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671A - 전기 커넥터, 및 스퀴브의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및 스퀴브의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671A
KR20150003671A KR20140076397A KR20140076397A KR20150003671A KR 20150003671 A KR20150003671 A KR 20150003671A KR 20140076397 A KR20140076397 A KR 20140076397A KR 20140076397 A KR20140076397 A KR 20140076397A KR 20150003671 A KR20150003671 A KR 20150003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connector housing
housing
connector
squ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6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4862B1 (ko
Inventor
츠요시 오사다
히로유키 마츠모토
무네타카 야스다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3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Air Bag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지지구(130)가 부딪힘부(131)가 리테이너(400) 또는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의 받이면(441)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커넥터 하우징(110)이 감합측으로 밀려 리테이너(400)로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 놓아지면, 커넥터 하우징(110)이 지지구(130)에 생기는 복원력에 의해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리고, 커넥터 하우징(110)이 감합측으로 밀려 리테이너(400)로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부딪힘부(131)가 부딪힘 해제 방향으로 변위하여 받이면(441)으로부터 빠짐으로써 커넥터 하우징(110)이 리테이너(400)로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리테이너(400)에 감합함과 아울러 전기 단자(120)가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도록 한 전기 커넥터(100)이다. 또, 이러한 전기 커넥터(100)를 구비한 스퀴브의 접속 장치이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스퀴브의 접속 장치{ELECTRICAL CONNECTOR AND SQUIB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의 기술 분야에 속하며, 인플레이터(inflator) 하우징, 스퀴브(squib), 및 리테이너(retainer)를 가지는 상대 장치에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 장치와 상기 전기 커넥터를 구비한 스퀴브의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특허공개 2012-22990호 공보는, 하우징에 가압 수단을 매개로 하여 조립된 슬라이더를 가압하는 걸림 암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커넥터는, 이니시에이터(initiator)와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니시에이터의 션트(shunt)에는, 걸림 암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이 하우징 본체에 구비한 단자 수용부에는, 스프링을 매개로 하여 슬라이더가 조립되어 있다. 상기 이니시에이터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장착시, 상기 걸림 암은, 상기 하우징에 올라 앉은 후에 상기 슬라이더의 암 받이부에 맞닿고, 상기 스프링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한 후, 복원되어 상기 단자 수용부에 걸린다. 상기 걸림 암과 맞닿는 상기 슬라이더의 단면(端面)에는, 상기 걸림 암의 복원 방향으로 상기 걸림 암을 안내하는 테이퍼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공보의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이니시에이터가 감합(嵌合, 끼워 맞춤)하기 전에 상기 하우징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스프링의 가압력으로 상기 슬라이더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 암이 테이퍼부에서 후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이니시에이터가 이간(離間, 떨어짐)한다(상기 공보의 단락 [0021]을 참조). 이것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이니시에이터가 불완전 감합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 공보의 커넥터는, 상기 션트에 상기 걸림 암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션트의 형상이 복잡하다. 또, 상기 하우징이 상기 이니시에이터에 감합하고, 이 감합 길이가 소정 길이에 이르러 상기 슬라이더의 받이부의 상기 테이퍼부가 상기 스프링에 닿을 때까지는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감합 길이가 상기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이니시에이터를 이간(離間)시키는 힘이 작용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이니시에이터가 불완전 감합임에도 불구하고 감합 작업을 끝내 버리는 작업 미스가 일어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감합 길이가 상기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는 이미 핀이 단자에 접촉하고 있다(상기 공보의 도 4, 도 5를 참조). 그 때문에,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이니시에이터가 불완전 감합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핀이 상기 단자에 도통(導通)하는 일이 생긴다. 무엇보다, 상기 션트의 수용 오목부에 끼워진 단락(短絡) 브라켓에 의해서 상기 양 핀이 단락(短絡)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이니시에이터가 불완전 감합하고 있어도 상기 단락 브라켓이 상기 양 핀에 탄성 접촉하고 있는 한은 상기 양 핀에 전류가 흐르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기 단락 브라켓을 구비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이니시에이터가 불완전 감합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핀이 단자에 도통하여 상기 양 핀에 전류가 흘러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및 스퀴브의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감합(嵌合, 끼워 맞춤)측의 표면으로부터 반감합(反嵌合)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소켓이 마련된 인플레이터(inflator) 하우징, 스퀴브(squib) 단자가 상기 소켓의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도록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반감합측에 마련된 스퀴브, 및 상기 소켓에 장착된 리테이너(retainer)를 가지는 상대 장치에 감합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게 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게 되는 전기 단자와,
반감합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서 감합 방향에 교차하는 부딪힘 해제 방향 및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변위하는 부딪힘부가 상기 감합측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부딪힘부의 상기 변위에 의해 복원력을 일으키는 지지구(支持具)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구의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서의, 단부 가장자리가 반감합측을 향해 움푹 패이는 받이면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 놓아지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지지구에 생기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리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받이면으로부터 빠짐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 단자가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이다.
상기 지지구의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상기 받이면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 놓아지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지지구에 생기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린다. 상기 지지구의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상기 받이면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받이면으로부터 빠짐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 단자가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에 대해서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린 위치에 있으면 양자는 감합하고 있지 않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된 위치에 있으면 양자는 감합하고 있다. 게다가, 밀어 넣는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양 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리테이너에 대한 위치에 의해,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고 있는지 아닌지가 확인되므로,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리테이너에 불완전 감합하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된다. 또, 상기 리테이너에는 상기 공보의 상기 걸림 암에 상당하는 부재가 없기 때문에, 상기 리테이너가 비교적 간단한 구조가 된다.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할 때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미는 것만으로 좋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고 나서 예를 들면 락 부재 등의 부속(附屬) 부재를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거나, 상기 부속 부재를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고 나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거나, 양쪽 모두를 동시에 밀어 넣거나 하는 등 복수의 패턴으로부터 작업자가 작업 내용을 선택한다고 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작업 내용의 차이로부터 불완전 감합이 발생한다고 하는 우려가 적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될 때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 놓아지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리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전기 단자와 상기 스퀴브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했으므로, 불완전 감합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리테이너에 상기 공보의 상기 걸림 암에 상당하는 부재를 마련하는 필요성을 없게 하여 상기 리테이너를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는,
감합측의 표면으로부터 반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소켓이 마련된 인플레이터 하우징, 스퀴브 단자가 상기 소켓의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도록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반감합측에 마련된 스퀴브, 및 상기 소켓에 장착된 리테이너를 가지는 상대 장치와,
상기 상대 장치에 감합하게 되는 전기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게 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게 되는 전기 단자와,
반감합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서 감합 방향에 교차하는 부딪힘 해제 방향 및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변위하는 부딪힘부가 상기 감합측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부딪힘부의 상기 변위에 의해 복원력을 일으키는 지지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구의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서의, 단부 가장자리가 반감합측을 향해 움푹 패이는 받이면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 놓아지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지지구에 생기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리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받이면으로부터 빠짐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 단자가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구의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상기 받이면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 놓아지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지지구에 생기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린다. 상기 지지구의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상기 받이면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받이면으로부터 빠짐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 단자가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에 대해서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린 위치에 있으면 양자는 감합하고 있지 않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된 위치에 있으면 양자는 감합하고 있다. 게다가, 밀어 넣는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양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리테이너에 대한 위치에 의해,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고 있는지 아닌지가 확인되므로,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리테이너에 불완전 감합하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된다. 또, 상기 리테이너에는 상기 공보의 상기 걸림 암에 상당하는 부재가 없으므로, 상기 리테이너가 비교적 간단한 구조가 된다.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할 때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미는 것만으로 좋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고 나서 예를 들면 락 부재 등의 부속 부재를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거나, 상기 부속 부재를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고 나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거나, 양쪽 모두를 동시에 밀어 넣거나 하는 등 복수의 패턴으로부터 작업자가 작업 내용을 선택한다고 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작업 내용의 차이로부터 불완전 감합이 발생한다고 하는 우려가 적다.
