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2575A - 숯가스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숯가스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2575A
KR20150012575A KR1020130088250A KR20130088250A KR20150012575A KR 20150012575 A KR20150012575 A KR 20150012575A KR 1020130088250 A KR1020130088250 A KR 1020130088250A KR 20130088250 A KR20130088250 A KR 20130088250A KR 20150012575 A KR20150012575 A KR 20150012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
air inlet
charcoal
side air
combustion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0387B1 (ko
Inventor
박종복
Original Assignee
박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복 filed Critical 박종복
Priority to KR1020130088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387B1/ko
Publication of KR20150012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3/00Heaters not covered by group F24B1/00, e.g. charcoal braz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전 연소된 숯불 가스를 이용하여 유해 물질의 생성을 방지하여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름이나 찌꺼기의 낙하를 방지하며,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숯가스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부분에 숯가스 분사구가 형성되고, 타부분에 송풍팬이 설치되는 몸통; 상기 몸통의 내부에 설치되고, 숯을 수용하며,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측면 공기 주입구가 포함되는 숯통; 및 상기 송풍팬에 의해서 상기 몸통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측면 공기 주입구로 안내하는 공기 안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숯가스 발생 장치{Charcoal gas generator}
본 발명은 숯가스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완전 연소된 숯불 가스를 이용하여 유해 물질의 생성을 방지하여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름이나 찌꺼기의 낙하를 방지하며,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숯가스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육류나 생선 등을 비롯하여 가열하여 섭취하는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기를 이용하거나, 가스불 또는 숯불 등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구이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이기는 사용되는 연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연료의 특성과 구이 구조의 상이함으로 인해 가열 조리되는 음식의 맛과 향이 달라진다.
한편 대중음식점이나 야외에서는 통풍 시설이 구비되거나 통풍에 유리한 장소로 인해서 숯불을 이용한 구이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숯불을 이용한 구이기는 숯불에 의해 가열 조리된 음식의 맛이 다른 연료를 사용하는 구이기에 비하여 뛰어나기 때문에 많은 이들로부터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숯불을 이용한 구이기는 구이 과정에서 조리물의 일부가 숯에 낙하하여 조리물에 유해물질이 생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유해가스를 발생시키고, 고온의 숯불 취급시 안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며, 숯에 충분한 양의 공기가 공급되지 못하고, 숯의 연소시간이 짧아 잦은 숯 보충을 필요로 하여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포함하여, 야기되어지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숯불에 충분한 양의 공기를 숯통의 측면에서 강제로 공급하여 완전 연소가 가능하며, 숯불의 열을 대류방식으로 조리물에 전달하고, 구이 과정에서 조리물의 일부가 숯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구이 과정에서 조리물에 대한 유해물질의 생성과 유해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고, 고온의 숯불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며, 숯의 연소 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숯의 보충 주기를 줄이면서도 숯의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숯불 가스를 이용한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숯가스 발생 장치는, 일부분에 숯가스 분사구가 형성되고, 타부분에 송풍팬이 설치되는 몸통; 상기 몸통의 내부에 설치되고, 숯을 수용하며,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측면 공기 주입구가 포함되는 숯통; 및 상기 송풍팬에 의해서 상기 몸통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측면 공기 주입구로 안내하는 공기 안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공기 안내 부재는, 상기 몸통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면에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몸통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숯통과의 사이 공간을 따라 흐르다가 상기 측면 공기 주입구를 통해서 상기 숯통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숯통과 이격되게 상기 숯통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안내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안내통은, 상기 숯통 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 내통; 및 단열재가 충전될 수 있는 단열재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열 내통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안내 외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측면 공기 주입구는, 제 1 높이의 제 1 측면 공기 주입구; 및 상기 제 1 높이 보다 높은 제 2 높이의 제 2 측면 공기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측면 공기 주입구는, 상기 제 2 높이 보다 높은 제 3 높이의 제 3 측면 공기 주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측면 공기 주입구는, 상기 숯통의 바닥면에 