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740A - 광학 부재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 Google Patents

광학 부재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740A
KR20140143740A KR1020147019383A KR20147019383A KR20140143740A KR 20140143740 A KR20140143740 A KR 20140143740A KR 1020147019383 A KR1020147019383 A KR 1020147019383A KR 20147019383 A KR20147019383 A KR 20147019383A KR 20140143740 A KR20140143740 A KR 20140143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compound
acrylate
curable adhesiv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9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8508B1 (ko
Inventor
하야토 모토하시
다이스케 코바야시
마사히로 나이토우
타카아키 쿠라타
유이치로 마츠오
Original Assignee
닛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3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091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characterised by antireflection means or light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e.g. anti-halation, contrast enhanc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11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having cover layers or intermediate layers, e.g. subb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8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with constru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08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light absorbing layer
    • G02F2201/086UV absorb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1Polyene monomer-contai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기재 및 차광부를 표면에 갖는 광학 기재를 접합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그 접착제에 자외선을 조사해서 얻어지는 경화물, 및 그 경화물을 갖는 터치 패널 등의 광학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투명 보호판 등의 광학 기재에 차광부가 형성되어 있었던 경우에도 액정 표시 장치 등에 데미지를 주지 않고, 일방향으로부터의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차광부의 존재에 의해 차광되는 차광 영역에 위치하는 접착제를 충분히 경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 부재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OPTICAL MEMBER, AND ULTRAVIOLET-CURABLE ADHESIVE USED IN PRODUCTION OF SAME}
본 발명은 광학 기재의 접합에 유용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터치 입력 장치와 같은 위치 입력 장치를 표시 장치에 조합시킨 터치 패널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터치 패널은 표시 장치, 투명 전극이 형성된 유리판 또는 수지제 필름, 및 유리 또는 수지제의 투명 보호판을 접합시킨 구조를 갖고 있다.
터치 패널에 있어서 표시 장치, 투명 전극이 형성된 유리판 또는 필름, 및 유리 또는 수지제의 투명 보호판 등의 광학 기재를 접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양면 점착 시트를 사용하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양면 점착 시트를 사용하면 기포가 들어가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양면 점착 시트를 대신하는 기술로서, 유연성이 있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그것들을 접합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터치 패널의 예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장치, 투명 전극이 형성된 유리판 등의 광학 기재 및 유리제 또는 수지제의 투명 보호판을 접합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의 투명 보호판에는 표시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최외의 가장자리에 띠 형상의 차광부가 형성되어 있다. 투명 보호판을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접합시켰을 경우에는 그 차광부에 의해 자외선 경화형 수지 중 그 차광부의 그늘로 되는 차광 영역에 충분한 자외선이 도달하지 않아 그 차광 영역의 수지의 경화가 불충분해진다. 수지의 경화가 불충분하면 그 차광부 부근의 표시 화상에 있어서 표시 불균일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차광 영역에 있어서의 수지의 경화를 향상시키는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서는 유기 과산화물을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함유시키고, 자외선 조사 후에 가열해서 차광 영역의 수지를 경화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가열 공정은 액정 표시 장치 등에 데미지를 주는 것이 염려된다. 또한, 가열에 의해 수지를 충분하게 경화하기 위해서 60분간 이상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차광부의 형성면의 바깥쪽 측면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차광 영역의 수지를 경화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액정 표시 장치의 형상에 따라서는 측면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형상에 제한이 있었다.
그래서, 차광부를 갖는 광학 기재의 접합에 사용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있어서, 차광부에 의해 자외선이 차광되는 차광 영역에 있어서도 일방향으로부터의 자외선으로 충분한 경화를 달성할 수 있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일본 특허 제 4711354호 일본 특허 공개 2009-186954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투명 보호판 등의 광학 기재를 접할시킬 때, 그 광학 기재에 차광부가 형성되어 있었을 경우에도 액정 표시 장치 등에 데미지를 주지 않고, 일방향으로부터의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차광부의 존재에 의해 차광되는 차광 영역에 위치하는 수지를 충분히 경화시킬 수 있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의 결과,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을 공존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29)에 관한 것이다.
(1)
광학 기재와 차광부를 표면에 갖는 광학 기재가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층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광학 부재.
(2)
광중합 개시제(C)가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이 발하는 광의 파장에 흡수를 갖는 것인 상기 (1)에 기재된 광학 부재.
(3)
광중합 개시제(C)의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365㎚에 있어서의 단위중량당 흡광계수가 85∼10000㎖/(g·㎝)인 상기 (2)에 기재된 광학 부재.
(4)
광중합 개시제(C)의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365㎚에 있어서의 단위중량당 흡광계수가 400∼10000㎖/(g·㎝)인 상기 (2)에 기재된 광학 부재.
(5)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이 유기 화합물인 상기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부재.
(6)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가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로서, 하기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01
{식 중, R4는 탄소수 1∼3의 알콕시기, 페닐기, 비페닐기, 비페닐디일기, 또는 하기 식(4)
Figure pct00002
으로 나타내어지는 기[식 중, *은 상기 식(3)으로의 연결부를 나타냄]를 나타내고, 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l은 1∼3의 정수를, m은 각각 독립하여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을 함유하는 것인 상기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부재.
(7)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가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부재.
(8)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가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로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7)에 기재된 광학 부재.
(9)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가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로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7) 또는 (8)에 기재된 광학 부재.
(10)
상기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11)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차광부를 표면에 갖는 광학 기재와 다른 광학 기재를 접착한 광학 부재 제작을 위한 사용.
(12)
광학 기재 및 차광부를 표면에 갖는 광학 기재를 접합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3)
광중합 개시제(C)가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365㎚에 있어서의 단위중량당 흡광계수가 85∼10000㎖/(g·㎝)인 상기 (12)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4)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이 유기 화합물인 상기 (12) 또는 (13)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5)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로서, 하기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03
{식 중, R4는 탄소수 1∼3의 알콕시기, 페닐기, 비페닐기, 비페닐디일기, 또는 하기 식(4)
Figure pct00004
으로 나타내어지는 기[식 중, *은 상기 식(3)으로의 연결부를 나타냄]를 나타내고, 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l은 1∼3의 정수를, m은 각각 독립하여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을 함유하는 상기 (12)∼(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6)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을 포함하는 상기 (12)∼(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7)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로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를 포함하는 상기 (16)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8)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로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포함하는 상기 (16) 또는 (17)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9)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로서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포함하고, 광중합 개시제(C)로서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365㎚에 있어서의 단위중량당 흡광계수가 85∼10000㎖/(g·㎝)인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상기 (12)∼(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0)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i)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 및 (ii)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포함하는 상기 (12)∼(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1)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에폭시 화합물, 또는 옥세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12)∼(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2)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 이외의 기타 성분을 더 포함하고,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에 대하여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의 함량이 0.001∼5중량%이고, 광중합 개시제(C)의 함량이 0.01∼5중량%이고, 잔부가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기타 성분인 상기 (12)∼(2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3)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i)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 및 (ii)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포함하고,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 중에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의 함량이 5∼90중량%이고,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의 함량이 5∼70중량%인 상기 (12)∼(2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4)
또한, 유연화 성분(D)을 함유하는 상기 (12)∼(2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또는 기타 성분으로서 유연화 성분(D)을 함유하는 상기 (22) 또는 (23)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5)
유연화 성분(D)의 함량이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 중에 10∼80중량% 함유하는 상기 (24)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6)
터치 패널용인 상기 (12)∼(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7)
상기 (12)∼(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해서 얻어지는 경화물.
(28)
광학 기재 및 그 차광부를 갖는 광학 기재를, 상기 (12)∼(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시킨 후, 활성 에너지선을 차광부를 갖는 광학 기재를 통해서 그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조사해서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29)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투명 보호판 등의 광학 기재를 접합시킬 때, 그 광학 기재에 차광부가 형성되어 있었을 경우에도 액정 표시 장치 등에 데미지를 주지 않고, 일방향으로부터의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차광부의 존재에 의해 차광되는 차광 영역에 위치하는 그 접착제를 충분히 경화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얻어지는 광학 부재를 표시 장치에 사용해도 차광부 부근의 표시 화상에 있어서 표시 불균일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시킬 때에 사용한 광학 기재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광학 부재를 얻는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있어서 계측한 차광부 경화 거리의 측정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광학 기재와 차광부를 갖는 광학 기재를 접합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이고,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메타)아크릴산」 및 「(메타)아크릴 폴리머」 등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을 함유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화합물(A)」이라고도 한다.
화합물(A)로서는 자외선을 흡수함으로써 발광하는 화합물이면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화합물(A)로서는 무기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지만,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의 투명성 향상의 관점으로부터 유기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합물(A)의 구체예로서는 안트라센 화합물, 쿠마린 화합물, 카르바졸 화합물, 벤조옥사졸 화합물, 나프탈렌 및 할로겐화 나프탈렌 등의 나프탈렌 화합물, 스틸벤 화합물, 벤지딘 화합물, 피렌 화합물, 페릴렌 화합물, 나프탈이미드 화합물, 및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함유시킴으로써, 일방향으로부터의 조사로는 조사되지 않는 차광 영역에 있어서의 그 접착제의 충분한 경화를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이 자외선을 흡수하면, 상기 화합물로부터 방사상으로 광이 발생된다. 그 때문에, 상기 발광이 상기 차광 영역에 도달하고, 차광 영역에 있어서도 그 접착제의 충분한 경화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들 화합물(A)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화합물(A)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화합물(A)의 총량에서 통상 0.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1중량%이다.
또한, 화합물(A)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온도를 100℃로 했을 때에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서 용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접착제 중에서 화합물(A)이 용해되어 있음으로써 화합물(A)이 접착제 중에 있어서 균일하게 분포되고, 접착제 전체에 화합물(A)의 발광이 고루 퍼지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이하, 화합물(A)로서 사용되는 안트라센 화합물, 쿠마린 화합물, 카르바졸 화합물, 벤조옥사졸 화합물, 스틸벤 화합물 및 벤지딘 화합물에 대하여 바람직한 골격 및 화합물의 구체예 등을 예시한다.
