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6595A -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6595A
KR20150036595A KR1020157003827A KR20157003827A KR20150036595A KR 20150036595 A KR20150036595 A KR 20150036595A KR 1020157003827 A KR1020157003827 A KR 1020157003827A KR 20157003827 A KR20157003827 A KR 20157003827A KR 20150036595 A KR20150036595 A KR 20150036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head
adapter
print head
free end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3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3534B1 (ko
Inventor
패트릭 루츠
Original Assignee
파다루마 인크-젯-솔루션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다루마 인크-젯-솔루션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파다루마 인크-젯-솔루션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50036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41J25/308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with print gap adjustment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001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4Bodily-changeable print heads 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5Arrangement thereof
    • B41J2/155Arrangement thereof for lin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01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heads
    • B41J2202/19Assembling head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01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heads
    • B41J2202/20Modules

Landscapes

  • Ink Jet (AREA)
  • Common Mechanisms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조정 어댑터(4)와 X-Y평면 상에서 연장하는 인쇄 사이드(6)를 갖춘 프린트 헤드(3)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이다. 조정 어댑터(4)는, X-Y평면에서 조정될 수 있고 그 안에 프린트 헤드(3)의 고정 단부(9)가 수용되는 수용수단(20)을 포함한다. 프린트 헤드(3)의 자유 단부(8)는 X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또 X-Y평면에 수직인 회전축 주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조정 어댑터(4) 상에 장착된다.

Description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PRINT HEAD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용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특히, 프린트 헤드 모듈에서 프린트 헤드의 체결수단의 열 사이클(thermal cycling) 동안에 단일-패스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 품질에 영향을 주는 문제와 관련된다.
통상적인 잉크젯 프린터에서, 캐리지에 장착된 프린트 헤드는 인쇄방향(Y방향이라고도 불림)으로 불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매체 상에 가로방향(X방향이라고도 불림)으로 잉크 방울을 1라인씩 분무하고, 단일-패스(single-pass) 잉크젯 프린터에서 프린터 헤드는 매체의 전체 폭에 걸쳐 가로방향으로 프린트 헤드 모듈에 장착된다. 인쇄 매체는 인쇄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통상적인 잉크젯 프린터에서 2 m/min까지의 인쇄속도가 얻어지고, 단일-패스 잉크젯 프린터에 의해 50 m/min까지의 인쇄속도가 얻어질 수 있다. 컬러인쇄를 위하여 단일-패스 잉크젯 프린터에서 인쇄방향으로 복수의 프린트 헤드 모듈이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세로로 줄지어, 이하 미표시) 장착된다. 여기서, 프린트 헤드 모듈은 각각 하나의 주 칼라(primary color), 특히 청록색(cyan), 심홍색(magneta) 및 노랑색, 그리고 가능하게는 검정색이 할당된다. 특수한 인쇄 용도를 위하여, 특수 컬러를 갖는 프린트 헤드 모듈이 추가될 수 있다.
단일-패스 잉크젯 프린터는, 특히 산업용으로 적합한데, 대량 물품이 인쇄되어야 하고 따라서 많은 처리량이 중요하다. 단일-패스 잉크젯 프린터는 마찬가지로 높은 인쇄속도 때문에 넓은 면적의 물체를 인쇄하기에 적절하다. 그러므로 단일-패스 잉크젯 프린터는 특히, 가구 또는 세라믹 산업의 산업적 적용에 적절한데, 합판 또는 세라믹 타일과 같은 바닥 마감재, 조리대(worktops), 몰딩 등은 장식적인 패턴이 구비되어야 한다. 여기서, 예컨대 추후의 보호 커버링 등에 대하여 저항성을 갖는 매우 광범위한 다양한 잉크가 사용된다.
그라비어(gravure) 인쇄 등과 같은 통상적인 인쇄공정과 비교하여, 단일-패스 잉크젯 프린터는 심지어 작은 배치(batch) 사이즈의 경우에도 정확하게 사용되어, 각인 롤(impression roll)의 제작이 불필요하다. 반면에, 단일-패스 잉크젯 프린터는 또한 장식적인 패턴의 개별화를 가능하게 하고, 롤에 의해 얻어질 수 없는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장식적인 패턴을 만들 수 있게 한다. 단일-패스 잉크젯 프린터는 윤전식(rotary) 인쇄의 경우와 같이, 인쇄 패턴의 연속적인 반복 또는 반복하는 패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일-패스 잉크젯 프린터용 개별적인 프린트 헤드 모듈은 가로방향 및 수직방향(Z 방향이라고도 불림)으로 1/2미터 이상 1미터 너머까지의 치수를 확실히 얻을 수 있다. 프린트 헤드 모듈의 인쇄 바아(printing bar)에 조합된 프린트 헤드는 각각 수십 센티미터까지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600 × 600 dpi(인치 당 도트)까지의 해상도가 가능하다. 여기서, 프린트 헤드 당 수천 개의 노즐이 포함된다. 큰 프린트 헤드 모듈에 의해 또는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복수의 프린트 헤드 모듈에 의해 수 미터까지의 인쇄 폭이 얻어질 수 있다.
