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991B1 -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991B1
KR102219991B1 KR1020200084115A KR20200084115A KR102219991B1 KR 102219991 B1 KR102219991 B1 KR 102219991B1 KR 1020200084115 A KR1020200084115 A KR 1020200084115A KR 20200084115 A KR20200084115 A KR 20200084115A KR 102219991 B1 KR102219991 B1 KR 102219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hybrid
conveyor
manufacturing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재경
Original Assignee
진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재경 filed Critical 진재경
Priority to KR1020200084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4Dielectric heating, e.g. high-frequency welding, i.e. radio frequency welding of plastic materials having dielectric properties, e.g. PV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27Suction retaining means
    • B65G21/2036Suction retaining means f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0Antistatic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2Noise preven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78Belt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5G2812/02198Non-metallic bel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박판이면서 경량인 피대상물을 고속 운전하여 이송 및 운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에 있어서, 일정 길이 및 폭을 갖는 것으로서, 횡측(橫側) 편평성이 높고 종측(縱側) 굴곡성이 우수한 평벨트로 구비되는 광폭(廣幅)의 제1벨트부; 상기 제1벨트의 일면 중앙에 한 개 또는 가장자리 양측에 두 개를 위치시킨 상태로 일체 결합되는 것으로서, 치형(齒形) 구조를 갖는 타이밍벨트로 구비되는 협폭의 제2벨트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폭의 평벨트인 제1벨트부와 치형을 갖는 협폭의 제2벨트부를 일체로 하는 하이브리드 벨트를 제공함으로써 컨베이어에 설치하여 사용시 낮은 텐션으로 가동할 수 있고 안정된 회전 구동을 수행할 수 있어 벨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벨트의 슬립 및 사행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안정된 동작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정밀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고 반복적인 Run-Stop 조건에 적응성을 높일 수 있으며, 컨베이어본체 상에서 무한궤도로 설치되어 회전 구동시 소음 및 분진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및 그 제조방법{HYBRID BELT FOR CONVEY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본적으로 낮은 텐션으로 가동하도록 하고 안정된 회전 구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벨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정밀한 위치 제어를 가능하게 함은 물론 반복적이면서 급격한 Run-Stop 조건에도 적응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클린룸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소음 및 분진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음부의 정밀성 및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완성된 가공물 측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벨트의 슬립 및 사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Conveyor)는 각종 물건이나 물품을 연속적으로 이송 및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이송용 기계장치로서, 벨트식과 체인식으로 대별되며, 제조분야와 물류분야를 비롯하여 아주 다양한 산업분야에 널리 적용되어 활용되고 있다.
상기 벨트식 컨베이어는 컨베이어본체에 벨트를 무한궤도형으로 결합하여 사용 및 컨베이어본체 상에서 회전하는 벨트를 이용하여 각종 물건이나 물품을 연속적으로 이송 및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일 예로서, 이차전지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부품 중 하나인 전극판이 있는데, 이러한 전극판은 1mm 이하의 얇은 두께를 가진 동박판에 양면으로 흑연을 코팅한 판형으로서, 컨베이어의 벨트 상에서 여러 단계의 이송 및 가공 과정을 거쳐 이차전지 부품용 전극판으로 완성된다.
이때, 상기 이차전지용 전극판은 얇은 박판으로서, 컨베이어에 사용되는 벨트에 있어 아래와 같은 기능적 조건이 요구된다.
첫째, 반복적인 Run-Stop 조건에 적응성이 높아야 하고,
둘째, 가공 공정상 고속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가벼운 필름형 전극판이 벨트로부터 분리되어 날아가지 않아야 하고,
셋째, 원재료인 동박판이 가공위치에 정밀하게 포지셔닝을 하기 위해 벨트의 슬립이 없어야 함은 물론 벨트 사행이 없어야 하고,
넷째, 클린룸에 적용 가능하도록 분진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하고,
다섯째, 반영구적으로 정전기 방지기능을 수행하여야 하고,
여섯째, 다양한 모델에 적용 가능하도록 벨트의 폭과 길이에 제한이 없어야 하고,
일곱째, 벨트 이음부가 견고하게 결합되고 길이 오차가 극소화됨으로써 완성된 최종 가공물 측 불량 발생이 없어야 한다.
