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934A - 벨트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934A
KR20150010934A KR20147016953A KR20147016953A KR20150010934A KR 20150010934 A KR20150010934 A KR 20150010934A KR 20147016953 A KR20147016953 A KR 20147016953A KR 20147016953 A KR20147016953 A KR 20147016953A KR 20150010934 A KR20150010934 A KR 20150010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elt conveyor
conveyor
glass
sh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16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오 테라니시
미치하루 에타
타카히데 후지이
나오토시 이나야마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0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6Drums, rollers, or wheels with projections engaging abutments on belts or chains, e.g. sprocket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송물(5)을 적재하여 반송하는 무단 형상의 벨트(2)와, 벨트(2)를 걸어 회전시키는 회전륜(3, 4)을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1)에 있어서, 벨트(2)에 있어서의 회전륜(3, 4)과 접촉하는 부위를 유리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벨 컨베이어의 구동시에 벨트와 회전륜의 슬라이딩에 의한 진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
본 발명은 적재된 반송물을 반송하는 무단 형상의 벨트와, 상기 벨트를 걸어 회전시키는 회전륜을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는 재료나 부품, 또한 제품 등을 반송하는 수단으로서, 공업 제품의 조립 공장 등에서 다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이 벨트 컨베이어로서는 가요성을 갖는 무단 형상 반송대인 벨트를 풀리나 롤러 등의 회전륜(구동륜 및 종동륜)에 걸어 회전시켜서 선회 구동시키는 형식인 것이 광범위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열가소성 수지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무단 형상의 벨트와, 이 벨트를 걸어 회전시키는 회전륜으로서의 풀리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동 문헌에는 벨트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염화 비닐 수지나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등을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1-121688호 공보
그런데, 상기 수지나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벨트는 벨트를 걸어 회전시키는 풀리와의 슬라이딩에 의해 그 슬라이딩면이 손상되기 쉽기 때문에 수지의 분상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진애를 발생시키기 쉽다는 특질을 갖고 있다. 이것에 기인하여, 예를 들면 클린룸 내에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이하에 서술하는 것과 같은 문제를 초래하고 있었다.
즉, 클린룸 내에서는 반도체 집적 회로 또는 액정 패널 또는 플라즈마 패널 또한 광학 부품 등과 같이 그 제조 공정에서 높은 공기 청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는 제품이 제조된다. 그 때문에, 클린룸 내에 발생한 진애가 제품에 혼입된 경우에는 제품의 품질에 각종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예를 들면,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진애가 회로에 혼입된 경우에는 인접하는 패턴 사이의 쇼트(단락) 등을 야기하여 회로가 오작동하거나, 회로에 설계값을 초과하는 대전류가 흘러서 반도체가 비정상적으로 발열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높은 공기 청정도가 요구되는 환경 하에서는 진애의 발생을 가능한 한 억제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의 개발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었지만, 벨트 컨베이어의 구성 요소에 사용되는 재질의 특성상의 관점 등으로부터, 그 요청에 충분히 응하고 있지 않는 것이 현상황이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행해진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시에 있어서의 회전륜과의 슬라이딩에 의한 벨트로부터의 진애의 발생을 가급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은 반송물을 적재하여 반송하는 무단 형상의 벨트와, 그 벨트를 걸어 회전시키는 회전륜을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로서, 상기 벨트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륜과 접촉하는 부위가 유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벨트에 있어서의 회전륜과 접촉하는 부위가 고경도이어서 흠집이 나기 어려운 특성을 갖는 유리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종래의 수지나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벨트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와 비교하여 회전륜과의 슬라이딩에 의한 벨트로부터의 진애의 발생을 적절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띠상의 유리 필름으로 무단 형상의 벨트를 제작하고, 이 무단 형상의 유리 필름의 내주면을 회전륜의 외주면에 접촉시키도록 하면 진애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매우 유리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회전륜에 있어서의 상기 벨트와 접촉하는 부위가 