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117A -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스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스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117A
KR20150037117A KR20130116392A KR20130116392A KR20150037117A KR 20150037117 A KR20150037117 A KR 20150037117A KR 20130116392 A KR20130116392 A KR 20130116392A KR 20130116392 A KR20130116392 A KR 20130116392A KR 20150037117 A KR20150037117 A KR 20150037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ffset voltage
amplifier
sample
input terminal
off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6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1296B1 (ko
Inventor
민경직
전현규
정용익
조현호
김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to KR1020130116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296B1/ko
Priority to CN201410503392.3A priority patent/CN104517566B/zh
Priority to US14/499,363 priority patent/US9530356B2/en
Publication of KR20150037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91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voltage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3Compensation electrodes or other additional electrodes in matrix displays related to distortions or compensation signals, e.g. for modifying TFT threshold voltage in column dri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1Details of output amplifiers or buff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4Details of sampling or holding circuits arranged for use in a driver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5Compensation of drifts in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소스 드라이버 및 그의 오프셋 전압 제거 방법을 개시하며, 소스 드라이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화소들의 정보를 수집하는 복수개의 샘플 앤드 홀드 회로들과, 상기 샘플 앤드 홀드 회로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상기 증폭기의 입력단에 발생하는 오프셋 전압을 저장하는 오프셋 전압 저장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스 드라이버{Source driver for display pane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소스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의 발달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급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복수개의 드라이버들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개의 드라이버들 중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스캔 라인들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Gate Driver)이고, 나머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하는 소스 드라이버(Source Driver)들이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상기 소스 드라이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개의 화소들의 화소 정보가 변화되는 것을 검출하는 복수개의 샘플 앤드 홀드 회로(SAMPLE AND HOLD, S/H)를 구비한다.
샘플 앤드 홀드회로는 소스 드라이버의 출력 채널마다 하나씩 구비되어서 화소 정보를 검출한다. 그러므로, 소스 드라이버에는 출력 채널의 수만큼 샘플 앤드 홀드 회로가 구성된다. 샘플 앤드 홀드 회로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에 의하여 디지털로 변환된 후 타이밍 컨트롤러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의 고속 동작을 위하여 샘플 앤드 홀드 회로의 신호가 증폭되어 제공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증폭부가 샘플 앤드 홀드 회로의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증폭부의 입력단에는 오프셋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샘플 앤드 홀드 회로들의 수가 증가하면, 증폭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전송 라인에 형성되는 기생 캐패시터에 의한 기생 캐패시턴스가 증가한다. 상기한 기생 캐패시턴스의 증가는 증폭부의 입력단에 발생하는 오프셋 전압을 증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소스 드라이버들 사이의 오프셋 전압의 차가 유발되고, 나아가 소스 드라이버의 수율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장된 샘플 앤드 홀드 회로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의 입력단의 오프셋 전압을 제어하는 소스 드라이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샘플 앤드 홀드 회로에 연결된 증폭부가 입력단에 형성되는 기생 캐패시터에 영향을 받아서 오프셋 전압이 증폭되는 것을 제어함으로써 소스 드라이버들 간의 오프셋 전압의 차를 억제하고, 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스 드라이버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셀의 화소 정보를 저장하는 샘플 앤드 홀드 회로의 출력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라인; 상기 전송 라인의 기생 캐패시터에 의하여 입력단에 제1 오프셋 전압이 형성되는 증폭기; 및 상기 전송 라인을 통한 상기 샘플 앤드 홀드 회로의 출력 신호의 전송이 오프된 동안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오프셋 전압을 제2 오프셋 전압으로 저장하고, 상기 전송 라인을 통하여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증폭기의 상기 입력단에 상기 제2 오프셋 전압을 제공하여 상기 제1 오프셋 전압을 상쇄하는 오프셋 전압 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스 드라이버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기 발광다이오드 셀로부터 입력되는 화소 정보를 저장하는 샘플링 모드와 저장된 상기 화소 정보를 출력하는 증폭 모드를 수행하는 샘플 앤드 홀드 회로; 입력단에 제1 오프셋 전압이 형성되고, 상기 샘플링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오프셋 전압에 대응한 제2 오프셋 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증폭 모드에 대응하여 전송 라인을 통하여 상기 입력단에 인가되는 상기 샘플 앤드 홀드 회로의 출력 신호를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 상기 샘플링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오프셋 전압을 저장하고, 상기 증폭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오프셋 전압을 상기 증폭기의 상기 입력단에 제공하는 오프셋 전압 저장부; 및 상기 증폭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증폭기에 대한 휘드백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샘플링 모드에 대응하여 증폭을 위한 전압을 저장하는 휘드백 캐패시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스 드라이버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기 발광다이오드 셀로부터 입력되는 화소 정보를 샘플링 모드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증폭 모드에 대응하여 저장한 화소 정보를 출력하는 제1 샘플 앤드 홀드 회로; 기준 전압을 상기 샘플링 모드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상기 증폭 모드에 대응하여 저장한 기준 전압을 출력하는 제2 샘플 앤드 홀드 회로; 및 상기 샘플링 모드에 대응하여 포지티브 입력단과 네가티브 입력단의 제1 및 제2 오프셋 전압을 제3 및 제 4 오프셋 전압으로 각각 저장하며, 상기 증폭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3 및 제4 오프셋 전압으로 상기 제1 및 제2 오프셋 전압을 상쇄하고 전송 라인을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제1 샘플 앤드 홀드 회로와 상기 제2 샘플 앤드 홀드 회로의 출력 신호들을 차동 증폭하는 증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샘플 앤드 홀드 회로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에 오프셋 전압 저장부가 구성되며, 오프셋 전압 저장부에 저장된 오프셋 전압에 의하여 증폭부의 오프셋 전압의 증폭이 제어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수개의 샘플 앤드 홀드 회로가 증폭부의 입력단에 연결됨에 의하여 증폭부의 입력단의 기생 캐패시터가 증가하더라도 오프셋 전압이 안정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의 고속 동작을 위한 증폭부의 출력 신호는 안정적으로 제어될 수가 있으며, 소스 드라이버들 사이의 오프셋 전압의 차도 감소되고, 소스 드라이버의 수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증폭부에 구비되는 단위 트랜지스터의 면적을 작게 하여도 소스 드라이버는 동일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위 트랜지스터의 면적이 작게 설계될 수 있어서, 소스 드라이버의 신호 처리 속도가 개선될 수 있고 증폭부의 높은 오픈 루프 이득(open loop gain)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증폭부에 연결되는 휘드백 캐패시터들과 샘플링 캐패시터들의 크기가 작게 설계되어도 소스 드라이버는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소스 드라이버의 면적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스 드라이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스 드라이버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샘플 앤드 홀드 회로 및 증폭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셋 전압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실시예가 샘플링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회로도.
