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726A - 상품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상품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726A
KR20150037726A KR20147024513A KR20147024513A KR20150037726A KR 20150037726 A KR20150037726 A KR 20150037726A KR 20147024513 A KR20147024513 A KR 20147024513A KR 20147024513 A KR20147024513 A KR 20147024513A KR 20150037726 A KR20150037726 A KR 20150037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downstream
posture
hold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4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0251B1 (ko
Inventor
노리오 나까지마
쯔요시 호리구찌
요시또 시바따
시모또 이찌하라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7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articles being supported on or by endless belts or like convey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자신이 구획 형성한 상품 수납 통로(12)에, 그 상품 수납 통로(12)의 재치면(13)에 대해 축심이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상품을 기립 자세로 하여 일렬로 배열되도록 수납하고, 불출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상품 수납 통로(12)에 있어서의 최전방 위치하는 최전방 상품을 불출하도록 한 상품 수납 장치(10)에 있어서, 불출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최전방 상품을 축심이 상품 수납 통로(12)의 연장 방향에 대해 좌우로 경사진 경사 자세로 불출하는 상품 불출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품 수납 장치{PRODUCT HOUSING DEVICE}
본 발명은 상품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품 수납 통로에 그 상품 수납 통로의 재치면에 대해 축심이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상품을 기립 자세로 하여 일렬로 배열되도록 수납하는 상품 수납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상품 수납 장치에서는, 불출(拂出)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상품 수납 통로에 있어서의 최전방 위치에 있는 상품을 전방 경사 자세로 하게 하여, 즉, 상품의 축심이 상품 수납 통로의 연장 방향을 따른 상태로 경사지게 하여 상품 수납 통로의 전방 영역으로 불출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전방 영역으로 불출된 상품은 상품 트레이에 수용되고, 그 후, 상품 취출구로부터 취출되게 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295581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는 상품 수납 장치에서는, 불출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상품 수납 통로에 있어서의 최전방 위치에 있는 상품을 전방 경사 자세로 하게 하여 불출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품 수납 통로의 전방 영역에는, 상품의 높이 치수만큼, 즉, 기립 자세로 수납되는 상품의 상하 치수분만큼의 전후 길이를 필요로 하고 있다. 즉, 높이 치수가 큰 상품을 상품 수납 통로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상품 수납 통로의 전방 영역의 전후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품 수납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의 대형화를 초래하고 있었다. 한편, 설치 스페이스의 크기를 유지한 경우에는, 상품 수납 통로의 연장 길이(전후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고, 결과적으로 상품의 수납수의 저하를 초래해 버릴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에 비추어, 설치 스페이스의 대형화 및 상품의 수납수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상품을 양호하게 불출할 수 있는 상품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수납 장치는, 자신이 구획 형성한 상품 수납 통로에 그 상품 수납 통로의 재치면에 대해 축심이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상품을 기립 자세로 하여 일렬로 배열되도록 수납하고, 불출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있어서의 가장 하류측에 위치하는 최하류 상품을 불출하도록 한 상품 수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불출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상기 최하류 상품을 상기 축심이 상기 상품 수납 통로의 연장 방향에 대해 좌우로 경사진 경사 자세로 불출하는 상품 불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 수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품 불출 수단은, 상태(常態)에 있어서는 상기 최하류 상품을 기립 자세로 보유 지지하는 한편, 상기 불출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자신의 축심 주위로 회전하여 상기 최하류 상품을 상기 경사 자세로 불출하는 홀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 수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품 불출 수단에 의해 경사 자세로 되는 최하류 상품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킴으로써 그 상품 불출 수단에 의한 최하류 상품의 불출을 보조하는 상품 불출 보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 수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품 불출 수단은, 상태에 있어서는 수용 자세로 되어 상기 최하류 상품을 기립 자세로 수용하여 보유 지지하는 한편, 상기 불출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자신의 축심 주위로 회전하여 경도(傾倒) 자세로 되어 상기 최하류 상품을 상기 경사 자세로 불출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상품 불출 보조 수단은, 상기 상품 수납 통로의 재치면보다 상방을 향해 돌출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홀더가 경도 자세로 되는 경우에 그 홀더에 형성된 구멍부를 관통하여 경사 자세로 되는 최하류 상품에 접촉하여 그 최하류 상품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는 돌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 수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상품 수납 통로의 상류측을 향해 돌출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수용 자세로 되어 상기 최하류 상품을 수용하는 경우에 그 최하류 상품의 몸통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 수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품 불출 수단은,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진퇴 이동하는 형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홀더가 상기 수용 자세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피 이동하는 한편, 상기 홀더가 상기 수용 자세로부터 상기 경도 자세로 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 이동하여 상기 최하류 상품에 접촉하여 상기 홀더에 의한 최하류 상품의 자세 변형을 어시스트하는 어시스트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 수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품 불출 수단은, 상태에 있어서는 수용 자세로 되어 상기 최하류 상품을 기립 자세로 수용하여 보유 지지하는 한편, 상기 불출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자신의 축심 주위로 회전하여 경도 자세로 되어 상기 최하류 상품을 상기 경사 자세로 불출하는 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는, 상기 상품 수납 통로의 상류측을 향해 돌출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수용 자세로 되어 상기 최하류 상품을 수용하는 경우에 그 최하류 상품의 몸통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 수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품 불출 수단은, 상태에 있어서는 수용 자세로 되어 상기 최하류 상품을 기립 자세로 수용하여 보유 지지하는 한편, 상기 불출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자신의 축심 주위로 회전하여 경도 자세로 되어 상기 최하류 상품을 상기 경사 자세로 불출하는 홀더와,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진퇴 이동하는 형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홀더가 상기 수용 자세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피 이동하는 한편, 상기 홀더가 상기 수용 자세로부터 상기 경도 자세로 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 이동하여 상기 최하류 상품에 접촉하여 상기 홀더에 의한 최하류 상품의 자세 변형을 어시스트하는 어시스트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 수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 통로마다 설치되고, 또한 가압 수단에 의해 하류를 향해 상시 가압됨으로써 그 상품 수납 통로에 수납되는 상품을 하류측을 향해 압압(押壓)하는 푸셔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 수납 장치에 있어서,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푸셔 부재에 의한 상품의 압압을 허용하는 한편, 상기 상품 불출 수단에 의해 상기 최하류 상품의 불출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푸셔 부재에 의한 상품의 압압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 수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태에 있어서는, 자신의 규제 맞물림부가 상기 푸셔 부재의 푸셔 맞물림부와 이격되어 비맞물림 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푸셔 부재에 의한 상품의 압압을 허용하는 한편, 상기 상품 불출 수단에 의해 상기 최하류 상품의 불출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규제 맞물림부가 상기 푸셔 맞물림부에 근접하여 맞물림 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푸셔 부재에 의한 상품의 압압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 불출 수단이, 불출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최하류 