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9565A - 베일랩퍼 및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 Google Patents

베일랩퍼 및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9565A
KR20150079565A KR1020157007077A KR20157007077A KR20150079565A KR 20150079565 A KR20150079565 A KR 20150079565A KR 1020157007077 A KR1020157007077 A KR 1020157007077A KR 20157007077 A KR20157007077 A KR 20157007077A KR 20150079565 A KR20150079565 A KR 20150079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l
wrapper
wrapping
baler
bai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존 히니
제라드 패트릭 셰리단
패드라익 크리스토퍼 맥헤일
마틴 윌리엄 맥헤일
폴 제라드 맥헤일
존 패트릭 비긴스
도날 패트릭 콜린스
존 알렉산더 워렌
Original Assignee
맥헤일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헤일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맥헤일 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150079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4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the articles being rot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01F2015/0735Combined machines that include a press bale and a wrapping device in a further step, e.g. turning table, not in the same closed press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01F2015/0755Configuration of support surfaces which can move in order to rotate a bale around at least one axis while wrapp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01F2015/076Wrapping device incorporating sens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일랩퍼와, 베일러/베일랩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베일러/베일랩퍼 장치(1)는 새시(5)에 설치된 베일러(10)와, 베일러에서 형성된 베일을 랩핑하도록 베일러 뒤로 새시에 설치된 베일랩퍼(14)를 포함한다. 베일랩퍼(14)는 제1 랩핑축(56)을 중심으로 베일을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한쌍의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50,51)를 포함한다. 베일(2)이 롤러(50,51)에 의해 회전할 때 베일(2)에 랩핑필름을 분배하는 한쌍의 랩핑필름 디스펜서(60)가 제2 랩핑축(6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캐리어링(58)에 설치된다. 롤러(50)는 운반요소(16)에 지지되고, 운반요소는 운반피봇축(17)을 중심으로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피봇하면서 베일(2)을 베일랩퍼(14)로 옮긴다. 롤러(50)는 아랫쪽으로(F) 밀리면서 베일(2)이 운반요소에 의해 베일랩퍼(14)로 이동할 때 베일(2)의 상부공간을 최대화한다.

Description

베일랩퍼 및 베일러/베일랩퍼 장치{A BALE WRAPPER AND A COMBINED BALER/BALE WRAPPER}
본 발명은 베일랩퍼와, 베일러/베일랩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료로 만든 베일을 형성해 랩핑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는 일반적으로 풀, 건초, 짚 등을 수확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풀을 수확해 사일리지를 생산하는데 사용된다. 이런 베일러/베일랩퍼 장치는 원통형 베일을 순차적으로 생산하는 베일러를 갖추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베일은 길이는 1.25m이고 직경은 0.9~2.2 m 정도인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직경은 1.2~1.6 m 정도이다. 베일러는 새시에 설치된다. 형성된 베일을 플라스틱제 랩핑필름으로 랩핑하는 베일랩퍼는 베일러 뒷쪽으로 새시에 설치되고, 베일러로부터 베일을 받는다. 들에 펼쳐진 풀을 베일러의 앞으로 튀어나온 픽업기구로 픽업하여 베일러의 베일성형실로 보내고, 이곳에서 원통형 베일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원통형 베일은 베일러에서 베일랩퍼로 옮겨진다.
일반적으로 베일랩퍼는 2축 베일랩퍼이고, 베일은 한쌍의 평행하게 이격된 베일지지 롤러들에 지지되어 회전하며, 이때 제1 랩핑축은 베일의 중심축과 일치한다. 하나 이상, 보통 2개의 랩핑필름 디스펜서가 제1 랩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베일에 랩핑필름을 분배한다. 제2 랩핑축은 제1 랩핑축에 직각으로 뻗는다.
이런 베일러/베일랩퍼 장치가 WO02/076183에 공개되었다.
원통형 사료 베일을 선택된 직경으로 생산하는 베일러가 공지되어 있다. 이런 베일러는 대개 벨트형 베일러이고, 다수의 벨트들이 고정 회전 롤러와 회전 인장롤러에 나란히 지지되어 있으며, 이들 롤러들이 형성하는 베일성형실 안에서 베일의 직경이 커지면서 형성된다. 이들 벨트는 하나 이상의 고정 롤러에 의해 구동되면서 베일성형실 내에서 형성되는 베일을 회전시킨다. 인장롤러로 인장된 벨트는 베일이 회전되고 있을 때 사료 재료들을 치밀하게 압축한다. 인장롤러의 위치나 벨트의 인장력을 감시하여 임의의 시간에서의 베일의 직경을 결정한다.
베일러는 직경이 커지는 베일을 생산하고, 베일을 랩핑하는 베일랩퍼는 이렇게 직경이 증가하는 베일을 랩핑할 수 있어야 한다.
WO02/076183에 소개된 종류의 베일랩퍼는 제1 랩핑축을 중심으로 베일을 회전시키면서 지지하는 한쌍의 이격된 베일지지 롤러들을 갖고, 제1 랩핑축은 베일의 중심축과 일치한다. 랩핑필름 디스펜서를 지지하는 캐리어 요소가 제2 랩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베일 둘레로 디스펜서들을 회전시켜 베일 위로 랩핑필름을 분배한다. 제2 랩핑축은 제1 랩핑축에 직각이다. 여기 소개된 베일랩퍼의 캐리어 요소는 제2 랩핑축이 형성하는 수직면으로 뻗는 캐리어링을 포함하고, 이런 수직면은 캐리어링이 형성하는 수평면에 직교한다. 캐리어링은 제2 랩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랩핑필름 디스펜서를 제2 랩핑축 둘레로 선회시킨다. 캐리어링은 베일지지 롤러들에 대해 위치하는데, 베일은 제1 랩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캐리어링이 형성하는 평면은 베일지지 롤러들 중간에 위치하며, 제1 랩핑축은 캐리어링이 형성하는 평면에 가까이 떨어진 수직면에 포함된다.
베일지지 롤러들에 지지된 베일 아래위 양쪽으로 랩핑필름 지스펜서가 지나가야 해서, 베일지지 롤러들 위의 베일이 이용할 수 있는 상부공간은 캐리어링과 랩핑필름 디스펜서 양족에 의해 한정되며, 디스펜서는 베일과 캐리어링 사이로 해서 베일 위를 지나간다. 또, 이런 상부공간은 베일지지 롤러들로 베일을 운반할 때 캐리어링에 의해 제한되는데, 특히 방치의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캐리어링이 뒷쪽의 베일지지 롤러보다 앞쪽의 베일지지 롤러에 가까울 때 그렇다.
이렇게 상부공간이 한정되어 있는 베일랩퍼라도 직경이 증가하는 베일들을 랩핑할 수 있어야 한다.
또, 하나 이상의 랩핑필름 디스펜서들이 캐리어 요소에 설치되어 회전중인 베일 둘레를 선회하는 베일랩퍼의 경우, 수평면이나 수평면에 30도 이하로 주행궤적이 놓이면, 직경이 증가하는 베일들을 랩핑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디스펜서에서 베일로 분배되는 랩핑필름이 회전중인 베일의 중심축과 정렬해야만 한다. 즉, 랩핑필름의 중심선이 회전중인 베일의 중심축에 일치해야만 한다. 이런 베일랩퍼에서는, 특정 직경의 베일을 랩핑한다. 설계값의 특정 직경보다 크거나 작은 직경의 베일을 랩핑하면, 베일지지 롤러들에 지지된 베일의 중심축의 높이가 특정 직경의 베일의 중심축의 높이보다 위나 아래에 있게된다. 따라서, 랩핑필름의 길이방향 중심선이 특정 직경보다 크거나 작은 직경의 베일의 중심축과 일치하지 않게된다. 이것은 문제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직경이 변하는 베일들을 생산할 수 있고 베일의 직경도 선택할 수 있는 베일랩퍼와 베일러/베일랩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일을 랩핑하는 베일랩퍼에 있어서: 새시; 베일을 랩핑하는 동안 베일을 제1 랩핑축 둘레로 회전시키면서 베일을 지지하는 베일랩핑 상태에서 동작하고 평행하게 떨어져 회전되게 설치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및 베일을 받는 제1 상태로부터 베일을 베일랩퍼 위로 운반하는 제2 상태까지 동작하여, 베일을 베일랩퍼 위로 운반하는 운반수단;을 포함하고, 제1 베일지지 롤러는 운반수단에 위치한채 운반수단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동작할 때 제2 베일지지 롤러와 무관하게 베일랩핑 상태로부터 아랫쪽으로 제2 베일지지 롤러에 대해 움직여, 운반수단이 베일을 베일랩퍼로 운반할 때 베일에 필요한 상부공간을 최소화하는 베일랩퍼를 제공한다.
제1 베일지지 롤러는 운반수단에 설치될 수 있다.
운반수단이 운반피봇축을 중심으로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로 피봇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운반수단이 베일랩퍼로 운반할 베일을 받는 수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수단이 운반피봇축의 한쪽에 위치하고, 제1 베일지지 롤러는 운반피봇축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운반수단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피봇하면 수납수단은 윗쪽으로 밀리고 제1 베일지지 롤러는 베일랩핑 상태로부터 아랫쪽으로 밀리도록 한다. 수납수단이 운반수단에 지지되고 서로 이격된 한쌍의 캐리어부재를 포함하며, 캐리어부재는 서로 평행하면서 운반피봇축에 대해서도 평행하게 이격될 수 있다.
운반수단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동작하면 베일이 제1 베일지지 롤러 위로 이동하도록 수납수단이 제1 베일지지 롤러에 대해 위치할 수 있다.
운반피봇축에 평행하게 이격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베일지지 롤러가 회전하도록 운반수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베일지지 롤러가 형성하는 제1 회전축에 평행하게 떨어진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2 베일지지 롤러가 회전하고, 제2 베일지지 롤러가 형성하는 제2 회전축과 운반피봇축이 제1 베일지지 롤러의 제1 회전축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것이 좋다.
운반피봇축을 중심으로 피봇하게 운반수단이 새시에 설치되고, 제2 베일지지 롤러가 새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 제1 베일지지 롤러가 베일랩핑 상태에 있을 때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 의해 형성된 제1 및 제2 회전축들을 포함한 평면 밑에 운반피봇축이 위치할 수도 있다.
운반수단이 제2 상태에 있을 때 제2 베일지지 롤러가 형성하는 제2 회전축을 포함한 수평면 밑으로 최대 간격으로 제1 베일지지 롤러가 최대로 밑으로 움직이도록 제1 베일지지 롤러가 운반수단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로 운반수단을 밀어주는 제1 푸싱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여 이들 롤러에 지지된 베일을 제1 랩핑축 둘레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제1 랩핑축을 중심으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서 회전하는 베일에 랩핑재료를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의 랩핑재료 디스펜서를 제2 랩핑축 둘레의 이동궤적을 따라 안내하는 캐리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제2 랩핑축은 0도보다 큰 각도로 제1 랩핑축에 대해 뻗을 수 있다.
제2 랩핑축이 제1 랩핑축에 대해 직각으로 뻗을 수 있다.
캐리어 수단이 랩핑재료 디스펜서의 주행궤적을 포함한 캐리어 평면을 형성하고, 랩핑재료 디스펜서는 캐리어 수단에 의해 제2 랩핑축을 중심으로 안내되며, 제2 랩핑축은 캐리어 평면에 직각으로 뻗을 수 있다.
또, 캐리어 평면이 제1 랩핑축을 포함한 수직면에 평행하거나 일치하는 윗쪽 방향, 제1 베일지지 롤러를 향해 상기 수직면에 대해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를 향해 상기 수직면에 대해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 중의 하나로 뻗도록 할 수 있다.
이런 캐리어 평면이 상기 수직면에 대해 30°이하의 각도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하나를 향해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뻗는 것이 좋다. 또, 캐리어 평면이 상기 수직면에 대해 20°이하의 각도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하나를 향해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뻗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캐리어 평면이 상기 수직면에 대해 5°이하의 각도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하나를 향해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뻗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런 캐리어 평면이 수직으로 뻗을 수도 있다.
캐리어 수단이 제2 랩핑축을 중심으로 랩핑재료 디스펜서를 선회시키도록 제2 랩핑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새시에 설치된 캐리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캐리어 수단이 캐리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평면이 제1 베일지지 롤러와 제2 베일지지 롤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데, 가급적 제2 베일지지 롤러보다는 제1 베일지지 롤러 가까이 있는 것이 좋다.
랩핑재료 디스펜서가 제2 랩핑축 둘레로 주행궤적을 따라 안내되면서 디스펜서에서 베일에 분배되는 랩핑재료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간격으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이 서로 떨어지는 것이 좋다.
