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2181A - 안경 렌즈의 보유 지지 부재 및 그것을 구비한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렌즈의 보유 지지 부재 및 그것을 구비한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2181A
KR20150032181A KR20140120775A KR20140120775A KR20150032181A KR 20150032181 A KR20150032181 A KR 20150032181A KR 20140120775 A KR20140120775 A KR 20140120775A KR 20140120775 A KR20140120775 A KR 20140120775A KR 20150032181 A KR20150032181 A KR 20150032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spectacle lens
portions
folding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0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조 오쿠다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닛킨 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닛킨 와쿠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닛킨 와쿠
Publication of KR20150032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1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2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06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with resilient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32Oblong ho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음과 함께 확실하게 안경 렌즈를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안경 렌즈의 보유 지지 부재 및 그것을 구비한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브리지(3)는, 양단부(30a 및 30b)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폴드되도록 폴딩부(31a 및 31b)가 형성된 접속부(30)와, 폴딩부(31a 및 31b)에 돌출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안경 렌즈(2)에 형성된 결합 구멍(20a 및 20b)에 전방측으로부터 삽입 장착되는 결합부(32a 및 32b)를 구비하고, 결합부는,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 부분(33a 및 33b)이 폴딩부에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타단부 부분(34a 및 34b)이 폴딩부와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고, 결합부의 일단부 부분 및 타단부 부분의 외측이 결합 구멍의 내면에 압접하여 안경 렌즈(2)를 보유 지지한다.

Description

안경 렌즈의 보유 지지 부재 및 그것을 구비한 안경{HOLDING MEMBER OF EYEGLASSES LENS AND EYEGLASSES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안경 렌즈의 보유 지지 부재 및 그것을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가 없는 타입의 안경에 적합한 안경 렌즈의 보유 지지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안경 렌즈의 주위를 림 등의 프레임체로 보유 지지하는 일 없이, 브리지 및 엔드 피스에 의해 보유 지지하는 테가 없는 타입의 안경이 실용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브리지 및 엔드 피스를 형상 기억 합금제의 부재로 구성하고, 렌즈 부분에 형성한 구멍에 부재를 삽입하여 보유 지지하도록 한 안경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안경 렌즈에 형성한 불관통 구멍에 복수의 선재를 관통시키고, 각각의 선재를 불관통 구멍의 측벽에 압박시켜 보유 지지하도록 한 안경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안경 렌즈의 외주부 근방에 긴 구멍을 형성하고, 엔드 피스 및 브리지에 형성된 탄성을 갖는 두갈래 다리부를 긴 구멍에 삽입하여 보유 지지하도록 한 안경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7-281132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54076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164646호 공보
특허문헌 1 내지 3에서는, 브리지 및 엔드 피스에 보유 지지부를 형성하여, 보유 지지부를 안경 렌즈에 형성한 구멍에 삽입하고 있지만, 브리지 및 엔드 피스가 원형 단면의 선재인 경우, 보유 지지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안경 렌즈가 요동하기 쉬워 빠질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면 직사각 형상의 보유 지지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보유 지지부의 가공이 어려워진다.
또한, 이러한 선재를 사용한 경우, 특허문헌 1 및 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유 지지부의 선단이 안경 렌즈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면, 돌출부가 예기치 않게 걸릴 우려가 있고, 외관 디자인상도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또한, 안경 렌즈의 표면이나 테두리부에 부재를 결합시켜 보유 지지시키고 있으므로, 안경 렌즈의 형상에 맞추어 부재의 형상을 형성하지 않으면 헐거워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선재가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안경 렌즈의 단부면에 불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불관통 구멍을 형성한 렌즈 부분의 강도가 약해져,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음과 함께 확실하게 안경 렌즈를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안경 렌즈의 보유 지지 부재 및 그것을 구비한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안경 렌즈의 보유 지지 부재는, 적어도 한쪽의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폴드되도록 폴딩부가 형성된 접속부와, 상기 폴딩부에 돌출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안경 렌즈에 형성된 결합 구멍에 전방측으로부터 삽입 장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 부분이 상기 폴딩부에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타단부 부분이 상기 폴딩부와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의 상기 일단부 부분 및 상기 타단부 부분의 외측이 상기 결합 구멍의 내면에 압접하여 안경 렌즈를 보유 지지한다. 또한, 형상 기억 합금 재료 또는 초탄성 합금 재료로 이루어지는 박판을 절단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일단부 부분 및 상기 타단부 부분의 외측에 상기 결합 구멍의 내면에 걸림 지지하는 걸림 지지 수단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은, 상기한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에 의해 보유 지지된 안경 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안경 렌즈는, 상기 결합 구멍이 형성된 결합 부재가 고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음과 함께 확실하게 안경 렌즈를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안경 렌즈의 보유 지지 구조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평면도 및 정면도.
