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635A - 롤베일러 - Google Patents

롤베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635A
KR20150022635A KR20140027070A KR20140027070A KR20150022635A KR 20150022635 A KR20150022635 A KR 20150022635A KR 20140027070 A KR20140027070 A KR 20140027070A KR 20140027070 A KR20140027070 A KR 20140027070A KR 20150022635 A KR20150022635 A KR 20150022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feed crop
feed
bail
limit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7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2807B1 (ko
Inventor
요시노리 고노
다쓰유키 이토
고토에 이노베
가즈히로 이노야마
바오밍 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스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스타
Publication of KR20150022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01F2015/074Mechanisms for discharging a bale from the wrapping mach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롤베일러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하는 슬로프를 필요없게 하고, 롤베일의 배출 시에 있어서의 쇼크를 완화한다.
성형실(6)의 하방에, 성형실(6)로부터 배출되는 롤베일(B1)을 지지함과 함께, 롤베일(B1)을 지지한 상태로 하강하고, 또한 하강 한계 위치에서 지지한 롤베일(B1)을 굴려 포장(G)에 배출하는 배출 지지체(7)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롤베일러{ROLL BALER}
본 발명은, 세단(細斷)된 사료작물을 롤베일로 성형하는 롤베일러에 관한 것이다.
롤베일러는,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체에 배치된 원동기에 의하여 작동하는 크롤러를 가짐과 함께, 차체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슈트가 구비된 수확기, 조종석, 호퍼, 성형실을 가진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롤베일러에 의하면, 주행하면서 수확한 사료작물을 세단하고, 세단한 사료작물을 슈트로부터 호퍼에 투입하며, 이 호퍼로부터 낙하하는 사료작물을 반송 컨베이어의 벨트 상에서 받아, 벨트에 실린 사료작물을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회전으로 성형실에 투입하여 롤베일을 성형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4-321061호
상술의 특허문헌 1의 롤베일러는, 롤베일의 성형 후에 성형실이 개방되어 포장(圃場)에 낙하되도록 배출되지만, 이 때, 성형실로부터 배출되는 롤베일은, 낙하에 의한 쇼크에 의하여, 변형이나 형붕괴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성형실로부터 배출되는 롤베일을 굴려 포장에 배출하는 슬로프를 설치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슬로프는, 롤베일의 변형이나 형붕괴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구름 속도가 되는 경사로 할 필요가 있지만, 이러한 경사로 하는 슬로프인 경우, 슬로프가 상당히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이러한 슬로프에 의하여 롤베일러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버려, 롤베일러의 이동 시나 수용 시에 있어서, 이들의 조작이 행하기 어려운 데다가, 수용장소의 면적을 크게 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는 것을 과제의 일례로 하는 것이다. 즉, 롤베일러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하는 슬로프를 필요없게 하고, 롤베일의 배출 시에 있어서의 쇼크를 완화할 수 있는 것, 이로써, 롤베일러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배출되는 롤베일의 변형이나 형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것 등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롤베일러는, 이하의 구성을 적어도 구비하는 것이다.
투입되는 사료작물을 롤베일로 성형함과 함께, 성형 후의 상기 롤베일을 배출하는 성형실을 구비한 롤베일러로서, 상기 성형실의 하방에, 상기 성형실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롤베일을 지지함과 함께, 상기 롤베일을 지지한 상태로 하강하고, 또한 하강 한계 위치에서 지지한 상기 롤베일을 굴려 포장에 배출하는 배출 지지체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 지지체는, 상기 롤베일의 배출 방향과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승 한계 위치에서 상기 성형실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롤베일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후방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상승 한계 위치에서 상기 성형실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롤베일의 구름을 받아 들여, 상기 지지부에 의한 상기 롤베일의 지지 상태를 유지하는 배출부와,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킴과 함께, 상기 지지부의 상승 한계 위치를 유지하고, 또한 상기 지지부의 하강 한계 위치를 유지하는 승강 지지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배출부는, 상기 상승 한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실로부터 배출된 상기 롤베일을 지지함과 함께, 상기 지지부의 하강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롤베일이 포장을 향하여 구르는 경사가 되도록 변화되고, 또한 상기 하강 한계 위치에 있어서 상기 롤베일을 상기 포장에 굴려 배출하는 경사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베일러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의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의 일부 절결 개략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절결 개략평면도이다.
