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1230A -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 - Google Patents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1230A
KR20150021230A KR20130098309A KR20130098309A KR20150021230A KR 20150021230 A KR20150021230 A KR 20150021230A KR 20130098309 A KR20130098309 A KR 20130098309A KR 20130098309 A KR20130098309 A KR 20130098309A KR 20150021230 A KR20150021230 A KR 20150021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launcher
bridge
winch
girder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8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4151B1 (ko
Inventor
이동호
강용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Priority to KR1020130098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151B1/ko
Publication of KR2015002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빔 런처에 3개의 자동 앵커리지를 설치함으로써 주형 트러스의 상부에서 메인 윈치 및 보조 윈치로 해체된 거더를 인상하여 지정된 운반 장소에 상관없이 전후좌우 어느 곳이라도 하역 및 적재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메인 윈치의 윈치 와이어 상단에 무게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인양시 해체된 거더의 중량을 표시하여, 교량 해체 작업시 빔 런처의 안전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메인 윈치의 윈치 프레임의 중간에 위치센서를 설치함으로써 해체된 거더의 좌측 및 우측 바깥에 위치한 교량 인양시 메인 윈치 및 보조 윈치가 윈치 프레임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인양한 후, 원래의 위치로 정확하게 복귀하여 런칭시 빔 런처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 {METHOD FOR DISASSEMBLING BRIDGE USING BEAM LAUNCHER WITH AUTO ANCHORAGE, LOCATION SENSOR AND WEIGHT SENSOR}
본 발명은 교량의 해체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교량의 해체를 위해서 빔 런처(Beam Launcher)에 3개의 자동 앵커리지(Auto Anchorage), 위치센서(Location Sensor) 및 무게선서(Weight Sensor)를 각각 설치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Bridge)은 도로 위에 시공되는 고가도로 또는 하천을 가로질러 시공되는 다리 등과 같은 토목 구조물로서, 이러한 교량은 크게 교각(교대 포함), 상기 교각 위에 설치되는 거더(Girder) 및 상기 거더 위에 시공되는 슬래브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거더는 교각 위에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PSC 빔 또는 IPC 빔 등)으로 구성된다.
통상적인 교량 시공 방법의 경우, 다수의 교각(교대 포함)을 세우고, 교각 위에 다수의 빔(Beam)을 거치하며, 이때, 빔은 교각에 고정된 상태가 아니며 교좌장치 등을 통해 거치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빔을 교각 위에 거치한 후, 빔 상부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등의 방법으로 상판을 시공함으로써, 교량을 완성한다.
최근에는 프리캐스트(Precast)에 의해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를 미리 제조하고, 이를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에 의한 공법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것은 현장 상황과 관계없이 구조물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예를 들면, PSC 거더교 또는 IPC 거더교의 경우, 교각만을 현장에서 타설 공법에 의해 시공하고, 미리 제조된 프리캐스트 거더를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때, 미리 제조된 프리캐스트 거더는 교량과 같은 구조물의 축조시 보의 역할을 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면, FSLM(Full span launching method) 공법은 교량의 모든 거더를 현장 근처에 설치된 제작장에서 미리 제작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교각의 상부에 설치하는 방식이다.
한편, 크레인(Crane)은 인양물을 들어 올려서 상하, 좌우 및 전후로 운반하는 기계장치로서,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크레인의 형식과 운동방식 등이 각각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산악지형이나 늪지 및 강이나 바다를 가로지르는 교량을 가설할 경우, 평지에서 사용하는 탑형 크레인 등을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두 개가 한조로 전후 교대 상면에 호이스트가 장착된 빔(Beam) 인양장치인 문형가설기(門型 Frame)를 각각 한기씩 다수개의 고정와이어로 세워 고정시킨 후, 문형가설기 상단의 횡이동 대차(윈치)를 이용하여 PSC 빔 등을 인출하고, 이러한 문형가설기를 이용하여 빔을 인양하여 횡이동하여 전후 교대 상면의 소정의 위치에 다수개의 빔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크레인의 경우, 거더의 설치 및 전진을 위한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시공방법 또한 매우 복잡하므로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최근 산악지대에서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 없이도 교량 가설공사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마칠 수 있도록 빔 런처(Beam Launcher)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빔 런처를 이용함으로써, PSC 빔 또는 IPC 거더를 안전하게 가설할 수 있고, 크레인 전도 및 거더 추락 없이도 도로용 교량을 건설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 철거를 위한 작업은 교량을 구성하는 교각 또는 교대에 종방향(교축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다수 병렬 설치되어 있는 거더(Girder)를 철거하기 위하여 교량상판을 제거한 후에, 크레인과 같은 인양장치로 거더를 인상하여 교량 하부에 하역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교각 및 거더를 철거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한 교량철거는 크레인과 같은 인양장치를 교량 주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거더를 교량 측방 하부도로에 위치한 운반차량에 하역시키는 방식이 통상 이용하기 때문에 철거작업을 위한 작업부지, 즉 인양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부지, 인양장치의 작업반경 내에서 여러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작업반경부지 및 하역된 거더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차량의 진입로 확보를 위한 부지 등 교통을 방해하지 않고 시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최소한의 부지확보가 필요하며, 도심지와 같이 상기 작업 부지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안전사고 발생우려가 클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교량 철거 시까지 교통이 방해될 수밖에 없어 시공 상 어려움이 큰 것이 사실이다.