도 2는 브리지 부분에 관한 일부 확대 평면도 및 엔드 피스 부분에 관한 일부 확대 평면도.
도 3은 다른 실시 형태의 브리지 부분에 관한 일부 확대 평면도 및 엔드 피스 부분에 관한 일부 확대 평면도.
도 4는 결합 부재에 관한 외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한 구체예이므로, 기술적으로 다양한 한정이 이루어져 있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취지가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이들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안경 렌즈의 보유 지지 구조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평면도[도 1의 (a)] 및 정면도[도 1의 (b)]이다. 안경(1)은, 좌우 한 쌍의 안경 렌즈(2)와, 안경 렌즈(2)의 사이에 배치되어 안경 렌즈(2)를 보유 지지하는 브리지(3)와, 브리지(3)에 장착된 좌우 한 쌍의 노즈 패드(4)와, 안경 렌즈(2)의 브리지(3)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안경 렌즈(2)를 보유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엔드 피스(5)와, 엔드 피스(5)에 각각 장착되는 템플(6)과, 템플(6)에 삽입 장착된 모던(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안경(1)의 정면측을 전방측으로 하고, 배면측을 후방측으로 한다.
안경 렌즈(2)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인 브리지(3) 및 엔드 피스(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 안경 렌즈(2)에 형성된 결합 구멍에 결합부를 삽입 장착하여 설치되어 있다. 브리지(3) 및 엔드 피스(5)는, 형상 기억 합금, 초탄성 합금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안경 렌즈의 보유 지지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이러한 특성을 나타내는 니켈 티탄 합금 재료가 바람직하다. 이 예에서는, 금속제 박판을 레이저 가공 등에 의해 절단 가공한 것을 사용하고 있고, 브리지(3) 및 엔드 피스(5)를 간단하게 고정밀도로 성형 가공할 수 있다. 브리지(3) 및 엔드 피스(5)를 박판에 의해 성형 가공함으로써, 안경을 전방측에서 본 경우, 브리지(3) 및 엔드 피스(5)가 동일한 두께에서 좌우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디자인되게 되어, 안경의 디자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브리지 부분에 관한 일부 확대 평면도[도 2의 (a)] 및 엔드 피스 부분에 관한 일부 확대 평면도[도 2의 (b)]이다. 엔드 피스 부분에 대해서는, 좌우의 엔드 피스(5)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우측의 엔드 피스(5)만 도시하고, 좌측의 엔드 피스(5)에 대해서는 생략하였다.
브리지(3)는, 전방측으로 팽창되도록 만곡 형성된 접속부(30)의 양단부(30a 및 30b)에 있어서, 후방측에 폴딩부(31a 및 31b)가 형성되어 있다. 폴딩부(31a 및 31b)의 후방측에는, 각각 역U자 형상의 결합부(32a 및 32b)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폴딩부(31a 및 31b)는, 각각 접속부(30)의 양단부(30a 및 30b)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폴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폴드된 부분의 폭은, 접속부(30)와 거의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단부(30a 및 30b)의 폭은, 접속부(30) 및 폴딩부(31a 및 31b)보다도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폴딩부(31a 및 31b)의 후방측의 측단부는, 결합부(32a 및 32b)를 안경 렌즈(2)의 결합 구멍(20a 및 20b)에 삽입 장착한 경우에, 각각 좌우의 안경 렌즈(2)의 전방측에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결합부(32a 및 32b)는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접속부(30)의 단부측에 위치하는 일단부 부분(33a 및 33b)이 각각 폴딩부(31a 및 31b)의 근원 부분에 접속되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일단부 부분(33a 및 33b)은 외측의 측단부가 톱니 형상으로 들쭉날쭉하게 형성되어 있고, 각 선단이 폴딩부(31a 및 31b)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결합부(32a 및 32b)를 결합 구멍(20a 및 20b)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일단부 부분(33a 및 33b)에 형성된 톱니 형상의 선단이 걸리는 일 없이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지만, 결합부(32a 및 32b)를 결합 구멍(20a 및 20b)으로부터 인발하는 경우에는, 톱니 형상의 선단이 걸리기 쉬워져, 인발하기 어려워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접속부(30)의 중앙측에 위치하는 결합부(32a 및 32b)의 타단부 부분(34a 및 34b)은, 폴딩부(31a 및 31b)의 선단 부분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고, 외측의 코너부가 예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결합부(32a 및 32b)를 결합 구멍(20a 및 20b)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타단부 부분(34a 및 34b)에 