육안에 의해, 인쇄된 이미지에서 수 미크론(micrometer)의 위치 편차가 검출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해결책의 경우에, 프린트 헤드의 각각의 노즐은 서로로부터 단지 수십 미크론 떨어져 위치한다. 이미지 도트(dot) 자체의 사이즈는 10미크론의 범위이다. 인쇄방향으로 세로로 줄지어 배열된 복수의 프린트 헤드 모듈을 갖는 단일-패스 잉크젯 프린터의 경우에, 고품질의 인쇄된 이미지를 제작하기 위하여, 미크론 범위에서 프린트 헤드의 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단일-패스 잉크젯 프린터에서 프린트 헤드 모듈의 조정은 매우 복잡하다. 예컨대, 프린트 헤드 모듈에 장착된 프린트 헤드의 위치는 광학 현미경에 의해 검출되어야 하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 수동으로 복잡한 방식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단일-패스 잉크젯 프린터의 설정은 비교적 시간이 걸린다.
프린트 헤드의 조정에 대하여 간소화된 단일-패스 잉크젯 프린터의 구성에 대하여, WO 2005/108094 A1은 각각 프린트 헤드 모듈의 프레임에 사전 응력이 주어진(prestressed) 상태로 개개의 프린트 헤드를 고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여기서, 각각의 프린트 헤드는 기계적인 스프링 부재에 의해 대향하는 프레임 에지에 대하여 자신의 대응하는 절개부에서 가압된다. 이러한 타입의 사전 응력은 X 방향 및 Y 방향 양쪽에서 인가될 수 있다.
불리하게는, 각각의 프린트 헤드 모듈에 대한 프린트 헤드의 위치는 사전 응력이 주어진 정지작동(stop) 때문에 이러한 타입의 구성에 고정된다. 프린트 헤드의 제조상 공차 또는 프레임 치수는 이러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 없다. 프린트 헤드 모듈에 대한 프린트 헤드의 상대 위치선정은 가능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제조 공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가로방향(X 방향) 및 인쇄방향(Y 방향)으로 프린트 헤드가 길이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프린트 헤드 모듈에서 프린트 헤드를 장착하는 것이 WO 2005/108094 A1에 기재된다. 프린트 헤드 모듈에 대한 프린트 헤드의 위치는 프린트 헤드의 대응하는 변위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프린트 헤드 모듈에 대한 프린트 헤드의 상대 방위(orientation)는, 정확하게 위치된 프린트 헤드를 갖는 프린트 헤드 모듈이 단일-패스 잉크젯 프린터 내로 위치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삽입되기 전에, 적절한 공구에 의해 정해진다.
프린트 헤드 모듈에 대하여 위치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설치된 프린트 헤드가, 열 사이클의 경우에 프린트 헤드 모듈에 대하여 자신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음이 불리하게 나타났다. 놀랍게도, 여기서 프린트 헤드의 영구적인 위치변화가 일어날 수 있고, 이는 인쇄된 이미지에서 가시적인 편차로 이어진다.
따라서 발명의 목적은 먼저 프린트 헤드 모듈에 대한 프린트 헤드의 위치선정을 허용하고, 다음으로 열 사이클에 대하여 가능한 한 둔감한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를 특정하는 것이다.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X-Y평면에서 연장하는 인쇄 사이드(printing side)를 갖춘 프린트 헤드용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에 의해 달성되고, X-Y평면에서 조정될 수 있는 수용수단(receiving means)을 갖는 조정 어댑터가 포함된다. 프린트 헤드의 고정 단부(fixed end)가 조정가능한 수용수단에 수용된다. 또한, 프린트 헤드의 자유 단부(loose end)는 X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그리고 X-Y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조정 어댑터 상에 장착된다.
여기서 발명은, 시작온도로 복귀하는 동안의 온도-관련된 응답 후에 프린트 헤드가 자신의 원래 위치를 다시 취하는 것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프린트 헤드 모듈에 고정된 프린트 헤드가 열 사이클 하에서 프린트 헤드에 대한 자신의 상대위치를 영구적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는, 출원인의 관찰에 의해 얻어진 발견으로부터 1단계로 진행한다. 예컨대, 프린트 헤드 모듈 상에서 2개 측면에 클램프된 프린트 헤드의 경우에, 온도-유발된 열 팽창 동안에 클램핑 사이드가 고정 단부 또는 자유 단부의 역할을 한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원래 온도로 프린트 헤드의 냉각 동안에, 클램핑 사이드는 차례로 고정 단부로서 또는 자유 단부로서의 자신의 역할을 바꿀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열 사이클 하에서, 프린트 헤드 모듈 상에 클램프됨에 불구하고, 프린트 헤드는 미크론 범위에서 무한궤도(caterpillar) 운동의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는 단일-패스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된 이미지에서 가시적인 편차로 이어질 수 있다. 출원인에 의한 시험 결과, 단일-패스 잉크젯 프린터의 작동 동안에 프린트 헤드에 클램프된 경우에 수 미크론의 범위에서 실제적인 위치 변화가 있었다.
그러므로 프린트 헤드 모듈 상에 프린트 헤드의 고정에도 불구하고, 단일-패스 잉크젯 프린터의 작동 동안에 일어나는 그리고 인쇄된 이미지에서 볼 수 있는 프린트 헤드의 위치 이동은 빈번한 온도 사이클의 영향이다. 빈번한 온도 사이클은, 작동 동안에 1차적으로 잉크 토출노즐의 압전활동의 결과로 또 2차적으로 잉크의 유입(inflow)의 결과로 프린트 헤드 및 그 설치 주변부가 계속해서 다른 온도를 받게 된다는 사실의 직접적인 결과이다. 그러므로 심지어 온도제어된 공간에서 잉크젯 프린터의 작동조차도 상기한 문제를 제거할 수 없다.
제2단계에서 발명은, 프린트 헤드가 프린트 헤드 모듈에 위치될 수 있도록 프린트 헤드를 자신의 상대위치에 명백하게 고정하지만, 그 공정 중에 한정된 부유(floating) 베어링이 존재하는 방식으로 프린트 헤드를 고정한다는 생각으로부터 진행하는데, 그 결과로서 프린트 헤드는 온도-관련된 응답 후에 원래 위치로 자동으로 재위치된다.