근접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 3 측면 공기 주입구는, 상기 숯통의 상방에 형성된 개구에 근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측면 공기 주입구는, 상기 제 1 측면 공기 주입구와 상기 제 3 측면 공기 주입구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공기 안내 부재는,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공기 조절 장치는, 상기 외부 케이스에 설치되는 조절 노브; 상기 조절 노브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는 회동막대; 상기 회동막대와 접촉되고, 상기 안내통의 보스에 승하강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회동막대의 회동 각도에 따라 승하강할 수 있는 승하강막대; 및 상기 승하강막대에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막대에 의해 승하강되면서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공기 조절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숯가스 발생 장치는, 상기 송풍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건전지 또는 핸드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몸통은, 가운데 부분에 상기 숯가스 분사구가 형성되고, 상기 숯통의 상방에 형성된 개구를 덮는 형상의 숯통 뚜껑부가 설치되는 숯가스 확산 챔버; 및 상기 숯가스 확산 챔버와 조립되고, 하부에 송풍팬이 설치되는 외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숯가스 확산 챔버의 숯통 뚜껑부는, 상기 숯가스 분사구 방향으로 숯가스를 유도하고, 열확산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위로 볼록한 돔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숯가스 확산 챔버는, 상기 송풍팬에 의해서 상기 외부 케이스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벽면을 따라 흐르다가 상기 숯가스 확산 챔버와 외부 케이스 사이의 제 1 틈새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케이스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도록 걸림 고리장치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숯통은, 상기 숯가스 확산 챔버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숯가스가 배출되기 전에 숯통의 측방에서 충분한 양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여 완전 연소를 가능하게 하고, 숯불의 열을 대류방식으로 조리물에 전달하고, 구이 과정에서 기름이나 찌꺼기 등 조리물의 일부가 숯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구이 과정에서 조리물에 대한 유해물질의 생성과 유해가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예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연소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몸통을 공랭식으로 냉각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숯가스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숯가스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숯가스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숯가스 발생 장치의 걸림 고리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숯가스 발생 장치의 부품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숯가스 발생 장치의 공기 조절 장치의 마개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숯가스 발생 장치의 공기 조절 장치의 마개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숯가스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숯가스 발생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의 커버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숯가스 발생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의 커버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숯가스 발생 장치(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숯가스 발생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숯가스 발생 장치(100)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숯가스 발생 장치(100)의 걸림 고리장치(HK)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숯가스 발생 장치(100)의 부품 분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숯가스 발생 장치(100)는, 크게 몸통(10)과, 숯통(20) 및 공기 안내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통(10)은, 일부분에 숯가스 분사구(10a)가 형성되고, 타부분에 송풍팬(11)이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숯가스 확산 챔버(12) 및 외부 케이스(13)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숯가스 확산 챔버(12)는, 가운데 부분에 상기 숯가스 분사구(10a)가 형성되고, 상기 숯통(20)의 상방에 형성된 개구(20a)를 덮는 형상의 숯통 뚜껑부(12a)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예컨데, 상기 숯가스 확산 챔버(12)의 숯통 뚜껑부(12a)는, 상기 숯가스 분사구(10a) 방향으로 숯가스를 유도하고, 열확산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위로 볼록한 돔형상일 수 있다. 다만, 숯가스는 송풍팬(11)의 기류에 의해서 유도된다는 점에서, 숯통 뚜겅부(12a)의 형상이 돔형상 외에 평판 형상, 볼록 형상, 오목 형상, 경사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숯통(20)에서 발생되는 숯가스는 돔형상의 상기 숯통 뚜껑부(12a)의 천정면을 따라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상기 숯가스 분사구(10a)로 집중되어 상방으로 배출될 수 있고, 상기 숯통 뚜껑부(12a)의 열기는 표면을 통해 복사열의 형태로도 상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1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인 것 이외에도 상기 숯통(20)을 수용할 수 있는 삼각, 사각, 다각, 타원 기둥, 원추형, 원뿔형 등 모든 형태의 통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팬(11)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별도의 온오프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서 필요에 따라 각각 또는 동시 구동되거나 정지될 수 있고, 각종 스위치나 조절노브 등의 팬속도 제어기에 의해서 송풍량이 조절될 수도 있다.
