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166A - 페이퍼 홀더 - Google Patents

페이퍼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166A
KR20140145166A KR1020147029454A KR20147029454A KR20140145166A KR 20140145166 A KR20140145166 A KR 20140145166A KR 1020147029454 A KR1020147029454 A KR 1020147029454A KR 20147029454 A KR20147029454 A KR 20147029454A KR 20140145166 A KR20140145166 A KR 20140145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surface portion
paper
back surface
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쓰카사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아이 테크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아이 테크노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아이 테크노스
Publication of KR20140145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06Fasteners comprising two co-operating jaws closed by spring action and that can be manually opened, e.g.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5/00Suspended filing appliances
    • B42F15/0011Suspended filing appliances for sheets, stacks of temporarily bound sheets
    • B42F15/0017Suspended filing appliances for sheets, stacks of temporarily bound sheets for filing individual loose sheets
    • B42F15/0023Suspended filing appliances for sheets, stacks of temporarily bound sheets for filing individual loose sheets with single 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5/00Suspended filing appliances
    • B42F15/0011Suspended filing appliances for sheets, stacks of temporarily bound sheets
    • B42F15/0017Suspended filing appliances for sheets, stacks of temporarily bound sheets for filing individual loose sheets
    • B42F15/0023Suspended filing appliances for sheets, stacks of temporarily bound sheets for filing individual loose sheets with single suspension means
    • B42F15/0029Suspended filing appliances for sheets, stacks of temporarily bound sheets for filing individual loose sheets with single suspension means suspended in the midd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0Paper fastener
    • Y10T24/202Resiliently biased
    • Y10T24/203Resiliently biased including means to open or close fastener
    • Y10T24/204Pivotally mounted on pintle

Abstract

생산 공장 등의 업무 스페이스에서, 여러 장의 종이를 매단 상태에서 확실하게 유지하고, 사용하는데 적합하며 또한 유지된 종이류는 시인하기 쉽고, 사용하기가 보다 뛰어난 페이퍼 홀더를 제공한다.
정면부(11)와, 상기 정면부와 공간을 사이에 두고 거의 평행하게 대향하는 배면부(13)와, 정면부와 배면부를 연결하는 상면부(12)와, 정면부와 배면부 사이에 하측으로부터 종이류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17)를 구비한 케이스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된 축지부(15)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종이류의 뽑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이 제공되어, 정면부의 측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칼(40)이 설치된 유지편(20)을 구비한다. 배면부(13)는 정면부(11)의 하측 단부(11a)보다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연장 배면부(13c)를 구비하고, 연장 배면부(13c)의 하측 단부로부터 종이류의 삽입 방향을 향하여 측면에서 볼 때 거의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경사면부(14)를 구비하고, 정면부(11)는 투명성을 갖는다.

Description

페이퍼 홀더{PAPER HOLDER}
본 발명은 동시에 여러 장의 종이류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매단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종이류가 탈락하지 않고, 앞쪽에서 한장씩 확실하게 뽑을 수 있고, 또한 뽑힌 종이에는 직선 형상의 깨끗한 인렬(引裂) 자국이 남는 페이퍼 홀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종이류를 끼워서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페이퍼 홀더로서는 각종의 것이 있지만, 그 기본 구조로서 케이스의 한쪽 측에 종이류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를 갖는 동시에, 케이스의 내부에 종이류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인의 출원에 따른 특허문헌 1에는 「저면부를 포함하는 받침부와, 저면부와 공간을 사이에 두고 거의 평행하게 대향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전단(前端)에 측면에서 볼때 대략 U자 형상을 한 전단 정면부를 갖는 상덮개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체화되어 상기 전단 정면부의 하방에 종이류의 삽입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된, 삽입된 종이류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편과, 상기 유지편에 대하여 상기 종이류의 뽑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유지편에 설치된 칼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지편은 강성을 갖는 판형상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단 정면부의 내측에 설치된 축지부(shaft support part)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축지부로부터 상기 저면부측으로 연장되는 기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칼은 상기 유지편에 대하여 칼의 수직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칼 고정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칼 고정 부재는 상기 기판부의 종이류 삽입 방향측의 면에 칼의 선단부가 상기 기판부의 상기 저면부측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저면부의 내면에 삽입된 종이류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부를 구비한, 페이퍼 홀더」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페이퍼 홀더에 의하면, 「종이류는 확실하게 유지되고, 유지된 종이를 위에서 한 장씩 확실하게 뽑을 수 있다. 그리고, 뽑힌 종이에는 칼에 의한 직선 형상의 깨끗한 인렬 자국이 남고, 먼지가 발생하기 어렵다」는 효과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31502호
