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4912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4912A
KR20150014912A KR1020147029746A KR20147029746A KR20150014912A KR 20150014912 A KR20150014912 A KR 20150014912A KR 1020147029746 A KR1020147029746 A KR 1020147029746A KR 20147029746 A KR20147029746 A KR 20147029746A KR 20150014912 A KR20150014912 A KR 20150014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elastic member
hair
pedestal portion
hea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4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6Arrangement of mixed bristles or tufts of bristles, e.g. wire, fibre,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헤드부의 식모면에, 복수의 용모를 묶은 모속이 식설된 칫솔에 있어서, 이 헤드부에는, 이 식모면에 돌설된 대좌부와, 이 대좌부의 돌출 단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는 탄성부재가 마련되고, 이 대좌부의 돌출 단면측은 분기되어 있는 칫솔.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5월 23일자로 일본에 출원된 특원2012-117748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칫솔에는, 기본 기능으로서, 구강 내의 청소 효과나 마사지 효과가 요구되고 있고, 그 기본 기능의 향상을 높임으로써, 칫솔의 고부가가치화가 도모되어 왔다. 이 기본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려면, 식모 구멍의 배치나 형상, 용모의 종류나 형상, 모속의 모절(毛切) 형상 등을 조합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고무 입힘을 시행한 재료로부터 형성된 부리스톨-바를 구비한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이 부리스톨-바는, 브러시 헤드의 폭방향을 긴쪽으로 하는 개략 직방체의 바이고, 구강 내를 청소한 때에 치아의 표면에서 치태를 스퀴지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마사지 효과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 칫솔로서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마사져를 마련한 칫솔이 알려져 있다.
마사져계를 마련한 칫솔로서는, 예를 들면, 식모의 가장 외측의 양 옆에 탄력성을 갖는 고무질성(質性)의 원주형 봉형상의 부재를 마련한 잇몸 문지름봉(棒) 부착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2의 발명에 의하면, 모속으로 구강 내를 청소할 때에, 고무질성의 원주형 봉형상의 부재로 잇몸을 마사지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표평11-502439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실개소58-17029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기술에서는, 부리스톨-바가 잇몸에 활주되는 것이지만, 잇몸에의 마사지 효과가 충분하지가 않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기술에서는, 고무질성의 원주형 봉형상의 부재가 잇몸을 가압한 것이지만, 마사지 효과가 충분하지가 않다. 원주형 봉형상의 부재는, 허릿심이 없고, 높은 압력으로 잇몸을 가압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단지 원주형 봉형상 부재의 강성을 높이면, 구강 내의 청소 효과가 현저하게 손상되고, 또한 닿는 기분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잇몸의 마사지 효과와 구강 내의 청소 효과를 양립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그래서, 청소 효과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잇몸을 효과적으로 마사지할 수 있는 칫솔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칫솔은, 헤드부의 식모면에, 복수의 용모를 묶은 모속이 식설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는, 상기 식모면에 돌설된 대좌부(臺座部)와, 상기 대좌부의 돌출 단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는 탄성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대좌의 돌출 단면측은 분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돌출 단면으로부터 기단(基端)을 향하는 절입부에 의해 분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2개 이상 마련됨과 함께, 상기 헤드부의 폭방향 및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의 쌍방 또는 어느 일방에서, 상기 모속을 끼우고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모속보다도 식모면상의 높이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 관한 것이다.
[1] 헤드부의 식모면에, 복수의 용모를 묶은 모속이 식설된 칫솔로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식모면에 돌설된 대좌부와, 상기 대좌부의 돌출 단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는 탄성부재를 가지며,
상기 대좌부의 돌출 단면측은, 분기되어 있는 칫솔.
[2] 상기 대좌부는, 상기 돌출 단면으로부터 상기 식모면을 향하는 절입부에 의해 분기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칫솔.
[3] 상기 헤드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2개 이상 12개 이하 가지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폭방향 및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방향에서, 상기 모속의 일부를 끼우고 마련되어 있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칫솔.
[4] 상기 탄성부재의 식모면상의 높이가, 상기 모속의 식모면상의 높이의 최소치 보다도 낮은 상기 [1] 내지 [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칫솔.
본 발명의 칫솔에서는, 또한, 상기 대좌부는, 평면시 장방형의 각주형상(角柱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는, 돌단을 향함에 따라 상기 돌출 단면에 평행한 임의의 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최대폭이 축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3개 이상 12개 이하 가지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폭방향 및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방향에서, 상기 모속의 일부를 끼우고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폭방향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타의 양태로서는, 상기 헤드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2개 이상 12개 이하 가지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모속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모속에 둘러싸이고 있어도 좋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으로 3개 이상 12개 이하 병설되고, 또한 이 병설된 탄성부재끼리의 사이에 모속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대좌부는, 그 돌출 단면에 형성된 오목조에 의해 분기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칫솔에 의하면, 청소 효과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잇몸을 효과적으로 마사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의 헤드부의 평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의 헤드부의 측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의 헤드부의 평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의 헤드부의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의 헤드부의 평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의 헤드부의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의 헤드부의 평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의 헤드부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부재의 측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의 헤드부의 평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의 헤드부의 측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비교례로서 이용한 칫솔의 헤드부의 평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비교례로서 이용한 칫솔의 헤드부의 측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비교례로서 이용한 칫솔의 헤드부의 평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비교례로서 이용한 칫솔의 헤드부의 측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비교례로서 이용한 칫솔의 헤드부의 평면도.
도 9b는 본 발명의 비교례로서 이용한 칫솔의 헤드부의 측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비교례로서 이용한 칫솔의 헤드부의 평면도.
도 10b는 본 발명의 비교례로서 이용한 칫솔의 헤드부의 측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비교례로서 이용한 칫솔의 헤드부의 평면도.
도 11b는 본 발명의 비교례로서 이용한 칫솔의 헤드부의 측면도.
도 12a는 본 발명의 비교례로서 이용한 칫솔의 헤드부의 평면도.
도 12b는 본 발명의 비교례로서 이용한 칫솔의 헤드부의 측면도.
본 발명의 칫솔은, 헤드부의 식모면에, 모속이 식설됨과 함께, 대좌부와 상기 대좌부의 돌출 단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는 탄성부재가 마련된 칫솔이다. 이하 본 발명의 칫솔에 관해,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한다.
(제1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에 관해, 이하에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의 칫솔(1)은, 장척형상의 핸들부(3) 및 핸들부(3)의 선단에 마련된 헤드부(2)를 구비하는 핸들체와, 헤드부(2)의 식모면(20)에 마련된 모속(32)과 탄성부재(10)를 구비하는 칫솔이다.
헤드부(2)의 평면시 형상은, 헤드부(2)의 중심을 통과하고 기단(22)으로부터 선단(21)을 향하는 축선(O1)의 연재 방향을 긴쪽으로 하는 장방형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장방형(長方形)」에는, 정상부(頂部)의 일부 또는 전부에 직선이나 곡선의 모따기(偶切)가 형성된 장방형, 및 변의 일부 또는 전부가 곡선으로 형성된 장방형이 포함된다.
