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571B1 - 방진장치 - Google Patents

방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571B1
KR101461571B1 KR1020120133715A KR20120133715A KR101461571B1 KR 101461571 B1 KR101461571 B1 KR 101461571B1 KR 1020120133715 A KR1020120133715 A KR 1020120133715A KR 20120133715 A KR20120133715 A KR 20120133715A KR 101461571 B1 KR101461571 B1 KR 101461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plate
base frame
guid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6460A (ko
Inventor
임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33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571B1/ko
Publication of KR20140066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1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seal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08Protective roofs or arch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Jigging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진의 비산을 억제하는 방진장치로서,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용기 상부에 이격 설치되고, 개폐 가능한 복수의 개폐판 및 상기 용기와 상기 개폐판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이동에 의하여 상기 개폐판을 개폐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피처리물에서 발생된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이처럼, 분진이 각종 설비에 용이하게 장착되어,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거나 억제하므로, 작업 환경을 청결하게 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주위의 환경 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진장치{dust system}
본 발명은 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처리물에서 발생되는 분진의 비산을 효율적으로 억제하는 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을 제련하는 제철소는 코크스를 다수의 독립된 저장공간으로 공급하는 트리퍼카와, 야적된 코크스를 상기 트리퍼카로 공급하는 코크스 이송용 벨트 컨베이어 장치가 구비되어, 코크스를 다수의 저장공간에 적절한 양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송수단인 벨트 컨베이어는 제철소, 발전소 및 공사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원료, 연료 및 자제 등을 지정된 위치까지 이송하기 위한 설비로써, 외부에 일정길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컨대 종래에는 원료 및 연료 등의 피처리물이 수용된 트리퍼카(3)를 전후진 주행하여, 저장 용기 즉 호퍼가 각각 연결되는 각 호퍼 입구(5)에 트리퍼카(3) 슈트(4)를 위치시킨다. 이후 트리퍼카(3)의 피처리물을 트리퍼카(3) 슈트(4)를 통하여 호퍼에 공급한다. 이때, 호퍼에 연료탄이나 코크스 등이 주입되면서 이들로부터 분진이 발생되고, 이러한 분진이 대기중으로 비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처럼 비산된 분진은 작업 환경 및 주위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KR 2011-0034246 A1
본 발명은 피처리물로부터의 분진이 비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방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처리물 공급 수단의 이동에 따라 자동 개폐가 가능한 방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방진장치는 분진의 비산을 억제하는 장치로서,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용기 상부에 이격 설치되고, 개폐 가능한 복수의 개폐판 및 상기 용기와 상기 개폐판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이동에 의하여 상기 개폐판을 개폐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의 상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따라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개폐판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일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개폐판의 단부가 결합되고, 다른 베이스 프레임은 상측에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개폐판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 방지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개폐판은 상기 각 지지 프레임에 각각 결합되고 서로 마주보는 플레이트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개폐판이 결합되는 영역에, 상기 개폐판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판은 닫힌 상태와 최대로 개방된 상태 사이의 각도가 90도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용기는 복수개가 나열 배치되며, 상기 개폐판은 상기 복수개의 용기의 개구부들을 따라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덮는 커버 및 상기 커버 상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판의 개폐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커버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들 사이에 연결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중앙부에는 상기 용기에 피처리물을 공급하는 이송통로와 연결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중심부에서 양쪽의 상기 가이드 블록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록 및 상기 가이드 레일 중 적어도 하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록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 단부에서 커버의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높이 및 폭이 증가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록의 상면에 복수의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롤러는 상기 돌출 단부에서 상기 커버 중심부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롤러의 하측에는 탄성부재와 