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111A - 증기 터빈의 습분 분리 장치 및 증기 터빈 정익 - Google Patents

증기 터빈의 습분 분리 장치 및 증기 터빈 정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111A
KR20150016111A KR1020140096455A KR20140096455A KR20150016111A KR 20150016111 A KR20150016111 A KR 20150016111A KR 1020140096455 A KR1020140096455 A KR 1020140096455A KR 20140096455 A KR20140096455 A KR 20140096455A KR 20150016111 A KR20150016111 A KR 20150016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liquid film
steam turbine
sli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스무 나카노
고지 이시바시
겐지로 나리타
다케시 구도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6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1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32Collecting of condensation water; Drainage ; Removing solid p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01D5/14Form o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9/00Stators
    • F01D9/0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9/00Stators
    • F01D9/0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 F01D9/04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forming ring or sector
    • F01D9/041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forming ring or sector us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1Application in turbines in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 F05D2260/609Deoiling or demi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수반 증기량을 저감시켜 효과적으로 액막을 제거할 수 있는 증기 터빈의 습분 분리 장치 및 증기 터빈 정익을 제공하는 것이다. 정익면 상에 형성되는 액막을 제거하기 위해, 중공 구조를 갖는 정익 구조로서, 날개면 상에 형성된 슬릿에 의해 정익 중공을 감압하여 액막을 흡인하는 경우, 슬릿의 개구부를 미세 격자를 포함하는 메쉬 형상의 시트로 덮는다.

Description

증기 터빈의 습분 분리 장치 및 증기 터빈 정익 {MOISTURE SEPARATION DEVICE OF STEAM TURBINE AND STEAM TURBINE STATIONARY BLADE}
본 발명은 증기 터빈의 습분 분리 장치 및 증기 터빈 정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습증기에 의해 생성되는 액적의 충돌에 기인하는 동익 에로젼을 저감시키기 위해, 정익면에 생성되는 액막이나 터빈 케이싱에 부착되는 액막을 제거하는 습분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압 터빈의 최종 단락이나 그 1∼2단 전의 단락에서는, 일반적으로 압력이 매우 낮기 때문에, 작동 유체는 액화된 미세한 액적(액적 핵)을 포함하는 습증기 상태로 되어 있다. 응결되어 날개면에 부착된 액적 핵은, 합체되어 날개면 상에서 액막을 형성한다. 또한, 그 액막은, 주류의 증기에 의해 찢겨지고, 처음의 액적 핵에 비해 훨씬 큰 조대 액적으로서 하류에 분무된다. 이 조대 액적은 그 후, 주류 증기에 의해 다소 미세화되지만, 어느 정도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하향 유동한다. 그리고, 조대 액적은 그 관성력으로 인해 증기와 같이 유로를 따라 급격하게 전향할 수 없어, 하류의 동익에 고속으로 충돌하여, 날개 표면을 침식하는 에로젼의 원인이 되거나, 터빈 날개의 회전을 방해하여 손실의 원인이 된다. 이에 대해 종래부터, 에로젼 현상에 의한 침식 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동익 전방 테두리의 선단부를 스텔라이트 등의 단단하고 강도가 높은 재료로 된 실드재로 피복하고 있다. 또는, 날개의 전방 테두리부 표면에 각종 요철 가공을 하여 조면을 형성함으로써, 액적 충돌 시의 충격력을 완화하는 방법이 있다. 단, 그 가공성의 문제로부터 실드재를 반드시 설치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또한, 일반적으로 날개면을 보호하는 것만으로는 에로젼 대책으로서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통상은, 다른 에로젼 대책 방법과 병용된다.