도 6은 도 3의 실시예가 증폭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셋 전압 제어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의 오프셋 전압의 히스토그램.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셋 전압 제어를 적용한 경우의 오프셋 전압의 히스토그램.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참조부호들 중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111), 소스 드라이버(121), 게이트 드라이버(131), 및 디스플레이 패널(141)을 구비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11)는 영상 데이터(DA)와 클럭 신호(CLK)를 소스 드라이버(121)로 전송하고 게이트 제어 신호(GC)를 게이트 드라이버(131)로 전송한다.
소스 드라이버(121)는 타이밍 컨트롤러(111)로부터 출력되는 클럭 신호(CLK)와 영상 데이터(DA)를 수신하고, 클럭 신호(CLK)에 동기되어 영상 데이터(DA)를 처리하며, 소스 구동 신호들(S1, S2)을 디스플레이 패널(141)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41)에 구비된 데이터 라인들(SL)을 구동한다. 도 1에는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121)가 도시되어 있으나, 디스플레이 패널(141)의 크기와 해상도를 고려하여 소스 드라이버(121)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소스 드라이버(121)는 소스 구동 신호들(S1, S2)을 각각 출력하는 출력 버퍼들(210), 디스플레이 패널(141)에서 전달되는 화소 정보를 감지하는 샘플 앤드 홀드 회로들(S/H, 220), 샘플 앤드 홀드 회로들(220)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230) 및 증폭부(230)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2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소스 드라이버(121)는 영상 데이터(DA)를 클럭 신호(CLK)에 동기하여 처리하기 위한 시프트 레지스터(도시되지 않음), 래치(도시되지 않음) 및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에서 처리된 신호가 출력 버퍼들(210)을 통하여 소스 구동 신호들(S1, S2)로 출력될 수 있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240)의 출력 신호는 타이밍 컨트롤러(111)에 제공될 수 있으며, 타이밍 컨트롤러(111)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240)의 출력을 참조하여 화소 정보를 반영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증폭부(230)는 샘플 앤드 홀드 회로들(220)의 출력 신호를 증폭함으로써 아난로그 디지털 변환기(240)의 고속 동작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샘플 앤드 홀드 회로(220)는 디스플레이 패널(141)의 데이터 라인(SL)을 통하여 전달되는 OLED 셀(143)의 화소 정보를 인식하며, 화소 정보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턴온 전압,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문턱 전압(Vth),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류 특성 및 박막 트랜지스터의 모빌리티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류 특성은 전압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131)는 타이밍 컨트롤러(111)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GC)를 수신하고, 게이트 제어 신호(GC)를 이용하여 게이트 구동 신호들(G1, G2)을 생성하며, 게이트 구동 신호들(G1, G2)을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41)에 구비된 스캔 라인들(GL)을 구동한다. 도 1에는 하나의 게이트 드라이버(131)가 도시되어 있으나, 디스플레이 패널(141)의 크기와 해상도를 고려하여 게이트 드라이버(131)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41)은 소스 드라이버(121)와 게이트 드라이버(131)로부터 제공되는 소스 구동 신호들(S1, S2) 및 게이트 구동 신호들(G1, G2)을 수신하고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패널(141)은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DE) 셀(143)을 이용하여 화소가 구현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OLED 셀(143)은 데이터 라인(SL)의 소스 구동 신호와 스캔 라인(GL)의 게이트 구동 신호를 수신하며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를 동작에 대응하여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OLED 셀(143)의 동작을 설명하면, 스캔 라인(GL)에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G1)에 의해 데이터 라인(SL)의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FT-S)가 턴온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라인(SL)을 통해 공급되는 소스 구동 신호(S1)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FT-S)를 통해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FT-O)의 게이트에 공급된다.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FT-O)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FT-S)를 통해 전달되는 소스 구동 신호(S1)에 의하여 턴온되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FT-O)의 턴온에 의하여,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에 전압들(PVDD, PVSS)이 인가되고, 소스 구동 신호(S1)에 대응하는 밝기로 구동 전류가 공급됨에 따라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가 발광한다.
그리고,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열화되어서 문턱 전압(Vth)이 변화될 수 있으며, 문턱 전압(Vth)의 변화에 의하여 동일한 구동 전류에 대응하여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밝기가 점차 낮아질 수 있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문턱 전압(Vth)의 변화는 문턱전압검출용 박막트랜지스터(TFT-V)에 의하여 검출될 수 있으며,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문턱전압(Vth)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문턱전압검출용 제어신호(VthC)가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기 전 또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문턱전압검출용 박막트랜지스터(TFT-V)에 제공될 수 있자. 상기한 문턱전압(Vth)의 변화는 화소 정보의 일예를 예시한 것이며,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문턱전압(Vth)과 같은 화소 정보는 턴온된 문턱전압검출용 박막트랜지스터(TFT-V) 및 데이터 라인(SL)을 통하여 샘플 앤드 홀드 회로(220)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화소 정보가 소스 드라이버(121) 내에서 전달되는 경로를 예시한 것이며, 도 2에서 화소 정보는 VIN으로 기재한다. 각 유기 발광다이오드 셀(143)의 화소 정보(VIN )는 샘플 앤드 홀드 회로(220)로 제공되며, 샘플 앤드 홀드 회로(220)는 화소 정보(VIN)와 기준 전압(VREF)을 샘플링 및 홀딩한 신호를 증폭부(23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샘플 앤드 홀드 회로(220)는 디스플레이 패널(141)의 OLED 셀(143)의 화소 정보(VIN)를 수신하여서 디스플레이 패널(141)의 화소 특성이 변화되는 것을 검출한다. 샘플 앤드 홀드 회로(220)는 디스플레이 패널(141)의 데이터 라인에 대응하는 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샘플 앤드 홀드 회로(220)의 출력 신호들은 증폭부(230)에 공통으로 인가된다.
