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709A - 쇼트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쇼트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709A
KR20150039709A KR20147033165A KR20147033165A KR20150039709A KR 20150039709 A KR20150039709 A KR 20150039709A KR 20147033165 A KR20147033165 A KR 20147033165A KR 20147033165 A KR20147033165 A KR 20147033165A KR 20150039709 A KR20150039709 A KR 20150039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rojection
cabinet
opening
projectio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33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8976B1 (ko
Inventor
쇼오이치 야마모토
료오 다테마츠
다케시 스기우라
교오지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9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투사재가 투사실 외부에 흘러 넘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쇼트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쇼트 처리 장치는, 투사실 내에서 워크에 투사재를 투사하여 표면 가공을 실시하는 쇼트 처리 장치이며, 내부에 투사실이 형성되어 있는 캐비넷과, 캐비넷에 설치된 워크 출입용의 개구부와, 캐비넷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고, 도어의 내측에, 투사재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투사재 부착 방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쇼트 처리 장치 {SHOT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쇼트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투사실 내에서 워크에 투사재가 투사되는 쇼트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쇼트 처리 장치로서, 캐비넷 내에 설치된 투사실[연소실(硏掃室) 내에서, 복수의 워크를 교반하면서, 워크에 투사재를 투사하여 표면 가공을 실시하는 쇼트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그리고, 투사실에는, 워크 출입용의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에는, 개구를 폐쇄하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79120호 공보
이와 같은 구성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에서는, 투사실 내에서 워크의 표면 가공이 종료되면, 투사실에 설치된 도어를 개방하여 워크 출입용의 개구로부터 처리가 완료된 워크를 취출하고 있지만,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 도어의 내측에 부착 또는 퇴적되어 있었던 투사재가, 연소실의 외부에 흘러 넘쳐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고려하여, 투사재가 투사실 외부에 흘러 넘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쇼트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사실 내에서 워크에 투사재를 투사하여 표면 가공을 실시하는 쇼트 처리 장치이며,
내부에 상기 투사실이 형성되어 있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에 설치된 워크 출입용의 개구부와,
상기 캐비넷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의 내측에, 상기 투사재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투사재 부착 방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캐비넷의 내부에 투사실이 설치되고, 투사실은 개구부에 의해 개방되어 있다. 또한, 캐비넷에는, 도어가 설치되고, 도어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어가 폐쇄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개구부가 도어에 의해 폐색되고, 도어가 개방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개구부가 개방된다.
여기서, 도어의 내측에는, 투사재 부착 방지 기구가 설치되고, 투사실 내에 있어서의 쇼트 처리 시, 도어 방향으로 비산한 투사재가, 도어의 내측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도어의 내측(투사실측)면의 돌출 부분에 투사재 부착 방지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이 돌출 부분에 투사재가 저류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 투사재가 투사실의 외부에 흘러 넘치는 것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는, 내측 라이너와, 상기 내측 라이너를 상기 도어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투사재 부착 방지 기구는, 상기 고정 부재의 상단부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어의 내측면에 내측 라이너가 설치되고, 이 내측 라이너는 고정 부재에 의해 도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부재의 상단부면에는, 투사재 부착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측 라이너를 도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의 상단부면에 투사재가 저류되는 것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고정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배치된 장척의 판 형상 부재이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고정 부재의 폭 방향 일단부측이, 낮아지도록 배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고정 부재가, 장척의 판 형상 부재이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 부재에 의해, 내측 라이너가 도어에 고정되기 때문에, 내측 라이너의 말림이 억제된다. 따라서, 내측 라이너의 말림을 억제하면서, 고정 부재의 상단부면에 투사재가 저류되는 것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도어의 폭 방향 중앙측이, 낮아지도록 배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경사면은, 도어의 폭 방향 중앙측이 낮아지도록 배향되어 있으므로, 도어의 내측면에 도달한 투사재를, 경사면에 의해 투사실의 폭 방향 중앙에 모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투사실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쇼트 처리 중, 상기 투사실에 수용된 워크를 전후 이동하는 교반 벨트 상에 배치함으로써 교반하는 교반 기구이며, 상기 교반 벨트가 L자형의 궤도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향되고, 상기 L자형의 궤도는, 수평 부분의 선단이 상기 도어의 내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교반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상기 교반 벨트 상에 배치된 상기 워크가 상기 교반 벨트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도어측에의 충돌을 억제하는 반환부가 설치되고,
상기 반환부와 상기 교반 벨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워크가 배치되는 교반 벨트를 갖는 교반 기구가, 투사실 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교반 벨트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워크가 교반되고, 이 상태에서 투사재를 워크를 향해 투사함으로써 워크에 표면 가공이 실시된다. 또한, 표면 가공이 종료된 후에, 교반 벨트가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워크가 개구부측으로 이동되고, 개구부로부터 워크가 취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된 반환부에 의해, 교반 벨트에 의해 교반되어 있는 워크의 도어측에의 충돌이 규제된다.
또한, 반환부와 교반 벨트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환 라이너와 교반 벨트 사이에, 투사재가 저류되는 것이 억제되어, 투사재가 투사실로부터 흘러 넘치는 것이 가일층 억제된다.