일반적으로 에로젼의 영향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액적 자체를 제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액적을 제거하기 위해 정익을 중공 정익으로 하고, 그 날개 표면에 슬릿을 형성하여, 중공 정익 내측을 감압하여 액막을 흡인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들 슬릿은 중공 구조를 갖는 정익 구조의 날개 표면에 직접 가공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릿부를 별도의 부재로서 가공하고 정익에 형성하는 방법도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증기 터빈의 안내 날개에 형성된 개구부에 다공질 커버를 설치하고, 다공질 커버의 모든 모세관을 흡인해야 하는 액체로 채우고, 다공질 커버와 액체를 채운 모세관에 의해 부압의 인가를 견디는 벽을 형성하고, 벽이 액체에 의해 젖음으로써 액체를 투과시키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11081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389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8-240104호 공보
정익면 상에 형성되는 액막을 제거하기 위해, 특허문헌 1이나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중공 구조를 갖는 정익 구조로서, 날개면 상에 형성된 슬릿에 의해 정익 중공을 감압하여 액막을 흡인하는 경우, 액막 제거를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중공 내압을 보다 저감시켜 액막을 흡인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날개면 상에 형성되는 액막의 두께는 수십㎛이며, 슬릿 폭에 비해 극히 얇은 층을 형성하고 있다. 감압 흡인 압력을 낮춰 액막 흡인량의 증가를 도모하는 것은, 동시에 액막류에 수반되어 흐르는 증기도 흡인하고 있다. 슬릿부에서 포착되는 증기류는 터빈에 대해 일을 행하고 있지 않으므로, 흡인된 증기량 분만큼 터빈의 발전량은 감소한다.
특허문헌 3에서는, 다공질 커버와 액체를 채운 모세관에 의해 부압의 인가를 견디는 벽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액체를 투과시키지만 증기에 대해서는 투과성이 없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서는, 소결체에 의해 형성된 다공질체를 사용하고 있고, 다공도도 25% 정도이고, 효과적으로 액막을 흡인 제거하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반 증기량을 저감시켜 효과적으로 액막을 제거할 수 있는 증기 터빈의 습분 분리 장치 및 증기 터빈 정익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증기 터빈의 정익면 등에 형성된 슬릿에 의해 감압 흡인하여 액막 분리하는 습분 분리 장치에 있어서, 슬릿의 개구부를 미세 격자 시트로 덮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반 증기량을 저감시켜 효과적으로 액막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한 이외의 과제, 구성 및 효과는, 이하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의해 명확히 된다.
도 1은 증기 터빈의 단락과, 정익면 상을 흐르는 액막의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는 증기 터빈의 정익면 상에 발달한 액막으로부터 액적이 비산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날개 사이 유로 단면도.
도 3은 습분 분리 슬릿부의 액막과 증기류의 흐름의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습분 분리 장치이며, 증기 터빈의 정익면에 가공된 습분 분리 장치에 있어서의 슬릿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미세 격자 시트의 격자 간격과 그 미세 격자부에 발생하는 표면 장력에 의해 지지되는 압력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습분 분리 장치이며, 증기 터빈의 정익면에 가공된 습분 분리 장치에 있어서의 액막의 흡인 제거와 수반 증기량 저감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증기 터빈의 습분 분리 장치를 시공한 정익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증기 터빈의 습분 분리 장치를 터빈 케이싱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제2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습분 분리 장치이며, 증기 터빈의 정익면에 가공된 습분 분리 장치의 개략도.
먼저, 터빈 날개면 상에서의 액막과 액적 발생의 모습을 도 1과 도 2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증기 터빈의 단락과, 그 정익의 벽면 상에 발달한 액막의 흐름의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증기 터빈의 터빈 단락은, 외주측 다이어프램(4)과 내주측 다이어프램(6)에 고정된 정익(1)과, 정익(1)의 작동 유체 흐름 방향 하류측에서 로터축(3)에 고정된 동익(2)을 갖는다. 동익(2)의 선단의 외주측에는, 유로 벽면을 구성하는 케이싱(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작동 유체인 증기 주류는, 정익(1)을 통과할 때에 증속되고, 동익(2)에 에너지를 부여하여 로터축(3)을 회전시킨다.
저압 터빈 등에 있어서, 작동 유체인 증기 주류가 습증기 상태로 된 경우, 증기 주류 중에 포함되는 액적이 정익(1)에 부착되고, 이 액적이 날개면 상에서 모여 액막이 형성된다. 이 액막은, 증기와의 계면에 있어서의 압력과 전단력의 합력으로 결정되는 힘의 방향으로 흐르고, 정익의 후방 테두리 단부 근방까지 이동한다. 도 1에 이동하는 액막의 흐름(11)을 도시한다. 날개의 후방 테두리 단부 근방까지 이동한 액적은, 액적(13)으로 되고 증기 주류와 함께 동익(2)을 향하여 비산한다.