또한, 예컨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숯가스 분사구(10a)의 상방에는 상기 숯가스 분사구를 통해 배출되는 숯가스를 확산시킬 수 있도록 아래로 볼록한 역 돔형상의 확산판(14)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확산판(14)에 의해서 상기 숯가스를 보다 넓은 면적에 분사되도록 확산시킬 수 있고 동시에, 기름이나 찌꺼기가 상기 숯가스 분사구(10a)를 통해서 상기 숯통(20) 내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변형된 예에서, 확산판(14)의 형상은 역돔 형상 외에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산판(14)은 숯가스가 중심부로만 집중되지 않도록 숯가스가 분산되는 형상으로, 평판, 오목판, 볼록판, 입체 구조물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케이스(13)는, 상기 숯가스 확산 챔버(12)와 조립되는 것으로서, 하부에 송풍팬(11)이 설치되고, 제품의 하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외부 케이스(13)의 바닥면에는 상기 송풍팬(11)이 설치될 수 있고, 이외에도 보관시 공간 절약을 위해서 접철이 가능한 접철식 다리(16)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상기 송풍팬(11)이 1개만 설치되었으나, 용량에 따라서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실시예의 변형된 예에서, 송풍팬(11)은 외부 케이스(13)의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13)에는 상기 송풍팬(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50)가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전원 공급 장치(50)는, 핸드폰 배터리(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5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부분 보유하고 있는 핸드폰 배터리(52)를 이용하여 상기 핸드폰 배터리(52)를 상기 소켓(51)에 삽입하는 동작만으로도 간편하게 장시간 상기 송풍팬(11)을 사용하여 상기 숯통(20)의 내부에 강제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1에 파란색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팬(11)에 의해서 상기 외부 케이스(13)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외부 케이스(13)의 내벽면을 따라 흐르다가 상기 숯가스 확산 챔버(12)와 외부 케이스(13) 사이의 제 1 틈새(S1)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숯가스 확산 챔버(12)는 상기 외부 케이스(13)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숯가스 확산 챔버(12)와 상기 외부 케이스(13) 사이에는 별도의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외부 케이스(13)는 상기 송풍팬(11)에 의해서 상기 제 1 틈새(S1)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공랭식으로 냉각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화상 등의 각종 안전 사고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숯가스 발생 장치(100)의 걸림 고리장치(HK)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숯가스 확산 챔버(12)는, 상기 외부 케이스(13)와 착탈 가능하도록 걸림 고리장치(HK)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걸림 고리장치(HK)를 체결하여 상기 숯통(20)의 내부에서 상기 숯(1)을 안전하게 연소시킬 수 있고, 사용을 마친 후, 상기 걸림 고리장치(HK)를 개방하여 상기 숯통(20)에 남은 재를 처리하거나, 상기 숯가스 확산 챔버(12)나 상기 숯통(20)을 세척하거나 공간을 절약하도록 부품별로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서, 상기 숯통(20)은, 상기 몸통(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숯(1)을 수용하며,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측면 공기 주입구(21)(22)(23)가 형성될 수 있는 구조체이다.
