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664B1 - 슈트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슈트 커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2664B1 KR102122664B1 KR1020180147168A KR20180147168A KR102122664B1 KR 102122664 B1 KR102122664 B1 KR 102122664B1 KR 1020180147168 A KR1020180147168 A KR 1020180147168A KR 20180147168 A KR20180147168 A KR 20180147168A KR 102122664 B1 KR102122664 B1 KR 1021226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uttle
- chute
- cover member
- cover
- fix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7—Means for moving conveyor frames and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 B65G2812/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Abstract
슈트 커버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슈트 커버장치는: 슈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슈트로 원료를 운반하는 셔틀과, 슈트의 입구와 셔틀의 일부를 덮는 커버부재와, 슈트가 이동되는 내측통로를 구비하며 레일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재에 연결되고 커버부재가 고정되는 지지부 및 셔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커버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슈트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설비에 설치되는 슈트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슈트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고로 조업시 사용되는 원료, 연료 등의 광석과 석탄 및 기타 수송물들은 컨베이어 설비들을 통하여 이송되는데, 이와 같은 컨베이어 설비에서는 수송물의 이송경로를 변경시키고자 할 경우, 슈트 및 컨베이어 셔틀을 통해 수송물의 연계수송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98803호(2013.09.05공개, 발명의 명칭 :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슈트의 개방부를 통한 작업자와 정비도구 등의 추락을 방지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슈트 커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는: 슈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슈트로 원료를 운반하는 셔틀과, 슈트의 입구와 셔틀의 일부를 덮는 커버부재와, 슈트가 이동되는 내측통로를 구비하며 레일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재에 연결되고 커버부재가 고정되는 지지부 및 셔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커버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버부재의 일측은 베이스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부에 고정되며, 커버부재의 하측으로 셔틀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내롤러부는, 셔틀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커버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롤러부 및 셔틀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커버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는, 베이스부재에 연결되며 베이스부재의 폭방향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 및 연장부재의 상측을 연결하며 커버부재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와 연장부재에 연결되며 연장부재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진동저감부는, 베이스부재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연장부재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고정지지부와, 연장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장공의 가이드홈부를 구비하는 연결프레임과, 고정지지부에서 돌출되어 가이드홈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가이드돌기 및 일측은 연결프레임의 단부에 걸리며 타측은 고정지지부에 걸리는 탄성의 복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는, 셔틀의 이동에 연동하여 커버부재의 형상이 가변되며 작업이 이루어지는 슈트의 입구를 제외한 다른 슈트의 입구가 차폐되므로 슈트의 입구를 통해 작업자와 정비도구 등이 추락되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와 진동저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이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의 이동으로 지지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부의 동작으로 지지부가 원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와 진동저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이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의 이동으로 지지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부의 동작으로 지지부가 원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와 진동저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이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의 이동으로 지지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부의 동작으로 지지부가 원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1)는, 슈트(14)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10)을 따라 이동되며 슈트(14)로 원료를 운반하는 셔틀(20)과, 슈트(14)의 입구(16)와 셔틀(20)의 일부를 덮는 커버부재(30)와, 슈트(14)가 이동되는 내측통로(42)를 구비하며 레일(10)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재(12)에 연결되고 커버부재(30)가 고정되는 지지부(40) 및 셔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커버부재(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롤러부(50)를 포함한다.
연속식 하역기의 하측에 베이스부재(12)가 위치하며, 연속식 하역기와 함께 베이스부재(12)가 이동된다. 베이스부재(12)의 하측에는 복수 개의 슈트(14)가 설치되며, 베이스부재(12)의 상측에는 셔틀(2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10)이 설치된다. 또는 슈트(14)의 상측에 베이스부재(12)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베이스부재(12)의 상측에 구비된 레일(10)을 따라 슈트(14)가 이동된다.
지상벨트컨베이어는 슈트(14)의 하측에 위치하며, 슈트(14)를 통해 낙하된 이송물(70)을 후공정으로 이송한다. 슈트(14)는 셔틀(20)에서 낙하된 이송물(70)을 지상벨트컨베이어로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14)는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내측에는 이송물(70)의 낙하를 안내하는 통로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슈트(14)의 상측에는 슈트(14)나 커버부재(30)에 의해 개폐되는 입구(16)가 구비된다.
셔틀(20)은 슈트(14)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10)을 따라 이동되며, 슈트(14)로 원료를 운반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셔틀(20)은 레일(10)을 따라 이동되며 슈트(14)로 이송물(70)을 운반한다. 셔틀(20)의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부(22)가 구비되며, 하우징부(22)의 내측에 풀리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풀리의 외측에 설치되는 벨트부재(24)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며 이송물(70)을 이송시킨다. 셔틀(20)의 하측에는 복수 개의 휠부재(26)가 구비되며, 복수의 휠부재(26) 가운데 설정된 휠부재(26)는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연속식 하역기의 하부에 구비된 셔틀(20)은 연속식 하역기를 통하여 이송물(70)을 공급받아 지상벨트컨베이어로 이송물(70)을 공급한다.
