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8233A -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8233A
KR20150038233A KR1020157004564A KR20157004564A KR20150038233A KR 20150038233 A KR20150038233 A KR 20150038233A KR 1020157004564 A KR1020157004564 A KR 1020157004564A KR 20157004564 A KR20157004564 A KR 20157004564A KR 20150038233 A KR20150038233 A KR 20150038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operating
display
image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4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5291B1 (ko
Inventor
겐이치 다케나카
가즈노리 다케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50038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2Filtering of noise external to the device and not generated by digitiser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원격 조작 장치(100)는 조작자의 손가락(F)에 의한 조작면(32)으로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센서(31) 및 조작 제어 회로(33)를 구비하고 있다. 터치 센서 및 조작 제어 회로는 조작면(32)으로부터 손가락(F)까지의 조작체 거리(d)를 취득할 수 있다. 조작 제어 회로는 조작체 거리가 제 1 한계값 거리(Dth1) 미만인 경우에는, 표시 스크린(52)의 포인터(62)를 이동시키는 포인터 제어(4)에 손가락에 의한 조작을 관련시키고, 해당 거리가 제 1 한계값 거리를 넘은 경우에는, 표시 스크린의 맵(64)을 이동시키는 맵 제어에 손가락에 의한 조작을 관련시킨다. 또한, 조작 제어 회로에는 손가락에 의한 특정한 조작이 인가 조작으로서 기억되어 있다. 손가락에 의한 조작과 맵 제어의 관련지음은 손가락에 의한 인가 조작이 이루어지기까지 금지된다.

Description

조작 장치{OPERATING DEVICE}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개시는 2012년 8월 23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2012―184516호와, 2013년 8월 19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2013―169696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여기에 그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본 개시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부를 조작부로의 입력에 의하여 조작하는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표시 스크린에 표시되는 내비게이션의 포인터 및 라디오 메인 윈도 이미지 등의 화상부를 해당 표시 스크린으로부터 이격하여 위치하는 원격 터치 패드부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조작에 관련시켜서 이동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조작자의 손가락 등에 의한 조작을 검출하는 원격 터치 패드부와, 원격 터치 패드부에 의하여 검출되는 손가락의 이동을 지도 및 포인터 등의 이동에 관련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서, 제어부는 원격 터치 패드부로부터 손가락까지의 거리를 취득하고 있다. 그리고 취득되는 손가락까지의 거리가 미리 규정된 높이, 예를 들면, 3센티미터(㎝) 미만인 경우에는, 제어부는 원격 터치 패드부에 의하여 검출되는 손가락에 의한 조작을 표시 스크린 상의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조작에 관련시킨다. 한편, 제어부에 의하여 취득되는 손가락까지의 거리가 미리 규정된 높이, 예를 들면, 5㎝∼7㎝의 범위 내인 경우에는, 해당 제어부는 원격 터치 패드부에 의하여 검출되는 손가락에 의한 조작을 라디오 메인 윈도 이미지로부터 조작 대기 윈도 이미지로 전환하는 조작에 관련시킨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조작자는 원격 터치 패드부에 대한 손가락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포인터 및 라디오 메인 윈도 이미지들 중에서 원하는 화상부를 선택하고, 해당 선택한 화상부를 조작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JP2011―118857 A
본 발명자의 분석에 따르면, 특허 문헌 1과 같은 조작 장치에서는 라디오 메인 윈도 이미지보다도 더 아래의 계층에 포함되는 포인터를 조작하기 위해 터치 패드부에 손가락을 접촉시킬 필요가 발생한다. 이때, 터치 패드부에 손가락이 도달하기 전에 그 도중에 해당 패드부에 손가락을 근접시키는 조작이 발생해 버린다. 그러면,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라디오 메인 윈도 이미지를 다른 기기의 메인 등으로 천이시켜 버리는 일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메인 윈도 이미지가 잘못하여 전환되어 버리면, 이러한 이유에 의해 조작자는 해당 기기로의 입력을 대폭으로 다시 하게 되어, 현저히 장치의 조작성이 손상되어 버린다는 기술 과제를 본 발명자는 발견했다.
본 개시의 목적은 표시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상부의 조작에 대해, 높은 조작성을 획득할 수 있는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제 1 관점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체에 의한 입력이 조작부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조작 장치로서, 조작부를 따라서 조작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섹션과, 조작부로부터 조작체까지의 조작체 거리에 따라서 증감하는 계측값을 취득하는 취득 섹션과, 취득 섹션에 의하여 취득된 계측값에 기초하여 조작체 거리가 미리 규정된 한계값 거리 미만인 경우에, 화상부로서의 제 1 화상부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키는 제 1 화상 제어에 검출 섹션에 의하여 검출되는 이동 조작을 관련시키고, 조작체 거리가 한계값 거리를 넘는 경우에, 제 1 화상부와는 다른 화상부로서의 제 2 화상부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키는 제 2 화상 제어에 검출 섹션에 의하여 검출되는 이동 조작을 관련시키는 관련지음 섹션과, 조작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특정한 조작을 인가 조작으로서 미리 기억하고, 인가 조작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인가 조작 판정 섹션과, 이동 조작과 제 2 화상 제어의 관련지음 섹션에 의한 관련지음을 금지하는 금지 모드와, 해당 관련지음을 허가하는 허가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 섹션으로서, 금지 모드인 경우에, 인가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인가 조작 판정 섹션에 의하여 판정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해당 금지 모드로부터 허가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섹션을 구비하는 조작 장치로 한다.
이 개시에 따르면, 조작체에 의한 특정한 인가 조작이 이 조작 장치에 대하여 이루어지기까지 모드 전환 섹션은 표시부 상에서 제 2 화상부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키는 제 2 화상 제어와 조작체에 의한 이동 조작의 관련지음을 금지하는 금지 모드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작체에 의한 이동 조작과 제 2 화상 제어의 관련지음이 중단되는 것에 따르면, 제 1 화상부를 조작하고자 할 때에, 한계값 거리 미만으로 되기까지 조작체를 조작부에 근접시키는 동작이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제 2 화상 제어에 관련지어지는 사태는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조작체에 의한 인가 조작이 조작 장치에 대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모드 전환 섹션은 제 2 화상 제어와 조작체에 의한 이동 조작의 관련지음을 허가하는 허가 모드로, 금지 모드로부터 전환한다. 이렇게 하여 조작체에 의한 이동 조작과 제 2 화상 제어의 관련지음이 개시됨으로써 조작자는 조작체에 의한 조작을 계속한 채, 제 1 화상부 및 제 2 화상부 중에서 원하는 한쪽을 선택한 후에, 이 선택한 한쪽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원하는 화상부를 조작하는 조작의 번잡화가 회피되는 것과 함께, 조작자의 의도하지 않은 화상부의 이동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부의 조작에 대해, 조작성이 우수한 조작 장치의 제공이 실현된다.
본 개시의 제 2 관점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체에 의한 입력이 조작부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조작 장치로서, 조작부를 따라서 조작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조작을 검출하고, 또한 해당 이동 조작이 조작체를 조작부에 접촉시킨 상태로 이루어지는 접촉 조작 및 조작부로부터 이간시킨 상태로 이루어지는 공중 조작 중 어느 하나인지를 결정하는 검출 섹션과, 검출 섹션에 의해 검출된 접촉 조작 및 공중 조작을 서로 다른 화상부의 제어에 관련시키는 관련지음 섹션과, 조작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특정한 조작을 인가 조작으로서 미리 기억하고, 인가 조작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섹션과, 판정 섹션에 의해 인가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정된 경우에, 공중 조작과 화상부의 제어의 관련지음을 허가하는 허가 모드로 하고, 인가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 관련지음을 금지하는 금지 모드로 하는 모드 전환 섹션을 구비하는 조작 장치로 한다.
이 개시에 따르면, 조작체에 의한 특정한 인가 조작이 이 조작 장치에 대해 이루어지기까지 모드 전환 섹션은 공중 조작의 수용을 금지하는 금지 모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접촉 조작을 실시할 때에 조작 판단 섹션에 의하여 접촉 조작으로 판단되기까지 조작체를 조작면에 근접시키는 이동이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공중 조작으로서 수용되는 사태는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조작체에 의한 인가 조작이 조작 장치에 대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모드 전환 섹션은 공중 조작의 수용의 허가를 실시하는 허가 모드로 금지 모드로부터 전환한다. 이렇게 하여 조작체에 의한 공중 조작의 수용이 개시됨으로써 조작자는 조작체에 의한 조작을 계속한 채로 접촉 조작 및 공중 조작에 각각 관련지어진 각 화상부 중에서 원하는 한쪽을 선택한 후에, 이 선택한 한쪽을 조작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원하는 화상부를 조작하는 조작의 번잡화가 회피되는 것과 함께, 조작자의 의도하지 않은 화상부의 이동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표시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상부의 조작에 대해, 조작성이 우수한 조작 장치의 제공이 실현된다.
본 개시의 제 3 관점은, 조작체에 의한 조작부로의 입력에 기초하는 신호를,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섹션이 취득하게 함으로써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부의 조작체에 의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 장치로서, 조작부에 대한 조작체의 상대 위치를 3차원 방향의 입력 위치 좌표로서 검출하는 검출 섹션과, 검출 섹션에 의하여 검출되는 입력 위치 좌표 중, 조작부 및 조작체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z축 방향의 좌표를 나타내는 값이 미리 규정된 한계값을 넘고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 섹션에서 제어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부를 전환시키는 화상부 전환 섹션과, 조작체의 이동에 동반하여 변화하는 입력 위치 좌표에 대하여, 그 변화의 전후에 있어서의 2점의 z축 방향의 좌표를 나타내는 값이 한계값을 교차해서 변화한 것에 기초하여 입력 위치 좌표를 나타내는 신호를 표시 제어 섹션이 취득하게 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취득 결정 섹션과, 취득 결정 섹션에 의하여 신호의 취득을 허가하는 허가 결정이 이루어지기까지 표시 제어 섹션에 의한 신호의 취득을 중단시키고, 허가 결정이 이루어진 것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 섹션에 신호의 취득을 개시시키는 취득 제어 섹션을 구비하는 조작 장치로 한다.
또, 본 개시의 제 4 관점은, 조작체에 의한 조작부로의 입력에 기초하는 신호를,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섹션이 취득하게 함으로써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부의 조작체에 의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 장치로서, 조작부에 대한 조작체의 상대 위치를 3차원 방향의 입력 위치 좌표로서 검출하는 검출 섹션과, 검출 섹션에 의하여 검출되는 입력 위치 좌표 중, 조작부 및 조작체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z축 방향의 좌표를 나타내는 값이 미리 규정된 한계값을 넘고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 섹션에서 제어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부를 전환시키는 화상부 전환 섹션과, 조작체의 이동에 동반하여 변화하는 입력 위치 좌표에 대하여, 그 변화의 전후에 있어서의 2점의 z축 방향의 좌표를 나타내는 값이 한계값을 교차해서 변화한 것에 기초하여 입력 위치 좌표를 나타내는 신호를 표시 제어 섹션에 출력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출력 결정 섹션과, 출력 결정 섹션에 의하여 신호의 출력을 허가하는 허가 결정이 이루어지기까지 표시 제어 섹션으로의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허가 결정이 이루어진 것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 섹션으로의 신호의 출력을 개시하는 출력 제어 섹션을 구비하는 조작 장치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제 5 관점은, 조작체에 의한 조작부로의 입력에 기초하는 신호를,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섹션이 취득하게 함으로써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부의 조작체에 의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 장치로서, 조작부에 대한 조작체의 상대 위치를 3차원 방향의 입력 위치 좌표로서 검출하는 검출 섹션과, 검출 섹션에 의하여 검출되는 입력 위치 좌표 중, 조작부 및 조작체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z축 방향의 좌표를 나타내는 값이 미리 규정된 한계값을 넘고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 섹션에서 제어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부를 전환시키는 화상부 전환 섹션과, 조작체의 이동에 동반하여 변화하는 입력 위치 좌표에 대하여, 그 변화의 전후에 있어서의 2점의 z축 방향의 좌표를 나타내는 값이 한계값을 교차해서 변환한 것에 기초하여 입력 위치 좌표에 기초하는 화상부의 제어를 표시 제어 섹션에 실시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실시 결정 섹션과, 실시 결정 섹션에 의하여 화상부의 제어를 허가하는 허가 결정이 이루어지기까지 표시 제어 섹션에 의한 화상부의 제어를 중단시키고, 허가 결정이 이루어진 것에 기초하여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부의 제어를 표시 제어 섹션에 개시시키는 실시 제어 섹션을 구비하는 조작 장치로 한다.
그리고 본 개시의 제 6 관점은, 표시부에 송출되는 표시 화상을 묘화(drawing)하는 표시 제어 섹션에 접속되어, 조작체에 의한 조작부로의 입력에 의하여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화상부의 조작이 가능한 조작 장치로서, 조작부로의 조작체의 접촉 상태 및 근접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섹션과, 검출 섹션에 의하여 접촉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는, 해당 접촉 상태에 대응하는 제 1 화상부가 포함되는 표시 화상을 표시 제어 섹션으로부터 표시부에 송출시키고, 검출 섹션에 의하여 근접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는, 해당 근접 상태에 대응한 제 2 화상부를 포함하는 표시 화상을 표시 제어 섹션으로부터 표시부에 송출시키는 송출 제어 섹션과, 검출 섹션에 의하여 검출되는 조작체가 근접 상태로부터 접촉 상태를 향하는 상태 천이 중인 경우에, 표시 화상으로의 제 3 화상부의 묘화를 표시 제어 섹션에 금지시키는 묘화 제어 섹션을 구비하는 조작 장치로 한다.
이들의 개시에서도 조작체를 조작부에 근접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화상부가 조작되어 버리는 사태는 회피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 3 관점에서는, 허가 결정이 이루어지기까지 표시 제어 섹션에 의한 신호의 취득이 중단된다. 따라서, 화상부는 조작체를 조작부에 근접시키는 동작에 의해서는 조작되지 않는다.
또, 제 4 관점에서는, 허가 결정이 이루어지기까지 표시 제어 섹션으로의 신호의 출력이 중단된다. 또한, 제 5 관점에서는, 허가 결정이 이루어지기까지 표시 제어 섹션에 있어서의 화상부의 제어가 중단된다. 이들에 의해서도 마찬가지로, 화상부는 조작체를 조작부에 근접시키는 동작에 의해서는 조작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 6 관점에서는, 조작체가 근접 상태로부터 접촉 상태를 향하는 상태 천이 중인 경우에는, 표시 제어 섹션에 의한 표시 화상으로의 제 2 화상부의 묘화가 금지된다. 이와 같이, 제 2 화상부의 묘화 자체를 일단 금지하는 것에 의해서도 조작체를 조작부에 근접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제 2 화상부가 조작되어 버리는 사태는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개시의 제 7 관점과 같이, 금지 모드가 설정된 경우, 한계값 거리에 불구하고, 조작체에 의한 입력에 의하여 제 2 화상의 표시 양태가 변화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해도 좋다.