화합물(A)로서 사용되는 안트라센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식(1):
Figure pct00005
(식 중, R1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페닐기, 페닐메틸렌기, 페닐에틸렌기, 페닐프로필렌기 또는 페닐에티닐기를 나타내고, X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n은 각각 독립하여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1)의 R1에 있어서의 페닐기는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11)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나타낸다.
식(11):
Figure pct00006
[식 중, R11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k1은 1∼5의 정수를 나타내고, *표시는 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에 대한 연결 부위를 나타낸다.]
식(1)의 R1에 있어서의 페닐메틸렌기, 페닐에틸렌기, 페닐프로필렌기 및 페닐에티닐기의 구체예로서는 벤젠환이 치환기를 갖지 않는 페닐메틸렌기, 페닐에틸렌기, 페닐프로필렌기 및 페닐에티닐기 또는 치환기로서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갖는 페닐메틸렌기, 페닐에틸렌기, 페닐프로필렌기 및 페닐에티닐기를 각각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식(11)에 있어서의 R11은 모두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1)에 있어서의 R1은 식(11)으로 나타내어지는 페닐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식(1)에 있어서의 X는 모두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A)로서 사용되는 안트라센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할로겐화 안트라센, 9,10-디페닐안트라센, 9,10-비스(페닐에티닐)안트라센 및 2-클로로-9,10-비스(페닐에티닐)안트라센을 들 수 있다. 안트라센 화합물로서는 9,10-디페닐안트라센 및 9,10-비스(페닐에티닐)안트라센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합물(A)로서 사용되는 쿠마린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식(2):
Figure pct00007
(식 중, R2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탄소수 1∼3의 알킬기, 벤즈이미다졸릴기 또는 벤조티아졸릴기를 나타내고, R3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k는 각각 독립하여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2)의 R2에 있어서의 벤즈이미다졸릴기 및 벤조티아졸릴기는 각각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21) 및 하기 식(22)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나타낸다.
식(21)(벤즈이미다졸릴기):
Figure pct00008
[식 중, R21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q1은 1∼4의 정수를 나타내고, *표시는 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에 대한 연결 부위를 나타낸다.]
식(22)(벤조티아졸릴기):
Figure pct00009
[식 중, R22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q2는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표시는 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에 대한 연결 부위를 나타낸다.]
상기 식(2)에 있어서의 R2 및 R3은 탄소수 1∼3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R2 중 벤젠환으로 치환되는 R2가 수소 원자이고, 다른쪽의 R2가 탄소수 1∼3의 알킬기이고, k가 모두 1이고, R2가 모두 탄소수 1∼3의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합물(A)로서 사용되는 쿠마린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3-(2-벤즈이미다졸릴)-7-(디에틸아미노)쿠마린, 3-(2-벤조티아졸릴)-7-(디에틸아미노)쿠마린 및 7-디에틸아미노-4-메틸쿠마린을 들 수 있다. 쿠마린 화합물로서는 7-디에틸아미노-4-메틸쿠마린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합물(A)로서 사용되는 카르바졸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식(3):
Figure pct00010
{식 중, R4는 탄소수 1∼3의 알콕시기, 페닐기, 비페닐기, 비페닐디일기, 또는 하기 식(4)으로 나타내어지는 벤젠-1,3,5-트리일기:
Figure pct00011
[식 중, *표시는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에 대한 연결 부위를 나타냄]를 나타내고, 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l은 1∼3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각각 독립하여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3)에 있어서, R4가 탄소수 1∼3의 알콕시기, 페닐기 또는 비페닐기일 때 l은 1이고, R4가 비페닐디일기일 때 l은 2이고, R4가 식(4)으로 나타내어지는 기일 때 l은 3이다.
식(3)의 R4에 있어서의 페닐기, 비페닐기 및 비페닐디일기는 각각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41), 식(42) 및 식(43)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나타낸다.
식(41)(페닐기):
Figure pct00012
[식 중, R41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k41은 1∼5의 정수를 나타내고, *표시는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에 대한 연결 부위를 나타낸다.]
식(42)(비페닐기):
Figure pct00013
[식 중, R42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k42는 각각 독립하여 1∼4의 정수를 나타내고, *표시는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에 대한 연결 부위를 나타낸다.]
식(43)(비페닐디일기):
Figure pct00014
[식 중, R43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k43은 각각 독립하여 1∼4의 정수를 나타내고, *표시는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에 대한 연결 부위를 나타낸다.]
상기 식(41)에 있어서의 R41, 식(42)에 있어서의 R42 및 식(43)에 있어서의 R43은 모두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카르바졸 화합물을 첨가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차광 영역의 경화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그 카르바졸 화합물은 화합물(A)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3)에 있어서의 R4는 식(41)으로 나타내어지는 페닐기 또는 식(43)으로 나타내어지는 비페닐디일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식(43)으로 나타내어지는 비페닐디일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3)에 있어서의 R5는 모두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A)로서 사용되는 카르바졸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1,3,5-트리(9H-카르바졸-9-일)벤젠, 4,4'-비스(9H-카르바졸-9-일)비페닐, 9,9'-(2,2'-디메틸비페닐-4,4'-디일)비스(9H-카르바졸) 및 9-페닐카르바졸을 들 수 있다. 그 카르바졸 화합물로서는 4,4'-비스(9H-카르바졸-9-일)비페닐 및 9-페닐카르바졸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르바졸 화합물은 가시광의 발광이 약하거나, 또는 가시광의 흡광이 약하기 때문에 그 카르바졸 화합물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첨가해도 그 경화물은 매우 높은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고, 표시 화상의 시인성도 매우 높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 상기 카르바졸 화합물은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화합물(A)로서 사용되는 벤조옥사졸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5)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식(5):
Figure pct00015
{식 중, R6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7은 탄소수 1∼3의 알킬렌기 또는 하기 식(6)으로 나타내어지는 기:
Figure pct00016
[식 중, *표시는 식(5)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에 대한 연결 부위를 나타냄]를 나타내고, p는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5)에 있어서의 R6은 탄소수 1∼6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4∼6의 분기쇄를 갖는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tert-부틸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5)에 있어서의 R7은 상기 식(6)으로 나타내어지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5)에 있어서의 p는 1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A)로서 사용되는 벤조옥사졸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2,5-티오펜디일비스(5-tert-부틸-1,3-벤조옥사졸)를 들 수 있다.
화합물(A)로서 사용되는 스틸벤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7)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식(7):
Figure pct00017
(식 중, R8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은 각각 독립하여 1∼5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7)에 있어서의 R8은 모두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A)로서 사용되는 스틸벤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trans-1,2-디페닐에틸렌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틸벤 화합물은 가시광의 발광이 약하거나, 또는 가시광의 흡광이 약하기 때문에 그 스틸벤 화합물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첨가해도 그 경화물은 매우 높은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고, 표시 화상의 시인성도 매우 높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 상기 스틸벤 화합물은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화합물(A)로서 사용되는 벤지딘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8)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식(8):
Figure pct00018
(식 중, R9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를 나타내고, R10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s는 각각 독립하여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8)의 R9에 있어서의 페닐기 및 나프틸기는 각각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81) 및 식(82)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나타낸다.
식(81)(페닐기):
Figure pct00019
[식 중, R101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k81은 1∼5의 정수를 나타내고, *표시는 식(8)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에 대한 연결 부위를 나타낸다.]
식(82)(나프틸기):
Figure pct00020
[식 중, R102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k4는 각각 독립하여 1∼3의 정수를 나타내고, *표시는 식(8)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에 대한 연결 부위를 나타낸다.]
