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059A - 기판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기판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059A
KR20150042059A KR20130120796A KR20130120796A KR20150042059A KR 20150042059 A KR20150042059 A KR 20150042059A KR 20130120796 A KR20130120796 A KR 20130120796A KR 20130120796 A KR20130120796 A KR 20130120796A KR 20150042059 A KR20150042059 A KR 20150042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air
suction
present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0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0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2059A/ko
Publication of KR20150042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6Methods for cleaning the liquid crystal cells, or components thereof, during manufacture: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라미네이션 장치로 기판을 이송하는 이송장치의 상부 및 하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기판의 이물을 부유시키는 공기분사부, 상기 공기분사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공기분사부에서 분사된 공기에 의하여 부유된 이물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세정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기판 세정장치{APPARATUS FOR CLEANING SUBSTRATE}
본 발명은 기판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제품의 출시 경향을 보면 기판의 층수는 높이고, 두께는 최소화되고 있다. 특히, FCBGA(Flip Chip Ball Grade Array)의 경우, 조립업체의 요구에 따라 기판의 소형화 또는 박형화가 주를 이루고 있다.
SAP(Semi Additive Process), MSAP(Modified Semi Additive Process)공법에 있어서 리스트(Risk) 공정인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에서 발생되는 이물 불량을 감고하기 위하여 세정 구간을 설치하게 된다.
종래에는 진공 라미네이터(Vacuum Laminator) 내의 이물 제거를 위하여 라미네이터 설비내 브러쉬(brush)를 설치하여 이물을 제거하고 있으나, 일부 제거가 안되거나 압착 후 이물이 제품에 전이되어 이물에 의한 기판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0071316호(2003.09.03 공개, 액정표시소자 기판 로딩시 이물제거방법)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판의 상하부에 한 쌍으로 위치하여 기판의 상하부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는 기판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미네이션 장치로 기판을 이송하는 이송장치의 상부 및 하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기판의 이물을 부유시키는 공기분사부, 상기 공기분사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공기분사부에서 분사된 공기에 의하여 부유된 이물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세정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공기분사부 및 상기 흡입부는 상기 기판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세정장치.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분사부 및 상기 흡입부가 장착되는 한 쌍의 회전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분사부 및 상기 흡입부는 상기 회전롤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는 1 개의 상기 공기분사부의 둘레를 따라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판 세정장치는 기판의 상하부에 한 쌍으로 위치하여 기판의 상하부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세정장치 및 세정 후 라미네이션을 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세정장치의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세정장치의 부분 상세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세정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세정장치 및 세정 후 라미네이션을 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세정장치의 전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세정장치의 부분 상세도이다.
본 발명은 기판(S)의 라미네이션을 위하여 진공 라미네이션 장치(L)로 이송되기 전에 기판(S)의 이물(E)을 제거하기 위한 기판 세정장치(1000)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분사부(100) 및 흡입부(200)를 포함한다.
공기분사부(100)는 이송장치(C)에 의하여 기판(S)이 진공 라미네이션 장치(L)로 이송되기 전에, 기판(S)이 놓이게 되는 이송장치(C)의 상부 및 하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기판(S)에 공기를 분사하여 기판(S)으로부터 이물(E)을 부유시키는 것이다. 이때 공기분사부(100)는 기판(S)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공기를 분사하여 공기의 분사에 의하여 기판(S)에 부착된 이물(E)이 기판(S)으로부터 보다 잘 제거될 수 있다.
공기분사부(100)와 마찬가지로 기판(S) 이송장치(C)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흡입부(200)는 공기분사부(100)에 인접하여, 공기분사부(100)에서 분사된 공기에 의하여 부유된 이물(E)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흡입부(200)는 압력을 낮게 유지하여 진공분위기를 형성함으로써 기판(S)에서 이탈된 이물(E)을 흡입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세정장치(1000)는 공기분사부(100) 및 흡입부(200)는 기판(S)의 상하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기판(S)의 상부 및 하부를 동시에 세정함으로써, 라미네이션 장치(L)에서 라미네이션 공정 진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이물(E)에 의한 불량을 최소화하고, 세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S)의 상하부에 배치되는 공기분사부(100) 및 흡입부(200)는 기판(S)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판(S)의 상부에만 이러한 세정장치가 구비되는 경우, 기판(S)의 하부의 이물(E)을 제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송장치(C)와 맞닿는 기판(S)의 면에는 이송장치(C)로부터의 이물(E)이 전이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세정장치(1000)는 기판(S)의 상부 및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기판(S)의 상면 및 하면에 부착된 이물(E)을 제거함으로써, 이물(E)에 의한 기판(S) 불량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분사부(100) 및 흡입부(200)는 회전롤(300)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롤(300)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이송장치(C)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롤(300)은 기판(S)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송방향과 반대반향으로 기판(S)에 공기를 분사시킬 수 있다.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기판(S)에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기판(S)에 부착된 이물(E)을 보다 쉽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회전롤(300)의 회전축은 기판(S)의 이송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어 기판(S)에 안정되게 공기를 공급하고, 부유된 이물(E)을 흡입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분사부(100) 및 흡입부(200)는 회전롤(300)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분사부(100) 및 흡입부(200)가 회전롤(300)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됨으로써, 연속적 회전에 의하여 기판(S)의 이물(E)을 제거함과 동시에, 회전없이 흡입부(200)가 이물(E)을 흡입시 흡입부(200)에 걸리는 부하를 줄여줄 수 있어, 기판(S)의 이물(E) 제거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즉, 회전롤(300)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흡입부(200)는 일부의 흡입부(200)가 이물(E)을 흡입하고 회전하며, 이웃하는 흡입부(200)가 차례로 이물(E)을 흡입하여 흡입부(200)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하고, 원활하게 기판(S)의 이물(E)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세정장치(1000)는 흡입부(200)가 1개의 공기분사부(100)의 둘레를 따라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2 개의 흡입부(200)가 한 개의 공기분사부(100)에 대칭으로 형성된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더 많은 흡입부(200)가 형성되면 더 안정적으로 부유된 이물(E)을 더 많이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E: 이물
S: 기판
C: 이송장치
L: 라미네이션 장치
100: 공기분사부
200: 흡입부
300: 회전롤
1000: 기판 세정장치

