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138A -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의 배터리의 재충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의 배터리의 재충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138A
KR20140145138A KR1020147027179A KR20147027179A KR20140145138A KR 20140145138 A KR20140145138 A KR 20140145138A KR 1020147027179 A KR1020147027179 A KR 1020147027179A KR 20147027179 A KR20147027179 A KR 20147027179A KR 20140145138 A KR20140145138 A KR 20140145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achine
heat engine
battery
recharging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6807B1 (ko
Inventor
막심 데베르
장-마리 베스파시엥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140145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4Series-parallel type
    • B60K6/442Series-parallel switch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20Control strategies involving selection of hybrid configuration, e.g. selection between series or paralle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72Coasting
    • B60W2030/1809Without torque flow between driveshaft and engine, e.g. with clutch disengaged or transmission in neut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5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510/244Charge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2Clutches or brakes
    • B60Y2400/421Dog type clutches or brak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6Initial charging meas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 엔진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계를 구비한 자동차 하이브리드 트랜스미션에서의 트랙션 배터리의 재충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열 엔진과 전기 기계로부터 함께 동시에 동력을 공급받아 주행하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모드에서 열 엔진을 바퀴들과 연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속도 문턱(V)까지는, 전기 기계(7)가 유일한 모터구동식 동력원으로서 이용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속도 문턱 미만에서는, 운전자가 악셀레이터 페달을 밟는 때에 전기 기계만이 바퀴들로 전달될 토크를 제공하고 열 엔진은 자동차의 추진에는 기여하지 않으면서 재충전을 위하여 점화되며, 운전자가 악셀레이터 페달을 밟지 않는 때에는 바퀴들이 열 엔진과 전기 기계로부터 분리되어 배터리의 재충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의 배터리의 재충전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recharging of the battery on a hybrid vehicle}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구동용 열 엔진과 다른 한편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트랜스미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열 엔진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계가 구비된 자동차를 위한 하이브리드 트랜스미션에서 트랙션 배터리의 재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인데, 여기에서 전기 기계는, 열 엔진과 전기 기계로부터의 동력 공급을 서로 동시에 구동시키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모드에서 열 엔진과 바퀴들을 연동시킴이 가능하게 되는 속도 문턱까지의 유일한 모터구동식 동력원으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은 열 엔진과 구동용 전기 기계가 구비된 자동차를 위한 하이브리드 트랜스미션에 대해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는바, 상기 하이브리드 트랜스미션은 동심을 이루는 두 개의 1차 샤프트들과 두 개의 1차 샤프트들 사이에 있는 제1 연동 수단(first coupling means)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샤프트들 각각은 자동차의 바퀴들에 연결된 2차 샤프트 상의 적어도 하나의 감속 기어(reduction gear)에 지탱되고며, 상기 연동 수단은 세 개의 위치들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에는 위와 같은 원리의 구조를 갖는 하이브리드 트랜스미션의 비제한적인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트랜스미션은 중실의(solid) 1차 샤프트(1)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샤프트는 완충 시스템(filtration; 2)(충격 흡수 수단, "댐퍼", 듀얼 매스 플라이휠(dual mass flywheel), 등)에 의하여 열 엔진(미도시)의 플라이휠(flywheel; 3)로 직접 연결된다. 