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6288A - 암형 단자 - Google Patents

암형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6288A
KR20150046288A KR20157007613A KR20157007613A KR20150046288A KR 20150046288 A KR20150046288 A KR 20150046288A KR 20157007613 A KR20157007613 A KR 20157007613A KR 20157007613 A KR20157007613 A KR 20157007613A KR 20150046288 A KR20150046288 A KR 20150046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all
female terminal
male terminal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7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노리 키부시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6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4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square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암형 단자(1)는 상대측의 수형 단자(3)가 삽입되는 단자 수용실(5A)을 형성하는 벽부(10)와, 벽부(10)에 기단(21A)이 고정되어 선단이 자유단(21B)으로 되어 있고, 자유단(21B)이 단자 수용실(5A)에 돌출하는 캔틸레버형 지지 형상의 판스프링부(20)와, 벽부(10) 및 판스프링부(20)에 설치된, 기단(21A)보다 자유단(21B)측의 위치에 있어서, 상대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원호면 형상의 벽면측 지점부(15) 및 스프링측 지점부(2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암형 단자{FEMALE TERMINAL}
본 발명은 수형 단자와 접촉하는 판스프링부를 내부에 가지는 암형 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진동(예를 들면, 차량의 진동)이 발생해도 수형 단자와 암형 단자의 접속 신뢰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수형 단자에 대해서는, 복수 방향의 진동(예를 들면, 상하 방향이나 폭 방향)에 추종시키는 기술이 이미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한편, 암형 단자에 대해서는 이하의 것이 있고, 그 일례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예에 따른 암형 단자(100)는 상대측의 수형 단자(103)가 삽입되는 단자 수용실(101)을 형성하는 벽부(110)(바닥벽(111), 상벽(112), 양측벽(도시하지 않음))과, 상벽(112)에 기단(121A)이 고정되어 선단이 자유단(121B)으로 되어 있고 자유단(121B)이 단자 수용실(101)에 돌출하는 캔틸레버형 지지 형상의 판스프링부(120)를 구비한다.
암형 단자(100)의 단자 수용실(101) 내에 수형 단자(103)가 삽입되면, 판스프링부(120)가 기단(121A)을 중심으로 휨 변형하고, 이 휨 변형의 복원력에 의해 판스프링부(120)와 수형 단자(103)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5871호(JP 2010-015871 A)
그런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수형 단자의 진동에 대한 기술에 대해서는 개발되어 있지만, 암형 단자(100)의 진동에 대한 기술에 대해서는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다. 즉, 수형 단자(103)에 진동이 발생한 경우, 수형 단자(103)의 진동에 의해 판스프링부(120)도 진동하지만, 판스프링부(120)가 수형 단자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수형 단자(103)와 판스프링부(120)가 맞닿는 하중이 불균일하게 되어, 수형 단자(103)와 암형 단자(100)의 접속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수형 단자의 움직임에 대해 판스프링부가 용이하게 추종하여, 판스프링부와 수형 단자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암형 단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암형 단자는, 상대측의 수형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수용실을 형성하는 벽부와, 벽부에 기단이 고정되어 선단이 자유단으로 되어 있고, 자유단이 단자 수용실에 돌출하는 캔틸레버형 지지 형상의 판스프링부와, 벽부 및 판스프링부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된, 기단보다 자유단측의 위치에 있어서, 상대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원호면 형상의 지점부를 구비한다.
지점부는 벽부에 설치되는 벽면측 지점부와 판스프링부에 설치되는 스프링측 지점부를 구비하고, 벽면측 지점부 및 스프링측 지점부는 서로 맞닿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스프링부가 설치된 벽부의 반대측에는 단자 수용실에 돌출하는 고정 접점부가 설치되고, 고정 접점부는 원호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암형 단자에 의하면, 판스프링부 및 벽부의 적어도 일방에 원호면 형상의 지점부가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수형 단자가 단자 수용실에 삽입되면, 판스프링부가 지점부를 중심으로 휨 변형하고, 이 휨 변형의 복원력에 의해 수형 단자와 판스프링부가 접촉한다. 그리고, 수형 단자에 진동(예를 들면, 차량의 진동)이 발생한 경우에 판스프링부도 진동하지만, 판스프링부가 원호면 형상의 지점부를 지점으로 함으로써, 진동 방향에 대해서는 삼차원 방향으로 추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형 단자와 판스프링부의 접속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예에 따른 암형 단자 및 수형 단자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암형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2의 B-B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2의 C-C 단면도이다.
