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151A - 약포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약포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151A
KR20150030151A KR20140113139A KR20140113139A KR20150030151A KR 20150030151 A KR20150030151 A KR 20150030151A KR 20140113139 A KR20140113139 A KR 20140113139A KR 20140113139 A KR20140113139 A KR 20140113139A KR 20150030151 A KR20150030151 A KR 20150030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unit
main body
medicament
display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1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9797B1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ublication of KR20150030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65G15/14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the load being conveyed between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약제를 자동으로 포장하는 과정에서 약포 내에 정확한 약제가 포장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약포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포 내에 포장된 약제를 검사하여 정확한 약제가 포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약제 검사장치로서, 본체에 설치되어 약포를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약포를 촬영하고 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약제의 상태를 판독하는 영상 판독유닛과; 상기 영상 판독유닛 측으로 이송되는 약포 내에 포장되어 있는 약제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고르게 펼치는 정렬유닛과;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약포를 검사하는 작업을 제어하는 동시에 작업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수단은 선회 및 틸팅유닛을 통하여 상기 본체에 대해 선회 및 기울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부를 이루어 선회시 상기 본체의 내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검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약포 검사장치 {MEDICINE PACKAGE INSP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다양한 약제를 자동으로 포장하는 과정에서 약포 내에 정확한 약제가 포장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약포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제(tablet)나 캡슐(capsule) 등의 약제를 종류별로 수용하고 있는 복수개의 카세트 장치로부터 약제를 공급받아 일회분씩 연속적으로 포장하는 약제 자동 포장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약제 자동 포장기로서는, 본체의 상부에 배열되며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정제 또는 캡슐 등의 약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카세트 장치와, 본체의 하부에 배열되어 카세트 장치들로부터 배출되어 낙하되는 약제를 수집하는 호퍼와, 약제를 포장하는 포장지의 표면에 각종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 장치와, 호퍼에 의해 수집된 약제를 포장지에 의해 포장하는 포장 장치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되고 있었다.
상기된 바와 같은 약제 자동 포장기에 의해 포장된 약포는 각각의 약포 내에 정확한 약제가 포장되었는지 검사될 필요가 있다. 즉, 약제 자동 포장기에는, 수십 내지 수백 가지의 약제가 각각의 카세트 장치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정확하지 않은 약제가 포장될 경우 약화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약제가 포장된 약포는 정확한 약제가 포장되었는지 반드시 검사되어야 한다.
또한, 약제들이 배출되면서 낙하시 호퍼 표면과의 충돌 등으로 인하여 파손되지는 않았는지 여부나, 포장작동 상의 오류로 정해진 약제의 개수보다 적거나 많은 개수의 약제가 포장되지 않았는지 여부도 반드시 검사되어야 한다.
종래, 포장된 약제의 정상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로서, 약제가 포장된 약포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정상 포장 여부를 판정하는 영상 판독수단을 포함하는 검사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검사장치들은 아래의 특허문헌들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포 검사장치에 대하여, 장치의 부피를 감소시키면서도 검사할 약포를 정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고, 또한 검사과정을 사용자가 쉽게 제어할 수 있고 용이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591518 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650285 호 일본 특허공개 평10-162116 호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장치 전체의 크기를 줄여 취급을 용이하게 하고,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약포를 이송시키도록 하여 검사작업시 원활하고 확실한 약포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 약포 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약포 내에 포장된 약제를 검사하여 정확한 약제가 포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약제 검사장치로서, 본체에 설치되어 약포를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약포를 촬영하고 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약제의 상태를 판독하는 영상 판독유닛과; 상기 영상 판독유닛 측으로 이송되는 약포 내에 포장되어 있는 약제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고르게 펼치는 정렬유닛과;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약포를 검사하는 작업을 제어하는 동시에 작업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수단은 선회 및 틸팅유닛을 통하여 상기 본체에 대해 선회 및 기울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부를 이루어 선회시 상기 본체의 내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검사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선회 및 틸팅유닛은, 상기 본체와 상기 표시수단 사이에 개재되는 선회부재와, 상기 선회부재의 일단을 상기 본체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수단과, 상기 선회부재의 타단에 수직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수평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표시수단에 