또, 본 개시의 제 8 관점과 같이, 조작부로부터 조작체까지의 거리가 한계값을 넘고 있는 경우에는, 조작체에 의한 입력을 화상부의 표시 양태에 반영하지 않는 금지 모드를 설정하고, 인가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조작부로부터 조작체까지의 거리가 한계값을 넘고 있는 경우이어도 조작체에 의한 입력을 상기 화상부의 표시 양태에 반영하는 허가 모드를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 본 개시의 제 9 관점과 같이, 조작부로부터 조작체까지의 거리가 사전에 결정된 거리를 넘고 있는 경우와 넘고 있지 않은 경우에서 화상부의 표시 양태의 전환에 변화를 주지 않는 제 1 모드로부터, 조작부로부터 조작체까지의 거리가 사전에 결정된 거리를 넘고 있는 경우와 넘고 있지 않은 경우에서 화상부의 표시 양태의 전환에 변화를 주는 제 2 모드로 조작체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모드 전환을 실시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본 개시에 대해서의 상기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이나 잇점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상세한 기술에 의해 보다 명확해진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원격 조작 장치를 구비한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표시 스크린 및 조작면의 차실내에서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표시 스크린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묘화 레이어의 중첩에 의하여 표시 화상이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원격 조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원격 조작 장치에 있어서, 조작면으로부터 손가락까지의 조작체 거리에 의해 손가락의 이동과 관련지어지는 화상부가 전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조작자에 의한 일련의 아이콘 선택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원격 조작 장치에 있어서, 조작 제어 회로에 의해 실시되는 메인 처리가 나타나는 흐름도이고,
도 9는 제 1 실시 형태의 조작 제어 회로에 의해 실시되는 터치 센서 입력 처리가 나타나는 흐름도이고,
도 10은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원격 조작 장치에 있어서, 터치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감도값과, 조작 제어 회로에 의해 판정되는 조작 상태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제 1 실시 형태의 조작 제어 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각 감도 한계값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제 1 실시 형태의 조작 제어 회로에 의해 실시되는 조작 레이어 판정 처리가 나타나는 흐름도이고,
도 13은 제 1 실시 형태의 조작 제어 회로에 의해 실시되는 조작 인가 판정 처리가 나타나는 흐름도이고,
도 14는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원격 조작 장치에 있어서, 조작면으로부터 손가락까지의 조작체 거리에 의해 손가락의 이동과 관련지어지는 화상부가 전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조작자에 의한 일련의 아이콘 선택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제 2 실시 형태의 조작 제어 회로에 의해 실시되는 터치 센서 입력 처리가 나타나는 흐름도이고,
도 17은 제 2 실시 형태의 조작 제어 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정차 중 및 주행 중의 각 감도 한계값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제 2 실시 형태의 조작 제어 회로에 의해 실시되는 조작 레이어 판정 처리가 나타나는 흐름도이고,
도 19는 제 2 실시 형태의 조작 제어 회로에 의해 실시되는 조작 인가 판정 처리가 나타나는 흐름도이고,
도 20은 제 3 실시 형태에 의한 원격 조작 장치에 있어서, 조작면으로부터 손가락까지의 조작체 거리에 의해 손가락의 이동과 관련지어지는 화상부가 전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1은 제 3 실시 형태에 의한 원격 조작 장치에 있어서, 터치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감도값과, 조작 제어 회로에 의해 판정되는 조작 상태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2는 제 3 실시 형태의 조작 제어 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제 1, 제 2 감도 한계값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3은 제 3 실시 형태의 조작 제어회로에 의해 실시되는 터치 센서 입력 처리가 나타나는 흐름도이고,
도 24는 제 3 실시 형태의 조작 제어 회로에 의해 실시되는 조작 인가 판정 처리가 나타나는 흐름도이고,
도 25는 제 4 실시 형태의 조작 제어 회로에 의해 실시되는 조작 인가 판정 처리가 나타나는 흐름도이고,
도 26은 제 5 실시 형태의 조작 제어 회로에 의해 실시되는 조작 인가 판정 처리가 나타나는 흐름도이고,
도 27은 제 6 실시 형태의 조작 제어 회로에 의해 실시되는 조작 인가 판정 처리가 나타나는 흐름도이고,
도 28은 제 7 실시 형태의 차량의 센터 콘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9는 제 7 실시 형태의 센터 콘솔의 단면도이고,
도 30은 제 7 실시 형태의 센터 콘솔에 설치된 LCD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와, 해당 LCD를 조작하고자 하고 있는 조작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1은 제 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회로에서 실행하는 판정 내용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2는 제 7 실시 형태의 센터 콘솔의 단면도에 있어서, 조작체와 터치 센서가 제 2 한계 거리보다도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3은 제 7 실시 형태의 센터 콘솔의 단면도에 있어서, 조작체와 터치 센서가 제 2 한계 거리보다도 가깝고, 제 1 한계 거리보다도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4는 제 7 실시 형태의 센터 콘솔의 단면도에 있어서, 조작체와 터치 센서가 제 1 한계 거리보다도 가까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복수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구성의 일부분만을 설명하고 있는 경우, 해당 구성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선행하여 설명한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또, 각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명시하고 있는 구성의 조합뿐만 아니라, 특별히 조합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명시하고 있지 않아도 복수의 실시 형태의 구성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할 수 있다.
(제 1 실시 형태)
본 개시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원격 조작 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차량에 탑재되어, 내비게이션 장치(50) 등과 함께 표시 시스템(10)을 구성하고 있다. 원격 조작 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터치 센서(31)를 갖고 있으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터치 센서(31)의 표면은 조작자의 손가락이 조작되는 터치면(32)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터치면(32)에 인접하여 푸쉬 스위치(35)가 배치되어 있다.
원격 조작 장치(100)는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센터 콘솔에서 팜 레스트(palm rest; 39)와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조작자의 손이 닿기 쉬운 범위에 조작면(32)을 노출시키고 있다. 내비게이션 장치(50)는 조작자로부터 육안 인식되도록 표시 스크린(52)이 노출되고, 또한 표시 스크린(52)이 운전석을 향한 자세로 되도록,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설치되어 있다. 표시 시스템(10)은 여러 가지 표시 화상(60)을 표시 스크린(52)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도 3에 나타나는 표시 화상(60)은 표시 스크린(52)에 표시되는 복수의 표시 화상 중의 하나이고, 조작자에 의하여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내비게이션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표시 화상(60)에는 사전에 결정된 기능이 관련지어진 복수의 아이콘(63), 아이콘(63)을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62) 및 차량 주변의 도로의 형태를 나타내는 맵(64) 등의 복수의 화상부(61)가 포함되어 있다. 덧붙여서, 표시 화상(60)에는 포인터(62)가 중첩된 아이콘(63)을 강조하는 포커스(66)도 포함되어 있다. 표시 스크린(52) 상에서 포인터(62) 및 포커스(66)가 표시되는 위치는 조작면(32)에 있어서의 조작자의 현재의 손가락 조작 위치에 대응해 있다. 또한, 포인터(62)의 표시를 생략하고, 조작자의 손가락의 위치에 맞추어서 포커스(66)를 포인터(62) 대신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상의 표시 화상(60)은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맵(64)이 묘화되는 맵 레이어(L2), 아이콘(63) 등이 묘화되는 오브젝트 레이어(L3) 및 포인터(62)가 묘화되는 포인터 레이어(L1)를 포함하는 복수의 묘화 레이어를 중첩시켜서 구성되어 있다. 각 레이어(L1∼L3)의 크기는 표시 스크린(52)의 크기에 맞추어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원격 조작 장치(100) 및 내비게이션 장치(50)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격 조작 장치(10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버스(90) 및 외부의 배터리(95) 등과 접속되어 있다. CAN버스(90)는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차량 적재 장치를 상호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차내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각 차량 적재 장치 간에서의 데이터의 전송에 이용되는 전송로이다. 원격 조작 장치(100)는 CAN버스(90)를 통하여 이격하여 위치하는 내비게이션 장치(50)와 통신 가능하다.
원격 조작 장치(100)는 전원 인터페이스(21, 22), 통신 제어 회로(23), 통신 인터페이스(24), 터치 센서(31), 푸쉬 스위치(35) 및 조작 제어 회로(33)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전원 인터페이스(21, 22)는 배터리(95)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안정화하여 조작 제어 회로(33)에 공급한다. 한쪽의 전원 인터페이스(21)에는 배터리(95)로부터 항상 전력이 공급되고 있다. 다른쪽의 전원 인터페이스(22)에는 차량의 액세서리(ACC) 전원이 온(ON)상태로 된 것에 기초하여 스위치(93)가 통전 상태로 됨으로써 배터리(95)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통신 제어 회로(23) 및 통신 인터페이스(24)는 조작 제어 회로(33)에 의하여 처리된 정보를 CAN버스(90)에 출력하는 것과 함께, 다른 차량 적재 장치로부터 CAN버스(90)로 출력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 제어 회로(23) 및 통신 인터페이스(24)는 송신용의 신호선(TX) 및 수신용의 신호선(RX)에 의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도 1, 2,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센서(31)는 정전 용량식으로서, 직사각형의 평판상으로 형성된 상기의 조작면(32)에 대한 손가락(F)에 의한 조작을 검출한다. 터치 센서(31)는 x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전극과 y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전극이 격자상으로 배열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전극은 조작 제어 회로(33)와 접속되어 있다. 터치 센서(31)는 조작면(32)을 형성하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절연 시트에 의하여 덮여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작면(32)의 x좌표, y좌표, 또는 z좌표 방향의 조작자의 손가락(F)의 조작에 의해 표시 스크린(52)에 표시되는 화상부(61)(도 3 참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푸쉬 스위치(35)는 조작면(32)을 사이에 두고 팜 레스트(39)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자의 손가락(F)으로 푸쉬 스위치(35)를 압압(押壓) 조작함으로써 표시 스크린(52)에 표시되는 아이콘(63)(도 3 참조)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조작 제어 회로(33)는 각종 연산 처리를 실시하는 프로세서, 연산 처리의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하는 RAM 및 연산 처리에 이용되는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 플래시 메모리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조작 제어 회로(33)는 각 전원 인터페이스(21, 22), 통신 제어 회로(23), 터치 센서(31) 및 푸쉬 스위치(35) 등과 접속되어 있다.
도 1, 2,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제어 회로(33)는 사전에 결정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터치 센서(31)의 각 전극의 전위를 계측함으로써 해당 센서(31)의 계측값으로서의 감도값을 취득한다. 조작자의 손가락(F)이 조작면(32)에 근접 또는 접촉하는 경우에는, 절연 시트를 사이에 두고 전극과 손가락(F)의 사이에 전하가 축적된다. 조작 제어 회로(33)는 조작면(32)에 근접 또는 접촉해 있는 손가락(F)의 상대적인 조작 위치(이하, “상대 위치”라 한다)를 나타내는 x좌표 및 y좌표, 또한 조작면(32)으로부터 손가락(F)까지의 거리(이하, “조작체 거리(d)”라 한다, 도 6a 참조)에 상당하는 z좌표를, 각 전극에 축적된 전하량에 따라서 값이 바뀌는 감도값에 기초하는 산출 처리에 의하여 검출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감도값은 조작체 거리(d)가 짧아짐에 따라서 감소하고, 조작체 거리(d)가 길어짐에 따라서 증가한다.
또, 조작 제어 회로(33)는 조작자가 손가락(F)에 의하여 실시하는 푸쉬 스위치(35)로의 압압 조작을 검지한다. 그리고 조작 제어 회로(33)는 손가락(F)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및 푸쉬 스위치(35)로의 압압 조작의 유무를 통신 제어 회로(23) 및 통신 인터페이스(24)를 통하여 CAN버스(90)에 출력한다.
도 1, 2에 나타낸 내비게이션 장치(50)는 원격 조작 장치(100) 등과 통신할 수 있도록 CAN버스(90)와 접속되어 있으며, 표시 제어 회로(53) 및 액정 디스플레이(51)를 갖고 있다. 표시 제어 회로(53)는 각종 연산 처리를 실시하는 프로세서, 연산 처리의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하는 RAM, 화상의 묘화 처리를 실시하는 그래픽 프로세서, 묘화 처리의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하는 그래픽 RAM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표시 제어 회로(53)는 연산 처리 및 묘화 처리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 CAN버스(90)와 접속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묘화한 화상 데이터를 액정 디스플레이(51)에 출력하는 영상 출력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다. 표시 제어 회로(53)는 CAN버스(90)로부터 취득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스크린(52)에 표시하는 표시 화상(60)을 묘화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 회로(53)는 묘화한 표시 화상(60)의 화상 데이터를 영상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액정 디스플레이(51)에 차례 차례 출력한다.
액정 디스플레이(51)는 표시 스크린(52)에 배열된 복수의 화소를 제어함으로써 컬러 표시를 실현하는 도트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기이다. 액정 디스플레이(51)는 표시 제어 회로(53)로부터 차례 차례 취득하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 스크린(52)에 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이상의 표시 시스템(10)에서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체 거리(d)(도 6a 참조)가 미리 규정된 제 1 한계값 거리(Dth1) 미만인 경우, xy평면을 따라서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조작은 포인터(62)를 이동시키는 포인터 제어에 관련지어 진다. 한편,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체 거리(d)가 제 1 한계값 거리(Dth1)를 넘고, 또한 제 1 한계값 거리(Dth1)보다도 긴 제 2 한계값 거리(Dth2) 미만인 경우, xy평면을 따라서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조작은 맵(64)을 이동시키는 맵 제어에 관련지어진다.
상기의 관련지음에 있어서 전환에 이용되는 제 1 한계값 거리(Dth1)는 예를 들면, 0. 5∼1㎝ 정도로 설정되고, 제 2 한계값 거리(Dth2)는 예를 들면, 2∼3㎝ 정도로 설정된다.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한계값 거리에 기초하여 다음의 (1)∼(3)의 정의를 한다.
(1) 조작면(32)으로부터 제 1 한계값 거리(Dth1)까지의 사이에 포함되는 공간을 접촉 조작 영역으로 하고, 해당 접촉 조작 영역에 손가락(F)이 위치하는 조작 상태를 “접촉 조작 중”이라 부르고, 제 1 한계값 거리(Dth1) 미만으로 입력되는 포인터(62)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을 “접촉 조작”으로 정의한다. 요컨대, 손가락(F)이 터치 센서(31)의 조작면(32)에 직접 접촉해 있는 상태에 추가하여 조작면(32)으로부터 제 1 한계값 거리(Dth1)(예를 들면, 0. 5∼1㎝ 정도)까지 떠 있는 상태도 “접촉 조작”으로 정의한다.
(2) 제 1 한계값 거리(Dth1)로부터 제 2 한계값 거리(Dth2)까지의 사이에 포함되는 공간을 공중 조작 영역이라 부르고, 해당 공중 조작 영역에 손가락(F)이 위치하는 조작 상태를 “공중 조작 중”으로 정의한다. 제 1 한계값 거리(Dth1)를 넘고, 또한 제 2 한계값 거리(Dth2) 미만(공중 조작 영역을 포함한다)으로 입력되는 맵(64)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을 “공중 조작”으로 정의한다.
(3) 제 2 한계값 거리(Dth2)보다도 조작면(32)으로부터 이간한 공간을 비근접 영역으로 하고, 해당 비근접 영역에 손가락(F)이 위치하는 조작 상태를 “비근접 중”으로 정의한다.
또한, 표시 시스템(10)에서는 손가락(F)의 조작과 관련지어지는 화상부(62, 64)의 빈번한 변경을 회피하기 위해, 제 1 한계값 거리(Dth1) 및 제 2 한계값 거리(Dth2)의 각각에 히스테리시스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히 기재하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 조작 영역 내에 있어서의 손가락(F)의 이동 조작, 즉, 접촉 조작을 포인터 제어에 관련시키면, 조작 제어 회로(33)(도 1 참조)는 제 1 한계값 거리(Dth1)를 그때까지의 거리(이하, “상한측 제 1 한계값 거리(Dth1U)”라 한다)로부터 하한측 제 1 한계값 거리(Dth1D)로 연장한다. 또한, 조작 제어 회로(33)는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중 조작 영역에 있어서의 손가락(F)에 의한 이동 조작, 즉, 공중 조작을 맵 제어에 관련시키면, 제 2 한계값 거리(Dth2)를 그때까지의 거리(이하, “상한측 제 2 한계값 거리(Dth2U)”라 한다)로부터 하한측 제 2 한계값 거리(Dth2D)로 연장한다.
