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9845A -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 Google Patents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9845A
KR20160019845A KR1020150024248A KR20150024248A KR20160019845A KR 20160019845 A KR20160019845 A KR 20160019845A KR 1020150024248 A KR1020150024248 A KR 1020150024248A KR 20150024248 A KR20150024248 A KR 20150024248A KR 20160019845 A KR20160019845 A KR 20160019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support
combustion
combus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영호
Original Assignee
(주)호성에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호성에이엔씨 filed Critical (주)호성에이엔씨
Priority to KR1020150024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9845A/ko
Publication of KR20160019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24B1/202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 F24B1/207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는, 방사상으로 배치된 지지편에 의해 바닥면과 이격된 구조로 지지되며, 하부측에 구비된 공기흡입공과 상부측에 구비된 공기상향이동공을 갖는 지지유닛; 지지유닛 상부측에 구비되며, 관통 형성된 내체와, 내체를 내재하는 구조로 내체의 외주연부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공기상향이동로를 형성하는 외체가 구비된 공기순환유닛; 공기순환유닛의 내체 내측에 내체의 내주연부와 이격된 구조로 설치되어 공기하향순환공과 공기상향순환공을 통해 공기를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연소유닛;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순환유닛의 내체와 외체 사이에 마련된 공기상향이동로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내체와 외체 상부측으로 이동된 공기를 연소유닛의 공기하향순환공을 거쳐 공기상향순환공으로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연소유닛 및 지지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연소유닛으로부터 지지유닛 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부; 및 송풍유닛과 인접설치되어 송풍유닛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화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실내 또는 야외 등 사용처를 다양화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PORTABLE COMBINATION STOVE AND COOKER EXOTHERMIC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유닛의 구동에 따라 지지유닛의 지지편에 의해 형성된 공기흡입로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향이동시키는 공기순환유닛과, 공기순환유닛을 통해 상향이동된 공기를 공기하향순환공과 공기상향순환공을 매개로 하여 발열장치 내에서 연속적으로 순환되게 하는 연소유닛을 구비함으로써, 화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실내 또는 야외 등 사용처를 다양화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킨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곤로(Cooker)는 취사용 장치를 의미하고, 난로(Stove)는 난방 장치의 하나로써 나무·석탄·석유·가스 등의 연료를 때거나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내어 실내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최근, 곤로 또는 난로의 사용상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곤로와 난로를 겸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곤로 및 난로 겸용 장치는, 휴대성이 취약함에 따라 사용상 제한이 있고, 안전성이 낮으며, 야외 사용 시 강풍이 부는 지역 또는 고온지대에서 취사가 어려운점 등 여러 문제점이 있는 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8899호(2009.07.1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2455호(2011.08.18)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송풍유닛의 구동에 따라 지지유닛의 지지편에 의해 형성된 공기흡입로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향이동시키는 공기순환유닛과, 공기순환유닛을 통해 상향이동된 공기를 공기하향순환공과 공기상향순환공을 매개로 하여 발열장치 내에서 연속적으로 순환되게 하는 연소유닛을 구비함으로써, 화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실내 또는 야외 등 사용처(캠핑, 등산, 낚시, 시장노점상, 아파트, 상가, 사무실 등)를 다양화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킨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는, 바닥면에 지지가능하게 구비되되, 방사상으로 배치된 지지편에 의해 바닥면과 이격된 구조로 지지되며, 하부측에 구비된 공기흡입공과 상부측에 구비된 공기상향이동공을 갖는 지지유닛; 상기 지지유닛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내체와, 내체보다 긴 길이를 이루어 내체를 내재하는 구조로 내체의 외주연부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공기상향이동로를 형성하는 외체가 구비된 공기순환유닛; 상기 공기순환유닛의 내체 내측에 내체의 내주연부와 이격된 구조로 설치되되, 상부에 공기하향순환공이 구비되고 하부에 공기상향순환공이 구비된 연소유닛; 상기 지지유닛의 내측에 구비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순환유닛의 내체와 외체 사이에 마련된 공기상향이동로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내체와 외체 상부측으로 이동된 공기를 연소유닛의 공기하향순환공을 거쳐 공기상향순환공으로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상기 연소유닛 및 지지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연소유닛으로부터 지지유닛 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부; 및 상기 송풍유닛과 인접설치되어 송풍유닛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에 의해 바닥면과 이격된 부위에는 공기흡입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로를 통해 이동된 공기는 지지유닛의 하부판 측에 구비된 공기흡입공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공은 지지유닛의 상부판 측에 구비된 공기상향이동공과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공은 