본 발명은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페이퍼 홀더를 개량한 것으로, 생산 공장, 수송 등의 상업 활동, 사무소 등의 업무 스페이스에서, 여러 장의 종이를 매단 상태에서 확실하게 유지하고, 사용하는데 적합하며 또한 유지된 종이류는 시인(視認)하기 쉽고, 사용하기에 보다 뛰어난 페이퍼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정면부와, 상기 정면부와 공간을 사이에 두고 거의 평행하게 대향하는 배면부와, 상기 정면부와 상기 배면부를 연결하는 상면부와, 상기 정면부와 상기 배면부 사이에 하측으로부터 종이류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를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축지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종이류의 뽑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이 제동된 유지편으로서, 그 단부로부터 상기 정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칼이 설치된 유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칼의 선단부를 상기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종이류에 접촉시켜 종이류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페이퍼 홀더로서, 상기 배면부는 상기 정면부의 하측 단부보다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연장 배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 배면부의 하측 단부로부터 상기 종이류의 삽입 방향을 향하여 측면에서 볼 때 거의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경사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지부는 상기 경사면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정면부는 투명성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페이퍼 홀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산 공장, 수송 등의 상업 활동, 사무소 등의 업무 스페이스에서, 종이류를 매단 상태에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종이류는 유지편에 작용하는 탄성 부재의 스프링력에 의해, 칼의 선단부를 삽입된 종이류에 찌른 상태에서 확실하게 유지되고, 유지된 종이를 앞쪽(정면부측)에서 한 장씩 확실하게 뽑을 수 있고, 뽑힌 종이에는 직선 형상의 깨끗한 인렬 자국이 남고, 먼지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배면부는 정면부의 하측 단부보다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연장 배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 배면부의 하측 단부로부터 종이류의 삽입 방향을 향하여 측면에서 볼 때 거의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경사면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종이류를 삽입할 때 종이류는 원활하고 확실하게 삽입구로 유도되어 사용하기가 좋다.
그리고, 정면부는 투명성을 가지며, 복수의 종이 중 뽑는 순서가 가장 최초가 되는 앞쪽(정면부측)의 종이와 정면부 사이에는 유지편 그 외의 부재가 전혀 개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유지된 가장 앞쪽의 종이류 전면(全面)을 정면부를 통하여 시인할 수 있어 사용하기가 좋다.
도 1은 페이퍼 홀더(1)의 측면도이다.
도 2는 페이퍼 홀더(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유지편(20) 및 축지부(15)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탄성 부재(3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칼(40)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칼 고정 부재(50)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페이퍼 홀더(1)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페이퍼 홀더(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페이퍼 홀더(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페이퍼 홀더(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케이스>
페이퍼 홀더(1)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에 내장되는 유지편(20)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10)는 정면부(11)와, 정면부(11)와 공간을 사이에 두고 거의 평행하게 대향하는 배면부(13)와, 정면부(11)와 배면부(13)를 연결하는 상면부(12)를 구비하고 있고, 상면부(12)는 정면부와 일체로 연설(連設)되어 있고, 정면부(11) 및 상면부(12)와, 배면부(13)라는 2종의 다른 단면을 갖는 합성 수지의 성형품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양자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일체화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정면부(11)와 배면부(13) 사이에 하측으로부터 종이류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17)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부(13)의 양측에는 장출부(13e)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장출부(張出部; 13e)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판재 등에 페이퍼 홀더(1)를 부착하여 사용할 때의 부착부로서 기능한다.
케이스(10)의 크기는 한정되지 않지만 일례로서 정면 방향에서 보아 그 높이는 3 내지 6cm 정도, 깊이는 2 내지 3cm 정도, 폭은 4cm 내지 7cm(배면부(13)의 장출부를 포함한다) 정도의 것을 들 수 있다.
상면부(12)와, 배면부(13)의 상부가 걸려 양자가 결합하여 케이스(10)를 형성하고 있다.
상면부(12)의 내면에는 배면부(13)측에 있는 갈고랑 형상부(12a)로부터 다소 거리를 두고 전후 2단으로 돌출한 돌출편(12b,12c)이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의 걸림부(12d,12e)와, 배면부(13) 상부의 내면에 전후 2단으로 형성된 걸림부(13a,13b)가 서로 걸려 일체화되어 있다.
케이스(10)는 경질의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정면부(11)와, 상기 정면부(11)의 상단에 연설되어 상면부(12)가 일체로 성형된 피스와, 상면부(12)에 형성된 걸림부(12d,12e)와 착탈 가능하게 걸려 일체화되는 배면부(13)로 구성되어 있고, 정면부(11)를 배면부(13)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분리 가능하다.
그리고, 케이스(10)의 적어도 정면부(11)는 투명성을 갖고, 정면부(11)의 내측을 시인할 수 있다.
배면부(13)는 정면부(11)의 하측 단부(11a)보다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연장 배면부(13c)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 중, 배면부(13)의 길이(h1)로부터 정면부(11)의 길이(h2)를 뺀 길이(h3)의 영역이 연장 배면부(13c)이다.