식모면(20)의 중앙 부분에는, 축선(O1)에 따라, 복수의 용모를 묶은 모속(32)이 2열(헤드부의 폭방향으로 나열하는 모속의 수)×6행(헤드부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한 모속의 수)으로 식설되어, 중앙 모속군(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식모면(20)에는, 중앙 모속군(30)보다도 선단(21)측에, 선단(21)으로부터 차례로 모속(32)이 2열×1행, 4열×1행으로 식설되어 있다. 또한, 중앙 모속군(30)보다도 기단(22)측에, 모속(32)이 3열×1행으로 식설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21개의 모속(32)으로 이루어지는 식모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갖는 한, 모속(32)을 식설하는 열수 및 행수는 적절히 변경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헤드부의 선단(2)으로부터 차례로, 모속(32)이, 1 내지 3열×1 내지 2행, 2 내지 4열×1 내지 2행, 2 내지 3열×2 내지 10행(중앙 모속군(30)), 1 내지 3열×1 내지 2행으로 식설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식모면(20)에는, 탄성부재(10)가, 중앙 모속군(30)을 끼운 헤드부(2)의 폭방향의 양측에, 2개씩 마련되어 있다. 중앙 모속군(30)을 끼운 편측에는, 탄성부재(10)가 축선(O1)의 연재 방향으로 2개 나열하고, 중앙 모속군(30)을 끼운 타측에는, 탄성부재(10)가 축선(O1)의 연재 방향으로 2개 나열하여 있다. 또한, 헤드부(2)의 「폭방향」이란, 평면시에서의 축선(O1)에 수직한(直行) 방향이고, 헤드부(2)의 「길이방향」은, 축선(O1)의 연재 방향이다.
칫솔(1)에서, 헤드부(2)와 핸들부(3)는, 전체로서 장척형상으로 일체 성형되어 있고, 예를 들면, 수지를 재료로 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핸들체를 구성하는 수지는, 칫솔(1)에 요구되는 강성이나 기계 특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휨 탄성률(JIS K7203)이 500 내지 3000㎫의 범위에 있는 고경도 수지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고경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셀룰로스프로피오네이트(CP),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 수지(AS)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3)는, 예를 들면 일래스토머 등의 유연한 수지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피복되어 있어도 좋다.
헤드부(2)의 크기는,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폭이 8 내지 15㎜, 길이가 15 내지 40㎜, 두께가 2.5 내지 8㎜로 된다.
모속(32)을 구성하는 용모로서는, 모선을 향하여 점차 그 지름이 작아지는 용모(테이퍼모), 모선의 둥근부를 제외하여 외경이 거의 동일한 용모(스트레이트모), 스파이럴형상의 용모, 크림프형상의 용모 등을 들 수 있다.
용모의 재질은, 예를 들면, 6-12나일론, 6-10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등의 폴리에스테르 ; PP 등의 폴리올레핀, 올레핀계 일래스토머,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 재료는, 복수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고 그 중에서도, 용이하게 허릿심을 강하게 할 수 있고, 플라그의 소취성(搔取性)이 보다 높아지는 점에서, 복수의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의 조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의 조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의 조합,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모로서는, 심부(芯部)와 상기 심부의 외측에 마련된 적어도 1층 이상의 초부를 갖는 다중심(多重芯) 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제 용모를 들 수 있다. 다중심 구조를 가지면, 심부와 초부에서 다른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계적 물성의 조정이 용이해진다. 이 때문에, 허릿심이 강하고, 플라그의 소취성이 보다 높은 용모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심부와 초부의 용모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폴리에스테르의 조합으로서는, 초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심부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조합 ; 초부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심부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조합, 또는 초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심부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조합이 바람직하다.
용모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이 바람직하지만, 원형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칫솔(1)의 목적 용도에 응하여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타원형, 다각형(예를 들면, 3각형, 4각형, 5각형, 6각형, 별형 등), 3엽의 클로버형, 4엽의 클로버형 등이라도 좋다.
용모의 굵기(즉, 횡단면에서의 최대폭)는, 재질이나 길이 등을 감안하여 적절히 결정되고, 예를 들면, 횡단면이 원형인 경우, 3 내지 12mil(1mil = 1/1000inch = 0.025㎜)이 바람직하고, 4 내지 10mil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감이나, 쇄소감, 청소 효과,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굵기가 다른 복수개의 용모를 임의로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식모면(20)에서의 모속(32)의 굵기(즉, 모속의 횡단면에서의 최대폭)는, 용모의 재질이나 두께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1 내지 3.5㎜가 바람직하고, 1.5 내지 2.5㎜가 보다 바람직하다. 모든 모속(32)의 모속의 굵기가 같아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
또한, 식모면(20)에서의 모속끼리의 최단 거리는, 모든 모속 사이에서 같아도 좋고 각각 달라도 좋다. 식모면(20)에서의 모속끼리의 최단 거리로서는, 0.2 내지 1.2㎜가 바람직하고, 0.3 내지 1.0㎜가 더욱 바람직하다.
모속(32)의 모장(毛丈)(즉, 모속(32)의 높이)(H1), 즉 식모면(20)부터 모속(32)의 선단까지의 길이는, 예를 들면, 6㎜ 내지 15㎜의 범위에서 결정할 수 있다. 모든 모속(32)의 모장(H1)은, 같아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식모부가 헤드부(2)의 폭방향의 중앙(즉, 축선(O1))을 향함에 따라 높아지도록, 각각의 모속(32)의 모장(H1)이 조정되어 있어도 좋다.
탄성부재(10)는, 식모면(20)상에 돌설된 대좌부(12)와, 대좌부(12)의 돌출 단면(13)(즉, 대좌부(12)에서의 식모면(20)에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14)를 구비하고, 대좌부(12)의 돌출 단면(13)측이 4개로 분기(分岐)된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대좌부(12)는, 축선(O1)의 연재 방향을 긴쪽으로 하는 평면시 장방형의 각주형상이고, 그 평면시 형상의 짧은쪽을 형성하는 한 쌍의 변 및 4개의 정상부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좌부(12)는, 식모면(20)과의 경계(즉, 대좌부(12)의 기단)로부터 돌출 단면(13)에 걸쳐서, 돌출 단면(13)에 평행한 임의의 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최대폭이, 같아도 좋고 점차 축소하고 있어도 좋고 점차 확장하고 있어도 좋다.
대좌부(12)에는, 돌출 단면(13)부터 식모면(20)을 향하여 절입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즉, 대좌부(12)는, 절입부(16)에 의해, 돌출 단면(13)측이 분기되어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 및 청구의 범위에서, 「절입부」란, 대좌부의 돌출 단면측을 분기하는 최대폭이 3㎜ 미만의 슬릿(간극)을 의미한다.
대좌부(12)의 돌출 단면(13)에는, 돌기부(14)가, 대좌부(12)의 짧은쪽 방향으로 2개, 대좌부(12)의 길이방향으로 4개 나열하여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14)는, 평면시 개략 진원형이고, 돌단을 향함에 따라 축경(縮徑)하는 원추형상이다. 절입부(16)는, 대좌부(12)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하는 돌기부(14)끼리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대좌부(12)가 분기된 각각의 부분은, 돌기부(14)를 2개씩 갖고 있다.