송풍유닛에 간섭되는 않는 구조를 이루어 지지유닛의 하부판상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유닛은 지지유닛의 내측에 구비되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또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공급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의 일측에는 송풍유닛의 구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바람의 세기 정도를 조절하는 구동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의 일측에는 송풍유닛의 구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구동확인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의 일측에는 외부전원공급원을 연결하기 위한 외부전원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체의 상단부는 외체의 상단부보다 낮게 설치되어 공기상향이동로를 통해 이동된 공기가 연소유닛의 공기하향순환공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소유닛은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이루며, 공기순환유닛의 내체의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소유닛은 공기순환유닛의 내체와 이격되게 구비되며, 연소유닛과 내체 사이에 공기순환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소유닛의 개방된 상부측에는 공기순환유닛에 대해 착탈할 수 있게 하는 착탈용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유닛 상단부 또는 연소유닛 상단부에는 조리기구를 지지하는 조리기구 지지대가 구비되되, 상기 공기순환유닛 상단부 측에 구비되는 조리기구 지지대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조리기구를 지지하며, 연소유닛 상단부에 구비되는 조리기구 지지대는 연소유닛의 상단부와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조리기구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구 지지대는 공기순환유닛 상단부 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유닛의 외체의 외주연부 측에는 이동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손잡이는 공기순환유닛의 외체의 외주연부 측에 고정되는 고정바에 의해 유동되지 않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손잡이는 공기순환유닛의 외체의 외주연부 측에 고정 설치된 힌지고리를 매개로 일정 반경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손잡이는 공기순환유닛의 외체의 외주연부 일측에 내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유닛의 상부에는 연소유닛을 밀폐하는 구조로 연통부재가 설치되어 난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통부재에는 연통부재의 외주연부를 감싸는 구조로 외부공기유입관이 설치되되, 상기 외부공기유입관은 연통부재의 외주연부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설치되어 연통부재와 외부공기유입관 사이에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되게 하는 외부공기유입로를 형성하고, 외부공기유입로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외부공기유입관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연소유닛의 상부에는 연소유닛을 밀폐하는 구조로 덮개를 설치하여 실내에서 연통부재없이 난로로 사용하며, 덮개에는 연소유닛으로부터 덮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고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ⅰ)송풍유닛을 이용하여 연료의 연소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ⅱ)사용자가 익숙한 상태로 신속 및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ⅲ)높은 온도에서도 불을 알맞게 조절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ⅳ)연기와 먼지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이산화탄소 방출 및 오염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ⅴ)사용시간과 비용이 절약되고, 쉽게 자리를 옮겨 사용할 수 있다.
ⅵ)일상적인 요리·튀김요리·제빵요리 등에 사용할 수 있고, H:40cm * W:27cm 정도의 크기로 연중 등산·낚시·아파트·사무실 등 다양한 사용처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H:25cm * W:15cm 정도의 크기로 배낭 등에 휴대할 수 있게 된다
ⅶ)야외 사용 시, 강풍이나 고온지대에서 기존의 제품과는 달리 취사가 가능하다.
ⅷ)대나무 또는 아까시 나무를 원료로 하는 연료(펠렛)를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 지지대가 연소유닛 상부에 일체형으로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손잡이가 상하회동식으로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손잡이가 함몰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명장치가 난로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유닛위에 덮개가 씌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는 바,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르며,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냄을 밝혀둔다.
또한, 본 명세서에 게재되는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첨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100)에 의하면, 바닥면에 지지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유닛(110)과, 지지유닛(11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공기순환유닛(120)과, 공기순환유닛(120)의 내체(122) 내측에 구비되어 공기를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연소유닛(130)과, 지지유닛(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순환유닛(120)의 상부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연소유닛(130)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송풍유닛(140)과, 연소유닛(130)으로부터 지지유닛(110) 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부(150)와, 송풍유닛(140) 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유닛(110)은 바닥면에 지지가능하게 구비되되, 하부측에 위치하여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지지편(112)에 의해 바닥면과 이격된 구조로 지지될 수 있다.
지지유닛(110)의 지지편(112)에 의해 바닥면과 이격된 부위에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로(114)가 마련된다.