후자는 프린트 헤드가 조정 어댑터에 의해 수용된다는 사실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프린트 헤드의 자유 단부는 X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그리고 X-Y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회전축 주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조정 어댑터 상에 장착된다. 프린트 헤드의 고정 단부는 조정 어댑터 상에서 X-Y평면에서 조정될 수 있는 수용수단에 수용된다. 조정 어댑터를 갖는 프린터 헤드, 즉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 자체는 프린트 헤드 모듈에 체결된다. 이를 위해, 조정 어댑터는 프린트 헤드 모듈 상에 나사체결, 접착식 접합, 가압 또는 다른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조정 어댑터 상에 고정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수단의 조정에 의해, 먼저 프린트 헤드 모듈에 대한 프린트 헤드의 위치는 가로방향 또는 X방향으로 변화될 수 있고, 다음으로 프린트 헤드의 방위각은 자유 단부에 정해진 회전축 주위로의 회전으로 X-Y평면에서 설정될 수 있다. 프린트 헤드의 자유 단부는 추가로 X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그 결과, 2개 측면 상에 클램프됨에도 불구하고 빈번한 열 사이클 후에 프린트 헤드의 이동이 방지된다. 온도-관련된 응답의 결과로 얻어진 프린트 헤드 모듈에 대한 프린트 헤드의 길이 차이는 X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자유 단부에 의해 흡수된다. 온도-관련된 응답 후, 프린트 헤드의 변위가능한 자유 단부는 자신의 원래 위치로 다시 복귀한다. 프린트 헤드는 프린트 헤드 모듈에 대하여 자신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다.
제공된 조정 어댑터에 의해, 발명은 프린트 헤드 모듈에 대하여 프린트 헤드를 지향시키고 추후에 이를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자유 단부의 정해진 임무의 결과로, 빈번한 열 사이클 동안에 지향되고 고정된 프린트 헤드의 이동이 2차적으로 방지된다.
발명은 원칙적으로 모든 잉크젯 프린터에 적절하다. 특히, 발명은 단일-패스 잉크젯 프린터에 적절하고, 심지어 미크론 범위에서 프린트 헤드의 위치 변화가 인쇄된 이미지의 품질에 부정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수용수단은 슬라이딩 베어링, 플레인(plain) 베어링 또는 반-마찰(anti- friction) 베어링에 의해 또는 다른 베어링 타입의 조합에 의해 조정 어댑터 상에서 조정 또는 변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정 어댑터 상에서 수용수단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슬롯이 형성된 가이드, 포지티브(positive) 가이드 등이 또한 구비될 수 있다. 조정 어댑터 상에서 수용수단의 조정가능한 체결을 위한 다른 수단이 또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프린트 헤드의 자유 단부를 장착하기 위하여 회전 및 슬라이딩 조인트가 차례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부위를 위한 선형 가이드가 자유 단부를 위하여 또한 구비될 수 있다.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 자체의 온도-관련된 응답을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기 위하여, 조정 어댑터는 바람직하기에는 20℃와 50℃ 사이, 특히 25℃와 40℃ 사이의 온도범위에서, 5*10-6K-1 미만의, 특히 2*10-6K-1 미만의 열팽창 계수를 갖는 신축성이 없는(stretch-free) 재료로부터 실질적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타입의 재료는 예컨대, 인바(Invar) 강철 합금, CRP(탄소 섬유보강 플라스틱) 재료 또는 세라믹이다. 그러나 세라믹의 비교적 복잡한 가공작업 때문에, 강철 합금 또는 CRP 재료가 바람직할 수 있다.
수용수단은 바람직하기에는 X방향 및 Y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프린트 헤드의 고정 단부는 X방향 및 Y방향으로의 독립적인 조정 가능성에 의해 더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특히, 프린트 헤드의 위치는 X방향으로의 조정에 의해 단일-패스 잉크젯 프린터의 가로 방향으로 조정된다. Y방향으로 독립적인 조정에 의해 자유 단부의 회전축 주위로 프린터 헤드의 회동이 일어나고, 그 결과 프린트 헤드 모듈에 대한 프린트 헤드의 평행성(parallelism)이 설정된다.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용수단은, X-Y평면에서 옵셋(offset) 배열되고 그에 대해 프린트 헤드의 고정 단부가 지지되는 2개의 회전가능한 편심 캠을 포함한다. 간단하고 기계적으로 안정한 구성에서, 프린트 헤드의 위치는 편심 캠 중의 하나의 회전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설정된다. 다른 편심 캠의 회전에 의해, 프린트 헤드는 자유 단부의 회전축 주위로 X-Y평면에서 회동된다. 프린트 헤드의 가로방향 위치 및 회전각도는 고 해상도로 서로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편심 캠의 설정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프린트 헤드의 고정 단부는 조정 어댑터 상에 고정된다. 고정작업은 예컨대, 편심 캠의 구동에서 자동-잠금 기어기구에 의해 또는 기계적인 또는 전기적인 차단수단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프린트 헤드의 고정 단부는 원칙적으로 수용수단 상에 자유도 없이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자유 단부 상에서 회전축 주위로 프린트 헤드의 회동이 가능하게 되고, 프린트 헤드의 고정 단부는 수용수단에 대하여 유리하게 사전 응력(prestress)이 가해진다. 사전 응력에 의해, X-Y평면에서 고정 단부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복잡한 기계적인 구성없이 프린트 헤드의 가능한 하나의 자유도로서 회동가능성이 확보되어 남을 수 있다. 사전 응력은 적절한 전자기적인 또는 기계적인 사전 응력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판 스프링 또는 헬리컬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 부재가 기계적인 사전 응력 수단으로 적절하다.