상기 식(81)에 있어서의 R101 및 상기 식(82)에 있어서의 R102는 모두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8)에 있어서의 R9는 식(81)으로 나타내어지는 페닐기 또는 식(82)으로 나타내어지는 나프틸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식(8)으로 나타내어지는 벤지딘 화합물로서는 분자 중에 그 페닐기 및 그 나프틸기의 양자를 모두 갖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합물(A)로서 사용되는 벤지딘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N,N'-디(1-나프틸)-N,N'-디페닐벤지딘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벤지딘 화합물은 가시광의 발광이 약하거나, 또는 가시광의 흡광이 약하기 때문에 그 벤지딘 화합물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첨가해도 그 경화물은 매우 높은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고, 표시 화상의 시인성도 매우 높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 상기 벤지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화합물(A)로서 상기 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안트라센 화합물, 상기 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쿠마린 화합물, 상기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바졸 화합물, 상기 식(5)으로 나타내어지는 벤조옥사졸 화합물, 상기 식(7)으로 나타내어지는 스틸벤 화합물 및 상기 식(8)으로 나타내어지는 벤지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광부 경화성의 관점으로부터, 화합물(A)로서는 9,10-디페닐안트라센 및 9,10-비스(페닐에티닐)안트라센 등의 상기 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안트라센 화합물; 4,4'-비스(9H-카르바졸-9-일)비페닐 및 9-페닐카르바졸 등의 상기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바졸 화합물; 및 2,5-티오펜디일비스(5-tert-부틸-1,3-벤조옥사졸) 등의 상기 식(5)으로 나타내어지는 벤조옥사졸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투명성의 관점으로부터는, 화합물(A)로서는 4,4'-비스(9H-카르바졸-9-일)비페닐 및 9-페닐카르바졸 등의 상기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바졸 화합물; trans-1,2-디페닐에틸렌 등의 상기 식(7)으로 나타내어지는 스틸벤 화합물; N,N'-디(1-나프틸)-N,N'-디페닐벤지딘 등의 상기 식(8)으로 나타내어지는 벤지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합물(A)로서는 상기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바졸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고, 4,4'-비스(9H-카르바졸-9-일)비페닐 또는 9-페닐카르바졸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광중합성 화합물(B)을 함유한다.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는 자외선으로 중합하는 화합물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 에폭시 화합물(B-2) 및 옥세탄 화합물(B-3)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서 사용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는 이들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를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이들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를 사용함으로써, 경화물의 유연성이 뛰어나고 경화 수축률이 낮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의 하나로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를 함유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 중,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a)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사용 가능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a)로서는 특별하게 한정은 되지 않지만, 다가 알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의 3자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콜로서는, 예를 들면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및 1,6-헥산디올 등의 탄소수 1∼10의 알킬렌글리콜; 트리메티롤프로판 및 펜타에리스리톨 등의 트리올; 트리시클로데칸디메티롤 및 비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등의 환상 골격을 갖는 알콜 등; 이들 다가 알콜과 다염기산(예를 들면 숙신산, 프탈산, 헥사히드로 무수 프탈산, 테레프탈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및 테트라히드로 무수 프탈산 등)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이들 다가 알콜과 ε-카프로락톤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카프로락톤알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예를 들면 1,6-헥산디올과 디페닐카보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등); 및 폴리에테르 폴리올(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및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A 등) 등을 들 수 있다. 기재로의 밀착성의 관점으로부터 분자량이 1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5000의 C2-C4 알킬렌글리콜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분자량 2000 이상, 예를 들면 2000∼5000 정도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디시클로펜타닐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 C2∼C4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티롤시클로헥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카프로락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해서 행한다. 즉, 상기 다가 알콜에 그 수산기 1당량당의 상기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바람직하게는 1.1∼2.0당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5당량이 되도록 상기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고, 반응 온도를 바람직하게는 70∼90℃에서 반응시켜 우레탄 올리고머를 합성한다. 이어서, 얻어진 우레탄 올리고머의 이소시아네이트기 1당량당의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에 있어서의 수산기가 바람직하게는 1∼1.5당량이 되도록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혼합하고, 70∼90℃에서 반응시켜서 목적으로 하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a)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사용할 수 있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a)의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서는 7000∼25000 정도가 바람직하고, 10000∼20000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지나치게 작으면 접착제를 경화시켰을 때의 수축이 커지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지나치게 크면 접착제의 경화성이 부족해진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이들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a)를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a)를 함유할 때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5∼90중량%, 바람직하게는 20∼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50중량%이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 중,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b)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사용 가능한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b)(이하, 「상기 올리고머(B-1-1b)」라고도 함)로서는 폴리이소프렌 골격을 갖는 올리고머로서 말단 등에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공지의 올리고머, 폴리부타디엔 골격을 갖는 올리고머로서 말단 등에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공지의 올리고머, 및 폴리이소프렌 골격과 폴리부타디엔 골격의 양자를 갖고, 말단 등에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공지의 올리고머 등이면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b)로서, 바람직하게는 하기 제법(a) 또는 제법(b)에 의해 얻어지는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 있다.
제법(a): 이소프렌 중합체, 부타디엔 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공중합체를 우선 합성하고, 이어서 얻어진 중합체에 불포화 산 무수물을 반응시키고, 그 후에 얻어진 폴리머 중의 일부 또는 전부에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방법.
제법(b): 수산기 말단 이소프렌 중합체, 수산기 말단 부타디엔 중합체 또는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이소프렌-부타디엔 공중합체에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방법.
상기 제법(a)[이소프렌 중합체, 부타디엔 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공중합체를 우선 합성하고, 이어서 얻어진 중합체에 불포화 산 무수물을 반응시키고, 그 후에 얻어진 폴리머 중의 일부 또는 전부에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올리고머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법(a)에 있어서 최초로 합성하는 중합체로서는 이소프렌 또는 부타디엔의 1종류를 단독으로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소프렌 중합체 또는 부타디엔 중합체를 사용해도 좋고, 이소프렌 및 부타디엔의 혼합물을 공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이소프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이소프렌, 부타디엔 또는 양자의 혼합물을 중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이소프렌 및/또는 부타디엔을 메틸리튬, 에틸리튬, s-부틸리튬, n-부틸리튬 및 펜틸리튬 등의 알킬리튬 및 나트륨나프탈렌 착체 등을 개시제로서 사용하여 음이온 중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의 과산화물 또는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등의 아조비스니트릴 화합물을 개시제로서 사용하여 이소프렌 및/또는 부타디엔을 라디칼 중합시키는 방법에 의해 이것들의 중합체를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이것들의 중합 반응은 헥산, 헵탄,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용매의 존재 하에 -100℃∼200℃에서 0.5∼100시간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상기 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은 통상 2000∼100000의 범위에 있고, 5000∼500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술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에 불포화 산 무수물을 반응시킨다. 이 반응은 예를 들면 상기 중합체와 불포화 산 무수물을 헥산, 헵탄,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반응에 불활성인 용매의 존재 하, 또는 무용매 조건 하에 있어서 통상 상온∼300℃의 반응 온도에서 0.5∼100시간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에 있어서의 불포화 산 무수물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 말레산, 무수 프탈산, 헥사히드로 무수 프탈산, 메틸헥사히드로 무수 프탈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산 무수물의 사용량은 통상 상기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0중량부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00중량부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조건으로 반응시켰을 때의 상기 중합체에 대한 산 무수물기의 부가수는 통상 1분자당 1∼30개의 범위이고, 2∼20개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중합체에 도입된 산 무수물기의 일부 또는 전부에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반응은 헥산 및 헵탄 등의 용매의 존재 하 또는 무용매 조건 하에서, 통상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수산기가 상기 중합체에 있어서의 산 무수물기 1당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1.5당량이 되도록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혼합하고, 20∼200℃의 반응 온도에서 0.1∼100시간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에 사용하는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 C2∼C4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티롤시클로헥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카프로락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법(b)[말단에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이소프렌 중합체,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부타디엔 중합체, 또는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이소프렌-부타디엔 공중합체에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올리고머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산기 말단 이소프렌 중합체, 수산기 말단 부타디엔 중합체 또는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이소프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일부 또는 전부에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폴리이소프렌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반응은 헥산 및 헵탄 등의 용매의 존재 하 또는 무용매 조건 하에서, 통상 상기 중합체와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20∼200℃의 반응 온도에서 0.1∼100시간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에 사용하는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 C2∼C4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티롤시클로헥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카프로락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올리고머(B-1-1b)의 구체예로서는, 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 제 UC-203(제품명, 이소프렌 중합물의 무수 말레산 부가물과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에스테르화물 올리고머), 니폰 소다 가부시키가이샤 제 NISSO-PB TE-2000(양말단 메타크릴레이트 변성 부타디엔계 올리고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그 올리고머(B-1-1b)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올리고머(B-1-1b)를 함유할 때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5∼90중량%, 바람직하게는 15∼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0중량%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 20∼80중량%도 바람직하고, 25∼50중량%는 보다 바람직하다.
유연성이 뛰어나고, 경화 수축률이 낮은 경화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는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이들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 즉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a) 및 상기 올리고머(B-1-1b) 중 적어도 한쪽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5∼90중량%, 바람직하게는 20∼50중량%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로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함유되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로서는 특별하게 한정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세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미리스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탄소수 5∼20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모르폴린, 페닐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1-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1-아다만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노닐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시클로펜타디엔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환상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5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노닐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페녹시화 인산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부톡시화 인산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옥틸옥시화 인산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인산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탄소수 10∼20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모르폴린,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5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노닐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를 바람직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로서 들 수 있다.
특히, 경화물의 유연성의 관점으로부터 탄소수 10∼20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노닐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로서 바람직하다.
한편, 유리로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는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5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또는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를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함유되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로서는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이들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5∼70중량%, 바람직하게는 5∼50중량%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는 본 발명의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 이외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3)[이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3)」라고도 함]를 함유할 수 있다.