지지유닛(110)의 하부측에는 지지편(112)의 상단부와 고정되는 하부판(115)이 구비되며, 하부판(115)에는 공기흡입공(116)을 형성하여 지지유닛(110)의 상부판(117) 측에 구비된 공기상향이동공(118)과 연통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지지유닛(110)의 하부판(115) 측에 형성된 공기흡입공(116)은 지지유닛(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송풍유닛(140)에 간섭되지 않는 구조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공기흡입공(116)은 지지유닛(110)의 하부판(115) 상에 송풍유닛(140) 외측에 위치하는 형태를 이루어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지편(112)에 의해 바닥면과 이격된 부위에 형성되는 공기흡입로(114)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지지유닛(110)의 하부판(115) 측에 마련된 공기흡입공(116)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화살표 ⓐ방향 참조).
이와 같이, 공기흡입공(116) 측으로 이동한 외부공기는 지지유닛(110)의 상부판(117) 상에 형성된 공기상향이동공(118)을 거쳐 공기순환유닛(120)의 내체(122)와 외체(124) 사이에 마련된 공기상향이동로(125)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화살표 ⓑ방향 참조).
공기상향이동공(118)은 지지유닛(110)의 상부판(117) 상에 형성하되, 공기순환유닛(120)의 내체(122)와 외체(124)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지지유닛(110)의 일측에는 송풍유닛(140)의 구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바람의 세기 정도를 조절하는 구동조절부(111a)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조절부(111a)는 송풍유닛(140)의 구동 제어 및 바람의 세기 정도를 함께 조절할 수 있는 회전식 스위치 등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지지유닛(110)의 일측에는 송풍유닛(140)의 구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구동확인부(111b)를 구비할 수도 있다.
구동확인부(111b)는 송풍유닛(140)의 구동 시 불이 들어오는 LED 램프 등 다양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유닛(110)의 일측에는 건전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전원공급원을 연결하기 위한 외부전원연결부(111c)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기순환유닛(120)은 내체(122)와 외체(124) 사이에 공기상향이동로(125)를 형성하여 지지유닛(110) 상부측에 고정 설치된다.
공기순환유닛(120)은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내체(122)와, 내체(122)의 내재하는 구조로 설치되는 외체(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체(122)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원통형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외체(124)는 내체(122)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이루어 내체(122)를 내재하는 구조로 내체(122)의 외주연부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내체(122)와의 사이에 공기상향이동로(125)를 형성하게 된다.
공기순환유닛(120)의 내체(122) 상단부의 길이는 외체(124) 상단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고, 단면에서 보아 내체(122)의 상단부가 외체(124)의 상단부보다 낮게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간격 참조).
이에 의해, 내체(122)와 외체(124) 사이의 공기상향이동로(125)를 통해 이동된 공기가 연소유닛(130)의 공기하향순환공(132) 측으로 순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공기순환유닛(120) 상단부 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조리기구를 지지하는 조리기구 지지대(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구 지지대(170)는 공기순환유닛(120) 상단부 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연소유닛(130)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연소유닛(130)과 일체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공기순환유닛(120)의 외체(124) 외주연부에는 이동손잡이(180)를 구비하여 발열장치(100)를 용이하게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손잡이(180)는 공기순환유닛(120)의 외체(124) 외주연부 측에 고정되는 고정바(181)에 의해 유동되지 않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손잡이(180)는 공기순환유닛(120)의 외체(124) 외주연부 측에 고정 설치된 힌지고리(182)를 매개로 일정 반경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손잡이(180)는 공기순환유닛(120)의 외체(124) 외주연부 일측에 내체(122)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구조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연소유닛(130)은 공기순환유닛(120)의 내체(122) 내측에 내체(122)의 내주연부와 이격된 구조로 설치되도록 한다.
연소유닛(130)은 상부에 구비된 공기하향순환공(132)과 하부에 구비된 공기상향순환공(134)을 통해 공기를 연소유닛(130) 내에서 연속적으로 순환시키게 된다.
연소유닛(130)은 상부에 개방된 연료투입구(135)가 마련되며, 공기순환유닛(120)의 내체(122)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연소유닛(130)의 중앙부 측에 마련되는 연소공간(136)에는 대나무 또는 아까시 나무를 주 원료로 하는 연료(펠렛)을 투입하고, 사용시 소량을 알코올을 부어 점화하거나 토치불을 이용하여 점화하는 방식으로 연소작업을 수행하게된다.
연소공간(136)에 투입되는 연료의 양은 필요로 하는 조리시간 또는 난방시간 등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연소유닛(130)은 공기순환유닛(120)의 내체(122)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연소유닛(130)과 내체(122) 사이에 공기순환로(137)를 형성한다.