고정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부벨트 및 복수개의 상부롤러를 갖는 상부 컨베이어 장치와, 하부벨트 및 복수개의 하부롤러를 갖는 하부 컨베이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약포는 상기 상부벨트 및 상기 하부벨트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컨베이어 장치 및 상기 하부 컨베이어 장치는 하나의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컨베이어 장치 및 상기 하부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상부벨트 및 상기 하부벨트의 텐션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텐션 조절수단을 각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판독유닛에 의해 검사된 약포가 비정상 약포인 것으로 판독되면, 상기 비정상 약포가 상기 정렬유닛으로 복귀하도록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약포의 이송방향을 역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정상 약포는, 약포의 내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수의 약제들이 서로 겹쳐져 있는 경우, 또는 약포의 내부에서 복수의 약제들이 서로 접촉되어 하나의 약제로 인식되는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영상 판독유닛은, 검사할 약포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촬영을 위한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와 상기 약포가 일직선상에 놓여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약포를 촬영할 수 있도록 반사판을 통해 촬영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렬유닛은, 진동에 의해 약포를 진동시키는 진동수단과, 약포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정렬유닛은, 하나의 약포 내의 약제 수용부분과 다른 약포 내의 약제 수용부분을 서로 구획하기 위해 약포와 약포 사이에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단속융착부분에 충격을 가하기 위한 충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유닛은 약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수단은 상기 안내 플레이트를 따라 이동하고 있는 약포에 충격을 가하는 캠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캠 부재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캠 축에 설치되어 상기 캠 축과 함께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 부재는 공동의 캠 축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캠 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캠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캠 부재는 다른 하나의 캠 부재와 90도 이상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렬유닛은, 상기 캠 축에 설치되는 돌출편과, 상기 돌출편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캠 부재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를 위해 보빈에 감겨있는 약포다발을 거치해 둘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보빈 거치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빈 거치유닛은, 상기 보빈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보빈 장착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포 검사장치는, 상기 표시수단과 함께 상기 본체의 전면을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표시수단과는 별도로 움직여 상기 본체의 전면 상단부분을 개방시킬 수 있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 전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면서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약포를 이송시키도록 한 약포 검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약포 검사장치에 의하면, 검사작업시 원활하고 확실한 약포의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장치의 부피를 감소시키면서도 검사과정을 사용자가 쉽게 제어할 수 있고 용이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포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포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약포를 이송시키기 위한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이송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포 검사장치의 개략적인 주요부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약포 검사작업을 제어 및 확인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포 검사장치의 표시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포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약포 내에 포장되어 있는 약제를 고르게 펼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포 검사장치의 정렬유닛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좌측면도, 그리고
도 7은 검사를 위해 약포 검사장치에 공급되는 약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포 검사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포 검사장치는, 본체(10)에 설치되어 복수의 약포가 연달아 이어진 약포다발을 일측으로(도 2에서 볼 때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20)과, 이 이송유닛(20)에 의해 이송되는 약포를 촬영하고 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약제의 개수와 상태를 판독하는 영상 판독유닛(30)과, 이 영상 판독유닛(30) 측으로 이송되는 약포다발의 약포 내에 포장되어 있는 약제를 서로 겹치지 않도록 고르게 펼치는 정렬유닛(40)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포 검사장치는, 검사중인 약포 내에 포장되어 있어야 하는 약제의 개수와 종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약포의 표면에 인쇄된 바코드 등의 표시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유닛(50)과, 검사를 위해 보빈에 감겨있는 약포다발을 거치해 둘 수 있는 보빈 거치유닛(60)을 더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면에는 약포를 검사하는 작업을 제어하는 동시에 작업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11)과, 사용자가 약포를 검사하는 작업 상태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싶을 때 본체(10)의 내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본체의 전면 상단에 커버부재(11a)가 설치된다.
