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590A - 직물용 인쇄 장치의 장력 변동 완화 장치 - Google Patents

직물용 인쇄 장치의 장력 변동 완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590A
KR20150010590A KR1020140079784A KR20140079784A KR20150010590A KR 20150010590 A KR20150010590 A KR 20150010590A KR 1020140079784 A KR1020140079784 A KR 1020140079784A KR 20140079784 A KR20140079784 A KR 20140079784A KR 20150010590 A KR20150010590 A KR 20150010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tension
printing
elastic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아키 하세가와
유타카 마츠야마
코지 야마무라
Original Assignee
로란드디지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란드디지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로란드디지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10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16Means for tensioning or winding the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8Printing on text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16Means for tensioning or winding the web
    • B41J15/165Means for tensioning or winding the web for tensioning continuous copy material by use of redirecting rollers or redirecting nonrevolving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1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weighted or spring-pressed movable bars or 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06C3/08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by frames or lik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50Surface of the elements in contact with the forwarded or guided material
    • B65H2404/56Flexible surface
    • B65H2404/563Elastic, supple built-up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50Surface of the elements in contact with the forwarded or guided material
    • B65H2404/56Flexible surface
    • B65H2404/563Elastic, supple built-up surface
    • B65H2404/5631Floating built-up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2Transversely-extending bars or tubes
    • B65H2404/621Transversely-extending bars or tubes with variable cross-section, e.g. 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9Other means designated for special purpose
    • B65H2404/694Non driven means for pressing the handled material on forwarding or guiding elements
    • B65H2404/6942Non driven means for pressing the handled material on forwarding or guiding elements in sliding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4Textile, fib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의 장력 변동을 완화하여 직물에 대한 인쇄 어긋남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장척(長尺)의 직물을 공급하는 직물 공급 장치와; 상기 직물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상기 직물에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기구와; 상기 직물 공급 장치와 상기 인쇄 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직물을 상기 인쇄 기구를 향해서 안내하는 가이드 장치와; 상기 인쇄 기구에 의해 인쇄가 수행된 상기 직물을 권취하는 직물 권취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직물을 상기 인쇄 기구로 간헐적으로 송급하여 상기 직물에 대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직물용 인쇄 장치의 장력 변동 완화 장치로서, 상기 직물 공급 장치와 상기 가이드 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직물의 폭 방향에 걸쳐서 연재(延在)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는 한편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상기 직물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보다 상기 직물측에 위치하는 한편 상기 직물과 당접(當接)하는 당접부를 갖는 장력 완화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직물용 인쇄 장치의 장력 변동 완화 장치{TENSION FLUCTUATION ALLEVIATING DEVICE FOR USE IN FABRIC PRINTING APPARATUS}
본 출원은 2013년 7월 1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 2013-149488 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편입된다.
본 발명은 직물용 인쇄 장치의 장력 변동 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척(長尺)의 인쇄 매체를 간헐적으로 송급하면서 그 인쇄 매체에 대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장척의 인쇄 매체가 감긴 롤 바디를 주체로 하는 직물 공급 장치와; 직물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인쇄 매체에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헤드를 포함하는 인쇄 기구와; 롤 바디로부터 공급된 인쇄 매체를 인쇄 기구를 향해서 안내하는 가이드 장치로서의 반송 롤러대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인쇄 장치는 반송 롤러대를 구성하는 반송 구동 롤러의 간헐적인 회전에 의해 인쇄 기구로 인쇄 매체를 간헐적으로 송급한다.
특허문헌 2에는 인쇄 매체를 공급하는 직물 공급 장치와; 직물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인쇄 매체에 인쇄를 수행하는 기록 헤드를 포함하는 인쇄 기구와; 직물 공급 장치와 인쇄 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인쇄 매체를 인쇄 기구를 향해서 안내하는 가이드 장치로서의 플래튼 롤러와; 인쇄 기구에서 인쇄가 수행된 인쇄 매체를 권취하는 권취 롤러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052379 호 특허문헌 2 : 일본공개특허공보 2009-090578 호
그런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인쇄 장치에서는 인쇄 매체의 진행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롤러는 권취 롤러뿐이다. 따라서 이 특허문헌 2의 인쇄 장치에서 인쇄 매체에 대하여 특허문헌 1과 같이 간헐적으로 인쇄를 수행하려고 한 경우에는 그 권취 롤러를 간헐적으로 구동하여 인쇄 기구보다 하류측에서 인쇄 매체를 소정량씩 간헐적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또, 특허문헌 2의 인쇄 장치는 권취 롤러를 구동하여 인쇄 매체를 잡아당김으로써 공급 롤러가 종동(從動)하여 인쇄 매체가 공급 롤러로부터 송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인쇄 매체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인쇄를 수행하는 경우, 공급 롤러는 회전 및 정지를 반복하게 된다.
그 경우, 구동되는 권취 롤러에 대하여 종동하는 공급 롤러는 회전 시 및 정지 시에 관성에 의한 동작 지연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인쇄 매체가 직물인 경우는 그 직물의 장력이 반복하여 변동하게 된다. 그리고 직물은 종이 등과는 달리 신축성을 가지므로 그 장력 변동에 의해 직물이 신축되고, 인쇄 기구에서의 인쇄에서 인쇄 어긋남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의 인쇄 장치에서는 신축성을 갖는 직물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인쇄를 수행할 때에 고정밀 인쇄를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용 인쇄 장치에서 직물의 장력 변동을 완화함으로써 인쇄 어긋남의 발생을 억제하고 고정밀 인쇄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력 변동 완화 장치는, 장척의 직물을 공급하는 직물 공급 장치와; 상기 직물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상기 직물에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기구와; 상기 직물 공급 장치와 상기 인쇄 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직물을 상기 인쇄 기구를 향해서 안내하는 가이드 장치와; 상기 인쇄 기구에 의해 인쇄가 수행된 상기 직물을 권취하는 직물 권취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직물을 상기 인쇄 기구로 간헐적으로 송급하여 상기 직물에 대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직물용 인쇄 장치의 장력 변동 완화 장치이다. 상기 장력 변동 완화 장치는, 상기 직물 공급 장치와 상기 가이드 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직물의 폭 방향에 걸쳐서 연재(延在)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는 한편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상기 직물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보다 상기 직물측에 위치하는 한편 상기 직물과 당접(當接)하는 당접부를 갖는 장력 완화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장력 완화 부재는 통상(筒狀)의 탄성재(彈性材)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장력 완화 부재의 탄성부는 폭 방향에 걸쳐서 일체로 형성되는지 아닌지를 불문하고 또, 당접부에 대해서도 폭 방향에 걸쳐서 일체로 형성되는지 아닌지를 불문한다. 단, 직물의 장력은 그 폭 방향에 걸쳐서 일정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일정하지 않는 경우라도 직물의 장력을 폭 방향에 걸쳐서 가능한 한 균등하게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와 상기 당접부는 일체화 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 중 적어도 상기 당접부와 연속되는 부분은 폭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당접부는 상기 탄성부의 분할된 각 부분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분 당접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부분 당접부는 폭 방향으로 간극 없이 배열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복수의 부분 당접부는 상호 폭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열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탄성부가 적어도 상기 부분에서 폭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 그 탄성부의 상기 부분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폭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지 아닌지는 불문한다. 그러나 탄성부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고 장력 변동 완화 장치의 제작에 필요한 노력을 경감하는 것을 고려한 경우, 상기 탄성부는 상호 폭 방향으로 배열되며 각각이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는 복수의 탄성재(彈性材)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력 완화 부재는 탄성부 및 당접부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직물의 장력 변동이 큰 경우를 고려하여 이하와 같이 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장력 완화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보조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상기 보조 탄성부의 상기 직물측 단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상기 당접부의 상기 직물측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짧다.