또한, 돌기부(14)는, 대좌부(12)의 짧은쪽 방향으로 2개, 대좌부(12)의 길이방향으로 4개 형성되어 있다고는 한할 수 없고, 본 발명의 효과를 갖는 한, 대좌부(12)의 짧은쪽 방향으로 1 내지 3개, 길이방향으로 2 내지 8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대좌부(12)의 분기된 각각의 부분은, 돌기부(14)를 2개씩 갖고 있다고는 한할 수 없고, 본 발명의 효과를 갖는 한, 1 내지 4개씩 갖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 탄성부재(10)는, 대좌부(12)와 돌기부(14)가 일체 성형된 부재이고, 예를 들면, 수지를 재료로 하고 사출성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탄성부재(10)를 구성하는 수지는, 구강 내 청소시에 적당하게 휘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연질 수지를 들 수 있다. 연질 수지로서는, 경도(JISK6253 경도 시험, 시험 조건 JIS A)가 5 내지 100의 수지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60의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경도가 5 이상이면, 충분한 탄성을 가지며, 충분한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경도가 100 이하면, 잇몸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또한 충분한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연질 수지의 구체례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폴리스티렌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1,2-폴리부타디엔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폴리염화비닐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천연고무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불소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트랜스-폴리이소프렌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탄성부재(10)의 높이(h1), 즉, 식모면(20)부터 돌기부(14)의 돌단까지의 길이는, 모속(32)의 모장(H1)나, 탄성부재(10)의 재질 등을 감안하여 결정되고, 예를 들면, 5.5 내지 14.5㎜가 바람직하고, 7 내지 11㎜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구강 내 청소시에 돌기부(14)가 잇몸에 당접하기 쉽고, 보다 양호한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상한치 이하라면, 탄성부재(10)는 적당한 경도와 유연성을 구비하여, 마사지 효과를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더하여, 탄성부재(10)의 높이(h1)는, 모속(32)의 모장(H1)의 최대치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H1]-[h1]로 표시된 고저차(D1)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이다. 탄성부재(10)가 모속(32)보다 낮음으로써, 모속(32)에 의한 치면 또는 치간부의 청소 효과와, 탄성부재(10)에 의한 잇몸의 마사지 효과를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대좌부(12)의 높이(h2)는, 탄성부재(10)에 요구되는 경도나 유연성을 감안하여 결정되고, 예를 들면, 5 내지 11㎜가 바람직하고, 6 내지 8㎜가 보다 바람직하다.
대좌부(12)의 길이(L1), 즉 평면시에서의 대좌부(12)의 길이방향에서의 길이의 최대치는, 탄성부재(10)에 요구되는 경도나 유연성을 감안하여 결정되고, 예를 들면, 3 내지 15㎜가 바람직하고, 5 내지 10㎜가 보다 바람직하다.
대좌부(12)의 폭(W1), 즉 평면시에서의 대좌부(12)의 짧은쪽 방향에서의 길이의 최대치는, 탄성부재(10)에 요구되는 경도나 유연성을 감안하여 결정되고, 예를 들면, 1 내지 3㎜가 바람직하고, 1.5 내지 2.5㎜가 보다 바람직하다.
돌기부(14)의 높이(h3), 즉, 돌출 단면(13)부터 돌기부(14)의 돌단까지의 길이는, 돌기부(14)의 재질 등을 감안하여 결정되고, 예를 들면, 0.5 내지 4㎜가 바람직하고, 1 내지 3㎜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라면, 보다 양호한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돌기부(14)의 폭(r1)(즉, 돌기부(14)의 기단에서의 최대폭)으로서는, 돌단부의 폭(r1)의 2개 분의 합계가 대좌부(12)의 폭(W1)보다 작으면 좋고 돌기부(14)의 재질 등을 감안하여 결정되고, 예를 들면, 0.5 내지 2㎜가 바람직하고, 0.8 내지 1.2㎜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라면, 강도와 유연성과의 밸런스가 양호하다. 또한, 모든 돌기부(14)의 폭(r1)은, 같아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
대좌부(12)에서의 절입부(16)의 깊이(d1)는, 대좌부(12)의 재질이나, 폭(W1) 등을 감안하여 결정되고, 예를 들면, 대좌부(12)의 높이(h2)의 1/3 내지 2/3이 바람직하고, 2/5 내지 3/5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미만에서는, 탄성부재(10)가 잇몸에 주는 자극이 너무 강해질 우려가 있고, 상기 상한치 초과에서는, 탄성부재(10)가 잇몸에 주는 자극이 너무 약하게 되어, 마사지 효과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절입부(16)의 폭(w2), 즉, 대좌부(12)에서의 분기된 부분끼리의 최대 거리는, 대좌부(12)의 재질 등을 감안하여 결정되고, 예를 들면, 2㎜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분기된 부분끼리가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폭(w2)이 상기 상한치 이하면, 탄성부재(10)가 잇몸에 대해 적당한 자극을 주어, 마사지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임의의 절입부(16)와 다른 절입부(16)와의 최단의 거리(w1)는, 대좌부(12)에서의 분기된 부분의 위에,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는 거리라면 좋고 대좌부(12)의 재질이나 길이(L1), 폭(W1), 돌기부(14)의 폭(r1) 등을 감안하여 결정되고, 예를 들면, 0.8 내지 5㎜가 바람직하고, 1 내지 3㎜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최단의 거리(w1)는, 전부가 같아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
상기 하한치 미만에서는, 탄성부재(10)가 잇몸에 주는 자극이 너무 약하게 되어, 마사지 효과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고, 상기 상한치 초과에서는, 탄성부재(10)가 잇몸에 주는 자극이 너무 강해질 우려가 있다.
축선(O1)의 연재 방향으로 나열한 탄성부재(10)끼리의 최단 거리로서는, 2 내지 10㎜가 바람직하고, 3 내지 8㎜가 바람직하다.
탄성부재(10)와 중앙 모속군(30)과의 최단 거리는, 0.2 내지 1.5㎜가 바람직하고, 0.3 내지 1.0㎜가 바람직하다.
또한, 중앙 모속군(30)은, 폭이 2 내지 5㎜, 길이가 2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칫솔(1)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면, 핸들체를 성형하고(1차 성형), 얻어진 핸들체에 탄성부재(10)를 마련하는(2차 성형) 성형 공정과, 뒤이어 헤드부(2)에 모속(32)을 식설하는 식모 공정을 구비하는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1차 성형은, 핸들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캐비티가 형성된 한 쌍의 1차 금형을 이용하고, 상기 캐비티에 핸들체를 구성하는 수지(1차 수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사출하여, 핸들체를 성형하는 조작이다.
계속된 2차 성형은, 탄성부재(10)의 형상에 대응하는 캐비티가 형성된 한 쌍의 2차 금형을 이용하여, 1차 성형에서 얻어진 핸들체를 2차 금형의 캐비티 내에 장전하고, 2차 금형에 탄성부재(10)를 구성하는 수지(2차 수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사출하여, 식모면(20)에 탄성부재(10)를 마련하는 조작이다. 2차 금형의 캐비티는, 캐비티 내에 핸들체가 장전된 때, 장전된 핸들체와 캐비티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탄성부재(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된 것이다.