한편, 선행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605089호에는 "런칭거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량철거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런칭거더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철거를 위해 런칭트러스 구조물 및 이동대차를 교량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런칭거더 시스템(30)은, 미리 한 경간(Span)을 구성하는 거더(20)를 제거한 후에 교각(10) 상부에 형성되도록 설치하는데, 종래의 기술에 따른 런칭거더 시스템(30)은 교대 또는 교각에 횡방향으로 적어도 거더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지지대(31); 및 상기 지지대(31) 위에 종방향으로 교각 또는 교대 사이를 가로질러 형성되며 상부에는 제1 하역수단(41)이 형성된 이동대차(40)가 설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지지대(31)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33)이 설치되며, 적어도 2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지지대 위에 형성된 런칭트러스구조물(32)을 포함한다.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1 경간(Span)을 구성하는 교각 또는 교대(10a, 10b) 사이에 설치된 거더(20)를 먼저 제거함으로써, 나머지 거더(20)가 이동되어 하역되는 하역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교각 또는 교대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대(31) 위를 가로질러 종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33)이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거더를 인상 및 하역시킬 수 있는 제1 하역수단(43)이 설치된 이동대차(40)가 설치되는 런칭트러스 구조물(32)을 포함하는 런칭거더 시스템(30)을 설치하고, 상기 이동대차(40)에 연결된 거더를 인상시킨 상태에서 하역 작업공간에 거더를 이동시킨 후, 하역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런칭거더 시스템(30)의 경우, 교량의 철거에 있어서 거더를 하역시키기 위하여 먼저 1 경간의 거더들을 제거하여 하역 작업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교량의 측방으로 작업부지 또는 작업공간이 확장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다른 거더들의 철거도 상기 하역 작업공간에 다른 거더들을 운반시킨 후 거더를 하역시킬 수 있는 런칭거더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교량철거를 위한 작업부지 및 주변 교통흐름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런칭거더 시스템의 경우, 런칭거더 시스템(30)을 구성하는 런칭트러스구조물 및 그 상부에 설치된 이동대차가 각각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하여 하역 작업공간으로의 거더 운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런칭거더 시스템을 사용한 교량 해체 공법의 경우, 단순하게 한쪽 방향에서만 교량을 운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체 작업이 제한적이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 해체 시 중량물을 인양하여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법은 대부분 가설벤트 시스템, 대차시스템, 레일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 노후화된 교량이 많아짐에 따라 보다 개선된 교량의 해체 공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605089호(출원일: 2003년 11월 28일), 발명의 명칭: "런칭거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량철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95449호(출원일: 2011년 9월 19일), 발명의 명칭: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교량 해체장치 및 교량 해체 공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95450호(출원일: 2011년 9월 19일), 발명의 명칭: "승강수단을 이용한 교량 해체공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26012호(출원일:2010년 11월 25일), 발명의 명칭: "교각과 일체화시킨 인양잭을 이용한 교량상판 해체공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93608호(출원일: 2012년 4월 18일), 발명의 명칭: "교량 가설용 앵커장치를 구비한 빔 런처"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00986호(출원일:2012년 4월 18일), 발명의 명칭: "교량 가설용 서비스 윈치를 구비한 빔 런처"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빔 런처에 3개의 자동 앵커리지를 설치함으로써 주형 트러스의 상부에서 메인 윈치 및 보조 윈치로 해체된 거더를 인상하여 지정된 운반 장소에 상관없이 전후좌우 어느 곳이라도 하역 및 적재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메인 윈치의 윈치 와이어 상단에 무게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인양시 해체된 거더의 중량을 표시하여, 교량 해체 작업시 빔 런처의 안전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는,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메인 윈치의 윈치 프레임의 중간에 위치센서를 설치함으로써 해체된 거더의 좌측 및 우측 바깥에 위치한 교량 인양시 메인 윈치 및 보조 윈치가 윈치 프레임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인양한 후, 원래의 위치로 정확하게 복귀하여 런칭시 빔 런처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은, 주형 트러스, 메인 윈치, 보조 윈치, 횡레일 및 언더롤러를 구비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에 있어서, a) 해체할 교량 상에 빔 런처를 가설하는 단계; b) 교량 상에서 거더를 절단하여 해체하는 단계; c) 상기 빔 런처의 주형 트러스 상부에서 메인 윈치 및 보조 윈치를 사용하여 상기 해체된 거더를 인양하는 단계; d) 상기 해체된 거더의 인양시 상기 메인 윈치의 윈치 와이어 상단에 설치된 무게 센서를 통해 중량을 표시하는 단계; e) 상기 해체된 거더를 인양하여 적재 장소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메인 윈치의 윈치 프레임 중간에 설치된 위치센서가 상기 메인 윈치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f) 상기 빔 런처 하부에 각각 설치된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가 상기 해체된 거더의 운반시 운반 장소를 선택하여 상기 빔 런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단계; 및 g) 상기 빔 런처의 메인 윈치 및 보조 윈치를 사용하여 상기 해체된 거더를 하역 및 적재장소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f) 단계의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는 각각 상기 주형 트러스 상부에서 상기 메인 윈치 및 보조 윈치로 해체된 거더를 인상하여 지정된 운반 장소에 상관없이 전후좌우 어느 곳이라도 하역 및 적재장소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는 각각 상기 빔 런처 하부의 전방부, 중간부 및 후미부에 각각 해체 교량의 길이를 고려하여 설치하며, 교대의 양측으로 해체된 거더의 운반시 상기 빔 런처의 이동에 따른 안정적 고정 역할과 종구배의 기울기를 