표시수단(11)은, 예컨대 터치스크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회 및 틸팅유닛을 통하여 본체(10)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커버부재(11a)는 표시수단(11)과 함께 본체(10)의 전면을 폐쇄하며, 표시수단(11)의 동작과는 별도로 선회하여 본체(10)의 전면 상단부분을 개방시킬 수 있다. 커버부재(11a)는 하나 이상의 힌지수단을 통해 본체(10)의 상단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위쪽으로 선회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유닛(20)은, 상하로 배열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 장치, 즉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부 컨베이어 장치는, 상부벨트(21)와, 이 상부벨트(21)가 대략 4각형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본체(10)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부롤러(22a, 22b, 22c, 22d)를 포함한다. 또한, 하부 컨베이어 장치는, 하부벨트(23)와, 이 하부벨트(23)가 대략 4각형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본체(10)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하부롤러(24a, 24b, 24c, 24d)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포(1)는 상부벨트(21)와 하부벨트(23)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이송되며, 이를 위해 상부벨트(21)와 하부벨트(23)는 일부 구간에 걸쳐서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배열된다.
상부벨트(21)와 하부벨트(23) 사이에 약포가 끼워질 때, 약포 내에 포장된 약제를 검사하는 작업을 벨트가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 약포를 밀봉하기 위해 약포(1)의 일측에 연달아 형성되는 연속융착부분(1a)(도 7 참조)이 상부벨트(21)와 하부벨트(23)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투입한다.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 장치는, 하나의 구동원(25)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원(25)의 구동력은,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 장치 중 하나에 연결되는 구동기어(26)와, 이 구동기어(26)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 장치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는 피동기어(27)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도 3에는, 예컨대, 하부 컨베이어 장치의 하부롤러(24a, 24b, 24c, 24d)들 중 하나의 하부롤러(24a)에 동축상으로 설치된 구동기어(26)와, 상부 컨베이어 장치의 상부롤러(22a, 22b, 22c, 22d)들 중 구동기어(26)와 연결된 하부롤러(24a)와 인접하는 하나의 상부롤러(22a)에 동축상으로 설치된 피동기어(27)를 통해 구동원(25)의 구동력이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 장치에 각각 전달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부롤러(22a, 22b, 22c, 22d)들 중 하나 이상의 상부롤러(22c, 22d)에는 상부벨트(21)가 적절한 텐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텐션 조절수단(28)이 설치되고, 하부롤러(24a, 24b, 24c, 24d)들 중 하나 이상의 하부롤러(24c, 24d)에도 하부벨트(23)가 적절한 텐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텐션 조절수단(28)이 설치된다. 텐션 조절수단(28)은 예를 들어 볼트를 회전시켜 상부롤러 또는 하부롤러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부벨트(21) 또는 하부벨트(23)의 텐션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판독유닛(30)은, 검사할 약포를 촬영하는 카메라(31)와, 촬영을 위한 광원, 예컨대 백라이트(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포 검사장치는 전체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카메라(31)와 촬영할 약포가 일직선상에 있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반사판(33)을 통해 촬영이 이루어진다. 카메라(31)가 약포를 촬영하기 위한 정확한 위치에 정위치될 수 있도록 카메라(31)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해서, 2축(XY) 혹은 3축(XYZ)으로 구성된 스테이지 수단(34)이 설치될 수 있다.