식모 공정은, 헤드부(2)에 모속(32)을 식설하여, 칫솔(1)로 하는 공정이다. 모속(32)의 식설은, 공지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복수개의 용모로 이루어지는 모속을 2개로 접고, 그 사이에 빠짐방지부재(평선)를 끼우고, 이 평선을 식모 구멍에 타입하여 모속을 고정하는 평선 식모법을 들 수 있다. 이 평선은,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진유(眞鍮)제, 알루미늄제의 평판형상의 평선을 들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의 사용 방법에 관해, 스크러브법 또는 버스법으로 구강 내를 청소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모속(32)의 선단을 치면이나 치경부에 당접시켜서, 칫솔(1)을 축선(O1)의 연재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킨다. 이 때, 모속(32)이 치면, 치간부 또는 치경부의 오염을 소취(搔取)함과 함께, 돌기부(14)가 잇몸에 활주한다. 돌기부(14)가 잇몸에 활주하면, 그 저항에 의해 돌기부(14) 또는 대좌부(12)가 휘거나, 탄성 복귀하거나 한다. 더하여, 대좌부(12)는, 절입부(16)에 의해 분기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분기한 부분 개별적이 탄성부재(10)의 길이방향이나 짧은쪽 방향으로 휘어, 잇몸에 대한 자극을 적당하게 완화한다. 또한, 모속(32)의 일부, 즉 중앙 모속군(30)을 형성하는 모속(32)은, 헤드부(2)의 폭방향의 양측에 마련된 탄성부재(10)에 의해 끼어져 있기 때문에, 헤드부(2)의 폭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이렇게 해서, 칫솔(1)은, 탄성부재(10)가 적당한 압력으로 잇몸을 가압하여, 잇몸에의 마사지 효과를 발휘함과 함께, 모속(32)이 치면, 치간부 또는 치경부를 양호하게 찰소(擦掃)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탄성부재(1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구강 내의 청소시에, 잇몸에의 마사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탄성부재(10)는, 대좌부(12)상에 돌기부(14)가 형성된 탄성부재이기 때문에, 구강 내의 청소시에는, 주로 돌기부(14)가 잇몸에 당접한다. 돌기부(14)는, 기단에서의 최대폭이, 대좌부(12)의 폭 및 길이보다 작기 때문에, 돌단에 집중한 힘을 잇몸에 전함과 함께, 나긋나긋하게 휜다. 이 때문에, 잇몸에 대해, 부드러운 닿는 기분을 준다.
더하여, 탄성부재(10)는, 대좌부(12)에 의해 적당한 강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돌기부(14)에 의해, 잇몸에 적당한 강도의 자극을 주어, 마사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대좌부(12)는 돌출 단면(13)측이 분기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러브법이나 버스법으로 구강 내를 청소한 때에, 대좌부(12)가 분기된 부분이 각각으로 휘어, 잇몸에 주는 자극을 적당하게 완화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0)는, 기단부터 돌단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휘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부(14)가 부드러운 닿는 기분으로 잇몸에 당접함과 함께, 전체로서, 적당한 자극을 잇몸에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구강 내의 청소 중에, 모속끼리가 서로 맞간섭함으로써, 적당한 모요(毛腰) 강도를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칫솔의 식모면에 탄성부재(10)를 마련하면, 모속은, 수량이 적어져서, 모요 강도가 저하되어, 청소 효과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모속(32)의 일부인 중앙 모속군(30)이 탄성부재(10)로 끼어져 있기 때문에, 중앙 모속군(30)을 형성하는 모속(32)은, 헤드부(2)의 폭방향으로 휘는 상태가 제한된다. 이 때문에, 모속(32)은, 수량이 적어도 강한 모요를 구비하여 청소 효과를 보다 향상할 수 있다.
(제2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에 관해, 이하에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의 실시 형태와 같은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함과 함께, 주로 제1의 실시 형태와 다른 점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100)은, 헤드부(2)의 길이방향(즉, 축선(O1)의 연재 방향)의 양측에 나열하는 2개의 탄성부재(10)의 사이에 모속(132)이 마련된 칫솔이다. 즉, 칫솔(100)은, 탄성부재(10)가 헤드부(2)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의 쌍방에서, 모속의 일부를 끼워 마련된 칫솔이다.
식모면(20)에는, 헤드부의 선단(21)으로부터 차례로, 모속(32)이, 2열×1행, 4열×1행, 2열×3행, 4열×1행(이 중, 헤드부(2)의 폭방향의 양단의 모속을 부호 132로 나타낸다), 2열×3행, 3열×1행으로 식설되어 있다.
식모면(20)에서의 모속끼리의 최단 거리는, 모든 모속 사이에서 같아도 좋고 각각 달라도 좋다. 모속끼리의 최단 거리로서는, 0.2 내지 1.2㎜가 바람직하고, 0.3 내지 1.0㎜가 더욱 바람직하다.
탄성부재(10)는, 그 긴쪽이 축선(O1)의 연재 방향이 되도록, 헤드부(2)의 폭방향의 양측에 2개씩 마련되어 있다. 헤드부(2)의 폭방향에서 대향하는 2쌍의 탄성부재(10)는, 모두 2열×3행의 모속(32)을 끼우고 마련되어 있다. 모속(132)을 중심으로 하여 선단(21)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10)로 끼여진 2열×3행의 모속(32)에 의해 제1의 중앙 모속군(13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모속(132)을 중심으로 하여 기단(22)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10)로 끼여진 2열×3행의 모속(32)에 의해 제2의 중앙 모속군(130b)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 모속군(130a)은, 폭이 2 내지 5㎜, 길이가 2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모속군(130b)은, 폭이 2 내지 5㎜, 길이가 2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축선(O1)의 연재 방향으로 나열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10)끼리의 사이에는, 모속(132)이 식설되어 있다.
각 탄성부재(10)와 모속(132)과의 최단 거리는, 전부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탄성부재(10)와 모속(132)과의 최단 거리로서는, 0.3 내지 1.2㎜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1.0㎜가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부재(10)와 중앙 모속군(130a) 또는 중앙 모속군(130b)과의 최단 거리로서는, 0.2 내지 1.5㎜가 바람직하고, 0.3 내지 1.0㎜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갖는 한, 모속(32)을 식설하는 열수 및 행수는 적절히 변경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헤드부의 선단(21)으로부터 차례로, 모속(32)이, 1 내지 3열×1 내지 2행, 2 내지 4열×1 내지 2행, 1 내지 3열×1 내지 4행(중앙 모속군(130a)), 3 내지 5열×1 내지 2행(이 중, 헤드부(2)의 폭방향의 양단부터 ○ 내지 ○열의 모속을 부호 132로 나타낸다), 1 내지 2열×1 내지 4행(중앙 모속군(130b)) 1 내지 3열×1 내지 2행으로 식설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100)에 의하면, 탄성부재(10)가, 헤드부(2)의 폭방향에서, 모속(32)의 일부(즉, 중앙 모속군(130a), 및 중앙 모속군(130b))을 끼우고 마련되어 있고, 헤드부(2)의 길이방향에서, 모속(132)을 끼우고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칫솔(100)로 구강 내를 세정한 때, 제1의 중앙 모속군(130a)을 형성하는 모속(32), 제2의 중앙 모속군(130b)을 형성하는 모속(32)에서, 헤드부(2)의 폭방향으로의 휘는 상태가 제한된다. 이 때문에, 제1의 중앙 모속군(130a) 및 제2의 중앙 모속군(130b)을 형성하는 모속(32)이, 강한 모요로 구강 내를 청소한다.