증폭부(230)는 샘플 앤드 홀드 회로들(220)의 출력 신호 즉 화소 정보(VIN)를 수신하고, 화소 정보(VIN)를 차동 증폭하여 차동 신호로 출력한다. 증폭부(230)의 차동 동작은 화소 정보(VIN)와 기준 전압(VREF)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기준 전압(VREF)과 화소 정보(VIN)의 차가 증폭부(230)의 차동 출력(Vo)으로 출력된다.
증폭부(230)는 전송 라인(Lt)을 통해서 샘플 앤드 홀드 회로(220)와 연결된다. 전송 라인(Lt)은 대체로 짧기 때문에 샘플 앤드 홀드 회로(220)로부터 증폭부(230)로 전송되는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노이즈가 유입되기 어렵다.
그러나, 증폭부(230)에 복수개의 샘플 앤드 홀드 회로(220)가 커플링되는 경우, 전송 라인(Lt)에는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증폭부(230)의 입력단에 연결된 전송 라인(Lt)과 접지단(GND) 사이의 기생 캐패시터(Cp)의 캐패시턴스가 증가할 수 있다. 즉, 전송 라인(Lt)의 길이가 증가하게 되며, 샘플 앤드 홀드 회로들(220)을 단일 회로인 증폭부(230)에 순차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멀티플렉서(도시되지 않음)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도시되지 않음)의 소오스(Source)(드레인(Drain))-바디(Body) 정션(junction) 캐패시터로 인하여, 기생 캐패시터(Cp)의 기생 캐패시턴스가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송 라인(Lt)과 접지단(GND) 사이의 기생 캐패시터(Cp)의 기생 캐패시턴스가 증가하면, 증가된 기생 캐패시턴스로 인하여 증폭부(230)의 입력단의 오프셋(offset) 전압이 증대한다. 즉, 기생 캐패시터(Cp)의 기생 캐패시턴스 증가로 인하여 증폭부(230)의 입력단의 오프셋 전압은 샘플 앤드 홀드 회로(220)의 출력 신호와 함께 증폭부(230)에 의해 증폭되어 출력된다. 이로 인하여 소스 드라이버들 간의 오프셋 전압도 증가한다. 소스 드라이버들 간의 오프셋 전압은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41)에 표시되는 영상의 노이즈로 나타난다.
도 3을 참조하면, 샘플 앤드 홀드 회로(220)는 화소 정보(VIN)를 샘플 앤드 홀드하는 샘플 앤드 홀드 회로(220p)와 기준 전압(VREF)을 샘플 앤드 홀드하는 샘플 앤드 홀드 회로(220n)를 포함한다. 샘플 앤드 홀드 회로(220p)는 샘플링 캐패시터(Cs1)와 스위치(SW1a)를 구비하는 것으로써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샘플 앤드 홀드 회로(220n)는 샘플링 캐패시터(Cs2)와 스위치(SW1b)를 구비하는 것으로써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샘플 앤드 홀드 회로(220p)는 화소 정보(VIN)가 입력되는 전송 라인(Lt1)에 연결되고, 샘플 앤드 홀드 회로(220n)는 기준 전압(VREF)이 제공되는 전송 라인(Lt2)에 연결된다. 도 3의 전송 라인(Lt1)은 도 2의 전송 라인(Lt)에 포함된다. 그리고, 전송 라인(Lt1)에는 기생 캐패시터(Cp1)가 형성되고, 전송 라인(Lt2)에는 기생 캐패시터(Cp2)가 형성된다. 도 3의 기생 캐패시터(Cp1, Cp2)는 도 2의 기생 캐패시터(Cp)에 포함된다.
도 3의 증폭부(230)는 2개의 오프셋 전압 저장부들(Cos1, Cos2), 2개의 휘드백 캐패시터들(Cf1, Cf2), 복수개의 스위치들(SW2aSW5b) 및 증폭기(231)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증폭부(230)가 2 개의 오프셋 전압 저장부들(Cos1, Cos2), 2개의 휘드백 캐패시터들(Cf1, Cf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은 화소 정보(VIN)와 기준 전압(VREF)이 샘플 앤드 홀드 회로(220p, 220n)을 경유하여 증폭기(231)에 포지티브 입력단(+)과 네가티브 입력단(-)에 각각 차동 신호로서 입력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오프셋 전압 저장부들(232, 233)은 증폭기(231)의 포지티브 입력단(+)과 네가티브 입력단(-)에 각각 연결된다. 오프셋 전압 저장부들(232, 233)에는 증폭기(231)의 포지티브 입력단(+)과 네가티브 입력단(-)에 각각 형성되는 오프셋 전압들(Vos1, Vos2)에 대응하는 오프셋 전압들이 저장될 수 있다. 샘플 앤드 홀드 회로들(220p, 220n)의 출력 신호들이 증폭기(231)로 입력될 때, 증폭기(231)의 입력단의 오프셋 전압들(Vos1, Vos2)은 오프셋 전압 저장부들(232, 233)에 저장된 오프셋 전압과 상쇄될 수 있다. 오프셋 전압 저장부들(232, 233)에 저장된 오프셋 전압들과 증폭기(231)의 입력단의 오프셋 전압들(Vos1, Vos2)은 서로 극성이 반대이므로 상쇄된다. 따라서, 증폭기(231)의 입력단의 오프셋 전압들(Vos1, Vos2)이 제거될 수 있다. 오프셋 전압 저장부들(232, 233)은 오프셋 캐패시터들(Cos1, Cos2)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프셋 전압 저장부(232, 233)의 오프셋 전압에 의하여 증폭기(231)의 입력단의 오프셋 전압들(Vos1, Vos2)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증폭부(230)의 출력 신호들(Vop, Von)은 오프셋 전압들(Vos1, Vos2)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출력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증폭부(230)가 오프셋 전압들(Vos1, Vos2)에 영향을 받지 않고 출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함에 의하여, 소스 드라이버(121)의 수율도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샘플 앤드 홀드 회로들(220p, 220n) 및 증폭부(230)에 구성되는 스위치들(SW1aSW5b)은 모스(MOS; metal Oxide semiconductor)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샘플 앤드 홀드 회로들(220p, 220n)에는 샘플링 모드와 홀드 모드를 구분하기 위한 스위치(SW1a, SW1b)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한 샘플 앤드 홀드 회로들(220p, 220n)의 홀드 모드는 후술하는 증폭 모드에 해당될 수 있다.