상품을 축심이 상품 수납 통로의 연장 방향에 대해 좌우로 경사진 경사 자세로 불출하므로, 높이 치수가 큰 상품을 수납해도, 상품 수납 통로의 예를 들어 전방 영역에 있어서의 전후 길이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즉, 상품 수납 통로의 하류 영역에 있어서의 상품 수납 통로의 연장 방향을 따른 길이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스페이스의 대형화 및 상품의 수납수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상품을 양호하게 불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 불출 보조 수단이, 상품 불출 수단에 의해 경사 자세로 되는 최하류 상품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킴으로써 그 상품 불출 수단에 의한 최하류 상품의 불출을 보조하므로, 경사 자세로 된 것만으로는 불출하기 어려운 형상을 갖고 있는 상품에 대해서도, 그 상품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그 상품의 밸런스가 무너지고, 그 상품을 양호하게 불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에 형성된 접촉부가, 홀더가 수용 자세로 최하류 상품을 수용할 때에 그 상품의 몸통부에 접촉하므로, 그 상품이 홀더의 일부에 접촉함으로써 하류측을 향해 경사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최하류 상품이 높이 치수가 충분히 크고, 또한 몸통부에 저부보다도 협폭으로 되는 잘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촉부가 그 상품의 몸통부에 접촉함으로써, 그 상품이 하류측을 향해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여, 그 상품이 전도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 수납 통로에 진퇴 이동하는 형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어시스트 부재가, 홀더가 수용 자세에 있는 경우에는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피 이동하는 한편, 홀더가 수용 자세로부터 경도 자세로 되는 경우에는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 이동하여 최하류 상품에 접촉하여 홀더에 의한 최하류 상품의 자세 변형을 어시스트하므로, 최대 폭이 큰 상품에 대해서도 원하는 자세로 양호하게 불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상품 수납 장치가 적용된 자동 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상품 수납 장치의 대기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상품 수납 장치의 대기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상품 수납 장치의 대기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압압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가이드 구멍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상품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상품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상품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가이드 구멍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상품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상품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상품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한 가이드 구멍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상품 수납 장치의 최전방 상품의 불출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a)는 대기 상태, (b)는 동작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상품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인 상품 수납 장치의 대기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인 상품 수납 장치의 대기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인 상품 수납 장치의 대기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20은 도 17∼도 19에 도시한 상품 수납 장치의 전방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7∼도 19에 도시한 상품 수납 장치의 전방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인 상품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인 상품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인 상품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25는 도 22∼도 24에 도시한 상품 수납 장치의 전방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2∼도 24에 도시한 상품 수납 장치의 전방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인 상품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인 상품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인 상품 수납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30은 도 27∼도 29에 도시한 상품 수납 장치의 전방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7∼도 29에 도시한 상품 수납 장치의 전방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인 상품 수납 장치의 최전방 상품의 불출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a)는 대기 상태, (b)는 동작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인 상품 수납 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상품을 보유 지지하는 경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4는 어시스트 부재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5는 어시스트 부재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6은 어시스트 부재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인 상품 수납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인 상품 수납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수납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상품 수납 장치가 적용된 자동 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자동 판매기는, 본체 캐비넷(1)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체 캐비넷(1)은 전방면이 개구된 직방 형상의 하우징이며, 그 내부에 단열 구조의 상품 수용고(2)가 배치되어 있다. 상품 수용고(2)에는, 상품 랙(3)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 설치되어 있다. 이들 상품 랙(3)은 후술하는 상품 수납 장치(10)가 좌우로 배열되도록 설치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상품 수용고(2)는 도시하지 않은 냉각 수단 등에 의해 내부 분위기가 냉각됨으로써 상품 랙(3)에 수납되는 상품을 원하는 온도로 조정하는 것이다. 이 상품 수용고(2)에 있어서의 상품 랙(3)의 전방 영역에는, 상품 트레이(4)가 도시하지 않은 반송 기구에 의해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상품 트레이(4)는 원하는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수납 장치(10)로부터 불출된 상품을 수용한 후, 하방으로 이동하고, 본체 캐비넷(1)의 전방면 개구의 하방측을 폐색하는 폐색 부재(5)에 형성된 상품 취출구(6)로부터 그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또한, 이 폐색 부재(5)는 그 상방에 설치된 도어체(7)와 함께 본체 캐비넷(1)의 전방면 개구를 폐색하는 것이며, 그 도어체(7)는 그 본체 캐비넷(1)에 개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2∼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상품 수납 장치(10)의 대기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2는 평면도, 도 3은 측면도, 도 4는 저면도이다. 또한, 이들 도 2∼도 4에서는, 주요한 구성 요소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그 밖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2점 쇄선으로 나타내거나, 생략하고 있다.
상품 수납 장치(10)는 좌우 양측 영역에 세워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측판간에 있어서의 베이스(11)의 상면(11a)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품 수납 통로(12)를 구획 형성하는 것이며, 이 상품 수납 통로(12)에 상품을 기립 자세로 일렬로 배열되도록 수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품의 기립 자세는, 상품 수납 통로(12)의 재치면(13)[베이스(11)의 상면(11a)]에 대해 상품의 축심이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자세를 말한다.
이러한 상품 수납 장치(10)는 슬라이더(20)와, 푸셔(푸셔 부재)(30)와, 스토퍼(규제 부재)(4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더(20)는 상품 수납 통로(12)의 하방 영역에 있어서 전후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는 장척 형상 부재인 슬라이더 기부(base)(20a)에, 이형 연결 구멍(21), 결합 핀(22), 압압부(23), 슬라이더 맞물림부(24)가 형성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형 연결 구멍(21)은 슬라이더 기부(20a)의 대략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좌우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는 긴 구멍 형상을 이루고 있고, 또한 전방 테두리부의 중앙 부분과 후방 테두리부의 중앙 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직경 확장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이형 연결 구멍(21)은 직경 확장 구멍부(21a)와, 이 직경 확장 구멍부(21a)의 우측 방향으로 연속하는 우측 구멍부(21b)와, 직경 확장 구멍부(21a)의 좌측 방향으로 연속하는 좌측 구멍부(21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형 연결 구멍(21)에는, 하방으로부터 전달 핀(25)이 삽입 관통하고 있다. 이 전달 핀(25)은 슬라이더(20)의 하방 영역에 설치된 모터(26)의 구동력을 슬라이더(20)에 전달하는 것이며, 원판 형상의 전달판(25a)의 주연(周緣) 근방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전달판(25a)은 모터(26)가 구동하는 경우에, 자신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이다.