또, 제1 베일지지 롤러와 제2 베일지지 롤러 중의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움직여 여러 베일랩핑 상태들 중의 하나로 이동하고, 이런 베일랩핑 상태에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이 서로 협력하여 여러 직경의 베일들을 지지하면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 지지된 베일에 필요한 상부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가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사이의 간격을 바꾸도록 이들 롤러들을 서로에 대해 움직여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 움직일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가 다른 롤러의 높이에 대한 높이를 조정해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 움직이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다수의 베일랩핑 상태들 사이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를 밀어주는 제2 푸싱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일지지 롤러가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 제1 베일지지 롤러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일랩퍼는 제1 랩핑축에 일치하는 중심축을 갖는 원통형 베일을 랩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원통형 베일을 랩핑하는 베일랩퍼에 있어서: 새시; 베일을 랩핑하는 동안 베일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제1 랩핑축 둘레로 베일을 회전시키면서 지지하는 베일랩핑 상태에서 동작하고 평행하게 떨어져 회전되게 설치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제1 랩핑축을 중심으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서 회전하는 베일에 랩핑재료를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의 랩핑재료 디스펜서를 제1 랩핑축에 직각으로 뻗는 제2 랩핑축 둘레의 이동궤적을 따라 안내하는 캐리어 수단; 및 베일을 받는 제1 상태로부터 베일을 베일랩퍼 위로 운반하는 제2 상태까지 동작하여, 베일을 베일랩퍼 위로 운반하는 운반수단;을 포함하고, 캐리어 수단은 디스펜서가 안내되는 이동궤적을 포함한 캐리어 평면을 형성하며, 캐리어 평면은 제1 랩핑축을 포함한 수직면에 평행하거나 일치하는 윗쪽 방향, 제1 베일지지 롤러를 향해 상기 수직면에 대해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를 향해 상기 수직면에 대해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 중의 하나로 뻗고; 제1 베일지지 롤러는 운반수단에 위치한채 운반수단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동작할 때 제2 베일지지 롤러와 무관하게 베일랩핑 상태로부터 아랫쪽으로 제2 베일지지 롤러에 대해 움직여, 운반수단이 베일을 베일랩퍼로 운반할 때 베일에 필요한 상부공간을 최소화하는 베일랩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베일을 랩핑하는 베일랩퍼에 있어서: 새시; 베일을 랩핑하는 동안 제1 랩핑축 둘레로 베일을 회전시키면서 지지하는 베일랩핑 상태에서 동작하고 평행하게 떨어져 회전되게 설치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제1 랩핑축을 중심으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서 회전하는 베일에 랩핑재료를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의 랩핑재료 디스펜서를 제1 랩핑축에 대해 0도보다 큰 각도로 뻗는 제2 랩핑축 둘레의 이동궤적을 따라 안내하는 캐리어 수단;을 포함하고, 제1 베일지지 롤러와 제2 베일지지 롤러 중의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움직여 여러 베일랩핑 상태들 중의 하나로 이동하고, 이런 베일랩핑 상태에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이 서로 협력하여 여러 직경의 베일들을 지지하면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 지지된 베일에 필요한 상부공간을 최소화하는 베일랩퍼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베일랩퍼는 선택신호에 응답해 각각의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에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를 세팅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신호가 랩핑할 베일의 직경을 표시하는 것이 좋다.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이 각각 제1,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가 나머지 롤러에 대해 움직여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 들어가고 베일의 중심축을 소정의 상하 높이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를 나머지 롤러에 대해 움직여 움직이는 롤러가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 움직이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를 나머지 롤러에 대해 높이를 조정하여 움직이는 롤러가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 움직이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의 회전축을 나머지 롤러의 회전축을 포함한 수평면보다 300mm 낮은 하부 높이와, 상기 움직이는 롤러의 회전축을 상기 수평면보다 300mm 높은 상부 높이 사이에서 상기 움직이는 롤러를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를 통해 움직이도록 한다.
한편, 상기 움직이는 롤러의 롤러의 회전축의 하부 높이가 상기 수평면 밑으로 200mm 이하에 있고, 상기 움직이는 롤러의 회전축의 상부 높이가 수평면 위로 200mm 이하에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움직이는 롤러의 롤러의 회전축의 하부 높이가 상기 수평면 밑으로 100mm 이하에 있고, 상기 움직이는 롤러의 회전축의 상부 높이가 수평면 위로 100mm 이하에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움직이는 롤러가 장착요소에 지지되고, 이 장착요소는 움직이는 롤러를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 움직이도록 새시에 대해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요소가 새시에 대해 피봇장착축을 중심으로 피봇하고, 이 피봇장착축은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 평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일랩퍼는 상기 움직이는 롤러를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 밀어주는 푸싱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푸싱수단이 선택신호에 응답해 상기 움직이는 롤러를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 밀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움직이는 롤러가 랩핑된 베일을 베일랩퍼에서 배출하기 위해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부터 밑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움직이는 롤러가 제2 베일지지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일랩퍼에서, 제1 랩핑축에 일치하는 중심축을 갖는 원통형 베일을 랩핑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상 설명한 베일랩퍼와 베일러가 새시에 설치되어 있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운반수단이 베일러에서 베일을 받아 베일렙퍼로 운반하게 베일러에 대해 위치하도록 베일랩퍼가 베일러에 대해 배치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베일랩퍼와 베일러가 새시에 설치되어 있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도 제공하는데, 운반수단은 베일러에서 베일을 받아 베일렙퍼로 운반하게 베일러에 대해 위치하도록 베일랩퍼가 베일러에 대해 배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베일을 랩핑하는 베일랩퍼와 베일러가 새시에 설치되어 있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일랩퍼가 베일을 랩핑하는 동안 베일을 제1 랩핑축 둘레로 회전시키면서 베일을 지지하는 베일랩핑 상태에서 동작하고 평행하게 떨어져 회전되게 설치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및 베일러로부터 베일을 받는 제1 상태로부터 베일을 베일랩퍼 위로 운반하는 제2 상태까지 동작하면서 베일을 베일랩퍼 위로 운반하는 운반수단을 포함하고; 제1 베일지지 롤러는 운반수단에 위치한채 운반수단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동작할 때 제2 베일지지 롤러와 무관하게 베일랩핑 상태로부터 아랫쪽으로 제2 베일지지 롤러에 대해 움직여, 운반수단이 베일을 베일랩퍼로 운반할 때 베일에 필요한 상부공간을 최소화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베일을 랩핑하는 베일랩퍼와 베일러가 새시에 설치되어 있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에 있어서: 베일랩퍼가 베일을 랩핑하는 동안 베일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제1 랩핑축 둘레로 베일을 회전시키면서 지지하는 베일랩핑 상태에서 동작하고 평행하게 떨어져 회전되게 설치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제1 랩핑축을 중심으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서 회전하는 베일에 랩핑재료를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의 랩핑재료 디스펜서를 제1 랩핑축에 직각으로 뻗는 제2 랩핑축 둘레의 이동궤적을 따라 안내하는 캐리어 수단, 및 베일을 받는 제1 상태로부터 베일을 베일랩퍼 위로 운반하는 제2 상태까지 동작하여, 베일을 베일랩퍼 위로 운반하는 운반수단을 포함하고; 캐리어 수단은 디스펜서가 안내되는 이동궤적을 포함한 캐리어 평면을 형성하며, 캐리어 평면은 제1 랩핑축을 포함한 수직면에 평행하거나 일치하는 윗쪽 방향, 제1 베일지지 롤러를 향해 상기 수직면에 대해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를 향해 상기 수직면에 대해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 중의 하나로 뻗고; 제1 베일지지 롤러는 운반수단에 위치한채 운반수단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동작할 때 제2 베일지지 롤러와 무관하게 베일랩핑 상태로부터 아랫쪽으로 제2 베일지지 롤러에 대해 움직여, 운반수단이 베일을 베일랩퍼로 운반할 때 베일에 필요한 상부공간을 최소화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도 제공한다.
운반수단은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운반피봇축을 중심으로 피봇하고, 베일랩퍼에 운반할 베일을 받는 수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수단이 운반피봇축의 한쪽에 위치하고, 제1 베일지지 롤러는 운반피봇축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운반수단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피봇하면 수납수단은 윗쪽으로 밀리고 제1 베일지지 롤러는 베일랩핑 상태로부터 아랫쪽으로 밀리도록 한다.
베일러는 중심축을 갖는 원통형 베일을 생산하고, 상기 베일러는 베일을 배출하도록 새시에 위치하며, 이때 베일의 중심축은 베일랩퍼의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베일러가 베일을 형성하도록 새시에 위치하고, 형성중인 베일러내의 베일의 중심축은 베일랩퍼의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 평행한 것이 좋다.
베일랩퍼는 장치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베일러 뒤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형성된 베일이 베일러로부터 제1 상태에 있는 운반수단 위로 배출되도록 베일랩퍼가 베일러에 대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일러는 베일의 배출을 위해 개폐되는 문을 가질 수 있다. 이 문은 피봇축을 중심으로 피봇하고, 피봇축은 베일러의 상부 가까이 배치되는 것이 좋다.
베일러가 새시에 설치된 고정부를 갖고, 문은 피봇축을 중심으로 피봇되게 고정부에 결합되며, 이 고정부는 형성된 베일을 베일러로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며 문이 닫히면 개구부를 닫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문은 장치의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베일러의 고정부 뒤에 위치하고, 베일러의 개방부는 장치의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뒷쪽을 바라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일러의 개구부가 전진방향에 횡방향으로 뻗으면서 또한 윗쪽 방향, 전진방향에 횡방향의 수직면에 대해 전방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 및 상기 수직면에 대해 후방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 중의 한 방향으로도 뻗는 평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면은 상기 수직면에 대해 30°이하의 각도로 전방이나 후방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뻗도록 하거나, 수직면에 대해 20°이하의 각도로 전방이나 후방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뻗도록 하거나, 수직면에 대해 5°이하의 각도로 전방이나 후방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뻗도록 하거나, 수직으로 뻗도록 한다.
베일러의 문이 밀려 열리면 베일러에서 베일랩퍼의 운반수단으로 베일이 배출되도록 베일러가 새시에 설치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베일러와 베일랩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베일러에서 형성될 베일의 선택된 직경을 표시하는 입력신호를 제어수단에 입력하도록 제어수단과 통신하는 입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수단은 형성될 베일의 직경을 표시하는 입력신호에 응답해 베일랩퍼의 제2 푸싱수단을 제어하여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를 상기 베일 직경에 맞는 베일랩핑 상태로 나머지 롤러에 대해 밀어줄 수 있다. 제어수단이 베일의 직경을 표시하는 입력신호에 응답해 이 직경의 베일을 생산하도록 베일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치는 베일러에서 형성되는 베일의 직경을 표시하는 베일러의 특성을 감시하는 제1 모니터링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선택된 직경의 베일을 표시하는 제1 모니터링 수단의 신호에 응답해 베일을 운반수단에 배출하도록 베일러를 작동시키는 한편 베일을 베일랩퍼로 운반하도록 운반수단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움직이는 롤러의 나머지 롤러에 대한 베일랩핑 상태를 감시하는 제2 모니터링 수단을 더 포함하고, 이 제어수단은 제2 모니터링 수단의 신호에 응답해 상기 움직이는 롤러가 베일의 직경에 해당하는 베일랩핑 상태에 있는 때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일러가 벨트 베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베일랩퍼와 베일러가 새시에 설치되어 있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에 있어서: 베일랩퍼가 베일에서 배출된 베일을 받아 랩핑하도록 베일러에 대해 배치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새시에 설치된 베일러와, 베일러에서 배출된 베일을 받아 랩핑하도록 베일러에 대해 위치하고 새시에 설치된 베일랩퍼를 갖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에 있어서: 베일랩퍼는 베일을 랩핑하는 동안 제1 랩핑축 둘레로 베일을 회전시키면서 지지하는 베일랩핑 상태에서 동작하고 평행하게 떨어져 회전되게 설치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및 제1 랩핑축을 중심으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서 회전하는 베일에 랩핑재료를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의 랩핑재료 디스펜서를 제1 랩핑축에 대해 0도보다 큰 각도로 뻗는 제2 랩핑축 둘레의 이동궤적을 따라 안내하는 캐리어 수단을 포함하고; 제1 베일지지 롤러와 제2 베일지지 롤러 중의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움직여 여러 베일랩핑 상태들 중의 하나로 이동하고, 이런 베일랩핑 상태에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이 서로 협력하여 여러 직경의 베일들을 지지하면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 지지된 베일에 필요한 상부공간을 최소화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도 제공한다.
베일러가 중심축을 갖는 원통형 베일을 생산하고, 상기 베일러는 베일을 배출하도록 새시에 위치하며, 이때 베일의 중심축은 베일랩퍼의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 평행할 수 있다.
베일러가 베일을 형성하도록 새시에 위치하고, 형성중인 베일러내의 베일의 중심축은 베일랩퍼의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 평행할 수도 있다.
베일랩퍼가 장치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베일러 뒤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일러가 베일의 배출을 위해 개폐되는 문을 가질 수 있다. 베일러가 새시에 설치된 고정부를 갖고, 상기 문은 피봇축을 중심으로 피봇되게 고정부에 결합되며, 이 고정부는 형성된 베일을 베일러로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문이 닫히면 개구부를 닫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문은 장치의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베일러의 고정부 뒤에 위치하고, 베일러의 개방부는 장치의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뒷쪽을 바라보는 것이 좋다.