무기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무기 재료가 흠집나기 어려운 특성을 갖고 있음으로써 벨트와 회전륜이 슬라이딩할 때에 있어서는 벨트로부터뿐만 아니라 회전륜으로부터의 진애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양자의 슬라이딩부로부터의 진애의 발생을 더 저감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벨트에 있어서의 상기 반송물과 접촉하는 부위가 유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반송물이 벨트에 적재될 때에 벨트와 반송물이 접촉하는 부위로부터도 진애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의 진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부위 전체에 대해서 적절한 구성이 채용되게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벨 컨베이어의 구동시에 있어서의 회전륜과의 슬라이딩에 의한 벨트로부터의 진애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에 구비된 벨트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에 구비된 벨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에 구비된 구동 롤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한 반송의 실시상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한 반송의 실시상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에 구비된 벨트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에 구비된 벨트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에 구비된 벨트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에 구비된 벨트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에 구비된 벨트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에 구비된 벨트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에 구비된 벨트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1)는 반송물(5)을 적재하여 반송하는 무단 형상의 벨트(2)와, 벨트(2)를 걸어 회전시키는 회전륜으로서의 구동 롤러(3) 및 종동 롤러(4)를 구비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벨트(2)에 있어서의 반송물(5)을 적재하는 측의 면을 표면(2d)이라 표기하고, 벨트(2)에 있어서의 구동 롤러(3) 및 종동 롤러(4)와 접촉하는 측의 면을 이면(2e)이라 표기한다.
벨트(2)는 가요성을 갖는 두께가 얇은 판유리로 구성됨과 아울러 벨트(2)의 길이 방향(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단부를 접합하여 무단 형상으로 하는 접합부(2a)의 표면(2d)측과, 벨트(2)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2b)에 이어지는 가장자리부(2c)의 표면(2d)측에는 수지 테이프(6)에 의한 피복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2)의 접합부(2a)에 있어서 표면(2d)측에는 대향하는 양측 단부를 걸쳐서 점착층(9)이 접착되어 있고, 이 점착층(9) 상으로부터 수지 테이프(6)가 피복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점착층(9), 수지 테이프(6)는 벨트(2)의 폭 방향의 전역에 걸쳐서 접착, 피복되어 있다.
여기서, 벨트(2)를 구성하는 박판 유리의 두께로서는 1~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3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테이프(6)의 재질로서는 PET가 바람직하다.
구동 롤러(3)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A 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함과 아울러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2)의 이면(2e)과 접촉하는 접촉면(3a)을 갖는다. 또한, 구동 롤러(3)는 무기 재료인 세라믹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동 롤러(4)는 모터에 의한 구동력을 갖고 있지 않는 점 이외에는 구동 롤러(3)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1)를 사용한 반송의 실시상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롤러(3)가 A 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하는 것에 따라 구동 롤러(3)의 접촉면(3a)과 벨트(2)의 이면(2e)의 마찰에 의해 벨트(2)가 운동하여 벨트(2)에 적재된 반송물(5)이 반송된다.
이 때, 수지 테이프(6)가 벨트(2)의 접합부(2a)와 가장자리부(2c)의 표면(2d)측에만 피복되어 있음으로써 벨트(2)의 이면(2e)측은 고경도이어서 흡집이 나기 어려운 특성을 갖는 유리만으로 구성되어 있게 된다. 또한, 이면(2e)과 접촉하는 구동 롤러(3)가 마찬가지로 흠집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진 세라믹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수지나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벨트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와 비교하여 접촉면(3a)과 이면(2e)의 슬라이딩에 의해 진애가 발생하는 것과 같은 사태를 가급적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술한 효과는 벨트(2)와 구동 롤러(3) 사이에서만 얻어지는 것은 아니고, 벨트(2)와 종동 롤러(4) 사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물(5)은 벨트(2)의 폭 방향에 있어서 가장자리부(2c)에 피복된 한 쌍의 수지 테이프(6) 사이에 적재되어 유리 이외의 벨트(2)의 구성 요소와 접촉할 일이 없기 때문에 반송물(5)을 적재할 때의 벨트(2)와의 충돌에 의해 진애가 발생하는 것과 같은 사태도 적절히 방지된다. 이러한 점들로부터, 높은 공기 청정도가 요구되는 환경 하에서도 진애에 기인하여 제품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가급적 억제된다.