결합 핀(22)은 복수개(도시의 예에서는 2개)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더 기부(20a)의 후단부와, 슬라이더 기부(20a)의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이형 연결 구멍(21)보다도 전방측의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 기부(20a)의 후단부에 설치된 결합 핀(이하, 제1 결합 핀이라고도 함)(22a)과, 슬라이더 기부(20a)의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이형 연결 구멍(21)보다도 전방측의 개소에 설치된 결합 핀(이하, 제2 결합 핀이라고도 함)(22b)은, 모두 슬라이더 기부(20a)보다도 상방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압압부(23)는 슬라이더 기부(20a)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압압부(23)는 도 5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상면(11a)에 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23a)를 갖고 있다. 이 압압부(23)의 상방 영역에는, 어시스트 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어시스트 부재(50)는 후단부 부분에 형성된 어시스트 축부(51)가 베이스(11)에 축지지됨으로써 어시스트 축부(51)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한 것이다. 이 어시스트 부재(50)는 어시스트 축부(51)로부터 선단측이 전방을 향함에 따라 상방으로 만곡되는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선단 부분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어시스트 부재(50)는 어시스트 축부(51)보다도 전방측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하는 어시스트 돌기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어시스트 부재(50)는 상품 수납 통로(12)의 재치면(13)에 형성된 어시스트 개구(14)를 통해 상품 수납 통로(12)에 진퇴 이동하는 형태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도 2∼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상품 수납 통로(12)로부터 퇴피 이동하고 있다.
슬라이더 맞물림부(24)는 슬라이더 기부(20a)의 가장 전방에 형성되어 있고, 압압부(23)의 전방 단부면의 우측 방향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장척 형상 부위이다. 이 슬라이더 맞물림부(24)의 전방측 좌측 단부에는 슬라이더 기어(24a)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 맞물림부(24)의 슬라이더 기어(24a)의 일부는, 상품 수납 통로(12)의 하방 영역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판 형상의 전달 부재(60)의 외주면의 일부에 설치된 전달 기어(60a)와 맞물려 있다. 이 전달 부재(60)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전달 기어(60a)가 형성되는 개소와 다른 개소에는, 연락 기어(6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락 기어(60b)는 홀더(70)의 홀더 기어(70a)와 맞물려 있다.
홀더(70)는 상품 수납 통로(12)를 구성하는 베이스(11)의 상면(11a)의 전방 영역에 설치되어 있고, 자신도 상품 수납 통로(12)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홀더(70)는 평판 형상의 재치부(71)와, 이 재치부(71)의 전단부보다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만곡 형상의 지지부(72)를 갖고 있다.
이러한 홀더(70)는 재치부(71)가 상품 수납 통로(12)의 재치면(13)과 대략 동일한 높이 레벨로 설치되어 있고, 도 2∼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기 상태, 즉, 상태에 있어서는, 자신도 기립 자세로 되어 있고, 재치부(71)에 상품을 기립 자세로 보유 지지하는 것이다. 홀더 기어(70a)는 홀더(70)의 지지부(72)의 외면에 있어서 대략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푸셔(30)는 상품 수납 통로(12)에 설치되어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11)의 상면(11a)에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홈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상품 수납 통로(12)에 설치되어 있다. 이 푸셔(30)는, 예를 들어 정(定)하중 스프링 등의 도시하지 않은 가압 수단에 의해 상시 전방을 향해 가압되어 있고, 상품 수납 통로(12)에 수납된 상품을 전방을 향해 압압하는 것이다.
이 푸셔(30)의 하부, 즉, 상품 수납 통로(12)의 하방 영역으로 되는 개소에는, 푸셔 맞물림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푸셔 맞물림부(31)는 좌측 방향 부위에 푸셔 기어(31a)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40)는 상품 수납 통로(12)의 하방 영역이며 슬라이더(20)의 상방 영역에 있어서, 전후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는 장척 형상 부재인 스토퍼 기부(40a)에, 결합 구멍(41), 가이드 구멍(42), 스토퍼 맞물림부(규제 맞물림부)(43)가 형성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결합 구멍(41)은 복수개(도시의 예에서는 2개) 형성되어 있고, 스토퍼 기부(40a)의 후단부와, 스토퍼 기부(40a)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기부(40a)의 후단부에 형성된 결합 구멍(이하, 제1 결합 구멍이라고도 함)(41a)과, 스토퍼 기부(40a)의 전단부에 형성된 결합 구멍(이하, 제2 결합 구멍이라고도 함)(41b)은, 모두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전후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는 제1 긴 구멍부(41a1, 41b1)와, 이 제1 긴 구멍부(41a1, 41b1)의 전단부로부터 좌측 방향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 구멍부(41a2, 41b2)와, 경사 구멍부(41a2, 41b2)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긴 구멍부(41a3, 41b3)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결합 구멍(41a)에는, 제1 결합 핀(22a)이 삽입 관통하고 있고, 제2 결합 구멍(41b)에는, 제2 결합 핀(22b)이 삽입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도 2∼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제1 결합 핀(22a)이 제1 결합 구멍(41a)의 제1 긴 구멍부(41a1)의 전단부 위치를 삽입 관통하고 있고, 제2 결합 핀(22b)이 제2 결합 구멍(41b)의 제1 긴 구멍부(41b1)의 전단부 위치를 삽입 관통하고 있다.
가이드 구멍(42)은 스토퍼 기부(40a)의 제2 결합 구멍(41b)보다도 전방측의 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평행사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가이드 구멍(42)에는, 도 6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1)에 형성된 2개의 가이드 돌기(27)가 삽입 관통하고 있다. 이들 2개의 가이드 돌기(27)는 가이드 구멍(42)의 전방 테두리부와 후방 테두리부에 미끄럼 접촉 가능하게 삽입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가이드 돌기(27)는 도 2∼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각각의 우측 단부가 가이드 구멍(42)의 우측 테두리부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 구멍(42)의 경사각이지만, 제1 결합 구멍(41a) 및 제2 결합 구멍(41b)의 경사 구멍부(41a2, 41b2)의 경사각과 대략 동일하다.