맞춰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는 상기 빔 런처의 중간을 기준으로 전방부 앵커리지인 제1 자동 앵커리지는 전방부로 이동할 때 사용하고, 중간부 앵커리지인 제2 자동 앵커리지는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할 때 사용하며, 후미부 앵커리지인 제3 자동 앵커리지는 후미부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빔 런처의 전방부 및 후미부에 각각 거리 측정기가 부착된 전방부 유압 실린더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전방부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는 복동 실린더로서 각각 해체된 거더가 각각 양쪽 교대에 도착한 후에 상기 빔 런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는 상기 빔 런처의 지지 작업 수행시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의 로드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자동 수직 형태로 가설 블럭에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는 무선 리모콘을 작동시켜 스트로크(Stroke)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의 헤드에 각각 부착된 거리 측정기로 정확하게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의 몸체에 각각 부착된 수평기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자동 수직 형태로 가설 블럭에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d) 단계의 무게센서는 상기 메인 윈치의 윈치 와이어에 부착되고, 해체된 거더의 인상시 인양 무게에 대한 식별 및 과도한 중량에 의한 상기 빔 런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 단계의 위치센서는 상기 메인 윈치의 윈치 프레임 중간에 설치되고, 상기 해체된 거더의 좌측 및 우측 바깥에 위치한 교량 인양시 상기 메인 윈치 및 보조 윈치가 윈치 프레임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인양한 후 원래의 위치로 정확하게 복귀하도록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센서는 윈치 프레임에 인양 및 위치 이동에 따른 빔 런처의 전도 방지 및 위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주형 트러스로의 원위치 복귀에 대한 알람(Alarm)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빔 런처의 이동에 대한 안전성과 전도 및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g) 단계는, g-1) 상기 빔 런처를 사용하여 상기 해체한 거더를 하역 및 적재장소로 운반하는 단계; g-2) 상기 빔 런처의 메인 윈치 및 보조 윈치를 사용하여 대기중인 트레일러에 상기 해체된 거더를 상차시키는 단계; g-3) 상기 트레일러에 상차된 해체된 거더를 이송시키는 단계; 및 g-4) 상기 빔 런처의 메인 윈치 및 보조 윈치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빔 런처에 3개의 자동 앵커리지를 설치함으로써 주형 트러스의 상부에서 메인 윈치 및 보조 윈치로 해체된 거더를 인상하여 지정된 운반 장소에 상관없이 전후좌우 어느 곳이라도 하역 및 적재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윈치의 윈치 와이어 상단에 무게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인양시 해체된 거더의 중량을 표시하여, 교량 해체 작업시 빔 런처의 안전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윈치의 윈치 프레임의 중간에 위치센서를 설치함으로써 해체된 거더의 좌측 및 우측 바깥에 위치한 교량 인양시 메인 윈치 및 보조 윈치가 윈치 프레임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인양한 후, 원래의 위치로 정확하게 복귀하여 런칭시 빔 런처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은, 40m 이상의 고교각 해체시, 해상 접속교, 하천 횡단부 해체시, 및 기존 교량을 통과하기 위한 과선교 해체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런칭거더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철거를 위해 런칭트러스 구조물 및 이동대차를 교량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빔 런처와 이를 사용하여 교량을 가설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빔 런처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런처에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해체를 위해 빔 런처가 교량 상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센서가 빔 런처에 설치된 것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게센서가 빔 런처에 설치된 것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에서 자동 앵커리지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에 적용되는 유압 실린더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해체한 교량을 제1 지점으로 운반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해체한 교량을 제1 지점으로 운반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해체한 교량을 제2 지점으로 운반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해체한 교량을 제1 지점으로 운반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런처를 사용하여 측면으로 교량을 해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93608호에는 "교량 가설용 앵커장치를 구비한 빔 런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00986호에는 "교량 가설용 서비스 윈치를 구비한 빔 런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본 명세서 내에 참조되어 본 발명의 일부를 이룬다.
도 2a 및 도 2b는 빔 런처와 이를 사용하여 교량을 가설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빔 런처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2b는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가설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빔 런처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빔 런처(Beam Launcher: 100)는 교량 가설시 기제작된 PSC 빔(Prestressed Concrete Beam)/PSC 거더, IPC 거더(Incrementally Prestressed Concrete Girder)/분절 빔(Segment Beam) 또는 강박스와 같은 인양물(220)을 교각(210)의 상부로 인양하기 위한 장비로서, 주형 트러스(110), 메인 윈치(120), 보조 윈치(130), 횡레일(150) 및 언더롤러(160)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교량 가설용 빔 런처(10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윈치(120) 및 보조 윈치(130)로 이루어진 2개의 윈치를 이용하여 160ton의 하중 및 60m 이하 길이의 인양물(220), 예를 들면, PSC 빔을 교각(210)의 상부로 인양 및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빔 런처(100)는 자격을 갖춘 장비 운전자들로 하여금 원격 조종장치를 사용하여 메인 윈치(120) 및 보조 윈치(130)를 이동시키고, 버튼식 유선 조종장치로 각각의 구동 언더롤러(150)를 운전하여, 최대 160ton의 인양물(210)을 인양하고 가설하는 이동식 장비이다.