베일러의 개구부는 전진방향에 횡방향으로 뻗으면서 또한 윗쪽 방향, 전진방향에 횡방향의 수직면에 대해 전방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 및 상기 수직면에 대해 후방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 중의 한 방향으로도 뻗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평면은 상기 수직면에 대해 30°이하의 각도로 전방이나 후방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뻗거나, 수직면에 대해 20°이하의 각도로 전방이나 후방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뻗거나, 수직면에 대해 5°이하의 각도로 전방이나 후방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뻗거나, 수직으로 뻗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베일러와 베일랩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베일러에서 형성될 베일의 선택된 직경을 표시하는 입력신호를 제어수단에 입력하도록 제어수단과 통신하는 입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제어수단은 형성될 베일의 직경을 표시하는 입력신호에 응답해 베일랩퍼의 제2 푸싱수단을 제어하여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를 상기 베일 직경에 맞는 베일랩핑 상태로 나머지 롤러에 대해 밀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어수단이 베일의 직경을 표시하는 입력신호에 응답해 이 직경의 베일을 생산하도록 베일러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베일러에서 형성되는 베일의 직경을 표시하는 베일러의 특성을 감시하는 제1 모니터링 수단을 더 포함하고, 제어수단은 선택된 직경의 베일을 표시하는 제1 모니터링 수단의 신호에 응답해 베일을 운반수단에 배출하도록 베일러를 작동시키는 한편 베일을 베일랩퍼로 운반하도록 운반수단도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치가 움직이는 롤러의 나머지 롤러에 대한 베일랩핑 상태를 감시하는 제2 모니터링 수단을 더 포함하고, 제어수단은 제2 모니터링 수단의 신호에 응답해 상기 움직이는 롤러가 베일의 직경에 해당하는 베일랩핑 상태에 있는 때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런 베일러가 벨트 베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베일러/베일랩핑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장치의 다른 측단면도;
도 4는 도 1~2와는 다른 상태에 있는 장치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도 1의 장치의 다른 측단면도;
도 5는 도 1과는 다른 상태에 있는 도 1의 장치의 다른 측단면도;
도 6은 도 2, 5와는 다른 상태에 있는 도 1의 장치의 다른 측단면도;
도 7은 도 1의 장치의 또다른 측단면도;
도 8은 도 2의 장치와는 다른 상태에 있는 도 1의 장치의 다른 측단면도;
도 9는 도 1의 장치의 배면도;
도 10은 도 1의 장치의 다른 배면도;
도 11은 도 1의 장치의 일부분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과는 다른 상태에 있는 도 11의 장치와는 다른 부분 사시도;
도 13은 도 11~12와는 다른 상태에 있는 도 11의 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장치의 일부분의 다른 사시도;
도 15는 도 1의 장치의 제어회로의 회로도;
도 16은 도 1, 7과는 다른 상태에 있는 부분을 보여주는 도 1의 장치의 다른 측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베일러/베일랩퍼 장치(1)는 원통형 사료 베일(2)을 형성하는 한편, 플라스틱 랩핑필름(3)으로 베일(2)을 감싸기 위한 장치이다. 이런 원통형 베일(2)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것으로, 사일리지나 건초나 짚 등으로 이루어진다. 랩핑필름(3)은 투명하거나 흑백인 것이 보통이고, 한쪽면에 접착제가 코팅되거나 아닐 수 있다. 이런 베일과 랩핑필름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것이다.
베일러/베일랩퍼 장치(1)는 길이 1.25m, 직경 0.9~2.2m 정도의 베일(2)을 생산하기에 적합하다.
베일러/베일랩퍼 장치(1)의 새시(5)에 지면과 접촉하는 바퀴(6) 한쌍이 지지되고, 이 바퀴(6)는 각각 허브(4)에 고정되며, 허브는 차축(7)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차축은 새시(5)를 가로질러 설치된다. 새시(5)에서 앞으로 돌출한 아암(7)에 설치된 고리(8)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1)를 트랙터와 같은 견인차에 걸기위한 것이다.
벨트 베일러를 포함한 본 발명의 베일러(10)는 원통형 베일(2)을 연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새시의 전단부(11)를 향해 새시(5) 위에 설치된다. 베일러(10)로 만든 베일(2)을 감싸기위한 베일랩퍼(14)는 새시 후단부(15)를 향해 새시(5) 위에 설치되어, 베일러(10)의 뒷쪽에 위치한다.
베일랩퍼(14)의 운송수단인 운반기(16)는 운반피봇축(17)이 새시(5)에 피봇 설치되고, 베일러(10)에서 배출되는 베일(2)을 받도록 베일랩퍼(14)와 베일러(10) 사이에 위치하면서 베일(2)을 베일랩퍼(14)로 차례로 옮기는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 자세히 설명한다. 운반기(16)의 운반피봇축(17)은 베일러/베일랩퍼 장치(1)의 전진방향에 횡방향으로 뻗되, 차축(7)에 평행하다.
베일랩퍼(14)와 운반기(16)에 앞서 베일러(10)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베일러(10)의 하우징(18)은 전방 고정부(19)와 후방 가동부로 이루어지고, 후방 가동부는 뒷문(20)을 형성한다. 고정부(19)에 있는 한쌍의 양쪽 측벽(21)은 새시(5) 윗쪽으로 뻗는다. 뒷문(20)에 있는 양쪽으로 떨어진 한쌍의 측벽(23)은 가로 버팀대(24)에 의해 고정된다. 뒷문(20)의 측벽(23)의 간격은 고정부(19)의 측벽(21)의 간격과 비슷하다. 측벽(21)의 상단부(26) 가까이에서 측벽 사이를 가로지르는 피봇축(25)이 도어 피봇축(28)을 형성하고, 뒷문(20)은 피봇축(25)에 피봇 지지되고, 베일러(10)에서 베일을 생산하는 동안 도 1에 도시된 닫힌상태와 베일(2)을 운반기(16)로 배출하기 위해 도 4~7에 도시된 개방상태 사이를 화살표(A,B) 방향으로 도어피봇축(28)을 중심으로 피봇한다. 도 1과 15에만 도시된 한쌍의 메인 유압랩(27)은 뒷문(20)과 고정부(19) 사이에서 동작하면서 뒷문(20)을 여닫는다.
여러개의 벨트(29)가 나란히 위치하고, 도면에는 그중 하나만 도시되었는데, 이들 벨트는 위치가 고정된 피동롤러(30)와 아이들 롤러(31)와 인정롤러(32) 둘레에 감겨 베일러(10)에서 베일(2)을 형성한다. 피동롤러(30)는 고정부(19)의 측벽(21) 사이에 위치하고, 이들 측벽(21)의 베어링(도시 안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축(34)에 고정된다. 아이들롤러(31)는 뒷문(20)의 측벽들(23) 사이에 위치하고, 이들 측벽(23)의 베어링(도시 안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축(35)에 고정된다.
인장롤러(32)는 양쪽으로 떨어진 한쌍의 인장 아암(37) 사이로 뻗는다. 인장 아암(37)은 뒷문(20) 안쪽으로 측벽(23) 가까이 위치하고, 피봇축(25)에 피봇 지지된다. 인장롤러(32)는 인장아암(37)을 고정하도록 인장아암(37) 사이로 뻗는 축(3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일러(10)의 양쪽에서 인장아암(37)과 뒷문(20) 사이에서 작용하는 2쌍의 인장스프링(36)에 의해 벨트(29)가 인장되어 베일을 형성하는 사료가 치밀해진다. 인장스프링(36)은 피봇축(25)을 중심으로 화살표(C) 방향으로 인장아암(37)을 밀어주어 베일러(10)에서 베일을 형성하는 동안에는 벨트(29)를 느슨하게 하고 베일을 형성하는 사료를 치밀하게 한다. 이런 구성을 당업자라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뒷문과 해당 커넥터(33) 사이에서 작용하면서 인장스프링(36)을 인장아암(37)에 결합하는 한쌍의 인장램(38)은 인장스프링(36)에 의해 벨트(29)에 가해진 인장력을 조절한다. 편의상 베일러(10)의 한쪽에만 있는 인장스프링(36)과 인장램(38)을 도 1에만 도시한다.
고정부(19)의 측벽들(21)에 있는 베어링(도시 안됨)에 회전가능하게 이들 측벽들 사이에 지지된 축(41)에 3개의 베일회전 롤러(40)가 지지된다. 베일회전 롤러(40)는 베일이 형성될 때 벨트(29)와 함께 베일성형실(42)을 형성하는데, 베일(2)이 형성될수록 그리고 인장롤러(32)에 의한 벨트(29)의 처짐이 인장아암(37)의 화살표(P) 방향의 피봇으로 줄어들수록 베일성형실의 직경이 커진다(도 3 참조). 베일성형중에 베일성형실(42)의 직경이 커지는 이런 특징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것이다.
트랙터와 같은 견인차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트랜스미션(도시 안딤)이 베일회전 롤러(40)와 피동롤러(30)를 구동하기위해 마련되는데, 이때 피동롤러는 벨트(29)를 구동하여 베일성형실(42)에서 형성된 베일을 회전시킨다.
새시(5)에 설치된 픽업기구(43)는 베일러(10)에서 전방하향 연장하여, 베일(2)을 형성할 때 사료를 픽업해 2개 베일회전 롤러(40a~b) 사이로 하여 베일성형실(42)에 공급한다. 견인차의 동력축으로 구동되는 트랜스미션(도시 안됨)가 픽업기구(43)를 구동한다.
뒷문(20)이 열렸을 때 베일성형실(42)에서 나온 베일(2)이 베일러(10)의 고정부(19)의 측벽(21)에 의해 뒷쪽을 향해 형성된 개방부(45)로 들어간다. 개방부(45)가 이루는 면(46)은 장치의 전진방향에 횡방향으로 뻗되, 수직면(47)에 대해 앞쪽으로 약간 기울어진다. 이렇게 개방부(45)가 이루는 경사면(46)과 수직면(47) 사이의 각도(α)는 5°정도이다(도 2, 4 참조).
수직면(47)에 대해 5°정도의 각도를 이루고 기울어진 경사면(46)을 이루는 고정부(19)로 이루어진 개방부(45)에 고정부를 위치시키면 베일러(10)의 고정부(19)와 베일랩퍼(14) 사이의 틈새가 최적화되어, 뒷문(20)을 쉽게 개폐할 수 있으면서도, 베일성형실(42)에서 운반기(16)로 베일을 배출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된다. 그러나, 베일러(10)와 베일랩퍼(14) 사이의 간격이 중요치 않으면, 경사면(46)과 수직면(47) 사이의 각도(α)를 0°나 -15°로 줄일 수 있으며, 이런 - 각도는 경사면(46)이 수직면(47)에 대해 뒷쪽으로 기울어진 것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각도(α)를 -30°내지 +30°로 할 수도 있다.
베일러(10)가 새시(5) 위에 설치되어 있어, 베일성형실(42)에서 형성되는 베일(2)의 중심축(48)은 장치의 전진방향에 횡방향으로 뻗는다. 즉, 베일성형실에서 형성되는 베일(2)의 중심축(48)은 장치의 차축(7)과 거의 평행하다. 따라서, 베일러(10)에서 운반기(16)로 베일(2)을 배출할 때, 베일의 중심축(48)은 운반기(16)의 피봇축(17)에 평행하다.
베일랩퍼(14)는 서로 이격된 한쌍의 베일지지 롤러, 즉 제1, 제2 베일지지롤러(50,51)를 갖는데, 이들 롤러는 평행하게 떨어진 제1, 제2 회전축(52,53)에서 각각 회전한다. 이들 롤러(50,51)는 장치의 차축(7)에 평행하고 래핑할 베일(2)을 지지하는데, 베일(2)의 중심축(48)은 롤러(50,51)에 평행하다. 롤러(50,51)는 동기화된 한쌍의 유압식 회전모터(55)로 구동되는데, 이때 제1 랩핑축(56)에서 각각의 베일(2)을 회전시키기에 적당한 체인구동 트랜스미션(도시 안됨)을 이용하고, 랩핑축(56)은 베일(2)을 랩핑하는 동안 베일의 중심축(48)과 일치한다. 롤러(50,51)의 설치에 대해서는 뒤에 자세히 설명한다.
수직으로 뻗은 원형 캐리어링(58)을 갖춘 캐리어 수단이 새시(5)에서 위로 돌출한 지지프레임(59)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쌍의 랩핑필름 디스펜서(60)가 캐리어링(58)에 180도 간격으로 설치된다. 랩핑필름 디스펜서(60)는 캐리어링(58)에 단단히 설치되어 있어, 캐리어링이 회전하면, 랩핑필름 디스펜서(60)가 제2 랩핑축(61) 둘레를 회전하고, 랩핑필름 디스펜서로부터 랩핑필름(3)이 제1 랩핑축(56)을 중심으로 롤러(50,51)에서 회전하는 베일(2)에 배치된다. 캐리어링(58)은 캐리어 평면(57)을 형성하고, 이 평면에서 랩핑필름 디스펜서(60)가 움직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펜서가 거의 수직으로 움직인다.
지지프레임(59)의 하단부 부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이중플랜지 피동롤러(63)는 제2 랩핑축(61)을 중심으로 캐리어링(58)을 구동 지지한다. 지지프레임(59)의 상단부 부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서로 이격된 이중플랜지 아이들 롤러(65)는 캐리어링(58)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고 이중플랜지 피동롤러(63)와 협력하여, 캐리어링(58)을 거의 수직 방향으로 유지한다. 지지프레임(59)과 이중플랜지 피동-아이들 롤러들(63,65)은 캐리어링(58)이 장치(1)의 전진방향에 횡방향으로 뻗도록 새시(5)에 대해 구성된다. 따라서, 캐리어링(58)이 이루는 캐리어 평면(57)도 장치의 전진방향에 횡방향으로 뻗고, 제2 랩핑축(61)은 제1 랩핑축(56)에 대해 직각이면서 수직으로 뻗는다. 요컨대, 제2 랩핑축(61)은 장치(1)의 전진방향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뻗는다. 캐리어링(58)과 캐리어 평면(57)은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50,51) 사이에 위치하되 후술하는 이유로 제2 롤러(51)보다는 제1 롤러(50)에 더 가까이 위치한다.