본 발명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될 때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 놓아지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리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전기 단자와 상기 스퀴브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했으므로, 불완전 감합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리테이너에 상기 공보의 상기 걸림 암에 상당하는 부재를 마련하는 필요성을 없게 하여 상기 리테이너를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는 스퀴브의 접속 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 및 상기 스퀴브의 접속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반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의 전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 형태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 형태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와, 이것에 감합하려고 하는 전기 커넥터를 감합 방향을 따라서 본 평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와, 이것에 감합하려고 하는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 있는 상기 실시 형태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 및 전기 커넥터의 도 5에서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상태에 있는 상기 실시 형태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 및 전기 커넥터의 도 5에서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실시 형태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와, 이것에 감합하려고 하는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도 6의 상태 보다도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스퀴브의 접속 장치로의 삽입 깊이가 크게 되어 있다.
도 10은, 도 9의 상태에 있는 상기 실시 형태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 및 전기 커넥터의 도 5에서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상태에 있는 상기 실시 형태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 및 전기 커넥터의 도 5에서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실시 형태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와, 이것에 감합하려고 하는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도 9의 상태 보다도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스퀴브의 접속 장치로의 삽입 깊이가 크게 되어 있다.
도 13은, 도 12의 상태에 있는 상기 실시 형태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 및 전기 커넥터의 도 5에서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상태에 있는 상기 실시 형태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 및 전기 커넥터의 도 5에서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실시 형태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와, 이것에 감합한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도 12의 상태 보다도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스퀴브의 접속 장치로의 삽입 깊이가 크게 되어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스퀴브에 감합하고 있다.
도 16은, 도 15의 상태에 있는 상기 실시 형태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 및 전기 커넥터의 도 5에서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상태에 있는 상기 실시 형태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 및 전기 커넥터의 도 5에서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8은, 변형예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다른 변형예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기 다른 변형예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와, 상기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스퀴브의 접속 장치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전기 커넥터, 및 상기 스퀴브의 접속 장치는,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장치인 인플레이터(inflator)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퀴브의 접속 장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200), 스퀴브(300), 및 리테이너(400)를 가지는 상대 장치(A)와, 상기 상대 장치(A)에 감합(嵌合, 끼워 맞춤)하게 되는 상기 전기 커넥터(10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감합하게 되는 상기 전기 커넥터(100) 및 상기 상대 장치(A)에 있어서, 일방에서의 타방에 대해서 감합하는 측을 감합측으로 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100) 및 상기 상대 장치(A)에서 상기 감합측끼리를 대향시켰을 때에 일방에서의 타방을 향하는 방향을 감합 방향으로 한다. 상기 감합측의 반대측을 반감합(反嵌合)측으로 하고, 상기 감합 방향의 반대 방향을 반감합 방향으로 한다. 이하, 부재 또는 부분에 대해서 단지 상기 감합측 혹은 상기 감합 방향 또는 상기 반감합측 혹은 상기 반감합 방향이라고 할 때는, 그 부재 또는 부분이 상기 전기 커넥터(100)에 마련되어 있을 때는 해당 전기 커넥터(100)의 상기 감합측 혹은 상기 감합 방향 또는 상기 반감합측 혹은 상기 반감합 방향인 것이며, 그 부재 또는 부분이 상기 상대 장치(A)에 마련되어 있을 때는 해당 상대 장치(A)의 상기 감합측 혹은 상기 감합 방향 또는 상기 반감합측 혹은 상기 반감합 방향인 것이다. 따라서, 도 7을 부호를 바르게 읽을 수 있는 방향으로 두면,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상기 감합측은 도면의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하측을 가리키고, 상기 감합 방향은 도면의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아래 방향을 가리키며, 상기 반감합측은 도면의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상측을 가리키고, 상기 반감합 방향은 도면의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윗 방향을 가리킨다. 또 도 7에서, 상기 상대 장치(A)의 상기 감합측은 도면의 상기 상대 장치(A)의 상측을 가리키고, 상기 감합 방향은 도면의 상기 상대 장치(A)의 윗 방향을 가리키며, 상기 반감합측은 도면의 상기 상대 장치(A)의 하측을 가리키고, 상기 반감합 방향은 도면의 상기 상대 장치(A)의 아래 방향을 가리킨다.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해도 좋고, 예를 들면 절연성 재료 또는 그 외의 재료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도 1, 및 도 4 내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에는, 상기 감합측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반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소켓(21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소켓(210)은 내부 공간이 원기둥 모양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상기 내부 공간이 각기둥 모양 또는 그 외의 형상이 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도 1, 도 4, 도 7, 및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퀴브(300)의 상기 감합측에는,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는 한 쌍의 스퀴브 단자(310)가 마련되어 있다. 이 스퀴브 단자(310)는, 도전성 재료에 의해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통 모양, 판 모양, 또는 그 외의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상기 스퀴브 단자(310)는 핀으로 불리기도 한다. 상기 스퀴브(300)에 상기 한 쌍의 스퀴브 단자(310)를 매개로 하여 전류를 흘리면, 그 전기 에너지를 받아 상기 스퀴브(300)가 발열한다.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이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퀴브 단자(310)의 주위에는 절연성 부재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스퀴브 단자(310)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을 절연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접지를 취하는 방법 등에 의해, 상기 스퀴브 단자가 단극(單極)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있고, 3극(極)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퀴브(300)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의 상기 반감합측에, 상기 스퀴브 단자(310)가 상기 소켓(210)의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스퀴브(300)의 주위에는 점화제(点火劑) 및 가스 발생제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의 상기 반감합측에는 수축한 에어백이 넣어져 있다. 따라서, 스퀴브(300)가 전기 에너지를 받아 발열하면 상기 점화제가 점화하고, 이것에 의해서 가스 발생제가 가스를 발생하여, 이 가스가 상기 에어백을 전개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400)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절연성 재료에 의해 형성해도 좋고, 예를 들면 상기 스퀴브 단자(310) 또는 후술하는 전기 단자(120)와 절연하는 구성을 채용할 때에는, 예를 들면 도전성 재료 또는 그 외의 재료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도 1, 도 4, 도 7, 및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400)는, 외형이 상기 소켓(210)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리테이너(400)의 횡단면의 외주가 거의 원 모양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소켓(210)의 내부 공간에 포함되는 형상이면 예를 들면 상기 리테이너의 횡단면의 외주가 다각형 또는 그 외의 형상이 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상기 리테이너(400)는, 내부에, 상기 감합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반감합측으로부터 상기 스퀴브 단자(310)를 도입하는 공동(空洞)이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400)는 상기 소켓(210)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400)와 상기 소켓(210)과의 맞물림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리테이너(400)에 장착용 볼록부(410)가 마련되며, 이 장착용 볼록부(410)가, 상기 소켓(210)에 마련된 홈(212)에 끼워져 있다. 상기 장착용 볼록부(410)는, 상기 리테이너(400)의 주위에 외측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상기 외측이란,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리테이너(400)의 가운데부로부터 떨어진 측이며, 그 반대측이 내측이다. 상기 홈(212)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의 상기 소켓(210)을 구성하는 벽(211)으로부터 외측으로 움푹 패여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소켓(210)의 외측이란, 상기 리테이너(400)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소켓(210)의 가운데부로부터 떨어진 측이며, 그 반대측이 내측이다.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400)를 상기 소켓(210)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장착용 볼록부(410)가 상기 벽(211)에 밀려 상기 내측으로 탄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400)의 상기 소켓(210)으로의 삽입이 가능해지고, 상기 장착용 볼록부(410)가 상기 홈(212)의 위치에 오면 상기 장착용 볼록부(410)가 복원하여 상기 홈(212)에 끼워지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 리테이너(400)와 상기 소켓(210)이 맞물린다. 상기 장착용 볼록부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상기 리테이너의 주위에 상기 감합 방향으로 연장하여 일단이 상기 리테이너에 고정되고 타단에 상기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돌기가 마련된 장착용 암을 마련하고, 상기 장착용 암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돌기를 상기 홈에 끼우는 것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소켓을 맞물리게 하도록 구성하는 등 해도 좋다.
