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282B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282B1
KR101970282B1 KR1020187019838A KR20187019838A KR101970282B1 KR 101970282 B1 KR101970282 B1 KR 101970282B1 KR 1020187019838 A KR1020187019838 A KR 1020187019838A KR 20187019838 A KR20187019838 A KR 20187019838A KR 101970282 B1 KR101970282 B1 KR 101970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amount
head portion
neck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5041A (ko
Inventor
나오시 카나마루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979069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7028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85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6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flexible or resilient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1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conform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청소력이 보다 우수하고, 또한 사용감이 보다 우수한 칫솔을 제공한다. 헤드부(2)와, 상기 헤드부(2)에 연장 설치된 네크부(4)와, 상기 네크부(4)에 연장 설치된 핸들부(6)를 구비하는 핸들체(10)를 구비하고, 헤드부(2)의 식모면에는 모다발이 식설되고, 특정 측정 방법으로 측정되는 상기 헤드부(2)의 휘어짐량(A)과 상기 네크부(4)의 휘어짐량(B)의 곱이 0.8~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1).

Description

칫솔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3월 9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6-045368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충치, 치주병의 예방에는 칫솔을 사용한 브러싱에 의한 구강내의 플라크 제거가 중요하다. 종래 플라크 제거 효과를 높이기 위해 여러가지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칫솔의 헤드부를 얇고, 네크부를 가늘게 함으로써 통상의 칫솔로는 닿기 어려운 어금니의 안쪽(어금니의 인후측)까지 용모(用毛)를 닿게 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헤드부가 박형화되고,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우수한 칫솔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치주 질환이 있는 생활자 등에 있어서는 칫솔을 사용한 브러싱에 의한 치주 포켓의 오염 제거나, 잇몸의 마사지가 중요해진다. 치주 포켓의 오염 제거나 잇몸의 마사지에는 용모의 적당한 휘어짐이 필요하며, 지금까지 지름이 가는 용모를 밀집시킨 칫솔이나, 선단 극세모 등을 사용한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평 7-143914호 공보
그러나, 통상의 칫솔로는 닿기 어려운 어금니의 안쪽 등에 대한 청소력을 높이기 위해 칫솔의 헤드부를 단지 얇게 하면 헤드부의 내꺽임 강도나 모다발의 빠짐 강도가 저하하여 칫솔의 품질이 저하한다. 또한, 헤드부를 얇게 함으로써 사용 시에 헤드부가 휘어지기 쉬워 모다발이 넓어지는 등 사용자의 사용감이 손상된다. 그 때문에 헤드부를 얇게 하기 위해서는 한계가 있다.
또한, 용모의 휘어짐을 크게 해서 잇몸에의 닿는 느낌을 양호하게 함으로써 사용감이 높아진다. 그러나, 용모의 휘어짐이 지나치게 크면 치주 포켓에의 용모의 진입성이 저하하여 청소력이 저하하거나, 모 벌어짐이 커져 칫솔의 내구성이 저하하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청소력이 보다 우수하고, 또한 사용감이 보다 우수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1]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연장 설치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에 연장 설치된 핸들부를 구비하는 핸들체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는 모다발이 식설(植設)되고, 하기의 방법(α)으로 측정되는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하기의 방법(β)으로 측정되는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A×B)이 0.8~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방법(α):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상기 헤드부와 상기 네크부의 경계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고,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1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으로 한다.
방법(β):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상기 네크부와 상기 핸들부의 경계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고,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5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으로 한다.
[2]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이 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1] 또는 [2]에 있어서, 하기의 방법(α')으로 측정되는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이 2.5~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방법(α'):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상기 헤드부와 상기 네크부의 경계의 위치로부터 상기 핸들부측으로 10mm 어긋난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고,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1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으로 한다.
[4]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연장 설치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에 연장 설치된 핸들부를 구비하는 핸들체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는 모다발이 식설되고, 하기의 방법(α')으로 측정되는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하기의 방법(β)으로 측정되는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이 2.5~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방법(α'):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상기 헤드부와 상기 네크부의 경계의 위치로부터 상기 핸들부측으로 10mm 어긋난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고,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1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으로 한다.
방법(β):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상기 네크부와 상기 핸들부의 경계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고,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5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으로 한다.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두께가 2.0~4.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두께가 2.0~4.0mm이며, 또한 상기 네크부의 최소의 폭과 최소의 두께 중 작은 쪽이 3.0~4.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7] [6]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의 최소의 폭이 3.0~4.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모다발을 구성하는 용모의 모 끝 강도가 1.7~3.0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핸들체의 재질이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칫솔.
[10]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방법(β)에 있어서 상기 핸들체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핸들체의 선단으로부터 42.4%의 위치를 고정하는 칫솔.
[11] [1] 내지 [3] 또는 [5]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휘어짐량(A)과 상기 휘어짐량(B)이 A<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2] [1] 내지 [3] 또는 [5]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휘어짐량(A)과 상기 휘어짐량(B)의 차(B-A)가 1≤(B-A)≤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3] [1] 내지 [3] 또는 [5]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휘어짐량(A)이 0.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4]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휘어짐량(B)이 2.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5] [1] 내지 [3] 또는 [5]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핸들체의 재질이 폴리아세탈 수지이며,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이 2~10이며, 상기 헤드부의 두께가 2.0~4.0mm이며, 또한 상기 네크부의 최소의 폭과 최소의 두께 중 작은 쪽이 3.0~4.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6]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헤드부의 식모면에 모다발이 식설되어 있는 형태가 평선식 식모인 칫솔.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칫솔은 청소력이 보다 우수하고, 또한 사용감이 보다 우수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헤드부의 휘어짐량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헤드부의 휘어짐량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모 끝 강도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1 발명]
이하, 제 1 발명의 칫솔의 실시형태를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의 칫솔(1)은 평면으로 볼 때 대략 사각형의 헤드부(2)와 상기 헤드부(2)에 연장 설치된 네크부(4)와 상기 네크부(4)에 연장 설치된 핸들부(6)(이하, 헤드부(2)와 네크부(4)와 핸들부(6)를 합쳐서 핸들체(10)라고도 한다)를 구비한다. 상기 헤드부(2)에는 식모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핸들체(10)는 전체적으로 장척 형상으로 일체 성형된 것이며, 예를 들면 수지를 재료로 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
핸들체의 재질로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폴리아세탈 수지(POM), 폴리스티렌 수지(P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AS), 폴리에스테르 수지(PCTA)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강도가 높고, 성형성이 우수한 점 등으로부터 PP, POM, PBT가 바람직하고, PP, POM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저비용으로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얻을 수 있는 점에서 핸들체의 재질은 PP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는 1종이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좋다.