그리고, 상기 연장 배면부(13c)의 하측 단부로부터, 측면에서 볼 때 거의 V자 형상으로 종이류의 삽입 방향(케이스(10)의 상방)을 향하여 측면에서 볼 때 거의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경사면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부(14)의 상방 단부(14a)와 정면부(11) 사이에 종이류의 삽입구(17)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부(14)의 상방 단부(14a) 근처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유지편(20)이 지지되기 위한 축지부(15)가 경사면부(14)로부터 그 내방 공간(배면부(13)와 경사면부(14) 사이의 공간)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축지부(15)는 경사면부(14)의 가로 폭보다 짧은 가로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축지부(15)에는 샤프트(도시 생략)를 삽입 가능한 구멍이 가로 방향(케이스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정면부(11)는 그 외면이 평탄면인데 반해, 정면부(11)의 내면에는 삽입구(17) 근방의 위치(경사면부(14)의 상방 단부(14a) 근방)로부터, 종이류가 미삽입 상태에서의 칼의 선단부(43) 근방의 위치를 향하여 완만한 음의 구배(勾配)(앞쪽으로의 구배)가 되는 전방 경사면부(1lb)와, 종이류가 미삽입 상태에서의 칼의 선단부(43) 근방의 위치로부터, 종이류의 삽입 방향을 향하여 완만한 양의 구배(배면측으로의 구배)가 되는 후방 경사면부(11c)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경사면부(1lb)의 하방측은 전방 경사면부(1lb)의 꼭대기부로부터 완만한 음의 구배가 되는 경사면부(11d)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경사면부(1lb) 및 후방 경사면부(11c)의 각 구배(경사각)는 6 내지 20°, 전방 경사면부(1lb) 및 후방 경사면부(11c) 각각의 고저차(종이류가 미삽입 상태에서의 칼의 선단부(43)가 위치하는 정면부(11)의 내면 레벨을 기준으로 한 각 경사면부 꼭대기부까지의 높이)는 0.8 내지 3mm, 또한 전방 경사면부(1lb) 및 후방 경사면부(11c) 각각의 길이는 4 내지 10mm, 전방 경사면부(1lb)의 꼭대기부와 후방 경사면부(11c)의 꼭대기부 사이의 길이는 12 내지 22mm의 범위가 종이류의 삽입 용이함과 탈락의 어려움 두 가지 양립을 보다 정확하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전방 경사면부(1lb)와 후방 경사면부(11c)를 형성함으로써, 정면부(11)의 내면에 측면에서 볼 때 전체로서 완만한 만곡을 보이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전방 경사면부(1lb)의 꼭대기부와 후방 경사면부(11c)의 꼭대기부 사이(중간부)에 칼의 선단부(43)가 위치한다. 전방 경사면부(1lb)와 후방 경사면부(11c)는 측면에서 볼 때 직선 형상 외에, 완만한 곡선으로 활 형상 또는 호(弧)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칼의 선단부(43)가 위치하는 전방 경사면부(1lb)와 후방 경사면부(11c) 사이에 형성된 정면부측을 향한 오목부는 칼의 선단부(43)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기 위한 것이다.
경사면부(14)의 상방 단부(14a)는 전방 경사면부(1lb)와 거의 평행하게 형성되고, 측면에서 볼 때 종이류의 삽입구(17)가, 종이류가 미삽입 상태에서의 칼의 선단부(43) 근방의 위치를 향하여 비스듬한 형상으로 연장되는 통로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통로가 종이류를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할 때 종이류를 유도하는 통로가 된다. 경사면부(14)의 상단에서의 종이류 삽입 방향측의 선단부(14b)는 후술하는 유지편(20)의 기판부(21)의 종이류 뽑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스톱퍼로서 기능한다.
<유지편>
유지편(20)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된 축지부(15)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또한 종이류의 뽑는 방향에 탄성 부재(30)에 의해 스프링력이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지편(20)에는 그 단부(정면부측의 단부)로부터 칼(40)의 선단부(43)가 정면부(11)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칼(40)이 설치되어 있다.
유지편(20)은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가공된 필요한 강성을 갖는 판형상체로 이루어지고, 경사면부(14)의 내측에 설치된 축지부(15)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축지부(15)로부터 정면부(11)측으로 연장되는 기판부(21)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편(20)은 강성을 갖는 판형상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판형상체의 가공 등에 의해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유지편(20)은 예를 들면 두께 0.1 내지 0.3mm 정도의 SK재, 스테인레스강재 등의 금속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유지편(20)의 가로 폭은 일례로서 2 내지 4cm 정도이다.
유지편(20)은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자 형상으로 굴곡되고, 기판부(21)에 이어져 있는 부착면부(22)를 구비하고, 기판부(21)와 부착면부(22)가 R형상으로 만나는 굴곡부 근방에서 축지부(15)에 지지되어 있다.
