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602A - 약제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602A
KR20180050602A KR1020177033333A KR20177033333A KR20180050602A KR 20180050602 A KR20180050602 A KR 20180050602A KR 1020177033333 A KR1020177033333 A KR 1020177033333A KR 20177033333 A KR20177033333 A KR 20177033333A KR 20180050602 A KR20180050602 A KR 20180050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s
path
storage
unit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유키 후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80050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8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14Image feed-back for automatic industrial control, e.g. robot with camer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 G07F11/5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about vertical ax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1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08Industrial image insp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약제(M)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복수의 저류 용기(33…33)와,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33…33)를, 순환 경로를 따라 일순(一巡)하도록 순환시키는 순환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 경로 상에는, 도입 위치 및 배출 위치(P3)가 설정되고, 상기 도입 위치(P1)에 도래한 각각의 저류 용기(33)에 약제(M)가 도입되고, 상기 배출 위치에 도래한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의 각각으로부터 약제(M)가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입 위치(P1)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P3)에 이르는 일방향 경로와, 상기 도입 위치(P1)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P3)에 이르는, 상기 일방향 경로와는 상이한 타방향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33…33)를 상기 도입 위치(P1)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P3)까지 반송할 때, 상기 일방향 경로를 통할지 상기 타방향 경로를 통할지에 관한 조작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선택된 경로를 따라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33…33)를 순환시키는 약제 반송 장치이다.

Description

약제 반송 장치
본 발명은, 고형의 약제를 반송하는 약제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형의 약제를 반송하는 약제 반송 장치가 존재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정제 분포기(分包機)에 구비된 반송 장치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정제 분포기는, 정제의 감사(監査)를 행하기 위한 정제 식별 장치를 구비한다. 반송 장치는, 이 정제 식별 장치에 정제를 공급하기 위한 것과, 정제의 감사를 행한 후에 정제 식별 장치로부터 정제를 꺼내서 포장 장치에 보내기 위한 것이 설치되어 있다. 각 반송 장치로서는 벨트 컨베이어가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정제 분포기에서는, 감사를 행하는 경우에 반송 장치를 사용하여 정제를 반송하고, 감사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반송 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정제를 낙하시킴으로써 포장 장치에 직접 보내고 있었다. 이와 같이, 감사를 행하는 경우와 감사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따라, 2계통의 경로가 각각에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단순화할 수 있는 여지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정제 분포기에서는, 감사를 행하는 경우와 감사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대응하여, 반송 장치를 사용할 것인지 사용하지 않을 것인지(반송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정제를 낙하시킴)에 의해 약제(정제)의 경로를 선택하고 있지만, 그 이외의 경로 선택도 있을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평 11-206855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상황에 따라 약제의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약제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의 일례는, 고형의 약제를 반송하는 약제 반송 장치로서, 약제를 일시적으로 저류(貯留)하는 복수의 저류 용기와,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를, 순환 경로를 따라 일순(一巡)하도록 순환시키는 순환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 경로 상에는, 도입 위치 및 배출 위치가 설정되고, 상기 도입 위치에 도래한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의 각각에 약제가 도입되고, 상기 배출 위치에 도래한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의 각각으로부터 약제가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입 위치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에 이르는 일방향 경로와, 상기 도입 위치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에 이르는, 상기 일방향 경로와는 상이한 타방향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를 상기 도입 위치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까지 반송할 때, 상기 일방향 경로를 통할지 상기 타방향 경로를 통할지에 관한 조작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선택된 경로를 따라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를 순환시키는, 약제 반송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일방향 경로의 도중에는,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의 각각에서의 내부의 약제에 대하여 각종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타방향 경로의 경로 길이는, 상기 일방향 경로의 경로 길이보다 짧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를 작동시키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는 상기 도입 위치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까지 상기 일방향 경로를 통하여 반송되고, 상기 처리부를 작동시키지 않을 경우,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는 상기 도입 위치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까지 상기 타방향 경로를 통하여 반송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의 각각에서의 내부에 존재하는 약제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방향 경로 상에, 상기 촬영부의 촬영 위치를 설정되고, 상기 촬영 위치에 도래한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의 각각에서의 내부에 존재하는 약제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되게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얻어진 화상을 바탕으로 감사(監査)에 관한 판정을 행하는 판정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상기 약제 포장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의 (B)는, 상기 약제 포장 장치의 저류부에서의 유지대를 나타내는 평면에서 볼 때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상기 약제 포장 장치에서의 저류부의, 커버를 소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약제 포장 장치에서의 저류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약제 포장 장치에서의 저류 용기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약제 포장 장치에서의 저류 용기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약제 포장 장치에서의 저류 용기의 가압부를 나타낸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8a는, 상기 약제 포장 장치에서의 저류 용기의 지지부를 나타낸 저면측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8b는, 상기 약제 포장 장치에서의 저류 용기의 지지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약제 포장 장치에서의 저류 용기의 저부를 나타낸 종단면 표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약제 포장 장치에서의 저류 약제 배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약제 포장 장치에서의 저류 용기 검출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상기 약제 포장 장치에서의 저류 용기 검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약제 포장 장치에서의 제1 진동 기구를 나타내는, 유지대를 소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약제 포장 장치에서의 제2 진동 기구를 나타내는, 유지대를 소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a는, 상기 약제 포장 장치에서의 다른 형태의 저류 용기를 나타낸, 상하 반대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b는, 상기 약제 포장 장치에서의 다른 형태의 저류 용기에서의 다른 지지부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일실시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을 한다. 그리고, 이하의 상하 방향의 설명은, 도 1에 나타내는 상태에서의 상하 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개요-
본 실시형태의 약제 반송 장치를 구비한 약제 포장 장치(1)는 고형 약제(M)를 포장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수평면에 배치되어 사용되고, 공급부(2), 저류부(3), 저류 용기 검출부(4), 감사부(5), 포장부(6)를 구비한다. 이들 중, 공급부(2), 저류부(3), 포장부(6)는, 전술한 순서로 상방(上方)으로부터 하우징(11)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공급부(2) 및 저류부(3)에 의해 약제 공급 장치가 구성된다. 외관(저류부(3), 저류 용기 검출부(4)의 일부, 감사부(5)의 일부, 포장부(6)를 하우징(11)으로부터 인출한 상태)을 도 1에 나타내고, 내부 구조의 개략을 도 2의 (A)에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각 부에 소속된 요소는 완전히 나뉘어져 있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설명과 같이 상기 각 부의 2개 이상에 속하는 요소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고형 약제(M)란, 화상 감사(화상에 의해 처방 데이터에 일치한 고형 약제(M)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가 가능하도록 1개씩 분리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고, 각각을 환자가 그대로 복용할 수 있는 약제를 지칭한다. 이 고형 약제(M)으로서 정제, 캡슐제를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산제(散劑)가 해당되기도 한다. 또한, 각각의 고형 약제(M)에는, 1정이 절반이나 몇분의 1로 분할된 상태의 정제도 포함된다.
공급부(2)는 고형 약제(M)를 저류부(3)에 대하여 공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형 약제(M)를 낙하시킴으로써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낙하 이외의 이동 태양에 의해 공급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공급부(2)는, 상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랙(rack)(21), 랙 슈트(22), 랙 밸브(23), 호퍼 슈트(24)를 구비한다. 랙(21)은 복수 설치되고, 각 랙(21)에 복수의 카세트(도시하지 않음)가, 예를 들면, 종횡으로 배열되고 수납되어 있다. 도 2의 (A)에는 랙(21)이 6열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랙의 열수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각 카세트에는 복수의 고형 약제(M)가 수납되어 있다.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포장을 위해 필요한 종류 및 수량의 고형 약제(M)가, 1 또는 복수의 카세트로부터 꺼내진다. 랙 슈트(22)는 복수(본 실시형태로는 2열)의 랙(21)에 대하여 1개 설치된, 고형 약제(M)가 통과하는 통로이며, 카세트로부터 꺼내진 고형 약제(M)를 하방(下方)으로 인도한다. 랙 밸브(23)는 저류부(3)로의 고형 약제(M)의 공급을 제어한다. 이 랙 밸브(23)는, 예를 들면, 랙 슈트(22)의 하단에 위치하고, 고형 약제(M)가 통과하는 통로를 개폐한다. 그리고, 랙 밸브(23)의 랙 슈트(22) 및 호퍼 슈트(24)에 대한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호퍼 슈트(24)는 랙 밸브(23)와 저류부(3)를 접속한다. 이 호퍼 슈트(24)는, 상단이 복수의 랙 밸브(23)에 접속되고, 하부가 1개로 모아진 상태에서 하단이 개구된, 고형 약제(M)가 통과하는 통로이며, 복수의 랙 슈트(22)를 통과해 온 고형 약제(M)를 저류부(3)에 공급한다.