하나의 유리한 개선점에서, 프린트 헤드의 고정 단부는 수용수단에 대하여 자기적으로(magnetically) 사전 응력이 가해진다. 환언하면, 특히 수용수단의 방향으로 고정 단부에 힘을 작용하는 영구자석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 고정 단부는 수용수단의 방향으로 끌어 당겨질 수 있거나 자석수단에 의해 배척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용수단 또는 고정 단부는 자성이 있다.
자유 단부의 회전축을 한정하기 위하여, 조정 어댑터는 바람직하기에는 정지부재(stop element)를 포함하고, 이 정지 부재에 대하여 프린트 헤드의 자유 단부가 Y방향으로 지지된다. 회전축은 정지영역에 의해 고정되고, 자유 단부는 정지 부재에 대하여 지지된다. 정지 부재는 Z방향으로 연장하는 핀으로 유리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핀 축 자체는 동시에 프린트 헤드의 자유 단부의 회전축을 형성한다.
자유 단부가 정지 부재에 대하여 지지되기 위하여, 프린트 헤드는 바람직하기에는 정지 부재에 대하여 사전 응력이 가해진다. 사전 응력은 적절한 전자기적인 또는 기계적인 사전 응력 수단에 의해 언급된 바와 같이 다시 한번 주어질 수 있다. 판 스프링 또는 헬리컬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 부재는 기계적인 사전 응력 수단으로 적절하다. 정지 부재의 방향으로 자유 단부에 힘을 가하는 자기적인(magnetic) 수단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타입의 자기적인 수단은 정지 부재의 방향으로 자유 단부를 끌어당기거나 배척할 수 있다. 영구자석은 자기적인 수단으로 편리하게 사용되고, 정지 부재 또는 프린트 헤드의 자유 단부는 자기적인 구성이다.
조정 어댑터 자체는 하나의 편(piece) 또는 복수의 편으로 된 구성일 수 있다. 특히, 조정 어댑터의 부품들은 프린트 헤드 모듈 상에 또는 거기에 위치된 프린트 헤드의 대응하는 설치 프레임 상에 통합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특허 주장된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는 아마도 프린트 헤드 모듈 상에 프린트 헤드의 장착이 이루어진 후에만 존재한다.
하나의 유리한 개선점에서, 조정 어댑터는 복수의 편으로 된 구성이다. 그 결과, 프린트 헤드 모듈 상에서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의 간단한 장착이 얻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하나의 변형예에서, 조정 어댑터는 프린트 헤드의 자유 단부를 수용하는 제1 어댑터부와 프린트 헤드의 고정 단부를 수용하는 제2 어댑터부로 분할된다. 장착 목적을 위하여, 예컨대 제1 어댑터부가 제일 먼저 프린트 헤드 모듈에 체결될 수 있다. 이어서, 프린트 헤드 모듈은 제2 어댑터부로 장착될 수 있고, 자유 단부는 이미 장착된 제1 어댑터부에 제공된다.
조정 어댑터는 유리하게는 Z방향에서 프린트 헤드를 위한 접촉면을 포함한다. 이는 프린트 헤드가 인쇄 사이드의 방향으로 프린트 헤드 모듈에 신뢰성 있게 지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접촉면은 프린트 헤드가 인쇄면에 대해 Z방향으로 탈락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프린트 헤드는 바람직하기에는 조정 어댑터의 접촉면에 대하여 한번 더 사전 응력이 가해진다. 상기 언급된 수단은 사전 응력 수단으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의 추가적인 유리한 개선점에서, 조정 어댑터를 조정하기 위한 전기적인 드라이브가 구비된다. 그 결과, 단일-패스 잉크젯 프린터의 설정 동안에 프린트 헤드의 간단한 재조정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만일 예상과 달리 작동 동안에 프린트 헤드의 위치 변화가 일어난다면, 단일-패스 잉크젯 프린터의 작동 동안에 위치 점검을 수행함으로써 프린트 헤드의 연속적인 추적이 또한 이루어질 수 있다.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프린트 헤드와 조정 어댑터를 갖춘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의 제1 변형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프린트 헤드와 조정 어댑터를 갖춘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의 제2 변형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의 또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프린트 헤드의 자유 단부를 장착하기 위한 제1 어댑터부의 상세도면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5는 프린트 헤드의 고정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어댑터부의 상세도면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는 조정 어댑터(4) 상에 조정가능하게 장착된 프린트 헤드(3)를 포함한다. 도시된 그리고 조정 어댑터(4)와 프린트 헤드(3)를 포함하는 조립체가 프린트 헤드 모듈(도시 안 됨)의 프레임에 장착된다. 여기서, 특히 조정 어댑터(4)는 프린트 헤드 모듈의 프레임에 나사체결된다. 프린트 헤드 모듈에 대한 프린트 헤드(1)의 조정은, 조정 어댑터(4)에 대한 프린트 헤드(1)의 위치 변화에 의해 가능해진다.