여기서, 상기 숯통(20)은 원통형상 이외에도 상기 숯(1)을 수용할 수 있는 삼각, 사각, 다각, 타원 기둥, 원추형, 원뿔형 등 모든 형태의 통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공기 주입구(21)(22)(23)는, 제 1 높이(H1)의 제 1 측면 공기 주입구(21)와, 상기 제 1 높이(H1) 보다 높은 제 2 높이(H2)의 제 2 측면 공기 주입구(22) 및 상기 제 2 높이(H2) 보다 높은 제 3 높이(H3)의 제 3 측면 공기 주입구(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예컨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측면 공기 주입구(21)는, 상기 숯통(20)의 바닥면에 근접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 3 측면 공기 주입구(23)는, 상기 숯통(20)의 상방에 형성된 개구(20a)에 근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측면 공기 주입구(22)는, 상기 제 1 측면 공기 주입구(21)와 상기 제 3 측면 공기 주입구(2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측면 공기 주입구(21)(22)(23)는 반드시 상기 제 1 측면 공기 주입구(21), 상기 제 2 측면 공기 주입구(22) 및 제 3 측면 공기 주입구(23)로 한정되지 않고, 상기 숯통(2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1의 빨간색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숯통(20)의 외벽면을 따라 상승하던 공기는, 1차로 상기 제 1 측면 공기 주입구(21)를 통해 상기 숯통(20)의 측방으로 주입되어 연소를 도울 수 있다.
이어서, 나머지 공기는, 2차로 상기 제 2 측면 공기 주입구(22)를 통해 상기 숯통(20)의 측방으로 주입되어 연소를 도울 수 있다. 이 때의 공기는, 상기 숯통(20)으로 1차 주입된 공기 보다 높은 온도로 예열될 수 있고, 미연소된 공기를 재차 연소시킬 수 있다.
이어서, 다른 나머지 공기는, 3차로 상기 제 3 측면 공기 주입구(23)를 통해 상기 숯통(20)의 측방으로 주입되어 연소를 도울 수 있다. 이 때의 공기는, 상기 숯통(20)으로 2차 주입된 공기 보다 더 높은 온도로 예열될 수 있고, 미연소된 공기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이렇게 다단계 연소를 통해서 완전 연소가 가능하고, 상기 숯통(20)의 측방에서 다단계로 공기가 주입되기 때문에 상기 숯통(20) 내부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측방에서 상방으로 꺽임으로써 하방에서 상방으로 단순히 공기가 통과하는 경우 보다 유로가 길게 형성되어 충분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고, 공기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1회 주입되는 종래의 경우 보다 열효율이 월등하게 높으며, 공기가 상기 숯통(20)의 전부분에 걸쳐서 골고루 주입되어 내부의 숯가스가 완전 연소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안내 부재(30)는, 상기 송풍팬(11)에 의해서 상기 몸통(10)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측면 공기 주입구(21)(22)(23)로 안내하는 안내통(31)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서, 상기 안내통(31)은, 상기 몸통(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일면에 상기 송풍팬(11)에 의해 상기 몸통(1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 유입구(31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통(31)은, 상기 공기 유입구(31a)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숯통(20)과의 사이 공간을 따라 흐르다가 상기 측면 공기 주입구(21)(22)(23)를 통해서 상기 숯통(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숯통(20)과 이격되게 상기 숯통(20)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숯통(20)은 안내통(31)의 상면 가장자리의 플랜지부(미도시)에 걸쳐지게 결합되어 안내통(31)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거나 또는 안내통(31)의 바닥면 상에 배치된 스페이서 상에 배치되어 안내통(3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안내통(31)의 크기는 숯통(2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숯통(20)이 안내통(31)내에 안내통(31)의 바닥면에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그 결과 숯통(20)과 안내통(31) 사이에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빨간색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통(31)과 상기 숯통(20) 사이의 공간을 따라 공기가 상승하면서, 1차로 상기 제 1 측면 공기 주입구(21)를 통해 상기 숯통(20)의 측방으로 주입되어 연소를 도울 수 있고, 2차로 상기 제 2 측면 공기 주입구(22)를 통해 상기 숯통(20)의 측방으로 주입되어 연소를 도울 수 있으며, 3차로 상기 제 3 측면 공기 주입구(23)를 통해 상기 숯통(20)의 측방으로 주입되어 다단계로 연소를 도울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통(31)은, 상기 숯통(20) 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 내통(31-1) 및 단열재(31-3)가 충전될 수 있는 단열재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열 내통(31-1)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안내 