2관능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3)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시클로데칸디메티롤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옥산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A형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히드록시피발산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인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3관능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3)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티롤옥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트리메티롤 C2∼C10 알칸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폴리에톡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폴리프로폭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티롤프로판폴리에톡시폴리프로폭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트리메티롤 C2∼C10 알칸폴리알콕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4관능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3)로서는, 예를 들면 펜타에리스리톨폴리에톡시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폴리프로폭시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티롤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3)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시의 경화 수축을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 2관능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이들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이외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3)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3)를 함유할 경우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5∼70중량%, 바람직하게는 5∼50중량%이다. 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3)의 함유 비율이 상기 바람직한 범위에 있으면 경화성이 개선되고, 또한 경화시의 수축이 커지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는 본 발명의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B-1-4)를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B-1-4)는 얻어지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경화물의 경도나 경화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이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사용 가능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B-1-4)로서는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화합물과 (메타)아크릴산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화합물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를 얻기 위한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비스페놀A 또는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의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F 또는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의 디글리시딜에테르, 수소 첨가 비스페놀A 또는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의 디글리시딜에테르, 수소 첨가 비스페놀F 또는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의 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글리시딜에테르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B-1-4)는 이들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화합물과, (메타)아크릴산을 하기와 같은 조건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화합물의 에폭시기 1당량에 대하여 (메타)아크릴산을 0.9∼1.5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0.95∼1.1몰의 비율로 반응시킨다. 반응 온도는 80∼120℃가 바람직하고, 반응 시간은 10∼35시간 정도이다. 이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면 트리페닐포스핀,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TAP), 트리에탄올아민 및 테트라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 중의 중합을 방지하기 위해서 중합 금지제로서, 예를 들면 파라메톡시페놀 및 메틸하이드로퀴논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B-1-4)로서는, 상기 비스페놀A형의 에폭시 화합물에 의해 얻어지는 비스페놀A형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B-1-4)의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서는 500∼10000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이들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B-1-4)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B-1-4)를 함유할 경우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5∼90중량%, 바람직하게는 20∼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50중량%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에폭시 화합물(B-2)을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B-2)의 구체예로서는 비스페놀류(비스페놀A, 비스페놀F, 비스페놀S, 비페놀 및 비스페놀AD 등) 또는 페놀류(페놀, 알킬 치환 페놀, 방향족 치환 페놀, 나프톨, 알킬 치환 나프톨, 디히드록시벤젠, 알킬 치환 디히드록시벤젠 및 디히드록시나프탈렌 등)와 각종 알데히드(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알킬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알킬 치환 벤즈알데히드, 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 나프토알데히드, 글루타알데히드, 프탈알데히드, 크로톤알데히드 및 신남알데히드 등)의 중축합물; 상기 페놀류와 각종 디엔 화합물(디시클로펜타디엔, 테르펜류, 비닐시클로헥센, 노보나디엔, 비닐노보넨, 테트라히드로인덴, 디비닐벤젠, 디비닐비페닐, 디이소프로페닐비페닐, 부타디엔 및 이소프렌 등)의 중합물; 상기 페놀류와 케톤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등)의 중축합물; 상기 페놀류와 방향족 디메탄올류(벤젠디메탄올 및 비페닐디메탄올 등)의 중축합물; 상기 페놀류와 방향족 디클로로메틸류(α,α'-디클로로크실렌 및 비스클로로메틸비페닐 등)의 중축합물; 상기 페놀류와 방향족 비스알콕시메틸류(비스메톡시메틸벤젠, 비스메톡시메틸비페닐 및 비스페녹시메틸비페닐 등)의 중축합물; 상기 비스페놀류와 각종 알데히드의 중축합물; 또는 알콜류 등을 글리시딜화함으로써 얻어지는 글리시딜에테르계 에폭시 수지, 지환식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아민계 에폭시 수지 및 글리시딜에스테르계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통상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이면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이들 에폭시 화합물(B-2)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B-2)을 함유할 경우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5∼70중량%, 바람직하게는 5∼50중량%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옥세탄 화합물(B-3)을 사용할 수 있다.
옥세탄 화합물(B-3)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4-비스[(3-메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3-메틸-3-글리시딜옥세탄, 3-에틸-3-히드록시메틸옥세탄, 3-메틸-3-히드록시메틸옥세탄, 디(1-에틸(3-옥세타닐))메틸에테르, 3-에틸-3-(페녹시메틸)옥세탄, 3-(시클로헥실옥시)메틸-3-에틸옥세탄, 크실릴렌비스옥세탄 및 페놀노볼락옥세탄 등을 들 수 있다. 통상 사용되는 옥세탄 화합물이면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이들 옥세탄 화합물(B-3)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옥세탄 화합물(B-3)을 함유할 경우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5∼70중량%, 바람직하게는 5∼50중량%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는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 및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로서는 다가 알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의 3자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이소프렌 중합체, 부타디엔 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공중합체의 불포화 산 무수물 부가물의 일부 또는 전부에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올리고머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의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로서는 탄소수 10∼20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모르폴린,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5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노닐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3자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이소프렌 중합물의 무수 말레산 부가물과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에스테르화물 올리고머를 함유하고, 또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로서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특히 바람직하다.
광중합성 화합물(B)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 중에 있어서, 그 총량으로부터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 및 광중합 개시제(C)의 양자의 함량을 뺀 잔부이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 중에 있어서의 광중합성 화합물(B)의 함량(복수 사용할 경우에는 그 합계 함량)은 통상 5∼95중량%, 바람직하게는 20∼9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80중량%이다. 이들 중,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a)를 5∼90중량%, 바람직하게는 20∼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50중량% 함유하거나, 또는 상기 올리고머(B-1-1b)를 5∼90중량%, 바람직하게는 20∼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50중량% 함유하고, 또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5∼70중량%, 바람직하게는 5∼50중량% 함유하는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함유되는 광중합 개시제(C)로서는 특별하게 한정은 되지 않고, 공지의 라디칼 중합 개시제 및 양이온 중합 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구체예 및 그 제품명으로서는, 예를 들면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일가큐어(등록상표, 이하 동일) 184; BASF사 제], 2-히드록시-2-메틸-[4-(1-메틸비닐)페닐]프로판올 올리고머(에사큐어 ONE; 란발티사 제),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일가큐어 2959; BASF사 제), 2-히드록시-1-{4-[4-(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프로판-1-온(일가큐어 127; BASF사 제),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일가큐어 651; BASF사 제),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다로큐어(등록상표) 1173; BASF사 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일가큐어 907; BASF사 제), 옥시페닐아세트산 2-[2-옥소-2-페닐아세톡시에톡시]에틸에스테르와 옥시페닐아세트산 2-[2-히드록시에톡시]에틸에스테르의 혼합물(일가큐어 754; BASF사 제), 비스(η5-2,4-시클로펜타디엔-1-일)-비스(2,6-디플루오로-3-(1H-피롤-1-일)-페닐)티타늄(일가큐어 784; BASF사 제),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2-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및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계 중합 개시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4-tert-부틸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비스(4-tert-부틸페닐)요오드늄트리플레이트, 2-(3,4-디메톡시스티릴)-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디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아르세네이트, 디페닐요오드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2-[2-(푸란-2-일)비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트리페닐술포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트리-p-톨릴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트리-p-톨릴술포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4-이소프로필-4'-메틸디페닐요오드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함유되는 광중합 개시제(C)는 상기 화합물(A)이 발하는 광의 파장에 흡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화합물(A)이 발하는 광의 파장에 흡수를 갖는」이란, 사용하는 화합물(A)이 발광하는 광을 광중합 개시제(C)가 흡수하여 광중합 개시제(C)의 활성화가 보조만 되면 좋다. 통상,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은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을 발광하고,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광중합 개시제(C)는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그 흡수의 정도는, 예를 들면 화합물(A)의 발광한 광의 극대 파장에 있어서의 광중합 개시제(C)의 단위중량당 흡광계수가 50㎖/(g·㎝)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g·㎝) 이상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사용하는 광중합 개시제(C)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하기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투명성 및 경화성의 관점으로부터는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일가큐어 184; BASF사 제) 및 2-히드록시-2-메틸-[4-(1-메틸비닐)페닐]프로판올 올리고머(에사큐어 KIP-150; 란발티사 제)를 바람직한 광중합 개시제(C)로서 들 수 있다. 접착제 내부의 경화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으로부터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스피드큐어 TPO; LAMBSON사 제) 및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일가큐어 819; BASF사 제)를 바람직한 광중합 개시제(C)로서 들 수 있다. 접착제의 변색을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스피드큐어 TPO; LAMBSON사 제)를 바람직한 광중합 개시제(C)로서 들 수 있다.
또한, 옐로 램프 등 특정의 환경 하에서의 취급이 불필요하고, 내부 경화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스피드큐어 TPO)를 특히 바람직한 광중합 개시제(C)로서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광중합 개시제(C)는 1종류를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C) 중에서도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365㎚에서의 단위중량당 흡광계수가 85∼10000㎖/(g·㎝)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10000㎖/(g·㎝)가 보다 바람직하고, 400∼10000㎖/(g·㎝)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흡광계수의 측정은 분광 광도계 등을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측정용 용매는 경우에 따라 메탄올 중에서 행해도 좋고, 그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흡광계수의 범위는 바뀌지 않는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C) 중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405㎚에서의 단위중량당 흡광계수가 5∼3000㎖/(g·㎝)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3000㎖/(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3000㎖/(g·㎝)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중합 개시제(C)로서는 상기 365㎚ 및 405㎚에서의 흡광계수의 조건의 양쪽을 만족시키는 광중합 개시제가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400㎚에 있어서의 몰 흡광계수가 200M-1·㎝-1∼10만M-1·㎝-1인 광중합 개시제도 바람직하다.
