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2151A -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2151A
KR20140142151A KR20140063520A KR20140063520A KR20140142151A KR 20140142151 A KR20140142151 A KR 20140142151A KR 20140063520 A KR20140063520 A KR 20140063520A KR 20140063520 A KR20140063520 A KR 20140063520A KR 20140142151 A KR20140142151 A KR 20140142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ransmission medium
signal transmission
shel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3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9339B1 (ko
Inventor
히데키 아오키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2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과제> 부품 점수를 저감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판상 신호전송 매체를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서 효율적이고 또한 확실하게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가 삽입되는 한 쌍의 쉘편(11a, 11b)끼리를 쉘 연결부(11d)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고, 한 쌍의 쉘편(11a, 11b)의 적어도 일방에, 폐색 상태로 했을 때에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일부 PS2에 계합하여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를 보유하는 발지계지조(11c)를 설치하고, 개방 상태에 있는 도전성 쉘(11) 내에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를 삽입한 후에 폐색 상태로 하는 것만으로,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일부 PS2에 발지계지조(11c)를 계합 상태로 하여 도전성 쉘(11)에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를 덜거덕거림이 없이 보유함으로써,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PLUG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전성 쉘(shell)로부터 돌출하는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상대 커넥터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의 전기 기기 등에 있어서, 플렉서블 인쇄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 FPC) 이나,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 FFC) 등의 가늘고 긴 판상(板狀)을 이루도록 형성된 각종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을 플러그 커넥터에 연결해 두고, 그 판상 신호전송 매체가 연결된 플러그 커넥터를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된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에 삽입하여 감합시킴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이 때의 플러그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절연 기체(절연 하우징(housing))의 표리 양면을 한 쌍의 도전성 쉘로 덮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에는 신호선 또는 접지선을 노출시킨 접속 단자(콘택트(contact))가 다극 형상 전극부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들 다극 형상 전극부가 도전성 쉘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을 행하는데 즈음해서는, 우선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절연 기체(절연 하우징)에 장착되고, 당해 판상 신호전송 매체가 연결된 상태의 절연 기체가 일방의 도전성 쉘에 장착된 후, 타방의 도전성 쉘이 상방측으로부터 덮도록 조립됨으로써 하네스(harness) 제작을 하고 있다. 또, 이 상태의 판상 신호전송 매체는 판상 신호전송 매체 또는 절연 기체(절연 하우징)에 대해서 덜거덕거림을 일으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테이프 등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고정 상태를 확보하고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특허 문헌 1에 의해 절연 기체(절연 하우징)를 필요로 하지 않는 커넥터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렇지만, 특허 문헌 1과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의 제작 공정에 있어서도, 최저라도 3공정, 즉 일방의 도선성 쉘에 대한 판상 신호전송 매체 세트 공정, 타방의 도전성 쉘의 조립 공정, 및 고정 수단의 부가 공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공정수의 삭감을 행하는 등의 가일층의 조립 작업성의 향상이 요청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1-187367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판상 신호전송 매체를 효율적이고 또한 확실하게 연결할 수가 있도록 한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는,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도전성 쉘로부터 돌출하도록 장착되고, 당해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을 포함하는 부위가 상대 커넥터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쉘은,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을 수용하는 한 쌍의 쉘편(shell piece)으로 구성되고, 이들 한 쌍의 쉘편에 의해 형성되는 매체 수용 공간 내에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삽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한 쌍의 쉘편은,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측 부분에 배치된 쉘 연결부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쉘편의 적어도 일방에는, 당해 한 쌍의 쉘편이 개방 상태로부터 폐색 상태로 되었을 때에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일부에 계합하여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를 보유하는 발지계지조(拔止係止爪)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쉘편이 개방 상태에 있는 도전성 쉘의 매체 수용 공간 내에 판상 신호전송 매체를 삽입한 후에, 한 쌍의 쉘편끼리를 폐색 상태로 