핸들체의 재질의 굽힘 탄성률은 1200~3000MPa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0~3000MPa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핸들체의 재질의 굽힘 탄성률이 상술의 범위이면 헤드부의 휘어짐량을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구강내의 청소력이나 조작성의 향상, 사용자의 사용감의 향상으로 연결된다. 또한, 핸들체의 재질의 굽힘 탄성률은 JIS K7171에 의거하여 측정된다.
또한, 핸들체(10)는 핸들부(6)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연질 수지로 피복되어 있어도 좋다. 핸들부(6)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연질 수지로 피복되어 있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핸들부(6)를 쥐었을 때의 파지성이 보다 높아진다. 상기 연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핸들체(10)의 길이(L1)는 조작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150~200mm로 된다.
헤드부(2)는 핸들체(10)의 길이방향이 길이로 되고, 평면으로 볼 때 4개의 정부(頂部)가 곡선으로 모따기(corner cut-off)된 대략 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헤드부(2)의 한쪽의 면(식모면(20))에는 식모 구멍(22)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식모 구멍(22)에 용모가 묶인 모다발이 식설되어서 복수의 모다발로 이루어지는 식모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때란 헤드부의 식모면측으로부터 칫솔을 보는 것을 의미한다. 식모면(20)과 평행하며 또한 핸들체(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으로 하고, 식모면(20)에 직교하는 방향을 두께로 한다. 추가하여, 식모면(20)이 면하는 측을 표면, 식모면(20)이 면하는 측의 반대측을 이면으로 한다.
헤드부(2)는 평면으로 볼 때 선단(9)으로부터 네크부(4)를 향함에 따라 폭방향으로 넓어지고, 이어서 동등의 폭으로 연장되고, 이어서 폭방향으로 좁아지고 네크부(4)와의 경계(P1)에 이르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경계(P1)는 헤드부(2)의 평면으로 볼 때의 형상에 있어서의 네크부(4)로부터의 모따기를 형성하는 곡선의 종점, 즉 모따기를 형성하는 곡선의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되는 위치이다. 즉, 헤드부와 네크부의 경계(P1)는 평면으로 볼 때의 헤드부에 있어서의 네크부로부터의 모따기 부분의 폭이 좁아지는 양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곡선 또는 직선(R1)으로부터 폭이 넓어지는 곡선 또는 직선, 또는 폭이 같은 직선으로 변화되는 위치이다. 또한, 평면으로 볼 때 네크부가 핸들부를 향함에 따라 폭이 넓어지는 칫솔의 경우, 경계(P1)는 평면으로 볼 때 헤드부와 네크부에 있어서의 가장 폭이 작은 위치와 일치한다.
또한, 예를 들면 헤드부와 네크부가 같은 폭으로 형성된 칫솔과 같이 상기 경계(P1)의 위치의 특정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길이(L1)에 대하여 핸들체(10)의 선단(9)으로부터 17.5%의 위치(예를 들면, 길이(L1)가 180mm인 경우, 핸들체(10)의 선단(9)으로부터 31.5mm의 위치)를 경계(P1)로 한다.
헤드부(2)의 크기는 구강내에서의 조작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다.
헤드부(2)의 최대폭(W1)은 지나치게 크면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저하하고, 지나치게 작으면 식모되는 모다발의 수가 지나치게 적어져서 청소력이 손상되기 쉽다. 이 때문에 폭(W1)은 예를 들면, 5~13mm로 된다.
헤드부(2)의 두께(T1)는 2.0~4.0mm가 바람직하고, 2.0~3.5mm가 보다 바람직하고, 2.5~3.2mm가 더욱 바람직하다. 두께(T1)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헤드부(2)에 있어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또한, 식모 구멍(22)을 두께방향으로 형성하기 쉬워지고, 모다발을 식모 구멍(22)에 강고하게 식설하기 쉬워져 모다발이 빠지는 것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또한, 두께(T1)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칫솔(1)의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보다 높아진다. 또한, 어금니의 안쪽 등의 구강내의 구석구석까지 용모를 닿게 할 수 있어 구강내의 오염 제거 효과가 보다 높아진다.
또한, 헤드부(2)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T1은 헤드부(2)의 최소의 두께를 의미한다.
헤드부(2)의 길이(L2)는 지나치게 길면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손상되기 쉽고, 지나치게 짧으면 식모되는 모다발의 수가 지나치게 적어져서 청소 효과가 손상되기 쉽다. 이 때문에 길이(L2)는 예를 들면 10~40mm의 범위에서 적당히 결정된다.
식모 구멍(2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진원 또는 타원 등의 원형,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 등을 들 수 있다.
식모 구멍(22)의 수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60으로 된다.
식모 구멍(22)의 직경은 요구하는 모다발의 굵기에 따라 결정되고, 예를 들면 1~3mm로 된다.
식모 구멍(22)의 배열 패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소위 격자 형상이나 지그재그 형상 등 어떠한 배열 패턴이어도 좋다.
모다발을 구성하는 용모로서는 모 끝을 향해 점차 그 지름이 작아지는 용모(테이퍼모), 모 끝의 둥근부분을 제외하고 외경이 거의 동일한 용모(스트레이트모), 모 끝이 스패츌러 형상, 구상, 끝이 갈라진 형상 등으로 되어 있는 용모를 들 수 있다.
용모로서는 테이퍼모가 바람직하다. 용모를 테이퍼모로 함으로써 치주 포켓 등의 오염 제거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잇몸의 마사지 효과가 높아지고 사용감이 보다 향상된다.
용모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6-12나일론, 6-10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PET, 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등의 합성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의 수지 재료는 1종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용모는 심부와 상기 심부의 외측에 설치된 적어도 1층 이상의 초부를 갖는 다중 심구조이어도 좋다.
용모의 횡단면 형상은 진원형이 바람직하지만, 진원형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칫솔(1)의 목적 용도에 따라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원형, 다각형(예를 들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이형(예를 들면, 별 모양, 세잎 클로버형, 네잎 클로버형 등) 등으로 할 수 있다.