더하여, 모속(132)은, 헤드부(2)의 길이방향에서 탄성부재(10)에 끼어져 있기 때문에, 칫솔(100)을 축선(O1)의 연재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킨 경우, 헤드부(2)의 길이방향으로의 휘는 상태가 제한되어, 강한 모요로 구강 내를 청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0)가 헤드부(2)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의 쌍방에서 모속의 일부를 끼우고 마련되어 있음으로서, 칫솔(100)의 청소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제3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에 관해, 이하에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일 및 제2의 실시 형태와 같은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함과 함께, 주로 제1 및 제2의 실시 형태와 다른 점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200)은, 축선(O1)상에 3개의 탄성부재(10)가 이간하여 병설된 칫솔로서, 각 탄성부재(10)는, 축선(O1)의 연재 방향이 짧은쪽으로 되어 있다.
식모면(20)에는, 헤드부의 선단(21)으로부터 차례로, 2열×1행의 모속(32), 4열×1행의 모속(32), 탄성부재(10), 4열×1행의 모속(32), 탄성부재(10), 4열×1행의 모속(32), 탄성부재(10), 4열×1행의 모속(32), 3열×1행의 모속(32)이 마련되어 있다. 즉, 칫솔(200)은, 3개의 탄성부재(10)가 헤드부(2)의 길이방향에서 모속(32)의 일부를 끼우고 마련된 칫솔이다.
식모면(20)에 식설된 인접하는 모속끼리의 최단 거리는, 모든 모속 사이에서 같아도 좋고 각각 달라도 좋다. 모속끼리의 최단 거리로서는, 0.2 내지 1.2㎜가 바람직하고, 0.3 내지 1.0㎜가 더욱 바람직하다.
축선(O1)상에 병설된 탄성부재(10)끼리의 최단 거리는, 2 내지 5㎜가 바람직하고, 3 내지 4㎜가 더욱 바람직하다. 탄성부재(10)끼리의 최단 거리는, 전부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또한, 탄성부재(10)와 모속(32)과의 최단 거리로서는, 0.2 내지 1.0㎜가 바람직하고, 0.3 내지 0.8㎜가 바람직하다. 탄성부재(10)와 모속(32)과의 최단 거리는, 전부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갖는 한, 모속(32)을 식설하는 열수 및 행수는 적절히 변경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헤드부의 선단(21)으로부터 차례로, 1 내지 3열×1 내지 2행의 모속(32), 2 내지 4열×1 내지 2행의 모속(32), 탄성부재(10), 3 내지 5열×1 내지 3행의 모속(32), 탄성부재(10), 3 내지 5열×1 내지 3행의 모속(32), 탄성부재(10), 3 내지 5열×1 내지 3행의 모속(32), 1 내지 3열×1 내지 2행의 모속(32)으로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200)에 의하면, 탄성부재(10)가 헤드부(2)의 길이방향에서, 모속(32)의 일부를 끼우고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칫솔(200)을 축선(O1)의 연재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킨 경우, 탄성부재(10)로 헤드부(2)의 길이방향으로의 휘는 상태가 제한되는 모속(32)이 늘어나, 보다 강한 모요로 치면 등을 청소할 수 있다.
(제4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에 관해, 이하에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내지 제3의 실시 형태와 같은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함과 함께, 주로 제1 내지 제3의 실시 형태와 다른 점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300)은, 식모면(20)의 개략 중앙에, 4개의 탄성부재(10)가 2열×2행으로 마련되고, 이 4개의 탄성부재(10)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군을 둘러싸도록 모속(32)이 마련된 칫솔이다. 즉, 칫솔(300)에서, 탄성부재(10)는, 모속(32)을 끼우도록 하여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탄성부재(10)는, 모두 헤드부(2)의 길이방향이 긴쪽으로 되어 있다.
헤드부(2)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하는 탄성부재(10)끼리의 최단 거리는, 0.1 내지 1.0㎜가 바람직하고, 0.3 내지 0.8㎜가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부(2)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하는 탄성부재(10)끼리의 최단 거리는, 전부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헤드부(2)의 폭방향으로 나열하는 탄성부재(10)끼리의 최단 거리는, 0.1 내지 1.0㎜가 바람직하고, 0.3 내지 0.8㎜가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부(2)의 폭방향으로 나열하는 탄성부재(10)끼리의 최단 거리는, 전부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탄성부재(10)와 모속(32)과의 최단 거리는, 0.2 내지 1.0㎜가 바람직하고, 0.3 내지 0.8㎜가 바람직하다. 탄성부재(10)와 모속(32)과의 최단 거리는, 전부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식모면(20)에 식설된 인접하는 모속끼리의 최단 거리는, 모든 모속 사이에서 같아도 좋고 각각 달라도 좋다. 모속끼리의 최단 거리로서는, 0.2 내지 1.2㎜가 바람직하고, 0.3 내지 1.0㎜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300)에 의하면, 탄성부재(10)가 헤드부(2)의 개략 중앙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모속(32)은, 식모면(20)의 중앙 방향으로의 휘는 상태가 제한되고, 식모면(20)의 외측 방향향으로의 휘는 상태는 제한되기 어럽다.
이 때문에, 모속(32)은, 식모면(20)의 중앙 방향으로 휠 때에는 강한 모요가 되고, 식모면(20)의 외측 방향으로 휠 때에는 약한 모요(부드러운 닿는 기분)가 되어, 구강 내를 청소한다.
단, 칫솔(300)에서는, 축선(O1) 부근의 모속(32)이 적어져서, 청소 실감이 손상되기 쉽다. 이 때문에, 탄성부재(10)는, 헤드부(2)의 폭방향 양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1 내지 제4의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부가 평면시 장방형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평면시 형상이 진원형, 타원형 등의 원형, 평면시 3각형, 평면시 5각형 등, 평면시 장방형 이외의 다각형이라도 좋다. 여기서, 다각형에는, 각 정상부에 직선이나 곡선의 모따기가 형성된 형상이나, 각 변의 일부 또는 전부가 곡선으로 된 형상이 포함된다.
제1 내지 제4의 실시 형태에서는, 대좌부가 평면시 장방형의 각주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대좌부가 진원주형상이나 타원주형상의 원주형상이라도 좋고 평면시 3각형, 평면시 5각형 등, 평면시 장방형 이외의 각주형상이라도 좋다.