도 3은 배출된 롤베일을 배출 지지체가 지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4는 배출 지지체의 하강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5는 배출 지지체가 하강하여 롤베일을 지면에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이하에서 말하는 사료작물이란, 포장(圃場)에서 육성된 덴트콘이나 목초 등의 가축의 사료에 이용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의 롤베일러의 일례를 도 1~도 5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롤베일러는, 사료작물의 수확으로부터, 롤베일의 성형 및 배출까지 행하는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확기(3)측을 전(전진측), 성형실(6)측을 후, 조종석(1)측을 상, 주행체(2)측을 하, 도 2에 있어서 상측을 우, 하측을 좌로 한다.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A)는, 조종석(1)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하여, 크롤러식의 주행체(2)를 전진 주행시키면서 포장(G)의 사료작물(B)을 수확하여 롤베일(B1)을 성형하는 것이다.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A)는, 조종석(1)이 차체(A1)의 전단측의 상방, 또한 우측에 배치되고, 주행체(2)가 차체(A1)의 하방에 축지지되어 배치되어 있다.
차체(A1)에는, 수확기(3), 호퍼(4), 반송 컨베이어(5), 성형실(6), 배출 지지체(7)가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주행체(2), 수확기(3), 호퍼(4), 반송 컨베이어(5), 성형실(6), 배출 지지체(7)의 작동의 원동력이 되는 엔진(A2)이나, 엔진(A2)의 동력을, 조종석(1)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하여, 주행체(2), 수확기(3), 호퍼(4), 반송 컨베이어(5), 성형실(6), 배출 지지체(7)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계(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수확기(3)는, 차체(A1)의 전단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술한 동력 전달계에 의하여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수확기(3)를 상하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A3)에 지지되어 있고, 이 유압 실린더(A3)의 동작에 의하여 상하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수확기(3)는, 유압 실린더(A3)에 연결된 프레임(30)과, 프레임(30)에 대해서 연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원반형상의 커터(31)와, 커터(31)의 상방에 설치된 절단 지지부(32)와, 커터(31)의 후방측에 배치된 세단부(33)와, 세단부(33)의 상방에 배치된 사료작물 방출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수확기(3)는, 주행체(2)를 전진시키면서, 커터(31)와 절단 지지부(32)에 의하여 사료작물을 베어 냄과 함께, 베어 낸 사료작물을 커터(31)의 회전에 의하여 세단부(33)로 안내하고, 또한 세단부(33)에서 세단된 사료작물을 사료작물 방출부(34)에서 방출하도록 되어 있다.
세단부(33)는, 프레임(30)의 좌측 후방, 또한 커터(31)의 좌우방향의 중심보다 후방에 있고, 회전하는 커터(31)에 의하여 안내되는 사료작물(B)을 그대로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사료작물 방출부(34)는, 조종석(1)과 좌측에서 인접하고, 또한 조종석(1)의 전단보다 후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사료작물 방출부(34)의 연결구(340)에는, 슈트(3A)가 연결되어 있으며, 세단부(33)의 팬(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송풍에 의하여 방출되는 세단된 사료작물(B)이, 슈트(3A)에서 안내됨과 함께, 슈트(3A)의 사료작물 방출구(31A)로부터 호퍼(4)를 향하여 방출된다.
슈트(3A)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관형상체이며, 그 후단이 연결구(340)에 연결되고, 전단의 사료작물 방출구(31A)가 호퍼(4)의 전단에 형성된 사료작물 투입구(40)를 향함과 함께, 사료작물 방출구(31A)가 사료작물 투입구(40)에 삽입되도록, 도 2에 있어서 차체(A1)를 비스듬히 횡단하는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슈트(3A)는,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상단이, 수확기(3)의 하한 위치에서, 호퍼(4)의 사료작물 투입구(40)의 상단(천장판(41)의 전측 가장자리)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하단이, 수확기(3)의 상한 위치에서, 호퍼(4)의 사료작물 투입구(40)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위치 및 방향은, 수확기(3)의 상한 위치(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하한 위치(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의 범위로 변화하지만, 이 위치 및 방향의 변화에 관계없이, 사료작물 방출구(31A)로부터 방출되는 사료작물(B)을 호퍼(4) 밖에 도달하지 않도록, 호퍼(4)의 사료작물 투입구(40)를 통하여 호퍼(4) 내에 투입할 수 있는 위치 및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위치 및 방향은, 수확기(3)의 상한 위치(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하한 위치(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의 범위로 변화하여도, 호퍼(4)의 천장판(41)의 내측(호퍼(4) 내)에 설치된 확산판(4A)의 선단(40A)에 접촉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호퍼(4)는, 상단이 천장판(41)에 의하여 막혀져 있으며, 전단에 사료작물 투입구(40)가 개구되고, 하방에 사료작물 낙하구(42)가 개구된 것이다. 천장판(41)의 내측에 설치된 확산판(4A)은, 호퍼(4)의 좌우방향 중심부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사료작물 투입구(40)는, 수확기(3)의 상한 위치(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하한 위치(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의 범위로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위치 및 방향이 변화하여도, 슈트(3A)가 사료작물 투입구(40)의 둘레 가장자리에 접촉하지 않는 크기의 면적을 가지고 있다.