상기 중실의 샤프트(1)에는 아이들러 기어(idler gear; 4)가 구비되어 있는바, 상기 아이들러 기어는 제1 연동 시스템(5)(클러치(clutch), 싱크로나이저(synchronizer), 또는 프로그래시브(progressive)한 것이거나 그렇지 않은 것인 다른 유형의 연동기(coupler))에 의하여 샤프트(1)에 연결될 수 있다. 중공 1차 샤프트(6)는, 바람직하게는(반드시 그렇지만은 않은) 축을 가진 원판 형상 기계 유형인, 전기 기계(7)의 로터(rotor)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여기 자석 또는 코일(excitation magnet or coil)을 구비한 회전식 기계나 리럭턴스 기계(reluctance machine)와 같은, 다른 유형의 전기 기계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중공 샤프트(6)에는 두 개의 고정 기어들(fixed gears; 8, 9)이 구비된다. 중공 샤프트(6)는 연동 시스템(5)에 의하여 상기 중실 1차 샤프트(1)에 연결될 수 있다. 2차 샤프트(10)는 두 개의 아이들러 기어들(11, 12)을 구비한다. 상기 아이들러 기어들(11, 12)은 제2 연동 시스템(13)(클러치, 싱크로나이저, 또는 프로그래시브한 것이거나 그렇지 않은 것인 다른 유형의 연동기)에 의하여 1차 샤프트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2차 샤프트(10)는 고정 기어(14)와, 자동차의 바퀴들(미도시)에 연결된 차동 기어(differential; 16)로 향하는 감속 기어(15)를 구비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연동 수단(5)은 적어도 세 개의 위치들에 배치될 수 있는바, 그 세 개의 위치들에서는:
- 열 엔진이, 전기 기계(7)를 바퀴들에 연결시키는 운동 체인(kinematic chain)으로부터 분리되고 (위치 1);
- 열 엔진이, 전기 기계의 기여 여부와 무관하게 바퀴들을 구동하며 (위치 2); 그리고
- 열 엔진과 전기 기계(7)가 협동하여 그 각각의 토크들을 합쳐서 바퀴들로 보낸다 (위치 3).
위와 같은 트랜스미션이 구비된 자동차가 구조상 소정의 속도 문턱 미만에서 자동차의 추진에 기여하도록 열 엔진을 이용할 수 없다면, 자동차가 저속인 때에는 배터리가 주로 소모될 것이다. 그 속도 문턱을 넘으면, 전기 모드에서 자동차의 최소 자립성(minimum autonomy)을 확보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이 전기 기계와 열 엔진 간의 동력을 배분시킬 수 있게 된다. 자동차가 흔히 상기 속도 문턱 미만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어떠한 경우에도 적어도 열 엔진의 작동이 시작될 때까지 자동차의 출발을 보장하기 위하여 배터리 내의 에너지 보유량을 확보하는데에 문제가 있게 된다. 전기 에너지의 보유량이 없다면 자동차는 필연적으로 "노변 재충전 모드"에서 움직일 수 없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배터리가 자동차를 다시 출발시키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갖게 될 때까지 열 엔진이 자동차 배터리를 재충전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재충전을 위하여 자동차가 노변에서 부동화되는 단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속도 문턱 미만에서 운전자가 악셀레이터 페달을 밟으면 전기 기계가 바퀴들로 전달될 토크만을 담당하되 열 엔진은 자동차의 추진에는 기여하지 않고 재충전만을 담당하도록 점화되며, 운전자가 악셀레이터 페달을 밟지 않으면 바퀴들이 전기 기계 및 열 엔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거나 악셀레이터 페달로부터 완전히 발을 떼는 경우에는, 전기 기계와 열 엔진 모두가 추진에 기여하지 않는다. 이들은 재충전 모드의 활성화를 위해 이용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는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관한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 에는 중립 상태에 있는 하이브리드 트랜스미션에서 자동차의 트랙션 배터리의 재생(regeneration)이 도시되어 있고,
도 2 내지 도 7 에는 상기 트랜스미션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가능성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8 에는 개시된 트랜스미션에서의 상기 방법의 구현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제1 연동 시스템이 도 5 및 도 6 에서처럼 위치 3 에 있는바, 즉 제1 연동 시스템은 중실 1차 샤프트(1)와 중공 1차 샤프트(6)가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한다. 제2 연동 시스템(13)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 트랜스미션은 중립에 있다. 구동하는 열 엔진은 트랙션 전기 기계를 구동시킬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전기 기계는 정지 상태에 있는 자동차의 배터리를 재충전시키는 발전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제1 연동 시스템(5)이 개방되어 있고 (위치 1), 제2 연동 시스템(13)이 폐쇄되어서 저단 기어비(short ratio)의 아이들러 기어(12)가 2차 샤프트(10)와 맞물린다. 상기 트랜스미션은 전진 주행의 저단 기어비 또는 제1 기어비에서 전기 모드에 있게 된다.