또한, 얇은 박판의 전극판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용 제조설비를 비롯하여 필름 및 박판 소재가 많이 적용되는 반도체 제조설비, 디스플레이 제조설비, 위생용품 제조설비, 기타 동박판이나 박판 필름 등을 제조하고 이송 및 가공하는 기계설비에 있어서도 상술한 기능적 조건을 갖는 벨트의 사용이 요구된다.
하지만, 종래 상술한 산업분야에서 컨베이어에 적용하는 벨트는 대부분이 고속으로 회전이 용이하고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평벨트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평벨트는 반복적인 Run-Stop 조건에 적응성이 높지 않고, 이송대상물이 경량인 경우 벨트로부터 분리되어 날아가기도 하고, 분진이나 소음이 발생되기도 하고, 벨트 슬립이나 사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업계에서는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에 있다.
또한, 종래 상술한 산업분야에 사용되는 컨베이어용 벨트에 있어 상술한 기능적 조건을 최대한 만족하는 벨트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편, 종래 선행기술문헌에 있어 국내등록특허 제10-1713186호에서는 "심선유지층에 대해 벨트 폭방향으로 배향된 단섬유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주행시 벨트 폭방향의 수축 변형을 억제시키고 벨트 폭방향의 강성을 높아지게 하는 평벨트"를 제안 및 개시하고 있으며, 국내등록특허 제10-1557205호에서는 "평벨트의 구동시 사행을 방지하기 위해 기계기구적 요소인 자동 텐셔너를 설치하는 구성"을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31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720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낮은 텐션으로 가동하도록 하고 안정된 회전 구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벨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정밀한 위치 제어를 가능하게 함은 물론 반복적이면서 급격한 Run-Stop 조건에도 적응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클린룸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소음 및 분진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음부의 정밀성 및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완성된 가공물 측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벨트의 슬립 및 사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공 공정상 고속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송대상물이 경량이더라도 벨트로부터 분리되어 날아가지 않도록 하고, 반영구적으로 정전기 방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모델의 이송 및 운반에 적용 가능하도록 한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전극판, 부직포, 화학섬유원단, 필름 등을 비롯한 얇은 박판 및 경량인 피대상물에 대해 컨베이어에 사용되는 벨트가 필히 구비하여야 할 다수의 기능적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차전지 제조설비, 반도체 제조설비, 디스플레이 제조설비, 위생용품 제조설비, 기타 동박판이나 박판 필름 등을 이송 및 가공하여 제조하는 기계제조설비 등에 활용되는 컨베이어에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는, 박판이면서 경량인 피대상물을 고속 운전하여 이송 및 운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에 있어서, 일정 길이 및 폭을 갖는 것으로서, 횡측(橫側) 편평성이 높고 종측(縱側) 굴곡성이 우수한 평벨트로 구비되는 광폭(廣幅)의 제1벨트부; 상기 제1벨트의 일면 중앙에 한 개 또는 가장자리 양측에 두 개를 위치시킨 상태로 일체 결합되는 것으로서, 치형(齒形) 구조를 갖는 타이밍벨트로 구비되는 협폭(狹幅)의 제2벨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벨트부 측 치형(齒形) 구조는 2열 사선 배치된 이중의 헬리컬 치형으로 형성하여 벨트 측 슬립과 사행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벨트부 측 치형(齒形) 구조는 이중 헬리컬 치형으로 형성하되, 동작 안정성을 위해 20°내지 25°범위로 사선 배치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벨트부 측 치형(齒形)에는 표면에 나일론 코팅 또는 나일론이 코팅된 원단 부착에 의한 나일론코팅층을 형성하여 벨트 구동시 소음 및 분진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을 발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벨트부는, 도전성 폴리머와 우레탄을 혼합한 조성으로 제작하여 자체 분진 발생을 최소화시킴과 더불어 대전방지기능을 발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도전성 폴리머는 폴리아닐린, 실리콘, 폴리에틸렌,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아세틸렌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벨트부 