또한, 벨트(2)의 접합부(2a)와, 가장자리부(2c)에 있어서의 표면(2d)측에 피복된 수지 테이프(6)에 의해 하기와 같은 효과도 얻어진다. 즉, 단부(2b), 가장자리부(2c)에 미소 크랙이나 결함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벨트(2)에 작용하는 장력에 기인한 인장 응력이 미소 크랙에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벨트(2)가 파괴되는 것과 같은 사태를 정확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접합부(2a)에 있어서는 이 수지 테이프(6)의 존재로부터 본래 탄성 변형되기 어려운 성질을 갖는 유리로 구성한 벨트(2)에 적당한 탄성이 부여된다. 그 결과, 벨트(2)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벨트(2)가 파괴될 우려가 저감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1)에 구비된 벨트(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의 제 2~제 6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각 도면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1)와 동일한 기능 또는 형상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1)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1)와 상위한 점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2)의 이면(2e)에 벨트(2)의 미끄러짐을 저지하여 그 이송을 확실화시키는 복수의 리브(7)와, 벨트(2)의 폭 방향으로의 어긋남을 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8)가 구비되어 있는 점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롤러(3)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함몰부(3d)가 형성됨과 아울러 함몰부(3d)에 리브(7)와 맞물려서 벨트(2)를 운동시키는 이송 리브(3b)가 구비되어 있는 점, 및 가이드(8)를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홈(3c)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벨트(2)와 리브(7)는 면 접촉에 의해 밀착됨과 아울러 벨트(2)와 가이드(8)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면 접촉에 의해 밀착되어 있다. 리브(7)와 가이드(8)는 쌍방 모두 가요성을 갖는 두께가 얇은 유리로 구성되고, 수소 결합으로부터 유래되어 발생하고 있는 것이라고 상정되는 밀착력에 의해 벨트(2)의 이면(2e)과 밀착하고 있다. 또한, 리브(7)는 벨트(2)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피치로 배치되고, 가이드(8)는 벨트(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리브(7)를 구성하는 박판 유리의 두께로서는 100~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이드(8)를 구성하는 박판 유리의 두께로서는 10~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벨트(2)와, 리브(7) 및 가이드(8)와의 각각 접촉하는 측의 면은 그 표면거칠기(Ra)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 리브(3b)는 구동 롤러(3)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형성된 함몰부(3d)에 구비됨과 아울러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구동 롤러(3)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술한 벨트(2)에 구비된 리브(7)와 동일한 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송 리브(3b)의 정상부와 상기 접촉면(3a)은 구동 롤러(3)의 회전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이송 리브(3b)의 정부와 접촉면(3a)이 동심원 상에 위치하고 있다.
안내홈(3c)은 구동 롤러(3)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벨트(2)에 구비된 가이드(8)를 홈 내에 도입하여 안내함으로써 벨트(2)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어긋남을 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하,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1)를 사용한 반송의 실시상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1)를 사용한 반송의 실시상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롤러(3)가 A 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함에 따라 구동 롤러(3)에 구비된 이송 리브(3b)와, 벨트(2)에 구비된 리브(7)가 맞물린다. 그리고, 이 이송 리브(3b)와 리브(7)의 맞물림과, 벨트(2)의 이면(2e)과 구동 롤러(3)의 접촉면(3a)의 마찰에 의해 벨트(2)가 B 방향으로 운동하여 벨트(2)에 적재된 반송물(5)이 반송된다.