도 3 을 참조하면, 제1 연동 시스템(5)은 여전히 개방되어 있는 한편 (위치 1), 제2 연동 시스템(13)이 폐쇄되어서 중속 기어비(intermediate ratio)의 아이들러 기어(11)가 2차 샤프트(10)와 맞물린다. 상기 트랜스미션은 전진 주행의 중속 기어비 또는 제2 기어비에서 전기 모드에 있게 된다.
도 4 를 참조하면, 제1 연동 시스템(5)은 폐쇄되어 위치 2 에 있게 되어서 중실 샤프트(1)가 중실 샤프트에 보유되는 아이들러 기어(4)와 맞물리게 되는 한편, 제2 연동 수단(13)은 개방되어 있다. 트랜스미션은 고속 기어비 또는 제3 기어비에 있게 된다. 전기 기계는 토크를 제공하지 않는다.
도 5 를 참조하면, 제1 연동 수단(5)이 폐쇄되어 위치 3 에 있게 되어서 중실 샤프트(1)와 중공 샤프트(6)를 맞물리게 한다. 제2 연동 시스템(13)은 폐쇄되어서 저단 기어비의 아이들러 기어(12)과 2차 샤프트(10)를 맞물리게 한다. 트랜스미션은 저단 기어비에서 하이브리드 모드에 있게 된다. 열 엔진과 전기 기계의 트랙션 체인(traction chain)에 대한 기여들은 합쳐진다. 그들은 감속 기어들(8, 12)에 의해서 중공 1차 샤프트(6)로부터 2차 샤프트로 전달된다.
도 6 을 참조하면, 제1 연동 수단(5)이 여전히 폐쇄되어 도 5 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위치 3 에 있다. 따라서, 중실 1차 샤프트(1)는 중공 1차 샤프트(6)와 맞물린다. 제2 연동 시스템(13)도 폐쇄되는바, 중속 기어비의 아이들러 기어(11)는 2차 샤프트(10)와 맞물린다. 트랜스미션은 중속 기어비에서 하이브리드 모드에 있게 된다. 열 엔진과 전기 기계의 트랙션 체인에 대한 기여들은 합쳐진다.
도 7 을 참조하면, 제1 연동 시스템(5)이 폐쇄되어 위치 2 에 있는바, 그것은 중실 1차 샤프트(1)를 중실 1차 샤프트에 구비된 아이들러 기어(4)와 맞물리게 한다. 또한, 제2 연동 수단(13)은 폐쇄되어서, 중속 기어비의 아이들러 기어(11)를 2차 샤프트(10)과 맞물리게 한다. 트랜스미션은 고속 기어비에서 하이브리드 모드에 있게 되는바, 이 때 열 엔진과 전기 기계의 기여(contribution)들은 합쳐진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의 재충전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안된 방안이 에너지 문턱(SI) 미만에서 실현되고 배터리의 문턱 S2>S1 초과시에는 비활성화된다. 또한, 자동차의 속도 문턱(V)이 고려되는바, 그것은 추진에의 참여를 위한 열 엔진의 개입에 관한 문턱에 해당될 수 있다. 배터리의 재충전 제어는 저속 영역, 즉 문턱(V) 미만의 영역과 고속 영역, 즉 문턱(V) 초과의 영역에서 상이하다.
저속에서는, 작동의 지점들(points of operation)에 대한 작용이 불가능하고, 전기 기계는 바퀴들로 전달될 토크만을 제공한다. 열 엔진은 점화되어 재충전을 제공하지만, 자동차의 추진에는 기여하지 않는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건드리지 않고) 악셀레이터 페달을 밟으면, 트랜스미션의 운동 체인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운전자가 악셀레이터 페달을 밟지 않거나(발을 뗌) 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경우, 트랜스미션은 도 1 의 구성형태를 취하게 된다 (재충전 모드). 바퀴들은 트랙션 요소들(엔진 및 기계)로부터 분리된다. 작동의 지점은 음향 조건과 소비의 최소화에 의하여 정해진다. 음향상 이유로 인하여, 열 엔진의 작동 범위는 감소된다 (즉, 회전속도를 초과할 수 없다).