연소유닛(130)의 개방된 상부측에는 공기순환유닛(120)에 대해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용 손잡이(138)를 구비할 수 있다.
송풍유닛(140)은 지지유닛(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함과 아울러 외부 공기를 공기상향이동로(125)를 거쳐 공기하향순환공(132) → 공기상향순환공(134) → 공기하향순환공(132)의 순으로 연속적으로 순환시켜 화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풍유닛(140)이 구동하게 되면 외부의 공기가 지지편(112)과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공기흡입로(114)를 경유하여 지지유닛(110)의 하부판(115)에 마련된 공기흡입공(116) 측으로 흡입된다. 공기흡입공(116) 측으로 흡입된 외부 공기는 지지유닛(110)의 상부판(117) 측에 형성된 공기상향이동공(118)을 거쳐 공기순환유닛(120)의 내체(122) 및 외체(124) 사이에 형성된 공기상향이동로(125)를 따라 이동한다. 공기상향이동로(125)를 따라 이동한 외부 공기는 공기하향순환공(132)을 거쳐 공기상향순환공(134)으로 이동하여 공기순환유닛(120)의 내체(122)와 연소유닛(130) 사이에 마련된 공기순환로(137)로 이동한 후 연속적으로 공기하향순환공(132) → 공기상향순환공(134) → 공기하향순환공(132)의 순으로 이동하면서 화력을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화살표 ⓐ,ⓑ,ⓒ,ⓓ참조).
송풍유닛(140)은 공지된 기술로써, 일정 크기를 갖는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블레이드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바람을 원하는 방향으로 전달하게 되는 바, 본 발명에서의 송풍유닛(140)은 외부 공기를 흡입함과 아울러 외부 공기를 공기상향이동로(125)를 거쳐 공기하향순환공(132) → 공기상향순환공(134) → 공기하향순환공(132)의 순으로 연속적으로 순환시키게 된다.
방열부(150)는 연소유닛(130) 및 지지유닛(110) 사이에 구비되어 연소유닛(130)으로부터 지지유닛(110) 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방열(Radiating)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원공급유닛(160)은 송풍유닛(140)과 인접설치되어 송풍유닛(140) 측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전원공급유닛(160)은 배터리(162)와,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공급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62)는 지지유닛(110)의 내측에 구비되되, 충전이 가능한 충전타입으로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외부전원공급원은 가정용 전원, 건전지 또는 태양전지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외부전원공급원은 지지유닛(110)의 일측에 구비된 외부전원연결부(111c)를 통해 발열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공기순환유닛(120)의 상부에는 연소유닛(130)을 밀폐하는 구조로 연통부재(190)를 설치하여 난로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발열장치(100)를 난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연통부재(190)의 일측을 발열장치(100)의 연소유닛(130)을 감싸는 구조로 설치하고, 타측을 실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하여 발열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연기 등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연통부재(190)에는 연통부재(190)의 외주연부를 감싸되, 연통부재(190)의 외주연부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외부공기유입관(192)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외부공기유입관(192)은 연통부재(190)의 외주연부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설치되며, 연통부재(190)와 외부공기유입관(192) 사이에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되게 하는 외부공기유입로(193)를 형성한다. 외부공기유입관(192)에는 외부공기유입로(193)와 연통되는 틈새(193a)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외부공기유입로(193)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외부공기유입관(192)에 형성된 틈새(193a)를 통해 실내로 유입될 수 있어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연소유닛(130)의 상부에는 연소유닛(130)을 밀폐하는 구조로 덮개(191)를 설치하여 실내에서 연통부재(190)없이 난로로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덮개(191)에는 연소유닛(130)으로부터 덮개(191)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고리(191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100)에 의하면, ⅰ)송풍유닛을 이용한 연료의 연소정도 조절, ⅱ)사용자가 익숙한 상태로 신속 및 편리하게 사용, ⅲ)높은 온도에서도 불을 알맞게 조절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사용, ⅳ)연기·먼지 발생·이산화탄소 방출·오염물질의 최소화, ⅴ)사용시간과 비용 절약 및 쉽게 자리를 옮겨 사용, ⅵ)일상적인 요리·튀김요리·제빵요리 등에 사용할 수 있고, H:40cm * W:27cm 정도의 크기로 연중 등산·낚시·아파트·사무실 등 다양한 사용처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H:25cm * W:15cm 정도의 크기로 배낭 등에 휴대 가능, ⅶ)야외 사용 시 강풍이나 고온지대에서 기존의 제품과는 달리 취사 가능, ⅷ)대나무 또는 아까시 나무를 원료로 하는 연료(펠렛)를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110 : 지지유닛,
111a : 구동조절부,
111b : 구동확인부,
111c : 외부전원연결부,
112 : 지지편,
114 : 공기흡입로,
115 : 하부판,
116 : 공기흡입공,
117 : 상부판,
118 : 공기상향이동공,
120 : 공기순환유닛,
122 : 내체,
124 : 외체,
125 : 공기상향이동로,
130 : 연소유닛,
132 : 공기하향순환공,
134 : 공기상향순환공,
135 : 연료투입부,
136 : 연소공간,
137 : 공기순환로,
138 : 착탈용 손잡이,
140 : 송풍유닛,
150 : 방열부,
160 : 전원공급유닛,
162 : 배터리,
170 : 조리기구 지지대,
180 : 이동손잡이,
181 : 고정바,
182 : 힌지고리,
190 : 연통부재,
192 : 외부공기유입관.