또한, 이러한 빔 런처(100)는 필수적인 안전장치 및 경고 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운행 또는 유지보수 중 예상되는 어떠한 위험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도록 설계 및 제작되었다.
이러한 빔 런처(100)는 40m 이상의 고교각(예를 들면, 계곡횡단지역, 산악협곡지역) 작업시, 해상 접속교 가설시, 하천 횡단부 작업시 또는 기존 교량을 통과하기 위한 과선교 형태의 신설교량 가설시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빔 런처(100)는, 교각(210)이 높아 크레인으로 인양하기 어렵거나, 교각(210) 하부로 인양물(220)인 PSC 빔/PSC 거더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로 정지작업이 필요한 산악지대, 계곡횡단부, 하천횡단부 등에서 뛰어난 시공 효율을 발휘한다. 특히, 산악지대가 많은 국내의 도로건설 현장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빔 런처(100)는 주형 트러스(110), 메인 윈치(120), 보조 윈치(130), 서포트(Support: 140), 횡레일(150), 언더롤러(Under Roller: 160), 전방부(170) 및 후미부(180)를 포함한다.
빔 런처(100)는 좌우 두 개의 주형 트러스(110)로 구성되며, 이러한 주형 트러스(110) 상부에 메인 윈치(120) 및 보조 윈치(120)가 탑재됨으로써, 인양물(220)인 PSC 빔을 인양한 후, 상기 주형 트러스(110)의 상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한다. 이러한 빔 런처(100)는 60m의 최대 지간으로서 160t의 설계중량을 인양할 수 있다.
또한, 이등변 삼각형 모양의 주형 트러스(110)는, 예를 들면, 길이 11.8m의 단위모듈 11개와 언더롤러(160)에 안착되는 5.8m 길이의 전방부(170) 및 후미부(18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형 트러스(110)의 총 길이는 129.80m로 PSC 빔(220)의 길이에 따라 단위모듈을 가감하거나 트러스 전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빔 런처(100)는 최대 6%의 종단선형 교량에서도 거더를 가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선교에서는 최소 회전반경 R=350m의 선형까지 적용할 수 있는데, 언더롤러(160)가 횡방향 이동과 연직방향 축에 대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빔 런처(100)에서, 인양은 도르래 원리를 이용하며, 인양물(220)인 PSC 빔의 인양속도는 분당 1.85m, 인양물이 없을 때는 3.0m의 속도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빔 런처(100)의 조립 및 교량 가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장에서 주형 트러스(110) 전체를 조립한 후, 전방부(170) 및 후미부(180) 프레임을 주형 트러스(110)의 전면과 후면에 조립한다. 이후, 조립이 완료된 주형 트러스(110) 상부에 메인 윈치(120)와 보조 윈치(130)를 각각 설치하고, 빔 런처(100) 구동을 위한 와이어를 주형 트러스(110)와 2개의 윈치(120, 130)를 통해 연결하면 빔 런처(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빔 런처(100), PSC 빔(220) 등 중량물을 안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서포트(140)를 설치한다. 특히, 상기 서포트(140)는 부등침하나 부등솟음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밀하게 시공하고, 엄격하게 관리한다. 이때, 상기 서포트(140)의 상단 횡레일(150)의 좌우 높이는 차이가 나지 않아야 한다.