이 때,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1)로 얻어지는 작용 효과에 추가하여 이하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2)가 운동할 때 벨트(2)에 구비된 가이드(8)가 구동 롤러(3)에 구비된 안내홈(3c)에 도입되어 안내됨으로써 벨트(2)의 폭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저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1)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1)가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1)와 상위한 점은 벨트(2) 및 반송물(5)을 투과하는 광(L)을 발광하는 광원(10) 및 투과한 광(L)을 수광하는 카메라(11)를 구비하고 있는 점과, 벨트(2)에 있어서의 접합부(2a)의 표면(2d)측에 반송물(5)이 적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물(12)을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이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벨트(2)에 의해 반송되는 반송물(5)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제품이나 부품이며, 예를 들면 투명한 플라스틱판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 벨트 컨베이어(1)는 반송물(5)을 반송하면서 광원(10)으로부터 광(L)을 반송물(5)을 향해서 조사함과 아울러 투과한 광(L)을 카메라(11)로 수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도시하지 않는 검출 회로, 판정 회로에 그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반송물(5)에 있어서의 내부 결함의 유무를 검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벨트(2)가 유리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수지나 엘라스토머로 구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흠집이 나기 어렵고, 또한 내마모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흠집의 발생이나 마모의 진행에 기인한 광(L)의 벨트(2)에 대한 투과율의 저하가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진애의 발생을 회피하면서 양호하게 검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벨트(2)의 접합부(2a)에 반송물(5)이 적재된 경우, 정상적으로 검사를 행할 수 없을 우려가 발생하지만, 돌기물(12)이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반송물(5)이 접합부(2a)에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1)에 구비된 벨트(2)의 접합부(2a)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1)가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1)와 상위한 점은 벨트 컨베이어(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단부가 점착층(9)이 아니라 박판 유리(13)에 의해 걸쳐 있음으로써 접합부(2a)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여기서, 박판 유리(13)의 두께로서는 10~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박판 유리(13)에 있어서의 벨트(2)와 접촉하는 측의 면(13a)과 벨트(2)의 표면(2d)의 표면거칠기(Ra)는 각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쌍방의 면을 매끄럽게 하여 적층함으로써 양면(13a, 2d) 사이에는 밀착력이 작용한다. 이 밀착력은 양면(13a, 2d) 사이의 수소 결합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 것이라고 상정되어 있다. 또한, 이 박판 유리(13)는 벨트(2)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전역에 걸쳐서 양측 단부를 걸치고 있다.
또한, 이 경우 불꽃이나 레이저 등의 열원을 사용하여 양면(13a, 2d)을 300℃ 이상까지 가열하면 양면(13a, 2d) 사이의 밀착력이 더 증가하여 접합부(2a)의 기계적 강도가 강화된다. 이것은 양면(13a, 2d)의 온도의 상승에 따라 밀착력을 발생시키는 근원이 수소 결합으로부터 보다 강력한 밀착력을 생성하는 공유 결합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라고 상정되어 있다.
또한, 양면(13a, 2d)의 온도는 가열에 의해 유리의 융점 이상까지 상승시켜도 좋다. 양면(13a, 2d)을 융점 이상의 온도까지 상승시켜 유리의 일부를 녹인 후, 냉각을 행하면 양면(13a, 2d)을 융착시킬 수 있고, 양면(13a, 2d) 사이의 밀착력 및 이것에 기인하는 접합부(2a)의 기계적 강도가 한층 강화된다.
