.
주로 도 4의 (A)를 참조하면, 레일면(3a)의 제2 부분(3c)이 형성된 제2 면(3)의 폭(W1a)과, 레일면(3a)의 제3 부분(3d)이 형성된 제2 면(3)의 폭(W2a)은 서로 동일한 치수를 가지고 있다.
상기에 있어서 레일면(3a)이란,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표면 중, 전륜(하부 전륜(23), 상부 전륜(24)), 유동륜(22)이 접촉하여 롤링하는 면을 말한다. 도 5에는, 예컨대 하부 전륜(23)이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레일면(3a)에 롤링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 5를 참조하면, 예컨대 하부 전륜(23)은,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레일면(3a)에 접촉함으로써 샤프트(23a)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레일면(3a)에서 롤링 가능하다. 유동륜(22) 및 상부 전륜(24)도 하부 전륜(23)과 마찬가지로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레일면(3a)에 접촉하여 롤링 가능하다.
이 도 5 및 도 4의 (A)에 있어서는 제2 면(3)의 평탄면의 부분만이 레일면(3a)으로서 해칭(제1 부분(3b)에는 우측 상향의 해칭, 제2 및 제3 부분(3c, 3d)에는 좌측 상향의 해칭)이 붙여져 있다. 그러나, 레일면(3a)은 그 평탄면의 부분뿐만 아니라, 그 평탄면의 주위의 곡면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레일면(3a)으로서 해칭이 붙여진 부분은 평탄면이 아니어도 좋고, 약간 라운드된 곡면이어도 좋다.
다음에, 부시(11) 및 연결용 핀(12)을 이용한 크롤러 벨트용 링크(1)끼리의 연결의 구성에 대해서 도 6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1열로 배열된 복수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에 있어서는, 일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일단부(1B)와 타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타단부(1C)가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일단부(1B)의 제2 측부(5)측과 타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타단부(1C)의 제1 측부(4)측이 대면하도록 일측 및 타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가 서로 중첩되어 있다. 즉 일단부(1B)의 제2 측부(5)와 타단부(1C)의 제1 측부(4)는 서로 대면시키는 정합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일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부시 구멍(6)과 타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핀 구멍(7)이 서로 동심이 되도록 연통하고 있다. 또한 일단부(1B)가 2열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내측(도 6 중 화살표(B)측)에 배치되고, 또한 타단부(1C)가 2열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외측(도 6 중 화살표(A)측)에 배치되어 있다.
부시 구멍(6)과 핀 구멍(7)이 연통한 상태로, 일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부시 구멍(6) 내에 원통형의 부시(11)가 압입되어 있다. 또한 타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핀 구멍(7)의 대직경부(7a)에는 그 부시(11)의 단부와 시일 부재(15)가 삽입되어 있다. 연결용 핀(12)은 그 부시(11) 내에 삽입 관통됨으로써 일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부시 구멍(6) 내에 삽입 관통되며, 타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핀 구멍(7)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나의 열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일측 및 타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끼리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열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끼리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부시(11) 및 연결용 핀(12)의 일단측에 1열째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가 설치되고, 타단측에 2열째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가 설치됨으로써, 2열을 이루는 복수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에 따르면, 도 4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외주부(1B2)가 부시 구멍 주위부(1B1)보다 제2 측부(5)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제1 및 제2 측부(4, 5) 사이의 폭을 유지하면서, 레일면(3a)의 제2 부분(3c)을 제2 측부(5)측으로 확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레일면(3a)에 전륜 등(하부 전륜(23), 상부 전륜(24), 유동륜(22))이 접촉하여 롤링할 때의 레일면(3a)의 제2 부분(3c)에 있어서의 접촉 면압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져, 이 제2 부분(3c)의 마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고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레일면(3a)의 주저앉음이나, 이지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제1 및 제2 측부(4, 5) 사이의 폭이 커진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열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외측(도 6 중 화살표(A)측)이나 내측(도 6 중 