다음으로, 빔 런처의 주형 트러스(110) 하부에 도착된 PSC 빔(220)은 메인 윈치(120)와 보조 윈치(130)를 이용하여 교각(210)의 상부로 인상된다. 이때, 상기 주형 트러스(110)와 체결이 완료된 2개의 윈치(120, 130)는 먼저 한 경간(Span)을 이동시킨 다음에 상기 빔 런처(100)의 이동을 위해 윈치앵커로 고정하고, 빔 런처(100) 하부의 거더앵커를 풀어 고정을 해제한 후, 빔 런처(100)를 한 경간(Span) 이동시킨다.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
이하, 도 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먼저,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런처에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의 a)는 측면도이고 도 4의 b)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해체를 위해 빔 런처가 교량 상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센서가 빔 런처에 설치된 것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게센서가 빔 런처에 설치된 것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에 적용되는 유압 실린더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런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 트러스(110), 메인 윈치(120), 보조 윈치(130), 서포트(140), 횡레일(150) 및 언더롤러(160)를 포함하고,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 무게선서(340), 위치센서(350), 전방부 유압 실린더(36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70)가 추가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런처(100)에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 및 무게선서(340)가 설치되고, 전방부 유압 실린더(36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7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런처(100)는 주형 트러스(110)의 전후로 해체된 거더(500)를 운반할 수 있도록, 후술할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해체된 거더(500)를 고정 및 이동시키는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 인양하려는 교량의 중량을 판별할 수 있는 무게센서(340), 및 상기 해체된 거더(500)를 안정하게 운반하기 위해 빔 런처(100)의 전도 방지 역할을 하는 위치센서(350)로 구성된다.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는 소정 경간 길이에 따라 전방부에 설치되는 제1 앵커리지(310), 빔 런처(100)의 중간에 설치되는 제2 앵커리지(320) 및 소정 경간 길이에 따라 후미부에 설치되는 제3 앵커리지(330)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빔 런처(100)에 설치된 3개의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는 절단되어 해체된 거더를 운반할 경우 위치에 관계없이 운반 장소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무게센서(340)는 상기 빔 런처(100)의 인양 능력을 디스플레이 형태로 알려주어 해체된 거더의 무게를 판별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무게센서(3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윈치(120)의 윈치 와이어 상단에 설치하고, 인양시 해체된 거더(500)의 중량을 표시함으로써 작업시 빔 런처(100)의 안전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메인 윈치(120)의 윈치 와이어에 부착된 무게센서(340)는 예를 들면, 해체된 거더(500) 인양시에 인양 무게에 대한 식별 및 과도한 중량에 의한 빔 런처(100)의 파손 방지를 위해 2중 안전장치 기능을 하는 것으로 교량 해체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윈치에 위치센서(350)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위치센서(350)는 해체된 거더를 인양하여 적재 장소로 이동하기 전에 빔 런처(100)의 중앙으로 윈치(120)가 이동하여 무게 중심이 한 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해체된 거더를 운반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위치센서(3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윈치(120) 프레임의 중간에 설치하며, 해체된 거더(500)의 좌측 및 우측 바깥에 위치한 교량 인양시 메인 윈치(120) 및 보조 윈치(130)가 윈치 프레임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인양한 후, 원래의 위치로 정확하게 복귀하여 런칭시 빔 런처(100)의 전도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윈치 프레임에 인양 및 위치 이동에 따른 빔 런처(100)의 전도 방지 및 위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위치센서(350)는 주형 트러스(110)의 원위치 복귀에 대한 알람(Alarm)이 작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빔 런처(100)의 이동에 안전성과 전도 및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빔 런처(100)의 전방부(170) 및 후미부(180)에 각각 거리 측정기(362)가 부착된 유압 실린더(360, 370)가 설치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360, 370)는 해체된 거더가 각각 양쪽 교대에 도착한 후에, 상기 빔 런처(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지지 작업시 유압 실린더(360, 370)의 헤드에 부착된 거리 측정기(362)로 실린더의 로드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자동 수직 형태로 가설 블럭에 정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부 유압 실린더(36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70)는 자가 보정 및 수직 보정을 할 수 있는 유압 실린더로서, 기존의 체인블럭으로 유압 실린더를 접고 세우는 작업을 실시하던 것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리모콘을 작동시켜 유압 실린더(360, 370)의 스트로크를 발생시키고 상기 유압 실린더(360, 370)의 헤드에 부착된 거리 측정기(362)로 정확하게 측정하며, 또한, 유압 실린더(360, 370)의 몸체에 부착된 수평기(361)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자동 수직 형태로 가설블럭에 정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은, 전방부 앵커리지(310)와 전방부 유압실린더(360), 및 후미부 앵커리지(330)와 후미부 유압실린더(370)를 이용한 빔 런처(100)는 주형 트러스(110)의 상부에서 메인 윈치 및 보조 윈치(120, 130)로 해체된 거더(500)를 인상하여 지정된 운반 장소에 상관없이 전후좌우 어느 곳이라도 하역 및 적재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은, 40m 이상의 고교각 해체시, 해상 접속교, 하천 횡단부 해체시, 및 기존 교량을 통과하기 위한 과선교 해체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에서 자동 앵커리지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9의 a) 내지 e)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의 앵커링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의 경우, 기존의 수동 앵커리지를 자동 앵커리지로 동작하도록 변경한다. 예를 들면, 기존의 빔 런처를 이용한 런칭시 고정 및 축 역할을 하는 앵커리지 작업을 인력으로 작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력 작업으로 하던 앵커리지에 복동 실린더인 유압 실린더(370, 380)를 부착하여 상기 빔 런처(100)의 이동시 무선 리모컨으로 고정과 해제 작업을 실시하여 자동 앵커리지로 동작하게 함으로써,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도 9의 a) 내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는 빔 런처(100) 하부의 전방부, 중간부 및 후미부에 각각 해체된 교량의 길이를 고려하여 설치하며, 또한, 교대 양쪽으로 해체된 거더(500)를 운반함에 있어서 상기 빔 런처(100)의 이동에 따른 안정적 고정 역할과 종구배의 기울기를 맞춰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은, 먼저, 해체할 교량 상에 빔 런처(100)를 가설한다(S110). 이때, 상기 빔 런처(100)는 주형 트러스(110), 메인 윈치(120), 보조 윈치(130), 횡레일(150) 및 언더롤러(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교량 상에서 거더(500)를 절단하여 해체한다(S120).