또는 상기 제1벨트부와 제2벨트부 상에는 석션홀을 형성하여 피대상물을 흡착 처리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고속 운전에 의한 이송 및 운반시 피대상물이 벨트로부터 분리되어 날아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광폭의 제1벨트부에 협폭의 제2벨트부가 일체로 결합된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는 컨베이어본체 상에 무한궤도형 배치를 위해 양끝단부에 이음결합부를 갖되, 상기 이음결합부는, 벨트의 일단부에 화살촉 모양의 핑거를 폭방향으로 간격 배치시켜 배열한 제1핑거결합부와, 벨트의 타단부에 화살촉 모양의 핑거를 폭방향으로 간격 배치시켜 배열하되 제1핑거결합부에 대응하여 동일평면상에서 깍지 끼움에 의한 상호간 걸림 결합이 형성되도록 한 제2핑거결합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제조방법은, 박판이면서 경량인 피대상물을 고속 운전하여 이송 및 운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일정 길이 및 폭을 갖는 것으로서, 횡측(橫側) 편평성이 높고 종측(縱側) 굴곡성이 우수한 평벨트로 구비되는 광폭(廣幅)의 제1벨트부를 구비하는 단계; (B) 치형(齒形) 구조를 갖는 타이밍벨트로 구비되는 협폭의 제2벨트부를 구비하는 단계; (C) 제1벨트부의 일면 중앙에 제2벨트부 한 개를 위치시킨 상태로 고주파 융착 또는 본딩을 통해 일체 결합하거나 또는 제1벨트부의 일면 가장자리 양측에 제2벨트부 두 개를 위치시킨 상태로 고주파 융착 또는 본딩을 통해 일체 결합함으로써 하이브리드 벨트를 제조하는 단계; (D) 하이브리드 벨트에 대해 화살촉 모양의 핑거를 폭방향으로 간격 배치시켜 배열한 화살촉 핑거지그를 이용하여 벨트의 양끝단부에 각각 동일평면상에서 상호간에 깍지 끼움에 의한 걸림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1핑거결합부와 제2핑거결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벨트부 측 치형(齒形) 구조는 2열 사선 배치된 이중의 헬리컬 치형으로 형성하여 벨트 측 슬립과 사행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되, 동작 안정성을 위해 20°내지 25°범위로 사선 배치하며, 상기 제2벨트부 측 치형(齒形)에는 표면에 나일론 코팅 또는 나일론이 코팅된 원단 부착에 의한 나일론코팅층을 형성하여 벨트 구동시 소음 및 분진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을 발휘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C)단계에서는, 제1벨트부 또는 제1벨트부와 제2벨트부 상에 석션홀을 형성하여 피대상물을 흡착 처리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고속 운전에 의한 이송 및 운반시 피대상물이 벨트로부터 분리되어 날아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폭의 평벨트인 제1벨트부와 치형을 갖는 협폭의 제2벨트부를 일체로 하는 하이브리드 벨트를 제공함으로써 컨베이어에 설치하여 사용시 낮은 텐션으로 가동할 수 있고 안정된 회전 구동을 수행할 수 있어 벨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벨트의 슬립 및 사행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안정된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밀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고 반복적이면서 급격한 Run-Stop 조건에도 적응성을 크게 높일 수 있으며, 구조적인 설계 및 나일론 코팅방식을 접목함으로써 컨베이어본체 상에서 무한궤도로 설치되어 회전 구동시 소음 및 분진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의 양끝단부 측 이음결합부에 대해 화살촉 모양의 핑거결합부를 형성함에 의해 동일평면상에서의 상호간 깍지 끼움 및 걸림이 형성되게 하므로 고속 회전에도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고 안정된 구동을 가능하게 하며, 자체 불량을 방지 및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석션홀 가공에 의한 흡착 처리를 가능하게 하므로 벨트 상에서의 밀착력 및 고정력을 높일 수 있어 고속으로 이송되는 피대상물이 경량이더라도 벨트로부터 분리되어 날아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영구적인 정전기 방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델의 이송 및 운반에 적용 가능한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를 제공 및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얇은 박판 및 경량인 피대상물에 대해 컨베이어에 사용되는 벨트가 필히 구비하여야 할 다수의 기능적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차전지 제조설비, 반도체 제조설비, 디스플레이 제조설비, 위생용품 제조설비, 기타 동박판이나 박판 플라스틱 필름 등을 이송 및 가공하여 제조하는 기계제조설비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양질의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를 제공 및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제2벨트부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제2벨트부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를 