형성된 외측의 코너부가 걸리는 일 없이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지만, 결합부(32a 및 32b)를 결합 구멍(20a 및 20b)으로부터 인발하는 경우에는, 외측의 코너부가 걸리기 쉬워져, 인발하기 어려워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결합부(32a 및 32b)는 일단부 부분(33a 및 33b)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 설치되어 폴드되도록 형성된 만곡 부분까지가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설정되어 만곡 부분에서 가장 폭이 좁아지고, 만곡 부분으로부터 타단부 부분(34a 및 34b)에 걸쳐 점차 폭이 넓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부(32a 및 32b)의 일단부 부분(33a 및 33b) 및 타단부 부분(34a 및 34b)의 내측의 사이의 간격은, 만곡 부분으로부터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안경 렌즈(2)의 결합 구멍(20a 및 20b)은 각각 안경 렌즈(2)의 전방측 표면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 구멍(20a 및 20b)의 상하 방향의 폭은, 거의 균일하며 브리지(3)의 두께보다도 약간 넓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결합 구멍(20a 및 20b)의 좌우 방향의 폭은, 결합부(32a 및 32b)에 있어서의 일단부 부분(33a 및 33b)의 외측으로부터 타단부 부분(34a 및 34b)의 외측까지의 가장 광폭의 부분보다도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의 폭은, 안경 렌즈(2)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확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안경 렌즈(2)의 도수는, 후방측 표면의 곡률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되게 된다. 그로 인해, 결합 구멍(20a 및 20b)을 안경 렌즈(2)의 전방측 표면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다른 도수의 경우라도 전방측 표면에 대해 소정의 방향으로 결합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폴딩부(31a 및 31b)를 안경 렌즈(2)의 전방측에 접촉시켜 브리지(3)를 장착하므로, 안경 렌즈(2)의 도수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32a 및 32b)는 결합 구멍(20a 및 20b)의 내면에 결합하고 이면측에 결합하는 일이 없으므로, 도수의 변화에 수반하는 안경 렌즈(2)의 이면측 표면의 곡률의 변경에 수반하여 형상을 변경할 필요가 없고, 안경 렌즈(2)의 도수가 변경된 경우라도 동일한 형상의 브리지(3)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브리지(3)를 한 쌍의 안경 렌즈(2)에 각각 장착하여 접속하는 경우에는, 결합부(32a 및 32b)를 각각 안경 렌즈(2)의 결합 구멍(20a 및 20b)의 전방측으로부터 삽입 장착하여 설치한다. 결합부(32a 및 32b)를 그 후방측으로 돌출된 선단부로 되는 만곡 부분으로부터 결합 구멍(20a 및 20b)에 삽입해 가고, 만곡 부분이 결합 구멍(20a 및 20b)을 뚫고 나가 안경 렌즈(2)의 전방측에 폴딩부(31a 및 31b)가 접촉한 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삽입 장착된다.
브리지(3)가 형상 기억 합금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결합부(32a 및 32b)를 결합 구멍(20a 및 20b)에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해, 타단부 부분(34a 및 34b)이 일단부 부분(33a 및 33b)에 근접하도록 만곡 부분을 더욱 만곡 변형시켜 두고, 결합부(32a 및 32b)를 삽입 장착한 후에,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시킴으로써, 결합부(32a 및 32b)의 일단부 부분(33a 및 33b) 및 타단부 부분(34a 및 34b)이 결합 구멍(20a 및 20b)의 내면에 압접하여 결합 상태로 되어 고정된다.
또한, 브리지(3)가 초탄성 합금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결합부(32a 및 32b)의 만곡 부분을 각각 안경 렌즈(2)의 결합 구멍(20a 및 20b)에 삽입해 간다. 그때에, 결합 구멍(20a 및 20b)의 좌우 방향의 폭은, 결합부(32a 및 32b)에 있어서의 일단부 부분(33a 및 33b)의 외측으로부터 타단부 부분(34a 및 34b)의 외측까지의 가장 광폭의 부분보다도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결합부(32a 및 32b)는, 타단부 부분(34a 및 34b)이 일단부 부분(33a 및 33b)에 근접하도록 만곡 부분이 더욱 만곡 변형되면서 삽입되어 가게 된다. 그리고, 만곡 부분이 결합 구멍(20a 및 20b)을 뚫고 나가 안경 렌즈(2)의 전방측에 폴딩부(31a 및 31b)가 접촉한 상태로 설정하면, 결합 구멍(20a 및 20b)의 좌우 방향의 폭은, 안경 렌즈(2)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확대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부(32a 및 32b)의 타단부 부분(34a 및 34b)과 일단부 부분(33a 및 33b) 사이가 삽입 개시 시에 비해 약간 넓어지도록 만곡 변형된다. 그로 인해, 결합부(32a 및 32b)를 삽입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인발하는 힘에 대해서는, 결합부(32a 및 32b)의 타단부 부분(34a 및 34b) 및 일단부 부분(33a 및 33b)이 결합 구멍(20a 및 20b)의 내면에 압접하여 결합 상태로 되어 고정된다.