확산판(4A)은, 선단(40A)으로부터 좌우로 넓어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41A, 42A)을 가지고, 선단(40A)의 위치 및 상하 방향의 길이가, 수확기(3)의 상한 위치(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하한 위치(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의 범위에서 변화에 따른 슈트(3A)의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위치 및 방향의 변화에 관계없이, 방출되는 사료작물(B)이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방출되는 사료작물(B)이 접촉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
호퍼(4)의 사료작물 낙하구(42)의 하방에는, 반송부(4B)가 배치되어 있다. 반송부(4B)는, 사료작물 낙하구(42)와 연속하는 독립된 공간인 사료작물 반송공간(43)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사료작물 반송공간(43)에 반송 컨베이어(5)가 배치되어 있다.
사료작물 반송공간(43)은, 하류측에 성형실(6)의 투입구(6A)에 이르는 출구(4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료작물 낙하구(42)의 하방으로부터 출구(430)에 이르는 바닥부를 반송면(431)으로서 확보하고 있다.
또, 반송면(431)의 상류측에는, 호퍼(4)의 사료작물 낙하구(42)로부터 낙하하는 사료작물을 받음과 함께, 반송면(431)으로 안내하는 안내면(431A)이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안내면(431A)은, 후술하는 무한 궤도체(52)의 하류측 단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회전체(50)와 동축으로 함과 함께, 후술하는 반송 돌기(53)의 선단이 접촉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사료작물 반송공간(43)은, 사료작물 낙하구(42)와 연통하는 부위 및 출구(430)를 제외하고는, 외부와 폐쇄된 독립된 공간으로서 형성되고, 사료작물 낙하구(42)로부터 낙하하는 사료작물(B)을 기기 밖으로 흘리지 않고 받아 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반송 컨베이어(5)는, 상류측 단부가 사료작물 낙하구(42)의 하방에 위치하고, 하류측 단부가 출구(430)에 이르게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사료작물 반송공간(43)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상술한 회전체(스프로킷)(50, 51)에 걸치도록, 상술한 무한 궤도체(체인)(52)가 감겨져 있다.
무한 궤도체(52)의 외주에는, 상술한 복수의 반송 돌기(53)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무한 궤도체(52)의 반송 회전(화살표 방향)에 따라, 반송 돌기(53)가 사료작물(B)을 안내면(431A)으로부터 반송면(431)으로 안내함과 함께, 반송면(431)의 사료작물(B)을 출구(430)를 향하여 강제적으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무한 궤도체(52)는, 좌우에 각각 감겨진 2개의 체인으로 이루어지고, 이 2개의 무한 궤도체(52)에 걸치도록, 반송 돌기(53)를 배치함과 함께, 인접하는 반송 돌기(53)의 상호간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도 2에 있어서, 반송 회전 방향으로 연속하는 래더형상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반송 돌기(53)는, 무한 궤도체(52)에 걸친 길이, 또한 선단이 반송면(431) 및 안내면(431A)에 접촉하는 돌출형성 길이의 것이며, 이로써, 반송면(431) 상의 사료작물(B)의 전부를 출구(430)를 향하여 긁어내도록 강제적으로 반송하고, 반송면(431) 및 안내면(431A)에 있어서 사료작물(B)의 정체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반송 컨베이어(5)는, 래더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사료작물 낙하구(42)로부터 낙하하는 사료작물(B)을, 2개의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무한 궤도체(52)와 반송 돌기(53)로 구성되는 간극으로부터 반송면(431) 및 안내면(431A)으로 낙하시킬 수 있고, 이로써, 반송 컨베이어(5) 상에서의 사료작물(B)의 정체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사료작물 낙하구(42)로부터 낙하하는 사료작물(B)의 전부를 반송 컨베이어(5) 상에 남기는 일 없이 반송면(431) 및 안내면(431A)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반송 컨베이어(5)의 무한 궤도체(52)는, 체인에 한정되지 않고 벨트로 하여도 된다(도시하지 않음). 무한 궤도체(52)가 벨트인 경우, 사료작물 낙하구(42)로부터 낙하하는 사료작물(B)이 무한 궤도체(52) 상에 재치되지만, 이 재치된 사료작물(B)은, 무한 궤도체(52)의 반송 회전에 따라, 안내면(431A)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성형실(6)은, 호퍼(4)측에 구획 형성된 고정측 절반부(60)와, 고정측 절반부(60)의 후방측에 구획 개정된 가동측 절반부(61)와, 고정측 절반부(60)와 가동측 절반부(61)에 걸쳐 배치된 성형장치(62)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측 절반부(60)에는, 반송 컨베이어(5)로부터 반송되는 사료작물(B)을 성형실(6) 내에 투입하는 투입구(6A)가 형성되어 있다.