도 2는 정익(1)의 날개면 상에 발달한 액막으로부터 액적이 비산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날개 사이 유로 단면도이다. 증기(10)가 정익 사이를 통과할 때, 정익(1)에 액적이 부착되고, 정익면 상에서 액적이 모여 액막(12)으로 발달한다. 정익(1)의 날개면 상에 발달한 액막(12)은 날개 후방 테두리 단부까지 이동하고, 날개 후방 테두리 단부로부터 액적(13)으로 되어 비산한다. 비산한 액적(13)은 하류에 설치된 동익(2)에 충돌하고, 동익 표면을 침식하는 에로젼의 원인이 되거나, 동익의 회전을 방해하여 손실의 원인이 된다.
도 3은 정익면 상에 형성된 습분 분리용 슬릿(8)의 단면 사시도와, 슬릿에 의해 액막(12)의 흐름을 감압 흡인하는 경우의 슬릿부의 액막(12)의 흐름과 증기(10)의 흐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슬릿 폭에 비해 액막류의 두께 h는 얇기 때문에, 슬릿의 후방 엣지부(15)에는 액막의 흐름은 도달하지 않고, 감압 흡인에 의해 증기류(16)가 슬릿 내부에 끌어 들여져 있다.
이상을 근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이하에 적절히,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1∼도 3을 포함하고, 각 도면을 통하여 동등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중공 정익의 정익면에 슬릿을 형성하고, 감압 흡인에 의해 액막을 분리하는 습분 분리 장치에 있어서, 슬릿의 개구부(정익면 상의 개구부)를 미세 격자를 포함하는 메쉬 형상의 시트로 덮은 것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한 습분 분리 장치에 있어서의 슬릿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익에 형성된 습분 분리용의 슬릿(8)의 개구부 전체 영역을 덮도록 미세 격자를 포함하는 메쉬 형상의 미세 격자 시트(9)가 설치되어 있다. 미세 격자 시트(9)의 표면과 정익면이 편평해지도록, 슬릿(8)의 정익면측에 시트 두께분의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세 격자 시트(9)는 금속제이다. 또한, 미세 격자 시트(9)의 격자 폭은 수십㎛이다. 또한, 미세 격자 시트(9)의 두께는, 예를 들어 0.5∼1.0㎜ 정도의 얇기로 성형되어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한 습분 분리 장치에 있어서의 슬릿(8)에 설치하는 미세 격자 시트(9)에 발생하는 표면 장력에 의해 지지되는 압력차를 나타낸 도면이며, 격자 폭과 그 격자 사이에 덮이는 액막의 표면 장력에 의해 지지되는 압력차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증기 터빈의 저압 최종단의 정익면의 정압은 10∼20㎪ 정도이다. 중공 정익의 내압을 정익면 상의 압력보다도 0.9배 정도 감압하여 액막을 흡인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표면 장력이 1∼2㎪이면 액막 흡인을 위한 감압의 압력차와 동등하게 된다. 이것은, 슬릿 상면에 표면 장력 1∼2㎪의 면이 형성되면, 슬릿 내외의 압력차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5로부터 격자 사이에 발생하는 표면 장력을 1∼2㎪로 하기 위해서는 약 50∼100㎛의 폭을 가지면 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미세 격자 시트(9)는 바꿔 말하면, 액막 흡인을 위한 감압의 압력차를 유지할 수 있는 표면 장력이 발생하는 미세한 격자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액막의 흡입 용이성이나 막힘 등을 고려하면, 액막 흡인을 위한 감압의 압력차를 유지할 수 있으면, 격자 간격이 넓은 편이 좋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슬릿(8)의 액막(12)의 흐름과 증기(10)의 흐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막(12)이 흐르고, 미세 격자 시트(9) 면상을 일단 적시면, 액분은 미세 격자 사이를 침투하여 시트면 전체 영역을 적신다. 액막의 흐름에 침투되는 부분의 시트부(17)에서는, 미세 격자 시트는 액막 중에 매몰되기 때문에 미세 격자 시트(9)에 의한 표면 장력은 발생하지 않고, 물은 시트면을 통과하여 슬릿 내부에 흡인된다. 한편, 액막류가 통과하지 않는 시트부(18)에서는, 격자 사이에 침투한 수분에 의한 표면 장력에 의해 슬릿 내외의 기류의 출입을 차단한다. 날개면 상을 흐르는 증기류는 슬릿 내부에 흡수되지 않는다. 