흡광계수가 상기 범위에 들어가고, 또한 상기 화합물(A)이 발하는 광의 파장에 흡수가 있는 광중합 개시제(C)를 사용함으로써 차광 영역에 있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경화가 보다 촉진된다. 왜냐하면, 350㎚∼410㎚라는 장파장의 자외선은 회절되는 성질이 커서 차광부의 이면측으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자외선의 조사를 방해하는 차광부가 존재하고 있을 경우에도 장파장의 자외선은 차광 영역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상기 범위의 흡광계수를 가짐으로써 장파장의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화합물(A)이 발하는 광의 파장에 흡수가 있는 광중합 개시제(C)는 차광 영역에 존재했다고 해도 상기 화합물(A)이 발하는 광을 흡수함과 아울러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서 회절된 장파장의 광을 흡수할 수 있다. 이것들의 상승 효과에 의해, 광중합 개시제(C)의 분해 반응이 촉진되기 때문에 차광 영역이 광범위에 걸칠 경우에도 차광 영역에 존재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충분히 경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365㎚에서의 단위중량당 흡광계수가 특히 바람직한 400∼10000㎖/(g·㎝)의 범위에 있는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BASF사 제: 일가큐어 819),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LAMBSON사 제: 스피드큐어 TPO), 및 비스(η5-2,4-시클로펜타디엔-1-일)-비스(2,6-디플루오로-3-(1H-피롤-1-일)-페닐)티타늄(BASF사 제: 일가큐어 784)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중합 개시제(C)로서는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일가큐어 184),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스피드큐어 TPO) 또는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일가큐어 819)가 바람직하고,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스피드큐어 TPO) 또는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일가큐어 819)가 보다 바람직하고,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스피드큐어 TPO)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이들 광중합 개시제(C)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C)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2∼3중량%이다. 2종 이상의 광중합 개시제(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것들의 총량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좋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상기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 이외의 기타 성분으로서, 하기하는 광중합 개시 조제, 후기하는 유연화 성분(D), 및 후기하는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기타 성분의 총량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 중에 있어서의 함량은 0∼80중량%, 바람직하게는 5∼70중량% 정도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는 상기 기타 성분 중 하나로서, 광중합 개시 조제로 될 수 있는 아민류 등을 상기 광중합 개시제(C)와 병용할 수도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아민류 등으로서는 벤조산 2-디메틸아미노에틸에스테르,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p-디메틸아미노벤조산 에틸에스테르 또는 p-디메틸아미노벤조산 이소아밀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아민류 등의 광중합 개시 조제를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의 함유량은 통상 0.005∼5중량%, 바람직하게는 0.01∼3중량%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는 필요에 따라서 유연화 성분(D)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연화 성분(D)으로서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유연화 성분 및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유연화 성분(D)의 구체예로서는 상기 (B)성분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올리고머 및 폴리머, 및 가소제 등으로서 사용되는 화합물로서 프탈산 에스테르류, 인산 에스테르류, 글리콜에스테르류, 글리콜에테르류, 지방족 2염기산 에스테르류, 지방산 에스테르류, 시트르산 에스테르류, 에폭시계 가소제, 피마자유류 및 테르펜계 수소 첨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유연화 성분(D)으로서 사용 가능한 올리고머 및 폴리머로서는 폴리이소프렌계, 폴리부타디엔계 또는 크실렌계의 올리고머 및 폴리머, 또는 수산기 함유 폴리이소프렌계 또는 수산기 함유 폴리부타디엔계의 올리고머 및 폴리머, 또는 폴리에테르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즉, 유연화 성분(D)의 예로서 말단 등에 수산기를 함유해도 좋은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및 폴리부타디엔 골격 함유 올리고머 및 폴리머, 또는 크실렌 골격 함유의 올리고머 및 폴리머, 및 폴리에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말단 등에 수산기를 함유하는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및 폴리부타디엔 골격 함유 폴리머, 및 폴리에테르 화합물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예시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알릴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알릴부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알릴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알릴부틸에테르 등의 폴리 C2-C4 알킬렌글리콜의 디(알릴 또는/및 C1-C4 알킬)에테르를 들 수 있다.
이들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30000 정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25000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20000 정도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15000 정도이다.
이러한 유연화 성분(D)을 사용할 경우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10∼80중량%, 바람직하게는 10∼70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는 유연화 성분(D)으로서 (메타)아크릴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메타)아크릴 폴리머로서는 아크릴계 또는 메타크릴계 모노머를 원료로 해서 중합시킨 폴리머, 또는 그 모노머 이외의 다른 중합성 모노머와 그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 (메타)아크릴 폴리머는 용액 중합, 현탁 중합, 괴상 중합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제조 방법으로서는 고온에서 연속적으로 라디칼 중합을 행해서 제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다. 우선, 아크릴계 또는 메타크릴계 모노머에 대하여 미량의 중합 개시제와 미량의 용제를 혼합시킨다. 그리고, 150℃ 이상의 온도에 있어서 10분 이상, 고압 하에서 반응시킨다. 그 후에, 분리기에서 미반응 성분과 반응으로 얻어진 (메타)아크릴 폴리머를 분리함으로써 (메타)아크릴 폴리머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얻어지는 (메타)아크릴 폴리머에 중합 개시제가 혼입되어 있으면 보존 안정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용제를 증류 제거하면서 상기 반응을 행하거나, (메타)아크릴 폴리머를 분리한 후에 용제를 증류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 폴리머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아크릴계 또는 메타크릴계 모노머로서는 (메타)아크릴산, α-에틸아크릴산; 및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1,3-디메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3-에톡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에톡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α-(히드록시메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페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또는 메타크릴계 모노머는 이들 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또는 메타크릴계 모노머와 공중합 시켜도 좋은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불포화 2중 결합을 갖는 공지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티렌, 3-니트로스티렌, 4-메톡시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α-에틸스티렌, α-부틸스티렌 및 α-헥실스티렌 등의 알킬스티렌류; 4-클로로스티렌, 3-클로로스티렌 및 3-브로모스티렌 등의 할로겐화 스티렌류; 크로톤산, α-메틸크로톤산, α-에틸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말레산, 푸말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메사콘산 및 글루타콘산 등의 불포화 2중 결합을 갖는 카르복실산류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조성물의 다른 성분으로의 용해성, 경화물의 접착성의 면으로부터 아크릴계 또는 메타크릴계 모노머로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C1∼C10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갖는 C1∼C10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다른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스티렌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메타)아크릴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서는 1500∼30000이고, 바람직하게는 3000∼2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15000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0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물의 접착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30000을 초과할 경우에는 다른 모노머에 용해되기 어려워지거나, 백탁되거나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메타)아크릴 폴리머는 시판품으로서 용이하게 입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아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 「ARUFON 시리즈」를 들 수 있고, 제품명 UP-1170 또는 UH-2190로서 입수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 폴리머를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메타)아크릴 폴리머의 함유 비율은 통상 20중량%∼95중량%이고, 50중량%∼95중량%가 바람직하고, 70중량%∼95중량%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고, 70중량%∼90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유연화 성분(D)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연화 성분(D)으로서 폴리에테르 화합물 및 수산기 함유 폴리이소프렌계의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알릴부틸에테르 또는 수산기 함유 폴리이소프렌을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연화 성분(D)으로서 폴리에테르 화합물 및 수산기 함유 폴리이소프렌계의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 중 적어도 1종,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알릴부틸에테르 또는 수산기 함유 폴리이소프렌을 함유할 경우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10∼80중량%, 바람직하게는 10∼7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70중량%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는 상기 성분에 추가하여 필요에 따라서 유기 용제, 커플링제, 중합 금지제, 레벨링제, 대전 방지제, 표면 윤활제, 광안정제(예를 들면, 힌더드아민 화합물 등) 등의 첨가제를 더 첨가해도 좋다.
유기 용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및 이소프로필알콜 등의 알콜류, 디메틸술폰, 디메틸술폭시드,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을 들 수 있다.
커플링제로서는 실란커플링제, 티탄계 커플링제, 지르코늄계 커플링제, 알루미늄계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N-(2-(비닐벤질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염산염,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및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티탄계 커플링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N-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티타네이트, 이소프로필트리이소스테아로일티타네이트, 티타늄디(디옥틸피로포스페이트)옥시아세테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디(디옥틸포스파이트)티타네이트, 및 네오알콕시트리(p-N-(β-아미노에틸)아미노페닐)티타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지르코늄계 또는 알루미늄계 커플링제의 구체예로서는 Zr-아세틸아세토네이트, Zr-메타크릴레이트, Zr-프로피오네이트, 네오알콕시지르코네이트, 네오알콕시트리스네오데칸오일지르코네이트, 네오알콕시트리스(도데칸오일)벤젠술포닐지르코네이트, 네오알콕시트리스(에틸렌디아미노에틸)지르코네이트, 네오알콕시트리스(m-아미노페닐)지르코네이트, 암모늄지르코늄카보네이트, Al-아세틸아세토네이트, Al-메타크릴레이트, 및 Al-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금지제의 구체예로서는 파라메톡시페놀 및 메틸하이드로퀴논 등을 들 수 있다.
광안정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알콜,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알콜,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메타)아크릴레이트(아데카 가부시키가이샤 제, 제품명 LA-82),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과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놀 및 3,9-비스(2-히드록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의 혼합 에스테르화물, 데칸 2산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운데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카보네이트,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4-벤조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1-〔2-〔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4-〔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3,5-비스(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페닐〕메틸〕부틸말로네이트, 데칸 2산 비스(2,2,6,6-테트라메틸-1(옥틸옥시)-4-피페리디닐)에스테르, 1,1-디메틸에틸히드로퍼옥시드와 옥탄의 반응 생성물, N,N',N",N"'-테트라키스(4,6-비스(부틸(N-메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트리아진-2-일)-4,7-디아자데칸-1,10-디아민, 디부틸아민 ·1,3,5-트리아진·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6-헥사메틸렌디아민과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부틸아민의 중축합물,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 숙신산 디메틸과 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에탄올의 중합물, 2,2,4,4-테트라메틸-20-(β-라우릴옥시카르보닐)에틸-7-옥사-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헤네이코산-21-온, β-알라닌,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도데실에스테르/테트라데실에스테르, N-아세틸-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피롤리딘-2,5-디온, 2,2,4,4-테트라메틸-7-옥사-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헤네이코산-21-온, 2,2,4,4-테트라메틸-21-옥사-3,20-디아자디시클로-〔5,1,11,2〕-헤네이코산-20-프로판산 도데실에스테르/테트라데실에스테르, 프로판디오익산-〔(4-메톡시페닐)메틸렌〕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에스테르,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놀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1,3-벤젠디카르복시아미드-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등의 힌더드아민계 화합물, 옥타벤존 등의 벤조페논계 화합물, 2-(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메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펜틸페닐)벤조트리아졸, 메틸3-(3-(2H-벤조트리아졸-2-일)-5-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반응 생성물, 2-(2H-벤조트리아졸-2-일)-6-도데실-4-메틸페놀 등의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의 벤조에이트계,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등의 트리아진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광안정제는 힌더드아민계 화합물이다.
상기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각종 첨가제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 중에 있어서의 함량은 상기 첨가제의 총계에서 0∼3중량% 정도이다. 그 첨가제를 사용할 경우의, 그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 중에 있어서의 그 첨가제의 함유 비율은 상기 첨가제의 총계에서 0.01∼3중량%, 바람직하게는 0.01∼1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0.5중량%이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조성은 하기와 같다. 또한, 각 성분의 함유량에 있어서의 「중량%」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에 대한 함유 비율을 나타낸다.
화합물(A): 0.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1중량%.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a)를 5∼90중량%, 바람직하게는 20∼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50중량% 함유하거나, 또는 상기 올리고머(B-1-1b)를 5∼90중량%, 바람직하게는 15∼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0중량% 함유한다.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 5∼70중량%, 바람직하게는 5∼50중량%.