저류부(3)는, 공급부(2)로부터 공급된 고형 약제(M)를 받는다. 그리고, 고형 약제(M)를 일시적으로 저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의 (B) 및 도 3에 나타내는 도입 위치(P1)에서 공급부(2)로부터 저류부(3)에 고형 약제(M)가 투입된다. 그리고, 저류부(3)가, 후술하는 일방향 경로를 따른, 도 2의 (B) 및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D32)인,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을 회전한 후의 배출 위치(P3)에서 저류부(3)로부터 포장부(6)로 고형 약제(M)가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저류부(3)는 고형 약제(M)를 반송하는 약제 반송 장치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저류부(3)는, 후술하는 타방향 경로를 따른, 도 2의 (B) 및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D32a)의 회전이며, 평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후의 배출 위치(P3)에서 저류부(3)로부터 포장부(6)로 고형 약제(M)가 배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저류부(3)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저류 용기 검출부(4)는, 구동부(35)가 구동함으로써 유지대(32)를 회동시키기 위한 검출과, 각 저류 용기(33)(복수의 저류 용기(33…33)의 각각)가 유지대(32)에 정상적으로 유지된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검출을 행한다. 그리고, 상기 2가지 검출 중 하나의 검출만을 행할 수도 있다. 저류 용기 검출부(4)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감사부(5)는, 각 저류 용기(33) 내의 고형 약제(M)에 대하여 각종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로서, 후술하는 일방향 경로의 도중에 형성되어 있고, 공급부(2)로부터 공급된 고형 약제(M)를 감사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2의 (B) 및 도 3에 나타내는 촬영 위치(P2)에서 촬영된 화상에 의한 감사를 행한다. 감사부(5)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포장부(6)는, 저류부(3)로부터 배출되고, 또한, 감사부(5)에 있어서 감사된 고형 약제(M)를 포장 재료에 의해 포장한다. 이 포장부(6)는, 저류부(3)로부터 낙하된 고형 약제(M)를 받는 호퍼(61)와 포장 기구(機構)(62)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 기구(62)에서는, 롤형의 포장 시트를 인출하고 폭 방향으로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호퍼(61)가 가지는 하단 개구부에 위치시킨다. 이로써, 반으로 접은 상태의 포장 시트 내에, 처방 데이터에 기초한 고형 약제(M)가 배치된다. 그 후, 포장 시트를 접착함으로써, 약제 포장체가 형성된다. 접착의 일례는 히트 실링(heat sealing)이다. 그리고, 포장부(6)로서는, 고형 약제(M)를 용기에 충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용기의 일례는 바이알병이다.
-저류부-
본 실시형태의 저류부(3)는 도 3에 나타내는 형태로서, 기대(基臺)(31), 유지대(32), 저류 용기(33), 구동부(35), 저류 약제 배출부(36)를 구비한다.
-기대-
기대(31)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인 판형의 부분이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제 포장 장치(1)의 하우징(11)에 대하여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기대(31)에, 유지대(32)와 구동부(35), 및 후술하는 저류 용기 검출부(4), 감사부(5)의 각각 일부가 조립되어 있다.
-유지대-
유지대(32)는 평판형체로 이루어지고, 기대(31)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가동(可動)으로 설치되어 있다. 유지대(32)는 평면에서 볼 때에 원형이다. 유지대(32)는, 기대(31)에 대하여 사전에 결정하는 축선인 유지대 회동축선(L32)을 가진다. 유지대(32)는, 유지대 회동축선(L32) 주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유지대 회동축선(L32)은, 유지대(32)의 중앙에서 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이다. 유지대(32)는 구동부(35)에 의해,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방향(D32))으로 회전된다. 이 회전은 간헐적인 회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대(32)의 회전 상태에서의 속도(주속도(周速度) 및 유지대 회동축선(L32)의 각속도(角速度))는 일정하다.
유지대(32)는, 복수의 저류 용기(33…33)를 유지하는, 복수의 저류 용기 유지부(321…321)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유지대(32)에는 6군데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각 관통 구멍이 각 저류 용기 유지부(321)가 된다. 각 저류 용기 유지부(321)에 각 저류 용기(33)가 끼워지는 것에 의해, 6개의 저류 용기(33)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유지대(32)에 유지되는 저류 용기(33)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저류 용기(33)가 유지되면 된다. 유지대(32)의 상기 간헐적인 회전에 따라, 도 2의 (B)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6개의 저류 용기(33) 중 1개는, 공급부(2)에서의 호퍼 슈트의 하단 개구부의 직하(直下)인 도입 위치(P1)에 위치한다. 동시에 다른 1개는, 포장부(6)에서의 호퍼의 직상(直上)인 배출 위치(P3)에 위치한다. 또한 동시에 다른 1개는, 후술하는 감사부(5)의 촬영부(51)에 대응하는 촬영 위치(P2)에 위치한다. 또한 동시에 다른 1개는, 저류 용기 검출부(4)의 검출부(센서(42)에 대응하는 검출 위치(P4)에 위치한다.
각 저류 용기 유지부(321)는 각 저류 용기(33)를 탈착 가능하게 유지한다. 복수의 저류 용기 유지부(321…321)인 관통 구멍은, 유지대 회동축선(L32)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간격은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유지대 회동축선(L32)을 기준으로 한 등각도)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지대(32)는, 복수의 저류 용기(33…33)를 동일한 수평면 상에 등간격으로 유지한다. 또한 유지대(32)는, 복수의 저류 용기(33…33)를, 유지대 회동축선(L32)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유지한다.
-저류 용기-
각 저류 용기(33)는 도 4에 나타내는 형태이며, 공급부(2)로부터 공급된 고형 약제(M)를 받아 일시적으로 저류한다. 각 저류 용기(33)는, 필요에 따라 저류하고 있던 고형 약제(M)를 포장부(6)에 낙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저류 용기(33)는, 프레임부(331)와, 프레임부(331)의 하방에 위치하고, 프레임부(33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된 저부(333)를 구비한다. 각 저류 용기(33)의 프레임부(331)는, 유지대(32)의 각 저류 용기 유지부(321)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각 저류 용기(33)는, 상하의 중간 위치에 있어서 유지대(32)에 유지된다. 이에 따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저류 용기(33)의 하부가 유지대(32)에 메워넣어지게 되므로, 약제 포장 장치(1)의 상하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프레임부(331)는, 저부(333)와 협동하여, 고형 약제(M)를 저류하는 저류 공간(S)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부(331)의 상단과 하단은 개구되어 있다. 개구 형상은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이다. 프레임부(331)에서의 상방 개구부(331a)는, 공급부(2)로부터 공급된 고형 약제(M)를 각 저류 용기(33)에 도입하도록 상시 개방되어 있다. 한편, 하방 개구부(331b)는, 저부(333)에 의해 개폐 가능하다. 개폐의 방향은 수평 방향이다. 저부(333)는 상기 개폐에 의해, 하방으로 연통 가능한 개방 상태와 연통 불가능한 폐쇄 상태로 이동 가능하다(폐쇄 상태를 도 5에 나타내고, 개방 상태를 도 6에 나타낸다). 저부(333)를 개방함으로써, 프레임부(331)의 하방 개구부(331b)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고형 약제(M)를 낙하시켜, 각 저류 용기(33)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저부(333)는, 프레임부(331)의 하방 개구부(331b)에서의 개구에 대하여 평행 이동한다. 따라서 저부(333) 상의 고형 약제(M)를, 프레임부(331)의 하방 개구부(331b)의 내면에 의해 쓸어 낼 수 있으므로, 고형 약제(M)를 이동시켜, 저류 용기(33)로부터 고형 약제(M)를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저부(333)는, 도 5에 나타내는 방향(D333)으로, 프레임부(331)의 하면에 대하여 소정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저부(333)는 후술하는 진동 기구(52, 53)에 의해, 소정의 방향(진동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335)의 축중심(저부 회동축선(L333)에 일치함)을 중심으로 하여 저부(333)가 10° 이상 회동하면 개방 상태로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저부(333)는 90°까지 회동한다.