결합부(32a 및 32b)가 결합 구멍(20a 및 20b)의 내면에 압접한 상태에서는, 일단부 부분(33a 및 33b)의 외측에 형성된 톱니 형상의 선단 및 타단부 부분(34a 및 34b)이 결합 구멍(20a 및 20b)의 내면에 압접하여 결합부(32a 및 32b)가 인발되는 일 없이 확실히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부의 일단부 부분 및 타단부 부분의 외측이 결합 구멍의 내면에 걸림 지지하여 안경 렌즈가 보유 지지되므로, 결합부와 결합 구멍 사이의 2점 지지에 의해 안경 렌즈가 결합 부분에서 헐거워지는 일 없이 보유 지지된다. 또한,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부를, 결합부의 두께보다도 약간 넓은 폭의 결합 구멍에 삽입 장착하고 있으므로, 결합 구멍의 내부에서 결합부가 회전하는 일은 없고, 안경 렌즈를 확실히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32a 및 32b)의 타단부 부분(34a 및 34b)과 결합 구멍(20a 및 20b)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간극에 공구를 삽입하고, 타단부 부분(34a 및 34b)을 일단부 부분(33a 및 33b)에 근접하도록 변형시킴으로써, 결합부(32a 및 32b)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여 안경 렌즈(2)로부터 브리지(3)를 제거할 수도 있다.
그리고, 결합부(32a 및 32b)가 안경 렌즈(2)의 결합 구멍(20a 및 20b)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안경 렌즈(2)를 뚫고 나간 결합부(32a 및 32b)의 만곡 부분은 둥그스름한 모양을 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기치 않게 접촉해도 걸리는 일은 없다. 또한, 접속부(30)의 양단부(30a 및 30b)에 대해서도 둥그스름한 모양을 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기치 않게 접촉해도 걸리는 일은 없다. 폴딩부(31a 및 31b)의 선단부는, 접속부(30)와 안경 렌즈(2) 사이에 배치되므로, 외측으로부터 예기치 않게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엔드 피스(5)는 후방측으로 연장 설치되어 템플(6)에 접속하는 세폭으로 형성된 접속부(50)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부(50)는 중앙 부분이 만곡 형성되어 있고, 전방측의 단부(50a)에는, 후방측으로 폴딩부(51)가 연장 설치되어 있고, 후방측으로 연장 설치된 단부(50b)는, 광폭으로 형성되어 템플(6)과 접속하는 장착 구멍(50c)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50)의 양단부 이외의 중앙 부분의 폭은 거의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브리지(3)의 접속부(30)의 폭보다도 약간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폴딩부(51)의 후방측에는, 각각 역U자 형상의 결합부(52)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폴딩부(51)는 접속부(50)의 단부(50a)로부터 중앙 부분을 향해 폴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폴드된 부분의 폭은, 접속부(50)와 거의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부(50a)의 폭은, 접속부(50) 및 폴딩부(51)보다도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폴딩부(51)의 후방측의 측단부는, 결합부(52)를 안경 렌즈(2)의 결합 구멍(21)에 삽입 장착한 경우에, 안경 렌즈(2)의 전방측에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결합부(52)는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접속부(50)의 단부측에 위치하는 일단부 부분(53)이 폴딩부(51)의 근원 부분에 접속되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일단부 부분(53)은 외측의 측단부가 톱니 형상으로 들쭉날쭉하게 형성되어 있고, 각 선단이 폴딩부(51)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결합부(52)를 결합 구멍(21)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일단부 부분(53)에 형성된 톱니 형상의 선단이 걸리는 일 없이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지만, 결합부(52)를 결합 구멍(21)으로부터 인발하는 경우에는, 톱니 형상의 선단이 걸리기 쉬워져, 인발하기 어려워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접속부(50)의 중앙측에 위치하는 결합부(52)의 타단부 부분(54)은 폴딩부(51)의 선단 부분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고, 외측의 코너부가 예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결합부(52)를 결합 구멍(21)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타단부 부분(54)에 형성된 외측의 코너부가 걸리는 일 없이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지만, 결합부(52)를 결합 구멍(21)으로부터 인발하는 경우에는, 외측의 코너부가 걸리기 쉬워져, 인발하기 어려워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결합부(52)는 일단부 부분(53)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 설치되어 폴드되도록 형성된 만곡 부분까지가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설정되어 만곡 부분에서 가장 폭이 좁아지고, 만곡 부분으로부터 타단부 부분(54)에 걸쳐 점차 폭이 넓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부(52)의 일단부 부분(53) 및 타단부 부분(54)의 내측의 사이의 간격은, 만곡 부분으로부터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안경 렌즈(2)의 결합 구멍(21)은 결합 구멍(20a 및 20b)과 마찬가지로, 각각 안경 렌즈(2)의 전방측 표면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 구멍(21)의 상하 방향의 폭은, 거의 균일하며 엔드 피스(5)의 두께보다도 약간 넓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결합 구멍(21)의 좌우 방향의 폭은, 결합부(52)에 있어서의 일단부 부분(53)의 외측으로부터 타단부 부분(54)의 외측까지의 가장 광폭의 부분보다도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의 폭은, 안경 렌즈(2)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확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엔드 피스(5)를 안경 렌즈(2)에 각각 장착하여 접속하는 경우에는, 브리지(3)와 마찬가지로, 결합부(52)를 안경 렌즈(2)의 결합 구멍(21)의 전방측으로부터 삽입 장착하여 설치한다. 결합부(52)를 그 후방측으로 돌출된 선단부로 되는 만곡 부분으로부터 결합 구멍(21)에 삽입해 가고, 만곡 부분이 결합 구멍(21)을 뚫고 나가 안경 렌즈(2)의 전방측에 폴딩부(51)가 접촉한 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삽입 장착된다.