광중합 개시제(C): 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2∼3중량%.
이때의 잔부는 상기 이외의 성분 또는 각종 첨가제이다.
상기 조성을 갖고, 또한 유연화 성분(D)을 10∼80중량%, 바람직하게는 10∼70중량%의 함유 비율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형태의 몇가지를 이하에 기재한다. 각 성분의 함유량에 있어서의 「중량%」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에 대한 함유 비율을 나타낸다.
(I)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의 함량이 0.001∼5중량%이고, 광중합 개시제(C)의 함량이 0.01∼5중량%이고, 잔부가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기타 성분인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II)
광중합성 화합물(B)의 함량이 5∼90중량%인 상기 (I)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III)
화합물(A)로서 안트라센 화합물, 쿠마린 화합물, 카르바졸 화합물, 벤조옥사졸 화합물, 스틸벤 화합물, 및 벤지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상기 발명의 내용의 항에 기재된 (12)∼(14)와 (16)∼(25), 및 상기 (I)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IV)
화합물(A)로서 상기 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안트라센 화합물, 상기 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쿠마린 화합물, 상기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바졸 화합물, 상기 식(5)으로 나타내어지는 벤조옥사졸 화합물, 상기 식(7)으로 나타내어지는 스틸벤 화합물, 및 상기 식(8)으로 나타내어지는 벤지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상기 (III)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V)
화합물(A)로서 상기 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안트라센 화합물, 상기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바졸 화합물, 및 상기 식(5)으로 나타내어지는 벤조옥사졸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상기 (IV)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VI)
화합물(A)로서 9,10-디페닐안트라센, 9,10-비스(페닐에티닐)안트라센, 4,4'-비스(9H-카르바졸-9-일)비페닐, 9-페닐카르바졸 및 2,5-티오펜디일비스(5-tert-부틸-1,3-벤조옥사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상기 (V)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VII)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 및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의 양자를 함유하는 상기 (I)∼(VI)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VIII)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3자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이소프렌 중합물의 무수 말레산 부가물과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에스테르화물 올리고머를 함유하고,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로서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상기 (VII)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IX)
광중합 개시제(C)의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365㎚에서의 단위중량당 흡광계수가 85∼10000㎖/(g·㎝)이고, 또한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405㎚에서의 단위중량당 흡광계수가 5∼3000㎖/(g·㎝)인 상기 (I)∼(VIII)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X)
광중합 개시제(C)가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및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상기 (I)∼(VIII)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XI)
유연화 성분(D)을 10∼80중량% 더 포함하는 상기 (I)∼(X)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XII)
유연화 성분(D)으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알릴부틸에테르 또는 수산기 함유 폴리이소프렌을 함유하는 상기 (XI)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XIII)
화합물(A)의 함유 비율이 0.001∼5중량%이고,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로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a) 또는 상기 올리고머(B-1-1b)를 함유하고, 그 함량이 5∼90중량%이고,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의 함유 비율이 5∼70중량%이고,
광중합 개시제(C)의 함유 비율이 0.01∼5중량%이고,
유연화 성분(D)을 10∼80중량% 더 포함하는,
상기 (VI)∼(XII)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 또한 필요에 따라서 유연화 성분(D), 및 상기 임의의 첨가제를 상온∼80℃에서 혼합 용해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의해 협잡물을 여과 등의 조작에 의해 제거해도 좋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도포성을 고려하여 25℃의 점도가 100m㎩·s∼100㎩·s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50000m㎩·s의 범위가 되도록 성분의 배합비를 적당하게 조절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본 발명의 경화물로 할 수 있다. 통상은 후기하는 바와 같이, 접합시키는 복수의 광학 기재 중 적어도 하나의 기재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도포하고, 기재를 접합시킨 후 투명 기재의 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시킨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의 경화 수축률은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가 경화할 때에 수지 경화물에 축적되는 내부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고, 기재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층의 계면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 등의 기재가 얇을 경우에는 경화 수축률이 크면 경화시의 휨이 커지기 때문에 표시 성능에 큰 악영향을 미친다. 상기 관점으로부터도 경화 수축률은 적은 편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투명성이 높고, 표시 화상 등의 시인성이 양호한 광학 부재를 얻을 필요성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은 그 400㎚∼800㎚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광의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400㎚∼800㎚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광의 투과율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 가시광이 투과하기 어려워져 그 경화물을 함유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화상의 시인성이 저하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그 경화물에 있어서의 400㎚의 광의 투과율이 높으면 화상 시인성의 향상을 한층 더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은 400㎚의 광의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하기와 같이 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한쪽 광학 기재에 슬릿 코터, 롤 코터, 스핀 코터 또는 스크린 인쇄법 등의 도포 장치를 이용하여 도포한 수지의 막 두께가 10∼300㎛가 되도록 도포하고, 그 도포면에 다른쪽 광학 기재를 접합시켜 투명 기재측으로부터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해서 경화시킴으로써 광학 기재끼리를 접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광학 부재를 얻을 수 있다. 이때의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면 자외∼근자외(파장 200∼400㎚ 부근)의 광선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량은 약 100∼4000mJ/㎠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3000mJ/㎠ 정도이다.
자외∼근자외의 광선의 조사에 사용하는 광원으로서는 자외∼근자외의 광선, 바람직하게는 파장 200∼400㎚ 부근의 광선을 조사하는 램프이면 광원의 종류를 따지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저압, 고압 또는 초고압 수은등, 메탈할라이드 램프, (펄스)크세논 램프, 또는 무전극 램프 등을 들 수 있다. 300㎚∼400㎚의 파장의 출력이 높고,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경화가 빠르게 되는 것, 또한 화합물(A)의 여기가 일어나기 쉬워지기 때문에 광원으로서 메탈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기재 접합용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는 광학 기재로서는 투명판, 시트, 터치 패널 및 표시체를 들 수 있다.
투명판 또는 시트(바람직하게는 투명 시트) 등의 판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광학 기재의 두께는 특별하게 제한은 없고, 통상은 5㎛ 정도∼5㎝ 정도, 바람직하게는 10㎛ 정도∼1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3㎜ 정도의 두께이다.
특히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투명판 또는 시트를 접합시키는 접착제로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순히 「광학 기재」라고 말했을 경우, 그 광학 기재는 표면에 차광부를 갖지 않는 광학 기재와, 표면에 차광부를 갖는 광학 기재의 양자를 포함한다. 차광부를 표면에 갖는 광학 기재에 있어서는 차광부는 광학 기재의 양면 또는 편면에 형성되어도 좋고, 양면 또는 편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광학 기재를 접합시켰을 때에 자외선이 접착제에 조사되도록 적어도 접합시킨 광학 기재의 일부에는 차광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자외선을 투과하는 노광부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 중 하나는 접합시키는 2매의 광학 기재 중 적어도 1매가 그 표면의 일부에 차광부를 갖는 광학 기재인 경우이다. 이 경우, 2매의 광학 기재를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시킨 후, 그 차광부를 갖는 광학 기재가 있는 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해서 그 접착제를 경화시킴으로써 터치 패널 등의 본 발명의 광학 부재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일방향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했을 경우에도 자외선이 도달하지 않는 차광 영역에 있어서의 접착제가 충분하게 경화된다. 그 때문에, 그 광학 부재를 갖는 각종 표시 장치에 있어서 차광부 부근의 표시 불균일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표면의 일부에 차광부를 갖는 광학 기재에 있어서의 차광부의 위치는 특별하게 한정은 없다.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그 광학 기재의 주변부에 띠 형상으로, 폭 0.05㎜∼20㎜, 바람직하게는 0.05㎜∼1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0.1㎜∼8㎜, 더욱 바람직하게는 0.1㎜∼6㎜ 정도의 차광부를 가질 경우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가 사용되는 투명판 또는 시트로서는 여러 가지 재료를 사용한 투명판 또는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 PC와 PMMA의 복합체, 유리,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아크릴 수지 등의 수지로부터 작성된 투명판 또는 시트, 또한 그것을 복수매 적층한 편광판 등의 기능성 투명 적층판 또는 시트, 무기 유리로 작성된 투명판[무기 유리판, 및 그 가공품(예를 들면, 렌즈, 프리즘, ITO 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판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광학 기재에는 상기한 편광판 등 이외에, 터치 패널, 또는 액정 표시판 또는 LED 등의 표시체 등과 같이 복수의 기능판 또는 시트의 적층체(이하 기능성 적층체라고도 함)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학 기재로서는 판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광학 기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는 시트(예를 들면, 터치 패널 등에 접합시키는 시트 등)로서는 아이콘 시트, 화장 시트 및 보호 시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는 판(투명판: 예를 들면 터치 패널 등에 접합시키는 투명판 등)으로서는 화장판 및 보호판을 들 수 있다. 그 시트 또는 그 판의 재질로서는 상기 투명판의 재질로서 열거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의 표면의 재질로서는 유리, PET, PC, PMMA, PC와 PMMA의 복합체, COC 및 COP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바람직한 광학 부재 중 하나로서, 일부(바람직하게는 주변부)에 차광부를 갖는 판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투명 광학 기재가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물로 상기 기능성 적층체와 접합된 광학 부재를 들 수 있다. 그 바람직한 예로서는 터치 패널의 터치 센서측의 표면에, 주변부에 띠 형상의 차광부를 갖는 상기 투명판 또는 시트가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물로 접합된 터치 패널(또는 터치 패널 센서), 또는 일부(바람직하게는 주변부)에 차광부를 갖는 보호판 등의 판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투명 광학 기재를 표시체의 표시 화면 형상으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물로 접합된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체와 광학 기능 재료(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학 기재)를 접합시켜서 얻어지는 광학 기능 재료가 부착된 표시체(이하 표시 패널이라고도 함)의 제조에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표시체로서는 편광판을 부착하고 있는 LCD, EL 디스플레이, EL 조명, 전자 페이퍼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기능 재료로서는 아크릴판, PC판, PET판 및 PEN(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판 등의 투명 플라스틱판, 강화 유리 및 터치 패널 입력 센서(터치 패널 센서)를 들 수 있다. 이들 기능성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일부(통상 주변부)에 차광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 표시체와 투명판 또는 투명 시트를 접합시킬 경우,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경화물의 굴절률이 1.45∼1.55이면 표시 화상의 시인성이 보다 개선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굴절률의 범위 내이면 투명판으로서 사용되는 기재와의 굴절률의 차를 저감시킬 수 있고, 광의 난반사를 억제하여 광손실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광학 부재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하기의 (i)∼(iv)의 형태를 들 수 있다.