유지편(20)은 경사면부(14)의 내측에 설치된 축지부(15)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축지부(15)로부터 정면부(11)측으로 연장되는 기판부(21)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정면부(11)와 배면부(13)에 형성되는 공간을 최대한 유효하게 이용하여 유지편(20)이 배치되어 있고, 물품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또한 한정된 좁은 공간 내에서 유지편(20)(및 칼)의 회동 반경을 크게 할 수 있어, 종이류의 삽입, 뽑기 시에 유지편(20)의 원활하고 안정적인 동작이 확보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편(20)의 부착면부(22)의 양단부는 직각으로 굴곡되고, 샤프트를 통하기 위한 축 삽입 구멍(22a)을 갖는 부착부(22b,22b)가 형성되어 있다. 축지부(15)의 좌우 양단부에 부착부(22b,22b)를 위치시키고, 샤프트(도시 생략)를, 축지부(15)의 구멍 및 부착부(22b)의 축 삽입 구멍(22a)을 관통시켜 적절히 정지구(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 통형상체 등)로 정지시킴으로써 유지편(20)이 축지부(15)에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유지편(20)은 케이스(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또한, 유지편(20)의 기판부(21) 단부(정면부측)는 종이류의 삽입 방향측을 향하여 굴곡되어 굴곡부(26)를 형성하고 있고, 또한 후술하는 칼 고정 부재(50)를 소정 위치(세로 방향)에 세트하기 위한 걸림부(27)가 연설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27)를 후술하는 칼 고정 부재(50)에 걸어 고정한다.
또한, 유지편(20)의 기판부(21) 좌우 양단에는 후술하는 칼 고정 부재(50)를 소정 위치(가로 방향)에 세트하기 위한 걸림부(28)가 연설되어 있다.
굴곡부(26)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칼 고정 부재(50)에 고정된 칼이 삽입하는 슬릿(26a)이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26) 및 걸림부(27)는 후술하는 칼 고정 부재(50)의 세로 방향의 위치 결정부가 되고, 슬릿(26a) 및 걸림부(28)는 칼(40)이 설치된 칼 고정 부재(50)의 가로 방향의 위치 결정부가 된다. 슬릿(26a)을 통하여 기판부(21)의 저면부측의 단부로부터 칼(40)의 선단부(43)가 돌출된다.
<탄성 부재>
탄성 부재(30)는 유지편(20)에 대하여 종이류의 뽑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다. 코일 스프링(30)의 선재 양단은 접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한쪽 단부가 후술하는 칼 고정 부재(50)에 설치한 구멍에 삽입되는 동시에, 다른 단부가 배면부(13)의 내면에 접촉되어 있고, 이에 의해, 유지편(20)에 대하여 스프링력이 제공되도록 하고 있다.
<칼>
칼(40)은 커터 나이프의 칼에 사용되는 탄소 공구강(SK) 등 강제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그 두께는 통상 0.3 내지 1.2mm 정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40)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칼등부(41)와, 상기 칼등부(41)와 교차하여 예각 형상의 칼의 선단부(포인트)(43)를 형성하는 칼밑(엣지)(44)과, 칼등부(41)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앞칼날(45)(칼밑(44)의 근원)과, 이 앞칼날(45)의 근방으로부터 칼등부(41)를 향하여 경사져서 연장되는 경사변부(46)를 갖는다. 이 경사변부(46)의 경사각(β)은 거의 30 내지 60°의 범위이다. 칼(40)의 선단부(43) 각도는 통상 20 내지 40° 정도이다. 칼(40)의 칼밑(44) 길이는 일례로서 5 내지 10mm 정도이다.
칼(40)은 교차하여 예각 형상의 칼의 선단부(43)를 형성하는 칼등부(41)와 칼밑(44)과, 앞칼날(45)의 근방으로부터 칼등부(41)를 향하여 경사져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경사변부(46)를 갖는 형상이기 때문에, 케이스(1)가 좁은 내부 공간에 칼(40)이 합리적으로 배치되어, 칼(40)을 포함한 유지편(20)의 움직임이 케이스(1)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칼(40) 및 유지편(20)이 확실하게 동작한다.
<칼 고정 부재>
칼 고정 부재(50)는 칼(40)을 고정하고, 소정 위치에 유지하는 동시에 유지편(20)의 기판부(21)에 장착되는 부재이다. 칼 고정 부재(50)에는 칼(40)의 선단부(43)가 돌출되도록 칼(40)이 설치된다. 또한, 칼(40)은 기판부(21)의 면에 대하여 칼(40)의 수직 기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칼 고정 부재(50)에 고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 고정 부재(50)는 유지편(20)의 기판부(21)에 고정되는 평면부(저면부)(51)를 구비한 베이스부(52)와, 상기 베이스부(52)로부터 수직으로 기립하고, 칼(40)의 칼면(넓고 평평한 부분) 양 사이드에서 복부를 유지하는 칼(40)을 수용 고정하기 위한 기립부(53)를 갖는다. 기립부(53)는 칼(40)의 높이에 적합한 높이를 갖는다. 이 기립부(53)에는 칼(40)의 윤곽을 따른 슬릿(54)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54)에 칼(40)을 삽입, 고정하여 칼(40)의 베이스부(52)에 대한 수직 상태가 유지된다. 칼 고정 부재(50)는 합성 수지의 성형품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칼 고정 부재는 유지편(20)에 고정 가능한 베이스부(52)와, 상기 베이스부(52)로부터 수직으로 기립하고, 칼의 칼면을 양 사이드에서 유지하는 기립부(53)를 갖기 때문에 칼 고정 부재(50)의 구성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도 저렴하다.