하는 것만으로,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일부에 대해서 발지계지조가 계합 상태로 되고, 당해 발지계지조의 계합력으로 판상 신호전송 매체가 도전성 쉘에 대해서 덜거덕거림이 없이 보유됨으로써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양호하게 행해진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쉘 연결부가, 상기 매체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된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일부에 대한 부딪힘부로서 형성되고, 당해 부딪힘부로서의 상기 쉘 연결부와 상기 발지계지조에 의해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일부가 위치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부딪힘부로서의 상기 쉘 연결부와 상기 발지계지조가,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일부에 대해서 삽입 방향의 전후로부터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보유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발지계지조는,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를 상기 삽입 방향을 향해 꽉 누르는 탄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판상 신호전송 매체에 대해서 발지계지조가 탄성적으로 압압하는 접촉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보유가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에, 상대 커넥터에 접촉되는 접속 단자가 다극 형상 전극부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도전성 쉘의 표면에는 당해 도전성 쉘을 상기 접속 단자로부터 비접촉으로 보유하는 단락 방지부가 설치되고, 당해 단락 방지부는, 상기 매체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된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절연 부분에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전성 쉘이 외력 등에 의해 변형된 경우에, 단락 방지부가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절연 부분에 맞닿음으로써, 도전성 쉘이 그 이상 변형하는 일이 없어져, 접속 단자에 대해서 도전성 쉘이 접촉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전송 신호의 단락이 회피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금속 쉘에는,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삽입시에 당해 판상 신호전송 매체에 있어서의 판 너비 방향의 측단면에 맞닿아 탄성적으로 휘는 접접(摺接) 탄성 스프링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전성 쉘의 매체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된 판상 신호전송 매체가, 접접 탄성 스프링 부재의 탄성 부세력에 의해 판 너비 방향의 미리 결정된 위치까지 이동되게 되어,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삽입시에 있어서의 초기 상태에 관계없이 당해 판상 신호전송 매체가 판 너비 방향의 적정 위치에 보유되게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접접 탄성 스프링 부재가, 상기 한 쌍의 쉘편의 일방에 설치된 것이며, 당해 접접 탄성 스프링 부재는,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가 상기 매체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쉘편끼리가 폐색될 때에 있어서 타방의 쉘편과 간섭하는 위치 관계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매체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된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에 의해 상기 접접 탄성 스프링 부재가 상기 타방의 쉘편과 비간섭으로 되는 위치까지 변위함으로써,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가 상기 매체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쉘편끼리가 폐색될 때에 상기 접접 탄성 스프링이 상기 타방의 쉘편과 비간섭으로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예를 들면 도전성 쉘의 제조 단계, 혹은 이동 및 반송 중에 조심성이 없이 접촉 등에 의해 한 쌍의 쉘편끼리가 의도하지 않게 폐색 상태로 되는 것이 회피되기 때문에,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삽입을 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사태가 방지되어 제조 중에 있어서의 이른바 제품 수율의 저하가 방지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에는, 당해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판 너비 방향 또는 판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거나 또는 움푹 파이도록 형성된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고, 그 위치 결정부에, 상기 발지계지조가 계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판상 신호전송 매체에 대한 발지계지조의 계합이 위치 결정부를 통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보유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상술한 도전성 쉘의 복수체(複數體)를 일체적으로 연결하여 제조하는 구성이 채용된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도전성 쉘이 일괄적으로 제조되게 되어 제조 효율이 큰 폭으로 향상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삽입되는 매체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쉘편끼리를 쉘 연결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고, 한 쌍의 쉘편의 적어도 일방에, 당해 한 쌍의 쉘편을 개방 상태로부터 폐색 상태로 했을 때에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일부에 계합하여 판상 신호전송 매체를 보유하는 발지계지조를 설치하고, 한 쌍의 쉘편이 개방 상태에 있는 도전성 쉘의 수용 공간 내에 판상 신호전송 매체를 삽입한 후에 폐색 상태로 하는 것만으로,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일부에 발지계지조를 계합 상태로 하여 도전성 쉘에 판상 신호전송 매체를 덜거덕거림이 없이 보유함으로써,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저감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판상 신호전송 매체를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서 효율적이고 또한 확실하게 연결할 수가 있고, 전기 커넥터의 생산성 및 신뢰성을 저렴하게 큰 폭으로 높일 수가 있다.