스토퍼 맞물림부(43)는 스토퍼 기부(40a)의 우측 단부에 스토퍼 기부(40a)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스토퍼 기부(40a)의 우측 단부에 설치된 스토퍼 기어(43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스토퍼 맞물림부(43)는 푸셔 맞물림부(31)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스토퍼 기어(43a)와 푸셔 기어(31a)는 맞물려 있지 않다. 즉, 스토퍼 맞물림부(43)는 푸셔 맞물림부(31)와 비맞물림 상태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상품 수납 장치(10)에 있어서는, 상품 트레이(4)가 상품 수납 통로(12)의 전방 영역에 배치된 상태로 구동 지령(불출 지령)이 부여되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모터(26)의 구동에 의해, 전달판(25a)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도 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전달 핀(25)은, 이형 연결 구멍(21)의 직경 확장 구멍부(21a)로부터 우측 구멍부(21b)에 진입하고, 우측 구멍부(21b)의 전방 테두리부를 압압한다. 이에 의해, 도 7∼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0)는 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20)가 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20)의 제1 결합 핀(22a)은 제1 결합 구멍(41a)을 이동함으로써 제1 긴 구멍부(41a1)로부터 경사 구멍부(41a2)를 통과하여 경사 구멍부(41a2)의 전단부 위치에 이르고, 제2 결합 핀(22b)은 제2 결합 구멍(41b)을 이동함으로써 제1 긴 구멍부(41b1)로부터 경사 구멍부(41b2)를 통과하여 경사 구멍부(41b2)의 전단부 위치에 이른다. 이에 의해, 스토퍼(40)는 경사 구멍부(41a2, 41b2)의 경사에 따라 우측으로 비스듬하게 후방으로 변위한다. 이때,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1)의 가이드 돌기(27)는 가이드 구멍(42)의 전방 테두리부와 후방 테두리부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상대적으로 좌측으로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변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토퍼(40)가 좌측으로 비스듬하게 후방으로 변위함으로써, 스토퍼 맞물림부(43)가 푸셔 맞물림부(31)에 근접하고, 스토퍼 기어(43a)가 푸셔 기어(31a)와 맞물리는 맞물림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푸셔(30)는, 가압 수단에 가압되는 것에 의한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이 결과, 푸셔(30)에 의한 상품에 대한 전방으로의 압압이 규제된다.
또한, 슬라이더(20)가 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 맞물림부(24)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슬라이더 기어(24a)와 전달 기어(60a)가 맞물리는 전달 부재(60)는, 도 9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전달 부재(6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그 전달 부재(60)의 연락 기어(60b)와 홀더 기어(70a)가 맞물리는 홀더(70)는, 홀더 기어(70a)의 배치 형태에 따라 회동하고, 좌측으로 비스듬하게 전방을 향해 경사진 자세로 된다. 이때, 홀더(70)에 보유 지지되는 최전방 상품도 마찬가지로 축심이 좌우로 경사진 경사 자세로 된다.
또한, 슬라이더(20)가 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압압부(23)의 상면의 경사부(23a) 및 이 경사부(23a)의 후방측이 어시스트 돌기부(53)에 접촉함으로써, 어시스트 부재(50)는 어시스트 축부(51)의 축심 주위로 상방을 향해 요동하고, 선단 부분이 어시스트 개구(14)를 통해 상품 수납 통로(12)로 진출 이동한다. 이 어시스트 부재(50)는, 홀더(70)에 보유 지지되는 상품(최전방 상품)의 외경이 큰 경우에, 진출 이동하는 선단 부분이 그 상품의 저면에 접촉함으로써, 홀더(70)에 의한 상품의 자세 변형을 어시스트하는 것이다.
그리고, 모터(26)의 구동에 의해, 전달 핀(25)이 이형 연결 구멍(21)의 우측 구멍부(21b)로부터 직경 확장 구멍부(21a)로 진입하고, 직경 확장 구멍부(21a)의 전방 테두리부를 압압하면, 도 11∼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0)는 더욱 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20)가 전방을 향해 더욱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20)의 제1 결합 핀(22a)은 제1 결합 구멍(41a)을 이동함으로써 경사 구멍부(41a2)로부터 제2 긴 구멍부(41a3)를 통과하여 제2 긴 구멍부(41a3)의 전단부 위치에 이르고, 제2 결합 핀(22b)은 제2 결합 구멍(41b)을 이동함으로써 경사 구멍부(41b2)로부터 제2 긴 구멍부(41b3)를 통과하여 제2 긴 구멍부(41b3)의 전단부 위치에 이른다. 이에 의해, 스토퍼(40)는 경사 구멍부(41a2, 41b2)의 경사에 따라 우측으로 비스듬하게 후방으로 더욱 변위한다. 이때,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0)의 가이드 돌기(27)는 가이드 구멍(42)의 전방 테두리부와 후방 테두리부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상대적으로 좌측으로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더욱 변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토퍼(40)가 좌측으로 비스듬하게 후방으로 더욱 변위함으로써, 스토퍼 맞물림부(43)가 푸셔 맞물림부(31)에 보다 근접하고, 스토퍼 기어(43a)가 푸셔 기어(31a)와 맞물리는 맞물림 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된다.
또한, 슬라이더(20)가 전방을 향해 더욱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 맞물림부(24)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슬라이더 기어(24a)와 전달 기어(60a)가 맞물리는 전달 부재(60)는 도 13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더욱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전달 부재(60)가 더욱 회전함으로써, 그 전달 부재(60)의 연락 기어(60b)와 홀더 기어(70a)가 맞물리는 홀더(70)는, 홀더 기어(70a)의 배치 형태에 따라 회동하고, 좌측으로 비스듬하게 전방을 향해 보다 경사진 자세로 된다. 이에 의해, 홀더(70)에 보유 지지되는 최전방 상품은, 자신의 축심이 좌측 방향으로 보다 경사진 경사 자세로 전방 영역으로 불출되게 된다.
즉, 도 1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기 상태에서는, 기립 자세로 홀더(70)에 보유 지지되어 있었던 최전방 상품은, 도 1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70)의 자세 변형에 추종하여 자신의 축심이 좌우로 경사진 경사 자세로 되어 전방 영역으로 불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방 영역으로 불출된 상품은, 상품 트레이(4)에 수용되고, 상품 트레이(4)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고, 그 후에 상품 취출구(6)를 통해 취출되게 된다.
그 후, 모터(26)의 구동에 의해, 전달 핀(25)이 이형 연결 구멍(21)의 직경 확장 구멍부(21a)로부터 좌측 구멍부(21c)로 진입하고, 좌측 구멍부(21c)의 후방 테두리부를 압압하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0)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20)가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20)의 제1 결합 핀(22a)은 제1 결합 구멍(41a)을 이동함으로써 제2 긴 구멍부(41a3)를 통과하여 제2 긴 구멍부(41a3)의 후단부 위치에 이르고, 제2 결합 핀(22b)은 제2 결합 구멍(41b)을 이동함으로써 제2 긴 구멍부(41b3)를 통과하여 제2 긴 구멍부(41b3)의 후단부 위치에 이른다.
또한, 슬라이더(20)가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 맞물림부(24)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슬라이더 기어(24a)와 전달 기어(60a)가 맞물리는 전달 부재(60)는 도 9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전달 부재(60)가 회전함으로써, 그 전달 부재(60)의 연락 기어(60b)와 홀더 기어(70a)가 맞물리는 홀더(70)는 홀더 기어(70a)의 배치 형태에 따라, 우측으로 비스듬하게 후방을 향해 회동한다.
또한, 슬라이더(20)가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압압부(23)에 접촉하는 어시스트 부재(50)는 어시스트 축부(51)의 축심 주위로 하방을 향해 요동하고, 선단 부분이 어시스트 개구(14)를 통해 상품 수납 통로(12)로 퇴피 이동한다.