칼(40)은 유지편(20)에 대하여 칼의 수직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칼 고정 부재(50)에 고정되고, 칼 고정 부재(50)는 기판부(21)의 종이류 삽입 방향측의 면에, 칼(40)의 선단부가 기판부(21)의 정면부(11)측 단부(슬릿(26a))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칼은 소정의 위치, 방향에 칼 고정 부재(50)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되는 동시에 칼 고정 부재(50)를 사용한 유지편(20)에 대한 부착, 조립이 간단하다.
칼 고정 부재(50)는 베이스부(52)의 평면부(51)에 있어서, 유지편(20)의 기판부(21)의 종이류 삽입 방향측의 내면에 고정된다. 기판부(21)의 하단 굴곡부(26)에 베이스부(52)를 맞추어 고정 부재(50)가 고정된다. 칼(40)은 기판부(21)의 면에 대하여 칼의 수직 기립 상태를 유지하여 고정되는 동시에, 기판부(21)의 슬릿(26a)를 통하여 정면부(11)측의 단부로부터 칼(40)의 선단부(43)가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칼(40)의 칼등부(41)는 기판부(21)을 따라 부착된다.
이때, 칼(40)은 교차하여 예각 형상의 칼의 선단부(43)를 형성하는 칼등부(41)와 칼밑(44)과, 앞칼날(45)의 근방으로부터 칼등부(41)를 향하여 경사져서 연장되는 경사변부(46)를 갖기 때문에, 케이스가 좁은 내부 공간에 칼(40)이 합리적으로 배치되어, 기판부(21)의 움직임에 따라 칼의 움직임이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칼등부(41)에 대향하는 측이 배면부(13)의 걸림부(13a) 등에 부딪치지 않고), 칼(40)을 포함한 유지편(20)이 확실하게 동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편(20) 기판부(21)의 굴곡부(26)에 연설된 걸림부(27)가 걸리게 할 수 있는 홈부(55)가 베이스부(52)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55)보다 단부측에는 선단이 육박(肉薄)한 테이퍼부(56)가 형성되어 있고, 칼 고정 부재(50)의 기판부(21)로 장착하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칼 고정 부재(50)는 유지편(20) 기판부(21)의 소정 위치에 확실하고 간단하게 장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에 칼 고정 부재(50)의 기판부(21)로의 고정은 양면 점착 테이프, 접착제, 그 외의 적절한 고정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 정면부(11)의 칼(40)의 선단부(43)가 위치하는 근방에는 적절히 평면 형상의 투공(透孔)(또는 오목부)(11e)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공(11e) 공간에 칼(40)의 선단부(43)가 들어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면부(14)의 상단에는 선단부(14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지편(20) 기판부(21)의 종이류 뽑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선단부(14b)가 스톱퍼가 되어 규제되기 때문에, 칼(40)의 선단부(43)는 정면부(11)에 접촉하지 않고, 손상 등으로부터 보호를 받는다.
또한, 칼(40)의 칼등부(41)는 유지편(20)의 기판부(21)를 따라 위치하고, 종이류 삽입 방향을 향하여 다소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이류의 삽입도 용이하게 행하여진다.
<설치>
페이퍼 홀더(1)의 설치 방향, 설치 장소, 설치 수단은 한정되지 않는다. 케이스(10)의 이면(정면부(11)의 외면)에 점착 테이프 등을 붙여 각종 벽부에 설치 할 수 있다. 유지해야 할 종이류의 사이즈에 따라 페이퍼 홀더(1)를 가로로 긴 판체 등에 옆으로 여러개 나란히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에 공장 등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사용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2개의 페이퍼 홀더(1)는 각각 배면부(13)의 양측에 형성된 장출부(13e)에서 판형상체(60)에 멈춤 나사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판형상체(60)에는 행거(61)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행거(61)를 적절히 개소에 걸리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호(70)는 종이류를 나타낸다.
<동작>
페이퍼 홀더(1)의 동작에 대하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종이류(70)를 삽입구(17)로부터 도면의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8은 삽입한 종이류(70) 가장 앞쪽의 한 장의 종이를 뽑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적절히 여러 장(통상, 5 내지 10장 정도)의 종이류(70)를 겹친 상태에서 삽입구(17)로부터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한다. 그러면, 종이류(70)의 전단부는 칼(40)의 칼등부(41)에 가볍게 닿고, 또한 유지편(20)에 대한 삽입구측으로의 탄성 부재(30)에 의한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삽입을 계속하면, 종이류(70)는 보다 내부로 진입한다. 이때, 유지편(20)의 기판부(21)는 축지부(15)를 지점으로 하여 도면 화살표 방향(삽입 방향측)으로 회동하고, 유지편(20)에 걸리는 스프링력은 칼(40)의 선단부(43)가 종이류(70)를, 정면부(11)와의 사이에서 협지하도록 작동한다. 칼(40)의 선단부(43)는 삽입된 종이류(70)의 배면부측에 위치하는 종이에 접촉하고, 통상 가볍게 찔린 상태가 된다. 종이류(70)의 선단은 후방 경사면부(11c)의 끝까지 삽입된다.