도 1은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를 삽입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근접시킨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 상태로부터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 내에 삽입하여 감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를 떼어낸 도 3과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단체의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 단체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 중의 VI-VI선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단체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5와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단체에 있어서 상부 쉘편을 없앤 상태하부 쉘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플러그 커넥터 단체의 내부 구조에 있어서 당해 도 7의 좌단측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플러그 커넥터 단체를 좌측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 단체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 단체의 저면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로서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의 삽입 및 장착 상태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상부 쉘편을 없앤 상태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 단체에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의 단말 부분을 근접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 6에 상당하는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4 상태로부터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의 단말 부분을 플러그 커넥터 내의 최종 삽입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도 6에 상당하는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5 상태로부터 플러그 커넥터를 폐색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 6에 상당하는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2 중의 XVII-XVII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3에 나타낸 플러그 커넥터 단체의 내부 구조에 있어서 당해 도 13의 좌단측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도전성 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대해]
도 1 내지 도 18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플렉서블(flexible) 인쇄 기판이나, 플렉서블(flexible) 평판 케이블 등으로 이루어지는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단말 부분을, 도시를 생략한 인쇄 배선 기판 상의 전자 회로에 접속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것으로서, 특히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단말 부분이 연결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10)가 인쇄 배선 기판 상에 형성된 배선 패턴(도시 생략)에 땜납 접속된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20)에 대해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감합 상태로 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 인쇄 배선 기판의 표면의 연재(延在) 방향을 「수평 방향」이라고 하고, 그 인쇄 배선 기판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을 「높이 방향」이라고 한다. 또, 플러그 커넥터(10)에 있어서는, 감합시에 있어서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단연부(端緣部)를 「전단연부(前端緣部)」라고 하고, 그것과는 반대측의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단말 부분이 연결되는 측의 단연부를 「후단연부(後前緣部)」라고 한다. 또, 리셉터클 커넥터(20)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10)가 감합시에 삽입되는 측의 단연부를 「전단연부」, 그 반대측의 단연부를 「후단연부」라고 한다. 또한,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1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는 가늘고 긴 형상을 이루도록 연재(延在)하는 커넥터 본체부를 가지고 있지만, 그 커넥터 본체부의 연재 방향을 「커넥터 길이 방향」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0)의 후단연부에서 후방측으로 연출(延出)하고 있는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 PS는 상술한 「커넥터 길이 방향」을 「판 너비 방향」으로 하여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판 너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재하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복수 라인의 신호선 및 접지선(ground line)(쉴드(shield)선)이 「판 너비 방향」을 따라 다극 형상을 이루도록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
이러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일방측의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고 있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커넥터 본체부는, 일반적인 전기 커넥터가 구비하고 있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절연 기체(절연 하우징)를 가지지 않고, 전자파 잡음 등을 차단하기 위한 도전성 쉘(11)의 내부에 형성된 매체 수용 공간 내에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 PS의 단말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의 도전성 쉘(11)은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단말 부분을 상하로부터 끼우는 상부 쉘편(11a) 및 하부 쉘편(11b)을 구비한 일체적인 구조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단에 있어서 설명한다.
[신호전송 매체에 대해]
한편, 특히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난 것처럼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 PS는 상술한 것처럼 판 너비 방향을 따라 복수 라인의 신호선 및 접지선(ground line)(쉴드(shield)선)이 가요성을 가지는 절연 피복재의 내부에 다극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절연 피복 부재로서는, 상술한 신호선 및 접지선 상에 하층을 구성하도록 첩착(貼着)된 절연성 커버 필름이 이용되어 있음과 아울러, 또한 그 절연성 커버 필름 상으로부터 쉴드(shield) 테이프가 상층을 구성하도록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절연 피복 부재는 플러그 커넥터(10)의 매체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되는 선단연측의 일정 영역에서 벗겨진 상태로 되어 있고, 이에 의해 다극 형상의 전극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당해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단말 부분에 있어서는, 복수 라인의 신호선 및 접지선(ground line)(쉴드(shield)선)이 상방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고, 그 신호선 및 접지선의 노출 부분에 의해 복수의 접속 단자부(콘택트부) PS1로 이루어지는 다극 형상 전극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접속 단자부 PS1의 하면측 부분(비노출측 부분)에는, 당해 접속 단자부 PS1의 하면 전체를 덮도록 절연 피복재가 피착되어 있다.
이 때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단자부 PS1은 판 너비 방향의 양측 부분에 접지선을 노출시켜 형성된 접지 단자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이들 판 너비 방향의 양측 부분에 배치된 접지 단자끼리의 사이에는, 신호선을 노출시킴으로써 형성된 신호선 단자가 소정의 피치(pitch)를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접속 단자부 PS1을 가지는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 PS의 단말 부분은 상술한 도전성 쉘(11)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지만, 당해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고정 상태에 있어서는, 접속 단자부(다극 형상 전극부) PS1이 도전성 쉘(11)의 전단연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후술하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20)의 내방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인 접촉을 하게 되어 있다.
또,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 PS의 판 너비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단연에는, 상술한 접속 단자부(다극 형상 전극부) PS1의 약간 후방측에 상당하는 부분에, 위치 결정부 PS2, PS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위치 결정부 PS2는 평면 대략 직사각 형상을 이루어 판 너비 방향의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당해 각 위치 결정부 PS2의 상면에는 상술한 접지 단자가 장출(張出)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접지 단자는 절연 피복 부재의 하층을 구성하고 있는 절연성 커버 필름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여 있지만, 상층을 구성하고 있는 쉴드(shield) 테이프는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 부분이 모서리 형상(corner shape)으로 커트(cut) 되어 있음으로써 위치 결정부 PS2를 덮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이들 각 위치 결정부 PS2에는 후술하듯이 도전성 쉘(11)에 설치된 발지계지조(11c, 11c)가 계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발지계지조(11c, 11c)가 위치 결정부 PS2, PS2에 계합함으로써,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전체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위치에 보유되게 되어 있다.