Claims (22)

  1. 바닥면에 지지가능하게 구비되되, 방사상으로 배치된 지지편에 의해 바닥면과 이격된 구조로 지지되며, 하부측에 구비된 공기흡입공과 상부측에 구비된 공기상향이동공을 갖는 지지유닛;
    상기 지지유닛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내체와, 내체보다 긴 길이를 이루어 내체를 내재하는 구조로 내체의 외주연부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공기상향이동로를 형성하는 외체가 구비된 공기순환유닛;
    상기 공기순환유닛의 내체 내측에 내체의 내주연부와 이격된 구조로 설치되되, 상부에 공기하향순환공이 구비되고 하부에 공기상향순환공이 구비된 연소유닛;
    상기 지지유닛의 내측에 구비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순환유닛의 내체와 외체 사이에 마련된 공기상향이동로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내체와 외체 상부측으로 이동된 공기를 연소유닛의 공기하향순환공을 거쳐 공기상향순환공으로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상기 연소유닛 및 지지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연소유닛으로부터 지지유닛 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부; 및
    상기 송풍유닛과 인접설치되어 송풍유닛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
    을 포함하는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에 의해 바닥면과 이격된 부위에는 공기흡입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로를 통해 이동된 공기는 지지유닛의 하부판 측에 구비된 공기흡입공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공은 지지유닛의 상부판 측에 구비된 공기상향이동공과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공은 송풍유닛에 간섭되는 않는 구조를 이루어 지지유닛의 하부판상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유닛은 지지유닛의 내측에 구비되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또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공급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의 일측에는 송풍유닛의 구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바람의 세기 정도를 조절하는 구동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의 일측에는 송풍유닛의 구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구동확인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9.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의 일측에는 외부전원공급원을 연결하기 위한 외부전원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체의 상단부는 외체의 상단부보다 낮게 설치되어 공기상향이동로를 통해 이동된 공기가 연소유닛의 공기하향순환공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유닛은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이루며, 공기순환유닛의 내체의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유닛은 공기순환유닛의 내체와 이격되게 구비되며, 연소유닛과 내체 사이에 공기순환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유닛의 개방된 상부측에는 공기순환유닛에 대해 착탈할 수 있게 하는 착탈용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유닛 상단부 또는 연소유닛 상단부에는 조리기구를 지지하는 조리기구 지지대가 구비되되,
    상기 공기순환유닛 상단부 측에 구비되는 조리기구 지지대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조리기구를 지지하며, 연소유닛 상단부에 구비되는 조리기구 지지대는 연소유닛의 상단부와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조리기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 지지대는 공기순환유닛 상단부 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유닛의 외체의 외주연부 측에는 이동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손잡이는 공기순환유닛의 외체의 외주연부 측에 고정되는 고정바에 의해 유동되지 않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손잡이는 공기순환유닛의 외체의 외주연부 측에 고정 설치된 힌지고리를 매개로 일정 반경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손잡이는 공기순환유닛의 외체의 외주연부 일측에 내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유닛의 상부에는 연소유닛을 밀폐하는 구조로 연통부재가 설치되어 난로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재에는 연통부재의 외주연부를 감싸는 구조로 외부공기유입관이 설치되되,
    상기 외부공기유입관은 연통부재의 외주연부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설치되어 연통부재와 외부공기유입관 사이에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되게 하는 외부공기유입로를 형성하고, 외부공기유입로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외부공기유입관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유닛의 상부에는 연소유닛을 밀폐하는 구조로 덮개를 설치하여 실내에서 연통부재없이 난로로 사용하며,