또한, 이렇게 삽입한 후, 종이류(70)를 전체를 하방으로 약간 당긴다. 유지편(20)은 거기에 걸리는 스프링력과 함께 당겨진 방향으로 돌아가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고, 종이류(70)는 그 전체가 칼(40)의 선단부(43)에 찔린 상태에서 정면부(11) 사이에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정면부(11)의 내면에는 삽입구(17) 근방의 위치(경사면부(14)의 상방 단부(14a))로부터 칼의 선단부(43) 근방의 위치를 향하여 완만한 음의 구배가 되는 전방 경사면부(1lb)와, 칼의 선단부(43) 근방의 위치로부터 종이류(70)의 삽입 방향을 향하여 완만한 정의 구배가 되는 후방 경사면부(11c)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삽입된 종이류(7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경사면부(1lb)와 후방 경사면부(11c) 사이(전방 경사면부(1lb)의 꼭대기부와 후방 경사면부(11c)의 꼭대기부 사이)에서, 측면에서 볼 때 하방으로 불룩한 활 형상으로 휘듯이 칼(40)의 선단부(43) 압압력이 작동한다. 그러므로, 여러 장의 종이류(7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이류(70)의 휘어짐이 없는 경우에 비해 각 종이끼리 마찰 저항이 증대하여 전체적으로 확실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페이퍼 홀더(1)는 세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바, 그렇게 세로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배면부측이나 중간에 위치하는 종이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방 경사면부(1lb)와 후방 경사면부(11c)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이류(70)의 휘어짐은 생기지 않으므로 종이의 탈락이 생기기 쉽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면부(14)의 상단은 전방 경사면부(1lb)와 거의 평행하게 형성되고, 측면에서 볼 때 종이류의 삽입구(17)가, 종이류가 미삽입 상태에서의 칼의 선단부(43) 근방의 위치를 향하여 비스듬한 형상으로 연장되는 통로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이류를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할 때, 상기 통로가 종이류를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으로 다소 비스듬히 유도하는 기능을 하고, 칼(40)의 칼등부(41)(및 선단부(43))에 대한 접촉각이 작아지기 때문에 칼(40)에 대한 저항이 작아지고, 종이류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전방 경사면부(1lb) 및 후방 경사면부(11c)는 완만한 구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르도록 종이류(70)는 유도되어 원활하게 삽입하고 뽑을 수 있다.
또한, 연장 배면부(13c)의 하측 단부로부터 종이류의 삽입 방향을 향하여 측면에서 볼 때 거의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경사면부(14)가 형성되고, 경사면부(14)의 상방 단부(14a)와 정면부(11) 사이에 종이류의 삽입구(1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이류(70)를 삽입할 때 종이류(70)는 원활하고 확실하게 삽입구(17)로 유도된다.
가장 앞쪽에 위치하는 종이가 불필요해진 경우, 상기 종이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17)로부터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뽑는다. 이때, 칼(40)의 선단부(43)는 종이류(70)에 찔린 상태에서 가장 앞쪽의 종이만 뽑히게 된다. 즉, 다른 종이는 탈락하지 않고 유지된 채 가장 앞의 종이만 뽑힌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정면부(11)의 내면에는 삽입구(17) 근방의 위치(경사면부(14)의 상방 단부(14a))로부터 칼의 선단부(43) 근방의 위치를 향하여 완만한 음의 구배가 되는 전방 경사면부(1lb)와, 칼의 선단부(43) 근방의 위치로부터 종이류의 삽입 방향을 향하여 완만한 정의 구배가 되는 후방 경사면부(11c)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종이류(7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경사면부(1lb)와 후방 경사면부(11c) 사이(전방 경사면부(1lb)의 꼭대기부와 후방 경사면부(11c)의 꼭대기부 사이)에서, 측면에서 볼 때 앞쪽에 불룩한 활 형상으로 휘듯이 칼(40)의 선단부(43) 압압력이 작동한다. 그러므로, 여러 장의 종이류(70)는 각 종이끼리 마찰 저항이 증대하여 전체적으로 확실하게 유지되고, 가장 위의 종이만 확실하게 뽑을 수 있다. 페이퍼 홀더(1)는 세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바, 그렇게 세로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배면부측이나 중간에 위치하는 종이도 함께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방 경사면부(1lb)와 후방 경사면부(11c)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이류(70)의 휘어짐은 생기지 않으므로 종이의 탈락이 생기기 쉽다.