나타낸 요부 도면으로서, (a)는 치형을 갖는 제2벨트부를 포함하는 도면이고, (b)는 치형에 나일론코팅층을 형성한 제2벨트부를 포함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에 있어 양끝단부 이음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에 있어 양끝단부에 이음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화살촉 핑거지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100)는 각 산업분야에서 박판이면서 경량인 피대상물을 고속 운전하여 이송 및 운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특수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벨트부(110)와 제2벨트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벨트부(110)는 일정 길이 및 폭을 갖는 것으로서, 횡측(橫側) 편평성이 높고 종측(縱側) 굴곡성이 우수한 섬유사 직포층을 갖는 평벨트로 구비되는 광폭(廣幅)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1벨트부(110)는 우레탄계 소재로 구비함이 바람직한데, 자체 분진 발생을 최소화시킴과 더불어 대전방지기능을 발휘하도록 도전성 폴리머와 우레탄을 혼합한 조성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도전성 폴리머는 폴리아닐린, 실리콘, 폴리에틸렌,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아세틸렌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벨트부(11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전성 폴리머와 우레탄을 혼합한 조성으로 제작한 제1우레탄벨트부를 상부에 배치하고, 도전성 폴리머와 우레탄을 혼합한 조성으로 제작하거나 우레탄계 단독으로 제작한 제2우레탄벨트부를 하부에 배치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제1우레탄벨트부는 나일론사, 폴리에스터사, 폴리아미드사 등의 섬유계 중에서 2종 이상의 섬유사를 목적에 맞게 선택하여 직조된 원단의 상면에 우레탄을 도포한 구성일 수 있으며, 우레탄은 단독 사용하거나 또는 도전성 폴리머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제1우레탄벨트부와 제2우레탄벨트부의 사이에는 폴리아미드나 아라미드 또는 케블라의 섬유계 중에서 선택된 1종에 의한 심선을 삽입 배치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제1벨트부(110) 상에는 석션홀(130)을 형성하여 벨트(100) 상에 위치된 피대상물을 흡착 처리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고속 운전에 의한 이송 및 운반시 피대상물이 벨트(100)로부터 분리되어 날아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벨트부(110) 상에 석션홀(130)을 형성하는 경우, 심선을 갖는 제1벨트부(110)에 대해 석션홀(130)을 형성하는 부분 측 내장된 심선을 제거하는 구조를 갖게 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서는 심선의 노출에 의한 피대상물 측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석션홀(130) 측 버나 분진이 발생되는 것을 사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제2벨트부(120)는 일정 길이 및 폭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제1벨트부(110)에 대응하는 길이와 제1벨트부(110) 보다 적은 협폭(狹幅)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2벨트부(1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벨트(110)의 일면, 즉 하면 중앙에 한 개를 위치시킨 상태로 일체 결합되는 것으로서, 치형(齒形)(121) 구조를 갖는 타이밍벨트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벨트부(120)는 열융착방식, 고주파 융착방식, 접착제를 사용하는 본딩방식 중에서 어느 1군의 방식을 통해 제1벨트부(110)에 일체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벨트부(120) 측 치형(齒形)(121) 구조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열 사선 배치된 이중의 헬리컬 치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벨트(100) 측 구동시 컨베이어 상에서 슬립과 사행을 동시에 방지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벨트부(120) 측 치형(齒形) 구조는 이중 헬리컬 치형으로 형성하되 동작 안정성을 위해 20°내지 25°범위로 사선 배치 및 양측이 사이사이에 엇갈린 형태를 갖도록 순차 배열한 구성을 갖게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2벨트부(120) 측 치형(齒形)(121) 구조는 도 4에 나타낼 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양측 엇갈린 형태의 치형에 대해 간격 배치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순차 배열시 상호간에 밀착시켜 간격없이 연속 배열되는 형태로 구성함이 더욱 바람직한 형태라 할 것이다.