한편, 저부(333)는, 고형 약제(M)를 낙하시키지 않도록 폐쇄 상태를 유지하면서, 프레임부(331)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부(333)는 프레임부(331)의 원형(상세하게는 진원형)의 개구 형상(파선으로 도시)보다 장경(長徑)의 큰 장원형을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저부(333)가 상기 장경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상기 왕복 이동 시에도, 하방 개구부(331b)에서의 개구가 개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저부(333)는 폐쇄 상태(하방 개구부(331b)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335)의 축중심(저부 회동축선(L333))을 중심으로 하여 저부(333)가 10° 미만으로 회동해도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저부(333)는, 프레임부(331)에서의 하방 개구부(331b)의 폐쇄 시에는 저류 공간(S)(구체적으로는 저부(333)의 상면)에 고형 약제(M)를 유지하고, 개방 시에는 저류 공간(S)에 유지되고 있던 고형 약제(M)를 낙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저부(333)는, 폐쇄 상태를 유지한 채 왕복 이동됨으로써, 저부(333) 상에서 고형 약제(M)를 미끄러지게 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고형 약제(M)가 저부(333) 상에서 분리되므로, 감사부(5)에 의한 감사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회동 가능한 지지를 위해, 각 저류 용기(33)는, 프레임부측 연장부(332)와 저부측 연장부(334)를 구비한다. 프레임부측 연장부(332)는, 프레임부(331)에 이어지고, 프레임부(331)의 외방(저류 공간(S)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된다. 저부측 연장부(334)는, 저부(333)에 이어지고, 프레임부측 연장부(332)에 대하여 하방으로 소정의 상대 거리를 두고 대향하도록 수평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부(331)와 프레임부측 연장부(332)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저부(333)와 저부측 연장부(334)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부측 연장부(332)와 저부측 연장부(334)는, 프레임부측 연장부(332)와 저부측 연장부(334)의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33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부(335)는 저부 회동축선(L333)을 가진다. 연결부(335)는, 프레임부측 연장부(332)와 저부측 연장부(334)를, 저부 회동축선(L333)의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연결부(335)의 축중심은 저부 회동축선(L333)에 일치하고 있다. 저부 회동축선(L333)은 연직의 축선이다. 각 저류 용기(33)는, 프레임부측 연장부(332)와 저부측 연장부(334)의 사이에 위치하고, 저부(333)를 폐쇄 방향(저부(333)가 폐쇄 상태로 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336)를 구비한다. 각 저류 용기(33)가 이와 같이 구성된 것에 의해, 각 저류 용기(33)의 상하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여, 약제 포장 장치(1)의 상하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가압부(336)는, 각 저류 용기(33)가 유지대(32)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저부(333)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부 중 적어도 일부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유지부가 가압부(336)를 구비함으로써, 각 저류 용기(33)가 유지대(32)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저부(333)를 폐쇄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각 저류 용기(33) 내의 잔류물이 약제 포장 장치(1) 내로 흘러서 떨어지기 어렵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부(333)를 폐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가압부(336)는 코일부(3361)를 가진다. 이 코일부(3361)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 부재(3362)와, 프레임부측 걸림구(3363)와, 저부측 걸림구(3364)를 구비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 부재(3362)는 연결부(335)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 부재(3362)는 연결부(335)에 외측으로 끼워진다. 프레임부측 걸림구(3363)는, 프레임부측 연장부(332)에 설치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 부재(3362)의 일단부를 건다. 저부측 걸림구(3364)는, 저부측 연장부(334)에 설치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 부재(3362)의 타단부를 건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 부재(3362)의 일단부는, 프레임부측 걸림구(3363)에 대하여 벗어나지 않도록 장착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 부재(3362)의 타단부는, 저부측 걸림구(3364)에 대하여 벗어나지 않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장착은, 예를 들면, 프레임부측 걸림구(3363) 및 저부측 걸림구(3364)로서 헤드부를 가진 수 나사가 사용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 부재(3362)의 일단부는 프레임부측 걸림구(3363)의 축부보다 크고 또한 헤드부보다 작은 링형으로 형성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 부재(3362)의 타단부는 저부측 걸림구(3364)의 축부보다 크고 또한 헤드부보다 작은 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 부재(3362)가 피로에 의해 파단되어도, 파단에 의해 생긴 파편이 연결부(335), 프레임부측 걸림구(3363), 저부측 걸림구(3364)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된 채로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파편이 포장부(6)에 낙하하게 되어, 고형 약제(M)과 함께 실수로 포장되는 것에 의해 이물질 혼입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측 걸림구(3363)는, 프레임부측 연장부(332)와 저부측 연장부(334)의 소정의 상대 거리보다 전장(全長)이 크고, 프레임부측 연장부(332)에 일부(헤드부를 가진 수 나사의 축부 일부)가 메워지고, 저부(333)에 의해 하방 개구부(331b)가 개폐되어도 항상 저부측 연장부(334)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저부측 걸림구(3364)는, 프레임부측 연장부(332)와 저부측 연장부(334)의 소정의 상대 거리보다 전장이 크고, 저부측 연장부(334)에 일부(프레임부측 걸림구(3363)인 헤드부를 가진 수 나사의 축부 일부)가 메워지고, 저부(333)에 의해 하방 개구부(331b)가 개폐되어도 항상 프레임부측 연장부(332)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해, 프레임부측 걸림구(3363) 또는 저부측 걸림구(3364)가 헐거워지는 것 등에 의해 갑자기 빠져서 포장부(6)에 낙하하게 되어, 고형 약제(M)와 함께 잘못하여 포장되는 것에 의해 이물질 혼입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저류 용기(33)는 피압압부(被押壓部)(337)을 구비한다. 이 피압압부(337)은, 저부측 연장부(334)에 있어서, 저부(333)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피압압부(337)은, 저부(333)가 하방 개구부(331b)를 개방(예를 들면, 도6에 나타낸 상태)하기 위해 이동되어야 하며, 저류 약제 배출부(36)의 압압부(3611)에 의해 압압된다. 또한, 이 피압압부(337)는, 저부(333)가 소정의 진동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어야 하며, 진동 기구(제1 진동 기구(52))의 압압부(5211)에 의해 압압된다(도 13 참조).
또한, 각 저류 용기(33)는, 프레임부(331)와 저부(333)의 사이에 설치되고, 저부(333)가 폐쇄 상태일 때, 저부(333)를 걸어맞추고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338)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이 지지부(338)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부(331)로부터 내측(저류 공간(S)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한 돌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프레임부(331)에 대하여 저부(333)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부(331)와 저부(333)의 사이의 상하의 간극으로부터 고형 약제(M)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338)는, 저부(333)가 폐쇄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저부(333)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안내부(3381)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이 안내부(3381)는,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338)의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폐쇄 상태에 있어서, 프레임부(331)와 저부(333)의 사이의 상하의 간극을 작게 하여, 고형 약제(M)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저부(333)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부(2)로부터 낙하하여 공급된 고형 약제(M)를 받는 받이부(3331)를 구비한다. 이 받이부(3331)는 박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받이부(3331)는, 하방으로의 탄성 변형이 허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받이부(3331)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평판형체이다. 이 구성에 의해, 저가의 구성으로 낙하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고형 약제(M)의 튀어오름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받이부(3331)는, 적어도 상면에 있어서 화상 감사를 행하기 쉬운 색채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저부(333)는, 받이부(3331)의 주위 에지부를 유지하는 유지부(3332)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이 유지부(3332)는, 저부(333)에서의 주위 에지부와 일치하는 단차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 단차인 유지부(3332)에 받이부(3331)가 끼워 넣어져 있다. 이 유지부(3332)에 의해 받이부(3331)의 주위 에지부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유지부(3332)에 의해 받이부(3331)를 보형(保形)할 수 있다.
또한 저부(333)는, 유지부(3332)를 보강하는 보강부(3333)를 구비한다. 이 보강부(3333)는, 유지부(3332)에 이어지고, 받이부(3331)의 하방으로 간극을 두고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보강부(3333)는, 단차인 유지부(3332)보다 일단 하방에 위치하는 평판형의 부분이다. 이 보강부(3333)에 의해, 설치된 상기 간극 분, 쿠션이 될 수 있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이 공기층에 의해, 받이부(3331)의 상하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 허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변형이 저해되지 않고, 유지부(3332)를 보강할 수 있다.