각 용모의 굵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횡단면이 진원형인 경우, 4~8mil(1mil=1/1000inch=0.025mm)가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자립성이 향상되어 청소성이 보다 높아지고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모다발(11)의 모 탄력이 적당하게 되어 닿는 느낌이 보다 양호해진다.
모다발(11)을 구성하는 용모는 모두가 같은 굵기이어도 좋고, 2종 이상의 다른 굵기의 용모가 조합되어도 좋다.
용모의 모 길이는 예를 들면 어른용으로 8mm~15mm, 아이용으로 6mm~12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강내의 사용성이나 사용감의 점에서 선택된 용모의 직경이 작을수록 용모의 모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감이나, 브러싱감, 청소 효과, 내구성 등의 목적에 따라 굵기가 다른 복수개의 용모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네크부(4)는 헤드부(2)와 핸들부(6)를 접속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네크부(4)는 경계(P1)로부터 핸들부(6)를 향해 대략 동일 지름으로 연장되고, 이어서 확경되어 핸들부(6)와의 경계(P2)에 이르는 것이다. 상기 경계(P2)는 네크부(4)의 확경의 종점, 즉 평면으로 볼 때 확폭되는 부분의 양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직선의 종점 또는 확폭되는 부분의 양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곡선의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되는 위치이다. 도 1a이면 네크부와 핸들부의 경계(P2)는 평면으로 볼 때에 네크부에 있어서의 폭이 넓어지는 부분의 양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직선 또는 곡선(R2)으로부터 폭이 서서히 좁아지는 곡선으로 변화되는 위치이다.
또한, 네크부와 핸들부가 같은 폭으로 형성된 칫솔과 같이 상기 경계(P2)의 위치의 특정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길이(L1)에 대하여 핸들체(10)의 선단(9)으로부터 42.2%의 위치(예를 들면, 길이(L1)가 180mm인 경우, 핸들체(10)의 선단(9)으로부터 76.0mm의 위치)를 경계(P2)로 한다.
네크부(4)의 폭(W2)은 3.0~4.5mm가 바람직하고, 3.0~4.2mm가 보다 바람직하다. 폭(W2)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네크부(4)에 있어서 내꺽임 등의 점에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또한, 칫솔(1)이 지나치게 연약해지지 않고 적당한 휘어짐에 의한 양호한 사용감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폭(W2)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칫솔(1)의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높아진다. 또한, 구강내의 구석구석까지 용모를 닿게 할 수 있어 구강내의 오염 제거 효과가 보다 높아진다.
또한, 네크부(4)의 폭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폭(W2)은 네크부(4)의 최소의 폭을 의미한다.
네크부(4)의 두께(T2)는 3.0~4.5mm가 바람직하고, 3.0~4.2mm가 보다 바람직하다. 두께(T2)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네크부(4)에 있어서 내꺽임 등의 점에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또한, 칫솔(1)이 지나치게 연약해지지 않고 적당한 휘어짐에 의한 양호한 사용감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두께(T2)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칫솔(1)의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높아진다. 또한, 구강내의 구석구석까지 용모를 닿게 할 수 있어 구강내의 오염 제거 효과가 보다 높아진다.
또한, 네크부(4)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두께(T2)는 네크부(4)의 최소의 두께를 의미한다.
네크부(4)의 최소 지름은 3.0~4.5mm가 바람직하고, 3.0~4.2mm가 보다 바람직하다. 네크부(4)의 최소 직경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네크부(4)에 있어서 내꺽임 등의 점에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또한, 칫솔(1)이 지나치게 연약해지지 않고 적당한 휘어짐에 의한 양호한 사용감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네크부(4)의 최소 지름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칫솔(1)의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높아진다. 또한, 구강내의 구석구석까지 용모를 닿게 할 수 있어 구강내의 오염 제거 효과가 보다 높아진다.
또한, 네크부(4)의 최소 지름은 상기 폭(W2)과 두께(T2) 중 작은 쪽의 값, 즉 네크부(4)의 최소의 폭과 최소의 두께 중 작은 쪽을 의미한다. 네크부에 있어서는 최소의 두께와 최소의 폭이 동일하거나, 또는 최소의 두께보다 최소의 폭의 쪽이 작고 최소의 폭이 3.0~4.5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네크부(4)의 길이(L3)는 헤드부의 길이(L2)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30~90mm가 되는 길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30~60mm이다. 길이(L3)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구강내의 구석구석까지 용모를 닿게 하기 쉬워져 구강내의 오염 제거 효과가 보다 높아진다. 길이(L3)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칫솔(1)의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보다 높아진다.
(헤드부(2)의 휘어짐량(A))
헤드부의 휘어짐량(A)은 이하의 방법(α)에 의해 측정된다.
방법(α):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칫솔의 헤드부와 네크부의 경계(P1)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한다. 또한, 상기 경계(P1)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1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핸들체의 선단의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헤드부의 휘어짐량(A)으로 한다.
또한,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란 헤드부를 평면으로 볼 때의 가장 선단측에 위치하는 식모 구멍의 선단과 가장 후단측에 위치하는 식모 구멍의 후단의 거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평면으로 볼 때 네크부의 헤드부로부터의 부분의 폭이 동일한 경우, 상기 네크부의 헤드부로부터의 부분에 있어서 헤드부를 향해 서서히 위치를 바꾸면서 폭을 측정하고, 폭이 같은 부분과 폭이 커지기 시작하는 부분의 바뀔 때의 위치를 경계(P1)로 한다. 또한, 평면으로 볼 때 네크부의 헤드부로부터의 부분의 폭이 헤드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좁게 되어 있는 경우는 네크부의 헤드부로부터의 부분에 있어서 헤드부를 향해 서서히 위치를 바꾸면서 폭을 측정하고, 폭이 최소가 되는 위치를 경계(P1)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헤드부(2)의 휘어짐량(A)은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칫솔(1)을 식모면(20)이 위를 향하도록 해서 네크부 최세부의 위치(경계(P1))에서 지그(100)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이 때, 핸들체(10)의 선단(9)의 높이를 기준 높이(H0)로 한다.
이어서,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00g의 추(102)를 S의 위치에 매달고 10초 후의 핸들체(10)의 선단(9)의 높이를 측정하고 그 높이를 H1로 한다. 상기 S는 식모부 장축방향에 대하여 식모부 선단으로부터 10±3%의 위치이다. 예를 들면, 식모부가 19mm인 경우, S는 상기 선단으로부터 2.0mm의 위치이다.