또, 조작 제어 회로(33)(도 1 참조)는 손가락(F)에 의한 조작과 맵 제어의 관련지음을 금지하는 금지 모드와, 해당 관련지음을 허가하는 허가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조작 인가가 금지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중 조작 영역에 있는 손가락(F)이 해당 영역 내를 이동했다고 해도 표시 화상(60)에 포함되는 각 화상부(62∼64)는 실질적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제어 회로(33)(도 1 참조)에는 제 1 한계값 거리(Dth1)보다도 조작면(32)에 손가락(F)을 근접시키는 조작이 금지 모드로부터 허가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인가 조작으로서 미리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근접 영역으로부터 접촉 조작 영역 내로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조작에 의해 조작 인가는 금지 모드로부터 허가 모드로 전환된다. 바꾸어 말하면, 일단 터치 센서(31)의 조작면(32)에 손가락을 접촉시키면, 금지 모드로부터 허가 모드로 전환된다.
여기까지 설명한 표시 시스템(10)에 있어서, 조작자가 임의의 아이콘(63)을 선택하기까지의 일련의 아이콘 선택 조작을 도 7에 기초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도 7a는 조작면(32)을 향하여 손가락(F)을 접근시키는 동작을 조작자가 개시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이콘 선택 조작을 개시하고자 하는 조작자는 예를 들면, ACC전원의 온 상태로의 전환 조작 및 운전 조작 등을 위해, 조작면(32)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시키고 있던 손가락(F)을 우선 조작면(32)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도 7a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조작면(32)으로부터 손가락(F)까지의 조작체 거리(d)는 상한측 제 2 한계값 거리(Dth2U)를 넘고 있다. 이와 같이, 손가락(F)이 비근접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표시 스크린(52)의 맵(64) 및 포인터(62)에 대해 손가락(F)의 이동과 관련된 이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7b는 조작체 거리(d)가 상한측 제 2 한계값 거리(Dth2U) 미만으로 되도록 도 7a의 비근접 영역으로부터 공중 조작 영역으로 손가락(F)을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b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조작 인가는 금지 모드로 된 상태이다. 따라서, 조작체 거리(d)가 상한측 제 1 한계값 거리(Dth1U)를 넘고, 또한 하한측 제 2 한계값 거리(Dth2D) 미만이었다고 해도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공중 조작과 맵 제어의 관련지음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조작자는 조작면(32)을 따라서 손가락(F)을 이동시켰다고 해도 표시 스크린(52)의 맵(64)을 이동시킬 수 없다. 바꾸어 말하면, 조작자의 의도하지 않은 손가락(F)의 이동이 있었다고 해도 맵(64)의 이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7c는 조작체 거리(d)(도 7b 참조)가 상한측 제 1 한계값 거리(Dth1U) 미만으로 되도록 도 7b의 공중 조작 영역으로부터 접촉 조작 영역으로 손가락(F)을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c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조작체 거리(d)가 하한측 제 1 한계값 거리(Dth1D) 미만인 것에 기초하여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접촉 조작이 포인터 제어와 관련지어진다. 그 때문에, 조작자는 xy평면을 따라서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접촉 조작에 의해 포인터(62)를 원격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자는 임의의 아이콘(63)에 포인터(62)를 중첩시켜서 푸쉬 스위치(35)(도 5 참조)의 압압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해당 아이콘(63)을 선택할 수 있다. 덧붙여서, 상한측 제 1 한계값 거리(Dth1U)보다도 조작면(32)에 손가락(F)을 근접시키는 조작은 상기한 바와 같이, 금지 모드로부터 허가 모드로 전환되는 트리거로 되는 인가 조작으로서, 조작 제어 회로(33)(도 1 참조)에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도 7c에 나타낸 상태로 됨으로써 조작 인가가 실시된 것으로 되기 때문에 금지 모드로부터 허가 모드로 전환된다.
도 7d는 조작체 거리(d)가 하한측 제 1 한계값 거리(Dth1D)를 넘도록 도 7c의 접촉 조작 영역으로부터 공중 조작 영역으로 손가락(F)을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d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조작 인가는 허가 모드로 전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체 거리(d)가 상한측 제 1 한계값 거리(Dth1U)를 넘고, 또한 하한측 제 2 한계값 거리(Dth2D) 미만인 것에 기초하여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공중 조작이 수용되며, 이 때문에 조작자는 xy평면을 따라서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공중 조작에 의해 맵(64)을 원격 조작하여 임의의 아이콘(63)을 포인터(62)에 의해서 선택 용이한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공중 조작은 맵 제어와 관련지어진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임의의 아이콘(63)을 포함하는 맵(64)을 원격 조작한 조작자는 도 7d로부터 도 7c와 같이, 공중 조작 영역으로부터 접촉 조작 영역으로 손가락(F)을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접촉 조작이 포인터 제어와 관련지어지기 때문에 조작자는 포인터(62)를 원격 조작에 의하여 임의의 아이콘(63)에 중첩시켜서, 해당 아이콘(63)을 선택할 수 있다.
도 7c 및 도 7d에 나타낸 아이콘(63)의 선택 조작이 종료되면, 조작자는 도 7a와 같이, 조작체 거리(d)가 하한측 제 2 한계값 거리(Dth2D)를 넘는 위치까지 손가락(F)을 이간시킨다. 이에 따라, 조작 인가가 허가 모드로부터 금지 모드로 전환되는 것으로 원격 조작 장치(100)는 다음 회 이후의 조작자에 의한 아이콘 선택 조작을 대기하는 상태로 된다.
이상 설명한 아이콘 선택 조작을 실현하기 위해, 조작 제어 회로(33)에 의하여 실시되는 각 처리를 도 8∼도 13에 기초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나는 메인 처리는 차량의 ACC전원이 온 상태로 됨으로써 조작 제어 회로(33)(도 1 참조)에 의하여 개시된다.
여기에서, 이 출원에 기재되는 흐름도, 또는 흐름도의 처리는 복수의 섹션(또는 단계로 언급된다)으로 구성되고, 각 섹션은 예를 들면, S101으로 표현된다. 또한, 각 섹션은 복수의 서브 섹션으로 분할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섹션이 합쳐져서 하나의 섹션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각 섹션은 디바이스, 모듈, 수단으로서 언급될 수 있다. 또, 상기 복수의 섹션의 각각 또는 조합된 것은 (ⅰ) 하드웨어 유닛(예를 들면, 컴퓨터)과 조합된 소프트웨어의 섹션뿐만 아니라, (ⅱ) 하드웨어(예를 들면, 집적 회로, 배선 논리 회로)의 섹션으로서, 관련되는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의 섹션은 마이크로컴퓨터의 내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
S101에서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초기화 처리를 실시하고, S102로 진행한다. S102에서는 조작 인가를 금지 모드로 설정하고, S103로 진행한다. S103에서는 차량의 ACC전원이 온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103에서 ACC전원이 온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 S108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S108에서 출력을 정지시키기 위한 종료 전 처리를 실시한 후, 메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103에서 ACC전원이 온 상태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S104로 진행한다. S104에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할 터치 센서 입력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손가락(F)에 의한 조작면(32)으로의 조작 상태가 “접촉 조작 중”, “공중 조작 중” 및 “비근접 중” 중 어느 하나인가를 갱신 및 취득하고, S105로 진행한다. 덧붙여서, S104에 있어서, 조작 상태가 “접촉 조작 중” 또는 “공중 조작 중”인 경우, 조작면(32)에 대한 손가락(F)의 상대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를 취득한다. S105에서는 푸쉬 스위치 입력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손가락(F)에 의한 푸쉬 스위치(35)로의 조작의 유무를 갱신 및 취득하고, S106로 진행한다.
S106에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할 조작 레이어 판정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조작의 대상으로 되는 묘화 레이어(이하, “선택 레이어”라 한다)가 각 레이어(L1∼L3) 중 어느 하나인가를 갱신 및 취득하고, S107으로 진행한다. 이 선택 레이어는 손가락(F)에 의한 조작을 관련시키는 화상부(61)를 포함하는 레이어이다.
S107에서는 통신 제어 처리에 의해 S104∼S106에서 취득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CAN버스(90)에 출력하고, S103로 되돌아간다. 이 S107에서 출력되는 정보에는 손가락(F)의 상대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 푸쉬 스위치(35)로의 조작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 선택 레이어를 나타내는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ACC전원의 온 상태가 계속되는 동안은 S104∼S107의 처리를 반복한다.
표시 제어 회로(53)는 반복되는 S107에서 조작 제어 회로(33)로부터 출력되는 각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CAN버스(90)로부터 취득한다. 상세히 기재하면, 표시 제어 회로(53)는 선택 레이어를 나타내는 레이어 지정 신호에 기초하여 조작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부(61)를 결정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 회로(53)는 손가락(F)의 상대 위치, 즉, 3차원 방향의 입력 위치 좌표를 나타내는 좌표 신호에 따라서 조작의 대상으로 한 화상부(61)를 묘화하는 위치를 변경한다.
다음으로, S104에서 실시되는 터치 센서 입력 처리의 상세를 도 9∼11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S121에서는 터치 센서(31)의 각 전극에서 검출되는 감도값을 취득하는 취득 처리를 실시하고, S122로 진행한다. S122에서는 S121에서 취득되는 감도값으로부터 조작면(32)에 대한 손가락(F)의 상대 위치를 나타내는 x좌표, y좌표 및 z좌표의 계산 처리를 실시하고, 손가락(F)에 의한 조작이 접촉 조작 및 공중 조작에 해당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S123로 진행한다.
이상의 S122에서 실시되는 계산 처리의 상세를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감도값은 조작면(32)과 손가락(F)의 사이에 축적되는 정전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커지는 값이다. 따라서, 감도값이 최대로 되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좌표는 조작면(32)에 대한 손가락(F)의 상대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로 된다. 덧붙여서, 최대로 되는 감도값은 조작체 거리(d), 나아가서는 z축 방향의 좌표에 대응한다(도 6c 참조).
또, 조작 제어 회로(33)(도 1 참조)에는 도 11에 나타낸 도면과 같이, 상한측 및 하한측의 제 1 한계값 거리(Dth1U, Dth1D)에 각각 대응하는 상한측 및 하한측의 감도 한계값(Hth1U, Hth1D)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한, 조작 제어 회로(33)에는 상한측 및 하한측의 제 2 한계값 거리(Dth2U, Dth2D)에 각각 대응하는 상한측 및 하한측의 감도 한계값(Hth2U, Hth2D)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도 9의 S123 이후의 처리에 있어서, 조작 제어 회로(33)는 S122에서 취득된 최대의 감도값을 각 감도 한계값(Hth1U∼Hth2D)과 비교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S123에서는 전회까지의 터치 센서 입력 처리에 의한 조작 상태가 접촉 조작 중이 아니고, 또한 S121에서 취득한 감도값의 최대가 상한측 제 1 감도 한계값(Hth1U)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123에서 긍정 판정을 한 경우, S124로 진행하고, 조작 상태를 접촉 조작 중으로 갱신하여 터치 센서 입력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손가락(F)이 상한측 제 1 한계값 거리(Dth1U)를 교차해서 조작면(32)에 근접한 경우에는, 조작 상태는 접촉 조작 중으로 갱신된다.
S123에서 부정 판정을 한 경우의 S125에서는 이하의 2가지의 조건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첫번째의 조건은 전회까지의 터치 센서 입력 처리에 의한 조작 상태가 비근접 중이고, 또한 S121에서 취득한 감도값의 최대가 상한측 제 2 한계값(Hth2U) 이상인지의 여부라는 것이다. 두번째의 조건은 전회까지의 터치 센서 입력 처리에 의한 조작 상태가 접촉 조작 중이고, 또한 S121에서 취득한 감도값이 하한측 제 1 감도 한계값(Hth1D) 이하로서, 하한측 제 2 감도 한계값(Hth2D) 이상인가라는 것이다. 이들 2가지의 조건 중 어느 한쪽에 해당된 경우에는 S126로 진행하고, 조작 상태를 공중 조작 중으로 갱신하여 터치 센서 입력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손가락(F)이 하한측 제 1 한계값 거리(Dth1D)를 교차해서 조작면(32)으로부터 이간한 경우(도 7d 참조), 또는 손가락(F)이 상한측 제 2 한계값 거리(Dth2U)를 교차해서 조작면(32)에 근접한 경우에 조작 상태는 공중 조작 중으로 갱신된다.
S125에서 부정 판정을 한 경우의 S127에서는 전회까지의 터치 센서 입력 처리에 의한 조작 상태가 비근접 중은 아니고, 또한 S121에서 취득한 감도값의 최대가 하한측 제 2 감도 한계값(Hth2D)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127에서 긍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S128으로 진행하고, 조작 상태를 비근접 중으로 갱신하여 터치 센서 입력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하한측 제 2 한계값 거리(Dth2D)를 교차해서 손가락(F)이 조작면(32)으로부터 이간한 경우에 조작 상태는 비근접 중으로 갱신된다.
S127에서 부정 판정을 한 경우, 즉, S123, S125 및 S127의 조건 중 어느 하나에도 해당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회까지의 터치 센서 입력 처리에 의한 조작 상태를 유지한 채, 해당 입력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S106(도 8 참조)에서 실시되는 조작 레이어 판정 처리의 상세를 도 12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S141에서는 터치 센서 입력 처리(도 9 참조)에 의해 갱신되어 최신의 조작 상태를 취득하고, S142로 진행한다. S142에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할 조작 인가 판정 처리에 의하여 갱신 및 취득되는 조작 인가에 대해서의 정보를 취득하고, S143로 진행한다. S143에서는 S142에서 취득한 조작 인가가 허가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143에서 조작 인가가 금지 모드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S148으로 진행하고, 선택 레이어를 “없음”으로 하는 갱신을 실시하여 조작 레이어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S143에서 긍정 판정을 한 경우의 S144에서는 S141에서 취득한 조작 상태가 접촉 조작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144에서 긍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S145로 진행하고, 접촉 조작에 포인터 제어가 관련지어지도록 포인터 레이어(L1)를 선택 레이어로서 선택 및 갱신하여 조작 레이어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144에서 부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S146로 진행한다.
S146에서는 S141에서 취득한 조작 상태가 공중 조작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146에서 긍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S147으로 진행하고, 공중 조작에 맵 제어가 관련지어지도록 맵 레이어(L2)를 선택 레이어로서 선택 및 갱신하여 조작 레이어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146에서 부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S148으로 진행하고, 선택 레이어를 “없음”으로 하는 갱신을 실시하여 조작 레이어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상기의 S142에서 실시되는 조작 인가 판정 처리의 상세를 도 13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S161에서는 터치 센서 입력 처리(도 9 참조)에 의해 갱신된 최신의 조작 상태(도 9의 S124, S126, S128 참조)를 취득하고, S162로 진행한다. S162에서는 S161에서 취득한 조작 상태에 대해, 상기의 인가 조작, 즉, 비근접 중으로부터 접촉 조작 중으로의 변화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162에서 긍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S163로 진행한다. S163에서는 금지 모드로부터 허가 모드로 조작 인가를 전환하여 조작 인가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S162에서 부정 판정을 한 경우의 S164에서는 전회까지의 조작 인가 판정 처리에 의한 조작 인가가 허가 모드이고, 또한 S161에서 취득한 조작 상태가 비근접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164에서 긍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S165로 진행한다. S165에서는 허가 모드로부터 금지 모드로 조작 인가를 전환하여 조작 인가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S164 및 S165의 처리에 의해 접촉 조작 영역 및 공중 조작 영역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비근접 영역으로의 손가락(F)의 이동에 기초하여 조작 인가는 금지 모드로 되돌려진다. 한편, S164에서 부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전회까지의 조작 인가 판정 처리에 의한 조작 인가를 유지한 채, 해당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까지 설명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손가락(F)에 의한 인가 조작이 조작면(32)에 대해 이루어지기까지 조작 제어 회로(33)에 있어서의 조작 인가는 금지 모드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손가락(F)에 의한 공중 조작과 맵 제어의 관련지음이 중단됨으로써 포인터 제어를 실시할 때에 제 1 한계값 거리(Dth1) 미만으로 되기까지 손가락(F)을 조작면(32)에 근접시키는 중에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맵 제어에 관련지어진다는 사태는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접촉 조작 영역까지 손가락(F)을 조작면(32)에 근접시키는 조작이 조작면(32)에 대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작 인가는 금지 모드로부터 허가 모드로 전환된다. 이렇게 하여 손가락(F)에 의한 공중 조작과 맵 제어의 관련지음이 개시됨으로써 조작자는 조작면(32)에 대한 손가락(F)에 의한 조작을 계속한 채, 포인터(62) 및 맵(64)의 원하는 한쪽을 선택한 후에, 이 선택한 한쪽을 조작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원하는 화상부(61)를 이동시키는 조작의 번잡화가 회피되는 것과 함께, 조작자의 의도하지 않은 화상부(61)의 이동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표시 스크린(52)에 표시되는 화상부(61)의 조작에 대해, 조작성이 우수한 원격 조작 장치(100)의 제공이 실현된다.