즉, 날개면 상을 흘러 온 액막류는 슬릿에서 감압 흡인에 의해 정익 중공부에 흡인되지만, 액막류가 통과하지 않는 슬릿 후방에서는 액막류의 일부가 미세 격자 시트면을 적셔 미세 격자 시트면의 격자 사이 공간이 수분으로 채워져, 이 격자 사이에 부착된 액막에는 미세 격자의 주변에 작용하는 표면 장력이 발생한다. 이 표면 장력이 흡인 압력보다도 크면 미세 격자 시트는 증기류를 정익 중공 내에는 끌어들이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미세 격자 시트에 발생하는 표면 장력을 이용하여 수반 증기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으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바와 같은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것과 다르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소결체에 의해 형성된 다공질체에서는, 본 발명의 미세 격자 시트와 같이 표면 장력을 이용할 수는 없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관한 습분 분리 장치를 적용한 정익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익(1)의 압력면측의 날개면(19)의 후반(하류)에 형성된 슬릿(8)에, 미세 격자 시트(9)를 시공하고 있다. 미세 격자 시트(9)의 날개면(19) 상에의 설치는, 도 4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8)의 전방 테두리부(14)와 후방 테두리부(15)에 시트 두께분의 단차를 형성하고, 이 단차 부분에서 미세 격자 시트(9)와 날개면(19)을 브레이징이나 용접에 의해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익(1)의 날개면(19) 상에 슬릿(8)을 형성하여, 날개면 상에 생성되는 액막(12)을 감압 흡인하는 경우, 슬릿면 상에 설치된 미세 격자 시트(9)에 의해 액막의 분리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 없이 수반 증기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의해 수반 증기 유량에 의한 터빈 발전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액막 분리에 의한 동익 에로젼을 저감시켜, 터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제2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증기류와 접하고 액막이 발생하는 개소(정지부)이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정익의 외주측 다이어프램(4)에 부착된 액막류를 제거하는 예이다. 도 1에 도시한 정익(1)의 외주측 다이어프램(4)에는 정익면 상과 마찬가지로 액막이 부착되고, 그것이 증기류와 함께 하류측으로 유동해 간다. 여기서, 외주측 다이어프램(4)에 부착된 액막의 일부는 외주측 다이어프램으로부터 낙하하여, 동익에 충돌한다. 외주측 다이어프램으로부터 낙하하는 액적은 대립의 액적으로 인해, 동익 에로젼에 대해 현저한 영향을 미친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한 슬릿(8)과 미세 격자 시트(9)로 구성되는 습분 분리 장치를 외주측 다이어프램(4)과 케이싱(7)의 사이에 설치한 것이다. 습분 분리 장치는 링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습분 분리 장치에 의해 터빈 케이싱 내측과 외측을 구획하고, 내측과 외측 사이에는 미세 격자 시트(9)로 덮인 슬릿(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습분 분리 장치의 외측을 터빈 케이싱 내측보다도 감압 흡인하여 외주측 다이어프램에 부착된 습분을 제거한다. 미세 격자 사이에 형성되는 액막의 표면 장력에 의해, 터빈 케이싱 내측을 흐르는 증기류는 케이싱 외측에 흡인 제거되는 일은 없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익 외주의 외주측 다이어프램에 부착되는 액막류를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수반 증기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의해 수반 증기량에 의한 터빈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액막 분리에 의한 동익 에로젼을 저감시켜, 터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슬릿(8)과 미세 격자 시트(9)로 구성되는 습분 분리 장치를 외주측 다이어프램(4)과 케이싱(7)의 사이에 설치하고 있지만, 외주측 다이어프램(4)의 케이싱에 가까운 장소에 슬릿을 형성하고, 그 슬릿에 미세 격자 시트를 덮도록 설치해도 된다.