고속에서는, 열 엔진이 바퀴로 토크를 제공하고, 전기 기계는 배터리를 재충전시킨다. 운동 체인은 악셀레이터 페달을 밟는가의 여부와 무관하게 동일할 수 있다. 배터리를 재충전시키기 위하여 인출되는 토크의 양은:
H_eq = 열 소비 (엔진 토크, 엔진 속도) + S X 전기 소비(기계 토크, 기계 속도)
을 최소화시키도록 선택되는바, 여기에서 H_eq 는 소비되는 에너지의 총량이고, S 는 등가 인자(equivalence factor)인데, 상기 등가 인자는 전기 에너지와 기계 에너지 간의 대응관계(예를 들어, 1kWh 와 동등한 연료의 양을 그램으로 표시하는 경우의 대응관계)를 제공한다. 열 엔진과 전기 기계의 속도들은 자동차의 속도와 트랜시미션의 연동 모드에 의하여 결정되는바, 이것은 상기 방안이 그에 따라 적합화됨을 의미한다. 상기 방안이 활성화되는 때에 등가 인자 "S"는 배터리의 재충전을 우선시한다. 열 소비와 전기 소비의 함수관계는 실험실(test bench)에서 획득된 소비 맵핑(consumption mappings)으로서 얻어진다. 선택되는 운동 체인은 자동차의 속도에 따라서, 도 5 에 도시된 "타운 하이브리드(town hybrid)" 모드의 운동 체인, 도 6 에 도시된 "도로 하이브리드(road hybrid)" 모드의 운동 체인, 또는 도 7 에 도시된 "고속도로 하이브리드(motorway hybrid)" 모드의 운동 체인일 수 있는바, 다시 말하면 자동차의 통상적인 하이브리드 모드들 중 한 가지일 수 있다. 상기 방안은 함수값 H_eq 을 최소화시키는 토크 배분을 선택함을 포함하는바:
- 고속의 경우: 재충전 방안이 활성화되지 않는 때에는 상기 등가 인자가 전체적인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시키도록 선택되는바, 이 경우에는 허용가능한 범위 안에서 열 엔진과 전기 기계의 출력을 감안하여 트랜스미션의 최선 작동 지점을 찾도록 열 엔진 속도와 토크를 적합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재충전 방안이 활성화되는 때에는 상기 등가 인자가 배터리의 재충전을 우선시하도록 선택된다.
- 저속의 경우: 재충전 방안이 활성화되지 않는 때에는 전기 기계가 추진을 담당하고 열 엔진이 꺼지며, 운전자가 악셀레이터를 밟지 않거나 브레이크를 밟는 때에는 감속의 운동 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하여 운동 모드가 도 2 에 도시된 모드로 유지되고; 재충전 방안이 활성화되는 때에는 전기 기계가 추진을 담당하고 열 엔진이 점화되며, 운전자가 악셀레이터를 밟지 않거나 브레이크를 밟는 때에는 열 엔진을 통해 배터리를 재충전시키기 위하여 운동 모드가 도 1 에 도시된 모드로 유지된다.
저속 또는 고속에서 운전자가 중립으로 가는 때에는 제어가 저속에서 브레이크를 밟는 때와 동일하게 되는바, 재충전 모드로 가게 되고 또한 음향 조건들을 지키면서 엔진 속도와 토크에 따라서 함수값 H_eq 을 최소화시키며, 바퀴들은 열 엔진과 전기 기계로부터 분리된다.