투입구(6A)의 상방에는, 성형실(6)에서 성형된 롤베일(B1)을 곤포하는 곤포 자재(네트, 트와인 등)(B2)를 성형실(6) 내로 송출하는 송출장치(A4)가 배치되어 있다.
송출장치(A4)는, 성형실(6) 내에서 롤베일(B1)의 성형 후, 곤포 자재(B2)를 성형실(6) 내로 송출하는 것이며, 송출된 곤포 자재(B2)는, 성형장치(62)의 성형 동작에 의하여 회전하는 롤베일(B1)에 의하여 들어가게 됨과 함께, 롤베일(B1)에 감기듯이 이 롤베일(B1)을 곤포한다.
이러한 성형실(6)은, 반송 컨베이어(5)로부터 투입구(6A)를 거쳐 성형실(6) 내에 투입된 사료작물(B)을, 성형장치(62)에 의하여 회전시키면서 압축하여 원기둥형상의 롤베일(B1)로 성형하도록 되어 있다.
성형장치(62)는, 고정측 절반부(60)와 가동측 절반부(61)에 걸친 원주 상에 연속하도록 배열되고, 좌우방향을 축으로 하는 복수의 회전 롤러(620)와, 고정측 절반부(60)의 하반부에 배열된 회전 롤러(620)에 감긴 성형 벨트(621)와, 가동측 절반부(61)의 하반부에 배열된 회전 롤러(620)에 감긴 성형 벨트(622)로 구성되어 있다.
성형 벨트(621, 622)는, 롤베일(B1)의 성형 전부터 성형 후까지 항상 텐션이 가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감겨져 있으며, 롤베일(B1)의 성형 중에, 확경되는 롤베일(B1)에 따라 외측으로 팽창하게 변형하도록 되어 있다.
부호 623, 624는, 성형 벨트(621, 622)의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 롤러이고, 회전 롤러(620)의 외측에 배치되며, 각각,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성형 벨트(621, 622)에 대해서 항상 텐션이 가해지도록 부세력이 작용하고 있다.
즉, 상술한 부세력에 의하여, 롤베일(B1)의 성형 개시로부터 성형 종료까지, 성형 벨트(621, 622)에 항상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하고 있으므로, 성형 벨트(621, 622)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을 롤베일(B1)에 대해서 평형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성형실(6)은, 성형장치(62)에 의하여 롤베일(B1)을 성형함과 함께, 성형된 롤베일(B1)의 곤포 자재(B2)에 의한 곤포 후, 가동측 절반부(61)를 개방이동시켜 고정측 절반부(60)를 개방함으로써(도 3 참조), 곤포된 롤베일(B1)을 성형실(6)로부터 배출하고, 롤베일(B1)의 배출 후에는, 가동측 절반부(61)를 폐쇄이동시켜 고정측 절반부(60)를 폐쇄하여 다음의 롤베일(B1)을 성형할 수 있는 상태로 되돌리도록 되어 있다.
다만, 성형실(6)은, 예시한 회전 롤러(620)와 성형 벨트(621, 622)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성형장치(62)를 가지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롤러(620)로 이루어지는 성형장치(62)를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배출 지지체(7)는, 고정측 절반부(60)로부터 배출되는 롤베일(B1)을 고정측 절반부(60)의 외측에서 일단 지지함과 함께, 지지한 상태로 내려, 포장(G)에 가까운 낮은 위치로부터 롤베일(B1)을 굴려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배출 지지체(7)는, 차체(A1)에 좌우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부(70)와, 지지부(70)의 후단에 연이어 형성된 배출부(71)와, 지지부(70)를 회전시키도록 지지함과 함께, 지지부(70)의 정지상태를 지지하는 유압 실린더(승강 지지 장치)(72)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승강 지지 장치는, 예시한 유압 실린더(7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부(70)를 회전시키도록 지지할 수 있음과 함께, 지지부(70)의 정지상태를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의 것이면 된다.