지지핀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면에 복수의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롤러의 설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방진장치에 의하면, 용기에 피처리물을 공급하는 수단의 이동에 의하여 용기 상부의 개폐판을 개폐하고, 피처리물이 통과되지 않는 영역은 개폐판이 용기를 덮게 되므로, 피처리물에서 발생된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즉, 용기의 개구부에서 피처리물이 통과되는 영역 외의 전 영역을 개폐판으로 덮을 수 있으므로, 분진이 용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처리물 공급 수단과 결합된 가이드 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개폐판이 개폐되므로, 별도의 구동 수단이 필요하지 않고 자연력을 활용하여, 무동력으로 개폐판을 개폐할 수 있고, 이로부터 방진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분진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설비에 용이하게 장착되어,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거나 억제하므로, 작업 환경을 청결하게 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주위의 환경 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리퍼카와 처리설비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진장치가 적용된 처리설비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진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개폐판 영역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3의 가이드 레일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진장치의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도 3의 방진장치의 개폐판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의 부분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진장치가 적용된 설비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개폐판 영역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가이드 레일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트리퍼카(3)는 피처리물(1)을 다수의 독립된 저장 용기(미도시)로 피처리물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며, 용기들이 설치된 상부에서 좌우 또는 전후진 주행 될 수 있다. 즉, 용기의 개구부들을 따라 주행할 수 있다. 이때, 피처물(1)은 제철소, 발전소 및 공사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원료, 연료, 자제 등 일수 있고, 예를 들면 코크스일 수 있다. 용기는 용기 개구부(5)에 연결되어 그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피처리물을 받아서 수용 혹은 저장하는 수단이며, 예컨대 코크스를 수용하는 호퍼일 수 있다. 이러한 용기는 각 개구부(5)별로 설치되어 복수개가 열을 지어서 나열 배치될 수 있고, 나열된 열이 복수의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하였듯이, 2개의 라인으로 개구부들이 나열되고, 각 개구부에 용기들이 결합될 수 있다. 트리퍼카(3)는 벨트 컨베이어(6)를 이용하여, 야적된 피처리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트리퍼카(3)에는 피처리물이 이동하는 이송통로(4)가 연결되어 이송통로(4)를 통하여 피처리물을 용기로 공급할 수 있다. 이송통로(4)는 내부에 공간이 있는 관 형상으로, 트리퍼카(3)의 하부에 연통하여 연결되고, 하부 방향으로 상기 용기의 개구부(6) 부근까지 연장된다. 즉, 이송통로(4)의 단부는 용기의 개구부(5) 상측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이송통로(4)는 트리퍼카(3)와 후술되는 방진장치(100)를 연결하며, 트리퍼카(3)와 함께 좌우 또는 전후진 주행할 수 있다. 이에, 트리퍼카(3)가 좌우로 주행하면, 이와 함께 이송통로(4)도 용기의 개구부(5)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이송통로(4)에 연결된 후술되는 방진장치의 일부도 용기의 개구부(5)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통로(4)의 하측에 후술되는 본 발명 실시예의 방진장치(100)가 위치한다. 즉, 방진장치(100)는 이송통로(4)와 용기 사이에 위치하며, 용기의 개구부(5)를 따라 형성되며, 개구부(5)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이때, 방진장치(100)는 개구부(5)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개구부(5)가 복수개 나열되는 라인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방진장치(100)는 전체 라인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방진장치(100)는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방진장치(100)는 분진의 비산을 억제하는 장치로서,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용기 상부에 이격 설치되고 개폐 가능한 복수의 개폐판(11), 및 용기와 개폐판(11)의 사이에 위치하고, 용기의 개구부(5)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이동에 의하여 개폐판(11)을 개폐시키는 가이드 부재(30)를 포함한다.
개폐판(11)은 열리고 닫히는 동작에 의하여 용기의 개구부(5)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는 수단이며, 용기의 상부에 이격 설치된다. 개폐판(11)은 소정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로 개구부(5)의 일변에서 일변에 대향하는 타변으로 연장되어 개구부의 개방 면적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한다. 개폐판(11)은 2개의 플레이트(11a, 11b)가 마주보고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가 연속하여 배치되어 개구부(5)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개구부(5)가 좌우 방향(X 방향)으로 나열되는 되는 경우, 개폐판(11)은 개구부(5)의 나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Y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2개의 플레이트(11a, 11b)를 구비하고,복수의 개폐판(11)이 개구부(5)의 연장 방향(X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개구부 전체를 덮을 수 있다. 각 플페이트(11a, 11b) 단부가 후술하는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어, 결합되는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각 플페이트(11a, 11b)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부(13) 및 결합부(13)의 양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13)을 구비한다. 물론 개폐판(11)은 개구부를 덮으면서 개폐가능하면 되고, 그 형상 및 구조가 한정되지 않는다.