외통(3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열재(31-3)는, 고온에서 충분히 견딜 수 있고,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단열 효과가 우수한, 예를 들면, 에어로겔, 에어로겔 바인더, 유리섬유,세라크울, 폴리머 소재 등 모든 재질의 단열재들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 내통(31-1)과 상기 안내 외통(31-2)은 별도 제작되어 조립되거나, 단일 몸체를 형성하거나, 일체로도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빨간색 화살표의 윗부분에 파란색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송풍팬(11)에 의해서 상기 외부 케이스(13)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외부 케이스(13)의 내벽면을 따라 흐르다가 상기 숯가스 확산 챔버(12)와 상기 숯통(20) 사이의 제 2 틈새(S2)를 통해서 상기 숯통(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연소를 돕고, 에어 커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숯통(20)은 상기 숯가스 확산 챔버(12)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단열통(31)과 숯가스 확산 챔버(12) 사이에는 별도의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 2 틈새(S2)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상기 숯통(20) 내부에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어 완전 연소를 도울 수 있고, 상기 숯통(20) 내부의 숯가스가 상기 제 1 틈새(S1)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안내 부재(30)는, 상기 공기 유입구(31a)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 조절 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숯가스 발생 장치(100)의 공기 조절 장치(40)의 마개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숯가스 발생 장치(100)의 공기 조절 장치(40)의 마개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조절 장치(40)는, 상기 외부 케이스(13)에 설치되는 도 2의 조절 노브(41)와, 상기 조절 노브(41)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축(42)과, 상기 회전축(42)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는 회동막대(43)와, 상기 회동막대(43)와 접촉되고, 상기 안내통(31)의 보스(44)에 승하강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회동막대(43)의 회동 각도에 따라 승하강할 수 있는 승하강막대(45) 및 상기 승하강막대(45)에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막대(45)에 의해 승하강되면서 상기 공기 유입구(31a)를 개폐할 수 있는 공기 조절 마개(4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조절 노브(41)를 정회전시켜서 상기 조절 노브(41)의 회전 각도가 상기 회동막대(43)를 하강시키는 각도일 경우, 상기 승하강막대(45)는 상기 회동막대(43)에 의해 하강되면서 상기 공기 조절 마개(46)가 상기 공기 유입구(31a)를 막아서 상기 숯통(20)으로 유입될 수 있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조절 노브(41)를 역회전시켜서 상기 조절 노브(41)의 회전 각도가 상기 회동막대(43)를 상승시키는 각도일 경우, 상기 승하강막대(45)는 상기 회동막대(43)에 의해 상승되면서 상기 공기 조절 마개(46)가 상기 공기 유입구(31a)로부터 이격되어 공기가 상기 숯통(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조절 노브(41)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공기 조절 마개(46)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 노브(41)의 둘레에는 발광체(E)를 설치하여 상기 송풍팬(11)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더욱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케이스(13)는, 일측에 석쇠(G)를 통해 일측으로 유도된 기름을 수거할 수 있도록 일측에 종이컵 거치대(15)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훈제 요리를 위해서 내부에 훈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숯가스 확산 챔버(12)를 덮을 수 있고, 손잡이(CH)가 형성되는 뚜껑(C)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숯가스 확산 챔버(12)의 상방에 석쇠(G)가 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석쇠(G)는 기름이 상기 숯통(20) 방향으로 낙하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석쇠(G)는 상기 석쇠의 주변을 둥글게 둘러싸는 링부(61)와 상기 링부(61)에 설치되어 상기 석쇠(G)를 들어 올릴 수 있는 핑거부(62)가 형성되는 석쇠 손잡이(6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석쇠 손잡이(60)와 상기 석쇠(G)의 열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상기 석쇠 손잡이(60)를 안전하게 들어 올릴 수 있고, 상기 석쇠(G)를 상기 몸통(10)에 거치시키면 음식물을 조리하기에 용이하도록 상시 석쇠 