Claims (5)

  1. 라미네이션 장치로 기판을 이송하는 이송장치의 상부 및 하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기판의 이물을 부유시키는 공기분사부;
    상기 공기분사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공기분사부에서 분사된 공기에 의하여 부유된 이물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세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부 및 상기 흡입부는 상기 기판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세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부 및 상기 흡입부가 장착되는 한 쌍의 회전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세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부 및 상기 흡입부는 상기 회전롤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세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1 개의 상기 공기분사부의 둘레를 따라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세정장치.
KR20130120796A 2013-10-10 2013-10-10 기판 세정장치 KR20150042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0796A KR20150042059A (ko) 2013-10-10 2013-10-10 기판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0796A KR20150042059A (ko) 2013-10-10 2013-10-10 기판 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059A true KR20150042059A (ko) 2015-04-20

Family

ID=5303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0796A KR20150042059A (ko) 2013-10-10 2013-10-10 기판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20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4461B (zh) 玻璃板搬運裝置及其搬運方法
TWI433801B (zh) Conveying device and bead processing device
TWI382882B (zh) 面板清洗機器及方法
TWI680493B (zh) 半導體封裝件處理裝置
TWI505393B (zh) Substrate processing device
JP4964936B2 (ja) 洗浄装置
TWI595974B (zh) A jet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peripheral portion of a substrate, and a jet processing method using the apparatus
KR101077319B1 (ko) 도포 장치
KR20170001962U (ko) 흡착식 롤러코팅장치
KR20190013479A (ko) 스크라이브 장치
JP2013082055A (ja) ガラス板研磨装置の監視方法及び監視システム
JP2012232269A (ja) 基板浮上型搬送機構用スリットコート式塗布装置
JP6060140B2 (ja) 乾式指紋洗浄装置
KR20150042059A (ko) 기판 세정장치
JP5979456B2 (ja) ガラス板の搬送装置及びその搬送方法
KR20120007852U (ko) 그라스 패널 제진장치
TW202226330A (zh) 電子裝置積層體之透明基材之洗淨台、洗淨裝置及洗淨方法
KR102073764B1 (ko) 롤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롤투롤 시스템
KR20110097419A (ko)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KR20110105649A (ko) 그라스 패널 제진장치
KR20190013498A (ko) 분진 비산 방지 장치 그리고 이 분진 비산 방지 장치를 구비한 기판 가공 장치
JP6853520B2 (ja) 浮上搬送装置
KR20080061740A (ko) 반송 롤러 및 이를 구비한 반송 장치
CN113412535B (zh) 悬浮输送装置
KR101075483B1 (ko) 기판 세정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