지지부(70)는, 도 2에 있어서, 차체(A1)의 좌우에 각각 축지지되어 있으며, 이 2개의 지지부(70)에 걸치도록 C형상을 나타내는 배출부(71)가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배출부(71)는, 도 3(롤베일 지지 상태, 상승 한계 위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을 전후방향으로 한 상태(수평보다 지지부(70)의 선단이 약간 높은 경사 상태)의 지지부(70)의 축에 대해 후방으로 넘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이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측 절반부(60)로부터 배출되는 롤베일(B1)을 지지부(70)와 배출부(71)에서 일단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고정측 절반부(60)가 개방되어 롤베일(B1)이 배출되었을 때에, 이 배출의 힘을 지지부(70)의 경사에 따라 약하게 함과 함께, 배출부(71)가 받아 들임으로써, 지지부(70) 상에 롤베일(B1)을 지지할 수 있다.
유압 실린더(72)는, 도 3(롤베일 지지 상태, 상승 한계 위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에 의하여 지지부(70)의 축을 전후방향으로 한 상태(수평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고, 도 4(롤베일 배출 도중 상태) 및 도 5(롤베일 배출 상태, 하강 한계 위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축에 의하여 지지부(70)를 서서히 하강시킴과 함께, 지지부(70)의 선단측이 낮아지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배출부(71)는, 도 4(롤베일 배출 도중 상태) 및 도 5(롤베일 배출 상태, 하강 한계 위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70)가 하강하면, 이 지지부(70)의 선단이 포장(G)을 향하여 서서히 낮아지는 경사에 따라, 배출부(71)의 선단이 포장(G)을 향하여 서서히 낮아지도록 경사짐과 함께, 이 경사 상태가 유압 실린더(72)에 의하여 유지된다.
즉, 지지부(70)와 배출부(71)는, 유압 실린더(72)의 수축에 의하여, 도 3의 롤베일 지지 상태로부터 도 5의 롤베일 배출 상태에 걸쳐, 각각의 선단의 위치가 서서히 내려가 낮아지도록 동작함으로써, 롤베일(B1)을 지지부(70)로부터 배출부(71)를 거쳐 포장(G)에 천천히 굴리도록 배출할 수 있다.
배출부(71)의 지지부(70)의 축에 대한 경사 각도는, 도 3의 롤베일 지지 상태에 있어서, 고정측 절반부(60)로부터 배출되는 롤베일(B1)의 배출의 힘을 받아 들여, 롤베일(B1)을 지지부(70) 상에 지지할 수 있는 각도이며, 또한 도 5의 롤베일 배출 상태에 있어서, 배출부(71)의 선단이 포장(G)에 근접하였을 때에, 롤베일(B1)을 천천히 굴리도록 배출할 수 있는 각도의 범위에서 결정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하는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A)에 의하면, 주행하면서 포장(G)의 사료작물(B)을 수확기(3)로 수확하면서 세단하고, 세단된 사료작물(B)이 슈트(3A)에 의하여, 사료작물 투입구(40)로부터 호퍼(4)에 투입된다.
호퍼(4) 내의 사료작물(B)은, 사료작물 낙하구(42)로부터 사료작물 반송공간(43)의 반송면(431)으로 낙하함과 함께, 반송 컨베이어(5)의 반송 회전에 따라 동작하는 반송 돌기(53)에 의하여 투입구(6A)를 향하여 반송되고, 또한 반송 돌기(53)에 의하여 투입구(6A)를 거쳐 성형실(6)에 투입되며, 또한, 성형장치(62)에 의하여 롤베일(B1)로 성형된다.
롤베일(B1)의 성형 후에는, 곤포 자재(B2)를 송출장치(A4)로부터 송출함과 함께, 롤베일(B1)을 곤포하고, 롤베일(B1)의 곤포 후에 고정측 절반부(60)를 개방함으로써, 곤포된 롤베일(B1)이 성형실(6) 밖으로 배출된다.