지지 부재의 지지 형태는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지지 부재의 양단부가 직물용 인쇄 장치의 지지 프레임 등에 의해 지지된다. 그 지지 프레임 등에 대한 지지 부재의 장착에 대해서는 그 장착 상태가 변경 불가능해도 되지만 탄성부의 직물에 대한 탄성을 변경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 장착 상태가 변경 가능해도 된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직물의 폭 방향과 평행한 축선 주위의 설치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직물의 폭 방향과 평행한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용 인쇄 장치에서 직물의 장력 변동이 완화되므로 인쇄 어긋남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고정밀 인쇄가 가능해진다.
도 1은 직물용 인쇄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배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a는 장력 변동 완화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상기 장력 변동 완화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장력 변동 완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a, 4b, 4c는 각각 직물의 장력이 정상인 경우, 낮은 경우, 최대인 경우의 상기 장력 변동 완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장력 변동 완화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상기 장력 변동 완화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6b는 설치 상태가 다른 상기 장력 변동 완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a는 장력 변동 완화 장치의 타 실시형태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이 장력 변동 완화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장력 변동 완화 장치의 타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장력 변동 완화 장치의 타 실시형태의 측면도이고 직물의 장력이 정상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9b는 직물의 장력이 큰 경우의 상기 장력 변동 완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c는 직물의 장력이 정상인 경우의 상기 장력 변동 완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장력 변동 완화 장치의 타 실시형태의 사시도이고, 도 10b는 이 장력 변동 완화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a, 11b, 11c 및 11d의 각각은 장력 변동 완화 장치의 타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력 변동 완화 장치(6)가 적용된 직물용 인쇄 장치(10)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그 직물용 인쇄 장치(10)를 구성하는 각 부의 배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하류측”은 직물(CL)의 진행 방향의 하류측을 가리키고, “상류측”은 직물(CL)의 진행 방향의 상류측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도 1의 부호 F는 직물(CL)의 송급 방향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직물용 인쇄 장치(이하, 단순히 “인쇄 장치”라고 한다, 10)는 인쇄 매체로서의 장척(長尺)의 직물(CL)을 공급하는 직물 공급 장치(1)와; 직물 공급 장치(1)로부터 공급된 직물(CL)에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기구(5)와; 직물 공급 장치(1)의 하류측(직물(CL)의 경로 중 직물 공급 장치(1)와 인쇄 기구(5)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직물 공급 장치(1)로부터 송급된 직물(CL)을 안내하고 인쇄 기구(5)를 향해서 전향시키는 가이드 장치로서의 서포트롤(4)과; 인쇄 기구(5)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한편 직물(CL)을 간헐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피드롤(3)과; 피드롤(3)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한편 인쇄가 수행된 직물(CL)을 권취하는 직물 권취 장치(2)를 구비한다.
직물(CL)은 직물 공급 장치(1)로부터 송급된 후, 서포트롤(4)에 감김으로써 전향되고 인쇄 기구(5)를 향해 안내된다. 직물(CL)은 인쇄 기구(5)에서 인쇄된 후, 피드롤(3)에 감김으로써 직물 권취 장치(2)를 향해서 전향되는 한편 피드롤(3)의 간헐적인 회전에 의해 진행 방향으로 송급되어 직물 권취 장치(2)에서 권취된다. 또한 각 부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직물 공급 장치(1)는 직물(CL)이 감긴 공급롤(1a)과; 직물(CL)을 공급롤(1a)로부터 인출하는 한편 하류측으로 송출하는 반송롤(1c)과; 공급롤(1a)과 반송롤(1c) 사이에 설치된 송출측 가이드롤(1b)을 구비한다. 송출측 가이드롤(1b)은 공급롤(1a)로부터 인출된 직물(CL)이 감기고, 반송롤(1c)을 향해서 직물(CL)을 안내한다. 이들 각 롤(1a, 1b, 1c)은 그 양단부에 형성된 축부(도시 생략)에서 각 롤(1a, 1b, 1c)의 축선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지지 프레임(도시 생략)에 의해 축 받침 등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롤(1c)은 직물(CL)을 적극적으로 송급하기 위해서 구동된다. 반송롤(1c)에는 기어열 등을 포함하는 구동 전달 기구(1d)를 개재하여 상기 양축부의 일방에 서보 모터인 송출 모터(M1)가 연결되어 있다. 반송롤(1c)은 송출 모터(M1)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한다.
서포트롤(4)은 직물 공급 장치(1)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인쇄 기구(5)를 향해 직물(CL)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서포트롤(4)은 직물 공급 장치(1)의 상방에 있고, 인쇄 기구(5)보다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서포트롤(4)은 직물 공급 장치(1)의 각 롤(1a, 1b, 1c)과 동일하게 그 양단부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서포트롤(4)은 직물 공급 장치(1)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송급된 직물(CL)이 감김으로써 직물(CL)을 인쇄 기구(5)를 향하도록 전향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포트롤(4)은 그 회전에 수반되는 직물(CL)의 상하 방향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이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단, 서포트롤(4)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피드롤(3)은 도시한 예에서는 직물 공급 장치(1)의 반송롤(1c)과 동일 직경의 롤이다. 상하 방향에 관하여 피드롤(3)의 상단(上端) 위치는 서포트롤(4)의 상단 위치와 일치한다. 따라서 직물(CL) 중 피드롤(3)과 서포트롤(4)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은 수평이 된다. 피드롤(3)은 그 양단부에 형성된 축부(도시 생략)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축 받침 등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피드롤(3)은 직물(CL)의 진행 방향으로의 간헐적인 반송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구동되는 것이다. 피드롤(3)에는 기어열 등을 포함하는 구동 전달 기구(3d)를 개재하여 상기 양축부의 일방에 서보 모터인 구동 모터(M3)가 연결되어 있다. 피드롤(3)은 구동 모터(M3)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한다.
직물 권취 장치(2)는 피드롤(3)의 하방에 배치되어 직물(CL)을 권취하는 권취롤(2b)과, 권취측 가이드롤(2a)을 구비한다. 권취측 가이드롤(2a)은 권취롤(2b)보다 상류측에 있고, 피드롤(3)의 주면(周面)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권취측 가이드롤(2a)은 피드롤(3)로부터 반송된 직물(CL)이 감기고, 권취롤(2b)로 직물(CL)을 안내한다. 그리고 이들 롤(2a, 2b)이 그 양단부에 형성된 축부(도시 생략)에서 축 받침 등을 개재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권취롤(2b)은 소정의 장력으로 직물(CL)을 권취하기 위해서 권취 직경(권취롤(2b)에 감겨져 있는 직물(CL)의 직경)에 따라서 회전 토크가 제어되어 구동되는 것이다. 권취롤(2b)에는 기어열 등을 포함하는 구동 전달 기구(2d)를 개재하여 상기 양축부의 일방에 토크 모터인 권취 모터(M2)가 연결되어 있다. 권취롤(2b)은 권취 모터(M2)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한다.