도 1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조정 어댑터(4)를 갖는 조립체로 도시된 프린트 헤드(3)는 가로방향(X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한다. 인쇄 도중에, 인쇄 매체는 프린트 헤드(3) 아래를 통해 인쇄방향(Y 방향)으로 이송된다. 도면에서 볼 수 없는 자신의 아래쪽에서, 프린트 헤드(3)는 개별적인 잉크 토출노즐을 포함하는 어레이로 형성된 인쇄 사이드(printing side)(6)를 갖는다. 인쇄 동안에, 잉크 방울은 잉크 토출노즐로부터 통과하는 인쇄 매체 상으로 Z방향으로 토출된다. 개별적인 잉크 토출노즐의 작동은, 특히 압전방식으로 이루어진다. X-Y-Z 좌표계의 위치가 또한 도시된다.
도시된 그리고 프린트 헤드(3)와 조정 어댑터(4)를 포함하는 조립체는 장착된 상태에서 프린트 헤드 모듈의 일부이다. 이러한 타입의 프린트 헤드 모듈은 인쇄될 인쇄 매체의 전체 폭에 걸쳐 가로방향 또는 X방향으로 연장한다. 도시한 복수의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는 X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프린트 헤드 모듈에서 Y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된다.
프린트 헤드(3)는 X-Y평면에서 조정될 수 있도록 조정 어댑터(4) 상에서 자유 단부(8) 및 고정 단부(9)로써 장착된다. Z방향에서 조정 어댑터(4)는, 그 위에 X방향으로 연장하는 프린트 헤드(3)의 단부가 안착하는 접촉면(11)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Z방향에서 인쇄 매체로부터 프린트 헤드(3)의 인쇄 사이드(6)의 간격이 정해진다.
X방향으로 연장하는 프린트 헤드(3)의 2개의 단부에, 즉 자유 단부(8)와 고정 단부(9)에 제1 접촉부재(12)와 제2 접촉부재(13)가 장착된다. 접촉부재(12, 13)는 조정 어댑터(4)에 대하여 프린트 헤드(3)를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대안으로서, 프린트 헤드(3)의 단부 자체는 장착된 접촉부재(12, 13)없이 조정 어댑터(4)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접촉부재(12, 13)는 프린트 헤드(3)의 단부에 각각 나사체결된다.
도 1에 따른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에서, 조정 어댑터(4)는 2개 편으로 된 구성이다. 이는 마찬가지로 하나의 편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시된 조정 어댑터(4)는 프린트 헤드(3)의 자유 단부(8)를 고정하기 위한 제1 어댑터부(16)와 프린트 헤드(3)의 고정 단부(9)를 고정하기 위한 제2 어댑터부(17)를 포함한다. 양쪽 어댑터부(16, 17)는 각이진 구성이고 프린트 헤드 모듈(도시 안 됨)의 프레임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본 케이스에서는 구멍)을 갖는다.
제1 어댑터부(16)는 프린트 헤드(3)의 자유 단부(8)에 대한 정지 부재(18)로서 Z방향으로 연장하는 핀(19)을 포함한다. 프린트 헤드(3)의 자유 단부(8)에서 실질적으로 L형상의 제1 접촉부재(12)는 X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limb)를 갖고서 Y방향으로 핀(19)에 대하여 지지된다. 자유 단부(8)는 도 1에서 볼 수 없는 자기적인 수단에 의해 상기 핀(19)에 대하여 사전 응력이 가해진다. 제1 접촉부재(12)의 다른 쪽 돌출부와 핀(19) 사이에는 X방향으로 유극이 있다. 따라서 자유 단부(8)는 X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조정 어댑터(4)의 제1 어댑터부(16) 상에서 안내된다. 핀(19)은 자유 단부(8)를 위한 회전축을 나타내고, 이 회전축은 Z방향으로 연장한다.
조정 어댑터(4)의 제2 어댑터부(17)는, X-Y평면에서 조정가능하고 프린트 헤드(1)의 고정 단부(9)가 수용되는 수용수단(20)을 포함한다. 특히, 프린트 헤드(1)의 고정 단부(9)는 도 1에서 볼 수 없는 자기적인 수단에 의해 X방향으로 그리고 Y방향으로 수용수단(20)에 대하여 사전 응력이 가해진다. 수용수단(20)은 도시한 제1 편심 캠(21)과 이에 대해 X-Y평면에서 옵셋 배열되고 또 볼 수 없는(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 2 참조) 제2 편심 캠(22)을 포함한다. 2개의 편심 캠(21, 22)의 구동에 의해, 프린트 헤드(1)의 고정 단부(9)는 X방향으로(제1 편심 캠(21)) 그리고 Y방향으로(제2 편심 캠(22)) 독립적으로 이동되고 또 고정된다. 편심 캠(21, 22)을 구동하기 위하여 전기적인 드라이브(25, 24)가 구비된다.
프린트 헤드(3)의 자유 단부(8)는 조정 어댑터(4)의 제1 어댑터부(16) 상에 Y방향으로 고정되지만, 핀(19)에 의해 정해진 회전축 주위로 회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이 도 1에서 이미 명확해졌다. 프린트 헤드(1)의 자유 단부(8)는 X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 접촉부재(12)와 핀(19)은 프린트 헤드(1)의 자유 단부(8)에 대하여 회전 및 슬라이딩 조인트를 형성한다. 프린트 헤드(3)의 고정 단부(9)는 2개의 편심 캠(21, 22)의 작동에 의해 X-Y평면에서 변위될 수 있다. 여기서, X-Y평면에서 고정 단부(9)의 위치는 2개의 편심 캠(21, 22) 상에서 제2 접촉부재(13)의 정지에 의해 고정된다. 프린트 헤드(3) 전체는 제1 편심 캠(21)의 작동을 통해 X방향으로 변위된다. 제2 편심 캠(22)의 작동에 의해, 프린트 헤드는 핀(19)에 의해 한정된 회전축 주위로 X-Y평면에서 회전하고, 따라서 X-Y평면에서 프린트 헤드(3)의 방위각이 설정된다.