(i) 「발명의 내용」의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가 (13)∼(2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이거나, 또는 상기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기재된 (I)∼(XIII)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인 광학 부재.
(ii) 차광부를 표면에 갖는 광학 부재가 일부(바람직하게는 주변부)에 차광부를 갖는 판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투명 광학 기재인 상기 (i)에 기재된 광학 부재.
(iii) 차광부를 표면에 갖는 광학 부재와 접합되는 다른 한쪽의 광학 기재가 상기 기능성 적층체인 광학 부재.
(iv) 상기 기능성 적층체가 터치 패널 또는 표시체인 광학 부재.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광학 부재는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터치 패널과 조합시킨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상기 표시 패널 등의 광학 부재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소형 게임기, 휴대전화 및 퍼스널컴퓨터 등의 전자기기(표시용 전자기기)에 장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조금도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3 및 비교예 1∼3으로서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조제했다.
Figure pct00021
또한, 표 1 중에 약칭으로 나타낸 각 성분은 하기와 같다.
UC-203: 폴리이소프렌 중합물의 무수 말레산 부가물과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에스테르화물(평균 분자량 35000), 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 제
UA-1: 폴리프로필렌글리콜(분자량 3000),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3성분을 몰비 1:1.3:2로 반응시킨 반응 생성물
FA-513M: 디시클로펜타닐메타크릴레이트, 히타치 카세이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제
FA-512AS: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타치 카세이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제
일가큐어 184: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BASF사 제
스피드큐어 TPO: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LAMBSON사 제
일가큐어 819: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BASF사 제
Poly ip: 수산기 말단 액상 폴리이소프렌, 이데미쓰코산 가부시키가이샤 제
유니세이프 PKA-5017: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알릴부틸에테르,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제
TINOPAL OB: 2,5-티오펜디일비스(5-tert-부틸-1,3-벤조옥사졸), BASF사 제, 「TINOPAL」은 등록상표이다.
트랜스 스틸벤: trans-1,2-디페닐에틸렌, 도쿄 카세이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제
9,10-디페닐안트라센: 9,10-디페닐안트라센, 도쿄 카세이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제
CBP: 4,4'-비스(9H-카르바졸-9-일)비페닐, 도쿄 카세이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제
CP: 9-페닐카르바졸, 도쿄 카세이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제
KAYALIGHT B: 7-디에틸아미노-4-메틸쿠마린, 닛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제, 「KAYALIGHT」는 등록상표이다.
NPB: N,N'-디(1-나프틸)-N,N'-디페닐벤지딘, 가부시키가이샤 도진 카가쿠 켄큐쇼 제
얻어진 실시예 1∼13 및 비교예 1∼3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했다.
(차광부 경화성)
우선, 도 1(a)와 같이 두께 1㎜의 유리판의 한쪽 면의 전면에 흑색 인쇄 처리를 실시해서 자외선 차광부를 형성한 기판과, 도 1(b)와 같이 두께 1㎜의 유리 기판의 한쪽 면의 면적의 절반에 흑색 인쇄 처리를 실시해서 자외선 차광부를 형성한 기판을 준비했다. 유리 기판의 크기는 세로 42㎜, 가로 75㎜였다. 이들 기판의 자외선 차광부가 형성된 면에 실시예 1∼13 및 비교예 1∼3의 각각에서 얻어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 후의 막 두께가 100㎛가 되도록 도포했다. 그 후에, 각각의 기판에 있어서의 자외선 차광부가 형성된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2매의 기판을 접합시켰다.
이어서, 도 2와 같이 한쪽 면의 면적의 절반에 흑색 인쇄 처리를 실시한 기판측으로부터 자외선을 그 접착제층에 조사했다. 실시예 1∼12 및 비교예 1∼3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얻어진 광학 부재에 대해서는 고압 수은등(80W/㎝, 오존리스)을 이용하여 적산 광량 3000mJ/㎠의 자외선을 조사했다. 실시예 13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얻어진 광학 부재에 대해서는 메탈할라이드 램프[SSR engineering사 제, D형 광원(Hg+Fe) 메탈할라이드 램프, 조도 350mW/㎠]를 사용해서 적산 광량 3000mJ/㎠의 자외선을 조사했다. 그 후에,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접착제층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흑색 인쇄 처리부의 끝으로부터 접착제의 경화가 진행된 거리(차광부 경화 거리)를 측정했다.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차광부 경화 거리의 측정 결과, 및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행한 차광부 투과성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차광부 경화 거리가 1000㎛ 이상
○···차광부 경화 거리가 400㎛ 이상 1000㎛ 미만
×···차광부 경화 거리가 400㎛ 미만
(투과율)
불소계 이형제를 도포한 두께 1㎜의 슬라이드 유리 2매를 준비하고, 그 중 1매의 이형제 도포면에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 얻어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 후의 막 두께가 200㎛가 되도록 도포했다. 그 후에, 2매의 슬라이드 유리를 각각의 이형제 도포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합시켰다. 슬라이드 유리에 끼워진 접착제층에, 유리 너머로 고압 수은등(80W/㎝, 오존리스)을 이용하여 적산 광량 2000mJ/㎠의 자외선을 조사했다. 그 후에, 2매의 슬라이드 유리를 박리함으로써 투명성 측정용 경화물을 제작했다. 그 경화물의 투명성에 대하여 분광 광도계(제품명 U-3310,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 제)를 이용하여 400∼800㎚의 범위의 투과율을 측정했다. 그 결과, 실시예 1∼13 중 어느 것에 있어서나 400∼800㎚의 범위의 투과율은 80% 이상이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경화물에 대한 400㎚에서의 투과율의 측정 결과, 및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행한 400㎚에서의 투과율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400㎚의 광의 투과율이 90% 이상
○···400㎚의 광의 투과율이 80% 이상 90% 미만
×···400㎚의 광의 투과율이 80% 미만
표 1의 결과로부터,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포함하는 실시예 1∼13의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투명 보호판에 차광부가 형성되어 있었던 경우에도 일방향으로부터의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차광부에 의해 자외선이 차광되는 차광 영역에 위치하는 그 접착제의 경화를 진행시킬 수 있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은 실용적이고 바람직한 투과율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13에서 얻어진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하의 성능 평가를 행했다.
(수축률)
불소계 이형제를 도포한 두께 1㎜의 슬라이드 유리 2매를 준비하고, 그 중 1매의 이형제 도포면에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 후의 막 두께가 200㎛가 되도록 도포했다. 그 후에, 2매의 슬라이드 유리를 각각의 이형제 도포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합시켰다. 슬라이드 유리에 끼워진 접착제층에 유리 너머로 고압 수은등(80W/㎝, 오존리스)을 이용하여 적산 광량 2000mJ/㎠의 자외선을 조사했다. 그 후에, 2매의 슬라이드 유리를 박리함으로써 막 비중 측정용 경화물을 제작했다.
JIS K7112 B법에 준거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경화물의 비중(DS)을 측정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당량의 경화물을 피크노미터에 넣어서 피크노미터의 중량을 측정한 후, 거기에 침지액을 첨가해서 피크노미터를 채우고, 경화물 및 침지액을 포함하는 피크노미터의 중량을 측정했다. 또한, 침지액만으로 채운 피크노미터의 중량을 별도 측정했다. 이것들의 측정 결과로부터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경화물의 비중을 산출했다. 또한, 각 실시예의 경화 전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대하여 25℃에서의 액 비중(DL)을 측정했다. DS 및 DL의 측정 결과로부터, 다음 식으로부터 경화 수축률을 산출했다.
경화 수축률(%)=(DS-DL)/DS×100
그 결과, 실시예 1∼13 중 어느 것에 있어서나 경화 수축률은 1.5% 미만이었다.
(유연성)
얻어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충분히 경화시켜 JIS K7215에 준거하는 방법에 의해 듀로미터 경도계(타입E)를 이용하여 듀로미터E 경도를 측정하고, 유연성을 평가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실시예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 후의 막 두께가 1㎝가 되도록 원기둥 형상의 틀에 흘려 넣고, 이어서 자외선을 조사해서 충분하게 경화시키고, 얻어진 경화물의 경도를 듀로미터 경도계(타입E)로 측정했다. 그 결과, 실시예 1∼13에서 얻어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은 모두 듀로미터E 경도는 10 미만이고, 유연성이 뛰어났다.
(제거 성능)
면적이 3.5인치인 액정 표시 유닛의 수지제 필름 표면에 실시예 2∼12에서 조제한 각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 후의 막 두께가 250㎛가 되도록 도포했다. 이어서, 터치 센서를 갖는 유리 기판을 각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상에 적재하고, 액정 표시 유닛과 접합시켰다. 최후에, 터치 센서를 갖는 유리 기판측으로부터 초고압 수은 램프[TOSCURE(등록상표) 752, 해리슨 도시바 라이팅 가부시키가이샤 제]를 이용하여 적산 광량 20∼1500mJ/㎠의 범위로 자외선을 조사하고, 접착제층을 경화시켜 본 발명의 광학 부재를 제작했다.