즉, 반환부가 교반 벨트에 접촉되어 있으면, 이 접촉 부분에 투사재가 저류되기 쉬워져, 도어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될 때에, 이 접촉 부분에 저류된 투사재가 반환부에 의해 투사실 외부로 지향(指向)되고 흘러 넘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구성과 같이, 반환부와 교반 벨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면, 반환부와 교반 벨트 사이에 투사재가 저류되는 것이 억제되어, 투사재의 투사실로부터의 흘러 넘침을 가일층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교반 벨트가, 무단 벨트이고,
상기 궤도가 무한 궤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반환부는, 상기 도어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반환부와 도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환부와 도어 사이에 투사재가 저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투사실로부터의 투사재의 흘러 넘침을 가일층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캐비넷의 개구부의 외주에,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내측 라이너와 접촉하는 제1 시일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시트 부재의 외측에,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캐비넷과 상기 도어 사이를 시일하는 제2 시일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어가 개구를 폐쇄하였을 때, 캐비넷과 도어 사이가 제1 시일 부재에 의해 시일된다.
워크에 투사재를 투사할 때에는, 투사실 내에 투사된 투사재가 제1 시일 부재 및 내측 라이너에 부딪히기 때문에, 제1 시일 부재 및 내측 라이너를 비교적 경도가 높은 재료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캐비넷과 도어 사이의 시일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시일 부재의 외측에는, 도어가 개구를 폐쇄하였을 때 캐비넷과 도어 사이를 시일하는 제2 시일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시일 부재와 내측 라이너 사이로부터 투사재가 튀어나온 경우에도, 제2 시일 부재에 의해 투사재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구가 개방된 개방 위치로 이동될 때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도어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된 후에 일단 정지되고, 그 후, 상기 도어가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어가 일단 정지하였을 때에, 도어의 이면에 부착 또는 퇴적된 투사재가 투사실 내로 낙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반 벨트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도어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될 때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교반 벨트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된 후에 상기 도어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되고, 상기 도어가 일단 정지된 후에 상기 도어가 다시 폐쇄 위치로 이동되고, 그 후, 상기 도어가 개방 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워크로부터 투사재를 충분히 제거한 후, 도어를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어가, 일단, 폐쇄 위치로 복귀됨으로써, 도어에 부착 등이 되어 있는 투사재를 투사실로 낙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개구부의 하부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도어의 하방의 위치에 상기 캐비넷으로부터 돌출된 수용판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가 폐쇄 위치로부터 이동되어 일단 정지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수용판이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어가 일단 정지한 위치에 있어서, 도어의 바로 아래에 수용판이 배치된다. 이로 인해, 도어가 일단 정지한 위치에 있어서, 수용판을 개재하여 도어에 부착 등이 되어 있는 투사재를 투사실 내로 낙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어가 개방될 때에, 도어에 부착 등이 되어 있는 투사재가 투사실로부터 흘러 넘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도어와 개구부 사이에 끼움 지지되고, 상기 도어의 개방 시에 낙하하는 투사재를, 상기 투사실의 하방으로 안내하는 투사재 안내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어의 개방 시에 낙하하는 투사재가, 투사실 내의 워크에 부착되어, 쇼트 처리 장치 외부로 반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투사재 안내 기구가, 상기 반환부에 설치된 정류판과, 상기 개구부의 하단부에 설치된 수용판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투사재가 투사실 외부에 흘러 넘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쇼트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에 사용되는 도어가 개방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에 사용되는 에이프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에 사용되는 도어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도어 유닛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도어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10-10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화살표 11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의 (A)는 도 2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에 있어서 도어가 폐쇄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B)는 (A)에 도시되는 도어가 반개방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C)는 도어가 (B)의 상태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도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D)는 도어가 (C)의 상태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도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E)는 도어가 개방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도어가 폐쇄 위치에 배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며, (B)는 (A)의 상태로부터 도어가 반개방 위치로 이동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C)는 (B)의 상태로부터 도어가 폐쇄 위치로 이동된 상태의 측면도이며, (D)는 (C)의 상태로부터 도어가 개방 위치로 이동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쇼트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구성에 있어서의 투사재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쇼트 처리 장치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쇼트 처리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인 쇼트 블라스트 장치(10)를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적절히, 나타나는 화살표 FR은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의 전방을 나타내고, 화살표 RH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의 우측을 나타내고, 화살표 UP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의 상방을 나타낸다.
도 2∼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트 블라스트 장치(10)는 캐비넷(12)과, 투사 유닛(46)과, 제어부(86)를 구비하고 있다.
캐비넷(12)은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의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캐비넷(12)은 대략 상자형 형상을 갖고, 캐비넷(12)의 전방벽(14)의 상부는, 하방측이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도 12의 (C)∼(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12) 내에는, 투사실(16)이 형성되어 있다. 투사실(16)은 캐비넷(12)의 전방벽(14)에 형성된 개구부(18)를 통하여 외부에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방벽(14)에는 도어 유닛(52)이 설치되고, 이 도어 유닛(5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54)가 개구부(18)를 개폐 가능하게 폐쇄하고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캐비넷(12)의 전방벽(14)에는, 도어(54)의 개폐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 레일(20)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20)은 전방벽(14)의 폭 방향 양측부에, 캐비넷(12)의 전방벽(14)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가이드 레일(20)은 단면 U자 형상을 갖고, U자 형상의 개구 단부가, 전방벽(14)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배향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캐비넷(12)의 개구부(18)의 내주에는, 강판으로 형성된 시일 라이너(22)(제1 시일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시일 라이너(22)는 개구부(18)의 하변을 제외한 각 변의 내측에, 캐비넷(12)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시일 라이너(22)의 외측 위치에는, 스펀지 등의 탄성 재료로 형성된 패킹(24)(제2 시일 부재)이 설치되어 있다. 이 패킹(24)은 대략 Z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고, 시일 라이너(22)의 외측 위치에서, 캐비넷(12)의 전방벽(14)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12)의 전방벽(14)에는, 수용판(26)이 설치되어 있다. 수용판(26)은 대략 V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고, 개구부(18)의 하단부를 구성하도록 개구부(18)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용판(26)의 기단부측 부분은, 전방벽(14)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개구부(18)에 설치된 도어(54)가 도 8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폐쇄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도어(54)의 하단부 부분을 수납하고, 이것과 접촉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12)의 투사실(16) 내에는, 에이프런(30)(교반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에이프런(30)은 구동 롤러(32)와, 종동 롤러(36, 38)와, 한 쌍의 헤드 라이너(40)와, 에이프런 벨트(42)(교반 벨트)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롤러(32)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갖고, 축이 캐비넷(12)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캐비넷(12)의 양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이 구동 롤러(32)의 일단부는, 캐비넷(12)에 설치된 에이프런 구동 모터(34)(도 2 참조)에 연결되어 있고, 에이프런 구동 모터(34)가 구동됨으로써, 구동 롤러(32)가 회전한다.