열 사이클 동안에 자유 단부(8)와 고정 단부(9) 사이의 프린트 헤드(3)의 길이 변화가 발생하면, 자유 단부(8)가 핀(19)에 대하여 X방향으로 변위된다. 온도-관련된 응답 후에 다시 원래 온도에 도달하면, 프린트 헤드(1)의 자유 단부(8)는 자신의 원래 위치로 또한 복귀한다. 복수의 열 사이클의 결과로 프린트 헤드 모듈에 대한 프린트 헤드(1)의 이동은 존재하는 조정 어댑터(4)에 의해 방지된다. 동시에, 수용수단(20)의 작동에 의해 프린트 헤드는 프린트 헤드 모듈에 대하여 조정되고 위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장치와 같은 시각으로부터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2의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는 제1 접촉부재(12)의 구성의 결과로 도 1에 따른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와 다르다. 도 2에 따른 접촉부재(12)는 실질적으로 T형상 디자인을 갖고, X방향으로 연장한 T의 돌출부는 Y방향으로 핀(19)에 대해 지지된다. X방향에서, 접촉부재(12)는 핀(19) 상에 변위할 수 있게 장착된다. 한편, 2개의 접촉부재(12, 13)는 도 1에 따른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와 비교하여 Z방향으로 더 큰 두께를 갖는다.
X방향으로 제1 편심 캠(21)에 대하여 지지되고 Y방향으로 제2 편심 캠(22)에 대하여 지지된 제2 접촉부재(13)는 프린트 헤드(3)의 고정 단부(9)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다. 2개의 편심 캠(21, 22)은 조정 어댑터(4)의 각이진 제2 어댑터부(17)에 회전가능하게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된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를 평면도로 도시한다. 프린트 헤드(3)는 Z방향에서 위로부터 볼 수 있다. 프린트 헤드(3)의 고정 단부(9)와 자유 단부(8)를 직접 볼 수 있게 된다. 조정 어댑터(4)의 제1 어댑터부(16)의 핀(19)에 대하여 Y방향으로 지지된 T형상 제1 접촉부재(12)가 자유 단부(8)에서 볼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제1 어댑터부(16)와 제2 어댑터부(17)를 포함하는 조정 어댑터(4)와 프린트 헤드(3) 사이에 Y방향으로 하나의 틈새(27)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어댑터부(16)와 제2 어댑터부(17) 상에는 각각 자석부재(29)가 배열된다. 자석부재(29)는 영구자석으로 구성되고, 제1 어댑터부(16) 상에서 핀(19)에 대하여 프린트 헤드(3)의 자유 단부(8)에 사전 응력을 가하고 또 제2 어댑터부(17) 상에서 제2 편심 캠(22)에 대하여 자유 단부(9)에 사전 응력을 가한다. 또한, 제2 어댑터부(17) 상에서 추가적인 자석부재(29)를 볼 수 있는데, 이 자석부재(29)는 제1 편심 캠(29)에 대하여 프린트 헤드(3)의 전체 또는 그 고정 단부(9)에 X방향으로 사전 응력을 인가한다.
추가로, 도 1과 2로부터 볼 수 있는 접촉면(11)에 대하여 프린트 헤드(3)의 단부에 Z방향 아래쪽으로 사전 응력을 가하는, 사용된 자석부재가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볼 수 없다.
도 4는 도 1과 2에 도시된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의 제1 어댑터부(16)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제1 어댑터부(16)는 프린트 헤드(3)의 자유 단부(8)를 장착한다. 핀(19)을 명확하게 볼 수 있고, 이에 대해 제1 접촉부재(12)의 돌출부가 X방향에서 지지된다. 마찬가지로, 접촉면(11)을 볼 수 있고, 이에 대해 프린트 헤드(3)의 자유 단부(8)가 Z방향에서 지지된다. 이제 명확하게 볼 수 있는 자석부재(29)는 상기 접촉면(11)에 통합되고, 이 자석부재(29)는 제1 어댑터부(16)에 대하여 그리고 이에 따라 접촉면(11)에 대하여 프린트 헤드(3)의 자유 단부(8)를 Z방향에서 당기거나 사전 응력을 가한다.
도 4에 따른 상세도에 추가하여, 도 5는 프린트 헤드(3)의 고정 단부(9)를 조정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도 1과 2에 따른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의 제2 어댑터부(17)를 도시한다. 프린트 헤드(3)의 고정 단부(9)를 수용하는 수용수단(20)을 이제 명확하게 볼 수 있고, 이 수용수단(20)은 X방향에서 접촉을 위한 제1 편심 캠(21)과 Y방향에서 접촉을 위한 제2 편심 캠(22)을 포함한다. 편심 캠(22, 21)을 작동하기 위한 2개의 전기적인 드라이브(24, 25)가 각이진 제2 어댑터부(17)에 배열된다. 전기적인 드라이브(24, 25)는 대응하는 제어장치에 의해 무한 가변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1차적으로 제2 편심 캠(22)에 대하여 Y방향으로 그리고 2차적으로 제2 어댑터부(17)의 접촉면(11)에 대하여 Z방향으로, 프린트 헤드(3)의 고정 단부(9)에 사전 응력을 가하는 자석부재(19)를 또한 도 5에서 명확히 볼 수 있다. 제1 편심 캠(21)에 대하여 프린트 헤드(3)의 고정 단부(9)에 사전 응력을 가하는 자석부재(29)를 도 5에서는 볼 수 없다.