때론, 상기 제2벨트부(12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벨트(110)의 일면, 즉 하면 가장자리 양측에 두 개를 위치시킨 상태로 일체 결합되는 것으로서, 치형(齒形)(121) 구조를 갖는 타이밍벨트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벨트부(120) 측 치형(齒形)(121) 구조 또한 2열 사선 배치된 이중의 헬리컬 치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벨트(100) 측 구동시 컨베이어 상에서 슬립과 사행을 동시에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에도 상기 제2벨트부(120) 측 치형(齒形) 구조는 이중 헬리컬 치형으로 형성하되 동작 안정성을 위해 20°내지 25°범위로 사선 배치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벨트부(120)에 있어서는 이중의 헬리컬 치형이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위치하여 간격 배치된다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벨트부(120)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 또는 2개 배치에 관계 없이 치형(齒形)(121)의 표면에 나일론 코팅에 의한 나일론코팅층(122)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나일론코팅층(122)은 벨트(100) 구동시 소음 및 분진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일론이 갖는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 등의 물성특성을 발휘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벨트(100)에 대한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벨트부(120) 또한 우레탄계 소재로 구비함이 바람직한데, 자체 분진 발생을 최소화시킴과 더불어 대전방지기능을 발휘하도록 도전성 폴리머와 우레탄을 혼합한 조성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도전성 폴리머로는 폴리아닐린, 실리콘, 폴리에틸렌,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아세틸렌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벨트부(12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전성 폴리머와 우레탄을 혼합한 조성으로 제작한 제1우레탄벨트부를 상부에 배치하고, 도전성 폴리머와 우레탄을 혼합한 조성으로 제작하거나 우레탄계 단독으로 제작한 제2우레탄벨트부를 하부에 배치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제1우레탄벨트부는 나일론사, 폴리에스터사, 폴리아미드사 등의 섬유계 중에서 2종 이상의 섬유사를 목적에 맞게 선택하여 직조된 원단의 상면에 우레탄을 도포한 구성일 수 있으며, 우레탄은 단독 사용하거나 또는 도전성 폴리머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제1우레탄벨트부와 제2우레탄벨트부의 사이에는 폴리아미드나 아라미드 또는 케블라의 섬유계 중에서 선택된 1종에 의한 심선을 삽입 배치한 구성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벨트부(120) 상에도 필요에 따라 석션홀(130)을 형성할 수 있다 할 것인데, 이때에도 심선을 갖는 제2벨트부(120)에 대해서는 석션홀(130)을 형성하는 부분 측 내장된 심선을 제거하는 구조를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광폭의 제1벨트부(110)에 협폭의 제2벨트부(120)를 일체로 결합시킨 구성을 갖게 하는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100)에 있어 컨베이어본체 상에 무한궤도형 배치 및 견고한 결합과 유지를 위해 양끝단부에 이음결합부를 갖게 한다.
상기 이음결합부는 벨트(100)의 일단부에 화살촉 모양의 핑거를 폭방향으로 간격 배치시켜 배열한 제1핑거결합부(142)와, 벨트(100)의 타단부에 화살촉 모양의 핑거를 폭방향으로 간격 배치시켜 배열하되 제1핑거결합부(142)에 대응하여 동일평면상에서 깍지 끼움에 의한 상호간 걸림 결합이 형성되도록 한 제2핑거결합부(14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핑거결합부(142)와 제2핑거결합부(144)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살촉 모양을 갖는 핑거지그(200)를 활용함으로써 아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음결합부 측 제1핑거결합부(142)와 제2핑거결합부(144)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살촉 모양을 갖는 핑거지그(200)는 베이스판(210)과 상기 베이스판(210)의 상면에 돌출 배치 및 고정 결합된 금속재 화살촉핑거구조체(220)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100)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100) 제조방법은 이차전지용 전극판 등을 비롯하여 각 산업분야에서 박판이면서 경량인 피대상물을 고속 운전하여 이송 및 운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특수 벨트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벨트부 구비단계(S10), 제2벨트부 구비단계(S20), 벨트결합단계(S30), 핑거결합부 형성 및 열접착단계(S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벨트부 구비단계(S10)는 일정 길이 및 폭을 갖도록 재단하는 공정으로서, 횡측(橫側) 편평성이 높고 종측(縱側) 굴곡성이 우수한 평벨트로 구비되는 광폭(廣幅)의 제1벨트부(110)를 구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벨트부 구비단계(S10)에서는 제1벨트부(110)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미 상술하게 설명한 내용을 준용하기로 한다.