그리고, 금속제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광학 부재를 절단해서 액정 표시 유닛 및 터치 센서를 갖는 유리 기판으로부터 수지 경화물을 분리했다. 그 후에, 이소프로필알콜을 배어들게 한 포백으로 액정 표시 유닛의 수지제 필름 표면 및 유리 기판 표면을 닦아냄으로써, 수지제 필름 및 유리 기판에 부착되어 있는 수지 경화물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 어느 실시예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나 수지제 필름 또는 유리 기판에 있어서의 수지 경화물의 부착은 확인되지 않았다.
1 : 유리판 2 : 흑색 인쇄(자외선 차광부)
3 : 자외선 4 :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5 : 경화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6 : 차광부 경화 거리

Claims (30)

  1. 광학 기재와 차광부를 표면에 갖는 광학 기재는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물층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C)는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이 발하는 광의 파장에 흡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C)의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365㎚에 있어서의 단위중량당 흡광계수는 85∼100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4. 제 2 항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C)의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365㎚에 있어서의 단위중량당 흡광계수는 400∼100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은 유기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로서, 하기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22

    {식 중, R4는 탄소수 1∼3의 알콕시기, 페닐기, 비페닐기, 비페닐디일기, 또는 하기 식(4)
    Figure pct00023

    으로 나타내어지는 기[식 중, *은 상기 식(3)으로의 연결부를 나타냄]를 나타내고, 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l은 1∼3의 정수를, m은 각각 독립하여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로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9. 제 7 항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로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1.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차광부를 표면에 갖는 광학 기재와 다른 광학 기재를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제작을 위한 사용.
  12. 광학 기재 및 차광부를 표면에 갖는 광학 기재를 접합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3. 제 12 항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C)의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365㎚에 있어서의 단위중량당 흡광계수는 85∼100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은 유기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로서, 하기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24

    {식 중, R4는 탄소수 1∼3의 알콕시기, 페닐기, 비페닐기, 비페닐디일기, 또는 하기 식(4)
    Figure pct00025

    으로 나타내어지는 기[식 중, *은 상기 식(3)으로의 연결부를 나타냄]를 나타내고, 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l은 1∼3의 정수를, m은 각각 독립하여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7. 제 16 항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로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8. 제 16 항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B-1)로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19. 제 12 항에 있어서,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로서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포함하고, 광중합 개시제(C)로서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측정한 365㎚에 있어서의 단위중량당 흡광계수는 85∼10000㎖/(g·㎝)인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0. 제 12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i)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 및 (ii)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1. 제 12 항에 있어서,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에폭시 화합물, 또는 옥세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2. 제 12 항에 있어서,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 이외의 기타 성분을 더 포함하고,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에 대하여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의 함량은 0.001∼5중량%이고, 광중합 개시제(C)의 함량은 0.01∼5중량%이고, 잔부는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기타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3. 제 21 항에 있어서,
    광중합성 화합물(B)로서 (i)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폴리이소프렌 골격 또는 폴리부타디엔 골격 중 적어도 하나의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 및 (ii)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를 포함하고,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 중에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1-1)의 함량은 5∼90중량%이고,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B-1-2)의 함량은 5∼7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4. 제 22 항에 있어서,
    또한, 유연화 성분(D)을 함유하는 제 12 항 내지 제 19 항,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또는 기타 성분으로서 유연화 성분(D)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유연화 성분(D)의 함량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총량 중에 10∼8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6. 제 12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치 패널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27. 제 12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해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물.
  28. 광학 기재 및 그 차광부를 갖는 광학 기재를 제 12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시킨 후, 활성 에너지선을 차광부를 갖는 광학 기재를 통해서 그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조사해서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29.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30. 자외선을 흡수해서 발광하는 화합물(A), 광중합성 화합물(B),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KR1020147019383A 2012-01-13 2012-10-25 광학 부재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KR1019185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05251 2012-01-13
JP2012005251 2012-01-13
PCT/JP2012/006833 WO2013105162A1 (ja) 2012-01-13 2012-10-25 光学部材及びその製造に用いる紫外線硬化型接着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740A true KR20140143740A (ko) 2014-12-17
KR101918508B1 KR101918508B1 (ko) 2018-11-14

Family

ID=4878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9383A KR101918508B1 (ko) 2012-01-13 2012-10-25 광학 부재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320770A1 (ko)
JP (1) JP5995876B2 (ko)
KR (1) KR101918508B1 (ko)
CN (1) CN104334344B (ko)
TW (1) TWI567152B (ko)
WO (1) WO201310516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7954A (ko) * 2015-12-28 2017-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 방법
WO2021015548A1 (ko) * 2019-07-25 2021-01-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레진 및 이를 갖는 조명장치
US11338530B2 (en) 2017-11-17 2022-05-2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component, method for producing product including touch sensor, optical component, and touch sensor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71344B (zh) 2012-03-21 2016-02-17 日本化药株式会社 光学构件及用于制造该光学构件的紫外线固化型胶粘剂
JP6331483B2 (ja) * 2013-03-08 2018-05-30 株式会社スリーボンド 光硬化性組成物
JP6370086B2 (ja) * 2014-04-23 2018-08-08 株式会社ディスコ 樹脂組成物及び板状物の固定方法
WO2015198947A1 (ja) * 2014-06-27 2015-12-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粘着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US9935247B2 (en) 2014-07-23 2018-04-03 Crystal Is, Inc. Photon extraction from ultraviolet light-emitting devices
CN106459695B (zh) 2014-08-12 2021-01-12 三菱化学株式会社 透明粘合片材
WO2016052952A1 (ko)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160062305A (ko) * 2014-11-24 2016-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표시장치
WO2016151908A1 (ja) * 2015-03-26 2016-09-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6823919B2 (ja) * 2015-09-08 2021-02-03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542665A (zh) * 2015-12-07 2016-05-04 北京林氏精化新材料有限公司 一种紫外光固化粘合剂的制备方法
JP6643574B2 (ja) * 2016-02-16 2020-02-12 協立化学産業株式会社 光硬化性樹脂組成物
JP6961226B2 (ja) * 2017-01-23 2021-11-05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高分子化合物用硬さ調整剤及び光感応性複合材料
JP6360605B1 (ja) * 2017-08-30 2018-07-1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表示体の製造方法
JP6438165B1 (ja) * 2018-06-22 2018-12-1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CN110277559B (zh) * 2019-06-17 2022-02-01 南开大学 用于锂离子电池硅基负极的聚亚胺导电粘结剂
WO2023032543A1 (ja) 2021-09-03 2023-03-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用シール剤及び液晶表示素子
CN117916290A (zh) 2021-09-10 2024-04-19 荒川化学工业株式会社 紫外线固化性树脂组合物、粘接剂、密封剂、绝缘保护剂和电子电路板
KR20240052935A (ko) 2021-09-10 2024-04-23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접착제, 밀봉제, 절연 보호제 및 전자 회로 기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9A (en) * 1980-06-04 1982-01-05 Teijin Ltd Molded body capable of converting light wave length
JP4241452B2 (ja) * 2004-03-18 2009-03-18 三井化学株式会社 光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液晶シール剤組成物
JP2007156184A (ja) * 2005-12-06 2007-06-21 Sekisui Chem Co Ltd 液晶表示素子用シール剤、上下導通材料及び液晶表示素子
JP5058018B2 (ja) * 2008-02-14 2012-10-2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I485214B (zh) * 2008-09-05 2015-05-21 Kyoritsu Chemical Co Ltd And a photohardenable resin composition for bonding an optical functional material
JP5817354B2 (ja) * 2011-09-07 2015-11-18 Dic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粘着剤用樹脂組成物、粘着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7954A (ko) * 2015-12-28 2017-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 방법
US11338530B2 (en) 2017-11-17 2022-05-2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component, method for producing product including touch sensor, optical component, and touch sensor device
WO2021015548A1 (ko) * 2019-07-25 2021-01-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레진 및 이를 갖는 조명장치
US11897981B2 (en) 2019-07-25 2024-02-13 Lg Innotek Co., Ltd. Optical resin and lighting device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29183A (zh) 2013-07-16
JPWO2013105162A1 (ja) 2015-05-11
WO2013105162A1 (ja) 2013-07-18
CN104334344B (zh) 2016-10-19
JP5995876B2 (ja) 2016-09-21
CN104334344A (zh) 2015-02-04
TWI567152B (zh) 2017-01-21
KR101918508B1 (ko) 2018-11-14
US20140320770A1 (en)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508B1 (ko) 광학 부재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JP5953319B2 (ja) 光学部材及びその製造に用いる紫外線硬化型接着剤
KR20140145581A (ko) 광학부재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KR101542524B1 (ko) 광학부재의 제조를 위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KR101493251B1 (ko) 광학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위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사용
KR101904791B1 (ko)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경화물 및 광학 부재
US20160342254A1 (en) Ultraviolet-Curable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Optical Member Producing Method Using Same, Cured Product, And Touch Panel
KR20140101344A (ko) 광학부재,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경화물
CN106459726B (zh) 触控面板用紫外线固化型树脂组合物、使用了该组合物的贴合方法和物品
WO2014024471A1 (ja)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物品
CN106459725B (zh) 触控面板用紫外线固化型树脂组合物、使用了该组合物的贴合方法和物品
KR20170017914A (ko) 터치 패널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첩합 방법 및 물품
TW201923002A (zh) 紫外線硬化型接著劑組成物、其硬化物及使用紫外線硬化型接著劑組成物之光學構件的製造方法
KR20170105523A (ko)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그것에 사용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터치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60055134A (ko)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이용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KR20170023878A (ko)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그것에 사용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80075494A (ko) 터치패널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경화물 및 터치패널
WO2018230610A1 (ja) タッチパネル用紫外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その硬化物、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