종동 롤러(36)는 구동 롤러(32)의 하방에 배치되고, 종동 롤러(38)는 종동 롤러(36)의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개구부(18)측(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종동 롤러(36, 38)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갖고, 축을 구동 롤러(32)의 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캐비넷(12)의 양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구동 롤러(32)의 축과 종동 로드(36)의 축 사이의 거리와, 종동 롤러(36)의 축과 종동 로드(38)의 축 사이의 거리는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헤드 라이너(40)는 외경이 구동 롤러(32)와 종동 롤러(36)의 사이의 거리와 거의 동등한 길이를 갖는 대략 원판 형상을 갖고, 캐비넷(12)의 측벽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헤드 라이너(40)는 구동 롤러(32)와 종동 롤러(38)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에이프런 벨트(42)는 무단 벨트이다. 이 에이프런 벨트(42)는 구동 롤러(32) 및 한 쌍의 종동 롤러(36, 38)에 권회되고, 또한 양측 테두리에 헤드 라이너(40)의 외주부가 접촉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략 L자형의 무한 궤도상을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에이프런 벨트(42)는 개구부(18)를 향하여 개방된 대략 L자 형상의 무한 궤도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에이프런 벨트(42)의 양측 테두리부가, 헤드 라이너(40)의 외주를 따라 원호 형상으로 하방을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이 에이프런 벨트(42)에 있어서의 하방을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수평 부분이 교반부(에이프런)(44)로 되어 있다. 종동 롤러(38)는 도어(34)의 내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교반부(44)의 선단도 도어(34)의 내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쇼트 처리 시에는, 교반부(44) 상에 워크가 배치되고, 에이프런 구동 모터(34)의 구동에 의해 에이프런 벨트(42)가 정회전 방향(도 6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되고, 워크가 교반부(44) 상에서 교반된다. 한편, 에이프런 구동 모터(34)의 구동에 의해 에이프런 벨트(42)가 역회전 방향(도 6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워크가 개구부(18)를 향해 반송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사 유닛(46)은 캐비넷(1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투사 유닛(46)은 원심식의 투사 유닛이며, 도시하지 않은 임펠러(도시 생략)가 회전함으로써, 강구 등의 투사재(쇼트)가 투사실 내의 워크를 향해 투사되고, 워크에 표면 가공이 실시된다.
또한, 투사 유닛(46)에 의해 투사실(16) 내에 투사된 투사재는, 투사실(16) 내에서 하방으로 낙하한다. 이 투사재는, 버켓 엘리베이터(48)에 의해 회수되고, 캐비넷(12)의 상부에 설치된 세퍼레이터(50)에 공급되어, 세퍼레이터(50)에 의해 불순물과 분리된다. 분리된 투사재는, 투사 유닛(46)에 다시, 공급된다.
이어서, 전술한 캐비넷(12)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어 유닛(52) 및 제어부(86)에 대해 설명한다. 도 7∼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유닛(52)은 도어(54)와, 연결 기구(58)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54)는 도 8 및 도 9에 실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는 위치(폐쇄 위치)에서, 캐비넷(12)의 개구부(18)를 폐쇄할 수 있도록, 캐비넷(12)의 전방벽(14)의 전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도어(54)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판체이며, 하방부가 캐비넷(1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어(54)의 하단부는, 하방측이 캐비넷(1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굴곡되고, 이 하단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폐쇄 위치에서, 캐비넷(12)의 수용판(26)의 상측에 수용된다.
또한, 굴곡한 하단부는, 도어(54)의 폐쇄 시에는, 하방측의 종동 롤러(38)의 하방에 위치한다.
또한, 도어(54)의 양측 단부의 하단부에는, 캠 팔로워(56)가 설치되어 있다. 캠 팔로워(56)는 도어(54)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에 의해 도어(5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캠 팔로워(56)는 캐비넷(12)의 가이드 레일(20) 내에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도어(54)의 하단부는,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쇼트 블라스트 장치(10)는 도어(54)를 캐비넷(12)에 대해 연결하는 연결 기구(58)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기구(58)는 한 쌍의 아암(60)을 구비하고, 아암(60)은 측면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을 갖고 있다. 아암(60)의 기단부는, 도어(54)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62)(도 7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캐비넷(12)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아암(60)의 선단부는, 도어(54)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64)(도 7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도어(54)에 연결되어 있다.