정렬유닛(40)은, 약포(1)가 촬영되기 전에 약포(1) 내의 약제들이 서로 겹치지 않고 고르게 펼쳐질 수 있도록 영상 판독유닛(30)의 상류측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정렬유닛(40)으로서는, 진동에 의해 약포를 진동시키는 진동수단(41)과, 브러시(42)나 스펀지 롤러 등을 통해 약포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활용할 수 있다. 진동수단(41)은 잔 진동을 유발하는 바이브레이터나 캠 등을 활용하여 약포가 이송되고 있는 경로 자체를 상하 혹은 좌우로 진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부재(43)를 회전 혹은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후 이송되고 있는 약포에 충격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렬유닛(40)은, 진동수단(41)과 복수개의 브러시(42)를 활용하여 약포(1) 내의 약제들을 고르게 펴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영상 판독유닛(30)에 의한 촬영은 정렬유닛(40)에 의해 약제들을 고르게 펴준 후에 수행되지만, 정렬유닛(40)을 통과한 후에도 약포 내의 약제들이 서로 겹쳐져 있는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내부에서 복수의 약제들이 서로 완전히 겹쳐져 있는 약포나, 내부에서 복수의 약제들이 서로 부분적으로 겹쳐져 있는 약포나, 내부에서 복수의 약제들이 서로 접촉하여 하나의 약제인 것처럼 인식되는 약포(이하, '비정상 약포'라 함)는 검사가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없으므로, 이송유닛(20)에 의해 이송되는 약포의 진행방향을 역방향으로 역전시켜 비정상 약포를 다시 정렬유닛(40)으로 되돌려 보낸다.
정렬유닛(40)으로 복귀한 비정상 약포는, 내부의 약제들이 고르게 펼쳐질 수 있도록 정렬유닛(40)에 의해 재처리된다. 정렬유닛(40)에 의하여 비정상 약포가 재처리됨과 함께 약포가 초기의 진행방향, 즉 정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이송유닛(20)이 구동된다.
인식유닛(50)은, 예를 들어,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바코드 스캐너로 이루어진다. 인식유닛(50)을 통해 약포(1)에 포장되어야 할 약제가 어떤 종류이고 몇 개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서는 인식유닛(50)에 의해 인식된 정보를 전달받은 후, 영상 판독유닛(30)에 의해 판독된 결과와 비교하여 약포 내에 정확한 종류 및 개수의 약제가 포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영상 판독유닛(30)에 의한 판독결과, 전술한 바와 같은 비정상 약포로 판정된 경우에는, 약포의 이송방향을 역전시켜 비정상 약포를 역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역방향으로 이송되어 다시 정렬유닛(40)으로 복귀된 비정상 약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렬유닛(40)에서 재처리되며, 이때 이송유닛(20)은 약포의 이송방향을 다시 정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러나, 영상 판독유닛(30)에 의한 판독결과, 약포 내에 포장되어야 할 약제와 상이한 형상을 갖는 약제가 포장되어 있는 경우나, 약제가 깨진 경우나, 약포 내에 포장될 약제의 개수보다 많은 수의 약제가 포장된 경우 등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서 단순히 포장오류로 처리하고, 약포를 정렬유닛(40)으로 되돌려 재처리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보빈 거치유닛(60)은, 본체(10)의 외부에 설치되며, 약포 다발이 둥글게 말려있는 보빈(도시생략)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보빈 장착축(61)을 포함한다. 보빈 장착축(61)에는 장착된 보빈이 임의로 빠지지 못하도록 걸림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빈 거치유닛(60)에 거치된 약포 다발은 본체(10)의 측벽에 형성된 약포 투입구(19)를 통하여 본체(10)의 내부로 투입되며, 투입된 약포 다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벨트(21) 및 하부벨트(23)에 끼워져 이송된다.
하나의 보빈에 감겨 있던 약포가 전부 풀리면(즉, 하나의 보빈에 감겨 있던 약포다발의 검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보빈 거치유닛(60)의 보빈 장착축(61)에서 보빈을 분리해 내고, 분리한 보빈에 또 다른 검사할 약포다발을 감은 후에 다시 보빈 장착축(61)에 끼우거나, 검사할 약포다발이 사전에 감겨있는 또 다른 보빈을 보빈 장착축(61)에 끼워 검사를 계속할 수 있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약포 검사장치에 따르면, 표시수단(11)은 선회 및 틸팅유닛에 의하여 본체(10)의 전면에 선회 및 기울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선회 및 틸팅유닛은 본체(10)와 표시수단(11) 사이에 개재된 선회부재(12)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선회부재(12)의 일단은 힌지수단(13)을 통해 본체(10)의 내측벽면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회부재(12)의 타단은 표시수단(11)의 배면에 연결된다.