제2 구동수단, 즉 지지프레임(59)에 설치된 한쌍의 동기식 제2 유압 회전모터(66)가 이중플랜지 구동롤러(63)를 구동하여 캐리어링(58)을 회전시키면, 제2 랩핑축(61) 둘레로 캐리어링(58)이 이루는 주행궤적을 따라 랩핑필름 디스펜서(60)가 회전하고, 이어서 롤러(50,51)에 의해 제1 랩핑축(56)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베일(2) 둘레를 디스펜서가 회전한다.
베일랩퍼(14)의 롤러(50,51)로 베일(2)을 운반하는 운반기(16)에 한쌍의 평행하게 이격된 측면부재들(68)이 있는데, 이들 측면부재들은 3개의 이격된 원형 단면의 캐리어 부재들(70)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데, 이들 부재(70)는 측면부재들(68) 사이를 횡방향으로 뻗으면서 측면부재들에 단단히 결합된다. 운반기(16)의 바깥쪽 측면으로 돌출한 한쌍의 피봇축(69)이 각각의 측면부재(68)에 단단히 고정되어 돌출한다. 이들 피봇축(69)은 장착브라켓(71)내의 베어링(67)에 피봇 지지되고, 장착브래킷들은 새시(5)의 양쪽 측면부재들(74)에 설치되어 새시에 대해 운반기(16)를 피봇 가능하게 설치한다. 한쪽 피봇축(69)과 그 배치에 대해서는 도 11~13을 참조하면 된다. 양쪽 피봇축(69)은 서로 정렬되어 운반 피봇축(17)을 형성한다. 운반기(16)는 도 4, 11에 도시된 처음 상태로부터 화살표(D) 방향으로 운반피봇축(17)을 중심으로 피봇하면서, 베일러(10)의 베일(2)을 도 6, 13의 두번째 상태로 옮겨 베일(2)을 베일랩퍼(14)로 이동시킨다. 캐리어부재(70)는 운반기(16)에 위치하면서, 베일러(10)에서 배출된 베일(2)을 받는다. 측면부재들(68) 사이를 횡으로 뻗는 크로스바(78)는 측면부재에 단단히 고정되어 운반기(16)를 보강한다.
운반기(16)의 측면부재들(68) 각각에서 뻗어 평행하게 이격된 한쌍의 장착 브라켓(72)이 운반피봇축(17)의 반대쪽으로 측면부재(68)에 위치하고, 이곳까지 3개의 캐리어 부재(70)가 위치하고, 또한 캐리어 부재(70)에 대해 피봇축(17)의 반대쪽으로 운반기(16)에 위치하는 제1 베일지지롤러(50)를 지지한다. 제1 베일지지롤러(50)는 장착 브라켓(72)의 베어링(도시 안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 축(73)에 단단히 고정된다. 제1 베일지지롤러(50)의 제1 축(73)이 제1 회전축(52)을 형성하고, 제1 베일지지롤러(50)가 회전 지지된 제1 회전축(52)은 운반 피봇축(17)에 평행하다. 제1 베일지지롤러(50)를 구동하는 제1 유압모터(55)가 운반기(16)의 장착 브라켓(72) 중 하나에 설치된다.
새시(5)의 측면부재(74)의 각각의 브라켓(76)과 운반기(16)의 측면부재(68)의 브라켓(77) 사이에서 작동하는 한쌍의 제1 이중작동 유압램(75)을 갖춘 제1 푸싱수단이 도 4와 11에 도시된 제1 상태로부터 도 6과 13에 도시된 제2 상태까지 화살표(D) 방향으로 운반 피봇축(17)을 중심으로 운반기(16)를 밀어내, 베일러(10)에서 배출된 베일(2)을 베일랩퍼(14)로 운반한다.
제1 베일지지롤러(50)가 3개의 캐리어부재(70)의 반대쪽으로 피봇축(17) 쪽의 운반기(16)에 위치하기 때문에, 운반기(16)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피봇하면서 캐리어부재들이 윗쪽으로 밀려 베일(2)을 베일랩퍼(14)쪽으로 운반할 때, 제1 베일지지롤러(50)는 도 2, 3, 11에 도시된 베일랩핑 상태로부터 도 6에 도시된 하향이동 상태까지 화살표(F) 방향으로 아랫쪽으로 밀린다. 이때문에 베일(2)을 베일랩퍼(14)로 운반할 때 베일(2)에 필요한 상부공간이 상당히 줄어든다. 요컨대, 베일랩퍼(14)로 베일(2)을 운반하는 동안 베일(2)에 이용되면서 캐리어링(58)에 의해 제한되는 상부공간이 늘어난다. 이렇게 제1 베일지지롤러(50)가 하향이동 상태로 아랫쪽으로 밀려 베일에 이용되는 늘어난 상부공간은 캐리어링(58)의 직경을 바꾸지 않고도 베일이 이용할 수 있다. 이때문에, 캐리어링(58)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장치 전체의 폭을 줄일 수 있다. 또, 운반기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피봇하면서 제1 베일지지롤러(50)가 베일랩핑상태에서 아랫쪽으로 밀리기 때문에, 운반기(16)를 베일러(14)보다 상당히 낮은 높이로 제1 상태에 둘 수 있어 베일을 베일랩퍼(14)로 운반할 수 있다. 이때문에 베일러(10)를 낮은 높이로 새시(5)에 배치할 수 있으면서도, 베일러(10)로부터 제1 상태에 있는 운반기(16) 위로 베일을 배출할 수 있다. 장치가 뒷문식 베일러를 갖추고 있을 때 이런 사실이 특히 유리하다.
베일(2)이 베일랩퍼(14)로 이동되었으면, 운반기(16)가 제1 유압램(75)에 의해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화살표(E) 방향으로 복귀하여, 제1 베일지지롤러(50)를 베일랩핑 상태로 되돌리며, 이때 2개의 롤러(50,51)에 지지된 베일(2)은 랩핑할 준비상태에 있다(도 6~7 참조).
또, 롤러(50)가 베일랩핑 상태에 있을 때 롤러의 제1 회전축(52)을 포함한 수평면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서 새시(5)의 브라켓(71)에 피봇되게 피봇축(59)이 설치되는데, 이 높이는 양쪽 롤러(50,51)가 베일랩핑 상태에 있을 때의 이들 롤러의 회전축(52,53)을 포함한 평면보다도 낮다. 이때문에 운반기(16)로 베일(2)을 베일랩퍼(14) 위로 운반하는 동안 베일(2)이 이용할 수 있는 상부공간도 늘어난다.
새시(5)에서 뒷쪽으로 뻗은 캐리어 프레임(80)에 회전 지지된 제2 축(79)에 제2 베일지지롤러(51)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캐리어 프레임(80)은 U형이고 크로스부재(83)로 결합된 한쌍의 측면부재들(82)을 포함한다(도 9, 10, 14 참조). 캐리어 프레임(80)의 크로스부재(83)에 단단히 고정되어 윗쪽으로 뻗은 한쌍의 이격된 캐리어판(81)이 롤러(51)의 제2 축(79)을 제2 회전축(5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롤러(51)를 구동하는 제1 유압모터(55)는 캐리어 프레임(80)에 설치된 캐리어판(81) 중의 하나에 설치된다.
캐리어 프레임(80)의 측면부재들(82)로부터 바깥쪽으로 벋는 한쌍의 피봇축(85)에 의해 캐리어프레임이 새시(5)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들 피봇축(80)은 새시(5)의 측면부재(74) 각각의 후단부(15) 가까이에 고정된 장착판(84)의 베어링(도시 안됨)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들 피봇축(85)은 서로 정렬되면서 공통의 피봇 장착축(86)을 형성하고, 피봇 장착축에서 피봇하는 캐리어프레임(80)은 다수의 선택적 베일랩핑 상태들 사이로 피봇하면서 제2 롤러(51)를 지지하며, 이 롤러(51)는 제1 롤러(50)와 베일랩핑 상태에서 협동하여 다양한 직경의 베일들(2)을 지지함으로써, 랩핑을 하는 동안 베일(2)에 허용되는 상부공간을 최대화한다.
캐리어프레임(80)이 공통의 피봇장착축(86)을 중심으로 피봇하기 때문에, 제2 롤러(51)의 제2 회전축(53)의 높이를 롤러(50)가 베일랩핑 상태에 있을 때의 제1 회전축(52)을 포함한 수평면 높이에 대해 여러 선택적 높이로 위아래로 바꿀 수 있다. 제1 롤러(50)의 제1 회전축(52)에 대한 제2 롤러(51)의 제2 회전축(53)의 선택적 높이들은 제2 롤러(51)의 선택적 베일랩핑 상태들에 대응한다.
또, 제2 롤러(51)는 여러 선택적 베일랩핑 상태들에서 동작하는데, 제1 롤러(50)가 베일랩핑 상태에 있을 때의 제1 회전축(52)을 포함한 수평면 높이 위로 각각 d1 간격의 여러 선택적 높이레 제2 롤러(51)의 제2 회전축(53)이 위치하는데, 이런 제2 회전축(53)은 또한 제1 롤러(50)가 베일랩핑 상태에 있을 때의 제1 회전축을 포함한 수평면의 높이 아래로 각각 d2 간격으로 여러 선택적 높이로도 위치한다. 도 2, 3, 7에서, 제1 롤러(50)는 베일랩핑 상태에 있고 제2 롤러(51)는 여러 베일랩핑 상태들 중의 하나에 있으며, 롤러(51)의 제2 회전축(53)의 높이는 롤러(50)의 제1 회전축(52)을 포함한 수평면보다 d1 더 높이 있다.
도 16에서 제2 롤러(51)는 여러 선택적 베일랩핑 상태들 중의 다른 상태에 있고, 이때 회전축(53)은 롤러(50)의 회전축(52)을 포함한 수평면보다 d2만큼 낮은 높이에 있다.
제1 롤러(50)가 베일랩핑 상태에 있을 때 이 롤러의 제1 회전축(52)을 포함한 수평면보다 최대 100mm의 d2만큼 롤러(51)의 제2 회전축(53)이 낮게 있는 상태로부터, 제1 롤러(50)가 베일랩핑 상태에 있을 때의 제1 회전축을 포함한 수평면보다 최대 100mm의 d1만큼 제2 회전축이 높게 있는 상태까지 제2 롤러(51)를 선택적인 베일랩핑 상태들을 통해 밀어내기 위해 캐리어프레임(80)은 공통의 피봇장착축(86)을 중심으로 피봇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롤러(50)가 베일랩핑 상태에 있을 때의 제1 회전축(52)을 포함한 수평면 밑으로 최대 200mm의 d2 높이와 수평면 위로 최대 200mm의 d1 높이 사이로 제2 롤러(51)를 밀어주도록 캐리어프레임(80)이 피봇장착축(86)에 대해 피봇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때 d2와 d1의 최대값은 각각 300mm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랩핑을 하는 동안 베일의 상부공간이 최대가 되도록 제2 롤러(51)의 베일랩핑 상태를 선택한다. 베일의 직경이 작을 경우, 제2 롤러(51)의 제2 회전축(53)이 제1 롤러(50)의 제1 회전축(52)을 포함한 수평면보다 높이 있도록 제2 롤러의 베일랩핑 상태를 선택한다. 장치(1)에서 생산하는 베일의 직경이 최소일 경우, 상기 수평면보다 최대 높이 d1에 있도록 제2 롤러(51)의 회전축 높이를 설정한다. 베일러(10)에서 생산되는 베일의 직경이 증가하면, 제2 롤러(51)의 제2 회전축(53)의 높이가 사기 수평면보다 높이있도록 제2 롤러의 베일랩핑 상태를 선택한다. 생산되는 베일의 직경이 더 커지면, 제2 회전축의 높이가 상기 수평면보다 밑에 있도록 제2 롤러의 베일랩핑 상태를 선택하고, 베일의 직경이 더 커지면 제2 회전축의 높이는 상기 수평면보다 더 밑에 있도록 한다. 따라서, 랩핑필름 디스펜서(60)의 이동궤적에 의해 제한되는 베일에 대한 상부공간이 베일 랩핑동안 최대화된다.
다양한 직경의 베일들(2)을 수용하기 위해 제2 베일지지롤러(51)를 다수의 선택적 베일랩핑 상태들에서 작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랩핑필름 디스펜서(60)가 회전중인 베일 위로 해서 캐리어링(58)과 회전중인 베일(2) 사이로 지나갈 때 캐리어링(58)과 디스펜서(60) 양쪽에 의해 제한되는 베일(2)의 상부공간이 캐리어링(58)의 직경의 증가 없이도 최대화되고, 이때문에 장치 전체의 폭은 최소화된다.