뽑힌 가장 앞쪽에 위치하는 종이는 칼(40)의 선단부(43)가 찔린 상태에서 뽑히게 되므로, 칼(40)의 선단부(43)가 찔린 접촉점을 시점으로 하여 종이의 전단측에 이르는 직선 형상의 깨끗한 절단선(자국)이 형성된다. 또한, 후방 경사면부(11c)의 존재에 의한 종이류의 휘어짐에 의해, 종이류(70)를 뽑을 때의 칼(40) 칼밑(44)과의 접촉각도 후방 경사면부(11c)가 없는 경우에 비해 작아지므로, 절단이 보다 원활하게 행하여져 깨끗한 절단선이 얻어진다.
상기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간단하고 확실하게 앞쪽에 위치하는 종이를 한 장씩 뽑을 수 있다.
1: 페이퍼 홀더
10: 케이스
11: 정면부
12: 상면부
13: 배면부
13c: 연장 배면부
14: 경사면부
15: 축지부
17: 삽입구
20: 유지편
30: 탄성 부재
40: 칼
43: 칼의 선단부
70: 종이류

Claims (1)

  1. 정면부와, 상기 정면부와 공간을 사이에 두고 거의 평행하게 대향하는 배면부와, 상기 정면부와 상기 배면부를 연결하는 상면부와, 상기 정면부와 상기 배면부 사이에 하측으로부터 종이류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를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축지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종이류의 뽑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이 제공된 유지편으로서, 그 단부로부터 상기 정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칼이 설치된 유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칼의 선단부를 상기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종이류에 접촉시켜 종이류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페이퍼 홀더로서, 상기 배면부는 상기 정면부의 하측 단부보다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연장 배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 배면부의 하측 단부로부터 상기 종이류의 삽입 방향을 향하여 측면에서 볼 때 거의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경사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지부는 상기 경사면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정면부는 투명성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페이퍼 홀더.
KR1020147029454A 2012-03-22 2013-03-06 페이퍼 홀더 KR201401451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66413 2012-03-22
JP2012066413A JP5551199B2 (ja) 2012-03-22 2012-03-22 ペーパーホルダー
PCT/JP2013/056876 WO2013141093A1 (ja) 2012-03-22 2013-03-06 ペーパーホルダ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166A true KR20140145166A (ko) 2014-12-22

Family

ID=49222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454A KR20140145166A (ko) 2012-03-22 2013-03-06 페이퍼 홀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469147B2 (ko)
EP (1) EP2829412B1 (ko)
JP (1) JP5551199B2 (ko)
KR (1) KR20140145166A (ko)
CN (1) CN104203590B (ko)
CA (1) CA2866443A1 (ko)
IN (1) IN2014MN01696A (ko)
WO (1) WO2013141093A1 (ko)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4086A (en) * 1939-06-15 1941-03-04 Rosebraugh Walter Folio lyre
US2371713A (en) * 1943-06-29 1945-03-20 Prec Engineering Company Ltd Card index
US2486253A (en) * 1946-05-23 1949-10-25 Louis L Bresler Desk pad
US2607070A (en) * 1950-10-06 1952-08-19 Ralph D Wertz Fish and game cleaning device
US3065668A (en) * 1954-12-22 1962-11-27 Leybourn Specialties Inc Map holder and viewing device
NL292174A (ko) * 1963-05-01
US3212146A (en) * 1963-10-02 1965-10-19 Thomas P Morgan Holder for pencils, pens and similar long articles
US3425389A (en) * 1967-08-28 1969-02-04 Gloria C Sacco Place marker aid
US3560092A (en) * 1968-07-24 1971-02-02 L J Coney Clipboard with slate surface
US3639020A (en) * 1968-11-22 1972-02-01 Sydney M Nesbitt Suspension file
US3828402A (en) * 1973-04-16 1974-08-13 W Gorman Device for releasable gripping article
JPS5521185Y2 (ko) * 1975-03-28 1980-05-21
US4241477A (en) * 1979-08-16 1980-12-30 John Freedom Paper clip
US4253216A (en) * 1979-12-03 1981-03-03 James Brown Tag and note clip
JPS6029669U (ja) * 1983-08-03 1985-02-28 共同印刷株式会社 ペ−パ−ホルダ−
DE3636640A1 (de) * 1986-10-28 1988-05-11 Licinvest Ag Bildwechsler
JPS6416375U (ko) * 1987-07-18 1989-01-26
US5193795A (en) * 1987-11-21 1993-03-16 Licinvest Ag Device for the cyclic rearrangement of a pile of sheets
JPH0271680U (ko) * 1988-11-21 1990-05-31
DE69007457T2 (de) * 1990-01-20 1994-09-22 Ohto K K Papierklammer.