도 5(a)는 변경예에 따른 암형 단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b)는 변경예에 따른 암형 단자의 판스프링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암형 단자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암형 단자(1)의 구성에 대해서, 도 2-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암형 단자(1)는 수형 단자(3)가 삽입되는 상자 형상의 단자 접속부(5)와, 단자 접속부(5)의 후측에 설치되어 전선(도시하지 않음)이 고정되는 전선 고정부(7)를 구비한다.
단자 접속부(5)는 상대측의 수형 단자(3)가 삽입되는 단자 수용실(5A)을 형성하는 벽부(10)와, 수형 단자(3)와 접촉하는 탄성의 판스프링부(20)와, 판스프링부(20)와 대향하여 설치되어 수형 단자(3)를 지지하는 고정 접점부(30)를 구비한다.
벽부(10)는 바닥벽(11)과, 바닥벽(11)의 양측에 이어지는 제1 측벽(12) 및 제2 측벽(13)과, 제1 측벽(12)에 이어져 바닥벽(11)과 대향하는 상벽(14)을 구비한다.
바닥벽(11)은 상벽(14)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바닥벽(11)에는 고정 접점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상벽(14)에는 판스프링부(20)의 스프링측 지점부(22)와 맞닿는 벽면측 지점부(15)가 설치되어 있다.
벽면측 지점부(15)는 판스프링부(20)를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벽면측 지점부(15)는 암형 단자(1)의 길이 방향(LD)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원호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암형 단자(1)의 폭 방향(WD)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원호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암형 단자(1)에서는, 벽면측 지점부(15)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판스프링부(20)는 상벽(14)측에 설치되어 있다. 판스프링부(20)는 상벽(14)에 기단(21A)이 고정되어, 선단이 자유단(21B)으로 되어 있다. 자유단(21B)은 단자 수용실(5A)에 돌출하는 캔틸레버형 지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판스프링부(20)에는 기단(21A)보다 자유단(21B)측의 위치에 있어서, 상벽(14)을 향하여 돌출하는 스프링측 지점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측 지점부(22)는 벽면측 지점부(15)에 대향한 위치에 설치되고, 벽면측 지점부(15)와 맞닿아 있다. 스프링측 지점부(22)는 암형 단자(1)의 길이 방향(LD)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원호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암형 단자(1)의 폭 방향(WD)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원호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암형 단자(1)에서는, 스프링측 지점부(22)는 벽면측 지점부(15)와 마찬가지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접점부(30)는 판스프링부(20)가 설치된 상벽(14)의 반대측의 면인 바닥벽(11)에 설치되고, 단자 수용실(5A)에 돌출하고 있다. 고정 접점부(30)는 암형 단자(1)의 폭 방향(WD)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원호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암형 단자(1)와 수형 단자(3)의 접속에 대해서, 도 3, 4를 참조하면서 간단히 설명한다.
암형 단자(1)의 단자 수용실(5A) 내로 수형 단자(3)가 삽입되면, 판스프링부(20)가 스프링측 지점부(22)를 중심으로 휨 변형하고, 이 휨 변형의 복원력에 의해 수형 단자(3)가 판스프링부(20)와 접촉한다. 이 때, 수형 단자(3)는 판스프링부(20)와 고정 접점부(30) 사이에 끼여서 고정되고, 스프링측 지점부(22)는 벽면측 지점부(15)와 맞닿아 있다.
그리고, 수형 단자(3)에 진동(예를 들면, 차량의 진동)이 발생한 경우, 판스프링부(20)도 진동하지만, 판스프링부(20)가 원호면 형상의 스프링측 지점부(22)를 지점으로 함으로써, 진동 방향에 대해서는 삼차원 방향으로 추종할 수 있다. 즉, 판스프링부(20)는 암형 단자(1)의 상하 방향(UD)이나 폭 방향(WD), 경사 방향(도시하지 않음) 등의 복수 방향(삼차원 방향)으로 추종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접점부(30)가 원호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수형 단자(3)의 움직임이 매끄럽게 되고, 수형 단자(3)와 판스프링부(20)의 맞닿는 하중이 균등해지기 쉽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른 암형 단자(1)에서는, 상벽(14)에는 원호면 형상의 벽면측 지점부(15)가 설치되고, 판스프링부(20)에는 원호면 형상의 스프링측 지점부(22)가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수형 단자(3)에 진동(예를 들면, 차량의 진동)이 발생한 경우에 판스프링부(20)도 진동하지만, 판스프링부(20)가 원호면 형상의 스프링측 지점부(22)를 지점으로 함으로써, 진동 방향에 대해서는 삼차원 방향으로 추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형 단자(3)와 판스프링부(20)의 접속 신뢰성이 향상된다.