제3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미세 격자 시트(9)는 브레이징이나 용접에 의해 날개면(19)에 설치하였지만, 도 9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미세 격자 시트를 미리 2매의 금속판(20) 사이에 끼워 넣어 일체화된 것으로 성형해 두고, 이것을 정익(1)의 슬릿(8) 또는 외측 다이어프램과 케이싱 사이 등의 슬릿(8)에 설치하는 것이다. 일체화된 금속판(20)의 프레임 부분을 사용하여, 볼트 또한 용접에 의해 케이싱 또는 날개면 상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미세 격자 시트(9)로서 금속성의 것을 사용하였지만, 미세 격자 시트의 고정 방법으로서 본 실시예의 방법을 이용하면, 시트 재질은 금속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미세 격자를 형성하는 것이라면 플라스틱 섬유 등의 재질의 것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실시예의 효과 외에, 미세 격자 시트의 설치 시공 수단의 선택성이 넓어지기 때문에, 날개면 상뿐만 아니라, 케이싱 등에도 액막 분리 장치의 시공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제4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도 8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미세 격자 시트(9)로서 격자 간격이 50∼100㎛로 되는 메쉬를 사용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모재 내에서 발포를 일으켜, 금속 내부에 미세한 그물코 구조를 형성한, 소위 발포 금속을 사용한 것이다. 금속판의 두께는 0.5∼1.0㎜와 메쉬와 동등한 얇기로 성형하고, 또한 발포에 의해 형성된 공간 영역도 수십㎛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격자 사이 거리를 수십㎛ 이하의 미세 구조를 형성하고, 또한 금속판의 공간율을 80% 이상으로 크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액체의 통과의 저항을 저감시키고, 또한 높은 표면 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느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예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어느 실시예의 구성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에 대해, 다른 구성의 추가, 삭제, 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정익
2 : 동익
3 : 로터축
4 : 외주측 다이어프램
6 : 내주측 다이어프램
7 : 케이싱
8 : 슬릿
9 : 미세 격자 시트
10 : 증기류
11 : 액막 흐름
12 : 액막
13 : 액적
14 : 슬릿부의 전방 에지
15 : 슬릿부의 후방 에지
16 : 슬릿에 끌어 들여지는 증기류
17 : 액막 흐름이 통과하는 격자부
18 : 액막 흐름이 통과하지 않는 격자부
19 : 날개면
20 : 금속판

Claims (9)

  1. 증기류와 접하고 액막이 발생하는 정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정지부에 형성된 슬릿에 의해 감압 흡인하여 액막 분리를 행하는 증기 터빈의 습분 분리 장치이며,
    상기 슬릿의 개구부를 미세 격자를 포함하는 시트로 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터빈의 습분 분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격자를 포함하는 시트는, 상기 감압 흡인을 위한 감압의 압력차를 유지할 수 있는 표면 장력이 발생하는 미세한 격자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터빈의 습분 분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증기 터빈 저압 최종단의 정익면이며, 상기 미세 격자를 포함하는 시트는, 격자 간격이 5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터빈의 습분 분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격자의 시트는, 2매의 금속판 사이에 끼워 넣어져 있고, 상기 금속판을 개재하여 상기 정지부에 설치하는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터빈의 습분 분리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격자의 시트는, 발포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터빈의 습분 분리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정익의 날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터빈의 습분 분리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정익 외주측의 다이어프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터빈의 습분 분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에 형성되는 상기 슬릿은, 상기 정익 외주측의 다이어프램과 터빈 케이싱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터빈의 습분 분리 장치.
  9. 중공 구조의 정익이며, 상기 정익의 날개면에,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기 터빈의 습분 분리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터빈 정익.