증폭부(230)는 전송 라인(Lt1)의 기생 캐패시터들(Cp1, Cp2)과 접지 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들(SW2a, SW2b), 증폭기(231)의 출력을 오프셋 전압 저장부들(232, 233)과 증폭기(231)의 입력단 사이 노드에 전달하는 것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들(SW3a, SW3b), 증폭기(231)의 출력을 휘드백 캐패시터들(Cf1,Cf2)에 전달하는 것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들(SW4a, SW4b) 및 전압(VT, VB)을 휘드백 캐패시터들(Cf1, Cf2)에 전달하는 스위치들(SW5a, SW5b)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스위치들(SW4a, SW4b)과 스위치들(SW5a, SW5b)은 휘드백 캐패시터들(Cf1, Cf2)에 대하여 병렬로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셋 전압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증폭부(230)와 샘플 앤드 홀드 회로들(220p, 220n)이 샘플링 모드로 동작할 때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증폭부(230)와 샘플 앤드 홀드 회로들(220p, 220n)이 증폭 모드로 동작할 때의 구성도이다.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오프셋 전압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오프셋 전압 제거 방법은 제1 및 제2 단계들(S411, S421)을 포함한다.
제1 단계(S411)로서 샘플링 모드가 수행된다. 샘플링 모드에 대응하여, 증폭부(230)는 증폭기(231)의 입력단에 발생하는 오프셋 전압들(Vos1, Vos2)에 대응하는 오프셋 전압을 오프셋 캐패시터들(Cos1, Cos2)에 저장한다. 샘플링 모드로 동작할 때의 증폭부(230)와 샘플 앤드 홀드 회로들(220p, 220n)의 동작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샘플링 모드 상태에서, 스위치들(SW2a, SW2b, SW3a, SW3b, SW5a, SW5b)이 턴온(Turn-on)되고, 스위치들(SW1a, SW1b, SW4a, SW4b)이 턴오프(Turn-off)된다.
먼저, 화소 정보(Vin)에 대응한 도 5의 샘플링 모드를 설명한다.
스위치(SW1a)가 턴오프됨으로 인해 샘플링 캐패시터(Cs1)는 전송 라인(Lt1)과 분리된다. 따라서, 샘플 앤드 홀드 회로(220p)로 입력되는 화소 정보(VIN)는 전송 라인(Lt1) 및 증폭기(231)로 전송되지 않고 샘플링 캐패시터(Cs1)에 저장된다. 즉, 화소 정보(VIN)는 샘플링 캐패시터(Cs1)에 샘플링된다.
스위치(SW2a)가 턴온됨으로 인해 기생 캐패시터(Cp1)를 포함하는 폐루프가 형성되며, 기생 캐패시터(Cp1)는 증폭기(231)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스위치(SW3a)가 턴온됨으로 인해 증폭기(231)는 유니티 버퍼(unity buffer)로 작용하며, 증폭기(231)의 포지티브 입력단(+)의 오프셋 전압(Vos1)은 그대로 출력단으로 전달된다. 즉, 증폭기(231)의 포지티브 입력단(+)과 네가티브 출력단(-)이 연결됨에 따라 오프셋 캐패시터(Cos1)에는 증폭기(231)의 네가티브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저장된다. 즉, 증폭기(231)의 포지티브 입력단에 발생하는 오프셋 전압(Vos1)과 크기가 같고 부호가 반대인 오프셋 전압이 오프셋 캐패시터(Cos1)에 저장된다. 이때, 증폭기(231)의 증폭률은 1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스위치(SW4a)가 오프되고 스위치(SW5a)가 턴온됨으로 인해, 휘드백 캐패시터(Cf1)는 증폭기(231)의 네가티브 출력단과 분리되며 전압(VT)에 연결된다. 따라서, 휘드백 캐패시터(Cf1)에는 각각 전압(VT)이 저장된다.
즉, 상기한 샘플링 모드에 대응하여, 화소 정보(VIN)는 샘플링 캐패시터(Cs1)에 저장되고, 오프셋 캐패시터들(Cos1)에는 증폭기(231)의 포지티브 입력단에 발생하는 오프셋 전압(Vos1)과 크기가 같고 부호가 반대인 오프셋 전압이 저장된다.
또한, 기준 전압(VREF)에 대응한 도 5의 샘플링 모드 동작을 설명한다.
스위치(SW1b)가 턴오프됨으로 인해 샘플링 캐패시터(Cs2)는 전송 라인(Lt2)과 분리된다. 따라서, 샘플 앤드 홀드 회로(220n)로 입력되는 기준 전압(VREF)은 전송 라인(Lt2) 및 증폭기(231)로 전송되지 않고 샘플링 캐패시터(Cs2)에 저장된다. 즉, 기준 전압(VREF)은 샘플링 캐패시터(Cs2)에 샘플링된다.