[도전성 쉘에 대해]
한편, 전술한 것처럼 도전성 쉘(11)은 도 3, 6에 나타난 것처럼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 PS의 단말 부분을 상하로부터 끼우는 상부 쉘편(11a) 및 하부 쉘편(11b)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들 상부 쉘편(11a) 및 하부 쉘편(11b)의 전단연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 부분에 배치된 한 쌍의 쉘 연결부(11d, 11d)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들 쉘 연결부(11d, 11d)는 띠판상 부재를 측면 대략 コ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듯이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삽입 방향의 부딪힘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쉘 연결부(11d, 11d)를 통해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부 쉘편(11a)과 하부 쉘편(11b)이 상하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상부 쉘편(11a) 및 하부 쉘편(11b)은 양자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폐색 위치와 쉘 연결부(11d, 11d)를 중심으로 하여 상부 쉘편(11a)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하여 회동된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개폐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특히 도 6에 나타난 것처럼 도전성 쉘(11)의 초기 상태, 즉 외력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방치 상태에 있어서는, 쉘 연결부(11d, 11d)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상부 쉘편(11a)과 하부 쉘편(11b)이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보유되어 있고, 도전성 쉘(11)의 후단 부분이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이러한 초기의 개방 상태로 된 상부 쉘편(11a)과 하부 쉘편(11b)과의 사이의 평행 대면 부분에 형성된 매체 수용 공간의 내부에,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 PS가 삽입된 후, 작업자의 손가락끝에 의해 상부 쉘편(11a)이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눌려 들어감으로써 도전성 쉘(11)은 폐색 상태로 된다.
전술한 것처럼 상부 쉘편(11a) 및 하부 쉘편(11b)의 전단연끼리는 한 쌍의 쉘 연결부(11d, 11d)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이들 상부 쉘편(11a) 및 하부 쉘편(11b)의 전단 부분과는 반대측의 후단 부분에는 도 5~7에 나타난 것처럼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 부분에 쉘 고정부(11h, 11h)가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쉘 고정부(11h)는 측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コ자 형상 이루도록 절곡 형성된 것이며, 상하 방향으로 감합 가능하게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상부 쉘편(11a)이 하방으로 눌려 들어가 도전성 쉘(11)이 폐색 상태로 되었을 때에, 쌍방의 쉘 고정부(11h, 11h)끼리가 중합하도록 감합하고, 이에 따라 상부 쉘편(11a) 및 하부 쉘편(11b)을 포함하는 도전성 쉘(11)의 전체가 강고하게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부 쉘편(11a)과 하부 쉘편(11b)의 쉘 고정부(11h, 11h)의 사이의 공간에는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를 접속한 후에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 막대(lock bar)의 축단(軸端)을 보유할 수가 있다.
여기서, 쉘 연결부(11d, 11d)는 전술한 것처럼 도전성 쉘(11)의 전단측 부분, 즉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 PS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측 부분으로서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 부분에 배치되어 있지만, 당해 양측 쉘 연결부(11d, 11d)끼리로 끼워진 부위에는,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접속 단자부(다극 형상 전극부) PS1을 관통 가능하게 하는 돌출 개구부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으로 연재(延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전성 쉘(11)의 후단측 부분, 즉 상술한 돌출 개구부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접속 단자부(다극 형상 전극부) PS1을 삽입 가능하게 하는 삽입 개구부가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으로 연재(延在)하도록 형성되게 되어 있다. 이 삽입 개구부는 상부 쉘편(11a)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도전성 쉘(11)이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형성되는 것이며, 상술한 쉘 고정부(11h, 11h)끼리로 끼워진 부위에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도전성 쉘(11)의 후단측에 설치된 삽입 개구부를 통해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 PS의 접속 단자부 PS1이 매체 수용 공간에 삽입되고, 그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가 전방측을 향해 더 삽입되어 감으로써, 당해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접속 단자부 PS1이 돌출 개구부를 통해 전방측으로 돌출된다. 