랩핑필름 디스펜서(60)가 회전중인 베일(2) 밑을 지나갈 때 디스펜서(60)에서 베일(2)로 배출중인 랩핑필름(3)을 수용하기 위해 롤러(51)의 모든 랩핑 상태에 대한 양쪽 롤러(50,51) 사이의 수평 간격을 랩핑필름(3)의 폭보다 크게한다.
베일랩퍼(14)에서 래핑된 베일을 배출하기 위한 도 8의 배출상태와 선택적 베일랩핑 상태들 각각의 사이에서 캐리어프레임(80)은 화살표(G,H) 방향으로 공통의 피봇장착축(86)을 중심으로 피봇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캐리어링(58)이 제2 롤러(51)보다는 제1 롤러(50)에 가까이 위치하므로 캐리어링(58)의 아랫부분이 베일랩퍼(14)에서의 베일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는다.
캐리어프레임(80)의 측면부재들(82)에 설치된 브라켓(90)과 위치(89)에 있는 각각의 장착판(84) 사이에서 작동하는 한쌍의 제2 이중작동 유압램(88)을 포함한 제2 푸싱수단에 의해, 공통 피봇장착축(86)을 중심으로 캐리어프레임(80)이 피봇하면서 베일러(10)에서 생산된 베일의 직경에 맞게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에 제2 롤러(51)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베일랩퍼(14)에서 베일을 배출하는 배출상태와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 사이에서 캐이러프레임(80)이 작동된다.
도 15를 참조하여, 랩핑된 베일(2)을 생산하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92)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회로(92)는 프로세서로서 마이크로컨트롤러(93)를 갖는다. LCD 스크린과 연결된 키보드나 터치스크린을 포함해 키패드(94)와 LCD 스크린(95)과 같은 입력수단이 베일러(10)에 설치되고 마이크로컨트롤러(93)에 연결되어, 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한 각종 명령어는 물론 베일(2)을 형성할 선택된 직경을 입력할 명령어를 마이크로컨트롤러(93)에 입력한다.
베일러(10)에서 형성되는 베일의 직경을 결정하기 위해 베일러(10)의 특성을 감시하는 제1 감시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베일러(10)에서 베일을 형성하기 전에 도 1에 도시된 초기 정지위치로부터 베일러(10)의 인장아암(37)의 각운동을 감지하기 위한 제1 회전 전위차계(96)를 피봇축(25)에 설치한다. 정지위치에 대한 인장아암(37)의 각위치를 감지하여 베일의 직경을 결정할 수 있는데, 이는 베일의 직경이 정지위치로부터의 인장아암(37)의 각운동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제1 회전 전위차계(96)의 신호를 판독한 마이크로컨트롤러(93)는 베일러(10)에서 형성중인 베일(2)의 현재 직경을 계산한다.
장착판(84)에 대한 캐리어프레임(80)의 각위치와 제2 롤러(51)의 현재 베일랩핑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제2 감시수단으로서, 캐리어프레임의 각운동을 감시하기 위한 제2 회전 전위차계(97)를 피봇축(85)에 설치하는데, 이 전위차계는 제2 롤러(51)의 현재 베일랩핑 상태도 감시한다. 장착판(84)에 대한 캐리어프레임(80)의 각운동을 알면, 제1 롤러(50)의 제1 회전축을 포함한 수평면 위아래로의 제2 롤러(51)의 제2 회전축(53)의 높이를 쉽게 계산할 수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93)는 제2 회전 전위차계(97)의 신호를 읽고 제2 롤러(51)의 현재 베일랩핑 상태를 계산한다.
베일러(10)의 뒷문(20)을 화살표(A,B) 방향으로 피봇 개폐하기 위해 메인 유압램(27)의 동작을 제어하는 유압회로(98)가 마이크로컨트롤러(93)의 제어하에 동작한다. 유압회로(98)는 제1 유압램(75)도 제어하여 운반기(16)를 제1, 제2 상태들 사이로 화살표(D,E) 방향으로 피봇하기도 한다. 유압회로(98)는 제2 롤러(51)를 선택된 상태로 밀어주기 위해 화살표(G,H) 방향으로 캐리어프레임(80)을 피봇하도록 제2 유압램(88)의 동작도 제어하는 한편, 캐리어프레임을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와 배출상태 사이로 피봇하기도 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93)의 제어를 받는 솔레노이드 제어 유압밸브(100,101,102)는 고압 유체원(103)에서 메인 유압램(27)과 제1 유아램(75)과 제2 유압램(88)까지의 유체공급을 각각 제어하여, 이들 유압램(27,75,88)을 적절히 제어한다.
제2 롤러(51)의 베일랩핑 상태에 적당한 베일 직경에 관한 룩업 테이블이 마이크로컨트롤러(93)에 저장된다. 마이크로컨트롤러(93)는 키패드(94)를 통해 입력되는 베일(2)의 직경에 응답하여, 이 직경에 해당하는 제2 롤러(51)의 베일랩핑 상태를 룩업테이블에서 읽도록 프로그램된다. 마이크로컨트롤러(93)가 솔레노이드 밸브(102)를 작동시키면 제2 유압램(88)이 동작하여 캐리어프레임(80)을 세팅하고, 이때 적절한 베일랩핑 상태로 제2 롤러(51)가 세팅된다. 마이크로컨트롤러(93)는 제2 롤러(51)를 적당한 베일랩핑 상태로 세팅하는 동안 제2 회전 전위차계(97)의 신호를 지속적으로 판독하여, 제2 롤러(51)가 적당한 베일랩핑 상태에 있을 때를 결정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93)가 베일(2)를 랩핑하는 동안 제2 회전 전위차계(97)로부터 신호들을 지속적으로 판독하고 솔레노이드제어 유압밸브(102)를 작동시키면, 제2 유압램(88)이 동작하여 제2 롤러를 적절한 베일랩핑 상태에 유지한다.
유압식 제1, 제2 로터리 모터(55,66)가 직렬로 연결되어 속도가 동기화된다. 마이크로컨트롤러(93)의 제어하에 고압 유체원(103)으로부터 유량가변 제어밸브(104)를 통해 이들 모터(55,66)에 유체가 공급되어 모터(55,66)의 속도를 제어하면, 2개 롤러(50,51)와 캐리어링(58)의 회전속도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시, 장치(1)를 트랙터와 같은 견인차에 연결하고, 장치의 구동 트랜스미션(도시 안됨)에 트랙터의 동력축을 결합하여 벨트(29)와 베일회전 롤러(40)를 구동하는 피동 롤러(30)를 회전시키며, 피동 롤러가 유압회로(98)의 고압유체원(103)도 작동시키도록 하면 장치를 사용할 준비가 된 것이다. 베일러(10)로 형성할 베일(2)의 직경을 선택해 키패드(94)를 통해 마이크로컨트롤러(93)에 입력한다. 당업계에 잘 알려진 다른 선택 변수들도 키패드(94)를 통해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입력할 수 있다. 베일러(10)의 뒷문(20)이 닫혀있고 운반기(16)가 제1 상태에 있으면, 견인차로 장치(1)를 풀밭이나 건초더미 등의 사료가 있는 곳을 따라 끌고다니면서 베일회전 롤러(40a~b)를 통해 베일러(10)에 사료를 보낼 수 있다.
베일회전 롤러(40a~b)를 통해 픽업기구(43)로 사료를 밀어내면, 벨트(29)가 롤러(40)에서 떨어지면서 사료를 베일로 형성하기 시작하는데, 이때 베일회전 롤러(40)와 벨트(29)는 베일성형실(42)을 형성한다. 화살표(K) 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40)와 화살표(L) 방향으로 롤러(30)에 의해 밀리는 벨트(29)의 동작 때문에 베일성형실(42)내의 사료가 화살표(N)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고(도 3 참조), 이어서 원통형 베일(2)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픽업기구(43)에 의해 베일성형실(42)안으로 사료가 밀리면, 인장아암(37)이 화살표(P) 방향으로 피봇하고, 인장롤러(32)에 의해 벨트(29)가 느슨해저 형성중인 베일의 직경 증가를 수용할 수 있다. 인장아암(37)에 작용하는 인장스프링(36) 때문에 베일이 적절한 치밀도로 형성된다.
베일러(10)에서 베일이 형성되면서 마이크로컨트롤러(93)는 제1 회전 전위차계(96)의 신호를 읽고, 선택된 직경으로 형성되고 있는 베일(2)을 감지한 마이크로컨트롤러(93)는 베일러(10)의 베일성형실(42)에서 형성된 베일의 원주를 감싸도록 원주랩핑 시스템(도시 안됨)을 작동시킨다. 베일러의 베일성형실내의 베일의 원주 랩핑에 관해서는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원주랩핑이 끝나면 베일러(10)의 뒷문을 닫힌상태에서 열린상태로 화살표(A) 방향으로 피봇하도록 마이크로컨트롤러(93)가 메인 램(27)을 작동시킨다. 뒷문이 열리도록 피봇되고 운반기(16)가 제1 상태에 있으면, 형성된 베일이 운반기(16)의 캐리어 부재(70) 위로 배출되고, 이때 베일(2)의 중심축(48)은 운반피봇축(17)에 평행하다(도 4 참조). 뒷문(20)이 열린 상태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93)는 제1 램(75)을 작동하여 운반기(16)를 피봇축(17)을 중심으로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화살표(D) 방향으로 피봇하여 베일(2)을 베일랩퍼(14)로 운반하며, 이때 베일(2)의 중심축(48)은 양쪽 롤러(50,51)에 평행하다(도 5~6 참조). 운반기(16)가 제1 유압램(75)에 의해 피봇축(17)을 중심으로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밀리면, 제1 롤러(50)가 화살표(F) 방향으로 아랫쪽으로 움직여(도 6 참조), 제1 롤러(50) 위로해서 베일(2)을 베일랩퍼(14)로 운반하는 동안 제1 롤러(50)와 캐리어링(58) 사이의 상부공간이 최대화된다.
운반기(16)가 유압램(75)에 의해 운반피봇축(17)을 중심으로 화살표(D) 방향으로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밀리면서, 베일(2)은 제1 롤러(50)와 2개의 캐리어부재(70)에 지지된채 제1 롤러(50)를 타고 아랫쪽으로 구른다(도 5 참조). 운반기(16)가 화살표(D) 방향으로 더 피봇하면 베일은 양쪽 롤러(50,51)에 지지되고, 이때 제2 롤러(51)는 적당한 베일랩핑 상태에 있으며 제1 롤러(50)는 아랫쪽으로 이동한 위치에 있다(도 6 참조). 운반기(16)가 제2 상태에 있고 베일(2)이 양쪽 롤러(50,51)에 지지되면, 마이크로컨트롤러(93)에 의해 제1 램(75)이 도악하여 운반기는 화살표(E) 방향으로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돌아가고, 제1 롤러(50)는 베일랩핑 상태로 돌아간다(도 7 참조). 또, 운반기(16)가 제1 상태로 돌아갔으면, 마이크로컨트롤러(93)에 의해 메인 램(27)이 작동하여 뒷문(20)은 화살표(B) 방향으로 피봇하여 닫히고 다음 베일 형성을 대기한다.
운반기(16)가 베일랩퍼(14)에 베일(2)을 운반할 때, 롤러(51)가 제2 유압램(88)에 의해 베일(2)의 직경에 맞는 베일랩핑 상태에 이미 있으면, 마이크로컨트롤러(93)는 베일(2)의 직경에 맞는 롤러(51)의 베일랩핑 상태를 룩업테이블로부터 결정한 다음, 제2 유압램(88)을 작동하여 캐리어프레임(80)을 공통의 피봇장착축(86)을 중심으로 피봇하여, 롤러(51)를 적절한 베일랩핑 상태로 설정한다. 제2 롤러(51)가 적당한 베일랩핑 상태에 있으면, 베일(2)이 양쪽 롤러(50,51)에 지지되고, 베일(2)을 랩핑하는 동안 이렇게 지지된 베일(2) 위로 랩핑필름 디스펜서(60)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상부공간이 형성된다. 롤러(51)를 적당한 베일랩핑 상태에 세팅하는 동안, 마이크로컨트롤러(93)는 제2 전위차계(97)의 신호를 읽어, 장착판(84)에 대한 캐리어프레임(80)의 각위치가 상기 베일랩핑 상태에 대응하는 각도에 있을 때를 결정한다.
베일이 양쪽 롤러(50,51)에 지지되면, 마이크로컨트롤러(93)는 유압모터(55,66)를 작동하여 롤러(50,51)와 캐리어링(58)을 회전시키고, 이렇게 되면 베일(2)이 제1 랩핑축(56)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한편 필름 디스펜서(60)는 제2 랩핑축(61) 둘레를 선회한다. 디스펜서(60)가 이렇게 선회하면서, 랩핑필름(3)이 디스펜서(60)로부터 회전하는 베일(2)을 감싸게된다.
랩핑필름(3)으로 베일(2)을 감싸는 것이 끝나면, 마이크로컨트롤러(93)의 제어하에 컷-홀드 기구(도시 안됨)가 작동하여 베일(2)을 감싼 랩핑필름(3)을 디스펜서의 랩핑필름에서 절단한다. 이어서, 마이크로컨트롤러(93)는 제2 램(88)을 작동하여, 캐리어프레임(80)을 화살표(G) 방향으로 배출상태로 피봇하여 베일(2)을 베일랩퍼(14)에서 배출한다(도 8 참조).