실시형태에 따른 암형 단자(1)에서는, 벽면측 지점부(15) 및 스프링측 지점부(22)가 서로 맞닿음으로써, 수형 단자(3)의 움직임에 대하여 큰 범위에서 판스프링부(20)가 추종하기 쉬워진다.
실시형태에 따른 암형 단자(1)에서는, 고정 접점부(30)가 원호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수형 단자(3)의 움직임에 대하여 고정 접점부(30)도 삼차원 방향으로 추종할 수 있어, 수형 단자(3)와 판스프링부(20)의 접속 신뢰성이 보다 향상된다.
다음에, 실시형태에 따른 암형 단자(1)의 변경예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변경예에 따른 암형 단자에 있어서, 실시형태에 따른 암형 단자(1)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이한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변경예에 따른 암형 단자에서는, 실시형태에 따른 암형 단자(1)와 비교하여, 스프링측 지점부(22A)의 형상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측 지점부(22A)는 암형 단자(1)의 폭 방향(WD)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변경예에 따른 암형 단자에서는, 실시형태에 따른 암형 단자(1)와 마찬가지로, 판스프링부(20)의 스프링측 지점부(22A)는 길이 방향(LD)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원호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변경예에 따른 암형 단자에서도, 실시형태에 따른 암형 단자(1)와 마찬가지로, 수형 단자(3)의 복수 방향의 움직임에 대하여 판스프링부(20)가 용이하게 추종하여, 수형 단자(3)와 판스프링부(20)의 접속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상, 실시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확하게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암형 단자(1)에는 벽면측 지점부(15) 및 스프링측 지점부(22)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일방이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 판스프링부(20)의 자유단(21B)은 기단(21A)보다 수형 단자(3)가 삽입되는 선단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단(21A)보다 수형 단자(3)가 삽입되는 후단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판스프링부(20)는 상벽(14)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벽(11), 제1 측벽(12), 또는 제2 측벽(13)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고정 접점부(30)는 반드시 바닥벽(11)에 설치될 필요는 없고, 판스프링부(20)가 설치된 면과 대향하는 면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 고정 접점부(30)는 원호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지 않은 다양한 실시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서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따른 발명특정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암형 단자에 의하면, 암형 단자에 설치된 판스프링부가 상대측의 수형 단자의 움직임에 대하여 용이하게 추종하여, 판스프링부와 수형 단자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암형 단자로서,
    상대측의 수형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수용실을 형성하는 벽부와,
    상기 벽부에 기단이 고정되어 선단이 자유단으로 되어 있고, 상기 자유단이 상기 단자 수용실에 돌출하는 캔틸레버형 지지 형상의 판스프링부와,
    상기 벽부 및 상기 판스프링부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된, 상기 기단보다 자유단측의 위치에 있어서, 상대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원호면 형상의 지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부는 상기 벽부에 설치되는 벽면측 지점부와, 상기 판스프링부에 설치되는 스프링측 지점부를 구비하고,
    상기 벽면측 지점부 및 상기 스프링측 지점부는 서로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단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부가 설치된 상기 벽부의 반대측에는 상기 단자 수용실에 돌출하는 고정 접점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접점부는 원호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단자.