상기 제2벨트부 구비단계(S20)는 치형(齒形) 구조를 갖는 타이밍벨트로 구비되는 협폭(狹幅)의 제2벨트부(120)를 구비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제2벨트부 구비단계(S20)에서는 제2벨트부(120) 측 치형(齒形)(121)의 표면에 나일론 코팅을 수행하거나 나일론 코팅된 원단을 절단하여 부착하는 공정을 통해 나일론코팅층(122)을 형성하는 나일론코팅층 형성단계(S2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벨트부 구비단계(S20)에서는 제2벨트부(110)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미 상술하게 설명한 내용을 준용하기로 한다.
상기 벨트결합단계(S30)는 제1벨트부(110)의 일면, 즉 하면 중앙에 제2벨트부(120) 한 개를 위치시킨 상태로 열융착이나 고주파 융착 또는 본딩을 통해 일체 결합함으로써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100)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때로는, 상기 벨트결합단계(S30)에 있어 제1벨트부(110)의 일면, 즉 하면 가장자리 양측에 제2벨트부(120) 두 개를 위치시킨 상태로 열융착이나 고주파 융착 또는 본딩을 통해 일체 결합함으로써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100)를 제조하는 단계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단계(S30)에서는 제1벨트부(110) 또는 제1벨트부(110)와 제2벨트부(120) 상에 석션홀(130)을 형성하여 피대상물을 흡착 처리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고속 운전에 의한 이송 및 운반시 피대상물이 벨트(100)로부터 분리되어 날아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석션홀 가공단계(S32)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석션홀 가공단계(S32)는 상기 결합단계(S30)에 수행하지 않고, 상기 제1벨트부 구비단계(S10)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핑거결합부 형성 및 열접착단계(S40)는 상기 결합단계(S30)를 마친 결과물인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100)에 대해 화살촉 모양의 핑거를 폭방향으로 간격 배치시켜 배열한 화살촉 핑거지그(200)를 이용하여 벨트(100)의 양끝단부에 각각 동일평면상에서 상호간에 깍지 끼움에 의한 걸림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1핑거결합부(141)와 제2핑거결합부(142)를 형성하고, 제1핑거결합부(141)와 제2핑거결합부(142)에 대해 열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을 통해 열접착하여 이음부를 정밀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핑거결합부 형성 및 열접착단계(S40)를 통해 무한궤도 형태를 갖는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100)를 완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차전지 제조설비, 반도체 제조설비, 디스플레이 제조설비, 위생용품 제조설비, 기타 동박판이나 박판 필름 등을 이송 및 가공하여 제조하는 기계제조설비 등에 활용되는 컨베이어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100)를 제공 및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100)는 이차전지용 전극판 등을 비롯한 얇은 박판 및 경량인 피대상물에 대해 컨베이어에 사용되는 벨트가 필히 구비하여야 할 다수의 기능적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 및 도면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단계의 치환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하이브리드 벨트 110: 제1벨트부
120: 제2벨트부 121: 치형
122: 나일론코팅층 130: 석션홀
141: 제1핑거결합부 142: 제2핑거결합부
200: 화살촉핑거지그 210: 베이스판
220: 화살촉핑거구조체

Claims (10)

  1. 일정 길이 및 폭을 갖는 것으로서, 평벨트로 구비되는 광폭(廣幅)의 제1벨트부; 상기 제1벨트의 일면 중앙에 한 개 또는 가장자리 양측에 두 개를 위치시킨 상태로 일체 결합되는 것으로서, 치형(齒形) 구조를 갖는 타이밍벨트로 구비되는 협폭(狹幅)의 제2벨트부;를 포함하고, 박판이면서 경량인 피대상물을 고속 운전하여 이송 및 운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에 있어서,