표시수단(11)은, 커버부재(11a)와 함께, 본체(10)의 전면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본체의 내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수단(11)이 본체(10)의 일부를 구성함에 따라 본체(10)의 외부에 별도로 표시수단이 장착되는 것에 비해 장치 전체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선회부재(12)의 타단에 대한 표시수단(11)의 연결각도를 변화시켜 표시수단(11)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위치될 수 있도록, 선회부재(12)의 타단에는 수직방향의 제1 회전축(14a)을 통하여 제1 연결부재(14)가 연결되고, 이 제1 연결부재(14)에는 수평방향의 제2 회전축(15a)을 통하여 제2 연결부재(15)가 연결된다. 제2 연결부재(15)는 표시수단(11)의 배면에 고정된다.
그에 따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수단(11)은 선회부재(12)의 일단이 연결된 힌지수단(13)의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본체(10)의 내부를 개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재(14)의 제1 회전축(14a)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표시수단(11)이 향하는 방향을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2 연결부재(15)의 제2 회전축(15a)을 중심으로 표시수단(11)을 선회시킬 수도 있어 표시수단(11)이 임의의 각도로 비스듬히 위쪽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표시수단(11)을 매우 용이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선회부재(12), 힌지수단(13), 그리고 제1 및 제2 연결부재(14, 15)는 표시수단(11)을 본체(10)에 대하여 선회 및 기울임 가능하게 장착시키기 위한 선회 및 틸팅유닛을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약포 검사장치는 종래에 비해 부피가 감소되어 컴팩트화됨에 따라 테이블 위에 올려놓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선회 및 틸팅유닛을 통해 표시수단(11)의 방향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약포 검사장치의 사용이 매우 편리해질 수 있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1a)를 위쪽으로 선회시킨 상태에서 약포의 검사작업이 수행되면 약포의 이송 경로에 접근하기 용이하므로, 약포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새로운 약포 다발을 공급할 때 사용자가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유리하다.
이하, 도 5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포 검사장치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포 검사장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본체(10)에 설치되어 복수의 약포가 연달아 이어진 약포다발을 일측으로(도 2에서 볼 때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20)(도 3 참조)과, 이 이송유닛(20)에 의해 이송되는 약포를 촬영하고 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약제의 개수와 상태를 판독하는 영상 판독유닛(30)과, 이 영상 판독유닛(30) 측으로 이송되는 약포다발의 약포 내에 포장되어 있는 약제를 서로 겹치지 않도록 고르게 펼치는 정렬유닛(70)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포 검사장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검사중인 약포 내에 포장되어 있어야 하는 약제의 개수와 종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약포의 표면에 인쇄된 바코드 등의 표시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유닛(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약포 검사장치의 본체(10) 전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포를 검사하는 작업을 제어하는 동시에 작업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11)과, 사용자가 약포를 검사하는 작업 상태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싶을 때 본체(10)의 내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본체의 전면 상단에 커버부재(11a)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표시수단(11)은, 예컨대 터치스크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선회 및 틸팅유닛을 통하여 본체(10)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약포 검사장치에 대한 이어지는 설명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에는, 약포 내에 포장되어 있는 약제를 고르게 펼치기 위해 약포 검사장치 내에 설치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렬유닛(70)의 사시도, 정면도 및 좌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렬유닛(70)은, 약포 검사장치의 본체(10) 내에 고정되는 프레임(71)과, 이 프레임(71)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약포를 안내하는 안내 플레이트(72)와, 이 안내 플레이트(72)를 따라 이동하고 있는 약포의 단속융착부분(1b)(도 7 참조)에 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충격수단으로서의 캠 부재(74)를 포함한다. 약포의 단속융착부분(1b)은, 약포와 약포 사이의 절취선(1c)이 형성되는 부분, 즉 하나의 약포 내의 약제 수용부분과 다른 약포 내의 약제 수용부분을 서로 구획하기 위해 약포와 약포 사이에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융착부분이다.