도 4 및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400)에는, 단부 가장자리가 반감합측을 향해 움푹 패이는 받이면(441)이 마련되어 있다. 이것을 대신하여, 혹은 이것과 함께, 예를 들면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에, 단부 가장자리가 반감합측을 향해 움푹 패이는 받이면을 마련해도 좋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리테이너(400)에, 상기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L자 모양으로 형성된 각부(角部, 440)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각부(角部, 440)는 후술하는 리테이너 제1 통 모양부(420)에 마련되어 있지만, 상기 리테이너(400)의 다른 부위에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상기 각부(角部)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상기 소켓에 마련해도 좋다. 그 경우, 상기 각부(角部)는, 예를 들면 상기 소켓(210)의 상기 감합측의 면으로부터 상기 벽(211)에 걸쳐서 마련된다. 상기 각부(角部, 440)는, 상기 감합측을 향한 상기 받이면(441)과, 상기 받이면(441)에서의 부딪힘 해제 방향(R)측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반감합측으로 연장하는 측면(44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R)은, 상기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며, 도 8에 왼쪽 방향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이다. 그러나,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은, 상기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감합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이면 괜찮다. 상기 측면(442)은, 상기 감합 방향을 향하면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R)으로 치우치도록 경사지게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측면은,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어도 괜찮으며, 또 예를 들면 경사지지 않고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R)을 향하고 있어도 괜찮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커넥터 하우징(110)과, 전기 단자(120)와, 지지구(1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은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절연성 재료에 의해 형성해도 좋고, 예를 들면 상기 전기 단자(120) 또는 상기 스퀴브 단자(310)와 절연하는 구성을 채용할 때에는, 예를 들면 도전성 재료 또는 그 외의 재료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도 1 내지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은, 하우징 본체(111)와, 상기 하우징 본체(111)의 상기 감합측에 마련되어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하게 되는 감합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11)는, 상기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그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감합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 본체 및 상기 감합부의 형상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 본체가, 예를 들면, 길이 방향을 갖지 않은 예를 들면 입방체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고, 상기 하우징 본체의 길이 방향이 상기 감합 방향에 대해서 0도를 넘어 180도 미만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상기 감합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기 감합측에 마련되어 있으면 괜찮고, 상기 하우징 본체에서의 상기 감합 방향을 향한 면내(面內)의 어느 위치에 마련해도 좋다. 상기 감합부(112)와 상기 리테이너(400)는, 일방에 마련된 볼록부를 타방에 마련된 오목부에 삽입함으로써 감합하고, 또 상기 볼록부를 상기 오목부로부터 빼냄으로써 이탈한다. 변형예로서, 상기 감합부와 상기 리테이너가 일단 감합하면 감합한 채로 두게 되는, 이른바 붙박이로 해도 괜찮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감합부(112)에, 볼록부로서 하우징 볼록부(112a)가 마련되며,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리테이너(400)에는 내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통 모양의 리테이너 제1 통 모양부(42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볼록부(112a)가 상기 리테이너 제1 통 모양부(420)의 내측의 오목부로 들어감으로써 상기 감합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것과는 반대로, 상기 리테이너에, 볼록부로서 리테이너 볼록부를 마련하고,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감합부에는 내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통 모양의 하우징 통 모양부를 마련하여, 상기 리테이너 볼록부가 상기 하우징 통 모양부의 내측의 오목부에 들어감으로써 상기 감합을 행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감합부(112)의 상기 하우징 볼록부(112a)의 외측에, 통 모양의 하우징 통 모양부(112b)가 더 마련되며, 이 하우징 통 모양부(112b)가 상기 리테이너(400)의 상기 리테이너 제1 통 모양부(420)의 외측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감합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400)에는 상기 리테이너 제1 통 모양부(420)의 외측에, 내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통 모양의 리테이너 제2 통 모양부(43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통 모양부(112b)가 상기 리테이너 제2 통 모양부(430)의 내측의 오목부에 들어감으로써 상기 감합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감합부 및 상기 리테이너 중 일방에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를 마련하고, 타방에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마련하여, 상기 감합부 및 상기 리테이너의 감합 또는 이탈을 행하도록 하고 있으면 좋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볼록부(112a)의 내부에 상기 전기 단자(120)가 배치되며, 상기 리테이너 제1 통 모양부(420)의 내부가 상기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어, 거기에 상기 스퀴브 단자(310)를 배치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본체(111)는, 상기 감합측에 있는 제1 부재(111a)와, 상기 반감합측에 있는 제2 부재(111b)로 분할되어 있지만, 이와 같이 분할하지 않고 일체로 마련해도 좋다.
도 3, 도 7, 및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기 단자(120)는, 상기 스퀴브 단자(310)의 수(數)에 따른 수만큼 마련되어 있지만, 회로 구성에 따라서는 수가 대응하지 않은 것도 있을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한 쌍의 상기 전기 단자(1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기 단자(120)는,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접촉부(121)와, 접속부(12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적어도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접촉부(121)가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했을 때 보다도 감합 길이가 짧을 때에도 상기 접촉부(121)가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고 있어도 괜찮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그와 같이 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한다는 것은, 상기 감합부(112)와 상기 리테이너(400)과의 감합 길이가 설계 목표로 한 감합 길이에 이르고, 상기 전기 단자(120)가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는 것이며, 도면으로 말하면 도 15 내지 도 17에 나타내는 상태이다. 상기 전기 단자(120)는 판 모양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형태의 재료로 형성해도 좋다. 상기 접촉부(121)는 상기 전기 단자(120)의 상기 감합측에 마련되어 있지만, 상기 전기 단자의 예를 들면 상기 반감합측 또는 그 외의 부위에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그리고, 상기 감합부(112)를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하면, 상기 접촉부(121)가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퀴브 단자(310)가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기 단자(120)의 상기 접촉부(121)는, 이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끼워지도록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과는 반대로 상기 스퀴브 단자를 통 모양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를 상기 스퀴브 단자에 끼워지도록 막대 모양으로 형성해도 괜찮다. 상기 전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괜찮고, 예를 들면 판 모양 또는 그 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상기 접속부(122)는, 도체(500)와의 접속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도체(500)는, 심선(芯線)과, 이 심선을 피복하는 절연 피복을 구비한 전선이므로, 상기 접속 구조는 와이어 배럴(wire barrel), 및 인슐레이션 배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배럴은, 상기 전기 단자(120)에서의 판폭(板幅) 방향으로부터 세워지는 압착편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도체(500)의 종단(終端)으로부터 노출하는 심선을 고정한다. 상기 인슐레이션 배럴은, 상기 전기 단자(120)에서의 상기 와이어 배럴에 대해서 상기 접촉부(121)로부터 먼 측에서 상기 전기 단자(120)의 판폭 방향으로부터 세워지는 압착편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도체(500)의 종단의 절연 피복을 고정한다. 상기 도체(500)는, 상기 전선 외에도 예를 들면 실드(shield) 케이블 또는 그 요소를 포함하고, 또 예를 들면 FFC(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의 평형(平形) 유연(柔軟) 케이블 또는 그 요소를 포함하며, 또, 그 외의 도전체를 구비한 도전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또, 상기 접속 구조는, 예를 들면 상기 도체를 압접하기 위한 구조, 상기 도체를 피어싱(piercing)하기 위한 구조, 상기 도체를 납땜하기 위한 구조, 또는 그 외의 구조라도 괜찮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접촉부(121)가 상기 감합부(112)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접속부(122)가 상기 하우징 본체(111)의 내부에 장착되므로, 상기 접촉부(121)가 상기 감합부(112)의 길이 방향인 상기 감합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접속부(122)가 상기 하우징 본체(111)의 길이 방향인, 상기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어, 상기 전기 단자(120)가 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전기 단자는 예를 들면 I자 모양, V자 모양, 또는 그 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고, 또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접속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에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도 18은,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전기 커넥터(100)의 경우, 상기 한 쌍의 상기 전기 단자(120)에 더하여, 다른 전기 단자(120')가 더 마련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이 실시 형태의 전기 커넥터와 동일하다. 상기 다른 전기 단자(120')는, 상기 감합측에 마련된 상기 접촉부(121')와, 다른 도체(500')와의 접속 구조를 가지는 접속부(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촉부(121')는, 상기 감합부(112)에 마련된 개구로부터 밖으로 나와 있으며, 상기 감합부(112)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하면, 상기 접촉부(121')가 상기 소켓(210)의 상기 벽(211)에 접촉하여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에 도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다른 도체(500')는 상기 도체(500)와 동일 구성의 전선이지만, 상기 전선 외에도 예를 들면 실드 케이블 혹은 그 요소, 예를 들면 FFC 등의 평형 유연 케이블 혹은 그 요소, 또는 그 외의 도전체를 구비한 도전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다른 전기 단자(120')의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전기 단자(120)의 상기 접속부(122)와 동일한 구성이며, 상기 접속부(122)일 때와 마찬가지로 하여 상기 다른 도체(500')에 접속된다. 게다가, 실드 케이블을 접속하도록 한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변형예가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실드 케이블의 신호선이 상기 도체(500)로서 상기 전기 단자(120)의 상기 접속부(122)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실드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상기 다른 도체(500')로서 상기 다른 전기 단자(120')의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다. 상기 전기 단자는 상기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실시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그 중에는, 예를 들면 비접촉으로 외부와의 사이에서 도통을 행하는 상기 전기 단자의 실시 형태 등이 있다.