스위치(SW2b)가 턴온됨으로 인해 기생 캐패시터(Cp2)를 포함하는 폐루프가 형성되며, 기생 캐패시터(Cp2)는 증폭기(231)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스위치(SW3b)가 턴온됨으로 인해 증폭기(231)는 유니티 버퍼(unity buffer)로 작용하며, 증폭기(231)의 네가티브 입력단(-)의 오프셋 전압(Vos2)은 그대로 출력단으로 전달된다. 즉, 증폭기(231)의 네가티브 입력단(-)과 포지티브 출력단(+)이 연결됨에 따라 오프셋 캐패시터(Cos2)에는 증폭기(231)의 포지티브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저장된다. 즉, 증폭기(231)의 네가티브 입력단(-)에 발생하는 오프셋 전압(Vos2)과 크기가 같고 부호가 반대인 오프셋 전압이 오프셋 캐패시터(Cos2)에 저장된다. 이때, 증폭기(231)의 증폭률은 1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스위치(SW4b)가 오프되고 스위치(SW5b)가 턴온됨으로 인해, 휘드백 캐패시터(Cf2)는 증폭기(231)의 포지티브 출력단(-)과 분리되며 전압(VB)에 연결된다. 따라서, 휘드백 캐패시터(Cf2)에는 각각 전압(VB)이 저장된다.
즉, 상기한 샘플링 모드에 대응하여, 기준 전압(VREF)은 샘플링 캐패시터(Cs2)에 저장되고, 오프셋 캐패시터(Cos2)에는 증폭기(231)의 네가티브 입력단(-)에 발생하는 오프셋 전압(Vos2)과 크기가 같고 부호가 반대인 오프셋 전압이 저장된다.
상기한 샘플링 모드에서, 전압들 VT 및 VB는 회로의 구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차동 증폭 회로로 구성 시에는 전압 VT와 VB는 동일한 전압을 사용하며(통상 전원 전압의 반), 싱글 전압을 차동 전압으로 변환 시 서로 다른 전압을 사용할 수 있다(통상 VT > VB, VT는 데이터 변환기의 입력 최대 전압값, VB는 데이터 변환기의 입력 최소 전압값). 이는 전원 전압이 낮음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신호 포화(saturation)로 인한 왜곡을 막기 위한 것이다.
제2 단계(S421)로서 증폭 모드가 수행된다. 증폭 모드에 대응하여, 증폭부(230)는 증폭기(231)의 입력단에 발생하는 오프셋 전압들(Vos1,Vos2)을 오프셋 캐패시터들(Cos1,Cos2)에 저장된 오프셋 전압들과 상쇄시켜서 제거하는 증폭 모드를 진행한다. 증폭 모드로 동작할 때의 증폭부(230)와 샘플 앤드 홀드 회로들(221p, 221n)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증폭 모드 상태에서, 스위치들(SW1a, SW1b, SW4a, SW4b)이 턴온되고, 스위치들(SW2a, SW2b, SW3a, SW3b, SW5a, SW5b)이 턴오프된다.
먼저, 화소 정보(VIN)에 대응한 도 6의 증폭 모드를 설명한다.
스위치(SW1a)가 턴온되고 스위치(SW2a)가 턴오프됨으로 인해, 화소 정보(VIN)가 저장된 샘플링 캐패시터(Cs1)의 전압과 기생 캐패시터(Cp1)의 전압이 합쳐져서 오프셋 캐패시터들(Cos1)에 인가된다.
스위치(SW3a)가 턴오프됨으로 인해 증폭기(231)의 포지티브 입력단과 네가티브 출력단이 분리되며, 증폭기(231)는 유니티 버퍼(unity buffer)의 작용이 해제된다. 즉, 증폭기(231)는 포지티브 입력단(+)에 인가되는 신호들을 소정의 증폭률만큼 증폭하여 출력한다.
스위치(SW5a)가 턴오프되고 스위치(SW4a)가 턴온됨으로 인해, 휘드백 캐패시터(Cf1)는 증폭기(231)의 네가티브 출력단에 연결되고 전압(VT)과 분리된다. 또한, 휘드백 캐패시터(Cf1)는 샘플링 캐패시터(Cs1)와 연결되어 휘드백 루프를 구성한다.
오프셋 캐패시터(Cos1)에 저장된 오프셋 전압은 증폭기(231)의 포지티브 입력단(+)의 오프셋 전압(Vos1)과 반대 극성과 동일한 양을 가지며, 오프셋 캐패시터(Cos1)에 저장된 오프셋 전압과 증폭기(231)의 포지티브 입력단(+)의 오프셋 전압(Vos1)은 상쇄 된다. 즉, 증폭기(231)는 포지티브 입력단(+)에 발생하는 오프셋 전압(Vos1)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신호를 증폭 및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샘플링 캐패시터(Cs1)에 충전되어있던 전압은 휘드백 캐패시터(Cf1)로 전달되며, 그에 따라, 화소 정보(VIN)는 샘플링 캐패시터(Cs1)과 기생 캐패시터(Cp1) 및 휘드백 캐패시터들(Cf1)의 비율에 따라 증폭되어 증폭기(231)로부터 출력된다.
즉, 증폭기(231)에 입력된 신호는 (Cs1/Cf1)의 증폭률로 증폭되며, 오프셋 전압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그리고, 기준 전압(VREF)에 대응한 도 6의 증폭 모드를 설명한다.
스위치(SW1b)가 턴온되고 스위치(SW2b)가 턴오프됨으로 인해, 기준 전압이 저장된 샘플링 캐패시터(Cs2)의 전압과 기생 캐패시터(Cp2)의 전압이 합쳐져서 오프셋 캐패시터들(Cos2)에 인가된다.
스위치(SW3b)가 턴오프됨으로 인해 증폭기(231)의 네가티브 입력단(-)과 포지티브 출력단(+)이 분리되며, 증폭기(231)는 유니티 버퍼(unity buffer)의 작용이 해제된다. 즉, 증폭기(231)는 네가티브 입력단(-)에 인가되는 신호들을 소정의 증폭률만큼 증폭하여 출력한다.
스위치(SW5b)가 턴오프되고 스위치(SW4b)가 턴온됨으로 인해, 휘드백 캐패시터(Cf2)는 증폭기(231)의 포지티브 출력단(+)에 연결되고 전압(VB)과 분리된다. 또한, 휘드백 캐패시터(Cf2)는 샘플링 캐패시터(Cs2)와 연결되어 휘드백 루프를 구성한다.