손잡이(60)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대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숯가스 발생 장치(2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10)과 숯통(20)을 식당이나 가정의 테이블(2)에 매립형으로 설치하고, 상술된 도 2의 조절 노브(41) 대신 조절 막대(47)를 설치하여 공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50)의 커버(55)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전원 공급 장치(50)의 커버(55)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50)는, 외부 케이스(13)에 개폐 가능한 커버(55)가 설치되고, 건전지(5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54)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켓(54)에 상기 건전지(53)를 삽입한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5)를 덮어서 상기 송풍팬(11)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케이스(13)에는 전원 공급 장치(50)의 일종으로 미니 USB 단자(마이크로 5핀 단자)(58)나, 원형 충전 단자(57)나, 핀형 충전 단자(56)등 다양한 전원 공급 단자들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각종 연기나 발암 물질이나 유해 가스가 없는 숯불의 고유한 향기만 함유된 고온의 청정 숯가스로 조리물을 조리하여 숯불 구이의 참맛을 매우 안전하고, 간편하며, 깨끗한 환경에서 맘껏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숯
2: 테이블
10: 몸통
10a: 숯가스 분사구
11: 송풍팬
12: 숯가스 확산 챔버
12a: 숯통 뚜껑부
13: 외부 케이스
14: 확산판
15: 종이컵 거치대
16: 접철식 다리
20: 숯통
20a: 개구
21: 제 1 측면 공기 주입구
22: 제 2 측면 공기 주입구
23: 제 3 측면 공기 주입구
30: 공기 안내 부재
31: 안내통
31a: 공기 유입구
31-1: 안내 내통
31-2: 안내 외통
31-3: 단열재
H1: 제 1 높이
H2: 제 2 높이
H3: 제 3 높이
40: 공기 조절 장치
41: 조절 노브
42: 회전축
43: 회동막대
44: 보스
45: 승하강막대
46: 공기 조절 마개
47: 조절 막대
E: 발광체
50: 전원 공급 장치
51, 54: 소켓
52: 핸드폰 배터리
53: 건전지
55: 커버
56: 핀형 충전 단자
57: 원형 충전 단자
58: 미니 USB 단자
S1: 제 1 틈새
S2: 제 2 틈새
HK: 걸림 고리장치
G: 석쇠
C: 뚜껑
CH: 손잡이
60: 석쇠 손잡이
61: 링부
62: 핑거부

Claims (13)

  1. 일부분에 숯가스 분사구가 형성되고, 타부분에 송풍팬이 설치되는 몸통;
    상기 몸통의 내부에 설치되고, 숯을 수용하며,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측면 공기 주입구가 포함되는 숯통; 및
    상기 송풍팬에 의해서 상기 몸통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측면 공기 주입구로 안내하는 공기 안내 부재;
    를 포함하는, 숯가스 발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 부재는,
    상기 몸통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면에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몸통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숯통과의 사이 공간을 따라 흐르다가 상기 측면 공기 주입구를 통해서 상기 숯통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숯통과 이격되게 상기 숯통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안내통;
    을 포함하는 것인, 숯가스 발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통은,
    상기 숯통 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 내통; 및
    단열재가 충전될 수 있는 단열재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열 내통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안내 외통;
    을 포함하는, 숯가스 발생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공기 주입구는,
    제 1 높이의 제 1 측면 공기 주입구; 및
    상기 제 1 높이 보다 높은 제 2 높이의 제 2 측면 공기 주입구;
    를 포함하는, 숯가스 발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공기 주입구는,
    상기 제 2 높이 보다 높은 제 3 높이의 제 3 측면 공기 주입구;
    를 더 포함하는, 숯가스 발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 공기 주입구는, 상기 숯통의 바닥면에 근접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 3 측면 공기 주입구는, 상기 숯통의 상방에 형성된 개구에 근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측면 공기 주입구는, 상기 제 1 측면 공기 주입구와 상기 제 3 측면 공기 주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인, 숯가스 발생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 부재는,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 조절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숯가스 발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절 장치는,
    상기 외부 케이스에 설치되는 조절 노브;
    상기 조절 노브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는 회동막대;