화살표(B)측)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으로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폭을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만약 외측(화살표(A)측)으로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폭을 확대시킨 경우에는, 한쌍의 전륜 가드(도시하지 않음)의 폭이 커져 장치가 대형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만약 내측(화살표(B)측)으로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폭을 확대시킨 경우에는, 크롤러 벨트용 링크(1)가 유동륜(22) 또는 구동륜(21)과 간섭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하는 바와 같이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제1 및 제2 측부(4, 5) 사이의 폭을 유지하면서, 레일면(3a)의 제2 부분(3c)의 폭을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에 따르면, 도 4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구멍 주위부(1C1)는, 제2 외주부(1C2)보다 제1 측부(4)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핀 구멍 주위부(1C1)의 폭 방향의 두께(W2b)를 제1 측부(4)측으로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핀 구멍(7)에 압입하는 연결용 핀(12)의 압입 길이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크롤러 벨트용 링크(1)가 연결용 핀(12)을 유지하는 힘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에 따르면, 도 4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구멍 주위부(1C1)는 제2 외주부(1C2)보다 제1 측부(4)측에 위치함으로써 제2 외주부(1C2)에 대하여 볼록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시 구멍 주위부(1B1)는 제1 외주부(1B2)보다 제1 측부(4)측에 위치함으로써 제1 외주부(1B2)에 대하여 오목형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일단부(1B)의 제2 측부(5)와 타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타단부(1C)의 제1 측부(4)를 서로 대면시킨 경우, 볼록형의 핀 구멍 주위부(1C1)를 오목형의 부시 구멍 주위부(1B1)에 감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에 따르면, 도 4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일면(3a)의 제2 부분(3c)이 형성된 제2 면(3)의 폭(W1a)은, 부시 구멍(6)의 제2 면(3)의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부분(P1)에 있어서의 부시 구멍 주위부(1B1)의 폭(W1b)보다 크다. 이에 의해 제2 면(3)의 폭(W1a)을 크게 확보할 수 있어, 레일면(3a)의 제2 부분(3c)의 폭도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1)에 따르면,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일면(3a)의 제2 부분(3c)이 형성된 제2 면(3)의 폭(W1a)과, 레일면(3a)의 제3 부분(3d)이 형성된 제2 면(3)의 폭(W2a)은 서로 동일한 치수를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레일면(3a)의 제2 및 제3 부분(3c, 3d)을 서로 동일한 폭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레일면(3a)에 전륜 등이 접촉하여 롤링할 때의 레일면(3a)의 제2 부분(3c)에 있어서의 접촉 면압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져, 이 제2 부분(3c)의 마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크롤러 벨트용 링크(1)를 갖는 크롤러 벨트 장치(10)에 따르면,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제1 및 제2 측부(4, 5) 사이의 폭을 유지하면서 레일면(3a)의 제2 부분(3c)의 마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레일면(3a)의 마모를 억제하기 위해 부시, 핀, 트랙 슈 플레이트 등의 다른 부품의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크롤러 벨트용 링크(1)의 트랙 슈 플레이트 부착부로서 볼트 부재(14a)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2a)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트랙 슈 플레이트 부착부는 이 관통 구멍(2a)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트랙 슈 플레이트(13)를 부착 가능한 구성을 갖는 것이면 좋다. 또한 트랙 슈 플레이트 부착 부재로서 볼트 부재(14a)와 너트 부재(14b)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트랙 슈 플레이트 부착 부재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트랙 슈 플레이트(13)와 크롤러 벨트용 링크(1)에 부착 가능한 구성을 갖는 것이면 좋다.
금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크롤러 벨트용 링크, 1A 중앙부, 1B 일단부, 1B1 부시 구멍 주위부, 1B2 제1 외주부, 1C 타단부, 1C1 핀 구멍 주위부, 1C2 제2 외주부, 2 제1 면, 2a 관통 구멍, 3 제2 면, 3a 레일면, 3b 제1 부분, 3c 제2 부분, 3d 제3 부분, 4 제1 측부, 5 제2 측부, 6 부시 구멍, 7 핀 구멍, 7a 대직경부, 7b 소직경부, 8 중앙 관통 구멍, 10 크롤러 벨트 장치, 11 부시, 12 연결용 핀, 13 트랙 슈 플레이트, 14a 볼트 부재, 14b 너트 부재, 15 시일 부재, 20 하부 주행체, 21 구동륜, 22 유동륜, 23 하부 전륜, 24 상부 전륜, 25 트랙 프레임, 26 선회 장치, 30 장궤식 작업 차량, 31 상부 선회체, 31a 캡, 31b 엔진 룸, 31c 카운터 웨이트, 32 작업기.