또한, 벨트(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단부를 걸치는 박판 유리(13)는 접합부(2a)의 표면(2d)측 뿐만 아니라 표면(2d)측과 이면(2e)측의 쌍방을 걸치도록 해도 좋고, 이면(2e)측만을 걸치도록 해도 좋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1)에 구비된 벨트(2)의 접합부(2a)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1)가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1)와 상위한 점은 벨트(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단부를 적층시킴으로써 접합부(2a)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양측 단부가 적층된 부분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는 측의 면(2d, 2e)은 그 표면거칠기(Ra)가 각각 2.0㎚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양면(2d, 2e)은 수소 결합에 의한 것이라고 상정되는 밀착력에 의해 밀착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제 4 실시형태와 같이 양면(2d, 2e)을 300℃ 이상 또는 유리의 융점 이상까지 가열함으로써 밀착력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면(2d, 2e) 사이에 보강재(14)를 개재시켜서 밀착력을 강화해도 좋다. 보강재(14)로서는 SiO2, Nb2O5의 막을 비롯한 각종 무기 막이나 유기 막, 양면 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면(2d, 2e) 사이를 유기 접착제, 저융점 유리로 대표되는 무기 재료로 충전한 후 탈수, 중합, 가열 등의 각종 처리를 실시한 것을 보강재(14)로서 사용해도 좋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1)가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1)와 상위한 점은 벨트(2)의 이면(2e)에 구비되어 있던 가이드(8), 표면(2d)에 구비되어 있던 수지 테이프(6), 구동 롤러(3)에 구비되어 있던 안내홈(3c)이 제거되어 있는 점과, 벨트(2)의 폭 방향의 길이가 구동 롤러(3)의 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어짐과 아울러 폭 방향의 단부(2b)가 벨트(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이 단부(2b)의 형상은 레이저나 버너로 단부(2b)에 열을 가함으로써 일부의 유리가 녹고, 녹은 유리가 표면장력에 의해 둥글게 됨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벨트(2)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2b)의 두께가 벨트(2)의 다른 부위에 비해 두꺼워지기 때문에 이 단부(2b)에 의해 벨트(2)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이 제한된다. 그 결과, 벨트(2)의 폭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저지된다.
또한, 이와 같이 벨트(2)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구동 롤러(3)의 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는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2)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2b)로 이어지는 가장자리부(2c)의 이면(2e)측에 박판 유리로 구성된 가이드(15)를 밀착시켜서 배치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벨트(2)의 폭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방지된다. 또한, 이 경우 가이드(15)의 두께는 10~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상기 제 4~제 6 실시형태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1)의 구성에 의해서도 벨트(2)나 구동 롤러(3) 및 종동 롤러(4)로부터 진애가 발생하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벨트(2)를 회전시키는 회전륜으로서는 롤러뿐만 아니라 풀리, 스프로킷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벨트(2)로서는 수지나 엘라스토머 등으로 구성된 벨트의 표면(2d) 및 이면(2e), 또는 이면(2e)에만 띠상의 박판 유리를 접착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롤러(3) 및 종동 롤러(4)는 세라믹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각종 유리, 각종 금속 등, 각종 무기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구동 롤러(3) 및 종동 롤러(4) 전체를 이들 무기 재료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벨트(2)와 접촉하는 부위(면)만을 무기 재료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벨트(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단부를 접합하는 접합부(2a)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 이외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한 벨트(2)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를 스테이플러(16)를 사용하여 접합하여 접합부(2a)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양측 