감속기가 구비된 모터인 도어 구동 모터(66)가 아암(60)의 기단부에 연결되고, 도어 구동 모터(66)(도 7 및 도 9 참조)의 구동에 의해, 아암(60)이 기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어(54)가 폐쇄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어 구동 모터(66)의 구동에 의해 아암(60)이 회전됨으로써, 도어(54)는 제2 축(64)이 아암(60)의 선단이 그리는 원호 형상의 궤도를 따라, 또한 하단부의 캠 팔로워(56)가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도 9에 도시되는 (2) 및 (3)의 위치를 거쳐 상방으로 이동하고, 개구부(18)가 완전히 개방되는 개방 위치[도 8의 (4) 및 도 9의 (4)]까지 이동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12)에는, 개방 위치용 센서(68) 및 폐쇄 위치용 센서(70)가 설치되고, 도어(54)가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아암(60)이 개방 위치용 센서(68) 또는 폐쇄 위치용 센서(70)를 압박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어(54)가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 이동된 것이, 개방 위치용 센서(68) 및 폐쇄 위치용 센서(70)에 의해 검출된다.
한편,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4)의 내측면[캐비넷(12)측의 면]에는, 내측 라이너(72)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라이너(72)는 비교적 경도가 높은 고무제의 대략 직사각형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후술하는 반개방 위치에 도어(54)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어(54)가 폐쇄 위치에 배치되면, 시일 라이너(22)의 선단이 내측 라이너(72)에 접촉되고, 패킹(24)이 내측 라이너(72)에 접촉되어, 캐비넷(12)과 도어(54) 사이가 시일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4)의 내측에는, 4매의 제1 고정판(74)(고정 부재)이 설치되어 있다. 제1 고정판(74)은 대략 장척의 직사각형 판 형상을 갖고, 판금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제1 고정판(74)은 내측 라이너(72)를 개재한 상태에서 볼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도어(54)에 설치되어 있다.
제1 고정판(74)은 대략 장척의 직사각형 판 형상체이며, 정면에서 볼 때 내측 라이너(72)의 폭 방향 양단부와, 그 내측 위치에 상하 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됨과 함께, 내측 라이너(72)의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고정판(74)에 의해 내측 라이너(72)가 도어(54)에 고정되고, 제1 고정판(74)은 내측 라이너(72)로부터 투사실(16)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고정판(74)의 상단부에는, 제1 경사면(78)[투사재 부착 방지 기구(7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경사면(78)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우측 단부가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제1 경사면(78)을 좌측 단부가 낮아지도록 경사진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어(54)의 하단부(54a)의 내측에는, 4매의 제2 고정판(80)(고정 부재)이 설치되어 있다. 제2 고정판(80)은 판금에 의해 제작되어, 내측 라이너(72)를 개재한 상태에서 볼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도어(54)에 체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고정판(80)에 의해서도 내측 라이너(72)가 도어(54)에 고정됨과 함께, 제2 고정판(80)이 내측 라이너(72)로부터 투사실(16)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2 고정판(80)은 대략 장척의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됨과 함께, 각 제1 고정판(74)의 하방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2 고정판(80)의 상단부에는, 제2 경사면(82)[투사재 부착 방지 기구(7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경사면(82)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우측 단부가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제2 경사면(82)을 좌측 단부가 낮아지도록 경사진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어(54)의 내측에는, 반환부를 구성하는 반환 라이너(84)가 설치되어 있다. 반환 라이너(84)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체이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방측이 도어(54)로부터 이격되는 배향이고, 도시하지 않은 브래킷 등을 통해 도어(5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환 라이너(84)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도어(54)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배치되고, 하단부가, 하방으로 굴곡되어, 에이프런 벨트(42)의 교반부(44)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교반부(44) 상에 배치된 워크가 에이프런(30)에 의해 교반될 때에는, 워크가 도어(54)에 충돌하는 것이, 반환 라이너(84)에 의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반환 라이너(84)의 하단부와 에이프런 벨트(42) 사이에는 간극(G1)이 형성되고, 반환 라이너(84)의 상단부와 도어(54)[내측 라이너(72)] 사이에는 간극(G2)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86)는 캐비넷(12)의 전방에 배치된 프레임 유닛(88)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86)에는, 에이프런 구동 모터(34), 도어 구동 모터(66), 개방 위치용 센서(68), 폐쇄 위치용 센서(70) 등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86)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구비한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쇼트 블라스트 처리 장치(10) 전체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86)에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에이프런 벨트(42)의 회전, 도어(54)의 개폐 등의 쇼트 블라스트 처리 장치(10)의 작동이 제어된다.
제어부(86)의 제어에 의해, 도어(54)는 이하에 기재한 바와 같이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어(54)가 폐쇄 위치[도 12의 (A)]로부터 개방 위치[도 12의 (E)]로 이동될 때에는, 도어(54)가 도 12의 (B)에 도시되는 위치(「반개방 위치」)에서, 일단 정지된다. 이 반개방 위치에서는, 도어(54)의 하단부가 수용판(26)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방에서 볼 때 도어(54)의 하단부와 수용판(26)이 상하 방향으로 겹친다. 그리고, 반개방 위치에서 도어(54)가 일단 정지된 후에, 반개방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도어(54)가 이동되어[도 12의 (C) 및 (D)], 도어(54)가 개방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쇼트 블라스트 처리 장치(10)의 동작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에서는, 도어(54)가 개방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워크가, 캐비넷(12)의 개구부(18)로부터 투사실(16) 내로 반입되고, 에이프런(30)의 교반부(44)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조작부가 조작됨으로써, 도어(54)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고, 개구부(18)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86)의 제어에 의해, 에이프런 구동 모터(34)가 구동되어, 에이프런 벨트(42)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에이프런(30)의 교반부(44) 상에 배치된 워크가 교반된다. 그리고, 투사 유닛(46)에 의해, 투사재가 워크를 향해 투사됨으로써, 워크에 표면 가공이 실시된다.