오프셋 캐패시터(Cos2)에 저장된 오프셋 전압은 증폭기(231)의 네가티브 입력단(-)의 오프셋 전압(Vos2)과 반대 극성과 동일한 양을 가지며, 오프셋 캐패시터(Cos2)에 저장된 오프셋 전압과 증폭기(231)의 네가티브 입력단(-)의 오프셋 전압(Vos2)은 상쇄 된다. 즉, 증폭기(231)는 네가티브 입력단에 발생하는 오프셋 전압(Vos2)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신호를 증폭 및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샘플링 캐패시터(Cs2)에 충전되어있던 전압은 휘드백 캐패시터(Cf2)로 전달되며, 그에 따라, 기준 전압(VREF)은 샘플링 캐패시터(Cs2)과 기생 캐패시터(Cp2) 및 휘드백 캐패시터(Cf2)의 비율에 따라 증폭되어 증폭기(231)로부터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증폭기(231)에 입력된 신호는 (Cs2/Cf2)의 증폭률로 증폭되며, 오프셋 전압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한편, 오프셋 전압들(Vos1, Vos2)은 증폭기(231), 예컨대 연산 증폭기를 구성하는 단위 트랜지스터(transistor)의 차동쌍(differential pair)의 부정합(mismatch)에 의해서 형성된다.
오프셋 전압들(Vos1, Vos2)의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위 트랜지스터의 면적을 키워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오프셋 전압 제거 방법을 적용할 경우 기존보다 더 작은 면적의 단위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도 동일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위 트랜지스터의 면적이 작아짐에 따라 속도 및 증폭기(231)의 높은 오픈 루프 이득(open loop gain)을 얻을 수 있다.
오프셋 전압들(Vos1,Vos2)은 각각 보통 (1+Cs/Cf+Cp/Cf)배 만큼 증폭되어 증폭기(231)의 출력단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 때문에 휘드백 캐패시터들(Cf1, Cf2)을 크게 사용해야 하는 제약이 있다.
샘플링 캐패시터들(Cs1, Cs2)과 휘드백 캐패시터들(Cf1, Cf2)의 비율(Cs/Cf)은 설계 단계에서 정해진 비율이기 때문에 휘드백 캐패시터들(Cf1, Cf2)의 용량 증가시 샘플링 캐패시터들(Cs1, Cs2)의 용량도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소스 드라이버의 샘플링 캐패시터들(Cs1, Cs2))의 수의 증가는 소스 드라이버의 면적 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오프셋 전압 제거 방법을 적용할 경우, 휘드백 캐패시터들(Cf1, Cf2)과 샘플링 캐패시터들(Cs1, Cs2)의 크기를 작게 설계하여도 오프셋 전압 제거에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소스 드라이버의 면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셋 전압 제어 방법을 적용하지 않을 경우의 증폭된 오프셋 전압의 히스토그램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셋 전압 제어 방법을 적용할 경우의 오프셋 전압의 히스토그램이다.
도 7과 도 8은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히스토그램이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이란, 집적회로 장치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합(mismatch)과 성능 변화에 대한 확률로써 집적회로 장치의 성능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시뮬레이션 과정에서 증폭기(도 3의 231)의 출력 범위가 -1[V]1[V]이라고 가정하였다. 오프셋 전압 제거 방법을 적용하지 않을 경우에 증폭기(도 3의 231)의 출력은 개략적으로 -0.8[V]~0.6[V]의 출력 오프셋 전압을 가지게 된다. -0.1[V]~0.1[V]가 패쓰(pass)라 할 경우 소스 드라이버의 수율(yield)은 14[%] 수준이다.
오프셋 전압 제거 방법 적용시 증폭기(도 3의 231)의 출력은 -0.02[V]~0.02[V] 안에 모두 분포하게 되어 소스 드라이버의 수율은 100[%]가 된다.
정규분포의 값은 오프셋 전압 제거 방법의 (비적용:적용 = 287.5[mV]:2.9[mV])로 약 99배의 차이가 난다.
오프셋 전압 제거 방법의 비적용시 전체 범위의 약 86[%]에 해당하는 오프셋 전압이 발생한다. 오프셋 전압은 약 10[mV] 정도가 기생 캐패시터들(Cp1,Cp2)의 영향으로 증폭되어 증폭기(도 3의 231)의 출력단에 나타난다.
오프셋 전압 제거 방법 적용시 전체 범위의 약 0.9%에 해당하는 오프셋 전압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 : 디스플레이 장치 111 : 타이밍 컨트롤로
121 : 소스 드라이버 131 : 게이트 드라이버
141 : 디스플레이 패널 143 : OLED 셀
220 : 샘플 앤드 홀드 회로 230 : 증폭부
240 :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Claims (9)

  1. 유기 발광다이오드 셀의 화소 정보를 저장하는 샘플 앤드 홀드 회로의 출력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라인;
    상기 전송 라인의 기생 캐패시터에 의하여 입력단에 제1 오프셋 전압이 형성되는 증폭기; 및
    상기 전송 라인을 통한 상기 샘플 앤드 홀드 회로의 출력 신호의 전송이 오프된 동안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오프셋 전압을 제2 오프셋 전압으로 저장하고, 상기 전송 라인을 통하여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증폭기의 상기 입력단에 상기 제2 오프셋 전압을 제공하여 상기 제1 오프셋 전압을 상쇄하는 오프셋 전압 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드라이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전압 저장부는 상기 제2 오프셋 전압은 상기 제1 오프셋 전압과 반대 극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반대인 소스 드라이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상기 제2 오프셋 전압을 저장하기 위한 제1 증폭률과 증폭을 위한 제2 증폭률이 상이하게 적용되도록 구성되는 소스 드라이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상기 제1 증폭률이 1로 설정되는 소스 드라이버.