이어서, H1과 H0의 차의 절대값을 a(단위는 mm)로 해서 구한다. 상기 a는 예를 들면, 하이트 게이지 등으로 측정된다. 측정은 실온 25±3℃에서 행한다.
상기 측정을 5회 행하고, 상기 a의 평균값을 헤드부(2)의 휘어짐량(A)으로 한다.
휘어짐량(A)은 0.4~3.0이 바람직하고, 0.4~2.5가 보다 바람직하고, 0.4~2.0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휘어짐량(A)은 0.5~3.0이 바람직하고, 0.5~2.5가 보다 바람직하고, 0.5~2.0이 더욱 바람직하다. 휘어짐량(A)이 상기 범위이면 헤드부(2) 자체가 적당히 휘어지고, 헤드부(2)에 식설된 식모부의 유연함이 발현되어서 잇몸에 닿는 느낌, 즉 사용감이 보다 양호해진다. 또한, 휘어짐량(A)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사용감이 양호해진다. 휘어짐량(A)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헤드부(2)에 있어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또한, 칫솔(1)이 지나치게 연약해지지 않고 양호한 구강내 조작성, 청소력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휘어짐량(A)은 헤드부(2)의 재질(즉, 핸들체(10)의 재질)의 굽힘 탄성률이나 헤드부(2)의 두께, 폭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된다.
(네크부(4)의 휘어짐량(B))
네크부의 휘어짐량(B)은 이하의 방법(β)에 의해 측정된다.
방법(β):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칫솔의 네크부와 핸들부의 경계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한다.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5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네크부의 휘어짐량(B)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네크부(4)의 휘어짐량(B)은 칫솔(1)을 지그(100)로 고정하는 위치(경계(P1)), 및 추(102)를 매다는 위치(S)가 헤드부(2)의 휘어짐량(A)의 측정 방법과 다른 것 이외는 헤드부(2)의 휘어짐량(A)과 마찬가지로 측정된다.
네크부(4)의 휘어짐량(B)의 측정에 있어서 칫솔(1)을 지그(100)로 고정하는 위치는 경계(P2)이다. 또한, S는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식모부 선단으로부터 50±3%의 위치이다. 예를 들면, 식모부가 19mm인 경우, S는 선단으로부터 9.5mm의 위치이다.
그리고, 헤드부(2)의 휘어짐량(A)의 측정 방법과 마찬가지로 추(102)를 매달기 전의 기준 높이(H0)와, 추(102)를 매달아서 10초 경과 후의 높이(H1)의 차의 절대값(단위는 mm)을 구한다. 측정은 실온 25±3℃에서 행한다. 이 측정을 5회 행하고 그 평균값을 네크부(4)의 휘어짐량(B)으로 한다.
휘어짐량(B)은 2.1~5.0이 바람직하고, 2.3~4.5가 보다 바람직하고, 2.5~4.0이 더욱 바람직하다. 휘어짐량(B)이 상기 범위이면 네크부(4)가 적당히 휘어져서 적당한 쿠션성이 발현되고 식모부의 잇몸에 대한 닿는 느낌이 보다 양호해진다. 또한, 휘어짐량(B)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어금니의 안쪽 등의 구강내의 구석구석까지 용모를 닿게 할 수 있어 구강내의 청소력이 보다 높아진다. 또한, 치주 포켓에의 용모의 진입성이 향상되어 치주 포켓의 청소력이 보다 높아진다. 휘어짐량(B)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네크부(4)에 있어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또한, 칫솔(1)이 지나치게 연약해지지 않고 양호한 사용감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휘어짐량(B)은 네크부(4)의 재질(즉, 핸들체(10)의 재질)의 굽힘 탄성률이나 네크부의 최소 지름, 경계(P2)의 단면 형상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된다.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A×B)은 0.8~10이며, 1~10이 보다 바람직하고, 1~6이 더욱 바람직하고, 1~3.5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A×B)는 2~10이 바람직하다. (A×B)가 상기 범위이면 헤드부(2)와 네크부(4)가 협조하는 적당한 휘어짐이 얻어진다. 이것에 의해 식모부를 청소 대상 부위(치아, 잇몸 등)에 대하여 슬라이딩시켰을 때에 식모부의 유연함과 쿠션성이 발현되어 식모부의 닿는 느낌이 양호해진다. 또한, (A×B)의 하한값은 0.8 이상이며, 1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2 이상이 바람직하다. (A×B)가 상기 하한값 이상인 것에 의해 적당한 휘어짐이 얻어짐으로써 잇몸에 대한 닿는 느낌이 양호하며, 잇몸에 대하여 높은 마사지 효과가 얻어지고 사용감이 향상된다. (A×B)의 상한값은 10 이하이며, 6 이하가 바람직하고, 3.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A×B)가 상기 상한값 이하인 것에 의해 헤드부(2)와 네크부(4)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이 지나치게 휘어져서 조작성이 저하하여 청소력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나치게 휘어짐에 의한 잇몸에 대한 마사지 효과가 저하하거나, 사용자가 칫솔(1)을 사용했을 때에 연약하다고 느끼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칫솔(1)의 강도가 높아지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휘어짐량(A)과 휘어짐량(B)은 A<B가 바람직하다. A<B이면 칫솔(1)의 조작성이 보다 높아진다.
또한, 휘어짐량(A)과 휘어짐량(B)의 차(B-A)는 1 이상이 바람직하고, 1.5 이상이 바람직하고, 2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B-A)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헤드부(2)에 대하여 네크부(4)의 휘어짐량을 크게 유지하여 쿠션성이 높아져 잇몸에 대한 닿는 느낌이 양호해지고 사용자가 잇몸에의 마사지 효과를 실감하기 쉬워진다.
또한, (B-A)는 4 이하가 바람직하고,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B-A)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헤드부(2)에 대하여 네크부(4)의 휘어짐량이 지나치게 커지지 않아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높아지기 쉬워진다. 또한, 사용자가 칫솔(1)을 사용했을 때에 연약하다고 느끼는 것을 억제하기 쉬어진다.
(B-A)는 1~4가 바람직하고, 1~3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휘어짐량(B)과 휘어짐량(A)의 비(B/A)는 1.5~5.0이 바람직하고, 1.8~4.8이 보다 바람직하다.
(헤드부(2)의 휘어짐량(A'))
헤드부의 휘어짐량(A')은 이하의 방법(α')에 의해 측정된다.