덧붙여서,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터치 센서(31)는 조작면(32)으로부터 이간한 상태의 손가락(F)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센서(31)에 의하여 검출되는 감도값으로부터 조작 제어 회로(33)는 조작체 거리(d)를 취득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터치 센서(31) 및 조작 제어 회로(33)의 협동에 의해서 조작체 거리(d)를 취득함으로써 조작성이 우수한 원격 조작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복잡화를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한계값 거리(Dth1) 및 제 2 한계값 거리(Dth2)에는 함께 히스테리시스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부(61)에 대해, 조작자의 의도하지 않은 변경은 줄어들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원하는 화상부(61)를 이동시키는 조작에 대해서의 원격 조작 장치(100)의 조작성은 더욱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접촉 조작 영역까지 손가락(F)을 조작면(32)에 근접시키는 조작이 인가 조작으로서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한계값 거리(Dth1) 미만으로 되기까지 손가락(F)을 조작면(32)에 근접시키기까지는 금지 모드가 계속된다. 따라서, 도 6b와 같이, 포인터 제어를 실시하기 위해 손가락(F)을 조작면(32)에 접촉시키는 이동중에 도 6c와 같이, 손가락(F)을 근접시키는 상태가 존재해도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맵 제어(도 6c 참조)에 관련지어지는 사태는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원격 조작 장치(100)는 우수한 조작성을 확실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 덧붙여서 제 1 실시 형태의 표시 화상(60)은 복수의 묘화 레이어(L1∼L3)를 중첩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손가락(F)이 접촉 조작 영역에 있는 경우에, 포인터 레이어(L1)를 선택 레이어로 함으로써 손가락(F)에 의한 접촉 조작은 포인터 제어에 확실하게 관련지어질 수 있다. 한편, 손가락(F)이 공중 조작 영역에 있는 경우에, 맵 레이어(L2)를 선택 레이어로 함으로써 손가락(F)에 의한 공중 조작은 맵(64) 제어에 확실하게 관련지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복수의 묘화 레이어(L1∼L3) 중에서 조작의 대상으로 되는 1개를 선택 레이어로 함으로써 조작 대상으로 되는 화상부(61)를 조작체 거리(d)에 따라서 변경시키는 작동의 확실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터치 센서(31) 및 조작 제어 회로(33)가 “검출 섹션 또는 수단” 및 “취득 섹션 또는 취득 수단”에 상당하고, 조작 제어 회로(33)가 “조작 판단 섹션 또는 수단”, “관련지음 섹션 또는 수단”, “인가 조작 판정 섹션 또는 수단” 및 “모드 전환 섹션 또는 수단”에 상당한다. 표시 제어 회로(53)가 표시 제어 섹션 또는 수단에 상당한다. 조작면(32)이 “조작부”에 상당하고, 표시 스크린(52)이 “표시부”에 상당하고, 포인터(62)가 “제 1 화상부” 및 “포인터부”에 상당하고, 아이콘(63)이 “선택 화상 부분”에 상당하고, 맵(64)이 “제 2 화상부” 및 “비포인터부”에 상당하고, 포인터 레이어(L1)가 “제 1 화상 레이어”에 상당하고, 맵 레이어(L2)가 “제 2 화상 레이어”에 상당하고, 포인터 제어가 “제 1 화상 제어”에 상당하고, 맵 제어가 “제 2 화상 제어”에 상당하고, 원격 조작 장치(100)가 “조작 장치”에 상당하고, 감도값이 “계측값”에 상당하고, 조작자의 손가락(F)이 “조작체”에 상당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물론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 있어서, 일본어의 “수단”은 영어의 “means” 또는 “device”에 대응해 있다.
(제 2 실시 형태)
도 14∼19에 나타나는 본 개시의 제 2 실시 형태는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표시 시스템(210)에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체 거리(d)에 따라서 표시 화상(260)이 변화한다. 상세히 기재하면, 도 14a와 같이, 조작체 거리(d)가 제 1 한계값 거리(Dth1) 미만인 경우에는, 차량에 탑재된 공조 기기를 조정하기 위한 공조 메뉴 등의 후술하는 서브 메뉴 중의 하나인 상세 윈도 이미지가 표시 화상(260)으로서 표시 스크린(52)에 표시된다. 공조 메뉴에는 아이콘(63), 이 아이콘(63)을 선택하기 위한 직사각형 테두리상의 포커스(262) 및 이들 아이콘(63) 및 포커스(262)의 배경으로 되는 배경부(264) 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 조작 영역 내에서 xy평면을 따라서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접촉 조작은 포커스(262)를 이동시키는 포커스 제어에 관련지어진다.
한편, 도 14b와 같이, 조작체 거리(d)가 제 1 한계값 거리(Dth1)를 넘고, 또한 제 2 한계값 거리(Dth2) 미만인 경우에는, 메인 메뉴 화상이 표시 화상(260)으로서 표시 스크린(52)에 표시된다. 메인 메뉴 화상에는 상기의 공조 메뉴, 차량 세팅 메뉴, 전화 메뉴, 오디오 메뉴(도 15a 참조) 등의 복수의 서브 메뉴(265)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공중 조작 영역 내에서 xy평면을 따라서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공중 조작은 각 서브 메뉴(265)를 이동시키는 서브 메뉴 제어에 관련지어진다.
또,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원격 조작 장치(200)에서는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 공중 조작 영역이 확대된다. 구체적으로는, 주행 중에 있어서의 각 제 1 한계값 거리(Dth1U, Dth1D)(도 14b의 실선 화살표를 참조)는 정차 중에 있어서의 각 제 1 한계값 거리(Dth1U, Dth1D)(도 14b의 파선 화살표를 참조)보다도 짧아진다. 한편, 주행 중에 있어서의 각 제 2 한계값 거리(Dth2U, Dth2D)(도 14b의 실선 화살표를 참조)는 정차 중에 있어서의 각 제 2 한계값 거리(Dth2U, Dth2D)(도 14b의 파선 화살표를 참조)보다도 길어진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의 인가 조작은 제 1 실시 형태의 인가 조작과 다르며, 공중 조작 영역 및 접촉 조작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미리 규정된 시간(예를 들면, 0. 5∼2초 정도, 이하, “허가 대기 시간”이라 한다), 손가락(F)을 계속하여 위치시키는 조작이다. 따라서, 도 14와 같이, 비근접 영역으로부터 접촉 조작 영역 내 또는 공중 조작 영역 내로 손가락(F)을 이동시킨 후, 허가 대기 시간이 경과하는 것으로 xy평면을 따라서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공중 조작에 의해 도 14b와 같이 서브 메뉴(265)가 이동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조작자가 임의의 아이콘(63)을 선택하기까지의 일련의 아이콘 선택 조작을 도 15에 기초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도 15a는 조작면(32)을 향하여 손가락(F)을 접근시키는 동작을 조작자가 개시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a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조작면(32)으로부터 손가락(F)까지의 조작체 거리(d)는 상한측 제 2 한계값 거리(Dth2U)를 넘고 있다. 이와 같이, 손가락(F)이 비근접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표시 스크린(52)의 서브 메뉴(265) 및 포커스(262)에 대해, 손가락(F)의 이동과 관련된 이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5b는 조작체 거리(d)가 상한측 제 2 한계값 거리(Dth2U) 미만으로 되도록 비근접 영역으로부터 공중 조작 영역으로 손가락(F)을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b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조작 인가는 금지 모드로 된 상태이다. 따라서, 조작체 거리(d)가 상한측 제 1 한계값 거리(Dth1U)를 넘고, 또한 하한측 제 2 한계값 거리(Dth2D) 미만이었다고 해도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공중 조작과 서브 메뉴 제어의 관련지음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조작자의 의도하지 않은 손가락(F)의 이동이 있었다고 해도 표시 스크린(52)에 의한 표시는 변화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공중 조작 영역 및 접촉 조작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손가락(F)을 계속하여 위치시키는 조작이 인가 조작으로서 조작 제어 회로(33)(도 1 참조)에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도 15b와 같이, 허가 대기 시간 이상 공중 조작 영역에 손가락(F)을 위치시키는 조작에 의해 조작 인가는 금지 모드로부터 허가 모드로 전환된다. 이렇게 하여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공중 조작이 서브 메뉴 제어와 관련지어짐으로써 표시 스크린(52)의 표시는 복수의 서브 메뉴(265)를 일체적으로 이동(이하, “스크롤”이라 한다)시키는 것이 가능한 메인 메뉴 화상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도 15c와 같이, x방향을 따라서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공중 조작에 의하여 복수의 서브 메뉴(265)를 원격 조작함으로써 임의의 아이콘(63)을 포함하는 서브 메뉴(265)를 표시 스크린(52)의 중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는 도 15b의 Audio메뉴 화상이 도 15c와 같이 Climate메뉴 화상(공조 메뉴 화상)으로 전환된다.
도 15d는 조작체 거리(d)(도 15c 참조)가 상한측 제 1 한계값 거리(Dth1U) 미만으로 되도록 공중 조작 영역으로부터 접촉 조작 영역으로 손가락(F)을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d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조작체 거리(d)가 하한측 제 1 한계값 거리(Dth1D) 미만인 것에 기초하여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조작과 관련지어지는 제어가 서브 메뉴 제어로부터 포커스 제어로 전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스크린(52)의 중앙에 표시되어 있던 특정한 서브 메뉴(265)(예를 들면, 공조 메뉴)가 해당 표시 스크린(52)의 전체에 표시된다. 조작자는 xy평면을 따라서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접촉 조작에 의해 포커스(262)를 원격 조작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조작자는 임의의 아이콘(63)에 포커스(262)를 중첩시켜서 푸쉬 스위치(35)(도 5 참조)의 압압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해당 아이콘(63)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5c, 15d에 나타낸 조작을 종료시킨 조작자는 도 15a와 같이, 조작체 거리(d)가 하한측 제 2 한계값 거리(Dth2D)를 넘는 위치까지 손가락(F)을 이간시킨다. 이에 따라, 조작 인가는 허가 모드로부터 금지 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원격 조작 장치(200)는 다음 회 이후의 조작자에 의한 아이콘 선택 조작을 대기하는 상태로 된다.
이상 설명한 아이콘 선택 조작을 실현하기 위해, 조작 제어 회로(33)(도 1 참조)에 의하여 실시되는 각 처리를 도 16∼19에 기초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메인 처리는 제 1 실시 형태의 메인 처리(도 8 참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우선, 도 16, 17에 기초하여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터치 센서 입력 처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낸 S221 및 S222는 제 1 실시 형태의 S121 및 S122(도 9 참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S223에서는 차량의 주행 상태를 취득하는 취득 처리를 실시하고, S224로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S223에서는 미터 제어 회로(56)(도 1 참조)에 의하여 CAN버스(90)(도 1 참조)에 출력되는 차량의 주행 속도를 취득한다.
S224에서는 S223에서 취득한 주행 속도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223에서 취득한 주행 속도가 10㎞/h를 넘고 있었던 것에 기초하여 S224에서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S225로 진행한다. S225에서는 도 17에 나타낸 한계값의 “주행 중”에 해당되는 각 감도 한계값(Hth1U∼Hth2D)으로 전환하여 도 16의 S227으로 진행한다. 한편, S223에서 취득한 주행 속도가 10㎞/h 이하인 것에 기초하여 S224에서 차량이 주행 상태에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S226로 진행한다. S226에서는 도 17에 나타낸 한계값의 “정차 중”에 해당되는 각 감도 한계값(Hth1U∼Hth2D)으로 전환하여 도 16의 S227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제 1 실시 형태의 S123∼S128(도 9 참조)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S227∼S232를 실시한다.
이상의 S225 및 S226에서 조작 제어 회로(33)(도 1 참조)에 읽어들여지는 도 17의 감도 한계값에서는 주행 중에 있어서의 각 제 1 감도 한계값(Hth1U, Hth1D)은 정차 중에 있어서의 각 제 1 감도 한계값(Hth1U, Hth1D)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중의 각 제 1 한계값 거리(Dth1U, Dth1D)는 정차 중의 각 제 1 한계값 거리(Dth1U, Dth1D)보다도 짧아진다. 한편, 도 17에 나타낸 주행 중의 각 제 2 감도 한계값(Hth2U, Hth2D)은 정차 중의 각 제 2 감도 한계값(Hth2U, Hth2D)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중의 각 제 2 한계값 거리(Dth2U, Dth2D)는 정차 중의 각 제 2 한계값 거리(Dth2U, Dth2D)보다도 길어진다. 이들에 의해 주행 중에 있어서의 공중 조작 영역의 확대가 실현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조작 레이어 판정 처리의 상세를 도 1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8의 S241∼S244, S246, S248은 제 1 실시 형태의 S141∼S144, S146, S148(도 12 참조)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S245에서는 포커스(262)가 묘화되는 포커스 레이어를 선택 레이어로서 선택 및 갱신하여 조작 레이어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S247에서는 각 서브 메뉴(265)가 묘화되는 서브 메뉴 레이어를 선택 레이어로서 선택 및 갱신하여 조작 레이어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상기의 S242에서 실시되는 조작 인가 판정 처리의 상세를 도 1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S261에서는 터치 센서 입력 처리(도 16 참조)에 의해 갱신된 최신의 조작 상태를 취득하고, S262로 진행한다. S262에서는 S261에서 취득한 조작 상태에 대해, 비근접 중으로부터 공중 조작 중 또는 접촉 조작 중으로 변화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262에서 긍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S263로 진행하고, 허가 대기 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허가 타이머를 클리어함으로써 해당 타이머의 값을 제로로 되돌린다. 그리고 S264에서 조작 허가를 금지 모드로 설정하여 조작 인가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S262에서 부정 판정을 한 경우의 S265에서는 허가 타이머의 카운트 업에 의해 해당 타이머의 값을 늘리고, S266로 진행한다. S266에서는 허가 타이머의 값이 허가 대기 시간을 넘고 있으며, 또한 조작 상태가 비근접 중이 아닌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266에서 긍정 판정을 한 경우의 S267에서는 조작 인가를 허가 모드로 전환하여 조작 인가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266에서 부정 판정을 한 경우의 S268에서는 조작 허가를 금지 모드로 전환하여 조작 인가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조작 인가 판정 처리에 의해 공중 조작 영역 또는 접촉 조작 영역에 허가 대기 시간 이상, 손가락을 계속하여 위치시키는 조작에 의해 조작 인가가 금지 모드로부터 허가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이하에 설명한다.