캠 부재(74)는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고, 복수개의 캠 부재(74)가 포함된 경우에는 이들 복수개의 캠 부재(74)를 하나의 캠 축(73)에 설치할 수 있다. 캠 축(73)은 기어 등의 전동수단을 통하여 모터(75)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복수개의 캠 부재(74)가 하나의 캠 축(73)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약포의 크기에 따라 캠 부재(74) 사이의 간격이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캠 부재(74) 사이의 간격은, 약포에 형성되는 단속융착부분(1b)의 간격과 캠 부재(74) 사이의 간격이 일치하거나 정수배만큼 차이가 있도록 정해진다.
안내 플레이트(72)에는 캠 부재(74)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개구(72a)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캠 부재(74)는 회전하면서 약포의 단속융착부분(1b)에 충격을 가한다. 캠 부재(74)에 의해 약제가 수용되어 있는 부분에 충격을 가할 경우, 약포 내에서 약제가 고르게 펼쳐지지 않고 오히려 약제가 겹쳐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도 6c에는 2개의 캠 부재(74)가 대략 90도의 위상차이를 두고 하나의 캠 축(73)에 설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는데, 캠 부재(74)의 개수는 2개 이상일 수도 있다.
캠 부재(74)의 위치, 즉 캠 부재(74)가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해서, 프레임(71)에는 감지부(76)가 설치된다. 이 감지부(76)는, 캠 축(73)에 설치되어 이 캠 축(73)과 함께 회전하는 돌출편(73a)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밖에도 캠 부재(74)가 설치되어 있는 캠 축(73)의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면 감지부(76)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캠 부재(74)가 2개 이상 하나의 캠 축(73)에 설치되는 경우, 하나의 캠 부재(74)와 다른 하나의 캠 부재(74) 사이의 위상차이는 임의로 정해질 수 있지만, 위상차이가 90도 이상인 곳이 적어도 하나는 존재해야 한다.
캠 부재(74) 사이의 위상차이가 적어도 한 곳에서 90도 이상이어야 하는 이유는, 최초 인입시 안내 플레이트(72)를 따라 진입하는 약포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렬유닛(70)의 상류측에 설치된 센서(도시 생략)에서 약포의 진입을 감지하면, 약포 검사장치 내에 포함된 제어부는, 정렬유닛(70)의 모터(75)를 구동시켜 캠 축(73)을 회전시킴으로써 캠 부재(74)가 약포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각도로 배향되도록 한 후, 모터(75)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약포의 진입 후에는 모터(75)를 연속적으로 구동시켜 캠 부재(74)가 약포의 융착부분(1a)에 충격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약포 내의 약제 정렬을 수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약포 검사장치에 따르면, 상부벨트(21)와 하부벨트(23) 사이에 약포를 끼워 이송시킴으로써 약포의 이송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포 검사장치에 의하면, 영상 판독유닛(30)의 카메라(31)와 약포(1)가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도, 카메라(31)가 반사판(33)을 통해 약포(1)를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므로, 장치 전체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치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피가 큰 약포 다발이 감긴 보빈을 거치할 수 있는 보빈 거치유닛(60)이 본체(10)의 외부에 설치됨에 따라 장치 전체의 크기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악포 검사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약포 1a: 연속융착부분
1b: 단속융착부분 1c: 절취선
10: 본체 11: 표시수단
11a: 커버부재 12: 선회부재
19: 투입구 20: 이송유닛
21: 상부벨트 22a, 22b, 22c, 22d: 상부롤러
23: 하부벨트 24a, 24b, 24c, 24d: 하부롤러
25: 구동원 26: 구동기어
27: 피동기어 28: 텐션 조절수단
30: 영상 판독유닛 31: 카메라
32: 백라이트 33: 반사판
34: 스테이지 수단 40: 정렬유닛
41: 진동수단 42: 브러시
50: 인식유닛 60: 보빈 거치유닛
61: 보빈 장착축 70: 정렬유닛
73: 캠 축 74: 캠 부재
76: 감지부

Claims (15)

  1. 약포 내에 포장된 약제를 검사하여 정확한 약제가 포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약제 검사장치로서,
    본체에 설치되어 약포를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약포를 촬영하고 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약제의 상태를 판독하는 영상 판독유닛과;