1: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
3: 프린트 헤드
4: 조정 어댑터
6: 인쇄 사이드
8: 자유 단부
9: 고정 단부
11: 접촉면
12: 제1 접촉부재
13; 제2 접촉부재
16: 제1 어댑터부
17; 제2 어댑터부
18: 정지 부재
19: 핀
20: 수용수단
21: 제1 편심 캠
22: 제2 편심 캠
24: 드라이브 모터
25: 드라이브 모터
27: 틈새
29: 자석부재

Claims (16)

  1. 잉크젯 프린터용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로서,
    조정 어댑터(4)와 X-Y평면에서 연장하는 인쇄 사이드(6)를 갖춘 프린트 헤드(3)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어댑터(4)는, X-Y평면에서 조정될 수 있고 그 안에 프린트 헤드(3)의 고정 단부(9)가 수용되는 수용수단(20)을 포함하고, 프린트 헤드(3)의 자유 단부(8)는 X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또 X-Y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회전축 주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조정 어댑터(4) 상에 장착되는 ,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수단(20)은 X방향 및 Y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수단(20)은, X-Y평면에서 옵셋 배열되고 그에 대해 프린트 헤드(3)의 고정 단부(9)가 지지되는 2개의 회전가능한 편심 캠(21, 22)을 포함하는,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3)의 고정 단부(9)는 수용수단(20)에 대하여 사전 응력이 가해진,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3)의 고정 단부(9)는 수용수단(20)에 대하여 자기적으로(magnetically) 사전 응력이 가해진,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어댑터(4)는 프린트 헤드(3)의 자유 단부(8)가 Y방향으로 지지되는 정지 부재(18)를 포함하는,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부재(18)는 Z방향으로 연장하는 핀(19)으로 구성된,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3)의 자유 단부(8)는 정지 부재(18)에 대하여 Y방향으로 사전 응력이 가해진,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3)의 자유 단부(8)는 정지 부재(18)에 대하여 Y방향으로 자기적으로 사전 응력이 가해진,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어댑터(4)는 복수의 편으로 된 구성인,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어댑터(4)는 프린트 헤드(3)의 자유 단부(8)를 수용하는 제1 어댑터부(16)와 프린트 헤드의 고정 단부(9)를 수용하는 제2 어댑터부(17)로 분할된,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어댑터(4)는 Z방향에서 프린트 헤드(3)를 위한 접촉면(11)을 포함하는,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3)는 조정 어댑터(4)의 접촉면(11)에 대하여 사전 응력이 가해진,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3)는 조정 어댑터(4)의 접촉면(11)에 대하여 자기적으로 사전 응력이 가해진,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어댑터(4)는, 20℃와 50℃ 사이, 특히 25℃와 40℃ 사이의 온도범위에서, 5*10-6K-1 미만의, 특히 2*10-6K-1 미만의 열팽창 계수를 갖는 신축성이 없는 재료로부터 실질적으로 제조된,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어댑터(4)를 조정하기 위한 전기적인 드라이브(24, 25)가 포함된,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1).
KR1020157003827A 2012-07-16 2012-07-16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 KR1017035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2/002982 WO2014012560A1 (de) 2012-07-16 2012-07-16 Druckkopfverstell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595A true KR20150036595A (ko) 2015-04-07
KR101703534B1 KR101703534B1 (ko) 2017-02-07

Family

ID=46639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3827A KR101703534B1 (ko) 2012-07-16 2012-07-16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308757B2 (ko)
EP (1) EP2872335B1 (ko)
JP (1) JP6072243B2 (ko)
KR (1) KR101703534B1 (ko)
CN (1) CN104487255B (ko)
AU (1) AU2012385746B2 (ko)
CA (1) CA2879334C (ko)
DK (1) DK2872335T3 (ko)
ES (1) ES2761182T3 (ko)
IL (1) IL236258A0 (ko)
RU (1) RU2618438C2 (ko)
WO (1) WO20140125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0092A (ko) 2021-11-12 2023-05-22 (주)풍산시스템 잉크젯 헤드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72335B1 (de) 2012-07-16 2019-10-16 Padaluma Ink-Jet-Solutions GmbH & Co. KG Druckkopfverstelleinrichtung
JP6197673B2 (ja) * 2014-01-31 2017-09-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位置調整方法
DE102015208754B4 (de) * 2015-05-12 2020-01-02 Koenig & Bauer Ag Positioniervorrichtung zum Anordnen eines Druckkopfs in einem Druckaggregat
DE102015008860A1 (de) * 2015-07-14 2017-01-19 Voxeljet Ag Vorrichtung zum Justieren eines Druckkopfes
JP6581489B2 (ja) * 2015-12-11 2019-09-25 エスアイアイ・プ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キャリッジおよび液体噴射記録装置
JP6639318B2 (ja) * 2016-04-21 2020-02-05 エスアイアイ・プ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キャリッジおよび液体噴射記録装置
DE102016214253B4 (de) 2016-08-02 2020-10-22 Koenig & Bauer Ag Positioniereinrichtung zum Einstellen einer Lage zumindest einer zumindest einen Druckkopf aufweisenden Baugruppe
JP6801441B2 (ja) * 2016-12-26 2020-12-16 株式会社リコー ヘッド位置調整機構、液体吐出ユニット及び液体吐出装置
CN107498998B (zh) * 2017-09-08 2019-04-09 北京印刷学院 一种喷码品检机喷头的偏心套式高精度定位装置
CN108162598B (zh) * 2017-12-26 2024-04-26 广东正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喷印机及其喷头位置调整装置
JP7196605B2 (ja) 2018-12-28 2022-12-27 株式会社リコー 液体を吐出する装置、吐出ユニット、染色装置