각 저류 용기(33)는, 도 3에 나타내는 개구부인 상방 개구부(331a)가 상방을 향한 상태에서 유지대(32)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따라, 상방 개구부(331a)가 측방이나 하방을 향하지 않으므로, 각 저류 용기(33) 내의 잔류물이 약제 포장 장치(1) 내에 흘러서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각 저류 용기(33)는, 유지대(32)에 대하여 걸어맞춤 상태에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저류 용기(33)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인 상방 개구부(331a)의 내측을 향하여 조작되는 조작편(339)을 구비한다. 조작편(339)은, 상방 개구부(331a)를 협지하여 양측에 위치하도록 한 쌍 구비된다. 각 조작편(339)은 하부에 클로우부(claw portion)(3391)를 구비하고, 이 클로우부(3391)이 유지대(32)에서의 저류 용기 유지부(321)인 관통 구멍의 에지부(더욱 상세하게는, 에지부에 고정된 피걸어맞춤 부재)에 걸어맞춤으로써, 유지대(32)에 저류 용기(33)가 유지된다. 이 한 쌍의 조작편(339, 339)은, 조작자에 의해 상방 개구부(331a)의 내측을 향하여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도록 조작된다. 이와 같이 각 조작편(339)이 조작됨으로써, 상기 클로우부(3391)도 동일하게 내측으로 이동하므로, 유지대(32)에 대한 각 저류 용기(33)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된다. 한 쌍의 조작편(339, 339)을, 상방 개구부(331a)의 내측을 향하여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도록 조작하기 위하여, 걸어맞춤 해제를 할 때, 조작자는 손을 상방 개구부(331a)에 대하여 덮도록 한다. 따라서, 상방 개구부(331a)가 조작자의 손으로 닫혀져 있기 때문, 유지대(32)로부터 이탈 시에, 각 저류 용기(33) 내의 잔류물이 흘러서 떨어지기는 것이 더욱 어려워져, 잔류물을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다. 조작편(339)은, 반드시 한 쌍이 되어 있는 필요는 없으며, 어느 한쪽이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구동부-
구동부(35)는, 유지대(32)에 의해 유지되는 각 저류 용기(33)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유지대(32)를 회동하기 위해 구동한다. 상기 이동은 수평 이동이다. 또한, 상기 구동은, 유지대(32)를 유지대 회동축선(L32) 주위에 회동시키는 구동이다. 또한, 상기 구동은 간헐적인 구동이다. 본 실시형태의 구동부(35)는, 도시하지 않지만, 기대(31)의 저면에 설치된 모터와, 이 모터에 접속된 기어 등의 구동력 전달 기구와, 유지대 회동축선(L32)에 일치하고, 유지대(32)의 중앙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구비한다. 모터의 구동축은, 구동력 전달 기구를 통하지 않고 직접, 회전축에 연결되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대(32)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유지대(32)가 복수의 저류 용기(33…33)를 원주 상에 유지한 상태에서, 구동부(35)가 구동하여 유지대(32)를, 유지대 회동축선(L32) 주위에 회동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각 저류 용기(33)를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35)는, 각 저류 용기(33)를, 공급부(2)로부터 고형 약제(M)를 도입하는 도입 위치(P1)와 포장부(6)에 고형 약제(M)를 배출하는 배출 위치(P3)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또한, 간헐적으로 구동하는 구동부(35)에 의해, 각 저류 용기(33)는 순차적으로 배출 위치(P3)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부(35)는 순환 구동부로서, 복수의 저류 용기(33…33)를, 순환 경로를 따라 일순하도록 순환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순환 경로는, 유지대(32) 상에서 복수의 저류 용기(33…33)가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는 배치인 것, 및 유지대(32)가 유지대 회동축선(L32)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원형상의 경로로 되어 있다. 도입 위치(P1) 및 배출 위치(P3)는 상기 순환 경로 상에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입 위치(P1)에 도래한 각 저류 용기(33)에 고형 약제(M)가 도입되고, 배출 위치(P3)에 도래한 각 저류 용기(33)로부터 약제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순환 경로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입 위치(P1)로부터 배출 위치(P3)에 이르는 일방향 경로(도 2의 (B) 상의,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인 방향(D32)을 따른 경로)와, 도입 위치(P1)로부터 배출 위치(P3)에 이르는, 상기 일방향 경로와는 상이한 타방향 경로(도 2의 (B) 상의, 평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인 방향(D32a)을 따른 경로)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저류 용기(33…33)를 도입 위치(P1)로부터 배출 위치(P3)까지 반송할 때, 조작자는, 유지대(32)의 회전 방향을 선택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일방향 경로를 통할지 상기 타방향 경로를 통할지를 선택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의 구동부(35)는, 유지대(32)의 회전 방향을 일방향으로의 회전(정전(正轉))과 타방향으로의 회전(역전(逆轉))으로 선택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방향으로의 회전(정전)의 방향이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 방향이 되고, 타방향으로의 회전(역전)의 방향이 평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 방향이 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한, 이 회전 방향의 선택에 의해, 반송하기에 적합한 경로를 통하여, 고형 약제(M)를 도입 위치(P1)로부터 배출 위치(P3)까지 반송할 수 있다. 일방향 경로의 도중에는, 감사부(5)(그 중에서 특히 촬영부(51)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35)는 각 저류 용기(33)를, 상기 선택된 방향(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이동 도중에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6군데)의 정지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유지대(32)를 회동시킨다. 이들 복수의 정지 위치는, 도입 위치(P1)와, 배출 위치(P3)와, 상기 도입 위치(P1) 및 상기 배출 위치(P3)의 사이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촬영부(51)에 의해 고형 약제(M)를 촬영하는 촬영 위치(P2)와, 상기 도입 위치(P1) 및 상기 촬영 위치(P2)의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군데)의 중간 정지 위치를 포함한다. 후술하는 검출 위치(P4)는, 이 중간 정지 위치에 해당한다. 또한, 촬영 위치(P2)와 배출 위치(P3)의 사이에는 1군데의 중간 정지 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는, 촬영 위치(P2)에서 촬영된 고형 약제(M)의, 감사부(5)의 판정부(54)에서의 처리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감사부(5)의 판정부(54)에 의한 판정의 결과, 저류 용기(33) 내의 고형 약제(M)가 처방 데이터와 상이한 경우에, 저류 용기(33)로부터 고형 약제(M)가 배출되기 전에, 약제 포장 장치(1)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저류 용기(33)로부터 고형 약제(M)가 배출되기 전에, 약제 포장 장치(1)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처방 데이터는 상이한 고형 약제(M)가 포장되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부(35)는, 감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정전한다. 이 경우에, 저류 용기(33…33)는 도입 위치(P1)로부터 배출 위치(P3)까지 일방향 경로를 통하여 이동한다. 한편, 감사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역전한다. 이 경우에, 저류 용기(33…33)는 도입 위치(P1)로부터 배출 위치(P3)까지 타방향 경로를 통하여 이동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일방향 경로의, 도입 위치(P1)로부터 배출 위치(P3)까지의 경로 길이는, 도 2의 (B)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대(32)의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저류 용기(33…33)에 5개 떨어진 분의 거리이다. 한편, 타방향 경로의 상기 경로 길이는, 유지대(32)의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저류 용기(33…33)에 1개 떨어진 분의 거리이다. 이와 같이 타방향 경로의 경로 길이는, 일방향 경로의 경로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35)의 회전 방향이 선택 가능한 것에 의하여, 약제에 대하여 처리(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영부(51)에 의해 촬영된 고형 약제(M)의 화상에 의한 감사)를 행하지 않을 경우, 경로 길이가 짧은 타방향 경로를 통하여(즉 경로를 단락시켜), 저류 용기(33…33)를 신속하게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감사를 행하는 경우와 행하지 않는 경우에 따라, 도입 위치(P1)로부터 배출 위치(P3)에 이르는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사부(5)의 작동 상황에 따라, 반송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고형 약제(M)를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있기 때문에, 고형 약제(M)를 신속하게 포장할 수 있다.