베일을 배출할 때, 마이크로컨트롤러(93)는 제2 램(88)을 작동하여 캐리어프레임(80)과 롤러(51)를 베일랩핑 상태들 중의 하나로 되돌리고, 이때 베일랩퍼(14)는 베일러(10)에서 다음 베일을 받아 작업할 준비상태에 있다.
본 발명의 베일랩퍼를 베일러에 결합하지 않고 단독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운반기는 지면에서 베일을 집어올려 베일랩퍼로 운반하거나, 베일 조작기와 같은 다른 장치를 통해 베일을 받거나, 베일을 베일랩퍼에 운반하기 위해 베일랩퍼와는 무관한 베일러로부터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일랩퍼는 단독으로든 베일러에 결합한 형태든 운반기를 갖추되, 제2 베일지지 롤러는 하나의 베일랩핑 상태에서만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베일랩퍼에서 베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2 베일지지 롤러의 하강을 허용하는 장착요소나 캐리어프레임이나 다른 부분에 이 롤러를 설치한다. 베일랩퍼를 결합상태로 제공하고 제2 베일지지 롤러가 하나의 베일랩핑 상태에서만 동작하는 경우, 베일러가 한가지 직경의 베일만 생산하도록 하거나, 또는 베일 직경을 선택하도록 하면서 베일을 랩핑하는 동안 베일랩퍼의 상부공간에 이런 베일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제2 베일지지 롤러가 여러 베일랩핑 상태에서 동작하도록 하되, 운반기를 없앨 수도 있다. 이 경우, 베일랩퍼를 베일러에 결합하고, 베일을 베일러에서 베일랩퍼로 운반하는 적당하는 운반수단을 설치할 수 있으며, 어떤 경우에도 베일을 베일러에서 바로 베일랩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캐리어링에 한쌍의 랩핑필름 디스펜서를 설치한 것에 대해 설명했지만, 디스펜서를 하나만 또는 더 많이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디스펜서를 캐리어링에 단단히 고정하지 않고, 캐리어링을 고정하되 디스펜서를 제2 랩핑축 둘레로 안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펜서를 캐리어링 둘레로 구동하는 트랜스미션 수단을 제공한다.
또, 제2 랩핑축을 수평이 아닌 기울어지게 하고, 디스펜서를 제2 랩핑축 둘레로 안내하는 캐리어링이나 다른 수단이 수직면에 각도를 이루는 캐리어 평면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원형의 캐리어링에 대해 설명했지만, 캐리어링이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베일러를 벨트형이 아닌 다른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베일성형실의 원주를 이루는 다수의 평행한 베일회전 롤러들로 베일성형실을 구성할 수도 있다.
특정한 형상과 구성의 운반기에 대해 설명했지만, 다른 적절한 운반수단을 배치할 수도 있다. 캐리어 부재외의 다른 적당한 수납수단을 운반기에 배치하여 베일을 베일랩퍼에 운반할 수도 있다. 이런 수납수단을 캐리어 부재로 설명했지만, 캐리어부재가 회전식 캐리어롤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베일지지 롤러를 선택적 베일랩핑 상태로 세팅하는 수단으로서 피봇형 캐리어프레임과 캐리어프레임을 피봇하는 제2 유압램에 대해 설명했지만, 제2 베일지지 롤러가 제1 베일지지 롤러에 대해 직선운동하면서 옆으로 밀려 각각의 베일랩핑 상태로 들어가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사이의 간격을 각각의 베일랩핑 상태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양쪽 롤러에 지지되는 베일의 높이를 변경하여 상부공간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베일지지 롤러가 제1 베일지지 롤러에 대해 직선운동으로 옆으로 움직이게하는 대신, 제2 베일지지 롤러를 텔레스코핑 요소에 설치하여 각각의 베일랩핑 상태에 맞게 밀어줄 수도 있다.
또, 피봇하게 설치된 한쌍의 측면부재들을 갖는 캐리어프레임에 제2 베일지지 롤러를 지지하고, 측면부재들을 서로에 대해 텔레스코픽으로나 미끄러지게 설치할 수도 있다. 피봇운동은 제2 베일지지 롤러를 베일랩핑 상태와 배출상태 사이로 움직이게 하고, 측면부재들의 미끄럼운동은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데 이용된다.
운반기에 의해 베일이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위로 운반되었을 때 제2 베일지지 롤러가 베일랩핑 상태로 밀리게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2 베일지지 롤러는 베일을 랩핑하는 동안 적절한 베일랩핑 상태로 유지된다.
트랙터나 다른 견인차로 견인하는동안 베일을 베일랩퍼에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환경에서 제2 베일지지 롤러가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언덕이나 경사지에서 윗쪽으로 장치를 견인할 때, 제2 베일지지 롤러가 제1 베일지지 롤러 위로 최대로 밀려올라가고, 최대 높이에서 제2 베일지지 롤러가 수평 지면에 있을 때의 제1 베일지지 롤러의 제1 회전축을 포함한 수평면 위로 세팅되도록 한다. 이 경우 장치가 언덕위로 견인될 때 베일랩퍼 뒷쪽으로 베일이 구르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장치를 언덕에서 밑으로 견인할 때, 장치가 수평 지면에 있을 때의 제1 베일지지 롤러의 제1 회전축을 포함한 수평면 높이보다 최대한 낮은 높에 제2 베일지지 롤러가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평에 대한 장치의 각도를 감지하는 틸트스위치를 설치하고 틸트스위치의 신호에 응답해 제2 램이 작동하도록 한다.
베일을 랩핑하는 동안 제2 전위차계의 신호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원하는 베일랩핑 상태에 제2 베일지지 롤러를 유지하도록 제2 램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제2 전위차계의 신호에 응답해 제2 램이 동작하여 제2 베일지지 롤러를 적당한 베일랩핑 상태로 초기에 설정한 뒤에는 더이상 신호를 판독할 필요가 없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는 제2 램이 일단 세팅된 뒤에는 제2 베일지지 롤러를 그 상태로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어회로에 대해 설명했지만, 다른 제어회로나 신호 프로세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장치의 동작의 제어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한 신호 프로세서로 실행하고, 어떤 경우에는 프로그래머블 로직컨트롤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 베일랩퍼가 베일을 형성하고 랩핑하는 것에 대해 설명했지만, 베일러와 베일랩퍼 둘다 이 작업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베일랩퍼가 면이나 다른 재료의 베일을 랩핑할 수도 있다.
한쌍의 제1, 제2 유압램에 대해 설명했지만, 하나의 램만 이용할 수도 있다. 램 외의 다른 푸싱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유압식이나 전기식 선형모터나 솔레노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캐리어링이 이루는 캐리어 평면이 장치의 횡방향으로 수직으로 뻗어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캐리어 평면이 수직면에 각도를 이룰 수도 있어, 예컨대 -30도나 +30도로 기울어지게 할 수도 있다.
또, 캐리어링이 수평에 대해 30도 위로 뻗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베일지지 롤러가 여러 베일랩핑 상태로 동작하도록 하면서 다양한 직경의 베일들을 2개 롤러에 지지되도록 하고, 베일의 중심축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거나, 베일의 직경을 나타내는 비교적 좁은 범위의 높이내에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중인 베일에 랩핑필름을 부착할 수 있고, 랩핑필름의 중심선이 베일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베일러의 고정부가 이루는 개구부가 장치의 전진방향에 대해 전방 윗쪽으로 뻗는 평면을 형성한다고 설명했지만, 이 개구부를 전진방향에 대해 후방 윗쪽으로 뻗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할 수도 있다.
여러 베일랩핑 상태들로 움직일 수 있는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에 제2 베일지지 롤러가 움직이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제1 베일지지 롤러를 움직이도록 할 수도 있다.

Claims (115)

  1. 베일을 랩핑하는 베일랩퍼에 있어서:
    새시;
    베일을 랩핑하는 동안 베일을 제1 랩핑축 둘레로 회전시키면서 베일을 지지하는 베일랩핑 상태에서 동작하고 평행하게 떨어져 회전되게 설치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및
    베일을 받는 제1 상태로부터 베일을 베일랩퍼 위로 운반하는 제2 상태까지 동작하여, 베일을 베일랩퍼 위로 운반하는 운반수단;을 포함하고,
    제1 베일지지 롤러는 운반수단에 위치한채 운반수단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동작할 때 제2 베일지지 롤러와 무관하게 베일랩핑 상태로부터 아랫쪽으로 제2 베일지지 롤러에 대해 움직여, 운반수단이 베일을 베일랩퍼로 운반할 때 베일에 필요한 상부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베일지지 롤러가 운반수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운반수단이 운반피봇축을 중심으로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로 피봇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4. 제3항에 있어서, 운반수단이 베일랩퍼로 운반할 베일을 받는 수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수단이 운반피봇축의 한쪽에 위치하고, 제1 베일지지 롤러는 운반피봇축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운반수단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피봇하면 수납수단은 윗쪽으로 밀리고 제1 베일지지 롤러는 베일랩핑 상태로부터 아랫쪽으로 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수단이 운반수단에 지지되고 서로 이격된 한쌍의 캐리어부재를 포함하며, 캐리어부재는 서로 평행하면서 운반피봇축에 대해서도 평행하게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7. 제4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운반수단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동작하면 베일이 제1 베일지지 롤러 위로 이동하도록 수납수단이 제1 베일지지 롤러에 대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운반피봇축에 평행하게 이격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베일지지 롤러가 회전하도록 운반수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베일지지 롤러가 형성하는 제1 회전축에 평행하게 떨어진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2 베일지지 롤러가 회전하고, 제2 베일지지 롤러가 형성하는 제2 회전축과 운반피봇축이 제1 베일지지 롤러의 제1 회전축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운반피봇축을 중심으로 피봇하게 운반수단이 새시에 설치되고, 제2 베일지지 롤러가 새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베일지지 롤러가 베일랩핑 상태에 있을 때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 의해 형성된 제1 및 제2 회전축들을 포함한 평면 밑에 운반피봇축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운반수단이 제2 상태에 있을 때 제2 베일지지 롤러가 형성하는 제2 회전축을 포함한 수평면 밑으로 최대 간격으로 제1 베일지지 롤러가 최대로 밑으로 움직이도록 제1 베일지지 롤러가 운반수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로 운반수단을 밀어주는 제1 푸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랩핑축을 중심으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서 회전하는 베일에 랩핑재료를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의 랩핑재료 디스펜서를 제2 랩핑축 둘레의 이동궤적을 따라 안내하는 캐리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제2 랩핑축은 0도보다 큰 각도로 제1 랩핑축에 대해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15. 제14항에 있어서, 제2 랩핑축이 제1 랩핑축에 대해 직각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수단이 랩핑재료 디스펜서의 주행궤적을 포함한 캐리어 평면을 형성하고, 랩핑재료 디스펜서는 캐리어 수단에 의해 제2 랩핑축을 중심으로 안내되며, 제2 랩핑축은 캐리어 평면에 직각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평면이 제1 랩핑축을 포함한 수직면에 평행하거나 일치하는 윗쪽 방향, 제1 베일지지 롤러를 향해 상기 수직면에 대해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를 향해 상기 수직면에 대해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 중의 하나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평면이 상기 수직면에 대해 30°이하의 각도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하나를 향해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평면이 상기 수직면에 대해 20°이하의 각도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하나를 향해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평면이 상기 수직면에 대해 5°이하의 각도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하나를 향해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21.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평면이 수직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22. 제14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수단이 제2 랩핑축을 중심으로 랩핑재료 디스펜서를 선회시키도록 제2 랩핑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새시에 설치된 캐리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23. 제14항 내지 제22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수단이 캐리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24. 제14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평면이 제1 베일지지 롤러와 제2 베일지지 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베일지지 롤러와 제2 베일지지 롤러 중의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움직여 여러 베일랩핑 상태들 중의 하나로 이동하고, 이런 베일랩핑 상태에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이 서로 협력하여 여러 직경의 베일들을 지지하면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 지지된 베일에 필요한 상부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26. 제2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가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사이의 간격을 바꾸도록 이들 롤러들을 서로에 대해 움직여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27. 제2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가 다른 롤러의 높이에 대한 높이를 조정해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수의 베일랩핑 상태들 사이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를 밀어주는 제2 푸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29. 제25항 내지 제2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베일지지 롤러가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 제1 베일지지 롤러에 대해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랩핑축에 일치하는 중심축을 갖는 원통형 베일을 랩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31. 원통형 베일을 랩핑하는 베일랩퍼에 있어서:
    새시;
    베일을 랩핑하는 동안 베일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제1 랩핑축 둘레로 베일을 회전시키면서 지지하는 베일랩핑 상태에서 동작하고 평행하게 떨어져 회전되게 설치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제1 랩핑축을 중심으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서 회전하는 베일에 랩핑재료를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의 랩핑재료 디스펜서를 제1 랩핑축에 직각으로 뻗는 제2 랩핑축 둘레의 이동궤적을 따라 안내하는 캐리어 수단; 및
    베일을 받는 제1 상태로부터 베일을 베일랩퍼 위로 운반하는 제2 상태까지 동작하여, 베일을 베일랩퍼 위로 운반하는 운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수단은 디스펜서가 안내되는 이동궤적을 포함한 캐리어 평면을 형성하며, 캐리어 평면은 제1 랩핑축을 포함한 수직면에 평행하거나 일치하는 윗쪽 방향, 제1 베일지지 롤러를 향해 상기 수직면에 대해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를 향해 상기 수직면에 대해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 중의 하나로 뻗고;