배출된 롤베일(B1)은, 배출 지지체(7)의 지지부(70) 및 배출부(71)에 일단 지지되고, 유압 실린더(72)의 수축에 의한 지지부(70) 및 배출부(71)의 하강으로, 지지된 롤베일(B1)이 포장(G)에 배출된다.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A)의 주행(통상 주행 및 수확 주행) 시에 있어서는, 슈트(3A)의 하단이, 조종석(1)과 좌측에서 인접하고, 또한 조종석(1)의 전단보다 후방의 위치에 배치된 사료작물 방출부(34)에 연결되며, 이 부위로부터 슈트(3A)의 사료작물 방출구(31A)를 호퍼(4)의 사료작물 투입구(40)를 향하여, 차체(A1)를 비스듬하게 가로지르도록 슈트(3A)를 배치함으로써, 조종석(1)으로부터의 좌측 및 좌전방의 시야가 방해되지 않기 때문에, 시야 불량에 의한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수확기(3)의 상하이동에 따른 슈트(3A)의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위치 및 각도의 변화에 대응하는 범위에, 호퍼(4)의 사료작물 투입구(40)가, 호퍼(4)의 전단측에 전방을 향하도록 개구되어 있으므로, 수확기(3)의 상하이동에 따라 슈트(3A)가 상하이동하여도, 사료작물(B)을 확실히 호퍼(4) 내에 투입할 수 있다.
또, 슈트(3A)는,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상단이, 수확기(3)의 하한 위치(도 1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서, 호퍼(4)의 사료작물 투입구(40)의 상단(천장판(41)의 전측 가장자리)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하단이, 수확기(3)의 상한 위치(도 1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서, 호퍼(4)의 사료작물 투입구(40)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슈트(3A)를 포함하는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A)의 전체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포장(G)간의 이동 등에 있어서 슈트(3A)가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이동 시에 슈트(3A)를 접는 기구를 필요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위치 및 방향은, 사료작물 방출구(31A)로부터 방출되는 사료작물(B)을 호퍼(4) 밖에 도달하게 하지 않고, 호퍼(4)의 사료작물 투입구(40)를 통과시켜 호퍼 내에 투입할 수 있는 위치 및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수확기(3)가 상하이동하여도, 사료작물(B)을 확실히 호퍼(4) 내에 투입할 수 있다.
또,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위치 및 방향은, 수확기(3)의 상한 위치(도 1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하한 위치(도 1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의 범위로 변화하여도, 호퍼(4)의 천장판(41)의 내측(호퍼(4) 내)에 설치된 확산판(4A)의 선단(40A)에 접촉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사료작물 투입구(40)의 면적은, 수확기(3)의 상한 위치(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하한 위치(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의 범위로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위치 및 방향이 변화하여도, 슈트(3A)가 사료작물 투입구(40)의 둘레 가장자리에 접촉하지 않는 크기의 면적으로 되어 있다.
또, 확산판(4A)의 선단(40A)의 길이가, 수확기(3)의 상한 위치로부터 하한 위치의 범위로의 변화에 따른 슈트(3A)의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위치 및 방향의 변화에 관계없이, 방출되는 사료작물(B)이 접촉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
따라서, 호퍼(4) 내에 투입되는 사료작물(B)을, 확산판(4A)의 선단(40A)에 확실히 접촉할 수 있으므로, 사료작물(B)을 호퍼(4) 내에 있어서 확실히 확산할 수 있음과 함께, 호퍼(4) 내에 균등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투입할 수 있고, 또한 사료작물(B)을 호퍼(4)의 중앙부나 좌우에 치우치게 하지 않고, 호퍼(4)에 균등하게 저장할 수 있다.
이로써, 사료작물 반송공간(43)에 대해서, 중앙부나 좌우에 치우치게 하지 않고 균등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료작물(B)을 사료작물 반송공간(43)으로 중앙부나 좌우에 치우치게 하지 않고 균등하게 낙하시킬 수 있으므로, 이 균등한 상태로 사료작물(B)을 성형실(6)에 반송할 수 있다.
이로써, 성형실(6)에서 성형되는 롤베일(B1)을, 밀도가 균등하고, 형붕괴되기 어려움과 함께, 정상적인 원통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수확기(3)의 상한 위치(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하한 위치(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의 범위로 사료작물 방출구(31A)의 위치 및 방향이 변화하여도, 슈트(3A)가 사료작물 투입구(40)의 둘레 가장자리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수확기(3)가 상하이동하여도, 슈트(3A)나 사료작물 투입구(40)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사료작물 낙하구(42)의 하방에는, 사료작물 낙하구(42)와 연속하는 공간인 사료작물 반송공간(43)이 설치되고, 이 사료작물 반송공간(43)에 반송 컨베이어(5)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낙하하는 사료작물(B)을 기기 밖으로 흘리지 않고 성형실(6)에 반송할 수 있다.