단, 대좌부가 잇몸이나 뺨에 당접한 때에, 사용자에게 강한 자극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정상부가 곡선으로 형성된 각주형상 또는 원주형상이 바람직하고, 마사지 효과를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는 평면시 장방형의 각주형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내지 제4의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가 원추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돌기부의 형상은, 재질 등을 감안하여 적절히 결정된다. 돌기부의 형상은, 예를 들면, 3각추형상, 4각추형상, 5각추형상 등의 다각추형상이라도 좋고 반구형상이라도 좋고 원주형상이나 다각주형상 등의 주형상(柱狀), 또는 돌기부의 기단부터 돌단을 향하여 돌출 단면에 대해 수평한 단면에서의 최대폭이 개략 동일한 주형상부에 뒤이어 점차 돌출 단면에 대해 수평한 단면에서의 최대폭이 축소한 축형부(縮形部)를 구비하는 돌기부라도 좋다. 단, 잇몸에 대한 닿는 기분을 보다 부드러운 돌기부로 하여, 또한 잇몸에 대해 보다 적당한 자극을 주는 관점에서, 돌기부는, 원추형상, 다각추형상, 반구형상, 또는 돌기부의 기단부터 돌단을 향하여 돌출 단면에 대해 수평한 단면에서의 최대폭이 거의 동일의 주형상부와, 이 주형상부에 뒤이어 돌출 단면에 대해 수평한 단면에서의 최대폭이 점차 축소한 축형부를 구비하는 돌기부 등, 돌단을 향함에 따라 돌출 단면에 대해 수평한 단면에서의 최대폭이 축소하는 형상이 바람직하고, 원추형상, 다각추형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원추형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내지 제4의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대좌부에 8개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돌기부의 수량은, 돌기부의 재질 등을 감안하여 적절히 결정되고, 2개 이상 7개 이하라도 좋고 9개 이상 16개 이하 라도 좋다.
제1 내지 제4의 실시 형태에서는, 대좌부의 돌출 단면측이 4개로 분기되어 있지(즉, 3개의 절입부가 형성되어 있다)만, 대좌부의 분기수는 대좌부의 크기를 감안하여 결정되고, 대좌부의 돌출 단면측이 2 내지 3개로 분기되어 있어도 좋고 5개 이상으로 분기되어 있어도 좋다. 단, 잇몸에 대한 자극을 보다 적절한 것으로 한 관점에서, 2 내지 12개로 분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 내지 8개로 분기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내지 제4의 실시 형태에서는, 대좌부와 돌기부가 일체 성형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대좌부와 돌기부가 각각 별개로 성형되어 있어도 좋다.
제1 내지 제4의 실시 형태에서는, 대좌부가 절입부에 의해 분기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하는 탄성부재(110)와 같이, 대좌부(112)의 돌출 단면(113)에, 측면시 사다리꼴의 오목조(116)가 형성되어, 대좌부(112)의 돌출 단면(113)측이 분기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오목조」란, 대좌부의 돌출 단면측을 분기하는 측면시 사다리꼴의 간극으로서, 측면시 사다리꼴의 일방의 저변에서의 최소치가 1.0㎜ 이상 5㎜ 이하 또한 일방의 저변에서의 최소치가 2㎜ 이상 8㎜ 이하인 간극을 의미한다.
단, 구강 내를 청소할 때에, 대좌부가 분기된 부분끼리가 간섭함으로써, 적당한 강도의 자극을 잇몸에 주어 마사지 효과를 높이는 관점에서는, 대좌부는 절입부에 의해 분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의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부재가 헤드부의 폭방향 양측에 2개씩, 합계 4개 마련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탄성부재가 헤드부의 폭방향 양측에 1개씩 합계 2개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헤드부의 폭방향 양측에 3개 이상씩 합계 6개 이상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단, 적당한 강도의 자극을 잇몸에 주어 마사지 효과를 높이는 관점에서는, 탄성부재의 수량은 합계 4 내지 14개가 바람직하고, 합계 4 내지 10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더하여, 헤드부의 폭방향의 일방에 마련된 탄성부재의 수량과 타방에 마련된 탄성부재의 수량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단, 탄성부재로 끼여진 모속의 휘는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제어하는 관점에서, 헤드부의 폭방향의 일방에 마련된 탄성부재의 수량과 타방에 마련된 탄성부재의 수량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의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부재가 헤드부의 폭방향 양측에 2개씩, 합계 4개 마련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탄성부재가 헤드부의 폭방향 양측에 1개씩 합계 2개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3개 이상씩 합계 6개 이상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단, 적당한 강도의 자극을 잇몸에 주어 마사지 효과를 높이는 관점에서는, 탄성부재의 수량은 합계 4 내지 14개가 바람직하고, 합계 4 내지 10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더하여, 헤드부의 폭방향의 일방에 마련된 탄성부재의 수량과 타방에 마련된 탄성부재의 수량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단, 탄성부재로 끼여진 모속의 휘는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제어하는 관점에서, 헤드부의 폭방향의 일방에 마련된 탄성부재의 수량과 타방에 마련된 탄성부재의 수량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3의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탄성부재가 마련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탄성부재의 수량은, 1 내지 2개라도 좋고 4개 이상 8개 이하라도 좋다. 단, 적당한 강도의 자극을 잇몸에 주어 마사지 효과를 높이는 관점에서는, 2 내지 10개가 바람직하고, 3 내지 8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4의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부재군이 4개의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탄성부재군을 형성하는 탄성부재의 수량은, 1개 이상 3개 이하라도 좋고 5개 이상 8개 이하라도 좋다. 단, 적당한 강도의 자극을 잇몸에 주어 마사지 효과를 높이는 관점에서는, 3 내지 20개가 바람직하고, 4 내지 10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칫솔은, 탄성부재의 수량, 크기, 돌기부의 수량, 분기수 등이 적절히 조합되어, 청소 효과와 마사지 효과가 조절되는 칫솔이다.
예를 들면, 헤드부의 길이방향으로 3개 이상의 탄성부재가 병설된 칫솔에 관해,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내지 제4의 실시 형태와 같은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함과 함께, 주로 제1 내지 제4의 실시 형태와 다른 점에 관해 설명한다.
도 6a의 칫솔(400)은, 식모면(20)에, 헤드부(2)의 폭방향 양측에 평면시 장방형의 각주형상의 탄성부재(410)가 3개씩 마련된 칫솔로서, 탄성부재(410)는, 그 긴쪽이 축선(O1)의 연재 방향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헤드부(2)의 폭방향에서 대향하는 3쌍의 탄성부재(410)는, 모두 2열×2행의 모속(32)을 끼우고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갖는 한, 헤드부의 길이방향으로 병설되는 탄성부재(410)의 개수는 적절히 변경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3개 이상 10개 이하로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헤드부(2)의 폭방향에서 대향하는 탄성부재(410)는, 모두 1 내지 3열×1 내지 3행의 모속(32)을 끼우고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헤드부(2)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하는 탄성부재(410)끼리의 사이에는, 모속(132)이 마련되어 있다. 즉, 헤드부(2)의 폭방향 양측에는, 헤드부(2)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하는 탄성부재(410)끼리의 사이에 끼여진 모속(132)이, 2개씩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갖는 한, 헤드부(2)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하는 탄성부재(410)끼리의 사이에 끼여진 모속(132)은, 3열×2행 내지 5열×2행으로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탄성부재(410)는, 평면시 장방형의 각주형상의 대좌부(412)와 대좌부(412)의 돌출 단면(413)에 형성된 4개의 돌기부(14)를 구비하고, 돌출 단면(413)으로부터 식모면(20)을 향하는 절입부(16)가 1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갖는 한, 돌기부의 개수 및 절입부의 개수는 적절히 변경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대좌부(412)의 돌출 단면(413)에 형성된 돌기부의 개수는 1 이상 4 이하라도 좋고 식모면(20)을 향하는 절입부(16)는 1 이상 3 이하라도 좋다.