    상기 영상 판독유닛 측으로 이송되는 약포 내에 포장되어 있는 약제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고르게 펼치는 정렬유닛과;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약포를 검사하는 작업을 제어하는 동시에 작업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수단은 선회 및 틸팅유닛을 통하여 상기 본체에 대해 선회 및 기울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부를 이루어 선회시 상기 본체의 내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검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회 및 틸팅유닛은, 상기 본체와 상기 표시수단 사이에 개재되는 선회부재와, 상기 선회부재의 일단을 상기 본체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수단과, 상기 선회부재의 타단에 수직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수평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표시수단에 고정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검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부벨트 및 복수개의 상부롤러를 갖는 상부 컨베이어 장치와, 하부벨트 및 복수개의 하부롤러를 갖는 하부 컨베이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약포는 상기 상부벨트 및 상기 하부벨트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검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 장치 및 상기 하부 컨베이어 장치는 하나의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검사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 장치 및 상기 하부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상부벨트 및 상기 하부벨트의 텐션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텐션 조절수단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검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판독유닛에 의해 검사된 약포가 비정상 약포인 것으로 판독되면, 상기 비정상 약포가 상기 정렬유닛으로 복귀하도록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약포의 이송방향을 역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검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약포는, 약포의 내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수의 약제들이 서로 겹쳐져 있는 경우, 또는 약포의 내부에서 복수의 약제들이 서로 접촉되어 하나의 약제로 인식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검사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판독유닛은, 검사할 약포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촬영을 위한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와 상기 약포가 일직선상에 놓여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약포를 촬영할 수 있도록 반사판을 통해 촬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검사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유닛은, 진동에 의해 약포를 진동시키는 진동수단과, 약포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검사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유닛은, 하나의 약포 내의 약제 수용부분과 다른 약포 내의 약제 수용부분을 서로 구획하기 위해 약포와 약포 사이에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단속융착부분에 충격을 가하기 위한 충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검사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정렬유닛은 약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수단은 상기 안내 플레이트를 따라 이동하고 있는 약포에 충격을 가하는 캠 부재이며,
    상기 캠 부재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캠 축에 설치되어 상기 캠 축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검사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는 공동의 캠 축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캠 축과 함께 회전하며,
    복수개의 상기 캠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캠 부재는 다른 하나의 캠 부재와 90도 이상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검사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정렬유닛은, 상기 캠 축에 설치되는 돌출편과, 상기 돌출편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캠 부재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검사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검사를 위해 보빈에 감겨있는 약포다발을 거치해 둘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보빈 거치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빈 거치유닛은, 상기 보빈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보빈 장착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검사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과 함께 상기 본체의 전면을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표시수단과는 별도로 움직여 상기 본체의 전면 상단부분을 개방시킬 수 있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 검사장치.