그리고, 모터(26)의 구동에 의해, 전달 핀(25)이 좌측 구멍부(21c)의 후방 테두리부를 압압하면서 직경 확장 구멍부(21a)에 이르고, 직경 확장 구멍부(21a)의 후방 테두리부를 압압함으로써, 슬라이더(20)는 후방을 향해 더욱 슬라이드 이동하여 도 2∼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기 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20)가 대기 상태로 복귀되는 과정에 있어서, 제1 결합 핀(22a)이 제1 결합 구멍(41a)의 경사 구멍부(41a2)를 통과하고, 또한 제2 결합 핀(22b)이 제2 결합 구멍(41b)의 경사 구멍부(41b2)를 통과함으로써, 스토퍼(40)는 경사 구멍부(41a2, 41b2)의 경사에 따라 좌측으로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변위한다. 이에 의해, 스토퍼 맞물림부(43)가 푸셔 맞물림부(31)로부터 이격되어 양자는 비맞물림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푸셔(30)는,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전방을 향해 상품을 압압한다. 이 결과, 불출된 상품의 후방에 인접한 상품이 최전방 상품으로서 홀더(70)에 보유 지지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 형태 1인 상품 수납 장치(10)에서는, 슬라이더(20), 전달 부재(60) 및 홀더(70)가, 불출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최전방 상품(최하류 상품)을 축심이 상품 수납 통로(12)의 연장 방향에 대해 좌우로 경사진 경사 자세로 불출하는 상품 불출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최전방 상품을 경사 자세로 불출함으로써, 높이 치수가 큰 상품을 수납해도, 상품 수납 통로(12)의 전방 영역의 전후 길이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설치 스페이스의 대형화 및 상품의 수납수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상품을 양호하게 불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17∼도 19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인 상품 수납 장치의 대기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7은 평면도, 도 18은 측면도, 도 19는 저면도이다. 이들 도 17∼도 19에서는, 주요한 구성 요소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그 밖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2점 쇄선으로 나타내거나, 생략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 1의 상품 수납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여기서 예시하는 상품 수납 장치(10′)는, 상기 상품 수납 장치(10)에 있어서의 홀더(70) 대신에 홀더(80)를 갖는 점에서 그 상품 수납 장치(10)와 상이한 것이며, 슬라이더(20), 푸셔(푸셔 부재)(30), 스토퍼(규제 부재)(40), 어시스트 부재(50), 전달 부재(60) 등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홀더(80)는 상품 수납 통로(12)를 구성하는 베이스(11)의 상면(11a)의 전방 영역에 설치되어 있고, 자신도 상품 수납 통로(12)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홀더(80)는 평판 형상의 재치부(81)와, 이 재치부(81)의 전단부보다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만곡 형상의 지지부(82)를 갖고 있다.
이러한 홀더(80)는 재치부(81)가 상품 수납 통로(12)의 재치면(13)과 대략 동일한 높이 레벨로 설치되어 있고, 도 17∼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기 상태, 즉, 상태에 있어서는, 자신도 기립한 수용 자세로 되어 있고, 재치부(81)에 상품을 기립 자세로 보유 지지하는 것이다. 홀더 기어(80a)는 홀더(80)의 지지부(82)의 외면에 있어서 대략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홀더 기어(80a)는 전달 부재(60)의 연락 기어(60b)와 맞물려 있다.
이러한 홀더(80)의 지지부(82)에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구멍부)(8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821)은 지지부(82)의 하방 영역에 있어서의 약간 우측 방향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 구멍(82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홀더(80)가 경도 자세로 되는 경우에, 재치면(13)보다 상방을 향해 돌출하는 형태로 형성된 돌기부(131)에 관통되는 것이다. 여기서 돌기부(131)는 관통 구멍(821)을 관통하는 경우의 지지부(82)에 대한 돌출 높이가, 그 홀더(80)에 보유 지지되는 상품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홀더(80)의 지지부(82)에는 접촉부(822)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822)는 지지부(82)의 상단부 부분을 후방을 향해 굴곡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후방을 향해 예를 들어 3∼7㎜ 정도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부(822)는 상품의 중앙부, 즉, 몸통부(101)에 접촉하는 것이 가능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상품 수납 장치(10′)에 있어서는, 상품 트레이(4)가 상품 수납 통로(12)의 전방 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 구동 지령(불출 지령)이 부여되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모터(26)의 구동에 의해, 전달판(25a)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도 17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전달 핀(25)은 이형 연결 구멍(21)의 직경 확장 구멍부(21a)로부터 우측 구멍부(21b)로 진입하고, 우측 구멍부(21b)의 전방 테두리부를 압압한다. 이에 의해, 도 22∼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0)는 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20)가 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20)의 제1 결합 핀(22a)은 제1 결합 구멍(41a)을 이동함으로써 제1 긴 구멍부(41a1)로부터 경사 구멍부(41a2)를 통과하여 경사 구멍부(41a2)의 전단부 위치에 이르고, 제2 결합 핀(22b)은 제2 결합 구멍(41b)을 이동함으로써 제1 긴 구멍부(41b1)로부터 경사 구멍부(41b2)를 통과하여 경사 구멍부(41b2)의 전단부 위치에 이른다. 이에 의해, 스토퍼(40)는 경사 구멍부(41a2, 41b2)의 경사에 따라 우측으로 비스듬하게 후방으로 변위한다. 이때, 베이스(11)의 가이드 돌기(27)는 가이드 구멍(42)의 전방 테두리부와 후방 테두리부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상대적으로 좌측으로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변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토퍼(40)가 좌측으로 비스듬하게 후방으로 변위함으로써, 스토퍼 맞물림부(43)가 푸셔 맞물림부(31)에 근접하고, 스토퍼 기어(43a)가 푸셔 기어(31a)와 맞물리는 맞물림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푸셔(30)는 가압 수단에 가압되는 것에 의한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이 결과, 푸셔(30)에 의한 상품에 대한 전방으로의 압압이 규제된다.
또한, 슬라이더(20)가 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 맞물림부(24)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슬라이더 기어(24a)와 전달 기어(60a)가 맞물리는 전달 부재(60)는 도 24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전달 부재(6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그 전달 부재(60)의 연락 기어(60b)와 홀더 기어(80a)가 맞물리는 홀더(80)는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 기어(80a)의 배치 형태에 따라 회동하고, 좌측으로 비스듬하게 전방을 향해 약간 경사진 자세로 된다. 이때, 홀더(80)에 보유 지지되는 최전방 상품도 마찬가지로 축심이 좌우로 경사진 자세로 된다. 또한,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80)가 약간 경사진 자세로 되는 경우에는, 돌기부(131)는 관통 구멍(821)에 이르고 있지 않다.
또한, 슬라이더(20)가 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압압부(23)의 상면의 경사부(23a) 및 이 경사부(23a)의 후방측이 어시스트 돌기부(53)에 접촉함으로써, 어시스트 부재(50)는 어시스트 축부(51)의 축심 주위로 상방을 향해 요동하고, 선단 부분이 어시스트 개구(14)를 통해 상품 수납 통로(12)에 진출 이동한다.