비근접 영역으로부터 공중 조작 영역(또는 접촉 조작 영역)으로 손가락(F)이 이동하면(도 15b 등 참조), S262에서 긍정 판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S264에 의하여 조작 인가는 금지 모드로 설정된다. 공중 조작 영역(또는 접촉 조작 영역)으로 손가락(F)을 위치시킨 상태가 계속되면, S262의 부정 판정 및 S265에 의한 허가 타이머의 카운트 업이 반복 실시된다. 허가 타이머의 카운트가 허가 대기 시간을 넘기까지는 S266의 부정 판정이 계속되기 때문에 조작 인가는 금지 모드로 유지된다. 또한, 공중 조작 영역(또는 접촉 조작 영역)에 손가락(F)을 위치시킨 상태가 계속되면, 허가 타이머의 카운트는 허가 대기 시간을 넘는다. 이에 따라, S266에서 긍정 판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작 인가는 허가 모드로 전환된다.
여기까지 설명한 제 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손가락(F)에 의한 공중 조작과 서브 메뉴 제어의 관련지음이 중단된다. 따라서, 손가락(F)을 조작면(32)에 근접시키는 단순한 이동이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서브 메뉴 제어에 관련지어지는 사태는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원격 조작 장치(200)도 우수한 조작성을 획득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제 2 실시 형태에 따르면, 허가 대기 시간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으로 손가락(F)이 공중 조작 영역을 단순히 통과하고 있는 동안에는 금지 모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포커스 제어를 실시하기 위해 손가락(F)을 조작면(32)에 근접시키는 이동이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서브 메뉴 제어에 관련지어져 버리는 사태는 더욱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에 동반하는 진동 등에 기인하여 일정한 조작체 거리(d)를 유지하기 어려운 주행 중에는 각 제 1 한계값 거리(Dth1U, Dth1D)의 단축과 각 제 2 한계값 거리(Dth2U, Dth2D)의 연장에 의해 공중 조작 영역이 확대된다. 따라서, 주행 중에 있어서의 차량의 진동에 의하여 손가락(F)이 흔들렸다고 해도 조작자는 공중 조작 중의 손가락(F)을 공중 조작 영역 내에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공중 조작 영역 내에서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조작이 용이해질 수 있기 때문에 서브 메뉴 제어에 대해서의 조작성은 더욱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작 제어 회로(33)가 “주행 상태 판정 섹션 또는 수단”에 또한 상당하고, 포커스(262)가 “제 1 화상부” 및 “포인터부”에 상당하고, 서브 메뉴(265)가 “제 2 화상부”“비포인터부”에 상당하고, 포커스 레이어가 “제 1 화상 레이어”에 상당하고, 서브 메뉴 레이어가 “제 2 화상 레이어”에 상당하고, 포커스 제어가 “제 1 화상 제어”에 상당하고, 서브 메뉴 제어가 “제 2 화상 제어”에 상당하고, 원격 조작 장치(200)가 “조작 장치”에 상당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물론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3 실시 형태)
도 20∼24에 나타나는 본 개시의 제 3 실시 형태는 제 1 실시 형태의 다른 변형예이다. 도 20a에 나타낸 표시 화상(360)은 제 3 실시 형태의 표시 시스템(310)에 의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표시 화상 중의 하나로서, 차량에 탑재된 오디오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오디오 메뉴의 화상이다. 도 2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화상(360)에는 음성 데이터가 관련지어진 트랙 아이콘(363), 이 트랙 아이콘(363)을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62) 및 트랙 아이콘(363)을 강조하는 포커스(366)가 포함되어 있다.
도 20c와 같이, 조작체 거리(d)가 제 1 한계값 거리(Dth1) 미만인 경우에는, xy평면을 따라서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접촉 조작은 포인터(62)를 조작하는 포인터 제어에 관련지어진다. 한편, 도 20b와 같이, 조작체 거리(d)가 제 1 한계값 거리(Dth1)를 넘고, 또한 제 2 한계값 거리(Dth2) 미만인 경우에는, y축 방향을 따라서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공중 조작은 복수의 트랙 아이콘(363)을 스크롤시키는 아이콘 제어에 관련지어진다.
또, 제 3 실시 형태에 의한 원격 조작 장치(300)에서는 도 21, 2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제 2 한계값 거리(Dth1, Dth2)에 설치되어 있던 불감대가 생략되어 있다. 덧붙여서, 도 20a와 같이, 공중 조작 영역 및 접촉 조작 영역 중 어느 하나에서 조작면(32)을 따라서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조작이 인가 조작으로서 조작 제어 회로(33)(도 1 참조)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손가락(F)을 xy평면에 따르게 하는 조작 이외에도, 예를 들면, 조작면(32)과 직교하는 z축 방향을 따라서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조작도 인가 조작으로서 당연히 채용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조작자가 임의의 트랙 아이콘(363)을 선택하기까지의 일련의 아이콘 선택 조작을 차례로 설명한다.
도 20a는 조작체 거리(d)가 제 2 한계값 거리(Dth2) 미만으로 되도록 비근접 영역으로부터 공중 조작 영역으로 손가락(F)을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a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조작 인가는 금지 모드로 된 상태이다. 따라서,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공중 조작과 서브 메뉴 제어의 관련지음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여기에서,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면(32)을 따라서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조작이 인가 조작으로서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도 20b와 같이, 공중 조작 영역에서 xy평면을 따라서 손가락(F)을 위치시키는 조작에 의해 조작 인가는 금지 모드로부터 허가 모드로 전환된다. 이렇게 하여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공중 조작이 아이콘 제어와 관련지어짐으로써 조작자는 y방향을 따라서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공중 조작에 의하여 트랙 아이콘(363)을 원격 조작에 의하여 스크롤함으로써 임의의 트랙 아이콘(363)을 표시 스크린(52)의 중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0c는 조작체 거리(d)가 제 1 한계값 거리(Dth1) 미만으로 되도록 공중 조작 영역으로부터 접촉 조작 영역으로 손가락(F)을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c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조작과 관련지어지는 제어가 아이콘 제어로부터 포인터 제어로 전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작자는 xy평면을 따라서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접촉 조작에 의해 포인터(62) 및 포커스(366)를 원격 조작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조작자는 공중 조작에 의하여 표시 스크린(52)의 중앙으로 이동시킨 임의의 트랙 아이콘(363)에 포인터(62) 등을 중첩시켜서 푸쉬 스위치(35)(도 5 참조)의 압압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해당 트랙 아이콘(363)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0b, 20c에 나타낸 조작을 종료시킨 조작자는 조작체 거리(d)가 제 2 한계값 거리(Dth2)를 넘는 위치까지 손가락(F)을 이간시킨다. 이에 따라, 조작 인가는 허가 모드로부터 금지 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원격 조작 장치(300)는 다음 회 이후의 조작자에 의한 아이콘 선택 조작을 대기하는 상태로 된다.
이상 설명한 아이콘 선택 조작을 실현하기 위해, 조작 제어 회로(33)(도 1 참조)에 의하여 실시되는 각 처리를 도 21∼24에 기초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또한,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메인 처리는 제 1 실시 형태의 메인 처리(도 8 참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할 터치 센서 입력 처리에서는 제 1, 제 2 한계값 거리(Dth1, Dth2)에 있어서의 불감대의 생략에 동반하여, 포인터 제어 및 아이콘 제어의 전환에 관련되는 히스테리시스도 생략되어 있다.
도 23에 나타낸 S321 및 S322는 제 1 실시 형태의 S121 및 S122(도 9 참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S323에서는 전회까지의 터치 센서 입력 처리에 의한 조작 상태가 접촉 조작 중이 아니고, 또한 S321에서 취득한 감도값의 최대가 제 1 감도 한계값(Hth1)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323에서 긍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S324로 진행하고, 조작 상태를 접촉 조작 중으로 갱신하여 터치 센서 입력 처리를 종료한다.
S323에서 부정 판정을 한 경우의 S325에서는 전회까지의 터치 센서 입력 처리에 의한 조작 상태가 공중 조작 중은 아니고, 또한 S321에서 취득한 감도값의 최대가 제 2 감도 한계값(Hth2) 이상, 제 1 감도 한계값(Hth1)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325에서 긍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S326로 진행하고, 조작 상태를 공중 조작 중으로 갱신하여 터치 센서 입력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325에서 부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S327으로 진행한다.
S327에서는 전회까지의 터치 센서 입력 처리에 의한 조작 상태가 비근접 중이 아니고, 또한 S321에서 취득한 감도값의 최대가 제 2 감도 한계값(Hth2)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327에서 긍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S328으로 진행하고, 조작 상태를 비근접 중으로 갱신하여 터치 센서 입력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327에서 부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전회까지의 터치 센서 입력 처리에 의한 조작 상태를 유지한 채, 해당 입력 처리를 종료한다.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레이어 판정 처리는 S147(도 12 참조)에 상당하는 처리를 제외하고,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조작 레이어 판정 처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 3 실시 형태의 S147(도 12 참조)에 상당하는 처리에서는 트랙 아이콘(363)이 묘화되는 오브젝트 레이어가 선택 레이어로서 선택 및 갱신된다.
다음으로, 조작 레이어 판정 처리의 S142에서 실시되는 조작 인가 판정 처리의 상세를 도 2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S361에서는 터치 센서 입력 처리(도 23 참조)에 의해 갱신된 최신의 조작 상태를 취득하고, S362로 진행한다. S362에서는 터치 센서 입력 처리의 S322(도 23 참조)에서 산출되는 손가락(F)의 상대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를 취득하고, S363으로 진행한다. S363에서는 전회의 조작 인가 판정 처리에서 취득된 좌표와 이번 회의 S363에서 취득된 좌표의 차분으로부터 손가락(F)의 이동량을 산출하고, S364로 진행한다.
S364에서는 S361에서 취득한 조작 상태가 비근접 중이 아니고, 또한 S363에서 산출하는 어떤 사전에 결정된 시간 내(예를 들면, 1초간)의 터치 센서와 평행한 방향의 이동량의 누적이 미리 설정된 이동 한계값(예를 들면, 5∼10센티미터)을 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와 같이, 어떤 사전에 결정된 시간 내의 이동체의 이동량의 누적을 산출하면, 손가락을 터치 패널로 재빨리 왕복시키는 이른바 플릭 조작을 검출할 수 있다. S364에서 긍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S365로 진행하고, 조작 인가를 허가 모드로 전환한다.
S364에서 부정 판정을 한 경우의 S366에서는 전회까지의 조작 인가 판정 처리에 의한 조작 인가가 허가 모드이고, 또한 S361에서 취득한 조작 상태가 비근접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366에서 긍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S367으로 진행하고, 조작 인가를 금지 모드로 전환한다. 한편, S366에서 부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전회까지의 조작 인가 판정 처리에 의한 조작 인가를 유지한 채, 해당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까지 설명한 제 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손가락(F)을 조작면(32)에 근접시키는 단순한 이동이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서브 메뉴 제어에 관련지어지는 사태는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제 3 실시 형태에 의한 원격 조작 장치(300)도 우수한 조작성을 획득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제 3 실시 형태와 같이, xy평면 및 z축 방향 중 어느 하나를 따라서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조작이 인가 조작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 트랙 아이콘(363)이 “제 2 화상부”, “선택 화상 부분” 및 “비포인터부”에 상당하고, 오브젝트 레이어가 “제 2 화상 레이어”에 상당하고, 아이콘 제어가 “제 2 화상 제어”에 상당하고, 원격 조작 장치(300)가 “조작 장치”에 상당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물론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4 실시 형태)
본 개시의 제 4 실시 형태는 제 1 실시 형태의 또다른 변형예이다. 제 4 실시 형태에 의한 조작 제어 회로(33)(도 1 참조)는 인가 조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작으로서, 도 6b와 같이, 손가락(F)을 제 1 한계값 거리(Dth1)보다도 조작면(32)에 근접시키는 조작을 금지 조작으로서 기억하고 있다. 조작 제어 회로(33)는 허가 모드인 경우에, 금지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조건으로 하여 해당 허가 모드로부터 금지 모드로 조작 인가를 전환한다. 이하, 제 4 실시 형태에서 조작 제어 회로(33)에 의해 실시되는 조작 인가 판정 처리를 도 25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S461에서는 터치 센서 입력 처리(도 9 참조)에 의해 갱신된 최신의 조작 상태를 취득하고, S462로 진행한다. S462에서는 전회까지의 조작 인가 판정 처리에 의해 설정된 조작 인가가 금지 모드이고, 또한 S461에서 취득한 조작 상태가 비근접 중으로부터 접촉 조작 중으로 변화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462에서 긍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S463로 진행한다. S463에서는 조작 상태가 비근접 중으로부터 접촉 조작 중으로 천이했기 때문에 금지 모드로부터 허가 모드로 조작 인가를 전환하여 조작 인가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이, 도 6b의 접촉 조작으로부터 도 6c의 공중 조작이 허가된다.
이에 대하여, S462에서 부정 판정을 한 경우의 S464에서는 전회까지의 조작 인가 판정 처리에 의한 조작 인가가 허가 모드이고, 또한 S461에서 취득한 조작 상태가 비근접 중으로부터 접촉 조작 중으로 변화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S464는 공중 조작이 허가되어 있는 허가 모드에 있어서, 도 7a∼도 7c와 같이, 비근접 영역으로부터 공중 조작 영역을 통과하여 접촉 조작 영역으로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조작이 조작자에 의하여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이다.
그리고 도 25에 나타낸 S464에서 긍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S465로 진행한다. S465에서는 허가 모드로부터 금지 모드로 조작 인가를 전환하여 조작 인가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464에서 부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전회까지의 조작 인가 판정 처리에 의한 조작 인가를 유지한 채, 해당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까지 설명한 제 4 실시 형태에서도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이룸으로써 원격 조작 장치는 우수한 조작성을 획득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제 4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금지 조작에 의하여 허가 모드로부터 금지 모드로 전환되는 것으로 도 6c와 같이, 손가락(F)에 의한 조작과 맵 제어의 관련지음은 중단된다. 따라서, 도 6b와 같이, 포인터 제어를 실시하기 위해 손가락(F)을 조작면(32)에 접촉시키는 도중에 도 6c와 같이, 손가락(F)을 공중 영역에 위치시키는 상태가 존재해도 도 6c의 맵 제어가 관련지어지는 사태는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 도 6b와 같이, 손가락(F)을 조작면(32)에 접촉시켜서 손가락(F)에 의한 포인터 제어를 종료한 후에, 손가락(F)을 조작면(32)으로부터 이간시킬 때의 이동에 대해, 도 6c의 공중 조작 영역에 손가락(F)이 진입해도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맵 제어에 관련지어지는 사태는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상과 같이, 포인터 제어를 개시할 때에 추가하여 해당 조작을 종료할 때에 있어서도, 조작자의 의도에 반한 맵(64)의 이동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원격 조작 장치의 조작성은 한층 향상된다. 또한, 제 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작 제어 회로(33)가 “금지 조작 판정 섹션 또는 수단”에 또한 상당한다.