투사재가 워크를 향해 투사될 때에는, 투사재가, 투사실(16) 내에 비산한다. 그리고, 도어(54)는 하단부가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어(54)의 내측 라이너(72) 등에 부딪힌 투사재는, 투사실(16)의 하방으로 낙하한다. 또한, 도어(54)의 제1 고정판(74) 및 제2 고정판(80)의 상단부에 도달한 투사재는, 제1 고정판(74) 및 제2 고정판(80)의 상단부가 제1 경사면(78) 및 제2 경사면(82)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들 경사면에 의해 안내되어 낙하한다.
그리고, 워크의 표면 가공이 완료된 후에는, 에이프런 구동 모터(34)가 정지된다. 계속해서, 조작부가 조작됨으로써, 도어(54)가 폐쇄 위치로부터 반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고, 반개방 위치[도 12의 (B)]에서, 일단 정지된다. 도어(54)가 반개방 위치에서 일단 정지됨으로써, 도어(54)의 내측에 부착 등이 된 투사재가, 수용판(26) 또는 투사실(16) 내에서 하방으로 낙하한다. 계속해서, 도어(54)가 반개방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도 12의 (E)]로 이동한다.
도어(54)가 개방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어부(86)의 제어에 의해, 에이프런 구동 모터(34)가 구동되어 에이프런 벨트(42)가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 워크가 개구부(18)측으로 이동되고, 개구부(18)로부터 반출된다.
여기서, 도어(54)에는 내측 라이너(72)가 설치되고, 내측 라이너(72)는 제1 고정판(74) 및 제2 고정판(80)에 의해 도어(5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고정판(74)의 상단부에는, 제1 경사면(78)이 형성되어 있고, 제2 고정판(80)의 상단부에는, 제2 경사면(8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투사실(16) 내에서 비산된 투사재가 제1 경사면(78) 및 제2 경사면(82)에 도달되었을 때에는, 투사재가, 제1 경사면(78) 및 제2 경사면(82)을 따라 하방으로 유도되어 낙하된다. 이에 의해, 내측 라이너(72)로부터 투사실(16)측으로 돌출되어 제1 고정판(74) 및 제2 고정판(80)의 상단부에 투사재가 저류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도어(54)가 개방되어 캐비넷(12)의 개구부(18)가 개방되었을 때, 제1 고정판(74) 및 제2 고정판(80)의 상단부에 부착 또는 퇴적 등이 된 투사재가, 투사실(16)의 외부에 흘러 넘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제1 고정판(74) 및 제2 고정판(80)이 적어도, 내측 라이너(72)의 폭 방향 양단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내측 라이너(72)의 폭 방향 양단부가 제1 고정판(74) 및 제2 고정판(80)에 의해 도어(54)에 고정되기 때문에, 내측 라이너(72)의 말림을 억제하면서, 제1 고정판(74) 및 제2 고정판(80)에 투사재가 저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반환 라이너(84)와 에이프런 벨트(42) 사이에는, 간극(G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반환 라이너(84)와 에이프런 벨트(42) 사이에, 투사재가 저류되는 것이 억제되어, 투사재가 투사실(16)로부터 흘러 넘치는 것을 가일층 억제할 수 있다.
즉, 가령, 반환 라이너(84)가 에이프런 벨트(42)에 접촉되어 있으면, 이 접촉 부분에 투사재가 저류되기 쉬워진다. 그리고, 도어(54)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될 때에는, 이 접촉 부분에 저류된 투사재가 투사실(16) 외부로 흘러 넘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반환 라이너(84)와 에이프런 벨트(42) 사이에 간극(G1)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반환 라이너(84)와 에이프런 벨트(42) 사이에, 투사재가 저류되는 것이 억제되어, 투사재의 투사실(16)로부터의 흘러 넘침을 가일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반환 라이너(84)와 도어(54) 사이에 간극(G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환 라이너(84)와 도어(54) 사이에 투사재가 저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어(54)가 개방될 때의 투사재의 투사실(16)로부터의 흘러 넘침을 가일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어(54)가 폐쇄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는, 시일 라이너(22)가 내측 라이너(72)에 접촉되어, 캐비넷(12)과 도어(54) 사이가 시일되어 있다.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에서는, 워크에 투사재가 투사되었을 때에, 투사실(16) 내에 비산한 투사재가, 시일 라이너(22) 및 내측 라이너(72)에 부딪히기 때문에, 시일 라이너(22) 및 내측 라이너(72)를 비교적 경도가 높은 재료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시일 라이너(22)를 비교적 경도가 낮은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캐비넷(12)과 도어(54) 사이의 시일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시일 라이너(22)의 외측에는 패킹(24)이 설치되어 있고, 패킹(24)에 의해서도, 도어(54)와 캐비넷(12) 사이가 시일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시일 라이너(22)와 내측 라이너(72) 사이로부터 투사재가 가령 누출되어도, 패킹(24)에 의해 투사재의 투사실(16) 외부로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6)에 의해, 도어(54)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한 후에, 도어(54)가 반개방 위치에서 일단 정지되고, 그 후, 도어(54)가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된다. 이에 의해, 도어(54)가 일단 정지된 상태에서, 도어(54)에 잔존된 투사재를 투사실(16) 내로 낙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어(54)의 개폐 동작을 이용하여 투사재의 투사실(16)로부터의 흘러 넘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반개방 위치에서는, 도어(54)의 하단부가 수용판(26)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방에서 볼 때 도어(54)의 하단부와 수용판(26)이 상하 방향으로 겹친다. 즉, 반개방 위치에 있어서, 도어(54)의 바로 아래에 수용판(26)이 배치된다. 