Claims (5)

  1. 트랙 슈 플레이트 부착부를 갖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며 또한 레일면을 갖는 제2 면과, 상기 제1 및 제2 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부를 갖는 크롤러 벨트용 링크로서,
    상기 트랙 슈 플레이트 부착부를 가지고, 상기 레일면의 제1 부분을 갖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일단측에 위치하며, 상기 레일면의 제2 부분을 가지고, 또한 상기 중앙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측부측으로 치우쳐 배치된 일단부와,
    상기 중앙부의 타단측에 위치하며, 상기 레일면의 제3 부분을 가지고, 또한 상기 중앙부에 대하여 상기 제2 측부측으로 치우쳐 배치된 타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단부에는, 상기 제1 측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측부측으로 상기 일단부를 관통한 제1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단부에는, 상기 제1 측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측부측으로 상기 타단부를 관통하며, 또한 상기 제1 관통 구멍보다 작은 직경의 부분을 갖는 제2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단부는, 상기 제2 측부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주위를 둘러싸는 제1 관통 구멍 주위부와, 상기 제1 관통 구멍 주위부의 외주로부터 상기 레일면의 상기 제2 부분에 달하는 제1 외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주부는, 상기 제1 관통 구멍 주위부보다 상기 제2 측부측에 위치하는 것인 크롤러 벨트용 링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단부는, 상기 제1 측부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주위를 둘러싸는 제2 관통 구멍 주위부와, 상기 제2 관통 구멍 주위부의 외주로부터 상기 레일면의 상기 제3 부분에 달하는 제2 외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관통 구멍 주위부는, 상기 제2 외주부보다 상기 제1 측부측에 위치하는 것인 크롤러 벨트용 링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면의 상기 제2 부분이 형성된 상기 제2 면의 상기 제1 및 제2 측부 사이의 폭은,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상기 제2 면의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관통 구멍 주위부의 상기 제1 및 제2 측부 사이의 폭보다 큰 것인 크롤러 벨트용 링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면의 상기 제2 부분이 형성된 상기 제2 면의 상기 제1 및 제2 측부 사이의 폭과, 상기 레일면의 상기 제3 부분이 형성된 상기 제2 면의 상기 제1 및 제2 측부 사이의 폭은 서로 동일한 치수를 갖는 것인 크롤러 벨트용 링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수의 상기 크롤러 벨트용 링크와,
    상기 복수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에 포함되는 일측 및 타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 중 상기 일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의 상기 제1 관통 구멍 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일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에 고정된 원통 형상의 부시와,
    상기 부시 내에 삽입 관통됨으로써 상기 일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의 상기 제1 관통 구멍 내에 삽입 관통되며, 또한 상기 타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의 상기 제2 관통 구멍 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타측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에 고정된 연결용 핀과,
    각각이 상기 복수의 크롤러 벨트용 링크의 각각의 상기 트랙 슈 플레이트 부착부에 부착된 복수의 트랙 슈 플레이트
    를 구비하는 크롤러 벨트 장치.
KR1020147020777A 2012-09-03 2012-12-26 크롤러 벨트용 링크 및 크롤러 벨트 장치 KR101863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92990A JP5230836B1 (ja) 2012-09-03 2012-09-03 履帯用リンクおよび履帯装置
JPJP-P-2012-192990 2012-09-03
PCT/JP2012/083580 WO2014033971A1 (ja) 2012-09-03 2012-12-26 履帯用リンクおよび履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933A true KR20150051933A (ko) 2015-05-13
KR101863408B1 KR101863408B1 (ko) 2018-05-31

Family

ID=4891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777A KR101863408B1 (ko) 2012-09-03 2012-12-26 크롤러 벨트용 링크 및 크롤러 벨트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72742B2 (ko)
JP (1) JP5230836B1 (ko)
KR (1) KR101863408B1 (ko)
CN (1) CN103974877B (ko)
DE (1) DE112012004527B4 (ko)
IN (1) IN2014DN05862A (ko)
WO (1) WO20140339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50537B2 (en) * 2014-11-17 2017-01-24 Caterpillar Inc. Crown for a link in a ground engaging track system
USD775239S1 (en) 2015-08-13 2016-12-27 Caterpillar Inc. Rail guide
US10065692B2 (en) * 2015-08-13 2018-09-04 Caterpillar Inc. Track link structure and pin joint assembly
US9688325B2 (en) 2015-08-28 2017-06-27 Caterpillar Inc. Undercarriage assembly and track links for assembly
US10449599B2 (en) 2015-10-20 2019-10-22 Komatsu Ltd. Track li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rack link
US10889342B2 (en) 2017-05-04 2021-01-12 Caterpillar Inc. Contoured double pass roller path for a track chain
US10933930B2 (en) 2017-05-04 2021-03-02 Caterpillar Inc. Roller path of a track pad for a track chain
US10800019B2 (en) 2017-05-04 2020-10-13 Caterpillar Inc. Track shoe geometry for a track chain