인쇄 기구(5)는 서포트롤(4)과 피드롤(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인쇄 기구(5)에는 직물(CL)의 상방에 배치되는 인쇄 헤드(5a)가 설치되어 있다. 인쇄 기구(5)는 인쇄 헤드(5a)를 포함하고 있다. 인쇄 헤드(5a)는 공지된 잉크젯식의 것이다. 인쇄 헤드(5a)가 직물(CL)의 폭 방향(도 1에서는 지면(紙面)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잉크를 분사함으로써 직물(CL)에 대하여 인쇄가 수행된다. 인쇄 헤드(5a)에는 사용되는 각 색의 잉크에 따른 노즐(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각 색의 잉크 카트리지(도시 생략)로부터 각 노즐에 공급된 잉크가 잉크 분사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각 노즐로부터 분사된다.
인쇄 장치(10)에서는 이하의 1) ~ 3) 순서로 인쇄가 수행된다. 이하의 순서에서는 송출 모터(M1) 및 구동 모터(M3)는 미리 설정된 속도 패턴에 따라서 구동되는 것으로 한다.
1) 직물(CL)이 정지한 상태(송출 모터(M1)와 구동 모터(M3)가 정지한 상태)에서 인쇄 헤드(5a)가 직물(CL)의 폭 방향으로 주행하여, 전후 방향의 소정의 인쇄 범위에 걸쳐서 직물(CL)에 대하여 인쇄를 수행한다. 또한 전후 방향이라는 것은 인쇄 장치(10)에서 직물 권취 장치(2)를 전(前), 직물 공급 장치(1)를 후(後)로 한 방향이다.
2) 인쇄 헤드(5a)에 의한 1 회의 인쇄 동작이 완료된 후, 구동 모터(M3)가 피드롤(3)을 구동한다. 이로써 피드롤(3)이 회전하여 직물(CL)의 반송 동작이 수행된다. 그와 동시에 송출 모터(M1)가 반송롤(1c)을 구동한다. 이로써 반송롤(1c)이 회전하여 인쇄 기구(5)를 향한 직물(CL)의 송급 동작이 수행된다.
3) 직물(CL)의 반송 동작이 완료될 때, 즉 구동 모터(M3)가 정지함으로써 피드롤(3)의 회전이 정지할 때, 직물(CL)의 송급 동작도 완료된다. 그 후, 다시 상기 1)의 인쇄 동작이 실행되고, 이후에 이들의 일련의 처리가 반복된다. 상기 동작을 간헐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송출 모터(M1) 및 구동 모터(M3)가 직물(CL)을 소정량씩 이동시키고, 이로써 인쇄 기구(5)에 대한 직물(CL)의 간헐적인 송급이 수행된다.
또, 권취 모터(M2)는 인쇄 완료 직물(CL)의 권취 시 장력이 일정해지도록 토크 제어된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인쇄 완료 직물(CL)을 권취하는 권취롤(2b)의 권취 직경에 따라서 권취 모터(M2)의 토크가 조정된다. 이와 같이 권취 모터(M2) 및 권취롤(2b)은 피드롤(3)로부터 송출된 직물(CL)을 소정의 장력으로 권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직물(CL)을 권취할 때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직물 공급 장치(1)와 서포트롤(4) 사이에는 장력 변동 완화 장치(6)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장력 변동 완화 장치(6)는 직물 공급 장치(1)의 반송롤(1c)과 서포트롤(4) 사이의 대략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 장력 변동 완화 장치(6)는 서포트롤(4)과 반송롤(1c) 사이의 직선적인 직물(CL)의 경로(가상 경로)에 대하여 전후 방향에 관하여 공급롤(1a)측(후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반송롤(1c)로부터 송급되는 직물(CL)은 상기 직선적인 경로보다 전후 방향에 관하여 공급롤(1a)측으로 편의(偏倚)된 경로로, 장력 변동 완화 장치(6)를 향한다. 이 직물(CL)은 장력 변동 완화 장치(6)를 경유하여 서포트롤(4)을 향하는 경로로 송급된다. 이하에서는 도 2a ~ 4c에 기초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장력 변동 완화 장치(6)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장력 변동 완화 장치(6)는 원통상의 지지 부재(7)와, 박판상의 금속제 탄성재(彈性材)를 통상(筒狀)으로 형성한 장력 완화 부재(8)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7)의 외주면에서의 장력 완화 부재(8)의 장착 위치에는, 장력 완화 부재(8)를 지지 부재(7)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볼트(12)가 삽입되는 암나사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장력 완화 부재(8)는 전술한 것과 같이 박판상의 금속제 탄성재를 통상으로 형성한 부재이다. 따라서 그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장력 완화 부재(8)는 박판상 금속의 재질이나 두께, 곡률을 변경함으로써 탄성이 변하는 것이다. 또, 장력 완화 부재(8)는 그 내경이 지지 부재(7)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중공부(中空部), 8z)에 지지 부재(7)를 삽입 통과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장력 완화 부재(8)에는 그 주면(周面)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장착 볼트(12)의 수나사부(미도시)를 삽입하기 위한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력 완화 부재(8)의 중공부(8z)에 지지 부재(7)가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상기 홀에 장착 볼트(12)의 수나사부가 삽입 통과되는 한편 그 장착 볼트(12)의 수나사부가 지지 부재(7)의 상기 암나사홀에 삽입된다. 이로써 장력 완화 부재(8)는 장력 완화 부재(8)의 내주면 일부를 지지 부재(7)의 외주면에 당접(當接)시킨 상태에서 지지 부재(7)에 대하여 장착된다. 장력 완화 부재(8)는 지지 부재(7)에 대하여 편심(偏心)된 상태가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착 볼트(12)의 두부(頭部, 12a)와 장력 완화 부재(8) 사이에, 원호상의 단면을 갖는 지지구(15)가 개재되어 있다. 장력 완화 부재(8)는, 지지 부재(7)의 외주면과 지지구(15)의 내측면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 지지 부재(7)에 대하여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지지구(15)에는 장착 볼트(12)의 수나사부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장력 완화 부재(8)를 지지 부재(7)에 장착할 때에는 우선 지지구(15)의 관통홀에 장착 볼트(12)의 수나사부를 삽입한 후, 장착 볼트(12)의 수나사부를 장력 완화 부재(8)의 상기 홀에 삽입한다. 그 상태에서 장착 볼트(12)의 수나사부를 지지 부재(7)의 상기 암나사홀에 삽입한다. 이로써 장력 완화 부재(8)는 지지 부재(7)의 외주면과 지지구(15) 사이에 끼인 상태로 지지 부재(7)에 고정된다.
장력 완화 부재(8)의 길이(직물(CL)의 폭 방향의 치수, 즉 장력 완화 부재(8)의 연재(延在) 방향의 치수)는 지지 부재(7)의 길이보다 짧다. 장력 완화 부재(8)는 그 연재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지지 부재(7)의 단부가 돌출되는 상태로 지지 부재(7)에 대하여 장착된다. 단, 장력 완화 부재(8)의 길이는 직물(CL)의 폭 방향의 치수보다 길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직물(CL)의 폭 방향의 치수를 고려하여 장력 완화 부재(8) 및 지지 부재(7)의 길이가 결정된다.