    덮개에는 연소유닛으로부터 덮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고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KR1020150024248A 2015-02-17 2015-02-17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KR201600198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248A KR20160019845A (ko) 2015-02-17 2015-02-17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248A KR20160019845A (ko) 2015-02-17 2015-02-17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180 Division 2014-08-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845A true KR20160019845A (ko) 2016-02-22

Family

ID=5544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248A KR20160019845A (ko) 2015-02-17 2015-02-17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984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342A (ko) * 2017-06-29 2019-01-08 기검 레져용 난로
KR20190130711A (ko) 2018-05-15 2019-11-25 강민수 복합조리기능을 갖는 광적외선 난방기
KR102412513B1 (ko) * 2021-05-27 2022-06-24 홍성표 자동 반복 연소 난로
WO2022211579A1 (ko) * 2021-04-02 2022-10-06 주식회사 그린에너지솔루션 펠렛 또는 장작을 사용할 수 있는 펠렛 화로대
KR20220137515A (ko) * 2021-04-02 2022-10-12 주식회사 그린에너지솔루션 펠렛 또는 장작을 사용할 수 있는 펠렛 화로대
KR102465755B1 (ko) * 2022-05-04 2022-11-11 주식회사 동보기계산업 환기 조절이 원활한 캠핑 화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899B1 (ko) 2008-10-24 2009-07-23 윤성완 연소장치
KR20110092455A (ko) 2010-02-09 2011-08-18 윤성완 연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899B1 (ko) 2008-10-24 2009-07-23 윤성완 연소장치
KR20110092455A (ko) 2010-02-09 2011-08-18 윤성완 연소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342A (ko) * 2017-06-29 2019-01-08 기검 레져용 난로
KR20190130711A (ko) 2018-05-15 2019-11-25 강민수 복합조리기능을 갖는 광적외선 난방기
WO2022211579A1 (ko) * 2021-04-02 2022-10-06 주식회사 그린에너지솔루션 펠렛 또는 장작을 사용할 수 있는 펠렛 화로대
KR20220137515A (ko) * 2021-04-02 2022-10-12 주식회사 그린에너지솔루션 펠렛 또는 장작을 사용할 수 있는 펠렛 화로대
KR102412513B1 (ko) * 2021-05-27 2022-06-24 홍성표 자동 반복 연소 난로
WO2022250398A1 (ko) * 2021-05-27 2022-12-01 홍성표 자동 반복 연소 난로
KR102465755B1 (ko) * 2022-05-04 2022-11-11 주식회사 동보기계산업 환기 조절이 원활한 캠핑 화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9845A (ko)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CN204363783U (zh) 烧烤设备
RU2436015C2 (ru) Печка, работающая на твердом топливе, с улучшенным сгоранием
CN205026735U (zh) 一种便携式发电柴火炉
CN219306512U (zh) 烹饪系统和炉
KR101862126B1 (ko) 캠핑용 무동력 공기 순환 장치
AU2021202627B2 (en) Cooking device having heat sources in a stacked arrangement
CN104337410B (zh) 一种智能炭炉
CN104696961B (zh) 提高火焰能见度与具有安全性的瓦斯燃烧装置
CA2475035A1 (en) Combination radiant/convection gas cooking appliance
CN103388840B (zh) 无烟火炉
KR101573901B1 (ko) 대류관이 구비된 난로
JP4366236B2 (ja) 電磁誘導調理器具における換気補助装置
JP3218622U (ja) 木質ペレット一次燃焼装置およびそれと加熱器本体を組み合わせてなる木質ペレット燃焼装置
US20170045263A1 (en) Electrical Safety Heater
CN103148522A (zh) 节能环保进风隔烟隔热灶具
KR101780387B1 (ko) 숯가스 발생 장치
CN105212778A (zh) 生物智能电烤炉
CN203404804U (zh) 无烟火炉
KR200384374Y1 (ko) 열풍가열식 고기구이구
CA2865969A1 (en) An oven having an enclosed heat exchange zone
KR101552869B1 (ko) 보조 난방기능을 구비한 목재 펠렛 난로
CN208319004U (zh) 多功能燃油烧烤炉
CN215583910U (zh) 一种碳烤炉成套桌体
CN221801881U (zh) 一种烹调器的罩体出风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