상기 지지구(130)는,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대해서 상기 감합 방향에 교차하는 부딪힘 해제 방향(R) 및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변위하는 부딪힘부(131)가 상기 감합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부딪힘부(131)의 상기 변위에 의해 복원력을 일으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지지구(130)는 강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구(130)는 막대 모양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구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을 가지고 있어, 상기 가압력을 받으면 상기 복원력을 일으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기 지지구의 전체를 예를 들면 강재, 합성 수지, 또는 그 외의 탄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마련해도 좋지만, 예를 들면 상기 지지구의 일부만을 예를 들면 강재, 합성 수지, 또는 그 외의 탄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마련하고, 다른 부분을 예를 들면 세라믹, 또는 그 외의 탄성을 가지지 않은 재료에 의해 마련해도 좋다. 또, 상기 지지구를, 예를 들면 복수의 부재를 조립하거나 복수의 부재를 일체로 마련하는 등 하여 마련해도 좋다. 상기 지지구는, 이 실시 형태와 같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별도의 부재로 해도 괜찮지만, 상기 지지구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일체로 마련해도 좋다. 상기 지지구는, 예를 들면 막대 모양, 판 모양, 혹은 그 외의 형상의 부재,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13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마련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구(130)의 상기 감합측의 단부에 상기 부딪힘부(131)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상기 지지구(130)에서의 상기 부딪힘부(131)와 다른 측의 단부(132)가, 상기 제1 부재(111a)와 상기 제2 부재(111b)와의 사이에 끼워 지지됨으로써 상기 단부(132)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지지구(130)가 상기 단부(132)를 고정 단부로 하여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한쪽 지지된 빔(beam)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부딪힘부(131)가, 반감합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대해서 감합 방향에 교차하는 부딪힘 해제 방향(R) 및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변위함과 아울러, 상기 부딪힘부(131)의 상기 변위에 의해 상기 지지구(130)에 복원력을 일으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구에서의 상기 단부(132)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일체로 마련해도 좋다. 상기 지지구(130)는, 상기 단부(132)로부터 상기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부(130a)와, 상기 제1 부(130a)의 상기 단부(132)와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감합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부(130b)를 구비하여 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부(130b)의 상기 감합측의 단부에 상기 부딪힘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의해서 상기 지지구의 구조가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지지구에는, 예를 들면 상기 단부로부터 상기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함에 따라 상기 감합 방향으로 연장하여 그 상기 감합측의 단부에 상기 부딪힘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2 부가 없는 변형예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부(130a)는 두 개 마련되어 그들이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고, 상기 제2 부(130b)도 두 개 마련되어 그들이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제1 부(130a)의 간격 보다도 상기 두 개의 제2 부(130b)의 간격이 좁게 되고 또한 상기 두 개의 제1 부(130a)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구(130)는, 상기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감합 방향과 평행한 선에 대해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딪힘부(131)는, 상기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거의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의해서 상기 지지구의 구조가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지지구에는, 예를 들면 상기 제1 부 또는 상기 제2 부가 한 개인 변형예 등을 포함하고 있고, 또 본 발명의 지지구에는, 예를 들면 상기 제1 부 또는 상기 제2 부가 비대칭인 변형예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부딪힘부는 예를 들면 막대 모양, 판 모양, 또는 그 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그리고, 도 8, 도 11, 도 14,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130)는, 상기 단부(132)를 고정 단부로 하여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대해서 한쪽 지지된 빔(baem) 모양으로 휘어짐으로써,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대해서 상기 감합 방향에 교차하는 부딪힘 해제 방향(R) 및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변위하고, 상기 부딪힘부(131)의 상기 변위에 의해 상기 지지구(130)에 복원력을 일으키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지지구(130)가 전체적으로 휘어, 즉 탄성 변형함으로써 복원력을 일으키게 했지만, 상기 지지구를, 예를 들면 막대 모양, 판 모양, 또는 그 외의 형상의 구조 부재와, 상기 구조 부재끼리, 또는 상기 구조 부재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의 사이에 마련된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에 의해, 또는 그것에 더하여 상기 구조 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복원력을 발휘하도록 해도 괜찮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6 내지 도 8의 상태로부터, 도 9 내지 도 11의 상태, 도 12 내지 도 14로 진행되도록,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상기 지지구(130)의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리테이너(400)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에서의, 단부 가장자리가 반감합측을 향해 움푹 패이는 받이면(441)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400)로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 놓아지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지지구(130)에 생기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리고, 또 도 15 내지 도 17의 상태로 더 진행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R)으로 변위하여 상기 받이면(441)으로부터 빠짐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 단자(120)가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R)으로 변위하여 상기 받이면(441)으로부터 빠지면,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받이면(441)에 부딪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지지구(130)의 복원력이 개방되고, 그것에 따라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게 된다.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받이면(441)으로부터 빠진 경우, 상기 부딪힘부(131) 또는 상기 지지구(130)의 다른 부분이 상기 받이면(441) 또는 상기 각부(角部, 440)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받이면(441)으로부터 빠지면, 상기 두 개의 제2 부(130b)가 상기 각부(角部, 440)의 상기 측면(442)을 피하여 그 양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고, 또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받이면(441)으로부터 빠지면,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R)의 역방향으로 치우쳐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경사진 상기 측면(442)에 닿거나 또는 접근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구(130)의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리테이너(400)의 상기 받이면(441)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있지 않을 때는, 상기 전기 단자(120)가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기에 이르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130)의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리테이너(400)의 상기 받이면(441)에 부딛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전기 단자(120)의 상기 접촉부(121)와 상기 스퀴브 단자(310)가 이간(離間, 떨어짐)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상태로부터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가면, 도 10 및 도 11, 도 13 및 도 14,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기 단자(120)의 상기 접촉부(121)와 상기 스퀴브 단자(310)가 접촉하게 된다.
또, 도 15 내지 도 17의 상태로부터, 도 12 내지 도 14의 상태, 도 9 내지 도 11의 상태를 거쳐, 도 6 내지 도 8의 상태로 되돌아오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반감합측으로 뽑아 내어지면, 상기 지지구(130)의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받이면(441)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를 타고 넘고 나서 상기 지지구(13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받이면(441)을 타고, 상기 받이면(441)에 부딪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으로부터, 가요성(可撓性)이 있는 락 암(600)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상기 락 암을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감합 방향으로 연장해도 괜찮다. 상기 락 암(600)은 상기 하우징 통 모양부(112b)에 마련되어 있지만, 이와 같이 상기 감합부(112)에 마련해도 좋고, 상기 하우징 본체에 마련해도 괜찮다. 상기 락 암(600)은 두 개 마련되어 있지만, 마련하는 상기 락 암(600)의 수는 한 개라도 세 개 이상이라도 괜찮다. 상기 락 암(600)은, 탄성 변형하는 접속부(610)를 매개로 하여 상기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축(X)의 둘레로 경사질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축(X)은 가상적인 축이다.