이로 인해, 반개방 위치에 있어서, 수용판(26)을 통해 도어(54)에 도달된 투사재를 투사실(16) 내로 낙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어(54)가 개방될 때에, 도어(54)에 도달된 투사재의 투사실(16)로부터의 반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100)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54)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될 때의 제어부(86)에 의한 제어의 방법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2 실시 형태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100)에서는, 도어(54)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되기 전에, 제어부(86)의 제어에 의해, 폐쇄 위치[도 13의 (A)]에 있어서, 에이프런 벨트(42)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에이프런 벨트(42)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된 후에, 도어(54)가 폐쇄 위치로부터 반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되고, 반개방 위치[도 13의 (B)]에서 일단 정지된다. 또한, 도어(54)는 반개방 위치에서 일단 정지한 후, 다시 폐쇄 위치[도 13의 (C)]로 이동되고, 또한, 개방 위치[도 13의 (D)]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100)도, 제1 실시 형태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10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54)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에이프런 벨트(42)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투사재가 투사실(16)에 투사되지 않는 상태에서, 워크가 에이프런(30)에 의해 교반된다. 이에 의해, 워크로부터 투사재를 충분히 제거한 후에, 도어(54)를 반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10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54)가 반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다시 복귀되기 때문에, 폐쇄 위치에 있어서 도어(54)에 잔존된 투사재를 투사실(16)로 낙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각 실시 형태의 쇼트 블라스트 처리 장치에서는, 복수개의 제1 고정판(74)과 제2 고정판(80)이 도어의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을, 정면에서 볼 때 상하 방향에 대해 도어(54)의 폭 방향 중앙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치해도 된다. 즉,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고정판 및 제2 고정판을 도어의 폭 방향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배치시킴과 함께, 정면에서 볼 때 대략 V자형으로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해도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제1 고정판 및 제2 고정판의 측면(상단부면)이 본 발명의 「경사면」으로서 기능하고, 제1 고정판 및 제2 고정판의 측면에 의해 투사재를 투사실측으로 낙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경사면(78) 및 제2 경사면(82)이 장치의 좌우(폭) 방향으로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을, 도어(54)측의 단부가 장치의 상방측에 위치하고, 투사실(16)측의 단부가 장치의 하방측에 위치하도록, 장치 전후 방향(즉, 도어로부터 장치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배치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86)의 제어에 의해, 도어(54)가 반개방 위치에서 일단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도어(54)를 반개방 위치에서 정지시키지 않고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쇼트 처리 중에 워크를 투사실측에 보유 지지하기 위해, 하단부측이 도어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배향된 직사각형의 판체로 구성된 반환 라이너(84)가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반환 라이너(84) 대신에,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단부측이 도어(54)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배향된 직사각형의 반환판(90)과, 반환판(90)의 도어측에 설치되고 하단부측이 도어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배향된 정류판(92)을 구비한 반환부(94)를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반환판(90)과, 정류판(92)은, 예를 들어 브래킷(96)에 의해, 도어(54)의 이면측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반환판(90)은 상단부(90a)가 도어(54)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브래킷(96)에 의해 도어(54)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또한, 단면 V자형의 수용판(26) 대신에,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판 형상 수용판(98)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판 형상 수용판(98)은 선단측 부분이, 단면 V자형의 수용판(26)의 선단측 부분보다 외측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어, 도어(54)와의 사이에, 간극이 없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쇼트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투사 작업 중에 도어와 캐비넷의 전방벽(14) 사이에 끼인 투사재가,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에 낙하한다.
상기 구성의 반환부(94)에서는, 반환판(90)의 상단부(90a)가 도어(54)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투사 작업 중에 도어(54)의 상부와 캐비넷의 전방벽(14) 사이에 끼어 있었던 투사재는, 도어(54)가 개방되어 낙하할 때, 도 15에 화살표로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반환판(90)의 상단부(90a)와 도어(54)의 사이로부터, 반환판(90)과 도어(54)의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고, 정류판(92)에 의해 도어(54)의 이면측에 편향되고, 또한, 도어(54)의 캐비넷측에 굴곡한 하단부의 이면 및 판 형상 수용판(98)에 의해, 교반부(에이프런)(44)의 하방으로 안내된다.