용기의 개구부(5)의 양측에는 개구부(5)의 연장 방향으로 따라 베이스 프레임(21)이 설치되고, 상기 개폐판(11)이 베이스 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베이스 프레임(21)은 개폐판(11)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개구부(5)의 상부에 개방 영역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장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1)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부재로 제조되어 개구부(5)를 따라 연속적으로 장착될 수 있고, 긴 길이의 단일 부재로 제조되어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21)은 개구부(5)에 접촉되어 장착되는 장착부(21a), 장착부의 일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 높이 연장 형성된 수직부(21b), 수직부의 양 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1c)를 포함한다. 양 돌출부(21c)에는 돌출부(21c)의 내측면에서 돌출부(21c) 내측으로 연장된 회전홈(21d)이 형성된다. 이때, 회전홈(21d)은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방될 수 있고, 이 경우, 개폐판(11)의 회전축(13)이 회전홈(21d)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1)의 장착부(21a)는 개구부(5)의 가장자리 상면에 접촉되고,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개구부(5)에 결합된다. 예컨대, 장착부(21a)에는 결합홀(22)를 형성되고, 이에 볼트(25)가 관통하여 개구부(5)에 체결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1)의 수직부(21b)는 상부방향으로 소정 높이 연장되며, 이때 높이는 개폐판(11)의 결합부(12) 및 가이드 부재(30)의 커버(31)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할 수 있다. 수직부(21b)에 연결된 양 돌출부(21c) 사이의 공간에는 상술된 개폐판(11)의 결합부(12)가 위치하게 되며, 돌출부(21c)의 회전홈(21d)에는 개폐판(11)의 회전축(13)이 삽입 설치된다. 이에, 개폐판(11)의 회전축(13)이 회전홈(21d) 내에서 회전함에 의하여 개폐판(11)이 개구부(5)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21)과 개폐판(11)이 결합되는 영역에서 상기 개폐판(11)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에 결합되는 지지바(28)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바(28)는 베이스 프레임(21)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소정 두께의 막대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지지바(28)는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베이스 프레임(21)의 수직부(21b)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바(28)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베이스 프레임(21)의 수직부(21b) 상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볼트(29)가 지지바(28)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수직부(21b)의 체결홈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바(80)가 설치되면, 개폐판(11)이 베이스 프레임(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개폐판(11)의 결합부(12)의 움직임을 지지바(80)가 제한할 수 있게 되어 개폐판(11)이 하방으로 즉, 개구부(5) 쪽으로 지나치게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바(80)는 개폐판(11)이 개방되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지지바(80)의 폭(W)이 작으면 개폐판(11)은 큰 각도로 회전될 수 있고, 지지바(80)의 폭(W)이 증가하게 되면 개폐판(11)의 회전 각도가 작아지게 되고 개방 정도로 감소한다(도 5 참조).
한편, 개폐판(11)은 닫힌 상태와 최대로 개방된 상태 사이의 각도(Θ)가 90도 미만일 수 있고, 예컨대 70 내지 80도 일 수 있다. 개폐판(11)이 닫힌 상태에서는 개구부(5)과 거의 평행한 상태를 이루게 되며(도 5의 (a)), 개폐판(11)이 개방되면서 회전축(1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닫힌 상태에서의 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게 된다(도 5의 (b)). 이때,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의 최대 개방 각도(Θ)가 90도 미만인 경우, 개폐판(11)이 원활하게 닫힐 수 있다. 즉, 개폐판(11)은 가이드 부재(30)의 미는 힘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되고, 개폐판(11)의 하중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폐쇄되게 되는 데, 최대 개방 각이 90도 이상이 되면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어렵게 되어 개폐판(11)의 폐쇄에 어려움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최대 개방 각도는 계폐판(11)의 하중에 따라 대략 70 내지 80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상술된 지지바(28)의 폭(W)을 변경하여 제어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30)는 용기와 개폐판(11)의 사이에 위치하고, 용기의 개구부(5)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이동에 의하여 개폐판(11)을 개폐시키다. 가이드 부재(30)는 개구부(5)의 일부를 덮는 커버(31), 상기 커버(31) 상의 양단부에 설치되며 개폐판(11)의 개폐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블록(32), 상기 가이드 블록(32)들 사이에 연결되는 가이드 레일(34)을 포함한다. 또한, 커버(31)의 중앙부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이는 용기로 피처리물을 공급하는 이송통로(4)와 연결된다. 이에 이송통로(4)가 이동하면 이와 함께 가이드 부재(30)가 이동하게 된다.