    상기 회동막대와 접촉되고, 상기 안내통의 보스에 승하강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회동막대의 회동 각도에 따라 승하강할 수 있는 승하강막대; 및
    상기 승하강막대에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막대에 의해 승하강되면서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공기 조절 마개;
    를 포함하는, 숯가스 발생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건전지 또는 핸드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을 포함하는, 숯가스 발생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은,
    가운데 부분에 상기 숯가스 분사구가 형성되고, 상기 숯통의 상방에 형성된 개구를 덮는 형상의 숯통 뚜껑부가 설치되는 숯가스 확산 챔버; 및
    상기 숯가스 확산 챔버와 조립되고, 하부에 송풍팬이 설치되는 외부 케이스;
    을 포함하는, 숯가스 발생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숯가스 확산 챔버의 숯통 뚜껑부는, 상기 숯가스 분사구 방향으로 숯가스를 유도하고, 열확산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위로 볼록한 돔형상인, 숯가스 발생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숯가스 확산 챔버는,
    상기 송풍팬에 의해서 상기 외부 케이스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벽면을 따라 흐르다가 상기 숯가스 확산 챔버와 외부 케이스 사이의 제 1 틈새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케이스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도록 걸림 고리장치에 의해 체결되는 것인, 숯가스 발생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숯통은,
    상기 숯가스 확산 챔버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인, 숯가스 발생 장치.

KR1020130088250A 2013-07-25 2013-07-25 숯가스 발생 장치 KR101780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250A KR101780387B1 (ko) 2013-07-25 2013-07-25 숯가스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250A KR101780387B1 (ko) 2013-07-25 2013-07-25 숯가스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575A true KR20150012575A (ko) 2015-02-04
KR101780387B1 KR101780387B1 (ko) 2017-09-21

Family

ID=5248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250A KR101780387B1 (ko) 2013-07-25 2013-07-25 숯가스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3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88407A (zh) * 2018-12-05 2019-02-01 廉江市碳神五金厨具厂 一种无烟烧烤机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852B1 (ko) * 2018-06-18 2019-04-10 김재동 에어커튼이 형성되는 구이테이블
US11644241B2 (en) 2021-03-04 2023-05-09 Mr. Bar-B-Q Products Llc Beverage holder assembly configured for a fire p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88407A (zh) * 2018-12-05 2019-02-01 廉江市碳神五金厨具厂 一种无烟烧烤机架
CN109288407B (zh) * 2018-12-05 2024-05-28 湛江维尔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无烟烧烤机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387B1 (ko) 201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2385B2 (en) Combustion device utilizing thermoelectrical generation
JP5975179B2 (ja) 焼き器
CN106211752B (zh) 带有保温柜的烧烤装置
EP2984972B1 (en) Smokeless grill
CN104083069B (zh) 可控的以炭火为热源的多功能组合炉
KR101184999B1 (ko) 휴대용 숯불구이 로스터그릴
KR101780387B1 (ko) 숯가스 발생 장치
KR20150000117A (ko) 휴대용 가스 겸용 숯불 바베큐 그릴
KR101697731B1 (ko) 숯불 가스를 이용한 조리기구
KR20160019845A (ko)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CN104696961B (zh) 提高火焰能见度与具有安全性的瓦斯燃烧装置
CN201719088U (zh) 一种烧烤炉
JP3228962U (ja) ペレットストーブ
KR101532660B1 (ko) 숯불 구이기
CN210276932U (zh) 一种便携式燃气烤炉
KR101763867B1 (ko) 숯가스 발생 장치
KR200472326Y1 (ko) 화목 난로
CN207627124U (zh) 一种无油烟炭式烧烤炉
CN201032192Y (zh) 一种进风隔热燃气灶
CN205144354U (zh) 一种碳烤炉
CN210432727U (zh) 一种带熄火保护自动控温的燃气旋转式烘烤机
KR101428964B1 (ko) 직화구이기
CN217987348U (zh) 一种可用于室内烧烤的烧烤炉
KR101634360B1 (ko)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KR101446278B1 (ko)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