이 결과, 쇼트 처리 중에, 도어(54)와 캐비넷의 전방벽(14) 사이에 끼인 투사재가, 워크가 수용되어 있는 교반부(에이프런)(44) 내에 낙하하는 일이 없으므로, 도어(54)와 캐비넷의 전방벽(14) 사이에 끼인 투사재가 교반부(에이프런)(44) 내로 낙하하여, 교반부(에이프런)(44) 내의 워크에 부착되어, 쇼트 처리 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반환판(90)에 의해, 쇼트 처리 중의 워크의 도어(54)에의 충돌을 방지하면서, 도어 개방 시의 투사재의 배출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10 : 쇼트 블라스트 장치(쇼트 처리 장치)
12 : 캐비넷
16 : 투사실
18 : 개구부
22 : 시일 라이너(제1 시일 부재)
24 : 패킹(제2 시일 부재)
30 : 에이프런(교반 유닛)
42 : 에이프런 벨트(교반 벨트)
46 : 투사 유닛
54 : 도어
72 : 내측 라이너
74 : 제1 고정판(고정 부재)
76 : 가이드 기구
78 : 제1 경사면(경사면)
80 : 제2 고정판(고정 부재)
82 : 제2 경사면(경사면)
84 : 반환 라이너
86 : 제어부
100 : 쇼트 블라스트 장치
G1 : 간극
G2 : 간극

Claims (16)

  1. 투사실 내에서 워크에 투사재를 투사하여 표면 가공을 실시하는 쇼트 처리 장치이며,
    내부에 상기 투사실이 형성되어 있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에 설치된 워크 출입용의 개구부와,
    상기 캐비넷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의 내측에, 상기 투사재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투사재 부착 방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는, 내측 라이너와, 상기 내측 라이너를 상기 도어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투사재 부착 방지 기구는, 상기 고정 부재의 상단부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쇼트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배치된 장척의 판 형상 부재이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고정 부재의 폭 방향 일단부측이, 낮아지도록 배향되어 있는, 쇼트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도어의 폭 방향 중앙측이, 낮아지도록 배향되어 있는, 쇼트 처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실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쇼트 처리 중, 상기 투사실에 수용된 워크를 전후 이동하는 교반 벨트 상에 배치함으로써 교반하는 교반 기구이며, 상기 교반 벨트가 L자형의 궤도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향되고, 상기 L자형의 궤도는, 수평 부분의 선단이 상기 도어의 내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교반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상기 교반 벨트 상에 배치된 상기 워크가 상기 교반 벨트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도어측에의 충돌을 억제하는 반환부가 설치되고,
    상기 반환부와 상기 교반 벨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쇼트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벨트가, 무단 벨트이고,
    상기 궤도가 무한 궤도인, 쇼트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환부는, 상기 도어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쇼트 처리 장치.
  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개구부의 외주에,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내측 라이너와 접촉하는 제1 시일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시트 부재의 외측에,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캐비넷과 상기 도어 사이를 시일하는 제2 시일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쇼트 처리 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구가 개방된 개방 위치로 이동될 때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도어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된 후에 일단 정지되고, 그 후, 상기 도어가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되는, 쇼트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반 벨트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도어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될 때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교반 벨트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된 후에 상기 도어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되고, 상기 도어가 일단 정지된 후에 상기 도어가 다시 폐쇄 위치로 이동되고, 그 후, 상기 도어가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쇼트 처리 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하부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도어의 하방의 위치에 상기 캐비넷으로부터 돌출된 수용판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가 폐쇄 위치로부터 이동되어 일단 정지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수용판이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하는, 쇼트 처리 장치.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개구부 사이에 끼움 지지되고 상기 도어의 개방 시에 낙하하는 투사재를, 상기 투사실의 하방으로 안내하는 투사재 안내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쇼트 처리 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개구부 사이에 끼움 지지되고 상기 도어의 개방 시에 낙하하는 투사재를, 상기 투사실의 하방으로 안내하는 투사재 안내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쇼트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벨트가, 무단 벨트이며, 상기 궤도가 무한 궤도인, 쇼트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반환부는, 상기 도어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쇼트 처리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재 안내 기구가, 상기 반환부에 설치된 정류판과, 상기 개구부의 하단부에 설치된 수용판을 구비하고 있는, 쇼트 처리 장치.
KR1020147033165A 2012-08-06 2013-06-19 쇼트 처리 장치 KR102098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73714 2012-08-06
JPJP-P-2012-173714 2012-08-06
PCT/JP2013/066830 WO2014024572A1 (ja) 2012-08-06 2013-06-19 ショット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709A true KR20150039709A (ko) 2015-04-13
KR102098976B1 KR102098976B1 (ko) 2020-04-08

Family

ID=5006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165A KR102098976B1 (ko) 2012-08-06 2013-06-19 쇼트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81616B2 (ko)
JP (1) JP6099000B2 (ko)
KR (1) KR102098976B1 (ko)
CN (1) CN103796798B (ko)
BR (1) BR112014030271B1 (ko)
MX (1) MX352287B (ko)