US10889343B2 (en) 2017-05-04 2021-01-12 Caterpillar Inc. Curved track pad ribs for a track chain
USD823349S1 (en) 2017-05-04 2018-07-17 Caterpillar Inc. Undercarriage track shoe for mobile earthmoving machine
US10894570B2 (en) 2017-05-04 2021-01-19 Caterpillar Inc. Pin retention design for a track chain
USD832308S1 (en) 2017-07-27 2018-10-30 Deere & Company Track link
US11130532B2 (en) * 2018-09-04 2021-09-28 Caterpillar Inc. Track joint assembly and track link having wear band structured for anti-scalloping
US11492056B2 (en) 2019-01-10 2022-11-08 Caterpillar Inc. Track link having canted rail surface edges and machine track with same
EP3756982B1 (en) * 2019-06-28 2023-08-23 Berco S.p.A. Track link,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track assembly
US11518456B2 (en) 2020-02-27 2022-12-06 Caterpillar Inc. Shelf design for increased link life
JP2021169279A (ja) * 2020-04-16 2021-10-2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走行体、作業機械、履板および履帯
TWM602516U (zh) * 2020-07-28 2020-10-11 永沛得股份有限公司 履帶鏈板及履帶鏈條總成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19751B (it) * 1979-12-05 1986-03-10 Simmel Spa Perfezionamento nelle magile di giunzione per cingoli
JP2742054B2 (ja) 1987-02-20 1998-04-22 北里研究所(社団法人) 動物の生長促進剤
US5183318A (en) * 1991-11-26 1993-02-02 Caterpillar Inc. Endless track chain for track-type vehicles
US5201171A (en) 1991-11-26 1993-04-13 Caterpilla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taining a track chain joint
US5172965A (en) * 1991-11-26 1992-12-22 Caterprillar Inc. Low ground pressure track with offset link bores
US6109706A (en) * 1998-11-17 2000-08-29 Caterpillar, Inc. Pin and bushing configuration for a track assembly
US6564539B2 (en) * 1999-12-09 2003-05-20 Caterpilla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taining a track chain joint
US6457304B1 (en) * 1999-12-09 2002-10-01 Caterpilla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taining a track chain joint
US6354679B1 (en) * 2000-04-20 2002-03-12 Caterpillar Inc. Off-set symmetrical link and an associated subassembly for a track chain assembly
WO2002051691A1 (fr) 2000-12-22 2002-07-0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Vehicule a chenilles
JP2004106811A (ja) 2001-11-09 2004-04-08 Topy Ind Ltd 履帯部品用標準化構造
JP4289990B2 (ja) 2003-01-29 2009-07-0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ロータリブッシュ式履帯
JP4807982B2 (ja) * 2004-08-27 2011-11-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リ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US7338138B2 (en) 2004-08-27 2008-03-04 Komatsu Ltd. Link and producing method of the same
EP2241495A4 (en) 2008-02-13 2013-04-17 Komatsu Mfg Co Ltd CHENILLE VEHICLE AND ROLLER ASSEMBLY
IT1399166B1 (it) * 2009-03-24 2013-04-11 Berco Spa Catena a boccole rotanti per veicoli cingolat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30836B1 (ja) 2013-07-10
JP2014046873A (ja) 2014-03-17
US9272742B2 (en) 2016-03-01
CN103974877A (zh) 2014-08-06
KR101863408B1 (ko) 2018-05-31
CN103974877B (zh) 2015-04-01
WO2014033971A1 (ja) 2014-03-06
DE112012004527T5 (de) 2014-08-07
DE112012004527B4 (de) 2018-10-25
US20140292068A1 (en) 2014-10-02
IN2014DN05862A (ko) 2015-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408B1 (ko) 크롤러 벨트용 링크 및 크롤러 벨트 장치
US7946662B2 (en) Link for connecting track shoe of crawler belt, assembly for crawler belt, and crawler belt
JP4179449B2 (ja) 履帯走行装置の軸受装置
KR101138913B1 (ko) 크롤러 벨트
US8366212B2 (en) Crawler-type travel device and rotational wheel assembly
JP2004249973A (ja) ロータリブッシュ式履帯およびロータリブッシュ式履帯用リンク
JP5118273B2 (ja) 作業機械用履帯チェーン・アセンブリ
WO2013175667A1 (ja) 履帯連結装置
KR101733330B1 (ko) 크롤러 벨트 연결 장치
JP2006111253A (ja) チェーン駆動を用いる芯金無しゴムクローラーを備えたアンダーキャリッジ{undercarriageequippedwithanon−steeltyperubbercrawlerusingchainaction}
JP5552558B1 (ja) 履帯式走行車両の転輪
JP6721604B2 (ja) 走行体および作業車両
JP2002088807A (ja) 作業機械の下部構造のためのローラー組立体
JP5031154B2 (ja) 無限軌道式作業機械の案内装置
CN113396067A (zh) 履带式行进装置及其惰轮
JP2006123623A (ja) クローラ式作業車両
JP5214492B2 (ja) 装軌式車両の走行体
JP3939169B2 (ja) シュープレート
JP2016150655A (ja) 建設機械
JP5361288B2 (ja) アクスルケースの取付機構
JP2010052521A (ja) アクスルケースの取付機構
JP2009113807A (ja) ロータリブッシュ式履帯用リ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