그리고, 모터(26)의 구동에 의해, 전달 핀(25)이 이형 연결 구멍(21)의 우측 구멍부(21b)로부터 직경 확장 구멍부(21a)로 진입하고, 직경 확장 구멍부(21a)의 전방 테두리부를 압압하면, 도 27∼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0)는 더욱 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20)가 전방을 향해 더욱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20)의 제1 결합 핀(22a)은 제1 결합 구멍(41a)을 이동함으로써 경사 구멍부(41a2)로부터 제2 긴 구멍부(41a3)를 통과하여 제2 긴 구멍부(41a3)의 전단부 위치에 이르고, 제2 결합 핀(22b)은 제2 결합 구멍(41b)을 이동함으로써 경사 구멍부(41b2)로부터 제2 긴 구멍부(41b3)를 통과하여 제2 긴 구멍부(41b3)의 전단부 위치에 이른다. 이에 의해, 스토퍼(40)는 경사 구멍부(41a2, 41b2)의 경사에 따라 우측으로 비스듬하게 후방으로 더욱 변위한다. 이때, 베이스(11)의 가이드 돌기(27)는 가이드 구멍(42)의 전방 테두리부와 후방 테두리부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상대적으로 좌측으로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더욱 변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토퍼(40)가 좌측으로 비스듬하게 후방으로 더욱 변위함으로써, 스토퍼 맞물림부(43)가 푸셔 맞물림부(31)에 보다 근접하고, 스토퍼 기어(43a)가 푸셔 기어(31a)와 맞물리는 맞물림 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된다.
또한, 슬라이더(20)가 전방을 향해 더욱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 맞물림부(24)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슬라이더 기어(24a)와 전달 기어(60a)가 맞물리는 전달 부재(60)는 도 29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더욱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전달 부재(60)가 더욱 회전함으로써, 그 전달 부재(60)의 연락 기어(60b)와 홀더 기어(80a)가 맞물리는 홀더(80)는, 도 30 및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 기어(80a)의 배치 형태에 따라 회동하고, 좌측으로 비스듬하게 전방을 향해 보다 경사진 경도 자세로 된다.
이와 같이 홀더(80)가 경도 자세로 되는 경우, 재치면(13)에 형성된 돌기부(131)는, 도 30 및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821)을 관통하여 지지부(82)보다 상방을 향해 돌출한 상태로 된다. 그로 인해, 홀더(80)에 보유 지지되어 있었던 최전방 상품은, 홀더(80)의 경도 자세에 의해 자신의 축심이 좌측 방향으로 보다 경사진 경사 자세로 되면서, 관통 구멍(821)을 관통하는 돌기부(131)에 접촉됨으로써 자신의 무게 중심이 이동하여 전방 영역으로 불출되게 된다.
즉, 도 3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기 상태에서는, 기립 자세로 수용 자세의 홀더(80)에 보유 지지되어 있었던 최전방 상품은, 도 3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80)의 수용 자세로부터 경도 자세로의 자세 변형에 추종하여 자신의 축심이 좌우로 경사진 경사 자세로 되어 전방 영역으로 불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방 영역으로 불출된 상품은, 상품 트레이(4)에 수용되고, 상품 트레이(4)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고, 그 후에 상품 취출구(6)를 통해 취출되게 된다.
그 후, 모터(26)의 구동에 의해, 전달 핀(25)이 이형 연결 구멍(21)의 직경 확장 구멍부(21a)로부터 좌측 구멍부(21c)로 진입하고, 좌측 구멍부(21c)의 후방 테두리부를 압압하면, 슬라이더(20)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20)가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20)의 제1 결합 핀(22a)은 제1 결합 구멍(41a)을 이동함으로써 제2 긴 구멍부(41a3)를 통과하여 제2 긴 구멍부(41a3)의 후단부 위치에 이르고, 제2 결합 핀(22b)은 제2 결합 구멍(41b)을 이동함으로써 제2 긴 구멍부(41b3)를 통과하여 제2 긴 구멍부(41b3)의 후단부 위치에 이른다.
또한, 슬라이더(20)가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 맞물림부(24)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슬라이더 기어(24a)와 전달 기어(60a)가 맞물리는 전달 부재(60)는, 도 24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전달 부재(60)가 회전함으로써, 그 전달 부재(60)의 연락 기어(60b)와 홀더 기어(80a)가 맞물리는 홀더(80)는, 홀더 기어(80a)의 배치 형태에 따라, 우측으로 비스듬하게 후방을 향해 회동한다.
또한, 슬라이더(20)가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압압부(23)에 접촉하는 어시스트 부재(50)는, 어시스트 축부(51)의 축심 주위로 하방을 향해 요동하고, 선단 부분이 어시스트 개구(14)를 통해 상품 수납 통로(12)로 퇴피 이동한다.
그리고, 모터(26)의 구동에 의해, 전달 핀(25)이 좌측 구멍부(21c)의 후방 테두리부를 압압하면서 직경 확장 구멍부(21a)에 이르고, 직경 확장 구멍부(21a)의 후방 테두리부를 압압함으로써, 슬라이더(20)는 후방을 향해 더욱 슬라이드 이동하여 도 17∼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기 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20)가 대기 상태로 복귀되는 과정에 있어서, 제1 결합 핀(22a)이 제1 결합 구멍(41a)의 경사 구멍부(41a2)를 통과하고, 또한 제2 결합 핀(22b)이 제2 결합 구멍(41b)의 경사 구멍부(41b2)를 통과함으로써, 스토퍼(40)는 경사 구멍부(41a2, 41b2)의 경사에 따라 좌측으로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변위한다. 이에 의해, 스토퍼 맞물림부(43)가 푸셔 맞물림부(31)로부터 이격되어 양자는 비맞물림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푸셔(30)는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전방을 향해 상품을 압압한다. 이 결과, 불출된 상품의 후방에 인접한 상품이 최전방 상품으로서 수용 자세로 되는 홀더(80)에 수용되게 된다. 이때, 홀더(80)의 지지부(82)에 형성된 접촉부(822)가 그 상품의 몸통부(101)에 접촉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 형태 2인 상품 수납 장치(10′)에 있어서는, 슬라이더(20), 전달 부재(60), 어시스트 부재(50) 및 홀더(80)가, 불출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최전방 상품(최하류 상품)을 축심이 상품 수납 통로(12)의 연장 방향에 대해 좌우로 경사진 경사 자세로 불출하는 상품 불출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돌기부(131) 및 관통 구멍(821)이, 상품 불출 수단에 의해 경사 자세로 되는 최하류 상품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킴으로써 상품 불출 수단에 의한 최하류 상품의 불출을 보조하는 상품 불출 보조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품 수납 장치(10′)에 따르면, 상품 불출 수단이 최전방 상품을 경사 자세로 불출함으로써, 높이 치수가 큰 상품을 수납해도, 상품 수납 통로(12)의 전방 영역의 전후 길이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설치 스페이스의 대형화 및 상품의 수납수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상품을 양호하게 불출할 수 있다.