방법(α'):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칫솔에 있어서의 헤드부와 네크부의 경계의 위치로부터 핸들부측으로 10mm 어긋난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한다.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1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헤드부(2)의 휘어짐량(A')은 칫솔(1)을 지그(100)로 고정하는 위치(경계(P1))가 헤드부(2)의 휘어짐량(A)의 측정 방법과 다른 것 이외는 헤드부(2)의 휘어짐량(A)과 마찬가지로 측정된다.
헤드부(2)의 휘어짐량(A')의 측정에 있어서 칫솔(1)을 지그(100)로 고정하는 위치는 장축방향에 있어서 경계(P1)의 위치로부터 핸들부측으로 10mm 어긋난 위치(P3)이다.
그리고, 헤드부(2)의 휘어짐량(A)의 측정 방법과 마찬가지로 추(102)를 매달기 전의 기준 높이(H0)로부터 추(102)를 매달아 10초 경과 후의 높이(H1)의 차의 절대값(단위는 mm)을 측정한다. 측정은 실온 25±3℃에서 행한다. 이 측정을 5회 행하고 그 평균값을 헤드부(2)의 휘어짐량(A')으로 한다.
휘어짐량(A')은 1~5가 바람직하고, 1~4가 보다 바람직하고, 1~3이 더욱 바람직하다. 휘어짐량(A')이 상기 범위이면 헤드부(2) 자체가 적당히 휘어지고, 헤드부(2)에 식설된 식모부의 유연함이 발현되어 잇몸에 대한 닿는 느낌, 즉 사용감이 보다 양호해진다. 또한, 휘어짐량(A')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사용감이 양호해진다. 휘어짐량(A')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헤드부(2)에 있어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또한, 칫솔(1)이 지나치게 연약해지지 않고 양호한 구강내 조작성, 청소력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휘어짐량(A')은 헤드부(2)의 재질(즉, 핸들체(10)의 재질)의 굽힘 탄성률이나 헤드부(2)의 두께, 폭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된다.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A'×B)은 2.5~12가 바람직하고, 3~12가 보다 바람직하고, 3~10이 더욱 바람직하고, 3~7이 더욱 바람직하다. (A'×B)가 상기 범위이면 헤드부(2)와 네크부(4)가 협조하는 적당한 휘어짐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식모부를 청소 대상 부위(치아, 잇몸 등)에 대하여 슬라이딩시켰을 때에 식모부의 유연함과 쿠션성이 발현되어 식모부의 닿는 느낌이 보다 양호해진다. 또한, (A'×B)는 2.5 이상이며, 3 이상이 바람직하다. (A'×B)가 상기 하한값 이상인 것에 의해 적당한 휘어짐이 얻어짐으로써 잇몸에 대한 닿는 느낌이 보다 양호하며, 잇몸에 대하여 보다 높은 마사지 효과가 얻어지고 사용감이 더욱 향상된다. (A'×B)는 12 이하이며,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7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A'×B)가 상기 상한값 이하인 것에 의해 헤드부(2)와 네크부(4)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이 지나치게 휘어져서 조작성이 저하하여 청소력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지나치게 휘어짐에 의한 잇몸에 대한 마사지 효과가 저하하거나, 사용자가 칫솔(1)을 사용했을 때에 연약하다고 느끼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칫솔(1)의 강도가 높아지고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휘어짐량(B)과 휘어짐량(A')의 비(B/A')는 0.8~2.5가 바람직하고, 0.9~2.0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모의 모 끝 강도)
모다발을 구성하는 용모의 모 끝 강도는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
측정 장치로서 ISO 모 탄력 강도 시험기를 사용한다. 도 3에 나타내는 ISO 모 탄력 강도 시험기(200)는 기준면(202)과, 기준면 상에 배치된 래더(204)를 구비한다. 상기 래더(204)는 복수개의 원기둥 형상의 봉 형상체(스테인리스제, 직경: 3mm)를 구비한다. 상기 봉 형상체는 서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봉 형상체의 중심끼리에 의해 10mm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우선, 칫솔(1)을 상기 시험기(200)에 설치한다. 그 때, 칫솔(1)의 헤드부(2)에 식설된 용모의 선단이 상기 시험기(200)의 기준면(202)에 접하도록 한다. 그리고, 헤드부(2)를 상기 기준면(202)에 대하여 수평으로 슬라이드시켰을 때의 최대 저항값을 구하고 이것을 용모의 모 끝 강도로 한다. 헤드부(2)의 슬라이드 방향은 칫솔(1)의 길이방향과, 상기 봉 형상체의 길이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는 방향이다. 헤드부(2)의 슬라이드 속도는 10mm/분으로 한다.
용모의 모 끝 강도는 1.7~3.0N인 것이 바람직하고, 1.9~2.8N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모의 모 끝 강도가 상기 바람직한 범위이면 치구의 제거력이 보다 높아지고, 또한 용모의 잇몸에의 닿는 느낌이 보다 양호해지고 사용성이 더욱 높아진다.
본 실시형태의 칫솔(1)은 종래 공지의 칫솔의 제조 방법에 의거하여 제조된다. 예를 들면, 금형에 경질 수지를 사출하여 핸들체(10)를 성형한다. 이어서, 얻어진 핸들체(10)의 식모면(20)에 모다발을 식설함으로써 칫솔(1)이 얻어진다. 모다발을 식설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다발을 둘로 접힘으로 하고 그 사이에 끼워넣어진 평선을 식모 구멍(22)에 박아넣음으로써 모다발을 석설하는 평선식 식모, 모다발의 하단을 식모부가 되는 용융 수지 중에 압입해서 고정하는 열 융착법, 모다발의 하단을 가열해서 용융괴를 형성한 후에 금형 중에 용융 수지를 주입해서 식모부를 성형하는 인몰드법 등을 들 수 있다.
제 1 발명의 칫솔은 평선식 식모에 의해 모다발을 식모한 칫솔로 할 때에 특히 효과적이다. 평선식 식모를 채용한 경우, 헤드부에 평선 박아넣음에 의한 부하가 가해진다. 그 때문에 헤드부가 얇아질수록 힘이 가해졌을 때의 변형에 대한 강도가 낮아진다. 본 실시형태의 칫솔(1)에서는 네크부에 적당한 휘어짐성을 갖게 함으로써 이를 닦을 때 등에 헤드부에 가하는 힘을 헤드부로부터 네크부 전체에 분산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평선식 식모의 경우, 본 발명의 효과를 특히 현저하게 얻을 수 있다.