도 8 에는 전술된 트랜스미션에 관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16km/h 가 열 엔진의 연동 문턱(coupling threshold)에 해당된다면, 속도 문턱(V)은 16km/h 이다. 이 문턱은 자립성의 연장 또는 "장거리(long range)"로 호칭되는 자동차의 이용 모드에서 보다 일반적으로 유지되는 것일 수 있는바, 이 경우에는 전기에 의한 출발 후에 속도가 허용하자마자(예를 들어 16km/h에서 1500rpm) 열 엔진이 연결된다. 두 개의 제1 기어비는 하이브리드의 기어비이며, 전기 기계는 본질적으로 재생을 위해 이용된다. 두 개의 하이브리드 모드들, 즉 "타운" 하이브리드 모드(도 5 참조) 및 "도로" 하이브리드 모드(도 6 참조)가 구현되며, 필요에 따라서 세 번째 하이브리드 모드, 즉 "고속도로" 하이브리드 모드(도 7 참조)가 구현된다.
도 8 에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의 두 개의 분리된 값들(SI, S2)이 도시되어 있는바, SI 은 현재의 충전 상태가 SI 보다 낮은 경우의 활성화를 위한 문턱이고, S2 는 현재의 충전 상태가 S2 보다 높은 경우의 비활성화를 위한 문턱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랜스미션은 저속에서 활성화 문턱의 위와 아래에서의 상이한 두 가지 구성형태를 갖는다. 대조적으로, 문턱(V)을 넘어서 세 가지의 하이브리드 모드들에서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서 트랜스미션의 상태가 변화하지 않고 목표로 하는 제어에 따르는데, 적합한 등가 인자의 선택에 의하여 활성화 문턱 아래에서는 재충전을 우선시하되 상기 문턱 위에서는 소비 감소를 우선시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되는 제어 방법에 의하면, 주행 중에 "논스톱 재충전 모드"라 호칭되는 연계된 작동 모드에서 배터리를 재충전함이 가능하게 되며, 이것은 자동차가 저속에서 열 엔진만으로 출발하여 이동할 가능성이 없는 경우에 배터리를 재충전하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부동화됨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주행 중에 배터리의 재충전을 위해서 자동차를 특정의 모드로 이용함이 가능하다. 이 방법은 전술된 형태를 갖는 임의의 트랜스미션과 그러한 트랜스미션이 구비된 자동차에 대해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소정의 속도 범위에 걸쳐서 열 엔진으로 자동차를 운행할 수 없게 만드는 구조를 갖는 임의의 다른 트랜스미션 및 임의의 다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열 엔진(heat engine)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계(electrical machine)를 구비한 자동차를 위한 하이브리드 트랜스미션(hybrid transmission)에서의 트랙션 배터리(traction battery)의 재충전 제어방법으로서,
    열 엔진과 전기 기계로부터 함께 동시에 동력을 공급받아 주행하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모드에서 열 엔진을 바퀴들과 연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속도 문턱(speed threshold; V)까지는, 전기 기계(7)가 유일한 모터구동식 동력원(motor-driven power source)으로서 이용되고,
    상기 속도 문턱 미만에서는, 운전자가 악셀레이터 페달(accelerator pedal)을 밟는 때에 전기 기계만이 바퀴들로 전달될 토크를 제공하고 열 엔진은 자동차의 추진에는 기여하지 않으면서 재충전을 위하여 점화되며, 운전자가 악셀레이터 페달을 밟지 않는 때에는 바퀴들이 열 엔진과 전기 기계로부터 분리되어 배터리의 재충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재충전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재충전 제어방법은 하측 활성화 문턱(lower activation threshold; SI)과 상측 비활성화 문턱(higher deactivation threshold; S2) 사이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재충전 제어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문턱(V) 미만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때에는, 바퀴들이 열 엔진 및 전기 기계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재충전 제어방법.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운전자가 중립으로 하는 때에는, 열 엔진과 전기 기계가 트랙션 배터리를 재충전시키도록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재충전 제어방법.
  5.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문턱(V) 위에서, 열 엔진은 바퀴로 전달되는 토크, 및 배터리의 재충전을 위하여 전기 기계에 의하여 인출되는 추가 에너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재충전 제어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문턱(V) 위에서, 트랜스미션은 제어되는 하이브리드 모드에 있고, 이 경우 배터리를 재충전시키기 위하여 인출되는 토크의 양은 소비되는 에너지의 총량을 최소화시키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재충전 제어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방안(strategy)이 활성화되지 않는다면, 전기 에너지와 기계 에너지 간의 등가 인자(equivalence factor; s)는 소비를 최소화시키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재충전 제어방법.