또한, 약제 반송 장치에 에러 등이 발생한 경우에, 복구하는 데 있어서, 저류 용기(33…33) 내의 약제를 한번 회수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저류 용기(33…33)가 도입 위치(P1)로부터 배출 위치(P3)까지 타방향 경로를 통하여 이동하고 있으면, 일방향 경로를 통하여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약제가 들어간 저류 용기(33)의 수량이 적어지므로, 저류 용기(33…33) 내로부터 회수해야 할 약제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체적으로, 저류 용기(33…33)가 도입 위치(P1)로부터 배출 위치(P3)까지 일방향 경로를 통하여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입 위치(P1) 및 배출 위치(P3)에 있는 저류 용기(33, 33)뿐만 아니라, 일방향 경로 상에 있는 저류 용기를 포함하여, 6개의 저류 용기(33…33)로부터 약제를 회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비해, 저류 용기(33…33)가 도입 위치(P1)로부터 배출 위치(P3)까지 타방향 경로를 통하여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입 위치(P1) 및 배출 위치(P3)에 있는 2개의 저류 용기(33, 33)로부터 약제를 회수하는 것만으로 족하다.
따라서, 감사를 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저류 용기(33…33)가 도입 위치(P1)로부터 배출 위치(P3)까지 타방향 경로를 통하여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약제 반송 장치에 에러 등이 발생한 경우의 복구 시에, 저류 용기(33…33) 내로부터 회수해야 할 약제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저류 약제 배출부-
저류 약제 배출부(36)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31) 상에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D361)으로 왕복 이동하는 봉형부(361)를 구비한다. 이 봉형부(361)의 선단에 위치하는 압압부(3611)가, 각 저류 용기(33)의 피압압부(337)를 압압함으로써, 저부(333) 및 저부측 연장부(334)를 이동시켜 도 6에 나타내는 상태로 하고, 프레임부(331)의 하방 개구부(331b)를 개방하고, 고형 약제(M)를 포장부(6)에 낙하시킬 수 있다.
-저류부에 대한 정리-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저류부(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저류 용기(33)는, 상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유지대(32)로부터 이탈된다. 저류부(3)가 약제 포장 장치(1)에 있어서 지나치게 높지도 낮지도 않은, 상하 방향의 중간에 위치하므로, 저류부(3)의 인출이 용이하며, 또한, 각 저류 용기(33)의 착탈이 용이하다. 따라서, 각 저류 용기(33)의 청소 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저류부(3)에 의해, 각 저류 용기(33)를 개별적으로 착탈할 수 있고, 각 저류 용기(33)를 이탈한 상태에서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저류 용기(33)의 청소 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다.
-저류 용기 검출부-
저류 용기 검출부(약제 저류 장치)(4)는, 기대(31), 유지대(32), 저류 용기(33), 구동부(35), 피검출부(41), 검출부로서의 센서(42), 제어부(43)를 구비한다.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 11에 나타낸다. 그리고, 유지대(32), 저류 용기(33), 구동부(3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저류부(3)에도 중복되어 소속하고 있다(이들, 저류부(3)에도 중복되어 소속하는 부분의 설명은 여기서는 하지 않는다).
-피검출부-
피검출부(41)는 각 저류 용기(33)에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저류 용기(33)에 1개의 피검출부(41)가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피검출부(41)는 영구 자석을 구비한다.
피검출부(41)는 각 저류 용기(33)의 하방 개구부(331b)를 개폐 가능한 저부(333), 또는, 저부(333)와 일체인 저부측 연장부(334)에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피검출부(41)는, 도 5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부측 연장부(334)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저부(333)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에는, 기대(31)에 설치된 센서(42)에 의해 검출 가능하다. 한편, 저부(333)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에는 피검출부(41)가 이동하므로 센서(42)에 의해 검출 불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해, 각 저류 용기(33)가 유지대(32)에 유지되어 있어도, 각 저류 용기(33)의 저부(333)가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각 저류 용기(33)가 유지대(32)에 정상적으로 유지된 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검출부-
검출부로서의 센서(42)는, 기대(31)에 있어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 위치(P4)에 위치하는 저류 용기(33)(파선 표시)의 피검출부(41)에 상하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센서(42)는, 검출 위치(P4)에 도래한 저류 용기(33)의 피검출부(41)를 검출한다. 검출 위치(P4)는, 유지대(32)에 있어서 복수의 저류 용기(33…33)가 유지되는 원주 상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위치(P3)에 대하여 상기 각 저류 용기(33)의 간격의 정수배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덧붙이면, 상기 도입 위치(P1)도, 상기 원주 상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위치(P3)에 대하여 상기 각 저류 용기(33)의 간격의 정수배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센서(42)는, 자기 감지기(홀 센서)이다. 따라서, 영구 자석과 자기 감지기의 조합과 같은 범용적인 구성으로, 피검출부(41) 및 센서(42)를 실현할 수 있다.
-제어부-
제어부(43)는, 상기 센서(42)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부(35)에 의해 유지대(32)를 회동시킨다. 유지대(32)의 회동은, 각 저류 용기(33)를 순차적으로, 상기 배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행해진다. 또한 제어부(43)는, 각 저류 용기(33)가 유지대(32)에 정상적으로 유지된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43)는, 유지대(32)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각 저류 용기(33)의 상기 피검출부(41)를 모두 상기 센서(42)에 의해 검출할 수 있도록, 구동부(35)에 의해 상기 유지대(32)를 회동시킨다. 이 회동하는 동안에 있어서, 센서(42)에 의해 각 저류 용기(33)의 피검출부(41)를 모두 검출할 수 있을 때에는, 각 저류 용기(33) 모두 유지대(32)에 정상적으로 유지된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며, 한편, 센서(42)에 의해 각 저류 용기(33)의 피검출부(41)를 1개라도 검출할 수 없을 때에는, 복수의 저류 용기(33…33) 중 어느 하나가 유지대(32)에 정상적으로 유지된 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이로써, 모든 저류 용기(33…33)에 대하여, 유지대(32)에 정상적으로 유지된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는, 고형 약제(M)를 포장하는 통상 동작과, 통상 동작에 앞서, 약제 포장 장치(1)의 운전 당초에만 행해지는 초기 동작으로 이하와 같이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어부(43)는, 통상 동작에 있어서, 구동부(35)에 의해 유지대(32)를 회동시키고 있을 때, 센서(42)에 의해 피검출부(41)를 검출하면, 구동부(35)에 의한 유지대(32)의 회동을 정지시킨다. 이로써, 각 저류 용기(33)를 배출 위치(P3)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이 유지대(32)의 회동에 관한 것으로서, 제어부(43)는, 각 저류 용기(33)를, 원주 상에 있어서 각 저류 용기(33)의 간격에 상당하는 거리 이상의 소정거리만큼 이동시키도록, 구동부(35)를 구동하여 유지대(32)를 회동시킨다. 이 동안에 있어서, 센서(42)에 의해 피검출부(41)를 검출할 수 없을 때, 제어부(43)는, 복수의 저류 용기(33…33) 중 어느 하나가 유지대(32)에 정상적으로 유지된 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이로써, 통상 동작에 있어서, 각 저류 용기(33)가 유지대(32)에 정상적으로 유지된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43)는, 통상 동작에 있어서, 구동부(35)에 의해 유지대(32)를 회동시키기 전에, 센서(42)에 의해 피검출부(41)를 검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결과, 피검출부(41)를 검출하고 있을 때는, 유지대(32)에 의해 유지되는 각 저류 용기(33)를, 원주 상에 있어서 각 저류 용기(33)의 간격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이동시키도록, 구동부(35)에 의해 상기 유지대(32)를 회동시킨다. 한편, 피검출부(41)를 검출하지 않고 있을 때는, 센서(42)에 의해 피검출부(41)를 검출할 때까지, 구동부(35)에 의해 유지대(32)를 회동시킨다. 이로써, 통상 동작에 있어서, 각 저류 용기(33)를 배출 위치(P3)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이 유지대(32)의 회동에 관한 것으로서, 제어부(43)는, 각 저류 용기(33)를, 원주 상에 있어서 각 저류 용기(33)의 간격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이동시키도록, 구동부(35)를 구동하여 유지대(32)를 회동시킨다. 그 후, 센서(42)에 의해 피검출부(41)를 검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결과, 피검출부(41)를 검출하지 않고 있을 때는, 복수의 저류 용기(33…33) 중 어느 하나가 유지대(32)에 정상적으로 유지된 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이로써, 통상 동작에 있어서, 각 저류 용기(33)가 유지대(32)에 정상적으로 유지된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는, 초기 동작에 있어서, 구동부(35)에 의해 유지대(32)를 1바퀴, 회동시킨다. 이, 유지대(32)가 1바퀴 회동하는 동안에 있어서, 센서(42)에 의해 각 저류 용기(33)의 피검출부(41)를 모두(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를 검출할 수 있을 때는, 각 저류 용기(33)가 모두 유지대(32)에 정상적으로 유지된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다. 한편, 센서(42)에 의해 각 저류 용기(33)의 피검출부(41)를 1개라도 검출할 수 없을 때는, 복수의 저류 용기(33…33) 중 어느 하나가 유지대(32)에 정상적으로 유지된 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이로써, 초기 동작에 있어서, 모든 저류 용기(33…33)가 유지대(32)에 정상적으로 유지된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저류 용기 검출부 정리-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저류 용기 검출부(4)에 의하면, 유지대(32)에 의해 유지되는 각 저류 용기(33)를 순차적으로, 배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부(35)에 의해 유지대(32)를 회동시키기 위한 검출부와, 각 저류 용기(33)가 유지대(32)에 정상적으로 유지된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검출부를, 1개의 센서(42)로 공통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저류 용기(33)가 유지대(32)에 정상적으로 장착된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소수의 검출부(센서(42)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저류 용기 검출부(4)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감사부-
감사부(5)는, 기대(31), 유지대(32), 저류 용기(33), 구동부(35), 촬영부(51), 진동 기구(52, 53), 판정부(54)를 구비한다. 그리고, 기대(31), 유지대(32), 저류 용기(33), 구동부(3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저류부(3) 및 저류 용기 검출부(4)에도 중복되어 소속하고 있다(이들, 저류부(3) 및 저류 용기 검출부(4)에도 중복되어 소속하는 부분의 설명은 여기서는 하지 않는다).