다음으로, 상기 빔 런처(100)의 주형 트러스(110) 상부에서 메인 윈치(120) 및 보조 윈치(130)를 사용하여 상기 해체된 거더(500)를 인양한다(S130).
다음으로, 상기 해체된 거더(500)의 인양시 상기 메인 윈치(120)의 윈치 와이어 상단에 설치된 무게 센서(340)를 통해 중량을 표시한다(S140). 이때, 상기 무게센서(340)는 상기 메인 윈치(120)의 윈치 와이어에 부착되고, 해체된 거더(500)의 인상시 인양 무게에 대한 식별 및 과도한 중량에 의한 상기 빔 런처(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해체된 거더(500)를 인양하여 적재 장소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메인 윈치(120)의 윈치 프레임 중간에 설치된 위치센서(350)가 상기 메인 윈치(120)의 위치를 검출한다(S150). 상기 위치센서(350)는 상기 메인 윈치(120)의 윈치 프레임 중간에 설치되고, 상기 해체된 거더(500)의 좌측 및 우측 바깥에 위치한 교량 인양시 상기 메인 윈치(120) 및 보조 윈치(130)가 윈치 프레임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인양한 후 원래의 위치로 정확하게 복귀하도록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센서(350)는 윈치 프레임에 인양 및 위치 이동에 따른 빔 런처(100)의 전도 방지 및 위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주형 트러스(110)로의 원위치 복귀에 대한 알람(Alarm)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빔 런처(100)의 이동에 대한 안전성과 전도 및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빔 런처(100) 하부에 각각 설치된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가 상기 해체된 거더(500)의 운반시 운반 장소를 선택하여 상기 빔 런처(1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한다(S160).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는 각각 상기 주형 트러스(110) 상부에서 상기 메인 윈치 및 보조 윈치(120, 130)로 해체된 거더(500)를 인상하여 지정된 운반 장소에 상관없이 전후좌우 어느 곳이라도 하역 및 적재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는 각각 상기 빔 런처(100) 하부의 전방부, 중간부 및 후미부에 각각 해체 교량의 길이를 고려하여 설치하며, 교대의 양측으로 해체된 거더(500)의 운반시 상기 빔 런처(100)의 이동에 따른 안정적 고정 역할과 종구배의 기울기를 맞춰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는 상기 빔 런처(100)의 중간을 기준으로 전방부 앵커리지인 제1 자동 앵커리지(310)는 전방부로 이동할 때 사용하고, 중간부 앵커리지인 제2 자동 앵커리지(320)는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할 때 사용하며, 후미부 앵커리지인 제3 자동 앵커리지(330)는 후미부로 이동할 때 사용한다.
또한, 상기 빔 런처(100)의 전방부(170) 및 후미부(180)에 각각 거리 측정기가 부착된 전방부 유압 실린더(36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70)가 설치되고, 상기 전방부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60, 370)는 복동 실린더로서 각각 해체된 거더(500)가 각각 양쪽 교대에 도착한 후에 상기 빔 런처(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36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70)는 상기 빔 런처(100)의 지지 작업 수행시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36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70)의 로드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자동 수직 형태로 가설 블럭에 정착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36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70)는 무선 리모콘을 작동시켜 스트로크(Stroke)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36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70)의 헤드에 각각 부착된 거리 측정기로 정확하게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36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70)의 몸체에 각각 부착된 수평기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자동 수직 형태로 가설 블럭에 정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빔 런처(100)의 메인 윈치(120) 및 보조 윈치(130)를 사용하여 상기 해체된 거더(500)를 하역 및 적재장소로 이동시킨다(S170). 구체적으로, 상기 빔 런처(100)를 사용하여 상기 해체한 거더(500)를 하역 및 적재장소로 운반하고, 상기 빔 런처(100)의 메인 윈치(120) 및 보조 윈치(130)를 사용하여 대기중인 트레일러(420)에 상기 해체된 거더(500)를 상차시키며, 상기 트레일러(420)에 상차된 해체된 거더(500)를 이송시키고, 이후, 상기 빔 런처(100)의 메인 윈치(120) 및 보조 윈치(13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해체한 교량을 제1 지점으로 운반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해체한 교량을 제1 지점으로 운반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해체한 교량을 제1 지점, 예를 들면, 후미부로 운반할 경우, 도 12의 a) 내지 d)와 같은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도 12의 a)는 해체한 교량을 교대로 운반하는 것을 나타내며, 도 12의 b)는 대기중인 트레일러에 교량을 하차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 12의 c)는 상차된 해체 교량을 트레일러로 운반하는 것을 나타내며, 도 12의 d)는 해체 교량을 운반하기 위해 이동하는 것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해체한 교량을 제2 지점으로 운반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해체한 교량을 제1 지점으로 운반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해체한 교량을 제2 지점, 예를 들면, 전방부로 운반할 경우, 도 14의 a) 내지 d)와 같은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도 14의 a)는 해체한 교량을 교대로 운반하는 것을 나타내며, 도 14의 b)는 대기중인 트레일러에 교량을 하차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 14의 c)는 상차된 해체 교량을 트레일러로 운반하는 것을 나타내며, 도 14의 d)는 해체 교량을 운반하기 위해 이동하는 것을 각각 나타낸다.