  8.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방안이 활성화된다면, 전기 에너지와 기계 에너지 간의 등가 인자(S)는 배터리의 재충전을 우선시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재충전 제어방법.
KR1020147027179A 2012-04-03 2013-03-19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의 배터리의 재충전 제어방법 KR102006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53048 2012-04-03
FR1253048A FR2988675B1 (fr) 2012-04-03 2012-04-03 Procede de commande de la recharge de la batterie sur un vehicule hybride
PCT/FR2013/050591 WO2013150206A1 (fr) 2012-04-03 2013-03-19 Procede de commande de la recharge de la batterie sur un vehicule hybr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138A true KR20140145138A (ko) 2014-12-22
KR102006807B1 KR102006807B1 (ko) 2019-08-02

Family

ID=48083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179A KR102006807B1 (ko) 2012-04-03 2013-03-19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의 배터리의 재충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428068B2 (ko)
EP (1) EP2834097B1 (ko)
JP (1) JP6560614B2 (ko)
KR (1) KR102006807B1 (ko)
CN (1) CN104203616B (ko)
BR (1) BR112014023695B1 (ko)
FR (1) FR2988675B1 (ko)
IN (1) IN2014DN07519A (ko)
RU (1) RU2624248C2 (ko)
WO (1) WO20131502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6319B1 (fr) * 2014-01-16 2017-05-12 Renault Sas Transmission pour vehicule automobile a propulsion hybride et procede de commande associe
FR3038277B1 (fr) 2015-07-02 2017-07-21 Renault Sas Procede de calcul d’une consigne de gestion de la consommation en carburant et en courant electrique d’un vehicule automobile hybride
US10836372B2 (en) * 2016-08-24 2020-11-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ybrid vehicle in park or neutral
FR3061470B1 (fr) 2017-01-05 2019-05-17 Renault S.A.S. Procede de calcul d'une consigne de gestion de la consommation en carburant et en courant electrique d'un vehicule automobile hybride
FR3061471B1 (fr) 2017-01-05 2020-10-16 Renault Sas Procede d’optimisation de la consommation energetique d’un vehicule hybride
FR3067679B1 (fr) * 2017-06-14 2019-07-1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Controle de la recharge a basse vitesse d’un stockeur d’un vehicule hybride a machine motrice non-thermique liee mecaniquement a un train
FR3068666B1 (fr) * 2017-07-05 2021-03-12 Psa Automobiles Sa Procede de controle de la recharge d’une batterie de traction a l’arret pour un vehicule hybride
FR3069497B1 (fr) * 2017-07-26 2019-08-02 Psa Automobiles Sa Procede pour vehicule hybride de controle d’un alternateur de recharge d’une batterie d’un reseau de bord
FR3070945B1 (fr) * 2017-09-08 2019-09-13 Psa Automobiles Sa Controle de fourniture d’un couple complementaire par une machine motrice non-thermique d’un vehicule hybride en fonction du potentiel d’acceleration
CN108608882B (zh) * 2018-05-07 2020-09-25 江苏卓燃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具有充电时自动保护功能的电能汽车
FR3086247B1 (fr) 2018-09-25 2023-03-03 Renault Sas Procede de calcul d'une consigne de gestion de la consommation en carburant et en courant electrique d'un vehicule automobile hybride
FR3100510B1 (fr) * 2019-09-05 2021-09-1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Procédé de gestion de la répartition de couple dans un véhicule hybride
US11062563B2 (en) 2019-10-02 2021-07-13 Igt System and method for incentivizing purchases in association with a gaming establishment retail accou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0711A1 (en) * 2003-01-21 2004-07-22 Romeo Anthony Louis Brake engagement placing a vehicle with an automatic transmission into neutral gear
JP2009173196A (ja) * 2008-01-25 2009-08-06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両
JP2012017099A (ja) * 2007-10-18 2012-01-26 Aisin Ai Co Ltd 動力伝達装置
US20120302397A1 (en) * 2010-01-28 2012-11-2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Method for optimising hybrid vehicle battery recharg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80436T3 (es) * 1991-10-16 1996-02-01 Fichtel & Sachs Ag Dispositivo de frenado para un vehiculo que no circula sobre carriles.