-촬영부-
촬영부(51)는 카메라(511)(도 3에 개략적으로 나타낸다)를 구비하고 있고, 각 저류 용기(33) 내(저부(333))에 존재하는 고형 약제(M)를 촬영한다.
이 촬영부(51)는, 제어부(43)에 의해 구동부(35)가 구동하는 것에 의한 유지대(32)의 회동에 따라, 원주 상에 있어서 배출 위치(P3)에 대하여 각 저류 용기(33)의 간격의 정수배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촬영 위치(P2)에 도래한 저류 용기(33) 내에 존재하는 고형 약제(M)를 촬영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즉, 촬영부(51)의 촬영 위치는 상기 일방향 경로 상에 설정되고, 이 일방향 경로 상의 촬영 위치에 도래한 저류 용기(33) 내에 존재하는 고형 약제(M)가, 촬영부(51)에 의해 촬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유지대(32)에 의해 유지되는 각 저류 용기(33)를 순차적으로, 촬영 위치(P2)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부(35)에 의해 유지대(32)를 회동시키기 위한 검출부를 별도(예를 들면, 저류 용기 검출부(4)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감사부(5)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진동 기구-
진동 기구(52, 53)는, 촬영부(51)에 의한 촬영에 앞서, 각 저류 용기(33)의 저부(333)(및 저부측 연장부(334))를 진동시킨다. 또한 진동 기구(52, 53)는, 각 저류 용기(33)의 저부(333)(및 저부측 연장부(334))를, 저부(333)의 개폐를 위한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진동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진동 기구(52, 53)에 의한 각 저류 용기(33)의 저부(333)의 진동에 의해, 각 저류 용기(33)의 저부(333) 상에서 고형 약제(M)를 미끄러지게 하거나 굴려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고형 약제(M)를 저부(333) 상에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감사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저부(333)를 해당 저부(333)의 개폐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경우에 비해, 간단한 구성으로 저부(333)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이 진동 기구(52, 53)는, 각 저류 용기(33)로부터 고형 약제(M)가 배출되는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저부(333)를 진동시킨다. 이에 따라, 형성된 간극으로부터 고형 약제(M)를 원하지 않게 낙하시키지 않고, 고형 약제(M)를 각 저류 용기(33)의 저부(333) 상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각 저류 용기(33)의 하방 개구부(331b)를 개폐시킬 때의 저부(333)의 이동 방향은 수평 방향이므로, 고형 약제(M)를 수평 방향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저류 용기(33)의 저부(333) 상에서 고형 약제(M)를 더욱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진동 기구(52, 53)로서, 다른 구성의 제1 진동 기구(52)와 제2 진동 기구(53)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진동 기구로서 제1 진동 기구(52), 제2 진동 기구(53)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진동 기구-
제1 진동 기구(52)는 저류부(3)의 기대(31)에 형성되어 있고, 촬영 위치(P2)에 도달한 각 저류 용기(33)의 저부(333)를 진동시킨다. 이 제1 진동 기구(52)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범위 내를 회동 가능하게 기대(31)에 지지된 요동 막대(521)를 구비한다. 요동 막대(521)의 선단부에서의, 저류 용기(33) 측의 측부는 압압부(5211)로서, 촬영 위치(P2)에 있는 각 저류 용기(33)의 피압압부(337)를 압압한다. 요동 막대(521)의 기단부(基端部)에는 회전하는 캠(522)이 맞닿고, 캠(522)의 회전에 의해 요동 막대(521)를, 회동 중심(5212)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범위 내에서 요동시킬 수 있다. 또한, 요동 막대(521)의 기단부에는 스프링(523)이 장착되어 있고, 압압부(5211)을 각 저류 용기(33)의 피압압부(337)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요동 막대(521)를 가압하고 있다. 캠(522)은 회전에 따라, 상기 스프링(523)의 가압에 저항하여 압압부(5211)를 각 저류 용기(33)의 피압압부(337)에 접근하도록 이동시킨다.
제1 진동 기구(52)에서의 압압부(5211)는, 상기 요동 막대(521)의 요동에 따라, 각 저류 용기(33)의 피압압부(337)에 대하여 왕복 이동된다. 이 압압부(5211)는, 유지대(32)를 간헐적으로 구동하는 구동부(35)가 정지 상태일 때, 피압압부(337)에 대하여 왕복 이동된다. 이 구성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저부(333)를 진동시킬 수 있다.
-제2 진동 기구-
제2 진동 기구(53)는 기대(31)에 설치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블록형체(531…531)로 구성되어 있다. 진동 기구가 유지대(32)에 설치된 경우에 비해, 간단한 구성으로 각 저류 용기(33)의 저부(333)를 진동시킬 수 있다.
각 블록형체(531)의 내면(유지대 회동축선(L32)을 향한 면)이, 유지대(32)의 회동에 따라, 도 14에 나타내는 방향(D337)으로 이동하는 피압압부(337)에 대한 접촉면이 된다. 이 내면(맞닿음면)이 피압압부(337)와 맞닿고 피압압부(337)를 유지대(32)의 내측으로 압압하는 제2 진동 기구(53)의 압압부(5311)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각 압압부(5311)는, 피압압부(337)와 맞닿음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 압압부(5311)는, 구동부(35)에 의한 유지대(32)의 회동에 따라 피압압부(337)를 압압한다. 이에 따라, 진동만을 위한 구동원을 삭감할 수 있다.