엔드 피스(5)가 형상 기억 합금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결합부(52)를 결합 구멍(21)에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해, 타단부 부분(54)이 일단부 부분(53)에 근접하도록 만곡 부분을 더욱 만곡 변형시켜 두고, 결합부(52)를 삽입 장착한 후에,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시킴으로써, 결합부(52)의 일단부 부분(53) 및 타단부 부분(54)이 결합 구멍(21)의 내면에 압접하여 결합 상태로 되어 고정된다.
또한, 엔드 피스(5)가 초탄성 합금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결합부(52)의 만곡 부분을 각각 안경 렌즈(2)의 결합 구멍(21)에 삽입해 간다. 그때에, 결합 구멍(21)의 좌우 방향의 폭은, 결합부(52)에 있어서의 일단부 부분(53)의 외측으로부터 타단부 부분(54)의 외측까지의 가장 광폭의 부분보다도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결합부(52)는 타단부 부분(54)이 일단부 부분(53)에 근접하도록 만곡 부분이 더욱 만곡 변형되면서 삽입되어 가게 된다. 그리고, 만곡 부분이 결합 구멍(21)을 뚫고 나가 안경 렌즈(2)의 전방측에 폴딩부(51)가 접촉한 상태로 설정하면, 결합 구멍(21)의 좌우 방향의 폭은, 안경 렌즈(2)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확대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부(52)의 타단부 부분(54)과 일단부 부분(53) 사이가 삽입 개시 시에 비해 약간 넓어지도록 만곡 변형된다. 그로 인해, 결합부(52)를 삽입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인발하는 힘에 대해서는, 결합부(52)의 타단부 부분(54) 및 일단부 부분(53)이 결합 구멍(21)의 내면에 압접하여 결합 상태로 되어 고정된다.
결합부(52)가 결합 구멍(21)의 내면에 압접한 상태에서는, 일단부 부분(53)의 외측에 형성된 톱니 형상의 선단 및 타단부 부분(54)이 결합 구멍(21)의 내면에 압접하여 결합부(52)가 인발되는 일 없이 확실히 고정되게 된다.
결합부(52)를 안경 렌즈(2)에 고정한 후, 접속부(50)의 단부(50b)에 템플(6)의 단부를 장착하여, 나사 등에 의해 장착 구멍(50c)에 회전 가능하게 템플(6)을 접속한다.