커버부재(30)는 슈트(14)의 입구(16)와 셔틀(20)의 일부를 덮으며, 하우징부(2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커버부재(30)의 일측은 베이스부재(12)에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부(40)에 고정되며, 커버부재(30)의 하측으로 셔틀(20)이 이동된다.
커버부재(30)는 벨트부재(24)와 같이 휨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셔틀(20)의 이동에 의해 형상이 변형된다.
지지부(40)는 슈트(14)가 이동되는 내측통로(42)를 구비하며, 레일(10)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재(12)에 연결된다. 또한 지지부(40)의 상측에는 커버부재(30)가 고정되므로 커버부재(30)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40)는 연장부재(44)와 고정프레임(46)을 포함한다.
연장부재(44)는 베이스부재(12)에 연결되며, 베이스부재(12)의 폭방향(W)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이다. 그리고 고정프레임(46)은 연장부재(44)의 상측을 연결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커버부재(30)의 단부가 고정된다.
연장부재(44)와 고정프레임(46)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에는 셔틀(20)이 이동되기 위한 내측통로(42)가 구비된다.
안내롤러부(50)는 셔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커버부재(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롤러부(50)는 제1롤러부(52)와 제2롤러부(54)를 포함한다.
제1롤러부(52)는 셔틀(20)의 폭방향(W)으로 설치되며, 커버부재(30)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1롤러부(52)는 셔틀(20)의 전방(도 4기준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롤러부(52)의 하측에 있는 커버부재(30)가 제1롤러부(52)의 하측과 측면에 접하며 제1롤러부(52)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제2롤러부(54)는 셔틀(20)의 폭방향(W)으로 설치되며, 커버부재(30)의 하측에 위치한다. 제2롤러부(54)는 제1롤러부(52)의 상측에 위치하며 셔틀(20)의 전방(도 4기준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2롤러부(54)는 고정프레임(46)과 대응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1)는 진동저감부(60)를 더 포함한다. 진동저감부(60)는 베이스부재(12)와 연장부재(44)에 연결되며, 연장부재(44)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부(60)는, 고정지지부(62)와 연결프레임(64)과 가이드돌기(67)와 복귀부재(68)를 포함한다.
고정지지부(62)는 베이스부재(12)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연장부재(44)와 나란하게 설치된다. 막대 형상의 고정지지부(62)는 베이스부재(12)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연결프레임(64)은 연장부재(4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장공의 가이드홈부(65)를 구비한다. 또한 연결프레임(64)의 단부에는 머리부재(66)가 설치되므로, 연결프레임(64)의 외측에 설치된 복귀부재(68)가 연결프레임(64)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가이드돌기(67)는 고정지지부(62)에서 돌출되어 가이드홈부(65)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연결프레임(64)의 이동을 안내한다. 복귀부재(68)는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며, 복귀부재(68)의 일측은 연결프레임(64)의 단부에 위치하는 머리부재(66)에 걸리며, 타측은 고정지지부(62)에 걸린다. 복귀부재(68)는 탄성을 구비하므로, 지지부(40)의 이동에 의해 형상이 변형된 경우, 초기 형상으로 이동되기 위해 연결프레임(64)과 머리부재(66)를 이동시킨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샤틀의 벨트부재(24)로 이송물(70)이 낙하되며, 벨트부재(24)의 회전으로 이송물(70)은 슈트(14)를 통해 하측에 위치한 지상벨트컨베이어로 낙하된다. 만약 셔틀(20)이 다른 슈트(14)로 이송물(70)을 낙하할 경우, 셔틀(20)이 이동된다.