상기 락 암(600)에는 돌출부(6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620)는, 상기 락 암(600)에서의 상기 접속부(610)로부터 상기 락 암(600)의 선단측으로 어긋난 부위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620)는 상기 락 암(600)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외측이란, 상기 락 암(600)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 보아 상기 하우징 본체(111)의 상기 가운데부에서 먼 측이며, 그 반대측이 내측이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을 상기 리테이너(400)에 끼워 가면, 즉 상기 감합부(112)를 상기 리테이너(400)에 끼워 가면, 상기 돌출부(620)가 상기 소켓(210)의 상기 벽(211)에 올라 앉고 나서 상기 소켓(210)의 단차부에 걸리며, 상기 락 암(600)이 휘어지면 상기 돌출부(620)가 상기 단차부로부터 빠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소켓(210)의 단차부는, 예를 들면 상기 홈(212)의 감합측의 가장자리이지만, 이 외에 별도로 형성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하면 상기 돌출부(620)가 상기 단차부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락 암(600)의 상기 돌출부(620)의 상기 감합측의 면은, 상기 감합 방향을 향함에 따라 상기 내측으로 치우치도록 경사져 있고, 상기 돌출부(620)의 상기 단차부로 스무스(smooth)하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지만, 상기 면을 경사시키지 않아도 괜찮다. 도 19 및 도 20은,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전기 커넥터(100)의 경우, 상기 돌출부(620)는 상기 락 암(600)의 상기 내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을 상기 리테이너(400)에 끼워 가면, 즉 상기 감합부(112)를 상기 리테이너(400)에 끼워 가면, 상기 돌출부(620)가 상기 리테이너(400)의 벽에 올라 앉고 나서 상기 리테이너(400)의 단차부에 걸리며, 상기 락 암(600)이 휘어지면 상기 돌출부(620)가 상기 단차부로부터 빠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400)의 단차부는, 예를 들면 상기 리테이너(400)에 마련한 오목부 또는 구멍의 상기 감합측의 가장자리이지만, 이 외에 별도로 형성해도 좋다. 이 변형예의 경우, 상기 락 암(600)의 상기 돌출부(620)의 상기 감합측의 면은, 상기 감합 방향을 향함에 따라 상기 외측으로 치우치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돌출부(620)의 상기 단차부로 스무스하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지만, 상기 면을 경사시키지 않아도 괜찮다. 그 외의 구성은, 이 실시 형태의 전기 커넥터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지지구(130)의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리테이너(400)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상기 받이면(441)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 놓아지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지지구(130)에 생기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린다. 상기 지지구(130)의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리테이너(400)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상기 받이면(441)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R)으로 변위하여 상기 받이면(441)으로부터 빠짐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 단자(120)가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에 대해서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린 위치에 있으면 양자는 감합하고 있지 않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된 위치에 있으면 양자는 감합하고 있다. 게다가, 밀어 넣는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양 위치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상기 리테이너(400)에 대한 위치에 의해, 상기 전기 커넥터(100)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하고 있는지 아닌지가 확인되므로, 상기 전기 커넥터(100)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불완전 감합하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된다. 또, 상기 리테이너(400)에는 상기 공보의 상기 걸림 암에 상당하는 부재가 없기 때문에, 상기 리테이너(400)가 비교적 간단한 구조가 된다.
상기 전기 커넥터(100)를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할 때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을 상기 감합측으로 미는 것만으로 좋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고 나서 예를 들면 락 부재 등의 부속 부재를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거나, 상기 부속 부재를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고 나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거나, 양쪽 모두를 동시에 밀어 넣거나 하는 등 복수의 패턴으로부터 작업자가 작업 내용을 선택한다고 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작업 내용의 차이로부터 불완전 감합이 발생한다고 하는 우려가 적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될 때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 놓아지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리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전기 단자(120)와 상기 스퀴브 단자(31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했으므로, 불완전 감합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리테이너(400)에 상기 공보의 상기 걸림 암에 상당하는 부재를 마련하는 필요성을 없게 하여 상기 리테이너(400)를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100)를 제공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는, 적어도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전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와 상기 스퀴브 단자가 접촉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감합부가 상기 리테이너로부터 이간했을 때에 상기 전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와 상기 스퀴브 단자가 이간하면 좋다. 그러한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 중에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상기 지지구(130)의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받이면(441)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있지 않을 때는, 상기 전기 단자(120)가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기에 이르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지지구(130)에 생기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렸을 때에, 상기 전기 단자(120)의 상기 접촉부(121)와 상기 스퀴브 단자(310)가 접촉하기에 이르지 않으므로, 상기 스퀴브(300)가 예기치 않게 상기 전기 커넥터(100)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받는 것이 회피 된다. 따라서, 상기 리테이너 등에 상기 단락편(短絡片)을 마련하지 않은 것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전기 커넥터(100)와 상기 리테이너(400)가 불완전 감합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기 단자(120)와 상기 스퀴브 단자(310)가 도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에서, 예를 들면 상기 각부(角部)의 상기 측면에 걸림부를 마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감합부를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했을 때에 상기 지지구가 상기 걸림부에 걸리도록 구성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감합부를 상기 리테이너로부터 뽑아 낼 때에 상기 지지구를 상기 걸림부로부터 빼내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한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 중에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반감합측으로 뽑아 내어지면, 상기 지지구(130)의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받이면(441)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를 타고 넘고 나서 상기 지지구(13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받이면(441)을 타고, 상기 받이면(441)에 부딪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반감합측으로 뽑아 냄으로써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리테이너로부터 빠진다.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상기 각부(角部, 440)의 상기 측면(442)을, 상기 감합 방향을 향하면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R)으로 치우치도록 경사지게 마련했을 때에는,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경사진 상기 측면(442)으로 안내되어 상기 받이면(441)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를 타고 넘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락 암을 구비하지 않은 실시 형태를 포함한다. 그러한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 중에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으로부터, 가요성이 있는 락 암(600)이 상기 반감합 방향 또는 상기 감합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상기 락 암(600)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을 상기 리테이너(400)에 끼워 가면 상기 소켓(210) 또는 상기 리테이너(400)의 벽에 올라 앉고 나서 상기 소켓(210) 또는 상기 리테이너(400)의 단차부에 걸리며, 상기 락 암(600)이 휘어짐으로써 상기 단차부로부터 빠지는 돌출부(62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하면 상기 돌출부(620)가 상기 단차부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하면 상기 돌출부(620)가 상기 단차부에 걸려,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한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에 상기 각부(角部)를 마련한 경우, 상기 측면은,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어도 괜찮다. 그러한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 중에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상기 각부(角部, 440)의 상기 측면(442)는, 상기 감합 방향을 향하면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R)으로 치우치도록 경사지게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 12 내지 도 14의 상태에서부터 도 15 내지 도 17의 상태로 진행되도록,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R)으로 변위하여 상기 받이면(441)으로부터 빠지면, 상기 부딪힘부(131)는 상기 지지구(130)의 복원력을 받아 상기 측면(442)에 가압력을 가지고 닿거나, 상기 경사진 측면(442)으로 안내되어 상기 감합 방향으로 나아가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가서,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 단자(120)가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한다. 또, 도 15 내지 도 17의 상태로부터, 도 12 내지 도 14의 상태, 도 9 내지 도 11의 상태를 거쳐, 도 6 내지 도 8의 상태로 되돌아오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을 상기 리테이너(400)로부터 이간시켜 가면,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경사진 상기 측면(442)으로 안내되어 스무스하게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나아가서,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받이면(441)에 부딪친다.
이런 종류의 전기 커넥터에 단락편(短絡片)이 마련되는 것이 있다. 즉, 예를 들면 상기 전기 커넥터를 감합하기 전에 상기 한 쌍의 스퀴브 단자 사이에 전류 등이 흘러 스퀴브가 오작동하는 것 등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퀴브 단자를 단락(短絡)하는 상기 단락편을 마련하는 것이 행해진다. 그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면 상기 단락 단자가 상기 전기 커넥터로부터 힘을 받아 상기 외측으로 빠지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단락이 해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실시 형태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에서는 상기 단락편을 구비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실시 형태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에서 상기 단락편을 구비한 스퀴브의 접속 장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에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상기 반감합측의 면을, 거의 평탄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때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상기 반감합측에 하니스(harness) 등이 간섭하거나,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손상하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기 어렵다.