압압부(5311)로 피압압부(337)가 밀리는 것에 의해, 각 저류 용기(33)의 저부(333)가 이동한다. 도 14에, 피압압부(337)의 중심이 방향(D337)으로 이동하는 궤적을 1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궤적은 압압부(5311)에 대하여, 압압부(5311)의 길이 방향 중심에서 가장 접근한다. 이에 따라, 압압부(5311)의 길이 방향 중심에 피압압부(337)가 맞닿을 때 저부(333)가 최대 이동 위치가 된다. 유지대(32)가 회동하여, 각 저류 용기(33)가 각 블록형체(531)의 내측을 이동하는 것에 따라, 저부(333)는 이동하여 상기 최대 이동 위치에 도달하고 나서 원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군데)의 압압부(5311…5311)는, 각 저류 용기(33)의 이동 경로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에 따라, 유지대(32)의 회동에 따라, 복수의 압압부(5311…5311)가 각 저류 용기(33)의 피압압부(337)을 순차적으로 압압함으로써, 각 저류 용기(33)를 복수 회(본 실시형태에서는 3회) 진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형 약제(M)를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복수의 블록형체(531…531)는, 압압부(5311…5311)가, 어떤 순간에 있어서, 복수의 저류 용기(33…33) 중 어느 2 이상의 저류 용기(33)의 피압압부(337)를 전혀 동일한 압압 상태가 되도록(구체적으로는, 동일한 압압량으로) 압압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즉, 유지대(32)에서의 복수의 저류 용기(33…33)의 배치 간격과 복수의 압압부(5311…5311)의 배치 간격은 상이하다. 이 배치 간격은,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와 같이 블록형체(531)를 3개 사용할 경우, 1개에 대하여 압압부(5311)가 피압압부(337)와 맞닿음을 개시하는 순간일 경우, 다른 1개에 대해서는, 저부(333)가 상기 최대 이동 위치가 되는 위치에서 압압부(5311)와 피압압부(337)가 맞닿고, 또한 다른 1개에 대해서는, 압압부(5311)와 피압압부(337)가 맞닿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 이상의 저류 용기(33)의 저부(333)가 동일한 압압량이 되지 않는 것에 따라, 동일한 진동 상태가 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구동부(35)에 인가되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진동 기구에 대한 정리-
이상, 각 저류 용기(33)가 피압압부(337) 및 가압부(336)를 구비하고, 진동 기구(52, 53)가 각 저류 용기(33)의 피압압부(337)을 압압하는 압압부(5211, 5311)를 구비한다. 각 저류 용기(33)의 저부(333)는, 압압부(5211, 5311)에 의해 피압압부(337)가 압압됨으로써, 가압부(336)에 의한 가압력에 저항하고, 저부(333)가 개방 상태가 되는 방향인 개방 방향(상기 소정의 진동 방향의 다른 쪽)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압압부(5211, 5311)에 의한 피압압부(337)의 압압이 해제됨으로써, 가압부(336)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폐쇄 방향(상기 소정의 진동 방향의 한쪽)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저부(333)를 진동시킬 수 있다.
-판정부-
판정부(54)는, 촬영부(51)에 의해 얻어진 화상을 바탕으로 감사에 관한 판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판정부(54)는, 복수의 저류 용기(33…33)의 각각의 내부의 고형 약제(M)가 처방 데이터에 일치하는 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판정을 위한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화상 인식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판정부(54)는, 상기 저류 용기 검출부(4)의 제어부(43)와는 별개로 설치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약제 포장 장치(1)의 제어부 내에 함께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의 약제 반송 장치는 약제 포장 장치에 구비된 것이지만, 약제를 취급하는 각종 장치가 이 약제 반송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약제 포장 장치(1)는, 처리부로서 화상에 의한 감사를 하는 감사부(5)를 구비하고 있지만, 처리부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처리로서, 예를 들면, 촬영(감사에 관계되지 않는 것), 고형 약제(M)의 중량 측정, 고형 약제(M)(특히 정제나 캡슐제)의 표면에 부착된 약분을 제거하는 것 등을 행할 수 있고, 처리부는 고형 약제(M)에 대하여 각종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유지대(32)는, 기대(31)에 대하여 사전에 정하는 축선(유지대 회동축선(L32))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복수의 저류 용기(33…33)를, 사전에 정하는 가상선 상에 간격을 두고 개별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유지하고, 이 유지한 상기 각 저류 용기(33)를 상기 가상선을 따라 (회동이 아닌)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대(31)에 대하여 가동으로 설치되는 유지대(32)와, 상기 기대(31)에 설치되고, 상기 가상선상의 검출 위치에 도래한 상기 각 저류 용기(33)의 상기 피검출부(41)를 검출하는 검출부(센서(42))와, 상기 구동부(35)에 의해 상기 유지대(32)를 회동시키고, 또한 상기 검출부(센서(42))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각 저류 용기(33)가 상기 유지대(32)에 정상적으로 유지된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43)를 구비하도록 약제 포장 장치(1)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상선의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대 회동축선(L3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상이지만, 직선형이나 만곡 선형으로 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저류 용기(33…33)를 순환 경로를 따라 일순하도록 순환시킬 때의 순환 경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원형상의 경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타원 형상의 경로나 장원형의 경로로 할 수 있고, 경로를 가늘고 길게 형성한 후, 도중 부분을 적절하게 만곡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상선을 따른 만곡된 경로를 일방향 경로로 하고, 상기 일방향 경로의 기점과 종점을 연결하는 직선형의 경로로서 타방향 경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는, 순환 경로가 평면에서 볼 때 「D」형의 경로라고 하면, 예를 들면, 「D」의 만곡선 부분이 일방향 경로가 되고, 종선 부분이 타방향 경로로 된다. 또한, 순환 경로를 단일 평면 상의 경로로 한정되지 않고 입체적인 경로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순환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저류 용기(33…33)를 순환 경로를 따라 일순하도록 순환시킬 때의, 복수의 저류 용기(33…33)의 이동 속도는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일정하지만, 이동 속도를 순환 경로 중에서 변화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타방향 경로의 경로 길이는, 일방향 경로의 경로 길이보다 짧은 것이지만, 예를 들면, 타방향 경로에 비해, 일방향 경로를 통하는 복수의 저류 용기(33…33)의 이동 속도를 크게 설정한 경우에는, 타방향 경로의 경로 길이를 일방향 경로의 경로 길이와 동일하게 하거나, 타방향 경로의 경로 길이를 일방향 경로의 경로 길이보다 길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저류 용기(33)의 저부(333)가 개폐하지 않고, 예를 들면, 저류부(3)의 측부가 개폐함으로써, 고형 약제(M)를 저류부(3)로부터 배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각 저류 용기(33)의 저부(333)는 수평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338)에 더하여, 저부(333)를 지지하고 하방으로 벗어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부(37)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별도의 지지부(37)는, 예를 들면,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부(331) 및 저부(333)에서의, 저부(333)의 개폐 시 회동 방향에서의, 지지부(338)와는 반대측의 끝에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의 별도의 지지부(37)는, 저부(333)에 형성된 걸어맞춤부(371)와, 프레임부(331)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372)로 구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371)는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 형상이 L자 형상, 즉 저부(333)의 주위 에지부 근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후,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피걸어맞춤부(372)는, 프레임부(33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이 예에서의 별도의 지지부(37)는, 저부(333)의 외주 에지보다 외측으로 벗어나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부(331)와 저부(333)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저부(333)를 지지하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338)에 더하여, 별도의 지지부(37)를 설치함으로써, 폐쇄 상태에 있어서, 프레임부(331)와 저부(333)의 사이의 상하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형 약제(M)가 누출되는 것을, 지지부(338)만을 설치한 경우에 비교하여서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실시형태(변형된 형태를 포함함)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정리해 둔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반송 장치(저류부)(3)는, 고형의 약제(M)를 반송하는 약제 반송 장치(저류부)(3)이며, 약제(M)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복수의 저류 용기(33…33)와,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33…33)를, 순환 경로를 따라 일순하도록 순환시키는 순환 구동부(35)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 경로 상에는, 도입 위치(P1) 및 배출 위치(P3)가 설정되고, 상기 도입 위치(P1)에 도래한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33…33)의 각각에 약제(M)가 도입되고, 상기 배출 위치(P3)에 도래한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33…33)의 각각으로부터 약제(M)가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입 위치(P1)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P3)에 이르는 일방향 경로와, 상기 도입 위치(P1)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P3)에 이르는, 상기 일방향 경로와는 상이한 타방향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 구동부(35)는,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33…33)를 상기 도입 위치(P1)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P3)까지 반송할 때, 상기 일방향 경로를 통할지 상기 타방향 경로를 통할지에 관한 조작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선택된 경로를 따라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33…33)를 순환시키는, 약제 반송 장치(저류부)(3)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저류 용기(33…33)를 상기 도입 위치(P1)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P3)까지 반송할 때, 순환 경로에 있어서 일방향 경로를 통할지 타방향 경로를 통할지를 조작자가 선택 가능하다. 이에 따라, 순환 경로에 있어서 반송하기 적합한 경로를 통하여, 약제(M)를 도입 위치(P1)로부터 배출 위치(P3)까지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방향 경로의 도중에는,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33…33)의 각각에서의 내부의 약제(M)에 대하여 각종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5)가 마련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타방향 경로의 경로 길이는, 상기 일방향 경로의 경로 길이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약제(M)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경로 길이가 짧은 타방향 경로를 통하여 약제(M)를 신속하게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5)를 작동시킬 경우,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33…33)는 상기 도입 위치(P1)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P3)까지 상기 일방향 경로를 통하여 반송되고, 상기 처리부(5)를 작동시키지 않을 경우,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33…33)는 상기 도입 위치(P1)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P3)까지 상기 타방향 경로를 통하여 반송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처리부(5)를 작동시키는 경우와 작동시키지 않는 경우에 따라, 도입 위치(P1)로부터 배출 위치(P3)에 이르는 경로를, 순환 경로에 있어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처리부(5)의 작동 상황에 따라, 약제(M)를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5)는,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33…33)의 각각에서의 내부에 존재하는 약제(M)를 촬영하는 촬영부(51)를 구비하고, 상기 일방향 경로 상에, 상기 촬영부(51)의 촬영 위치가 설정되고, 상기 촬영 위치에 도래한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33…33)의 각각에서의 내부에 존재하는 약제(M)가, 상기 촬영부(51)에 의해 촬영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촬영부(51)를 구비함으로써, 일방향 경로 상의 복수의 저류 용기(33…33)의 각각에서의 내부에 존재하는 고형 약제(M)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감사부)(5)는, 상기 촬영부(51)에 의해 얻어진 화상을 바탕으로 감사에 관한 판정을 행하는 판정부(54)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촬영부(51)에 더하여 판정부(54)를 구비함으로써, 일방향 경로 상의 복수의 저류 용기(33…33)의 각각에서의 내부에 존재하는 고형의 약제(M)에 대하여, 화상 감사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순환 경로에 있어서 반송하기 적합한 경로를 통하여, 약제(M)를 도입 위치(P1)로부터 배출 위치(P3)까지 반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상황에 따라서 약제(M)의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약제 반송 장치(저류부)(3)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은, 일본특원 2015-174563호에 따른 우선권을 주장하고, 인용에 의해 본원 명세서의 기재에 포함된다.