셔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롤러부(52)와 제2롤러부(54)는 커버부재(30)의 이동을 안내하므로, 커버부재(30)가 셔틀(20)에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송물(70)의 낙하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슈트(14)의 입구(16)는 셔틀(20)과 커버부재(30)에 의해 커버되므로, 작업자나 작업공구가 슈트(14)를 통해 하측으로 낙하되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셔틀(20)의 이동에 의해 지지부(40)가 흔들릴 경우, 지지부(40)의 양측에 설치된 진동저감부(60)가 지지부(40)의 흔들림을 저감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20)의 이동으로 발생된 충격에 의해 지지부(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지지부(40)의 우측에 설치된 복귀부재(68)가 압축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부재(68)가 다시 원상태로 회복하면서 지지부(40)의 우측에 설치된 연결프레임(64)을 원상태로 이동시키므로, 연결프레임(64)과 연결된 지지부(40)도 원상태로 이동된다. 따라서 커버부재(30)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셔틀(20)의 이동에 연동하여 커버부재(30)의 형상이 가변되며 작업이 이루어지는 슈트(14)의 입구(16)를 제외한 다른 슈트(14)의 입구(16)가 차폐되므로 슈트(14)의 입구(16)를 통해 작업자와 정비도구 등이 추락되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슈트 커버장치 10: 레일
12: 베이스부재 14: 슈트
16: 입구 20: 셔틀
22: 하우징부 24: 벨트부재
26: 휠부재 30: 커버부재
40: 지지부 42: 내측통로
44: 연장부재 46: 고정프레임
50: 안내롤러부 52: 제1롤러부
54: 제2롤러부 60: 진동저감부
62: 고정지지부 64: 연결프레임
65: 가이드홈부 66: 머리부재
67: 가이드돌기 68: 복귀부재
70: 이송물 W: 폭방향
12: 베이스부재 14: 슈트
16: 입구 20: 셔틀
22: 하우징부 24: 벨트부재
26: 휠부재 30: 커버부재
40: 지지부 42: 내측통로
44: 연장부재 46: 고정프레임
50: 안내롤러부 52: 제1롤러부
54: 제2롤러부 60: 진동저감부
62: 고정지지부 64: 연결프레임
65: 가이드홈부 66: 머리부재
67: 가이드돌기 68: 복귀부재
70: 이송물 W: 폭방향
Claims (6)
- 슈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슈트로 원료를 운반하는 셔틀;
상기 슈트의 입구와 상기 셔틀의 일부를 덮는 커버부재;
상기 슈트가 이동되는 내측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레일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고정되는 지지부; 및
상기 셔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은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하측으로 상기 셔틀이 이동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의 폭방향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의 상측을 연결하며, 상기 커버부재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연장부재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 커버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롤러부는,
상기 셔틀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롤러부; 및
상기 셔틀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 커버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저감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재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고정지지부;
상기 연장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장공의 가이드홈부를 구비하는 연결프레임;
상기 고정지지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가이드돌기; 및
일측은 상기 연결프레임의 단부에 걸리며 타측은 상기 고정지지부에 걸리는 탄성의 복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 커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7168A KR102122664B1 (ko) | 2018-11-26 | 2018-11-26 | 슈트 커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7168A KR102122664B1 (ko) | 2018-11-26 | 2018-11-26 | 슈트 커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1634A KR20200061634A (ko) | 2020-06-03 |
KR102122664B1 true KR102122664B1 (ko) | 2020-06-12 |
Family
ID=7108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7168A KR102122664B1 (ko) | 2018-11-26 | 2018-11-26 | 슈트 커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2664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5788B1 (ko) * | 2009-11-30 | 2012-08-21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7171B1 (ko) * | 2009-09-28 | 2012-07-24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슈트 개폐장치 |
-
2018
- 2018-11-26 KR KR1020180147168A patent/KR1021226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5788B1 (ko) * | 2009-11-30 | 2012-08-21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1634A (ko) | 2020-06-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2403939A (zh) | 矿产分选机 | |
KR102122664B1 (ko) | 슈트 커버장치 | |
CN210001031U (zh) | 一种新型多功能可伸缩输送装置 | |
CN214638336U (zh) | 矿产分选机 | |
KR100756616B1 (ko) | 벨트 컨베이어 | |
CN112495831A (zh) | 矿产分选机 | |
CN112495833A (zh) | 矿产分选机 | |
CN112495835A (zh) | 矿产分选机 | |
KR101581543B1 (ko) | 슈트 커버장치 | |
KR101399884B1 (ko) | 벨트컨베이어용 슈트 | |
CN218502705U (zh) | 矿产分选机 | |
KR20110047038A (ko) |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 |
KR101175788B1 (ko) |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 |
KR101253848B1 (ko) | 컨베이어 샤틀 설비 | |
KR102166610B1 (ko) |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 |
KR102043551B1 (ko) | 슈트 커버장치 | |
KR101193835B1 (ko) | 슈트 개폐장치 | |
CN112676185A (zh) | 检测机构及带检测机构的矿产分选机 | |
KR101461571B1 (ko) | 방진장치 | |
KR102012130B1 (ko) | 벨트컨베이어슈트용 분진 비산 방지장치 | |
KR101070105B1 (ko) | 슈트 내의 운송물 고착 방지 장치 | |
KR101989231B1 (ko) | 스커트 장치 | |
KR102166611B1 (ko) | 슈트 마모 방지 장치 | |
KR102133098B1 (ko) |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 |
KR20150113332A (ko) | 슈트 마모 방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