또한, 홀더(80)가 경도 자세로 되는 경우에, 재치면(13)에 형성된 돌기부(131)가 홀더(80)의 관통 구멍(821)을 관통하여 경사 자세로 되는 상품에 접촉하여 그 상품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므로, 홀더(80)가 경도 자세로 된 것만으로는 불출하기 어려운 형상을 갖고 있는 상품에 대해서도, 그 상품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도록 돌기부(131)가 접촉함으로써, 그 상품의 밸런스가 무너지고, 그 상품을 양호하게 불출할 수 있다.
상기 상품 수납 장치(10′)에 따르면, 홀더(80)의 지지부(82)에 형성된 접촉부(822)가, 그 홀더(80)가 수용 자세로 상품을 수용할 때에 그 상품의 몸통부(101)에 접촉하므로, 푸셔(30)에 의해 전방으로 압압되어 홀더(80)에 수용되는 상품이 홀더(80)의 일부에 접촉함으로써 전방을 향해 경사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전방 상품이 높이 치수가 충분히 크고, 또한 몸통부(101)에 저부보다도 협폭으로 되는 잘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촉부(822)가 그 상품의 몸통부(101)에 접촉함으로써, 그 상품이 전방을 향해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여, 그 상품이 전방을 향해 전도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품 수납 장치(10′)에 따르면, 홀더(80)가 수용 자세에 있는 경우에 상품 수납 통로(12)로부터 퇴피 이동하는 어시스트 부재(50)가, 홀더(80)가 수용 자세로부터 경도 자세로 되는 경우에는 상품 수납 통로(12)에 진출 이동하므로, 도 34∼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80)에 수용되는 상품(최전방 상품)의 외경이 큰 경우에, 진출 이동하는 선단 부분이 그 상품의 저면(102)에 접촉함으로써, 홀더(80)에 의한 상품의 자세 변형을 어시스트한다. 이에 의해, 여러 가지 형상의 상품을 수납하여 불출하기 위해 홀더(80)의 재치부(81)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는 것이 곤란하여도, 어시스트 부재(50)가 홀더(80)에 수용되어 보유 지지되는 상품의 저면(102)에 접촉하여 홀더(80)에 의한 상품의 자세 변형을 어시스트함으로써, 최대 폭이 큰 상품에 대해서도 원하는 자세로 양호하게 불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 2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에서는, 상품 수납 통로(12)에 수납되는 상품은, 푸셔(30)에 의해 압압되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품 수납 통로가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하방으로 경사지는 것이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푸셔에 의한 압압력을 약화시킬 수도 있고, 나아가서는 푸셔를 사용하지 않고 상품의 자체 중량 등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37 및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80)에 어태치먼트 부재(91, 92)를 부설하여, 재치부(81)에 있어서의 상품의 재치 가능 면적을 작게 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어태치먼트 부재(91, 92)로서는, 다양한 형상의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고, 도시의 예에서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단부(91a, 92a)가 홀더(80)의 걸림 구멍(83)을 삽입 관통하여 홀더(80)에 걸리는, 소위 스냅 피트에 의해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어태치먼트 부재(91, 92)를 설치함으로써 홀더(80)의 재치부(81)의 재치 가능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횡단면적이 극히 작은 상품에 대해서도 하나씩 수용하여 불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 2에서는, 돌기부(131) 및 관통 구멍(821)이, 상품 불출 수단에 의해 경사 자세로 되는 최하류 상품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킴으로써 상품 불출 수단에 의한 최하류 상품의 불출을 보조하는 상품 불출 보조 수단을 구성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품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으면 그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경사 자세에 있는 상품에 대해 진동을 부여하는 것이어도 되고, 경사 자세에 있는 상품의 저면을 압압하는 것이어도 된다.
1 : 본체 캐비넷
2 : 상품 수용고
3 : 상품 랙
10 : 상품 수납 장치
10′ : 상품 수납 장치
12 : 상품 수납 통로
13 : 재치면
131 : 돌기부
14 : 어시스트 개구
20 : 슬라이더
20a : 슬라이더 기부
21 : 이형 연결 구멍
21a : 직경 확장 구멍부
21b : 우측 구멍부
21c : 좌측 구멍부
22 : 결합 핀
22a : 제1 결합 핀
22b : 제2 결합 핀
23 : 압압부
24 : 슬라이더 맞물림부
24a : 슬라이더 기어
25 : 전달 핀
26 : 모터
27 : 가이드 돌기
30 : 푸셔(푸셔 부재)
31 : 푸셔 맞물림부
31a : 푸셔 기어
40 : 스토퍼(규제 부재)
40a : 스토퍼 기부
41 : 결합 구멍
41a : 제1 결합 구멍
41a1 : 제1 긴 구멍부
41a2 : 경사 구멍부
41a3 : 제2 긴 구멍부
41b : 제2 결합 구멍
41b1 : 제1 긴 구멍부
41b2 : 경사 구멍부
41b3 : 제2 긴 구멍부
42 : 가이드 구멍
43 : 스토퍼 맞물림부(규제 맞물림부)
43a : 스토퍼 기어
50 : 어시스트 부재
51 : 어시스트 축부
60 : 전달 부재
60a : 전달 기어
60b : 연락 기어
70 : 홀더
70a : 홀더 기어
71 : 재치부
72 : 지지부
80 : 홀더
80a : 홀더 기어
81 : 재치부
82 : 지지부
821 : 관통 구멍(구멍부)
822 : 접촉부
91 : 어태치먼트 부재
92 : 어태치먼트 부재
101 : 몸통부
102 : 저면

Claims (11)

  1. 자신이 구획 형성한 상품 수납 통로에 그 상품 수납 통로의 재치면에 대해 축심이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상품을 기립 자세로 하여 일렬로 배열되도록 수납하고, 불출(拂出)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있어서의 가장 하류측에 위치하는 최하류 상품을 불출하도록 한 상품 수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불출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상기 최하류 상품을 상기 축심이 상기 상품 수납 통로의 연장 방향에 대해 좌우로 경사진 경사 자세로 불출하는 상품 불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불출 수단은,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최하류 상품을 기립 자세로 보유 지지하는 한편, 상기 불출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자신의 축심 주위로 회전하여 상기 최하류 상품을 상기 경사 자세로 불출하는 홀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불출 수단에 의해 경사 자세로 되는 최하류 상품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킴으로써 그 상품 불출 수단에 의한 최하류 상품의 불출을 보조하는 상품 불출 보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불출 수단은, 상태에 있어서는 수용 자세로 되어 상기 최하류 상품을 기립 자세로 수용하여 보유 지지하는 한편, 상기 불출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자신의 축심 주위로 회전하여 경도(傾倒) 자세로 되어 상기 최하류 상품을 상기 경사 자세로 불출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상품 불출 보조 수단은, 상기 상품 수납 통로의 재치면보다 상방을 향해 돌출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홀더가 경도 자세로 되는 경우에 그 홀더에 형성된 구멍부를 관통하여 경사 자세로 되는 최하류 상품에 접촉하여 그 최하류 상품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는 돌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상품 수납 통로의 상류측을 향해 돌출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수용 자세로 되어 상기 최하류 상품을 수용하는 경우에 그 최하류 상품의 몸통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불출 수단은,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진퇴 이동하는 형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홀더가 상기 수용 자세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피 이동하는 한편, 상기 홀더가 상기 수용 자세로부터 상기 경도 자세로 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 이동하여 상기 최하류 상품에 접촉하여 