또, 그 때에는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위치 결정부 PS2, PS2의 전단연부가 상술한 쉘 연결부(11d, 11d)에 맞닿음으로써,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가 삽입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을 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쉘 연결부(11d, 11d)는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삽입에 대한 부딪힘부를 이루고 있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도전성 쉘(11)의 삽입 개구부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 외방 부분에는 쉘 고정부(11h, 11h)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들 쉘 고정부(11h, 11h)가 삽입 개구부와 인접하는 내방 단연측의 부위에는, 특히 도 4 및 도 6에 나타난 것처럼 한 쌍의 발지계지조(11c, 11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발지계지조(11c, 11c)는 상부 쉘편(11a)에 형성되어 있어, 당해 상부 쉘편(11a)에 있어서의 상기 쉘 고정부(11h, 11h)의 내방 단연(커넥터 중심측단)에 상당하는 위치로부터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연출(延出)하는 띠모양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삽입 개구부측을 향해 장출(張出)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발지계지조(11c, 11c)는 편지(片持) 형상을 이루어 연출(延出)하는 탄성 가요성을 가지는 스프링 형상 부재로 되어 있고, 이들 각 발지계지조(11c)의 전단연부에는 당해 발지계지조(11c)의 하단측 각부(角部)를 모서리 형상(corner shape)으로 커트(cut) 하도록 하여 경사상(傾斜狀) 안내변부(11c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 안내변부(11c1)는 전방측을 향해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출한 후, 대략 직선상(直線狀)으로 연출하는 직선상 지지변부(11c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직선상 지지변부(支持邊部)(11c2)는 발지계지조(11c)의 전단연부를 형성하는 것이지만, 도전성 쉘(11)의 폐색 상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이 때에 상술한 경사상 안내변부(11c1)는 도전성 쉘(11)의 매체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된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 PS의 위치 결정부 PS2에 있어서의 후단연부에 대해서 맞닿음 가능하게 되는 위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 점에 관한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4에 나타나 있듯이 도전성 쉘(11)이 초기의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가 매체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되면, 도 15에 나타나 있듯이 당해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위치 결정부 PS2, PS2의 전단연부가 부딪힘부로서의 쉘 연결부(11d, 11d)에 맞닿음으로써 삽입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게 된다.
그리고, 그러한 최종 삽입 상태로부터 상부 쉘편(11a)이 하부 쉘편(11b)을 향해 하방의 폐색 방향으로 회동(回動)되어 올 때, 발지계지조(11c)의 경사상 안내변부(11c1)의 도중 위치가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위치 결정부 PS2에 있어서의 삽입 방향의 후단연부에 맞닿는 위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에 당해 경사 안내변부(11c1)에 발생하는 전방 분력에 의해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전체가 전방측으로 압압(押壓)되게 된다. 또한, 상부 쉘편(11a)의 폐색 조작이 진행되면, 도 16 및 도 18에 나타나 있듯이 발지계지조(11c)의 직선상 지지변부(11c2)가 위치 결정부 PS2의 삽입 방향의 후단연부에 대해서 맞닿고, 이에 따라 위치 결정부 PS2에 대해서 발지계지조(11c)가 계합 상태로 되어,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가 부동 상태로 보유된다.
한편, 전술한 도전성 쉘(11)의 쉘 연결부(11d, 11d)의 내벽 근방 부분에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것처럼 도전성 쉘(11)의 삽입 개구부로부터 삽입된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 PS를 판 너비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접접 탄성 스프링(11m, 11m)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접접 탄성 스프링(11m)은 하부 쉘편(11b)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띠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위치 결정부 PS2의 외방 단연을 따르도록 연재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접접 탄성 스프링(11m)은 하부 쉘편(11b)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연부를 기부로 하여 비스듬히 전방측으로 연출(延出)하는 편지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부로부터 커넥터 내방측(커넥터 중심측)을 향해 비스듬히 전방측을 향해 연출(延出)하는 띠판상의 스프링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것처럼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 PS의 삽입을 했을 때에, 도 13 및 도 18에 나타나 있듯이 당해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 PS2의 삽입 방향의 전단측의 각부(角部)가 상술한 접접(摺接) 탄성 스프링(11m)의 도중 부분에 맞닿는 위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고, 당해 접접 탄성 스프링(11m)의 탄성력에 의해 위치 결정부 PS2를 포함하는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전체가 판 너비 방향의 미리 결정된 위치까지 이동되게 되어, 이후의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삽입에 대한 판 너비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하게 되어 있다.