장력 완화 부재(8)는 상기한 박판상의 금속제 탄성재만으로 구성되어 있고, 통상의 탄성재가 직물(CL)에 직접 당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통상의 탄성재에서 직물(CL)과 당접하는 부분이 당접부(81)에 상당하고, 당접부(81) 이외의 부분(당접부(81)보다 지지 부재(7)측 부분)이 탄성부(82)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력 완화 부재(8)는 당접부(81)와 탄성부(82)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장력 완화 부재(8)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다. 따라서 당접부(81)의 양단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서 탄성부(82)가 각각 연장되는 구성, 즉 1 개의 당접부(81)에 대하여 한 쌍의 탄성부(82, 82)가 존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당접부(81) 및 탄성부(82)의 원주 방향의 범위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우선 직물(CL)에 장력 완화 부재(8)가 당접하는 범위는 직물(CL)의 장력 변동에 수반되는 장력 완화 부재(8)의 탄성 변형에 따라 변화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당접부(81)와 탄성부(82)가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장력 완화 부재(8)가 가장 크게 탄성 변형된 상태(도 4c의 상태)에서 직물(CL)에 당접하는 범위를 당접부(81)로 하고 또, 상기 상태에서의 직물(CL)에 당접하는 부분을 제외한 범위를 탄성부(82)로 한다. 또한 장력 완화 부재(8)는 전술한 것과 같이 지지 부재(7)에 대하여 편심된 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후술하는 것과 같이 장력 완화 부재(8)의 장착 상태에 따라서는 직물(CL)에 대한 장력 완화 부재(8)의 당접 위치가 상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장력 완화 부재(8)의 당접부(81)의 위치는 장력 완화 부재(8)의 장착 상태에 따라서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장력 완화 부재(8)는 길이 방향(즉, 직물(CL)의 폭 방향. 이하, “폭 방향”이라고 한다)에 걸쳐서 복수로 분할된 것으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장력 완화 부재(8)는 복수의 통상 부재(8a)를 폭 방향으로 병설하여 구성되어 있다. 통상 부재(8a)는 탄성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통상 부재(8a)의 폭 방향 치수(폭 치수)는 장력 완화 부재(8)의 전체 폭 치수보다 작다. 통상 부재(8a)의 개수를 n(n은 2 이상의 정수)이라고 하면 통상 부재(8a)의 폭 치수는 장력 완화 부재(8)의 전체 폭 치수의 1/n 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통상 부재(8a)의 직경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의 장력 완화 부재(8)에서는 각 통상 부재(8a)에서 직물(CL)과 당접하는 부분(이하, “부분 당접부(81a)”라고 한다)을 조합함으로써 장력 완화 부재(8)의 당접부(81)가 구성되어 있다. 각 통상 부재(8a)의 부분 당접부(81a)를 제외한 부분(이하, “부분 탄성부(82a)”라고 한다)을 조합함으로써 장력 완화 부재(8)의 탄성부(82)가 구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형태의 장력 완화 부재(8)의 당접부(81) 및 탄성부(82)는 상기의 통상 부재(8a) 단위로 분할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통상 부재(8a)는 각각이 독립적으로 지지 부재(7)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통상 부재(8a)에는 2 이상의 상기 홀이 형성되어 있고 각 통상 부재(8a)는 그들 홀에 삽입되는 상기 장착 볼트(12)에 의해 지지 부재(7)에 고정된다.
도 5 또는 도 6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인쇄 장치(10)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a, 10a, 도 5에서는 편측만 도시)을 구비한다.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a, 10a)은 직물(CL)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7)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a, 10a) 사이에 걸치기 가능한 길이를 갖는다. 장력 완화 부재(8)는 그 지지 부재(7)를 개재하여 한 쌍의 지지 프레임(10a, 10a) 사이에 걸쳐진 상태에서 양 지지 프레임(10a, 10a)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각 지지 프레임(10a)은 지지 부재(7)를 수용하는 형상을 가지며 지지 부재(7)를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11)과 지지 부재(7)의 회전 및 상하 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13)를 구비하고 있다.
각 지지 브래킷(11)은 L자형 형상을 갖는 판상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지지 브래킷(11)은 상방을 향해서 연재하는 부분(이하, “상방 연재부(11a)”라고 한다)과, 상방 연재부(11a)의 하부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부분, 바꿔 말하면 대응하는 지지 프레임(10a)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부분(이하, “후방 연재부(11b)”라고 한다)을 갖는다. 각 지지 브래킷(11)은 지지 프레임(10a)과 폭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방 연재부(11a)는 지지 프레임(10a)에 대하여 볼트(11z)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후방 연재부(11b)는 지지 부재(7)를 수용 가능한, 원호상으로 오목한 받침부(11c)를 가지고 있다. 지지 부재(7)의 양단부의 각각이 각 지지 브래킷(11)의 받침부(11c)에 수용되어 있다. 지지 부재(7)의 양단부의 각각이 지지 브래킷(11)을 개재하여 지지 프레임(10a)에 지지되어 있다.
또, 각 지지 브래킷(11)의 상방 연재부(11a)의 상단에는, 후방을 향해서 연재하는 평판상의 규제 부재(13)가 장착되어 있다. 각 규제 부재(13)는 지지 브래킷(11)의 받침부(11c)에 수용된 지지 부재(7)의 회전 및 상하 방향의 변위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각 규제 부재(13)는 지지 브래킷(11)에 장착되어 있다. 각 규제 부재(13)는 상하 방향에 관하여 각 규제 부재(13)의 하면이 지지 부재(7)의 상단에 당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7)는 지지 브래킷(11)의 원호상의 받침부(11c)에 수용되는 한편 상단에 규제 부재(13)가 당접함으로써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변위 불가능한 상태로 지지 브래킷(11)에 지지된다.
각 규제 부재(13)는 고정 부재(14)에 의해 지지 브래킷(11)에 대하여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고정 부재(14)는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부(미도시)와, 상단에 설치된 핸들인 조작부(14a)를 갖는다. 한편 각 규제 부재(13)에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 지지 브래킷(11)의 상방 연재부(11a)의 상면에는 암나사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규제 부재(13)는 고정 부재(14)의 나사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한편 이 나사부가 지지 브래킷(11)의 암나사홀에 삽입됨으로써 지지 브래킷(11)에 대하여 고정된다.
또한 지지 브래킷(11)의 받침부(11c)의 하단으로부터 상방 연재부(11a)의 상단까지의 치수는 지지 부재(7)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부(14a)를 조작함으로써 고정 부재(14)를 회전시켜서 조임으로써 규제 부재(13)가 지지 부재(7)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받침부(11c)를 향해서 압압(押壓)력을 작용시킨 상태가 된다. 이 때, 지지 부재(7)는 규제 부재(13)와 받침부(11c)에 의해 끼여 회전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바꿔 말하면 지지 부재(7)는 그 연재 방향과 평행한 축선 주위로 회전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지지 부재(7)는 끼인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부재(14)를 조이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규제 부재(13)가 지지 부재(7)에 대하여 압압력을 작용시키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로써 지지 부재(7)가 지지 브래킷(11)의 받침부(11c)와 규제 부재(13) 사이에 끼인 상태가 해제된다. 그 상태에서는 지지 부재(7)는 지지 브래킷(11)의 받침부(11c) 내에서 회전이 자유로워진다. 바꿔 말하면 지재 부재(7)는 그 연재 방향과 평행한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지지 부재(7)를 회전시켜 지지 부재(7)의 장착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장력 완화 부재(8)의 원주 방향에 관한 직물(CL)과의 당접 위치, 즉 당접부(81)의 위치가 변경되고 그에 수반하여 탄성부(82)의 위치도 변경된다.
이하에서는 도 4a ~ 4c에 기초하여 본 실시형태의 인쇄 장치(10)의 장력 변동 완화 장치(6)의 작용을, 장력 변동 완화 장치(6)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인쇄 장치(10)에서는 반송롤(1c) 및 피드롤(3)이 정지한 상태에서 인쇄 기구(5)에서 인쇄 헤드(5a)에 의한 인쇄가 수행되고 그 후, 반송롤(1c)을 회전시키는 송출 모터(M1)와, 피드롤(3)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M3)를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인쇄 기구(5)에 대한 직물(CL)의 간헐적인 송급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인쇄 장치(10)에서는 반송롤(1c)을 구동하여 직물(CL)을 송급하는 것이지만 제어상 응답 지연이나 공급롤(1a)의 중량에 따른 관성의 영향으로 직물(CL)을 잡아당기는 피드롤(3)의 회전 개시에 대하여 반송롤(1c)의 회전 개시가 지연되는 경우가 있다.