또, 사료작물 반송공간(43)은, 사료작물 낙하구(42)와 연통하는 부위 및 출구(430)를 제외하고, 외부와 폐쇄된 독립된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료작물 낙하구(42)로부터 낙하하는 사료작물(B)을 기기 밖으로 흘리지 않고 받아 들일 수 있다.
또, 사료작물 반송공간(43)으로 낙하한 사료작물(B)은, 반송면(431) 및 안내면(431A)에 도달하고, 반송 컨베이어(5)의 무한 궤도체(52)의 외주에 돌출형성된 반송 돌기(53)가, 반송면(431) 및 안내면(431A)에 도달한 사료작물(B)을, 무한 궤도체(52)의 반송 회전에 따라 긁어내도록 출구(430)를 향하여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료작물(B)을 효율적으로, 또한 확실히 성형실(6)에 투입할 수 있고, 이로써, 롤베일(B1)의 성형 작업을 효율적으로,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또한, 반송 돌기(53)가, 반송면(431) 및 안내면(431A)에 도달한 사료작물(B)을, 무한 궤도체(52)의 반송 회전에 따라 긁어내도록 출구(430)를 향하여 반송하므로, 사료작물(B)의 반송면(431) 및 안내면(431A)에서의 잔류량을 큰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써, 작업 후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사료작물(B)의 잔류에 의한 악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성형실(6)의 고정측 절반부(60)로부터 배출된 롤베일(B1)은, 배출 지지체(7)의 지지부(70) 및 배출부(71)에 의하여, 고정측 절반부(60)의 외측에서 일단 지지되고, 지지된 상태로 유압 실린더(72)의 수축에 의하여, 지지부(70) 및 배출부(71)를, 각각의 선단이 포장(G)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롤베일(B1)을 지지하면서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70) 및 배출부(71)는, 하강에 의하여 서서히 롤베일(B1)을 포장(G)에 굴려 배출할 수 있도록 경사짐으로써, 포장(G)에 가까운 낮은 위치(하강 한계 위치)로부터 롤베일(B1)을 굴려 배출할 수 있고, 이로써, 롤베일(B1)의 배출 시의 롤베일(B1)에 대한 낙하 쇼크를 완화할 수 있음과 함께, 낙하 쇼크에 의한 롤베일(B1)의 형붕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형붕괴에 의한 사료작물(B)의 포장(G)으로의 흘러 떨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A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
A1 차체
B 사료작물
B1 롤베일
G 포장
1 조종석
2 주행체
3 수확기
4 호퍼
5 반송 컨베이어
6 성형실
7 배출 지지체
3A 슈트
31A 사료작물 방출구
34 사료작물 방출부
40 사료작물 투입구
42 사료작물 낙하구
43 사료작물 반송공간
430 출구
431 반송면
431A 안내면
4A 확산판
50 회전체
51 회전체
52 무한 궤도체
53 반송 돌기
60 고정측 절반부
61 가동측 절반부
6A 투입구
70 지지부
71 배출부
72 유압 실린더(승강 지지 장치)

Claims (1)

  1. 투입되는 사료작물을 롤베일로 성형함과 함께, 성형 후의 상기 롤베일을 배출하는 성형실을 구비한 롤베일러로서,
    상기 성형실의 하방에, 상기 성형실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롤베일을 지지함과 함께, 상기 롤베일을 지지한 상태로 하강하고, 또한 하강 한계 위치에서 지지한 상기 롤베일을 굴려 포장에 배출하는 배출 지지체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 지지체는, 상기 롤베일의 배출 방향과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승 한계 위치에서 상기 성형실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롤베일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후방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상승 한계 위치에서 상기 성형실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롤베일의 구름을 받아 들여, 상기 지지부에 의한 상기 롤베일의 지지 상태를 유지하는 배출부와,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킴과 함께, 상기 지지부의 상승 한계 위치를 유지하고, 또한 그 지지부의 하강 한계 위치를 유지하는 승강 지지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배출부는, 상기 상승 한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실로부터 배출된 상기 롤베일을 지지함과 함께, 상기 지지부의 하강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롤베일이 포장을 향하여 구르는 경사가 되도록 변화하고, 또한 상기 하강 한계 위치에 있어서 상기 롤베일을 상기 포장에 굴려 배출하는 경사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베일러.