(제 5 실시 형태)
본 개시의 제 5 실시 형태는 제 1 실시 형태의 또다른 변형예이다. 제 5 실시 형태에 의한 조작 제어 회로(33)(도 1 참조)에는 도 2에 나타낸 근접 센서(538)가 접속되어 있다. 근접 센서(538)는 조작자의 손바닥과 대면하도록 팜 레스트(39)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근접 센서(538)는 미리 규정된 근접 거리보다도 근접 센서(538)에 조작자의 손바닥이 근접함으로써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된다. 조작 제어 회로(33)는 근접 센서(538)가 온 상태로 되는 위치까지 손바닥을 해당 센서(538)에 근접시키는 조작을 인가 조작으로서 기억하고 있다. 근접 센서(538)가 온 상태인 경우에는, 조작 제어 회로(33)는 공중 조작의 수용의 허가를 실시하는 허가 모드로 한다. 한편, 근접 센서(538)가 온 상태인 경우에는, 조작 제어 회로(33)는 공중 조작의 수용을 금지하는 금지 모드로 한다. 이하, 근접 센서(538)로의 조작에 의해 조작 인가의 전환이 가능한 형태에 있어서, 해당 제어 회로(33)에 의하여 실시되는 조작 인가 판정 처리를 도 26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S561에서는 근접 센서(538)의 온 및 오프 상태를 취득하여 S562로 진행한다. S562에서는 S561에서 취득한 근접 센서(538)의 상태에 대해,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의 변화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562에서 긍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S563로 진행한다. S563에서는 금지 모드로부터 허가 모드로 조작 인가를 전환하여 조작 인가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S562에서 부정 판정을 한 경우의 S564에서는 전회까지의 조작 인가 판정 처리에 의한 조작 인가가 허가 모드이고, 또한 S561에서 취득한 근접 센서(538)의 상태에 대해,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의 변화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564에서 긍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S565로 진행한다. S565에서는 허가 모드로부터 금지 모드로 조작 인가를 전환하여 조작 인가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564에서 부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전회까지의 조작 인가 판정 처리에 의한 조작 인가를 유지한 채, 해당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까지 설명한 제 5 실시 형태에서도 근접 센서(538)로의 인가 조작이 조작면(32)에 대하여 이루어지기까지 조작 제어 회로(33)에 있어서의 조작 인가는 계속 금지 모드로 된다. 이렇게 하여 손가락(F)에 의한 공중 조작의 수용이 중단됨으로써 손가락(F)을 조작면(32)에 근접시키는 이동이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맵 제어에 관련지어지는 사태는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근접 센서(538)로의 인가 조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작 인가는 금지 모드로부터 허가 모드로 전환된다. 이렇게 하여 공중 조작의 수용이 개시됨으로써 조작자는 조작면(32)에 대한 손가락(F)에 의한 조작을 계속한 채, 공중 조작 및 접촉 조작에 각각 관련지어진 화상부 중에서 원하는 한쪽을 선택한 후에, 이 선택한 한쪽을 조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이루는 제 5 실시 형태에 의한 조작 장치도 우수한 조작성을 획득할 수 있다.
(제 6 실시 형태)
본 개시의 제 6 실시 형태는 제 4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제 6 실시 형태에 의한 조작 제어 회로(33)(도 1 참조)에는 전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다. 전환 스위치는 도 20a와 같은 조작면(32)을 조작하는 손가락(F)과 다른 손가락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해당 조작면(32)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전환 스위치는 조작자에 의한 압압 조작에 의하여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전환한다. 그리고 조작 제어 회로(33)는 전환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는 압압 조작을 인가 조작으로서 기억하고 있다. 이하, 전환 스위치로의 조작에 의해 조작 인가의 전환이 가능한 형태에 있어서, 해당 제어 회로(33)에 의하여 실시되는 조작 인가 판정 처리를 도 27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S661에서는 전환 스위치의 온 및 오프 상태를 취득하여 S662로 진행한다. S662에서는 전회까지의 조작 인가 판정 처리에 의해 설정된 조작 인가가 금지 모드이고, 또한 S661에서 취득한 전환 스위치의 상태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변화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662에서 긍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S663로 진행하고, 금지 모드로부터 허가 모드로 조작 인가를 전환하여 조작 인가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S662에서 부정 판정을 한 경우의 S664에서는 전회까지의 조작 인가 판정 처리에 의한 조작 인가가 허가 모드이고, 또한 S661에서 취득한 전환 스위치의 상태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변화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664에서 긍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S665로 진행한다. S665에서는 허가 모드로부터 금지 모드로 조작 인가를 전환하여 조작 인가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664에서 부정 판정을 한 경우에는, 전회까지의 조작 인가 판정 처리에 의한 조작 인가를 유지한 채, 해당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전환 스위치로의 조작을 인가 조작으로 하는 제 6 실시 형태에서도 제 4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이루기 때문에 원격 조작 장치는 우수한 조작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환 스위치는 기계식의 구조 또는 저항막식 터치 패널이어도 좋다.
(제 7 실시 형태)
상기 제 1 실시 형태로부터 제 6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에 탑재되는 표시 시스템에 이용되는 원격 조작 장치에 본 개시를 적용한 예를 설명했다. 그러나 본 개시는 표시 스크린과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이른바 터치 패널 방식의 조작 장치에도 다음의 제 7 실시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7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28에서 도 34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28은 차량의 센터 콘솔(707)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센터 콘솔(707)에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708)이 설치되어 있다. 도 29는 도 28의 센터 콘솔(707)의 단면도이다. 도 28, 29에 나타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708)은 표시부를 이루는 LCD(709)에 조작면을 이루는 터치 센서(710)가 부착되어 있다. LCD(709)와 터치 센서(710)는 센터 콘솔(707)의 의장 패널(711)의 개구부(711a)에 끼워 넣어져 있다.
터치 센서(710)는 산화인듐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전극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탑승자는 터치 센서(710)의 배면에 있는 LCD(709)의 표시 화상을 터치 센서(710) 너머로 확인하면서 손 등의 조작체(F)를 터치 센서(710)에 근접시켜서 입력을 실시한다.
터치 센서(710)와 LCD(709)는 함께 제어 회로(712)에 접속되어 있으며, 터치 센서(710)로의 입력은 제어 회로(712)를 통하여 LCD(709)에 표시된 화상부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회로(712)는 터치 센서(710)에 근접하는 손가락 등의 조작체(F)의 이동을 검출한다. 또, 제어 회로(712)는 터치 센서(710)로부터 조작체(F)까지의 거리(d)(도 32 등 참조)에 따라서 증감하는 거리 계측값을 터치 센서(710)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LCD(709)에는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화상이 겹쳐지도록 표시되어 있다.
도 3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회로(712)에서 실행하는 판정 내용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어 회로(712)는 단계 S700에 있어서, 제어 회로(712)에 접속된 터치 센서(710) 및 그 밖의 기기로부터 각종 정보를 읽어들이고, 단계 S701에 있어서 후술하는 금지 모드와 허가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되는 조건이 갖추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어느 한쪽의 조건이 갖추어져 있으면, 해당 모드로 설정하여 단계 S702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 S701에 있어서, 제어 회로(712)는 조작체에 의하여 이루어진 조작이 사전에 결정된 인가 조작을 포함하는 것인지를 판정하고, 사전에 결정된 인가 조작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금지 모드를 해제하여 허가 모드로 한다. 여기에서, 금지 모드로 되는 조건, 허가 모드로 되는 조건(인가 조작)은 상기한 제 1∼제 6 실시 형태에 기재된 조건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채용하면 좋다.
단계 S702에 있어서, 조작면(본 실시 형태에서는 터치 센서(710))으로부터 조작체(F)까지의 거리(d)가 제 1 한계값 거리(Dth1)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도 34 참조). 조작면으로부터 조작체(F)까지의 거리가 제 1 한계값 거리(Dth1) 미만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S703로 진행하고, 조작체(F)의 이동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상부 중의 제 1 화상부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4에 나타낸 손가락(F)이 터치 센서(710)로부터 제 1 한계값 거리(Dth1)(사전에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접촉 또는 접촉할 것 같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30에 나타낸 커서 화상(713)을 손가락(F)의 이동에 기초하여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부를 이루는 터치 센서(710)는 조작체(F)가 터치 센서(710)의 표면에 접촉하고, 또한 터치 센서(710)의 표면을 압압한 경우의 압력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조작체(F)에 의하여 터치 센서(710)의 표면이 밀어 넣어진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커서 화상(713)이 중첩해 있던 포인트에 있어서 어떠한 결정 입력 조작이 있었던 것으로 판정한다. 또, 압압할 수 없어도 예를 들면, 더블 탭에 의하여 결정 입력 조작을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제 1∼제 6 실시 형태와 같이, 결정 입력 조작을 위해,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과는 별개체로서 푸쉬 스위치 등을 센터 콘솔(707)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 도 31에 나타낸 단계 S702에 있어서 조작부로부터 조작체(F)까지의 거리가 제 1 한계값 거리(Dth1) 이상이라고 판정한 경우 단계 S704로 진행하고, 또한 조작부로부터 조작체(F)까지의 거리가 제 2 한계값 거리(Dth2)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조작부로부터 조작체(F)까지의 거리가 제 2 한계값 거리(Dth2) 미만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S705로 진행하고, 상기 S701에 있어서 허가 모드를 판정하고 있었는지의 여부를 다시 판정한다. 그리고 허가 모드이었던 경우에는 단계 S706로 진행하고, 복수의 화상부 중, 상기 제 1 화상부와는 다른 제 2 화상부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이 터치 센서(710)로부터 사전에 결정된 범위(제 2 한계값 거리(Dth2)보다도 가깝고, 제 1 한계값 거리(Dth1)보다도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 위치해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커서 화상(713)이 중첩된 맵 화상(714)을 손가락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하 좌우로 슬라이드시켜서 LCD(709)에 표시되는 범위를 변경시키도록 하고 있다. 단계 S705에서 금지 모드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조작체(F)에 의한 입력에 의하여 제 2 화상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키지 않고 단계 S700로 되돌아가서 처리를 반복한다. 또, 단계 S704에 있어서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이 터치 센서(710)로부터 사전에 결정된 범위보다도 밖(조작체(F)와 터치 센서(710)가 제 2 한계값 거리(Dth2)보다도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 위치해 있다고 판정되었다고 하자. 이 경우에도 조작체(F)에 의한 입력에 의하여 제 2 화상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키지 않고 단계 S700로 되돌아가서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상기 금지 모드를, 조작부로부터 조작체(F)까지의 거리가 제 1 한계값 거리(Dth1)를 넘고 있는 경우에는, 조작체(F)에 의한 입력을 LCD(709)에 표시된 화상부의 표시 양태에 반영하지 않는 제 1 모드로 부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허가 모드를, 조작부로부터 조작체(F)까지의 거리가 제 1 한계값 거리(Dth1)를 넘고 있는 경우이어도 조작체(F)에 의한 입력을 화상부의 표시 양태에 반영하는 제 2 모드로 부를 수도 있다.
또, 제어 회로(712)에서 판정에 이용되는 파라미터로서의 각 한계값 거리(Dth1, Dth2)와는 관계없이 조작부로부터 조작체(F)가 z방향으로 사전에 결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표시 양태의 전환 방식을 바꾸는 것에 의거해서 상기 금지 모드와 허가 모드를 정의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금지 모드를, 조작부로부터 조작체(F)까지의 거리(d)가 사전에 결정된 거리를 넘고 있는 경우와 넘고 있지 않은 경우에서 LCD(709)에 표시되는 화상부의 표시 양태의 전환에 변화를 주지 않는 제 1 모드로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허가 모드를, 조작부로부터 조작체(F)까지의 거리가 사전에 결정된 거리를 넘고 있는 경우와 넘고 있지 않은 경우에서 화상부의 표시 양태의 전환에 변화를 주는 제 2 모드로 부를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 1 모드, 제 2 모드를 정의한 경우, 제어 회로(712)를, 허용 조작의 유무를 판정하여 금지 모드와 허가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부라고 부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7 실시 형태에 있어서, LCD(709)에 표시시키는 화상부로서 커서 화상(713)과 맵 화상(714)을 예로 들었지만, 물론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 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복수의 서브 메뉴의 상세 윈도 이미지와, 해당 서브 메뉴 내의 설정 버튼 등의 화상의 표시 양태를 조작부와 조작체의 거리에 따라서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부로서 정전 용량식의 터치 센서를 이용하도록 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중 조작 및 접촉 조작이 검출 가능하면, 여러 가지 조작부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자의 손을 적외선 카메라나 가시광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하고, 촬영된 화상으로부터 조작 패널 상에 있어서의 조작자의 손의 형태, 조작 패널과 조작자의 손의 사이의 거리를 추측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터치 센서로의 입력에 의하여 인가 조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면, 별도로 인가 조작 버튼 등을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조작자는 인가 조작을 실행한 후, 연속적으로 공중 조작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높아진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본 개시에 의한 복수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실시 형태 및 조합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정전 용량식의 터치 센서(31)와 조작 제어 회로(33)의 협동에 의하여 “검출 섹션 또는 수단”에 추가하여 “취득 섹션 또는 수단”의 기능이 완수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31)는 조작면(32)을 따른 x, y축 방향뿐만 아니라, 조작면(32)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z축 방향에도 손가락(F)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공중 조작 중에 있어서의 조작면(32)으로의 손가락(F)의 근접 상태와 접촉 조작 중에 있어서의 조작면(32)으로의 손가락(F)의 접촉 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의 터치 센서(31)는 적합한 것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면(32)에 대한 손가락(F)의 상대 위치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조작체 거리(d) 및 z좌표가 이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조작면(32) 및 손가락(F) 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조작체 거리(d) 및 z좌표는 실질적으로 등가의 값이고, 터치 센서(31)에 의하여 검출되는 감도값과 상관을 갖는 값이다.
한편, “취득 섹션 또는 수단”의 구성은 이러한 터치 센서(31)의 표면 상에 있어서의 3차원 방향의 입력 위치 좌표를 검출할 수 있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조작면 근처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조작 제어 회로에 접속하는 것으로 화상 해석에 의하여 조작체 거리(또는 z좌표)를 취득하는 “취득 섹션 또는 수단”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는 적외선에 의하여 조작체 거리의 계측이 가능한 적외선 센서를 조작 제어 회로에 접속하는 것으로 “취득 섹션 또는 수단”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적외선 센서 및 조작 제어 회로가 협동으로 “취득 섹션 또는 수단”에 추가해서 손가락(F)에 의한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섹션 또는 수단”을 겸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손가락(F)에 의하여 인가되는 압력을 검지하는 것으로 손가락(F)에 의한 조작을 검출하는 감압 방식의 터치 센서가 “검출 섹션 또는 수단”으로서 이용되고 있어도 좋다.
또, 손가락(F)이 터치 센서(31)의 조작면(32)에 직접 접촉해 있는 상태에 추가하여 조작면(32)으로부터 제 1 한계값 거리(Dth1)(예를 들면, 0. 5∼1㎝ 정도)까지 떠 있는 상태도 “접촉 조작”으로 정의했지만, 손가락(F)이 터치 센서(31)의 조작면(32)에 직접 접촉해 있는 상태만을 “접촉 조작”으로 정의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상기 제 1∼제 3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각 표시 화상(60, 260, 360)은 각각 표시 화상의 일례로서, 적절히 변경되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포인터(62) 및 포커스(262)가 “포인터부”에 상당하고, 맵(64), 서브 메뉴(265) 및 트랙 아이콘(363) 등이 “비포인터부”에 상당해 있었다. 그러나 “포인터부” 및 “비포인터부”에 상당하는 화상부는 적절히 변경되어도 좋다. 특히, “포인터부”에 상당하는 화상부는 현재의 조작 위치에 대응한 표시 스크린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면, 포인터 및 포커스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표시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선택 화상 부분” 중에서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하나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킴으로써 “포인터부”의 기능이 완수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3 실시 형태와 같이, 복수의 트랙 아이콘이 표시되는 형태이면, “비포인터부”에 상당하는 트랙 아이콘이 “포인터부”에 상당해 있어도 좋다. 상세히 설명하면, 표시 스크린 상에서 현재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1개의 트랙 아이콘이 예를 들면, 유목성(誘目性)이 높은 표시색으로의 변경 및 확대 등에 의해 표시 양태를 변화시킨다. 이에 따라, 복수의 트랙 아이콘은 현재의 조작 위치에 대응한 표시 스크린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양태의 변화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표시 스크린 상에서의 상하 및 좌우로의 진동 및 점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표시 스크린 상에서 현재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1개를 제외한 다른 트랙 아이콘이 유목성이 낮은 표시색으로 변경됨으로써 현재의 조작 위치가 나타나도 좋다.