단부를 도 10b,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각종 형상으로 가공한 후 벨트(2)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이 관통 구멍에 볼트(17), 너트(18)를 비롯한 접합 부재를 통하여 접합함으로써 접합부(2a)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 10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한 양측 단부를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이 관통 구멍에 각종 접합 부재를 통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접합부(2a)는 반드시 벨트(2)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전역을 접합할 필요는 없고 폭 방향을 따라 양측 단부를 단속적으로 접합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지 테이프(6)는 벨트(2)의 표면(2d)측에만 부착되어 있지만, 수지 테이프(6)의 부착 방법은 이와 같은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벨트(2)의 단부(2b)로 수지 테이프(6)를 뒤집어 접어서 단부(2b) 및 단부(2b)로 이어지는 표면(2d), 이면(2e)의 가장자리부(2c)를 피복하도록 해도 좋고, 2매의 수지 테이프(6)로 표면(2d), 이면(2e)의 가장자리부(2c)를 피복해도 좋다. 또한, 단부(2b)를 따라 1매 또는 2매의 수지 테이프(6)를 부착하여 피복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부착 방법을 행한 경우에도 종래의 수지나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벨트와 비교하여 수지와 구동 롤러(3) 및 종동 롤러(4)가 접촉하는 부위가 대폭으로 축소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부로부터의 진애의 발생을 가급적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벨트(2)는 가장자리부(2c)와 접합부(2a)를 피복하는 수지 테이프(6)를 반드시 구비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수지 테이프(6)를 제거하고, 접합부(2a)를 상기 스테이플러(16), 볼트(17)와 너트(18) 세트, 각종 접합 부재 등으로 접합한 경우에는 벨트(2)는 수지나 엘라스토머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교하여 내열성이나 내약품성이 우수하다는 이점도 갖게 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고온의 환경 하에 있어서 벨트 컨베이어(1)를 사용하여 반송을 행하면서 반송물(5)의 가공·처리를 실시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이것을 양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고온 환경하, 예를 들면 열 처리로 내에 있어서는 로가 벨트 컨베이어(1) 전체를 덮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보다 벨트(2)만을 덮는 구성으로 한 편이 이 벨트 컨베이어(1)에 의한 이점을 보다 바람직하게 향수할 수 있다.
1 : 벨트 컨베이어 2 : 벨트
3 : 구동 롤러 4 : 종동 롤러
5 : 반송물 6 : 수지 테이프
7 : 리브 8 : 가이드
9 : 점착층 10 : 광원
11 : 카메라 12 : 돌기물
13 : 박판 유리 14 : 보강재
15 : 가이드 16 : 스테이플러
17 : 볼트 18 : 너트

Claims (3)

  1. 반송물을 적재하여 반송하는 무단 형상의 벨트와, 상기 벨트를 걸어 회전시키는 회전륜을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로서,
    상기 벨트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륜과 접촉하는 부위가 유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륜에 있어서의 상기 벨트와 접촉하는 부위가 무기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에 있어서의 상기 반송물과 접촉하는 부위가 유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KR20147016953A 2012-04-20 2013-04-08 벨트 컨베이어 KR201500109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96613 2012-04-20
JP2012096613A JP2013224188A (ja) 2012-04-20 2012-04-20 ベルトコンベア
PCT/JP2013/060598 WO2013157425A1 (ja) 2012-04-20 2013-04-08 ベルトコンベア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934A true KR20150010934A (ko) 2015-01-29

Family

ID=49379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16953A KR20150010934A (ko) 2012-04-20 2013-04-08 벨트 컨베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77179A1 (ko)
JP (1) JP2013224188A (ko)
KR (1) KR20150010934A (ko)
CN (1) CN104010952A (ko)
TW (1) TW201402430A (ko)
WO (1) WO20131574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456B1 (ko) * 2012-12-11 2014-09-2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이송장치
WO2017062430A1 (en) 2015-10-08 2017-04-13 Laitram, L.L.C. Conveyor belt with longitudinal rails