이 때에 특히 도 9에 나타나듯이, 하부 쉘편(11b)의 저부 내표면을 기준으로 한 접접 탄성 스프링(11m) 상단 연부(緣部)(도 9의 상방향 단연(端緣))의 높이 H는 상부 쉘편(11a)의 내표면의 높이 h보다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H>h),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 PS의 삽입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태로 상부 쉘편(11a)이 폐색 되었을 때에 있어서는, 당해 상부 쉘편(11a)의 일부가 접접 탄성 스프링(11m)을 형성하고 있는 외주 단연부의 일부(상단 연부)와 약간 간섭하는 위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접접 탄성 스프링(11m)과 상부 쉘편(11a)과의 간섭 관계는,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삽입이 행해졌을 때에 해소되게 되지만, 이 점에 있어서는 후술한다.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 PS의 삽입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태로 상부 쉘편(11a)이 폐색 되었을 때에 접접 탄성 스프링(11m)이 상부 쉘편(11a)에 대해서 약간의 간섭 관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가 매체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되기 전에 본래 개방 상태로 되어 있어야 할 상부 쉘편(11a)이 의도하지 않게 폐색 상태로 되어 버리는 것이 회피되게 되어, 상부 쉘편(11a)이 하부 쉘편(11b)에 계합해 버림으로써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삽입을 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사태를 방지하는 계합 방지 기능이 얻어진다. 예를 들면, 도전성 쉘(11)의 제조 단계, 혹은 이동 및 반송 중에 있어서 상부 쉘편(11a) 혹은 하부 쉘편(11b)이 조심성이 없이 접촉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계합 상태(폐색 상태)로 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기 때문에 제조 중에 있어서의 제품 수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가 매체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된 후에 있어서는, 상술한 것 같은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위치 결정부 PS2에 의한 위치 결정 동작에 의해 접접 탄성 스프링(11m)이 판 너비 방향의 외방측으로 변위하게 되어, 당해 접접 탄성 스프링(11m)은 상부 쉘편(11a)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 관계로 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 결과, 상부 쉘편(11a)과 하부 쉘편(11b)에 의한 개방 상태로부터 폐색 상태로의 계합 동작은 접접 탄성 스프링(11m)과의 간섭을 일으키는 일 없이 원활하게 행해져 완료한다.
또한, 도 12 및 도 17에 나타난 것처럼 도전성 쉘(11)에 있어서의 상부 쉘편(11a)에는 당해 상부 쉘편(11a)의 표면에, 도전성 쉘(11)을 접속 단자부 PS1로부터 비접촉으로 보유하는 단락 방지부(11j)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3체의 것이 병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단락 방지부(11j)는 도전성 쉘(11)의 상부 쉘편(11a)으로부터 매체 수용 공간의 내방을 향해 돌출하도록 프레스 가공된 내방 돌기부로 형성되어 있고, 매체 수용 공간에 있어서의 최종 위치까지 삽입된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 PS의 절연 피복 부분에 대해서, 당해 각 단락 방지부(11j)가 상방측으로부터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쉘편(11a)에는 상술한 단락 방지부(11j)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외방 부분에 한 쌍의 접지 콘택트(11k, 11k)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접지 콘택트(11k)는 상부 쉘편(11a)으로부터 내방측의 매체 수용 공간을 향해 편지 형상을 이루어 돌출하도록 노치(notch)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접지 콘택트(11k)는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 PS의 접지선을 노출하여 형성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접속 단자부(다극 형상 전극부) PS1에 접촉하는 배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고,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가 최종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접지 접속을 하게 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
한편,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타방의 상대 커넥터를 구성하고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20)는 특히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합성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절연 하우징(21)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그 절연 하우징(21)의 외표면을 덮어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잡음 등을 차단하는 도전성 쉘(22)을 구비하고 있다.
절연 하우징(21)에는 복수의 도전 콘택트(23)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다극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적당한 피치(pitch)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 각 도전 콘택트(23)는 탄성을 가지는 빔(beam) 형상의 금속재료가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연 하우징(21)에 설치된 홈(groove) 형상부 내에 전후방향으로 연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각 도전 콘택트(23)는 인접하는 것끼리가 대략 동일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각 도전 콘택트(23)의 후단측 부분에는 하방측을 향해 계단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된 접속 다리부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접속 다리부가 도시를 생략한 인쇄 배선 기판 상에 형성된 신호전송용의 인쇄 배선 패턴(도전로) 상에 땜납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때의 땜납 접합은 다극 배열 방향의 모든 것에 대해서 일괄하여 행해진다.
또, 상술한 각 도전 콘택트(23)의 전단측 부분에는 도시를 생략한 접점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각 접점부가 리셉터클 커넥터(20)에 감합된 플러그 커넥터(10)의 접속 단자부 PS1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배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접점부로부터 접속 다리부를 통해 인쇄 배선 기판에 이르는 신호전송 회로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전성 쉘(22)은 그 상하 전단연부에 있어서,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20)에 감합된 플러그 커넥터(10)의 상부 쉘편(11a)의 표면 부분 및 하부 쉘편(11b)의 하면 부분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면접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음과 아울러, 도전성 쉘(22)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는 복수의 홀드다운(hold down)(22a)이 커넥터 길이 방향의 외방측 및 후단측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연출(延出)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홀드다운(hold down)(22a)은 인쇄 배선 기판 상에 형성된 접지용의 인쇄 배선 패턴(도전로) 상에 땜납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에 따라 도전성 쉘(22)로부터 인쇄 배선 기판에 이르는 접지 회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전체가 고정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와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10)에 있어서는, 상부 쉘편(11a) 및 하부 쉘편(11b)이 개방 상태로 된 도전성 쉘(11)의 삽입 개구부를 통해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 PS가 도전성 쉘(11)의 매체 수용 공간 내에 삽입한 후에, 상부 쉘편(11a) 및 하부 쉘편(11b)끼리를 폐색 상태로 하도록 조작하는 것만으로,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위치 결정부 PS2에 대해서 발지계지조(11c)가 계합 상태로 되고, 당해 발지계지조(11c)의 계합력으로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가 도전성 쉘(11)에 대해서 덜거덕거림이 없이 보유됨으로써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양호하게 행해진다.