인쇄 장치(10)가 장력 변동 완화 장치(6)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는 반송롤(1c)의 회전 개시 지연에 의해, 반송롤(1c)로부터 피드롤(3)에 걸친 경로 중 직물(CL)의 장력이 일시적으로 크게 상승한다. 특히 인쇄 장치(10)에서는 직물 공급 장치(1)로부터 송급되는 직물(CL)을, 서포트롤(4)에 감음으로써 인쇄 기구(5)를 향해서 전향시키고 있다. 따라서 장력 상승에 기인하여 직물(CL)과 서포트롤(4)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한다. 이로써 직물(CL)이 서포트롤(4) 상을 접동(摺動)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어, 인쇄 기구(5)에서의 직물(CL)의 장력이 높아진다. 그리고 그것이 원인으로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 서술한 것과 같이 직물(CL)에 신장이 발생하여 인쇄 어긋남이 발생한다.
그에 반해서 인쇄 장치(10)가 장력 변동 완화 장치(6)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는 장력 변동 완화 장치(6)의 장력 완화 부재(8)에 의해 직물(CL)의 장력이 탄성적으로 수용된다(도 4a 참조). 따라서 상기와 같은 직물(CL)의 장력 상승에 수반하여 장력 완화 부재(8)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그 장력 변동을 흡수할 수 있다(도 4c 참조).
보다 상세하게는 장력 변동 완화 장치(6)에서는 직물(CL)의 장력에 의해서 직물(CL)이 장력 완화 부재(8)에 작용시키는 압압력과, 장력 완화 부재(8)의 탄성부(82)의 탄성력이 균형 잡힌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직물(CL)의 장력이 높아지려고 하면 그에 따라 상기 압압력이 높아지려고 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와 같이 균형 잡힌 상태로부터 장력 완화 부재(8)의 당접부(81)가 보다 큰 압압력으로 직물(CL)에 의해 눌리고 탄성부(82)가 탄성 변형된다. 이로써 탄성부(82)의 탄성 변형량만큼 당접부(81)가 변위된다. 그 결과로서 반송롤(1c)과 서포트롤(4) 사이의 직물(CL)의 경로 길이가 짧아진다. 경로 길이가 짧아짐에 따른 이완 작용에 의해 직물(CL)의 장력 상승이 완화된다.
따라서 전술한 것과 같은 반송롤(1c)의 동작 지연이 발생해도 그에 기인하는 직물(CL)의 장력 상승이 억제되고, 그 장력 상승에 의한 직물(CL)의 신장에 기인하는 인쇄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원인으로 직물(CL)의 장력이 낮아진 경우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장력 변동 완화 장치(6)의 당접부(81)가 후 방향으로 변위된다. 즉, 장력 완화 부재(8)는 직물(CL)의 경로 길이를 길게 하도록 탄성 변형된다(도 4b 참조). 이로써 직물(CL)의 장력 저하가 완화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장력 변동 완화 장치(6)에서는 장력 완화 부재(8)의 탄성부(82) 및 당접부(81)는 폭 방향에서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각 부분 탄성부(82a)는 인접하는 부분 탄성부(82a)와는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직물(CL)의 장력이 폭 방향에서 일정하지 않은 경우, 폭 방향의 각 부분의 직물(CL) 장력에 따라서 각 부분 탄성부(82a)가 직물(CL)의 장력을 탄성적으로 수용한다. 이러한 장력 변동에 대하여 각 부분 탄성부(82a)가 독립적으로 대응하여 직물(CL)의 폭 방향의 장력을 대략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장력 완화 부재(8)는 폭 치수가 짧은 복수의 통상 부재(8a)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장력 완화 부재(8)는 직물(CL)의 폭 치수에 상당하는 길이를 갖는 단일 통상 부재로 구성되는 장력 완화 부재(8)에 비해, 장력 변동 완화 장치(6)의 제작 시 취급이 용이하고 제작에 필요한 노력이 경감된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의 장력 변동 완화 장치(6)에서는 지지 부재(7)를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키고 지지 브래킷(11)에 대한 지지 부재(7)의 장착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장력 완화 부재(8)의 원주 방향에 관한 당접부(81) 및 탄성부(82)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장력 완화 부재(8)의 원주 방향에 관한 당접부(81)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장력 완화 부재(8)의 지지 부재(7)에 대한 장착 위치와 당접부(81)의 위치 관계가 변화된다. 그 결과로서 탄성부(82)의 길이(즉, 장력 완화 부재(8)의 상기 장착 위치로부터 당접부(81)측의 단부까지의 원주 방향의 거리)가 변화된다. 그렇게 탄성부(82)의 길이가 변화됨으로써 직물(CL)의 장력에 대한 장력 완화 부재(8)의 탄성 변형량(즉, 당접부(81)의 지지 부재(7)측으로의 변위량)이 변화된다.
도 6a는 그 일례로서 장착 볼트(12)가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지지 부재(7)가 지지 브래킷(11)에 지지된 장착 상태를 나타낸다. 도 6b는 전술한 것과 같은 장착 상태의 변경에 의해 장착 볼트(12)가 하방을 향하도록 하여 지지 부재(7)가 지지 브래킷(11)에 지지된 장착 상태를 나타낸다. 도 6a의 부호 Fr은 전방을 나타내고 도 6b의 부호 Dn은 하방을 나타낸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도 6a에 도시한 장착 볼트(12)를 전방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장력 완화 부재(8)의 원주 방향에 관한 장착 볼트(12)의 위치와는 정반대 위치에서, 직물(CL)이 장력 완화 부재(8)와 당접한다. 즉, 도 6a의 상태에서는 장착 볼트(12)의 위치와는 전후 방향에서 대칭적인 위치에, 당접부(81)의 원주 방향의 중심이 위치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한 장착 상태에서는 한 쌍의 탄성부(82, 82)의 각각의 상기 길이는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양탄성부(82, 82)는 거의 동일한 탄성을 갖고 직물(CL)의 장력 변화에 대한 양탄성부(82, 82)의 탄성 변형량은 거의 동일해진다.