    상기 제2벨트부 측 치형(齒形) 구조는 2열 사선 배치된 이중의 헬리컬 치형으로 형성하되, 동작 안정성을 위해 20°내지 25°범위로 사선 배치 및 양측이 사이사이에 엇갈린 형태를 갖도록 순차 배열하여 벨트 측 슬립과 사행을 동시에 방지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벨트부 측 치형(齒形)에는 표면에 나일론 코팅 또는 나일론이 코팅된 원단 부착에 의한 나일론코팅층을 형성하여 벨트 구동시 소음 및 분진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을 발휘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벨트부는 도전성 폴리머와 우레탄을 혼합한 조성으로 제작하여 자체 분진 발생을 최소화시킴과 더불어 대전방지기능을 발휘하도록 구비하되, 상기 도전성 폴리머는 폴리아닐린, 실리콘, 폴리에틸렌,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아세틸렌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벨트부 또는 상기 제1벨트부와 제2벨트부 상에는 석션홀을 형성하여 피대상물을 흡착 처리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고속 운전에 의한 이송 및 운반시 피대상물이 벨트로부터 분리되어 날아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폭의 제1벨트부에 협폭의 제2벨트부가 일체로 결합된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는 컨베이어본체 상에 무한궤도형 배치를 위해 양끝단부에 이음결합부를 갖되,
    상기 이음결합부는,
    벨트의 일단부에 화살촉 모양의 핑거를 폭방향으로 간격 배치시켜 배열한 제1핑거결합부와, 벨트의 타단부에 화살촉 모양의 핑거를 폭방향으로 간격 배치시켜 배열하되 제1핑거결합부에 대응하여 동일평면상에서 깍지 끼움에 의한 상호간 걸림 결합이 형성되도록 한 제2핑거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8. 박판이면서 경량인 피대상물을 고속 운전하여 이송 및 운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일정 길이 및 폭을 갖는 것으로서, 평벨트로 구비되는 광폭(廣幅)의 제1벨트부를 구비하는 단계;
    (B) 치형(齒形) 구조를 갖는 타이밍벨트로 구비되는 협폭의 제2벨트부를 구비하는 단계;
    (C) 제1벨트부의 일면 중앙에 제2벨트부 한 개를 위치시킨 상태로 고주파 융착 또는 본딩을 통해 일체 결합하거나 또는 제1벨트부의 일면 가장자리 양측에 제2벨트부 두 개를 위치시킨 상태로 고주파 융착 또는 본딩을 통해 일체 결합함으로써 하이브리드 벨트를 제조하는 단계;
    (D) 하이브리드 벨트에 대해 화살촉 모양의 핑거를 폭방향으로 간격 배치시켜 배열한 화살촉 핑거지그를 이용하여 벨트의 양끝단부에 각각 동일평면상에서 상호간에 깍지 끼움에 의한 걸림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1핑거결합부와 제2핑거결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벨트부는 도전성 폴리머와 우레탄을 혼합한 조성으로 제작하여 자체 분진 발생을 최소화시킴과 더불어 대전방지기능을 발휘하도록 구비하되, 상기 도전성 폴리머는 폴리아닐린, 실리콘, 폴리에틸렌,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아세틸렌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사용하며,
    상기 제2벨트부 측 치형(齒形) 구조는 2열 사선 배치된 이중의 헬리컬 치형으로 형성하여 벨트 측 슬립과 사행을 동시에 방지하도록 구성하되, 동작 안정성을 위해 20°내지 25°범위로 사선 배치 및 양측이 사이사이에 엇갈린 형태를 갖도록 순차 배열하며,
    상기 제2벨트부 측 치형(齒形)에는 표면에 나일론 코팅 또는 나일론이 코팅된 원단 부착에 의한 나일론코팅층을 형성하여 벨트 구동시 소음 및 분진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을 발휘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제조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는,
    제1벨트부 또는 상기 제1벨트부와 제2벨트부 상에 석션홀을 형성하여 피대상물을 흡착 처리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고속 운전에 의한 이송 및 운반시 피대상물이 벨트로부터 분리되어 날아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제조방법.