이 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전성 쉘(11)의 매체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된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 PS가 접접 탄성 스프링 부재(11m)의 탄성 부세력에 의해 판 너비 방향의 미리 결정된 위치까지 이동되기 때문에,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삽입시에 있어서의 초기 상태에 관계없이 당해 판상 신호전송 매체가 판 너비 방향의 적정 위치에 보유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부딪힘부로서의 쉘 연결부(11d, 11d)와 발지계지조(11c)가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위치 결정부 PS2에 대해서 삽입 방향의 전후로부터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보유성을 높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이 때의 발지계지조(11c)는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를 삽입 방향을 향해 꽉 누르는 탄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부터,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에 대해서 발지계지조(11c)가 탄성적으로 압압하는 접촉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의 보유가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전성 쉘(11)에 외력 등이 부가되는 것에 의해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 단락 방지부(11j)가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 PS의 절연 피복 부분에 맞닿아 도전성 쉘(11)이 그 이상 변형하지 않게 되고, 도전성 쉘(11)의 접속 단자부(다극 형상 전극부) PS1에 대한 도전성 쉘(11)의 접촉이 방지되게 되어 전송 신호의 단락 등의 불편이 양호하게 회피되게 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형태와 관련된 도전성 쉘(11)은 상부 쉘편(11a) 및 하부 쉘편(11b)을 포함하는 전체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19에 나타나 있듯이 복수체의 도전성 쉘(11, 11,···)이 캐리어(30)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된 중간 공정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전성 쉘(11)의 제조가 일괄하여 행해지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인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판상 신호전송 매체 PS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 PS2가 판 너비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판 너비 방향으로 움푹 파인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판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는 기둥 형상의 것이나, 움푹 파인 구멍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단자부(다극 형상 전극부)는 접지 단자가 신호 단자의 외측에 배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당해 접지 단자는 신호 단자에 대해서 그 외의 배치 관계로 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또, 접지 단자를 폐지한 신호 단자만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발지계지조(11c)는 상부 쉘(11a)에 설치하고 있지만, 도전성 쉘의 다른 부위, 예를 들면 측판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는 수평 감합형의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지만, 수직 감합형의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는 각종 전기 기기에 사용되는 다종 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PS 판상 신호전송 매체
10 플러그 커넥터 11 도전성 쉘
11a 상부 쉘편 11b 하부 쉘편
11c 발지계지조
11c1 경사상 안내변부 11c2 직선상 지지변부
11d 쉘 연결부 11h 쉘 고정부
11j 단락 방지부 11k 접지 콘택트
11m 접접 탄성 스프링부
20 리셉터클 커넥터(상대 커넥터)
21 절연 하우징 22 도전성 쉘
22a 홀드다운(hold down) 23 도전 콘택트(contact)
PS 판상 신호전송 매체(FPC, FFC)
PS1 접속 단자부(다극 형상 전극부) PS2 위치 결정부

Claims (8)

  1.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도전성 쉘로부터 돌출하도록 장착되고, 당해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을 포함하는 부위가 상대 커넥터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쉘은,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을 수용하는 한 쌍의 쉘편으로 구성되고, 이들 한 쌍의 쉘편에 의해 형성되는 매체 수용 공간 내에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삽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한 쌍의 쉘편은,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측 부분에 배치된 쉘 연결부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쉘편의 적어도 일방에는, 당해 한 쌍의 쉘편이 개방 상태로부터 폐색 상태로 되었을 때에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일부에 계합하여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를 보유하는 발지계지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 연결부가, 상기 매체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된 판상 신호전송 매체에 대한 부딪힘부로서 형성되고,
    당해 부딪힘부로서의 상기 쉘 연결부와 상기 발지계지조에 의해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일부가 위치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지계지조는,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를 상기 삽입 방향으로 꽉 누르는 탄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에, 상대 커넥터에 접촉되는 접속 단자가 다극 형상 전극부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도전성 쉘의 표면에는 당해 도전성 쉘을 상기 접속 단자로부터 비접촉으로 보유하는 단락 방지부가 설치되고,
    당해 단락 방지부는, 상기 매체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된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절연 부분에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쉘에는,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삽입시에 당해 판상 신호전송 매체에 있어서의 판 너비 방향의 측단면에 맞닿아 탄성적으로 휘는 접접 탄성 스프링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접 탄성 스프링 부재가, 상기 한 쌍의 쉘편의 일방에 설치된 것이며,