결합부(52)가 안경 렌즈(2)의 결합 구멍(21)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안경 렌즈(2)를 뚫고 나간 결합부(52)의 만곡 부분은 둥그스름한 모양을 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기치 않게 접촉해도 걸리는 일은 없다. 또한, 접속부(50)의 양단부(50a 및 50b)에 대해서도 둥그스름한 모양을 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기치 않게 접촉해도 걸리는 일은 없다. 폴딩부(51)의 선단부는, 접속부(50)와 안경 렌즈(2) 사이에 배치되므로, 외측으로부터 예기치 않게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예에서는, 브리지(3) 및 엔드 피스(5)는 금속제 박판을 절단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체가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폭이 넓은 부분은 좁은 부분에 비해 굽힘이나 비틀림에 대한 강도가 높아지도록 설정된다. 브리지(3)의 접속부(30)는 엔드 피스(5)의 접속부(50)보다도 폭이 넓어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좌우의 템플(6)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넓어진 경우에는, 엔드 피스(5)의 접속부(50) 쪽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변형되기 쉬워지고, 브리지(3)의 접속부(30)는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접속부(30 및 50)의 양단부는,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속부(30 및 50)의 각 단부에 형성된 폴딩부에 변형된 영향이 미치는 일은 거의 없고, 결합부와 안경 렌즈 사이의 결합 상태는 어긋남 등이 발생하는 일 없이 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착용자의 헤드부의 사이즈가 상이한 경우에, 좌우의 템플(6)의 개방 상태가 상이해지지만, 엔드 피스(5)의 변형에서 주로 사이즈에 대응한 조정이 이루어져 브리지(3)의 변형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그로 인해, 좌우의 노즈 패드(4)의 간격이 변화하는 일이 없고, 안경(1)을 안정된 상태에서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템플(6)을 상하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비틀도록 한 경우에는, 브리지(3)의 접속부(30) 및 엔드 피스(5)의 접속부(50)가 비틀어지도록 변형되지만, 안경 렌즈(2)의 좌우 방향으로 세폭으로 형성된 결합 구멍(20a, 20b 및 21)에 결합부(32a, 32b 및 52)가 삽입 장착되어 있으므로, 각 결합부가 각 결합 구멍에서 회전하거나, 어긋나는 일은 거의 없고, 안경 렌즈(2)가 브리지(3) 및 엔드 피스(5)에 확실히 보유 지지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예에서는, 안경 렌즈의 결합 구멍에 결합부를 삽입 장착할 때에, 결합 구멍의 내면에 걸림 지지하는 걸림 지지 수단으로서, 결합부의 일단부 부분에 톱니 형상으로 형성함과 함께 결합부의 타단부 부분의 코너부를 예각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있지만, 결합부를 결합 구멍으로부터 인발하는 경우에 결합 구멍의 내면에 걸림 지지 가능하면 이러한 걸림 지지 수단 이외의 수단을 사용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결합 구멍의 내면에 단차부를 형성해 두고, 타단부 부분의 코너부가 걸림 지지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톱니 형상을 훅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결합부의 일단부 부분 및 타단부 부분의 외측이 결합 구멍의 내면에 압접하는 것만으로 결합부의 인발을 방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타단부 부분을 톱니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도 3은 다른 실시 형태의 브리지 부분에 관한 일부 확대 평면도[도 3의 (a)] 및 엔드 피스 부분에 관한 일부 확대 평면도[도 3의 (b)]이다. 엔드 피스 부분에 대해서는, 좌우의 엔드 피스(5')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우측의 엔드 피스(5')만 도시하고, 좌측의 엔드 피스(5')에 대해서는 생략하였다. 이 예에서는, 브리지(3') 및 엔드 피스(5')는, 브리지(3) 및 엔드 피스(5)와 동일한 부위는 동일한 부호에 대시를 부여하여 표시하고 있다.
브리지(3')의 접속부(30')는, 접속부(30)에 비해 중앙 부분의 중심의 폭을 가늘고 길게 형성하여 양단부에 가까운 부분의 폭을 넓게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접속부(30')의 양단부(30a' 및 30b')에서는, 폭을 좁게 하여 대략 원 형상으로 만곡 형성하고 있다. 폴딩부(31a' 및 31b')는, 폴딩부(31a 및 31b)보다도 약간 폭을 좁게 하고, 결합부(32a') 및 결합부(32b')는, 일단부 부분(33a' 및 33b')의 외측을 일단부 부분(33a 및 33b)과 같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좌우의 안경 렌즈(2)에는, 각각 전방측 표면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착 구멍(22a 및 22b)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 구멍(22a 및 22b) 내에는, 결합 부재(35a 및 35b)가 삽입되어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결합 부재(35a 및 35b)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 부재(35a 및 35b)의 결합 구멍에 결합부(32a' 및 32b')가 삽입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결합 부재(35a 및 35b)의 결합 구멍의 내면에는, 단차부(36a 및 36b)가 타단부 부분(34a' 및 34b')에 대향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 부분(34a' 및 34b')에 형성된 외측의 코너부가 단차부(36a 및 36b)에 걸림 지지하여 결합부(32a' 및 32b')가 안경 렌즈(2)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엔드 피스(5')는, 엔드 피스(5)와 대략 마찬가지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52')의 일단부 부분(53')의 외측에 대해서는, 결합부(52)의 일단부 부분(53)과 같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지 않다. 