탄성부재(410)의 대좌부(12)의 길이(L1)(즉 평면시에서의 대좌부(12)의 길이방향에서의 최대의 길이)로서는, 1 내지 7㎜가 바람직하고, 2 내지 6㎜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부재(410)의 대좌부(12)의 폭(W1)(즉 평면시에서의 대좌부(12)의 짧은쪽 방향에서의 최대의 길이)로서는, 1 내지 4㎜가 바람직하고, 2 내지 3㎜가 보다 바람직하다.
탄성부재(410)와 모속(32)과의 최단 거리로서는, 0.2 내지 1.0㎜가 바람직하고, 0.3 내지 0.8㎜가 보다 바람직하다.
각 탄성부재(410)와 모속(132)과의 최단 거리는, 전부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탄성부재(10)와 모속(132)과의 최단 거리로서는, 0.2 내지 1.2㎜가 바람직하고, 0.3 내지 1.0㎜가 바람직하다.
식모면(20)에 식설된 인접하는 모속(32)끼리의 최단 거리는, 모든 모속 사이에서 같아도 좋고 각각 달라도 좋다. 모속끼리의 최단 거리로서는, 0.5 내지 1.2㎜가 바람직하고, 0.8 내지 1.0㎜가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례
이하 실시례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기재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례 1)
표 1에 기재된 사양에 따라, 도 1a 및 도 1b의 칫솔(1)과 같은 칫솔을 제작하였다. 이 칫솔은, 핸들체가 PP제, 탄성부재가 스티렌계 일래스토머제, 용모가 나일론제이다. 얻어진 칫솔에 관해, 청소 효과, 닿는 기분, 및 마사지 효과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또한, 표 1 중에는, 대좌부의 형상을 「4각주」, 탄성부재의 배치를 「양측 각(各)2」로 기재하였다.
(실시례 2)
도 2a 및 도 2b의 칫솔(100)과 같은 칫솔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칫솔을 얻었다. 얻어진 칫솔에 관해, 청소 효과, 닿는 기분, 및 마사지 효과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또한, 표 1 중에는, 대좌부의 형상을 「4각주」, 탄성부재의 배치를 「양측 각2 이간(離間)」으로 기재하였다.
(실시례 3)
도 6a 및 도 6b의 칫솔(400)과 같은 칫솔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칫솔을 얻었다. 얻어진 칫솔에 관해, 청소 효과, 닿는 기분, 마사지 효과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또한, 표 1 중에는, 대좌부의 형상을 「4각주」, 탄성부재의 배치를 「양측 각3 이간」으로 기재하였다.
(비교례 1)
도 7a 및 도 7b의 칫솔(500)과 같은 칫솔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칫솔을 얻었다. 칫솔(500)은, 2열×8행으로 모속(32)이 식설되고, 이들의 모속(32)을 끼우고, 헤드부(2)의 폭방향 양측에 탄성부재(510)가 1개씩 마련된 칫솔이다. 탄성부재(510)는, 돌기부(14)가, 평면시 장방형의 각주형상의 대좌부(512)의 돌출 단면에, 대좌부(512)의 짧은쪽 방향으로 2개, 대좌부의 길이방향으로 14개 나열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대좌부(512)는, 분기되어 있지 않다.
얻어진 칫솔에 관해, 청소 효과, 닿는 기분, 및 마사지 효과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또한, 표 1 중에는, 대좌부의 형상을 「4각주」, 탄성부재의 배치를 「양측 각1」로 기재하였다.
(비교례 2)
도 8a 및 도 8b의 칫솔(550)과 같은 칫솔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칫솔을 얻었다. 칫솔(550)은, 2열×8행으로 모속(32)이 식설되고, 이들의 모속(32)을 끼우고, 헤드부(2)의 폭방향 양측에 탄성부재(560)가 2개씩 마련된 칫솔이다. 탄성부재(560)는, 돌기부(14)가, 평면시 장방형의 각주형상의 대좌부(562)의 돌출 단면에, 대좌부(562)의 짧은쪽 방향으로 2개, 대좌부의 길이방향으로 6개 나열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대좌부(562)는, 분기되어 있지 않다.
얻어진 칫솔에 관해, 청소 효과, 닿는 기분, 및 마사지 효과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또한, 표 1 중에는, 대좌부의 형상을 「4각주」, 탄성부재의 배치를 「양측 각2」로 기재하였다.
(비교례 3)
도 9a 및 도 9b의 칫솔(600)과 같은 칫솔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칫솔을 얻었다. 칫솔(600)은, 2열×8행으로 모속(32)이 식설되고, 이들의 모속(32)을 끼우고, 헤드부(2)의 폭방향 양측에 탄성부재(610)가 5개씩 마련된 칫솔이다. 탄성부재(610)는, 진원주형상의 대좌부(612)의 돌출 단면에, 3개의 돌기부(14)가 형성된 부재이다. 또한, 이 대좌부(612)는, 분기되어 있지 않다.
얻어진 칫솔에 관해, 청소 효과, 닿는 기분, 및 마사지 효과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또한, 표 1 중에는, 대좌부의 형상을 「진원주」, 탄성부재의 배치를 「양측 각5」로 기재하였다.
(비교례 4)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칫솔(650)과 같은 칫솔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칫솔을 얻었다. 칫솔(650)은, 칫솔(550)(도 8a 및 b)의 탄성부재(560)를 돌기부가 형성되지 않은 탄성부재(660)로 바꾼 칫솔이다.
얻어진 칫솔에 관해, 청소 효과, 닿는 기분, 마사지 효과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또한, 표 1 중에는, 대좌부의 형상을 「4각주」, 탄성부재의 배치를 「양측 각2」로 기재하였다.
(비교례 5)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하는 칫솔(700)과 같은 칫솔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칫솔을 얻었다. 칫솔(700)은, 돌단을 향함에 따라 축경하는 개략 원주형상의 탄성부재(710)만을 식모면(20)에 마련한 칫솔이다. 즉, 칫솔(700)은, 식모면(20)에 모속이 마련되지 않은 칫솔이다.
얻어진 칫솔에 관해, 청소 효과, 닿는 기분, 및 마사지 효과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또한, 표 1 중에는, 대좌부의 형상을 「진원주」, 탄성부재의 배치를 「전면」로 기재하였다.
(비교례 6)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하는 칫솔(750)과 같은 칫솔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칫솔을 얻었다. 칫솔(750)은, 칫솔(600)(도 9a 및 b)의 탄성부재(610)를 탄성부재(710)로 바꾼 칫솔이다.
얻어진 칫솔에 관해, 청소 효과, 닿는 기분, 및 마사지 효과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또한, 표 1 중에는, 대좌부의 형상을 「진원주」, 탄성부재의 배치를 「양측 각5」로 기재하였다.
(평가 방법)
<청소 효과>
10인의 모니터가, 각 예의 칫솔로 구강 내를 청소하고, 그 때의 치경부와 치면의 청소 효과를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모니터 10인의 평균점이 4.0점 이상을 「A」, 평균점 3.0점 이상 4.0점 미만을 「B」, 평균점 2.0점 이상 3.0점 미만을 「C」, 평균점 2.0점 미만을 「D」로 하였다.