또, 이상의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도 충분히 개시되었다. 즉, 본 발명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는, 상기 감합측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반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상기 소켓(210)이 마련된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 상기 스퀴브 단자(310)가 상기 소켓(210)의 상기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도록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의 상기 반감합측에 마련된 상기 스퀴브(300), 및 상기 소켓(210)에 장착된 상기 리테이너(400)를 가지는 상기 상대 장치(A)와, 상기 상대 장치(A)에 감합하게 되는 상기 전기 커넥터(10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하게 되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마련되며,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게 되는 상기 전기 단자(120)와,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대해서 감합 방향에 교차하는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R) 및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변위하는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감합측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부딪힘부(131)의 상기 변위에 의해 복원력을 일이키는 상기 지지구(130)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구(130)의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리테이너(400)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에서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반감합측을 향해 움푹 패이는 상기 받이면(441)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400)로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 놓아지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지지구(130)에 생기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리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R)으로 변위하여 상기 받이면(441)으로부터 빠짐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 단자(120)가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구(130)의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리테이너(400)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상기 받이면(441)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 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 놓아지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지지구(130)에 생기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린다. 상기 지지구(130)의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리테이너(400)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상기 받이면(441)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R)으로 변위하여 상기 받이면(441)으로부터 빠짐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 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 단자(120)가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에 대해서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린 위치에 있으면 양자는 감합하고 있지 않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된 위치에 있으면 양자는 감합하고 있다. 게다가, 밀어 넣는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양 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상기 리테이너(400)에 대한 위치에 의해, 상기 전기 커넥터(100)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하고 있는지 아닌지가 확인되므로, 상기 전기 커넥터(100)가 상기 리테이너(400)에 불완전 감합하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된다. 또, 상기 리테이너(400)에는 상기 공보의 상기 걸림 암에 상당하는 부재가 없기 때문에, 상기 리테이너(400)가 비교적 간단한 구조가 된다.
상기 전기 커넥터(100)를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할 때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을 상기 감합측으로 미는 것만으로 좋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고 나서 예를 들면 락 부재 등의 부속 부재를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거나, 상기 부속 부재를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고 나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거나, 양쪽 모두를 동시에 밀어 넣거나 하는 등 복수의 패턴으로부터 작업자가 작업 내용을 선택한다고 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작업 내용의 차이로부터 불완전 감합이 발생한다고 하는 우려가 적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될 때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 놓아지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리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전기 단자(120)와 상기 스퀴브 단자(31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했으므로, 불완전 감합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리테이너(400)에 상기 공보의 상기 걸림 암에 상당하는 부재를 마련하는 필요성을 없게 하여 상기 리테이너(400)를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는 스퀴브의 접속 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관련하는 다른 발명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경우, 상기 지지구를 전기 커넥터에 마련했다. 이것에 대해서 상기 다른 발명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의 경우, 상기 지지구를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마련한다. 즉, 상기 다른 발명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는, 감합측의 표면으로부터 반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소켓이 마련된 인플레이터 하우징, 스퀴브 단자가 상기 소켓의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도록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반감합측에 마련된 스퀴브, 및 상기 소켓에 장착된 리테이너를 가지는 상대 장치와, 상기 상대 장치에 감합하게 되는 전기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게 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게 되는 전기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상대 장치는, 반감합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서 감합 방향에 교차하는 부딪힘 해제 방향 및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변위하는 부딪힘부가 상기 감합측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부딪힘부의 상기 변위에 의해 복원력을 일으키는 지지구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의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서의, 단부 가장자리가 반감합측을 향해 움푹 패이는 받이면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 놓아지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지지구에 생기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리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받이면으로부터 빠짐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 단자가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른 발명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개요를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중 제1 형태에 관한 것은,
감합측의 표면으로부터 반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소켓이 마련된 인플레이터 하우징, 스퀴브 단자가 상기 소켓의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도록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반감합측에 마련된 스퀴브, 및 상기 소켓에 장착된 리테이너를 가지는 상대 장치에 감합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게 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게 되는 전기 단자와,
반감합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서 감합 방향에 교차하는 부딪힘 해제 방향 및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변위하는 부딪힘부가 상기 감합측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부딪힘부의 상기 변위에 의해 복원력을 일으키는 지지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구의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서의, 단부 가장자리가 반감합측을 향해 움푹 패이는 받이면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 놓아지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지지구에 생기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리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받이면으로부터 빠짐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 단자가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이다.
상기 지지구의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상기 받이면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 놓아지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지지구에 생기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린다. 상기 지지구의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상기 받이면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받이면으로부터 빠짐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 단자가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에 대해서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린 위치에 있으면 양자는 감합하고 있지 않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된 위치에 있으면 양자는 감합하고 있다. 게다가, 밀어 넣는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양 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리테이너에 대한 위치에 의해,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고 있는지 아닌지가 확인되므로,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리테이너에 불완전 감합하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된다. 또, 상기 리테이너에는 상기 공보의 상기 걸림 암에 상당하는 부재가 없으므로, 상기 리테이너가 비교적 간단한 구조가 된다.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할 때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미는 것만으로 좋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고 나서 예를 들면 락 부재 등의 부속 부재를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거나, 상기 부속 부재를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고 나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거나, 양쪽 모두를 동시에 밀어 넣거나 하는 등 복수의 패턴으로부터 작업자가 작업 내용을 선택한다고 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작업 내용의 차이로부터 불완전 감합이 발생한다고 하는 우려가 적다.
상기 제1 형태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될 때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 놓아지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리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전기 단자와 상기 스퀴브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했으므로, 불완전 감합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리테이너에 상기 공보의 상기 걸림 암에 상당하는 부재를 마련하는 필요성을 없게 하여 상기 리테이너를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었다.
2)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중 제2 형태에 관한 것은, 상기 제1 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의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받이면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있지 않을 때는, 상기 전기 단자가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기에 이르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지지구에 생기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렸을 때에, 상기 전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와 상기 스퀴브 단자가 접촉하기에 이르지 않으므로, 상기 스퀴브가 예기치 않게 상기 전기 커넥터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받는 것이 회피된다. 따라서, 상기 리테이너 등에 상기 단락편을 마련하지 않은 것도 가능해진다.
상기 제2 형태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1 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또, 상기 전기 커넥터와 상기 리테이너가 불완전 감합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기 단자와 상기 스퀴브 단자가 도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중 제3 형태에 관한 것은, 상기 제1 형태의 전기 커넥터 또는 상기 제2 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반감합측으로 뽑아 내어지면, 상기 지지구의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받이면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를 타고 넘고 나서 상기 지지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받이면을 타고, 상기 받이면에 부딪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반감합측으로 뽑아 냄으로써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리테이너로부터 빠진다.
상기 제3 형태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반감합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리테이너로부터 뽑을 수 있다.
4)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중 제4 형태에 관한 것은,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 3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가요성이 있는 락 암이 상기 반감합 방향 또는 상기 감합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상기 락 암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리테이너에 끼워 가면 상기 소켓 또는 상기 리테이너의 벽에 올라 앉고 나서 상기 소켓 또는 상기 리테이너의 단차부에 걸리고, 상기 락 암이 휘어짐으로써 상기 단차부로부터 빠지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단차부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단차부에 걸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제4 형태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중 어느 하나 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단차부에 걸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5) 본 발명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 중 하나의 형태에 관한 것은,
감합측의 표면으로부터 반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소켓이 마련된 인플레이터 하우징, 스퀴브 단자가 상기 소켓의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도록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반감합측에 마련된 스퀴브, 및 상기 소켓에 장착된 리테이너를 가지는 상대 장치와,
상기 상대 장치에 감합하게 되는 전기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게 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게 되는 전기 단자와,
반감합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서 감합 방향에 교차하는 부딪힘 해제 방향 및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변위하는 부딪힘부가 상기 감합측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부딪힘부의 상기 변위에 의해 복원력을 일으키는 지지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구의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서의, 단부 가장자리가 반감합측을 향해 움푹 패이는 받이면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 놓아지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지지구에 생기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리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받이면으로부터 빠짐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 단자가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퀴브의 접속 장치이다.