WO (1) WO20140245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5569B1 (fr) * 2010-01-28 2012-01-20 Arkema France Dispositif constitue de futs connectes destine au transport de matieres dangereuses
KR20190013742A (ko) * 2016-06-02 2019-02-11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숏 처리 장치
CN111405964B (zh) * 2017-11-30 2022-07-15 新东工业株式会社 喷丸处理装置以及喷丸处理方法
CN109968211A (zh) * 2019-03-14 2019-07-05 宁波科鑫腐蚀控制工程有限公司 一种防飞砂效果好的钢管外抛丸室及防飞砂方法
TWI716286B (zh) * 2020-02-19 2021-01-11 鋐輝機械有限公司 噴砂機
JP7422047B2 (ja) 2020-10-20 2024-01-25 株式会社スギノマシン ウォータージェット加工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6636A (ja) * 1992-10-20 1994-05-10 Sony Corp パウダービーム加工機
JPH0680549U (ja) * 1993-04-23 1994-11-15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サンドブラスター
JPH07276240A (ja) * 1994-04-06 1995-10-24 Alps Eng:Kk ブラスト加工装置
JP2000006028A (ja) * 1998-06-25 2000-01-11 Shibuya Kogyo Co Ltd ブラスト加工室のワーク用扉装置
JP2004090185A (ja) * 2002-09-02 2004-03-25 Nippon Sanso Corp 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JP2011079120A (ja) 2009-09-08 2011-04-21 Sintokogio Ltd ショットブラスト方法およびその設備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29742A (en) * 1944-10-12 1947-10-28 American Wheelabrator & Equipm Treating surfaces of workpieces with abrasives
JPS6034272A (ja) * 1983-07-30 1985-02-21 Toyoda Autom Loom Works Ltd エプロン式ショットブラストにおける出入口部の砂漏れ防止装置
US4598501A (en) * 1983-10-28 1986-07-08 Aga Ab Cryogen shot blast deflashing system with bellows return conduit
US5049260A (en) * 1990-08-29 1991-09-17 Spears Richard L Blast cleaning wet media feed and separation system
US5676588A (en) * 1995-10-12 1997-10-14 Aga Ab Rotating drum cryogen shot blast deflashing system
US5846338A (en) * 1996-01-11 1998-12-08 Asys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dry cleaning clean room containers
JPH09234672A (ja) * 1996-02-29 1997-09-09 Sony Corp パウダービーム加工機におけるパウダーシール装置
JP3505051B2 (ja) 1996-11-21 2004-03-08 ジャパン・エア・ガシズ株式会社 ショットブラストバリ取り装置
US5944509A (en) * 1997-09-26 1999-08-31 Masters; Clarke S. Candle decorating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US6283839B1 (en) * 1999-05-11 2001-09-04 Aga Gas, Inc. Cryogen shot blast deflashing system
US6364748B1 (en) * 2001-02-20 2002-04-02 Skat Blast, Inc. Abrasive recovery blasting cabinet
US6719612B2 (en) * 2001-05-14 2004-04-13 Universal Ice Blast, Inc. Ice blast cleaning cabinet
ITPD20020309A1 (it) * 2002-12-04 2004-06-05 Solvay Chimica Italia Spa Impianto per pulitura industriale con cabina
TWI241892B (en) 2003-03-07 2005-10-21 Kao Corp Foamable water-in-oil type emulsion composition
CN100366167C (zh) * 2003-03-07 2008-02-06 花王株式会社 起泡性油包水型乳化组合物
BRPI0607636B1 (pt) 2005-04-06 2018-06-05 Sintokogio, Ltd. Máquina de lançamento de fragmentos para limpeza de peças de trabalho
EP1974861A1 (en) * 2005-12-20 2008-10-01 Nissanki Co., Ltd. Projector and blasting machine
US20090156102A1 (en) * 2007-12-12 2009-06-18 Rivir Michael E Pivoting hopper for particle blast apparatus
EP2504127B1 (en) 2009-11-27 2014-05-07 Sintokogio, Ltd. A machine for blasting abrasives
JP2014039962A (ja) * 2010-12-24 2014-03-06 Sintokogio Ltd ショット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6636A (ja) * 1992-10-20 1994-05-10 Sony Corp パウダービーム加工機
JPH0680549U (ja) * 1993-04-23 1994-11-15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サンドブラスター
JPH07276240A (ja) * 1994-04-06 1995-10-24 Alps Eng:Kk ブラスト加工装置
JP2000006028A (ja) * 1998-06-25 2000-01-11 Shibuya Kogyo Co Ltd ブラスト加工室のワーク用扉装置
JP2004090185A (ja) * 2002-09-02 2004-03-25 Nippon Sanso Corp 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JP2011079120A (ja) 2009-09-08 2011-04-21 Sintokogio Ltd ショットブラスト方法およびその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30271A2 (pt) 2017-07-18
JPWO2014024572A1 (ja) 2016-07-25
US9381616B2 (en) 2016-07-05
MX352287B (es) 2017-11-16
CN103796798B (zh) 2016-12-14
MX2014015110A (es) 2015-03-05
WO2014024572A1 (ja) 2014-02-13
KR102098976B1 (ko) 2020-04-08
JP6099000B2 (ja) 2017-03-22
US20150151407A1 (en) 2015-06-04
BR112014030271B1 (pt) 2020-07-28
CN103796798A (zh)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9709A (ko) 쇼트 처리 장치
KR101677567B1 (ko) 쇼트 블라스트 장치
KR20100041704A (ko) 쇼트 블라스트 장치
EP1870206B1 (en) Shot-blasting machine
JP2010172375A (ja) 弾球遊技機
US9957004B2 (en) Cargo bay construction with a slideable wall and vehicle with such a cargo bay construction
JP6502417B2 (ja) ベルト駆動装置のための介入防護部
CN105800341A (zh) 一种散料卸料车
US3079735A (en) Link and flight bar assembly
KR100997406B1 (ko) 용해로 배출물질 포집장치
EP3424641A1 (en) Shot processing apparatus
CN110451110B (zh) 用于接收分送粘稠物料的接料仓
JP2021196494A5 (ko)
KR101461571B1 (ko) 방진장치
CN213949858U (zh) 皮带传送机构及其头部漏斗的挡尘装置
JP4204826B2 (ja) 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KR101685793B1 (ko) 블랜딩 리클레이머
CN117985406A (zh) 一种矿山开采用矿石输送装置
JP4844988B2 (ja) 反転式バレルブラスター
JPH0769402A (ja) 空き容器処理車両のコンベア装置
KR20190021952A (ko) 스커트 장치
KR20150125038A (ko) 슈트 커버장치
JPH04125201A (ja) 塵芥収集車の塵芥飛散防止装置
TH72543B (th) เครื่องพ่นซ็อ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