US5112083A (en) * 1990-08-22 1992-05-12 All-State Legal Supply Co. Paper pad construction and clip means therefor
US5305501A (en) * 1993-03-01 1994-04-26 Ockba Ali M A Spring clip
JPH07314965A (ja) * 1994-05-30 1995-12-05 Kenji Tsuge ペーパーホルダ
JP3726167B2 (ja) * 1994-07-13 2005-12-14 哲正 黒田 ホルダ
JP3008170U (ja) * 1994-08-23 1995-03-07 株式会社伊東屋 クリップと該クリップを用いたクリップファイル並びに用箋鋏
JPH09220893A (ja) * 1996-02-16 1997-08-26 Tetsumasa Kuroda ホルダ
JP3085201B2 (ja) * 1996-07-30 2000-09-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書類保持具
JP2804017B2 (ja) * 1996-10-09 1998-09-24 東京金属工業株式会社 紙挟み
JP2000062370A (ja) * 1998-08-17 2000-02-29 Kenji Yokoyama シート保持具
US6367761B1 (en) * 2000-05-09 2002-04-09 Hiromori Inc. Paper holder
JP3775222B2 (ja) * 2000-08-07 2006-05-17 エヌエスプランニング株式会社 カードホルダー
CN1194868C (zh) * 2000-12-28 2005-03-30 Ns设计公司 卡夹
US7076899B2 (en) * 2001-03-28 2006-07-18 Rose Displays, Ltd Extruded grip frame arrangement
US6470536B1 (en) * 2001-06-11 2002-10-29 Jason Todd Kettlestrings Clip board with improved retention means
US6578811B1 (en) * 2002-01-02 2003-06-17 Hiromori Inc. Paper holder
US6681452B1 (en) * 2002-09-27 2004-01-27 Adstracts, Inc. Clamping apparatus with removable attachments
JP2005066859A (ja) * 2003-08-26 2005-03-17 Toshio Kaneshiro クリップ
ITTO20030731A1 (it) * 2003-09-23 2005-03-24 Fiat Auto Spa Fermacarte, particolarmente per autoveicoli
US7874758B2 (en) * 2004-10-22 2011-01-25 Lihit Lab., Inc. Binding device
CN100491135C (zh) * 2005-08-01 2009-05-27 利高文具制造厂有限公司 带开夹手柄的线板夹
JP4826954B2 (ja) * 2007-02-06 2011-11-30 エヌエスプランニング株式会社 ペーパーホルダー
US7614598B2 (en) * 2007-04-04 2009-11-10 Smith David C Apparatus for retaining sheets against a back surface
JP2011115947A (ja) * 2008-03-21 2011-06-16 Ns Planning Kk ペーパーホルダー
JP2010149360A (ja) * 2008-12-25 2010-07-08 Ns Planning Kk ペーパーホルダー
US8425139B2 (en) * 2009-11-02 2013-04-23 Stephen Kwok Ki Chan Sheet holder and edge pattern mak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JP4880028B2 (ja) * 2009-12-24 2012-02-22 エヌエスプランニング株式会社 ペーパーホルダー
JP2012121203A (ja) * 2010-12-07 2012-06-28 Ns Planning Kk ペーパーホルダー
US8876165B1 (en) * 2013-05-10 2014-11-04 Hege Innovations, Inc. Clipboard with mounting accessor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9412A4 (en) 2015-12-09
JP5551199B2 (ja) 2014-07-16
CN104203590B (zh) 2016-03-16
EP2829412B1 (en) 2017-06-21
US20150026929A1 (en) 2015-01-29
CN104203590A (zh) 2014-12-10
IN2014MN01696A (ko) 2015-05-29
CA2866443A1 (en) 2013-09-26
US9469147B2 (en) 2016-10-18
WO2013141093A1 (ja) 2013-09-26
EP2829412A1 (en) 2015-01-28
JP2013193451A (ja) 2013-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0535A3 (en) Tape printing apparatus
US20130005491A1 (en) Fastener Cutting Device
JPWO2008136076A1 (ja) ミクロトーム用の替刃及びカール抑制板
US7832063B2 (en) Paper holder
JP5141388B2 (ja) 用紙処理装置
US20100196083A1 (en) Clip report cover having a clip edge that can be lowered into a groove or a slit
JP4880028B2 (ja) ペーパーホルダー
KR20140145166A (ko) 페이퍼 홀더
JP2017185554A (ja) シート断裁装置及びカッターユニット
WO2010073812A1 (ja) ペーパーホルダー
WO2012077441A1 (ja) ペーパーホルダー
JP2017036147A (ja) 分割貼りもできるテープカッター
WO2009116190A1 (ja) ペーパーホルダー
US6969168B2 (en) Media loading and separation system for printer
EP2060400A3 (en) Sheet feed mechanism of printer, and printer
JP4946980B2 (ja) 用紙処理装置
US932203A (en) Twine-cutter.
JP3121541U (ja) 重送防止錘部材
US9994067B2 (en) Safety envelope opener with anti-skip feature
JP4818980B2 (ja) 粘着テープ切断装置
JP2018111254A (ja) クリップボード
TW201400305A (zh) 印表機紙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