KR1020140096455A 2013-08-01 2014-07-29 증기 터빈의 습분 분리 장치 및 증기 터빈 정익 KR201500161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60102 2013-08-01
JP2013160102A JP2015031185A (ja) 2013-08-01 2013-08-01 蒸気タービンの湿分分離装置及び蒸気タービン静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111A true KR20150016111A (ko) 2015-02-11

Family

ID=51265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455A KR20150016111A (ko) 2013-08-01 2014-07-29 증기 터빈의 습분 분리 장치 및 증기 터빈 정익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45866B2 (ko)
EP (1) EP2832954A3 (ko)
JP (1) JP2015031185A (ko)
KR (1) KR201500161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9992B2 (en) * 2014-08-05 2019-08-20 Utherverse Digital Inc. Immersive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immersive display for real-world object aler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1900A (en) * 1939-01-31 1942-02-03 Cambridge Wire Cloth Screen
US3697191A (en) * 1971-03-23 1972-10-10 Westinghouse Electric Corp Erosion control in a steam turbine by moisture diversion
JPS5420207A (en) * 1977-07-15 1979-02-1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Construction for preventing dust of axial flow turbine
JPS58176404A (ja) * 1982-04-08 1983-10-15 Mitsubishi Heavy Ind Ltd ドレン除去装置
JP2753237B2 (ja) 1987-10-23 1998-05-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蒸気タービンの静翼構造
US4948335A (en) * 1988-12-30 1990-08-14 Westinghouse Electric Corp. Turbine moisture removal system
JP3093479B2 (ja) * 1992-10-07 2000-10-03 株式会社東芝 蒸気タービンの湿分分離装置
JPH08200007A (ja) 1995-01-30 1996-08-06 Mitsubishi Heavy Ind Ltd 蒸気タービンの湿分除去装置
DE19504631A1 (de) * 1995-02-13 1996-08-14 Abb Research Ltd Leitschaufel für Dampfturbinen
US5494405A (en) * 1995-03-20 1996-02-27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Method of modifying a steam turbine
DE19709607A1 (de) 1997-03-08 1998-09-10 Abb Research Ltd Leitschaufel für Dampfturbinen
JPH11336503A (ja) * 1998-05-27 1999-12-07 Mitsubishi Heavy Ind Ltd 蒸気タービン静翼
JP2007023895A (ja) 2005-07-15 2007-02-01 Toshiba Corp 蒸気タービン、タービンノズルダイアフラム、及びこれらに用いられるノズル翼、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7789618B2 (en) * 2006-08-28 2010-09-07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for moisture removal in steam turbine engines
JP2008241064A (ja) * 2007-03-26 2008-10-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気液分離器
JP2012002475A (ja) * 2010-06-21 2012-01-05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媒分配器及びこの冷媒分配器を用いたヒートポン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32954A3 (en) 2015-05-06
JP2015031185A (ja) 2015-02-16
US20150037144A1 (en) 2015-02-05
EP2832954A2 (en) 2015-02-04
US9745866B2 (en)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19123B2 (ja) 蒸気タービン、および蒸気タービンの静翼
KR20140035811A (ko) 증기 터빈 고정 날개 및 증기 터빈
EP2282013A2 (en) Moisture removal provisions for steam turbine
US10794196B2 (en) Steam turbine
JP2011094506A (ja) オイルミストセパレータ
KR20150016111A (ko) 증기 터빈의 습분 분리 장치 및 증기 터빈 정익
JP5996115B2 (ja) 蒸気タービンの水分除去装置
WO2015015859A1 (ja) 蒸気タービンの水分除去装置、及びスリット孔の形成方法
JP2009138540A (ja) 蒸気タービンおよび蒸気タービン段落の湿分除去構造
US10245539B2 (en) Virtual impactor filter assembly and method
JP2015007379A (ja) 蒸気タービン装置
JPH06123202A (ja) 蒸気タービンの湿分分離装置
JPH08200007A (ja) 蒸気タービンの湿分除去装置
JP2016029338A (ja) 湿分分離器及び蒸気乾燥器
JPS58176404A (ja) ドレン除去装置
JP6300308B2 (ja) 抜きカス除去装置
JP2005113787A (ja) 蒸気タービン
RU2303705C1 (ru) Влажнопаровая турбина
JP2015098827A (ja) 蒸気タービンの排気室
BR202013008832U2 (pt) Dispositivo para exaustão de névoa de óle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