한편 도 6b에 도시한 장착 상태에서는 장력 완화 부재(8)의 원주 방향에 관한 당접부(81)의 위치는 도 6a의 장착 상태와는 달리, 원주 방향의 일방측에서 장착 볼트(12) 위치에 접근한 위치가 된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한 장착 상태와는 달리, 양탄성부(82, 82)의 전후 길이가 다르다. 바꿔 말하면 도시한 예의 경우, 한 쌍의 탄성부(82, 82)의 일방(도시한 예에서는 당접부(81)의 하측 탄성부(82))의 전후 길이가 도 6a에 도시한 것보다 짧고 상기 일방 탄성부(82)의 탄성이 도 6a에 도시한 장착 상태일 때보다 커진다. 그 결과로서 직물(CL)의 장력을 받았을 때의 당접부(81)의 지지 부재(7)측으로의 변위량은, 이 탄성이 큰 탄성부(82)의 영향에 의해 작아진다. 직물(CL)의 장력에 의해 직물(CL)로부터 동일한 힘을 받은 경우, 장력 완화 부재(8)의 전체 탄성 변형량은 도 6b에 도시한 장착 상태일 때가 도 6a에 도시한 장착 상태일 때보다 작아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장력 변동 완화 장치(6)에서는 전술한 장착 상태의 변경에 의해 탄성부(82)의 탄성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신축량이 다른 복수 종류의 직물(CL)이나 동일한 종류의 직물(CL)이라도 다른 장력 상태에서 직물(CL)에 인쇄를 실시하는 경우 등에 대하여 동일한 장력 변동 완화 장치(6)로 대응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와 같은 형태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장력 완화 부재(8)는 탄성부(82) 및 당접부(81)의 양방이 폭 방향으로 복수 분할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탄성부(82) 및 당접부(81)는 각각 독립된 복수의 부분 탄성부(82a) 및 부분 당접부(81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장력 완화 부재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음과 같은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장력 완화 부재는 도 7a 및 7b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7a 및 7b에 도시한 예에서는 당접부(81)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복수의 부분 당접부(81a)에 의해 구성된다. 탄성부(82)는 전체 부분 당접부(81a)에 연속되도록 하여 당접부(81)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탄성재를 통상으로 하여 장력 완화 부재(8)를 구성한다. 그 탄성재는 장력 완화 부재(8)로서 요구되는 폭 치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그 탄성재에 대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서 당접부(81)에 상당하는 범위보다 약간 큰 범위에 걸쳐서 슬릿(slit, 8s)이 형성되어 있다. 당접부(81)는 폭 방향에 관하여 복수로 분할된 구성, 즉 복수의 부분 당접부(81a)를 갖는 구성을 구비하지만, 탄성부(82)는 당접부(81)의 근방만 분할되고 그 이외의 부분이 일체화된 구성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이어도 장력 완화 부재는 부분적으로 독립하여 장력 변동에 대응하기 때문에 직물(CL)의 폭 방향의 장력을 대략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탄성부(82)를 부분적으로 분할하는 구성은 상기와 같이 당접부(81)의 근방만을 분할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지지 부재(7)에 대한 장착 위치로부터 당접부(81)에 걸치는 범위에서 적절히 분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장력 완화 부재는 상기 실시형태와 상기 도 7a 및 7b의 예와 같이 폭 방향에 관하여 당접부(81)가 복수로 분할되는 한편 탄성부(82)가 그 원주 방향의 범위(지지 부재(7)에 대한 장착 위치로부터 당접부(81)에 걸친 범위)의 적어도 일부에서 분할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당접부(81) 및 탄성부(82)가 폭 방향에 걸쳐서 일체로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폭 방향에 관하여 당접부(81) 및 탄성부(82)가 복수로 분할되는 경우, 즉 장력 완화 부재가 복수의 통상 부재(8a)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 그 복수의 통상 부재(8a)는 부분 당접부(81a) 및 부분 탄성부(82a)가 폭 방향에 걸쳐서 간극 없이 연속되도록 구성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인접하는 통상 부재(8a)가 폭 방향에서 이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런데 직물을 간헐적으로 송급할 때에 직물의 장력 변동은 항상 일정한 것은 아니고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직물의 장력 변동의 원인으로서 공급롤의 동작에 수반되는 관성의 영향이 생각되는데 공급롤에 감긴 직물이 소비되는 것에 수반하여 직물을 포함하는 공급롤의 중량이 변화되기 때문에 그 관성이 변화되고, 그에 수반하여 장력의 변동 폭이 변화되는 것이 생각된다. 또, 그러한 관성의 영향에 제한되지 않고 기계적인 문제에 의해 일시적으로 공급롤의 동작이 변화되고, 일시적으로 통상과 다른, 큰 장력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도 생각된다.
통상, 큰 장력 변동이 상정되는 경우에는 큰 장력 변동에 의해 탄성부가 한계까지 탄성 변형되어서 장력 변동이 완화되지 않는 상태가 되지 않도록 탄성부를 큰 탄성을 갖는 탄성재로 형성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그 경우, 탄성부의 탄성이 크기 때문에 작은 장력 변동에는 대응할 수 없어 변동 폭이 작은 장력 변동이 완화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한편 작은 장력 변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탄성부를 작은 탄성의 탄성재로 형성하면 상기와 같이 큰 변동 폭으로 장력이 변동된 경우, 그 장력 변동을 완화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런 이유로 직물의 장력 변동이 어느 정도 이상 커졌을 때에 직물의 장력 작용을 수용하는 보조 탄성부를 설치함으로써 장력의 변동 폭이 작을 때에는 탄성부만으로 장력 변동을 완화하고, 장력의 변동 폭이 커져서 탄성부의 탄성 변형이 커지면 보조 탄성부가 직물의 장력 작용을 수용하여 탄성 변형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9a ~ 9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실시형태의 장력 완화 부재(8)에 상당하는 구성(탄성부(82) 및 당접부(81)로 구성되는 통상의 탄성재. 이하 “외측 탄성체(8A)”라고 한다)에 더하여, 외측 탄성체(8A)의 내측에서 지지 부재(7)에 지지되며 당접부(81)보다 직물(CL)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 보조 탄성부(8B)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9a ~ 9c의 예의 구성은, 상세하게는 이하와 같다.
보조 탄성부(8B)는 외측 탄성체(8A)와 동일하게 탄성재를 통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 예에서 외측 탄성체(8A)는 상기 실시형태의 장력 완화 부재(8)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외측 탄성체(8A)는 폭 방향으로 분할되고 폭 방향에 걸쳐서 병설되는 복수의 통상 부재(8a)로 구성되어 있다.
보조 탄성부(8B)는 외측 탄성체(8A)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조 탄성부(8B)의 외경은 외측 탄성체(8A)의 내경보다 작다. 보조 탄성부(8B)는 폭 방향에 관해서는 외측 탄성체(8A)와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외측 탄성체(8A)와 동일하게 폭 방향에서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즉, 보조 탄성부(8B)는 복수의 분할체(8b)를 폭 방향으로 병설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 탄성부(8B)의 각 분할체(8b)의 폭 방향의 치수는 외측 탄성체(8A)의 각 통상 부재(8a)의 폭 방향의 치수와 동일하다. 보조 탄성부(8B)의 각 분할체(8b)는 외측 탄성체(8A)의 각 통상 부재(8a)의 내측(즉, 중공부(8z)내)에 배치되어 있다. 각 분할체(8b)는 각 통상 부재(8a)와 동일한 장착 양태에서 지지 부재(7)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다. 각 분할체(8b) 및 각 통상 부재(8a)는 지지 부재(7)의 공통된 장착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외측 탄성체(8A)의 내측에 보조 탄성부(8B)가 배치되고, 그 보조 탄성부(8B)의 내측에 지지 부재(7)가 배치되며, 이들 외측 탄성체(8A)와 보조 탄성부(8B)와 지지 부재(7)가 서로 중첩되고 그 중첩 부분이 그 외측에 배치한 지지구(15)를 개재하여 장착 볼트(12)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보조 탄성부(8B)는 폭 방향에 관하여 상기 각 분할체(8b)가 외측 탄성체(8A)의 통상 부재(8a)와 폭 방향의 위치를 맞춘 배치가 되도록 지지 부재(7)에 장착된다. 그 결과로서 보조 탄성부(8B)는 외측 탄성체(8A)와 동일하게 지지 부재(7)에 대하여 편심되어 있다. 또, 보조 탄성부(8B)는 외측 탄성체(8A)보다 작은 직경이기 때문에 지지 부재(7)부터 보조 탄성부(8B)의 직물(CL)측 단부까지의 거리(L2)가, 지지 부재(7)부터 외측 탄성체(8A)의 직물(CL)측 단부(상세하게는 당접부(81)의 직물(CL)측 단부)까지의 거리(L1)보다 짧다. 따라서 보조 탄성부(8B)는 당접부(81)보다 직물(CL)로부터 이격된다(도 9a 참조).