상기 지지구의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상기 받이면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 놓아지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지지구에 생기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린다. 상기 지지구의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상기 받이면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부딪힘부가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받이면으로부터 빠짐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 단자가 상기 스퀴브 단자에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에 대해서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린 위치에 있으면 양자는 감합하고 있지 않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된 위치에 있으면 양자는 감합하고 있다. 게다가, 밀어 넣는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양 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리테이너에 대한 위치에 의해,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하고 있는지 아닌지가 확인되므로,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리테이너에 불완전 감합하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된다. 또, 상기 리테이너에는 상기 공보의 상기 걸림 암에 상당하는 부재가 없기 때문에, 상기 리테이너가 비교적 간단한 구조가 된다.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리테이너에 감합할 때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미는 것만으로 좋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고 나서 예를 들면 락 부재 등의 부속 부재를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거나, 상기 부속 부재를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고 나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감합측으로 밀어 넣거나, 양쪽 모두를 동시에 밀어 넣거나 하는 등 복수의 패턴으로부터 작업자가 작업 내용을 선택한다고 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작업 내용의 차이로부터 불완전 감합이 발생한다고 하는 우려가 적다.
상기 형태의 스퀴브의 접속 장치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에게 감합될 때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 놓아지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반감합 방향에 되밀리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전기 단자와 상기 스퀴브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했으므로, 불완전 감합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리테이너에 상기 공보의 상기 걸림 암에 상당하는 부재를 마련하는 필요성을 없게 하여 상기 리테이너를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는 스퀴브의 접속 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 및 상기 스퀴브의 접속 장치는,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특징을 조합시킨 실시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는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 및 상기 스퀴브의 접속 장치의 몇 개의 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기재에 의해서 본 발명의 상기 전기 커넥터, 및 상기 스퀴브의 접속 장치가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6)

  1. 감합(嵌合, 끼워 맞춤)측의 표면으로부터 반감합(反嵌合)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소켓이 마련된 인플레이터(inflator) 하우징, 스퀴브(squib) 단자가 상기 소켓의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도록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반감합측에 마련된 스퀴브, 및 상기 소켓에 장착된 리테이너(retainer)를 가지는 상대 장치에 감합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하게 되는 커넥터 하우징(110)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마련되며,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게 되는 전기 단자(120)와,
    반감합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대해서 감합 방향에 교차하는 부딪힘 해제 방향 및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변위하는 부딪힘부(131)가 상기 감합측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부딪힘부(131)의 상기 변위에 의해 복원력을 일으키는 지지구(支持具, 130)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구(130)의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리테이너(400)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에서의, 단부 가장자리가 반감합측을 향해 움푹 패이는 받이면(441)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400)로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 놓아지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지지구(130)에 생기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리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받이면(441)으로부터 빠짐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 단자(120)가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130)의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받이면(441)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있지 않을 때는, 상기 전기 단자(120)가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는데 이르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100).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반감합측으로 뽑아 내어지면, 상기 지지구(130)의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받이면(441)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를 타고 넘고 나서 상기 지지구(13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받이면(441)을 타고, 상기 받이면(441)에 부딪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100).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반감합측으로 뽑아 내어지면, 상기 지지구(130)의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받이면(441)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를 타고 넘고 나서 상기 지지구(13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받이면(441)을 타고, 상기 받이면(441)에 부딛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100).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으로부터, 가요성(可撓性)이 있는 락 암(600)이 상기 반감합 방향 또는 상기 감합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상기 락 암(600)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을 상기 리테이너(400)에 끼워 가면 상기 소켓(210) 또는 상기 리테이너(400)의 벽에 올라 앉고 나서 상기 소켓(210) 또는 상기 리테이너(400)의 단차부에 걸리고, 상기 락 암(600)이 휨으로써 상기 단차부로부터 빠지는 돌출부(62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하면 상기 돌출부(620)가 상기 단차부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100).
  6. 감합측의 표면으로부터 반감합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소켓(210)이 마련된 인플레이터 하우징(200), 스퀴브 단자(310)가 상기 소켓(210)의 저부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세워지도록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의 반감합측에 마련된 스퀴브(300), 및 상기 소켓(210)에 장착된 리테이너(400)를 가지는 상대 장치(A)와,
    상기 상대 장치(A)에 감합하게 되는 전기 커넥터(100)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하게 되는 커넥터 하우징(110)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마련되며,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게 되는 전기 단자(120)와,
    반감합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대해서 감합 방향에 교차하는 부딪힘 해제 방향 및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변위하는 부딪힘부(131)가 상기 감합측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부딪힘부(131)의 상기 변위에 의해 복원력을 일으키는 지지구(130)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구(130)의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리테이너(400)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00)에서의, 단부 가장자리가 반감합측을 향해 움푹 패이는 받이면(441)에 부딛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400)로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 놓아지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지지구(130)에 생기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반감합 방향으로 되밀리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감합측으로 밀려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부딪힘부(131)가 상기 부딪힘 해제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받이면(441)으로부터 빠짐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이 상기 리테이너(400)로 상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 상기 리테이너(400)에 감합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 단자(120)가 상기 스퀴브 단자(310)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퀴브의 접속 장치.
KR1020140076397A 2013-07-01 2014-06-23 전기 커넥터, 및 스퀴브의 접속 장치 KR102144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38466A JP6279846B2 (ja) 2013-07-01 2013-07-01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JPJP-P-2013-138466 2013-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671A true KR20150003671A (ko) 2015-01-09
KR102144862B1 KR102144862B1 (ko) 2020-08-14

Family

ID=51063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397A KR102144862B1 (ko) 2013-07-01 2014-06-23 전기 커넥터, 및 스퀴브의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47971B2 (ko)
EP (1) EP2822107B1 (ko)
JP (1) JP6279846B2 (ko)
KR (1) KR102144862B1 (ko)
CN (1) CN1042830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9285A1 (ja) * 2012-10-30 2014-05-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EP2917975B1 (en) * 2012-11-12 2020-07-01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assembly with automatic secondary lock
JP6279846B2 (ja) * 2013-07-01 2018-0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CN203660180U (zh) * 2013-12-06 2014-06-1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连接器固定件及应用此连接器固定件的连接器模块
US9356394B2 (en) 2013-12-11 2016-05-31 JAE Oregon, Inc. Self-rejecting connector
JP6407819B2 (ja) * 2015-07-31 2018-10-17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コンポーネント
US9705228B2 (en) * 2015-08-20 2017-07-11 Delphi Technologies, Inc. Connector system with disconnection evident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feature
JP2017199497A (ja) * 2016-04-26 2017-11-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端子接触防止機構を備えた電源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る電源コネクタ装置
DE102016114166B3 (de) * 2016-08-01 2017-12-14 Kathrein-Werke Kg Knickschutzanordn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des Knickschutzes
FR3059478A1 (fr) * 2016-11-30 2018-06-01 Tyco Electronics France Sas Connecteur electrique pour un systeme de retenue de securite
EP3396789B1 (en) * 2017-04-27 2021-03-03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for airbag restraint systems
JP2019040729A (ja) * 2017-08-24 2019-03-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DE102019110695A1 (de) * 2018-04-27 2019-10-3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Verbinder und verbinderanschluss zur verwendung in dem verbinder
JP6927248B2 (ja) * 2019-04-25 2021-08-25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ロック部材