상기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10㎞/h를 넘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주행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한계값으로 되는 속도 한계값은 적절히 변경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속도 한계값은 5㎞/h나 0㎞/h 등이어도 좋다. 또한, 속도 한계값은 10㎞/h보다도 빠른 주행 속도로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덧붙여서, “주행 중”과 “정차 중”의 빈번한 변경을 억제하기 위해, 히스테리시스가 속도 한계값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제 6 실시 형태에서는 전환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에 기초하여 조작 인가의 금지, 허가를 전환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상기 터치 센서(31)의 옆쪽 등에 정전 용량 방식의 다른 터치 센서를 배치하고, 그 밖의 터치 센서에 손가락으로 직접 접촉하거나 또는 z축 방향에서 손가락을 내밀어서 상기의 조작 인가의 금지, 허가를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여러 가지 “인가 조작”을 예시했지만, “인가 조작”은 상기의 조작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접촉 조작 영역 내 및 공중 조작 영역 내 중 어느 하나에서 복수의 손가락(F)을 이동시키는 조작이 인가 조작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는 접촉 조작 영역 및 공중 조작 영역 내에서 특정한 도형을 그리는 조작이 인가 조작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조작이 인가 조작으로서 기억되어 있어도 좋다. 또, 이들의 “인가 조작”에 대응하는 손가락(F)을 카메라로 촬상하고, 이 카메라 화상에 의해 상기의 조작 인가의 금지, 허가를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디스플레이(51)가 “표시 스크린”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표시기 및 유기 EL을 이용한 표시기 등이 “표시 스크린”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윈드실드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면에 설치한 콤바이너 등을 “표시 스크린”으로 하고, 프로젝터 등의 투영부 또는 수단에 의하여 이들 윈드실드 및 콤바이너 등에 화상을 투영하는 표시 장치가 표시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인가 조작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 및 허가 모드와 금지 모드를 전환하는 처리는 조작 제어 회로(33)에 의하여 실시되어 있었다. 덧붙여서, 조작 제어 회로(33)는 손가락(F)의 이동에 동반하는 입력 위치 좌표의 변화에 대해, 그 변화의 전후에 있어서의 2점의 z축 좌표가 제 1 감도 한계값(Hth1)을 넘고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으로 되는 화상부를 표시 제어 회로(53)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완수하고 있었다. 바꾸어 말하면, 조작 제어 회로(33)는 접촉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제 1 화상부를 포함하는 표시 화상을, 공중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제 2 화상부를 포함하는 표시 화상을 각각 표시 제어 회로(53)로부터 액정 디스플레이(51)에 송출시키는 기능을 완수하고 있었다. 이러한 “인가 조작 판정 섹션 또는 수단”, “모드 전환 섹션 또는 수단”, “화상부 전환 섹션 또는 수단” 및 “송출 제어 섹션 또는 수단” 등의 기능을 완수하는 조작 제어 회로(33)는 1개의 아이콘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는 복수의 회로 또는 장치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표시 제어 섹션 또는 수단”의 기능을 완수하는 표시 제어 회로(53)도 1개의 아이콘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는 복수의 회로 또는 장치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인가가 금지 모드인 경우에, 선택 레이어를 “없음”으로 함으로써 손가락(F)에 의한 공중 조작에 의하여 포인터 등이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금지 모드에 있어서, 손가락에 의한 조작에 의하여 포인터 등의 화상부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키지 않도록 하는 방법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의 변형예 1에서는 조작 제어 회로(33)는 “취득 결정 섹션 또는 수단”으로서, 입력 위치 좌표의 z축 방향의 감도값이 제 1 감도 한계값(Hth1)을 교차해서 변화한 것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 회로(53)에 좌표 신호를 취득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해도 좋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조작 제어 회로(33)는 “취득 제어 섹션 또는 수단”으로서, 허가 모드에서 좌표 신호의 취득이 허가되기까지 표시 제어 회로(53)에 의한 좌표 신호의 취득을 중단시키고, 허가 결정을 한 것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 회로(53)에 좌표 신호의 취득을 개시시킨다.
또, 상기 실시 형태의 변형예 2에서는 조작 제어 회로(33)는 “출력 결정 섹션 또는 수단”으로서, 입력 위치 좌표의 z축 방향의 감도값이 제 1 감도 한계값(Hth1)을 교차해서 변화한 것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 회로(53)에 좌표 신호를 출력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해도 좋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조작 제어 회로(33)는 “출력 제어 섹션 또는 수단”으로서, 허가 모드에서 좌표 신호의 출력이 허가되기까지 표시 제어 회로(53)로의 좌표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허가 결정을 한 것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 회로(53)로의 좌표 신호의 출력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변형예 3에서는 조작 제어 회로(33)는 “실시 결정 섹션 또는 수단”으로서, 입력 위치 좌표의 z축 방향의 감도값이 제 1 감도 한계값(Hth1)을 교차해서 변화한 것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 회로(53)에 맵 제어 등을 실시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해도 좋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조작 제어 회로(33)는 “실시 제어 섹션 또는 수단”으로서, 허가 모드에서 맵 제어 등의 실시가 허가되기까지 표시 제어 회로(53)에 의한 맵 제어 등의 실시를 중단시키고, 허가 결정을 한 것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 회로(53)에 맵 제어 등을 개시시킨다.
또한 덧붙여서, 상기 실시 형태의 변형예 4에서는 조작 제어 회로(33)는 “묘화 제어 섹션 또는 수단”으로서, 손가락(F)이 공중 조작 영역으로부터 접촉 조작 영역을 향하는 상태 천이중인 경우에는, 공중 조작에 관련지어지는 화상부의 묘화를 표시 제어 회로(53)에 금지시키는 제어를 실시해도 좋다. 이상의 제어에 의해 공중 조작에 관련지어지는 화상부가 표시 스크린(52)으로부터 소실되기 때문에 해당 화상부에 대해서의 조작자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은 발생할 수 없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에 탑재되는 표시 시스템에 이용되는 원격 조작 장치 또는 표시 화면과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이른바 터치 패널 방식의 조작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차량용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수송용 기기 및 각종 정보 단말 등에 이용되는 표시 시스템 전반에 본 개시가 적용된 조작 장치는 사용 가능하다.
본 개시는 실시예에 준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는 해당 실시예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된다. 본 개시는 여러 가지 변형예나 균등 범위 내의 변형도 포함한다. 덧붙여서, 여러 가지 조합이나 형태, 나아가서는 그들에 1요소만,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를 포함하는 다른 조합이나 형태도 본 개시의 범주나 사상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다.

Claims (27)

  1. 표시부(52)에 표시되는 화상부(6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체(F)에 의한 입력이 조작부(32)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조작 장치로서,
    상기 조작부를 따라서 상기 조작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섹션(31, 33, S121, S221, S321)과,
    상기 조작부로부터 상기 조작체까지의 조작체 거리(d)에 따라서 증감하는 계측값을 취득하는 취득 섹션(31, 33, S122, S222, S322)과,
    상기 취득 섹션에 의하여 취득된 상기 계측값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체 거리가 미리 규정된 한계값 거리(Dth1) 미만인 경우에, 상기 화상부로서의 제 1 화상부(62, 262)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키는 제 1 화상 제어에 상기 검출 섹션에 의하여 검출되는 상기 이동 조작을 관련시키고, 상기 조작체 거리가 상기 한계값 거리를 넘는 경우에, 상기 제 1 화상부와는 다른 상기 화상부로서의 제 2 화상부(64, 265, 363)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키는 제 2 화상 제어에 상기 검출 섹션에 의하여 검출되는 상기 이동 조작을 관련시키는 관련지음 섹션(33, S123∼S126 및 S144∼S147, S227∼S230 및 S244∼S247, S323∼S326 및 S144∼S147)과,
    상기 조작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특정한 조작을 인가 조작으로서 미리 기억하고, 상기 인가 조작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인가 조작 판정 섹션(33, S162, S262∼S266, S364)과,
    상기 이동 조작과 상기 제 2 화상 제어의 상기 관련지음 섹션에 의한 관련지음을 금지하는 금지 모드와, 해당 관련지음을 허가하는 허가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 섹션으로서, 상기 금지 모드인 경우에, 상기 인가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상기 인가 조작 판정 섹션에 의하여 판정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해당 금지 모드로부터 상기 허가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섹션(33, S163, S267, S365)을 구비하는
    조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섹션은 상기 이동 조작과 함께 상기 조작체 거리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취득 섹션을 겸하는
    조작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지음 섹션은 상기 이동 조작을 상기 제 1 화상 제어에 관련시키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한계값 거리를 길게 하는
    조작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 조작 판정 섹션은 상기 한계값 거리보다도 상기 조작부에 근접하는 영역으로의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상기 인가 조작으로서 기억하는
    조작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지음 섹션은 상기 조작체 거리에 대해, 상기 한계값 거리로서의 제 1 한계값 거리(Dth1)를 넘고, 또한 상기 제 1 한계값 거리보다도 긴 제 2 한계값 거리(Dth2) 미만인 경우에, 상기 조작체에 의한 조작을 상기 제 2 화상 제어에 관련시키고,
    상기 인가 조작 판정 섹션(33, S262∼S266)은 상기 제 2 한계값 거리보다도 상기 조작부에 근접하는 영역에 미리 규정된 시간동안 상기 조작체를 계속하여 위치시키는 조작을 상기 인가 조작으로서 기억하는
    조작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 조작 판정 섹션(33, S364)은 상기 조작부를 따르는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상기 인가 조작으로서 기억하는
    조작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 조작 판정 섹션은 상기 조작부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을 따르는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상기 인가 조작으로서 기억하는
    조작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특정한 조작을 금지 조작으로서 미리 기억하고, 상기 조작부에 대하여 상기 금지 조작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금지 조작 판정 섹션(33, S464)을 더 구비하고,
    상기 모드 전환 섹션(33, S465)은 상기 허가 모드인 경우에, 상기 금지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상기 금지 조작 판정 섹션에 의하여 판정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해당 허가 모드로부터 상기 금지 모드로 전환하는
    조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금지 조작 판정 섹션은 상기 한계값 거리보다도 상기 조작부에 근접하는 영역으로의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상기 금지 조작으로서 기억하는
    조작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에 탑재되는 조작 장치로서,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주행 상태 판정 섹션(33, S224)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관련지음 섹션(33, S225)은 상기 주행 상태 판정 섹션에 의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한계값 거리를 짧게 하는
    조작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에 탑재되는 조작 장치로서,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주행 상태 판정 섹션(33, S224)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관련지음 섹션(33, S225)은,
    상기 조작체 거리에 대해, 상기 한계값 거리로서의 제 1 한계값 거리(Dth1)를 넘고, 또한 상기 제 1 한계값 거리보다도 긴 제 2 한계값 거리(Dth2) 미만인 경우에, 상기 조작체에 의한 조작을 상기 제 2 화상 제어에 관련시키고,
    또한, 상기 주행 상태 판정 섹션에 의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제 2 한계값 거리를 길게 하는
    조작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지음 섹션은,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의 현재의 조작 위치에 대응한 상기 표시부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부를 상기 제 1 화상부로 하고,
    상기 포인터부에 의하여 선택되는 선택 화상 부분(63)을 포함하는 비포인터부를 상기 제 2 화상부로 하는
    조작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상부가 묘화되는 제 2 화상 레이어(L2) 및 상기 제 1 화상부가 묘화되는 제 1 화상 레이어(L1)를 포함하는 복수의 묘화 레이어를 중첩시켜서 이루어지는 표시 화상(60, 260, 360)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고, 해당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화상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이 상기 조작부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조작 장치로서,
    상기 관련지음 섹션은,
    상기 조작체 거리가 상기 한계값 거리 미만인 경우에, 상기 제 1 화상 레이어를 조작의 대상으로 되는 상기 묘화 레이어로서 선택함으로써 상기 이동 조작을 상기 제 1 화상 제어에 관련시키고,
    상기 조작체 거리가 상기 한계값 거리를 넘는 경우에, 상기 제 2 화상 레이어를 조작의 대상으로 되는 상기 묘화 레이어로서 선택함으로써 상기 이동 조작을 상기 제 2 화상 제어에 관련시키는
    조작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섹션은 상기 조작부와 상기 조작체의 사이에 축적되는 정전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조작을 검출하는 정전 용량 방식으로서, 상기 조작부로부터 상기 조작체까지의 상기 조작체 거리를 상기 정전 용량에 기초하여 취득함으로써 상기 취득 섹션을 겸하는
    조작 장치.
  15. 표시부(52)에 표시되는 화상부(6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체(F)에 의한 입력이 조작부(32)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조작 장치로서,
    상기 조작부를 따라서 상기 조작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조작을 검출하고, 또한 해당 이동 조작이 상기 조작체를 상기 조작부에 접촉시킨 상태로 이루어지는 접촉 조작 및 상기 조작부로부터 이간시킨 상태로 이루어지는 공중 조작 중 어느 하나인지를 결정하는 검출 섹션(33, S123∼S126)과,
    상기 검출 섹션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접촉 조작 및 상기 공중 조작을 서로 다른 상기 화상부의 제어에 관련시키는 관련지음 섹션(33, S144∼S147)과,
    상기 조작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특정한 조작을 인가 조작으로서 미리 기억하고, 상기 인가 조작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섹션(33, S562 및 S564)과,
    상기 판정 섹션에 의해 상기 인가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공중 조작과 상기 화상부의 제어의 관련지음을 허가하는 허가 모드로 하고, 상기 인가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관련지음을 금지하는 금지 모드로 하는 모드 전환 섹션(33, S563 및 S565)을 구비하는
    조작 장치.
  16. 조작체(F)에 의한 조작부(32)로의 입력에 기초하는 신호를, 표시부(52)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섹션(53)에 취득시킴으로써,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부(61)의 상기 조작체에 의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 장치로서,
    상기 조작부에 대한 상기 조작체의 상대 위치를 3차원 방향의 입력 위치 좌표로서 검출하는 검출 섹션(31, 33)과,
    상기 검출 섹션에 의하여 검출되는 상기 입력 위치 좌표 중, 상기 조작부 및 상기 조작체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z축 방향의 좌표를 나타내는 값이 미리 규정된 한계값(Hth1)을 넘고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제어 섹션에서 제어의 대상으로 되는 상기 화상부를 전환시키는 화상부 전환 섹션(33)과,
    상기 조작체의 이동에 동반하여 변화하는 상기 입력 위치 좌표에 대하여, 그 변화의 전후에 있어서의 2점의 z축 방향의 좌표를 나타내는 값이 상기 한계값을 교차해서 변화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위치 좌표를 나타내는 상기 신호를 상기 표시 제어 섹션이 취득하게 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취득 결정 섹션(33)과,
    상기 취득 결정 섹션에 의하여 상기 신호의 취득을 허가하는 허가 결정이 이루어지기까지 상기 표시 제어 섹션에 의한 상기 신호의 취득을 중단시키고, 상기 허가 결정이 이루어진 것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제어 섹션에 상기 신호의 취득을 개시시키는 취득 제어 섹션(33)을 구비하는
    조작 장치.