특히 강도가 낮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핸들체의 재질로서 채용한 평선식 식모에 의한 칫솔의 경우, 헤드부의 길이(L2)당 헤드부의 휘어짐량(A/L2)의 값 X를 0.015~0.045로 했을 때에 헤드부와 네크부의 길이의 합(L2+L3)당 네크부의 휘어짐량 (B/(L2+L3))의 값 Y와 상기 X의 비, Y/X를 0.8~2.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X는 0.018~0.4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8~0.040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 때 Y/X를 0.9~2.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9~1.9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강도가 높은 폴리아세탈 수지를 핸들 재질로서 채용한 평선식 식모에 의한 칫솔의 경우, 상기 X를 0.027~0.035, 바람직하게는 0.029~0.032로 했을 때에 상기 Y/X를 1.0~1.4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1.3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칫솔(1)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핸들부(6)를 파지한다. 핸들부(6)를 파지하는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팜 그립식이어도 좋고, 펜 그립식이어도 좋다. 통상, 대상 부위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면서 청소하기 때문에 어느 파지 형태에 있어서도 엄지 손가락 등을 네크부 후단의 경계(P2) 근방에 대고 핸들부(6)를 파지한다.
이어서, 구강내에 헤드부(2)를 삽입하고, 핸들부(6)를 압박하면서 식모부를 청소 대상 부위에 슬라이딩시킨다. 핸들부(6)에 가해진 힘이 네크부(4)를 통해 헤드부(2)에 전해지고, 또한 헤드부(2)로부터 식모부에 전해짐으로써 식모부는 청소 대상 부위에 압력을 가하면서 청소한다. 이 때,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A×B)이 0.8~10이기 때문에 헤드부와 네크부가 협조하는 적당한 휘어짐이 얻어진다. 그 결과, 칫솔(1)의 헤드부(2)에 식설된 용모를 어금니의 안쪽 등의 구강내의 구석구석까지 닿게 하기 쉬워 구강내의 청소력이 높아진다. 또한, 치주 포켓에 용모를 진입시키기 쉬워 치주 포켓의 청소력이 높아진다. 추가하여, 적당한 휘어짐이 얻어짐으로써 식모부의 유연함과 쿠션성이 향상되고, 식모부의 잇몸에 대한 닿는 느낌이 양호해져 잇몸에 대한 양호한 마사지 효과가 얻어지고 사용감이 높아진다.
또한,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A'×B)이 2.5~12이면 헤드부와 네크부가 협조하는 적당한 휘어짐이 더욱 얻어지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구강내의 어금니의 안쪽이나 치주 포켓 등의 청소력이 보다 높아지고, 또한 잇몸에 대한 양호한 마사지 효과가 얻어지기 쉬워 사용감이 보다 높아진다.
또한, 헤드부(2)의 두께(T1)가 2.0~4.0mm이며, 또한 네크부(4)의 최소 지름이 3.0~4.5mm이면 헤드부(2)에 식설된 용모를 어금니의 안쪽 등의 구강내의 구석구석까지 보다 닿게 하기 쉬워져 구강내의 청소력이 보다 높아진다. 또한, 칫솔(1)의 조작성이 보다 높아진다.
또한, 모 끝 강도가 1.7~3.0N이면 치주 포켓에 용모를 보다 진입시키기 쉬워져 치주 포켓의 청소력이 보다 높아진다. 또한, 잇몸에의 닿는 느낌이 보다 양호해지고, 사용감이 보다 높아진다.
[제 2 발명]
제 2 발명의 칫솔은 모다발이 식설된 헤드부와, 헤드부에 연장 설치된 네크부와, 네크부에 연장 설치된 핸들부를 구비하고,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A'×B)이 2.5~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이다. 제 2 발명의 칫솔은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A'×B)이 2.5~12인 것을 필수로 하는 이외는 제 1 발명의 칫솔과 마찬가지의 실시형태를 채용할 수 있고, 바람직한 실시형태도 같다.
A'×B에 대해서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 2 발명의 칫솔에 있어서는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A'×B)이 2.5~12이기 때문에 헤드부와 네크부가 협조하는 적당한 휘어짐이 얻어진다. 그 결과, 칫솔의 헤드부에 식설된 용모를 어금니의 안쪽 등의 구강내의 구석구석까지 닿게 하기 쉬워 구강내의 청소력이 높아진다. 또한, 치주 포켓에 용모를 진입시키기 쉬워 치주 포켓의 청소력이 높아진다. 추가하여, 적당한 휘어짐이 얻어짐으로써 식모부의 유연함과 쿠션성이 향상되고, 식모부의 잇몸에 대한 닿는 느낌이 양호해져 잇몸에 대한 양호한 마사지 효과가 얻어지고, 사용감이 높아진다.
이하에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한 재료는 하기와 같다.
<핸들체>
·POM-1(굽힙 탄성률: 2600MPa)
·PP-1(굽힘 탄성률: 1900MPa)
·PP-2(굽힘 탄성률: 1400MPa)
<용모>
·PBT
(실시예 1~3, 비교예 1~2)
도 1a 및 도 1b와 같은 칫솔을 제작했다. 각 예의 칫솔의 핸들체의 길이(L1)는 180mm이며, 헤드부의 두께(T1), 헤드부의 길이(L2), 헤드부의 폭(W1), 네크부의 최소 지름(T2), 네크부의 길이(L3), 경계(P2)의 폭, 경계(P2)의 두께는 표 1에 나타내는 치수로 했다. 헤드부에는 용모(PBT제) 23개를 묶어서 모다발로 하고, 이 모다발을 도 1a에 나타내는 식모 패턴으로 식설하여 식모부를 형성했다. 또한, 각 예의 용모의 길이 및 굵기는 표 1에 나타내는 치수로 했다.
각 예의 칫솔의 재질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한, 각 예의 칫솔의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네크부의 휘어짐량(B), 모 끝 강도를 상술한 방법으로 측정했다(경계(P1)의 위치: 핸들체(10)의 선단(9)으로부터 31.5mm, 경계(P2)의 위치: 핸들체(10)의 선단(9)으로부터 76.0mm).