KR1020200084115A 2020-07-08 2020-07-08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219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115A KR102219991B1 (ko) 2020-07-08 2020-07-08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115A KR102219991B1 (ko) 2020-07-08 2020-07-08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991B1 true KR102219991B1 (ko) 2021-02-26

Family

ID=74687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115A KR102219991B1 (ko) 2020-07-08 2020-07-08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9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3490A (zh) * 2021-08-31 2021-12-07 新兴铸管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更换宽皮带的方法
KR20240037552A (ko) 2022-09-15 2024-03-22 문희명 타이밍벨트 제조를 위한 연마 및 절단 가공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4380A (en) * 1976-10-27 1978-06-08 Leder & Co Ltd Longitudinal and lateral joints of carrying belt
JP2000025974A (ja) * 1998-07-14 2000-01-25 Bando Chem Ind Ltd 原稿自動搬送装置用コンベヤベルト
JP3263840B2 (ja) * 1997-11-25 2002-03-11 有限会社三田機械 ベルトコンベア装置
JP2011529427A (ja) * 2008-07-28 2011-12-08 レイトラム,エル.エル.シー. 確実に駆動され、軌道を保つ平ベルトおよびコンベア
KR101495625B1 (ko) * 2012-09-18 2015-02-25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 전지용 극판 클리닝 장치
KR101557205B1 (ko) 2013-12-30 2015-10-05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평벨트 구동 사행방지 자동 텐셔너
KR101569937B1 (ko) * 2006-01-19 2015-11-17 데이코 유로페 에스.알.엘. 콘 유니코 소시오 톱니 벨트 및 타이밍 컨트롤 시스템
KR101713186B1 (ko) 2009-03-26 2017-03-07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평 벨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4380A (en) * 1976-10-27 1978-06-08 Leder & Co Ltd Longitudinal and lateral joints of carrying belt
JP3263840B2 (ja) * 1997-11-25 2002-03-11 有限会社三田機械 ベルトコンベア装置
JP2000025974A (ja) * 1998-07-14 2000-01-25 Bando Chem Ind Ltd 原稿自動搬送装置用コンベヤベルト
KR101569937B1 (ko) * 2006-01-19 2015-11-17 데이코 유로페 에스.알.엘. 콘 유니코 소시오 톱니 벨트 및 타이밍 컨트롤 시스템
JP2011529427A (ja) * 2008-07-28 2011-12-08 レイトラム,エル.エル.シー. 確実に駆動され、軌道を保つ平ベルトおよびコンベア
KR101713186B1 (ko) 2009-03-26 2017-03-07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평 벨트
KR101495625B1 (ko) * 2012-09-18 2015-02-25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 전지용 극판 클리닝 장치
KR101557205B1 (ko) 2013-12-30 2015-10-05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평벨트 구동 사행방지 자동 텐셔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3490A (zh) * 2021-08-31 2021-12-07 新兴铸管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更换宽皮带的方法
CN113753490B (zh) * 2021-08-31 2023-08-15 新兴铸管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更换宽皮带的方法
KR20240037552A (ko) 2022-09-15 2024-03-22 문희명 타이밍벨트 제조를 위한 연마 및 절단 가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991B1 (ko) 컨베이어용 하이브리드 벨트 및 그 제조방법
CA2646314C (en) Conveyor belt with attached strips of teeth
US20060260917A1 (en) Conveyor chain
WO2013157425A1 (ja) ベルトコンベア
EP0419323B1 (en) Spiral conveyor
US7137504B2 (en) Conveyor chain
JP6695091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及びパレット搬送方法
EP2404851B1 (en) Article sorting device
CA2513912C (en) Non-slip conveyo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23516532A (ja) 物品仕分けおよび搬送装置ならびに仕分け-搬送システム
US10766704B2 (en) Transport syste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ransport system
KR20090052424A (ko) 피치 가변형 멀티 핑거 로봇
CA2442512C (en) Belt comprising a woven fabric having an even-sided plural-wale twill weave
EP1982946B1 (en) Conveyor chain for travel way
US5564558A (en) High temperature conveyor assembly
KR101528186B1 (ko) 기판 캐리어를 운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7045401A (ja) シームレスベルト
CN219030653U (zh) 一种输送带
US6568525B2 (en) Vertical conveyor assembly with accumulating pallets
JPS61263507A (ja) 帯電防止搬送手段
CN107873074B (zh) 共成形传送带装置和方法
CN109715979A (zh) 弹性的牵引器件及其制造方法
KR20150010933A (ko) 벨트 컨베이어
JP6932601B2 (ja) 搬送装置
JP3923232B2 (ja) コンベヤ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