    당해 접접 탄성 스프링 부재는,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가 상기 매체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쉘편끼리가 폐색될 때에 있어서 타방의 쉘편과 간섭하는 위치 관계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매체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된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에 의해 상기 접접 탄성 스프링 부재가 상기 타방의 쉘편과 비간섭으로 되는 위치까지 변위함으로써,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가 상기 매체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쉘편끼리가 폐색될 때에 상기 접접 탄성 스프링이 상기 타방의 쉘편과 비간섭으로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신호전송 매체에는, 당해 판상 신호전송 매체의 판 너비 방향 또는 판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거나 또는 움푹 파이도록 형성된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고,
    그 위치 결정부에, 상기 발지계지조가 계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전성 쉘의 복수체를 일체적으로 연결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20140063520A 2013-06-03 2014-05-27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549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17105A JP5704365B2 (ja) 2013-06-03 2013-06-03 プラグ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3-117105 2013-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151A true KR20140142151A (ko) 2014-12-11
KR101549339B1 KR101549339B1 (ko) 2015-09-01

Family

ID=51985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520A KR101549339B1 (ko) 2013-06-03 2014-05-27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50120B2 (ko)
JP (1) JP5704365B2 (ko)
KR (1) KR101549339B1 (ko)
CN (1) CN104218368B (ko)
TW (1) TWI5890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21799S (ko) * 2014-07-23 2015-04-20
JP6015971B2 (ja) * 2014-10-02 2016-10-26 第一精工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
CN206907995U (zh) * 2017-07-13 2018-01-19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连接器结构
JP2019220339A (ja) * 2018-06-20 2019-12-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付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0426A (ja) * 2000-09-25 2002-04-05 Calsonic Kansei Corp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JP2002100425A (ja) * 2000-09-25 2002-04-05 Calsonic Kansei Corp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380539B2 (ja) * 2000-10-13 2003-02-24 山一電機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2373739A (ja) * 2001-06-14 2002-12-26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680767B2 (ja) * 2001-06-14 2005-08-10 住友電装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6793527B2 (en) * 2001-06-14 2004-09-2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JP3931684B2 (ja) 2002-02-25 2007-06-20 松下電工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用コネクタ
US6981891B1 (en) * 2004-10-19 2006-01-03 Alex Huang Flexible flat cable connector
JP4090060B2 (ja) * 2004-12-20 2008-05-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160151Y (zh) * 2008-01-05 2008-1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JP4915880B2 (ja) * 2009-09-25 2012-04-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シェル付き電気コネクタ
JP4982770B2 (ja) 2009-12-04 2012-07-2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US8287311B2 (en) * 2010-01-15 2012-10-16 P-Two Industries Inc.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JP5019079B2 (ja) * 2010-03-10 2012-09-0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063748B2 (ja) * 2010-06-30 2012-10-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13349B2 (ja) * 2011-03-29 2015-11-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接続対象物
TWM429208U (en) * 2011-11-18 2012-05-11 Cheng Uei Prec Ind Co Ltd Connector shell
US20130164977A1 (en) * 2011-12-21 2013-06-27 Guang-Li Huang Electrical connector
JP5621999B2 (ja) * 2012-03-09 2014-11-12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18368A (zh) 2014-12-17
KR101549339B1 (ko) 2015-09-01
TW201505274A (zh) 2015-02-01
US20140357123A1 (en) 2014-12-04
JP5704365B2 (ja) 2015-04-22
CN104218368B (zh) 2017-01-18
JP2014235905A (ja) 2014-12-15
US9350120B2 (en) 2016-05-24
TWI589063B (zh) 201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6737B1 (en) Connector
US7651372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s on mating housings
CN106410457B (zh) 基板连接用电连接器
US7189090B2 (en) Coupler for flat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317543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235739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549338B1 (ko)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JP4900707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30033826A1 (en) Electrical component
KR101549339B1 (ko)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US20080026609A1 (en) Low profile connector
US20080176435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JP4803761B2 (ja) コネクタ装置
US9755339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connector and flat circuit body
JP6770250B2 (ja) 電気コネクタ
JP7196402B2 (ja) コネクタ装置
US20140220814A1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