각 예의 칫솔의 휘어짐량(A), 휘어짐량(B), A×B 및 모 끝 강도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9, 비교예 3~7)
도 1a 및 도 1b와 같은 칫솔을 제작했다. 각 예의 칫솔의 핸들체의 길이(L1)는 180mm(실시예 4~9, 비교예 3~7)이며, 헤드부의 두께(T1), 헤드부의 길이(L2), 헤드부의 폭(W1), 네크부의 최소 지름(T2), 네크부의 길이(L3), 경계(P2)의 폭, 경계(P2)의 두께는 표 2 및 표 3에 나타내는 치수로 했다. 헤드부에는 용모(PBT제) 23개를 묶어서 모다발로 하고, 이 모다발을 도 1a에 나타내는 식모 패턴으로 식설하여 식모부를 형성했다. 또한, 각 예의 용모의 길이 및 굵기는 표 2 및 표 3에 나타내는 치수로 했다.
각 예의 칫솔의 재질은 표 2 및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한, 각 예의 칫솔의 헤드부의 휘어짐량(A), 헤드부의 휘어짐량(A'), 네크부의 휘어짐량(B), 및 모 끝 강도를 상술한 방법으로 측정했다. 칫솔을 고정하는 경계(P1)의 위치 및 경계(P2)의 위치는 각 예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결정했다.
각 예의 칫솔의 휘어짐량(A), 휘어짐량(A'), 휘어짐량(B), A×B, A'×B, 및 모 끝 강도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각 예의 칫솔에 대하여 청소력, 사용감, 조작성을 하기와 같이 평가했다.
각각의 평가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어금니의 안쪽(어금니의 인후측)의 청소력]
10명의 모니터가 각 예의 칫솔로 구강내를 청소하고, 그 때의 어금니의 안쪽의 청소 효과를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했다. 10명의 모니터의 평균점이 4점 이상을 「○」, 2점 이상 4점 미만을 「△」, 2점 미만을 「×」로 했다.
<평가 기준>
5점: 어금니의 안쪽의 오염이 빠진 느낌을 매우 느낌
4점: 어금니의 안쪽의 오염이 빠진 느낌을 강하게 느낌
3점: 어금니의 안쪽의 오염이 빠진 느낌을 느낌
2점: 어금니의 안쪽의 오염이 빠진 느낌을 그다지 느끼지 않음
1점: 어금니의 안쪽의 오염이 빠진 느낌을 느끼지 않음
[사용감의 평가]
10명의 모니터가 각 예의 칫솔로 구강내를 청소하고, 그 때의 잇몸에의 닿는 기분을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고, 칫솔의 사용감을 평가했다. 10명의 모니터의 평균점이 4점 이상을 「○」, 2점 이상 4점 미만을 「△」, 2점 미만을 「×」로 했다.
<평가 기준>
5점: 잇몸의 통증이 없고, 닿는 느낌이 대단히 부드러움
4점: 잇몸의 통증이 없고, 닿는 느낌이 매우 부드러움
3점: 잇몸의 통증이 없고, 닿는 느낌이 부드러움
2점: 잇몸에 약한 통증을 느낌
1점: 잇몸에 강한 통증을 느낌
[구강내에서의 조작성]
10명의 모니터가 구강내를 청소하고, 각 예의 칫솔의 조작성에 대하여 평가했다. 조작성의 평가는 1점~7점의 7단계로 되고, 조작성이 양호하다고 느낀 것일수록 높은 점수로 되어 있다. 10명의 모니터의 평균점을 하기 판정 기준으로 분류하고,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을 판정했다.
<판정 기준>
○: 평균점이 5점 이상.
△: 평균점이 3점 이상 5점 미만.
×: 평균점이 3점 미만.
Figure 112018068304600-pct00001
Figure 112018068304600-pct00002
Figure 112018068304600-pct00003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1, 2, 3의 칫솔은 구강내의 청소력이 우수하고, 또한 사용감이 양호했다. 또한,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우수했다.
이것에 대하여 A×B가 0.8 미만인 칫솔(비교예 1), A×B가 10 초과인 칫솔(비교예 2)은 어금니의 안쪽에 대한 청소력이 충분하지 않고, 구강내에서의 양호한 조작성도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실시예 4~9)은 구강내의 청소력이 우수하고, 또한 사용감이 양호했다. 또한,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우수했다.
이것에 대하여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B가 0.8 미만이며, 또한 A'×B가 3 미만인 칫솔(비교예 3~7)은 어금니의 안쪽에 대한 청소력, 치주 포켓에 대한 청소력, 사용감, 및 구강내에서의 조작성 중 적어도 1개가 불충분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은 구강내의 청소력이 보다 우수하고, 또한 사용감이 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칫솔 2 헤드부
4 네크부 6 핸들부
10 핸들체

Claims (9)

  1.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연장 설치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에 연장 설치된 핸들부를 구비하는 핸들체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는 모다발이 식설되고,
    하기의 방법(α)으로 측정되는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하기의 방법(β)으로 측정되는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이 0.8~10이며,
    휘어짐량(A)은 0.5~3.0이고, 휘어짐량(B)은 2.1~5.0이고,
    상기 헤드부의 두께가 2.0~4.0mm이며, 또한 상기 네크부의 최소의 폭과 최소의 두께 중 작은 쪽이 3.0~4.5mm이며,
    상기 핸들체의 재질이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방법(α):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상기 헤드부와 상기 네크부의 경계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고,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1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으로 한다.
    방법(β):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상기 네크부와 상기 핸들부의 경계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고,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5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으로 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이 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의 방법(α')으로 측정되는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이 2.5~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방법(α'):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상기 헤드부와 상기 네크부의 경계의 위치로부터 상기 핸들부측으로 10mm 어긋난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고,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1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으로 한다.
  4.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연장 설치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에 연장 설치된 핸들부를 구비하는 핸들체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는 모다발이 식설되고,
    하기의 방법(α')으로 측정되는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하기의 방법(β)으로 측정되는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이 2.5~12이며,
    휘어짐량(A')은 1~5이고, 휘어짐량(B)은 2.1~5.0이고,
    상기 헤드부의 두께가 2.0~4.0mm이며, 또한 상기 네크부의 최소의 폭과 최소의 두께 중 작은 쪽이 3.0~4.5mm이며,
    상기 핸들체의 재질이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방법(α'):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상기 헤드부와 상기 네크부의 경계의 위치로부터 상기 핸들부측으로 10mm 어긋난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고,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1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으로 한다.