커버(31)는 개구부(5)를 일부를 차폐하면서 이송통로(4)와 연결되는 수단으로, 이를 통하여 피러치물이 용기로 투입된다. 커버(31)는 소정 면적 및 소정 두께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조되며, 상기 양 베이스 프레임(21)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커버(31)의 두께는 베이스 프레임(21)의 수직부(21b)의 높이 보다 작게 제조되고, 중앙부에는 관통구가 형성된다. 물론 커버(31)은 개폐판(11)이 열려 개방되는 개구부를 충분히 차폐할 수 있으면 되고, 그 크기와 형상이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 블록(32)은 개폐판(11)과 접촉되어 제일 먼저 개폐판(11)을 개방시키는 수단으로, 커버(31)의 상부면에 구비된다. 가이드 블록(32)은 적어도 일부가 커버(31)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단부를 구비하며 돌출 단부에서 커버(31)의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높이 및 폭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로부터 가이드 블록(32)이 개폐판(11)의 하부로 용이하게 파고들어갈 수 있으며, 이후 이동에 따라 개폐판(11)을 효율적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 블록(32)은 단부가 뾰족한 삼각뿔 형상일 수 있고, 상부에 경사면을 구비한 다양한 다각형 형상일 수 있고, 상부면의 중심이 높고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곡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물론 가이드 블록(32)은 개폐판(11)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면 되고, 그 형상이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 블록(32)의 상면에 복수의 롤러부(33)가 구비될 수 있다. 롤러부(33)는 가이드 블록(32)의 상면에서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며, 개폐판(11)과 효율적으로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롤러부(33)가 삼각형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32)의 상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홈 내에 롤러부(33)가 장착될 수 있다. 롤러부(33)는 회전가능한 롤러(331), 상기 롤러(331)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브라켓(332), 상기 브라켓(332)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부재(333) 및 탄성부재(333)의 하측에 설치되고 탄성부재(333)의 내측으로 삽입가능한 지지핀(334)를 구비한다. 이때, 롤러(331)는 구형, 타원형 혹은 원통형 등 회전 가능한 형상일 수 있고, 가이드 블록(32)의 돌출 단부에서 커버(31) 중심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증가 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탄성부재(333)는 롤러(331) 및 브라켓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하 작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개폐판(11)의 하중에 의하여 롤러(331)가 하방으로 힘을 받으면 수축되고, 개폐판(11)이 개방될 때는 신장되면서 롤러(331)의 동작을 완충시킨다. 탄성부재(333)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롤러부(33)는 개폐판(11)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고 개폐판(11)의 회전 동작을 보조하여 개폐판(11)이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331)의 크기를 내측 방향으로 점차 증가시키면, 개폐판(11) 동작을 보다 부드럽게 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4)은 개방된 개폐판(11)을 지지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커버(31) 양단의 가이드 블록(32)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34)은 가이드 블록(32) 사이를 연결하면서 그 중심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위에서 2개의 가이드 레일(34)을 봐라보면 유선형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34)은 그 중심부에서 양쪽의 가이드 블록(32)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송통로(4) 부근에서 가이드 레일(34)의 높이가 가장 높고 양 가이드 블록(32)과 연결되는 부근에서 가장 낮게 설치될 수 있다. 이로부터 가이드 블록(32)에 의하여 개방된 개폐판(11)은 가이드 블록(32)에서 이송통로(4) 쪽으로 갈수록 큰 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개폐판(11)이 다른 부품들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4)은 소정 직경을 가지고 길게 연장된 라인 형태일 수 있고, 상방으로 중심이 돌출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물론, 가이드 레일(34)은 개폐판(11)을 지지할 수 있으면 되고, 그 형상이나 구조가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 레일(34)의 상면에는 복수의 롤러부(35)가 구비되며, 롤러부(35)는 가이드 레일(3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롤러부(35)는 회전가능한 롤러(351), 상기 롤러(351)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브라켓(352)을 구비한다. 이때, 롤러(331)는 구형, 타원형 혹은 원통형 등 회전 가능한 형상일 수 있다. 롤러(351)와 브라켓(352) 사이, 롤러(351)의 양측에 탄성부재(353)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353)는 롤러(351)의 동작을 완충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롤러부(35) 정확하게는 롤러(353)는 가이드 레일(3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 레일(34)의 중심부에서는 브라켓(352)이 가이드 레일(34)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가이드 레일(34)의 단부에서는 브라켓(352)이 가이드 레일(34)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이들 사이에서 점차 설치 각도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롤러부(35)는 개폐판(11)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고 개폐판(11)을 부드럽게 지지할 수 있으며, 개폐판(11)이 닫힐 때도 이를 부드럽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부(331)의 설치 각도를 변경시키면, 개폐판(11)를 보다 효율적으로 지지하고 그의 동작을 보다 부드럽게 유도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방진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진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방진장치의 개폐판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우선, 복수개의 용기 예컨대 호퍼들이 나열된 경로 상에서 트리퍼카(3)를 주행하여, 피처리물을 공급할 용기를 향하여 이송통로(4) 및 가이드 부재(30)를 이동시킨다. 이때, 가이드 부재(30)가 이동하는 쪽으로 개폐판(11)은 개방되고, 가이드 부재(30)가 멀어지는 쪽의 개폐판(11)은 닫히게 된다.