상기 홀더에 의한 최하류 상품의 자세 변형을 어시스트하는 어시스트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불출 수단은, 상태에 있어서는 수용 자세로 되어 상기 최하류 상품을 기립 자세로 수용하여 보유 지지하는 한편, 상기 불출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자신의 축심 주위로 회전하여 경도 자세로 되어 상기 최하류 상품을 상기 경사 자세로 불출하는 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는, 상기 상품 수납 통로의 상류측을 향해 돌출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수용 자세로 되어 상기 최하류 상품을 수용하는 경우에 그 최하류 상품의 몸통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불출 수단은, 상태에 있어서는 수용 자세로 되어 상기 최하류 상품을 기립 자세로 수용하여 보유 지지하는 한편, 상기 불출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자신의 축심 주위로 회전하여 경도 자세로 되어 상기 최하류 상품을 상기 경사 자세로 불출하는 홀더와,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진퇴 이동하는 형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홀더가 상기 수용 자세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피 이동하는 한편, 상기 홀더가 상기 수용 자세로부터 상기 경도 자세로 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 이동하여 상기 최하류 상품에 접촉하여 상기 홀더에 의한 최하류 상품의 자세 변형을 어시스트하는 어시스트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 통로마다 설치되고, 또한 가압 수단에 의해 하류를 향해 상시 가압됨으로써 그 상품 수납 통로에 수납되는 상품을 하류측을 향해 압압(押壓)하는 푸셔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푸셔 부재에 의한 상품의 압압을 허용하는 한편, 상기 상품 불출 수단에 의해 상기 최하류 상품의 불출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푸셔 부재에 의한 상품의 압압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태에 있어서는, 자신의 규제 맞물림부가 상기 푸셔 부재의 푸셔 맞물림부와 이격되어 비맞물림 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푸셔 부재에 의한 상품의 압압을 허용하는 한편, 상기 상품 불출 수단에 의해 상기 최하류 상품의 불출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규제 맞물림부가 상기 푸셔 맞물림부에 근접하여 맞물림 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푸셔 부재에 의한 상품의 압압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장치.
KR1020147024513A 2013-08-09 2014-03-03 상품 수납 장치 KR101620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66664 2013-08-09
JP2013166664 2013-08-09
JPJP-P-2013-240356 2013-11-20
JP2013240356 2013-11-20
PCT/JP2014/055333 WO2015019645A1 (ja) 2013-08-09 2014-03-03 商品収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726A true KR20150037726A (ko) 2015-04-08
KR101620251B1 KR101620251B1 (ko) 2016-05-12

Family

ID=52460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513A KR101620251B1 (ko) 2013-08-09 2014-03-03 상품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94392B2 (ko)
KR (1) KR101620251B1 (ko)
CN (1) CN104541309B (ko)
WO (1) WO20150196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59560B2 (ja) * 2015-01-28 2019-01-30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収納装置
WO2017022441A1 (ja) * 2015-08-04 2017-02-09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収納装置及び自動販売機
CN112005280B (zh) * 2018-04-27 2022-05-10 富士电机株式会社 商品收纳架和商品收纳装置
JP2022080151A (ja) * 2020-11-17 2022-05-27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収納装置及び商品載置棚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15977B (de) * 1958-07-03 1961-10-26 Georg Wiegandt & Soehne Selbstverkaeufer fuer hochformatige Waren
US3512679A (en) * 1968-06-05 1970-05-19 James P Stoltz Multi-selection dispensing machine
JPH09106479A (ja) * 1995-04-24 1997-04-22 Maachiyandaijingu Manag:Kk 自動販売機
JP3478066B2 (ja) * 1997-06-02 2003-12-10 富士電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2002008121A (ja) * 2000-06-16 2002-01-11 Shinji Abe 自動販売機用商品送出装置
JP2003077044A (ja) * 2001-09-05 2003-03-14 Kubota Corp 自動販売機
US20030150870A1 (en) * 2002-02-13 2003-08-14 Allan Gilbert Universal vending machine
JP2004318829A (ja) 2003-03-28 2004-11-11 Sanden Corp 自動販売機
US7222748B2 (en) * 2003-09-26 2007-05-29 Royal Vendors, Inc. Clear door vending machine
EP2390849B1 (en) * 2007-05-16 2014-07-30 Sanden Corporation Commodity carrying out device
EP2012281B1 (en) * 2007-05-21 2014-11-19 Sanden Corporation Commodity carrying out device
EP2363841A1 (en) * 2010-03-04 2011-09-07 Automated Retail Concepts B.V. Product dispensing machine and dispen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41309B (zh) 2017-05-03
WO2015019645A1 (ja) 2015-02-12
JP5794392B2 (ja) 2015-10-14
JPWO2015019645A1 (ja) 2017-03-02
KR101620251B1 (ko) 2016-05-12
CN104541309A (zh)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251B1 (ko) 상품 수납 장치
US8087541B2 (en) Automatic product vending machine
JP5742397B2 (ja) 自動販売機
US20100038375A1 (en) Drive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dispensing assembly
EP2297711B1 (en) Method of dispensing products off a vending machine tray
KR20160055070A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JP5659745B2 (ja) 自動販売機
JP2012118902A (ja) 自動販売機
JP5109078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KR101517580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장치
JP2000076538A (ja) 自動販売機
JP5949011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7318891B2 (ja) Ptpカセット及びptp払出装置
JP5440629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制御装置
JP4953836B2 (ja) カップ飲料提供装置のカップ供給装置
US20030146238A1 (en)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cans &amp; bottles with elevator assembly
JPH10255126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H10255140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6123628B2 (ja) 自動販売機
JP5217817B2 (ja) 商品収容装置
JP5359205B2 (ja) 商品収納装置
JP3548056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い出し装置のプッシャアダプタ
JP5560916B2 (ja) 自動販売機における販売用機器の取付構造
JP2007102397A (ja) 商品搬出装置
JP2008112249A (ja) 商品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