    방법(β):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상기 네크부와 상기 핸들부의 경계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고,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5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으로 한다.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의 최소의 폭이 3.0~4.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8.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다발을 구성하는 용모의 모 끝 강도가 1.7~3.0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의 최소의 폭이 3.0~4.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187019838A 2016-03-09 2017-03-09 칫솔 KR101970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45368 2016-03-09
JP2016045368 2016-03-09
PCT/JP2017/009462 WO2017155033A1 (ja) 2016-03-09 2017-03-09 歯ブラシ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931A Division KR102185323B1 (ko) 2016-03-09 2017-03-09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041A KR20180085041A (ko) 2018-07-25
KR101970282B1 true KR101970282B1 (ko) 2019-04-18

Family

ID=59790692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838A KR101970282B1 (ko) 2016-03-09 2017-03-09 칫솔
KR1020197014158A KR102183121B1 (ko) 2016-03-09 2017-03-09 칫솔
KR1020197014153A KR102183114B1 (ko) 2016-03-09 2017-03-09 칫솔
KR1020197014156A KR102183120B1 (ko) 2016-03-09 2017-03-09 칫솔
KR1020187019931A KR102185323B1 (ko) 2016-03-09 2017-03-09 칫솔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158A KR102183121B1 (ko) 2016-03-09 2017-03-09 칫솔
KR1020197014153A KR102183114B1 (ko) 2016-03-09 2017-03-09 칫솔
KR1020197014156A KR102183120B1 (ko) 2016-03-09 2017-03-09 칫솔
KR1020187019931A KR102185323B1 (ko) 2016-03-09 2017-03-09 칫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4) JP6341527B2 (ko)
KR (5) KR101970282B1 (ko)
CN (4) CN108778048B (ko)
MY (1) MY186920A (ko)
SG (3) SG10202008762YA (ko)
TW (2) TWI770960B (ko)
WO (1) WO20171550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1334B1 (en) * 2017-12-20 2020-06-24 The Gillette Company LLC Oral care implement
JP7190872B2 (ja) * 2018-11-08 2022-12-16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7407091B2 (ja) 2020-09-03 2023-12-28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KR20220072165A (ko) 2020-11-25 2022-06-02 박수남 기능성 칫솔
JP2022100465A (ja) * 2020-12-24 2022-07-06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CN117084500A (zh) * 2022-03-30 2023-11-21 好维股份有限公司 牙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0343A (ja) 1999-04-19 2000-10-31 Lion Corp 歯ブラシ
JP2003135148A (ja) 2001-10-31 2003-05-13 Lion Corp 歯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213B2 (ja) * 1992-11-06 2001-03-12 ライオン株式会社 歯刷子
JP2598708Y2 (ja) * 1993-02-10 1999-08-16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のハンドル
JP3387591B2 (ja) 1993-11-22 2003-03-17 ジョンソン・エンド・ジョンソン株式会社 歯ブラシ
DE19533144C2 (de) * 1995-09-08 1999-09-16 Coronet Werke Gmbh Zahnbürste
DE19816098A1 (de) * 1998-04-09 1999-10-14 Coronet Werke Gmbh Reinigungsbürste, insbesondere Zahnbürste
US6948209B2 (en) * 2002-09-13 2005-09-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ectric toothbrushes having flexible necks
ITBO20050571A1 (it) * 2005-09-21 2007-03-22 Alessio Battaglia Spazzolino da denti
ES2538716T3 (es) * 2009-03-18 2015-06-23 Braun Gmbh Cepillo dental
JP5530776B2 (ja) * 2010-03-24 2014-06-25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KR101886460B1 (ko) * 2010-10-29 2018-08-07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JP5806922B2 (ja) * 2011-12-07 2015-11-10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US20130247321A1 (en) * 2012-03-06 2013-09-26 Gary Steven Sichau Pressure sensing toothbrush
JP6019111B2 (ja) * 2012-05-01 2016-11-02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2016010511A (ja) * 2014-06-27 2016-01-21 小林製薬株式会社 歯ブラシ
GB201421442D0 (en) * 2014-12-02 2015-01-14 Tomtom Int Bv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CN105254999B (zh) * 2015-10-14 2018-06-0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耐划伤、高抗冲聚丙烯树脂材料及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0343A (ja) 1999-04-19 2000-10-31 Lion Corp 歯ブラシ
JP2003135148A (ja) 2001-10-31 2003-05-13 Lion Corp 歯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63567A (zh) 2019-07-30
JPWO2017155033A1 (ja) 2018-06-07
KR20190057427A (ko) 2019-05-28
KR102183114B1 (ko) 2020-11-25
KR20190057424A (ko) 2019-05-28
CN110801097B (zh) 2021-06-08
TWI770960B (zh) 2022-07-11
TW201731419A (zh) 2017-09-16
JP7149730B2 (ja) 2022-10-07
CN110801097A (zh) 2020-02-18
JP6385023B2 (ja) 2018-09-05
KR20190057425A (ko) 2019-05-28
KR102185323B1 (ko) 2020-12-01
SG11201807607XA (en) 2018-10-30
CN108778048A (zh) 2018-11-09
TW202130301A (zh) 2021-08-16
KR20180085041A (ko) 2018-07-25
CN110169647B (zh) 2021-05-28
JP2018114362A (ja) 2018-07-26
WO2017155033A1 (ja) 2017-09-14
TWI729082B (zh) 2021-06-01
KR102183121B1 (ko) 2020-11-25
KR102183120B1 (ko) 2020-11-25
CN108778048B (zh) 2019-11-22
CN110169647A (zh) 2019-08-27
CN110063567B (zh) 2021-06-04
JP6385024B2 (ja) 2018-09-05
KR20180114550A (ko) 2018-10-18
MY186920A (en) 2021-08-26
SG10202008764QA (en) 2020-10-29
JP2018114424A (ja) 2018-07-26
JP6341527B2 (ja) 2018-06-13
JP2018114423A (ja) 2018-07-26
SG10202008762YA (en)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0282B1 (ko) 칫솔
JP5269351B2 (ja) 歯ブラシ
KR101896894B1 (ko) 구강 케어 기구용 헤드
JP6275832B2 (ja) オーラルケア器具用のヘッド
KR101971310B1 (ko) 칫솔
JP2008006281A (ja) 歯ブラシの柄
KR20180120143A (ko) 칫솔
TWI753888B (zh) 牙刷
KR20190011712A (ko) 칫솔
JP7349324B2 (ja) 液状歯磨き剤塗布ブラシ
KR20180127964A (ko) 칫솔
KR101590244B1 (ko) 칫솔 및 칫솔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