안경 렌즈(2)에는, 전방측 표면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착 구멍(23)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 구멍(23) 내에는, 결합 부재(55)가 삽입되어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결합 부재(55)는 결합 부재(35a 및 35b)와 마찬가지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 부재(55)의 결합 구멍에 결합부(52')가 삽입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결합 부재(55)의 결합 구멍의 내면에는, 단차부(56)가 타단부 부분(54')에 대향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 부분(54')에 형성된 외측의 코너부가 단차부(56)에 걸림 지지하여 결합부(52')가 안경 렌즈(2)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결합 부재에 관한 외관 사시도이다. 결합 부재는, 평면에서 볼 때 타원 형상의 외형으로 형성된 본체부(100)를 구비하고 있고, 본체부(100)의 한쪽의 개구(102)측에 평면에서 볼 때 타원 형상의 플랜지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00)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 구멍의 양측의 개구(102 및 103)는, 본체부(100)의 외형의 타원 형상의 장축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구(102)의 장축 방향의 길이는, 결합부에 있어서의 일단부 부분의 외측으로부터 타단부 부분의 외측까지의 가장 광폭의 부분보다도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개구(102)의 단축 방향의 폭은, 거의 균일하며 브리지 및 엔드 피스의 두께보다도 약간 넓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개구(103)의 장축 방향의 길이는, 개구(102)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고, 개구(103)의 단축 방향의 폭은, 개구(102)와 동일한 폭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100)에 형성된 결합 구멍의 내면에 있어서, 장축 방향의 한쪽의 측면에는, 개구(102 및 103)의 장축 방향의 길이의 차에 대응하여 단차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부재의 결합 구멍에 결합부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결합부의 타단부 부분이 결합 구멍의 개구(102)를 통과 가능해지도록 결합부를 변형시킨 후, 단차부(10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장축 방향의 다른 쪽의 측면을 따라 결합부의 일단부 부분의 외측을 접촉하면서 개구(102)에 삽입하면, 원활하게 결합부를 결합 구멍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를 삽입한 후, 타단부 부분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됨으로써, 결합 구멍의 내면에 결합부의 일단부 부분 및 타단부 부분의 외측이 압접하여 고정된다. 또한, 타단부 부분의 외측의 코너부가 단차부(104)에 걸림 지지함으로써, 결합부가 인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안경 렌즈에 형성된 장착 구멍에 결합 부재를 고착하여 결합부를 고정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결합 부재에 안경 렌즈보다도 고강도의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브리지 및 엔드 피스와 안경 렌즈의 접속 부분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결합 부재의 내면에 형성된 단차부에 결합부를 걸림 지지함으로써, 결합부를 안경 렌즈에 대해 회전이나 어긋남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확실히 고정할 수 있고, 결합 부재로부터 결합부가 빠져 해제되어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30')의 양단부(30a' 및 30b')의 폭을 좁게 하여 대략 원 형상으로 만곡 형성하고 있으므로, 좌우의 템플(6)을 개방하도록 넓히면, 주로 양단부(30a' 및 30b')가 만곡 변형되어 접속부(30')로부터 폴딩부(31')가 이격되도록 변형된다. 그로 인해, 엔드 피스(5')의 접속부(50')의 변형이 억제되어 결합부 및 결합 부재의 접속 부분에 응력이 집중하는 일이 없어져, 브리지 및 엔드 피스에 의해 안경 렌즈를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템플(6)을 상하로 이동시켜 비틀도록 변형시킨 경우라도 주로 양단부(30a' 및 30b')가 비틀도록 변형되어 다른 부위의 변형이 억제되어 안경 렌즈를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예에서는, 접속부의 단부측에 위치하는 결합부의 일단부 부분을 폴딩부의 근원 부분에 일체 형성하여, 접속부의 중앙측에 위치하는 결합부의 타단부 부분을 폴딩부의 선단 부분과 간격을 두고 이격시키고 있지만, 결합부의 타단부 부분을 폴딩부의 선단 부분에 접속하여 일체 형성하고, 결합부의 일단부 부분을 폴딩부의 근원 부분과 간격을 두고 이격시키도록 할 수도 있고, 상술한 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 안경
2 : 안경 렌즈
3 : 브리지
4 : 노즈 패드
5 : 엔드 피스
6 : 템플
7 : 모던

Claims (6)

  1. 적어도 한쪽의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폴드되도록 폴딩부가 형성된 접속부와, 상기 폴딩부에 돌출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안경 렌즈에 형성된 결합 구멍에 전방측으로부터 삽입 장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 부분이 상기 폴딩부에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타단부 부분이 상기 폴딩부와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의 상기 일단부 부분 및 상기 타단부 부분의 외측이 상기 결합 구멍의 내면에 압접하여 안경 렌즈를 보유 지지하는, 안경 렌즈의 보유 지지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형상 기억 합금 재료 또는 초탄성 합금 재료로 이루어지는 박판을 절단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는, 안경 렌즈의 보유 지지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일단부 부분 및 상기 타단부 부분의 외측에 상기 결합 구멍의 내면에 걸림 지지하는 걸림 지지 수단을 갖고 있는, 안경 렌즈의 보유 지지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지지 수단은, 외측을 톱니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는, 안경 렌즈의 보유 지지 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에 의해 보유 지지된 안경 렌즈를 구비하고 있는, 안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렌즈는, 상기 결합 구멍이 형성된 결합 부재가 고착되어 있는, 안경.