한편, 도 15a 내지 도 15c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런처를 사용하여 측면으로 교량을 해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런처를 사용하여 측면으로 교량을 해체하는 과정은, 먼저,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체한 거더를 측면으로 이동시키고, 이후,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된 거더를 교량 운반차량으로 하강 작업 실시하며, 이후,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거더를 해체하기 위해 빔 런처(100)를 원래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도 15a 내지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교량을 해체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410은 가도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420은 차축이 트레일러의 중심 부근에 있는 1축 트레일러인 돌리(Dolly)를 나타낸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빔 런처에 3개의 자동 앵커리지를 설치함으로써 주형 트러스의 상부에서 메인 윈치 및 보조 윈치로 해체된 거더를 인상하여 지정된 운반 장소에 상관없이 전후좌우 어느 곳이라도 하역 및 적재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윈치의 윈치 와이어 상단에 무게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인양시 해체된 거더의 중량을 표시하여, 교량 해체 작업시 빔 런처의 안전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윈치의 윈치 프레임의 중간에 위치센서를 설치함으로써 해체된 거더의 좌측 및 우측 바깥에 위치한 교량 인양시 메인 윈치 및 보조 윈치가 윈치 프레임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인양한 후, 원래의 위치로 정확하게 복귀하여 런칭시 빔 런처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빔 런처(Beam Launcher)
110: 주형 트러스(Main Truss)
120: 메인 윈치(Main Winch)
130: 보조 윈치(Second Winch, Auxiliary Winch)
140: 서포트(Support)
150: 횡레일(Transversal Rail)
160: 언더롤러(Under Roller)
170: 전방부(Front Head)
180: 후미부(Rear Head)
210: 교각(Pier)
220: 인양물(예를 들면, PSC 빔)
310: 제1 자동 앵커리지(Auto Anchorage)
320: 제2 자동 앵커리지
330: 제3 자동 앵커리지
340: 무게센서
350: 위치센서
360: 전방부 유압 실린더(Front Oil Cylinder)
370: 후미부 유압 실린더(Rear Oil Cylinder)
361: 수평계
362: 거리 측정기
410: 가도
420: 트레일러
500: 해체된 거더(교량)

Claims (11)

  1. 주형 트러스(110), 메인 윈치(120), 보조 윈치(130), 횡레일(150) 및 언더롤러(160)를 구비한 빔 런처(100)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에 있어서,
    a) 해체할 교량 상에 빔 런처(100)를 가설하는 단계;
    b) 교량 상에서 거더(500)를 절단하여 해체하는 단계;
    c) 상기 빔 런처(100)의 주형 트러스(110) 상부에서 메인 윈치(120) 및 보조 윈치(130)를 사용하여 상기 해체된 거더(500)를 인양하는 단계;
    d) 상기 해체된 거더(500)의 인양시 상기 메인 윈치(120)의 윈치 와이어 상단에 설치된 무게 센서(340)를 통해 중량을 표시하는 단계;
    e) 상기 해체된 거더(500)를 인양하여 적재 장소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메인 윈치(120)의 윈치 프레임 중간에 설치된 위치센서(350)가 상기 메인 윈치(120)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f) 상기 빔 런처(100) 하부에 각각 설치된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가 상기 해체된 거더(500)의 운반시 운반 장소를 선택하여 상기 빔 런처(1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단계; 및
    g) 상기 빔 런처(100)의 메인 윈치(120) 및 보조 윈치(130)를 사용하여 상기 해체된 거더(500)를 하역 및 적재장소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는 각각 상기 주형 트러스(110) 상부에서 상기 메인 윈치 및 보조 윈치(120, 130)로 해체된 거더(500)를 인상하여 지정된 운반 장소에 상관없이 전후좌우 어느 곳이라도 하역 및 적재장소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는 각각 상기 빔 런처(100) 하부의 전방부, 중간부 및 후미부에 각각 해체 교량의 길이를 고려하여 설치하며, 교대의 양측으로 해체된 거더(500)의 운반시 상기 빔 런처(100)의 이동에 따른 안정적 고정 역할과 종구배의 기울기를 맞춰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자동 앵커리지(310, 320, 330)는 상기 빔 런처(100)의 중간을 기준으로 전방부 앵커리지인 제1 자동 앵커리지(310)는 전방부로 이동할 때 사용하고, 중간부 앵커리지인 제2 자동 앵커리지(320)는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할 때 사용하며, 후미부 앵커리지인 제3 자동 앵커리지(330)는 후미부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빔 런처(100)의 전방부(170) 및 후미부(180)에 각각 거리 측정기가 부착된 전방부 유압 실린더(36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70)가 설치되고, 상기 전방부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60, 370)는 복동 실린더로서 각각 해체된 거더(500)가 각각 양쪽 교대에 도착한 후에 상기 빔 런처(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36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70)는 상기 빔 런처(100)의 지지 작업 수행시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36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70)의 로드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자동 수직 형태로 가설 블럭에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36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70)는 무선 리모콘을 작동시켜 스트로크(Stroke)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36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70)의 헤드에 각각 부착된 거리 