KR1020140027070A 2013-08-23 2014-03-07 롤베일러 KR102162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73560A JP6335453B2 (ja) 2013-08-23 2013-08-23 ロールベーラ
JPJP-P-2013-173560 2013-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635A true KR20150022635A (ko) 2015-03-04
KR102162807B1 KR102162807B1 (ko) 2020-10-07

Family

ID=5269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070A KR102162807B1 (ko) 2013-08-23 2014-03-07 롤베일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335453B2 (ko)
KR (1) KR1021628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7113A1 (en) * 2019-01-02 2020-07-08 Deere & Company Bale weight measurement and control system using lift g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71427B2 (ja) * 2015-07-16 2019-09-04 株式会社Ihiアグリテック ロールベーラ
CN106576624B (zh) * 2016-12-29 2019-01-11 浙江农林大学 一种打捆机
JP7221587B2 (ja) 2017-09-28 2023-02-14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装置
JP7403947B2 (ja) * 2018-09-20 2023-12-25 株式会社Ihiアグリテック ロールベーラ
JP7121616B2 (ja) * 2018-09-20 2022-08-18 株式会社Ihiアグリテック ロールベーラ
JP7169146B2 (ja) 2018-10-03 2022-11-10 株式会社Ihiアグリテック ロールベー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7331A (ja) * 1988-10-03 1990-04-09 Takakita Co Ltd ロールベーラーにおける梱包物排出装置
JP2002360055A (ja) * 2001-06-08 2002-12-17 Star Farm Machinery Mfg Co Ltd ロールベーラ
JP2003002108A (ja) * 2001-06-21 2003-01-08 Kawashima Nougu Seisakusho:Kk ロールベール運搬車
JP2004321061A (ja) 2003-04-24 2004-11-18 National Agriculture & Bio-Oriented Research Organization ロールベーラ
JP2007209211A (ja) * 2006-02-07 2007-08-23 Takakita Co Ltd 被牽引型のロールベーラの遠隔制御装置
JP2007259748A (ja) * 2006-03-28 2007-10-11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ロールベーラ用ロールベール運搬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5914B2 (en) * 2008-03-10 2010-10-05 Cnh America Llc Hydraulic bale kicker with optional weighing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7331A (ja) * 1988-10-03 1990-04-09 Takakita Co Ltd ロールベーラーにおける梱包物排出装置
JP2002360055A (ja) * 2001-06-08 2002-12-17 Star Farm Machinery Mfg Co Ltd ロールベーラ
JP2003002108A (ja) * 2001-06-21 2003-01-08 Kawashima Nougu Seisakusho:Kk ロールベール運搬車
JP2004321061A (ja) 2003-04-24 2004-11-18 National Agriculture & Bio-Oriented Research Organization ロールベーラ
JP2007209211A (ja) * 2006-02-07 2007-08-23 Takakita Co Ltd 被牽引型のロールベーラの遠隔制御装置
JP2007259748A (ja) * 2006-03-28 2007-10-11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ロールベーラ用ロールベール運搬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7113A1 (en) * 2019-01-02 2020-07-08 Deere & Company Bale weight measurement and control system using lift g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807B1 (ko) 2020-10-07
JP6335453B2 (ja) 2018-05-30
JP2015039364A (ja) 2015-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2635A (ko) 롤베일러
KR20150079565A (ko) 베일랩퍼 및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US7861851B2 (en) Apparatus for moving grain from a pile or a bag
US20020194814A1 (en) Lower front discharge gate roll of large round baler equipped with centrally located spiral members for controlling rogue crop carried by belts supported by roll
BR112012010132B1 (pt) Dispositivo de empacotar e método para formar fardos de material de colheita no dispositivo
US9402347B2 (en) Baler rear shield mechanism
EP0622011B1 (en) Bale collector with rollers and baler suitable therefor
US2760622A (en) Universal elevator
KR20150022634A (ko) 롤베일러
KR20150022633A (ko) 자주 수확식 롤베일러
AU2013281334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gathering bales
EP3228178B1 (en) Bale forming system and method with a bale transfer unit comprising a bale pusher
EP4000380A1 (en) Bale spreader and spreader rotor
JP6571427B2 (ja) ロールベーラ
US3910438A (en) Mobile hay stacker conveyor construction
JP2934614B2 (ja) 定置型玉葱収穫装置
US11382276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agricultural roundbaler ejection flap
JP2003169535A (ja) ロールベーラ
WO1994029204A1 (fr) Systeme transporteur de pneus
EP3244721B1 (en) Compact bale forming and wrapping apparatus
DE2118320C3 (de) Automatische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Zigaretten von einer Zigarettenfertigungsmaschine zu einer Zigarettenverpackungsmaschine
US1318914A (en) Tjnxoadiktg and feedijstg appabattjs
JP2005143360A (ja) ロールベ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