  5.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기 발광다이오드 셀로부터 입력되는 화소 정보를 저장하는 샘플링 모드와 저장된 상기 화소 정보를 출력하는 증폭 모드를 수행하는 샘플 앤드 홀드 회로;
    입력단에 제1 오프셋 전압이 형성되고, 상기 샘플링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오프셋 전압에 대응한 제2 오프셋 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증폭 모드에 대응하여 전송 라인을 통하여 상기 입력단에 인가되는 상기 샘플 앤드 홀드 회로의 출력 신호를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
    상기 샘플링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오프셋 전압을 저장하고, 상기 증폭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오프셋 전압을 상기 증폭기의 상기 입력단에 제공하는 오프셋 전압 저장부; 및
    상기 증폭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증폭기에 대한 휘드백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샘플링 모드에 대응하여 증폭을 위한 전압을 저장하는 휘드백 캐패시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드라이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모드에 대응하여 턴온되는 제1 스위치 그룹과 상기 증폭 모드에 대응하여 턴온되는 제2 스위치 그룹으로 구분되는 스위치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 그룹과 상기 제2 스위치 그룹의 턴온 상태가 교차되고,
    상기 제1 스위치 그룹의 턴온에 의하여 상기 전송 라인의 기생 캐패시터와 상기 오프셋 전압 저장부가 분리되고, 상기 휘드백 경로가 해제되며, 상기 제1 오프셋 전압에 대한 상기 증폭기의 출력이 상기 오프셋 전압 저장부에 전달되어서 제2 오프셋 전압이 저장되며,
    상기 제2 스위치 그룹의 턴온에 의하여 상기 샘플 앤드 홀드 회로의 출력이 상기 전송 라인 및 상기 오프셋 전압 저장부를 경유하여 상기 증폭기의 상기 입력단으로 전달되며 상기 증폭기의 증폭을 위한 상기 휘드백 경로가 형성되는 소스 드라이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앤드 홀드 회로는 병렬로 형성되는 내부의 샘플링 캐패시터와 상기 전송 라인의 상기 기생 캐패시터 사이에 구성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기는 제2 내지 제5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기생 캐패시터에 병렬로 연결되어 온될 때 상기 기생 캐패시터를 상기 증폭기의 상기 오프셋 전압 저장부와 분리시키고,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증폭기의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온될 때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상기 오프셋 전압 저장부에 전달하며,
    제4 스위치는 상기 휘드백 캐패시터와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온될 때 상기 휘드백 경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상기 휘드백 캐패시터에 전달하고,
    상기 제5 스위치는 상기 휘드백 캐패시터와 기준 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온될 ? 상기 기준 전압으로 상기 휘드백 캐패시터를 충전하는 소스 드라이버.
  8.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기 발광다이오드 셀로부터 입력되는 화소 정보를 샘플링 모드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증폭 모드에 대응하여 저장한 화소 정보를 출력하는 제1 샘플 앤드 홀드 회로;
    기준 전압을 상기 샘플링 모드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상기 증폭 모드에 대응하여 저장한 기준 전압을 출력하는 제2 샘플 앤드 홀드 회로; 및
    상기 샘플링 모드에 대응하여 포지티브 입력단과 네가티브 입력단의 제1 및 제2 오프셋 전압을 제3 및 제 4 오프셋 전압으로 각각 저장하며, 상기 증폭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3 및 제4 오프셋 전압으로 상기 제1 및 제2 오프셋 전압을 상쇄하고 전송 라인을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제1 샘플 앤드 홀드 회로와 상기 제2 샘플 앤드 홀드 회로의 출력 신호들을 차동 증폭하는 증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드라이버.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전송 라인의 기생 캐패시터에 의하여 상기 포지티브 입력단과 상기 네가티브 입력단에 상기 제1 및 제2 오프셋 전압이 형성되는 증폭기;
    상기 전송 라인을 통한 상기 제1 샘플 앤드 홀드 회로의 출력 신호의 전송이 오프된 동안 상기 포지티브 입력단의 상기 제1 오프셋 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증폭기의 네가티브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3 오프셋 전압을 저장하고, 상기 전송 라인을 통하여 상기 제1 샘플 앤드 홀드 회로에서 출력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증폭기의 상기 포지티브 입력단에 상기 제3 오프셋 전압을 제공하여 상기 포지티브 입력단의 상기 제1 오프셋 전압을 상쇄하는 제1 오프셋 전압 저장부; 및
    상기 전송 라인을 통한 상기 제2 샘플 앤드 홀드 회로의 출력 신호의 전송이 오프된 동안 상기 네가티브 입력단의 상기 제2 오프셋 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증폭기의 포지티브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4 오프셋 전압을 저장하고, 상기 전송 라인을 통하여 상기 제2 샘플 앤드 홀드 회로에서 출력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증폭기의 상기 네가티브 입력단에 상기 제4 오프셋 전압을 제공하여 상기 네가티브 입력단의 상기 제2 오프셋 전압을 상쇄하는 제2 오프셋 전압 저장부를 포함하는 소스 드라이버.