ES2948947T3 (es) * 2019-05-02 2023-09-22 Artech Gmbh Design Production In Plastic Módulo de cabezal de impresión y sistema de impresión de prueba
JP2022155904A (ja) * 2021-03-31 2022-10-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移動機構および印刷装置
JP2023063855A (ja) * 2021-10-25 2023-05-10 エスアイアイ・プリンテック株式会社 液体噴射ヘッド及び液体噴射記録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6555A (ja) * 2002-10-18 2004-05-13 Seiko Epson Corp 印刷ヘッドのキャリッジへの取り付け位置の調整が可能な印刷装置
JP2010069627A (ja) * 2008-09-16 2010-04-02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ヘッドの位置決め方法、及び、液体噴射ヘッドモジュール
JP2010125831A (ja) * 2008-12-01 2010-06-10 Seiko Epson Corp キャリッジ、該キャリッジを備えた記録装置
JP2012121278A (ja) * 2010-12-10 2012-06-28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ヘッド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1070A (en) * 1992-01-24 1994-09-27 Xerox Corporation Single pass color printer having improved process and slow registration
AUPQ595700A0 (en) * 2000-03-02 2000-03-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Alignment module for printheads
JP4523133B2 (ja) * 2000-08-31 2010-08-1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記録ユニ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EP1238813A1 (en) * 2001-03-08 2002-09-11 Agfa-Gevaert An ink jet printer equipped for aligning the printheads
EP1744896B1 (en) * 2004-04-30 2010-06-16 Dimatix, Inc. Recirculation assembly
ATE524317T1 (de) 2004-04-30 2011-09-15 Dimatix Inc Ausrichtung einer tröpfchenausstossvorrichtung
KR100863244B1 (ko) * 2004-10-07 2008-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헤드 마운트 및 이를 구비하는 잉크젯 프린트 장치.
JP2010539878A (ja) * 2007-09-20 2010-12-16 フェスト アーゲ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 駆動キャリッジを線状にガイドするための2つのガイドレールを有する固定子を備える、ダイレクト駆動のリニア電磁駆動装置
JP2010214273A (ja) * 2009-03-16 2010-09-30 Seiko Epson Corp 位置決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ヘッドアライメント装置
US8322821B2 (en) * 2009-03-31 2012-12-04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replacement of a printhead with minimal impact on printhead alignment
US8517508B2 (en) * 2009-07-02 2013-08-27 Fujifilm Dimatix, Inc. Positioning jetting assemblies
JP5504795B2 (ja) * 2009-09-29 2014-05-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装置
JP5412306B2 (ja) * 2010-01-27 2014-02-12 株式会社ミヤコシ インクジェット印字装置
EP2872335B1 (de) 2012-07-16 2019-10-16 Padaluma Ink-Jet-Solutions GmbH & Co. KG Druckkopfverstelleinricht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6555A (ja) * 2002-10-18 2004-05-13 Seiko Epson Corp 印刷ヘッドのキャリッジへの取り付け位置の調整が可能な印刷装置
JP2010069627A (ja) * 2008-09-16 2010-04-02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ヘッドの位置決め方法、及び、液体噴射ヘッドモジュール
JP2010125831A (ja) * 2008-12-01 2010-06-10 Seiko Epson Corp キャリッジ、該キャリッジを備えた記録装置
JP2012121278A (ja) * 2010-12-10 2012-06-28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ヘッド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0092A (ko) 2021-11-12 2023-05-22 (주)풍산시스템 잉크젯 헤드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72243B2 (ja) 2017-02-01
CN104487255A (zh) 2015-04-01
CN104487255B (zh) 2016-09-28
AU2012385746B2 (en) 2017-04-06
JP2015523253A (ja) 2015-08-13
US20150165799A1 (en) 2015-06-18
US9308757B2 (en) 2016-04-12
EP2872335A1 (de) 2015-05-20
CA2879334A1 (en) 2014-01-23
WO2014012560A1 (de) 2014-01-23
RU2015104788A (ru) 2016-09-10
ES2761182T3 (es) 2020-05-19
CA2879334C (en) 2018-08-14
RU2618438C2 (ru) 2017-05-03
KR101703534B1 (ko) 2017-02-07
EP2872335B1 (de) 2019-10-16
AU2012385746A1 (en) 2015-02-05
IL236258A0 (en) 2015-02-26
DK2872335T3 (da) 202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534B1 (ko) 프린트 헤드 조정장치
CN1980795B (zh) 液滴喷射装置
US6554398B2 (en) Ink-jet printer equipped for aligning the printheads
EP3395576B1 (en) Liquid discharge apparatus
KR102165979B1 (ko) 잉크젯 프린터용 모듈형 프린트 바 조립체
WO2003013859A1 (en) Method for mutual spatial registration of inkjet cartridges and inkjet print heads
KR100948563B1 (ko) 프린트 헤드 장착 어셈블리, 및 운반기 프레임구조물에프린트 헤드를 장착하는 방법
JP2011156806A (ja) ヘッド取付部材及び液体噴射装置並びにヘッド取付方法
CN105050815A (zh) 流体喷射模块安装
CN101189132A (zh) 具有有效冷却的印刷头穿梭件
JP5011802B2 (ja) 液滴吐出ヘッド、及び液滴吐出装置
EP1238813A1 (en) An ink jet printer equipped for aligning the printheads
US5477254A (en) Apparatus for mounting and aligning components of an ink jet printhead
WO2015186592A1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7276426A (ja) 液滴吐出装置
EP1238814B1 (en) Ink-jet printer equipped for aligning the printhe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