따라서 이 구성에 따르면 직물(CL)의 장력 변동이 어느 정도 이상으로 커져서 외측 탄성체(8A)가 크게 탄성 변형된 경우에 외측 탄성체(8A)의 내주면이 보조 탄성부(8B)의 외주면에 당접하고, 외측 탄성체(8A)와 보조 탄성부(8B)가 직물(CL)의 장력을 받는다(도 9b 참조). 장력의 변동 폭이 작을 때에는 외측 탄성체(8A)의 탄성부(82)의 탄성만으로 장력 변동을 완화한다. 장력의 변동 폭이 클 때는 탄성부(82)의 탄성과 보조 탄성부(8B)의 탄성을 합친 탄성에 의해 직물(CL)의 장력 변동을 완화한다. 이로써 외측 탄성체(8A)만으로 된 구성에 비해 인쇄 과정에서 직물(CL)의 장력의 보다 큰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보조 탄성부(8B)를 구비하는 장력 완화 부재(8)는 도 9a ~ 9c의 예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외측 탄성체(8A)가 폭 방향으로 분할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외측 탄성체(8A)가 폭 방향에 걸쳐서 일체로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보조 탄성부(8B)는 도 9a ~ 9c의 예와 같이 폭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어도 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폭 방향에 걸쳐서 일체로 구성된 것이어도 된다.
또, 장력 완화 부재가 보조 탄성부를 갖는 경우, 장력 완화 부재는 상기한 도 9a ~ 9c의 예와 같이 보조 탄성부(8B)가 외측 탄성체(8A)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도 10a 및 10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외측 탄성체(8A)와 보조 탄성부(8B)가 폭 방향에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어도 된다.
도 10a 및 10b에 도시한 예에서는 외측 탄성체(8A)는 폭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통상 부재(8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통상 부재(8a)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보조 탄성부(8B)는 폭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체(8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분할체(8b)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외측 탄성체(8A)의 통상 부재(8a)의 간극은 보조 탄성부(8B)의 분할체(8b)의 폭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외측 탄성체(8A)의 각 통상 부재(8a)는 보조 탄성부(8B)의 인접하는 분할체(8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a 및 10b의 예에서의 장력 완화 부재(8)는 외측 탄성체(8A)를 구성하는 복수의 통상 부재(8a)와, 보조 탄성부(8B)를 구성하는 복수의 분할체(8b)가 폭 방향에 관하여 교대로 배치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0a 및 10b의 예의 장력 완화 부재(8)에서도 도 9a ~ 9c의 예와 동일하게 장력의 변동 폭이 작을 때에는 외측 탄성체(8A)의 탄성부(82), 즉 통상 부재(8a)의 부분 탄성부(82a)의 탄성만으로 장력 변동을 완화한다. 장력의 변동 폭이 클 때는 외측 탄성체(8A)의 탄성부(82)의 탄성과 보조 탄성부(8B)의 탄성을 합친 탄성에 의해 직물(CL)의 장력 변동을 완화한다. 따라서 도 10a 및 10b의 예에서도 도 9a ~ 9c의 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예에서는 장력 완화 부재는 모두 탄성부와 당접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으로 일체 형성된 것)이지만 장력 완화 부재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장력 완화 부재는 탄성부와 당접부가 별개이고, 탄성부의 직물측 단부(지지 부재측과 반대측 단부)에 당접부가 장착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탄성재를 통상으로 형성하여 탄성부로 하고, 그 통상의 탄성부의 외주면에, 당접부가 되는 다른 부재를 장착해도 된다. 또, 탄성부와 당접부를 별개로 하는 경우로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탄성부 및 당접부를 폭 방향으로 분할하는 경우, 분할된 탄성부 및 당접부의 각각의 폭 방향의 치수는 동일할 필요는 없고 일방의 폭 치수가 타방의 폭 치수보다 작아도 된다.
더욱이 장력 완화 부재는 이상의 예와 같이 통상으로 형성한 탄성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탄성부로 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도 11a ~ 11d에 도시한 것이어도 된다. 상세하게는 이하와 같다.
상기 실시형태의 장력 완화 부재(8)는 단면 형상이 원형이고 그 원주 방향의 일부를 차지하는 당접부(81)의 원주 방향 양측에 탄성부(82)가 위치하는 것이다. 즉, 상기 실시형태의 장력 완화 부재(8)는 한 쌍의 탄성부(82, 82)를 갖는 것이다. 이를 대신하여 한 쌍의 탄성부(82, 82) 중 일방을 생략하고 도 11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원주 방향의 당접부(81)의 일단측에만 탄성부(82)가 연속되는 구성, 바꿔 말하면 전체적으로 단면이 C자상이 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전술한 것과 같이 탄성부(82)와 당접부(81)가 별개로 구성되는 경우, 장력 완화 부재(8)는 도 11b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11b에 도시한 예에서는 측방에서 볼 때, 판상의 탄성부(82)는 지지 부재(7)측으로부터 직물(CL)측을 향해서 연재하고 있다. 탄성부(82)는 직물(CL)의 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탄성부(82)의 직물(CL)측 단부에는 직물(CL)의 경로를 따르도록(즉, 후방을 향해서 원호상으로 팽창하도록) 연재하는 판상의 당접부(81)가 장착되어 있다.
지지 부재(7)측으로부터 직물(CL)측을 향해서 연재하며 직물(CL)의 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재하는 탄성부(82)는, 도 11b에 도시한 판상의 탄성재를 대신하여 도 11c에 도시한 것과 같은 코일 나사 등의 나사 부재여도 된다.
또, 장력 완화 부재(8)는 통상으로 제한되지 않고 도 11d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단면이 U자형인 탄성재여도 된다. 이 경우, 단면이 U자형인 장력 완화 부재(8)의 양단부를 지지 부재(7)에 각각 장착 볼트(12)로 고정해도 된다.
이상의 도 11a, 11b, 11c 및 11d의 예에 대해서도 장력 완화 부재(8)는 폭 방향으로 복수 분할된 것이어도 되고, 폭 방향에 걸쳐서 일체로 구성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장력 완화 부재(8)의 장착 상태를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경우, 지재 부재(7)는 원통상으로 제한되지 않고, 도 11b, 11c 및 11d에 도시한 것과 같은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각재(角材) 혹은 단면 형상이 다각형인 봉재(棒材)여도 된다.
장력 변동 완화 장치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10)는 상기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직물(CL)을 간헐적으로 인쇄 기구(5)에 송급하는 다른 구성을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직물 공급 장치(1)에서 직물(CL)이 감긴 공급롤(1a)과는 별도의 반송롤(1c)을 구동하지만 이를 대신하여 공급롤(1a)을 송출 모터(M1)로 구동하여 회전시켜도 된다. 이 경우, 반송롤(1c) 및 송출측 가이드롤(1b)을 생략 가능하다.
또, 송출 모터(M1)를 생략하는 한편 반송롤(1c)을 생략하고 피드롤(3)에 의한 직물(CL)의 반송 동작에 수반하여 공급롤(1a)이 종동하도록 해도 된다. 더욱이 권취롤(2b)만 구동되어 그 권취롤(2b)에 의한 권취에 수반하여 직물(CL)이 진행되고, 공급롤(1a)이 종동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권취롤(2b)은 간헐적으로 구동된다. 이 경우, 피드롤(3)은 직물(CL)에 반송 동작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지 않고 단순히 직물(CL)을 안내하는 부재가 된다. 따라서 피드롤(3)은 회전이 불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의 변경 가능하다.