    제1 베일지지 롤러는 운반수단에 위치한채 운반수단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동작할 때 제2 베일지지 롤러와 무관하게 베일랩핑 상태로부터 아랫쪽으로 제2 베일지지 롤러에 대해 움직여, 운반수단이 베일을 베일랩퍼로 운반할 때 베일에 필요한 상부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32. 제31항에 있어서, 제1 베일지지 롤러가 운반수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운반수단이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운반피봇축을 중심으로 피봇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34. 제33항에 있어서, 운반수단이 베일랩퍼에 운반할 베일을 받는 수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수단이 운반피봇축의 한쪽에 위치하고, 제1 베일지지 롤러는 운반피봇축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운반수단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피봇하면 수납수단은 윗쪽으로 밀리고 제1 베일지지 롤러는 베일랩핑 상태로부터 아랫쪽으로 밀리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36. 제34항 또는 제35에 있어서, 상기 수납수단이 운반수단에 지지되고 서로 이격된 한쌍의 캐리어부재를 포함하며, 캐리어부재는 서로 평행하면서 운반피봇축에 대해서도 평행하게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37. 제31항 내지 제36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운반수단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동작하면 베일이 제1 베일지지 롤러 위로 이동하도록 수납수단이 제1 베일지지 롤러에 대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38. 제31항 내지 제37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운반피봇축에 평행하게 이격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베일지지 롤러가 회전하도록 운반수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39. 제31항 내지 제3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베일지지 롤러가 형성하는 제1 회전축에 평행하게 떨어진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2 베일지지 롤러가 회전하고, 제2 베일지지 롤러가 형성하는 제2 회전축과 운반피봇축이 제1 베일지지 롤러의 제1 회전축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40. 제31항 내지 제39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운반피봇축을 중심으로 피봇하게 운반수단이 새시에 설치되고, 제2 베일지지 롤러가 새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41. 제31항 내지 제40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베일지지 롤러가 베일랩핑 상태에 있을 때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 의해 형성된 제1 및 제2 회전축들을 포함한 평면 밑에 운반피봇축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42. 제31항 내지 제41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운반수단이 제2 상태에 있을 때 제2 베일지지 롤러가 형성하는 제2 회전축을 포함한 수평면 밑으로 최대 간격으로 제1 베일지지 롤러가 최대로 밑으로 움직이도록 제1 베일지지 롤러가 운반수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43. 제31항 내지 제42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로 운반수단을 밀어주는 제1 푸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44. 제31항 내지 제4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평면이 상기 수직면에 대해 30°이하의 각도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하나를 향해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45. 제31항 내지 제44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평면이 상기 수직면에 대해 20°이하의 각도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하나를 향해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46. 제31항 내지 제45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평면이 상기 수직면에 대해 5°이하의 각도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하나를 향해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47. 제31항 내지 제4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평면이 수직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48. 제31항 내지 제47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수단이 제2 랩핑축을 중심으로 랩핑재료 디스펜서를 선회시키도록 제2 랩핑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새시에 설치된 캐리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49. 제31항 내지 제4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수단이 캐리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50. 제31항 내지 제49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평면이 제1 베일지지 롤러와 제2 베일지지 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51. 제31항 내지 제50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베일지지 롤러와 제2 베일지지 롤러 중의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움직여 여러 베일랩핑 상태들 중의 하나로 이동하고, 이런 베일랩핑 상태에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이 서로 협력하여 여러 직경의 베일들을 지지하면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 지지된 베일에 필요한 상부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52. 제5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가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사이의 간격을 바꾸도록 이들 롤러들을 서로에 대해 움직여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53. 제50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가 다른 롤러의 높이에 대한 높이를 조정해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54. 제50항 내지 제51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수의 베일랩핑 상태들 사이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를 밀어주는 제2 푸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55. 제50항 내지 제5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베일지지 롤러가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 제1 베일지지 롤러에 대해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56. 베일을 랩핑하는 베일랩퍼에 있어서:
    새시;
    베일을 랩핑하는 동안 제1 랩핑축 둘레로 베일을 회전시키면서 지지하는 베일랩핑 상태에서 동작하고 평행하게 떨어져 회전되게 설치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제1 랩핑축을 중심으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서 회전하는 베일에 랩핑재료를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의 랩핑재료 디스펜서를 제1 랩핑축에 대해 0도보다 큰 각도로 뻗는 제2 랩핑축 둘레의 이동궤적을 따라 안내하는 캐리어 수단;을 포함하고,
    제1 베일지지 롤러와 제2 베일지지 롤러 중의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움직여 여러 베일랩핑 상태들 중의 하나로 이동하고, 이런 베일랩핑 상태에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이 서로 협력하여 여러 직경의 베일들을 지지하면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 지지된 베일에 필요한 상부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57. 제56항에 있어서, 선택신호에 응답해 각각의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에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를 세팅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58. 제56항 또는 제57항에 있어서, 선택신호가 랩핑할 베일의 직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59. 제56항 내지 제5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이 각각 제1,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60. 제56항 내지 제59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가 나머지 롤러에 대해 움직여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 들어가고 베일의 중심축을 소정의 상하 높이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61. 제56항 내지 제60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를 나머지 롤러에 대해 움직여 상기 움직이는 롤러가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62. 제56항 내지 제61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를 나머지 롤러에 대해 높이를 조정하여 상기 움직이는 롤러가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63. 제62항에 있어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의 회전축을 나머지 롤러의 회전축을 포함한 수평면보다 300mm 낮은 하부 높이와, 상기 움직이는 롤러의 회전축을 상기 수평면보다 300mm 높은 상부 높이 사이에서 상기 움직이는 롤러를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를 통해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이는 롤러의 롤러의 회전축의 하부 높이가 상기 수평면 밑으로 200mm 이하에 있고, 상기 움직이는 롤러의 회전축의 상부 높이가 수평면 위로 200mm 이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65. 제63항 또는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이는 롤러의 롤러의 회전축의 하부 높이가 상기 수평면 밑으로 100mm 이하에 있고, 상기 움직이는 롤러의 회전축의 상부 높이가 수평면 위로 100mm 이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66. 제56항 내지 제65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움직이는 롤러가 장착요소에 지지되고, 이 장착요소는 움직이는 롤러를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 움직이도록 새시에 대해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요소가 새시에 대해 피봇장착축을 중심으로 피봇하고, 이 피봇장착축은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68. 제56항 내지 제67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움직이는 롤러를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 밀어주는 푸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수단이 선택신호에 응답해 상기 움직이는 롤러를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70. 제56항 내지 제69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움직이는 롤러가 랩핑된 베일을 베일랩퍼에서 배출하기 위해 선택된 베일랩핑 상태로부터 밑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71. 제56항 내지 제70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움직이는 롤러가 제2 베일지지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72. 제56항 내지 제71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랩핑축에 일치하는 중심축을 갖는 원통형 베일을 랩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랩퍼.
  73. 제1항 내지 제30항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베일랩퍼와 베일러가 새시에 설치되어 있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에 있어서:
    운반수단이 베일러에서 베일을 받아 베일렙퍼로 운반하게 베일러에 대해 위치하도록 베일랩퍼가 베일러에 대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74. 제31항 내지 제55항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베일랩퍼와 베일러가 새시에 설치되어 있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에 있어서:
    운반수단이 베일러에서 베일을 받아 베일렙퍼로 운반하게 베일러에 대해 위치하도록 베일랩퍼가 베일러에 대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75. 베일을 랩핑하는 베일랩퍼와 베일러가 새시에 설치되어 있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일랩퍼가 베일을 랩핑하는 동안 베일을 제1 랩핑축 둘레로 회전시키면서 베일을 지지하는 베일랩핑 상태에서 동작하고 평행하게 떨어져 회전되게 설치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및 베일러로부터 베일을 받는 제1 상태로부터 베일을 베일랩퍼 위로 운반하는 제2 상태까지 동작하면서 베일을 베일랩퍼 위로 운반하는 운반수단을 포함하고;
    제1 베일지지 롤러는 운반수단에 위치한채 운반수단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동작할 때 제2 베일지지 롤러와 무관하게 베일랩핑 상태로부터 아랫쪽으로 제2 베일지지 롤러에 대해 움직여, 운반수단이 베일을 베일랩퍼로 운반할 때 베일에 필요한 상부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76. 베일을 랩핑하는 베일랩퍼와 베일러가 새시에 설치되어 있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일랩퍼가 베일을 랩핑하는 동안 베일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제1 랩핑축 둘레로 베일을 회전시키면서 지지하는 베일랩핑 상태에서 동작하고 평행하게 떨어져 회전되게 설치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제1 랩핑축을 중심으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서 회전하는 베일에 랩핑재료를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의 랩핑재료 디스펜서를 제1 랩핑축에 직각으로 뻗는 제2 랩핑축 둘레의 이동궤적을 따라 안내하는 캐리어 수단, 및 베일을 받는 제1 상태로부터 베일을 베일랩퍼 위로 운반하는 제2 상태까지 동작하여, 베일을 베일랩퍼 위로 운반하는 운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수단은 디스펜서가 안내되는 이동궤적을 포함한 캐리어 평면을 형성하며, 캐리어 평면은 제1 랩핑축을 포함한 수직면에 평행하거나 일치하는 윗쪽 방향, 제1 베일지지 롤러를 향해 상기 수직면에 대해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를 향해 상기 수직면에 대해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 중의 하나로 뻗고;
    제1 베일지지 롤러는 운반수단에 위치한채 운반수단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동작할 때 제2 베일지지 롤러와 무관하게 베일랩핑 상태로부터 아랫쪽으로 제2 베일지지 롤러에 대해 움직여, 운반수단이 베일을 베일랩퍼로 운반할 때 베일에 필요한 상부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77. 제75항 또는 제76항에 있어서, 운반수단이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운반피봇축을 중심으로 피봇하고, 베일랩퍼에 운반할 베일을 받는 수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수단이 운반피봇축의 한쪽에 위치하고, 제1 베일지지 롤러는 운반피봇축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운반수단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피봇하면 수납수단은 윗쪽으로 밀리고 제1 베일지지 롤러는 베일랩핑 상태로부터 아랫쪽으로 밀리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78. 제73항 내지 제77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일러가 중심축을 갖는 원통형 베일을 생산하고, 상기 베일러는 베일을 배출하도록 새시에 위치하며, 이때 베일의 중심축은 베일랩퍼의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79. 제73항 내지 제7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일러가 베일을 형성하도록 새시에 위치하고, 형성중인 베일러내의 베일의 중심축은 베일랩퍼의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80. 제73항 내지 제79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일랩퍼가 장치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베일러 뒤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81. 제73항 내지 제80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형성된 베일이 베일러로부터 제1 상태에 있는 운반수단 위로 배출되도록 베일랩퍼가 베일러에 대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82. 제73항 내지 제81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일러가 베일의 배출을 위해 개폐되는 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83.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러가 새시에 설치된 고정부를 갖고, 상기 문은 피봇축을 중심으로 피봇되게 고정부에 결합되며, 이 고정부는 형성된 베일을 베일러로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문이 닫히면 개구부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문이 장치의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베일러의 고정부 뒤에 위치하고, 베일러의 개방부는 장치의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뒷쪽을 바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85. 제83항 또는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전진방향에 횡방향으로 뻗으면서 또한 윗쪽 방향, 전진방향에 횡방향의 수직면에 대해 전방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 및 상기 수직면에 대해 후방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 중의 한 방향으로도 뻗는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8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이 상기 수직면에 대해 30°이하의 각도로 전방이나 후방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87. 제85항 또는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이 상기 수직면에 대해 20°이하의 각도로 전방이나 후방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88. 제85항 내지 제87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평면이 상기 수직면에 대해 5°이하의 각도로 전방이나 후방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89.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이 수직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90. 제82항 내지 제89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일러의 문이 밀려 열리면 베일러에서 베일랩퍼의 운반수단으로 베일이 배출되도록 베일러가 새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91. 제73항 내지 제90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일러와 베일랩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베일러에서 형성될 베일의 선택된 직경을 표시하는 입력신호를 제어수단에 입력하도록 제어수단과 통신하는 입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형성될 베일의 직경을 표시하는 입력신호에 응답해 베일랩퍼의 제2 푸싱수단을 제어하여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를 상기 베일 직경에 맞는 베일랩핑 상태로 나머지 롤러에 대해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93. 제91항 또는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베일의 직경을 표시하는 입력신호에 응답해 이 직경의 베일을 생산하도록 베일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94. 제91항 내지 제9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일러에서 형성되는 베일의 직경을 표시하는 베일러의 특성을 감시하는 제1 모니터링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선택된 직경의 베일을 표시하는 제1 모니터링 수단의 신호에 응답해 베일을 운반수단에 배출하도록 베일러를 작동시키는 한편 베일을 베일랩퍼로 운반하도록 운반수단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95. 제89항 내지 제94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움직이는 롤러의 나머지 롤러에 대한 베일랩핑 상태를 감시하는 제2 모니터링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제2 모니터링 수단의 신호에 응답해 상기 움직이는 롤러가 베일의 직경에 해당하는 베일랩핑 상태에 있는 때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96. 제71항 내지 제77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일러가 벨트 베일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97. 제56항 내지 제72항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베일랩퍼와 베일러가 새시에 설치되어 있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일랩퍼가 베일에서 배출된 베일을 받아 랩핑하도록 베일러에 대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98. 새시에 설치된 베일러와, 베일러에서 배출된 베일을 받아 랩핑하도록 베일러에 대해 위치하고 새시에 설치된 베일랩퍼를 갖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일랩퍼는 베일을 랩핑하는 동안 제1 랩핑축 둘레로 베일을 회전시키면서 지지하는 베일랩핑 상태에서 동작하고 평행하게 떨어져 회전되게 설치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 및 제1 랩핑축을 중심으로 제1,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서 회전하는 베일에 랩핑재료를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의 랩핑재료 디스펜서를 제1 랩핑축에 대해 0도보다 큰 각도로 뻗는 제2 랩핑축 둘레의 이동궤적을 따라 안내하는 캐리어 수단을 포함하고;