KR20140120775A 2013-09-17 2014-09-12 안경 렌즈의 보유 지지 부재 및 그것을 구비한 안경 KR201500321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91326 2013-09-17
JP2013191326A JP6125384B2 (ja) 2013-09-17 2013-09-17 眼鏡レンズの保持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眼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181A true KR20150032181A (ko) 2015-03-25

Family

ID=5281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0775A KR20150032181A (ko) 2013-09-17 2014-09-12 안경 렌즈의 보유 지지 부재 및 그것을 구비한 안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25384B2 (ko)
KR (1) KR20150032181A (ko)
CN (1) CN104460026A (ko)
TW (1) TWI5267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818B1 (ko) 2015-08-21 2016-04-08 이기상 안경테의 코받침 구조
FR3102576A1 (fr) * 2019-10-29 2021-04-30 Visottica Industrie Spa Porte-plaquette optimisé et monture de lunettes comportant au moins un tel porte-plaquette optimisé
IT202000015406A1 (it) * 2020-06-26 2021-12-26 Pramaor S R L "occhiale a giorno con elementi di fissaggio perfezionati"
EP4194930A1 (en) * 2021-12-07 2023-06-14 Pramaor S.r.l. Rimless eyeglasses with improved fastening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3061A (ja) * 1992-04-24 1993-11-16 Hitachi Metals Ltd 眼鏡フレーム用複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59580B1 (ko) * 1992-07-17 1999-05-01 마사루 무라이 안경
JP2986376B2 (ja) * 1995-06-16 1999-12-06 株式会社ホリカワ リムレス眼鏡におけるブリッジ及びリムレス眼鏡
JP2000089169A (ja) * 1998-09-10 2000-03-31 Hideaki Tachibana 眼鏡レンズ止着機構
WO2004107021A1 (ja) * 2003-05-30 2004-12-09 Hoya Corporation 眼鏡レンズの保持構造及びその修復方法並びに眼鏡
CN2667519Y (zh) * 2003-11-11 2004-12-29 许嘉浩 改进组合结构的眼镜
CN2763828Y (zh) * 2005-01-13 2006-03-08 江苏东方光学有限公司 免螺丝且可及时更换镜片的无边框眼镜
EP2270575B1 (en) * 2008-04-22 2018-11-14 Hoya Corporation Holding structure for eyeglass lens, eyeglasses, and method of producing eyeglasses
JP2013025182A (ja) * 2011-07-22 2013-02-04 Kinji Takeda 縁無し眼鏡におけるレンズ連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25384B2 (ja) 2017-05-10
TW201514570A (zh) 2015-04-16
JP2015059943A (ja) 2015-03-30
CN104460026A (zh) 2015-03-25
TWI526727B (zh) 2016-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8373B2 (en) Rimless eyeglasses and parts thereof
KR20150032181A (ko) 안경 렌즈의 보유 지지 부재 및 그것을 구비한 안경
JP4885210B2 (ja) 縁なし眼鏡の耳掛け部、側面部及びブリッジと、金属製及びプラスチック製眼鏡フレームの耳掛け部及び側面部を交換可能にする眼鏡用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交換方法
KR101262774B1 (ko) 안경 프레임의 이중 프레임 연결 구조
JP2017107199A (ja) 眼鏡レンズへの構造部の固定
US7905592B2 (en) Rimless eyeglasses
JP6125478B2 (ja) 眼鏡部材の連結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眼鏡
US20070216856A1 (en) Rimless Spectacles And Hinge Pieces For Rimless Spectacles
JP4664401B2 (ja) 長さ調整可能なテンプル及び当該テンプルを備える眼鏡
JP5846855B2 (ja) メガネフレーム
JP2015191231A (ja) メガネフレーム
KR20150112922A (ko) 안경 프레임
EP2270576A1 (en) Spectacles frame with hinge arrangement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pectacles frame
JP2013045046A (ja) パッドアーム取付構造および眼鏡
JP7220486B2 (ja) 眼鏡
JP2020016719A (ja) メガネフレーム及びツル
JP2007101975A (ja) 曲げ剛性の異なる材料を有する眼鏡フレーム
JP4605804B2 (ja) セミリムレス眼鏡における高張力糸とリムの連結構造
KR200246391Y1 (ko) 절곡철선 안경테
JP2013025182A (ja) 縁無し眼鏡におけるレンズ連結装置
JP3054449U (ja) メガネのレンズ支持構造
EP3528035A1 (en) Spectacle frame, specta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pectacles
JP2011209331A (ja) 眼鏡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22863A (ja) ヒンジレス眼鏡フレーム
JP2011186048A (ja) 眼鏡レンズの保持構造およびリムレス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