예컨대, 가이드 부재(30)가 좌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좌측에 위치한 개폐판(11)은 가이드 부재(30)의 가이드 블록(32)에 의하여 들여 올려지게 되어 개방된다. 가이드 부재(30)가 계속하여 진행하는 경우, 개방된 개폐판은 가이드 블록(32)을 통과하고 가이드 레일(34)에 의하여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34)의 높이가 이송통로(4) 쪽을 향할수록 높아지므로, 가이드 블록(32)을 통과하여 멀어진 개폐판은 큰 각도로 개방되고 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가이드 블록(32)과 접촉되지 않는 a 위치의 개폐판은 닫힌 상태로 있으며, 이경우 개폐판은 용기의 개구부와 거의 평행하면서 개구부를 폐쇄하게 된다(도 8 참조). 도 7 및 9를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30)의 이동에 의하여 가이드 블록(32)과 접촉하는 b 위치의 개폐판은 개폐판 회전축(13)을 중심으로 시계바향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되기 시작한다. 이때 개방되는 각도는 가이드 블록(32)과 접촉되는 위치에 따라 정해진다. 가이드 블록(32)이 통과되는 c 위치의 개폐판은 가이드 레일(34)과 접촉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가이드 레일(34)의 높이에 따라 개방 정도가 정해진다. 가이드 블록(32)이 완전히 통과된 d 및 e 위치의 개폐판은 가이드 레일(34)과 접촉하여, 개방 각도를 증가시키면서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가이드 레일(34)의 높이에 따라 개방 정도가 정해진다. 가이드 레일(34)의 높이가 가장 높은 이송경로(4) 근처에서 개방 각도가 가장 크다.
한편, 가이드 부재(30)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쪽에 위치된 예컨대, 우측에 위치하는 개폐판들은 상기의 설명과 역순으로 개폐판이 닫히게 된다. 이로부터, 이송경로(4)가 위치하는 영역 외의 부분들은 외부와 차단되게 된다. 즉, 개구부의 상측에서 가이드 부재(30)가 위치하고 개폐판(11)이 개방되는 부분은 가이드 부재(30)의 커버(31)에 의하여 폐쇄되게 되며, 그외의 부분은 개폐판(11)의 닫힘에 의하여 폐쇄된다.