    제1 베일지지 롤러와 제2 베일지지 롤러 중의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움직여 여러 베일랩핑 상태들 중의 하나로 이동하고, 이런 베일랩핑 상태에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이 서로 협력하여 여러 직경의 베일들을 지지하면서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 지지된 베일에 필요한 상부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99. 제97항 또는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러가 중심축을 갖는 원통형 베일을 생산하고, 상기 베일러는 베일을 배출하도록 새시에 위치하며, 이때 베일의 중심축은 베일랩퍼의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100. 제97항 내지 제99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일러가 베일을 형성하도록 새시에 위치하고, 형성중인 베일러내의 베일의 중심축은 베일랩퍼의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101. 제97항 내지 제100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일랩퍼가 장치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베일러 뒤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102. 제97항 내지 제101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일러가 베일의 배출을 위해 개폐되는 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103.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러가 새시에 설치된 고정부를 갖고, 상기 문은 피봇축을 중심으로 피봇되게 고정부에 결합되며, 이 고정부는 형성된 베일을 베일러로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문이 닫히면 개구부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104. 제103항에 있어서, 상기 문이 장치의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베일러의 고정부 뒤에 위치하고, 베일러의 개방부는 장치의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뒷쪽을 바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105. 제103항 또는 제104항에 있어서, 개구부가 전진방향에 횡방향으로 뻗으면서 또한 윗쪽 방향, 전진방향에 횡방향의 수직면에 대해 전방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 및 상기 수직면에 대해 후방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 중의 한 방향으로도 뻗는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106. 제105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이 상기 수직면에 대해 30°이하의 각도로 전방이나 후방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107. 제105항 또는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이 상기 수직면에 대해 20°이하의 각도로 전방이나 후방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108. 제105항 내지 제107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평면이 상기 수직면에 대해 5°이하의 각도로 전방이나 후방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109. 제105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이 수직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110. 제97항 내지 제109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일러와 베일랩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베일러에서 형성될 베일의 선택된 직경을 표시하는 입력신호를 제어수단에 입력하도록 제어수단과 통신하는 입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111. 제1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형성될 베일의 직경을 표시하는 입력신호에 응답해 베일랩퍼의 제2 푸싱수단을 제어하여 제1 및 제2 베일지지 롤러들 중의 움직이는 롤러를 상기 베일 직경에 맞는 베일랩핑 상태로 나머지 롤러에 대해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112. 제110항 또는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베일의 직경을 표시하는 입력신호에 응답해 이 직경의 베일을 생산하도록 베일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113. 제110항 내지 제112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일러에서 형성되는 베일의 직경을 표시하는 베일러의 특성을 감시하는 제1 모니터링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선택된 직경의 베일을 표시하는 제1 모니터링 수단의 신호에 응답해 베일을 운반수단에 배출하도록 베일러를 작동시키는 한편 베일을 베일랩퍼로 운반하도록 운반수단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114. 제110항 내지 제11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움직이는 롤러의 나머지 롤러에 대한 베일랩핑 상태를 감시하는 제2 모니터링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제2 모니터링 수단의 신호에 응답해 상기 움직이는 롤러가 베일의 직경에 해당하는 베일랩핑 상태에 있는 때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115. 제97항 내지 제114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일러가 벨트 베일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KR1020157007077A 2012-08-21 2013-08-13 베일랩퍼 및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KR201500795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ES20120362 2012-08-21
IES2012/0362 2012-08-21
IES2013/0166 2013-05-17
IES20130166 2013-05-17
PCT/IE2013/000017 WO2014030150A2 (en) 2012-08-21 2013-08-13 A bale wrapper and a combined baler/bale wrapp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565A true KR20150079565A (ko) 2015-07-08

Family

ID=49080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077A KR20150079565A (ko) 2012-08-21 2013-08-13 베일랩퍼 및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0383283B2 (ko)
EP (1) EP2887793B1 (ko)
JP (1) JP6306011B2 (ko)
KR (1) KR20150079565A (ko)
CN (1) CN104735967B (ko)
AU (1) AU2013307193B2 (ko)
BR (1) BR112015003644B1 (ko)
CA (1) CA2881951C (ko)
NZ (1) NZ704291A (ko)
PL (1) PL2887793T3 (ko)
RU (1) RU2634921C2 (ko)
TR (1) TR201807904T4 (ko)
UA (1) UA115248C2 (ko)
WO (1) WO2014030150A2 (ko)
ZA (1) ZA20150081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2495B2 (en) 2021-06-01 2023-04-11 Gint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combining farm vehicle and work machine and farm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9459B2 (ja) * 2014-05-30 2018-11-07 株式会社タカキタ ラップマシンのフィルム保持装置
DE102014222213A1 (de) * 2014-10-30 2016-05-04 Deere & Company Rundballenpresse mit Ballenwickler
NL2014872B1 (en) * 2015-05-28 2016-12-30 Forage Innovations Bv Wrapping device for wrapping a bale in a bale forming chamber.
CN207433880U (zh) * 2016-03-30 2018-06-01 克隆尼斯股份有限公司 用于包装单件货物的设备
US11208228B2 (en) * 2016-07-14 2021-12-28 Cnh Industrial America Llc Net wrapping system
US20190069492A1 (en) * 2017-09-05 2019-03-07 James Mathes Machine for forming and wrapping square bales
USD873317S1 (en) * 2018-06-11 2020-01-21 Baron Buehring Side panel for high capacity dispensing unit
USD868860S1 (en) * 2018-06-11 2019-12-03 Baron Buehring Side panel for high capacity dispensing unit
USD868858S1 (en) * 2018-06-11 2019-12-03 Baron Buehring Side panel for high capacity dispensing unit
USD869527S1 (en) * 2018-06-11 2019-12-10 Baron Buehring Side panel for high capacity dispensing unit
USD868859S1 (en) * 2018-06-11 2019-12-03 Baron Buehring Side panel for high capacity dispensing unit
US11219166B2 (en) * 2018-06-29 2022-01-11 Groupe Anderson Inc. Bale wrapping apparatus
GB201811265D0 (en) * 2018-07-10 2018-08-29 Agco Wolfenbuettel Gmbh Improved wrapping device
WO2020010443A1 (en) * 2018-07-13 2020-01-16 Tube-Line Manufacturing Ltd. Apparatus for inline and individual bale wrapping of hay bales
US11109534B2 (en) * 2018-11-21 2021-09-07 Deere & Company Regenerative handler raise/gravity lower cylinder
NO345497B1 (en) * 2019-06-14 2021-03-08 Orkel Dev As Round bale wrapper
US11406063B2 (en) * 2019-09-11 2022-08-09 Deere & Company Baler with a moveable roller
US11707020B1 (en) 2022-01-26 2023-07-25 Arland Morrison Cotton bale strapping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CN114931031B (zh) * 2022-05-27 2023-03-21 山东五征高北农牧机械有限公司 定置式方捆打捆包膜一体机电控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6831A (en) * 1986-08-04 1992-08-11 Hay & Forage Industries Continuous round baler and method
US4855924A (en) * 1987-05-14 1989-08-08 Ford New Holland, Inc. Round baler with continuous bale size monitoring
JPS6426944U (ko) 1987-08-10 1989-02-15
JPH0728602B2 (ja) * 1990-07-27 1995-04-05 株式会社エスピーエム ベーリングラッピング連続化方法及び装置
DE4138499A1 (de) 1991-11-22 1993-05-27 Busatis Werke Kg Rundballenwickelgeraet
US5631826A (en) * 1992-01-16 1997-05-20 New Holland North America, Inc. Round baler end wrap control
US5551218A (en) * 1994-09-19 1996-09-03 Gehl Company Round baler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NO943506D0 (no) 1994-09-21 1994-09-21 Jens Oeiestad Kombinert presse og pakkemaskin for sylindriske gjenstander
CA2228150A1 (en) 1995-08-10 1997-02-20 Kurt Ertbolle Madsen A method and a unit for producing round bales of straw or of like material with film wrapping
DE29911916U1 (de) * 1999-07-13 1999-09-30 Kohnle Eugen Wickelvorrichtung und System zum Pressen und Wickeln von Ballen
NZ528743A (en) 2001-03-22 2005-04-29 Welmount Ltd A combined baler/bale wrapper
EP1266562A1 (de) * 2001-06-11 2002-12-18 Lely Enterprises AG Rundballenpresse für landwirtschaftliche Halmgüter
JP4107874B2 (ja) 2002-05-10 2008-06-25 株式会社タカキタ ベールラッパにおけるベール支承台
DE102004022801A1 (de) * 2004-05-08 2005-12-15 Deere & Company, Moline Rundballenpresse
EA200500455A1 (ru) 2005-01-11 2006-04-28 Петр Иванович Чуксин Способ уборки зерновых культур, зерноуборочный комбайн и его узлы
KR100582102B1 (ko) 2005-03-02 2006-05-2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원형베일래퍼
DE102006011134A1 (de) * 2006-03-10 2007-09-27 Deere & Company, Moline Steuereinrichtung
EP2090153B1 (en) * 2008-02-13 2015-09-09 Usines CLAAS France S.A.S. Round baler
NL1037441C2 (en) 2009-11-04 2011-05-10 Lely Patent Nv Agricultural system to form and wrap bales of crop material.
JP5373664B2 (ja) 2010-03-01 2013-12-18 株式会社Ihiスター ロールベールの包装装置
DE102011109899B4 (de) * 2011-08-10 2013-02-21 Maschinenfabrik Bernard Krone Gmbh Landwirtschaftliche Rundballenpress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2495B2 (en) 2021-06-01 2023-04-11 Gint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combining farm vehicle and work machine and farm vehicle
US11785874B2 (en) 2021-06-01 2023-10-17 Gint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combining farm vehicle and work machine and farm vehicle
US11877526B2 (en) 2021-06-01 2024-01-23 Gint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combining farm vehicle and work machine and farm vehicle
US11910737B2 (en) 2021-06-01 2024-02-27 Gint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combining farm vehicle and work machine and farm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01807904T4 (tr) 2018-06-21
CA2881951A1 (en) 2014-02-27
UA115248C2 (uk) 2017-10-10
CN104735967B (zh) 2016-11-23
NZ704291A (en) 2017-07-28
US10383283B2 (en) 2019-08-20
US20150245563A1 (en) 2015-09-03
RU2634921C2 (ru) 2017-11-08
WO2014030150A2 (en) 2014-02-27
JP6306011B2 (ja) 2018-04-04
EP2887793A2 (en) 2015-07-01
AU2013307193B2 (en) 2017-11-02
CA2881951C (en) 2021-07-13
AU2013307193A1 (en) 2015-03-12
ZA201500814B (en) 2016-11-30
BR112015003644B1 (pt) 2019-07-16
EP2887793B1 (en) 2018-03-21
PL2887793T3 (pl) 2018-09-28
JP2015527069A (ja) 2015-09-17
WO2014030150A9 (en) 2014-05-01
BR112015003644A2 (pt) 2017-07-04
RU2015110065A (ru) 2016-10-10
CN104735967A (zh) 2015-06-24
WO2014030150A3 (en) 2015-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9565A (ko) 베일랩퍼 및 베일러/베일랩퍼 장치
EP0252485B1 (en) Machine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of crop
US8230663B2 (en) Baler and wrapper combination
EP33556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everal bales and depositing them on the ground at suitable locations
US6901732B2 (en) Cotton feeding roller structure
US8925287B2 (en) Arrangement on baler for ergonomic loading of bale wrapping material rolls
CA2644230C (en) Apparatus for moving grain from a pile or a bag
JP2004135594A (ja) ロールベーラ
KR20150022635A (ko) 롤베일러
EP3199016A1 (en) Wra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oftly depositing the wrapped object on the ground
EP3228178B1 (en) Bale forming system and method with a bale transfer unit comprising a bale pusher
EP3338535B1 (en) A bale wrapper and a combined baler/bale wrapper
KR20150022634A (ko) 롤베일러
US11382276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agricultural roundbaler ejection flap
EP3244721B1 (en) Compact bale forming and wrapping apparatus
JP2009106202A (ja) 苗移植機
JP2009106202A5 (ko)
RU2490864C2 (ru) Рулонный пресс
JP2003304732A (ja) ロールベーラのベール起立排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