1: 약제 포장 장치
2: 공급부
3: 약제 반송 장치, 저류부
33: 저류 용기
35: (순환)구동부
5: 처리부, 감사부
51: 촬영부
54: 판정부
6: 포장부
D32: 일방향 경로를 따른 방향
D32a: 타방향 경로를 따른 방향
P1: 도입 위치
P3: 배출 위치
M: 약제, 고형 약제

Claims (5)

  1. 고형의 약제를 반송(搬送)하는 약제 반송 장치로서,
    상기 약제를 일시적으로 저류(貯留)하는 복수의 저류 용기; 및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를, 순환 경로를 따라 일순(一巡)하도록 순환시키는 순환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 경로 상에는, 도입 위치 및 배출 위치가 설정되고, 상기 도입 위치에 도래한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의 각각에 상기 약제가 도입되고, 상기 배출 위치에 도래한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약제가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입 위치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에 이르는 일방향 경로와, 상기 도입 위치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에 이르는, 상기 일방향 경로와는 상이한 타방향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를 상기 도입 위치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까지 반송할 때, 상기 일방향 경로를 통할지 상기 타방향 경로를 통할지에 관한 조작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경로를 따라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를 순환시키는,
    약제 반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경로의 도중에는,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의 각각에서의 내부의 상기 약제에 대하여 각종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가 설치되고,
    상기 타방향 경로의 경로 길이는, 상기 일방향 경로의 경로 길이보다 짧은, 약제 반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를 작동시키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는 상기 도입 위치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까지 상기 일방향 경로를 통하여 반송되고,
    상기 처리부를 작동시키지 않을 경우,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는 상기 도입 위치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까지 상기 타방향 경로를 통하여 반송되는, 약제 반송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의 각각에서의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약제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방향 경로 상에, 상기 촬영부의 촬영 위치가 설정되고, 상기 촬영 위치에 도래한 상기 복수의 저류 용기의 각각에서의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약제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되도록 구성되는, 약제 반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얻어진 화상을 바탕으로 감사(監査)에 관한 판정을 행하는 판정부를 더 포함하는, 약제 반송 장치.
KR1020177033333A 2015-09-04 2016-08-31 약제 반송 장치 KR201800506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74563A JP6637700B2 (ja) 2015-09-04 2015-09-04 薬剤搬送装置
JPJP-P-2015-174563 2015-09-04
PCT/JP2016/075572 WO2017038899A1 (ja) 2015-09-04 2016-08-31 薬剤搬送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602A true KR20180050602A (ko) 2018-05-15

Family

ID=58188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333A KR20180050602A (ko) 2015-09-04 2016-08-31 약제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39699B2 (ko)
JP (1) JP6637700B2 (ko)
KR (1) KR20180050602A (ko)
CN (1) CN108024907B (ko)
TW (1) TW201718348A (ko)
WO (1) WO20170388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1622B2 (ja) * 2015-07-02 2020-09-30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薬剤包装装置および薬剤供給装置
US11155378B2 (en) 2019-04-05 2021-10-26 Blue Sky Ventures? (Ontario) Inc. Gating system for accumulating items and related filling machine and methods
CN110027921B (zh) * 2019-05-13 2021-02-19 铜陵中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五金加工用同步上料机构
CN110699496B (zh) * 2019-09-24 2022-06-14 西门子工厂自动化工程有限公司 控制方法、系统和装置
CN112660852B (zh) * 2020-12-09 2022-05-06 广东木川实业有限公司 一种料体定向输送机构
CN113129520B (zh) * 2021-04-14 2022-02-11 青岛看见未来医学科技有限公司 一种单剂量智能核对片剂分包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8243A (en) * 1968-06-14 1971-06-28 Japan Broadcasting Corp Card handling apparatus
JPS6175723A (ja) * 1984-09-19 1986-04-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物品の切換供給装置
JP2565653B2 (ja) * 1994-01-31 1996-12-18 照明 伊藤 分注用試験管供給装置
DE19736567C1 (de) * 1997-08-22 1998-11-26 Select Ingenieurgesellschaft F Einrichtung zu einer merkmalsbezogenen Sortierung von Produkten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JP4034404B2 (ja) * 1998-01-20 2008-01-16 株式会社トーショー 錠剤分包機
JP3778743B2 (ja) * 1999-11-09 2006-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固形製剤充填装置
JP4393669B2 (ja) * 2000-05-11 2010-01-06 八幡電機精工株式会社 医療用薬剤受渡装置
JP5786210B2 (ja) * 2010-09-03 2015-09-30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ホッパー及びこれを備えた薬剤供給装置
NL2007384C2 (nl) * 2011-09-09 2013-03-12 Ppm Engineering B V Systeem en werkwijze voor het verpakken van gedoseerde hoeveelheden vaste medicijnen.
WO2013105198A1 (ja) * 2012-01-11 2013-07-18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薬剤供給装置、並びに薬剤供給装置における薬剤鑑査方法
DE102013112243A1 (de) * 2013-11-07 2015-05-07 Khs Gmbh Verfahren sowie Behälterbehandlungsmaschine zum Behandeln von Behält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39699B2 (en) 2019-03-26
WO2017038899A1 (ja) 2017-03-09
JP6637700B2 (ja) 2020-01-29
JP2017047066A (ja) 2017-03-09
TW201718348A (zh) 2017-06-01
CN108024907A (zh) 2018-05-11
CN108024907B (zh) 2020-12-04
US20180244476A1 (en)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0602A (ko) 약제 반송 장치
KR20180025850A (ko) 약제 포장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
CN107499544B (zh) 药物包装设备
JP6572022B2 (ja) 薬剤包装装置、薬剤貯留装置および薬剤供給装置
JP6737513B2 (ja) 薬剤包装装置
JP6614828B2 (ja) 薬剤包装装置および薬剤供給装置
JP6572021B2 (ja) 薬剤包装装置、薬剤貯留装置および薬剤供給装置
JP6738592B2 (ja) 薬剤包装装置および薬剤供給装置
KR101669797B1 (ko) 약포 검사장치
JP6860636B2 (ja) 薬剤包装装置および薬剤供給装置
JP6785033B2 (ja) 薬剤包装装置および薬剤供給装置
KR20180016086A (ko) 약제 인출 장치
AU2022335241A1 (en) Filling station and method for filling a feeder unit with discrete medica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