측정기로 정확하게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전방부 유압 실린더(360) 및 후미부 유압 실린더(370)의 몸체에 각각 부착된 수평기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자동 수직 형태로 가설 블럭에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무게센서(340)는 상기 메인 윈치(120)의 윈치 와이어에 부착되고, 해체된 거더(500)의 인상시 인양 무게에 대한 식별 및 과도한 중량에 의한 상기 빔 런처(100)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위치센서(350)는 상기 메인 윈치(120)의 윈치 프레임 중간에 설치되고, 상기 해체된 거더(500)의 좌측 및 우측 바깥에 위치한 교량 인양시 상기 메인 윈치(120) 및 보조 윈치(130)가 윈치 프레임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인양한 후 원래의 위치로 정확하게 복귀하도록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센서(350)는 윈치 프레임에 인양 및 위치 이동에 따른 빔 런처(100)의 전도 방지 및 위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주형 트러스(110)로의 원위치 복귀에 대한 알람(Alarm)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빔 런처(100)의 이동에 대한 안전성과 전도 및 단락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g-1) 상기 빔 런처(100)를 사용하여 상기 해체한 거더(500)를 하역 및 적재장소로 운반하는 단계;
    g-2) 상기 빔 런처(100)의 메인 윈치(120) 및 보조 윈치(130)를 사용하여 대기중인 트레일러(420)에 상기 해체된 거더(500)를 상차시키는 단계;
    g-3) 상기 트레일러(420)에 상차된 해체된 거더(500)를 이송시키는 단계; 및
    g-4) 상기 빔 런처(100)의 메인 윈치(120) 및 보조 윈치(13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
KR1020130098309A 2013-08-20 2013-08-20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 KR101574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309A KR101574151B1 (ko) 2013-08-20 2013-08-20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309A KR101574151B1 (ko) 2013-08-20 2013-08-20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230A true KR20150021230A (ko) 2015-03-02
KR101574151B1 KR101574151B1 (ko) 2015-12-03

Family

ID=5301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309A KR101574151B1 (ko) 2013-08-20 2013-08-20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1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4260A (zh) * 2016-08-12 2018-02-23 北京万桥兴业机械有限公司 钢桥或钢混桥梁分体拆桥机
CN108517971A (zh) * 2018-03-14 2018-09-11 江苏恒久钢构有限公司 一种桁架结构的支撑架卸载方法
CN110777683A (zh) * 2019-10-28 2020-02-11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箱梁外围结构拆除的装置及其施工方法
CN117124455A (zh) * 2023-10-23 2023-11-28 四川公路桥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梁的预制控制系统、控制方法、装置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449B1 (ko) * 2011-09-19 2011-12-16 주식회사성수프론티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교량 해체장치 및 교량 해체 공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4260A (zh) * 2016-08-12 2018-02-23 北京万桥兴业机械有限公司 钢桥或钢混桥梁分体拆桥机
CN108517971A (zh) * 2018-03-14 2018-09-11 江苏恒久钢构有限公司 一种桁架结构的支撑架卸载方法
CN110777683A (zh) * 2019-10-28 2020-02-11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箱梁外围结构拆除的装置及其施工方法
CN117124455A (zh) * 2023-10-23 2023-11-28 四川公路桥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梁的预制控制系统、控制方法、装置及介质
CN117124455B (zh) * 2023-10-23 2024-04-09 四川公路桥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梁的预制控制系统、控制方法、装置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151B1 (ko)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74668B (zh) 一种通过缆索吊装施工主梁节段的方法
KR101193608B1 (ko) 교량 가설용 앵커장치를 구비한 빔 런처
KR101574151B1 (ko)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
JP5649637B2 (ja) 橋梁の架設装置および橋梁の架設方法
RU238132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и монтажа блоков пролетного строения
CN110886233A (zh) 用于桥梁连接t梁的施工方法
CN101736699A (zh) 全支架钢箱梁滑移精确定位方法
CN106638687A (zh) 一种预制拼装综合管廊借基精准快速拼装工艺
CN104790295A (zh) 轮胎式龙门吊架梁设施工工法
CN102367650A (zh) 一种钢管拱桥的施工方法
CN112575694A (zh) 一种大跨径t梁安装施工工法
CN112342928A (zh) 一种山区超高主塔斜拉桥安装方法
CN111608089A (zh) 一种大纵坡整体式架桥机过跨施工方法及施工体系
CN106400693B (zh) 一种斜坡道钢箱梁运梁车及运梁方法
CN111254974A (zh) 管廊施工中楼板运输安装工法
KR101200986B1 (ko) 교량 가설용 서비스 윈치를 구비한 빔 런처
KR101160273B1 (ko) 교량공사용 스트래들 캐리어
CN117364657A (zh) 一种自锚式悬索桥跨通航孔钢箱梁施工方法
KR101525557B1 (ko)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
CN108625270A (zh) 导梁门吊安装桥梁预制箱梁施工方法
CN106320181A (zh) 一种采用架桥机安装预制梁板的施工工法
CN111395176A (zh) 一种基于便捷化的移动模架下放、拆除施工方法
KR101450229B1 (ko) 거더 거치방법
JP4353343B2 (ja) 大型昇降ステージとこれを用いた揚重方法および逆打工法
CN203834353U (zh) 梁底作业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