KR1020130116392A 2013-09-30 2013-09-30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스 드라이버 KR102071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392A KR102071296B1 (ko) 2013-09-30 2013-09-30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스 드라이버
CN201410503392.3A CN104517566B (zh) 2013-09-30 2014-09-26 显示装置的源极驱动器
US14/499,363 US9530356B2 (en) 2013-09-30 2014-09-29 Source driver of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392A KR102071296B1 (ko) 2013-09-30 2013-09-30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스 드라이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117A true KR20150037117A (ko) 2015-04-08
KR102071296B1 KR102071296B1 (ko) 2020-03-02

Family

ID=52739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392A KR102071296B1 (ko) 2013-09-30 2013-09-30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스 드라이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30356B2 (ko)
KR (1) KR102071296B1 (ko)
CN (1) CN10451756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6114A1 (ko) * 2016-08-03 2018-02-08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KR20180015571A (ko) * 2016-08-03 2018-02-13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KR20180078701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디비하이텍 문턱 전압 센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9019A (ja) * 2013-09-30 2015-04-13 シナプティクス・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102277713B1 (ko) * 2014-12-26 2021-07-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싱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216705B1 (ko) * 2015-06-30 2021-02-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컨트롤러, 유기발광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70087832A (ko) * 2016-01-21 2017-07-31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스 드라이버
US10388223B2 (en) 2016-06-30 2019-08-20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voltage and current sensing for compensation in an electronic display via analog front end
JP6750382B2 (ja) * 2016-08-10 2020-09-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ドライバー、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627275B1 (ko) * 2016-10-25 2024-0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17949B1 (ko) * 2016-12-30 2023-12-26 주식회사 디비하이텍 문턱 전압 센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804860B2 (en) 2018-04-02 2020-10-13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Gain amplifier for reducing inter-channel error
US10497308B1 (en) 2018-06-12 2019-12-03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Sensing circuit of display driver
TWI728406B (zh) * 2018-07-16 2021-05-21 聯詠科技股份有限公司 源極驅動器
US11276346B2 (en) * 2019-01-21 2022-03-15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Simplified sensing circuit and sample and hold circuit for improving uniformity in OLED driver
KR20200129471A (ko) * 2019-05-08 2020-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KR20200131550A (ko) * 2019-05-14 2020-11-2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감지 회로
US11244621B2 (en) 2020-03-17 2022-02-08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Differential input circuit and driving circuit
CN111564137B (zh) * 2020-05-19 2021-06-01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发光二极管驱动电路及发光二极管显示装置
US11955090B2 (en) 2021-05-31 2024-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Buffer circuit including offset block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170529A (ko) * 2021-06-23 2022-12-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고속 구동용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CN114267273B (zh) * 2021-12-06 2023-07-28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阈值偏移检测电路、显示面板及显示设备
KR20230092486A (ko) * 2021-12-17 2023-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9693A (en) * 1981-10-30 1984-03-27 Hughes Aircraft Co. Sample and hold circuit with improved offset compensation
US20130050116A1 (en) * 2011-08-26 2013-02-28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5204A (en) * 1980-09-08 1982-12-21 American Microsystems, Inc. Offset compensation for switched capacitor integrators
JP2513051B2 (ja) 1989-12-19 1996-07-03 日本電気株式会社 サンプルホ―ルド回路
JP3451806B2 (ja) 1995-09-07 2003-09-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サンプルホールド回路及びその駆動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JP3709943B2 (ja) 1996-03-19 2005-10-26 株式会社東芝 オフセット電圧の補償方法及びこの方法を用いるサンプルホールド回路
TW427053B (en) * 1999-03-10 2001-03-21 Nat Science Council Low voltage switched capacitor integrator having offset voltage compensation and the filter using the same
US6795117B2 (en) * 2001-11-06 2004-09-21 Candela Microsystems, Inc. CMOS image sensor with noise cancellation
US7928945B2 (en) * 2003-05-16 2011-04-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574893B1 (ko) 2003-12-15 200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표시 장치의 오프셋 전압 소거용 데이터 라인 구동모듈
JP2006115003A (ja) * 2004-10-12 2006-04-27 Sony Corp サンプルホールド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パイプラインad変換器
US7449923B2 (en) * 2005-08-17 2008-11-11 Freescale Semiconductor, Inc. Amplifier circuit for double sampled architectures
JP5138490B2 (ja) * 2008-07-17 2013-02-0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サンプル・ホールド回路及び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回路
JP2011008028A (ja) * 2009-06-25 2011-01-13 Sony Corp 信号線駆動回路および表示装置、並びに電子機器
US8258818B2 (en) * 2009-07-03 2012-09-04 St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N.V. Operating a switched-capacitor circuit with reduced noise
US8400339B2 (en) * 2011-03-30 2013-03-1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Correlated-level-shifting and correlated-double-sampling switched-capacitor gain stages, systems implementing the gain stages, and methods of their operation
KR101322411B1 (ko) 2011-06-23 2013-10-28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증폭기를 공유하는 회로에서 메모리 효과를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9693A (en) * 1981-10-30 1984-03-27 Hughes Aircraft Co. Sample and hold circuit with improved offset compensation
US20130050116A1 (en) * 2011-08-26 2013-02-28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6114A1 (ko) * 2016-08-03 2018-02-08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KR20180015571A (ko) * 2016-08-03 2018-02-13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US10991288B2 (en) 2016-08-03 2021-04-27 Silicon Works Co., Ltd. Display driving device
KR20180078701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디비하이텍 문턱 전압 센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17566B (zh) 2018-09-28
CN104517566A (zh) 2015-04-15
KR102071296B1 (ko) 2020-03-02
US9530356B2 (en) 2016-12-27
US20150091888A1 (en)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1296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스 드라이버
CN107978259B (zh) 有机发光显示装置及用于检测oled的驱动特性的电路
US10714004B2 (en) Semiconductor device, driver IC, and electronic device
US11423849B2 (en) Display panel having a voltage compensation circuit
US990516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for sensing electrical characteristic of driving element
US11081051B2 (en) Pixel compensation circuit
US10943536B2 (en) External compensation circuit and method, and display device
US10657902B2 (en) Sensing circuit of display device for sensing pixel current
US11257406B2 (en) Aging detection circuit, aging compensation circuit, display panel and aging compensation method
KR20100031596A (ko) 전기회로
KR102071298B1 (ko) 샘플 앤드 홀드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소스 드라이버
CN107633815B (zh) 驱动电路的补偿结构、驱动电路模块和显示面板
KR102524626B1 (ko) 문턱 전압 센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030007A (ko) 구동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센싱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11899691A (zh) 外部补偿电路、阵列基板、检测方法
TWI530931B (zh) 顯示面板的感測裝置
US9236012B2 (en) Sensing apparatus of display panel
JP2013015329A (ja) センサモジュール及び表示装置
US11276346B2 (en) Simplified sensing circuit and sample and hold circuit for improving uniformity in OLED driver
WO2022267055A1 (zh) 一种电流检测装置
CN113050815B (zh) 触摸显示装置、触摸驱动电路和触摸感测方法
JP5439619B2 (ja) 半導体装置及び電子機器
JP3644445B2 (ja) 画像読取信号処理装置
WO2022267050A1 (zh) 一种电流检测装置的控制方法及控制设备
US11978400B2 (en) Integrated circuit for driving pixel of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processing driving signal of display panel in the integrated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