≪평가 기준≫
5점 : 치경부 및 치면의 오염이 떨어진 감촉을 매우 느낀다.
4점 : 치경부 및 치면의 오염이 떨어진 감촉을 강하게 느낀다.
3점 : 치경부 및 치면의 오염이 떨어진 감촉을 느낀다.
2점 : 치경부 및 치면의 오염이 떨어진 감촉을 그다지 느끼지 않는다.
1점 : 치경부 및 치면의 오염이 떨어진 감촉을 느끼지 않는다.
<닿는 기분>
10인의 모니터가, 각 예의 칫솔로 구강 내를 청소하고, 그 때의 잇몸에의 닿는 기분을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모니터 10인의 평균점이 4.0점 이상을 「A」, 평균점 3.0점 이상 4.0점 미만을 「B」, 평균점 2.0점 이상 3.0점 미만을 「C」, 평균점 2.0점 미만을 「D」로 하였다.
≪평가 기준≫
5점 : 잇몸의 통증이 없고, 닿는 기분이 매우 좋다.
4점 : 잇몸의 통증이 없고, 닿는 기분이 아주 좋다.
3점 : 잇몸의 통증이 없고, 닿는 기분이 좋다.
2점 : 잇몸에 약한 통증을 느낀다.
1점 : 잇몸에 강한 통증을 느낀다.
<마사지 효과>
10인의 모니터가, 각 예의 칫솔로 구강 내를 청소하고, 그 때의 잇몸에의 마사지 느낌을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모니터 10인의 평균점이 4.0점 이상을 「A」, 평균점 3.0점 이상 4.0점 미만을 「B」, 평균점 2.0점 이상 3.0점 미만을 「C」, 평균점 2.0점 미만을 「D」로 하였다.
≪평가 기준≫
5점 : 마사지 느낌을 매우 느낀다.
4점 : 마사지 느낌을 강하게 느낀다.
3점 : 마사지 느낌을 느낀다.
2점 : 마사지 느낌을 그다지 느끼지 않는다.
1점 : 마사지 느낌을 느끼지 않는다.
<종합 평가>
청소 효과, 닿는 기분, 마사지 효과의 결과를 하기 평가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평가 기준≫
A : 모든 평가 결과가 「A」 또는 「B」이고, 「A」가 2개 이상.
B : 모든 평가 결과가 「A」 또는 「B」이고, 「A」가 1개 이하.
C : 모든 평가 결과가 「A」 내지 「C」이고, 「C」가 1개 이상.
D : 평가 결과의 어느 하나가 「D」이다.
Figure pct00001
표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례 1 내지 3은, 종합 평가가 「B」 또는 「A」였다.
그 중에서도, 칫솔(100)(도 2a 및 도 2b)과 같은 사양으로 한 실시례 2는, 청소 효과 및 마사지 효과의 양쪽이 「A」였다.
일방, 대좌부가 분기되어 있지 않는 비교례 1 내지 3은,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종합 평가가 「C」 또는 「D」였다. 돌기부가 형성되지 않은 탄성부재를 사용한 비교례 4 내지 6은, 종합 평가가 「C」 또는 「D」였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청소 효과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잇몸을 효과적으로 마사지할 수 있음을 알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칫솔에 의하면, 청소 효과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잇몸을 효과적으로 마사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상 극히 유용하다.
1, 100, 200, 300, 400 : 칫솔
2 : 헤드부
3 : 핸들부
10, 110, 410 : 탄성부재
12, 112, 412 : 대좌부
13, 113, 413 : 돌출 단면
14 : 돌기부
16 : 절입부
20 : 식모면
32, 132 : 모속
116 : 오목조

Claims (4)

  1. 헤드부의 식모면에, 복수의 용모를 묶은 모속이 식설된 칫솔로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식모면에 돌설된 대좌부와, 상기 대좌부의 돌출 단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는 탄성부재를 가지며,
    상기 대좌부의 돌출 단면측은, 분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좌부는, 상기 돌출 단면으로부터 상기 식모면을 향하는 절입부에 의해 분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2개 이상 12개 이하 가지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폭방향 및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방향에서, 상기 모속을 끼우고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식모면상의 높이가, 상기 모속의 식모면상의 높이의 최대치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147029746A 2012-05-23 2013-05-10 칫솔 KR201500149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17748 2012-05-23
JP2012117748 2012-05-23
PCT/JP2013/063119 WO2013175975A1 (ja) 2012-05-23 2013-05-10 歯ブラ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912A true KR20150014912A (ko) 2015-02-09

Family

ID=49623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746A KR20150014912A (ko) 2012-05-23 2013-05-10 칫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41835B2 (ko)
KR (1) KR20150014912A (ko)
CN (1) CN104284612B (ko)
WO (1) WO20131759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9359B2 (ja) * 2014-03-19 2018-11-28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2016010511A (ja) * 2014-06-27 2016-01-21 小林製薬株式会社 歯ブラシ
JP6511229B2 (ja) * 2014-06-27 2019-05-15 小林製薬株式会社 歯ブラシ
JP6943541B2 (ja) * 2014-06-27 2021-10-06 小林製薬株式会社 歯ブラシ
EP4233640A3 (en) 2015-12-01 2023-12-1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JP2020185447A (ja) * 2020-08-07 2020-11-19 小林製薬株式会社 歯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51Y2 (ko) * 1975-05-16 1978-01-09
US4277862A (en) * 1979-01-25 1981-07-14 Alexander E. Vowles Toothbrush
WO2003015574A1 (en) * 2001-08-14 2003-02-27 Unilever N.V. Toothbrush
CN2785436Y (zh) * 2005-04-14 2006-06-07 刘占奎 带有按摩条的磁疗保健牙刷
KR100826673B1 (ko) * 2007-04-24 2008-05-08 이팔형 칫솔
CN201164579Y (zh) * 2008-03-07 2008-12-17 李长战 按摩牙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75975A1 (ja) 2013-11-28
JPWO2013175975A1 (ja) 2016-01-12
JP6141835B2 (ja) 2017-06-07
CN104284612B (zh) 2017-08-01
CN104284612A (zh)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155B1 (ko) 칫솔
JP5806922B2 (ja) 歯ブラシ
KR20150014912A (ko) 칫솔
KR101640274B1 (ko) 칫솔 및 그 제조 방법
JP5970157B2 (ja) 歯ブラシ
CA2726681C (en) Brush
KR102047148B1 (ko) 칫솔
KR20160103982A (ko) 칫솔 및 전동 칫솔
KR101970282B1 (ko) 칫솔
JP5779413B2 (ja) 歯ブラシ
US9788642B2 (en) Toothbrush
CN103179876A (zh) 牙刷
CN107635432B (zh) 牙刷
US9532641B2 (en) L-shaped toothbrush
JP5851115B2 (ja) 歯ブラシ
JP2012034844A (ja) 歯ブラシ
KR20150136587A (ko) 칫솔
JPH1199016A (ja) 歯ブラシ
GB2544344A (en) Hair care device
JP7162409B2 (ja) 歯ブラシ
KR20170113002A (ko) 칫솔
KR20210018187A (ko) 칫솔
RU150487U1 (ru) Щетка для волос и кожи головы
JP6452220B2 (ja) 歯ブラシ
JP2005192487A (ja) 動物用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