KR1020140113139A 2013-09-11 2014-08-28 약포 검사장치 KR1016697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017 2013-09-11
KR20130109017 2013-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151A true KR20150030151A (ko) 2015-03-19
KR101669797B1 KR101669797B1 (ko) 2016-10-27

Family

ID=530243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753A KR102286533B1 (ko) 2013-09-11 2014-08-14 약포 검사장치
KR1020140113139A KR101669797B1 (ko) 2013-09-11 2014-08-28 약포 검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753A KR102286533B1 (ko) 2013-09-11 2014-08-14 약포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865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7819A (ko) * 2016-05-13 2017-11-22 김대길 혼입된 이종제품 선별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2116A (ja) 1996-11-29 1998-06-19 Yuyama Seisakusho:Kk 薬剤監査装置
JP2001094845A (ja) * 1999-09-27 2001-04-06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KR20050096182A (ko) * 2003-02-14 2005-10-05 다익스트라 베링드 베드리이벤 비.브이. 정제약과 같은 분포 물품의 검사장치
KR100591518B1 (ko) 2005-05-25 2006-06-20 (주)제이브이엠 약제다발 검사 및 절단장치
KR100650285B1 (ko) 2005-05-25 2006-11-27 (주)제이브이엠 약포 검사시스템
KR20100039624A (ko) * 2008-10-08 2010-04-16 (주)제이브이엠 약포 검사장치
KR20130002696A (ko) * 2011-06-29 2013-01-08 (주)제이브이엠 불량약품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1816A (ja) * 1989-11-20 1991-07-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ンピュータ
JP4699563B1 (ja) * 2010-10-20 2011-06-15 オオクマ電子株式会社 錠剤検査装置
KR101899269B1 (ko) * 2011-04-28 2018-10-29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감사 장치 및 약제 분포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2116A (ja) 1996-11-29 1998-06-19 Yuyama Seisakusho:Kk 薬剤監査装置
JP2001094845A (ja) * 1999-09-27 2001-04-06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KR20050096182A (ko) * 2003-02-14 2005-10-05 다익스트라 베링드 베드리이벤 비.브이. 정제약과 같은 분포 물품의 검사장치
KR100591518B1 (ko) 2005-05-25 2006-06-20 (주)제이브이엠 약제다발 검사 및 절단장치
KR100650285B1 (ko) 2005-05-25 2006-11-27 (주)제이브이엠 약포 검사시스템
KR20100039624A (ko) * 2008-10-08 2010-04-16 (주)제이브이엠 약포 검사장치
KR20130002696A (ko) * 2011-06-29 2013-01-08 (주)제이브이엠 불량약품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797B1 (ko) 2016-10-27
KR102286533B1 (ko) 2021-08-06
KR20150030148A (ko)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1909B2 (en) Medicine package inspection apparatus
CN104066415B (zh) 药剂供给装置、以及药剂供给装置中的药剂检查方法
CA2662338C (en) Medicine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packaging medicine
CN107499544B (zh) 药物包装设备
CN206984551U (zh) 控制装置
KR20180050602A (ko) 약제 반송 장치
TW201601982A (zh) 分藥裝置
JP2023073268A (ja) 薬剤分包装置
WO2010002853A9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pecting and grouping primary packages
KR101669797B1 (ko) 약포 검사장치
KR20140057945A (ko) 약제 자동 포장장치
KR101537934B1 (ko) 약포 정렬장치 및 상기 약포 정렬장치를 갖춘 약포 검사기
KR101524608B1 (ko) 약포 정렬장치
KR20180006812A (ko) 약제 포장 불량 감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약제 포장 장치
KR101877248B1 (ko) 약제 자동 포장기
KR102014198B1 (ko) 약제포장장치
KR102531180B1 (ko) 블리스터 팩용 약제 분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약제의 블리스터 팩킹 장치
KR20180016086A (ko) 약제 인출 장치
KR20180117587A (ko) 약제 포장 불량 감지 유닛
KR20140057944A (ko) 약제 자동 포장장치
KR20180117586A (ko) 약포 수납 캐비닛
KR20180128007A (ko) 약제 회전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약제 인출 장치
JP2023053940A (ja) 分包薬剤の鑑査装置、鑑査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鑑査方法
KR20180006810A (ko) 약포 수납 캐비닛, 및 이를 구비한 약제 포장 장치
KR20180085709A (ko) 약제 인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