CN105416989A (zh) * 2015-12-16 2016-03-23 苏州频发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型带式输送装置
US10005614B2 (en) * 2016-02-25 2018-06-26 Hemlock Semiconductor Operations Llc Surface conditioning of conveyor materials or contact surfaces
WO2017218376A1 (en) * 2016-06-15 2017-12-21 Laitram, L.L.C. Wet case detector in a conveyor belt
JP6510130B1 (ja) * 2017-11-21 2019-05-08 ニッタ株式会社 帯状ベルト、無端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7165066B2 (ja) * 2019-01-30 2022-11-02 日東電工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シートおよびクリーニング機能付搬送部材
CN110949944A (zh) * 2019-11-20 2020-04-03 浙江法曼工业皮带有限公司 一种光学成像检测用新型抗拉透明输送带及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221A (ko) * 1985-06-29 1987-02-17 데루노부 모모세 콘베이어 링크벨트
JPH0695259B2 (ja) * 1985-10-23 1994-11-24 富士通株式会社 転写定着装置
IT1213910B (it) * 1987-10-09 1990-01-05 F I R I E Di Giorgio Sansone S Nastro trasportatore e o accompagnatore a bordi nervati per la guida su cilindri di rinvio e trascinamento
JP2518474Y2 (ja) * 1992-11-11 1996-11-27 株式会社大洋プラスチックス工業所 リターンローラ装置
JPH0665320U (ja) * 1993-02-24 1994-09-16 嘉紀 山崎 蛇行防止ガイド付きコンベアベルト
US6375871B1 (en) * 1998-06-18 2002-04-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of manufacturing microfluidic articles
EP1622473B1 (de) * 2003-04-25 2007-11-14 Hanspeter Steffen Verfahren und technische ausfü hrung zur desinfektion und hal tbarmachung von lebensmitteln und anderen produkten mittels o3 , o2 , co2 argon, uv-c licht und ultraschall im vakuum
EP1473534A1 (fr) * 2003-04-28 2004-11-03 Vesuvius Crucible Company Rouleau et dispositif d'entraínement en rotation
CN201102789Y (zh) * 2007-11-30 2008-08-20 上海伊斯曼电气有限公司 用于检针机的传送带
JP5006934B2 (ja) * 2008-06-03 2012-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2325121B1 (de) * 2009-11-18 2013-06-05 EV Group E. Thallner GmbH Transportsystem zur Aufnahme und zum Transport von flexiblen Substraten
JP2011121688A (ja) * 2009-12-10 2011-06-23 Nitta Corp 導電性透明ベルト
JP2013224189A (ja) * 2012-04-20 2013-10-31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ベルトコンベ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10952A (zh) 2014-08-27
TW201402430A (zh) 2014-01-16
JP2013224188A (ja) 2013-10-31
US20130277179A1 (en) 2013-10-24
WO2013157425A1 (ja)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0934A (ko) 벨트 컨베이어
JP5536444B2 (ja) 歯のストリップが取り付けられているコンベヤベルト
JP2017154966A (ja) 基板分断装置及び基板分断装置における基板搬送方法
TW201300333A (zh) 玻璃卷的製造方法以及製造裝置
JP6088187B2 (ja) 光学表示パネルの連続製造方法及び光学表示パネルの連続製造システム
KR102219991B1 (ko)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11607A (ko) 기판 이송용 롤러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이송 장치
JPWO2006087800A1 (ja) ガイド付搬送ベルト
KR20050020138A (ko) 반송 시스템
WO2013157426A1 (ja) ベルトコンベア
JP2008285281A (ja) 可撓性基板搬送装置及び可撓性基板の搬送方法
JP2005138918A (ja) コンベア装置
JP5649220B2 (ja) 基板搬送装置及び基板搬送方法
WO2013031908A1 (ja) 板ガラス物品の分離装置
KR100725726B1 (ko) 글라스 이송 시스템
JP6932601B2 (ja) 搬送装置
TWM478981U (zh) 輸送帶折粒裝置
JP2011121689A (ja) 搬送用平ベル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42220A (ko) 체인 구동 절단식 라미네이터
JP2009196813A (ja) 把持装置
JP6668738B2 (ja) 搬送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基盤
KR102578981B1 (ko) 표시 장치 제조 시스템
TWI557056B (zh) 具撓性基材保護功能的卷對卷輸送設備
KR102087265B1 (ko) 기판 부상 이송장치
KR20060078538A (ko) 반송 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