DE102019117473A1 (de) * 2019-06-28 2020-12-31 Tesat-Spacecom Gmbh & Co. Kg Schaltungsanordnung bestehend aus zwei miteinander verbundenen Hochfrequenzkomponenten
EP3772782A1 (en) * 2019-08-05 2021-02-10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for watertight connection
CN211150950U (zh) * 2020-01-03 2020-07-31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电连接器组件
US11688959B2 (en) * 2021-08-11 2023-06-27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Positive lock sealed terminal conne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9145A (ja) * 1996-12-24 1998-07-21 Yazaki Corp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2001126814A (ja) * 1999-10-26 2001-05-11 Yazaki Corp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2010537370A (ja) * 2007-08-13 2010-12-0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エアバッグコネクタ
WO2012143570A1 (en) * 2011-04-22 2012-10-26 Fci Automotive Holding Airbag connec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12059D0 (en) * 1990-05-30 1990-07-18 Amp Great Britain Electrical connector short circuiting arrangements
DE4317344A1 (de) * 1993-05-25 1994-12-01 Framatome Connectors In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19513358C1 (de) * 1995-04-08 1996-08-08 Amphenol Tuchel Elec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S5616045A (en) * 1995-07-14 1997-04-01 Augat Inc. Squib connector for automotive air bag assembly
US5924885A (en) * 1997-07-10 1999-07-20 Framatome Connectors Interlock, Inc. Axial connection with position assurance system
JP2003527726A (ja) * 1998-07-15 2003-09-16 トーマス アンド ベッツ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ク. エアバッグ・ガス・ジェネレータ用コネクタ
DE19851301C2 (de) 1998-11-06 2001-05-17 Framatome Connectors In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für Zünder
EP1137115A3 (de) * 2000-01-25 2002-04-10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Kontaktträger
KR100564091B1 (ko) * 2000-03-01 2006-03-27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접속 시스템
US6676452B2 (en) * 2001-04-09 2004-01-13 Methode Electronics, Inc. Unlock proof squib connector
JP3607883B2 (ja) * 2001-06-22 2005-01-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JP4005385B2 (ja) * 2002-02-25 2007-11-0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点火装置用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短絡組立体
US20040002248A1 (en) * 2002-06-26 2004-01-01 Fci Americas Technology, Inc. Filtered electrical connector
US20040002253A1 (en) * 2002-06-28 2004-01-01 Slobodan Pavlovic Electrical connector with spring back/self rejection feature
US20040192098A1 (en) * 2002-06-28 2004-09-30 Slobodan Pavlovic Electrical connector with spring back/self rejection feature
DE20221894U1 (de) * 2002-07-06 2009-03-19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JP4047705B2 (ja) * 2002-11-18 2008-02-1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スクイブのシャント
US6705886B1 (en) * 2003-01-23 2004-03-16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US6811424B2 (en) * 2003-03-26 2004-11-0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US7004778B2 (en) * 2003-07-07 2006-02-28 Kent Barker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irbag inflator
US6997750B2 (en) * 2003-07-23 2006-02-14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contact
JP3814268B2 (ja) * 2003-09-22 2006-08-2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的接続装置
JP2005116395A (ja) * 2003-10-09 2005-04-28 Jst Mfg Co Ltd 電気的接続装置
DE102004020933B3 (de) * 2004-04-28 2005-12-29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er, insbesondere Zündpillenstecker
DE102004023446B3 (de) * 2004-05-12 2005-12-29 Fci Steckverbinder und Verfahren seiner Vormontage
DE102004031464B3 (de) * 2004-06-30 2006-02-09 Tyco Electronics Amp Gmbh Verriegelbare Steckverbindung
JP4259452B2 (ja) * 2004-10-26 2009-04-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04060734B4 (de) * 2004-12-15 2008-10-16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Kontaktsicherung für Steckverbinder mit Schutzeinrichtung gegen Störeinflüsse
DE102005001515B4 (de) * 2005-01-13 2008-01-31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102005004920B3 (de) * 2005-02-02 2006-08-17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Kontaktsicherung für Steckverbinder mit einer Kurzschlussbrücke mit integriertem Schaltelement
DE102005007066B3 (de) 2005-02-16 2006-10-05 Tyco Electronics Amp Gmbh Miniaturisierte elektrische Steckereinheit mit verbesserter Crimpbarkeit
DE102005015155B4 (de) * 2005-04-02 2007-10-31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für Fahrzeugrückhaltesysteme
DE102005021375B4 (de) * 2005-05-04 2007-02-01 Yazaki Europe Ltd., Hemel Hempstead Steckverbinder, insbesondere für Airbag-Zündsysteme
CN101194398B (zh) * 2005-06-08 2010-08-18 Fci公司 用于气囊点火器的电连接器组件
US7131854B1 (en) * 2005-08-31 2006-11-07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airbag apparatus having an electrical connector
DE102005043903B3 (de) * 2005-09-14 2007-03-01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er
EP1938428B1 (en) * 2005-09-19 2011-03-30 Molex Incorporated Connection system and squib connector therefore
US7344403B2 (en) * 2006-01-31 2008-03-18 Fci Americas Technology, Inc. Squib connector with improved cover connection
JP4713380B2 (ja) * 2006-03-24 2011-06-29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防水型スクイブコネクタ
JP4752606B2 (ja) * 2006-05-15 2011-08-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SG141248A1 (en) * 2006-09-08 2008-04-28 Mea Technologies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US7306474B1 (en) * 2006-10-16 2007-12-11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scoop proof dome
ATE551756T1 (de) * 2007-04-23 2012-04-15 Fci Automotive Holding Abdichtbares squib-verbindersystem
JP5058696B2 (ja) * 2007-07-19 2012-10-24 矢崎総業株式会社 ロック式コネクタ
JP5173485B2 (ja) * 2008-02-25 2013-04-0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防水型電気コネクタ
JP5075730B2 (ja) * 2008-04-30 2012-11-2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シール部材保護キャップおよびコネクタ
US8545262B2 (en) * 2008-12-16 2013-10-01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A.R.L. Shorting clip for an airbag ignition system
EP2440433B1 (en) * 2009-06-09 2017-04-05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 r.l. Connector for a safety restraint system
DE102010029670A1 (de) * 2010-06-02 2011-12-08 Tyco Electronics Amp Gmbh Verbinderbaugruppe für einen elektrischen Steckverbinder,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nd konfektioniertes elektrisches Kabel
JP2012022990A (ja) 2010-07-16 2012-02-02 Yazaki Corp コネクタ
JP5559635B2 (ja) * 2010-08-09 2014-07-2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防水型電気コネクタ、防水型電気コネクタの組み立て方法
EP2705579B1 (en) 2010-10-29 2017-01-04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 r.l. Connector assembly
DE102011050773B4 (de) * 2011-05-31 2016-05-25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sowie System aus einem Steckverbinder und einer Dose mit einem korrespondierenden Rastabschnitt
JP2013077407A (ja) * 2011-09-30 2013-04-25 Jst Mfg Co Ltd 防水型コネクタ
JP5957346B2 (ja) * 2012-09-12 2016-07-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42168B2 (ja) * 2012-10-17 2016-1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JP2014110182A (ja) 2012-12-03 2014-06-12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JP6279846B2 (ja) * 2013-07-01 2018-0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US9614323B2 (en) * 2013-07-31 2017-04-04 J.S.T.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EP2840664B1 (en) * 2013-08-20 2016-06-08 Delphi Technologies, Inc. Connector assembly with spring operated secondary lock
JP6170808B2 (ja) * 2013-10-23 2017-07-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US8968021B1 (en) * 2013-12-11 2015-03-03 JAE Oregon, Inc. Self-rejecting automotive harness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9145A (ja) * 1996-12-24 1998-07-21 Yazaki Corp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2001126814A (ja) * 1999-10-26 2001-05-11 Yazaki Corp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2010537370A (ja) * 2007-08-13 2010-12-0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エアバッグコネクタ
WO2012143570A1 (en) * 2011-04-22 2012-10-26 Fci Automotive Holding Airbag connec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11934A (ja) 2015-01-19
EP2822107B1 (en) 2020-10-21
JP6279846B2 (ja) 2018-02-14
CN104283065B (zh) 2018-04-27
EP2822107A1 (en) 2015-01-07
CN104283065A (zh) 2015-01-14
KR102144862B1 (ko) 2020-08-14
US20150004828A1 (en) 2015-01-01
US9147971B2 (en) 201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3671A (ko) 전기 커넥터, 및 스퀴브의 접속 장치
JP6939530B2 (ja) コネクタ
CN110021854B (zh) 连接器壳体以及连接器
JP2014110182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JP6042168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JP6475669B2 (ja) コネクタ
JP4876985B2 (ja) コネクタ
EP3229321B1 (en) Power source connector device
JP6708025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5510346B2 (ja) コネクタ
TW201902037A (zh) 電連接器與電連接器裝置
JP6193745B2 (ja) 電気コネクタ、ハーネス、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JP2017091761A (ja) コネクタ
JP2018018734A (ja) コネクタ
CN109792122B (zh) 连接器组件
US9196993B2 (en) Connector unit
TWI591909B (zh) 電連接器
JP6282524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2134004A (ja) コネクタ
JP6265383B2 (ja) コネクタ構造
CN114762196B (zh) 连接器
JP6516208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JP7306885B2 (ja) コネクタ
JP4010531B2 (ja) 半嵌合検知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