KR20157007613A 2012-09-03 2013-08-09 암형 단자 KR201500462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93137 2012-09-03
JP2012193137A JP6124537B2 (ja) 2012-09-03 2012-09-03 メス端子
PCT/JP2013/071667 WO2014034419A1 (ja) 2012-09-03 2013-08-09 メス端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288A true KR20150046288A (ko) 2015-04-29

Family

ID=5018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7613A KR20150046288A (ko) 2012-09-03 2013-08-09 암형 단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171546A1 (ko)
EP (1) EP2894723A1 (ko)
JP (1) JP6124537B2 (ko)
KR (1) KR20150046288A (ko)
CN (1) CN104604037A (ko)
WO (1) WO20140344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1635A1 (de) * 2015-01-30 2016-08-04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element und Bestückungsanordnung mit selbigem
JP6154430B2 (ja) * 2015-06-02 2017-06-28 矢崎総業株式会社 雌端子金具及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
JP6706549B2 (ja) * 2016-06-16 2020-06-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との接触に用いる端子、この端子を用いた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FR3055747B1 (fr) * 2016-09-06 2021-11-19 Delphi Int Operations Luxembourg Sarl Cage de contact electrique femelle
CN107919553B (zh) * 2016-10-11 2024-02-2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端子
JP6760177B2 (ja) * 2017-03-30 2020-09-2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雌端子
JP6801563B2 (ja) * 2017-04-13 2020-12-1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雌端子
JP7152993B2 (ja) * 2019-07-18 2022-10-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および端子付き電線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7382A (en) * 1992-06-05 1993-06-08 Interlock Corporation Electric receptacle with shape memory spring member
US5427552A (en) * 1993-11-22 1995-06-27 Chrysler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5658174A (en) * 1995-12-01 1997-08-19 Molex Incorporated Female electrical terminal
FR2749440B1 (fr) * 1996-06-03 1998-10-30 Framatome Connectors Int Borne de contact electrique femelle de type a cage renforcee
DE69702142T2 (de) * 1996-10-17 2001-02-01 Whitaker Corp Elektrischer verbinder mit einem gehäuse und einem elektrischen kontaktelement
JP2002063961A (ja) * 2000-06-07 2002-02-28 Yazaki Corp 雌端子、及び、雌端子と雄端子との接続構造
US6293833B1 (en) * 2001-01-05 2001-09-25 Yazaki North America Low insertion force, high contact force terminal spring
JP2003077569A (ja) * 2001-09-03 2003-03-14 Sumitomo Wiring Syst Ltd 雌側端子金具
JP2003331968A (ja) * 2002-05-13 2003-11-21 Sumitomo Wiring Syst Ltd 雌側端子金具
JP4514645B2 (ja) * 2004-07-12 2010-07-2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雌型端子
JP4482823B2 (ja) * 2005-12-26 2010-06-16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US7530859B2 (en) * 2007-05-08 2009-05-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JP4858293B2 (ja) * 2007-05-08 2012-01-18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DE102007049055B3 (de) * 2007-10-11 2009-03-26 Tyco Electronics Amp Gmbh Vibrationsdämpfendes Kontaktelement
JP2009176617A (ja) * 2008-01-25 2009-08-06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および端子の接続構造
JP2010015871A (ja) 2008-07-04 2010-01-21 Yazaki Corp コネクタ及びその接続構造
JP5285985B2 (ja) * 2008-07-17 2013-09-11 矢崎総業株式会社 雌型端子金具
US8323061B2 (en) * 2009-01-20 2012-12-04 Molex Incorporated Miniature receptacle terminals
CN101859951A (zh) * 2010-03-10 2010-10-13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电连接的联接器或插座结构
JP5723695B2 (ja) * 2011-06-21 2015-05-27 矢崎総業株式会社 雌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24537B2 (ja) 2017-05-10
US20150171546A1 (en) 2015-06-18
WO2014034419A1 (ja) 2014-03-06
JP2014049379A (ja) 2014-03-17
EP2894723A1 (en) 2015-07-15
CN104604037A (zh)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6288A (ko) 암형 단자
JP6352553B2 (ja) レセプタクルコンタクト
JP4374074B1 (ja)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5422776B1 (ja) コネクタ
US8540534B2 (en) Connector
JP5765462B1 (ja) 電気コネクタ
JP6058355B2 (ja) コネクタ
JP5498733B2 (ja) コネクタ
US8317529B2 (en)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JP5956071B2 (ja) 接続端子
JP6084133B2 (ja) コネクタ
EP2733792A2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JP2007324029A (ja)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EP2733793A2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JP5781991B2 (ja) コネクタ
JP7297622B2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2012099276A (ja) 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US9022817B2 (en) Connector terminal including limiter extending along first and second spring terminals
JP5506022B2 (ja) 雌型端子
JP2013214438A (ja) コネクタ及び電気接続装置
JP7435362B2 (ja) 端子金具および連鎖端子
JP7407551B2 (ja) 端子及びコネクタ
KR101925219B1 (ko) 전기 단자
JP2023008119A (ja) コネクタ端子及びコネクタ
JP2016207251A (ja) 雌端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