원하는 위치에 이송경로(4)를 위치시킨 후, 이를 통하여 하부의 용기로 피처리물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송경로(4)와 연결된 부분 이외의 영역은 외부와 차단되므로, 피처리물을 공급하면서 발생되는 분진의 비산을 원천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개폐판이 두개의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베이스 프레임이 개구부의 양측에 개폐판별로 설치되는 방식을 예시하였으나, 방진장치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용기의 개구부를 따라 개폐판이 개폐가능한 구조라면, 개폐판의 개수 및 구조, 베이스 프레임의 구조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개폐판은 하나의 플레이트로 제조될 수 있고, 베이스 프레임은 개구부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에 복수의 개폐판이 장착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프레임(21a, 21b)이 개구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일 베이스 프레임(21b)에는 개폐판(11)의 단부가 결합되고, 다른 베이스 프레임(21a)은 상측에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개폐판(11)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 방지대(211)를 구비한다. 즉, 개폐판(11)이 하나의 플레이트로 제조된다. 이때, 개폐판(11)은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면적을 커버할 수 있도록 면적이 증가되고, 상기 실시예보다 가벼운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개폐판(11)의 일단부는 베이스 프레임(21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개폐판(11)의 타단부는 베이스 프레임(21a)에 형성된 처짐 방지대(2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처짐 방지대(211)는 개폐판(11)이 닫힌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프레임(21a) 길이를 따라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하나의 플레이트로 형성된 개폐판(11)을 열거나 닫는 동작에 의하여,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으며, 차단 시에 개폐판이 처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코크스 호퍼 및 트리퍼카에 적용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방진장치는 다양한 원료 혹은 재료의 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3 : 트리퍼카 4 : 이송경로
100 : 방진장치 11 : 개폐판
21 : 베이스 프레임 30 : 가이드 부재

Claims (15)

  1. 분진의 비산을 억제하는 방진장치로서,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용기 상부에 이격 설치되고, 개폐 가능한 복수의 개폐판; 및
    상기 용기와 상기 개폐판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이동에 의하여 상기 개폐판을 개폐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덮는 커버; 및 상기 커버 상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판의 개폐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방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따라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개폐판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일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개폐판의 단부가 결합되고, 다른 베이스 프레임은 상측에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개폐판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 방지대를 구비하는 방진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개폐판은 상기 각 베이스 프레임에 각각 결합되고 서로 마주보는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는 방진장치.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개폐판이 결합되는 영역에, 상기 개폐판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방진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닫힌 상태와 최대로 개방된 상태 사이의 각도가 90도 미만인 방진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복수개가 나열 배치되며,
    상기 개폐판은 상기 복수개의 용기의 개구부들을 따라 전체에 배치되는 방진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커버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들 사이에 연결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방진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중앙부에는 상기 용기에 피처리물을 공급하는 이송통로와 연결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중심부에서 양쪽의 상기 가이드 블록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방진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 및 상기 가이드 레일 중 적어도 하나는 롤러를 포함하는 방진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 단부에서 커버의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높이 및 폭이 증가하는 형상인 방진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의 상면에 복수의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롤러는 상기 돌출 단부에서 상기 커버 중심부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증가되는 방진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하측에는 탄성부재와 지지핀이 설치되는 방진장치.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면에 복수의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롤러의 설치 각도가 변경되는 방진장치.
KR1020120133715A 2012-11-23 2012-11-23 방진장치 KR101461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715A KR101461571B1 (ko) 2012-11-23 2012-11-23 방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715A KR101461571B1 (ko) 2012-11-23 2012-11-23 방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460A KR20140066460A (ko) 2014-06-02
KR101461571B1 true KR101461571B1 (ko) 2014-11-13

Family

ID=51123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715A KR101461571B1 (ko) 2012-11-23 2012-11-23 방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5997B (zh) * 2021-11-22 2022-06-21 南京盛辉环境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水泥熟料自动化生产线除尘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626B1 (ko) * 2008-08-18 2009-01-21 한국산기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커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626B1 (ko) * 2008-08-18 2009-01-21 한국산기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커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460A (ko) 201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7325B2 (en) Tilting wall
US7347319B2 (en) Tilting roller
KR101559146B1 (ko) 방향전환을 위한 오토 디버터
EP1852353A3 (en) Improved strapping machine
US82103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rienting objects
KR101249200B1 (ko)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 장치
EP2749499B1 (de) Verpackungsmaschine mit einer Schutzeinrichtung und Verfahren
WO2012126129A1 (de) Vorrichtung zum beschicken einer förderanlage mit einer grossen menge von teilen
KR101461571B1 (ko) 방진장치
CN103796798A (zh) 喷丸处理装置
RU2691467C1 (ru) Транспорт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добываемого материала
KR101985960B1 (ko)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
KR101051416B1 (ko) 판유리 이송장치
KR101542108B1 (ko) 석탄 운반용 선박의 석탄 이송장치
CN202079425U (zh) 冷轧连退机组的废料导料板
KR102166611B1 (ko) 슈트 마모 방지 장치
KR101253848B1 (ko) 컨베이어 샤틀 설비
KR101377503B1 (ko) 스태커용 이송물 운반장치
JP2020186097A (ja) シュート装置
KR10221396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캐리어롤러장치
JP2020186096A (ja) シュート装置
KR101309645B1 (ko)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KR102122664B1 (ko) 슈트 커버장치
KR10124625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분배장치
KR101135474B1 (ko)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