1 : 직물 공급 장치 2 : 직물 권취 장치
4 : 가이드 장치 5 : 인쇄 기구
6 : 장력 변동 완화 장치 7 : 지지 부재
8 : 장력 완화 부재 81 : 당접부
82 : 탄성부 CL : 직물
10 : 직물용 인쇄 장치

Claims (9)

  1. 장척(長尺)의 직물을 공급하는 직물 공급 장치와; 상기 직물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상기 직물에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기구와; 상기 직물 공급 장치와 상기 인쇄 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직물을 상기 인쇄 기구를 향해서 안내하는 가이드 장치와; 상기 인쇄 기구에 의해 인쇄가 수행된 상기 직물을 권취하는 직물 권취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직물을 상기 인쇄 기구로 간헐적으로 송급하여 상기 직물에 대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직물용 인쇄 장치의 장력 변동 완화 장치로서,
    상기 직물 공급 장치와 상기 가이드 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직물의 폭 방향에 걸쳐서 연재(延在)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는 한편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상기 직물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보다 상기 직물측에 위치하는 한편 상기 직물과 당접(當接)하는 당접부를 갖는 장력 완화 부재를 구비하는 장력 변동 완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완화 부재는 통상(筒狀)의 탄성재(彈性材)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장력 변동 완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와 상기 당접부는 일체화 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 중 적어도 상기 당접부와 연속되는 부분은 폭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당접부는 상기 탄성부의 분할된 각 부분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분 당접부를 포함하고 있는 장력 변동 완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분 당접부는 폭 방향으로 간극 없이 배열되어 있는 장력 변동 완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분 당접부는 상호 폭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장력 변동 완화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호 폭 방향으로 배열되며 각각이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는 복수의 탄성재를 구비하고 있는 장력 변동 완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완화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보조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상기 보조 탄성부의 상기 직물측 단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상기 당접부의 상기 직물측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장력 변동 완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직물의 폭 방향과 평행한 축선 주위의 설치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장력 변동 완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직물의 폭 방향과 평행한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력 변동 완화 장치.
KR1020140079784A 2013-07-18 2014-06-27 직물용 인쇄 장치의 장력 변동 완화 장치 KR201500105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49488 2013-07-18
JP2013149488A JP6188467B2 (ja) 2013-07-18 2013-07-18 布帛用印刷装置における張力変動緩和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590A true KR20150010590A (ko) 2015-01-28

Family

ID=51224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784A KR20150010590A (ko) 2013-07-18 2014-06-27 직물용 인쇄 장치의 장력 변동 완화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27441B2 (ko)
EP (1) EP2826632B1 (ko)
JP (1) JP6188467B2 (ko)
KR (1) KR201500105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5145B (zh) * 2016-07-09 2018-06-15 佛山市三水诚远包装彩印有限公司 一种放卷机构
USD861753S1 (en) * 2018-02-05 2019-10-01 SEVENto4, L.L.C. Roller for floating mat
JP7100997B2 (ja) * 2018-03-08 2022-07-14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メディア巻き取り装置、印刷装置、及びメディアの巻き取り方法
US11774466B2 (en) 2019-06-05 2023-10-03 Bae Systems Plc Aircraft with skin layer air data sensor
WO2021015744A1 (en) * 2019-07-23 2021-01-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device
CN113771509B (zh) * 2021-09-15 2023-03-14 河南印都数码科技有限公司 双侧张力调整式印花机上下料辊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6149A (en) * 1969-02-07 1971-06-22 Data Products Co Web tensioning apparatus
JPS583839B2 (ja) 1978-07-28 1983-01-2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印字装置
JPS59190151A (ja) * 1983-04-08 1984-10-27 Fuji Xerox Co Ltd ロ−ル紙給紙装置
JPH04122094U (ja) * 1991-04-24 1992-10-30 武藤工業株式会社 自動製図機のロ−ル紙搬送機構
US5417413A (en) * 1994-04-18 1995-05-23 Hewlett-Packard Company Uniform media tensioning of print media during transport in laser printer
JPH09314879A (ja) 1996-05-31 1997-12-09 Kyocera Corp サーマルヘッド
US5825374A (en) 1997-03-12 1998-10-20 Raster Graph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dvancing a web
JPH11246092A (ja) * 1998-03-02 1999-09-14 Toshiba Tec Corp 長尺部材搬送装置
US6726317B2 (en) 1999-09-03 2004-04-27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nk jet printing
US6547464B1 (en) 1999-12-01 2003-04-15 Diebòld, Incorporated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printer
JP4226202B2 (ja) * 2000-09-04 2009-02-18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634744B2 (en) 2001-03-23 2003-10-21 Konica Corporation Ink-jet printer
JP2003193363A (ja) * 2001-12-25 2003-07-09 Konica Corp 捺染装置
EP1780029A1 (en) 2005-10-27 2007-05-02 Océ-Technologies B.V. Printer with advance mechanism for a print substrate
JP2009090578A (ja) 2007-10-10 2009-04-30 Seiko Epson Corp 給送装置および液体噴射装置
JP5332409B2 (ja) 2008-08-29 2013-11-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方法および印刷装置
JP2011173694A (ja) * 2010-02-25 2011-09-08 Brother Industries Ltd 原稿分離機構
JP2011207550A (ja) * 2010-03-29 2011-10-20 Seiko Epson Corp ロール紙プリンター
JP5577935B2 (ja) 2010-08-18 2014-08-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ー
CN103221602B (zh) * 2010-10-25 2015-07-08 株式会社御牧工程 打印装置和打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88467B2 (ja) 2017-08-30
EP2826632A3 (en) 2015-02-25
US20150022606A1 (en) 2015-01-22
US9227441B2 (en) 2016-01-05
EP2826632A2 (en) 2015-01-21
JP2015020330A (ja) 2015-02-02
EP2826632B1 (en)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0590A (ko) 직물용 인쇄 장치의 장력 변동 완화 장치
JP4209899B2 (ja) 繊維帯を編機に供給するための繊維帯供給装置
JP6077881B2 (ja) 布帛の印刷方法、及び布帛用の印刷装置
KR20120107094A (ko) 탄성사 공급 장치
JP2006232549A (ja) 記録装置
KR101344757B1 (ko) 소재 공급 장치
JPH11246093A (ja) プリンタ
KR200475859Y1 (ko) 누비기의 원단이송장치
KR200441212Y1 (ko) 슬리터 장치
US9962970B2 (en) Printer
JP5944838B2 (ja) ガイドエプロンのためのガイドテーブルを備えるドラフト装置
CN211684175U (zh) 一种准确导向的卷平一体打印机
JP2015048219A (ja) プリンタ装置
CN214355006U (zh) 压布导向辊装置及打印机
CN211518983U (zh) 一种卷平一体打印机
JP2014151988A (ja) ウェブ搬送機構
JP6549464B2 (ja) 印刷装置
KR101487367B1 (ko) 원단공급장치
EP3656567B1 (en) Inkjet printer
JP2011230304A (ja) サーマルヘッドプリンター
CN112055659A (zh) 切割器组件和打印机
US6345660B2 (en) Laminating apparatus having dancer and air shaft and associated methods
JP6109263B2 (ja) 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装置及び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2015048220A (ja) プリンタ装置
US1794094A (en) Typewri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