  17. 조작체(F)에 의한 조작부(32)로의 입력에 기초하는 신호를, 표시부(52)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섹션(53)에 취득시킴으로써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부(61)의 상기 조작체에 의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 장치로서,
    상기 조작부에 대한 상기 조작체의 상대 위치를 3차원 방향의 입력 위치 좌표로서 검출하는 검출 섹션(31, 33)과,
    상기 검출 섹션에 의하여 검출되는 상기 입력 위치 좌표 중, 상기 조작부 및 상기 조작체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z축 방향의 좌표를 나타내는 값이 미리 규정된 한계값(Hth1)을 넘고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제어 섹션에서 제어의 대상으로 되는 상기 화상부를 전환시키는 화상부 전환 섹션(33)과,
    상기 조작체의 이동에 동반하여 변화하는 상기 입력 위치 좌표에 대하여, 그 변화의 전후에 있어서의 2점의 z축 방향의 좌표를 나타내는 값이 상기 한계값을 교차해서 변화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위치 좌표를 나타내는 상기 신호를 상기 표시 제어 섹션에 출력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출력 결정 섹션(33)과,
    상기 출력 결정 섹션에 의하여 상기 신호의 출력을 허가하는 허가 결정이 이루어지기까지 상기 표시 제어 섹션으로의 상기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허가 결정이 이루어진 것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제어 섹션으로의 상기 신호의 출력을 개시하는 출력 제어 섹션(33)을 구비하는
    조작 장치.
  18. 조작체(F)에 의한 조작부(32)로의 입력에 기초하는 신호를, 표시부(52)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섹션(53)에 취득시킴으로써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부(61)의 상기 조작체에 의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 장치로서,
    상기 조작부에 대한 상기 조작체의 상대 위치를 3차원 방향의 입력 위치 좌표로서 검출하는 검출 섹션(31, 33)과,
    상기 검출 섹션에 의하여 검출되는 상기 입력 위치 좌표 중, 상기 조작부 및 상기 조작체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z축 방향의 좌표를 나타내는 값이 미리 규정된 한계값(Hth1)을 넘고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제어 섹션에서 제어의 대상으로 되는 상기 화상부를 전환시키는 화상부 전환 섹션(33)과,
    상기 조작체의 이동에 동반하여 변화하는 상기 입력 위치 좌표에 대하여, 그 변화의 전후에 있어서의 2점의 z축 방향의 좌표를 나타내는 값이 상기 한계값을 교차하여 변화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위치 좌표에 기초하는 상기 화상부의 제어를 상기 표시 제어 섹션에 실시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실시 결정 섹션(33)과,
    상기 실시 결정 섹션에 의하여 상기 화상부의 제어를 허가하는 허가 결정이 이루어지기까지 상기 표시 제어 섹션에 의한 상기 화상부의 제어를 중단시키고, 상기 허가 결정이 이루어진 것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부의 제어를 상기 표시 제어 섹션에 개시시키는 실시 제어 섹션(33)을 구비하는
    조작 장치.
  19. 표시부(52)에 송출되는 표시 화상(60)을 묘화하는 표시 제어 섹션(53)에 접속되어, 조작체(F)에 의한 조작부(32)로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화상부(32)의 조작이 가능한 조작 장치로서,
    상기 조작부로의 상기 조작체의 접촉 상태 및 근접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섹션(31, 33)과,
    상기 검출 섹션에 의하여 상기 접촉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는, 해당 접촉 상태에 대응하는 제 1 화상부가 포함되는 상기 표시 화상을 상기 표시 제어 섹션으로부터 상기 표시부에 송출시키고, 상기 검출 섹션에 의하여 상기 근접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는, 해당 근접 상태에 대응한 제 2 화상부를 포함하는 상기 표시 화상을 상기 표시 제어 섹션으로부터 상기 표시부에 송출시키는 송출 제어 섹션(33)과,
    상기 검출 섹션에 의하여 검출되는 상기 조작체가 상기 근접 상태로부터 상기 접촉 상태를 향하는 상태 천이중인 경우에, 상기 표시 화상으로의 상기 제 3 화상부의 묘화를 상기 표시 제어 섹션에 금지시키는 묘화 제어 섹션(33)을 구비하는
    조작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섹션은 상기 조작부의 표면 상에 있어서의 3차원 방향의 입력 위치 좌표를 검출할 수 있고,
    상기 근접 상태 및 상기 접촉 상태는 상기 검출 섹션에 의하여 검출되는 상기 입력 위치 좌표 중의 z축 방향의 좌표에 대응해 있는
    조작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묘화 제어 섹션은 상기 접촉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상기 표면 상에 있어서의 x축 방향의 좌표 및 y축 방향의 좌표 중 적어도 한쪽이 검출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화상으로의 상기 제 1 화상부의 묘화를 상기 표시 제어 섹션에 개시시키는
    조작 장치.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섹션은 정전 용량식의 터치 센서인
    조작 장치.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표시부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화상부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상기 조작체에 의한 조작을 검출하는
    조작 장치.
  24. 차량에 탑재되는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의 조작 장치.
  25. 조작체(F)에 의하여 조작되고, 표시부(709)에 표시되는 복수의 화상부(713, 714)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키는 조작 장치로서,
    상기 조작체에 의한 입력이 이루어지는 조작면(710)과,
    상기 조작면에 근접하는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검출하고, 상기 조작면으로부터 상기 조작체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증감하는 거리 계측값(d)을 취득하고, 상기 조작면으로부터 상기 조작체까지의 거리(d)가 한계값 거리(Dth1) 미만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조작체의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부 중의 제 1 화상부(713)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키고, 상기 조작면으로부터 상기 조작체까지의 거리가 상기 한계값 거리 이상인 경우에, 상기 복수의 화상부 중, 상기 제 1 화상부와는 다른 제 2 화상부(714)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키는 제어 회로(712)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또한 상기 조작체에 의한 입력에 의하여 상기 제 2 화상의 표시 양태가 변화하는 것을 금지하는 금지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조작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조작이 사전에 결정된 인가 조작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인가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금지 모드를 해제하는
    조작 장치.
  26. 조작체(F)에 의하여 조작되고, 표시부(709)에 표시되는 복수의 화상부(713, 714)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키는 조작 장치로서,
    상기 조작체에 의한 입력이 이루어지는 조작면(710)과,
    상기 조작면에 근접하는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검출하고, 상기 조작면으로부터 상기 조작체까지의 거리(d)에 따라서 증감하는 거리 계측값을 취득하고, 상기 조작면으로부터 상기 조작체까지의 거리가 한계값 거리(Dth1)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조작면으로부터 상기 조작체까지의 거리가 한계값을 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체에 의한 입력을 상기 화상부의 표시 양태에 반영하지 않는 금지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조작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조작이 사전에 결정된 인가 조작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인가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조작면으로부터 상기 조작체까지의 거리가 한계값을 넘고 있는 경우이어도 상기 조작체에 의한 입력을 상기 화상부의 표시 양태에 반영하는 허가 모드를 설정하는 제어 회로(712)를 구비하는
    조작 장치.
  27. 조작체(F)에 의하여 조작되고, 표시부(709)에 표시되는 복수의 화상부(713, 714)의 표시 양태를 전환하는 조작 장치로서,
    상기 조작체에 의한 입력이 이루어지는 조작면(710)과,
    상기 조작면에 근접하는 상기 조작체의 이동을 검출하고, 상기 조작면으로부터 상기 조작체까지의 거리(d)에 따라서 증감하는 거리 계측값을 취득하고, 상기 조작면으로부터 상기 조작체까지의 거리가 사전에 결정된 거리를 넘고 있는 경우와 넘고 있지 않은 경우에서 상기 화상부의 표시 양태의 전환에 변화를 주지 않는 제 1 모드로부터, 상기 조작면으로부터 상기 조작체까지의 거리가 상기 사전에 결정된 거리를 넘고 있는 경우와 넘고 있지 않은 경우에서 상기 화상부의 표시 양태의 전환에 변화를 주는 제 2 모드로 상기 조작체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모드 전환을 실시하는 제어 회로(712)를 구비하고 있는
    조작 장치.
KR1020157004564A 2012-08-23 2013-08-21 조작 장치 KR1016552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84516 2012-08-23
JPJP-P-2012-184516 2012-08-23
JP2013169696A JP5812054B2 (ja) 2012-08-23 2013-08-19 操作デバイス
JPJP-P-2013-169696 2013-08-19
PCT/JP2013/004951 WO2014030352A1 (ja) 2012-08-23 2013-08-21 操作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233A true KR20150038233A (ko) 2015-04-08
KR101655291B1 KR101655291B1 (ko) 2016-09-07

Family

ID=5014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564A KR101655291B1 (ko) 2012-08-23 2013-08-21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89500B2 (ko)
JP (1) JP5812054B2 (ko)
KR (1) KR101655291B1 (ko)
CN (1) CN104583723B (ko)
DE (1) DE112013004134T5 (ko)
WO (1) WO20140303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2804B2 (ja) 2012-12-03 2015-09-02 株式会社デンソー 操作デバイス、及び操作デバイスの操作教示方法
JP5858059B2 (ja) 2013-04-02 2016-02-10 株式会社デンソー 入力装置
JP5928397B2 (ja) 2013-04-03 2016-06-01 株式会社デンソー 入力装置
JP6221332B2 (ja) * 2013-05-02 2017-11-01 船井電機株式会社 操作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JP6179253B2 (ja) 2013-08-02 2017-08-16 株式会社デンソー 入力装置
WO2015159768A1 (ja) * 2014-04-15 2015-10-22 シャープ株式会社 入力装置
WO2015174111A1 (ja) * 2014-05-14 2015-11-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79232B2 (en) * 2014-07-30 2020-03-03 Metra Electronics Corporation Touchscreen-based vehicle interface
JP6337715B2 (ja) * 2014-09-19 2018-06-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DE102014019005A1 (de) * 2014-12-18 2016-06-23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dien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in unterschiedlichen Bedienmodi sowie Bedienvorrichtung und Kraftfahrzeug
CN104866088A (zh) * 2014-12-22 2015-08-26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娱乐主机、汽车娱乐主机控制方法及装置
US10424514B2 (en) 2015-03-04 2019-09-24 Mtec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substrate
DE102015209899B4 (de) * 2015-05-29 2019-06-19 Kuka Roboter Gmbh Auswahl eines Gerätes oder eines Objektes mit Hilfe einer Kamera
JP2017037383A (ja) * 2015-08-07 2017-02-16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EP3467620A4 (en) * 2016-05-31 2019-05-22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597506B2 (ja) * 2016-07-19 2019-10-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操作装置
JP6565944B2 (ja) * 2017-01-23 2019-08-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入力装置、及び、車両用入力装置の制御方法
JP6558380B2 (ja) * 2017-01-23 2019-08-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入力装置、入力装置、及び、車両用入力装置の制御方法
JP6885289B2 (ja) * 2017-09-29 2021-06-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JP2019124979A (ja) * 2018-01-11 2019-07-25 株式会社エースプロ 位置検出装置、位置検出方法、射撃ゲーム装置、および射撃ゲーム方法
US20190220185A1 (en) * 2018-01-12 2019-07-18 Mitutoyo Corporation Image measurement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8109581B (zh) * 2018-01-16 2018-12-25 深圳鑫亿光科技有限公司 交互式led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CN111868674A (zh) * 2018-03-14 2020-10-30 麦克赛尔株式会社 便携信息终端
US11220182B1 (en) * 2021-04-30 2022-01-11 Fisker Inc. Rotating vehicle center information display with stationary buttons and touch bar
FR3124872A1 (fr) * 2021-07-02 2023-01-06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Dispositif électronique et procédé d'affichage de données sur un écran d’affichage, système d’affichage, véhicule et programme d’ordinateur associé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6285A1 (ja) * 2008-03-19 2009-09-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操作入力装置
KR20110062062A (ko) * 2009-12-02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20120073104A (ko) * 2010-12-24 2012-07-04 소니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기억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6440B1 (fr) 1992-01-17 1994-04-01 Sextant Avionique Dispositif de gestion multimode d'un curseur sur l'ecran d'un dispositif d'affichage.
JPH1164026A (ja) 1997-08-12 1999-03-05 Fujitsu Ten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803568B2 (ja) * 2001-03-30 2011-10-2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JP2006017478A (ja) * 2004-06-30 2006-01-19 Xanavi Informatics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060244733A1 (en) * 2005-04-28 2006-11-02 Geaghan Bernard O Touch sensitive device and method using pre-touch information
US20070257891A1 (en) 2006-05-03 2007-11-08 Esenther Alan W Method and system for emulating a mouse on a multi-touch sensitive surface
JP2008051743A (ja) * 2006-08-28 2008-03-06 Funai Electric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766340B2 (ja) * 2006-10-13 2011-09-07 ソニー株式会社 近接検知型情報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情報表示方法
JP2009116583A (ja) 2007-11-06 2009-05-28 Ricoh Co Ltd 入力制御装置および入力制御方法
JP2009140368A (ja) * 2007-12-07 2009-06-25 Sony Corp 入力装置、表示装置、入力方法、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88307B2 (ja) * 2008-12-03 2012-12-05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入力装置
JP5282661B2 (ja) * 2009-05-26 2013-09-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323398B2 (en) * 2009-07-10 2016-04-26 Apple Inc. Touch and hover sensing
JP5593655B2 (ja) 2009-08-31 2014-09-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053971A (ja) 2009-09-02 2011-03-1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32219B2 (ja) * 2010-09-22 2015-06-10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20120120002A1 (en) * 2010-11-17 2012-05-17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proximity based control of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JP5614275B2 (ja) * 2010-12-21 2014-10-2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画像表示制御方法
JP5652652B2 (ja) * 2010-12-27 2015-01-1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2012155506A (ja) * 2011-01-26 2012-08-16 Panasonic Corp 情報端末、及び画面部品選択方法
JP2012247911A (ja) * 2011-05-26 2012-12-1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253749A (zh) * 2011-07-18 2011-11-23 华为终端有限公司 触摸屏及其输入控制方法
US9280282B2 (en) * 2012-05-30 2016-03-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Touch unlock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6285A1 (ja) * 2008-03-19 2009-09-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操作入力装置
KR20110062062A (ko) * 2009-12-02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조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JP2011118857A (ja) 2009-12-02 2011-06-16 Hyundai Motor Co Ltd 車両のマルチメディアシステム操作用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KR20120073104A (ko) * 2010-12-24 2012-07-04 소니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기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83723A (zh) 2015-04-29
JP5812054B2 (ja) 2015-11-11
CN104583723B (zh) 2016-12-28
KR101655291B1 (ko) 2016-09-07
US9489500B2 (en) 2016-11-08
WO2014030352A1 (ja) 2014-02-27
US20150205943A1 (en) 2015-07-23
JP2014059863A (ja) 2014-04-03
DE112013004134T5 (de)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291B1 (ko) 조작 장치
US9778764B2 (en) Input device
JP6310787B2 (ja) 車両用入力装置および車両用コックピットモジュール
JP5858059B2 (ja) 入力装置
JP2011118857A (ja) 車両のマルチメディアシステム操作用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JP6119679B2 (ja) 車両用入力装置
JP6244822B2 (ja) 車載用表示システム
JP5754410B2 (ja) 表示装置
KR101491169B1 (ko) 차량의 탑재기기 조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242102A1 (en) Manipulating apparatus
US9996242B2 (en) Composite gesture for switching active regions
US20200317267A1 (en) Parking assistance device
JP4793133B2 (ja) 入力装置
JP5709460B2 (ja) 運転支援システム、運転支援方法および運転支援プログラム
JP5098596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5772804B2 (ja) 操作デバイス、及び操作デバイスの操作教示方法
US20180232115A1 (en) In-vehicle input device and in-vehicle input device control method
WO2014162698A1 (ja) 入力装置
WO2016031148A1 (ja) 車両用タッチパッドおよび車両用入力インターフェイス
JP2018063506A (ja) 操作支援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