JP3609491B2 (ja) * 1995-06-19 2005-01-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前後輪駆動車両
JP3541831B2 (ja) 2001-10-26 2004-07-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US20030144773A1 (en) * 2001-12-27 2003-07-31 Tatsuya Sumitomo Control unit for hybrid vehicle
KR100748659B1 (ko) * 2005-12-01 2007-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중립레인지에서의 충전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JP2009126253A (ja) * 2007-11-21 2009-06-11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2300253B1 (en) * 2008-07-21 2017-10-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ctric driving mode selection for hybrid vehicles
JP5338426B2 (ja) * 2009-03-27 2013-11-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アクセル踏込反力制御装置
US8825243B2 (en) * 2009-09-16 2014-09-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redictive energy management control scheme for a vehicle including a hybrid powertrain system
FR2950302B1 (fr) * 2009-09-24 2012-04-2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de gestion de l'accouplement du moteur thermique sur un vehicule automobile hybride
US8937452B2 (en) * 2011-02-04 2015-01-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of controlling a state-of-charge (SOC) of a vehicle batte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0711A1 (en) * 2003-01-21 2004-07-22 Romeo Anthony Louis Brake engagement placing a vehicle with an automatic transmission into neutral gear
JP2012017099A (ja) * 2007-10-18 2012-01-26 Aisin Ai Co Ltd 動力伝達装置
JP2009173196A (ja) * 2008-01-25 2009-08-06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両
US20120302397A1 (en) * 2010-01-28 2012-11-2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Method for optimising hybrid vehicle battery rechar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19241A (ja) 2015-07-09
BR112014023695A2 (ko) 2017-06-20
RU2014144412A (ru) 2016-05-27
EP2834097B1 (fr) 2019-11-20
WO2013150206A1 (fr) 2013-10-10
IN2014DN07519A (ko) 2015-04-24
EP2834097A1 (fr) 2015-02-11
RU2624248C2 (ru) 2017-07-03
FR2988675B1 (fr) 2014-03-14
KR102006807B1 (ko) 2019-08-02
CN104203616B (zh) 2017-10-10
CN104203616A (zh) 2014-12-10
BR112014023695B1 (pt) 2022-06-21
US9428068B2 (en) 2016-08-30
US20150066273A1 (en) 2015-03-05
JP6560614B2 (ja) 2019-08-14
FR2988675A1 (fr) 201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807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의 배터리의 재충전 제어방법
JP6727141B2 (ja) オフセットされた電気機械を有するハイブリッドトランスミッション、及びギアチェンジの制御方法
JP6058622B2 (ja) 自動車用のハイブリッド変速機および制御方法
JP4888602B2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制御装置
JP6359449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電気アーキテクチャ、ハイブリッド車両、および制御方法
JP2015519241A5 (ko)
WO2012059999A1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WO2013111464A1 (ja) 走行制御装置
JPWO2011077813A1 (ja) ハイブリッド車両
JP2007223421A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制御装置
JP2011178385A (ja) ハイブリッド車両
US20180222308A1 (en) Hybrid vehicle
WO2013069068A1 (ja) ハイブリッド駆動システム
US91023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ti-jerk of hybrid electric vehicle
JP6972905B2 (ja) 車両用制御装置
JP2015081074A (ja) 車両の制御装置
WO2014036203A1 (en) Recuperative transmission down shifting multiple gears and engine decoupling
US20140342871A1 (en) Controller of hybrid system
CN104884324A (zh) 混合动力车辆的控制装置
JP5789997B2 (ja) ハイブリッド車輌の制御装置
CN105517828A (zh) 混合动力车辆用驱动装置
JP4086077B2 (ja) 内燃機関の始動制御装置
CN114802193A (zh) 车辆控制装置
WO2012105019A1 (ja) 車両および車両の制御方法
JP5469039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